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655B1 - 단부에 조임부가 구비된 테이블 커버 - Google Patents

단부에 조임부가 구비된 테이블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655B1
KR102170655B1 KR1020200022028A KR20200022028A KR102170655B1 KR 102170655 B1 KR102170655 B1 KR 102170655B1 KR 1020200022028 A KR1020200022028 A KR 1020200022028A KR 20200022028 A KR20200022028 A KR 20200022028A KR 102170655 B1 KR102170655 B1 KR 102170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olded
overlapping
folded portion
tigh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2960A (ko
Inventor
여상호
Original Assignee
여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상호 filed Critical 여상호
Publication of KR20200102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1/00Table linen
    • A47G11/003Table-cloths
    • A47G11/004Fitted table-clo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1/00Table linen
    • A47G11/003Table-cloths
    • A47G11/007Continuous table-cloths, e.g. wound on a supply roll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6Table-cloth or napkin holders
    • A47G21/167Means for holding a table-cloth on a tabl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6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ttaching bands, ribbons, strips, or tapes or for bin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블을 감싸는 테이블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상면이 테이블을 덮고, 측면이 상기 테이블을 감싸도록 일부 영역이 중첩되면서 접히는 중첩부가 형성된 커버부 및 상기 중첩부가 상기 커버부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단부를 따라 상기 접힘부와 함께 상기 커버부의 측면에 결합되는 조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임부는,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단부를 오므라드는 형태로 조이는 밴드를 포함함에 따라 테이블 커버의 측면이 자연스럽게 접히고, 테이블 커버의 단부에 구비된 조임부가 테이블을 감싸 테이블에 완전히 밀착되는 테이블 커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부에 조임부가 구비된 테이블 커버{TABLE COVER WITH FASTENERS AT THE ENDS}
본 발명은 테이블을 감싸는 테이블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테이블 커버의 측면이 자연스럽게 접히고, 테이블 커버의 단부가 테이블을 조이면서 테이블 커버가 테이블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는 테이블 커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테이블 커버는 다양한 테이블의 형태와 관계없이 획일적인 형태로 생산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의 테이블 커버는 생산된 형태에 정확히 부합되는 테이블이 아닌 경우에 테이블과 테이블 커버 사이에 빈 공간이 생기거나 테이블 커버의 크기가 부족하여 억지로 장착시킨 결과 테이블 커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테이블의 모퉁이 부분은 각각의 테이블의 디자인의 형태에 따라 다른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영역에서 테이블 커버는 제대로 장착되지 않아 빈 공간이 생기거나 찢어지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또한, 이를 외부에서 볼 때, 심미적으로도 좋지 않을 뿐 아니라, 테이블 커버가 잘 벗겨지거나 테이블 위에서 이리저리 이동하는 등 기능적으로도 좋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특히, 테이블 커버를 야유회, 체육대회 등 행사와 같은 야외에 설치된 테이블을 덮는 경우 테이블 커버가 테이블의 각 모서리 부분에 정확히 덮이지 않았기 때문에 테이블 커버가 바람에 날아가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테이블의 측면 부분을 자연스럽게 덮을 수 있는 테이블 커버가 필요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79922호(2019.05.13. 등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테이블의 모서리 부분에서 주름이 생기지 않고 자연스럽게 덮이고, 조임부를 이용하여 테이블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는 테이블 커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조임부와 중첩부가 구비됨에 따라 테이블을 보다 완전하게 밀착시켜 감싸고, 심미적으로 테이블 커버가 지저분해 보이지 않고, 기능적으로 테이블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는 테이블 커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는 상면이 테이블의 상면을 덮고, 측면이 상기 테이블의 측면을 감싸도록 일부 영역이 중첩되면서 접히는 중첩부가 형성된 커버부 및 상기 중첩부가 상기 커버부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단부를 따라 상기 커버부의 측면에 결합되는 조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중첩부는, 상기 커버부의 측면이 접히면서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제1 접힘부와 상기 커버부가 접히면서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다른 영역에 형성되는 제2 접힘부와,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 사이에 접히는 빗변 형태로 형성되는 모서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부는,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단부를 오므라드는 형태로 조이는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첩부는,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가 