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995B1 -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995B1
KR102167995B1 KR1020180131671A KR20180131671A KR102167995B1 KR 102167995 B1 KR102167995 B1 KR 102167995B1 KR 1020180131671 A KR1020180131671 A KR 1020180131671A KR 20180131671 A KR20180131671 A KR 20180131671A KR 102167995 B1 KR102167995 B1 KR 102167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risk
internal control
ledger
eval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8966A (ko
Inventor
신중배
박승혁
Original Assignee
(주)위비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비즈테크 filed Critical (주)위비즈테크
Priority to KR1020180131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995B1/ko
Priority to PCT/KR2019/002876 priority patent/WO2020091155A1/ko
Publication of KR20200048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1Overseas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무역 관련 업체의 거래업체 관리대장, 위험요소 관리대장, 내부통제 관리대장 및 일반 관리대장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AEO(Authorized Economic Operator) 인증을 위한 심사 준비 및 인증 후 사후 관리를 자동화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래업체 관리대장을 이용하여, 상기 무역 관련 업체가 거래하는 거래업체의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를 평가 및 관리하는 거래업체 관리부; 상기 위험요소 관리대장을 이용하여, 상기 무역 관련 업체의 위험요소를 식별 및 평가하고, 상기 위험요소에 대해 위험 관리에 대한 대책과 평가 계획을 등록 및 관리하는 위험요소 관리부; 및 상기 내부통제 관리대장을 이용하여, 상기 무역 관련 업체의 내부통제 항목을 식별 및 평가하고, 상기 내부통제 항목 중 부적합으로 평가된 내부통제 항목에 대한 대책을 등록 및 관리하는 내부통제 관리부를 포함하는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ertifying trading related companies}
본 발명은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역 관련 업체의 거래업체 관리대장, 위험요소 관리대장, 내부통제 관리대장 및 일반 관리대장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AEO(Authorized Economic Operator) 인증을 위한 심사 준비 및 인증 후 사후 관리를 자동화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계관세기구(WCO: World Customs Organization)는 전 세계적으로 수출입 보안을 강화하여 테러에 대응하고, 보안이 취약한 물품에 대해 세관 통관 시 검사 강화를 위해, 안전 프레임워크에 따른 국제 공인 제도인 AEO(Authorized Economic Operator)를 정의하고, 도입을 의무화하였다. AEO란 수출입 안전관리 우수공인업체를 의미하며, 수출입업체, 운송인, 창고업자, 관세사 등 무역과 관련된 업체들 중 관세당국이 법규준수, 안전관리 수준 등에 대한 심사를 실시하고 공인한 업체를 의미한다. 한국 관세청도 종합인증우수업체 공인 및 관리 업무에 관한 관세법 고시에 따라, AEO 공인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관세청은 상기 공인 제도를 통해 법규준수, 내부통제, 재무건전성, 안전관리 적정성 여부를 심사하여 수출입안전관리 우수공인업체로 AEO 인증한다.
그런데, AEO 심사를 위한 준비 작업은 자동화되지 않고 수동으로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무역 관련 업체들은 AEO 가이드라인별 심사제출서류를 작성하고 스캔 및 저장한 후, 스캔본을 소정의 파일로 변환하여 관세청 시스템에 업로드함으로써 심사를 요청한다. 관세청은 서류 및 현장 심사를 진행하여 AEO로 인증한다.
AEO 심사를 위한 준비 작업이 수동으로 진행될 경우, 무역 관련 업체가 AEO 심사를 준비하는데 장기간이 소요되고, 인력이 낭비된다. 또한, AEO 인증 심사제출서류 생성 및 보관 등의 관리가 대부분 수동으로 처리되어 불편하다. 또한, AEO 인증 이후, 위험 요소를 실시간으로 보고 및 대응하는 등의 AEO 인증과 연계된 후속 관리도 자동화되지 못해 비효율적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서의 한계와 단점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것으로, 무역 관련 업체의 거래업체 관리대장, 위험요소 관리대장, 내부통제 관리대장 및 일반 관리대장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AEO(Authorized Economic Operator) 인증을 위한 심사 준비 및 인증 후 사후 관리를 자동화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고,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역 관련 업체 인증 방법은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무역 관련 업체의 거래업체 관리대장, 위험요소 관리대장, 내부통제 관리대장 및 일반 관리대장을 포함하는 서식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AEO(Authorized Economic Operator) 인증을 위한 심사 준비 및 인증 후 사후 관리를 자동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화하는 단계는 상기 거래업체 관리대장을 이용하여, 상기 무역 관련 업체가 거래하는 거래업체의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를 평가 및 관리하는 단계; 상기 위험요소 관리대장을 이용하여, 상기 무역 관련 업체의 위험요소를 식별 및 평가하고, 상기 위험요소에 대해 위험 관리에 대한 대책과 평가 계획을 등록 및 관리하는 단계; 상기 내부통제 관리대장을 이용하여, 상기 무역 관련 업체의 내부통제 항목을 식별 및 평가하고, 상기 내부통제 항목 중 부적합으로 평가된 내부통제 항목에 대한 대책을 등록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래업체 관리대장은 거래업체 정보,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 질의서, 안전관리준수 요구서, 거래업체 발송내역 관리대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험요소 관리대장은 이상상황 발생 관리대장 및 오류 관리대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상황 발생 관리대장은 운송수단 및 물품정보 관리대장, 우편물 관리대장 및 시설점검 및 보수 관리대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오류 관리대장은 위험요소 체크리스트, 위험요소 식별 및 평가표, 위험평가 계획서, 위험평가 결과보고서, 위험관리 대책서, 위험관리대책 평가서 및 법규준수 및 안전관리 세부목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통제 관리대장은 위험요소 체크리스트, 내부통제활동 평가 계획서, 내부통제활동 평가 결과보고서, 부적합 내부통제활동 관리대책서, 개선대책 실행결과 보고서 및 법규준수 및 안전관리 세부목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반 관리대장은 임시 출입증 관리 대장, 접근통제장치 불출 대장, 분실 사유서, 입사지원정보 진위여부 및 배경점검대장, 재직자 배경 점검 대장, AEO 조직도, AEO 업무분장표, 관세행정 발전 프로그램 참여관리대장, 윤리경영 실천 서약서, 법규등록부, 인적사항 명세서, 경영방침, 거래업체 협의대장, 직원명부, 이동식 저장매체 불출 관리대장 및 이동식 저장매체 바이러스 점검내역 관리대장, 방문자 관리대장, 상시 출입증 관리대장, 접근통제장치 관리대장, 직원 식별표식 관리대장, 연간 교육계획서, 교육보고서 및 퇴직절차 이행 확인 대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래업체의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를 평가 및 관리하는 단계는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업체의 평가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거래업체 정보의 이메일 계정으로 