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807B1 - 내식성 및 내산성이 우수한 보강판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공법 - Google Patents

내식성 및 내산성이 우수한 보강판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9807B1
KR102169807B1 KR1020200014656A KR20200014656A KR102169807B1 KR 102169807 B1 KR102169807 B1 KR 102169807B1 KR 1020200014656 A KR1020200014656 A KR 1020200014656A KR 20200014656 A KR20200014656 A KR 20200014656A KR 102169807 B1 KR102169807 B1 KR 102169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reinforcing panel
acid
resistance
seis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경하
Original Assignee
(주)세명티엠아이
주식회사 세원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명티엠아이, 주식회사 세원티에스 filed Critical (주)세명티엠아이
Priority to KR1020200014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8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8Impreg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1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fibres or filaments of different layers, e.g. the fibres or filaments being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2260/023Two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04G2023/0251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by using fiber reinforced plast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식성 및 내산성이 우수한 보강판넬을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탕면을 정리하는 제 1 단계; 고정용 앵커(140)를 위한 고정용 앵커홀을 천공하는 제 2 단계; 바탕면 상부에 접착용 수지를 도포하는 제 3 단계; 및 보강섬유에 내식성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UP 수지)를 함침시켜 생성된 보강판넬(130)을 접착용 수지가 도포된 바탕면으로 고정용 앵커홀로 삽입되는 고정용 앵커(140)를 이용해 부착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진 보강재로 보강판넬을 제공시 보강판넬의 물리적 특성을 내진 보강소재에 맞게 제조할 뿐만 아니라, 보강판넬 표면에 내산도료 및 표면보호 코팅제 등을 도포함으로써 내식성 및 내산성 등 화학적 저항성을 높여 산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환경의 대상물(하수장, 정수장, 폐수처리장, 교량다리 등)이나 물리적 마모가 발생하는 내진 보강재로 쓰이도록 할 수 있고, 보강섬유에 내식성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UP 수지)를 함침시켜 생성된 보강판넬을 활용함으로써,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뛰어난 내식성에 보강섬유로 물리적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내진성능을 제대로 발휘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식성 및 내산성이 우수한 보강판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공법{Manufacturing method of reinforced panels with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acid resistance and seismic retrofi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식성 및 내산성이 우수한 보강판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진 보강재로 보강판넬을 제조시 보강판넬의 물리적 특성을 내진 보강소재에 맞게 제조할 뿐만 아니라, 보강판넬 표면에 내산도료 및 표면보호 코팅제 등을 도포함으로써 내식성 및 내산성 등 화학적 저항성을 높여 산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환경의 대상물(하수장, 정수장, 폐수처리장, 교량다리 등)이나 물리적 마모가 발생하는 내진 보강재로 쓰이도록 하기 위한 보강판넬의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선진국들도 1960년 이전에 설계된 건물들은 대부분 내진설계가 되지 않은 채 건설되었다. 이러한 건물들의 지진 발생 시에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지진에 의한 재조절(seismic retrofit)을 실시한다. 즉 내진을 위해 건물을 개조하는 방식이다.
국내도 내진설계가 법적으로 의무화되기 이전인 1988년 이전에 건설된 아파트나 고층 건물 등은 내진설계가 되지 않았을 것을 고려하면 도입이 시급하다. 내진 개조방식도 여러 방법들이 있고 철저한 규정에 따른다.
내진보강은 성능 기반 지진 공학(PBEE)의 의하여 4단계의 성취목표(performance objective)를 달성하기 위하여 실시된다.
1단계는 "공공 안전"으로 사람의 생명을 살릴 수 있는 최소한의 내진보강으로, 지진발생시 해당 건물이 곧바로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여, 건물 안의 인명들이 신속히 대피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부분의 큰 지진발생시, 건물은 복구불가 판정을 받을 정도로 훼손되고, 해당 건물은 철거된 후 다시 건축된다. 대부분 아파트 같은 3층 이상 거주용 빌딩등에 해당한다.
2단계는 "건축물 생존"으로 1단계보다는 더 섬세한 내진보강으로, 대지진 발생 후 건축물이 수리 후 재사용 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부분은 다리에 사용되는 최소단계의 내진보강에 해당한다.
3단계는 "구조 기능"으로 2단계보다도 더 높은 수준의 내진보강으로 인하여, 대지진 발생 후에도 건축물이 수리가 없이도 곧바로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생하는 수리들은 모두 외관형 목적(작은 균열 수리 등) 이상으로는 발생하지 않는다. 병원 등의 시설들이 요구하는 최소단계의 내진보강에 해당한다.
4단계는 "완전 면진"으로 매우 역사적 중요성이 높은 문화재들에 적용이 된다.
그러나 내진설계규정 도입 이전에 건설된 구조물은 지진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설계, 시공되었을 뿐만 아니라 공용연수의 증가에 따라 콘크리트 교각에 열화손상이 많이 진행되어 내진성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할 것으로 의심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설계기준에 의해 시공된 구조물은 적절한 내진보강을 통해 교량의 내진 안정성을 확보해야만 한다.
내진보강 초창기에는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보수보강공법으로 강판 보강법이 개발되었으나 강판의 부식성으로 인해 습기가 많은 지하구조물에 경우에는 적용되는 것에 한계가 있었으며, 섬유 시트 보강 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구조물과 일체화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보여왔다.
