KR102170797B1 -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선도관 추진장치 - Google Patents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선도관 추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797B1
KR102170797B1 KR1020190166537A KR20190166537A KR102170797B1 KR 102170797 B1 KR102170797 B1 KR 102170797B1 KR 1020190166537 A KR1020190166537 A KR 1020190166537A KR 20190166537 A KR20190166537 A KR 20190166537A KR 102170797 B1 KR102170797 B1 KR 102170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pipe
angle
fit
pip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기영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66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7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6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8Driving transverse tunnels starting from existing tunnels

Abstract

폐단면 각관(Square Pipe)을 압입하는 비개착식 공법으로서, ㄷ자형 강판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폐단면 각관을 형성하고 앵글을 이용하여 폐단면 각관을 보강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압입시, 굴착지반의 토압에 맞추어 선도관의 방향 및 기울기를 적합하게 조정하면서 선도관 및 압입각관 구조체를 수월하게 진입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존의 원형단면 강관 압입 공법에 비해 안정적인 지하구조물의 설치가 가능하며, 또한, 선도체 후면에 설치되는 어댑터의 굴착압입 방향을 조정하는 기능과 선도관 내에 설치된 방향수정 잭의 압입 기능에 따라 선도관 및 압입각관 구조체를 원활하고 정교하게 압입할 수 있는, 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선도관 추진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선도관 추진장치 {LEADING PIPE PROPULSION APPARATUS OF PRESSING SQUARE PIPE STRUCTURE USING ANGLE REINFORCEMENT}
본 발명은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폐단면 각관(Square Pipe)을 압입하는 비개착식 공법으로서, ㄷ자형 강판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폐단면 각관을 형성하고 앵글을 이용하여 폐단면 각관을 보강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압입시, 선도관 및 압입각관 구조체를 수월하게 진입시킬 수 있는,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선도관 추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심지에서 지상건물의 포화로 지하 공간의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지하공간을 활용하여 지하 구조물을 시공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러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은 크게 개착식 공법과 비개착식 공법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개착식 공법을 적용할 경우 교통체증, 지장물 이설비용 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비개착식 공법의 적용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도로 및 철도 하부를 횡단하는 지하차도, 하수 암거, 지하터널 구조물 등을 시공하는 경우, 공사로 인한 상부 지장물의 이전이 불가하거나 철도 또는 차량 통행으로 인하여 개착식 공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비개착식 공법이 요구된다.
이러한 비개착식 공법 중에서, 예를 들면, 강관추진 압입공법은 관부재를 매설하고자 하는 지점의 시작 부분의 지중에 단위 강관의 길이보다 약간 더 긴 갱도를 판 다음, 이 갱도 내에 강관을 눕혀 강관의 선단을 갱도의 측벽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유압잭 등의 추진기구를 이용하여 강관의 후단을 전방으로 추진하는 방법이다. 즉, 강관을 지중으로 압입하고, 강관 내의 토사를 배출 처리한 다음, 다른 강관을 선도관의 후단에 연결하여 재차 압입 추진시키는 공사를 반복하여 시공한다.
국내의 경우, 주로 원형단면 강관을 이용한 강관추진 압입공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원형단면 강관의 이음부 강성 확보를 위해 추가로 그라우팅을 실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반해 폐단면을 갖는 각관(Square Pipe)의 경우, 원형단면 강관에 비해 지반과 접하는 면적이 넓고, 압입 후에 내부토사를 인력으로 굴착할 때 그 가용범위가 넓다는 장점이 있어, 안정적인 구조물의 설치가 가능하다.
한편, 도 1a 및 도 1b는 통상적인 압입식 강관 추진 작업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유압잭 등의 추진기구(11)를 강관 압입 시공 위치에 준비하고, 그 전방으로 선도관(10)을 지중의 갱도에 수평하게 배치한 다음, 추진기구(11)를 작동시켜 선도관(10)을 지중에 압입 시공한다.
다음으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도관(10)이 지중에 압입되면 내부에 유입된 토사 등을 제거하고, 후행 압입 강관(10')을 선도관(10) 후단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다시 추진기구(11)를 작동시켜 후행 압입 강관(10')을 압입 추진 시공하고, 다음으로 후행 강관들을 연속하여 압입 추진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압입 강관 추진시, 선도관(10)의 압입 추진방향이 매우 중요한데, 만약 선도관(10)의 압입 추진 방향이 시공상 계획된 방향과 달라지게 되면, 최종 도달 목표위치에서 강관 시공이 벗어남으로써 시공상 상당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강관루프 구조체용 강관의 연결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2c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강관루프 구조체용 강관의 횡방향 연결철근의 시공사시도이며, 도 2d 및 도 2e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비개착식 지중구조물 시공단면도들이고, 도 2f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폐단면 강박스 구조로 제작된 추진관을 이용한 시공도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강관루프 구조체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할 도로나 지장물의 양측에 작업구를 설치한 후 설치될 구조물의 외곽선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압입 설치되며, 강관(20)을 1개씩 압입시키게 된다.
