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499B1 -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0499B1 KR102170499B1 KR1020180105160A KR20180105160A KR102170499B1 KR 102170499 B1 KR102170499 B1 KR 102170499B1 KR 1020180105160 A KR1020180105160 A KR 1020180105160A KR 20180105160 A KR20180105160 A KR 20180105160A KR 102170499 B1 KR102170499 B1 KR 1021704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unit
- optical interference
- light blocking
- optomet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의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측에 개구부를 포함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방향으로 피검사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함께 피검사자의 안과질환 검사를 수행하고, 검사 정보를 이용하여 안과질환을 판정하거나 외부 시스템에 상기 검사 정보를 제공하는 검안유닛; 상기 피검사자의 안과검사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광학렌즈를 제공하는 광학유닛; 상기 메인바디 내부를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을 분리하고, 각 분리된 영역에서 광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된 광간섭 방지유닛; 및 상기 메인바디와 연결된 고정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광간섭 방지유닛은, 상기 메인바디 내측에서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을 광학적으로 분리하는 광차단부와, 상기 광차단부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피검사자의 미간과 콧등에 밀착되어 상기 피검사자와 상기 메인바디의 개구부 사이에서의 광간섭을 방지하는 접촉 광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안과검사를 디지털 방식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과질환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안과검사를 디지털 방식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과질환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 Head Mounted Display)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종류의 안과검사를 디지털 방식으로 신속하게 진행하면서 정확한 안과질환을 판단할 수 있는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사람들은 개인적, 환경적 및 습관에 따라 근시(Nearsightedness), 원시(Farsightedness), 난시(Astigmatism) 등과 같은 이상시력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빈번하다. 사람의 안과질환은 시력이상 증상뿐만 아니라 동공이상, 안구 움직임 이상 등을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안과질환이 의심되면 의사나 안경사가 안과검사를 진행하고, 안과질환으로 판단될 경우 이에 대응되는 치료를 진행한다. 예를 들어, 시력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의사 또는 안경사가 수정체를 향해 광을 조사한 후, 그 반사된 광을 통해 굴절률 정도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안경을 통해 시력을 교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사람마다 다양한 안과질환 증세를 보이기 때문에 안과검사에는 시야검사, 사시각검사, 외안근검사, 입체시검사 또는 링카스터검사 등과 같은 다양한 검사가 있다.
그러나 종래 안과질환 검사방법은 공통적으로 검사자(의사 또는 안경사)가 고가의 검안장비를 이용하여 피검사자(안과질환자)의 눈 상태를 검사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또한, 안과질환 중 시력검사를 하는 검안장비는 종래 시력도표를 이용한 방식에서 개선된 것이 사실이지만, 검안장비를 통해 획득한 피검사자의 검사정보를 다시 검사자가 분석한 후, 안과질환의 종류를 결정하기 때문에 피검사자의 검사정보를 토대로 안과질환 신속하게 결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검안장비로 피검사자의 안과질환을 검사하는 경우에는 피검사자가 검안장비에 마련된 고정 위치에서 검사가 완료될 때까지 움직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피검사자의 안과질환 검사 위치가 검사장비에 의존하기 때문에 경직된 상태에서 안과질환을 검사하는 등 피검사자의 검사 환경이 좋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안과검사를 디지털 방식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과질환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자세히, 본 발명의 목적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다양한 안과검사를 가상 현실 기반 검사 시스템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안과질환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과질환을 검사하는 영역에서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을 광학적으로 분리함으로써, 검사 진행시 광 간섭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검사 오류를 방지기 위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검사자의 안과질환 검사를 VR 기기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안과검사 장비 없이 안과질환을 검사할 수 있는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검사자의 안과질환을 정규화된 자동 검사 형태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객관적인 검사 자료를 추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정확한 안과질환을 판단할 수 있는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검사자가 안과질환을 검사할 때, VR 기기나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어, 피검사자의 검사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측에 개구부를 포함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방향으로 피검사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함께 피검사자의 안과질환 검사를 수행하고, 검사 정보를 이용하여 안과질환을 판정하거나 외부 시스템에 상기 검사 정보를 제공하는 검안유닛; 상기 피검사자의 안과검사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광학렌즈를 제공하는 광학유닛; 상기 메인바디 내부를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을 분리하고, 각 분리된 영역에서 광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된 광간섭 방지유닛; 및 상기 메인바디와 연결된 고정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광간섭 방지유닛은, 상기 메인바디 내측에서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을 광학적으로 분리하는 광차단부와, 상기 광차단부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피검사자의 미간과 콧등에 밀착되어 상기 피검사자와 상기 메인바디의 개구부 사이에서의 광간섭을 방지하는 접촉 광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광간섭 방지유닛은 상기 피검사자의 미간 영역과 콧등 영역에 부착되어 상기 광간섭 방지유닛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간섭 방지유닛은, 상기 메인바디 내측에 배치되는 하우징 또는 상기 