이에 최근에는 구조물에 섬유보강복합재(FRP: Fiver Reinforced Plastics)를 사용한 보강공법이 여러 가지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고내구성, 고비강성 및 강도, 내부식성 등 물성향상이 여러형태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보강판넬 제조 및 보강방법에 있어서 유리섬유 조성물 표면에 내산도료를 도포함으로써 화학적 저항성을 높여 산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환경의 대상물(하수장, 정수장, 폐수처리장, 교량다리 등)의 내진 보강재로 쓰이도록 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8-0082629호(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 방법)은 지상 또는 지하에 설치되어 토목 및 건축구조물을 지탱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수직방향의 압축하중에 대해 직교하는 구속력을 전달하여 지진과 같은 외력에 의하여 콘크리트 기둥이 휨변형되거나 전단변형되어 갑자기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노후되거나 내진성능이 확보되지 않은 콘크리트 기둥에 대한 구조적 내진안전성을 간단한 보강시공에 의해서 확보할 수 있는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6-0138728호(건축물의 내진성능 보강 공법)은 건축물의 벽면, 천장, 바닥 및 기둥 표면에 간편히 탄성 도료를 분사 도포 후, 경화하여 우수한 탄성 결속력을 갖는 탄성 결속층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건축물의 내진성능을 간편히 보강할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과 함께 신속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 결속층이 다수의 결속띠가 서로 적층 결속되는 견고한 구조의 격자 형태로 구성되어 탄성 결속층을 통한 건축물의 우수한 내진성능 강화를 기대할 수 있는 건축물의 내진성능 보강 공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7-0078549호(마찰플랜지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이중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은 철골프레임을 사용하여 기존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내진 보강할 경우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과 철골프레임의 일체 거동을 확보하여 지진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마찰플랜지가 구비된 내진 보강용 이중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8-0108362호(슬라이드 포켓 압입 클립이 적용된 다중 록킹존 형성을 통한 벽돌벽체 내진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구조치장벽체의 시공 방법)은 상하로 3장 이상의 조적벽돌을 하나로 묶어 비구조치장벽체에 다중 록킹존이 나타나도록 하여 수평지진력에 대해 회전저항이 구현되고, 비구조치장벽체의 수평강도 향상과 조적 줄눈을 따라 발생될 수 있는 균열을 미연에 방지하고, 또한 지지구조체와 조적벽돌이 묶어 형성되는 다중 록킹존 간의 연속적 핀결합 기능 뿐 아니라 지지구조체의 선설치되는 앵커와 용이한 끼움 결착을 위해 포켓 모양의 와셔구조로 연결이 용이한 수직 결합오차 해결기능을 갖도록 한 슬라이드 포켓 압입 클립이 적용된 다중 록킹존 형성을 통한 벽돌벽체 내진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구조치장벽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은 시공의 방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내식성 및 내산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보강을 위한 공법 중 압착보강(부분보강, 띠형태 보강), 주입보강(전체보강, 판형태 보강), 매립보강 등과 같은 방식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8-0082629(2018.07.17)호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 방법(Method for reinforcing the Earthquake of a concrete columns)"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6-0138728(2016.10.24)호 "건축물의 내진성능 보강 공법(Seismic reinforcement method of construction for buildings)"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7-0078549(2017.06.21)호 "마찰플랜지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이중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Aseismatic Reinforcement Double Steel Frame with Friction Slip Flange, and Aseismatic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reof)"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8-0108362(2018.09.11)호 "슬라이드 포켓 압입 클립이 적용된 다중 록킹존 형성을 통한 벽돌벽체 내진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구조치장벽체의 시공 방법(Seismic reinforcement device of brick walls for multi locking zone formation using slide pocket pushing clip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structured decoration wall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진 보강재로 보강판넬을 제조시 보강판넬의 물리적 특성을 내진 보강소재에 맞게 제조할 뿐만 아니라, 보강판넬 표면에 내산도료 및 표면보호 코팅제 등을 도포함으로써 내식성 및 내산성 등 화학적 저항성을 높여 산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환경의 대상물(하수장, 정수장, 폐수처리장, 교량다리 등)이나 물리적 마모가 발생하는 내진 보강재로 쓰이도록 하기 위한 보강판넬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섬유에 내식성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UP 수지)를 함침시켜 생성된 보강판넬을 활용함으로써,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뛰어난 내식성에 보강섬유로 물리적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내진성능을 제대로 발휘하도록 하기 위한 보강판넬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식성 및 내산성이 우수한 보강판넬을 이용한 보강 공법은, 바탕면을 정리하는 제 1 단계; 고정용 앵커(140)를 위한 고정용 앵커홀을 천공하는 제 2 단계; 바탕면 상부에 접착용 수지를 도포하는 제 3 단계; 및 보강섬유에 내식성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UP 수지)를 함침시켜 생성된 보강판넬(130)을 접착용 수지가 도포된 바탕면으로 고정용 앵커홀로 삽입되는 고정용 앵커(140)를 이용해 부착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4 단계는, 보강판넬(130)을 대상인 바탕면에 부착하여 골고루 압착하면서, 보강판넬(130) 상부로 고정용 앵커(140)를 구성하는 볼트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보강판넬(130)을 접착용 수지를 통해 바탕면에 체결하되, 고정용 앵커홀로 삽입된 고정용 앵커(140)의 볼트를 삽입한 뒤, 고정용 앵커(140)를 구성하는 너트를 볼트의 끝단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4 단계 이후, 시공완료 작업을 수행하되, 보강판넬(130)의 외부가 내산성이 필요하는 영역에 보강판넬(130)이 설치된 경우 내산도료를 도포하며, 내산성이 필요치 않은 영역인 경우 표면보호 코팅제를 도포하는 방식으로 성능에 맞는 도료 도포 및 주변정리를 수행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식성 및 내산성이 우수한 보강판넬은, 보강섬유에 내식성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UP 수지)를 함침시켜 생성된 보강판넬(130); 및 보강판넬(130)의 외부가 내산성이 필요하는 영역에 보강판넬(130)이 설치된 경우에 도포되는 