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8036B1 - 다기능 안전 맨홀 - Google Patents

다기능 안전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8036B1
KR102168036B1 KR1020180106772A KR20180106772A KR102168036B1 KR 102168036 B1 KR102168036 B1 KR 102168036B1 KR 1020180106772 A KR1020180106772 A KR 1020180106772A KR 20180106772 A KR20180106772 A KR 20180106772A KR 102168036 B1 KR102168036 B1 KR 102168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anhole
manhole frame
safet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8269A (ko
Inventor
오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오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오정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80106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8036B1/ko
Publication of KR20200028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2Steps or handrails for shaf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안전 맨홀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가 빈 맨홀 프레임; 상기 맨홀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맨홀 프레임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낙하 방지를 위하여 상기 맨홀 프레임에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 핸드레일; 및 상기 안전 핸드레일에 결합되며, 상기 안전 핸드레일의 직립 상태를 유지시키는 회전식 지렛대 핸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안전 맨홀{Safety manhole}
본 발명은, 다기능 안전 맨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를 개방하더라도 맨홀 프레임의 개구가 그대로 개방되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종전의 단순한 맨홀 대비 그 기능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다기능 안전 맨홀에 관한 것이다.
맨홀(Manhole)은 작업자의 출입을 허용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그 용도에 따라 상/하수도용, 우수용, 오수용 및 전기통신용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맨홀은 지하에 매설된 상/하수도관, 우수관, 오수관 및 전기통신관을 유지 보수하기 위해 하수처리장이나 정수장, 우수 펌프장, 하수저류조 등의 상하수 처리시설이나, 혹은 차도나 인도 등에도 설치될 수 있다.
통상의 맨홀은 내부가 빈 맨홀 프레임과, 맨홀 프레임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로 이루어진다.
한편, 맨홀 프레임이 단순히 개방되어 있는 경우, 도어를 열면 맨홀 프레임의 개구가 그대로 개방(open)되기 때문에 안전하지 못하다. 이에, 본 출원인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자동식 안전 도어를 특허출원하여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490370호로서 등록받은 바 있다.
다만, 이번에는 안전한 기능을 가지고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여러 다양한 기능을 보유하여 기능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다기능 안전 맨홀에 대하여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490370호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를 개방하더라도 맨홀 프레임의 개구가 그대로 개방되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종전의 단순한 맨홀 대비 그 기능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다기능 안전 맨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내부가 빈 맨홀 프레임; 상기 맨홀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맨홀 프레임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낙하 방지를 위하여 상기 맨홀 프레임에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 핸드레일; 및 상기 안전 핸드레일에 결합되며, 상기 안전 핸드레일의 직립 상태를 유지시키는 회전식 지렛대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안전 맨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맨홀 프레임과 접하는 상기 도어의 내측 둘레에 결합되되 상기 맨홀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도어의 외부와 내부를 실링하는 실링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외곽을 이루는 테두리부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테두리부보다 높이가 낮아 상기 도어를 닫았을 때 실링을 보호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실링 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닛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 유닛은, 상기 유닛 레일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유닛 레일의 외벽에 지지되는 나사식 지지돌기부;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도어 내부 및 외부의 공기를 차단하여 악취 방지기능을 제공하는 한편 내부에 완충공간이 형성되는 완충부; 및 