메인바디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광간섭 방지유닛은, 상기 메인바디의 개구부 영역의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위생 밴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차단부는, 상기 메인바디의 개구부 영역에서 내측 영역 방향 또는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 영역에서 개구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순차적으로 작아지고, 상기 광차단부와 상기 접촉 광차단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광차단부와 상기 접촉 광차단부는 광반사 또는 광굴절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광흡수율이 높은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검안유닛은 시력 검사를 위해 광을 조사하거나 수광하는 광학모듈과 안구의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안과검사를 디지털 방식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과질환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안과질환을 검사하는 영역에서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을 광학적으로 분리함으로써, 검사 진행시 발생될 수 있는 광간섭에 의한 검사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피검사자의 안과질환 검사를 VR 기기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안과검사 장비 없이 안과질환을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피검사자의 안과질환을 정규화된 자동 검사 형태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객관적인 검사 자료를 추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정확한 안과질환을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피검사자가 안과질환을 검사할 때, VR 기기나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어, 피검사자의 검사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자가 안과 검사를 위해 착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하부 방향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되는 광간섭 방지유닛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되는 광간섭 방지유닛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되는 광간섭 방지유닛을 상면에서 바라본 상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되는 광간섭 방지유닛의 광차단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되는 광간섭 방지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광간섭 방지유닛이 일체로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되는 광간섭 마스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 내에 배치된 안과질환 확인부의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검안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자가 안과 검사를 위해 착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하부 방향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되는 광간섭 방지유닛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되는 광간섭 방지유닛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되는 광간섭 방지유닛을 상면에서 바라본 상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되는 광간섭 방지유닛의 광차단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되는 광간섭 방지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광간섭 방지유닛이 일체로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되는 광간섭 마스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 내에 배치된 안과질환 확인부의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검안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 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100: 이하, 검안용 HMD라 한다)에 대해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구현될 예시적 실시예들에서의 시스템들 및 디바이스들은 더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시적 시스템은 웨어러블 컴퓨터로 구현되거나 또는 웨어러블 컴퓨터(또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wearable computing device)로 지칭되는)의 형태를 취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컴퓨터는 헤드마운터블 디스플레이(head-mountable display, HMD)의 형태를 취하거나 또는 HMD를 포함하며, 이는 또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head-mounted display device)로 지칭된다.
또한 예시적 시스템은 다른 가능성들 사이에서 모바일 폰과 같은 다른 디바이스들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게다가, 예시적 시스템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 시스템은 웨어러블 컴퓨터 또는 모바일 폰과 같은 디바이스 또는 상기 디바이스의 서브시스템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 명령어들이 그에 저장된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HMD는 머리에 착용될 수 있고 착용자의 한쪽 또는 양쪽 눈들의 앞에 디스플레이를 둘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HMD는 헬멧 또는 안경(eyeglasses)과 같은 다양한 형태들을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안경” 또는 "안경-스타일" HMD에 대한 참조는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안경 같은 프레임을 갖는 HMD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게다가, 예시적 실시예들은 각각 "단안의(monocular)" HMD 또는 "양안의(binocular)" HMD로 지칭되는 단일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또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들을 구비한 HMD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그와 관련하여 구현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검안용 HMD(100)는, 상술한 HMD의 형태를 취한다. 그러나 예시적 시스템들 및 디바이스들은 다른 타입들의 디바이스들의 형태를 취하거나 다른 타입들의 디바이스로 구현되거나 그와 관련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검안용 HMD(100)는 일측이 개구된 개구부(150)를 구비한 메인바디(200)와 피검사자의 얼굴에 상기 메인바디(2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밴드(17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바디(200)는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의 단단한 구조(solid structure)로 형성되거나, 또는 배선 및 컴포넌트가 검안용 HMD(100)를 통해 내부적으로 라우팅되기 위해 상호 연결되도록 유사한 물질의 속이 빈 구조(hollow structure)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한 120은 사용자 입력부이다. 