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986B1 -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986B1
KR101341986B1 KR1020130068593A KR20130068593A KR101341986B1 KR 101341986 B1 KR101341986 B1 KR 101341986B1 KR 1020130068593 A KR1020130068593 A KR 1020130068593A KR 20130068593 A KR20130068593 A KR 20130068593A KR 101341986 B1 KR101341986 B1 KR 101341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isk
status
unit
ana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8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운찬
천홍욱
이돈현
심화석
박병진
김재일
노석환
심재현
정일석
서윤원
이명구
김용식
윤인채
김경희
송석범
박재선
주재국
노시교
김병규
이정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30068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위험정보를 수집하고 분류 및 평가하여 모니터링하는 종합위험관리 모듈과 복수개의 위험요소를 조합하여 생성한 복합위험 모델에 종합위험관리 모듈에서 모니터링된 위험정보들을 적용하여, 통관단계에서 위험정보를 미리 선별하는 종합선별 모듈 및 관세청 내부의 업무시스템과 연계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선별된 위험정보를 종합위험관리 모듈, 종합선별 모듈 등에 활용되는 정보로써 피드백하는 업무연계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위험정보를 수집하고 모니터링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위험인식 단계, 상기 위험인식 단계에서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정보분석 단계, 상기 정보분석 단계에서 도출된 위험요소간의 연관관계를 바탕으로 새로운 위험유형을 생성하는 분석결과 적용단계 및 상기 생성된 새로운 위험유형을 위험인식 단계로 피드백하는 환류·재평가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Integrated risk management system related customs administration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신속통관과 안전확보를 위해 제안된 통합위험 관리체계에 관한 것으로서, 관세청 내·외부로부터 파악되는 모든 위험정보들을 통합하고, 통합된 위험정보를 토대로 위험을 사전에 인지하여 전청적 관점에서 관세행정 절차 내에 존재하는 위험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즉, 통합위험 관리체계의 운영을 위해 위험관리 프로세스를 정립하기 위한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다시 말하면, 관세행정과 관련하여 산재되어 있는 위험정보를 수집하여 인식하고, 인식된 위험정보를 분류하고 평가하여 위험정보나 위험유형 등의 중점관리 위험대상을 선정하고 위험정보 또는 위험유형 등의 변화동향을 모니터링하며, 모니터링된 결과를 활용하여 복합적 위험요소를 조정하거나 새로운 위험유형을 생성하고 결국 전청적 차원에서 관세행정과 관련한 위험정보 및 위험유형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미국·일본·EU·독일·뉴질랜드 등 선진 외국세관들은 대부분 신속통관과 안전확보에 관한 국내적·국제적 요구사항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 단일화된 정보통합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고도의 통합위험 관리체제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에 우리 관세청도 관세행정과 관련된 모든 위험정보를 통합하고, 통합된 정보를 토대로 위험을 사전에 인지하여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전청적 관점에서 전략적 위험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통합위험 관리체계의 확립을 위하여 통합위험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을 하고, 위험관리 프로세스를 정립하기 위해서 위험관리 운영 법규정을 제정하고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구축을 계획하였다. 즉, 우리나라 관세청에서는 외국 관세행정 기관의 체계를 참고하여 관세행정상 존재하는 위험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정립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준비하고 있다.
관세행정 전반에 대한 전청적 차원에서의 위험관리를 위해서 관세청에서 계획하고 있는 통합위험 관리체계는 각 부서별, 직원별 또는 개별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위험정보를 모두 수집하고 활용할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즉, 통합위험관리 시스템의 운영과 업무 시스템을 연계하는 체계를 바탕으로 각 부서별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정보 공유의 단절을 극복함으로써 지능화, 조직화 되어가는 범죄수법 등 관세행정 절차 내에 존재하는 위험에 대해 종합적, 전략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직원 개개인의 단편적 정보입수에 의한 위험관리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전직원이 공동으로 정보를 입수하고 수입, 수출, 화물 등 관세행정 전반의 실적에 대해 이상값을 분석하여 전략정보를 생성하고 관련부서에 전파하며, 프로파일 별 위험요소, 위험유형을 제공하는 기능을 개발하여 다각적으로 정보를 인식하고 분석하는 방식으로 전환하였다. 즉, 기존의 경험과 정보만을 이용한 단편적 위험선별기준 생성방식에서 각종 위험정보를 토대로 생산한 위험요소를 조합한 복합위험요소를 활용한 과학적 위험 선별방식(EDA선별)을 도입하여 FTA, AEO확대 등 국내외 무역환경 변화에 따른 거래형태의 다양화 및 새로운 위험 발생, 인터넷 등 IT발달로 인해 지능화, 조직화 되어가는 범죄수법 등에 적시에 대처하고 관세행정상의 위험에 대한 종합적 대책마련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관세청은 지식관리 시스템, 통합정보 시스템, 수출입통관 시스템, 수출입화물관리 시스템, 조사정보 시스템, 징수 시스템, 환급 시스템, 심사 시스템 등 70여 개의 업무 및 정보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각각 별도로 관리되고 있고 시스템간 연계기능이 부족하여 통합적인 이용에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수의 업무 및 정보관리 시스템들을 연계하여 신속한 의사결정을 지원함으로써, 급변하는 사회환경 변화에 즉각적인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위험관리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즉, 관세행정의 업무연황 및 동향 등 전반적인 관세행정 관련 주요 현안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사건의 실시간 파악과 결정 및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세 고위험군에 위험관리의 역량을 집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급망 관리체계로 전환된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세 위험정보의 신속한 인지를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 개인별 관심 위험정보에 신속한 접근을 위하여 사용자 개인화 정보를 제공하는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편해진 관세 위험정보의 조회와 분석을 제공하는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보분석을 활용하여 발생 가능한 숨은 관세 위험요소를 선제적으로 발굴하여 대응하는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은 위험정보를 수집하고 분류 및 평가하여 모니터링하는 종합위험관리 모듈; 상기 모니터링된 위험정보들을 복수개의 위험요소를 조합하여 생성한 복합위험 모델에 적용하여 통관단계에서 위험정보를 미리 선별하는 종합선별 모듈; 및 내부 업무시스템과의 연계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선별된 위험정보를 종합위험관리 모듈, 종합선별 모듈에 활용되는 정보로써 피드백하는 업무연계 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합위험관리 모듈은 일선세관 또는 통합위험관리 센터에서 다양한 정보채널을 통해 위험정보를 직접 수집하거나 일선세관과 통합위험관리 센터 상호간에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위험정보를 간접 수집하여 수집된 위험정보를 등록, 심의, 분류 및 평가하여 신규 중점관리 대상을 발견 및 등록하고 신규 위험요소를 등록 및 관리하는 위험인식 모듈과 상기 위험인식 모듈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연관분석, 연계분석, 심층분석, 자동복합분석, 시뮬레이션 분석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석을 실행하여 위험정보를 분석하는 정보분석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합선별 모듈은 관세청 내부 선별조건을 적용하여 EDA선별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위험유형을 도출하며, 도출된 위험유형을 등록하거나 사용자에게 알리는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분석결과 적용모듈로 구성된다.
업무연계 모듈은 업무부서의 위험관리 실적을 관리 및 평가하여 위험대응 결과를 점검하고, 문제점 및 개선사항을 반영하는 환류·재평가 모듈로 구성된다.
위험인식 모듈은 프로파일부, 모니터링부, 기초정보부, 사전입수 정보부, 화물이동 모니터링부, 중점위험군부 및 위험요소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로파일부는 업체별, 개인별, 품목별, 해외거래처별, 물류업체별, 지역별, 관세사별 프로파일 기본정보 및 상세정보를 제공하고, 특정 업체와 관련된 위험정보를 인식하고 분석 및 적용하여 적발된 정보를 제공하고, 우범기준별, 필수기준별 및 업무별 정보를 제공하는 업체부; 특정 개인과 관련된 위험동향 기초정보를 제공하고, 개인의 프로파일과 관련된 의견을 추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개인부; 특정 품목과 관련된 위험정보를 인식하고 분석 및 적용하여 적발된 정보를 제공하고, 선별기준별 현황, 검사기준 유형별 현황, 적발 유형별 현황을 제공하며, 품목 프로파일과 관련된 의견을 추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품목부; 특정 해외거래처와 관련된 위험동향 기초정보를 제공하고, 선별기준별 현황, 검사기준 유형별 현황, 적발유형별 현황을 제공하며, 해외거래처 프로파일과 관련된 의견을 추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해외거래처부; 선사(선박회사), 선사(대리점), 항공사, 보세 운송업체, 하역업체, 보세구역 운영업체, 포워더, 차량운송업체, 특송업체, 선용품 업체로 구분하여 특정 물류업체와 관련된 위험동향 기초정보를 제공하고, 위험관리 코드별 조회 및 위험관리 코드조회 기능을 제공하며 물류업체와 관련된 의견을 추가하는 기능 및 선별기준별, 적발별, 정보분석별 보고서를 작성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물류업체부; 사용자가 정보분석을 할 경우, 지역별 위험정보를 국가, 세관, 적재항으로 구분하여 정보분석 활용내용을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지역부; 및 사용자가 정보분석을 할 경우, 관세사별로 구분하여 정보분석 활용내용을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관세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니터링부는 수출입통관에 대한 모델별, 처리상태별, 담당자별 모니터링 상세정보를 일반동향, 징수관련 동향, 검사관련 동향, 원산지관련 이상동향 등 기타 이상동향으로 구분하여 제공하고 확인된 분석결과 및 평가내용을 수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수출입통관 모니터링부; 프로파일에 대한 분류별, 처리상태별, 담당자별 모니터링 상세정보를 제공하고 확인된 분석결과 및 평가내용을 확인 및 수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파일 모니터링부; 선택된 프로파일에 따라 세관별 수입CS, 수출CS, 관리대상 화물, 환급DS, 수입 심사, 수출 심사, 수입 조사, 수출 조사, 위험동향 정보를 제공하는 적발 모니터링부; 및 비교대상 기간 동안의 정보 중 적발결과와 최근 3개월 동안의 심사결과를 비교하여 패턴이 동일한 경우에 동일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제공된 정보에 대한 조치 기능을 제공하는 HS심사 모니터링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초정보부는 기초정보를 처리상태별로 확인하는 기초정보 평가현황부; 기초정보를 신규 등록하거나 수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기초정보 등록부; 입력된 기초정보에 대한 정보입수자 정보를 세관/부서별, 출처유형별, 정보활용별, 조회기간별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기초정보 등록현황부; 기초정보에 대한 평가결재 요청 건을 조회하거나 상기 요청 건의 결재 기능을 제공하는 평가결재 요청현황부; 특정 정보가 입력됨으로써 사전에 등록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기초정보 검색부; 및 기초정보를 결재자별, 처리상태별로 제공하는 기초정보 상세진행 현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전입수 정보부는 사전에 입수된 여행자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선별후보별, 타겟팅별, 조치건수별 및 PNR정보별 위험정보를 제공하고 위험요소, 조치결과 정보를 확인 및 등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여행자 사전입수 정보부; 사전에 입수된 수출화물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선별후보별, 타겟팅별, 조치건수별 위험정보를 제공하고 위험요소, 조치결과 정보를 확인 및 등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수출화물 사전입수 정보부; 및 사전에 입수된 수입화물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선별후보별, 타겟팅별, 조치건수별 위험정보를 제공하고 위험요소, 조치결과 정보를 확인 및 등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수입화물 사전입수 정보부;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화물이동 모니터링부는 화물이동 모니터링의 필터링 조건을 등록, 수정하거나 필터링된 화물정보 현황 및 전체 화물정보를 제공하는 화물이동 모니터링 정보관리부; 실시간으로 화물이동 현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화물이동 정보현황부; 화물이동 모니터링의 상세정보 및 우범정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프로파일부와 연계되는 화물이동정보 상세현황부; 및 화물별, 업체별로 우범정보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되 단계별로 위험정보 현황을 제공하고 상기 프로파일부와 연계되는 단계별 위험정보 현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점위험군부는 일정기간을 설정하여 선정된 위험군 정보를 등록, 조회 및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중점위험군 관리현황부; 중점위험군으로 새롭게 등록하기 위해서 요청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신규 중점위험군 요청부; 중점위험군으로 등록하기 위해 요청된 정보를 제공하는 신규 중점위험군 요청조회부; 및 중점위험군의 실적현황을 제공하는 중점위험군 실적현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험요소 관리부는 수집된 위험요소를 프로파일별, 위험관리코드별, 업무별로 구분하여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위험요소 등록부; 프로세스별 진행 정보, 위험요소 상세내용을 포함하는 위험요소 등록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위험요소 등록현황부; 적발실적 조회조건을 바탕으로 적발내역 기본정보와 프로파일 항목정보를 포함하는 적발실적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위험요소 생성용 적발실적 조회부; 등록된 위험요소가 해당된 파일의 위험요소 건수를 바탕으로 조회된 위험요소를 조합하여 결과를 확인하며, 위험요소에 대한 보고서로 업무연계를 지원하는 위험요소 해당파일 조회부; 및 미리 등록된 위험요소를 바탕으로 검증한 결과를 등록하고 등록된 검증결과를 제공하여 위험요소의 적합성을 증대시키고 중복등록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위험요소 검증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보분석 모듈은 프로파일 분석부와 위험요소 분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로파일 분석부는 단계적으로 설정되는 연관어 조건에 따라 연관관계 정보를 단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위험정보 분석기능을 제공하는 프로파일연관 분석부; 전산적으로 축적된 관세행정 정보를 활용하여 정형 보고서 및 비정형 보고서를 추출하는 CDW연계 분석부; 및 신규의 위험요소 발굴을 위해 상세정보 연결기능을 제공하고 위험관리 정보를 활용하여 심층분석 데이터를 구축하게 하며, 사용자 위주의 조회조건을 제공하여 정보분석 시간 및 업무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연관프로파일 심층분석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험요소 분석부는 설정된 분석 기준일자와 적발기간을 기준으로 위험요소와 위험관리 코드별 적발데이터를 매핑하여 위험요소별로 적발건이 존재하는 위험요소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위험요소 정보를 분석하거나 정보공유 및 보고서 작성 기능을 제공하는 자동 복합위험요소 분석부; 검색된 위험정보를 바탕으로 복합 위험요소, 연관분석, 기초정보 등록, 시뮬레이션 요청, 위험유형등록, 선별율 조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세한 분석을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위험요소 연관분석부; 등록기준별 조회 또는 적발율별로 CDW와 연계하여 분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선별율별 CDW연계 분석부; 위험유형명, 출처, 중점관리 위험군, 위험내용과 시뮬레이션을 요청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여 시뮬레이션 요청을 실행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요청부; 및 시뮬레이션 요청시 입력한 정보와 시뮬레이션 요청 후 처리상태를 처리단계별, 시뮬레이션 요청받은 센터별로 구분된 정보로 제공하는 시뮬레이션 요청현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석결과 적용모듈은 선별기준 통합관리부, EDA선별부, 알림 모니터링부 및 위험유형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별기준 통합관리부는 특정 선별기준을 설정함으로써 우범기준별, 필수기준별, 업무별 선별결과, 검사결과, 적발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선별기준부; 선별비율을 조절하여 등록기준별 및 선별율별로 적발된 결과 정보를 확인하여 선별기준을 검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적발율부; 업무별 선별기준의 통계 정보를 활용하여 선별기준별 현황, 검사기준별 현황, 적발유형별 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선별기준 통계부; 및 위험관리 코드별로 선별결과, 적발결과, 위험유형 정보, 정보분석 보고서를 포함한 위험정보를 제공하고, 정보분석부와 연계하여 연관관계 분석 기능을 제공하는 위험관리 코드별 조회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EDA선별부는 선별기준 통합관리부에서 설정한 선별기준을 바탕으로 위험유형, 출처, 위험내용, 요청내용을 포함한 EDA요청 정보를 입력하여 EDA요청을 실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EDA요청부; 상기 EDA요청부에서 요청한 EDA요청 결과를 처리상태별로 제공하는 EDA요청 현황부; 시뮬레이션이나 EDA요청과 관련한 IRM센터에서의 처리단계 정보를 제공하는 IRM센터관리 현황부; 및 위험요소에 EDA복합선별 조건을 적용하여 반영된 결과에 대한 업무별, 유형별 통계 정보를 제공하는 통계현황 조회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알림 모니터링부는 관리분야 선택, 알림내용 설정 상세정보, 조건항목 선택, SMS를 입력하여 위험정보를 인식한 경우에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도록 설정하는 알림 모니터링 요청부; 처리상태에 따라 요청번호, 열람제목, 업무분야, 요청자, 요청부서, 시작일자, 종료일자, 승인자, 처리상태, 알림건수가 포함된 알림 모니터링의 요청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알림 모니터링 요청현황부; 요청된 알림 모니터링 건 중 승인요청 현황을 조회하고, 승인 또는 반려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알림 모니터링 승인요청 현황부; 요청번호, 통보내용, 업무분야, 신고접수 내용이 포함된 알림 모니터링 통보와 관련된 검색결과로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알림 모니터링 통보목록 조회부; 및 알림 모니터링에 대한 등록 정보와 알림 정보를 등록기간별, 알림기간별로 구분하여 세관별로 합계를 내어 실적으로 조회할 수 있는 알림 모니터링 실적조회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험유형 관리부는 기존에 등록된 위험요소를 조합하여 시뮬레이션을 하거나 수집된 위험요소의 조합으로 새로운 위험유형을 신청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위험유형 신청부; 위험유형의 프로세스 진행별 결과와 상세내용 정보를 제공하고 위험유형 등록과 관련한 처리기능을 제공하는 위험유형관리 현황부; 상기 위험유형 신청부에 접수된 위험유형 신청에 대한 결재 승인자의 조치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위험유형 조치결과 조회부; 및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위험유형을 조회하여 기초정보 등록 및 위험유형활용 등록 기능을 제공하고, 시뮬레이션 요청 및 시뮬레이션 요청 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파일별 위험유형 조회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환류·재평가 모듈은 시스템 운영실적 관리부, 통계관리부, 세관정보 마일리지부, 위험정보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시스템 운영실적 관리부는 업무국 평가요청 실적 및 업무국 정보평가 실적을 제공하는 통합위험관리 운영실적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계관리부는 위험정보, 관심분야, 무역현황 별로 구분하여 평가, 적용, 만족도를 제공하는 정책결정자용 정보통계부; 처리단계별 기초정보 처리현황 및 업무국평가 상세실적을 제공하는 주간운영 현황부; 구분별 등록현황을 사용자의 세관별, 부서별, 직급별로 제공하는 사용자별 실적현황부; 구분별 등록현황을 사용자의 관리번호, 제목, 등록자, 등록일자(신청일자), 처리상태, 마일리지 별로 제공하는 사용자별 실적상세 현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세관정보 마일리지부는 구분별 마일리지 점수현황을 제공하는 월별 마일리지 현황부; 세관별 목표값과 구분별 마일지지 건수 및 점수를 제공하는 세관별 마일리지 현황부; 조회기간 중의 개인별 마일리지 현황을 제공하는 개인별 마일리지 현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험정보 관리부는 세관별로 조치 및 열람별 위험정보 조치결과를 전파구분별, 결재상태별로 제공하는 세관별 조치결과 현황부; 사용자의 부서와 관련된 정보대상별, 조회구분별 위험동향 정보를 제공하는 우리부서 위험동향부; 기존에 등록된 위험동향정보를 정보대상별, 조회구분별, 정보활용별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위험동향정보 등록현황부; 정보대상별 위험동향정보의 조치결과 현황을 전파구분별, 열람여부별로 제공하는 위험동향정보 조치결과 현황부; 정보번호, 정보명, 세관, 등록자, 등록일자, 조치자, 보안등급이 포함된 조치결과 결재요청현황 목록을 제공하는 위험동향정보 조치결과/활용평가 결재요청 현황부; 및 위험정보를 관리하기 위하여 등록된 위험정보의 조사, 심사 및 정보분석에 관한 지시 정보를 제공하고, 지시에 대한 조치내용을 기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조사/심사/정보분석 지시 현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방법은 위험정보를 수집하고 모니터링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위험인식 단계; 상기 위험인식 단계에서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정보분석 단계; 상기 정보분석 단계에서 도출된 위험요소간의 연관관계를 바탕으로 새로운 위험유형을 생성하는 분석결과 적용단계; 및 상기 생성된 새로운 위험유형을 위험인식 단계로 피드백하는 환류·재평가 단계; 로 이루어진다.