상기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 질의서를 전송하는 단계;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 질의서에 대한 응답을 수신 하는 단계; 질의서 전송 내역 및 응답 수신 내역을 작성 및 갱신하여 상기 거래업체 발송내역 관리대장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래업체의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를 평가 및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 질의서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전체 질의서 항목 중 상기 거래업체가 적합으로 평가한 항목의 개수 비율로 평가점수 및 평가등급을 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역 관련 업체의 위험요소를 식별 및 평가하고, 상기 위험요소에 대해 위험 관리에 대한 대책과 평가 계획을 등록 및 관리하는 단계는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요소 각각의 항목에 대한 발생가능성 점수 범위, 영향도 점수 범위 및 위험등급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위험요소 체크리스트 및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업무분류 항목 각각에 대한 상기 위험요소, 상기 발생가능성 점수 및 상기 영향도 점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위험요소에 대한 평가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발생가능성 점수 및 상기 영향도 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요소 각각의 항목에 대한 위험성을 평가하여 상기 위험요소 식별 및 평가표를 획득하고, 상기 위험성이 상기 위험등급 중 고위험으로 평가된 경우 위험 관리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고위험으로 평가된 상기 위험요소 각각의 항목에 대한 위험관리 대책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위험관리 대책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고위험으로 평가된 상기 위험요소 각각의 항목에 대한 위험관리 대책 평가를 계획하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위험관리대책 평가서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역 관련 업체의 내부통제 항목을 식별 및 평가하고, 상기 내부통제 항목 중 부적합으로 평가된 내부통제 항목에 대한 대책을 등록 및 관리하는 단계는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내부통제 항목의 평가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내부통제활동에 대한 상기 내부통제활동 평가 계획서를 상기 서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고 갱신하는 단계; 상기 내부통제 항목 각각에 대해 적합 및 부적합 중 하나의 평가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부적합으로 평가된 상기 내부통제 항목 각각에 대해서 내부통제 관리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내부통제활동에 대한 상기 내부통제활동 평가 결과보고서를 상기 서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고 갱신하는 단계; 상기 부적합으로 평가된 상기 내부통제 항목 각각에 대해서 부적합 내부통제활동 관리대책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역 관련 업체는 수출업체, 수입업체, 관세사, 화물운송주선업자, 보세운송업체, 선박회사, 항공사, 보세구역 운영업체 및 하역업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은 무역 관련 업체의 거래업체 관리대장, 위험요소 관리대장, 내부통제 관리대장 및 일반 관리대장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AEO(Authorized Economic Operator) 인증을 위한 심사 준비 및 인증 후 사후 관리를 자동화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래업체 관리대장을 이용하여, 상기 무역 관련 업체가 거래하는 거래업체의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를 평가 및 관리하는 거래업체 관리부; 상기 위험요소 관리대장을 이용하여, 상기 무역 관련 업체의 위험요소를 식별 및 평가하고, 상기 위험요소에 대해 위험 관리에 대한 대책과 평가 계획을 등록 및 관리하는 위험요소 관리부; 및 상기 내부통제 관리대장을 이용하여, 상기 무역 관련 업체의 내부통제 항목을 식별 및 평가하고, 상기 내부통제 항목 중 부적합으로 평가된 내부통제 항목에 대한 대책을 등록 및 관리하는 내부통제 관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역 관련 업체의 거래업체 관리대장, 위험요소 관리대장, 내부통제 관리대장 및 일반 관리대장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AEO 인증을 위한 심사 준비 및 인증 후 사후 관리를 자동화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클라우드 기반으로 AEO의 공인 인증 및 운영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을 자동화하고, AEO 인증 보급을 확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AEO 신청 준비 과정 및 예비 심사 과정을 전산화하고 자동화함으로써, 무역 관련 업체의 AEO 인증 업무를 저비용으로 간소화 및 표준화할 수 있다. 또한, AEO 가이드라인의 표준화 및 전산화를 통해 AEO 공인 심사 준비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AEO 인증 이후, 플랫폼을 통해 획득한 빅데이터 기반으로, 위험 요소 등의 사후 관리 및 자체 평가를 실시간으로 보고 및 대응하는 등 AEO 인증과 연계된 후속 관리도 효율적으로 자동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역 관련 업체 인증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글로벌 관세무역의 최대 이슈인 국내 기업들의 수출입 화물 안전 확보가 가능하여, 수출입 기업 및 산업을 육성하고 국가 물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더 나아가 신 물류 시장 창출 및 진입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의 관리대장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래업체 관리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래업체 발송내역 관리 화면을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래업체 관리부에 의해 거래업체의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를 평가 및 관리하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요소 관리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8은 특정 업무분류에 속하는 위험요소 항목 각각을 예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요소 관리부에 의해 무역 관련 업체의 위험요소를 평가하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통제 관리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통제 관리부에 의해 무역 관련 업체의 내부통제 항목을 평가하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역 관련 업체 인증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 상에서 각 구성 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120)은 무역 관련 업체(110)가 AEO(Authorized Economic Operator) 인증 기관(130)으로부터 AEO 인증을 받기 위해 심사를 준비하는 작업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자동화한다. AEO란 수출입 안전관리 우수공인업체를 의미하며, 무역 관련 업체(110) 중 관세당국이 법규준수, 안전관리 수준 등에 대한 심사를 실시하고 공인한 업체를 의미한다. 무역 관련 업체(110)는 수출업체, 수입업체, 관세사, 화물운송주선업자, 보세운송업체, 선박회사, 항공사, 보세구역 운영업체 및 하역업체를 포함한다. 거래업체(140)는 무역 관련 업체(110)와 거래하는 업체로서, 무역 관련 업체(110)가 AEO 인증을 위해 관리해야 하는 업체를 의미한다.