사용자 입력부는 검안용 HMD(100)를 온(on)/오프(off)하거나, 안과검사 관련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히, 사용자 입력부는, 검안용 HMD(100)와 외부시스템 사이의 통신을 진행하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이나, 사용자(피검사자 또는 검사자)가 안과질환을 검사할 때 검사 종류의 변경 및 선택하는 입력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검사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 또는 검사가 완료된 상태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알람 형태의 LED 조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밴드(170)는 두 개의 고정밴드부로 도시하였지만, 이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다. 상기 메인바디(200)를 피검사자의 얼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헬멧 형태, 또는 피검사자의 머리를 감싸면서 고정할 수 있도록 3개 이상의 밴드들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밴드(170)는 소정의 힘만으로 유선형으로 구부러지거나 절곡될 수 있고, 다시 소정의 힘만으로 원래 상태로 복원되는 탄성력과 복원력이 우수한 금속밴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신축성이 우수한 고무재질을 이용한 밴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안용 HMD는, 피검사자가 헬멧이나 안경을 착용하듯 착용한 후, 상기 검안용 HMD 내에 배치된 광학 유닛과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안과질환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검안용 HMD는, 피검사자가 검사 장비에 고정되어 검사를 받지 않고, 자유롭게 움직이거나 편안한 위치에서 검사를 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검안용 HMD(100)는, 상기 메인바디(200)와, 상기 메인바디(200)의 후면에 순차적으로 수납되는 디스플레이부(270), 검안유닛(250), 광학유닛(220), 광학홀더(210), 하우징(160), 광간섭 방지유닛(300) 및 고정밴드(170)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인바디(200) 후면은 개구부(150)가 형성되며 피검사자의 얼굴이 접촉되는 방향을 가리키고, 메인바디(200)의 전면은 피검사자의 시선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7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70)는, 안과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최종적으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로 그래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70)는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 가상현실 이미지(VR image)를 디스플레이하여, 이를 안과검사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70)의 패널이 단일 표시패널로 제공될 경우, 피검사자의 좌안과 우안에 각각 대응되는 분리 영상들을 구현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리된 표시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검안유닛(250)은 피검사자의 다양한 안과질환을 검사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센서, 복수개의 카메라, 검안용 HMD의 제어 및 외부 시스템과의 통신을 할 수 있는 회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검안유닛(250)은 시력검사를 받는 피검사자의 눈을 추적하는 시선추적(eye tracking)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검안유닛(250) 내에는 피검사자의 동공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는 카메라들이 실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검안유닛(250)은 VR 이미지에 따라 변화하는 피검사자의 시선을 추적하여 시야검사, 사시각검사, 외안근검사, 입체시검사 또는 링카스터검사 등의 안과질환 검사를 수행에 기초가 되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안과질환을 검사하기 위해 시행하는 시야검사, 사시각검사, 외안근검사, 입체시검사, 링카스터검사 등의 검사에 필요한 광조사 수단, 촬영 수단 등을 센서 모듈이나 카메라 모듈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12 내지 도 13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검안유닛(250)은 시력검사를 위해 피검사자의 좌안과 우안에 광을 조사하고 이를 수광하여 피검사자의 눈에 대한 굴절률 검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들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학유닛(220)은 상기 검안유닛(250)과 하우징(160) 사이에 위치하여 피검사자의 안과검사 종류에 대응되는 가장 적합한 광학유닛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피검사자의 안과검사가 시력검사인 경우 수정체의 굴절률 측정을 위한 광학렌즈를 선택적으로 교환 체결할 수 있다.
또한, 피검사자의 안과 검사가 외안근검사 등 동공의 움직임 검사일 경우, 광학유닛(220)은 카메라에 의해 동공 움직임을 정밀하게 볼 수 있는 광학렌즈일 수 있다. 상기 광학유닛(220)은 편광 특성이 있는 다수의 렌즈들이 적층된 구조의 광학렌즈일 수 있다.
상기 광학유닛(250)은 광학홀더(210)에 고정되는데, 안과검사 종류에 따라 필요한 광학유닛(250)들은 광학홀더(210)에 탈부착되는 방식으로 교체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60)은 상기 메인바디(200)의 개구부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70), 검안유닛(250), 광학유닛(220)이 메인바디(220) 내측에 광학적 얼라인을 유지시키면서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피검사자가 검안용 HMD(100)를 착용할 경우, 안과검사를 진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60) 내측은 광간섭 방지유닛(300)에 의해 독립적으로 분리된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60)의 내부면은 안과검사를 위해 광반사가 낮고 광흡수율이 높은 재료가 코팅될 수 있다.
상기 광간섭 방지유닛(300)은 피검사자의 안과검사를 위하여 검안용 HMD(100)를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을 분리하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비슷한 위치와 형태의 양안(두 개의 눈)을 가지고 있으나, 각각의 눈은 독립적으로 기능하기 때문에 안과질환 역시 비슷하지만 일정 정도 다른 증상을 보인다. 따라서, 각각의 좌안과 우안에 대해 독립적인 안과검사가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검사들이 있다. 그런데 이때 좌안에 대한 안과질환 검사를 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광이 인접한 우안에 영향을 주거나 그 반대가 되는 경우, 정확하고 정밀한 안과질환 검사를 진행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우안을 가리고 좌안만 검사하는 경우와, 반대의 경우 일 영역에서 출력되는 광이 타 영역으로 간섭한다면, 검사 결과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광간섭 방지유닛(300)을 포함하여,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 각각에서 발생되는 광을 서로의 영역으로 침범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광간섭 방지유닛(300)은, 검안용 HMD(100)를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으로 분리하고, 각 영역에서 인접한 영역으로 진행하는 광을 차단시키는 광차단부(301)를 포함할 수 있다.