내산도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식성 및 내산성이 우수한 보강판넬의 제조 방법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보강섬유를 함침하여 보강판넬(130)을 형성시, 다이아몬드 격자 구조의 탄소섬유를 깔고 160 내지 170℃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침하여 1회 적층함으로써 제 1 보강판넬 형성부를 형성하는 제 1 단계; 및 로빙 크로스(roving cloth) 타입의 유리섬유를 깔고 150 내지 160℃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침하여 2회 적층함으로써 제 2 보강판넬 형성부를 형성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며, 제 1 보강판넬 형성부 및 제 2 보강판넬 형성부를 적층 제조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식성 및 내산성이 우수한 보강판넬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은, 내진 보강재로 보강판넬을 제조시 보강판넬의 물리적 특성을 내진 보강소재에 맞게 제조할 뿐만 아니라, 보강판넬 표면에 내산도료 및 표면보호 코팅제 등을 도포함으로써 내식성과 내산성 등의 화학적 저항성을 높여 산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환경의 대상물(하수장, 정수장, 폐수처리장, 교량다리 등)이나 물리적 마모가 발생하는 내진 보강재로 쓰이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식성 및 내산성이 우수한 보강판넬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은, 보강섬유에 내식성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UP 수지)를 함침시켜 생성된 보강판넬을 활용함으로써,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뛰어난 내식성에 보강섬유로 물리적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내진성능을 제대로 발휘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판넬을 이용한 보강방법 중 "압착보강"(부분보강, 띠형태 보강)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판넬을 이용한 보강방법 중 "주입보강"(전체보강, 판형태 보강)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판넬을 이용한 보강방법 중 "매립보강"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판넬을 이용한 보강방법 중 "매립보강" 과정에 의해 보강된 보강판넬이 바탕면에 보강된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함침 수지를 위한 사용재료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보강판넬에는 내식성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UP 수지), 보강섬유로 이루어진 보강판넬(130)에 추가로 내산도료 및 표면보호 코팅제를 주요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고, 상온에서 단시간 내에 경화되는 작업성과, 뛰어난 내열성, 내식성을 갖고 있으며, 주원료의 다양한 선택에 따라 각종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욕조, 정화조와 같은 건축자재, 탱크, 파이프 등과 같은 공업 재료, 선박, 자동차 등의 수송기기, 전기절연재료, 겔 코트, 레진 콘크리트, 퍼티도료 등 각종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상기에 기재한 바와 같이 기계적인 물성은 양호하나 내후성 및 투명성, 광택성이 좋지 않아 다양한 사출성형물 제조에는 한계가 있으며, 특히, 희석제인 스티렌모노머의 양에 따른 점도저하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사출캐비티 내로의 정밀한 수지흐름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어 High Solid 제품 성형에는 한계가 있고, 사출캐비티 내의 온도편차로 인해 균일한 겔화와 경화가 불가능하므로 사출성형물에 줄무늬 등의 불량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보강섬유를 함침시켜서 사용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보강섬유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 세라믹 섬유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해서 필요한 물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사용하되, 기본적으로 유리섬유를 포함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불포화 폴리우에스테르 수지에 보강섬유를 포함하여 보강판넬(130)을 제조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보강섬유를 포함하여 몇 가지 단계를 거쳐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글리콜에 PCM 캡슐 파우더(Phase Change Material Microcapsul Powder)를 중량비 1 : 0.3 내지 0.5로 분산시켜 PCM 캡슐 파우더 분산액을 제조한 뒤, 제조된 PCM 캡슐 파우더 분산액과는 별도로 포화산과 불포화산을 당량비 0.1 : 0.4 내지 0.5로 혼합하여 산 혼합액을 제조한다. 이후, PCM 캡슐 파우더 분산액과 제조된 산 혼합액을 0.6 내지 0.7 : 0.2 내지 0.3의 당량비로 혼합하여 150 내지 170 ℃에서 40 내지 50 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화합물을 제조한다. 이후 제조된 화합물에 스틸렌 모노머를 20 내지 50 : 30 내지 4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함침 수지를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PCM 캡슐 파우더는 상전이 물질로, 고체, 용융, 열에너지 흡수, 액체, 응결, 열에너지 방출, 고체로 반복적으로 변하는 재질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PCM 캡슐 파우더는 상변화물질, 사이즈 5/1000mm(5㎛), 이온반발성, 음이온수지, 대류, 열분산/확산 등에 대한 특성을 제공함으로써, 내식도료 상에서 내식성 뿐만 아니라 내열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보강섬유를 함침하여 보강판넬(130)을 형성시, 다이아몬드 격자 구조의 탄소섬유를 깔고 160 내지 170℃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침하여 1회 적층함으로써 제 1 보강판넬 형성부를 형성하고, 로빙 크로스(roving cloth) 타입의 유리섬유를 깔고 150 내지 160℃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침하여 2회 적층함으로써 제 2 보강판넬 형성부를 형성한 뒤, 습식응고 및 탈용매하고 수세, 건조하여 2겹의 수지층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보강판넬(13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함침 수지를 사용할 경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인장강도 및 굴곡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켜서 보다 플렉시블한 재질의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내산도료는 구조물이 필요한 내산성을 고려하여 성능 및 경제성에 맞게 사용하되, 현장에서 붓이나 롤러, 스프레이로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내산도료는 난연성 실리콘 접착액 100 중량부에 대해서 에폭시 수지 25 내지 27 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 10 내지 13 중량부, 난연제 2 내지 3 중량부, 가교제 1 내지 2 중량부로 이루어진 주제와 경화제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경화제는 지환족 아민계 경화제, 지방족 아민계 경화제, 방향족 아민계 경화제, 산무수물계 경화제, 이미다졸계 경화제 중 적어도 하니 아싱을 혼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연성 실리콘 접착액, 에폭시 수지, TPU 수지, 난연제, 가교제로 이루어진 주제는 난연성은 물론 내산성도 함께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원재료로 에폭시 수지는 25 중량부보다 적은 경우 내산성 특성이 현저히 줄어들고 27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내산도료를 액상으로 만들기 어려운 한계점이 있다.