상기 삽입부와 상기 완충부 사이의 경계를 이루되 상기 유닛 레일의 단부가 지지되는 격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 핸드레일에는 회전축심을 형성하되 비원형 형상을 갖는 회전축부가 마련되며, 상기 회전축부에 대응되는 상기 맨홀 프레임에는 상기 회전축부를 지지하는 러그가 형성되되 상기 러그에는 상기 회전축부의 회전을 허용하는 회전홈부와, 상기 회전홈부와 연통되되 상기 안전 핸드레일이 직립될 때 상기 회전축부가 고정된 위치를 형성하게 거치시키는 거치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맨홀 프레임에는 상기 안전 핸드레일의 하향 회전을 저지시키는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맨홀 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는 도어 열림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내벽에 결합되는 램프; 및 상기 도어의 개방 시 상기 도어 열림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램프의 동작이 온(on)되게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맨홀 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맨홀 프레임 내를 출입하는 작업자를 출입을 감지하는 출입 감지부; 상기 출입 감지부에 의한 출입 감지의 회수를 측정하는 카운터; 및 상기 도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카운터의 카운팅 횟수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외부 일측에는 제1 수납 공간부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수납 공간부에는 동력 콘센트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납 공간부에는 상기 램프를 별도로 온/오프(on/off)하기 위한 3로 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외부 타측에는 제2 수납 공간부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2 수납 공간부에는 전원선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맨홀 프레임과 상기 도어에 연결되는 쇼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를 개방하더라도 맨홀 프레임의 개구가 그대로 개방되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종전의 단순한 맨홀 대비 그 기능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안전 맨홀의 사시도로서 도어가 닫힌 상태의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의 도면,
도 3은 도 2에서 안전 핸드레일이 열린 상태의 도면,
도 4 및 도 5는 도 3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들,
도 6은 도 3의 부분 분해도,
도 7은 도 3의 A 영역의 부분 절개 확대도,
도 8은 도 7에서 실링 유닛 영역의 확대도,
도 9 및 도 10은 각각 도 4의 B와 C 영역의 확대도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안전 맨홀의 제어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안전 맨홀의 사시도로서 도어가 닫힌 상태의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의 도면, 도 3은 도 2에서 안전 핸드레일이 열린 상태의 도면, 도 4 및 도 5는 도 3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들, 도 6은 도 3의 부분 분해도, 도 7은 도 3의 A 영역의 부분 절개 확대도, 도 8은 도 7에서 실링 유닛 영역의 확대도, 도 9 및 도 10은 각각 도 4의 B와 C 영역의 확대도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안전 맨홀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안전 맨홀(100)은 도어(120)를 개방하더라도 맨홀 프레임(110)의 개구(111)가 그대로 개방되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종전의 단순한 맨홀(미도시) 대비 그 기능성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안전 맨홀(100)은 맨홀 프레임(110), 도어(120) 및 안전 핸드레일(1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에 여러 기능성 구조들이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맨홀 프레임(110)에 대해 먼저 살펴본다. 맨홀 프레임(1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안전 맨홀(100)의 외관 틀을 이룬다. 내부가 빈 사각의 프레임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맨홀 프레임(110)이 사각의 프레임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도어(120) 등의 구조물이 맨홀 프레임(110)에 맞는 형상을 이룬다.
맨홀 프레임(110) 내에는 개구(111)가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5처럼 도어(120)를 포함해서 안전 핸드레일(130)까지 모두 개방된 경우, 맨홀 프레임(110)의 개구(111)가 오픈(open)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개구(111)를 통해 작업자가 드나들면서 용도에 맞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도어(120)는 맨홀 프레임(110)의 일측에 연결되고 맨홀 프레임(110)의 개구(111)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도 2처럼 도어(120)가 열렸다고 해서 맨홀 프레임(110)의 개구(111)가 완전히 개방된 것은 아니다. 즉 전술한 것처럼 도어(120)를 개방한 후, 안전 핸드레일(130)까지 개방해야 비로소 맨홀 프레임(110)의 개구(111)가 오픈(open)될 수 있다.
맨홀 프레임(110)에 대한 도어(120)의 개폐를 위해 도어(120)에는 한 쌍의 손잡이(125)가 마련된다. 손잡이(125)는 회전식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사용할 때만 펼쳐서 잡고 사용하면 된다.