좀더 광차단율을 높이기 위해, 광간섭 방지유닛(300)은 피검사자가 검암용 HMD(100)를 착용했을 때, 상기 광차단부(301)와 피검사자의 좌안과 우안 사이의 영역(미간 영역)에서 발생하는 광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접촉 광차단부(302)를 포함할 수 있고, 광간섭 유닛(300)이 피검사자의 미간 영역과 콧등 영역에 지지/고정되도록 하는 제1고정부(304)와 제2고정부(3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차단부(301)와 접촉 광차단부(302)는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의 광간섭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지만, 각각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의 공간을 형성하는 물리적 구성부이기 때문에 각 영역에서의 광반사 등 광간섭을 야기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차단부(301)와 접촉 광차단부(302)는 광반사가 적고 광흡수율이 높은 물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 광차단부(302)는 피검사자의 얼굴 피부와 접촉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완충력이 높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밴드(170)는 피검사자의 얼굴에 검안용 HMD(100)를 고정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탄성력과 복원력이 좋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합성수지 재질 또는 고무재질로 형성된 벨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검안용 HMD(100)는, 다양한 종류의 안과검사를 디지털 방식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과질환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검안용 HMD(100)는, 안과질환을 검사하는 영역에서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을 광학적으로 분리함으로써, 검사 진행시 발생될 수 있는 광간섭에 의한 검사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검안용 HMD(100)는, 피검사자의 안과질환 검사를 VR 기기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안과검사 장비 없이 안과질환을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검안용 HMD(100)는, 피검사자의 안과질환을 정규화된 자동 검사 형태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객관적인 검사 자료를 추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정확한 안과질환을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검안용 HMD(100)는, 피검사자가 안과질환을 검사할 때, VR 기기나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어, 피검사자의 검사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자가 안과 검사를 위해 착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하부 방향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검안용 HMD(100)는 피검사자에게 착용될 수 있도록 메인바디(200)와 연결된 고정밴드(17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밴드(170)는 복수의 고정밴드부로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고정밴드부가 두 개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고정밴드(170)는 탄성력과 복원력이 높은 재질로 구성된 제1고정밴드부(170a)와 제2고정밴드부(170b)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사자가 검안용 HMD(100)를 얼굴에 착용할 때, 피검사자의 양안에는 메인바디(200)의 개구부가 위치한다. 이때, 상기 메인바디(200)가 피검사자의 얼굴에 고정되도록 제1고정부(170a)와 제2고정부(170b)가 피검사자의 후두부를 감싼다. 상기 고정밴드(170)는 탄성력과 복원력이 높기 때문에 피검사자 또는 검사자의 적은 힘만으로도 제1 및 제2 고정밴드부(170a, 170b)는 피검사자의 후두부를 따라 링 형태로 휘어질 수 있다. 검안용 HMD(100)를 피검사자의 얼굴에서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휘어진 제1 및 제2 고정밴드부(170a, 170b)를 간단히 펴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검안용 HMD(100)는 종래 헬멧 형태나 다수개의 고무밴드를 사용한 HMD보다 탈부착이 빠르고 쉬운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되는 광간섭 방지유닛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검안용 HMD(100)에 배치된 광간섭 방지유닛(300)은 피검사자가 검안용 HMD(100)를 착용했을 때,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을 독립적으로 분리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광간섭 방지유닛(300)이 없는 검안용 HMD(100)의 경우, 메인바디(200: 하우징이 별도로 없는 경우) 또는 하우징(160)의 내부 공간은 하나의 공간을 형성한다. 즉, 피검사자의 좌안과 우안에 대응하는 가상의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을 구분할 수 있지만, 광학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구분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광간섭 방지유닛(300)은 메인바디(200) 또는 하우징(160)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 영역에 삽입되거나 메인바디(200) 또는 하우징(160)과 일체로 형성되어, 안과질환 검사를 위한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을 분리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간섭 방지유닛(300)은 검안용 HMD(100)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유닛으로, 광차단부(301)와 접촉 광차단부(302)가 피검사자의 좌안과 우안 사이(미간 영역)를 중심으로 검안용 HMD(100)의 내부 영역을 분리한다.
따라서, 광간섭 방지유닛(300)을 기준으로 검안용 HMD의 좌측은 좌안 영역(LA: Left eye Area), 우측은 우안 영역(RA: Right eye Area)으로 분리된다. 피검사자가 광간섭 방지유닛(300)을 구비한 검안용 HMD(100)를 착용할 경우, 광간섭 방지유닛(300)의 광차단부(301)는 검안용 HMD(100)의 하우징(160) 내측으로 삽입된다. 또한 광차단부(301)의 일측에 배치된 접촉 광차단부(302)는 피검사자의 미간 영역과 콧등 영역에 위치한다.
피검사자가 검안용 HMD(100)를 얼굴에 착용하면 광간섭 방지유닛(300)의 접촉 광차단부(302)는 피검사자의 콧등과 미간의 피부와 접촉한다. 따라서, 피검사자가 검안용 HMD(100)를 이용하여 안과질환 검사를 받을 때, 피검사자와 검안용 HMD(100)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광간섭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되는 광간섭 방지유닛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되는 광간섭 방지유닛을 상면에서 바라본 상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되는 광간섭 방지유닛의 광차단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되는 광간섭 방지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검안용 HMD(100)에 배치되는 광간섭 방지유닛(300)은 광차단부(301), 상기 광차단부(301)의 일측에 배치되는 접촉 광차단부(302), 광간섭 방지유닛(300)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고정부(304, 305)를 포함한다. 상기 광차단부(301)는 메인바디(200) 내측, 피검사자의 시선 방향(검사용 HMD의 후면에서 전면 방향)의 길이(L)와 피검사자의 미간 방향과 평행한 폭(W), 피검사자의 미간 영역에서 콧등 영역 사이와 대응되는 높이(H)를 갖는다.
