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4311A - 웹을 통한 인증 시스템 - Google Patents

웹을 통한 인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4311A
KR20020094311A KR1020010032388A KR20010032388A KR20020094311A KR 20020094311 A KR20020094311 A KR 20020094311A KR 1020010032388 A KR1020010032388 A KR 1020010032388A KR 20010032388 A KR20010032388 A KR 20010032388A KR 20020094311 A KR20020094311 A KR 20020094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subsidiary
contract
storage device
main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2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탁
Original Assignee
최진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탁 filed Critical 최진탁
Priority to KR1020010032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4311A/ko
Publication of KR20020094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431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비지니스 솔루션을 구축하는 것으로, 웹사이트를 통한 회원가입을 거쳐 본 솔루션의 주체가 되는 기관을 통해 인증에 대한 제반 절차를 수행하고 회원의 신원확인 절차 뿐만 아니라 회원이 법률행위를 한 계약내용을 인증등록하고 이에 대한 계약사실의 진위여부 및 계약체결의 성립 일자 등에 대한 확인증서를 발행하여 주는 기능을 갖는 계약인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웹을 통한 인증 시스템{ AUTHENTIFICATION SYSTEM THROUGH WEB SITE}
본 발명은 웹을 통한 인증 작업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계약내용, 당사자의 확인 그리고 성립일자의 확인을 웹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또한 인증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일반적 계약에 있어서, 계약 당사자가 일정한 계약서를 작성한 후 이를 필요시에만 공증 사무소 또는 관련 해당 기관에서 확정일자를 받도록 하였다. 기존의 법률적 방식으로서 사서인증을 예로 들면 거래당사자가 작성한 계약서 등에 공증인이 확인하도록 하여 이 증서의 진정성립과 내용에 대한 근거력이 있도록 하였으며, 거래당사자가 작성한 계약서 등에 공증인이 확정일자 인을 찍은 것으로서 문서의 작성 날자에 대하여 증거력이 있도록 하였다. 또한 기존의 금융 및 전자상거래의 경우 공인인증기관(CA)으로 부터 인증서 발급, 인증서 정지 및 폐지, 인증서 갱신, 인증서 공고 등의 인증서를 관리하고 수행토록하고 사용자의 공개키, 신원정보 등의 인증서 내용에 대한 확인 및 보증을 통해 인증서를 통한 전자서명의 신뢰성을보장하여 주고 인증업무 준칙, 인증서 효력 정비 목록, 인증서 취소 목록의 공시를 수행하며 인증서 관리에 따른 모든 행위의 기록을 보관하고 있다. 이러한 인증발급의 대상은 등록기관(CA)으로 부터 인증서를 필요로 하는 가입자의 인증서신청, 접수, 본인확인, 가입자 정보등록, 고객관리 등의 인증기관 등록업무의 일부 또는 전부와 인증서의 효력정지, 효력 회복, 폐지의 신청 업무를 대행한다. 등록기관은 인증기관과 사용자를 위해 등록업무를 수행하며, 인증서 발급의 업무는 인증기관에서 등록기관(RA)은 등록업무 수행을 위해 신청인에 의한 신원확인 업무를 수행하는데, 이는 인증기관의 정책에 의거하여 이루어진다. 기존 금융전자상거래의 경우 은행 지점 등 등록대행기관에 신청서를 제출하고 주민등록증 확인 등 본인 확인 작업을 거친다. 그런 다음 공인인증 기관 홈페이지에서 인증서 관리프로그램을 자신의 컴퓨터에 다운 받아 사용하고 있다. 보안 메일의 경우 발신자가 지정한 수신자 외에는 아무도 메일 내용을 확인 할 수 없도록 메시지를 암호화해서 전달하는 방식을 체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계약에 대한 사실확인 및 계약체결 일자를 확인하여 주는 것으로, 특히 인터넷 웹사이트에서 모든 계약에 대해 쌍방이나 그 이외의자들이 성립시킨 계약체결의 진정한 성립여부 및 계약체결 성립일자 등을 솔루션 관리 데이타베이스에 기억시켜 후일 계약 관계자들의 요청이 있으면 웹사이트를 통해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내용으로 이를 증명하여 주는 제3자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상거래 뿐만 아니라 부동산매매계약, 주택임차계약, 소비대차계약, 도급 및 하도급계약, 양도계약 등 계약에 관한 사서증서의 인증이나 확정일자를 부여할 수 있는 일련의 법률행위가 Web상에서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점차적으로 Cyber 인증은 절차상 필요성과 피할 수 없는 정보혁명에 대한 후속조치의 요건으로 요구되고 변화무쌍하게 변모하는 정보화기술 산업에 발맞추어 법률적 편익을 쉽고 편리하게 제공하게 될 것인 바, 이런 정보화에 따른 편리성의 추구에 힘입어 본 시스템은 절대적으로 시대적 사회적 요청에 기인 한다.
