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617B1 -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 Google Patents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617B1
KR102166617B1 KR1020190108163A KR20190108163A KR102166617B1 KR 102166617 B1 KR102166617 B1 KR 102166617B1 KR 1020190108163 A KR1020190108163 A KR 1020190108163A KR 20190108163 A KR20190108163 A KR 20190108163A KR 102166617 B1 KR102166617 B1 KR 102166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longitudinal direction
bearing housing
foil
top f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동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로스
Priority to KR1020190108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 F16C17/024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with flexible leaves to create hydrodynamic wedge, e.g. radial foil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2/00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C32/06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 F16C32/0603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supported by a gas cushion, e.g. an air cush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2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6/00Joining parts; Fastening; Assembling or mounting parts
    • F16C2226/50Positive connections
    • F16C2226/60Positive connections with threaded parts, e.g. bolt and nut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은, 로터가 배치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내주면에서 오목하게 키홈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된 베어링 하우징;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요철 형상의 탄성 범프들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결합된 범프 포일;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키홈에 삽입되며, 길이방향 양단이 베어링 하우징에 고정된 키; 및 상기 범프 포일의 내측에 구비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키에 결합되어 고정된 탑 포일;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탑 포일과 결합된 키가 반경방향 안쪽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탑 포일의 형태를 유지시킴으로써, 로터 및 탑 포일의 열 상승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Air foil journal bearing}
본 발명은 고속으로 회전되는 로터와 포일 사이에 공기가 유입되어 압력을 형성함으로써 로터가 포일에서 부상되며 로터의 반경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에 있어서, 로터 및 포일의 열 상승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베어링은 회전축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며 동시에 축의 자중과 축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축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기계요소이다.
그리고 베어링 중 에어 포일 베어링은 로터의 고속 회전에 따라 로터와 접하는 포일 사이에 점성을 가지는 유체인 공기가 유입되어 압력을 형성함으로써 하중을 지지하는 베어링이다.
이러한 에어 포일 베어링 중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은 로터의 반경방향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베어링이다.
일례로 종래의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1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회전하는 로터(4)를 지지 하는 하우징(5), 하우징(5)의 내면을 따라 장착되는 탑 포일(2) 및 범프 포일(1)로 구성된다. 그리고 탑 포일(2)은 하우징(5)의 키홈 내에 삽입 설치된 스페이서 블락(키, 3)에 일단이 점용접 등의 방식으로 부착되어 하우징(5)의 내부에 설치되며, 탑 포일(2)의 내주면이 베어링면(21)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범프 포일(1)은 일단이 하우징(5)의 키홈 내에 삽입 설치된 스페이서 블락(키, 3) 또는 하우징(5)의 내면에 점용접 등의 방식으로 부착되어 탑 포일(2)을 지지한다. 또한, 범프 포일(1)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여러 개로 분할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범프 포일은 세 개의 부분(1, 1', 1")으로 나누어져 각각이 스페이서 블락(3, 3', 3")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런데 로터(4)가 회전함에 따라 로터(4)와 탑 포일(2)간의 마찰 및 진동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탑 포일에 힘이 가해지게 되어 탑 포일에 부착된 스페이서 블락이 하우징의 키홈으로부터 반경방향 안쪽으로 약간 빠져나오는 키 처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탑 포일(2)의 내주면과 로터(4)의 외주면 사이의 간극은 일반적으로 0.2mm 정도로 매우 작으며, 이 간극의 변화는 포일들 및 로터의 온도 상승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즉, 키 처짐 현상이 발생하여 탑 포일과 로터 사이의 간극이 줄어들면 탑 포일과 로터의 온도가 상승하여 과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탑 포일 및 로터가 손상 또는 파손되어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의 내구성이 저하되며 수명이 감소하게 된다.
