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658B1 - 기계식주차와 무인주차정산기 연동 방법 - Google Patents

기계식주차와 무인주차정산기 연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658B1
KR102167658B1 KR1020200028498A KR20200028498A KR102167658B1 KR 102167658 B1 KR102167658 B1 KR 102167658B1 KR 1020200028498 A KR1020200028498 A KR 1020200028498A KR 20200028498 A KR20200028498 A KR 20200028498A KR 102167658 B1 KR102167658 B1 KR 102167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plc controller
unmanned
vehicl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금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금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금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8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6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주차정산기가, 무인주차장에 입고된 입고차량 번호를 프로그램 논리 제어(PLC)로서 동작하는 PLC제어기로부터 제공받는 입고차량 번호 제공 과정; 상기 PLC제어기로부터 입고차량 번호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 주차정산기가 입고차량 번호를 저장하는 입고차량 번호 저장 과정; 무인주차장의 차량이 출고되어 정산이 완료된 경우, 상기 주차정산기가 출고차량 번호를 상기 PLC제어기에 제공하는 출고차량 번호 제공 과정; 상기 PLC제어기가, 상기 주차정산기로부터 제공받은 출고차량 번호를 가지는 차량의 출고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 출고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계식주차와 무인주차정산기 연동 방법{Method for being interlocked machine parking and unmanned calculating}
본 발명은 기계식주차와 무인주차정산기 연동 방법으로서, 무인주차장에서의 기계식주차시설과 무인주차정산기간의 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장은 자동차를 세워 두도록 마련한 일정한 곳을 말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자동차의 증가로 인해 주차장의 주차공간 수요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주차공간의 부족으로 인해 운전자가 자동차를 주차시킬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란 매우 힘든 일이며, 주차장을 관리하는 입장에서도 부족한 주차 공간을 운전자가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관리, 유도하기가 매우 난해한 것이었다.
특히, 큰 건물에 속한 주차장의 경우, 많은 주차 공간의 관리 즉, 주차공간이 어느 위치에 얼마만큼 비어있는지 또한, 주차된 차량이 언제쯤 빠져나갈지를 사전에 판단하여 한정된 주차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운전자에게 빈 주차 공간을 안내해 주거나 주차장 입구에 주차 공간이 없다는 표시를 해주어 다른 장소의 주차 장소를 찾도록 해 주는 등 주차 관리를 위해 많은 주차 요원을 고용하여야 하므로, 주차장 경영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이로 인해 주차 요금이 상승되며 운전자에게도 부담이 전가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한정된 주차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주차를 원하는 차량에게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따라서 한정된 주차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주차를 원하는 차량에게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새로운 주차관리원의 충원없이 무인으로 작동되는 무인주차관리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형편이다. 특히, 무인주차 관리의 제어 방식에 효율적으로 운영할 필요성의 증대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5-0021773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무인주차장에서의 기계식주차시설과 무인주차정산기간의 통신에 있어서 프로그램 논리 제어(PLC)를 통해 통신을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주차정산기가, 무인주차장에 입고된 입고차량 번호를 프로그램 논리 제어(PLC)로서 동작하는 PLC제어기로부터 제공받는 입고차량 번호 제공 과정; 상기 PLC제어기로부터 입고차량 번호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 주차정산기가 입고차량 번호를 저장하는 입고차량 번호 저장 과정; 무인주차장의 차량이 출고를 위해 정산이 완료된 경우, 상기 주차정산기가 출고차량 번호를 상기 PLC제어기에 제공하는 출고차량 번호 제공 과정; 상기 PLC제어기가, 상기 주차정산기로부터 제공받은 출고차량 번호를 가지는 차량의 출고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 출고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정산기가, 무인주차장에 입고된 차량의 상태값을 PLC제어기로부터 제공받는 차량 상태값 확인 과정; 상기 PLC제어기가, 주차정산기에 기록된 정산 내용을 상기 주차정산기로부터 제공받는 정산 상태값 확인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고차량 번호 제공 과정, 출고차량 번호 제공 과정, 입고차량 상태값 확인 과정, 정산 상태값 확인 과정은, 하나의 마스터의 역할을 하는 PLC제어기와 복수개의 슬레이브 역할을 하는 주차정산기간에 각각 독립적인 채널에서 이루어지는 송수신 프레임을 통해 통신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LC제어기와 각 주차정산기간에는, RS-232C 또는 RS-422 프로토콜의 독립적인 채널로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LC제어기와 각 주차정산기간에 송수신 프레임은, 기기 고유번호, 제어 코드, 명령어, 프레임 데이터 크기, 송수신데이터가 16진수 ASCII코드 형태로 기록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코드는, 요구 프레임의 시작코드, ACK 응답 프레임의 시작코드, NAK 응답 프레임의 시작코드, 요구 프레임 마감코드, 응답 프레임의 마감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무인주차장에서의 기계식주차시설과 무인주차정산기간의 통신에 있어서 프로그램 논리 제어(PLC)를 통해 통신을 함으로서, 무인주차 관리의 제어에서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PLC제어기와 각 주차정산기간에 RS-232C 또는 RS-422 프로토콜의 독립적인 채널로서 프레임을 송수신함으로써,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주차와 무인주차정산기 연동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고 시의 통신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고 시의 통신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태값 확인의 예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주차와 무인주차정산기 연동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와 슬레이브간의 응답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송수신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코드의 예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주차와 무인주차정산기 연동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고 시의 통신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고 시의 통신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태값 확인의 예시 그림이다.