이러한 강관(20)의 경우, 일측에 횡방향으로 횡방향 홈(24)이 형성되고, 상기 횡방향 홈(24)의 내측으로 하중에 의해 강관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에 걸쳐 복수의 지지대(22)가 종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며, 상기 횡방향 홈(24)의 타측에는 횡방향 홈의 상하 절단부에 끼워져 설치되는 앵글(26)이 형성된 강관(20)이 연속적으로 측면 결합된다.
또한, 도 2c는 PRS(Pipe Roof Structures) 공법에 의해 지중에 압입된 인접된 강관(20)들에 있어서 횡방향 연결철근(30)을 보강한 후, 콘크리트(40)가 충전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횡방향 연결철근(30)은 띠철근(31)과 보강철근(32)으로 조립된 철근망으로서, 측면 결합된 2개의 강관(20)의 측면(C)을 별도로 추가 절개하여 철근망이 2개의 강관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되, 이러한 철근망은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때, 다른 2개의 강관에 있어서, 상기 철근망과 일렬로 배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역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만으로는 서로 인접하여 시공된 강관(20)들을 횡방향으로 서로 구조적으로 일체화시킬 정도는 아니므로, 즉, 단지 인접 강관들을 기계적으로 구속시켜 줄 정도에 불과하여 강관을 설계할 때 과다설계가 될 수밖에 없고, 결국 공사비 증가요인이 될 수밖에 없으며,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루프 구조체 내측에 시공되는 지중구조물(27)도 강관루프 구조체와 별개로 시공되어 결국 강관루프 구조체가 가설부재 역할밖에 하지 못하므로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PRS 공법을 개선한 공법이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개된 바 있다. 구체적으로, 압입된 강관(20)의 절개된 측면들이 횡방향으로 연통되도록 한 후, 횡방향 철근(29)을 이용하여 강관들을 서로 강결시켜 강관루프 구조체를 형성하고, 이러한 강관루프 구조체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 연결철근(28)을 이용하여 지중구조물(27)과 강관루프 구조체를 서로 일체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도 작업성 측면에서는 강관 내부와 같이 좁은 공간에서 일정한 연장길이를 가지도록 횡방향 연결철근(29)을 배근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기본적으로 원형단면의 강관(20)을 이용하기 때문에 다수의 강관 시공에 따른 효율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또한,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단면 강박스 구조로 제작된 추진관(41)을 시점부(A)에서 종점부(B)까지 연속적으로 추진잭을 이용하여 1 세그먼트씩 연결 압입(중앙 및 양 측방)시키되, 1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추진관(41)을 서로 끼워 연결하는 기술도 소개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원형강관이 아닌 박스체 형태의 추진관을 이용하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종 지중구조물 형태로 박스형태의 추진관(41)들을 압입시킨 이후에는 횡방향 연결철근(미도시)을 배근하고, 추진관(41) 내부에 구체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최종 저판을 시공하여 예컨대 지중 사각 터널 형태로 지중구조물을 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폐단면 강박스 구조로 제작된 추진관(71)은 압입시 좌굴 등에는 유리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법도 횡방향 연결철근을 별도로 배근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지중에 하부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부토사가 무너지지 않게 지지해주는 보강공법과, 지반의 이완을 최소로 하는 굴착공법이 존재하는데, 굴착공법은 강관이나 각관, 구조물을 압입하고, 내부를 굴착해 나가는 공법이다.
이러한 굴착공법에서 구조물을 압입할 때, 구조물 선단에는 선도관이 부착되어 지반에 선 압입되는 형태이다. 굴착지반의 토압에 맞추어 선도관의 방향 및 기울기를 조절하여 압입시켜야 하고, 선도관을 수월하게 진입할 수 있는 추진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선도관 추진장치와 관련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874034호에는 "압입 관의 추진방향 조정장치"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압입 관의 추진방향 조정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A라인을 절개선으로 하는 단면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압입 관의 추진방향 조정장치(70)는, 크게 지중 압입 추진되는 선도관(50)에 하나 이상 구비된 구동원(51) 및, 상기 구동원(51)의 전방으로 연계되어 구동원의 작동에 따라 선도관 추진방향을 조정 가능하게 제공되는 추진방향 조정유닛(60)을 포함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압입 관의 추진방향 조정장치(70)는, 유압잭 등과 같은 추진기구에 의하여 선도관과 후행 관들이 지중에 연속적으로 압입 추진될 때, 원래 추진하려던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이탈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시공 작업자는 추진기구의 작동을 잠시 중단시키고, 압입 강관의 추진방향 조정장치의 구동원(51)을 작동시켜 구동원(51)에 연계된 추진방향 조정유닛(53)을 통하여 추진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이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도관(50)의 내측에 90ㅀ간격으로 총 4개의 유압실린더인 구동원(51)이 장착된 경우, 각각의 유압실린더는 도시하지 않은 관 외부의 유압펌프 등의 유압작동유닛을 통하여 그 작동부재, 즉, 작동로드의 작동이 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55는 포위체를 나타낸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압입 관의 추진방향 조정장치에 따르면, 관부재의 지중 압입 시공시 선도관의 압입 방향을 계획된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은 물론, 특히 그 압입 추진 방향이 정상적이지 않은 경우, 이를 쉽게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압입 관의 추진방향 조정장치는 압입 관 추진공사의 시공성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고, 압입 추진 방향의 오차 발생에 따른 시공 지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JES&HEP 공법에 의한 지하구조물 시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JES&HEP(Jointed Element Shield Structure and High Speed Element Pull Method) 공법은 축 방향으로 힘의 전달이 가능한 이음부를 가지는 강관을, 전술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하여 견인 및 삽입한 후, 강관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워 사각형 라멘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이때, 이음부가 인장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로 시공되는 방법이다.