맨홀 프레임(110)과 접하는 도어(120)의 내측 둘레에는 맨홀 프레임(110)에 대하여 도어(120)의 외부와 내부를 실링하는 실링 유닛(150)이 결합된다. 이때, 실링 유닛(150)의 결합을 위해 도어(120)에는 유닛 레일(121)이 더 형성된다. 즉 도어(120)에는 도어(120)의 외곽을 이루는 테두리부(122)의 내측에 배치되되 테두리부(122)보다 높이가 낮은 유닛 레일(121)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유닛 레일(121)에 고무 재질의 실링 유닛(15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실링 유닛(150)은 유닛 레일(121)에 삽입되는 삽입부(151)와, 삽입부(151)의 내벽에 형성되고 유닛 레일(121)의 외벽에 지지되는 나사식 지지돌기부(152)와, 삽입부(151)와 연결되되 내부에 완충공간(154)이 형성되는 완충부(153)와, 삽입부(151)와 완충부(153) 사이의 경계를 이루되 유닛 레일(121)의 단부가 지지되는 격벽부(15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실링 유닛(150)이 도어(120)의 유닛 레일(121)에 결합됨으로써 맨홀 프레임(110)에 대하여 도어(120)를 완충 및 실링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링 유닛(150)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어(120)의 외부 일측에는 제1 수납 공간부(123)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되 제1 수납 공간부(123)에는 동력 콘센트(124)가 마련된다. 그리고 도어(120)의 외부 타측에는 제2 수납 공간부(125)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되 제2 수납 공간부(125)에는 전원선(126)이 마련된다. 동력 콘센트(124)와 전원선(126)을 이용해서 램프(162)나 기타 장치들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다.
맨홀 프레임(110)과 도어(120) 사이에는 쇼버(116)가 연결된다. 쇼버(116)로 인해 도어(120)의 개폐 동작이 원활해질 수 있다.
한편, 안전 핸드레일(130)은 맨홀 프레임(110)에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물로서 낙하 방지를 위하여 맨홀 프레임(110)에 내부에 결합된다. 즉 도어(120)만을 개방한 경우에 낙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 핸드레일(130)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안전 핸드레일(130)은 한 쌍으로 적용되며, 동일한 구조로 열리고 닫힌다. 도시된 것처럼 안전 핸드레일(130)이 완전히 막힌 구조는 아니지만 안전 핸드레일(130)이 적용되는 경우, 도 2와 같이 도어(120)가 개방되었음에도 추락 방지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안전 핸드레일(130)에는 회전축심을 형성하되 비원형 형상을 갖는 회전축부(131)가 마련된다. 회전축부(131)는 안전 핸드레일(130)의 하단부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축부(131)에 대응되는 맨홀 프레임(110)에는 회전축부(131)를 지지하는 러그(112)가 형성된다. 러그(112)에는 회전축부(131)의 회전을 허용하는 회전홈부(113)와, 회전홈부(113)와 연통되되 안전 핸드레일(130)이 직립될 때 회전축부(131)가 고정된 위치를 형성하게 거치시키는 거치홈부(114)가 형성된다.
이에, 회전축부(131)가 러그(112)의 회전홈부(113)에 배치된 때는 안전 핸드레일(130)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하지만, 도 3처럼 안전 핸드레일(130)이 직립될 때는 회전축부(131)가 러그(112)의 거치홈부(114)에 배치되기 때문에 안전 핸드레일(130)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게 된다.
맨홀 프레임(110)에는 안전 핸드레일(130)의 하향 회전을 저지시키는 스토퍼(115)가 마련된다. 스토퍼(115)는 맨홀 프레임(110)의 일측에 1개 형성되며, 포개져 배치되는 한 쌍의 안전 핸드레일(130)를 일체로 지지한다.
안전 핸드레일(130)에는 회전식 지렛대 핸들(140)이 결합된다. 회전식 지렛대 핸들(140)은 안전 핸드레일(130)에 결합되며, 안전 핸드레일(130)의 직립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회전식 지렛대 핸들(140)은 핸들 바아(141)와, 핸들 바아(141)의 일단부에 마련되고 안전 핸드레일(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결합부(142)와, 핸들 바아(141)의 타단부에 절곡되게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지면 지지부(143)를 포함한다.
한편, 맨홀 프레임(110)에는 도어(120)의 열림을 감지하는 도어 열림 감지부(161)가 마련된다. 그리고 도어(120)의 내벽에는 램프(162)가 마련된다.
이 외에도 다기능 안전 맨홀(100)에는 출입 감지부(163), 카운터(164), 디스플레이(165) 및 컨트롤러(170)가 마련될 수 있다.
출입 감지부(163)는 맨홀 프레임(110)에 마련되며, 맨홀 프레임(110) 내를 출입하는 작업자를 출입을 감지하는 일종의 근접센서이다.
