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893B1 - 대용량 캔 압축기 - Google Patents

대용량 캔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893B1
KR102167893B1 KR1020200068325A KR20200068325A KR102167893B1 KR 102167893 B1 KR102167893 B1 KR 102167893B1 KR 1020200068325 A KR1020200068325 A KR 1020200068325A KR 20200068325 A KR20200068325 A KR 20200068325A KR 102167893 B1 KR102167893 B1 KR 102167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ressing
plate
cans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선
Original Assignee
(주)아이텍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텍기술 filed Critical (주)아이텍기술
Priority to KR1020200068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8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 B30B9/321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for consolidating empty containers, e.g.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4Frames; Guides
    • B30B15/041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2Discharging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소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대량의 캔을 천공 및 압축시켜 캔에 남아있는 액상물과 압착된 캔을 분리하여 배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대용량 캔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써, 일측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후단면에는 수용공간으로 캔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에는 상하 회동 가능하게 개폐판이 구비되며, 상단부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대가 수직으로 배치되고, 내측 바닥에는 캔에 남아있는 액상물이 배출되도록 복수 개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승강수단을 통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하강시 캔을 가압하여 압축시키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의 하단면에 하향으로 복수 개 돌출 형성되어 캔을 천공시키는 천공핀 및 작업자가 발로 밟아 상기 가압판을 하강시킬 수 있도록 본체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가압판의 일측 테두리에 연장 형성되는 발판이 포함되어 수용공간에 수용된 캔을 천공 및 압축시키는 가압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액상물이 저장되는 액상물저장부; 및 상기 본체부의 후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가압부에 의해 천공 및 압축된 캔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캔밀대부;를 포함하는 대용량 캔 압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대용량 캔 압축기{high capacity can press}
본 발명은 대용량 캔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소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대량의 캔을 천공 및 압축시켜 캔에 남아있는 액상물과 압착된 캔을 분리하여 배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대용량 캔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캔은 내용물이나 여러 가지의 여건에 따라 알루미늄이나 철과 같은 금속재로 제작되고, 이의 내부에는 음료나 주류 등의 액체를 내장하여 밀봉하므로서 통상 일회용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일회용 캔은 다양한 종류로서 여러 가지가 보급되고 있으며, 이는 사용 후 전량 수거하여 철과 알루미늄을 분리한 상태로서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전 세계적으로 널리 보편화되어 실용화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캔을 자동으로 압축하는 캔 압축기는 자동화로 제작되어 그 구조가 복잡하며 부피가 크고 무거우며, 특히 모터와 엑츄에이터의 사용이 많아 짐에 따라 제작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캔 압축기를 아파트, 또는 학교 등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이러한 캔이 쓰레기 배출단계에서 압축되지 못하고, 재활용단계에서야 압축되어 사실상 쓰레기를 배출하는 배출자는 필요 이상으로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캔을 처리하기 위하여 고가의 배출비용을 지불하여야 했고, 수거인 또한 캔의 부피로 인하여 고가의 운반비 및 처리비용을 지불했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0265호가 등록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의한 목적은 간소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대량의 캔을 천공 및 압축시켜 캔에 남아있는 액상물과 압착된 캔을 분리하여 배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대용량 캔 압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후단면에는 수용공간으로 캔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에는 상하 회동 가능하게 개폐판이 구비되며, 상단부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대가 수직으로 배치되고, 내측 바닥에는 캔에 남아있는 액상물이 배출되도록 복수 개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승강수단을 통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하강시 캔을 가압하여 압축시키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의 하단면에 하향으로 복수 개 돌출 형성되어 캔을 천공시키는 천공핀 및 작업자가 발로 밟아 상기 가압판을 하강시킬 수 있도록 본체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가압판의 일측 테두리에 연장 형성되는 발판이 포함되어 수용공간에 수용된 캔을 천공 및 압축시키는 가압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액상물이 저장되는 액상물저장부; 및 상기 본체부의 후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가압부에 의해 천공 및 압축된 캔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캔밀대부;를 포함하는 대용량 캔 압축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발판의 상단면에는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패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가압부가 하강하여 캔을 천공 및 압축시킨 후 승강하는 경우 천공핀에 꼿힌 상태로 딸려 올라오는 캔을 낙하시키기 위해 가압부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상물저장부의 하단부에는 본체부를 바닥상에서 일정높이 이격된 상태로 지탱해주는 지지다리와, 본체부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름바퀴가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양단부에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라이드홈과, 상기 슬라이드홈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압판의 양단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봉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가이드편 및 상기 가이드편의 하단부를 받쳐주도록 상기 가이드봉의 외측에 감겨지는 탄성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소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대량의 캔을 천공 및 압축시켜 캔에 남아있는 액상물과 압착된 캔을 분리하여 배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캔 압축기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2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캔 압축기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이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캔 압축기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가압판이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캔밀대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캔 압축기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고, 도 2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캔 압축기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이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캔 압축기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가압판이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캔밀대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대용량 캔 압축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간소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대량의 캔을 압축시켜 배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대용량 캔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써, 이와 같은 대용량 캔 압축기(10)는 크게 본체부(100), 가압부(200), 액상물저장부(300) 및 캔밀대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100)는 전체적으로 사각박스 형태로 이루어져 일측이 개방된 수용공간(110)이 마련되며, 타측면에는 수용공간(110)으로 캔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20)가 형성된다.
