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547B1 - Aeo 인증 및 사후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Aeo 인증 및 사후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547B1
KR102500547B1 KR1020180150886A KR20180150886A KR102500547B1 KR 102500547 B1 KR102500547 B1 KR 102500547B1 KR 1020180150886 A KR1020180150886 A KR 1020180150886A KR 20180150886 A KR20180150886 A KR 20180150886A KR 102500547 B1 KR102500547 B1 KR 102500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evaluation
aeo
processor
r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4607A (ko
Inventor
동지연
권선복
김형민
소자영
심지윤
안재진
김재성
김혜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단법인한국에이이오진흥협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단법인한국에이이오진흥협회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50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547B1/ko
Publication of KR20200064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EO(Authorized Economic Operator) 인증 및 사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AEO 인증 및 사후관리 시스템은 관세청 전자통관 DB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증 및 사후 관리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내부통제 시스템에서의 위험평가, 내부통제활동평가, 안전관리에서의 거래업체 평가에 대한 자동화 플랫폼을 제공하여, AEO 공인 기준에 대한 준비 및 사후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AEO 인증 및 사후관리 시스템{SYSTEM FOR AUTHORIZED ECONOMIC OPERATOR CERTIFICATE AND POST MANAGEMENT}
본 발명은 AEO(Authorized Economic Operator) 인증 및 사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AEO는 수출입업체, 운송인, 창고업자, 관세사 등 무역과 관련된 업체들 중, 관세 당국이 법규 준수, 안전관리 수준 등에 대한 심사를 진행하고 공인한 업체를 말한다.
AEO 공인신청업체는 서류 심사와 현장 심사를 준비하여야 하고, 공인 업체는 사후 관리를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AEO 공인신청업체 및 공인 업체는 공인 대상 별 특성에 따라 상이한 세부 공인 기준에 대해 준비함에 큰 어려움이 있다.
AEO(Authorized Economic Operator) 제도는 2001년 발생한 9.11 테러사태 이후, 세계 각국의 무역 안전 조치를 세계관세기구(World Customs Organization) 차원에서 수용하면서 탄생한 제도이다.
AEO는 관세 당국(Customs)이 무역 공급망을 구성하는 기업들 가운데 관세법 등 법규준수도(Compliance)가 높고, 물품 취급, 출입통제, 시설 보안, 거래업체관리 등에서 안전관리 수준(Secure and Security level)이 우수한 기업을 심사를 통해 공인한 무역업체를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2007년 관세법에 AEO관련 내용을 반영하여 법적 체계를 마련한 후, 2008년에 AEO 제도가 정식적으로 도입되었으며, 관세행정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AEO기업에 대해 통관절차상의 혜택뿐만 아니라 납세 분야에까지 관세행정상 많은 특혜를 부여하고 있다.
AEO공인절차는 AEO 공인을 원하는 업체의 신청을 받아 서류심사와 현장 심사를 통하여 업체의 AEO 공인 기준 준수 여부를 확인 후, 심의를 거쳐 AEO 업체로 공인하는 일련의 절차이다.
관세청은 서류심사와 현장심사 단계에서 제출된 서류를 고려하고, 현장에서의 미흡한 이행 사항에 대하여는 AEO 고시에서 규정된 기간 내에 보완을 요구하게 된다.
공인 신청 업체가 특별한 사유 없이 지정기간 내에 보완을 하지 않는 경우, AEO 공인 대상 업체의 신청을 기각할 수 있다.
AEO 공인 이후, 업체는 사후관리를 수행하여야 하며, 이러한 사후관리는 변동사항보고, 정기 자체평가, 종합 심사로 구성된다.
이 중 자체 평가는 수출입 업무와 관련된 정책과 절차가 AEO 공인 기준에 부합하는지에 대해 주기적으로 평가하고, 관세청에 매년 1회씩 제출하는 프로세스이다.
AEO 공인의 유효기간은 관세청장이 공인증서를 교부한 날로부터 5년이고, 이 기간 이후에도 AEO 공인을 계속 유지하고자 하는 업체는 만료 전 갱신을 위하여 종합 심사를 신청하여야 하며, 종합심사절차는 AEO공인절차와 동일하다.
AEO 공인 기업이 관세법령 등 무역과 관련된 법을 위반하거나 AEO제도에서 요구하는 공인 기준을 준수하지 못한다면, AEO 공인을 취소함과 동시에 통관 절차상 제공되는 혜택을 철회한다.
우리나라의 AEO제도에서는 「수출입 안전관리 우수업체 공인 및 운영에 관한 고시」 제3조(적용대상)에 따라 수출업체, 수입업체, 관세사, 보세구역운영인 및 지정장치장의 화물관리인, 보세운송업자, 화물운송주선업자, 하역 업자, 선박회사, 항공사 등 총 9개로 구분하여 AEO 공인대상으로 하고 있다.