인접하게 맞닿아 상기 모서리부가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내부에서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는,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내부에 형성된 중첩부를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내부에 밀착시켜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중첩부는,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가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내부에서 봉합부에 의해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가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중첩부는,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가 인접하게 맞닿아 상기 모서리부가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외부에서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는,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외부에 형성된 모서리부를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외부에 밀착시켜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중첩부는,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가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외부에서 봉합부에 의해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가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중첩부는,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가 인접하게 맞닿아 상기 모서리부가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내부에서 형성되되, 상기 커버부가 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가 이루는 각도가 90도를 초과하고, 상기 조임부는,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내부에 형성된 중첩부를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내부에 밀착시켜 결합되되, 상기 모서리부의 밑변이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단부에 평행하게 맞춰지도록 상기 중첩부를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내부에 밀착시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중첩부는,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가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내부에서 봉합부에 의해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가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중첩부는,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가 인접하게 맞닿아 상기 모서리부가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외부에서 형성되되, 상기 커버부가 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가 이루는 각도가 90도를 초과하고, 상기 조임부는,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외부에 형성된 중첩부를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외부에 밀착시켜 결합되되, 상기 모서리부의 밑변이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단부에 평행하게 맞춰지도록 상기 중첩부를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내부에 밀착시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중첩부는,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가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외부에서 봉합부에 의해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부의 상면이 테이블의 상면을 덮고, 커버부의 측면이 상기 테이블의 측면을 감싸도록 일부 영역이 중첩되면서 접히는 중첩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중첩부가 상기 커버부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단부를 따라 조임부가 상기 커버부의 측면에 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중첩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커버부의 측면이 접히면서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제1 접힘부와 상기 커버부가 접히면서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다른 영역에 형성되는 제2 접힘부와,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 사이에 접히는 빗변 형태로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부가 상기 커버부의 측면에 결합되는 단계는, 밴드가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단부를 오므라드는 형태로 조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른 테이블 커버는 테이블의 모서리 부분에서 주름이 생기지 않고 자연스럽게 덮이고, 조임부를 이용하여 테이블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른 테이블 커버는 조임부와 중첩부가 구비됨에 따라 테이블을 보다 완전하게 밀착시켜 감싸고, 심미적으로 테이블 커버가 지저분해 보이지 않고, 조임부를 이용하여 테이블에 고정되기 때문에 바람이나 외부 작용에 의해 쉽게 날아가지 않으며 기능적으로 테이블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는, 조임부는 탈착이 용이하여 테이블 커버를 테이블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대규모의 행사에 사용되는 테이블에 사용되는 경우 시간 및 비용이 월등하게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를 눕혀 놓은 상태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를 