본 발명의 기계식주차와 무인주차정산기 연동 시스템은, 무인주차정산기 연동을 위하여 전용 통신을 수행하는 주차정산기(200)와 PLC제어기(100)를 포함한다. 이하 상술한다.
주차정산기(200)는, 무인주차장에 입고 또는 출고 차량의 정보를 활용하여 주차비 등의 정산을 수행하는 기기이다. 주차정산기(200)는 무인주차장에 입고된 입고차량 번호를 PLC제어기(100)로부터 제공받아 입고차량 번호를 저장한다. 그리고 무인주차장의 차량이 출고되어 정산이 완료된 경우, 주차정산기(200)가 출고차량 번호를 PLC제어기(100)에 제공한다. 입고차량 번호를 저장함에 있어서, 저장체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PLC제어기(100)는, 입출차 차단바 개폐제어 등을 수행하는 무인주차장 관리장치로서, 프로그램 논리 제어(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를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한 관리 PC, 관리 서버 등이 해당될 수 있다. 관리 PC 또는 관리 서버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데, PLC를 통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PLC제어기(100)는 주차정산기(200)로부터 제공받은 출고차량 번호를 가지는 차량의 출고가 이루어지도록 차단바를 개방하는 등의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참고로, PCL는, 알려진 바와 같이 기존의 릴레이 제어반의 각종 릴레이, 타이머, 카운터 등의 기능을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해 통합시킨 것으로서,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시컨스 제어(sequence control), 산술 연산, 논리 연산, 함수 연산, 조절 연산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PLC를 사용함으로써, 프로그램 확장이 쉽고 시스템 확장이 간편해 주차관리 환경 변화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
결국, PLC제어기(100)와 주차정산기(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고 관리 및 출고 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나아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태값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주차와 무인주차정산기 연동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와 슬레이브간의 응답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송수신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코드의 예시 그림이다.
본 발명의 기계식주차와 무인주차정산기 연동 방법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차정산기(200)가, 무인주차장에 입고된 입고차량 번호를 프로그램 논리 제어(PLC)로서 동작하는 PLC제어기(100)로부터 제공받는 입고차량 번호 제공 과정(S510), PLC제어기(100)로부터 입고차량 번호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 주차정산기(200)가 입고차량 번호를 저장하는 입고차량 번호 저장 과정(S520), 무인주차장의 차량이 출고되어 정산이 완료된 경우, 주차정산기(200)가 출고차량 번호를 상기 PLC제어기(100)에 제공하는 출고차량 번호 제공 과정(S530), PLC제어기(100)가 주차정산기(200)로부터 제공받은 출고차량 번호를 가지는 차량의 출고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 출고 과정(S5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차량 상태값 확인 과정(S550), 정산 상태값 확인 과정(S560)을 추가로 더 가질 수 있다. 이하 상술하기로 한다.
입고차량 번호 제공 과정(S510)은, 주차정산기(200)가 무인주차장에 입고된 입고차량 번호를 PLC제어기(100)로부터 제공받는 과정이다. PLC제어기(100)는, 차량 입고시에 카메라 등을 통해 판독된 차량 번호를 주차정산기(200)에 제공한다.