AEO 공인을 위해서는 크게 4가지 공인 기준을 충족해야 하는데, 법규준수도, 내부통제시스템, 재무건전성, 안전관리 부문의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하며, AEO 공인 대상 별 특성에 따라 세부 공인 기준은 다소 상이하다.
AEO 공인신청업체 및 공인 업체의 경우 공인 기준 중 내부통제시스템에서의 위험평가, 내부통제활동평가, 안전관리에서의 거래업체평가를 준비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위해 현재는 많은 시간과 비용, 상당수의 인력이 필요한 수작업을 요구하며, 이러한 비효율적인 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평가 기간 단축, 체계적 관리의 지원 절차, 대책 수립, 대책에 대한 주기적인 평가 등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내부 통제 및 안전 관리 부문의 AEO 인증 및 사후 관리를 위한 프로세스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여, 공인 기준에 대한 준비 및 사후 관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AEO 인증 및 사후관리 시스템은 관세청 전자통관 DB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증 및 사후 관리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내부통제 시스템에서의 위험평가, 내부통제활동평가, 안전관리에서의 거래업체 평가에 대한 자동화 플랫폼을 제공하여, AEO 공인 기준에 대한 준비 및 사후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AEO 공인 기준 중 내부통제 시스템 및 안전관리 부문에서의 i) 위험평가, ii) 내부통제활동평가, iii) 거래업체평가에 해당하는 자동화 프로세스를 제공함으로써, 통상 9개의 player로 구분되는 AEO 공인 대상 별 특성에 따라 상이한 세부 공인 기준을 준수하며, 공인 준비 및 사후 관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AEO 인증 및 사후 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자동화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인 시간/비용/인력 소요가 큰 페이퍼워크 수작업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사용 용이성 및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EO 인증 및 사후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평가 자동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관신고 오류 관리 자동화 화면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오류 관리 자동화 화면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평가 기준 설정으로서 발생 빈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평가 기준 설정으로서 영향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평가 등급 기준 설정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가 점수 및 등급 산정 자동화 화면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대책 수립 자동화 화면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가일정 알림 화면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통제활동평가 자동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통제활동평가 자동화 화면을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통제활동평가 결과 보고서 화면을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래업체평가 자동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의서 및 요구서 설정 화면을 도시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래업체평가 자동화 화면을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래업체 발송내역 관리대장 화면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용이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됨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이 제안된 배경에 대하여 먼저 서술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서술하기로 한다.
AEO(Authorized Economic Operator) 제도는 2001년 발생한 9.11 테러사태 이후, 세계 각국의 무역 안전 조치를 세계관세기구(World Customs Organization) 차원에서 수용하면서 탄생한 제도이다.
AEO는 관세 당국(Customs)이 무역 공급망을 구성하는 기업들 가운데 관세법 등 법규준수도(Compliance)가 높고, 물품 취급, 출입통제, 시설 보안, 거래업체관리 등에서 안전관리 수준(Secure and Security level)이 우수한 기업을 심사를 통해 공인한 무역업체를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2007년 관세법에 AEO관련 내용을 반영하여 법적 체계를 마련한 후, 2008년에 AEO 제도가 정식적으로 도입되었으며, 관세행정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AEO기업에 대해 통관절차상의 혜택뿐만 아니라 납세 분야에까지 관세행정상 많은 특혜를 부여하고 있다.
AEO공인절차는 AEO 공인을 원하는 업체의 신청을 받아 서류심사와 현장 심사를 통하여 업체의 AEO 공인 기준 준수 여부를 확인 후, 심의를 거쳐 AEO 업체로 공인하는 일련의 절차이다.
관세청은 서류심사와 현장심사 단계에서 제출된 서류를 고려하고, 현장에서의 미흡한 이행 사항에 대하여는 AEO 고시에서 규정된 기간 내에 보완을 요구하게 된다.
공인 신청 업체가 특별한 사유 없이 지정기간 내에 보완을 하지 않는 경우, AEO 공인 대상 업체의 신청을 기각할 수 있다.
AEO 공인 이후, 업체는 사후관리를 수행하여야 하며, 이러한 사후관리는 변동사항보고, 정기 자체평가, 종합 심사로 구성된다.
이 중 자체 평가는 수출입 업무와 관련된 정책과 절차가 AEO 공인 기준에 부합하는지에 대해 주기적으로 평가하고, 관세청에 매년 1회씩 제출하는 프로세스이다.
AEO 공인의 유효기간은 관세청장이 공인증서를 교부한 날로부터 5년이고, 이 기간 이후에도 AEO 공인을 계속 유지하고자 하는 업체는 만료 전 갱신을 위하여 종합 심사를 신청하여야 하며, 종합심사절차는 AEO공인절차와 동일하다.