또한, 원재료로 TPU는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Thermalplastic Poly Urethan, TPU)으로, 우레탄기(-NHCOO-)를 가지는 고무상 탄성체로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이 탁월하고, 절연성, 내굴곡성, 착색성 등에 있어 우수한 성질을 갖고 갖고 있다. TPU는 비PVC계 열가소성 수지로서, 유해 화합물의 발생위험이 없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고, 소각시 대기 또는 토양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이다.
여기서 난연성 실리콘 접착액 100 중량부에 대해서 TPU 수지 10 중량부 보다 작은 경우 기계적 강도 및 내마모성이 현저히 줄어들며 13 중량부보다 많은 경우 표면 부재로서 유연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한계점이 발생한다.
난연제는 몰리브덴산 안티몬, 수산화알미늄, 산화몰리브덴, 수산화마그네슘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것을 사용한다. 특히 수산화알미늄(Al(OH)3)은 보강판넬(130)에 열이 가해져서 500℃ 이상이 되면 활성알루미나로 변화되어 흡착 성능을 가지게 되므로 연소시 발생하는 다이옥신, 염화수소가스(HCl) 등 유해 물질을 흡착하며 열 분해시 흡열 반응을 하여 냉각 효과도 있고 불연성으로서 내수, 내산성이 우수하도록 하며, 난연제들을 병용 사용하여 난연 효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난연제가 난연성 실리콘 접착액 100 중량부에 대해서 2 중량부보다 적은 경우 난연성 성능을 기대하기 어렵고 3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에폭시 수지, TPU 수지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아져 내산성이 떨저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가교제는 난연성 실리콘 접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가교제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으며 2 중량부보다 클 때는 과도하게 가교 반응이 일어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경화제는 아민계 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고,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화제가 10 중량부보다 작을 때는 본 발명에서 주제를 내산도료로 사용할 만큼 경화시킬 수 없으며 1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경화 반응이 과도하게 일어다 내산도료의 점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산 도료에는 기능성 충전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충전제로는 실리카 분말과 팽창성 흑연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 분말로서는 콜로이달실리카, 흄드실리카 및 마이크로나이즈드 실리카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충진제는 바인딩 효과를 더욱 증대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보강 효과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리카 분말과 팽창성 흑연의 혼합 비율은 100:50~200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능성 충진제를 사용할 때는 분말을 바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표면을 처리하여 유기실란으로 처리하여 코팅함으로써 바인딩 효과 증대로 인한 내구성 증대 효과를 볼 수 있다.
즉, 실리카 분말 단독 또는 팽창성 흑연 분말의 혼합물이 용매에 분산된 콜로이드상 요액을 유기 실란에 분산시킨 후 약 1~10시간 동안 교반하여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리카 분말 단독 또는 팽창성 흑연 분말의 혼합물 용액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유기 실란 약 0.1~50중량부를 상기 용액에 첨가하여 용액 내에서 분말 입자 표면에 유기기를 형성하고 반응기를 통과시켜 탈수 및 축합반응을 통해 유기기로 표면 처리된 분말을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용액은 실리카 분말이나 팽창성 흑연 분말이 물이나 알코올과 같은 용매 내에 콜로이드 상태로 분산되어 있는 것으로서 콜로이드 용액 상태로 유기 실란과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실란의 구체적인 예로는 디메틸디메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이 때 유기 실란으로 분말 표면을 처리하는 것은 상온에서 1~10 시간 정도 교반 처리하여 유기기가 형성된 무기물을 형성하고 이를 반응기에 통과시켜 형성한다. 이 때 상기 반응기는 가열장치로서 온도를 100 ~ 300℃로 승온하여 1~10시간 동안 용매와 유기기가 형성된 무기물을 탈수 및 축합반응시켜 표면 처리가 완료된 분말상의 무기물 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실리카 분말 및 팽창성 흑연 분말은 표면에 실란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바인딩 효과가 우수하고 이에 따라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능성 충전제는 상기 내산 도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10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표면보호 코팅제는 내산성이 필요치 않은 곳에 사용하되, 현장에서 붓이나 롤러, 스프레이 등을 이용하여 도포할 수 있다.