위험인식 단계는 위험정보를 수집하고 모니터링 한 결과를 바탕으로 신규 중점관리 위험군을 발견하고 등록하여 관리하는 절차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위험인식 단계는 위험정보를 수집하고 모니터링 한 결과를 바탕으로 신규 위험요소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절차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위험정보를 수집하는 절차는 일선세관 또는 통합위험관리 센터에서 다양한 정보채널을 통해 위험정보를 직접 수집하거나 일선세관과 통합위험관리 센터 상호간에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위험정보를 간접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집한 위험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절차는 수집된 위험정보를 기존에 설정된 위험요소와 대비하여 위험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정보분석 단계에서 정보를 분석하는 절차는 프로파일 분석 또는 위험요소 분석을 통하여 위험요소간의 연관관계를 분석하는 절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로파일 분석 절차는 프로파일을 대상으로 하는 연관어 검색 및 분석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위험요소 분석 절차는 위험요소에 대한 연관어 검색 및 분석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분석결과 적용단계는 상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위험유형 선별기준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절차; 상기 생성된 새로운 위험유형 선별기준을 바탕으로 EDA선별을 실행하는 절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절차; 상기 실행된 EDA선별을 바탕으로 새로운 위험유형을 도출하는 절차; 및 상기 도출된 위험유형을 등록하거나 사용자에게 알리는 관리 절차;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환류·재평가 단계는 상기 생성된 새로운 위험유형을 위험인식 단계로 제공하여 이후에 수집되는 정보에 대해 위험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절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관세행정 분야와 관련된 위험관리 업무 일부분의 관리에 그치지 않고, 다자간에 이루어지는 관세행정 업무 전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대응에 있어서 통합적인 대응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업무 전반적인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합위험관리 모듈을 예시한 디스플레이 화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합선별 모듈을 예시한 디스플레이 화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무연계 모듈을 예시한 디스플레이 화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인식 모듈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체 프로파일을 예시한 디스플레이 화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출입통관 모니터링을 예시한 디스플레이 화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출입통관 모니터링의 분석현황을 예시한 디스플레이 화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발 모니터링의 프로파일별 모니터링 현황을 예시한 디스플레이 화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S심사 모니터링 현황 측도목록을 예시한 디스플레이 화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S심사 모니터링의 현황차트를 예시한 디스플레이 화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초정보부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전입수 정보부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출화물 사전입수 정보관리를 예시한 디스플레이 화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겟팅 대비 조치건 현황을 예시한 디스플레이 화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이동 모니터링부 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이동 모니터링 정보관리부의 조건등록을 예시한 디스플레이 화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별 화물이동 모니터링 현황을 단계별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체별 화물이동 모니터링 현황을 단계별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점위험군부 구성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요소 관리부 구성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분석 모듈 구성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분석부 구성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연관분석의 연관관계 맵을 예시한 디스플레이 화면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DW연계 분석을 예시한 디스플레이 화면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정형 보고서를 예시한 디스플레이 화면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요소 분석부 구성도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복합위험요소 분석을 예시한 디스플레이 화면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요소 연관분석을 예시한 디스플레이 화면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DW연계분석을 예시한 디스플레이 화면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요청을 예시한 디스플레이 화면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요청현황을 예시한 디스플레이 화면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합선별 모듈 구성도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결과 적용모듈 구성도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별기준 통합관리부 구성도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별기준을 설정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화면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발율을 적용한 조회의 예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화면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별기준별 현황을 예시한 디스플레이 화면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기준 유형별 현황을 예시한 디스플레이 화면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발유형별 현황을 예시한 디스플레이 화면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DA선별부 구성도
도 4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DA요청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화면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DA요청 현황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화면
도 4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RM센터 관리현황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화면
도 4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계현황 조회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화면
도 4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림 모니터링부 구성도
도 4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림 모니터링의 요청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화면
도 5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유형 관리부 구성도
도 5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류·재평가 모듈의 진행현황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화면
도 5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류·재평가 모듈 구성도
도 5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운영실적 관리부 구성도
도 5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계관리부 구성도
도 5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책결정자용 정보통계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화면
도 5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별실적 상세현황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화면
도 5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관정보 마일리지부 구성도
도 5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정보 관리부 구성도
도 5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관별 조치결과 현황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화면
도 6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동향정보 조치결과 현황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화면
도 6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사/심사/정보분석 지시 현황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화면
도 6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방법의 흐름도
도 6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방법의 흐름도
도 6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방법의 흐름도
본 발명에서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은 종합위험관리 모듈(1), 종합선별 모듈(2), 업무연계 모듈(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1. 도 2를 참조하면, 종합위험관리 모듈(1)은 위험인식 모듈(11)과 정보분석 모듈(12)을 포함하는데, 위험정보를 수집하고 분류 및 평가하여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위험인식 모듈(11)은 일선세관 또는 통합위험관리(Integrated Risk Management, 이하 IRM)센터에서 정보관, 인터넷, 관세행정정보 시스템, 정부업무처리 시스템, 해외주재관 등 다양한 정보채널을 통해 위험정보를 직접 수집하거나 일선세관과 IRM센터 상호간에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위험정보를 간접 수집할 수 있다. 이후 수집된 위험정보를 등록, 심의, 분류 및 평가하여 중점관리대상(중점위험군) 설정 및 위험요소 등록을 실행한다. 위험정보를 평가할 때에는 인식된 위험정보를 계층(top, middle, field level)별, 분야(통관, 심사, 조사감시)별로 분류하여 1차 위험평가(활용도, 파급성, 정확성(신뢰도)에 관한 가치평가, 심각성, 발생가능성에 관한 조치평가)와 2차 위험평가(위험요소생성 평가, 정보분석관 분석결과, 모니터링대상 결정)를 실행한다. 상기의 절차를 거쳐 등록된 중점관리대상 및 위험요소는 차후에 수집되는 새로운 정보 중 위험정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기준으로써 활용될 수 있다.
정보분석 모듈(12)은 위험인식 모듈(11)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연관분석, 연계분석, 심층분석, 자동복합 분석, 시뮬레이션 분석 등을 실행하여 위험정보를 분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2. 도 3을 참조하면, 종합선별 모듈(2)은 분석결과 적용모듈(21)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위험요소를 조합하여 생성한 복합위험 모델(예, EDA)에 종합위험관리 모듈(1)에서 모니터링된 위험정보들을 적용하여, 통관단계에서 위험정보를 미리 선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분석결과 적용모듈(21)은 모니터링 된 위험정보들을 선별기준, 적발율 등 관세청에서 정한 일정한 기준(관세청 내부 선별조건)을 적용하여 EDA선별을 실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위험유형을 생성 및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특정 위험정보와 관련된 업체, 개인, 거래처, 물류업체 등 위험대상에 관세청 내부 선별기준, 선별율 등을 설정하여 복합위험 모델에 적용한다. 그 결과로 새로운 위험유형이 생성될 수 있는데, 생성된 새로운 위험유형은 통합위험관리 시스템에 등록 신청된다. 이후에 상기 등록 신청된 새로운 위험유형은 검증(조치) 과정을 거쳐,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관세청 업무시스템과 종합위험관리 모듈(1), 업무연계 모듈(3) 등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내에 반영되어 활용될 수 있는 데이터로써 저장된다.
3. 도 4를 참조하면, 업무연계 모듈(3)은 환류·재평가 모듈(31)을 포함하고, 조사감시, 납세심사, 수출입통관 및 관세행정 지원 등과 같은 관세청 내부 업무시스템과의 연계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종합위험관리 모듈(1), 종합선별 모듈(2) 등에 활용되는 특정 정보로써 피드백(환류)되는 기능을 제공한다.
환류·재평가 모듈(31)은 업무부서의 위험관리 실적을 관리 및 평가하여 위험대응 결과를 점검하고, 문제점 및 개선사항을 반영하는 기능을 하는데, 시스템 운영실적 및 마일리지와 같은 통계정보와 위험동향 정보, 위험정보에 대한 조치결과와 심사지시 및 결재 정보 등을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위험인식 모듈(11), 정보분석 모듈(12), 분석결과 적용모듈(21), 환류·재평가 모듈(3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인식 모듈(11)은 프로파일부(111), 모니터링부(112), 기초정보부(113), 사전입수 정보부(114), 화물이동 모니터링부(115), 중점 위험군부(116), 위험요소 관리부(1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험인식 모듈(11)은 위험요소 최다보유 현황, 프로파일별 금주의 주요 모니터링 현황 및 프로파일별 금주의 위험요소 모니터링 현황 등을 제공하는데, 위험요소 최다보유 현황은 최근 1개월 이내에 등록된 위험요소를 가장 많이 보유한 해당 프로파일(업체, 개인, 품목, 물류업체, 해외거래처, 지역, 관세사)별 정보를 제공하고, 프로파일별 금주의 주요 모니터링 현황은 기초정보, 프로파일 모니터링, 적발 모니터링, HS(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 coding system, 이하 HS)심사 모니터링 중 선택된 모니터링 정보를 바탕으로 최근 1주일 이내의 업체, 개인, 품목, 물류업체, 해외거래처, 지역, 관세사 등의 프로파일 중 등록(모니터링)된 해당 프로파일별 정보를 제공하며, 프로파일별 금주의 위험요소 모니터링 현황은 최근 1주일 이내에 프로파일(적발) 모니터링 기준에 의해 모니터링 되거나, 적발된 프로파일 중 위험요소 건이 많이 해당되는 위험요소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프로파일, 모니터링, 기초정보 등을 활용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위험을 인식할 수 있는데, 상기의 정보에 의해 인식된 위험정보와 사전에 입수된 정보 및 화물 모니터링 정보 등을 비교하여, 인식된 위험정보를 중점위험군(중점관리 대상)으로 신청하는 등의 중점위험군 관리와 위험요소로 등록 및 현황을 조회하는 등의 위험요소 관리가 가능하다.
이하 위험인식 모듈(11)의 세부사항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부(111)는 업체부(1111), 개인부(1112), 품목부(1113), 해외 거래처부(1114), 물류업체부(1115), 지역(국가)부(1116) 및 관세사부(11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업체부(1111)는 관세청 내부에서 설정한 선별기준을 적용하여 특정 업체와 관련된 위험정보를 선별하고 검사하며 모니터링 된 위험정보를 검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우범기준별 조회, 필수기준별 조회, 업무별 선별기준 조회 등이 가능하다. 또한, 업체와 관련된 기본정보를 입력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체의 프로파일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업체 프로파일 기본정보와 함께 위험동향 기초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그 외에 업체 프로파일에 대한 의견을 추가할 수도 있다.
프로파일에 대한 의견을 추가하는 기능과 관련하여, 업체 프로파일 기본정보가 제공된 상태에서 공개여부 중 공개 또는 비공개를 선택하고, 공개를 선택한 경우에는 공개범위를 전체, 세관, 부서 중 하나를 선택하여 공개범위를 설정한다. 이후 프로파일 구분을 설정하는데, 현재 확인하는 프로파일이 자동으로 설정되고(여기서는 ‘업체’) 관련근거 번호로 상기 업체의 사업자 등록번호가 자동으로 설정된다. 그 후 제목 및 추가할 내용을 입력하면, 현재 날짜 및 현재 접속한 사용자의 이름이 자동으로 설정되고 이를 등록하면 업체 프로파일에 대한 의견추가가 완료된다.이하 개인부(1112), 품목부(1113), 해외 거래처부(1114), 물류업체부(1115), 지역부(1116), 관세사부(1117)에서도 프로파일에 대한 의견을 추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그 방법은 상기 업체 프로파일에 대한 의견을 추가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여기서 상기 선별기준은 위험인식 모듈에서 인식된 위험정보를 복합위험 모델(예, EDA툴)에 적용하여 위험요소를 선별할 때 위험요소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적용되는 기준을 의미하고, 주요 수입품목을 설정할 때 입력하는 HS단위 부호는 3가지(HS4, HS6, HS10) 중 한가지를 입력하는 것으로써, 관세청에서 품목에 따라 부여한 구분된 부호를 의미한다.
개인부(1112)는 선별비율(선별율)을 조절하여 특정 개인과 관련된 위험정보를 선별하고 검사하며 모니터링된 위험정보를 검증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개인과 관련된 기본정보를 입력하여 프로파일과 관련된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개인 프로파일 기본정보와 함께 위험동향 기초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 프로파일은 APIS(Advance Passenger Information System)실적을 포함하는데, APIS는 탑승자를 사전에 확인하여 소수의 우범성 있는 여행자는 세관검사를 엄격히 실시하고 그 외의 선량한 여행자는 세관검사를 생략하여 신속한 입국절차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따라서 APIS실적의 상세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개인의 위험정보 관련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품목부(1113)는 품목별 선별기준을 적용하여 특정 품목과 관련된 위험정보를 선별하고 검사하며 모니터링된 위험정보를 검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선별기준별 현황, 검사기준 유형별 현황, 적발 유형별 현황을 제공한다. 이때, 품목 프로파일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품목 프로파일 기본정보와 관세율표를 확인할 수 있는데, 원산지표시와 관련하여 원산지제도 운영에 관한 고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적정 표시방법에 관한 정보, 관세율 적용순위에 관한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품목관련 위험정보, 위험동향 기초정보, 품목 프로파일과 관련하여 분석의뢰 결과, 원산지위반 행정처분 내역, 적재항별 입항지 현황, 주요 수입업체, 품목 실적, 수출입통관 적발실적, 업체별 평균단가, 업종별 평균단가, 주요 수출업체, 수입 주요 해외거래처, 수출 주요 해외거래처 등의 정보가 제공된다.
해외 거래처부(1114)는 업무별 선별기준을 적용하여 특정 해외 거래처와 관련된 위험정보를 선별하고 검사하며 모니터링된 위험정보를 제공하는데, 선별기준별 현황, 검사기준 유형별 현황, 적발유형별 현황을 제공한다. 이때, 해외 거래처 프로파일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위험동향 기초정보, 해외 거래처 관련 위험정보, 공급망연계 법규준수도, 법규준수도 변동추이, 적재항 화물반입 내역, 화물특성별 반입내역, 화물검사 내역, 화물관리번호 기준 수입C/S 검사내역, 포워더 이용내역, 장치예정장소 이용내역, 포워더 및 장치예정장소 이용내역, 수입통관적발 실적, 해외거래처 주요 거래업체, 해외거래처 실적 등의 정보가 제공된다.
물류업체부(1115)는 위험관리 코드로 선별기준을 설정하여 특정 물류업체와 관련된 위험정보를 선별하고 검사하며 모니터링된 위험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프로파일 정보, 기초정보, 위험유형, 위험요소, 적발건수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선별기준별 보고서, 적발별 보고서, 정보분석별 보고서를 작성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위험관리 코드별(선별기준별)조회, 위험관리 코드(위험관리 코드별)조회가 가능하다. 또한, 선사(선박회사), 선사(대리점), 항공사, 보세 운송업체, 하역업체, 보세구역 운영업체, 포워더, 차량 운송업체, 특송업체, 선용품 업체 등으로 구분하여 프로파일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위험동향 기초정보와 상기 구분된 프로파일별 위험정보가 제공된다.