한국 관세청은 종합인증우수업체 공인 및 관리 업무에 관한 관세법 고시에 따라, AEO 인증 기관(130)으로서 AEO 공인 제도를 시행한다. 관세청은 상기 공인 제도를 통해 무역 관련 업체(110)의 법규준수, 내부통제, 재무건전성, 안전관리 적정성 여부를 심사하여 수출입안전관리 우수공인업체로 AEO 인증한다.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120)은 AEO 인증을 위한 심사제출서류를 표준서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로 제공하고, AEO 인증을 위한 심사 준비 및 인증 후 사후 관리를 자동화한다. 데이터베이스는 거래업체 관리대장, 위험요소 관리대장, 내부통제 관리대장 및 일반 관리대장을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관리대장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인 이하 도 3을 통해 후술한다.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120)은 AEO 인증 심사를 위해 필요한 심사제출서류를 전산화 및 자동화함으로써, 무역 관련 업체(110)가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120)을 통해 AEO 인증을 위한 심사 준비 업무를 저비용으로 간소화되고 표준화된 절차에 따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무역 관련 업체(110)는 AEO 인증을 위한 심사제출서류를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120)을 통해 획득하여 AEO 인증 기관(130)이 운영하는 시스템에 제출함으로써, AEO 인증 기관(130)에 심사요청을 의뢰한다.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120)을 통해 무역 관련 업체(110)는 AEO 공인 심사 준비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120)은 AEO 인증을 위한 심사 준비 단계에서 획득한 빅데이터 기반으로, AEO 인증 이후에도 위험요소, 거래업체, 내부통제활동 등의 사후 관리 및 자체 평가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AEO 인증과 연계된 후속 관리도 효율적으로 자동화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120)을 통해 글로벌 관세무역의 최대 이슈인 국내 기업들의 수출입 화물 안전 확보가 가능하여, 수출입 기업 및 산업을 육성하고 국가 물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더 나아가 신 물류 시장 창출 및 진입 가능성 기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200)은 데이터베이스(210) 및 프로세서(22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210)는 무역 관련 업체(110)의 거래업체 관리대장, 위험요소 관리대장, 내부통제 관리대장 및 일반 관리대장을 표준서식으로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210)에 포함된 관리대장의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 도 3을 통해 상세히 후술한다.
프로세서(220)는 AEO 인증을 위한 심사 준비 및 인증 후 사후 관리를 자동화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220)는 거래업체 관리부(230), 위험요소 관리부(240) 및 내부통제 관리부(250)를 포함한다.
거래업체 관리부(230)는 상기 거래업체 관리대장을 이용하여, 무역 관련 업체(110)가 거래하는 거래업체의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를 평가 및 관리한다. 거래업체 관리부(230)의 구체적인 동작은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상세히 후술한다.
위험요소 관리부(240)는 위험요소 관리대장을 이용하여, 무역 관련 업체(110)의 위험요소를 식별 및 평가하고, 상기 위험요소에 대해 위험 관리에 대한 대책과 평가 계획을 등록 및 관리한다. 위험요소 관리부(240)의 구체적인 동작은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통해 상세히 후술한다.
내부통제 관리부(250)는 내부통제 관리대장을 이용하여, 무역 관련 업체(110)의 내부통제 항목을 식별 및 평가하고, 상기 내부통제 항목 중 부적합으로 평가된 내부통제 항목에 대한 대책을 등록 및 관리한다. 내부통제 관리부(250)의 구체적인 동작은 이하 도 10 및 도 11을 통해 상세히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의 관리대장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120)의 데이터베이스(210)는 거래업체 관리대장(310), 위험요소 관리대장(320), 내부통제 관리대장(330) 및 일반 관리대장(340)을 포함한다.
