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948B1 - 필기구 - Google Patents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948B1
KR102166948B1 KR1020190049642A KR20190049642A KR102166948B1 KR 102166948 B1 KR102166948 B1 KR 102166948B1 KR 1020190049642 A KR1020190049642 A KR 1020190049642A KR 20190049642 A KR20190049642 A KR 20190049642A KR 102166948 B1 KR102166948 B1 KR 102166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bent
housing
bending
shim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엽
Original Assignee
김태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엽 filed Critical 김태엽
Priority to KR1020190049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9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23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with a deformable barr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06Pencil-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2Ball-point pens with retractable ball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03Pen barrel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직선형으로 연장된 제1 연장부(110)와 제1 연장부(110)의 말단으로부터 소정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2 연장부(120)를 포함하는 하우징(100), 및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잉크가 보유되며, 잉크가 나오는 말단부(220)를 포함하는 심부재(2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필기구{Writing Implement}
본 발명은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필기구는 필기하는데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물건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펜, 펜, 연필, 샤프 등을 통칭한다. 필기구는 지면과 수직을 이룰 때 최적의 필기 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 각도를 유지하며 필기를 수행하면 손에 가해지는 힘으로 인한 피로감이 매우 크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필기구를 종이 지면 등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로 눕혀 필기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필기구를 소정 각도 눕혀서 필기하면, 수직으로 세워 필기를 수행하는 것에 비해 힘은 덜 들지만, 필기구가 빨리 손상되고 필기가 매끄럽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직선형 필기구는 사용자가 항상 필기구를 소정 각도 유지하며 필기해야 하고, 이때 필기구의 손상을 줄이고 필기 속도와 품질을 높이면서 손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하는 방안이 전혀 없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필기구는 인체공학적으로 손가락에 피로가 누적될 수 밖에 없는 디자인인 것인데, 이에 대한 해결책은 아직까지 전무한 상황이다.
KR 10-2018-0137227 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측면은 제2 연장부가 제1 연장부로부터 절곡되도록 연장되어, 사용자가 필기시 종이 지면 등에 대해서 수직에 가까운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직선형으로 연장된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의 말단으로부터 소정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잉크가 보유되며, 상기 잉크가 나오는 말단부를 포함하는 심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심부재는, 상기 제1 연장부에 배치되고, 직선형으로 연장된 제1 영역,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가 연결되는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영역의 말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영역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휘어질 수 있는 벤딩영역, 및 상기 제2 연장부에 배치되고, 상기 벤딩영역의 말단으로부터 직선형으로 연장된 제2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벤딩영역에는, 관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벤딩영역의 길이방향을 따라가면서 외벽이 방사 방향의 외측으로 절곡되는 제1 절곡부와 방사 방향의 내측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가 반복되어 형성된 벤딩부가 구비되고, 상기 벤딩부는 외벽 중 일측에서 인접한 상기 제1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가 가까워지고, 외벽 중 타측에서 인접한 상기 제1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가 멀어지면서, 상기 벤딩영역이 상기 제1 영역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휘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심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심부재가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되면, 상기 말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심부재가 타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되면, 상기 말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심부재가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되면, 상기 벤딩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휘어지고, 상기 심부재가 타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되면, 상기 벤딩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의 길이방향과 나란해지도록 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심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심부재에 타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벤딩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심부재가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될 때, 상기 말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심부재 중 상기 말단부로부터 이격된 영역과 접촉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가 연결되는 영역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심부재가 삽입되도록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심부재에 대응하도록 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곡선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연장부가 제1 연장부로부터 절곡되도록 연장되어, 필기구 자체가 종이 지면 등에 대해서 수직에 가까운 각도를 유지함으로써, 필기시 소정의 각도로 눕혀 필기를 수행해도, 필기구의 손상이 적고, 필기 품질 또한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필기시, 필기구 자체가 지면과 필기구를 수직에 가깝게 각도를 유지해 줌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필기가 가능하고, 그에 따라 손가락에 피로감이나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필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의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의 부분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의 부분 단면도, 및
도 7은 도 5의 a-a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직선형으로 연장된 제1 연장부(110)와 제1 연장부(110)의 말단으로부터 소정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2 연장부(120)를 포함하는 하우징(100), 및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잉크가 보유되며, 잉크가 나오는 말단부(220)를 포함하는 심부재(20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서 그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심부재(200)가 수용된다. 여기서, 하우징(100)은 전체적으로 관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연장부(110)와 제2 연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장부(110)는 직선형으로 연장되고, 제2 연장부(120)는 제1 연장부(110)의 말단으로부터 소정각도 절곡되어 연장된다. 즉, 하우징(100)은 제1 연장부(110)와 제2 연장부(120)가 연결되는 부분에서 소정각도로 절곡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2 연장부(120)가 제1 연장부(110)의 말단으로부터 절곡되도록 연장됨으로써,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 필기가 가능한데, 이에 관련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제1 연장부(110)는 제2 연장부(120)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연장부(110)의 길이는 제2 연장부(120)의 길이의 4배 이상일 수 있다. 이때, 제1 연장부(11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예를 들어, 볼펜 본체, 및 볼펜 헤드 상부 등)이고, 제2 연장부(120)는 잉크가 나오는 심부재(200)의 말단부(220)가 돌출되는 부분(예를 들어, 볼펜 헤드 하부)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연장부(110)를 파지하고 필기를 수행하면, 제2 연장부(120)로부터 돌출된 심부재(200)의 말단부(220)로부터 잉크가 흘러나오면서 글씨가 종이 지면 등에 기재될 수 있다.