이러한 JES 공법은 강관의 전면부에 HEP 공법의 사각형 쉴드(일종의 기계적 굴착장치)를 설치하여 견인 방식으로 시공하여 자동배토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어 정밀 시공이 가능하고, 견인을 위한 반력벽으로 종점부의 토류벽을 이용하기 때문에 시점부의 반력설비가 불필요하며 최소 토피 1m까지 시공이 가능하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다시 말자면, JES&HEP 공법은 강관을 전방에서 견인하면서 강관 내부의 토사 등을 강관의 전면부에 별도로 장착한 사각형 쉴드로 굴착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이러한 JES 공법의 현장 적용 사례가 적어 설계가 용이하지 않으며, 무엇보다 사각형 쉴드에 의한 굴착에 있어 품질관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기계적 굴착장치를 이용하면 시공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장점은 있으나, 이러한 기계적 굴착장치는 그 제작 및 설치가 매우 복잡하고, 시공공종이 많아지기 때문에 운용비용이 커질 수밖에 없고, 특히,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현장에서 대응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JES&HEP 공법에서는 압입체들을 서로 면접되도록 시공하고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진시켜 시공한 강관구조체를 지하횡단 구조물의 일부로 이용하게 되므로 내측에 별도의 지하횡단 구조물을 시공하는 것이 아니라 내측 마감정도의 시공으로 지하횡단구조물을 최종 완성시킬 수 있다.
하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JES&HEP 공법에서, 강관은 기준강관과 기준강관의 측방에 압입되는 일반강관이 연결되며, 이러한 강관들 내부에는 콘크리트가 충진되어 중립축을 기준으로 상부는 압축력, 하부는 인장력을 부담하는데, 강관의 플랜지가 인장력을 부담하고 충진된 콘크리트가 압축력을 부담하도록 설계된다.
이때, 이음부는 강관들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전달하는 부위가 되므로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하며 반복하중에 의한 피로강도를 향상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갈고리형 이음부를 서로 끼우고, 이음부 사이에 무수축 고강도 콘크리트를 충진하여 차수성을 확보하고, 무수축 고강도 콘크리트가 누출되지 않도록 갈고리형 이음부 연결부위에 그라우팅 강판 및 코킹을 설치한다. 또한, 부식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청용 FRP 라이닝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러한 JES&HEP 공법의 경우, 강관들을 사각 강관으로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함에 있어서, 이음부의 시공이 복잡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이음부에 하중이 집중되는 경우가 많아 이러한 하중 집중을 피해야 하지만, 응력이 작용영역, 즉, 강관들의 플랜지들의 연결선상에 이음부가 위치함으로써 상기 이음부에 하중이 집중되는데, 현실적으로 이를 해결하는 방법이 마땅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다른 선행기술로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266113호에는 "압입체의 이음부 시공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강관구조체 이음부 시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압입체(80)는 서로 측면을 공유하면서 면접되도록 연결하고, 2개의 압입체(80)가 이음부(81)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이때, 이러한 이음부(81)는 간단하게 암수 이음부(81a, 81b)로 형성하여 서로 결합되는데, 암 이음부에 수 이음부가 끼워져 설치됨으로써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강관구조체 이음부에 따르면, 압입체의 이음부(81)에서 압입체(80)가 서로 용이하게 끼워져 연결되고, 압입체가 서로 면접되어 연결되면서도 압입체(80)의 이음부(81)에 하중이 집중되더라도 이를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고, 상기 이음부(81)의 차수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이음부(81)를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강관구조체 이음부의 경우, 암수 이음부(81a, 81b)가 압입체(80) 상부로 돌출되고, 지반에 사각 강관인 압입체를 견인시켜 강관구조체를 시공하는 함체 견인 방식에 적용되므로, 사용에 제약이 따른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548250호(등록일: 2015년 8월 24일), 발명의 명칭: "박스형 추진관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구조물 시공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289391호(등록일: 2013년 7월 18일), 발명의 명칭: "비개착식 터널굴착공법의 선단구조체"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266113호(등록일: 2013년 5월 14일), 발명의 명칭: "압입체의 이음부 시공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168633호(등록일: 2012년 7월 19일), 발명의 명칭: "분리형 세그먼트 지중압입체 및 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22382호(등록일: 2011년 3월 8일), 발명의 명칭: "비개착식 지하터널 축조 장치 및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874034호(등록일: 2008년 12월 8일), 발명의 명칭: "압입 관의 추진방향 