거래업체 관리대장(310)은 거래업체 정보,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 질의서, 안전관리준수 요구서, 거래업체 발송내역 관리대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위험요소 관리대장(320)은 이상상황 발생 관리대장 및 오류 관리대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이상상황 발생 관리대장은 운송수단 및 물품정보 관리대장, 우편물 관리대장 및 시설점검 및 보수 관리대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오류 관리대장은 위험요소 체크리스트, 위험요소 식별 및 평가표, 위험평가 계획서, 위험평가 결과보고서, 위험관리 대책서, 위험관리대책 평가서 및 법규준수 및 안전관리 세부목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내부통제 관리대장(330)은 위험요소 체크리스트, 내부통제활동 평가 계획서, 내부통제활동 평가 결과보고서, 부적합 내부통제활동 관리대책서, 개선대책 실행결과 보고서 및 법규준수 및 안전관리 세부목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반 관리대장(340)은 임시 출입증 관리 대장, 접근통제장치 불출 대장, 분실 사유서, 입사지원정보 진위여부 및 배경점검대장, 재직자 배경 점검 대장, AEO 조직도, AEO 업무분장표, 관세행정 발전 프로그램 참여관리대장, 윤리경영 실천 서약서, 법규등록부, 인적사항 명세서, 경영방침, 거래업체 협의대장, 직원명부, 이동식 저장매체 불출 관리대장 및 이동식 저장매체 바이러스 점검내역 관리대장, 방문자 관리대장, 상시 출입증 관리대장, 접근통제장치 관리대장, 직원 식별표식 관리대장, 연간 교육계획서, 교육보고서 및 퇴직절차 이행 확인 대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120)은 무역 관련 업체(110)의 거래업체 관리대장, 위험요소 관리대장, 내부통제 관리대장 및 일반 관리대장을 표준서식으로 데이터베이스(210)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무역 관련 업체(110)가 표준서식을 이용하여 심사제출서류를 생성 및 갱신할 수 있다.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120)은 심사제출서류를 웹 리포트로 인쇄하고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래업체 관리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거래업체 관리부(400)는 무역 관련 업체(110)가 거래하는 거래업체의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를 평가 및 관리한다. 거래업체 관리부(400)는 평가주기 설정부(410), 질의서 전송부(420), 질의서 응답 수신부(430) 및 질의서 발송내역 관리부(440)를 포함한다.
평가주기 설정부(410)는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거래업체의 평가주기를 설정한다. 무역 관련 업체(110)의 AEO 담당자는 평가주기 설정부(410)를 통해 거래업체의 평가주기를 특정 주기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평가주기는 최초 2년으로 설정되고 이후에는 매년 주기로 설정될 수 있다.
질의서 전송부(420)는 거래업체 정보의 이메일 계정으로 상기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 질의서를 전송한다. 거래업체 정보는 업체명, 업체 고유번호, 업종, 공급명 구분, 대표자, 사업자등록번호, 소재지, AEO 담당자, 메일주소, 연락처, 거래규모 및 거래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120)은 무역 관련 업체(110) 또는 거래업체(140)로부터의 외부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업체 정보를 획득한다.
질의서 응답 수신부(430)는 거래업체(140)로부터의 외부입력에 의해 상기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 질의서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질의서 발송내역 관리부(440)는 질의서 전송 내역 및 응답 수신 내역을 작성하고 갱신하여, 상기 거래업체 발송내역 관리대장을 획득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거래업체 발송내역 관리대장이 질의서 전송 여부 및 질의서 발송일자를 포함함을 알 수 있다.
거래업체 관리부(400)는 평가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평가부는 상기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 질의서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전체 질의서 항목 중 거래업체(140)가 적합으로 평가한 항목의 개수 비율로 상기 거래업체의 법규준수도 및 재무건전성을 평가한다. 평가부의 구체적인 동작은 이하 도 6을 통해 상세히 후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래업체 관리부에 의해 거래업체의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를 평가 및 관리하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질의서 응답 수신부(430)는 상기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 질의서 중 법규준수도 관련 항목 및 재무 건전성 관련 항목 각각에 대해서, 거래업체(140)로부터의 외부입력에 의해 "적합" 또는 "부적합" 응답을 수신한다.
상기 평가부는 전체 질의서 항목 중 거래업체(140)가 적합으로 평가한 항목의 개수 비율로 평가점수 및 평가등급을 산정한다. 상기 평가점수 및 상기 평가등급으로 상기 거래업체의 법규준수도 및 재무건전성을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평가부는 상기 평가점수가 70% 이하이면 고위험 평가등급, 상기 평가점수가 70% 초과이면 저위험 평가등급, 상기 평가 점수가 100%이면 안전 평가등급으로 산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요소 관리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위험요소 관리부(700)는 위험요소 관리대장을 이용하여, 무역 관련 업체(110)의 위험요소를 식별 및 평가하고, 상기 위험요소에 대해 위험 관리에 대한 대책과 평가 계획을 등록 및 관리한다. 도 8은 특정 업무분류에 속하는 위험요소 항목 각각을 예시한다. 위험요소 관리부(700)는 위험 평가기준 설정부(710), 위험요소 데이터 획득부(720), 위험요소 평가부(730), 위험요소 대책 관리부(740) 및 위험요소 대책 평가계획부(750)를 포함한다.
위험 평가기준 설정부(710)는 상기 위험요소 각각의 항목에 대한 발생가능성 점수 범위, 영향도 점수 범위 및 위험등급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발생가능성 점수 범위는 5단계 점수 범위로, 영향도 점수 범위는 5단계 점수 범위로, 위험등급은 고위험, 중위험, 저위험 및 잠재위험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다양한 설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위험요소 데이터 획득부(720)는 상기 위험요소 체크리스트 및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업무분류 항목 각각에 대한 상기 위험요소, 상기 발생가능성 점수 및 상기 영향도 점수를 획득한다.
위험요소 평가부(730)는 상기 위험요소에 대한 평가기간을 설정한다. 무역 관련 업체(110)의 AEO 담당자는 위험요소 평가부(730)를 통해 위험요소의 평가기간을 특정 기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험요소의 평가기간은 1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위험요소 평가부(730)는 위험요소 데이터 획득부(720)에 의해 획득한, 상기 발생가능성 점수 및 상기 영향도 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요소 각각의 항목에 대한 위험성을 평가하여 상기 위험요소 식별 및 평가표를 획득한다. 위험요소 평가부(730)는 상기 위험성이 상기 위험등급 중 고위험으로 평가된 경우 위험 관리번호를 생성한다. 위험요소 평가부(730)의 구체적인 동작은 이하 도 9를 통해 상세히 후술한다.
위험요소 대책 관리부(740)는 데이터베이스(210)가 제공하는 표준서식 및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고위험으로 평가된 상기 위험요소 각각의 항목에 대한 위험관리 대책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위험관리 대책서를 획득한다.