외부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를 외부 아래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접힘부가 봉합된 테이블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접힘부가 봉합된 테이블 커버를 외부 아래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중첩부가 외부로 형성된 테이블 커버를 눕혀 놓은 상태의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테이블 커버를 눕혀 놓은 상태의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테이블 커버가 테이블을 덮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테이블 커버의 중첩부가 형성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라 형성된 중첩부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중첩부가 테이블 커버의 단부로 당겨진 채로 조임부와 함께 결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접힘부가 봉합된 테이블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12의 중첩부가 외부로 형성된 테이블 커버를 눕혀 놓은 상태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100)를 눕혀 놓은 상태의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100)는 커버부(10) 및 조임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테이블 커버(100)는 테이블을 덮기 위한 커버로서, 직물, 천, 종이, 폴리에틸렌 수지, 직물 원단, 비닐 원단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능적 또는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커버. 본 발명의 커버부(10)는 상면(11), 측면(13) 및 중첩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커버부(10)는 상면(11)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측면(13)이 네 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커버부(10)의 상면(11)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측면(13) 또한 네 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커버부(10)의 상면(11)의 형태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커버부(10)의 상면(11), 측면(13) 및 중첩부(15)는 물리적으로 명확히 구분되지 않을 수 있으며, 테이블에 덮인 형태에 따라서 기능적인 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다. 커버부(10)는 상면(11)이 테이블을 덮고, 중첩부(15)는 테이블 커버(100)의 측면(13)이 테이블을 감싸도록 일부 영역이 중첩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중첩부(15)는 제1 접힘부(151), 제2 접힘부(155) 및 모서리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는 중첩부(15)가 테이블 커버(100)의 내부 쪽으로 접히면서 형성되는 접힘선일 수 있다. 제1 접힘부(151)는 커버부(10)의 측면(13)이 접히면서 상기 커버부(10)의 측면(13)의 일 영역에 형성되고, 제2 접힘부(155)는 커버부(10)의 측면(13)이 접히면서 상기 커버부(10)의 측면(13)의 다른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모서리부(153)는 제1 접힘부(151)와 상기 제2 접힘부(155)가 맞닿으면서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 사이에 접히는 빗변 형태로 형성되는 영역을 가리킬 수 있다.
조임부(20)는 커버부(10)의 측면(13)에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 중첩부(15)가 테이블 커버의 측면(13)에 밀착되도록 커버부(10)의 측면(13)의 단부를 따라 제1 접힘부(151)와 함께 커버부(10)의 측면(13)에 결합될 수 있다.
조임부(20)는 밴드(21)와, 밴드(21)를 커버부(10)의 측면(13)에 결합시키기 위한 지지부재(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밴드(21)는 탄성을 가진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커버부(10)의 측면(13)의 단부가 오므라들도록 조이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재(23)는 직물, 천, 종이,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커버부(10)와 동일한 재질로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재(23)는 접착, 봉합, 봉제 등의 기계적 결합으로 결합되거나 열가소성 플라스틱에 열을 가하여 접착되는 열 결합 등의 방법으로 커버부(10)에 결합될 수 있고, 밴드(21) 역시 지지부재(23)에 접착, 양면 테이프, 봉합 등의 기계적 결합 또는 열 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밴드(21)는 지지부재(23)가 생략된 채로 직접 커버부(10)에 결합되거나, 지지부재(23) 위에 결합되어 간접적으로 커버부(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100)는 중첩부(15)에 의해 테이블의 모서리에 걸쳐지는 영역이 자연스럽게 걸쳐지고, 커버부(10)의 하단에 결합된 조임부(20)를 이용하여 커버부(10)의 하단부를 조임에 따라 테이블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테이블 커버(100)는 외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테이블 커버(100)가 테이블에 완전히 밀착됨에 따라, 테이블 커버(100)가 지저분해 보이지 않는 심미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100)를 외부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100)는 도 1의 테이블 커버(100)가 테이블에 덮인 채로 외부에서 바라볼 때, 중첩부(15)의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가 드러날 수 있다.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는 테이블 커버(100)의 내부에서 바라볼 때 중첩부(15)를 테이블 커버(100)의 측면(13)으로 이동시키는 힌지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는 테이블 커버(100)의 내부에 위치한 영역뿐 아니라, 테이블 커버(100)의 외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형성되는 모서리의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다.