조정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7-102397호(공개일: 2017년 9월 11일), 발명의 명칭: "사각관을 이용한 비개착식 터널굴착공법"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폐단면 각관(Square Pipe)을 압입하는 비개착식 공법으로서, ㄷ자형 강판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폐단면 각관을 형성하고 앵글을 이용하여 폐단면 각관을 보강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압입시, 굴착지반의 토압에 맞추어 선도관의 방향 및 기울기를 적합하게 조정하면서 선도관 및 압입각관 구조체를 수월하게 진입시킬 수 있는,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선도체 후면에 설치되는 어댑터의 굴착압입 방향을 조정하는 기능과 선도관 내에 설치된 방향수정 잭의 압입 기능에 따라 선도관 및 압입각관 구조체를 원활하고 정교하게 압입할 수 있는,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선도관 추진장치는, 비개착식 공법을 수행하도록 사각형 형상으로 지반 내에 압입되는 압입각관 구조체의 선도관 추진장치에 있어서,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폐단면 각관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ㄷ자형 강판, 상기 폐단면 각관을 보강하는 앵글, 및 압입각관 구조체가 다른 방향으로 압입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도록 설치되는 강판을 포함하는 압입각관 구조체; 및 선도체, 어댑터 및 방향수정 잭을 포함하며, 상기 압입각관 구조체의 선단에 배치되어 압입되는 선도관을 포함하되,
상기 압입각관 구조체는, 폐쇄 단부 및 개방 단부를 포함하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폐단면 각관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ㄷ자형 강판; 상기 ㄷ자형 강판을 연결하여 형성된 폐단면 각관 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폐단면 각관을 보강하는 앵글; 및 압입각관 구조체가 다른 방향으로 압입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도록 설치되는 강판을 포함하되, 상기 ㄷ자형 강판은 폐쇄 단부의 모서리에 수형 이음재가 형성되고, 개방 단부 모서리에 암형 이음재가 형성되어, 상기 ㄷ자형 강판을 다음 ㄷ자형 강판과 연결하여 폐단면 각관을 형성하여 상기 암형 이음재에 구비된 그라우팅 주입구를 통해 암수 연결된 이음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선도관은, 상기 압입각관 구조체의 선단에 배치되어 압입되는 선도체; 굴착지반의 토압에 맞춰 상기 선도체의 방향 및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상기 선도체의 후면에 설치되는 어댑터; 및 상기 선도관을 수월하게 진입시키기 위해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추진 잭으로서, 상기 어댑터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방향수정 잭을 포함하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선도체의 후면 및 어댑터는 각각 상기 압입각관 구조체의 폐단면 각관에 대응하여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향수정 잭은 상기 어댑터에 의해 압입각관 구조체의 방향 및 기울기가 정해지면, 상기 선도체를 지반으로 수월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작동하여 상기 어댑터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향수정 잭은 상기 선도관 내에 적어도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향수정 잭은 상기 어댑터의 사각틀 각각의 중앙에 면접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도체는 후면에 배치되는 ㅁ자형 강판으로 보강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폐단면 각관을 압입하는 비개착식 공법으로서, ㄷ자형 강판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폐단면 각관을 형성하고 앵글을 이용하여 폐단면 각관을 보강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압입시, 굴착지반의 토압에 맞추어 선도관의 방향 및 기울기를 적합하게 조정하면서 선도관 및 압입각관 구조체를 수월하게 진입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존의 원형단면 강관 압입 공법에 비해 안정적인 지하구조물의 설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도체 후면에 설치되는 어댑터의 굴착압입 방향을 조정하는 기능과 선도관 내에 설치된 방향수정 잭의 압입 기능에 따라 선도관 및 압입각관 구조체를 원활하고 정교하게 압입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통상적인 압입식 강관 추진 작업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강관루프구조체용 강관의 연결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c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강관루프구조체용 강관의 횡방향 연결철근의 시공사시도이다.
도 2d 및 도 2e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비개착식 지중구조물 시공단면도들이다.
도 2f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폐단면 강박스 구조로 제작된 추진관을 이용한 시공도이다.
도 3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압입 관의 추진방향 조정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A라인을 절개선으로 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JES&HEP 공법에 의한 지하구조물 시공도이다.