AEO 공인 기업이 관세법령 등 무역과 관련된 법을 위반하거나 AEO제도에서 요구하는 공인 기준을 준수하지 못한다면, AEO 공인을 취소함과 동시에 통관 절차상 제공되는 혜택을 철회한다.
우리나라의 AEO제도에서는 「수출입 안전관리 우수업체 공인 및 운영에 관한 고시」 제3조(적용대상)에 따라 수출업체, 수입업체, 관세사, 보세구역운영인 및 지정장치장의 화물관리인, 보세운송업자, 화물운송주선업자, 하역 업자, 선박회사, 항공사 등 총 9개로 구분하여 AEO 공인대상으로 하고 있다.
AEO 공인을 위해서는 크게 4가지 공인 기준을 충족해야 하는데, 법규준수도, 내부통제시스템, 재무건전성, 안전관리 부문의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하며, AEO 공인 대상 별 특성에 따라 세부 공인 기준은 다소 상이하다.
AEO 공인신청업체 및 공인 업체의 경우 공인 기준 중 내부통제시스템에서의 위험평가, 내부통제활동평가, 안전관리에서의 거래업체평가를 준비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위해 현재는 많은 시간과 비용, 상당수의 인력이 필요한 수작업을 요구하며, 이러한 비효율적인 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평가 기간 단축, 체계적 관리의 지원 절차, 대책 수립, 대책에 대한 주기적인 평가 등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AEO 공인 대상 9개 부문(수출업체, 관세사, 보세구역운영인, 보세운송업자, 수입업체, 화물운송주선업자, 선박회사, 항공사, 하역업자)에서 최초 인증 및 사후관리에서 공인 기준 충족 및 준비가 가장 어려운 내부통제시스템에서의 위험평가, 내부통제활동평가(수출업체 제외), 안전관리에서의 거래업체평가에 대한 AEO 인증 및 사후관리 프로세스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100%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문서 업무의 여러 단계에 대한 자동화 플랫폼을 제공하여 내부통제시스템 및 안전관리 프로세스 진행을 지원함으로써, 인력/비용/시간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이며, 체계적인 관리 부분, 대책 수립, 대책의 주기적인 평가 등의 측면에서의 효과가 있다.
위험 평가의 경우, 세관신고 오류 내역에 대한 실시간 분석, 평가결과 위험 치유 등을 통하여 법규준수도 점수를 제고하고, 신고 및 안전관리 관련 위험/잠재 위험에 대한 대응을 요구하고 있기에 AEO기준에서 다양한 자료들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신청 기업의 법인 사업장 단위로 증빙자료를 제출하여야 하는데 이에 대한 이해 및 준비 자료가 방대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험 평가 기준에 대한 자동화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세관신고 및 안전관리 오류, 위험 및 위험요소 실시간 파악 및 관리대책 수립이 용이하게 되어, 업체는 보다 쉽고 정확하게 공인 기준에 대한 준비 및 사후관리를 수행할 수 있고, 평가일 도래 전 알람 기능을 통해 관리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내부통제활동평가의 경우, 법규를 준수하고 안전을 관리하기 위하여 업무 과정에서 업체의 정책 및 절차가 준수될 수 있도록 확인하는 제반 활동에 대한 평가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관신고 및 안전관리 활동과 관련된 위험을 스스로 식별 및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업무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구조적 오류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위험 평가와 마찬가지로 내부통제활동도 평가를 위한 계획 수립, 평가표 작성 및 평가 후 사후관리 등 많은 자료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평가방법 별 적합/부적합 판정 자동화를 수행하고, 표준 서식 지원을 통해 평가기간을 단축시키며, 평가일 도래 전 알람 기능을 제공하여 업체 편의성이 증대된다.
AEO 인증 대상 별 업체는 거래업체 평가를 통하여 수출입 공급 사슬망 및 정보시스템의 운영, 출입통제 용역업체 등 관련 거래업체에 대한 관리를 수립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수입업체는 수입 공급망의 종착점으로, 수출업체는 수출 공급망의 시작점으로, 관세사는 관세청과 수출입 공급망 당사자들 간의 중간 가교자로서 거래업체를 관리하여야 한다.
거래업체 관리를 통하여 수출입 전체 공급사슬망에 대한 법규준수 및 안전을 관리할 수 있기에, 이는 AEO 공인 기준 중 중요한 항목이다.
거래업체 평가 기준에서는 수출입 업무 프로세스 보안 관련 물품 보관, 운송, 취급, 정보시스템의 운영 및 출입통제 경비 등 중요 활동을 위탁하고 있는 거래업체에 대한 선정, 평가, 관리를 요구한다.