입고차량 번호 저장 과정(S520)은, PLC제어기(100)로부터 입고차량 번호를 제공받는 경우, 주차정산기(200)가 입고차량 번호를 저장하는 과정이다.
출고차량 번호 제공 과정은, 무인주차장의 차량이 출고를 위해 정산이 완료된 경우, 주차정산기(200)가 출고차량 번호를 PLC제어기(100)에 제공하는 과정이다.
차량 출고 과정(S540)은, PLC제어기(100)가 주차정산기(200)로부터 제공받은 출고차량 번호를 가지는 차량의 출고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PLC제어기(100)는, 출고차량 번호가 판독되는 경우 차단바를 개방하여 무인주차장에서 출고 가능하도록 한다.
차량 상태값 확인 과정(S550)은, 무인주차장에 입고된 차량의 상태값을 PLC제어기(100)로부터 제공받는 과정이다. 여기서 차량의 상태값은, 출고입력확인, 출고가능여부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정산 상태값 확인 과정(S560)은, 주차정산기(200)에 기록된 정산 내용을 주차정산기(200)로부터 제공받는 과정이다. 여기서 정산 상태값 확인 과정(S560)은, 입출차시간, 정산비 등이 해당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입고차량 번호 제공 과정(S510), 출고차량 번호 제공 과정(S530), 입고차량 상태값 확인 과정(S550), 정산 상태값 확인 과정(S560)에 있어서 통신이 이루어짐에 있어서, 하나의 마스터의 역할을 하는 PLC제어기(100)와 복수개의 슬레이브 역할을 하는 주차정산기(200)간에 각각 독립적인 채널에서 이루어지는 송수신 프레임을 통해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와 슬레이브간에 통신이 이루어짐을 기본으로 하는데, 하나의 마스터에 복수개의 슬레이브가 각각 독립된 채널로서 전용으로 통신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용 통신 기능은 PLC제어기(100)의 통신 모듈에 내장되어 있는 프로토콜로 PLC에서 별도의 프로그램 작성을 하지 않고 주변 기기인 주차정산기(200)에서 PLC제어기(100)내의 정보 및 데이터를 읽거나 쓸 수 있도록 하며, PLC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업로드와 PLC를 제어(Run/Stop/Pause)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전용 통신의 마스터 기능은 통신을 위한 평션블록/명령어 서비스로서 사용자가 별도의 프로토콜을 정의하지 않고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게 된다.
1) 전용 모드 슬레이브 기능에 마스터 기능을 추가.
2) 모드 스위치는 전용 모드와 동일하게 사용하고 평션블록/명령어를 추가하여 마스터 기능.
3) 전용 모드로 설정 후 프레임 편집기를 통한 프레임 작성이 불필요 하며 전용 통신 평션블록/명령어를 이용하여 GMWIN/KGLWIN에서 프로그램 작성하여 통신
4) RS-232C/RS-422 채널 각각에 대한 프로그램 가능.
5) 전용 통신 프로토콜의 연속 블록 읽기/쓰기 명령어를 이용하여 하나의 평션블록으로 최대 110 BYTE의 연속 데이터를 읽기 쓰기가 가능.
6) 평션블록의 NDR/ERR출력을 이용하여 서비스 결과를 확인할 수 있음.
7) RS-422 채널에서 다수 국에 대한 통신을 할 경우에는 GMWIN/KGLWIN 프로그램에서 순차적 통신을 하도록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데이터 충돌 오류 발생을 방지해야 함.
8) 마스터/슬레이브로 동작하는 I/F 모듈을 모두 전용 모드로 설정.
9) 마스터로 동작하는 모듈은 한 국만 가능. 전용모드로 연결된 I/F 모듈 중에서 하나의 국만이 마스터 국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즉, 전용 통신용 평션블록을 한 국에서만 사용해야 하지, 마스터가 여러 국일 경우 통신 라인에서 데이터 충돌에 의한 정상 통신이 불가능.