테이블 커버(100)의 외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테이블 커버(100)의 중첩부(15)는 테이블 커버(100)의 내부 쪽으로 말려들어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중첩부(15)는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를 기준으로 테이블 커버(100)의 내부 쪽으로 접힐 수 있다. 중첩부(15)는 제2 접힘부(155)를 기준으로 테이블 커버(100)의 내부 쪽으로 접히게 되고, 중첩부(15)는 조임부(20)에 의해 커버부(10)의 측면(13)으로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조임부(20)는 모서리부(153)의 밑변이 커버부(10)의 측면 단부에 맞춰지도록 중첩부(15)를 커버부(10)의 측면(13)의 내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100)는 중첩부(15)를 형성시켜 공간을 확보함에 따라, 테이블 커버(15)를 절단하지 않고도 하나의 형상으로 테이블의 형태에 맞춰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조임부(20)는 커버부(10)의 내측 측면(13) 하단에 결합될 수 있는데, 커버부(10)의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고, 커버부(10)의 내부에서 보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100)를 외부 아래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며, 도 3은 테이블에 덮여진 상태의 테이블 커버(100)를 도시하지만, 설명의 편의상 테이블은 도시하지 않았다.
도 3을 참조하면, 중첩부(15)는 제2 접힘부(155)을 기준으로 테이블 커버(100)의 내부 쪽으로 접히게 되고, 모서리부(153)는 조임부(20)에 의해 커버부(10)의 측면(13)으로 밀착될 수 있다.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가 인접하게 맞닿아 모서리부(153)가 상기 커버부(10)의 측면(13)의 내부에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첩부(15)는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가 인접하게 맞닿게 되면서 '^', '⌒', '<', '>'와 같은 형상으로 접히면서 중첩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조임부(20)는 커버부(10)의 측면(13)의 내부에 형성된 중첩부(15)를 커버부(10)의 측면(13)의 내부에 밀착시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조임부(20)는 중첩부(15)의 모서리부(153)의 밑변이 커버부(10)의 측면 단부에 맞춰지도록 중첩부(15)를 커버부(10)의 측면(13)의 내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임부(20)는 중첩부(15)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커버부(10)의 측면 내부에 박음질로 봉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임부(20)는 커버부(10)의 측면(13) 하단을 오므라드는 형태로 조임에 따라 커버부(10)의 측면(13)이 테이블의 측면의 형태에 완전하게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조임부(20)는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지기 때문에 테이블의 하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테이블의 모서리 형태인'ㄱ'형태로 구부러질 수 있다.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는 중첩부(15)를 내측으로 접히게 하기 위해 접힌 상태였기 때문에, 커버부(10)의 측면(13)이 테이블의 측면에 밀착됨에 따라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는 소폭 이격될 수도 있다.
테이블 커버(100)는 테이블의 측면 영역에 덮일 때 커버부(10)와 테이블 사이에 불필요한 공간이 형성될 수도 있고, 테이블 커버(100)가 찢어질 수도 있다. 왜냐하면, 테이블의 꼭지점의 모양은 각진 직사각형, 작은 반지금의 둥근 직사각형, 큰 반지름의 둥근 직사각형 등 모양이 다양할 수 있는데, 테이블 커버(100)의 측면(13)의 모양은 제1 접힘부(151)과 제2 접힘부(155)의 결합으로 인하여 한가지 모양 만을 갖기 때문에(예를 들어, 각진 직사각형), 서로의 모양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테이블 커버(100)를 테이블에 덮어씌우더라도, 테이블 커버(100)의 측면(13) 공간이 큰 경우 테이블의 측면이나 모퉁이 부분에 약간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테이블 커버(100)의 측면(13) 공간이 작은 경우 테이블 커버(100)가 찢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테이블 커버(100)의 꼭지점 부분의 형상이 테이블의 꼭지점 부근의 형상과 매칭되지 않기 때문에 미적 및 기능적으로 좋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는 테이블의 측면(13)에서 소폭 이격됨에 따라 커버부(10)를 자연스럽게 테이블에 밀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가 소폭 이격되는 경우, 내측으로 들어갔던 중첩부(15)가 살짝 빠져나오면서 중첩부(15)에 의해 형성된 내부의 접힌 여유 공간이 펼쳐지면서, 테이블 커버(100)의 측면(13)이 외부로 볼록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테이블 커버(100)는 테이블 커버(100)의 측면(13)이 테이블의 측면이나 모퉁이 부분이(세로 단면의 모양 또는 가로 단면의 모양)과 일치되지 않아서, 테이블 커버(100)의 측면(13)이 헐거워지거나, 불필요한 공간이 생기거나,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접힘부가 봉합된 테이블 커버(10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접힘부가 봉합된 테이블 커버(100)를 외부 아래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2의 테이블 커버(100)의 접힘부가 봉합부(157)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도 