이를 위해,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체계, 평가, 평가 후 고위험군 거래업체에 대한 사후관리, 지속적 모니터링을 수행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준 서식, 거래업체 평가 및 사후관리 자동화 플랫폼을 제공하여, 평가기간을 단축시키고, 사후관리 기능을 제공하며, 거래업체 관리대장의 시스템화를 통한 체계적 관리를 지원한다.
또한, 평가일 도래 전 알람 기능을 통해 업체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EO 인증 및 사후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AEO 인증 및 사후관리 시스템은 관세청 전자통관 DB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110)와,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증 및 사후 관리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120)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13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30)는 내부통제 시스템에서의 위험평가, 내부통제활동평가, 안전관리에서의 거래업체 평가에 대한 자동화 플랫폼을 제공하여, AEO 공인 기준에 대한 준비 및 사후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통제시스템에서의 위험 평가, 내부통제활동평가, 안전관리에서의 거래업체 평가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1. 내부통제시스템 - 위험평가
위험 평가는 위험의 발생가능성(빈도)과 심각성(영향)에 기초하여 위험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해당 위험에 대해 대응책의 적절성/효율성/효과성을 고려한 최상의 대응책을 시행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발생위험에 대해서는 발생빈도를 측정하고, 잠재위험에 대해서는 발생가능성을 통해 위험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화를 통한 세관신고 및 안전관리 오류, 위험 및 위험요소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고위험군에 대한 관리대책 수립이 용이하고, 오류관리대장, 위험 평가표, 관리대책서 등 서식 지원을 통해 평가기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평가일 도래 전 알람 기능을 통해 업체 편의성이 증대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세관신고 오류 내역을 담당자 1인이 수기로 관리하는 중소수출업체는 담당자 업무 과중으로 인해, 오류 발생에 대한 즉시 분석 및 대응을 수행할 수 없어, 오류 정정 기한 초과에 따른 법규준수도 점수 하락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간 경과로 인한 실제 발생원인 분석 및 실효성 있는 관리대책 수립이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화된 플랫폼을 제공하여 실시간으로 오류를 분석하고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사업소가 다수 개인AEO 물류업체의 세관신고/안전관리 오류 내역을 사업소 별 담당자가 수기로 관리하는 경우, 전체 사업소에 대한 신고 오류 내역 취합 및 분석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류내역에 대한 신고 번호 별 자동 취합을 통해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사업장이 다수인 수출입업체는 위험평가기준(발생빈도, 영향성)을 사업장 별로 보유하고 있어 위험 요소 점수 및 등급 산정 시 시간이 과다 소요되며, 추징, 과징금, 통고처분 등 위험요소에 대한 실시간 통제가 어려운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험요소 점수 및 등급 자동화 기능을 제공하여, 평가 자동화를 통해 중요위험에 대한 위험요소를 실시간으로 식별하고 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사업장이 다수인 수입업체는 위험평가 후 수립된 관리대책 수십 개에 대한 중간점검 기간이 각각 달라, 점검 기간 초과 등 관리의 어려움이 발생되는데 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험평가 자동화 기능을 제공하여, 평가 후 업체가 설정한 기준에 따라 고위험 평가된 관리대책의 자동수립이 가능하고, 설정된 기간에 맞춘 중간점검 알람 서비스를 제공하여 일정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위험평가 프로세스는 계획 수립, 위험 식별, 위험 분석, 위험 평가, 관리대책 수립 및 실행, 관리대책 평가 순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대하여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AEO 공인 기준은 수출입안전관리 우수업체로 공인을 받기 위하여 최소한으로 이행하거나 충족하여야 하는 사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위험평가 기준은 아래 [표 1]과 같이, 위험요소 식별 및 세관신고/안전관리 오류 관리, 위험요소 평가, 평가 결과에 대한 관리대책 수립, 관리 대책에 대한 주기적 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Figure 112018119539810-pat0000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i) 세관신고 및 안전관리 오류 내역 확인, ii) 위험평가기준(발생빈도, 영향성) 적용을 통한 위험평가 자동화, iii) 평가 후 위험등급 자동 반영, iv) 관리대책 주기적 평가 기능을 제공한다.
i) 기능을 통해, 세관신고 및 안전관리 업무 관련 발생한 오류(정정, 취하 등) 실시간 파악 및 분석이 가능하고, 필요 서식 제공을 통해 시간 단축 효과를 가져온다.
ii) 기능을 통해, 실시간 평가를 통한 업무프로세스 별 위험 및 위험요소를 파악하고, 관리대책을 수립한다.
iii) 기능을 통해, 평가 결과 통제대상으로 선정된 위험요소에 대한 관리대책 수립이 용이하며, 필요 서식 제공을 통해 시간 단축 효과가 있다.
iv) 기능을 통해, 알람 기능을 통한 수립된 관리 대책에 대한 지속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평가 자동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위험 및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S210), 발생 빈도(가능성)을 평가한다(S220).