도 5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강관구조체 이음부 시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각관 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에서 ㄷ자형 강판의 연결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앵글보강 및 ㄷ자형 강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와 선도관 연결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에서 선도관 추진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에서 선도관 추진장치의 선도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에서 선도관 추진장치의 어댑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에서 각관의 연결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에서 원형 연결부의 상세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에서 ㄷ자형 강판의 앵글 보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에서 원형 연결부의 그라우트 주입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각관 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의 a)는 기존의 폐단면 각관의 연결 시공을 나타내며,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 형성을 위해 ㄷ자형 강판을 연결한 각관 시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존의 폐단면 각관을 연결 시공할 경우,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폐단면 각관을 밀착시켜 압입하여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형 강판(110)을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연결하여 폐단면 각관을 형성하며, 이때, 도면부호 A 및 B로 도시된 이음부는, 후술하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 수용홈이 형성된 암형 이음재(170)와 돌출부가 형성된 수형 이음재(180)를 암수 결합하여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에서 ㄷ자형 강판의 연결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에서 ㄷ자형 강판(110)을 연결하여 폐단면의 각관을 형성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ㄷ자형 강판(110)은 폐단면을 형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지막으로 연결되는 ㄷ자형 강판(110) 대신에 폐단면 각관(110')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단면을 형성하지 못하는 ㄷ자형 강판(110)의 경우, 일자형 강판(110")을 체결하여 폐단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단면 각관(110')을 가장 먼저 사용한 후, 그 양측으로 ㄷ자형 강판(110)을 각각 연결하여 폐단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현장상황에 따라 압입각관 구조체의 시공 순서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앵글보강 및 ㄷ자형 강판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8의 a)는 압입각관 구조체를 앵글 보강하는 하는 것을 나타내며, 도 8의 b)는 ㄷ자형 강판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개착식 공법으로 각관을 압입하여 형성되며, 폐단면 각관 형태를 형성할 때, 상기 ㄷ자형 강판(110)을 폐단면이 형성되도록 연결하여 시공하고,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ㄷ자형 강판(110)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폐단면 각관을 앵글(120)을 사용하여 보강한다. 또한,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130)을 밀어 넣어 압입각관 구조체 형상을 형성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가 다른 방향으로 압입되지 않도록 가이드 해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경우, 기존의 원형단면의 강관 압입 공법에 비해 안정적으로 지하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시공시, ㄷ자형 강판(110)은 각각 폐쇄 단부 및 개방 단부를 포함하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연결되어 폐단면 각관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ㄷ자형 강판(110)은 폐쇄 단부 모서리에 수형 이음재(180)가 형성되고, 개방 단부 모서리에 암형 이음재(170)가 각각 형성됨으로써, ㄷ자형 강판(11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러한 ㄷ자형 강판(110)을 폐단면이 형성되도록 연결하여 각관 형태를 형성한 후 폐단면 각관을 압입할 수 있지만, 현장상황에 따라 압입각관 구조체의 시공 순서는 변화가 가능하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와 선도관 연결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도관이 압입되기 전에, ㄷ자형 강판(110)을 밀어 넣어 압입각관 구조체를 형성할 때, 상기 압입각관 구조체가 다른 방향으로 압입되지 않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강판(130)을 미리 선도관 내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선도관은 선단부에 선도체(140)가 배치되고 그 내부에 어댑터(150)가 배치되며, 이때, 상기 선도체(140)는 ㅁ자형 강판(141)을 통해 선도관과 결합되고, 또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추진 방향 및 기울기를 조정하기 위한 어댑터(150)의 일측에 적어도 4개 이상의 방향수정 잭(16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시공 방법은, 먼저, 다수의 ㄷ자형 강판(110)을 연결하여 폐단면 각관을 형성하고, 이후, 앵글(120)을 이용하여 폐단면 각관을 보강한다.
이후, 압입각관 구조체가 다른 방향으로 압입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강판(130)을 선도관 내에 설치한다. 이후, 선도체(140) 및 어댑터(150)로 이루어지는 상기 선도관을 압입한 후, 상기 압입각관 구조체를 압입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에 따르면, 폐단면 각관(Square Pipe)을 압입하는 비개착식 공법으로서, ㄷ자형 강판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폐단면 각관을 형성하고, 앵글을 이용하여 폐단면 각관을 보강함으로써, 기존의 원형단면 강관 압입 공법에 비해 안정적인 지하구조물의 설치가 가능하며, 또한, 압입각관 구조체를 형성할 때 앵글 및 강판을 설치하여 압입각관 구조체가 다른 방향으로 압입되지 않도록 가이드할 수 있고, 또한, ㄷ자형 강판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폐단면 각관을 이용하므로 지반과 접하는 면적이 넓고, 내부에서 인력 굴착시 가용범위가 넓은 장점이 있다.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선도관 추진장치]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에서, 압입각관 구조체를 압입할 때, 압입각관 구조체의 선단에 선도관이 부착되어 지반에 선 압입된다. 이때, 굴착지반의 토압에 맞추어 상기 선도관의 방향 및 기울기가 적합하게 압입되어야 하고, 이러한 선도관을 수월하게 진입할 수 있는 추진장치가 필요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선도관 추진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에서 선도관 추진장치는, 비개착식 공법을 수행하도록 사각형 형상으로 지반 내에 압입되는 압입각관 구조체의 선도관 추진장치로서, 선도체(140), 어댑터(150) 및 방향수정 잭(160)을 포함한다.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압입각관 구조체는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폐단면 각관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ㄷ자형 강판(110), 상기 폐단면 각관을 보강하는 앵글(120), 및 압입각관 구조체가 다른 방향으로 압입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도록 설치되는 강판(130)을 포함하며, 선도관은 선도체(140), 어댑터(150) 및 방향수정 잭(160)을 포함하며, 상기 압입각관 구조체의 선단에 배치된다.