한편, 상기의 4)번 항목인 RS-232C/RS-422 채널 각각에 통신이 가능한데, 전용 통신의 슬레이브 기능은 모드에 따라 RS-232C와 RS-422 모두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마스터와 슬레이브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슬레이브로만 동작하여 슬레이브로부터의 요구가 있을 경우에만 응답을 하도록 한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마스터인 PLC제어기(100)와 슬레이브인 각 주차정산기(200)간에는, RS-232C 또는 RS-422 프로토콜의 독립적인 채널로서 구현되고, 슬레이브인 주차정산기(200)의 요구가 있을 시에만 마스터인 PLC제어기(100)가 응답을 하도록 한다.
한편, PLC제어기(100)와 각 주차정산기(200)간에 송수신 프레임은, 크게 마스터로 동작하는 통신 기기가 데이터의 읽기/쓰기를 요구하는 프레임과 마스터의 요구 프레임에 대하여 응답하는 프레임으로 구분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로부터 규격화된 요구 프레임을 슬레이브에 송신하면 슬레이브에서는 수신된 요구 프레임을 분석하여 정해진 프로토콜 규칙에 맞는 프레임을 수신 시에는 ACK 응답 프레임을 송신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에러 코드가 첨부된 NAK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한다.
이러한 PLC제어기(100)와 각 주차정산기(200)간에 송수신 프레임은, 기기 고유번호, 제어 코드, 명령어, 프레임 데이터 크기, 송수신데이터가 16진수 ASCII코드 형태로 기록되어 있도록 한다. 즉, 모든 프레임의 숫자 데이터는 별도로 명시하지 않는 한 16진수 값에 대한 ASCII코드로 표시되도록 하는데, 16진수 데이터인 경우는 프레임 내의 숫자 앞에 H01, H12345, H34, H12, H89AB 등과 같이 ‘H’를 붙여 이 데이터가 16진수임을 표시한다. 사용 가능한 프레임의 길이는 최대 256BYTE이다.
여기서 제어 코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구 프레임의 시작코드, ACK 응답 프레임의 시작코드, NAK 응답 프레임의 시작코드, 요구 프레임 마감코드, 응답 프레임의 마감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코드를 HEX로 표시하여 프레임의 종류를 명확히 알려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PLC제어기
200:주차정산기

Claims (5)

  1. 주차정산기가, 무인주차장에 입고된 입고차량 번호를 프로그램 논리 제어(PLC)로서 동작하는 PLC제어기로부터 제공받는 입고차량 번호 제공 과정;
    상기 PLC제어기로부터 입고차량 번호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 주차정산기가 입고차량 번호를 저장하는 입고차량 번호 저장 과정;
    무인주차장의 차량이 출고를 위해 정산이 완료된 경우, 상기 주차정산기가 출고차량 번호를 상기 PLC제어기에 제공하는 출고차량 번호 제공 과정;
    상기 PLC제어기가, 상기 주차정산기로부터 제공받은 출고차량 번호를 가지는 차량의 출고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 출고 과정;
    상기 주차정산기가, 무인주차장에 입고된 차량의 상태값을 PLC제어기로부터 제공받는 차량 상태값 확인 과정;
    상기 PLC제어기가, 주차정산기에 기록된 정산 내용을 상기 주차정산기로부터 제공받는 정산 상태값 확인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입고차량 번호 제공 과정, 출고차량 번호 제공 과정, 입고차량 상태값 확인 과정, 정산 상태값 확인 과정은,
    하나의 마스터의 역할을 하는 PLC제어기와 복수개의 슬레이브 역할을 하는 주차정산기간에 각각 독립적인 채널에서 이루어지는 송수신 프레임을 통해 통신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주차와 무인주차정산기 연동 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PLC제어기와 각 주차정산기간에 송수신 프레임은, 기기 고유번호, 제어 코드, 명령어, 프레임 데이터 크기, 송수신데이터가 16진수 ASCII코드 형태로 기록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주차와 무인주차정산기 연동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 코드는,
    요구 프레임의 시작코드, ACK 응답 프레임의 시작코드, NAK 응답 프레임의 시작코드, 요구 프레임 마감코드, 응답 프레임의 마감코드를 포함하는 기계식주차와 무인주차정산기 연동 방법.