위험요소 대책 평가계획부(750)는 데이터베이스(210)가 제공하는 표준서식 및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고위험으로 평가된 상기 위험요소 각각의 항목에 대한 위험관리 대책 평가를 계획하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위험관리대책 평가서를 획득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요소 관리부에 의해 무역 관련 업체의 위험요소를 평가하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위험요소 관리부(700)의 위험요소 평가부(730)는 위험요소 데이터 획득부(720)에 의해 획득한, 상기 발생가능성 점수 및 상기 영향도 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요소 각각의 항목에 대한 위험성을 평가한다. 예를 들어, 위험성은 상기 발생가능성 점수와 상기 영향도 점수의 곱으로 계산될 수 있다. 위험요소 평가부(730)는 평가된 위험성에 기초하여, 위험등급을 자동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발생가능성 점수가 "발생가능성 5"이고, 영향도 점수가 "영향성 1"일 경우, 위험 평가기준 설정부(710)가 위험등급을 "고위험"으로 설정해둔 경우, 위험요소 평가부(730)는 해당 위험요소 항목에 대해 위험등급을 "고위험"으로 표시한다. 위험요소 평가부(730)는 상기 위험등급이 고위험으로 평가된 경우 위험 관리번호를 생성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통제 관리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내부통제 관리부(1000)는 내부통제 관리대장을 이용하여, 무역 관련 업체(110)의 내부통제 항목을 식별 및 평가하고, 상기 내부통제 항목 중 부적합으로 평가된 내부통제 항목에 대한 대책을 등록 및 관리한다. 내부통제 관리부(1000)는 평가주기 설정부(1010), 내부통제활동 평가 계획부(1020), 내부통제활동 평가부(1030), 내부통제활동 평가 결과보고서 생성부(1040) 및 부적합 내부통제활동 관리대책서 생성부(1050)를 포함한다.
평가주기 설정부(1010)는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내부통제 항목의 평가주기를 설정한다. 평가주기 설정부(1010)는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내부통제 항목의 평가주기를 설정한다. 무역 관련 업체(110)의 AEO 담당자는 평가주기 설정부(1010)를 통해 내부통제 항목의 평가주기를 특정 주기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평가주기는 최초 2년으로 설정되고 이후에는 매월 주기로 설정될 수 있다.
내부통제활동 평가 계획부(1020)는 내부통제활동에 대한 상기 내부통제활동 평가 계획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고 갱신한다. 상기 내부통제활동 평가 계획서는 내부통제활동 평가 목적, 평가단 구성, 평가단 사업장, 평가범위, 평가기간, 평가일정, 평가기준 및 비고를 포함한다.
내부통제활동 평가부(1030)는 외부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내부통제 항목 각각에 대해 부적합값 및 샘플값을 입력받는다. 내부통제활동 평가부(1030)는 상기 부적합값 및 상기 샘플값에 기초하여, 상기 내부통제 항목 각각에 대해 적합 및 부적합 중 하나의 평가 결과를 생성한다. 내부통제활동 평가부(1030)는 부적합으로 평가된 상기 내부통제 항목 각각에 대해서 내부통제 관리번호를 생성한다. 내부통제활동 평가부(1030)의 구체적인 동작은 이하 도 11을 통해 상세히 후술한다.
내부통제활동 평가 결과보고서 생성부(1040)는 데이터베이스(210)가 제공하는 표준서식 및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내부통제활동에 대한 상기 내부통제활동 평가 결과보고서를 획득하고 갱신한다. 상기 내부통제활동 평가 결과보고서는 내부통제활동평가 목적, 평가단 구성, 평가단 사업장, 평가범위, 평가기간, 평가결과, 개선대책 수립 내역 및 향후 일정을 포함한다.
부적합 내부통제활동 관리대책서 생성부(1050)는 데이터베이스(210)가 제공하는 표준서식 및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부적합으로 평가된 상기 내부통제 항목 각각에 대해서 부적합 내부통제활동 관리대책서를 생성한다. 상기 부적합 내부통제활동 관리대책서는 관리번호, 업무분류, 내부통제활동, 내부통제활동 관련 근거, 평가방법, 평가내용, 개선대책, 개선대책 실행기간, 평가일정, 개선대책 실행계획, 개선목표, 담당부서, 책임자를 포함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통제 관리부에 의해 무역 관련 업체의 내부통제 항목을 평가하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내부통제 관리부(1000)의 내부통제활동 평가부(1030)는 무역 관련 업체(110)로부터의 외부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내부통제 항목 각각에 대해 부적합값 및 샘플값을 입력받는다. 부적합값 및 샘플값은 내부통제 항목 각각에 대해서 내부통제활동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지정하는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샘플값은 출장보고서 중 일부를 추출하여 서명 여부를 확인하는 표본조사를 시행하여, 서명이 된 경우의 개수를 카운트한 값을 의미한다. 최초 입력 시, 부적합값이 0이 아닌 1 내지 100 사이 값으로 입력되어 있으면, 내부통제 관리부(1000)는 "부적합"의 평가 결과를 생성한다. 내부통제활동 평가부(1030)는 부적합으로 평가된 상기 내부통제 항목 각각에 대해서 내부통제 관리번호를 생성한다. 이후, 표본조사를 시행한 결과 샘플값이 입력되거나 변경되면, 부적합값 대비 샘플값의 비율을 계산하여 평가 결과를 갱신한다. 예를 들어, 부적합값 대비 샘플값의 비율이 10%를 초과하면 평가 결과는 "적합"으로 갱신되고, 기 생성된 내부통제 관리번호가 있을 경우 관리번호를 삭제한다. 부적합값 대비 샘플값의 비율이 10% 이하이면 평가 결과는 "부적합"으로 갱신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역 관련 업체 인증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단계 1210에서,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200)은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무역 관련 업체의 거래업체 관리대장, 위험요소 관리대장, 내부통제 관리대장 및 일반 관리대장을 포함하는 서식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200)은 AEO 인증을 위한 심사 준비 및 인증 후 사후 관리를 자동화한다.