KR 10-2005-0105752 A (2005.11.08.)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의 키홈에 탑 포일을 결합시키는 키가 반경방향 안쪽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탑 포일의 형태를 유지시킴으로써, 로터 및 탑 포일의 열 상승을 방지하여 로터 및 탑 포일의 파손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은, 로터가 배치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내주면에서 오목하게 키홈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된 베어링 하우징;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요철 형상의 탄성 범프들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결합된 범프 포일;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키홈에 삽입되며, 길이방향 양단이 베어링 하우징에 고정된 키; 및 상기 범프 포일의 내측에 구비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키에 결합되어 고정된 탑 포일; 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키홈의 길이방향 일단은 베어링 하우징의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어 키홈의 길이방향 일단을 막는 차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키홈의 길이방향 타단은 베어링 하우징의 길이방향 타단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길이방향 일단부에는 외측에서 키홈의 길이방향 일측과 연통되는 절개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키의 길이방향 일단부가 상기 절개홈에 삽입되어 상기 차단부에 의해 키의 길이방향 일단부의 하단이 지지되며,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길이방향 타단부에는 키홈에 인접하여 양면을 관통하는 관통홈이 형성된 고정 브라켓이 결합되어, 상기 키의 길이방향 타단부가 상기 관통홈에 삽입되어 키의 길이방향 타단부의 하단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하측의 일부가 제거된 형태로 하측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길이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키의 길이방향 일측의 고정돌기가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절개홈에 삽입되고 길이방향 타측의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 브라켓의 관통홈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키홈의 길이방향 양단은 베어링 하우징의 길이방향 일단 및 타단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키홈에 인접하여 양면을 관통하는 관통홈이 형성된 고정 브라켓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키의 길이방향 양단부가 상기 고정 브라켓의 관통홈에 각각 삽입되어 키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하단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하측의 일부가 제거된 형태로 하측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길이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키의 길이방향 양측의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 브라켓의 관통홈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키홈의 길이방향 일단은 베어링 하우징의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고 키홈의 길이방향 타단은 베어링 하우징의 길이방향 타단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키홈의 길이방향 양단을 막는 차단부들이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각각 체결수단이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차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키의 길이방향 양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차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양면을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키는 길이방향 양단부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수단은 수나사로 형성되어 체결수단이 키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는 제1키 및 제2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탑 포일은 일단이 상기 제1키에 결합되어 고정된 제1탑 포일 및 일단이 상기 제2키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1탑 포일과 범프 포일의 사이에 개재된 제2탑 포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탑 포일과 제2탑 포일은 베어링 하우징에 결합되어 고정된 일단들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프 포일은 복수개로 형성되며, 범프 포일들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어 베어링 하우징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은 하우징의 키홈에 탑 포일을 결합시키는 키가 반경방향 안쪽으로 처지지 않도록 하우징에 고정되어 탑 포일의 형태가 유지되며, 이에 따라 로터 및 탑 포일의 열 상승이 방지되어 로터 및 탑 포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을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조립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의 정면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및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조립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은 크게 베어링 하우징(100), 범프 포일(200), 키 및 탑 포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범프 포일(20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범프포일들이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키는 제1키(420)와 제2키(320)로 구성되며, 탑 포일은 제1탑 포일(400) 및 제2탑 포일(300)로 구성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100)은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양면이 관통된 중공(110)이 형성되며, 중공(110)과 연통되도록 내주면의 상측에서 반경방향으로 오목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키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키홈(120)과 유사하게 키홈(120)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슬롯(121)들이 형성될 수 있다.
범프 포일(200)은 베어링 하우징(100)의 중공(110) 내측에 배치되며, 범프 포일(200)은 원주방향 일단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210)가 형성되어, 절곡부(210)가 키홈(120) 또는 슬롯(12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범프 포일(20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범프 포일(200)들이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으며, 범프 포일(200)들은 베어링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범프 포일(200)은 두께가 얇은 판형으로 형성되되 반경방향 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다수개의 탄성 범프(201)들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범프 포일(200)은 원주방향을 따라 하나로 연속되게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3개로 분할된 형태로 형성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범프 포일이 이격 배치된 형태로 구성된 것을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복수개의 범프 포일(200)은 각각 일단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210)가 각각 형성되어, 하나의 범프 포일(200)은 절곡부(210)가 키홈(120)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나머지 두 개의 범프 포일(200)은 각각 슬롯(12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범프 포일(200)들은 베어링 하우징(100)에 결합된 일단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키는 한 개로 구성되고 탑 포일도 한 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키가 구비되고 두 장의 탑 포일이 구비되어 하나의 키에 하나의 탑 포일이 각각 결합된 구성을 나타내었다.