상기 광차단부(301)의 길이(L)는 메인바디(200)의 개구부(150)에서 내측 방향, 바람직하게는 안과검사를 진행하기 위해 배치된 검안유닛(250) 또는 디스플레이부(270) 영역까지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간섭 방지유닛(300)의 광차단부(301)는 검안용 HMD(100)를 광학적으로 좌안 영역(LA)과 우안 영역(RA)으로 분리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검안용 HMD(100)의 내부를 물리적 공간으로 분리하면서 좌안 영역(LA)과 우안 영역(RA)에 존재하는 광들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광학적으로 분리한다.
따라서, 피검사자는 본 발명의 검안용 HMD(100)로 좌안과 우안 각각에 대해 독립적인 안과질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광차단부(301)는 피검사자의 미간과 콧등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정한 폭(W)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광차단부(301)의 폭(W)은 피검사자의 미간과 콧등 중심선을 기준으로 피검사자의 좌안 또는 우안을 가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검사자의 동공 움직임 검사를 진행할 때, 상기 광차단부(301)에 의해 카메라 또는 광센서의 아이트래킹이 방해 받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광차단부(301)의 폭(W)은 위에서 설명한 범위에서 단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광차단부(301)는 검안용 HMD(100) 내부를 광학적 및 물리적으로 분리/차단해야 하기 때문에 너무 얇을 경우, 광차단부(301) 위치가 정확히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광차단부(301)의 폭(W)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메인바디의 개구부에서 전면으로 갈수록 또는 메인바디 전면에서 개구부로 갈 수록) 순차적으로 폭(W)이 줄어드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차당부(301)는 피검사자의 얼굴과 인접한 영역에서 제1폭(W1)을 갖고, 메인바디(200)의 내측, 피검사자의 시선 방향에서는 제2폭(W2)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차단부(301)의 폭이 더 큰 제1폭(W1) 영역에서 광차단부(301)를 지지하기 때문에 안과검사 진행 중 광차단부(301)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피검사자의 좌안과 대응되는 좌안 영역(LA)과 우안과 대응되는 우안 영역(RA)을 기준으로 광차단부(301)의 제1폭(W1)은 피검사자의 좌안과 우안을 가리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광차단부(301)의 제2폭(W2)은 제1폭(W1)보다 작지만 피검사자의 미간과 콧등을 잇는 중심선에 위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광간섭 방지유닛(300)은 광차단부(301)의 일측, 피검사자의 얼굴 방향으로 접촉 광차단부(302)가 배치된다. 상기 접촉 광차단부(302)는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검사자의 미간과 콧등에 접촉되어 검안용 HMD(100)와 피검사자 미간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광간섭을 방지한다. 따라서, 미간과 콧등 영역의 표면을 고려하여 상기 접촉 광차단부(302)는 얼굴 표면과 동일한 모양으로 변형되고 복원력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 광차단부(302)는 피검사자의 얼굴과 접촉하기 때문에 부드럽고 완충력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 광차단부(302)는 광차단부(301)와 동일하게 좌안 영역(LA)과 우안 영역(RA)의 광간섭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광흡수가 좋고 광반사율이 낮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 광차단부(302)의 폭은 상기 광차단부(301)의 폭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피검사자의 얼굴 피부와 접촉되면서 피검사자의 좌안과 우안을 가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광차단부(301)의 폭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광간섭 방지유닛(300)의 광차단부(301)의 구조가 도 6 내지 도 8과 다른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피검사자의 얼굴과 인접한 광차단부(301)의 폭을 제3폭(W3)으로 하고 피검사자의 시선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커지는 제4폭(W4)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9와 같은 구조는 광차단부(301)가 피검사자의 좌안과 우안을 가리는 위험을 줄일 수 있고, 폭이 큰 제4폭(W4) 영역이 메인바디(200) 또는 하우징(160)과 고정될 수 있다.
다만, 광간섭 방지유닛(300)이 검안용 HMD(100)와 분리/체결되는 구조일 경우에는 직접 광간섭 방지유닛(300)을 검사자나 피검사자가 조립을 하기 때문에 도 6 내지 도 8의 광간섭 방지유닛(300)보다 파손의 위험성이 더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검안용 HMD는 피검사자의 안과질환 검사시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을 광간섭 방지유닛으로 분리할 수 있어, 안과검사 진행시 광간섭에 의한 검사 오류를 최소화하고 검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검안용 HMD는 피검사자가 안과질환을 검사할 때, VR 기기나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어, 피검사자의 검사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광간섭 방지유닛이 일체로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되는 광간섭 마스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검안용 HMD(100)에 배치되는 광간섭 방지유닛(300)이 검안용 HMD(1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는 실시예들이다.