단계 1220에서,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200)은 상기 거래업체 관리대장을 이용하여, 상기 무역 관련 업체가 거래하는 거래업체의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를 평가 및 관리한다. 단계 1220는 상기 거래업체의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평가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거래업체 정보의 이메일 계정으로 상기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 질의서를 전송하는 단계, 외부입력에 의해 상기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 질의서에 대한 응답을 수신 하는 단계; 질의서 전송 내역 및 응답 수신 내역을 작성 및 갱신하여 상기 거래업체 발송내역 관리대장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220는 상기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 질의서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전체 질의서 항목 중 상기 거래업체가 적합으로 평가한 항목의 개수 비율로 평가점수 및 평가등급을 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1230에서,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200)은 상기 위험요소 관리대장을 이용하여, 상기 무역 관련 업체의 위험요소를 식별 및 평가하고, 상기 위험요소에 대해 위험 관리에 대한 대책과 평가 계획을 등록 및 관리한다. 단계 1230은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요소 각각의 항목에 대한 발생가능성 점수 범위, 영향도 점수 범위 및 위험등급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위험요소 체크리스트 및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업무분류 항목 각각에 대한 상기 위험요소, 상기 발생가능성 점수 및 상기 영향도 점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위험요소에 대한 평가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발생가능성 점수 및 상기 영향도 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요소 각각의 항목에 대한 위험성을 평가하여 상기 위험요소 식별 및 평가표를 획득하고, 상기 위험성이 상기 위험등급 중 고위험으로 평가된 경우 위험 관리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고위험으로 평가된 상기 위험요소 각각의 항목에 대한 위험관리 대책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위험관리 대책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고위험으로 평가된 상기 위험요소 각각의 항목에 대한 위험관리 대책 평가를 계획하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위험관리대책 평가서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240에서,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200)은 상기 내부통제 관리대장을 이용하여, 상기 무역 관련 업체의 내부통제 항목을 식별 및 평가하고, 상기 내부통제 항목 중 부적합으로 평가된 내부통제 항목에 대한 대책을 등록 및 관리한다. 단계 1240은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내부통제 항목의 평가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내부통제활동에 대한 상기 내부통제활동 평가 계획서를 상기 서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고 갱신하는 단계, 상기 내부통제 항목 각각에 대해 적합 및 부적합 중 하나의 평가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부적합으로 평가된 상기 내부통제 항목 각각에 대해서 내부통제 관리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내부통제활동에 대한 상기 내부통제활동 평가 결과보고서를 상기 서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고 갱신하는 단계, 상기 부적합으로 평가된 상기 내부통제 항목 각각에 대해서 부적합 내부통제활동 관리대책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software) 또는 하드웨어(hardware)로 구성된다. 알고리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알고리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디지털 신호 처리 디바이스(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알고리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으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 각각의 유닛들에 커플링된 버스, 상기 버스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명령, 수신된 메시지 또는 생성된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버스에 커플링되고, 전술한 바와 같은 명령들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Claims (21)

  1. 무역 관련 업체의 거래업체 관리대장, 위험요소 관리대장, 내부통제 관리대장 및 일반 관리대장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AEO(Authorized Economic Operator) 인증을 위한 심사 준비 및 인증 후 사후 관리를 자동화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래업체 관리대장을 이용하여, 상기 무역 관련 업체가 거래하는 거래업체의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를 평가 및 관리하는 거래업체 관리부;
    상기 위험요소 관리대장을 이용하여, 상기 무역 관련 업체의 위험요소를 식별 및 평가하고, 상기 위험요소에 대해 위험 관리에 대한 대책과 평가 계획을 등록 및 관리하는 위험요소 관리부; 및
    상기 내부통제 관리대장을 이용하여, 상기 무역 관련 업체의 내부통제 항목을 식별 및 평가하고, 상기 내부통제 항목 중 부적합으로 평가된 내부통제 항목에 대한 대책을 등록 및 관리하는 내부통제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요소 관리대장은 이상상황 발생 관리대장 및 오류 관리대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상황 발생 관리대장은 운송수단 및 물품정보 관리대장, 우편물 관리대장 및 시설점검 및 보수 관리대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오류 관리대장은 위험요소 체크리스트, 위험요소 식별 및 평가표, 위험평가 계획서, 위험평가 결과보고서, 위험관리 대책서, 위험관리대책 평가서 및 법규준수 및 안전관리 세부목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업체 관리대장은 거래업체 정보,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 질의서, 안전관리준수 요구서, 거래업체 발송내역 관리대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통제 관리대장은 위험요소 체크리스트, 내부통제활동 평가 계획서, 내부통제활동 평가 결과보고서, 부적합 내부통제활동 관리대책서, 개선대책 실행결과 보고서 및 법규준수 및 안전관리 세부목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관리대장은 임시 출입증 관리 대장, 접근통제장치 불출 대장, 분실 사유서, 입사지원정보 진위여부 및 배경점검대장, 재직자 배경 점검 대장, AEO 조직도, AEO 업무분장표, 관세행정 발전 프로그램 참여관리대장, 윤리경영 실천 서약서, 법규등록부, 인적사항 명세서, 경영방침, 거래업체 협의대장, 직원명부, 이동식 저장매체 불출 관리대장 및 이동식 저장매체 바이러스 점검내역 관리대장, 방문자 관리대장, 상시 출입증 관리대장, 접근통제장치 관리대장, 직원 식별표식 관리대장, 연간 교육계획서, 교육보고서 및 퇴직절차 이행 확인 대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업체 관리부는 평가주기 설정부, 질의서 전송부, 질의서 응답 수신부 및 질의서 발송내역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주기 설정부는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업체의 평가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질의서 전송부는 상기 거래업체 정보의 이메일 계정으로 상기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 질의서를 전송하고;