본 솔루션 시스템 상에서 계약인증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웹을 통해 객관적이고 안전하며 용이하게 계약이 형성되고 확정 될 수 있도록 한 바, 이는 해독이 불가능한 지문인식모듈 그리고 암호기반솔루션(PASSWORD 방식 또는 PKI SOLUTION 공개키기반구조)을 병행하여 사용함으로서 정보유출이나 위/변조를 차단하는 이.삼중의 안전관리체제를 구축하였다. 또한 본 시스템을 관리하는 메인 기구와 업무 협력을 갖는 SUBSIDIARY 간에는 VPN(사설 네트워크)을 설치하여 외부환경 특히, 보안침입에 대한 염려를 불식시켰다. 이러한 안전된 체제속에서 회원(또는 계약당사자) 상호간에 일단 생성된 자료는 어떠한 외부 환경에도 손상됨이 없이 작성된 계약내용을 원본 내용 그대로 성립된 일자와 함께 보존하고 추후 당사자의 요청에 의한 후속 증명서류를 웹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내용을 근거로 발행함으로써 확정적 증거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하였다.
계약당사자의 본인 여부 확인 뿐만 아니라 확정일자의 확인 기능까지도 부여하는 사이버인증(e-Biz Notary Model)모델로서 당사자가 모두 참여하여 작업이 이루어지고 이는 당사자 각자가 무인이나 직인이 날인된 원본 계약서를 별도로 보관함으로써 계약내용에 대한 신뢰성을 한층 더 갖도록 하였으며 웹사이트 서버에 계약내용 및 계약체결 일자 등을 ROM방식으로 저장하여 추후 계약당사자가 소지하는 계약 내용 원본(ORIGINAL CONTRACT PAPER)의 진위여부를 확인토록 하고 확정일자의 내용을 포함한 계약에 대한 뚜렷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본인확인여부의 경우 신원사항, 패스워드, 지문인식모듈과 알고리즘을 적용한 솔루션(Finger Print Identification System)을 통해 2-3중의 신원검색과 본인확인에 대한 안전장치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계약당사자의 계약내용의 진정 성립 및 확정일자의 기능까지도 계약당사자가 원본의 계약서를 소지 함으로써 본인확인 및 계약성립에 대하여 각각 2중적 안정장치를 부여하였고 기술적 신뢰성을 더욱 가미한 것이라 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보전달에 대한 흐름도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고객은 본 시스템의 SUBSIDIARY에서 개인에 대한 정보(성명,주민등록번호,비밀번호 등) 및 지문정보를웹사이트를 통해 본 시스템 주저장장치에 등록 및 저장한다. 이와같이 회원가입이 이루어지며 주저장장치에서는 입력된 고객의 회원등록 정보와 일치하면 가입된 회원은 계약인증 등록이 가능하며 고객이 입력의뢰한 계약서의 내용을 저장하면 등록이 된다. 고객은 저장된 계약내용을 출력하고 서명날인한 원본계약서를 각각 개별 보관한다. 고객은 필요시 SUBSIDIARY에 방문하여 계약 인증에 대한 제반 확인서를 웹사이트를 통해 발급 받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발급된 서류에는 고유 번호를 부여해 다른 서류와 구별토록 하였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내면 본 시스템의 하부 조직으로 여러 기관을 둘 수 있는 바, 이들 중에는 변호사 사무소, 변리사 사무소, 법무사 사무소, 및 이러한 업무에 상응하는 해외 기관 및 단체 등이 해당 될 수 있다. 고객은 전국적으로 또는 전세계적으로 네트워크화 된 각각의 어느 SUBSIDIARY에서도 필요로하는 서류에 대한 확인서 및 확인관련 서류를 신청과 동시에 발급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발급받은 본 확인서류를 고객으로부터 넘겨받아 이를 처리하는 기관에서는 웹사이트를 통해 각각의 서류에 표기된 고유번호를 입력함으로 제출받은 서류의 진위 여부를 즉시 판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데이타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고객은 SUBSIDIARY에 방문하여 주저장장치의 웹사이트와 접속하여 등록에 필요한 제반 사항을 입력등록하고 인증을 받기 원하는 법률행위에 대한 제반 내용을 입력 저장시킨다. 저장완료 후 내용을 출력하고 당사자가 서명 날인후 각각 원본을 소지함으로써 보관한다.
후일 고객은 저장시킨 법률내용 및 기타 계약 내용 등에 대한 확인을 얻고자 할 경우 SUBSIDIARY에 방문하여 신원확인을 거친후 원본 문서의 진위에 대한 인증을 득한다.
정보화시대 국리민복을 지향하는 법률서비스의 발전적 model이 국민 스스로에게 불편부당하지 아니하고 경제생활 및 거래관계에 신뢰를 조성함으로써 불편과 다툼을 현저히 줄일 뿐만 아니라 국민생활의 법적 안정성을 확보하여 주고, 법률적 비용, 사회적 비용을 줄여 주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세계화속에서 국제적 법률적 서비스의 신속성을 보장함으로써 시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와 연계산업의 신속한 발전을 도모 할 수 있고 정부기관인 동사무소, 등기소 및 사설 공증사무소에서 행해지는 확정일자, 대민관계 업무, 국제간에 이루어지는 공공의 업무를 민간사업으로 이전하는 효과가 있어 작은 정부를 구현하고 경제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간단한 계약서류의 작성에 따른 확정일자 및 인증의 법률적 증거력을 확보 한다면 국민생활의 번거로움을 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측불허의 발생 가능한 불미스러운 사건을 미연에 방지하며 상호 합리적인 사고와 판단으로 현실적 해결을 하고자 노력하는 게기를 만들어 주게 되며 사회분열이나 불신을 조작하는 풍조를 미연에 방지하는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추진 계획이 성취됨으로 일상적인 계약업무가 보편적으로 쉽게 이루어지고, 사회 각 분야에서 그 타당성을 점차적으로 인정 받게 되면 본 비지니스모델은 공정하고 신뢰성 있는 일반화된 법률적 과정으로 한층 발전되고 사이버 계약인증(e-Biz Notary Model)이라는 합리적인 정보통신사회에 맞는 Law Model로 보편화 되는 계기가 될 것이다.