한편, 보강판넬(130)의 제조방법은 크게 "적층 제조 방법"과 "인발 제조 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적층 제조 방법"은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보강섬유에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침시키며 겹겹이 적층하여 제조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인발 제조 방법"은 일정한 금형 틀통해서 반대방향으로 끌어내어 뽑아내어 제조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적층 제조 방법에 의하나 인발 제조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판넬을 이용한 내진 보강방법 중 압착보강, 주입보강, 매립보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판넬을 이용한 내진 보강방법 중 "압착보강"(부분보강, 띠형태 보강)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바탕면을 정리한다(S11). 즉, 바탕면은 충분히 양생 및 건조되어야 하며 표면에 이물질이나 기타 부착에 방해되는 요소가 최대한 없도록 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11) 이후, 고정용 앵커(140)를 위한 고정용 앵커홀을 천공한다(S12).
즉, 전동 드릴을 사용해 보강판넬(130) 고정용 앵커홀을 수직을 유지하면서 천공하고 천공에 따른 내부의 먼지 및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12) 이후, 접착용 수지를 도포한다(S13).
주제 및 경화제를 규정된 배합으로 충분히 믹싱 혼합하고, 보강판넬(130) 및 보강판넬(130) 부착 대상이 되는 바탕면에 수지를 2 내지 5mm 두께로 평활도가 유지되도록 골고루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접착용 수지는 상술한 내산도료 제조를 위한 동일한 조성비에 있어서 난연성 실리콘 접착액 대신 동일한 중량에 해당하는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사용하되,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서 희석제 3 내지 5 중량부, 충진제 20 내지 30 중량부, 증점제 5 내지 7 중량부를 추가하여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단계(S13) 이후, 보강판넬(130)을 접착용 수지가 도포된 바탕면으로 부착한다(S14).
즉, 보강판넬(130)을 대상인 바탕면에 부착하여 골고루 압착하면서, 보강판넬(130) 상부로 고정용 앵커(140)를 구성하는 볼트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보강판넬(130)을 접착용 수지를 통해 바탕면에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단계(S12)의 고정용 앵커홀로 삽입된 고정용 앵커(140)의 볼트를 삽입한 뒤, 고정용 앵커(140)를 구성하는 너트를 볼트의 끝단에 체결할 수도 있다.
단계(S14) 이후, 양생 및 실링제 도포를 수행한다(S15).
즉, 성능에 맞는 실링제를 사용하여 보강판넬(130) 주위를 실링작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양생후에 내산 도료 또는 보호코팅제를 표면에 도포할 수 있다.
단계(S15) 이후, 시공완료 작업을 수행한다(S16).
즉, 단계(S16)에서 내산성이 필요하는 영역에 보강판넬(130)이 설치된 경우 내산도료를 도포하며, 내산성이 필요치 않은 영역인 경우 표면보호 코팅제를 도포하는 등 성능에 맞는 도료 도포 및 주변정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판넬을 이용한 내진 보강방법 중 "주입보강"(전체보강, 판형태 보강)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바탕면 정리를 수행한다(S21).
즉, 바탕면은 충분히 양생 및 건조되어야 하며 표면에 이물질이나 기타 부착에 방해되는 요소가 최대한 없도록 조치한다.
단계(S21) 이후, 고정용 앵커홀을 천공한다(S22).
즉, 전동 드릴을 사용해 보강판넬(130) 고정용 앵커홀을 수직을 유지하며 천공하고 내부의 먼지 및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한다.
단계(S22) 이후, 보강판넬(130) 및 고정용 앵커(140) 설치를 설치한다(S23).
즉, 판넬 고정용 앵커(140)를 설치하여 보강판넬(130)을 고정한다.
단계(S23) 이후, 실링제를 도포한다(S24).
즉, 성능에 맞는 실링제를 보강판넬(130)의 둘레에 빈틈없이 실링처리하여 주입제의 유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24) 이후, 주입구 및 배출구를 설치한다(S25).
즉, 주입제를 규정배합대로 잘 혼합한 뒤, 설치된 주입구를 활용하여 고정용 앵커(140)로 고정된 보강판넬(130) 내부로 주입하며, 점도를 감안하여 주입속도를 조절하여 주입한다.
단계(S25) 이후, 양생을 수행한다(S26).
보다 구체적으로, 양생온도를 10 내지 30℃로 유지하며 완전히 양생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양생후에 내산 도료 또는 보호코팅제를 표면에 도포할 수 있다.
단계(S26) 이후, 시공완료 작업을 수행한다(S27).
즉, 단계(S27)에서 내산성이 필요하는 영역에 보강판넬(130)이 설치된 경우 내산도료를 도포하며, 내산성이 필요치 않은 영역인 경우 표면보호 코팅제를 도포하는 등 성능에 맞는 도료 도포 및 주변정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판넬을 이용한 내진 보강방법 중 "매립보강"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판넬을 이용한 내진 보강방법 중 "매립보강" 과정에 의해 보강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함침 수지 기반의 보강판넬이 바탕면에 보강된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매립보강" 과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바탕면에 대한 전처리를 수행한다(S31).