2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지만, 접힘부가 결합되는 형태만 상이한 것으로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중첩부(15)는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가 이격되지 않도록 커버부(10)의 측면(13)의 내부에서 봉합부(157)에 의해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는 완전히 밀착 결합될 수 있는데, 커버부(10)의 재질이 직물, 천과 같이 봉합에 의해서도 파손되지 않는 다소 튼튼하면서도 일부 탄력을 가지는 재질인 경우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가 완전히 밀착 결합되어 이격되지 않은 채로 테이블 커버(100)가 테이블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는 기계적 결합 또는 열 결합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는 봉합부(157)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데, 봉합부(157)는 바느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봉합부(157)는 가로 형태로 봉합되거나, 세로 형태로 봉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봉합부(157)는 도 5와 같이 가로의 봉합 형태로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를 밀착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봉합부(157)는 세로의 봉합 형태로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를 밀착 결합시킬 수 있는데, 봉합부(157)는 세로의 봉합 형태로 커버부(10)의 내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가 맞닿는 지점에 1점 쇄선 또는 파선과 같은 형태로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를 결합시킬 수 있다. 봉합부(157)는 다양한 재봉 형태로 봉합되어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를 밀착 결합시킬 수 있으며, 봉합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봉합부(15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부(157)는 커버부(10)의 외측에서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를 관통하도록 봉합되어 커버부(10)의 외측에서 식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봉합부(157)는 도 5와 달리 커버부(10)의 내측에서 봉합되어 커버부(10)의 외부에는 식별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부(10)의 측면(13) 외부에서 바라보았을 때는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가 맞닿아 있는 형태로만 보이지만, 커버부(10)의 내부에는 봉합부(157)에 의해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가 재봉 형태로 봉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봉합부(157)가 커버부(10)의 내부에서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를 봉합하는 경우,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를 견고하게 결합하면서도 외부에서는 식별되지 않기 때문에 테이블 커버(100)의 형태가 심미적으로 정돈돼 보이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중첩부(15)가 외부로 형성된 테이블 커버(100)를 눕혀 놓은 상태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100)는 도 2 내지 5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지만, 각 구성이 테이블 커버(100)의 외측 방향을 향하는 것으로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100)는 중첩부(15)와 조임부(20)가 외부로 형성될 수 있는데, 마치 도 2의 테이블 커버(100)를 뒤집어 놓은 형태와 유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첩부(15)는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가 인접하게 맞닿아 모서리부(153)가 커버부(10)의 측면(13)의 외부에서 형성되고, 조임부(20)는, 커버부(10)의 측면(13)의 외부에 형성된 중첩부(15)를 커버부(10)의 측면(13)의 외부에 밀착시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조임부(20)는 모서리부(153)의 밑변이 커버부(10)의 측면 단부에 맞춰지도록 중첩부(15)를 커버부(10)의 측면(13)의 외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100)는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가 결합될 수 있는데, 마치 도 5의 테이블 커버(100)를 뒤집어 놓은 형태와 유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첩부(15)는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가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커버부(10)의 측면(13)의 외부에서 봉합부(157)에 의해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가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테이블 커버(200)를 눕혀 놓은 상태의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테이블 커버(200)가 테이블을 덮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200)는 커버부(10)가 테이블을 덮는 상면(11)에 비해 측면(13)의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테이블 