카운터(164)는 출입 감지부(163)에 의한 출입 감지의 회수를 측정하는 역할을 하고, 디스플레이(165)는 도어(120)의 일측에 마련되며, 카운터(164)의 카운팅 횟수가 디스플레이되는 장소를 이룬다. 물론, 출입 감지부(163), 카운터(164), 디스플레이(165)가 적용되는 기능성이 좋아질 수 있지만 이들은 구성상 생략될 수도 있는데, 출입 감지부(163), 카운터(164), 디스플레이(165)가 갖춰지지 않은 맨홀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컨트롤러(170)는 도어(120)의 개방 시 도어 열림 감지부(161)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램프(162)의 동작이 온(on)되게 컨트롤하는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70)는 출입 감지부(163), 카운터(164) 및 디스플레이(165)와 연결되며, 맨홀 프레임(110)의 개구(111)로 출입되는 작업자의 출입 횟수를 카운터(164)가 카운팅하도록 하는 한편 이의 값이 디스플레이(165)에 출력되게 출입 감지부(163), 카운터(164) 및 디스플레이(165)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도어(120)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수납 공간부(123) 내에 3로 스위치(129)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3로 스위치(129)의 작용으로 도어(120) 내부에 설치된 램프(162)를 별도로 온/오프(on/off)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70)는 중앙처리장치(171, CPU), 메모리(17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7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71)는 본 실시예에서 도어(120)의 개방 시 도어 열림 감지부(161)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램프(162)의 동작이 온(on)되게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7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71)와 연결된다. 메모리(17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7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7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7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70)는 도어(120)의 개방 시 도어 열림 감지부(161)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램프(162)의 동작이 온(on)되게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7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7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120)를 개방하더라도 맨홀 프레임(110)의 개구(111)가 그대로 개방되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종전의 단순한 맨홀(미도시) 대비 그 기능성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다기능 안전 맨홀 110 : 맨홀 프레임
111 : 개구 112 : 러그
113 : 회전홈부 114 : 거치홈부
115 : 스토퍼 116 : 쇼버
120 : 도어 121 : 유닛 레일
123 : 제1 수납 공간부 124 : 동력 콘센트
125 : 제2 수납 공간부 126 : 전원선
130 : 안전 핸드레일 131 : 회전축부
140 : 회전식 지렛대 핸들 150 : 실링 유닛
151 : 삽입부 152 : 나사식 지지돌기부
153 : 완충부 154 : 완충공간
155 : 격벽부 161 : 도어 열림 감지부
162 : 램프 163 : 출입 감지부
164 : 카운터 165 : 디스플레이
170 : 컨트롤러

Claims (13)

  1. 내부가 빈 맨홀 프레임;
    상기 맨홀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맨홀 프레임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낙하 방지를 위하여 상기 맨홀 프레임에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 핸드레일; 및
    상기 안전 핸드레일에 결합되며, 상기 안전 핸드레일의 직립 상태를 유지시키는 회전식 지렛대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맨홀 프레임과 접하는 상기 도어의 내측 둘레에 결합되되 상기 맨홀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도어의 외부와 내부를 실링하는 실링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외곽을 이루는 테두리부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테두리부보다 높이가 낮아 상기 도어를 닫았을 때 실링을 보호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실링 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닛 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안전 맨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유닛은,
    상기 유닛 레일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유닛 레일의 외벽에 지지되는 나사식 지지돌기부;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도어 내부 및 외부의 공기를 차단하여 악취 방지기능을 제공하는 한편 내부에 완충공간이 형성되는 완충부; 및
    상기 삽입부와 상기 완충부 사이의 경계를 이루되 상기 유닛 레일의 단부가 지지되는 격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안전 맨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핸드레일에는 회전축심을 형성하되 비원형 형상을 갖는 회전축부가 마련되며,
    상기 회전축부에 대응되는 상기 맨홀 프레임에는 상기 회전축부를 지지하는 러그가 형성되되 상기 러그에는 상기 회전축부의 회전을 허용하는 회전홈부와, 상기 회전홈부와 연통되되 상기 안전 핸드레일이 직립될 때 상기 회전축부가 고정된 위치를 형성하게 거치시키는 거치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안전 맨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 프레임에는 상기 안전 핸드레일의 하향 회전을 저지시키는 스토퍼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안전 맨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 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는 도어 열림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안전 맨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벽에 결합되는 램프; 및
    상기 도어의 개방 시 상기 도어 열림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램프의 동작이 온(on)되게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안전 맨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 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맨홀 프레임 내를 출입하는 작업자를 출입을 감지하는 출입 감지부;
    상기 출입 감지부에 의한 출입 감지의 회수를 측정하는 카운터; 및
    상기 도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카운터의 카운팅 횟수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안전 맨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외부 일측에는 제1 수납 공간부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수납 공간부에는 동력 콘센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안전 맨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납 공간부에는 상기 램프를 별도로 온/오프(on/off)하기 위한 3로 스위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안전 맨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외부 타측에는 제2 수납 공간부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2 수납 공간부에는 전원선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안전 맨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 프레임과 상기 도어에 연결되는 쇼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안전 맨홀.