영향성(심각성) 평가가 이루어지면(S230), 결과를 취합하고 위험 순위를 결정한다(S240).
결과 취합 및 위험 순위 결정에 따라, 현재 관리 수준이 유지될 수도 있으며, 다음 단계로서 관리 대책 수립 및 실행 프로세스가 진행된다(S250).
S250 단계에서는 관리 대책이 이행 및 세부 목표 이행이 이루어지며, 이어서 관리 대책에 대한 주기적 평가가 이루어진다(S26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관신고 오류 관리 자동화 화면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수출입 신고 및 안전관리 관련 오류 내역 확인에 대한 자동화 플랫폼을 제공한다.
세관신고 오류 내역은 신고번호 별 목록화를 통해, 자동화된 오류 관리가 가능하고, 관세청 전자통관 시스템, 즉 유니패스에서 raw-data를 다운로드하여 신고번호 별로 목록화하는 기능이 제공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에 대한 오류 관리 자동화 화면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이상상황 관리대장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안전관리 오류 내역 확인 기능을 제공하며, 이 때 운송수단 및 물품정보 관리대장, 우편물 관리대장, 시설점검 및 보수관리대장'의 이상상황과 이상상황 관리대장을 연동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이상상황 관리대장에 발생일시, 발생지점, 내용, 점검대상 및 이상유무에 대해 자동 생성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평가 기준 설정으로서 발생 빈도를 도시하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평가 기준 설정으로서 영향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위험평가 자동화 기능을 제공하며, 세관신고/안전관리 오류 평가기준을 설정한다.
도 5에 도시된 발생빈도와 관련하여서는 오류관리대장 건수 별 위험 평가기준에 따른 점수가 산정되고, 도 6의 영향성과 관련하여서는 위험 평가기준(영향성)에 따른 점수가 산정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평가 등급 기준 설정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위험 평가 데이터로부터 고위험군을 분류함에 있어서, Matrix에 따른 평가 점수로 인한 등급 산정을 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가 점수 및 등급 산정 자동화 화면을 도시하며, 프로세서(130)는 위험 Matrix에 따른 평가 점수 및 등급 산정 자동화 기능을 제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대책 수립 자동화 화면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위험 관리와 연계하여 관리대책 수립 기능을 제공하고, 위험요소 식별 및 평가표에 대해, 고위험인 경우 관리번호를 자동으로 부여하고, 위험관리 대책서에 대한 링크를 제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가일정 알림 화면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위험 관리와 연계하여 관리대책에 대한 일정 관리 기능을 제공하며, D-Day 기능을 통한 관리대책 평가 일정(중간/최종)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2. 내부통제시스템 - 내부통제활동평가
내부통제활동평가는 법규를 준수하고 안전을 관리하기 위하여 업무 과정에서 정책 및 절차가 준수 될 수 있도록 확인하는 제반 활동에 대한 평가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평가 자동화 기능 및 평가 계획서, 사후관리(개선대책 수립) 서식 지원 기능을 제공하여 평가기간을 단축시키고, 평가일 도래 전 알람 기능을 제공하여 업체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사업장이 다수 개인 수입업체 내부통제활동평가 담당자는 통제 활동 수천 개에 대한 통제방법 별 적합/부적합 판정을 하는 데에 상당 기간(예: 1000개의 통제 활동에 대해 판정함에 10일 이상이 소요됨)이 소요됨에 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합/부적합 판정 자동화 기능이 제공되어 평가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관세법인 내부통제활동평가 담당자는 규정 상 내부통제활동 평가 기간이 매년 2월인데도 불구하고 바쁜 업무로 기간을 놓쳐 3월에 수행하는 문제점이 있는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평가일 도래 전 알람 기능을 제공하여 스케줄 관리를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직도/인사관리 등의 기능이 ERP 시스템과 연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통제활동 샘플을 취득함에 있어서, 샘플링을 랜덤으로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고, 내부통제활동에 대한 평가 결과로서 적정/부적정 여부를 자동으로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ERP 시스템과 연계하여, 각 업체별로 가중치를 두어야 하는 항목에 대한 샘플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취득하고, 그에 대한 평가결과를 자동 산정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내부통제활동평가 기준은 평가단 구성/평가 범위 등이 포함된 계획 수립, 내부통제활동 평가, 개선대책 수립 및 실행으로 구성됨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30)의 내부통제활동평가 프로세스는 계획 수립, 내부통제활동평가, 개선대책 수립 및 실행 순으로 이루어진다.