지역부(1116)는 선별기준을 적용하여 특정 지역(국가)과 관련된 위험정보를 선별하고 검사하며 모니터링된 위험정보를 제공하는데, 사용자가 정보분석(연관분석, 시뮬레이션 분석, CDW연계 분석, 자동복합위험요소 분석 등)을 할 경우, 정보분석 활용내용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국가, 세관, 적재항별로 구분하여 프로파일 정보 및 위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관세사부(1117)는 선별기준을 적용하여 특정 관세사와 관련된 위험정보를 선별하고 검사하며 모니터링된 위험정보를 제공하는데, 사용자가 정보분석(연관분석, 시뮬레이션 분석, CDW연계 분석, 자동복합 위험요소 분석 등)을 할 경우, 정보분석 활용내용을 관리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관세사 프로파일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세사별 이력, 관세사관련 위험정보, 관세사별 징계사항, 관세사별 표창사항, 법규준수도 변동추이, 공급망연계 법규준수도, 국내거래처(매입), 국내거래처(매출), 적발실적, 수입신고 정정, 업체별 주요 거래처, 포워더별 주요 거래처, 보세구역별 주요 거래처, 보세 운송업체별 주요 거래처, 수출신고 정정, 수출입실적 등의 정보가 제공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부(112)는 수출입통관 모니터링부(1121), 프로파일 모니터링부(1122), 적발 모니터링부(1123), HS심사 모니터링부(1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출입통관 모니터링부(1121)는
1. 모델별(전체, 수입, 수출, 화물, 감시, 휴대품 등)로 구분하여 조회기간을 설정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모델별 모니터링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2. 조회기간, 세관, 구분, 모델, 국가, 품목, 제목 등의 정보를 입력하여 수출입통관 모니터링의 현황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결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출입통관 모니터링 상세정보가 제공된다. 확인된 수출입통관 모니터링의 현황에서 제목을 선택하면 선택된 모니터링 분석대상에 대한 해당내용의 상세정보가 차트 형태로 제공된다.
3.조회기간, 구분, 모델, 처리상태(분석중, 분석완료, 평가완료 중 하나를 선택), 분석담당자, 분석유형, 국가, 품목, 제목 등의 정보를 입력하여 수출입통관 모니터링의 분석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확인된 수출입통관 모니터링 분석현황에서, 담당자 항목을 선택하면 모니터링 분석현황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확인된 정보 중에서 분석담당자, 분석관점, 분석유형 등의 수정이 가능하다.
4. 조회기간, 구분, 모델, 분석담당자, 분석유형, 정보제공범위, 국가, 품목, 제목, 활용여부 등을 입력하여 수출입통관 모니터링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된 수출입통관 모니터링 결과에서 처리상태 항목을 선택하여 분석(분석 결과명, 분석 담당자, 분석일자, 분석의견, 분석유형, 업무유형 등이 표시된 분석내역이 표시되는데, 그 중 업무유형을 제외한 항목을 수정할 수 있음)정보 및 평가내용(평가의견, 마일리지 점수, 평가일자, 정보제공 범위, 적용여부 등이 표시되는데, 이들을 수정할 수 있음)을 확인 및 수정할 수 있다.
프로파일 모니터링부(1122)는
1. 분류별(업체, 개인, 품목, 물류업체, 관세사, 해외거래처, 지역(국가))로 구분하고 조회기간을 설정함으로써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2. 조회기간, 대분류, 모델, 업체, 품목, 제목 등을 입력하여 프로파일 모니터링의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확인된 프로파일 모니터링 현황에서 제목을 선택하면 모니터링 선택된 모니터링 분석대상에 대한 해당내용의 상세정보가 차트로 제공된다.
3. 조회기간, 구분, 모델, 처리상태, 분석담당자, 분석유형, 국가, 품목, 제목 등의 정보를 입력하여 프로파일 모니터링 분석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확인된 프로파일 모니터링 분석현황에서 담당자 항목을 선택하면 분석담당자, 분석관점, 분석유형, 업무유형 등이 포함된 모니터링 분석현황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확인된 정보 중에서 분석담당자, 분석관점, 분석유형 등의 수정이 가능하다.
4. 조회기간, 구분, 모델, 분석담당자, 분석유형, 정보제공 범위, 국가, 품목, 제목, 활용여부 등의 정보를 입력하여 프로파일 모니터링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된 프로파일 모니터링 결과에서 처리상태 항목을 선택하여 분석(분석 결과명, 분석 담당자, 분석일자, 분석의견, 분석유형, 업무유형 등이 표시된 분석내역이 표시되는데, 그 중 업무유형을 제외한 항목을 수정할 수 있음)정보 및 평가내용(평가의견, 마일리지 점수, 평가일자, 정보제공 범위, 적용여부가 표시되는데, 이들을 수정할 수 있음)을 확인 및 수정할 수 있다.
적발 모니터링부(1123)는 위험관리 코드, 반입경로, 품목, 적발분야, 조회기간 등을 입력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별로 적발 모니터링 현황을 제공하는데, 업체, 개인, 품목, 해외거래처, 물류업체, 지역, 관세사 등 선택된 프로파일에 따라, 수입CS, 수출CS, 관리대상 화물, 환급DS, 수입 심사, 수출 심사, 수입 조사, 수출 조사, 위험동향별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적발분야의 해당 건수를 선택하면 세관별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업체를 선택한 경우 주요업체, 업체유형에 따른 검색기간을 기준으로 최근 분기별 추이를 표시하고 또한 설립연도에 따른 업체의 적발대비 설립연도별 현황을 표시하고, 개인을 선택한 경우 연령별 현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품목을 선택한 경우 기준 적발분야별 품명별 현황을 확인할 수 있고, 해외 거래처를 선택한 경우 해외거래처 국가별 적발분야, 관할 세관별 적발분야 및 물류업체 건수를 확인할 수 있으며, 물류업체를 선택한 경우 기준 적발분야별 관할세관별 물류업체건수, 선박부호별 적발분야별 현황, 항공사부호별 적발분야별 현황, 포워더부호별 적발분야별 현황, 특송업체부호별 적발분야별 현황을 확인할 수 있고, 지역을 선택한 경우 적출국을 기준으로 분기별 추이 정보를 제공하며, 관세사를 선택한 경우 적발분야별 관세사의 현황을 제공한다.
HS심사 모니터링부(1124)는 비교대상 기간(예, 2012년 6월 1개월)동안의 정보 중에서 수집된 적발결과와 최근 3개월 동안의 심사결과를 비교하여 패턴이 동일한 경우에 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중점위험군이나 위험요소로 등록하여 조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해외거래처- 세 번’이라고 할 경우, 직전 3개월 동안의 심사결과 내역 중 해외 거래처 정보 및 적발결과(정정 전에 세 번 적발 됨)가 동일한 경우를 의미한다.
HS심사 모니터링 정보는 모니터링 현황 측도목록과 모니터링 현황차트로 제공되는데,
1. 모니터링 현황 측도목록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인을 원하는 모니터링 조건기간을 설정하면, 해당 적발내역에 대한 해외거래처-품목 및 업체-품목에 관련된 목록이 확인되고, 각각의 항목을 선택하면 세부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모니터링 된 항목을 선택하면 모니터링 일자, 세관, 분류, 제목, 처리상태, 관심대상 추가여부가 포함된 상세목록이 표시된다. 이때, 적발건수별, 과거 모니터링별, 현재 모니터링 별로 상세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2. 모니터링 현황차트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회기간과 구분을 설정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모니터링 일자, 세관, 분류, 제목, 처리상태, 관심대상 추가여부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모니터링 현황차트는 본부세관별 모니터링 된 적발건수 상세목록, 과거 모니터링 상세목록, 현재 모니터링 상세목록 등으로 모니터링 현황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정보부(113)는 기초정보 평가현황부(1131), 기초정보 등록부(1132), 기초정보 등록현황부(1133), 평가결재 요청현황부(1134), 기초정보 검색부(1135), 기초정보 상세진행 현황부(1136)를 포함한다.
기초정보 평가현황부(1131)는 기초정보를 처리상태별로 제공하는데, 여기서 세관, 정보번호, 활용의견, 조회구분, EDA구분, 정보구분, 정보분야, 정보명, 정보내용, 포털등재 여부, 등록자 구분, 등록자, 평가자, 정보입수자, 보고일자 등의 정보를 입력하여 기초정보 평가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정보구분, 정보분야, 포털등재 여부 등은 기초정보 평가 시 입력된 값이고, 포털등재 여부는 전체, 미적용, 위험동향, 적발분석, 기사분석, 유관(관련있는)기관 정보, 인터넷 매체, 수출입동향 등의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며, 등록자 구분은 정보관, 통합위험관리 센터, 업무국, 기타 등의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한다.
기초정보 등록부(1132)는 기초정보를 신규 등록하거나 수정할 때 사용되는데, 여기에 기입되는 기초정보 항목으로는 정보명, 출처유형, 정보출처, 입수처, 정보입수자, 입수일자, 품목, 관련품목, 위험관리 코드, 반입경로, 위험유형, 6하원칙, 상세내용, 시사점 및 활용방안, 공개의견, 자체 품질평가, 등록자 구분, 정보대상, 관련 위험요소 등이다. 여기서 정보대상은 개인, 수출입 업체, 물류업체, 해외 거래처, 지역, 국내 거래처, 관세사, 품목, 관련정보, 사이버정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데, 향후 정보연계 시 중요하므로 최대한 많이 입력할 필요가 있다. (예, 필요시 개인 프로파일, 업체 프로파일 등 프로파일부 또는 수출입 통관 모니터링부, 프로파일 모니터링부 등 모니터링부와 연계 가능)
기초정보 등록현황부(1133)는 입력된 기초정보에 대한 정보입수자 정보를 세관/부서별, 출처유형별, 정보활용별, 조회기간별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것으로써, 기초정보 등록현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세관, 부서(과), 조회구분, 정보번호, 출처유형, 정보구분, 정보분야, 정보대상, 정보명, 정보내용, 정보출처, 품목구분, 위험관리 코드, 전파구분, 등록자, 정보입수자, 조회기간 등을 입력하여야 한다. 여기서 전파구분은 전체, 주간 위험동향 정보, 수시 위험동향 정보, 특정 위험동향 정보, EDA적용 등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게 되는데, 확인된 정보는 정보번호, 정보명, 세관, 부서, 입수자, 등록자, 등록일자, 보안등급, 전파여부, 처리상태 등을 표시한다. 보안등급은 기초정보 등록 시 설정하였던 보안등급으로서, 기초정보 등록현황을 확인하려는 사용자 등급이 설정된 보안등급보다 낮을 경우에는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
평가결재 요청현황부(1134)는 기초정보에 대한 평가결재 요청 건을 조회하거나 상기 요청 건의 결재를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써, 단 건 또는 일괄 조회 및 결재가 가능하다. 이때, 평가결재 요청현황을 조회한 사용자는 정보번호, 정보명, 세관, 부서, 입수자, 등록자, 등록일자, 점수, 보안등급, 선택 등이 표시된 목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기초정보 검색부(1135)는 사전에 등록된 기초정보에 대하여 세관, 정보번호, 출처유형, 정보구분, 정보분야, 정보대상, 정보명, 정보내용, 정보출처, 품목구분, 관리자 코드, 등록자, 정보입수자, 조회기간 등을 입력하여 기초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데, 정보번호, 정보명, 세관, 부서, 입수자, 등록자, 보고일자, 보안등급, 점수 등이 포함된 기초정보가 제공된다.
기초정보 상세 진행현황부(1136)는 기초정보를 처리상태별로 확인하는 것으로써, 그 결과로 결재자 또는 결재상태가 표시된다. 이때, 세관, 과(부서), 조회구분, 정보번호, 출처유형, 정보구분, 정보분야, 정보대상, 정보명, 정보내용, 정보출처, 품목구분, 위험관리 코드, 전파구분, 등록자, 정보입수자, 조회기간 등의 정보를 입력하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데, 확인된 기초정보 건에 대한 처리상태, 평가, 결재정보 등이 제공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입수 정보부(114)는 여행자 사전입수 정보부(1141), 수출화물 사전입수 정보부(1142), 수입화물 사전입수 정보부(1143)를 포함한다.
여행자 사전입수 정보부(1141)는 사전에 입수된 여행자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선별후보별, 타겟팅별, 조치건수별 및 PNR(예약기록)별 위험정보를 제공하고 항공편별 PNR정보, 항공편별 PNR정보 처리현황, 여행자 타겟팅대비 조치건 현황, PNR정보조회를 제공한다.
1. 항공편별 PNR정보는 입국 또는 출국, 공항, 항공편명, 조회기간을 설정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항공편명, 탑승지, 도착지, 출발예정 일시, 도착예정 일시, 차수, 총승객수, 선별후보, 타겟팅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항공편별 PNR정보는 위험요소 선별목록별, 위험요소 등록별, 타겟팅별로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요소 선별목록을 선택하여 위험구분, 위험요소명, 세관, 등록자 등을 입력하면, 위험번호, 제목, 위험구분, 등록일자, 세관, 등록자 등이 포함된 정보가 제공되는데, 제공된 항목 중에서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여 위험요소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타겟팅 목록을 선택하여 확인된 타겟팅 대상목록에서 타겟팅 대상으로 추가하거나 신규 등록할 수 있다.
2. 항공편별 PNR정보 처리현황은 입국 또는 출국, 공항, 항공편명, 조회기간을 설정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항공편명, 탑승지, 도착지, 출발예정 일시, 도착예정 일시, 차수, 총승객수, 선별후보, 타겟팅, 조치결과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항공편명을 선택한 후 조치결과 등록을 추가할 수 있는데, 선택된 항공기 기본정보에 타겟팅 정보(성명, 성별, 국적 등)와 조치결과 정보(위험관리 코드, 위험요소, 조치결과, 조치내용 등)를 입력 및 추가할 수 있다.
3. 여행자 타겟팅대비 조치건 현황은 공항과 연도를 설정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타겟팅 대비 조치건, 타겟팅 대비 미조치건, 미선별 대비 조치건 등으로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고, 각각에 대하여 목록 및 차트로 상세정보를 제공한다.
4. PNR정보조회는 주민등록번호, 여권번호, 성명, 생년월일, 전화번호, 연령, 출국기간, 입국기간 등을 입력하여 실행할 수 있는데, 조회된 결과로 성명, 여권번호, 성별, 국적,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항공편명, 그룹정보, 좌석등급, 탑승지, 도착지, 여행경로 건수, 승무원여부, 수화물개수, 수화물 중량, 입국횟수, 대금결재 방식, 비예약 탑승여부, 검사여부, 적발여부, APIS지정 내역 등이 포함된 정보를 제공한다.
수출화물 사전입수 정보부(1142)는 사전에 입수된 수출화물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선별후보별, 타겟팅별, 조치건수별 위험정보를 제공하고 수출화물 사전입수 정보관리, 수출화물 사전입수 정보관리 현황, 수출화물 사전입수 정보처리 현황, 수출화물 타겟팅대비 조치건 현황 등을 확인할 수 있다.
1. 수출화물 사전입수 정보관리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관, 수출신고 번호, 조회기간을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수출 신고번호, 세관, 수리일자, 수출자 상호, 사업자 등록번호, 출발 예정일, 선적일, 적재항, 목적국, 운항선사 항공사 부호, 선박명(편명), MB_L(선사에서 발급된 번호)총개수, HB_L(포워더에서 발급된 번호)총개수, 선별후보, 타겟팅 등이 포함된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위험요소 선별목록, 위험요소 등록, 타겟팅 별로 구분하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요소 선별목록을 선택하여 수출화물 위험요소의 선별기준을 확인 및 등록할 수 있고, 위험요소 등록을 실행하면 수출화물 위험요소 선별을 확인 및 등록할 수 있으며, 수출신고 번호를 선택한 후 타겟팅을 설정하면 항공기 기본정보와 타겟팅 대상목록이 확인되는데, 여기서 타겟팅을 추가하거나 설정할 수 있다.
2. 수출화물 사전입수 정보관리 현황은 세관, 수출신고 번호, 조회기간을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수출신고 번호, 세관, 수리일자, 수출자 상호, 사업자 등록번호, 출발 예정일, 선적일, 적재항, 목적국, 운항선사 항공사 부호, 선박명(편명), 선별부호, 타겟팅, 조치결과 등이 포함된 정보가 제공된다.
3. 수출화물 타겟팅 대비 조치건 현황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관 및 연도를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타겟팅 대비 조치건, 타겟팅 대비 미조치건, 미선별 조치건 별로 구분하여 해당 목록 및 그래프를 제공한다.
수입화물 사전입수 정보부(1143)는 사전에 입수된 수입화물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선별후보별, 타겟팅별, 조치건수별 위험정보를 제공하는데, 수입화물 사전입수 정보관리, 수입화물 사전입수 정보처리 현황, 수입화물 타겟팅대비 조치건 현황 등을 확인할 수 있다.
1. 수입화물 사전입수 정보관리는 세관, MRN, 조회기간을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MRN, 세관, M_B/L총개수, H_B/L총개수, 선별후보, 타겟팅별로 구분된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위험요소 선별목록별, 위험요소 등록별, 타겟팅별로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위험요소선별목록을 선택하여 수입화물 위험요소 선별목록을 조회 및 등록할 수 있고, 타겟팅 대상을 선택하여 타겟팅 조회, 추가 및 등록을 할 수 있다.
2. 수입화물 사전입수 정보처리 현황은 세관, MRN, 조회기간 등을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MRN, 세관, 입항일자, 양륙항, 출발지, 해상항공 구분, 운항선사/항공사 부호, M_B/L총개수, H_B/L총개수, 선별후보, 타겟팅, 조치결과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MRN을 선택한 후 조치결과 등록을 선택하여 조치결과를 등록할 수 있다.