키는 제1키(420)와 제2키(32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키(420) 및 제2키(320)는 높이 및 폭에 비해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사각봉 형태로 형성되어 베어링 하우징(100)의 키홈(120)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제1키(420)와 제2키(320)가 폭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키(420) 및 제2키(320)는 키홈(120)에서 반경방향 안쪽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길이방향 양단이 베어링 하우징(10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탑 포일은 제1탑 포일(400) 및 제2탑 포일(30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탑 포일(400)은 범프 포일(2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원주방향 일단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410)가 형성되어, 절곡부(410)가 키홈(120)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절곡부(410)는 제1키(420)에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탑 포일(400)은 내측에는 로터(500)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탑 포일(400)의 내주면에는 로터(500)의 회전 시 접촉에 의한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테프론 등으로 코팅막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로터(500)가 제1탑 포일(400)의 내측에서 회전될 때 유동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로터(500)가 제1탑 포일(400)에서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부상되어 로터(500)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1탑 포일(400)은 제1키(420)에 결합된 절곡부(410)로부터 시계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탑 포일(300)은 제1탑 포일(400)과 범프 포일(200)의 사이에 개재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원주방향 일단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310)가 형성되어, 절곡부(310)가 키홈(120)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절곡부(310)는 제2키(320)에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탑 포일(300)은 범프 포일(200)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2탑 포일(300)의 외주면이 범프 포일(20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제2탑 포일(300)의 내측에 제1탑 포일(400)이 배치되어 제2탑 포일(300)의 내주면에 제1탑 포일(400)의 외주면이 밀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탑 포일(300)은 제2키(320)에 결합된 절곡부(310)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2탑 포일(300)과 제1탑 포일(40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베어링 하우징(100)은 키홈(120)의 길이방향 일단이 베어링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어 키홈(120)의 길이방향 일단을 막는 차단부(140)가 형성되고, 키홈(120)의 길이방향 타단은 베어링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타단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베어링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일단부에는 외측에서 오목하게 절개홈(130)이 형성되어 절개홈(130)이 키홈(120)의 길이방향 일측과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절개홈(130)은 하단이 키홈(120)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중간정도 높이까지 형성되어 절개홈(130)의 하측에 차단부(140)가 남아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키(420) 및 제2키(320)는 각각 길이방향 양단부에서 하측의 일부가 제거된 형태로 하측에 단턱(421, 321)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길이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고정돌기(422, 322)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타단부에는 키홈(120)에 인접하여 고정 브라켓(150)이 결합될 수 있으며, 고정 브라켓(150)에는 폭방향으로 중앙부 상단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길이방향 양면을 관통하는 관통홈(15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탑 포일(400)의 절곡부(410)에 제1키(420)를 용접하여 고정하고 제2탑 포일(300)의 절곡부(310에 제2키(320)를 용접하여 고정한 후, 길이방향으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제1탑 포일(400) 및 제2탑 포일(300)을 베어링 하우징(100)의 중공에 삽입하면서 키홈(120)을 따라 제1키(420) 및 제2키(32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1키(420) 및 제2키(320)의 길이방향 일측의 고정돌기(422, 322)들이 하우징(100)의 절개홈(130)에 삽입되어 고정돌기(422, 322)들의 하단이 차단부(140)에 의해 받쳐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베어링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타측에는 키홈(120)에 인접하여 고정 브라켓(150)을 결합하되, 고정 브라켓(150)의 관통홈(151)에 제1키(420) 및 제2키(320)의 길이방향 타측의 고정돌기(422, 322)들이 삽입되어, 고정돌기(422, 322)들의 하단이 고정 브라켓(150)에 의해 받쳐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은 하우징의 키홈에 탑 포일을 결합시키는 키가 반경방향 안쪽으로 처지지 않도록 하우징에 고정되어 탑 포일의 형태가 유지되며, 이에 따라 로터 및 탑 포일의 열 상승이 방지되어 로터 및 탑 