내부통제활동평가 항목별 주요 내용은 아래 [표 2]와 같다.
Figure 112018119539810-pat00002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통제활동평가 자동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평가 자료를 분석하여(S1110), 적합/부적합 판정을 자동 수행하고(S1120), 적합인 경우 그 결과를 취합한다(S1160).
부적합인 경우에는 그 원인을 분석하여(S1140), 개선 대책을 수립하고(S1150), 그 결과를 취합한다(S1160).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통제활동평가 자동화 화면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내부통제활동평가 자동화 기능을 제공하며, 통제항목 별 평가결과 샘플값 대비 부적합값이 기설정된 수치(예: 10%)를 초과하는 경우, 부적합으로 평가되도록 설계된다.
이 때, 부적합으로 평가된 항목에 대해서는 관리번호가 자동으로 부여되며, 관리대책서가 자동으로 생성되어 그에 대한 바로가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평가일 도래 전 알람 기능을 제공하여, 내부통제활동평가 일정에 대한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평가결과, 개선대책 수립 내역, 향후 일정에 대한 일관성을 유지하며, 계획서 상의 목적, 평가단 구성, 평가대상 사업장, 평가 범위, 평가기간을 결과보고서에 자동으로 반영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통제활동평가 결과 보고서 화면을 도시한다.
3. 안전관리 - 거래업체평가
거래업체평가는 수출입업무프로세스 무결성 관련 물품 보관, 운송, 취급, 정보시스템의 운영 및 출입통제 경비 등 중요 활동을 위탁하고 있는 거래업체에 대한 관리로 정의된다.
거래업체평가 기준은 신규/기존 거래업체 선정기준과 절차에 따른 평가, 평가결과에 대한 거래 업체별 사후관리, 거래업체 주기적 정보 관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거래업체평가 프로세스로서, 신규거래업체 선정/평가, 기존거래업체 선정/평가, 사후관리 수행, 주기적 정보 관리를 수행하며, 이에 대하여는 도 14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거래업체 평가 및 사후관리 자동화 플랫폼을 제공하여, 평가 양식 및 사후 관리 양식에 대한 서식 지원을 수행하고, 사후 관리를 지원함으로써, 평가기간을 단축시키고 사후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거래업체 발송/회신 자료 기록을 토대로 거래업체정보를 체계적 관리하고, 평가일 도래 전 알람 기능을 제공하여 업체 편의를 제공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수출업체 거래업체 담당자는 거래업체 평가를 위해 수출입 공급망 거래업체의 업태별 질의서 9종과 출입통제/정보용역업체 질의서 2종을 작성하는데 10일이나 걸려 규정에 의거한 거래업체 평가기간을 초과하여 진행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거래업체 업태별 질의서 제공을 통해 평가기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거래업체 담당자는 업태별 질의서를 거래업체 별로 이메일 발송함에 따라, 이에 대한 회신이 이루어졌는지, 작성중인 상태인지 알 수 없어 매일 이메일을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던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평가대상 거래업체 담당자 이메일을 통한 질의서 자동발송기능을 제공하여 질의서 전송, 회신 완료 등의 상태 확인이 가능하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수출업체 거래업체 담당자는 150여개의 회신 된 질의서에 대한 거래업체 평가 점수 및 등급 산정을 하는데 8일이나 걸렸으며 점수 계산을 잘못하여 고위험 거래업체에 대해 중위험 거래업체로 평가하는 오류를 범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평가대상 거래업체 담당자로부터 질의서 회신 시 점수 및 등급 계산이 자동 부여됨으로써, 오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수출업체 거래업체 담당자는 AEO 증빙자료를 위해 거래 업체별 질의서를 언제 발송하였는지 언제 회신 하였는지를 작성하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질의서 발송 및 회신 일자를 자동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AEO 공인업체인 수입업체의 경우 AEO업무 담당자(통관부)와 거래업체 선정 및 평가 담당자(구매부)가 달라 거래업체 평가기간 도래 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어려움이 있었던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일관성 있는 거래업체 정보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래업체평가 항목별 주요 내용은 아래 [표 3]과 같다.
Figure 112018119539810-pat00003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래업체평가 자동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거래업체 관리 절차를 준비하고(S1401), 신규거래업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2).
신규거래업체인 경우, 선정 평가를 실시하고(S1403), 평가 결과 별 사후 관리를 수행한다(S1404).
기존거래업체인 경우, 관리범위를 정정하고(S1405), 선정기준을 제시하여(S1406), 요구사항을 발송한다(S1407).
기존거래업체가 국내외 AEO인지 여부를 확인하고(S1408), 해당되는 경우 공인 관련 변경 통보 요구를 수행한다(S1409).