3. 수입화물 타겟팅대비 조치건 현황은 세관 및 연도를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타겟팅 대비 조치건, 타겟팅 대비 미조치건, 미선별 대비 조치건 별로 구분하여 해당 목록 및 그래프를 제공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이동 모니터링부(115)는 화물이동 모니터링 정보관리부(1151), 화물이동 정보현황부(1152), 화물이동정보 상세현황부(1153), 단계별 위험정보 현황부(1154)를 포함한다.
화물이동 모니터링 정보관리부(1151)는 화물이동 모니터링 조건등록과 화물이동 모니터링 현황조회로 구분되는데,
1. 화물이동 모니터링 조건등록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이동 모니터링의 필터링 조건을 등록 및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적용세관, 법규준수도-평균, 법규준수도-업체, 적발내역, 위험요소, 설명 등의 필터링 조건항목을 입력하여 등록할 수 있는데, 등록된 정보는 세관별로 지정된 1인(지정된 관리자)에게만 접근이 허용된다.
2. 화물이동 모니터링 현황조회는 필터링된 화물정보(화물정보 현황)및 전체 화물정보(화물정보 상세현황)를 제공한다. 즉, 세관, 구분, 등록일자를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확인된 결과는 법규준수도, 적발내역, 조건, 등록일자 등을 포함한다.
화물이동 정보현황부(1152)는 입항일자, 보세창고, 적용세관, 화물구분, 정렬기준 등을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전체화물, 수입화물, 환적화물 중 선택한 하나의 화물구분 및 법규준수도, 적발내역, 위험요소 중 선택한 하나의 정렬기준에 따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전체화물은 수입화물과 환적화물을 포함한 것을 의미한다. 결국 실시간으로 화물이동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화물이동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화물이동정보 상세현황부(1153)는 화물관리 번호 또는 M_B/L-H_B/L를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업체명은 프로파일과 연계되고 수입신고 번호는 전자통관과 연계되어 화물이동 모니터링의 상세정보 및 우범정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단계별 위험정보 현황부(1154)는 화물관리 번호 또는 M_B/L-H_B/L를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화물별 또는 업체별로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다.
1. 화물별로 화물이동 모니터링 현황을 확인하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법규준수도, 적발내역, 위험요소에 관한 업체별 우범정보의 상세정보가 단계별로 제공된다. 이때, 상호는 업체 프로파일과 연계된다.
2. 업체별로 화물이동 모니터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데, 선사의 경우 선박회사 부호, 선박회사명, 선박호출 부호, 선박명 등을 입력하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법규준수도, 적발건수, 위험요소건수 등을 단계별로 제공한다. 이때, 상호는 업체 프로파일과 연계된다.
상기 선사의 화물이동 모니터링 정보 확인과 유사한 방법으로 항공사, 포워더, 보세창고, 보세운송, 관세사, 수입업체별 위험정보 현황을 단계별로 확인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점위험군부(116)는 중점관리 위험군 현황부(1161), 신규 중점위험군 요청부(1162), 신규 중점위험군 요청조회부(1163), 중점위험군 실적현황부(1164) 등을 포함한다.
중점위험군 관리현황부(1161)는 일정기간을 설정하여(여기서는 반기별) 중점관리 협의회에서 선정한 위험군을 등록, 조회 및 관리하는 것으로써, 일반 사용자에게는 보이지 않는 관리자 전용 부분에 해당하는데, 위험관리 코드, 반입경로, 관심품목, 제목, 사용여부, 등록연도/분기 등을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고, 위험군 코드, 제목, 위험관리 코드, 반입경로, 관심품목, 주관부서, 사용여부가 포함된 중점위험군 관리현황 정보를 제공한다.
신규 중점위험군 요청(1162)은 중점위험군으로 새롭게 등록하기 위해서 요청하는 것으로써, 제목, 대표 위험관리 코드, 대표 반입경로, 대표 관심품목, 내용 등을 입력하여 실행할 수 있다.
신규 중점위험군 요청조회(1163)는 대표 위험관리 코드, 대표 반입경로, 대표 관심품목, 제목, 내용, 반영여부, 요청일자 등을 입력하여 실행할 수 있는데, 제목, 대표위험 관리코드, 대표 반입경로, 대표 관심품목, 요청일자, 반영여부 등을 포함한 신규 중점위험군으로 등록이 요청된 목록을 제공한다.
중점위험군 실적현황(1164)은 위험관리 코드, 반입경로, 관심품목, 제목, 사용여부, 등록연도/분기, 정보분석관, 조회기간 등을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중점위험군별로 관리담당 부서, 세관별 등록된 목표건수, 위험유형 등록건수, 시뮬레이션 요청건수 등 중점위험군 실적현황 정보를 제공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요소 관리부(117)는 위험요소 등록부(1171), 위험요소등록 현황부(1172), 위험요소 생성용 적발실적 조회부(1173), 위험요소 해당파일 조회부(1174), 위험요소 검증부(1175) 등을 포함한다.
위험요소 등록부(1171)는 사용자가 수집된 정보를 위험구분에 따라 위험요소로 직접 등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써, 일반사용자와 위험관리센터의 권한에 따라 등록되는 내용이 달라진다. 여기서 일반사용자는 등록자, 위험요소명, 위험구분, 위험내용, 위험 상세내용 등을 입력할 수 있는데, 위험구분은 프로파일별, 위험관리 코드별, 업무별로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다. 위험관리 센터는 상기 일반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에 더하여 위험쿼리(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요청하는 것)하는 부분을 더 포함한다.
위험요소등록 현황부(1172)는 프로세스별 진행 건수 정보와 목록, 위험요소 상세내용을 제공하고, 일반사용자와 위험관리 센터의 권한에 따라 제공되는 정보가 달라진다. 여기서 일반사용자는 위험번호, 위험요소명, 위험구분, 승인구분(전체, 등록, 승인요청, 적재요청, 승인, 반려), 등록일자 등을 입력하고, 위험관리센터는 상기 일반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에 더하여 등록세관, 등록과, 등록자, 승인자, 위험구분 등의 정보를 더 입력하여 위험요소등록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데, 위험관리 센터의 승인구분 항목은 전체, 등록, 승인요청, 반려, 결재중, 결재반려, 승인, 참고 중 하나를 선택한다.
한편 일반사용자는 위험번호, 위험요소명, 사용여부, 등록세관, 등록과, 등록자, 위험구분, 구분, 등록일자 등을 입력하여 위험요소등록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데, 그 결과 위험요소 요청현황 목록이 검색되어 위험요소명, 위험구분, 처리상태, 등록자, 승인요청 일자, 승인(반려)일자, 상세정보 등이 제공된다. 이때, 위험관리 센터는 일반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에 더하여 위험요소 정보로써 추출기준 및 반려사유 등을 기록할 수 있고, 상세정보로써 등록된 위험요소를 변형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상태가 승인된 요소들에 대해서는 sub(하위)위험요소로 등록할 수 있다.
위험요소 생성용 적발실적 조회부(1173)는 적발실적 조회조건을 입력하여 위험요소 생성용 적발실적을 확인할 수 있는데, 본부세관, 일선세관, 적발기관, 적발분야, 위험관리 코드, 반입경로, 조회조건, 사업자 등록번호, 주민등록번호, 품목(HS), 해외거래처 부호, 선박호출 부호, 항공사 부호, 보세 운송업체 부호, 하역업체 부호, 보세구역 운영업체, 포워더, 차량 운송업체, 특송업체, 선용품업체, 국가, 관세사 등의 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반입경로로 15가지(항공 일반화물, 수입 컨테이너, 환적 컨테이너, 해상 벌크, 해상 일반, 이사화물, 보세화물, 특송화물, 여행자, 보따리상, 승무원, 선원, 국제우편, 불상, 기타)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그 결과 확인된 적발실적 상세정보는 적발내역 기본정보와 프로파일 항목정보로 구분된다.
위험요소 해당파일 조회부(1174)는 등록된 위험요소가 해당된 파일의 위험요소 건수를 제공하고, 조회된 위험요소를 조합한 결과를 확인하며, 위험요소에 대한 보고서로 업무연계를 지원하는 것으로써, 위험구분, 제목, 위험번호 등을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위험구분 중 선택한 구분요소에 따라 이름과 번호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위험요소를 확인하면 위험번호, 제목, 위험구분, 위험요소 해당건수, 위험유형 적용건수, 우범모델 적용건수, 등록일자 등을 포함한 정보가 제공되는데, 조회된 위험요소 중 다수의 위험요소들을 조합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조합할 조건(위험요소)을 선택하면 보고서(cognos)를 작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업무연계가 가능하다.
위험요소 검증부(1175)는 미리 등록된 위험요소의 적합성 여부와 유사 위험요소의 중복등록을 예방하기 위해서 활용되는데, 기존에 수집된 위험요소와 연계된 검증결과를 등록하고, 등록된 결과를 제공(여기서는 차트로 제공)하여 위험요소의 적합성을 증대시키고 중복등록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위험요소 검증은 위험요소 검증등록과 위험요소 검증목록 조회로 나뉘는데,
1. 위험요소 검증등록을 위하여 제목, 참조 위험요소, 추출대상, 범위대상, 수치/기간, 검증쿼리, 범위, 구간단위 등을 입력한다. 여기서 범위대상에 따라 수치 또는 기간을 선택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최근 일년의 기간을 선택하고 횟수, 중량, 금액 등의 수치를 선택하여 등록할 수 있다.
2. 위험요소 검증목록 조회를 위해 검증요청 번호, 검증요청명, 참조 위험요소, 추출대상, 범위대상, 적재여부, 사용여부 등을 입력하는데, 검증요청 번호, 검증요청명, 참조 위험요소, 검증내역, 상태 등이 포함된 위험요소 검증목록이 제공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분석 모듈(12)은 프로파일 분석부(121)와 위험요소 분석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정보분석 모듈(12)은 나의 정보분석이력 및 전체 정보분석 모델을 조회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나의 정보분석이력 조회는 사용자가 정보분석을 위해 등록하였던 정보 중 최근 목록을 표시하는데 사용자의 정보분석 이력에 대한 목록을 제공하고, 전체 정보분석모델 조회는 사용자 본인 이외에 다른 사용자의 정보분석모델 중 공개된 건에 대해 최근 1개월 이내 자료 중 최근 목록을 제공한다.
상기의 결과는 사용자가 프로파일을 분석하거나 위험요소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데, 위험인식 모듈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프로파일 연관분석, CDW연계분석, 프로파일 심층분석 및 자동복합 위험요소 분석, 위험요소 연관분석, 선별율을 적용한 CDW연계분석, 시뮬레이션 분석 등의 분석이 가능하다.
이하 정보분석 모듈(12)의 세부사항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 분석부(121)는 프로파일 연관분석부(1211), CDW연계 분석부(1212), 프로파일 심층분석부(1213)를 포함한다.
프로파일 연관분석부(1211)는 연관어(시작), 연관어(끝)을 입력하여 프로파일 연관분석을 실행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중간 연관어를 추가할 수 있다. 이때, 중간 연관어는 개인, 업체, 해외 거래처, 품목, 관세사, 포워더, 보세구역, 보세 운송업체, 항공편, 선박, 국가, 항구공항, 선용품 업체, 선용품, 세관, 여권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데, 연관어(시작)와 중간연관어 및 연관어(끝)을 포함하여 최대 5개까지 선택할 수 있다. 입력된 분석조건에 따라 연관정보를 필터링하여 연관정보 목록을 단계적으로 제공하는데, 이후 개인, 업체, 품목, 관세사, 포워더, 보세구역, 보세운송업체, 선용품업체, 세관 등 중에서 연관정보를 추가함으로써 좀 더 상세한 연관분석을 실행할 수 있다. 연관관계에 관한 정보는 연관관계맵으로 도식화되어 도 26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CDW연계 분석부(1212)는 각 업무 분야별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W연계 분석부(1212)는 전산적으로 축적된 관세행정 정보를 활용하여 정형(RS)보고서와 비정형(AS)보고서를 추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1. 정형(RS)보고서에는 수입 일반보고서, 수출 일반보고서, 적하목록 일반보고서, 해상입출항 일반보고서, 수입 적하목록 일반보고서 및 위험요소 RS보고서(위험요소 업무연계 분석보고서) 등이 있고, 비정형(AS)보고서로는 자동 복합위험요소 분석보고서(피벗 보고서)가 있다. 여기서 보고서에 입력하는 분석조건을 세분화 할수록 조회 및 분석속도는 빨라진다.
수입 일반보고서에는 신고세관, 신고일자, 신고관세사, 수리일자, 납세자 사업자 등록번호, 입항일자, 납세의무자 상호, 반입일자, 세관번호(세번) 등을 입력할 수 있는데, 분석조건으로는 구분조건, 부호조건, 검색&선택, 금액조건 등이 있다. 여기서 구분조건으로는 수입신고 구분, 수입거래 구분, 수입종류, CS검사 구분 등이 있고, 단일 또는 다중선택이 가능하다. 부호조건으로 징수형태 부호, 통관계획 부호, 결제인도 부호, 결제방법 부호, 운송수단 부호, 운송용기 부호 등이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선택이 가능하다. 검색&선택으로 관세율구분 부호, 적출국, 장치장 부호, 원산지 부호, 감면분납 부호 등이 있고, 단일 또는 검색&선택 검색이 가능하다. 여기서 검색&선택 검색은 해당 키워드로 시작하거나 해당 키워드를 모두 포함하는 조건 등의 검색방식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금액조건은 관세과세 가격(미화), 순중량, 수량으로 구성되는데, 시작 값 이상, 끝 값 이하로 조건을 입력하여 정보를 분석할 수 있고, 한쪽 조건만을 입력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전자통관 수입신고 내역을 제공한다.
수출 일반보고서에는 신고세관, 신고일자, 신고자 상호, 수리일자, 수출자 상호, 수출신고 수신일자, 수출자 사업자등록번호, 품명, 세번 등을 입력할 수 있는데, 분석조건으로는 구분조건, 부호조건, 검색&선택, 금액조건 등이 있다. 여기서 구분조건으로는 수출자 구분, 수출검사 구분, 수출신고 구분, 수출거래 구분 등이 있고, 부호조건은 징수형태 부호, 통관계획 부호, 결제인도 부호, 결제방법 부호 등이 있으며, 검색&선택은 목적국, 적재항 등이 있고, 금액조건은 관세과세 가격(미화), 순중량, 수량 등이 있으며, 전자통관 수출신고 내역을 제공한다.
적하목록 일반보고서에는 신고세관, 입항일자, 제출세관, 제출일자, 적하목록 관리번호, 품명, 수하인 사업자등록번호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분석조건으로는 구분조건과 검색&선택 등이 있다. 여기서 구분조건으로는 해상항공 구분, BL구분 부호, 화물구분, 포장종류 등이 있고, 검색&선택은 운항선사 부호, 항공사 부호, 적출국, 적재항, 양륙항, 화물운송 주선업자, 선박호출 부호 등이 있으며, 전자통관 적하목록 내역을 제공한다.
해상입출항 일반보고서에는 입출항 구분, 입출항 일자, 세관, 신고일자, 제출, 승인일자, 입항목적, 항해구분 등을 입력할 수 있는데, 분석조건으로는 검색&선택, 여부조건, 중량조건 등이 있다. 여기서 검색&선택은 선박국적, 목적항, 출항지, 경유지, 선사부호, 선박호출 부호 등이 있고, 여부조건은 적하목록 제출여부, 출무이상 여부, 선용품구입 여부, CS출무 여부, 출무대상 여부 등이 있으며, 중량조건은 적재톤수, 화물 총중량, 화물명세 양하톤수 등이 있고, 해상입출항 내역을 제공한다.
수입 적하목록 일반보고서에는 신고세관, 신고일자, 신고관세사, 수리일자, 납세자 사업자 등록번호, 입항일자, 납세의무자 상호, 반입일자, 세번 등 수입관련 항목과 입항세관, 입항일자, 제출세관, 제출일자, 적하목록 관리번호, 품명, 수하인 사업자 등록번호 등 적하목록 관련항목을 입력할 수 있는데, 분석조건으로는 구분조건, 부호조건, 검색&선택, 금액조건 등이 있다. 여기서 구분조건으로는 수입신고 구분, 수입거래 구분, 수입종류, CS검사 구분, 해상항공 구분, 화물구분 등이 있고, 부호조건은 징수형태 부호, 통관계획 부호, 결제인도조건 부호, 결제방법 부호, 운송수단 부호, 운송용기 부호, BL구분 부호, 포장종류 등이 있으며, 검색&선택은 관세율구분 부호, 적출국, 장치장 부호, 원산지 부호, 감면분납 부호, 운항선사 부호, 항공사 부호, 적재항, 양륙항, 화물운송 주선업자, 선박호출 부호 등이 있고, 금액조건은 관세과세가격 미화, 순중량, 수량 등이 있으며, 수입신고 번호, 적하목록 관리번호를 통하여 전자통관 수입신고 내역, 적하목록 내역을 제공한다.
위험요소RS(위험요소 업무연계 분석보고서)보고서에는 위험구분, 등록일자, 위험유형, 추가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데, 위험요소, 수입 및 수출업무와 연계될 수 있다. 여기서 추가항목으로 신고세관, 통관계획, 결제방법, 신고구분, 거래구분, CS검사 구분, 적출국, 원산지, 수리일자 등을 입력할 수 있고, 확인된 목록 중 수출신고 번호를 선택하여 전자통관 수출내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항목 중 프로파일 항목을 선택하여 해당 프로파일과 연계되는 기능을 제공한다.