KR1020180106772A 2018-09-06 2018-09-06 다기능 안전 맨홀 KR102168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772A KR102168036B1 (ko) 2018-09-06 2018-09-06 다기능 안전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772A KR102168036B1 (ko) 2018-09-06 2018-09-06 다기능 안전 맨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269A KR20200028269A (ko) 2020-03-16
KR102168036B1 true KR102168036B1 (ko) 2020-10-20

Family

ID=69948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772A KR102168036B1 (ko) 2018-09-06 2018-09-06 다기능 안전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80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1142A1 (en) * 2020-11-10 2022-05-19 Rkn Solutions Aps Access system for an underground install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524B1 (ko) * 2024-01-10 2024-05-13 (주)현대워터텍 접이식 안전 바 부착형 안전 맨홀 덮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40784A1 (en) * 2002-08-29 2004-03-04 Johnson Robert Aaron Pipeline construction safety platform
KR200393387Y1 (ko) * 2005-06-10 2005-08-18 김상태 맨홀개방 감시시스템
KR101526148B1 (ko) * 2014-09-04 2015-06-05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수동식 안전 맨홀 커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370B1 (ko) 2014-09-04 2015-02-12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자동식 안전 맨홀 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40784A1 (en) * 2002-08-29 2004-03-04 Johnson Robert Aaron Pipeline construction safety platform
KR200393387Y1 (ko) * 2005-06-10 2005-08-18 김상태 맨홀개방 감시시스템
KR101526148B1 (ko) * 2014-09-04 2015-06-05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수동식 안전 맨홀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1142A1 (en) * 2020-11-10 2022-05-19 Rkn Solutions Aps Access system for an underground instal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269A (ko) 202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8036B1 (ko) 다기능 안전 맨홀
WO2014077064A1 (ja) 防水板装置
ES2589780T3 (es) Un método para hacer funcionar un depósito de recogida de residuos y un sistema para controlar el funcionamiento del mismo
US11008728B2 (en) Manhole device
KR101508127B1 (ko)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US10435909B2 (en)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KR200471702Y1 (ko)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
KR101462964B1 (ko) 다중이용시설용 비상탈출장치
KR200387058Y1 (ko) 하수구 이중 배출 구조
AU624290B2 (en) Security apparatus
JP2002266358A (ja) マンホール立て坑内設置の中間ステージ
KR100661917B1 (ko) 지하통로 환기구의 차수문 개폐장치
CN209854894U (zh) 一种市政道路窨井盖
CN109098481A (zh) 一种幼儿园活动场地使用的应急避难箱子
KR200194520Y1 (ko) 천막 회전터널형 지상주차장치
KR100487672B1 (ko) 지하철 외부 출입구 차수판
CN109972723A (zh) 一种市政井盖
KR102674505B1 (ko) 빗물 유입 방지를 위한 롤링형 차수장치
KR102564278B1 (ko)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맨홀용 안전커버
CN213807445U (zh) 一种智能感应防洪挡板
KR20240061373A (ko)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
KR20130078011A (ko) 건물/지하층의 침수방지를 위한 차수장치
KR200375976Y1 (ko) 역류방지 및 악취차단장치
KR101506245B1 (ko) 출입문 개폐장치
KR101040195B1 (ko) 측벽용 갤러리 창호의 자동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