KR1020200028498A 2020-03-06 2020-03-06 기계식주차와 무인주차정산기 연동 방법 KR102167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498A KR102167658B1 (ko) 2020-03-06 2020-03-06 기계식주차와 무인주차정산기 연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498A KR102167658B1 (ko) 2020-03-06 2020-03-06 기계식주차와 무인주차정산기 연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7658B1 true KR102167658B1 (ko) 2020-10-19

Family

ID=73042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498A KR102167658B1 (ko) 2020-03-06 2020-03-06 기계식주차와 무인주차정산기 연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658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9264U (ko) * 1984-12-05 1986-06-25
JPS63122873U (ko) * 1987-02-04 1988-08-10
KR19980084084A (ko) * 1997-05-21 1998-12-05 이해규 자기진단기능을 구비한 기계식 주차설비 관리시스템
KR20050021773A (ko) 2003-08-26 2005-03-07 이지원 무인 자동 주차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73809A (ko) * 2004-01-12 2005-07-18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주차설비의 차량 입출고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75521A (ko) * 2006-01-13 2007-07-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38815B1 (ko) * 2000-12-07 2008-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Dsrc를 이용한 주차 요금 정산 시스템
JP2011253295A (ja) * 2010-06-01 2011-12-15 Amano Corp 駐車場管理システム
KR101390774B1 (ko) * 2013-05-15 2014-04-30 (주)에스디시스템 기계식 주차장 관리 시스템
KR20140126611A (ko) * 2013-04-23 2014-10-31 주식회사 다래파크텍 무인 정산이 용이한 주차관리장치
KR20190113205A (ko) * 2018-03-28 2019-10-08 (주)한위드정보기술 기계식 주차설비 통합 관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9264U (ko) * 1984-12-05 1986-06-25
JPS63122873U (ko) * 1987-02-04 1988-08-10
KR19980084084A (ko) * 1997-05-21 1998-12-05 이해규 자기진단기능을 구비한 기계식 주차설비 관리시스템
KR100838815B1 (ko) * 2000-12-07 2008-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Dsrc를 이용한 주차 요금 정산 시스템
KR20050021773A (ko) 2003-08-26 2005-03-07 이지원 무인 자동 주차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73809A (ko) * 2004-01-12 2005-07-18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주차설비의 차량 입출고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75521A (ko) * 2006-01-13 2007-07-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1253295A (ja) * 2010-06-01 2011-12-15 Amano Corp 駐車場管理システム
KR20140126611A (ko) * 2013-04-23 2014-10-31 주식회사 다래파크텍 무인 정산이 용이한 주차관리장치
KR101390774B1 (ko) * 2013-05-15 2014-04-30 (주)에스디시스템 기계식 주차장 관리 시스템
KR20190113205A (ko) * 2018-03-28 2019-10-08 (주)한위드정보기술 기계식 주차설비 통합 관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1192A (en) Non-contact type information card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0901773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tor Vehicle Diagnosis and Vehicle Reception
EP3164857B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remote control of the shared access to one or more items
KR102167658B1 (ko) 기계식주차와 무인주차정산기 연동 방법
CN108257237A (zh) 车辆放行处理方法、装置和存储介质
WO2012169633A1 (ja) 課金システム、利用料金算出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689323B2 (en) Method for activating functions of a tachograph
US20070279189A1 (en)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host and RFID reader, host device, RFID reader, and RFID communication system
CN101183466A (zh) 一种检票设备群组控制系统及方法
US6167345A (en) Method and a device for finalizing data carrying communication equipment in traffic control systems
US20230222483A1 (en) Server, ETCS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30222486A1 (en)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4724404B (zh) 一种停车管理方法及系统
EP2486549B1 (en) Transfer of tachograph related information
CA2914077C (en) Method for operating an id-based access control system
TWM583600U (zh) 停車場系統整合管理器
US10423955B2 (en) Method for avoiding the misuse of access authorizations of an ID-based access control system
KR20180076260A (ko) 제어장치를 이용한 세차 영업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CN204557615U (zh) 一种车辆进出智能管理系统
EP1043693A2 (en) Authorization system and authorization method
CN113888065A (zh) 一种u位级设备监控方法、系统、装置和计算机设备
CN218547542U (zh) 一种高速公路收费站网络式车道控制器
JP2006031288A (ja)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処理システム
US20180122151A1 (en) Place management method and place management system
CN113033420B (zh) 一种基于大数据采集的非图像式进入控制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