2.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정형 보고서로는 자동 복합위험요소 분석(피벗 보고서)보고서가 있다. 예를 들어, 항목을 교체하는 방법으로 적발분야별, 요일별, 기간별 적발건수를 분석한다고 하면, 피벗보고서에서 요일항목을 선택하고 선택한 요일항목을 위험관리 코드 항목에 겹쳐 놓으면, 위험관리 코드 항목이 요일항목으로 변경되어 요일에 따른 적발건수 정보가 제공된다. 또 다른 예로 항목삭제 및 추가하는 방법으로 2011년도 본부세관별 적발건수를 분석하고 본부세관 중 인천본부 세관의 하위 세관의 적발건수를 상세분석 한다고 가정하면, 피벗보고서에서 불필요한 항목을 삭제한 후, 기간에서 2011년도를 선택하여 작업 영역렬 항목에 겹쳐 놓고, 세관항목을 선택하여 작업 영역행 항목에 겹쳐 놓아 적발건수를 분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검색 및 추가하는 방법으로 사업자번호를 검색하여 연도별 해당 기업의 적발건수를 분석한다고 하면, 키워드로 검색어를 입력하고 옵션을 통하여 검색방법을 선택하여 행이나 열에 겹쳐 놓아 분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세보고서와의 연계방법으로 피벗보고서에서 RS보고서를 연계하여 상세내역을 분석한다면, 상세내역을 보고 싶은 항목의 건수를 선택한 후 검색된 관련 링크를 선택하고, 적발건수사용 상세보고서를 선택한 후 해당 위험요소 건수를 측정값으로 설정한 후 해당 위험요소 건수 사용 상세보고서를 선택하고 RS상세보고서를 선택하면 자동 복합위험요소 분석 RS보고서가 제공된다.
프로파일 심층분석부(1213)는 기존분석 기능으로 파악이 힘든 숨은 위험요소의 발굴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프로파일 정보와의 연계 및 연관관계 심층분석 데이터를 활용한 사용자 위주의 분석기능을 제공하는데, 이로써 사용자의 편리성 향상을 위한 상세정보 연결이 가능하고, 위험관리 정보를 활용하여 심층분석 데이터를 구축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 위주의 조회조건을 제공하여 정보분석 시간단축 및 업무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관어 검색을 통해 분석 대상을 확인하되 연관어를 추가할 수 있고, 연관어 간의 관계를 선택하여 상세결과를 확인한 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연관관계 맵과 해당 프로파일의 상세내역을 제공한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요소 분석부(122)는 자동 복합위험요소 분석부(1221), 위험요소 연관분석부(1222), 선별율별 CDW연계 분석부(1223), 시뮬레이션 요청부(1224), 시뮬레이션 요청 현황부(1225) 등을 포함한다.
자동 복합위험요소 분석부(1221)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소 적발기간 구분, 본부세관, 일선세관, 적발기간, 적발분야, 위험관리 코드, 품목 등을 입력하여 분석을 실행할 수 있는데, 여기서 요소 적발기간 구분은 선택한 분석기준 일자 및 적발기간을 기준으로 위험요소와 위험관리 코드별 적발데이터를 매핑하여 위험요소별 적발건이 3건 이상 있는 위험요소를 제공하고, 결과목록에 해당하는 위험요소별 적발현황을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검색 결과로 구분, 위험요소명, 적발건수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제공된 정보를 위험요소 조합결과, 프로파일 결과조회, 시뮬레이션 요청 등의 형태로 위험요소를 분석하거나 위험유형 등록, 기초정보 등록, 피벗보고서 등의 형태로 정보공유 또는 보고서 작성 등과 같은 타업무와의 연계업무를 실행할 수 있다.
위험요소 연관분석부(1222)는 기간, 위험관리코드, 품목 등을 입력하여 분석을 실행할 수 있는데,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인된 위험요소 정보를 바탕으로 복합 위험요소, 연관분석, 기초정보 등록, 시뮬레이션 요청, 위험유형 등록, 선별율 조회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세한 분석을 할 수 있다.
선별율별 CDW연계 분석부(1223)는 선별업무, 신고서 신청기간, 연산자 및 조건값, 위험요소, 위험유형 등을 설정하여 분석을 실행할 수 있는데,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W와 연계하여 등록기준별 조회 또는 적발율별 조회 기능을 제공한다.
시뮬레이션 요청부(1224)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유형명, 승인부서, 출처유형, 중점관리 위험군, 공개여부, 위험내용, 요청내용, 선별조건, 파일첨부 등을 입력하여 시뮬레이션 요청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중점관리 위험군은 위험관리 코드, 반입경로, 관심품목, 제목, 등록연도/분기 등을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이때 확인된 결과에서 위험군 코드를 선택하면 해당 위험군 코드가 중점관리 위험군 코드로 등록된다. 이후 위험관리 코드를 코드명을 조회하여 설정하고, 상품 분류명의 일치검색 또는 유사검색, 세번(HS코드)등을 입력하거나 키워드, Map검색 등을 통해 상품분류맵 코드를 확인하여 이를 선택하면, 분류맵 코드가 관심품목으로 설정된다.
시뮬레이션 요청현황부(1225)는 처리상태, 중점관리 위험군, 요청자, 승인자, 위험유형명, 요청내용, 요청일자 등을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인된 결과로, 관리번호, 위험유형명, 중점위험군, 요청자, 요청일자, 승인자, 처리상태, 분석결과 예정일 등이 포함된 정보가 제공된다. 여기서 조회된 결과는 접수, 요청종료, 분석수행, 분석완료, 분석종료, EDA요청, 위험유형 요청, 센터별로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때, (1)접수는 접수대기(시뮬레이션 요청자가 승인부서 및 선별조건을 입력하고 요청을 설정하지 않은 상태로 요청자가 시뮬레이션 요청현황부에서 확인하고 수정/삭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상태), 접수완료(시뮬레이션 요청자가 요청을 설정한 상태이고 승인자는 요청 내용에 대하여 검토의견을 등록한 후 승인/반려처리 할 수 있는 상태), 보완요청(승인자가 반려하여 사용자가 재요청을 설정하여 접수완료를 할 수 있는 상태)로 구분되고, (2)요청종료는 승인자가 반려하여 사용자가 재요청을 하거나 요청종료 처리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하며, (3)분석수행은 분석수행(해당 요청 시뮬레이션에 대하여 승인자가 승인을 완료하여 분석수행을 진행중인 상태 및 통합위험관리 센터에서 요청내용을 확인하고 분석결과 및 결과파일을 등록 및 처리할 수 있는 상태)과 재분석 수행(분석완료 상태에서 재요청을 설정한 경우의 상태로써 접수완료와 동일한 상태로, 승인자가 승인/반려처리 할 수 있는 상태)으로 구분된다. (4)분석완료는 통합위험관리 센터에서 요청내용을 확인하고 분석수행을 완료하고 적용을 선택하여 분석을 완료한 상태를 말하고, (5)분석종료는 처리의견 등록 시, 조치처리 등록은 ‘선별조건 등록', ’위험유형 등록’을 제외하고 선택하여 처리의견을 등록하고, 분석완료 상태에서 분석종료를 요청한 상태를 의미하며, (6)EDA요청은 선별접수 완료(분석완료 화면에서 처리의견을 등록하고 EDA요청을 설정한 상태(EDA요청 현황 및 IRM센터 관리현황에서 확인 가능))와 반영완료(해당 EDA요청 현황 및 IRM센터 관리 상태에서 적용을 선택하여 반영을 완료한 상태로, EDA운영 서비스를 시작한 상태)로 구분된다. (7)위험유형 요청은 위험유형 접수(분석완료 상태에서 처리의견을 등록하고 위험유형 접수를 설정한 상태(요청내용은 IRM센터에서 확인가능))와 위험유형 완료(IRM센터 관리현황에서 요청 내용을 확인 후 반려한 경우 분석완료 상태로, 변경/적용 설정을 한 경우에는 반영완료 상태로 위험유형 서비스가 되고, 위험유형 관리현황에서 확인이 가능한 상태)로 구분되고, (8)센터는 센터 검토중(접수완료 상태에서 업무국이 승인을 설정한 상태로, IRM센터에서 조정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 상태), 조정기간(분석수행 전 센터와 업무국간 의견을 조율하는 상태), 센터 결재 중(센터 담당자가 결재를 상신(결재 요청)한 상태)으로 구분된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합선별 모듈(2)은 분석결과 적용모듈(21)로 구성되고,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결과 적용모듈(21)은 선별기준 통합관리부(211), EDA선별부(212), 알림 모니터링부(213), 위험유형 관리부(2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분석결과 적용 모듈(21)의 세부사항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분석결과 적용 모듈(21)은 최근 위험유형등록 현황 및 최근 EDA반영 현황을 제공한다.
최근 위험유형등록 현황은 최근 1개월 이내에 위험유형으로 등록된 정보 목록을 제공하고, 최근 EDA반영 현황은 최근 1개월 이내에 EDA에 선별 반영된 정보 목록을 제공한다.
상기의 결과는, 인식된 위험정보를 선별기준, 적발율 등 관세청에서 정한 일정한 기준(관세청 내부 선별조건)으로 설정한 복합위험 모델(예, EDA선별)에 적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위험유형을 도출하며, 도출된 위험유형을 등록하거나 사용자에게 알리는 등의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그 결과 동일 또는 유사한 위험정보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기준 통합관리부(211)는 선별기준부(2111), 적발율부(2112), 선별기준 통계부(2113), 위험관리 코드별 조회부(2114)를 포함한다.
선별기준부(2111)는,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효성 있는 선별기준을 설정함으로써 선별결과, 검사결과, 적발결과 정보를 제공하고, 우범기준 조회, 필수기준 조회, 업무별 선별기준 조회가 가능하다. 여기서 선별업무, 위험관리 코드, 품목, 적용여부, 신고서 처리기간, 기준만료 기간, 사업자 등록번호 등을 입력하여 우범기준 조회 및 필수기준 조회를 실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위험관리 코드, 기준번호, 통관 고유부호, HS부호, 적출국 부호, 수입종류, 적용 개시일, 적용 만료일, 선별건수, 검사건수, 적발건수, 적발율, 선별율 조회 등이 포함된 정보가 제공된다. 또한, 선별업무, 위험관리 코드, 품목, 기준구분, 선별기준 번호, 적용여부, 기준만료 기간, 신고서처리기간, 사업자 등록번호 등을 입력하여 업무별 선별기준 조회를 실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선별업무, 분야, 위험관리 코드, 기준구분, 품목, 기준 등록번호, 검사율별 적용비율, 선별건수, 검사건수, 적발건수, 적발율, 선발율 조회 등이 포함된 정보가 제공된다.
적발율부(2112)는 선별비율(%)을 조절하여 선별기준을 검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업무, 신고서 신청기간, 신고서 항목, 위험요소, 위험유형 등을 입력하여 등록기준별 조회 또는 선별율별 조회를 할 수 있다. 여기서 신고서 항목을 선택하여 생성된 거래품명, 관세율, 세관 등의 항목 중 하나를 입력함으로써 확인이 가능하다.
1. 등록기준별 조회는 기준번호, 기준명, 선별업무, 위험관리 코드 등을 입력하여 실행할 수 있는데, 기준번호, 선별업무, 위험관리 코드, 기준명, 등록일자 등이 포함된 정보가 제공되고, 여기서 기준번호를 선택하면 기준번호, 기준명, 선별업무, 위험관리 코드, 신고서 항목, 위험요소, 위험유형 등이 포함된 등록기준 상세정보가 제공되며, 이후 상기 등록기준 상세정보에 대한 수정도 가능하다.
2. 선별율별 조회는 선별율 조회를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는데, 선별율 조회를 선택하면 대상건수, 선별건수, 선별율, 적발건수, 적발율 등이 포함된 적발율 조회 결과가 표시된다. 여기서 기준등록, EDA요청, 위험유형 등록 등을 실행할 수 있는데, 기준등록은 상기에서 적발율 조회결과로부터 적발율이 높아 활용가치가 높은 경우에 행하게 된다. EDA요청은 EDA요청을 선택하여 확인된 분석선택, 위험관리 코드, 품목, 분석모델 제목, 분석구분, 참고처리, 무시처리 등이 포함된 정보분석 진행내역과 개인별 정보분석 모델조회 중에서 분석모델을 선택하고 참고/무시처리를 한 후, 모델등록을 설정하여 등록자, 분석모델 제목, 위험관리 코드, 품목, 연식종류, 분석종류 등을 입력하여 모델등록을 완료한 후 실행할 수 있다. 위험유형 등록은 위험요소를 선택하여 개인정보분석 모델을 설정하고 위험유형 등록신청을 함으로써 실행할 수 있는데, 실행방법은 상기 EDA요청과 동일하다.
선별기준 통계부(2113)는 업무별 선별기준의 선별결과, 검사결과, 적발결과 등의 집계(통계) 정보를 활용한 선별통계 기능을 제공하는데, 선별기준별 현황, 검사기준 유형별 현황, 적발유형별 현황이 포함된다.
1. 선별기준별 현황은,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업무와 조회일자를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선별기준별 현황 차트 및 선별구분, 선별건수, 검사건수, 적발건수, 핵심 적발건수 등이 포함된 선별기준별 건수 정보를 제공한다.
2. 검사기준 유형별 현황과 적발유형별 현황은, 도 41 및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별기준별 현황의 확인방법과 동일하고, 그 결과 표시도 유사하다.
위험관리 코드별 조회부(2114)는 선별기준별 조회와 위험관리 코드별 조회를 포함하는데,
1. 선별기준별 조회는 선별업무, 위험관리 코드, 품목, 조회기간, 항목선택, 항목명, 연산자, 조건 등을 입력하여 실행한다.
2. 위험관리 코드별 조회는 위험관리 코드, 품목, 기초정보 조회용 품목구분, 조회기간 등을 입력하여 실행하는데, 그 결과 선별기준 건수, 선별건수, 적발건수, 정보분석 보고서, 기초정보, 위험유형 정보, 위험요소 정보 등을 제공한다. 여기서 적발건수를 선택한 경우에 정보분석부(21)와 연계될 수 있는데, 선택항목에서 연관분석 할 데이터를 선택하여 연관분석을 실행하고, 연관어(시작)와 연관어(끝)를 입력하고 경로 찾기를 실행하면 연관관계 분석이 가능하다.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EDA선별부(212)는 EDA요청부(2121), EDA요청 현황부(2122), IRM센터관리 현황부(2123), 통계현황 조회부(2124)를 포함한다.
EDA요청부(2121)는,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유형명, 승인부서, 출처유형, 업무구분, 중점관리 위험군, 공개여부, 위험내용, 요청내용, 선별조건, 파일첨부 등을 입력하여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선별조건은 관리(적발)분야, 위반법조, 위험요소 항목을 입력하여 확인하는 위험인식재료 항목조회와 위험구분, 위험항목명, 위험번호를 입력하여 확인하는 위험정보목록 조회로써 입력할 수 있다.
EDA요청 현황부(2122)는,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상태, 중점관리 위험군, 요청자, 승인자, 위험유형명, 요청내용, 요청일자 등을 입력하여 EDA요청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데, 그 결과 관리번호, 위험유형명, 중점관리 위험군, 요청자, 요청일자, 승인자, 처리상태, 분석반영 예정일 등이 포함된 정보가 제공되고, 처리상태(접수, 요청종료, EDA적용신청, EDA반영완료, EDA반영종료, 센터 결재중)별로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처리상태 중 (1)접수는, 접수대기(EDA요청자가 승인부서 및 선별조건을 입력하고 요청을 설정하지 않은 상태로, 요청자가 EDA요청현황에서 조회하고 수정/삭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상태), 접수완료(EDA요청자가 요청을 한 상태이고, 승인자는 요청내용에 대하여 검토의견을 등록한 후 승인/반려처리 할 수 있는 상태), 보완요청(승인자가 반려하여 사용자가 재요청을 설정하여 접수완료를 할 수 있는 상태)으로 구분되고, (2)요청종료는 승인자가 반려하여 사용자가 재요청 또는 요청종료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하며, (3)EDA적용신청은 업무국에서 승인완료 후 적용신청을 한 상태를 말한다. (4)EDA반영완료는 EDA요청현황 및 IRM센터 관리현황에서 적용을 실행하여 반영완료한 상태를 말하고, (5)EDA반영종료는 반영완료 후 EDA선별을 종료시킬 경우를 말하며, (6)센터 결재중은 센터담당자가 결재를 상신한 상태를 의미한다.
IRM센터 관리현황부(2123)는,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뮬레이션이나 EDA요청과 관련하여 IRM센터에서 승인, 반려, 결제의 단계 중 어느 단계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리번호, 위험유형명, 중점위험군, 요청자, 요청일자, 승인자, 처리상태, 요청구분 등을 포함한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위험유형명을 선택하여 위험유형 등록을 위한 접수를 할 수 있는데, 승인자가 의견을 입력하고 위험요소를 검색하여 선별조건에 위험요소를 추가하여 결재상신 또는 반려처리를 함으로써 처리상태가 사무관 결재중 또는 분석완료로 변경된다.
통계현황 조회부(2124)는,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요소에 EDA복합 선별조건을 적용하여 반영된 결과에 대한 업무별, 유형별 통계현황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때 통계현황은 업무분야와 조회기간을 설정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전체, 수입통관, APIS, VS, 보세구역별로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출번호, 제출번호 차수, 일련번호, 성명/생년월일, 주민번호, 여권번호, 일자 등이 포함된 통계현황 정보가 제공된다.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 모니터링부(213)는 알림 모니터링 요청부(2131), 알림 모니터링 요청현황부(2132), 알림 모니터링 승인요청 현황부(2133), 알림 모니터링 통보목록 조회부(2134), 알림 모니터링 실적조회부(2135)를 포함한다.