    상기 질의서 응답 수신부는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 질의서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질의서 발송내역 관리부는 질의서 전송 내역 및 응답 수신 내역을 작성 및 갱신하여 상기 거래업체 발송내역 관리대장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업체 관리부는 거래업체 평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래업체 평가부는 상기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 질의서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전체 질의서 항목 중 상기 거래업체가 적합으로 평가한 항목의 개수 비율로 평가점수 및 평가등급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요소 관리부는 위험 평가기준 설정부, 위험요소 데이터 획득부, 위험요소 평가부, 위험요소 대책 관리부 및 위험요소 대책 평가계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 평가기준 설정부는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요소 각각의 항목에 대한 발생가능성 점수 범위, 영향도 점수 범위 및 위험등급을 설정하고;
    상기 위험요소 데이터 획득부는 상기 위험요소 체크리스트 및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업무분류 항목 각각에 대한 상기 위험요소, 상기 발생가능성 점수 및 상기 영향도 점수를 획득하고;
    상기 위험요소 평가부는 상기 위험요소에 대한 평가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발생가능성 점수 및 상기 영향도 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요소 각각의 항목에 대한 위험성을 평가하여 상기 위험요소 식별 및 평가표를 획득하고, 상기 위험성이 상기 위험등급 중 고위험으로 평가된 경우 위험 관리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위험요소 대책 관리부는 상기 고위험으로 평가된 상기 위험요소 각각의 항목에 대한 위험관리 대책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위험관리 대책서를 획득하고;
    상기 위험요소 대책 평가계획부는 상기 고위험으로 평가된 상기 위험요소 각각의 항목에 대한 위험관리 대책 평가를 계획하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위험관리대책 평가서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통제 관리부는 평가주기 설정부, 내부통제활동 평가 계획부, 내부통제활동 평가부, 내부통제활동 평가 결과보고서 생성부 및 부적합 내부통제활동 관리대책서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주기 설정부는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내부통제 항목의 평가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내부통제활동 평가 계획부는 내부통제활동에 대한 상기 내부통제활동 평가 계획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고 갱신하고;
    상기 내부통제활동 평가부는 상기 내부통제 항목 각각에 대해 적합 및 부적합 중 하나의 평가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부적합으로 평가된 상기 내부통제 항목 각각에 대해서 내부통제 관리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내부통제활동 평가 결과보고서 생성부는 내부통제활동에 대한 상기 내부통제활동 평가 결과보고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고 갱신하고;
    상기 부적합 내부통제활동 관리대책서 생성부는 상기 부적합으로 평가된 상기 내부통제 항목 각각에 대해서 부적합 내부통제활동 관리대책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역 관련 업체는 수출업체, 수입업체, 관세사, 화물운송주선업자, 보세운송업체, 선박회사, 항공사, 보세구역 운영업체 및 하역업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
  11.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무역 관련 업체의 거래업체 관리대장, 위험요소 관리대장, 내부통제 관리대장 및 일반 관리대장을 포함하는 서식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AEO(Authorized Economic Operator) 인증을 위한 심사 준비 및 인증 후 사후 관리를 자동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화하는 단계는
    상기 거래업체 관리대장을 이용하여, 상기 무역 관련 업체가 거래하는 거래업체의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를 평가 및 관리하는 단계;
    상기 위험요소 관리대장을 이용하여, 상기 무역 관련 업체의 위험요소를 식별 및 평가하고, 상기 위험요소에 대해 위험 관리에 대한 대책과 평가 계획을 등록 및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내부통제 관리대장을 이용하여, 상기 무역 관련 업체의 내부통제 항목을 식별 및 평가하고, 상기 내부통제 항목 중 부적합으로 평가된 내부통제 항목에 대한 대책을 등록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요소 관리대장은 이상상황 발생 관리대장 및 오류 관리대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상황 발생 관리대장은 운송수단 및 물품정보 관리대장, 우편물 관리대장 및 시설점검 및 보수 관리대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오류 관리대장은 위험요소 체크리스트, 위험요소 식별 및 평가표, 위험평가 계획서, 위험평가 결과보고서, 위험관리 대책서, 위험관리대책 평가서 및 법규준수 및 안전관리 세부목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역 관련 업체 인증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업체 관리대장은 거래업체 정보,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 질의서, 안전관리준수 요구서, 거래업체 발송내역 관리대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역 관련 업체 인증 방법.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통제 관리대장은 위험요소 체크리스트, 내부통제활동 평가 계획서, 내부통제활동 평가 결과보고서, 부적합 내부통제활동 관리대책서, 개선대책 실행결과 보고서 및 법규준수 및 안전관리 세부목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역 관련 업체 인증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관리대장은 임시 출입증 관리 대장, 접근통제장치 불출 대장, 분실 사유서, 입사지원정보 진위여부 및 배경점검대장, 재직자 배경 점검 대장, AEO 조직도, AEO 업무분장표, 관세행정 발전 프로그램 참여관리대장, 윤리경영 실천 서약서, 법규등록부, 인적사항 명세서, 경영방침, 거래업체 협의대장, 직원명부, 이동식 저장매체 불출 관리대장 및 이동식 저장매체 바이러스 점검내역 관리대장, 방문자 관리대장, 상시 출입증 관리대장, 접근통제장치 관리대장, 직원 식별표식 관리대장, 연간 교육계획서, 교육보고서 및 퇴직절차 이행 확인 대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역 관련 업체 인증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업체의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를 평가 및 관리하는 단계는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업체의 평가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거래업체 정보의 이메일 계정으로 상기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 질의서를 전송하는 단계;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 질의서에 대한 응답을 수신 하는 단계;
    질의서 전송 내역 및 응답 수신 내역을 작성 및 갱신하여 상기 거래업체 발송내역 관리대장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역 관련 업체 인증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업체의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를 평가 및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 질의서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전체 질의서 항목 중 상기 거래업체가 적합으로 평가한 항목의 개수 비율로 평가점수 및 평가등급을 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역 관련 업체 인증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역 관련 업체의 위험요소를 식별 및 평가하고, 상기 위험요소에 대해 위험 관리에 대한 대책과 평가 계획을 등록 및 관리하는 단계는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요소 각각의 항목에 대한 발생가능성 점수 범위, 영향도 점수 범위 및 위험등급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위험요소 체크리스트 및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업무분류 항목 각각에 대한 상기 위험요소, 상기 발생가능성 