포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베어링 하우징(100)이 장착되는 공기 압축기나 터보 블로워의 베어링 장착부의 구조 상 베어링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일측에 고정 브라켓을 이용해 키를 고정시키기 어려울 때 상기와 같은 키 고정 구조를 이용해 용이하게 키를 고정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은 제1실시예에서 제1키(420)와 제2키(320)의 길이방향 일단부가 고정되는 베어링 하우징(100)의 절개홈(130) 및 차단부(140) 부분만 다르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베어링 하우징(100)의 키홈(120)이 베어링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일단에서부터 타단까지 형성되어, 키홈(120)의 길이방향 양단이 베어링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양측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키(420)와 제2키(320)의 길이방향 양단부가 모두 고정 브라켓(150)에 의해 하단이 받쳐져 베어링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하여 베어링 하우징(100)의 키홈(120)을 형성할 때 시간이 매우 오래걸리는 방전가공을 이용하지 않고, 와이어 컷팅이나 쉐이퍼 또는 슬로터 등을 이용해 키홈을 빠르고 쉽게 가공할 수 있어 베어링 하우징에 키홈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키의 길이방향 양단부가 고정되는 구조를 동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베어링 하우징 및 키의 제작이 용이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은 제1실시예에서 베어링 하우징(100)의 키홈(120)이 형성된 길이방향 양단부와 키의 고정구조만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베어링 하우징(100)의 키홈(120)의 길이방향 일단이 베어링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어 베어링 하우징(100)에 키홈(120)의 길이방향 일단을 막는 차단부(140)가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베어링 하우징(100)의 키홈(120)의 길이방향 타단이 베어링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타단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어 베어링 하우징(100)에 키홈(120)의 길이방향 타단을 막는 차단부(140)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베어링 하우징(100)의 차단부(140)들에는 길이방향으로 키홈(120)의 양면을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키(420)와 제2키(320)는 길이방향 양단부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수나사로 형성된 체결수단(600)이 베어링 하우징(100)의 차단부(140)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제1키(420)와 제2키(320)에 형성된 암나사산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그리하여 키의 길이방향 양단이 베어링 하우징에 고정되며, 키에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는 탑 포일들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처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베어링 하우징
110 : 중공 120 : 키홈
121 : 슬롯 130 : 절개홈
140 : 차단부
150 : 고정 브라켓 151 : 관통홈
200 : 범프 포일
201 : 탄성 범프 210 : 절곡부
300 : 제2탑 포일
310 : 절곡부 320 : 제2키
321 : 단턱 322 : 고정돌기
400 : 제1탑 포일
410 : 절곡부 420 : 제1키
421 : 단턱 422 : 고정돌기
500 : 로터
600 : 체결수단

Claims (10)

  1. 로터가 배치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내주면에서 오목하게 키홈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된 베어링 하우징;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요철 형상의 탄성 범프들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결합된 범프 포일;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키홈에 삽입되며, 길이방향 양단이 베어링 하우징에 고정된 키; 및
    상기 범프 포일의 내측에 구비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키에 결합되어 고정된 탑 포일;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키홈의 길이방향 일단은 베어링 하우징의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어 키홈의 길이방향 일단을 막는 차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키홈의 길이방향 타단은 베어링 하우징의 길이방향 타단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길이방향 일단부에는 외측에서 키홈의 길이방향 일측과 연통되는 절개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키의 길이방향 일단부가 상기 절개홈에 삽입되어 상기 차단부에 의해 키의 길이방향 일단부의 하단이 지지되며,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길이방향 타단부에는 키홈에 인접하여 양면을 관통하는 관통홈이 형성된 고정 브라켓이 결합되어, 상기 키의 길이방향 타단부가 상기 관통홈에 삽입되어 키의 길이방향 타단부의 하단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하측의 일부가 제거된 형태로 하측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길이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키의 길이방향 일측의 고정돌기가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절개홈에 삽입되고 길이방향 타측의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 브라켓의 관통홈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제1키 및 제2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탑 포일은 일단이 상기 제1키에 결합되어 고정된 제1탑 포일 및 일단이 상기 제2키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1탑 포일과 범프 포일의 사이에 개재된 제2탑 