알림 모니터링 요청부(2131)는,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분야 선택, 알림내용설정 상세정보, 조건항목 선택, SMS(short message service) 등을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설정한 위험정보가 인식된 경우에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도록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관리분야 선택은 7종류(수입신고, 수출신고, 특송화물, 관세환급, 수입신고+적하목록, 적하목록(항공), 적하목록(해상))의 업무별로 나뉘어져 있으며 관리분야 선택에 따라 조건항목이 설정된다.
알림내용설정 상세정보는 알림 모니터링명, 모니터링 기간, 공개 또는 비공개, 요청자, 승인자, 요청사유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조건항목 선택은 조건항목 목록, 항목, 조건(필터), 조건조회, 복합조건 조회를 입력하여 선택할 수 있는데, 조건항목 목록은 관리분야 선택시 분야별 목록이 달라지고 알림 모니터링 조건항목 관리에서 주요항목 여부에 사용이 등록된 항목들로 목록이 확인되며, 항목은 모니터링 할 항목을 선택하여 관리분야 선택에 의해 선택된 분야에 따라 조건 항목이 변경되어 제공된다. 또한 복합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데, 조건을 입력해 놓은 결과를 시뮬레이션 해보는 기능으로써 다중조건의 최근 6개월간 건수를 조회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SMS입력은 이름, ID, 세관, 부서, 전화번호 정보를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SMS신상정보로는 신청한 모니터링의 실시간 결과를 통보 받을 담당자를 지정하여야만 한다. 모든 항목을 기입한 후 승인요청을 선택하면 지정된 승인자에게 승인이 요청되고 해당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알림 모니터링 요청현황이 확인되고 승인요청 상태가 된다.
알림 모니터링 요청현황부(2132)는 프로세스 진행별 건수와 목록, 요청 상세내용을 제공하며 일반사용자와 위험관리 센터의 권한에 따라 제공 내역이 달라지는데, 알림 모니터링 요청현황에서
1. 일반사용자는 세관, 과(부서), 처리상태, 요청번호, 업무분야, 알림제목, 요청사유, 요청자, 승인자, 조회기간을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고, 위험관리 센터는 상기 일반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에 더하여 공개여부를 추가하여 선택함으로써 확인이 가능하다. 그 결과 처리상태(전체, 요청, 보완요청, 요청종료, 승인, 수행중, 수행완료, 종료)에 따라 요청번호, 열람제목, 업무분야, 요청자, 요청부서, 시작일자, 종료일자, 승인자, 처리상태, 알림건수 등의 정보가 제공된다. 여기서 처리상태 중 (1)요청은 요청자가 승인을 요청한 상태, (2)보완요청은 승인자가 요청 건에 대해 반려를 한 상태, (3)요청종료는 보완요청(재요청)상태에서 요청자가 요청종료를 한 상태, (4)승인은 승인자가 승인을 한 상태, (5)수행중은 승인 후 모니터링기간에 모니터링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 (6)수행완료는 모니터링 수행중 모니터링 기간이 완료되어 모니터링이 중단된 상태, (7)종료는 요청자가 사후처리 결과를 저장하고 종료된 상태를 의미한다.
확인된 결과에서 요청번호를 선택하면, 요청자는 종료된 모니터링에 대한 연장신청을 할 수 있고, 승인자는 요청된 모니터링에 대한 승인 또는 반려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요청자는 처리상태가 승인, 수행중, 수행완료, 종료일 때 모니터링에 대한 처리결과를 입력하여 사후처리 결과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조사/심사지시, 위험유형 등록, 기초정보 등록, 업무참고, 기타 중 하나를 선택하고 조사처리를 설정하여 그 상세내용을 입력하고, 처리내용을 입력하여 사후처리 결과를 등록할 수 있다.
알림 모니터링 승인요청 현황부(2133)는 요청된 모니터링 건 중 자신이 승인자로 지정된 경우 승인요청 현황을 확인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요청번호 선택 시 승인 또는 반려 처리를 활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알림 모니터링 통보목록 조회부(2134)는 업무분야, 요청세관, 통보일자 등을 입력하여 알림 모니터링 통보목륵을 확인할 수 있는데, 요청번호, 통보내용, 업무분야, 신고접수번호 등이 포함된 검색결과 중 요청번호를 선택하면 통보내역에 대한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요청한 모니터링은 SMS로 통보되는데, 통보받은 알림 건에 대해 참고 또는 무시를 선택하여 처리결과를 등록할 수 있다.
알림 모니터링 실적조회부(2135)는 알림 모니터링에 대한 등록건수와 알림건수를 세관별로 합계를 내어 실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써, 등록기간이나 알림기간을 설정하여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등록기간은 모니터링을 요청한 기간을 기준으로 확인하는 것이고, 알림기간은 SMS로 통보된 통보일자를 기준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알림 모니터링 통계 현황별 조회가 가능한데, 업무분야, 요청자, 요청기간을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알림 모니터링 이용에 대한 처리상태별, 세관별, 업무구분별, 통계현황이 제공되고, 요청번호, 요청일자, 요청세관, 업무분야, 조건항목, 조건 등이 포함된 결과가 제공된다.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유형 관리부(214)는 위험유형 신청부(2141), 위험유형 관리현황부(2142), 위험유형 조치결과 조회부(2143), 프로파일별 위험유형 조회부(2144)를 포함한다.
위험유형 신청부(2141)는 위험유형명, 중점관리 위험군, 승인부서, 관리(적발)분야, 위험관리 코드, 위험요소, 신고서 항목, 등록사유, 등록자 및 승인요청 등을 입력하여 실행할 수 있는데, 기존에 등록된 위험요소를 조합하여 시뮬레이션을 하거나 새롭게 수집된 위험요소의 조합으로 새로운 위험유형을 신청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위험요소를 추가한 후 신고서 항목을 선택하여 위험유형에 신고서 항목을 포함시킬 수 있다.
위험유형 관리현황부(2142)는 위험유형명, 중점관리 위험군, 승인부서, 등록자, 본청담당자, 관리(적발)분야, 위험관리 코드, 처리상태, 위험요소, 조회기간 등을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위험유형 관리현황부는 프로세스 진행별(전체, 본청승인 요청, 센터승인 요청, 등록자보완 요청, 본청보완 요청, 센터승인 완료)정보, 위험유형 상세내용을 제공한다. 위험유형등록 승인자는 자신의 의견을 포함하여 승인 또는 보완요청 처리를 할 수 있다. 이때, 위험유형이 등록되기 전에 유사하거나 중복된 위험유형을 파악하여 안내 메시지를 표시한다.
위험유형 조치결과 조회부(2143)는 중점위험 관리군, 위험관리 코드, 연계분야, 사건번호, 위험유형군 코드, 등록자, 등록일자 등을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신청한 위험유형 신청에 대한 결재 승인자의 조치결과 정보를 제공한다.
프로파일별 위험유형 조회부(2144)는 업체, 개인, 지역 등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위험유형을 조회하는 것으로써, 기초정보 등록과 위험유형활용 등록이 가능하다. 프로파일 항목을 선택한 경우 각각에 해당하는 검색조건이 표시되고, 검색조건을 입력함으로써 프로파일별 위험유형을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조회결과에서 활용등록을 선택하여 위험유형 활용내용을 등록 할 수 있다. 이후에 위험유형명, 승인부서, 출처유형, 중점관리 위험군, 공개여부, 위험내용, 요청내용, 선별조건 등을 입력하여 시뮬레이션 요청을 할 수 있다.
업무연계 모듈(3)은 환류·재평가 모듈(31)을 포함한다. 여기서 환류·재평가 모듈(31)은,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페이지와 프로세스별 진행현황을 제공한다.
마이페이지는 사용자가 많이 사용하는 부분의 정보를 신속하게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써, 기초정보, 모니터링 등 각 업무별 진행현황을 확인하는 프로세스별 진행현황, 사용자가 등록한 컨텐츠를 한 번에 조회하는 마이컨텐츠 정보, 사용자가 정보분석 모델을 등록 또는 활용한 이력을 조회하는 정보분석이력 조회, 사용자 본인의 정보를 조회하는 내정보 및 사용자 개인의 자료를 업로드하여 등록하고 관리하는 개인자료 정보를 포함한다.
프로세스별 진행현황은 기초정보, 수출입 모니터링, EDA, 시뮬레이션, 알림 모니터링의 진행 프로세스를 도식화하여 표시하고, 사용자 본인이 등록 요청한 건의 진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상기의 결과는 사용자가 시스템운영 실적 및 정책결정자의 정보통계, 주간운영 현황, 사용자별 실적현황 등의 통계정보와 월별, 세관별, 개인별 마일리지 등의 세관정보 마일리지의 형태로 개인 또는 업무부서의 위험관리 실적을 관리 및 평가하고, 그 결과를 등록 및 확인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결국, 위험에 대한 대응결과를 점검하고 문제점 및 개선사항을 프로세스별 진행 중에 반영하는 피드백(환류) 기능을 한다. 또한 위험정보를 세관별 조치현황, 부서별 위험동향, 조사지시 현황, 심사지시 현황, 정보분석 지시현황 등의 형태로 제공하고, 이에 대해 사용자가 위험동향 정보를 수정하여 등록하거나 조치결과에 대해 결재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하 환류·재평가 모듈(31)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류·재평가 모듈(31)은 시스템운영실적 관리부(311), 통계관리부(312), 세관정보 마일리지부(313), 위험정보 관리부(3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운영실적 관리부(311)는 통합위험관리 운영실적부(3111)를 포함하는데, 조회기간을 입력하여 시스템 운영실적을 확인할 수 있고, 업무국 평가요청 실적 및 업무국 정보평가 실적으로 표시된다.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계관리부(312)는 정책결정자용 정보통계부(3121), 주간운영 현황부(3122), 사용자별 실적현황부(3123), 사용자별 실적상세 현황부(3124)를 포함한다.
정책결정자용 정보통계부(3121)는,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회기간을 설정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위험정보, 관심분야, 무역현황(시대적 관점, 국민요구형, 장기 비전형, 기타)별로 구분하여 평가, 적용, 만족도를 표시한다.
주간운영 현황부(3122)는 조회기간을 설정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기초정보 처리현황과 업무국 평가 상세실적을 나타낸다. 이때, 기초정보 처리현황은 선택한 기간 동안의 기초정보 등록, 기초정보평가, 업무국평가 요청, 업무국 평가완료 별로 건수를 표시하고, 업무국평가 상세실적은 업무국평가요청 및 평가완료건을 부서별로 제공된다.
사용자별 실적현황부(3123) 및 사용자별 실적상세 현황부(3124)는 세관, 조회구분, 조회기간 등을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기초정보, 위험요소, 위험유형, 시뮬레이션, EDA, 알림 모니터링 등 구분별 등록현황을 세관별, 부서별, 직급별로 제공한다.
사용자별실적 상세현황부(3124)는,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분(기초정보, 위험요소, 위험유형, 시뮬레이션, EDA, 알림모니터링), 처리상태, 세관, 부서, 직원부호, 조회기간 등을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다.
1. 여기서 구분 중 기초정보를 선택하면 기초정보 등록목록을 관리번호, 제목, 등록자, 등록일자(보고일자), 처리상태, 마일리지 별로 표시한다. 이때, 처리상태는 등록>등록완료>등록완료(EDA반려)>평가등록>평가 결재중>평가완료>보완요청(세관)>보완중>삭제>평가보완 요청(센터)>평가 보완중>업무국 등록완료>업무국 평가등록>업무국 평가결재중>업무국 평가완료 등의 기초정보 처리상태 중 특정 처리상태를 선택하는데, 처리상태를 선택하지 않으면 전체 처리상태 정보를 제공한다. 그 결과로 조회조건에 해당하는 기초정보 목록을 관리(정보)번호, 제목, 등록자, 등록일자, 처리상태, 마일리지 등으로 표시한다.
2. 위험요소를 선택하면 위험요소 등록목록을 관리번호, 제목, 등록자, 등록일자(신청일자), 처리상태 별로 표시한다. 여기서 처리상태는 등록>승인요청>승인>반려>적재>처리완료 등의 위험요소 처리상태 중 특정 처리상태를 선택하는데, 이때 처리상태를 선택하지 않을 경우 전체 정보를 제공한다. 그 결과로 조회조건에 해당하는 위험정보 목록을 관리(정보)번호, 제목, 등록자, 등록일자(신청일자), 처리상태 등으로 표시한다.
3. 위험유형을 선택하면 위험유형 등록 목록을 관리번호, 제목, 등록자, 등록일자(신청일자), 처리상태 별로 표시한다. 여기서 처리상태는 본청 승인요청>센터 승인요청>등록자 보완요청>센터 승인완료>본청 보완요청 등의 위험유형 처리상태 중 특정 처리상태를 선택하는데, 이때 처리상태를 선택하지 않을 경우 전체 정보를 제공한다. 그 결과로 조회조건에 해당하는 위험유형 목록을 관리(정보)번호, 제목, 등록자, 등록일자, 처리상태 등으로 표시한다.
4. 시뮬레이션을 선택하면 시뮬레이션 등록 목록을 관리번호, 제목, 등록자, 등록일자(신청일자), 처리상태 별로 표시한다. 여기서 처리상태는 접수대기>접수완료>분석수행>분석완료>보완요청>재분석 수행>선별접수 완료>반영완료>분석종료>위험유형 접수>위험유형 완료>사무관 결재>반영종료>센터 검토중>조정기간 등의 시뮬레이션 처리상태 중 특정 처리상태를 선택하는데, 이때 처리상태를 선택하지 않을 경우 전체 정보를 제공한다. 그 결과로 조회조건에 해당하는 기초정보 목록을 관리(정보)번호, 제목, 등록자, 등록일자, 처리상태 등으로 표시한다.
5. EDA를 선택하면 EDA 목록을 관리번호, 제목, 등록자, 등록일자(신청일자), 처리상태 별로 표시한다. 여기서 처리상태는 접수대기>접수완료>보완요청>EDA적용 신청>조정기간>사무관결재>반영완료>반영종료의 EDA 처리상태 중 특정 처리상태를 선택하는데, 이때 처리상태를 선택하지 않을 경우 전체를 조회한다. 그 결과로 조회조건에 해당하는 기초정보 목록을 관리(정보)번호, 제목, 등록자, 등록일자, 처리상태 등으로 표시한다.
6. 알림 모니터링을 선택하면 알림 모니터링 목록을 관리번호, 제목, 등록자, 등록일자(신정일자), 처리상태 별로 표시한다. 여기서 처리상태는 요청>보완요청>요청종료>승인>수행중>수행완료>종료 등의 알림 모니터링 처리상태 중 특정 처리상태를 선택하는데, 이때 처리상태를 선택하지 않을 경우 전체를 조회한다. 그 결과로 조회조건에 해당하는 기초정보 목록을 관리(정보)번호, 제목, 등록자, 등록일자, 처리상태 등으로 표시한다.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관정보 마일리지부(313)는 월별 마일리지 현황부(3131), 세관별 마일리지 현황부(3132), 개인별마일리지 현황부(3133)을 포함한다.
월별 마일리지 현황부(3131)는 세관, 구분, 조회연도를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고, 이때 구분별(기초정보, 복합우범, 모니터링, 위험유형, 위험요소) 마일리지 점수현황을 제공한다.
세관별 마일리지 현황부(3132)는 연도, 세관을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세관별 목표값 및 구분별마일리지 건수, 점수를 제공한다.
개인별 마일리지 현황부(3133)는 세관, 부서, 직원부호, 조회기간을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조회기간 중의 개인별 마일리지 현황을 제공한다.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정보 관리부(314)는 세관별 조치결과 현황부(3141), 우리부서위험 동향부(3142), 위험동향정보 등록현황부(3143), 위험동향정보 조치결과 현황부(3144), 위험동향정보 조치결과/활용평가 결재요청 현황부(3145), 조사/심사/정보분석 지시 현황부(3146), 통관단일창구 활용분석부(3147)를 포함한다.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관별 조치결과 현황부(3141)는 세관, 조회기간을 설정하여 확인할 수 있고, 그 결과는 조치, 열람별 각 항목의 건수로 표시된다. 각 항목의 건수를 선택하면 상세정보가 제공되는데, 전파구분(전체, 조치, 열람 중 하나를 선택)및 결재상태(다중선택 가능)를 설정하면, 정보번호, 정보명, 대응세관, 부서, 담당자, 전파구분, 열람여부, 조치여부, 평가여부, 결재상태 등이 포함된 결과목록이 제공된다. 여기서 정보명 또는 평가여부를 선택하면 정보명, 정보등급, 정보구분, 정보종류, 정보분야 등이 포함된 위험정보 조치결과가 제공된다.
우리부서위험 동향부(3142)는 정보번호, 출처유형, 정보구분, 정보분야, 정보대상, 정보명, 정보내용, 조회구분, 위험관리코드, 품목구분, 등록자, 정보입수자, 전파구분, 조회기간, 정보구분, 정보내용, 열람/조치여부 등을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그 결과 사용자가 속해있는 부서와 관련된 위험정보들의 정보번호, 정보명, 정보분야, 품목구분, 전파구분, 처리상태, 결재상태 등이 포함된 위험동향 정보가 제공된다. 여기서 정보대상은 개인, 수출입 업체, 물류업체, 해외거래처, 국내거래처, 관세사, 품목, 사이버정보 중에 조회할 항목에 체크를 하여 선택하고 다중선택이 가능하다. 조회구분은 전체, 주간 위험동향정보, 수시 위험동향정보, 특정 위험동향정보, EDA적용 중에 조회할 항목 하나를 선택한다. 그 결과 보고일자, 관련 기초정보, 처리부서가 포함된 정보가 제공되고, 그 이후 조치결과 등록, 공람자 등록, 청장님 지시사항 입력 등을 추가실행 할 수 있다.