커버(200)는 하단에 결합된 조임부(20)가 보다 테이블을 밀착시켜 감싸면서 테이블에서 이리저리 움직이지 않는 기능적인 효과가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테이블 커버(200)는 테이블(t)의 측면(13)의 단면 형태가 하측으로 내려가면서 점점 좁아지게 되는 형태인데, 만약 테이블 커버(200)의 상면(11)의 너비와 측면(13)의 하단 단부로 내려오는 너비가 동일한 경우, 아무리 조임부(20)가 테이블 커버(200)의 하단을 조이더라도, 테이블 커버(200)의 하단 단부가 헐거워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테이블 커버(200)의 커버부(10)가 상면(11)에서 측면(13) 단부로 내려오면서 너비가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경우, 테이블(t)을 보다 완전히 밀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과 같이 테이블 커버(200)의 커버부(10)가 테이블의 측면을 따라 점점 좁아지게 밀착되면서, 커버부(10)의 단부에 조임부(20)가 테이블을 조일 수 있는데, 이때에도 조임부(20)는 지지부재(23)와 지지부재(23)에 결합된 밴드(21)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부재(23)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9는 도 7의 테이블 커버(200)의 중첩부(15)가 형성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따라 형성된 중첩부(15)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도 10의 중첩부(15)가 테이블 커버(200)의 단부로 당겨진 채로 조임부(20)와 함께 결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커버부(10)가 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가 이루는 각도가 90도를 초과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첩부(15)는 앞선 실시예서 보다 더 넓은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테이블 커버(200)는 상면(11)에서 측면(13) 단부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중첩부(15)는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가 인접하게 맞닿아 상기 모서리부(153)가 상기 커버부(10)의 측면(13)의 내부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첩부(15)는 그 상태로 조임부(20)에 의해 테이블 커버(200)의 측면(13)에 밀착되는 것이 아니라, 도 11과 같이 테이블 커버(200)의 단부로 강제로 올려진 채로 테이블 커버(200)의 측면(13)에 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임부(20)는 커버부(10)의 측면(13)의 내부에 형성된 중첩부(153)를 상기 커버부(10)의 측면(13)의 내부에 밀착시켜 결합되되, 모서리부(153)의 밑변이 커버부(10)의 측면 단부에 평행하게 맞춰지도록 중첩부(15)를 커버부(10)의 측면(13)의 내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접힘부가 봉합된 테이블 커버(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도 7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지만, 접힘부가 결합되는 형태만 상이한 것으로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중첩부(15)는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가 이격되지 않도록 커버부(10)의 측면(13)의 내부에서 봉합부(157)에 의해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는 완전히 밀착 결합될 수 있는데, 커버부(10)의 재질이 직물, 천과 같이 봉합에 의해서도 파손되지 않는 다소 튼튼하면서도 일부 탄력을 가지는 재질인 경우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가 완전히 밀착 결합되어 이격되지 않은 채로 테이블 커버(200)가 테이블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는 기계적 결합 또는 열 결합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는 봉합부(157)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데, 봉합부(157)는 바느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봉합부(157)는 가로 형태로 봉합되거나, 세로 형태로 봉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봉합부(157)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부(157)는 커버부(10)의 외측에서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를 관통하도록 봉합되어 커버부(10)의 외측에서 식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봉합부(157)는 도 12와 달리 커버부(10)의 내측에서 봉합되어 커버부(10)의 외부에는 식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12의 중첩부(15)가 외부로 형성된 테이블 커버(200)를 눕혀 놓은 상태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200)는 도 7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지만, 각 구성이 테이블 커버(200)의 외측 방향을 향하는 것으로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중첩부(15)는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가 인접하게 맞닿아 상기 모서리부(153)가 커버부(10)의 측면(13)의 외부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중첩부(15)는 커버부(10)가 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제1 접힘부(151)와 상기 제2 접힘부(155)가 이루는 각도가 90도를 초과할 수 있다.