상기 심부재(2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체적으로 관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잉크가 보유된다. 예를 들어, 심부재(200)는 관형으로 형성된 수용부(210, 예를 들어, 원통형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됨), 수용부(210) 내부에 보유된 잉크, 및 수용부(210)의 말단에 구비되어 잉크가 나오는 말단부(220, 예를 들어, 펜촉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말단부(220)는 제2 연장부(120)로부터 돌출될 수 있는데, 수용부(210)가 휘어지면서 말단부(220)는 제2 연장부(1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연장부(120)가 제1 연장부(110)로부터 절곡되도록 연장되므로, 사용자가 제1 연장부(110)를 파지하고 필기하면 제2 연장부(120)로부터 돌출된 말단부(220)는 종이 지면 등에 대해서 수직에 가까운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말단부(220)를 통해서 종이 지면에 가해지는 힘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필기가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 필기를 할 수 있으므로, 손가락에 피로나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심부재(200)를 살펴보면(도 2 참조), 심부재(200)의 수용부(210)는 제1 영역(230), 벤딩영역(240), 및 제2 영역(2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230)은 제1 연장부(110)에 배치되고, 직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벤딩영역(240)은 제1 연장부(110)와 제2 연장부(120)가 연결되는 영역(하우징(100)이 절곡되는 부분)에 배치되고, 제1 영역(230)의 말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제1 영역(230)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휘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영역(250)은 제2 연장부(120)에 배치되고, 벤딩영역(240)의 말단으로부터 직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심부재(200)는 제1 영역(230), 벤딩영역(240), 및 제2 영역(250)으로 구획될 수 있고, 벤딩영역(240)이 휘어지면서, 제1 영역(230)이 제1 연장부(1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2 영역(250)이 제2 연장부(1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심부재(200)의 수용부(210)는 제1 연장부(110)와 제2 연장부(120)가 연결되는 영역에 배치된 벤딩영역(240)이 휘어지면서 절곡된 하우징(100)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벤딩영역(240)은 관형으로 형성되고, 제1 절곡부(245a)와 제2 절곡부(245b)가 반복되어 형성된 벤딩부(245)가 구비될 수 있다(도 2의 확대도 참조). 여기서, 제1 절곡부(245a)는 벤딩영역(240)의 길이방향을 따라가면서 외벽이 방사 방향의 외측으로 절곡되고, 제2 절곡부(245b)는 벤딩영역(240)의 길이방향을 따라가면서 방사 방향의 내측으로 절곡된다. 예를 들어, 벤딩부(245)는 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외벽이 지그재그(zigzag)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벤딩부(245)는 외벽 중 일측(A)에서 인접한 제1 절곡부(245a)와 제2 절곡부(245b)가 가까워지고, 외벽 중 타측(B)에서 인접한 제1 절곡부(245a)와 제2 절곡부(245b)가 멀어지면서, 벤딩영역(240)이 제1 영역(230)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휘어질 수 있다. 결국, 심부재(200)의 벤딩영역(240)에는 쉽게 휘어지는 벤딩부(245)가 구비되므로, 심부재(200)가 절곡된 하우징(100)에 대응하도록 휘어질 수 있다.