위험동향정보 등록현황부(3143)는 기존에 등록된 위험동향 정보를 정보번호, 출처유형, 정보분야, 정보대상, 정보명, 위험관리 코드, 품목구분, 조회구분, 정보활용, 등록자, 정보입수자, 조회기간, 정보구분, 정보내용 등을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여기서 정보대상은 개인, 수출입업체, 물류업체, 해외거래처, 국내거래처, 관세사, 품목, 사이버정보 중에 조회할 항목에 체크를 하여 선택하고 다중선택이 가능하다. 조회구분은 전체, 주간 위험동향정보, 수시 위험동향정보, 특정 위험동향정보, EDA적용 중에 조회할 항목 하나를 선택하고 정보활용은 전체, 위험동향, 적발분석, 기사분석, 유관기관 정보, 인터넷 매체, 수출입 동향, 미적용 중에 조회할 항목 하나를 선택한다. 그 결과 정보번호, 정보명, 등록자, 등록일자, 정보분야, 사용용도, 보안등급, 마일리지, 처리상태 등이 포함된 정보를 제공한다.
위험동향정보 조치결과 현황부(3144)는, 도 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관, 정보번호, 출처유형, 정보분야, 정보대상, 정보명, 위험관리 코드, 품목구분, 등록자, 정보입수자, 조회기간, 과(부서), 정보구분, 정보내용 등을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여기서 정보대상은 개인, 수출입 업체, 물류업체, 해외 거래처, 국내 거래처, 관세사, 품목, 사이버정보 중에 조회할 항목에 체크를 하여 선택하고 다중선택이 가능하다. 그 결과 정보번호, 정보명, 등록자, 등록일자, 정보분야, 전파구분(조치/열람)등이 포함된 정보가 제공된다. 이때, 조회된 정보 중 전파구분의 건수를 선택하면 대응세관, 부서, 담당자, 전파구분, 열람여부, 조치여부, 평가여부, 결재상태 등이 포함된 위험동향정보 조치결과 상세정보가 확인된다. 또한 여기서 열람여부를 선택하면, 정보번호, 정보명, 정보등급, 정보구분, 정보종류, 정보분야 등이 포함된 위험정보 조치결과를 제공한다.
위험동향정보 조치결과/활용평가 결재요청 현황부(3145)는 위험동향 조치결과/활용평가에 관한 결재요청을 한 건의 현황을 제공하는데, 이때 결재요청한 건이 다수인 경우에는 일괄결재가 가능하다. 여기서 조회된 결과는 정보번호, 정보명, 세관, 부서, 등록자, 등록일자, 조치자, 보안등급 등이 포함된 조치결과/활용평가 결재요청 현황정보가 제공된다.
도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사/심사/정보분석 지시 현황부(3146)는 세관, 과(부서), 정보번호, 정보입수자 등을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사용자, 관리자, 정책 결정권자, 결재 승인권자 등에 의해 등록된 위험정보의 정보번호, 정보명, 세관, 부서, 입수자, 등록자, 등록일자 등이 포함된 조사, 심사, 정보분석에 관한 지시사항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조회된 정보에서 정보명을 선택하여 조치내용을 기재할 수 있다.
도 6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세 위험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종합위험관리 단계는 위험인식 단계 및 정보분석 단계를 포함하고, 종합선별 단계는 분석결과 적용 단계로 구성되며, 업무연계 단계는 환류·재평가 단계를 포함한다.
종합위험관리 단계에서는 위험정보를 수집하고 분류 및 평가하여 모니터링 한다.(S1) 이때, 위험인식 단계 및 정보분석 단계를 거치는데, 위험인식 단계에서는 일선세관 또는 통합위험관리 센터에서 정보관, 인터넷, 관세행정정보 시스템, 정부업무처리 시스템, 해외주재관 등 다양한 정보채널을 통해 위험정보를 직접 수집하거나 일선세관과 IRM센터 상호간에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위험정보를 간접 수집한다. 이후에 수집된 정보를 등록, 심의, 분류 및 평가하여 중점관리대상 설정 및 위험요소 등록을 실행한다. 또한 정보분석 단계에서는 위험인식 단계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연관분석, 연계분석, 심층분석, 자동복합 분석, 시뮬레이션 분석 등을 활용하여 위험정보를 분석한다.
종합선별 단계에서는 종합위험관리 단계에서 모니터링된 위험정보들을 복수개의 위험요소를 조합하여 생성한 복합위험 모델에 적용하여 통관단계에서 위험정보를 미리 선별한다.(S2) 이때, 적용단계를 거치는데, 모니터링된 위험정보들을 선별기준, 적발율 등 관세청에서 정한 일정한 기준(관세청 내부 선별조건)을 적용하여 EDA선별을 실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위험유형을 도출하며, 도출된 위험유형을 등록하거나 사용자에게 알리는 등의 관리 절차를 포함한다. 그 결과로 새로운 위험유형을 생성하며, 생성된 새로운 위험유형을 통합위험관리 시스템에 등록하여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내에 반영되어 활용될 수 있는 데이터로써 저장한다.
업무연계 단계에서는 외부의 타 업무시스템과 연계 및 상기 선별된 위험정보를 종합위험관리 모듈, 종합선별 모듈에 활용되는 정보로써 피드백한다.(S3) 이때, 환류·재평가 단계를 거치는데, 환류·재평가 단계에서는 업무부서의 위험관리 실적을 관리 및 평가하여 위험대응 결과를 점검하고, 문제점 및 개선사항을 반영하고, 시스템 운영실적 및 마일리지와 같은 통계정보와 위험동향 정보, 위험정보에 대한 조치결과와 심사지시 및 결재 정보 등을 제공한다.
도 63 및 도 64를 참조하여 관세 위험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위험인식 단계에서는 위험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위험정보를 모니터링하고(S11), 정보분석 단계에서는 위험인식 단계에서는 수집된 위험정보를 분석하며(S12), 분석결과 적용단계에서는 정보분석 단계에서 도출된 위험요소 간의 연관관계를 바탕으로 새로운 위험유형을 생성하고(S13), 환류·재평가 단계에서는 생성된 새로운 위험유형을 위험인식 단계로 피드백(S14)한다.
위험인식 단계(S11)는 사용자에게 위험요소 최다보유 현황, 프로파일별 금주의 주요 모니터링 현황 및 프로파일별 금주의 위험요소 모니터링 현황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데, 상기의 정보에 의해 인식된 위험정보와 사전에 입수된 정보 및 화물 모니터링 정보 등을 활용하여 중점위험군(중점관리대상)으로 신청하는 등의 중점위험군 관리와 위험요소로 등록 및 현황을 조회하는 등의 위험요소 관리가 가능하다. 즉, 위험인식 단계는 위험정보를 수집하고 모니터링 한 결과를 바탕으로 신규 중점관리 위험군 및 신규 위험요소를 발견하고 등록하여 관리하는 절차를 더 포함한다. 이때, 위험정보를 수집하는 절차는 일선세관 또는 통합위험관리 센터에서 다양한 정보채널을 통해 위험정보를 직접 수집하거나 일선세관과 통합위험관리 센터 상호간에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위험정보를 간접 수집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또한 수집한 위험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절차는 수집된 위험정보를 기존에 설정된 위험요소와 대비하여 위험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정보분석 단계(S12)에서는 사용자가 프로파일이나 위험요소를 분석함으로써 나의 정보분석 이력 및 전체 정보분석 모델을 확인할 수 있는데,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프로파일 분석의 경우 프로파일 연관분석, CDW연계분석, 프로파일 심층분석 등의 정보분석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위험요소 분석의 경우 자동복합위험요소 분석, 위험요소 연관분석, 선별율을 적용한 CDW연계분석, 시뮬레이션 등의 정보분석을 할 수 있다. 즉, 정보분석 단계에서 정보를 분석하는 절차는 프로파일 분석 또는 위험요소 분석을 통하여 위험요소간의 연관관계를 분석하는 절차를 포함한다. 이때, 프로파일 분석 절차는 프로파일을 대상으로 하는 연관어 검색 및 분석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위험요소 분석 절차는 위험요소에 대한 연관어 검색 및 분석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분석결과 적용단계(S13)는 사용자가 선별기준, 적발율 등 관세청에서 정한 일정한 기준(관세청 내부 선별조건)을 복합위험 모델(예, EDA선별)에 적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위험유형을 도출하며, 도출된 위험유형을 등록하거나 사용자에게 알리는 등의 관리하는 절차로써, 사용자에게 최근 위험유형등록 현황 및 최근 EDA반영 현황을 제공한다. 즉, 분석결과 적용단계는 상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위험유형 선별기준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절차와 상기 생성된 새로운 위험유형 선별기준을 바탕으로 EDA선별을 실행하는 절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절차 및 상기 실행된 EDA선별을 바탕으로 새로운 위험유형을 도출하며, 도출된 위험유형을 등록하거나 사용자에게 알리는 등의 관리하는 절차를 포함한다.
환류·재평가 단계(S14)는 사용자가 시스템운영 실적 및 정책결정자의 정보통계, 주간운영 현황, 사용자별 실적현황 등의 통계정보와 월별, 세관별, 개인별 마일리지 등의 세관정보 마일리지의 형태로 개인 또는 업무부서의 위험관리 실적을 관리 및 평가하고, 그 결과를 등록 및 확인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마이페이지와 프로세스별 진행현황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즉, 환류·재평가 단계는 생성된 새로운 위험유형을 위험인식 단계로 제공하여 이후에 수집되는 정보에 대해 위험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절차를 실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이 가능함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의 입장에서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들, 즉 균등의 범주 내에서의 실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 종합위험관리 모듈 2: 종합선별 모듈
3: 업무연계 모듈
11: 위험인식 모듈 12: 정보분석 모듈
21: 분석결과 적용모듈 31: 환류· 재평가 모듈
S1: 위험인식 단계 S2: 정보분석 단계
S3: 위험유형을 생성 단계 S4: 피드백 단계
S11: 위험인식 단계 S12: 정보분석 단계
S13: 분석결과 적용단계 S14: 환류·재평가 단계

Claims (35)

  1. 신규 위험요소를 발견하고 새로운 위험 유형을 도출하여 위험정보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일선세관 또는 통합위험관리 센터에서 하나 이상의 정보채널을 통해 위험정보를 직접 수집하거나 일선세관과 통합위험관리 센터 상호간에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위험정보를 간접 수집하여 수집된 위험정보를 등록, 심의, 분류 및 평가하여 신규 중점관리 대상을 발견 및 등록하고 신규 위험요소를 등록 및 관리하는 위험인식 모듈 및 상기 위험인식 모듈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위험정보를 분석하는 정보 분석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위험정보를 평가, 수집, 모니터링하는 종합위험관리모듈;
    관세청 내부 선별조건을 적용하여 EDA선별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위험유형을 도출하며, 도출된 위험유형을 등록하거나 사용자에게 알리는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분석결과 적용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복수 개의 위험요소를 조합하여 생성한 복합위험 모델에 상기 종합위험관리 모듈에서 모니터링된 위험정보들을 적용하여 통관단계에서 위험정보를 미리 선별하는 종합선별 모듈; 및
    업무부서의 위험관리 실적을 관리 및 평가하여 위험대응 결과를 점검하고, 문제점 및 개선사항을 반영하는 환류·재평가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업무 시스템과 연계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선별된 위험정보를 종합위험관리 모듈, 종합선별 모듈에 활용되는 정보로서 피드백하는 업무연계 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종합위험관리모듈을 구성하는 위험인식 모듈은;
    수출입통관에 대한 모델별, 처리상태별, 담당자별 모니터링 상세정보를 일반동향, 징수관련 동향, 검사관련 동향, 원산지관련 이상동향으로 구분하여 제공하고 확인된 분석결과 및 평가내용을 수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수출입통관 모니터링부; 프로파일에 대한 분류별, 처리상태별, 담당자별 모니터링 상세정보를 제공하고 확인된 분석결과 및 평가내용을 확인 및 수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파일 모니터링부; 선택된 프로파일에 따라 세관별 수입CS, 수출CS, 관리대상 화물, 환급DS, 수입 심사, 수출 심사, 수입 조사, 수출 조사, 위험동향 정보를 제공하는 적발 모니터링부; 및 비교대상 기간 동안의 정보 중 적발결과와 최근 3개월 동안의 심사결과를 비교하여 패턴이 동일한 경우에 동일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제공된 정보에 대한 조치기능을 제공하는 HS심사 모니터링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니터링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인식 모듈은,
    업체별, 개인별, 품목별, 해외거래처별, 물류업체별, 지역별, 관세사별 프로파일 기본정보 및 상세정보를 제공하고, 특정 업체와 관련된 위험정보를 인식하고 분석 및 적용하여 적발된 정보를 제공하고, 우범기준별, 필수기준별 및 업무별 정보를 제공하는 업체부; 특정 개인과 관련된 위험동향 기초정보를 제공하고, 개인의 프로파일과 관련된 의견을 추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개인부; 특정 품목과 관련된 위험정보를 인식하고 분석 및 적용하여 적발된 정보를 제공하고, 선별기준별 현황, 검사기준 유형별 현황, 적발 유형별 현황을 제공하며, 품목 프로파일과 관련된 의견을 추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품목부; 특정 해외거래처와 관련된 위험동향 기초정보를 제공하고, 선별기준별 현황, 검사기준 유형별 현황, 적발유형별 현황을 제공하며 해외거래처 프로파일과 관련된 의견을 추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해외거래처부; 선박회사, 대리점, 항공사, 보세운송업체, 하역업체, 보세구역운영업체, 포워더, 차량운송업체, 특송업체, 선용품업체로 구분하여 특정 물류업체와 관련된 위험동향 기초정보를 제공하고, 위험관리 코드별 조회 및 위험관리 코드조회 기능을 제공하며 물류업체와 관련된 의견을 추가하는 기능 및 선별기준별, 적발별, 정보분석별 보고서를 작성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물류업체부; 사용자가 정보분석을 할 경우, 지역별 위험정보를 국가, 세관, 적재항으로 구분하여 정보분석 활용내용을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지역부; 및 사용자가 정보분석을 할 경우, 관세사별로 구분하여 정보분석활용 내용을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관세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로파일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인식 모듈은,
    정보입수자가 입수한 정보인 기초정보를 처리상태별로 확인하는 기초정보 평가현황부; 기초정보를 신규 등록하거나 수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기초정보 등록부; 입력된 기초정보에 대한 정보입수자 정보를 세관/부서별, 출처유형별, 정보활용별, 조회기간별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기초정보 등록현황부; 기초정보에 대한 평가결재 요청 건을 조회하거나 상기 요청 건의 결재 기능을 제공하는 평가결재 요청현황부; 특정 정보가 입력됨으로써 사전에 등록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기초정보 검색부; 기초정보를 결재자별, 처리상태별로 제공하는 기초정보 상세진행 현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초정보부; 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인식 모듈은,
    사전에 입수된 여행자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선별후보별, 타겟팅별, 조치건수별 및 PNR정보별 위험정보를 제공하고 위험요소, 조치결과 정보를 확인 및 등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여행자 사전입수 정보부; 사전에 입수된 수출화물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선별후보별, 타겟팅별, 조치건수별 위험정보를 제공하고 위험요소, 조치결과 정보를 확인 및 등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수출화물 사전입수 정보부; 및 사전에 입수된 수입화물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선별후보별, 타겟팅별, 조치건수별 위험정보를 제공하고 위험요소, 조치결과 정보를 확인 및 등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수입화물 사전입수 정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전입수 정보부;
    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인식 모듈은,
    화물이동 모니터링의 필터링 조건을 등록, 수정하거나 필터링된 화물정보 현황 및 전체 화물정보를 제공하는 화물이동 모니터링 정보관리부; 실시간으로 화물이동 현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화물이동 정보현황부; 화물이동 모니터링의 상세정보 및 우범정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프로파일부와 연계되는 화물이동정보 상세현황부; 및 화물별, 업체별로 우범정보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되 단계별로 위험정보현황을 제공하고 상기 프로파일부와 연계되는 단계별 위험정보 현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물이동 모니터링부;
    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인식 모듈은,
    일정기간을 설정하여 선정된 위험군 정보를 등록, 조회 및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중점위험군 관리현황부; 중점위험군으로 새롭게 등록하기 위해서 요청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신규 중점위험군 요청부; 중점위험군으로 등록하기 위해 요청된 정보를 제공하는 신규 중점위험군 요청조회부; 및 중점위험군의 실적현황을 제공하는 중점위험군 실적현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중점위험군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인식 모듈은,
    수집된 위험요소를 프로파일별, 위험관리코드별, 업무별로 구분하여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위험요소 등록부; 프로세스별 진행 정보, 위험요소 상세내용을 포함하는 위험요소 등록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위험요소 등록현황부; 적발실적 조회조건을 바탕으로 적발내역 기본정보와 프로파일 항목정보를 포함하는 적발실적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위험요소생성용 적발실적 조회부; 등록된 위험요소가 해당된 파일의 위험요소 건수를 바탕으로 조회된 위험요소를 조합하여 결과를 확인하며, 위험요소에 대한 보고서로 업무연계를 지원하는 위험요소 해당파일 조회부; 및 미리 등록된 위험요소를 바탕으로 검증한 결과를 등록하고 등록된 검증결과를 제공하여 위험요소의 적합성을 증대시키고 중복등록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위험요소 검증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위험요소 관리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청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13. 삭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분석모듈은;
    단계적으로 설정되는 연관어 조건에 따라 연관관계 정보를 단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위험정보 분석기능을 제공하는 프로파일연관 분석부; 전산적으로 축적된 관세행정 정보를 활용하여 정형 보고서 및 비정형 보고서를 추출하는 CDW연계 분석부; 및 신규의 위험요소 발굴을 위해 상세정보 연결기능을 제공하고 위험관리 정보를 활용하여 심층분석데이터를 구축하게 하며, 사용자 위주의 조회조건을 제공하는 연관프로파일 심층분석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설정된 분석 기준일자와 적발기간을 기준으로 위험요소와 위험관리 코드별 적발데이터를 매핑하여 위험요소별로 적발건이 존재하는 위험요소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위험요소 정보를 분석하거나 정보공유 및 보고서 작성 기능을 제공하는 자동 복합위험요소 분석부; 검색된 위험정보를 바탕으로 복합 위험요소, 연관분석, 기초정보 등록, 시뮬레이션 요청, 위험유형등록, 선별률 조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세한 분석을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위험요소 연관분석부; 등록기준별 조회 또는 적발률별로 CDW와 연계하여 분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선별률별 CDW연계 분석부; 위험유형명, 출처, 중점관리 위험군, 위험내용과 시뮬레이션을 요청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여 시뮬레이션 요청을 실행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요청부; 및 시뮬레이션 요청시 입력한 정보와 시뮬레이션 요청 후 처리상태를 처리단계별, 시뮬레이션 요청받은 센터별로 구분된 정보로 제공하는 시뮬레이션 요청현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위험요소 분석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16. 삭제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결과 적용모듈은,
    특정 선별기준을 설정함으로써 우범기준별, 필수기준별, 업무별 선별결과, 검사결과, 적발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선별기준부; 선별비율을 조절하여 등록기준별 및 선별률별로 적발된 결과 정보를 확인하여 선별기준을 검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적발률부; 업무별 선별기준의 통계 정보를 활용하여 선별기준별 현황, 검사기준별 현황, 적발유형별 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선별기준 통계부; 및 위험관리 코드별로 선별결과, 적발결과, 위험유형 정보, 정보분석 보고서를 포함한 위험정보를 제공하고, 정보분석부와 연계하여 연관관계 분석 기능을 제공하는 위험관리 코드별 조회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별기준 통합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결과 적용모듈은,