Claims (2)

  1. 인터넷을 통한 웹 상에서 고객 회원의 확인 작업 및 고객의 법률행위에 대한 인증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도록 주저장장치 및 SUBSIDIARY 사이에 보안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고객의 지문인식에 대한 솔루션을 주저장장치에 구축함으로 고객 인증에 대한 확인을 가능토록하고, SUBSDIARY를 통한 고객의 모든 법률행위의 안전한 자료 저장과 함께 계약원본을 계약 당사자(고객 또는 회원)에게 발부하여 추후 필요시 해당 서류의 진위여부를 가능토록 하고, 이에 대한 인증관련서류를 발부하고 출력된 서류에는 별도의 고유 인증 번호를 표기함으로 해당 처리기관에서의 확인 절차를 가능토록 하며, 고객은 전국적으로 또는 전세계적으로 네트워크화된 SUBSIDIARY를 통해 근거 자료를 확인 및 출력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사이버 인증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주저장장치와 SUBSIDIARY 사이에는 VPN으로 설치하고 주저장장치와 SUBSDIARY 컴퓨터 각각에 고객 정보 및 지문 데이타 정보를 저장하여 고객 인증을 받도록하여 주저장장치에 로그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사이버 인증 시스템.
KR1020010032388A 2001-06-11 2001-06-11 웹을 통한 인증 시스템 KR200200943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388A KR20020094311A (ko) 2001-06-11 2001-06-11 웹을 통한 인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388A KR20020094311A (ko) 2001-06-11 2001-06-11 웹을 통한 인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311A true KR20020094311A (ko) 2002-12-18

Family

ID=27708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388A KR20020094311A (ko) 2001-06-11 2001-06-11 웹을 통한 인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43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1155A1 (ko) * 2018-10-31 2020-05-07 주식회사 위비즈테크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1155A1 (ko) * 2018-10-31 2020-05-07 주식회사 위비즈테크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853775B (zh) 通过凭证服务提供者进行凭证验证及发行
EP1828920B1 (en) Consumer internet authentication service
KR100843494B1 (ko) 데이터 공급 방법 및 시스템, 디지털 서명 제공 방법 및 시스템, 전자 재산의 소유권 이전 방법 및 시스템, 전자 투표 방법 및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5016749B2 (ja) 認証された文書の電子的送信、格納および検索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2106324A (zh) 用于创建、注册和验证经数字盖章的资产的方法、计算机程序产品和设备
JP2001229336A (ja) 企業間での職務ベースの認可のための方法
JPH11512841A (ja) 文書認証システムおよび方法
DE102017217342B4 (de) Verfahren zum Verwalten eines elektronischen Transaktionsdokuments
Chowdhary et al. Blockchain based framework for student identity and educational certificate verification
Greenleaf et al. Privacy implications of digital signatures
KR100453616B1 (ko) 투표자 등록자들과 같은 등록자를 등록하기 위한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투표자 등록 컴퓨터 시스템
Chokhani et al. RFC2527: Internet x. 509 Public Key Infrastructure Certificate Policy and Certification Practices Framework
Hsiung et al. Bridging e-business and added trust: keys to e-business growth
JP2005284327A (ja) 領収書発行システム
KR20020094311A (ko) 웹을 통한 인증 시스템
KR20130048532A (ko) 차세대 금융 거래 시스템
Jaafar et al. A proposed Security Model for E-government Based on Primary Key Infrastructure and Fingerprints.
Thoi RESEARCH AND APPLICATION OF DIGITAL SIGNATURES IN E-COMMERCE TODAY
Myhr Legal and organizational challenges and solutions for achieving a pan-European electronic ID solution: or I am 621216-1318, but I am also 161262-43774. Do you know who I am?
US2024002243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gital identification and certification
KR102007431B1 (ko) 자동이체 등록 신청정보의 진위 검사 시스템 및 방법
Aparna et al. Exploring Blockchain Solutions for Combating Fake Certificates
Rebel et al. Approaches of Digital signature legislation
Singh Critical Analysis of Digital Signature Laws in India
KR20030015612A (ko) 인증시스템 및 인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