자세히 검안용 HMD(100)는, 다수의 피검사자들이 사용할 공공재이므로, 전염성 질환이 있는 피검사자가 사용한 검안용 HMD(100)을 그대로 다시 다른 피검사자가 사용할 경우, 감염에 우려가 있어, 피검사자에게 접촉하는 영역은 교환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광간섭 방지유닛(300)은 검안용 HMD(100)에 분리/체결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피검사자가 검사를 진행할 때, 검안용 HMD(100)에 광간섭 방지유닛(300)을 체결한 후, 안과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미리 광간섭 방지유닛(300)이 검안용 HMD의 하우징(160) 또는 메인바디(200)와 일체로 체결된 상태에서 피검사자가 검안용 HMD(100) 착용하고 안과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광간섭 방지유닛(300)을 검안용 HMD(100)와 분리된 구조로 형성할 경우, 다양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피검사자의 얼굴 유형 또는 성별, 나이에 맞는 광간섭 방지유닛(300)을 사용할 수 있어 광간섭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검안용 HMD(100)는, 다수의 피검사자들이 사용할 공공재이므로, 전염성 질환이 있는 피검사자가 사용한 검안용 HMD(100)을 그대로 다시 다른 피검사자가 사용할 경우, 감염에 우려가 있어, 피검사자에게 접촉하는 영역은 교환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검안용 HMD(100)에 검사 마스크(400)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검사 마스크(400)는 피검사자가 검안용 HMD(100)에 접촉하는 영역을 차단하기 위하여, 접촉영역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안용 HMD(100)는 다수의 피검사자가 착용을 반복하기 때문에 별도의 검사 마스크(400)를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얼굴에 오염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안용 HMD(100)를 착용할 경우, 개구부(150)의 외주연과 광간섭 방지유닛(300)이 피검사자의 얼굴과 접촉되므로 이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생 밴드(350)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검사 마스크(400)는, 개구부(150) 외주연에 해당하는 밴드 영역과, 광간섭 방지유닛(300)에 대응하는 중앙 밴드를 포함하며, 밴드 영역과 중앙 밴드 영역은 각각 검안용 HMD(100)에 부착되기 위한 소재(예컨대,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검안용 HMD(100)는, 검사 마스크(400)를 탈부착시키기 위하여, 개구부(150) 외주연의 적어도 일부영역과, 광간섭 방지유닛(300)의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영역에는 접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자세히, 검안용 HMD(100)에서 개구부(150)의 최외곽 외주연에는 일회용 검사 마스크(400)의 밴드 영역을 탈착 시키기 위한 제 1 접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검안용 HMD(100)에서 착용자의 코에 대응되어 지지되는 영역(예컨대, 돌출부)에는 일회용 광간섭 방지유닛(300)을 탈착 시키기 위한 제 2 접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착부는, 벨크로일 수 있다.
이러한 접착부는, 착용자와 검안용 HMD(100)에 접촉부위에 일회용 검사 마스크 또는/및 광간겁 방지유닛을 일시적으로 접착시킨 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검사 마스크(400)는 광간섭 방지유닛(300)이 위생 밴드(35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있어, 상기 위생 밴드는 안과질환 검사시 검안용 HMD(100)의 개구부에 부착되어 피검사자의 피부를 보호한다. 즉, 검사 마스크(400)과 광간섭 방지유닛(300)는 일체형으로, 검안용 HMD(100)에 탈부착되어 검안용 HMD(100)와 피검사자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광 차단부(302)가 추가적으로 광학유닛(220) 상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자세히, 광 차단부(302)는, 제1 및 제2 광차단부로 구성될 수 있고, 이들은 각각 광학유닛(220)과 개구부(150) 사이에서 이동함으로써, 광을 차단하거나 통과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광차단부들이 광학유닛(220)과 오버랩되면 광을 차단하고 오버랩되지 않으면 광학유닛(220)을 오픈시켜 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이러한 광 차단부(302)의 제1 광차단부는, 좌측 개구부(150)측에 위치하여 좌안측 광학유닛 상으로 이동하여 좌안영역(LA)의 광을 차단하고, 광 차단부(302)의 제2 광차단부는 우측 개구부(150)측에 위치하여 우안측 광학유닛 상으로 이동하여 우안영역(RA)의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 차단부(302)는, 얇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광학유닛(220)을 오버랩하거나 광학유닛(220)을 오픈시킬 수 있다.