선도체(140)는 상기 압입각관 구조체의 선단에 배치되어 압입된다. 이때, 상기 선도체(140)의 후면은 ㅁ자형 강판(141)으로 보강될 수 있다.
어댑터(150)는 굴착지반의 토압에 맞춰 상기 선도체(140)의 방향 및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상기 선도체(140)의 후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선도체(140)의 후면 및 어댑터(150)는 각각 상기 압입각관 구조체의 폐단면 각관에 대응하여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다.
방향수정 잭(160)은 상기 선도관을 수월하게 진입시키기 위해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추진 잭으로서, 상기 어댑터(150)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방향수정 잭(160)은 상기 어댑터(150)에 의해 압입각관 구조체의 방향 및 기울기가 정해지면, 상기 선도체를 지반으로 수월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작동하여 상기 어댑터(150)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수정 잭(160)은 상기 선도관 내에 적어도 4개가 설치되며, 상기 방향수정 잭(160)은 상기 어댑터(150)의 사각틀 각각의 중앙에 면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어댑터(150)의 방향 조절에 대응하여 선도관 및 압입각관 구조체를 원활하게 지반으로 압입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에서 선도관 추진장치의 경우, 압입각관 구조체의 선도체(140) 후면으로 굴착지반 토압에 대응하여 상기 선도체(140)의 방향 및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어댑터(150)를 구비하며, 상기 어댑터(150)에 의해 압입각관 구조체의 방향 및 기울기가 정해지면, 상기 선도체를 지반으로 수월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방향수정 잭(160)이 작동하여 상기 어댑터(150)를 조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어댑터(150)의 굴착압입 방향을 조정하는 기능과 상기 방향수정 잭(160)의 압입 기능으로, 압입각관 구조체를 원활하고 정교하게 압입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에서 선도관 추진장치의 선도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에서 선도관 추진장치의 어댑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선도체(140) 및 어댑터(150)는 사각형의 압입각관 구조체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각각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선도체(140)는 압입각관 구조체의 선단에 부착되고, 상기 어댑터(150)는 상기 선도체(140)의 후방에 결합되고, 압입각관 구조체가 상기 어댑터(150)에 밀착되어, 상기 어댑터(150)에 의해 압입각관 구조체의 방향 및 기울기가 정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선도체(140) 후면에 방향조절을 위한 어댑터(150)와 방향수정 잭(160)이 배치되어, 굴착토압에 대응하여 방향을 잡고, 상기 방향수정 잭(160)을 통해 상기 선도체(140)를 압입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압입각관 구조체를 원활하게 압입시킬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선도관 추진장치에 따르면, 폐단면 각관을 압입하는 비개착식 공법으로서, ㄷ자형 강판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폐단면 각관을 형성하고 앵글을 이용하여 폐단면 각관을 보강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압입시, 굴착지반의 토압에 맞추어 선도관의 방향 및 기울기를 적합하게 조정하면서 선도관 및 압입각관 구조체를 수월하게 진입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존의 원형단면 강관 압입 공법에 비해 안정적인 지하구조물의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선도체 후면에 설치되는 어댑터의 굴착압입 방향을 조정하는 기능과 선도관 내에 설치된 방향수정 잭의 압입 기능에 따라 선도관 및 압입각관 구조체를 원활하고 정교하게 압입할 수 있다.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원형 연결부 구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에서 각관의 연결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에서 원형 연결부의 상세도로서, 도 14의 a)는 암형 이음재(170)와 수형 이음재(18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14의 b)는 돌출부 수용홈이 형성된 암형 이음재(170)를 나타내고, 도 14의 c)는 돌출부가 형성된 수형 이음재(180)를 각각 나타낸다.
전술한 도 6의 b),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원형 연결부는 암형 이음재(170) 및 수형 이음재(180)를 포함하며, 상기 ㄷ자형 강판(110)은 폐쇄 단부 및 개방 단부로 이루어진 ㄷ자 형상의 강판으로서, 상기 개방 단부에 다음 ㄷ자형 강판(110)의 폐쇄 단부가 연결되어 폐단면 각관을 형성한다. 즉, 상기 ㄷ자형 강판(110)의 폐쇄 단부에 수형 이음재(180)가 형성되어 이전 ㄷ자형 강판(110)의 암형 이음재(170)와 연결되며, 개방 단부에 암형 이음재(170)가 형성되어 다음 ㄷ자형 강판(110)의 수형 이음재(180)에 연결된다.