즉, 바탕 전처리에 있어서, 보강대상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의 매립용 홈파기 작업은 보강재와 기존 구조물을 일체화할 수 있는 핵심 공정이므로 정밀한 컷팅 작업을 통하여 홈파기를 진행함으로써, 최적의 접착환경을 조성하여 고품질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시공위치를 확인하고, 그루빙(홈파기) 작업을 수행한 뒤, 파취 및 먼지제거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시공위치를 확인시 보강위치 확인 및 먹줄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그루빙(홈파기) 작업시, 고압 집진기가 부착된 홈 파기 건식 그루빙 컷팅 장비를 사용 홈파기 컷팅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파취 및 먼지제거 작업시, 평 치즐을 장착한 진동 햄머드릴 등을 사용 컷팅된 부분을 파취 제거한 후 고압 집진장비를 사용 홈 내부의 먼지 기타 물질 등을 완전 제거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31) 이후, 전처리된 바탕면(110)에 압착용 충진 접착제를 도포한다(S32).
먼저, 압착용 충진 접착제의 주제로 경화제를 규정된 배합비에 맞추어 계량한 후 충분히 혼합 믹싱하고, 고무주걱 등을 사용 혼합된 접착제를 도포두께 3 내지 5mm를 기준으로 하되, 취핑된 바탕면이 고르지 않을 경우 도포두께가 더 두꺼울 수 있도록 하여 평활도가 유지되도록 골고루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32) 이후, 보강판넬(130)을 부착한다(S33).
즉, 본 발명에 따른 보강판넬(130)의 일면에도 단계(S32)에서의 압착용 충진 접착제를 중앙부가 약간 두터운 돔 형태로 얇게 도포하고, 압착용 충진 접착제 도포 즉시 부착함으로써, 대상면인 전처리된 바탕면(110)에 골고루 압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33) 이후, 고정용 앵커홀을 보강판넬(130)의 상부를 통해 압착용 충진 접착제 도포층(120)을 거쳐 전처리된 바탕면(110) 상으로 천공하여 생성함으로써, 생성된 고정용 앵커홀로 고정용 앵커(140)의 볼트를 설치하고, 볼트의 끝단에 고정용 앵커(140)의 너트를 통해 보강판넬(130)에 대해서 고정하는 방식으로 고정용 앵커(140)의 설치를 수행한다(S34).
즉, 전동 드릴을 사용 착용 앵커 홀을 필히 수직을 유지하면서 천공 작업을 수행하며, 천공된 앵커홀 내부의 먼지 기타 이물질 등을 완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정용 앵커홀을 설치시 불필요하게 과다한 조임을 피하면서 고정용 앵커(140)를 구성하는 너트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34) 이후, 모르타르 단면복구를 수행함으로써, 단면보수 모르타르층(150)을 생성한다(S35).
즉, KS F 4042 기준에 적합한 폴리머 단면보수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단면복구 마감미장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35) 이후, 시공완료 작업을 수행한다(S36).
즉, 현장정리, 그리고 검수를 완료하는 과정을 통해 시공을 완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36) 이후, 보양 및 청소를 수행한다(S37).
먼저, 보양 수행시, 보강판넬 부착완료 후 압착용 충진 접착제가 초기 경화되는 동안 가능한 진동 혹은 충격을 주지 않도록 주의한다. 또한, 동절기 공사에 있어서 예기치 못한 기후 변화로 인한 급격한 온도저하 현상이 있을 경우 에폭시 접착제의 급격한 점도상승으로 인한 접착력 저하 현상 및 경화정지 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기온이 5℃ 이하인 경우 가설난방 등에 의하여 시공부분을 보양하여야 한다.
청소 수행시, 시공완료 24시간 이상 양생 후 시공부위 주변의 오염된 부분 등을 깨끗이 제거한다. 또한, 폐기물 처리에 있어서, 시공 중 발생된 일반폐기물 및 산업폐기물 등은 산업폐기물 전문 처리업체에 위탁하여 적법 절차에 의하여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판넬을 이용한 내진 보강방법의 특징점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첫번째로, 내식성 정의와, 보강판넬(130)의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내식성"이란 부식이나 침식에 잘견디는 성질을 말한다.
부식된다는 것은 산소와 반응하여 재료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물론 재료 자체가 산소와 쉽게 결합하지 않으면 좋겠으나, 그러한 재료가 너무 비싸다면 사용할 수 없을 것이다.
이미 금속과 산소가 결합되어 있는 세라믹 재료, 예를 들어 알루미늄과 산소의 화합물인 알루미나(Al2O3)라든가 실리카(SiO2), 지르코니아(ZrO2) 등은 뛰어난 내식성을 가지고 있지만 유연성이 없기 때문에 보강재로 사용하기에는 제품제조 및 설치시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인 보강판넬(130)의 경우 내식성이 우수한 수지를 사용하여 내식성은 이러한 재료보다 우수하고 유연성 확보가 가능하여 여러형태의 보강재를 만들 수 있으며, 내구성 또한 우수한 보강재의 제조이 가능하다.
두번째로,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인 보강판넬(130)에 사용되는 수지의 특성 및 물성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지는 초내식성 수지로 내식성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물리적 성질은 하기의 표 1과 같을 수 있다.