    선별기준 통합관리부에서 설정한 선별기준을 바탕으로 위험유형, 출처, 위험내용, 요청내용을 포함한 EDA요청 정보를 입력하여 EDA요청을 실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EDA요청부; 상기 EDA요청부에서 요청한 EDA요청 결과를 처리상태별로 제공하는 EDA요청 현황부; 시뮬레이션이나 EDA요청과 관련한 IRM센터에서의 처리단계 정보를 제공하는 IRM센터관리현황부; 및 위험요소에 EDA복합선별 조건을 적용하여 반영된 결과에 대한 업무별, 유형별 통계 정보를 제공하는 통계현황 조회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EDA선별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결과 적용모듈은,
    관리분야 선택, 알림내용 설정 상세정보, 조건항목 선택, SMS를 입력하여 위험정보를 인식한 경우에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도록 설정하는 알림 모니터링 요청부; 처리상태에 따라 요청번호, 열람제목, 업무분야, 요청자, 요청부서, 시작일자, 종료일자, 승인자, 처리상태, 알림건수가 포함된 알림 모니터링의 요청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알림 모니터링 요청현황부; 요청된 알림 모니터링 건 중 승인요청 현황을 조회하고, 승인 또는 반려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알림 모니터링 승인요청 현황부; 요청번호, 통보내용, 업무분야, 신고접수내용이 포함된 알림 모니터링 통보와 관련된 검색결과로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알림 모니터링 통보목록 조회부; 및 알림 모니터링에 대한 등록 정보와 알림 정보를 등록기간별, 알림기간별로 구분하여 세관별로 합계를 내어 실적으로 조회할 수 있는 알림 모니터링 실적조회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알림 모니터링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결과 적용모듈은,
    기존에 등록된 위험요소를 조합하여 시뮬레이션을 하거나 수집된 위험요소의 조합으로 새로운 위험유형을 신청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위험유형 신청부; 위험유형의 프로세스 진행별 결과와 상세내용 정보를 제공하고 위험유형 등록과 관련한 처리기능을 제공하는 위험유형관리 현황부; 상기 위험유형 신청부에 접수된 위험유형 신청에 대한 결재 승인자의 조치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위험유형 조치결과 조회부; 및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위험유형을 조회하여 기초정보 등록 및 위험유형활용 등록 기능을 제공하고, 시뮬레이션 요청 및 시뮬레이션 요청 현황정보를 제공하는 프로파일별 위험유형 조회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위험 유형관리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21. 삭제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연계 모듈을 구성하는 상기 환류·재평가 모듈은,
    업무국 평가요청 실적 및 업무국 정보평가 실적을 제공하는 통합위험관리 운영실적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운영실적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연계 모듈을 구성하는 상기 환류·재평가 모듈은,
    위험정보, 관심분야, 무역현황 별로 구분하여 평가, 적용, 만족도를 제공하는 정책결정자용 정보통계부; 처리단계별 기초정보 처리현황 및 업무국평가 상세실적을 제공하는 주간운영 현황부; 구분별 등록현황을 사용자의 세관별, 부서별, 직급별로 제공하는 사용자별 실적현황부; 구분별 등록현황을 사용자의 관리번호, 제목, 등록자, 등록일자, 처리상태, 마일리지 별로 제공하는 사용자별 실적상세 현황부; 를 포함하는 통계관리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연계 모듈을 구성하는 상기 환류·재평가 모듈은,
    구분별 마일리지 점수현황을 제공하는 월별 마일리지 현황부; 세관별 목표값과 구분별 마일지지 건수 및 점수를 제공하는 세관별 마일리지 현황부; 조회기간 중의 개인별 마일리지 현황을 제공하는 개인별 마일리지 현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관정보 마일리지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연계 모듈을 구성하는 상기 환류·재평가 모듈은,
    세관별로 조치 및 열람별 위험정보 조치결과를 전파구분별, 결재상태별로 제공하는 세관별 조치결과 현황부; 사용자의 부서와 관련된 정보대상별, 조회구분별 위험동향 정보를 제공하는 우리부서 위험동향부; 기존에 등록된 위험동향정보를 정보대상별, 조회구분별, 정보활용별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위험동향정보 등록현황부; 정보대상별 위험동향정보의 조치결과 현황을 전파구분별, 열람여부별로 제공하는 위험동향정보 조치결과 현황부; 정보번호, 정보명, 세관, 등록자, 등록일자, 조치자, 보안등급이 포함된 조치결과 결재요청현황 목록을 제공하는 위험동향정보 조치결과/활용평가 결재요청 현황부; 및 위험정보를 관리하기 위하여 등록된 위험정보의 조사, 심사 및 정보분석에 관한 지시 정보를 제공하고, 지시에 대한 조치내용을 기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조사/심사/정보분석 지시 현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위험정보 관리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26. 관세 위험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위험인식 모듈을 통하여 위험정보를 수집하고 모니터링하여 신규 중점관리 위험군을 발견 및 등록하고 신규 위험요소를 등록 및 관리하는 위험인식 단계;
    정보분석 모듈을 통하여 상기 위험인식 단계에서 수집된 위험정보를 분석하는 정보분석 단계;
    분석결과 적용모듈을 통하여 상기 정보분석 단계에서 도출된 위험요소간의 연관관계를 바탕으로 새로운 위험유형을 생성하는 분석결과 적용단계; 및
    업무연계 모듈을 통하여 상기 생성된 새로운 위험유형을 위험인식 단계로 피드백하는 환류·재평가 단계;
    로 이루어지며,
    상기 위험인식 단계에서 위험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모니터링부를 통하여,
    수출입통관에 대한 모델별, 처리상태별, 담당자별 모니터링 상세정보를 일반동향, 징수관련 동향, 검사관련 동향, 원산지관련 이상동향으로 구분하여 제공하고 확인된 분석결과 및 평가내용을 수정하고;
    프로파일에 대한 분류별, 처리상태별, 담당자별 모니터링 상세 정보를 제공하고 확인된 분석결과 및 평가 내용을 확인 및 수정하며;
    선택된 프로파일에 따라 세관별 수입CS, 수출CS, 관리대상 화물, 환급DS, 수입 심사, 수출 심사, 수입 조사, 수출 조사, 위험동향 정보를 제공하고;
    비교대상 기간 동안의 정보 중 적발결과와 최근 3개월 동안의 심사결과를 비교하여 패턴이 동일한 경우에 동일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제공된 정보에 대한 조치 기능을 제공;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방법.
  27. 삭제
  28. 삭제
  29.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인식단계에서 위험정보를 수집하는 절차는 일선세관 또는 통합위험관리 센터에서 하나 이상의 정보채널을 통해 위험정보를 직접 수집하거나 일선세관과 통합위험관리 센터 상호간에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위험정보를 간접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방법.
  30. 삭제
  31. 삭제
  32.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분석 단계에서 정보를 분석하는 절차는,
    프로파일을 대상으로 하는 연관어 검색 및 분석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로파일 분석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방법.
  33.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분석 단계에서 정보를 분석하는 절차는,
    위험요소에 대한 연관어 검색 및 분석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위험요소 분석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방법.
  34.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결과 적용단계는 상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위험유형 선별기준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절차; 상기 생성된 새로운 위험유형 선별기준을 바탕으로 EDA선별을 실행하는 절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절차; 상기 실행된 EDA선별을 바탕으로 새로운 위험유형을 도출하는 절차; 및 상기 도출된 위험유형을 등록하거나 사용자에게 알리는 관리 절차;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방법.
  35.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환류·재평가 단계는 상기 생성된 새로운 위험유형을 위험인식 단계로 제공하여 이후에 수집되는 정보에 대해 위험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절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방법.
KR1020130068593A 2013-06-14 2013-06-14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41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593A KR101341986B1 (ko) 2013-06-14 2013-06-14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593A KR101341986B1 (ko) 2013-06-14 2013-06-14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1986B1 true KR101341986B1 (ko) 2013-12-16

Family

ID=49988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8593A KR101341986B1 (ko) 2013-06-14 2013-06-14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986B1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91911A (zh) * 2018-05-24 2018-09-04 中华人民共和国上海出入境检验检疫局 基于检验检疫大数据的一体式移动工作台
KR20190069959A (ko) * 2017-12-12 2019-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eo 인증 과정에서의 위험요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36159A (ko) * 2018-05-30 2019-12-10 주식회사 크레마 상품 무역의 사전심의 중개 시스템
WO2020091155A1 (ko) * 2018-10-31 2020-05-07 주식회사 위비즈테크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09101A (ko) * 2019-03-12 2020-09-22 대한민국(관세청장) 여행자 정보 분석 시스템 및 방법
CN111798092A (zh) * 2020-05-27 2020-10-20 深圳奇迹智慧网络有限公司 海关查验监控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2862468A (zh) * 2021-02-01 2021-05-28 湖南大学 一种基于区块链的出口退税融资方法、设备及介质
KR20210063078A (ko) *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심플로지스 스마트 품목분류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032647A (zh) * 2021-03-30 2021-06-25 北京云从科技有限公司 数据分析系统
CN113112183A (zh) * 2021-05-06 2021-07-13 国家市场监督管理总局信息中心 一种出入境危险货物风险评估的方法、系统和可读存储介质
CN114282899A (zh) * 2021-12-24 2022-04-05 南通电子口岸有限公司 一种新型关务管理系统
US11348134B2 (en) 2018-09-28 2022-05-31 Allstate Insurance Company Data processing system with machine learning engine to provide output generation functions
US11657458B2 (en) 2020-06-10 2023-05-23 Allstate Insurance Company Data processing system for secure data sharing and customized output generation
CN116384849A (zh) * 2023-02-22 2023-07-04 深圳市秦丝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批发市场的货物流通管理系统及方法
US11783423B1 (en) 2018-12-14 2023-10-10 Allstate Insurance Company Connected home system with risk units
CN117436705A (zh) * 2023-12-11 2024-01-23 深圳市明心数智科技有限公司 一种贸易风险分析方法、系统及介质
CN117689215A (zh) * 2024-02-01 2024-03-12 交通运输部水运科学研究所 危险货物集装箱的港区装卸仓储安全风险评估系统、方法
US12002068B2 (en) 2019-09-25 2024-06-04 Allstate Insurance Company Data processing system with machine learning engine to provide output generation function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강흥중. ‘관세행정상의 RISK MANAGEMENT에 관한 연구’. 관세학회지 창간호. 2000년 2월, pp.143-163, (2000.02.)*

Cited B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959A (ko) * 2017-12-12 2019-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eo 인증 과정에서의 위험요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18859B1 (ko) * 2017-12-12 2022-07-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eo 인증 과정에서의 위험요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8491911A (zh) * 2018-05-24 2018-09-04 中华人民共和国上海出入境检验检疫局 基于检验检疫大数据的一体式移动工作台
CN108491911B (zh) * 2018-05-24 2024-05-14 中华人民共和国上海出入境检验检疫局 基于检验检疫大数据的一体式移动工作台
KR20190136159A (ko) * 2018-05-30 2019-12-10 주식회사 크레마 상품 무역의 사전심의 중개 시스템
KR102112918B1 (ko) * 2018-05-30 2020-05-19 주식회사 크레마 상품 무역의 사전심의 중개 시스템
US11348134B2 (en) 2018-09-28 2022-05-31 Allstate Insurance Company Data processing system with machine learning engine to provide output generation functions
US11538057B2 (en) 2018-09-28 2022-12-27 Allstate Insurance Company Data processing system with machine learning engine to provide output generation functions
WO2020091155A1 (ko) * 2018-10-31 2020-05-07 주식회사 위비즈테크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 및 방법
US11783423B1 (en) 2018-12-14 2023-10-10 Allstate Insurance Company Connected home system with risk units
KR102198353B1 (ko) 2019-03-12 2021-01-05 대한민국(관세청장) 여행자 정보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09101A (ko) * 2019-03-12 2020-09-22 대한민국(관세청장) 여행자 정보 분석 시스템 및 방법
US12002068B2 (en) 2019-09-25 2024-06-04 Allstate Insurance Company Data processing system with machine learning engine to provide output generation functions
KR102415644B1 (ko) * 2019-11-22 2022-07-01 주식회사 심플로지스 스마트 품목분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63078A (ko) *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심플로지스 스마트 품목분류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798092A (zh) * 2020-05-27 2020-10-20 深圳奇迹智慧网络有限公司 海关查验监控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1798092B (zh) * 2020-05-27 2024-03-12 深圳奇迹智慧网络有限公司 海关查验监控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11657458B2 (en) 2020-06-10 2023-05-23 Allstate Insurance Company Data processing system for secure data sharing and customized output generation
CN112862468A (zh) * 2021-02-01 2021-05-28 湖南大学 一种基于区块链的出口退税融资方法、设备及介质
CN112862468B (zh) * 2021-02-01 2024-03-22 湖南大学 一种基于区块链的出口退税融资方法、设备及介质
CN113032647A (zh) * 2021-03-30 2021-06-25 北京云从科技有限公司 数据分析系统
CN113032647B (zh) * 2021-03-30 2024-04-12 北京云从科技有限公司 数据分析系统
CN113112183B (zh) * 2021-05-06 2024-03-19 国家市场监督管理总局信息中心 一种出入境危险货物风险评估的方法、系统和可读存储介质
CN113112183A (zh) * 2021-05-06 2021-07-13 国家市场监督管理总局信息中心 一种出入境危险货物风险评估的方法、系统和可读存储介质
CN114282899A (zh) * 2021-12-24 2022-04-05 南通电子口岸有限公司 一种新型关务管理系统
CN116384849A (zh) * 2023-02-22 2023-07-04 深圳市秦丝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批发市场的货物流通管理系统及方法
CN116384849B (zh) * 2023-02-22 2023-10-10 深圳市秦丝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批发市场的货物流通管理系统及方法
CN117436705A (zh) * 2023-12-11 2024-01-23 深圳市明心数智科技有限公司 一种贸易风险分析方法、系统及介质
CN117436705B (zh) * 2023-12-11 2024-04-19 深圳市明心数智科技有限公司 一种贸易风险分析方法、系统及介质
CN117689215A (zh) * 2024-02-01 2024-03-12 交通运输部水运科学研究所 危险货物集装箱的港区装卸仓储安全风险评估系统、方法
CN117689215B (zh) * 2024-02-01 2024-04-05 交通运输部水运科学研究所 危险货物集装箱的港区装卸仓储安全风险评估系统、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1986B1 (ko) 관세행정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325222B2 (en) Decision tree machine learning
US880569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vel, asset, and personnel information and risk management
Alsyouf et al. Improving baggage flow in the baggage handling system at a UAE-based airline using lean Six Sigma tools
Bhattacharya et al. An exploratory study of RFID adoption in the retail sector
Hollweg et al. Measuring regulatory restrictions in logistics services
US200500439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ication, detection and investigation of maleficent acts
Andrejić et al. A framework for measuring transport efficiency in distribution centers
Sternberg et al. Enhancing security through efficiency focus—Insights from a multiple stakeholder pilot implementation
Dua et al. Assessment of quality of multimodal transportation for containerized exports
CN116664029A (zh) 冷链干线与落地配整合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235151A (zh) 基于网络的实时企业旅行管理设备、方法和系统
Jones et al. US Customs and Border Protection: Trade facilitation, enforcement, and security
US20050187812A1 (en)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predicting passenger flow at a transportation facility
Tubis et al. The scope of the collected data for a holistic risk assessment performance in the road freight transport companies
Grainger Measuring-up customs: A trade compliance cost perspective
US201800252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travel bookings
US20230281726A1 (en) Status reporting system for aircraft
Mishrif et al. Examining the effects of COVID-19 on logistics and supply chain networks in Oman
KR100702354B1 (ko) 고객 맞춤형 물류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uhaut Government Analytics Using Customs Data
Shishani et al. The competitiveness of global cargo airports employing the Best-Worst Method
Musandiwa Strategy formulation in cooperative small firms and business performance
Joseph Correlates of constrain factors to efficient air cargo distribution in Ghana
Reddy 6.1 Trade Facilitation: The Current State of 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