국내외 AEO가 아닌 경우, 안전관리기준 충족 여부에 대한 표시를 요구하고(S1410), 요구 내역 및 통보 자료 기록을 유지한다(S1411).
이어서, 안전관리 기준 준수 여부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고(S1412), 사후 관리 대상 업체를 선정한다(S1413).
이어서 요구 내역 및 평가 결과 기록을 유지하고(S1414), 평가 결과 별 사후 관리를 수행하며(S1415), 거래업체 관리 대장에 등재한다(S1416).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의서 및 요구서 설정 화면을 도시하고,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래업체평가 자동화 화면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거래업체 평가 자동화 기능을 제공하며, 거래업체 업태 별 평가를 위해 총 11종의 표준 질의서 양식을 마련하고, 거래업체 관리 대장상 거래업체 코드부호와 담당자의 이메일 매칭을 통해 질의서를 자동 발송한다.
질의서를 회신한 평가대상 거래업체의 담당자는 항목별 Yes/No 클릭을 수행하고, 관련 증빙자료를 업로드 한 후 전송한다.
관련 증빙 자료의 전송 완료 즉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평가결과' 란에 항목별 적합/부적합, 점수, 등급을 자동 산출하고, '안전관리기준 준수여부 질의서'버튼 클릭 시 세부내역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다.
도 17을 참조하면, 질의서 수신에 따라 적법성, 재무건전성, 평가 점수 및 등급이 자동으로 기록되며, 이는 요구서 메시지의 수신 이후 자동으로 기록되는 항목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래업체 발송내역 관리대장 화면을 도시한다.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거래업체 사후관리 자동화 플랫폼을 제공하며, 거래업체 관리대장의 요구서 발송 기능을 통해 거래업체 등급별 사후관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평가 및 사후관리 내역 정보 관리 기능을 제공하며, 거래업체 발송 내역 관리대장을 통해 질의서 발송/회신일, 요구서 발송일에 대해 기록을 자동 유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EO 인증 및 사후 관리 방법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사용자 입력 장치와, 데이터 통신 버스와, 사용자 출력 장치와,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구성 요소는 데이터 통신 버스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한다.
컴퓨터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커플링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중앙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거나, 혹은 메모리 및/또는 저장소에 저장된 명령어를 처리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 및 저장소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혹은 비휘발성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는 ROM 및 RAM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EO 인증 및 사후 관리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EO 인증 및 사후 관리 방법이 컴퓨터 장치에서 수행될 때,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명령어들이 본 발명에 따른 인증 및 사후 관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AEO 인증 및 사후 관리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수신부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Claims (9)

  1. 관세청 전자통관 DB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증 및 사후 관리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내부통제 시스템에서의 위험평가, 내부통제활동평가 및 안전관리에서의 거래업체 평가에 대한 자동화 플랫폼을 제공하여, AEO 공인 기준에 대한 준비 및 사후 관리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수출입 신고 및 안전관리 관련 오류 내역 확인에 대한 화면을 제공하되, 상기 관세청 전자통관 DB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신고번호 별로 목록화하여, 세관신고 오류 내역에 대한 신고번호 별 목록화를 통해, 자동화된 오류 관리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안전관리 오류 내역 확인 기능을 제공하되, 운송수단 및 물품정보 관리대장, 우편물 관리대장, 시설점검 및 보수관리대장의 이상 상황과 이상상황 관리대장을 연동시키고 상기 이상상황 관리대장에 발생일시, 발생지점, 내용, 점검대상 및 이상유무 정보를 자동 생성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세관 신고 및 안전관리 오류 내역을 확인하고, 위험평가 기준 적용을 통해 위험 평가를 자동화시키고, 평가 후 위험 등급을 자동 반영하고 관리 대책에 대한 주기적 평가를 수행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이상상황 관리대장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기 안전관리 오류 내역을 확인하고, 위험 요소를 식별하여 발생 가능성 및 영향도 점수를 평가하고, 취합된 결과와 결정된 위험 등급에 따라 관리 대책 수립 및 상기 관리 대책에 대한 주기적 평가를 수행하되, 상기 발생 가능성과 기설정된 경제적 피해액 기준, 인명 피해 기준, 복구 기간 기준에 따른 안전관리 및 법규준수 항목에 따른 상기 영향도 점수를 고려하여 상기 위험 등급에 대한 산정을 수행하고, 상기 발생 가능성 및 상기 영향도 점수를 곱한 결과에 따라 상기 위험 등급을 산정하되, 상기 발생 가능성과 영향도 점수가 각각 최고 등급인 경우, 상기 영향도 점수 및 발생 가능성과 무관하게 고위험 등급으로 산정하고, 상기 고위험 등급으로 산정되면 관리번호를 자동 부여하고 위험관리 대책서에 대한 링크를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내부통제활동의 통제항목 별 평가 결과 샘플값 대비 부적합 값이 기설정된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부적합으로 평가하고, 평가 결과에 대한 원인 분석에 따라 개선 대책을 수립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기간에 따라 평가일 도래 전 알람 기능을 제공하여 상기 내부통제활동평가 일정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고, 평가결과, 개선대책 수립 내역 및 향후 일정을 포함하는 평가 관련 정보를 결과보고서에 자동으로 반영시키는 것