또한, 조임부(20)는 커버부(10)의 측면(13)의 내부에 형성된 중첩부(153)를 상기 커버부(10)의 측면(13)의 내부에 밀착시켜 결합되되, 모서리부(153)의 밑변이 커버부(10)의 측면 단부에 평행하게 맞춰지도록 중첩부(15)를 커버부(10)의 측면(13)의 내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중첩부(15)는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가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커버부(10)의 측면(13)의 외부에서 봉합부(157)에 의해 제1 접힘부(151)와 제2 접힘부(155)가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커버(200)는 조임부(20)와 중첩부(15)가 구비됨에 따라 테이블을 보다 완전하게 밀착시켜 감싸고, 심미적 및 기능적으로 종래에 비해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의 생산 방법은 커버부에 중첩부가 형성되고, 조임부가 상기 커버부의 측면에 결합되어 생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첩부를 형성할 때, 커버부의 상면이 테이블의 상면을 덮고, 커버부의 측면이 테이블의 측면을 감싸도록 일부 영역이 중첩되면서 접힐 수 있다. 이때, 커버부의 측면이 접히면서 커버부의 측면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제1 접힘부와 커버부가 접히면서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다른 영역에 형성되는 제2 접힘부와, 제1 접힘부와 제2 접힘부 사이에 접히는 빗변 형태로 모서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조임부가 커버부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는데, 중첩부가 상기 커버부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단부를 따라 커버부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조임부에 포함된 밴드는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단부를 오므라드는 형태로 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의 생산 방법의 공정을 다른 방식으로 설명하면, 뒤집어서 놓인 테이블 커버(10)의 각 측면(13) 부분의 제1 접힘선(151)과 제2 접힘선(155)를 이용하여 직각 또는 다 방향으로 접은 뒤, 접힌 면을 서로 맞닿게 하여 중첩부(41)를 형성하고, 맞닿는 면을 중심으로 조임부와 박음질될 수 있다. 이후, 테이블 커버(10)를 뒤집어서 공정이 마무리될 수 있다.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을 언급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상면이 테이블의 상면을 덮고, 측면이 상기 테이블의 측면을 감싸도록 일부 영역이 중첩되면서 접히는 중첩부가 형성된 커버부; 및
    상기 중첩부가 상기 커버부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단부를 따라 상기 커버부의 측면에 결합되는 조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중첩부는,
    상기 커버부의 측면이 접히면서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제1 접힘부와 상기 커버부가 접히면서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다른 영역에 형성되는 제2 접힘부와,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 사이에 접히는 빗변 형태로 형성되는 모서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는, 상기 커버부의 측면이 상기 테이블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양 끝단은 서로 고정되되, 양 끝단의 사이 부분은 서로 봉합되지 않은 상태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가 이격되는 경우, 내측으로 들어갔던 상기 중첩부가 빠져나오면서 상기 중첩부에 의해서 형성된 내부의 접힘 여유 공간이 펼쳐지면서, 상기 커버부의 측면이 외부로 볼록해지고,
    상기 조임부는,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단부를 오므라드는 형태로 조이는 밴드를 포함하는,
    테이블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부는,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가 인접하게 맞닿아 상기 모서리부가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내부에서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는,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내부에 형성된 중첩부를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내부에 밀착시켜 결합되는,
    테이블 커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부는,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가 인접하게 맞닿아 상기 모서리부가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외부에서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는,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외부에 형성된 모서리부를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외부에 밀착시켜 결합되는,
    테이블 커버.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부는,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가 인접하게 맞닿아 상기 모서리부가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내부에서 형성되되, 상기 커버부가 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가 이루는 각도가 90도를 초과하고,
    상기 조임부는,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내부에 형성된 중첩부를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내부에 밀착시켜 결합되되, 상기 모서리부의 밑변이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단부에 평행하게 맞춰지도록 상기 중첩부를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내부에 밀착시키는,
    테이블 커버.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부는,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가 인접하게 맞닿아 상기 모서리부가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외부에서 형성되되, 상기 커버부가 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가 이루는 각도가 90도를 초과하고,
    상기 조임부는,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외부에 형성된 중첩부를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외부에 밀착시켜 결합되되, 상기 모서리부의 밑변이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단부에 평행하게 맞춰지도록 상기 중첩부를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내부에 밀착시키는,
    테이블 커버.