비중 25℃ 1.03 내지 1.07
점도 Poise/25℃ 1.5 내지 3.5
겔화시간(분) 16 내지 20
최소경화시간(분) 22 내지 30
또한, 내식성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의 내식성능은 가성소다 등의 알카리 용액, 각종 산류와 유기화합물, 용제 등 부식성 액체 침투에도 부식되지 않으며 티타늄이나 하스테로이 등의 초내식성 재료에 필적하는 성능에 해당한다.
세번째로, 내산성 정의,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인 보강판넬에 사용되는 내산도료에 대한 내산성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내산성"의 정의는 말그대로 산에 견디는 성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특수 내산 도료는 강한 접착력을 보유하고 고내산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산에 의한 부식방지가 탁월하며 특히 황산, 염산, 질산, 초산등에 강한 저항성을 확보하므로 폐수나 오수가 있는 구조물에 적합하다.
하기의 표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내산도료의 성능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시험항목 결과치 시험방법
액체저항성(내약품성, 35% 염산, ((24±2)℃, 168 h) 이상없음 KS M ISO 2812-1
2007, 외뢰자 제시
방법
액체저항성(내약품성, 40% 수산화나트륨, ((24±2)℃, 168 h) 이상없음
액체저항성(내약품성, 95% 황산, ((24±2)℃, 168 h) 이상없음
액체저항성(내약품성, 40% 크롬산, ((24±2)℃, 168 h) 이상없음
액체저항성(내약품성, 85% 인산, ((24±2)℃, 168 h) 이상없음
액체저항성(내약품성, 30% 질산, ((24±2)℃, 168 h) 이상없음
네번째로, 종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인 보강판넬의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1) 내식성이 및 내산성이 우수하다.
(2) 경량으로 비강도가 높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보강판넬의 비강도는 강과 동등 이상이나 무게는 훨씬 가벼우므로 금속재료의 보강 없이 FRP제조 만으로 동등 이상의 물성 및 경량화를 시킬 수 있다.
(3) 내열성, 단열성이 우수하다.
즉, 열전도도가 낮기 때문에 보온보냉에 우수하며 높은 온도에도 사용 가능하다.
(4) 금속이론(Ion)의 용출이 없다.
즉, 본 발명과 같이 내식성 수지로 제조된 보강재의 경우 금속이온이 용출되지 않으므로 금속이온에 의한 품질 저해 문제가 없다.
(5) 우수한 작업성이 있다.
경화성, 발열조정은 일반적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같이 과산화물 촉매와 촉진제의 조합으로 자유롭게 조정되며, 유동성조정이 자유로워 작업숙련도 및 설비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다.
(6) 보강판넬의 물리적 성질
즉, 본 발명에 따른 보강판넬의 물리적 성질은 하기의 표 3과 같다.
인강강도 kgf/mm2 12.5 ASTM D 638
인장탄성율 kgf/mm2 1,074
굴곡강도 kgf/mm2 19.0 ASTM D 790
굴곡탄성율 kgf/mm2 85.5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 전처리된 바탕면
120 : 압착용 충진 접착제 도포층
130 : 보강판넬
140 : 고정용 앵커
150 : 단면보수 모르타르층

Claims (5)

  1. 바탕면을 정리하는 제 1 단계;
    고정용 앵커(140)를 위한 고정용 앵커홀을 천공하는 제 2 단계;
    바탕면 상부에 접착용 수지를 도포하는 제 3 단계; 및
    보강섬유에 내식성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UP 수지)를 함침시켜 생성된 보강판넬(130)을 접착용 수지가 도포된 바탕면으로 고정용 앵커홀로 삽입되는 고정용 앵커(140)를 이용해 부착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4 단계는, 보강판넬(130)을 대상인 바탕면에 부착하여 골고루 압착하면서, 보강판넬(130) 상부로 고정용 앵커(140)를 구성하는 볼트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보강판넬(130)을 접착용 수지를 통해 바탕면에 체결하되, 고정용 앵커홀로 삽입된 고정용 앵커(140)의 볼트를 삽입한 뒤, 고정용 앵커(140)를 구성하는 너트를 볼트의 끝단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4 단계 이후, 시공완료 작업을 수행하되, 보강판넬(130)의 외부가 내산성이 필요하는 영역에 보강판넬(130)이 설치된 경우 내산도료를 도포하며, 내산성이 필요치 않은 영역인 경우 표면보호 코팅제를 도포하는 방식으로 성능에 맞는 도료 도포 및 주변정리를 수행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내산도료는 실리카 분말과 팽창성 흑연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기능성 충전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능성 충전제는 실리카 분말과 팽창성 흑연의 혼합비율이 100:50~200 중량비이고, 표면이 유기실란으로 코팅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실리카 분말 및 팽창성 흑연 분말의 혼합물 용액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유기 실란 0.1~50 중량부를 첨가하여 용액 내에서 분말 입자 표면에 유기기가 형성되고 탈수 및 축합반응을 통해 유기기로 표면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용액은 실리카 분말 또는 팽창성 흑연 분말이 물 또는 알코올에 콜로이드 상태로 분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기 실란은 디메틸디메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실리카 분말과 팽창성 흑연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기능성 충전제는 상기 내산 도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10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 및 내산성이 우수한 보강판넬을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
  2. 삭제
  3. 삭제
  4. 보강섬유에 내식성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UP 수지)를 함침시켜 생성된 보강판넬(130); 및
    보강판넬(130)의 외부가 내산성이 필요하는 영역에 보강판넬(130)이 설치된 경우에 도포되는 내산도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내산도료는 실리카 분말과 팽창성 흑연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기능성 충전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능성 충전제는 실리카 분말과 팽창성 흑연의 혼합비율이 100:50~200 중량비이고, 표면이 유기실란으로 코팅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실리카 분말 및 팽창성 흑연 분말의 혼합물 용액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유기 실란 0.1~50 중량부를 첨가하여 용액 내에서 분말 입자 표면에 유기기가 형성되고 탈수 및 축합반응을 통해 유기기로 표면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용액은 실리카 분말 또는 팽창성 흑연 분말이 물 또는 알코올에 콜로이드 상태로 분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기 실란은 디메틸디메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실리카 분말과 팽창성 흑연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기능성 충전제는 상기 내산 도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10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 및 내산성이 우수한 보강판넬.