    인 AEO 인증 및 사후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평가대상 거래업체 담당자 이메일을 통한 질의서 자동발송을 수행하고, 질의서 전송 및 회신 완료에 대한 상태를 확인하는 것
    인 AEO 인증 및 사후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신규거래업체인 경우 선정 평가를 실시한 결과에 따라 사후 관리를 수행하고, 기존거래업체인 경우 관리 범위 정정 및 선정 기준 제시를 통해 요구사항을 발송하고, 국내외 AEO 해당 여부에 따라 공인 관련 변경 통보 요구 또는 안전관리 충족 여부에 대한 표시 요구를 수행하고, 안전관리 기준 준수 여부 평가 및 사후 관리를 수행하는 것
    인 AEO 인증 및 사후관리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거래업체 업태 별 평가를 위한 표준 질의서를 거래업체 관리 대장상 코드 부호 및 담당자 이메일 매칭을 통해 자동 발송하는 것
    인 AEO 인증 및 사후관리 시스템.
KR1020180150886A 2018-11-29 2018-11-29 Aeo 인증 및 사후관리 시스템 KR102500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886A KR102500547B1 (ko) 2018-11-29 2018-11-29 Aeo 인증 및 사후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886A KR102500547B1 (ko) 2018-11-29 2018-11-29 Aeo 인증 및 사후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607A KR20200064607A (ko) 2020-06-08
KR102500547B1 true KR102500547B1 (ko) 2023-02-17

Family

ID=71090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886A KR102500547B1 (ko) 2018-11-29 2018-11-29 Aeo 인증 및 사후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5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650B1 (ko) * 2009-09-18 2010-03-12 대한민국 관세행정 자율점검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7320A (ko) * 2004-06-10 2005-12-14 한국물류정보통신 (주) 통신망을 이용한 항만 물류 협업을 위한 정보 공유 및통합 방법 및 시스템
KR101660284B1 (ko) * 2014-09-29 2016-10-11 주식회사 사이버다임 비정형 업무 영역에서의 업무 관리와 자동화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650B1 (ko) * 2009-09-18 2010-03-12 대한민국 관세행정 자율점검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607A (ko) 202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tanakul et al. What impacts the performance of large-scale government projects?
US200501493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and managing workflows
US20150356477A1 (en) Method and system for technology risk and control
Matsuda The Time Release Study as a performance measurement tool for a supply chain and an international corridor
MXPA04006428A (es) METODO PARA CUMPLIMIENTO DEL REGISTRADOR DE ESTáNDARES CON REQUERIMIENTOS DE AGENCIAS DE ACREDITACION.
KR20200055856A (ko) 중소기업 보조사업 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102167995B1 (ko)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 및 방법
Hinsch ISO 9001: 2015 for Everyday Operations: All Facts–Short, Concise and Understandable
KR102500547B1 (ko) Aeo 인증 및 사후관리 시스템
Guidry et al. Strategies for handling failures in development of information systems
Wilbanks Safety prequalification factors for the selection of contractors within the steel industry
Alfurqan et al.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 Fraud Risk Assessment to Minimize the Fraud Risk Occurance Case Study at PT
Urbaniak Risk factors affecting relations with suppliers
Adi et al.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NAL CONTROL SYSTEM OVER INVENTORY MANAGEMENT IN MEDIUM-SIZED COMPANIES
Thakre et al. An Overview of Corrective Action and Preventive Action.
Nsenkyiere et al. Comparative study on the auditing systems of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Bamfo-Agyei et al. Assessment of the Public Procurement Act 2003 (Act663) on project time performance of construction projects in Ghana
KR102595680B1 (ko) 범용성을 갖는 스마트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Sasmita et al. Implementation of Enterprise Risk Management (ERM) to Improve Risk Culture Awareness in Alienco Photo
Chuprunov Leveraging SAP GRC in the fight against corruption and fraud
Masiero FSC® Chain of Custody auditing
Ilias et al. Employees’ perceived risk management in public procurement and finance: evidence in Malaysia
Fozia Risk Identification and Supply Chain Performance in Construction Industry in Kenya
Gutterman Sustainability-Related Management Standards and Systems
Redlein et al. Managing and Mitigating risk within Strategic Facility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