한편,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에서 ㄷ자형 강판의 앵글 보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상세 평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에서 원형 연결부의 그라우트 주입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원형 연결부는, 폐단면 각관 사이의 힌지 구조를 형성하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ㄷ자형 강판(110)을 연결하여 폐단면 각관을 형성할 경우, 강판(130)과 앵글(120)이 압입각관 구조체의 형태를 잡을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 역할을 하며, 압입각관 구조체 형태의 형성이 완료된 후, 상기 암형 이음재(170) 및 수형 이음재(180)의 결합에 의해 압입각관 구조체의 모서리 부분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ㄷ자형 강판(110) 사이의 힌지 연결 구성은 상기 ㄷ자형 강판(110)의 일단에 원형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수형 이음재(180)가 형성되고, 또한, 연결되는 다음 ㄷ자형 강판(110)에 상기 수형 이음재(180)를 수용하는 돌출부 수용홈이 형성된 암형 이음재(170)가 형성됨으로써, 각각 암수 연결하는 구성을 통해 상기 ㄷ자형 강판(110) 각각이 연결되어 폐단면 각관을 형성하며, 이러한 연결 공정이 완료 후,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형 이음재(170)에 구비된 그라우팅 주입구(190)를 통해 암수 연결된 이음부의 완전한 결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ㄷ자형 강판(110)을 연결하여 폐단면 각관을 형성할 경우, 강판(130)과 앵글(120)이 압입각관 구조체 형태를 형성하도록 가이드라인 역할을 하며, 압입각관 구조체 형태의 형성이 완료된 후, 모서리 부분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원형 연결부에 따르면, 비개착식 공법 중 폐단면 각관을 압입하는 공법으로서, ㄷ자형 강판(110)이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하여 폐단면 각관을 형성하고, 폐단면 각관을 앵글 보강하며, 암수 이음재(170, 180)를 통해 압입각관 구조체를 견고하게 연결함으로써, 압입각관 구조체를 원활하게 압입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ㄷ자형 각관 120: 앵글보강재
130: 강판 140: 선도체
150: 어댑터 160: 방향수정 잭
170: 암형 이음재 180: 수형 이음재
190: 그라우트 주입구
141: ㅁ자형 강판

Claims (7)

  1. 비개착식 공법을 수행하도록 사각형 형상으로 지반 내에 압입되는 압입각관 구조체의 선도관 추진장치에 있어서,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폐단면 각관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ㄷ자형 강판(110), 상기 폐단면 각관을 보강하는 앵글(120), 및 압입각관 구조체가 다른 방향으로 압입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도록 설치되는 강판(130)을 포함하는 압입각관 구조체; 및
    선도체(140), 어댑터(150) 및 방향수정 잭(160)을 포함하며, 상기 압입각관 구조체의 선단에 배치되어 압입되는 선도관을 포함하되,
    상기 압입각관 구조체는, 폐쇄 단부 및 개방 단부를 포함하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폐단면 각관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ㄷ자형 강판(110); 상기 ㄷ자형 강판(110)을 연결하여 형성된 폐단면 각관 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폐단면 각관을 보강하는 앵글(120); 및 압입각관 구조체가 다른 방향으로 압입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도록 설치되는 강판(130)을 포함하되, 상기 ㄷ자형 강판(110)은 폐쇄 단부의 모서리에 수형 이음재(180)가 형성되고, 개방 단부 모서리에 암형 이음재(170)가 형성되어, 상기 ㄷ자형 강판(110)을 다음 ㄷ자형 강판(110)과 연결하여 폐단면 각관을 형성하여 상기 암형 이음재(170)에 구비된 그라우팅 주입구(190)를 통해 암수 연결된 이음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선도관은, 상기 압입각관 구조체의 선단에 배치되어 압입되는 선도체(140); 굴착지반의 토압에 맞춰 상기 선도체(140)의 방향 및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상기 선도체(140)의 후면에 설치되는 어댑터(150); 및 상기 선도관을 수월하게 진입시키기 위해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추진 잭으로서, 상기 어댑터(150)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방향수정 잭(160)을 포함하는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선도관 추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도체(140)의 후면 및 어댑터(150)는 각각 상기 압입각관 구조체의 폐단면 각관에 대응하여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선도관 추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수정 잭(160)은 상기 어댑터(150)에 의해 압입각관 구조체의 방향 및 기울기가 정해지면, 상기 선도체를 지반으로 수월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작동하여 상기 어댑터(150)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선도관 추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수정 잭(160)은 상기 선도관 내에 적어도 4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선도관 추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수정 잭(160)은 상기 어댑터(150)의 사각틀 각각의 중앙에 면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선도관 추진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도체(140)는 후면에 배치되는 ㅁ자형 강판(141)으로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선도관 추진장치.