또한, 투입구(120)에는 상하 회동 가능하게 개폐판(130)이 구비되며, 이 개폐판(130)의 외측면에는 개폐판(130)을 손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개폐판손잡이(131)가 형성된다.
한편, 개폐판(130)은 경첩과 같은 힌지부재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본체부(100)에 결합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부(100)의 상단부에는 후술되는 발판(230)을 작업자가 발로 밟는 경우에 몸의 무게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대(140)가 수직으로 배치된다. 이때, 손잡이대(140)의 상부 끝단에는 반원형 형태로 꺽어진 손잡이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의 내측 바닥에는 가압부(200)를 통해 수용공간(110) 내에 수용된 캔을 천공 및 압축시 캔에 남아있는 액상물이 액상물저장부(300)로 배출되도록 복수 개의 배출공(150)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부(100)의 좌우 외측면 중 어느 일측면에는 본체부(100)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16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또한, 본체부(100)의 상단부 중앙에는 후술되는 가압부(200)가 하강하여 캔을 천공 및 압축시킨 후 승강하는 경우 천공핀(220)에 꼿힌 상태로 딸려 올라오는 캔을 낙하시키기 위해 가압판(200)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기(170)가 구비될 수 있다.
가압부(200)는 상술한 본체부(100)의 내부에 승강수단(500)을 통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하강시 수용공간(110) 내에 수용된 대량의 캔을 천공 및 압축시키는 것으로써, 이와 같은 가압부(20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승강수단(500)을 통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하강시 캔을 가압하여 압축시키는 가압판(210)과, 가압판(210)의 하단면에 하향으로 복수 개 돌출 형성되어 캔을 천공시키는 천공핀(220) 및 작업자가 발로 밟아 상기 가압판(210)을 하강시킬 수 있도록 본체부(10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가압판(210)의 일측 테두리에 연장 형성되는 발판(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천공핀(220)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좁아지는 원뿔형으로 형성되어 하강시 상술한 본체부(100)의 바닥에 형성된 배출공(150)에 일정깊이 삽입된다.
또한, 발판(230)의 상단면에는 작업자가 발로 밟는 경우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방지패드(231)가 부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미끄럼방지용 도료가 도포되어 코팅처리될 수도 있다.
또한, 승강수단(5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양단부에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라이드홈(510)과, 슬라이드홈(510)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봉(520)과, 가압판(210)의 양단부에 돌출 형성되며 가이드봉(520)이 관통되는 관통공(531)이 형성되는 가이드편(530) 및 가이드편(530)의 하단부를 받쳐주도록 가이드봉(520)의 외측에 감겨진 탄성복원스프링(5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평상시에 탄성복원스프링(540)에 의해 가압판()이 수용공간(110)의 상부에 위치되어있어 작업자가 발판(230)을 발로 눌러 가압하면 가이드봉(520)의 가이드에 따라 가압판()이 하강하면서 탄성복원스프링(540)이 압축되고, 발판(230)을 누르고 있던 발을 때면은 압축되어있던 탄성복원스프링(540)의 압축이 해제되면서 가압판(210)을 상부로 밀어 올려줌으로 제자리로 복원시켜준다.
액상물저장부(300)는 상술한 본체부(100)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본체부(100)에 형성된 배출공(150)을 통해 배출되는 액상물을 저장하는 것으로써, 이와 같은 액상물저장부(300)의 외측면 일측에는 내부에 저장된 액상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드레인밸브(310)가 구비된다.