이러한 광 차단부(302)는, 일 안구영역으로 들어올 수 있는 모든 빛을 완전하게 차단시킬 수 있으므로, 타 안구영역에서는 어떠한 간섭도 없이 안전하게 안과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 내에 배치된 안과질환 확인부의 블록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검안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검안용 HMD(100)는 제어부(1200), 전원공급부(1210), 카메라모듈(1220), 입력부(1230), 출력부(1240), 통신부(1250), 센싱부(1250) 및 저장부(12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들로 검안용 HMD(10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상기 제어부(controller)(1200)는 통상적으로 검안용 HMD(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1250)를 제어하여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안과검사를 진행한 검사 자료를 토대로 안과질환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1240) 내에 배치될 수 있는 영상출력부, 음향출력부를 제어하여 피검사자 또는 검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검안용 HMD(100)에서는 피검사자의 눈을 검사한 자료를 추출하고, 상기 저장부(1270)에 저장된 안과질환 자료를 기반으로 비교 및 연산 작업을 수행한 후, 피검사자의 안과질환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200)는 검사 결과확인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사 결과확인부(1300)는 검안용 HMD(100)를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안과질환을 검사한 검사정보와 미리 저장된 안과질환별 기준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1310)와, 상기 비교부(1310)에서 비교된 결과물을 토대로 어떠한 안과질환인지를 계산하는 연산부(1320)와, 상기 연산부(1320)의 연산 결과를 통해 피검사자의 안과질환을 판정하고 확인하는 판단부(133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검안용 HMD(100)는 안과질환을 검사 절차를 진행하면 곧바로 피검사자의 안과질환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검사 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1210)는 상기 제어부(120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공급부(1210)는 예를 들어 배터리, 연결포트, 전원공급 제어부 및 충전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1220)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이미지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상기 저장부(127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250)를 통하여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모듈(1220)은 피검사자의 안과질환 검사 종류 또는 검사 환경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검사자의 시력검사를 하는 경우, 동공을 모니터링 하는 용도로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고, 피검사자의 안구 운동을 추적하는 경우에는 안구 움직임 궤적을 따라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30)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나 사용자 입력부(120)와 연동되어 물리적 압력에 의한 신호를 인지하여 검안용 HMD(100)의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240)는 검안용 HMD(100)에서 획득한 검사 결과를 외부 시스템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250)는 외부 시스템과의 유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외부 시스템은 다른 검안용 HMD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상기 통신부(1250)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GSM(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검안용 HMD(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250)는 주변환경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 가속 센서, 근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검안용 HMD(100)에서는 안과질환 검사를 위해 피검사자의 눈에 조사하는 광을 발생하고, 수광하는 광학센서들을 적어도 2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70)는 제어부(12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안과질환을 판정할 수 있도록 안과질환별 정보가 저장되어 피검사자의 검사 정보와 비교하여 안과질환을 판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2에서 설명한 검안용 HMD(100)는 외부 시스템(인접한 다른 검안용 HMD를 포함한다)과 동기화 또는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검사자가 검안용 HMD를 착용한 경우, 검사자가 외부 시스템을 이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 동작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검안용 HMD(100)에서 진행한 안과검사 결과를 피검사자가 검안용 HMD(100)에서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외부 시스템을 통하여 검사자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검안용 HMD(100)는, 다양한 종류의 안과검사를 디지털 방식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과질환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검안용 HMD(100)는, 안과질환을 검사하는 영역에서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을 광학적으로 분리함으로써, 검사 진행시 발생될 수 있는 광간섭에 의한 검사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검안용 HMD(100)는, 피검사자의 안과질환 검사를 VR 기기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안과검사 장비 없이 안과질환을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검안용 HMD(100)는, 피검사자의 안과질환을 정규화된 자동 검사 형태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객관적인 검사 자료를 추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정확한 안과질환을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검안용 HMD(100)는, 피검사자가 안과질환을 검사할 때, VR 기기나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어, 피검사자의 검사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검안용 HMD
120: 사용자 입력부
150: 개구부
160: 하우징
170: 고정밴드
200: 메인바디
300: 광간섭 방지유닛
301: 광차단부
302: 접촉 광차단부
304: 제1고정부
305: 제2고정부
1200: 제어부
1210: 전원공급부
1220: 카메라 모듈
1230: 입력부
1240: 출력부
1250: 통신부
1250: 센싱부
1270: 저장부
120: 사용자 입력부
150: 개구부
160: 하우징
170: 고정밴드
200: 메인바디
300: 광간섭 방지유닛
301: 광차단부
302: 접촉 광차단부
304: 제1고정부
305: 제2고정부
1200: 제어부
1210: 전원공급부
1220: 카메라 모듈
1230: 입력부
1240: 출력부
1250: 통신부
1250: 센싱부
1270: 저장부
Claims (9)
- 일측에 개구부를 포함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방향으로 피검사자에게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유닛;
상기 가상현실 영상에 따른 피검사자의 눈에 관한 검사 정보를 감지하는 검안유닛;
상기 메인바디 내부의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 사이의 광간섭을 차단하는 광간섭 방지유닛; 및
상기 메인바디와 연결된 고정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광간섭 방지유닛은,
상기 메인바디 내측에서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을 광학적으로 분리하는 제1 광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유닛과 상기 개구부 사이의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에 각각 배치된 제2 및 제3 광차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및 제3 광차단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광학유닛과 상기 개구부 사이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는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간섭 방지유닛은,