  5. 삭제
KR1020200014656A 2020-02-07 2020-02-07 내식성 및 내산성이 우수한 보강판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공법 KR102169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656A KR102169807B1 (ko) 2020-02-07 2020-02-07 내식성 및 내산성이 우수한 보강판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656A KR102169807B1 (ko) 2020-02-07 2020-02-07 내식성 및 내산성이 우수한 보강판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807B1 true KR102169807B1 (ko) 2020-10-26

Family

ID=73006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656A KR102169807B1 (ko) 2020-02-07 2020-02-07 내식성 및 내산성이 우수한 보강판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8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248B1 (ko) * 2011-03-02 2011-09-01 (유)한국기계 강화섬유 내진판넬,이를 이용한 내진시공방법
KR101166216B1 (ko) * 2011-06-03 2012-07-16 한국복합섬유 주식회사 연성강화 복합섬유패널
KR20170072088A (ko) * 2015-12-16 2017-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248B1 (ko) * 2011-03-02 2011-09-01 (유)한국기계 강화섬유 내진판넬,이를 이용한 내진시공방법
KR101166216B1 (ko) * 2011-06-03 2012-07-16 한국복합섬유 주식회사 연성강화 복합섬유패널
KR20170072088A (ko) * 2015-12-16 2017-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6-0138728(2016.10.24)호 "건축물의 내진성능 보강 공법(Seismic reinforcement method of construction for buildings)"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7-0078549(2017.06.21)호 "마찰플랜지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이중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Aseismatic Reinforcement Double Steel Frame with Friction Slip Flange, and Aseismatic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reof)"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8-0082629(2018.07.17)호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 방법(Method for reinforcing the Earthquake of a concrete columns)"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8-0108362(2018.09.11)호 "슬라이드 포켓 압입 클립이 적용된 다중 록킹존 형성을 통한 벽돌벽체 내진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구조치장벽체의 시공 방법(Seismic reinforcement device of brick walls for multi locking zone formation using slide pocket pushing clip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structured decoration walls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marathna et al. The use of polyurethane for structural and infrastructural engineering applications: A state-of-the-art review
EP3533809B1 (en) Radical-polymerizable resin composition
CA2544233C (en) Insulated composite reinforcement material
KR101679065B1 (ko) 섬유강화 준불연 패널과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기능향상 및 보수 보강 공법
Agarwal et al. The use of thermosets in the building and construction industry
KR100439922B1 (ko) 섬유보강 수지 난연 판넬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의 보수 보강공법
CN1283890C (zh) 一种防火、隔音安全门及其生产制造方法
KR100671981B1 (ko) 탄성계수 조절용 고분자 세라믹스 복합재료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
KR102176331B1 (ko) 나노섬유 티슈를 이용한 교면 또는 건축물 방수용 자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2169807B1 (ko) 내식성 및 내산성이 우수한 보강판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공법
KR100876225B1 (ko) 지하구조물의 내화학성 시공방법
KR20090067285A (ko) 콘크리트 보수 보강용 페놀수지와 유리섬유를 이용한불연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보강공법
KR100601882B1 (ko) 콘크리트 표면강화 및 열화(태양광선 및 화학적부식)방지시공방법
KR101667336B1 (ko) 팽창흑연을 이용한 난연 및 불연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KR102185582B1 (ko) 수산화 알루미늄을 함유한 내화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보강 판넬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내산 도료 코팅으로 내산저항성이 우수한 내진 보강공법
CN108868187B (zh) 一种电梯井渗漏水修缮系统的施工方法
CN108868186B (zh) 一种管道井与通风井渗漏水修缮系统
KR20180043102A (ko) 교량 탄성 도막 방수 시공 구조 및 방법
KR10224703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섬유 시트 및 보강 판넬, 그리고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 보강공법
Pöhler et al. Composites for structural strengthening, repair, rehabilitation, and retrofit
KR101002067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복합 접착제 조성물과 난연 복합섬유 보강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 패널 보강 방법
JP2007255129A (ja) 建築物補強工法
KR100706678B1 (ko) 고분자 세라믹스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단면보수ㆍ보강공법
KR102178499B1 (ko) 보강 및 변형 억제부재 모듈, 콘크리트 단면 복구용 모르타르 조성물, 그리고 이를 활용한 콘크리트 단면 복구 공법
JP2010101128A (ja) スレート屋根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