한편, 심부재(200)는 필요에 따라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심부재(200)가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되면(도 2 참조), 심부재(200)의 말단부(220)가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되고, 심부재(200)가 타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되면(도 3 참조), 심부재(200)의 말단부(220)가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의 말단에 조작부가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조작부를 가압하면 심부재(200)가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되어 말단부(220)가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되고(도 2 참조), 조작부를 조작하면 심부재(200)가 타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되어 말단부(220)가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도 3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심부재(200)는 벤딩영역(240)을 포함한다. 따라서, 심부재(200)가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되면(도 2 참조), 심부재(200)가 제2 연장부(120)의 내벽에 의해서 가압되면서, 벤딩영역(240, 벤딩부(245))은 제1 영역(230)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휘어질 수 있다. 역으로, 심부재(200)가 타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되면(도 3 참조), 벤딩영역(240, 벤딩부(245)) 자체의 탄성에 의해서 벤딩영역(240, 벤딩부(245))은 제1 영역(230)의 길이방향과 나란해지도록 펴질 수 있다. 즉, 심부재(200)가 일방향으로 이동되면, 벤딩영역(240, 벤딩부(245))가 휘어지고, 심부재(200)가 타방향으로 이동되면, 벤딩영역(240, 벤딩부(245))가 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심부재(200)를 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탄성부재(3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300)는 일단이 하우징(100)의 제1 돌기(310)에 지지되고, 타단이 심부재(200)의 제2 돌기(320)에 지지되어, 심부재(200)에 타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를 조작하면, 탄성부재(300)의 탄성력에 의해서 심부재(200)는 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결과적을 말단부(220)가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300)는 심부재(200)의 벤딩영역(240)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300)는 나선형으로 연장된 압축스프링으로 그 내부 공간에 심부재(200)의 벤딩영역(240)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300)가 심부재(200)의 벤딩영역(24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면, 심부재(200)가 타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될 때, 직선으로 펴지려는 탄성부재(300)의 탄성력에 의해서 벤딩영역(240, 벤딩부(245)) 역시 더욱 쉽게 펴질 수 있다. 즉, 탄성부재(30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벤딩영역(240, 벤딩부(245))가 펴지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부재(200)가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될 때, 벤딩영역(240)을 휘어지게 하는 가이드부(400)가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400)는 심부재(200) 중 말단부(220)로부터 이격된 영역(X, 도 5 참조)과 접촉되어, 심부재(200)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말단부(220)가 하우징(10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잉크가 나오는 말단부(220, 펜촉 등)가 하우징(100)의 내부에 접촉하면, 말단부(220)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지만, 가이드부(400)에 의해서 말단부(220)가 하우징(100)의 내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말단부(220)를 보호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400)는 제1 연장부(110)와 제2 연장부(120)가 연결되는 영역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400)는 종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도 4 내지 도 6 참조), 제1 연장부(110)에서 제2 연장부(120)로 갈수록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400)에는 심부재(200)가 삽입되도록 함몰된 함몰된 함몰부(410)가 형성되고(도 7 참조), 이때 함몰부(410)는 심부재(200)에 대응하도록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곡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함몰부(410)는 전체적으로 반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함몰부(410)에는 심부재(200)가 삽입됨으로써, 심부재(200)가 가이드부(40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400)는 하우징(100)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므로, 탄성부재(300)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1 돌기(31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도 4 내지 도 6 참조). 이 경우, 탄성부재(300)는 가이드부(400)에 비해서 제1 연장부(110) 방향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볼펜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종류의 하우징과 심부재를 포함하는 필기구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하우징 110: 제1 연장부
120: 제2 연장부 200: 심부재
210: 수용부 220: 말단부
230: 제1 영역 240: 벤딩영역
245: 벤딩부 245a: 제1 절곡부
245b: 제2 절곡부 250: 제2 영역
300: 탄성부재 310: 제1 돌기
320: 제2 돌기 400: 가이드부
410: 함몰부

Claims (9)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직선형으로 연장된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의 말단으로부터 소정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잉크가 보유되며, 상기 잉크가 나오는 말단부를 포함하는 심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심부재는,
    상기 제1 연장부에 배치되고, 직선형으로 연장된 제1 영역;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가 연결되는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영역의 말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영역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휘어질 수 있는 벤딩영역; 및
    상기 제2 연장부에 배치되고, 상기 벤딩영역의 말단으로부터 직선형으로 연장된 제2 영역;
    을 포함하며,
    상기 심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심부재가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되면, 상기 말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심부재가 타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되면, 상기 말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심부재가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되면, 상기 벤딩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휘어지고,
    상기 심부재가 타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되면, 상기 벤딩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의 길이방향과 나란해지도록 펴지며,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심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심부재에 타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벤딩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심부재가 타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될 때, 직선으로 펴지려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벤딩영역이 펴지는 것이 유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심부재가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될 때, 상기 말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심부재 중 상기 말단부로부터 이격된 영역과 접촉하는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는 필기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벤딩영역에는,
    관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벤딩영역의 길이방향을 따라가면서 외벽이 방사 방향의 외측으로 절곡되는 제1 절곡부와 방사 방향의 내측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가 반복되어 형성된 벤딩부가 구비되고,
    상기 벤딩부는 외벽 중 일측에서 인접한 상기 제1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가 가까워지고, 외벽 중 타측에서 인접한 상기 제1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가 멀어지면서, 상기 벤딩영역이 상기 제1 영역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휘어지는 필기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가 연결되는 영역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심부재가 삽입되도록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된 필기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심부재에 대응하도록 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곡선으로 연장되는 필기구.