  7. 삭제
KR1020190166537A 2019-12-13 2019-12-13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선도관 추진장치 KR102170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537A KR102170797B1 (ko) 2019-12-13 2019-12-13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선도관 추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537A KR102170797B1 (ko) 2019-12-13 2019-12-13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선도관 추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797B1 true KR102170797B1 (ko) 2020-10-28

Family

ID=73018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537A KR102170797B1 (ko) 2019-12-13 2019-12-13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선도관 추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7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936B1 (ko) 2021-11-19 2022-02-14 박영배 추진 가이드를 갖는 우수 암거용 선도체 유닛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034B1 (ko) 2008-03-25 2008-12-17 주식회사 젠트로 압입 관의 추진방향 조정장치
KR101022382B1 (ko) 2010-08-16 2011-03-22 (주)정토지오텍 비개착식 지하터널 축조 장치 및 방법
KR101168633B1 (ko) 2011-09-26 2012-07-26 문찬호 분리형 세그먼트 지중압입체 및 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KR101266113B1 (ko) 2012-08-28 2013-05-27 주식회사 청문티앤씨 압입체의 이음부 시공방법
KR101289391B1 (ko) 2010-05-28 2013-07-29 위준복 비개착식 터널굴착공법의 선단구조체
KR101548250B1 (ko) 2014-07-25 2015-08-28 김진수 박스형 추진관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구조물 시공방법
KR101737628B1 (ko) * 2016-12-02 2017-05-18 김동수 보호관 선견인-구조물 후추진의 반복 공정을 통한 지하구조물의 구축방법
KR20170102397A (ko) 2016-02-26 2017-09-11 한광우 사각관을 이용한 비개착식 터널굴착공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034B1 (ko) 2008-03-25 2008-12-17 주식회사 젠트로 압입 관의 추진방향 조정장치
KR101289391B1 (ko) 2010-05-28 2013-07-29 위준복 비개착식 터널굴착공법의 선단구조체
KR101022382B1 (ko) 2010-08-16 2011-03-22 (주)정토지오텍 비개착식 지하터널 축조 장치 및 방법
KR101168633B1 (ko) 2011-09-26 2012-07-26 문찬호 분리형 세그먼트 지중압입체 및 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KR101266113B1 (ko) 2012-08-28 2013-05-27 주식회사 청문티앤씨 압입체의 이음부 시공방법
KR101548250B1 (ko) 2014-07-25 2015-08-28 김진수 박스형 추진관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구조물 시공방법
KR20170102397A (ko) 2016-02-26 2017-09-11 한광우 사각관을 이용한 비개착식 터널굴착공법
KR101737628B1 (ko) * 2016-12-02 2017-05-18 김동수 보호관 선견인-구조물 후추진의 반복 공정을 통한 지하구조물의 구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936B1 (ko) 2021-11-19 2022-02-14 박영배 추진 가이드를 갖는 우수 암거용 선도체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9705B1 (ko) 강관압입식 지하터널 구조물 형성공법에 있어서의 강관연결용 방수철판의 설치방법
KR101179778B1 (ko) 비개착식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100904857B1 (ko) 강관과 세그먼트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축조방법
KR100538272B1 (ko) 조립식 구조물을 이용한 비개착 지하통로 구축공법
JP2008019608A (ja) 鋼管矢板、鋼管矢板壁、パイプルーフ用鋼管、およびパイプルーフ
KR102170797B1 (ko)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선도관 추진장치
KR102185920B1 (ko)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2170800B1 (ko) 앵글보강을 이용한 압입각관 구조체의 원형 연결부 구조
KR101556674B1 (ko) 강관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강관구조체 시공방법
KR102122675B1 (ko) 지중 추진관에 내접끼움 인너마디링이 설치되어 연속강결합구조를 갖는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594085B1 (ko) 메인강관과 서브강관을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KR101507598B1 (ko) 유압추진식 굴착장치
JP2000120372A (ja) 基準管鋼製エレメント、一般部鋼製エレメント、隅角部鋼製エレメント、及び地下構造物構築方法
JP2005171488A (ja) 鋼製壁と鉄筋コンクリート版との結合構造
KR101194102B1 (ko) 콘크리트 터널 구조물 굴착 공법
KR101275468B1 (ko) 비개착식 터널형성용 구조물 조립체 및 이의 축조방법
KR20120048152A (ko) 분할 파형 또는 요철판을 이용한 비개착 가설 터널 및 관로와 그의 시공공법
JP5498295B2 (ja) 地下構造物の施工方法
KR101599295B1 (ko) 지중구조체용 유도유니트와 모듈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JP2012026242A (ja) 地下構造物の施工方法
KR200417399Y1 (ko) 강관루프 구조체
JP4833089B2 (ja) 地中貫入体のための止水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地中貫入体の施工方法
KR102191503B1 (ko) 상부 및 하부 사각관을 이용한 비개착식 터널굴착공법
JP2001140592A (ja) トンネル覆工用セグメント及びその施工方法
JP4440152B2 (ja) 地中貫入体の施工方法及びそのための鋼殻エレ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