또한, 액상물저장부(300)의 하단부에는 바닥상에서 본체부(100)를 일정높이 이격된 상태로 지탱해주는 지지다리(320)가 복수 개 구비된다.
또한, 액상물저장부(300)의 하단부에는 본체부(100)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름바퀴(330)가 복수 개 구비된다.
캔밀대부(400)는 상술한 본체부(100)의 후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가압부(200)에 의해 천공 및 압축된 캔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으로써, 이와 같은 캔밀대부(400)는 본체부(100)의 후단부에 형성된 관통홀(180)에 관통되는 밀대봉(410)과, 이 밀대봉(410)의 일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본체부(100)의 후단부 내측에 배치되어 밀대봉(410)을 앞으로 밀어줌에 따라 본체부(100)의 전면측에 개방된 개방부로 압축된 캔을 배출시키는 밀대판(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대용량 캔 압축기의 사용방법 및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투입구(120)를 통하여 수용공간(110)으로 캔을 투입시킨 후 개폐판(130)을 닫는다.
그런 다음 손잡이부(141)를 잡고 발판(230)을 발로 눌러 하부방향으로 밀어준다. 이 경우 손잡이부(141)는 발판(230)을 누를 때 작업자의 무게중심을 잡아주어 캔을 압착하는데 들어가는 힘을 줄여준다.
즉, 발판(230)을 발로 눌러줌에 따라 가압판(210)이 하강하면서 가압판(210)의 하단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천공핀(220)이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대량의 캔을 천공시킴과 동시에 가압판(210)이 하단면에 캔이 가압되어 천공 및 압축시킨다.
한편, 천공핀(220)이 캔을 천공시킬 때 캔에 남아있는 액상물은 본체부(110)의 내측 바닥에 형성된 배출공(150)을 통해 액상물저장부(300)로 배출되고, 액상물저장부(300)에 저장된 액상물은 드레인밸브(31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제거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발판(230)을 누르고 있는 발을 때어준다. 그러면 압축되어있던 탄성복원스프링(540)의 압축이 해제되면서 하강된 가압판(210)을 상부로 밀어 올려줌으로 제자자리로 복원된다.
이때, 하강하였던 가압판(210)이 상부로 올라가면 투시창(160)을 통해 천공핀(220)에 캔이 꼿힌 상태로 딸려 올라왔는지 확인하고, 만약 천공핀(220)에 캔이 꼿힌 상태로 딸려 올라온 경우에는 진동기(170)를 구동시켜 가압판(210)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천공핀(220)에 꼿힌 캔을 털어주어 낙하시킨다.
그런 다음, 캔밀대부(400)의 밀대봉(410)을 잡고 앞으로 밀어주어 밀대판(420)을 전진 이동시켜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천공 및 압축된 캔을 본체부(100)의 전면측에 개방된 개방부로 압축된 캔을 배출시키므로 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작업을 마치고 다른 장소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손잡이부(141)를 잡고 본체부(100)를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주어 구름바퀴(330)가 지면에 닿도록 하여 대용량 캔 압축기(10)를 용이하게 끌어서 이동시킬 수 있다.
10 : 대용량 캔 압축기
100 : 본체부
110 : 수용공간
120 : 투입구
130 : 개폐판
140 : 손잡이대
150 : 배출공
160 : 투시창
170 : 진동기
180 : 관통홀
200 : 가압부
210 : 가압판
220 : 천공핀
230 : 발판 231 : 미끄럼방지패드
300 : 액상물저장부
310 : 드레인벨브
320 : 지지다리
330 : 구름바퀴
400 : 캔밀대부
410 : 밀대봉
420 : 밀대판
500 : 승강수단
510 : 슬라이드홈
520 : 가이드봉
530 : 가이드편
540 : 탄성복원스프링

Claims (5)

  1. 일측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후단면에는 수용공간으로 캔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에는 상하 회동 가능하게 개폐판이 구비되며, 상단부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대가 수직으로 배치되고, 내측 바닥에는 캔에 남아있는 액상물이 배출되도록 복수 개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승강수단을 통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하강시 캔을 가압하여 압축시키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의 하단면에 하향으로 복수 개 돌출 형성되어 캔을 천공시키는 천공핀 및 작업자가 발로 밟아 상기 가압판을 하강시킬 수 있도록 본체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가압판의 일측 테두리에 연장 형성되는 발판이 포함되어 수용공간에 수용된 캔을 천공 및 압축시키는 가압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액상물이 저장되는 액상물저장부; 및
    상기 본체부의 후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가압부에 의해 천공 및 압축된 캔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캔밀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양단부에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라이드홈과,
    상기 슬라이드홈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압판의 양단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봉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가이드편 및
    상기 가이드편의 하단부를 받쳐주도록 상기 가이드봉의 외측에 감겨지는 탄성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캔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상단면에는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패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캔 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가압부가 하강하여 캔을 천공 및 압축시킨 후 승강하는 경우 천공핀에 꼿힌 상태로 딸려 올라오는 캔을 낙하시키기 위해 가압부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캔 압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물저장부의 하단부에는 본체부를 바닥상에서 일정높이 이격된 상태로 지탱해주는 지지다리와, 본체부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름바퀴가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캔 압축기.