포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탑 포일과 제2탑 포일은 베어링 하우징에 결합되어 고정된 일단들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 포일은 복수개로 형성되며, 범프 포일들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어 베어링 하우징에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KR1020190108163A 2019-09-02 2019-09-02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KR102166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163A KR102166617B1 (ko) 2019-09-02 2019-09-02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163A KR102166617B1 (ko) 2019-09-02 2019-09-02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764A Division KR102176120B1 (ko) 2020-09-17 2020-09-17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6617B1 true KR102166617B1 (ko) 2020-10-16

Family

ID=73035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163A KR102166617B1 (ko) 2019-09-02 2019-09-02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6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23152A (zh) * 2020-12-10 2022-06-14 纽若斯有限公司 气箔轴颈轴承
KR20230007820A (ko) * 2021-07-06 2023-01-13 주식회사 뉴로스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0688B2 (en) * 2000-04-10 2002-09-17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Fluid bearing having a foil assembly
KR20050105752A (ko) 2004-05-03 2005-11-08 주식회사 뉴로스 포일 에어베어링
KR20070012591A (ko) * 2005-07-23 2007-01-2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에어 포일 베어링
KR100749828B1 (ko) * 2006-04-17 2007-08-16 한국터보기계(주) 씰기능을 포함하는 래디알 포일 베어링
KR100868897B1 (ko) * 2007-11-02 2008-11-14 한국기계연구원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포일베어링
KR101706379B1 (ko) * 2015-08-17 2017-02-15 주식회사 뉴로스 이탈 방지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0688B2 (en) * 2000-04-10 2002-09-17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Fluid bearing having a foil assembly
KR20050105752A (ko) 2004-05-03 2005-11-08 주식회사 뉴로스 포일 에어베어링
KR20070012591A (ko) * 2005-07-23 2007-01-2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에어 포일 베어링
KR100749828B1 (ko) * 2006-04-17 2007-08-16 한국터보기계(주) 씰기능을 포함하는 래디알 포일 베어링
KR100868897B1 (ko) * 2007-11-02 2008-11-14 한국기계연구원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포일베어링
KR101706379B1 (ko) * 2015-08-17 2017-02-15 주식회사 뉴로스 이탈 방지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23152A (zh) * 2020-12-10 2022-06-14 纽若斯有限公司 气箔轴颈轴承
CN114623152B (zh) * 2020-12-10 2024-04-23 纽若斯有限公司 气箔轴颈轴承
KR20230007820A (ko) * 2021-07-06 2023-01-13 주식회사 뉴로스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KR102564860B1 (ko) * 2021-07-06 2023-08-09 주식회사 뉴로스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6617B1 (ko)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KR102230226B1 (ko)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CA2939690C (en) Radial foil bearing
CN103890423B (zh) 径向箔轴承
KR102456838B1 (ko)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KR101706379B1 (ko) 이탈 방지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US20100021095A1 (en) Support Device for Bearing Assemblies
US20140169708A1 (en) Radial foil bearing
JP2006057652A (ja) 動圧流体軸受
KR20050105752A (ko) 포일 에어베어링
CN113482965B (zh) 一种空气悬浮轴向轴承及氢能源压缩机
KR102030622B1 (ko)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KR102176120B1 (ko)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JP2006057828A (ja) トップフォイル係止機構
US11441599B2 (en) Air foil journal bearing
KR100868897B1 (ko)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포일베어링
US11035403B2 (en) Radial force support apparatus
KR102067286B1 (ko) 최적 냉각 유도 에어포일 레이디얼 베어링
KR102564860B1 (ko)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KR20230060437A (ko)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KR102187666B1 (ko)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KR102590215B1 (ko) 에어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JP2006177542A (ja) スプリングフォイル軸受
KR102166622B1 (ko)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CN212272817U (zh) 动压气体轴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