상기 제1 광차단부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피검사자의 미간과 콧등에 밀착되어 상기 피검사자와 상기 메인바디의 개구부 사이에서의 광간섭을 방지하는 접촉 광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간섭 방지유닛은,
상기 피검사자의 미간 영역과 콧등 영역에 부착되어 상기 광간섭 방지유닛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간섭 방지유닛은,
상기 메인바디 내측에 배치되는 하우징 또는 상기 메인바디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외주연과 상기 광간섭 방지유닛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검사 마스크를 탈부착하기 위한 접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간섭 방지유닛은,
상기 메인바디 내측에 배치되는 하우징의 중앙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메인바디의 개구부 영역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위생 밴드를 더 포함하는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차단부는,
상기 메인바디의 개구부 영역에서 내측 영역 방향 또는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 영역에서 개구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차단부와 상기 접촉 광차단부는 광반사 또는 광굴절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광흡수율이 높은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5160A KR102170499B1 (ko) | 2018-09-04 | 2018-09-04 |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
US17/273,653 US11147448B2 (en) | 2018-09-04 | 2019-07-24 | Head mounted display device for eye examination and method for ophthalmic examination using therefor |
US17/273,667 US20210315453A1 (en) | 2018-09-04 | 2019-07-24 | Visual field examin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
PCT/KR2019/009158 WO2020050497A1 (ko) | 2018-09-04 | 2019-07-24 |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및 시스템 |
PCT/KR2019/009156 WO2020050496A1 (ko) | 2018-09-04 | 2019-07-24 |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과검사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5160A KR102170499B1 (ko) | 2018-09-04 | 2018-09-04 |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7178A KR20200027178A (ko) | 2020-03-12 |
KR102170499B1 true KR102170499B1 (ko) | 2020-10-28 |
Family
ID=69803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5160A KR102170499B1 (ko) | 2018-09-04 | 2018-09-04 |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049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4822B1 (ko) * | 2021-03-25 | 2022-01-24 | 박준 |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안구 동작 검사 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61507A (ja) * | 2005-09-01 | 2007-03-15 | Nidek Co Ltd | 検眼装置 |
KR101704442B1 (ko) * | 2016-11-04 | 2017-02-09 |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 Vr 기기를 이용한 시력측정시스템 |
JP2017511041A (ja) * | 2014-02-18 | 2017-04-13 | マージ ラブ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モバイル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ゴーグル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6164B1 (ko) * | 2017-01-12 | 2019-04-05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과 검사 시스템 및 방법 |
-
2018
- 2018-09-04 KR KR1020180105160A patent/KR10217049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61507A (ja) * | 2005-09-01 | 2007-03-15 | Nidek Co Ltd | 検眼装置 |
JP2017511041A (ja) * | 2014-02-18 | 2017-04-13 | マージ ラブ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モバイル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ゴーグル |
KR101704442B1 (ko) * | 2016-11-04 | 2017-02-09 |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 Vr 기기를 이용한 시력측정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7178A (ko) | 2020-03-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78142B2 (en) |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ophthalmic testing and measurement | |
US11612316B2 (en) | Medical system and method operable to control sensor-based wearable devices for examining eyes | |
US12076088B2 (en) | Virtual reality-based portable nystagmography device and diagnostic test method using same | |
KR101812249B1 (ko) | 사시 자동측정기구 | |
EP3430976B1 (en) | Eye-fatigue examining device and eye-fatigue examining method | |
US20210315453A1 (en) | Visual field examin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 |
US11147448B2 (en) | Head mounted display device for eye examination and method for ophthalmic examination using therefor | |
KR102295587B1 (ko) |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및 시스템 | |
KR102304369B1 (ko) | Vr을 이용한 안과검사방법 및 시스템 | |
KR102170499B1 (ko) | 검안용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2259462B1 (ko) | 안구추적을 통한 시야장애 평가 장치, 이를 이용한 시야장애 평가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 |
US20240049963A1 (en) | Cover-Uncover Test in a VR/AR Headset | |
KR102412649B1 (ko) |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장치 | |
EP3951482A1 (en) | Measuring method for measuring rotation characteristic of eyeball of subject and setting method for progressive power lens | |
KR101894155B1 (ko) | 자가조절 안경 시스템 | |
KR20230121393A (ko) | 탈부착이 가능한 사시 측정 장치 | |
EP4415601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pupillary distance measurement | |
ES2947436A1 (es) | Metodo implementado por ordenador para medir de manera interactiva uno o ambos bordes de intervalo de vision nitida del ojo de un usuario mediante un dispositivo electronico, sistema y dispositivo electronico que lo comprende | |
KR20200063480A (ko) | 휴대용 안진기 및 이의 캘리브레이션 방법 | |
KR20200068493A (ko) | 동공과 홍채를 이용한 이석증의 진단방법 | |
JP2008173306A (ja) | 視線測定記録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