  5. 삭제
KR1020200068325A 2020-06-05 2020-06-05 대용량 캔 압축기 KR102167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325A KR102167893B1 (ko) 2020-06-05 2020-06-05 대용량 캔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325A KR102167893B1 (ko) 2020-06-05 2020-06-05 대용량 캔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7893B1 true KR102167893B1 (ko) 2020-10-20

Family

ID=73025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325A KR102167893B1 (ko) 2020-06-05 2020-06-05 대용량 캔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8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340U (ko) * 1997-04-01 1998-11-16 김일 칩 재활용 성형기
JP2000095219A (ja) * 1998-09-22 2000-04-04 Hitachi Zosen Corp ペットボトル圧縮梱包機
KR101920265B1 (ko) 2018-03-23 2018-11-20 서민철 캔 폐기물 압축방법
KR102017992B1 (ko) * 2018-05-01 2019-10-14 나기대 스텝퍼 방식의 운동기구를 이용한 무동력 폐기물 분리 압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340U (ko) * 1997-04-01 1998-11-16 김일 칩 재활용 성형기
JP2000095219A (ja) * 1998-09-22 2000-04-04 Hitachi Zosen Corp ペットボトル圧縮梱包機
KR101920265B1 (ko) 2018-03-23 2018-11-20 서민철 캔 폐기물 압축방법
KR102017992B1 (ko) * 2018-05-01 2019-10-14 나기대 스텝퍼 방식의 운동기구를 이용한 무동력 폐기물 분리 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1745B1 (en) Waste collect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uch a device
EP0779838A1 (de) Pipetten-bereitstellungs- und entnahmevorrichtung
KR102167893B1 (ko) 대용량 캔 압축기
US7360484B1 (en) Self-standing aluminum can crushing device
DE3149799A1 (de) Vorrichtung zum flachpressen leerer dosen
US20120066823A1 (en) Toilet plunger
JP2663334B2 (ja) ゴミ圧縮装置
US20180001586A1 (en) Clothing Compression Press And Method Of Compressing Clothing
KR100983527B1 (ko) 결속기능을 갖춘 쓰레기 압축장치
CN214071719U (zh) 一种片剂食品加工的压片装置
NL1036371C2 (nl) Afvalverzamelinrichting en werkwijze voor toepassing van een dergelijke inrichting.
US9789981B1 (en) Compactor for space toilet
DE202005006096U1 (de) Kaffeepadspender
CN218020941U (zh) 一种档案储放盒
AU2007100219A4 (en) Pulveriser
CN113023038B (zh) 一种植物检疫用样本分层放置装置及其使用方法
CN214986888U (zh) 一种按压取出式的分餐药盒
CN214453220U (zh) 一种实名制考勤卡用保存装置
AT16241U1 (de) Vorrichtung zum Verdichten von Hohlkörpern, insbesondere aus Kunststoff, und einem Behältnis zur Aufbewahrung eines Kunststoffbeutels um die verdichteten Hohlkörper unmittelbar nach ihrer Verdichtung darin zu platzieren
CN219770620U (zh) 一种核酸样本采样箱
JP2784628B2 (ja) コンパクター及び廃棄物の圧縮方法
KR200294090Y1 (ko) 캔압축장치
WO2011018303A1 (de) Wägestation zum wiegen eines produktes, insbesondere kapselunterteil
DE202004017108U1 (de) Getränkebehältnis- und/oder Lebensmittelbehältnis-Hand- und/oder Fußpresse
DE102005034840B4 (de) Manuelle Flaschenpresse für PET Flasch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