  9. 삭제
  10. 커버부의 상면이 테이블의 상면을 덮고, 커버부의 측면이 상기 테이블의 측면을 감싸도록 일부 영역이 중첩되면서 접히는 중첩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중첩부가 상기 커버부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단부를 따라 조임부가 상기 커버부의 측면에 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중첩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커버부의 측면이 접히면서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제1 접힘부와 상기 커버부가 접히면서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다른 영역에 형성되는 제2 접힘부와,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 사이에 접히는 빗변 형태로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부가 상기 커버부의 측면에 결합되는 단계는,
    밴드가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커버부의 측면의 단부를 오므라드는 형태로 조이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는, 상기 커버부의 측면이 상기 테이블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양 끝단은 서로 고정되되, 양 끝단의 사이 부분은 서로 봉합되지 않은 상태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가 이격되는 경우, 내측으로 들어갔던 상기 중첩부가 빠져나오면서 상기 중첩부에 의해서 형성된 내부의 접힘 여유 공간이 펼쳐지면서, 상기 커버부의 측면이 외부로 볼록해지는,
    테이블 커버의 생산 방법.
KR1020200022028A 2019-02-22 2020-02-24 단부에 조임부가 구비된 테이블 커버 KR102170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21147 2019-02-22
KR1020190021147 2019-02-22
KR1020190139141 2019-11-03
KR20190139141 2019-11-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960A KR20200102960A (ko) 2020-09-01
KR102170655B1 true KR102170655B1 (ko) 2020-10-27

Family

ID=72450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028A KR102170655B1 (ko) 2019-02-22 2020-02-24 단부에 조임부가 구비된 테이블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65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256B1 (ko) * 2018-02-14 2019-03-04 여상호 테이블 커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315529U1 (de) * 2003-10-11 2004-01-08 Boll, Markus Tischdecke
KR101979922B1 (ko) 2017-11-23 2019-05-21 구동현 일회용 테이블보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256B1 (ko) * 2018-02-14 2019-03-04 여상호 테이블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960A (ko)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6068A (en) Foil-like material for a folding pack and such folding pack
RU2107647C1 (ru) Упаковка из тонкого плиссированного листа, образующая пакет для насыпных продуктов
US5749512A (en) Self-adhesive corner reinforcement for cardboard boxes
US6124010A (en) Seam structure of foam sheets for sportswear products
KR102170655B1 (ko) 단부에 조임부가 구비된 테이블 커버
DE60302668D1 (en) Vase
US20130061394A1 (en) Fitted Mattress Cover
US2765400A (en) Method of making a lamp shade
US10035565B1 (en) Detachable curtain that secures to a boat cover
KR101958141B1 (ko)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봉투
KR100616265B1 (ko) 고주파 융착법에 의하여 설계 제작된 다용도 박스 및 그제조방법
CN213503868U (zh) 一种多段式可折叠粘扣带
TWI251551B (en) Improved method for making book covers
JP3078374U (ja) 耐熱折箱
KR20090072380A (ko) 원단 연결구조
JP3018912U (ja) テントの融結式グロメット
KR101353150B1 (ko) 셔츠 박스
KR100322924B1 (ko) 포장백 및 그 포장백의 제조방법
JPH08332108A (ja)
KR101707104B1 (ko) 배기수단
KR20200002586U (ko) 야외용 테이블 커버
JPH02277804A (ja) 玉べり付きネクタイ
JP5757849B2 (ja) 開封容易な袋
WO2022192221A1 (en) Reusable package wrapping
KR950007752Y1 (ko) 플로피 디스크 쟈켓 라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