점수 및 상기 영향도 점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위험요소에 대한 평가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발생가능성 점수 및 상기 영향도 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요소 각각의 항목에 대한 위험성을 평가하여 상기 위험요소 식별 및 평가표를 획득하고, 상기 위험성이 상기 위험등급 중 고위험으로 평가된 경우 위험 관리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고위험으로 평가된 상기 위험요소 각각의 항목에 대한 위험관리 대책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위험관리 대책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고위험으로 평가된 상기 위험요소 각각의 항목에 대한 위험관리 대책 평가를 계획하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위험관리대책 평가서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역 관련 업체 인증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역 관련 업체의 내부통제 항목을 식별 및 평가하고, 상기 내부통제 항목 중 부적합으로 평가된 내부통제 항목에 대한 대책을 등록 및 관리하는 단계는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내부통제 항목의 평가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내부통제활동에 대한 상기 내부통제활동 평가 계획서를 상기 서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고 갱신하는 단계;
    상기 내부통제 항목 각각에 대해 적합 및 부적합 중 하나의 평가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부적합으로 평가된 상기 내부통제 항목 각각에 대해서 내부통제 관리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내부통제활동에 대한 상기 내부통제활동 평가 결과보고서를 상기 서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고 갱신하는 단계;
    상기 부적합으로 평가된 상기 내부통제 항목 각각에 대해서 부적합 내부통제활동 관리대책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역 관련 업체 인증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역 관련 업체는 수출업체, 수입업체, 관세사, 화물운송주선업자, 보세운송업체, 선박회사, 항공사, 보세구역 운영업체 및 하역업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역 관련 업체 인증 방법.
  21. 제11항, 제12항, 제14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80131671A 2018-10-31 2018-10-31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2167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671A KR102167995B1 (ko) 2018-10-31 2018-10-31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9/002876 WO2020091155A1 (ko) 2018-10-31 2019-03-13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671A KR102167995B1 (ko) 2018-10-31 2018-10-31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966A KR20200048966A (ko) 2020-05-08
KR102167995B1 true KR102167995B1 (ko) 2020-10-20

Family

ID=70463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671A KR102167995B1 (ko) 2018-10-31 2018-10-31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67995B1 (ko)
WO (1) WO20200911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91185B1 (en) 2020-07-20 2021-04-27 Abbott Laboratories Digital pass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CN115879748B (zh) * 2023-03-01 2023-05-12 多链互联信息科技南京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企业信息化管理集成平台
CN116663877B (zh) * 2023-05-31 2024-02-02 中咨海外咨询有限公司 一种全过程工程咨询项目风险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397B1 (ko) * 2000-09-08 2003-11-28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무역서식 전자문서 및 전자문서교환방식에 의한무역자동화시스템
KR20020094311A (ko) * 2001-06-11 2002-12-18 최진탁 웹을 통한 인증 시스템
KR101341986B1 (ko) * 2013-06-14 2013-12-16 대한민국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강성훈 외, "AEO 공인기업 사후 관리제도 국제비교",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5.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91155A1 (ko) 2020-05-07
KR20200048966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n et al. Assessing Blockchain Technology application for freight booking business: A case study fro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perspective
Sarathy Security and the global supply chain
Yang Risk management of Taiwan’s maritime supply chain security
KR102167995B1 (ko)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2181941B1 (ko) 상품 안전성 이력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900191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clearing and re-inventory
US20180144295A1 (en) Loss prevention tracking system and methods
Doxey Internal controls toolkit
Kenyon et al. Improving the return on investment in ports: opportunities in data management
Eulerich et al. A demonstration of how ChatGPT can be used in the internal auditing process
Wang et al. Data quality assurance in international supply chains: an application of the value cycle approach to customs reporting
JP2006244196A (ja) 国際輸送リスクマネジメント支援システム
CN117010779A (zh) 基于智能编码的海关进出口申报方法、系统、设备及介质
Incozi et al. Understanding the role of Information Systems in Accounting
ÖZKANLISOY et al. Risk Assessment in Digital Supply Chains.
Tarigan et al. The Implementation of Corporate Governance and Risk Management in a Small-Package Delivery Service Company The Case Study of PT. XYZ
Bukhsh et al. Evaluating the application of service-oriented auditing in the B2G domain: A case study
CN112132521A (zh) 危废溯源管理系统
Committee of Sponsoring Organizations of the Treadway Commission COSO Internal control-integrated framework: Guidance on monitoring internal control systems, Volume III: Examples
Bellino et al. Auditing application controls
Doxey The New Accounts Payable Toolkit
KR102500547B1 (ko) Aeo 인증 및 사후관리 시스템
US20230368122A1 (en) System for international goods and commodities trading and management and related methods
Sharma Development Of Model for Measuring Audit Quality in Maritime Safety Management
Han Blockchain Technology for International Trade: Beyond the Single Window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