KR1020190049642A 2019-04-29 2019-04-29 필기구 KR102166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642A KR102166948B1 (ko) 2019-04-29 2019-04-29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642A KR102166948B1 (ko) 2019-04-29 2019-04-29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6948B1 true KR102166948B1 (ko) 2020-10-16

Family

ID=73035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642A KR102166948B1 (ko) 2019-04-29 2019-04-29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9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2758A (ko) * 2021-03-24 2022-10-04 (주)제로지텍 필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773Y1 (ko) * 1989-12-28 1992-10-17 오상진 출입문용 경첩
KR200174278Y1 (ko) * 1999-10-19 2000-03-15 이성우 필기구
JP2002534303A (ja) * 1999-01-18 2002-10-15 メルツ アンド クレル ゲーエムベーハー アンド カ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アォフアクツィエン 傾斜可変式先端を有する筆記用具
KR100937910B1 (ko) * 2008-03-24 2010-01-29 전덕호 꺾었다 펴지는 볼펜
KR20180137227A (ko) 2017-06-16 2018-12-27 유경화 다색 격층 필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773Y1 (ko) * 1989-12-28 1992-10-17 오상진 출입문용 경첩
JP2002534303A (ja) * 1999-01-18 2002-10-15 メルツ アンド クレル ゲーエムベーハー アンド カ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アォフアクツィエン 傾斜可変式先端を有する筆記用具
KR200174278Y1 (ko) * 1999-10-19 2000-03-15 이성우 필기구
KR100937910B1 (ko) * 2008-03-24 2010-01-29 전덕호 꺾었다 펴지는 볼펜
KR20180137227A (ko) 2017-06-16 2018-12-27 유경화 다색 격층 필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2758A (ko) * 2021-03-24 2022-10-04 (주)제로지텍 필기구
KR102550623B1 (ko) * 2021-03-24 2023-07-06 (주)제로지텍 필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5813B2 (en) Ball pen
JP4583291B2 (ja) 筆記具用クリップ
US8128302B2 (en) Writing instrument having a slidable cap
JPH11198585A (ja) 筆記具用グリップおよび筆記具用キャップならびに筆記具
JP2012153087A (ja) 静電容量型タッチペンを搭載した筆記具
KR102166948B1 (ko) 필기구
KR102550623B1 (ko) 필기구
JP4989381B2 (ja) 筆記具
KR20120002781U (ko)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
KR20010006617A (ko) 필기구 몸체
JP2013199009A (ja) 回転繰出式筆記具
KR200424431Y1 (ko) 뚜껑이 구비된 필기구
KR101370651B1 (ko) 필기구용 클립 고정구조
JP6038097B2 (ja) 筆記具
JP2008036919A (ja) 複式筆記具
JP4822354B2 (ja) クリップ付のスライド式筆記具
JP2008188966A (ja) クリップ付のスライド式筆記具
JP2001180178A (ja) ニードル形ボールペンリフィール
KR100775546B1 (ko) 보조 그립부를 갖는 필기구
KR200433435Y1 (ko) 보조 그립부를 갖는 필기구
JP2018083380A (ja) ノック式筆記具
JP5216248B2 (ja) 多芯筆記具
JP2011025579A (ja) 多芯筆記具のスライド部材における筆記体との連接構造
KR20050113100A (ko) 고무지우개
KR200174278Y1 (ko) 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