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595B1 -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595B1
KR102166595B1 KR1020180147186A KR20180147186A KR102166595B1 KR 102166595 B1 KR102166595 B1 KR 102166595B1 KR 1020180147186 A KR1020180147186 A KR 1020180147186A KR 20180147186 A KR20180147186 A KR 20180147186A KR 102166595 B1 KR102166595 B1 KR 102166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drive shaft
steel
manufacturing
pp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2429A (ko
Inventor
이혁중
최태성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7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595B1/ko
Publication of KR20200062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00Preparing metal stock or similar ancillary operations prior, during or post forging, e.g. heating or cooling
    • B21J1/003Selec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00Preparing metal stock or similar ancillary operations prior, during or post forging, e.g. heating or cooling
    • B21J1/06Heating or cooling methods 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erforming forging or pressing ope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34Methods of heating
    • C21D1/42Induction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는 탄소(C): 0.36~0.39 중량%, 실리콘(Si): 0.1~0.4 중량%, 망간(Mn): 0.7~1.1 중량%, 인(P): 0 초과 0.035 중량% 이하, 황(S): 0.01~0.03 중량%, 구리(Cu): 0 초과 0.25 중량% 이하, 알루미늄(Al): 0.02~0.07 중량%, 티타늄(Ti): 0.03~0.06 중량%, 몰리브덴(Mo): 0.02~0.03 중량%, 보론(B): 8~50ppm, 질소(N): 60~150ppm 및 잔량의 철(Fe)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미세조직이 마르텐사이트 및 페라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STEEL FOR DRIVE SHAF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대구경의 드라이브 샤프트를 제조시 강도 저하 및 제품 수명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드라이브 샤프트(drive shaft)는 차량의 엔진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을 변속기 및 바퀴에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하는 부품이다.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는그 형태적인 특성으로 인해 쾌삭 가공을 거쳐 제조되며, 일정한 속도와 토크를 전달할 수 있도록 고강도 특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52967호(2011.05.19 공개, 발명의 명칭: 강재 조성물, 차량의 중공형 드라이브 샤프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강도 및 인성이 우수한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대구경 제품 제조시 인성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는 탄소(C): 0.36~0.39 중량%, 실리콘(Si): 0.1~0.4 중량%, 망간(Mn): 0.7~1.1 중량%, 인(P): 0 초과 0.035 중량% 이하, 황(S): 0.01~0.03 중량%, 구리(Cu): 0 초과 0.25 중량% 이하, 알루미늄(Al): 0.02~0.07 중량%, 티타늄(Ti): 0.03~0.06 중량%, 몰리브덴(Mo): 0.02~0.03 중량%, 보론(B): 8~50ppm, 질소(N): 60~150ppm 및 잔량의 철(Fe)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미세조직이 마르텐사이트 및 페라이트를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강재는 표면 경도(HB): 180~240, 인장강도(TP): 640MPa 이상, 항복강도(YP): 370MPa 이상 및 신율(El): 15% 이상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강재는 미세조직이 마르텐사이트 60~75 부피% 및 페라이트 25~40 부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 제조방법은 탄소(C): 0.36~0.39 중량%, 실리콘(Si): 0.1~0.4 중량%, 망간(Mn): 0.7~1.1 중량%, 인(P): 0 초과 0.035 중량% 이하, 황(S): 0.01~0.03 중량%, 구리(Cu): 0 초과 0.25 중량% 이하, 알루미늄(Al): 0.02~0.07 중량%, 티타늄(Ti): 0.03~0.06 중량%, 몰리브덴(Mo): 0.02~0.03 중량%, 보론(B): 8~50ppm, 질소(N): 60~150ppm 및 잔량의 철(Fe)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반제품을 열간 단조하여, 중간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중간성형체의 표면을 950~1000℃까지 고주파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고주파 가열된 중간성형체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열간 단조는, 950~110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는 강도 및 인성이 우수하며, 대구경 제품 제조시 인성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는 탄소(C): 0.36~0.39 중량%, 실리콘(Si): 0.1~0.4 중량%, 망간(Mn): 0.7~1.1 중량%, 인(P): 0 초과 0.035 중량% 이하, 황(S): 0.01~0.03 중량%, 구리(Cu): 0 초과 0.25 중량% 이하, 알루미늄(Al): 0.02~0.07 중량%, 티타늄(Ti): 0.03~0.06 중량%, 몰리브덴(Mo): 0.02~0.03 중량%, 보론(B): 8~50ppm, 질소(N): 60~150ppm 및 잔량의 철(Fe)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미세조직이 마르텐사이트 및 페라이트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강재에 포함되는 합금성분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탄소(C)
상기 탄소(C)는 강도 확보를 위해 포함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는 상기 강재 전체중량에 대하여 0.36~0.39 중량% 포함된다. 상기 탄소를 0.36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그 첨가 효과가 미미하며, 0.39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실리콘( Si )
상기 실리콘(Si)은 고용강화 효과로 강도와 경화능을 향상시키는 역할 및 탈산 효과를 가진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실리콘은 상기 강재 전체중량에 대하여 0.1~0.4 중량% 포함된다. 상기 실리콘을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그 첨가 효과가 미미하며, 0.4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강 표면에 산화물을 형성하거나, 가공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망간(Mn)
상기 망간(Mn)은 열간단조 후 공냉시 미세조직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포함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망간은 상기 강재 전체중량에 대하여 0.7~1.1 중량% 포함된다. 상기 망간을 0.7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그 첨가 효과가 미미하며, 1.1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MnS계 개재물의 생성량이 증가하여, 단조시 취성이 증가하거나 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인(P)
상기 인(P)은 다량 첨가시 2차 가공 취성 발생 및 편석에 의한 표면 결함 우려가 있으므로 상한을 제한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인은 상기 강재 전체중량에 대하여 0 초과 0.035 중량% 이하 포함된다. 상기 인을 0.035 중량% 초과하여 포함시 2차 가공 취성 발생 또는 P 편석에 의한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황(S)
상기 황(S)은 절삭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하나 적열 취성의 우려가 있으므로 범위를 제한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황은 상기 강재 전체중량에 대하여 0.01~0.03 중량% 포함된다. 상기 황을 0.01 중량% 미만 포함시 그 효과가 미미하며, 0.03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적열 취성이 발생할 수 있다.
구리(Cu)
상기 구리(Cu)는 강재의 강도 상승 및 인성 개선에 유효한 원소이나, 첨가량이 높을시 입계에 편중되어 표면균열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상한을 제한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구리는 상기 강재 전체중량에 대하여 0 초과 0.25 중량% 이하 포함된다. 상기 구리를 0.25 중량% 초과하여 포함시 단조 성형시 표면 균열을 유발할 수 있다.
알루미늄(Al)
상기 알루미늄(Al)은 미세 석출물을 형성시켜 결정립 미세화 및 강도를 향상시키나, 주조시 노즐 막힘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상한을 제한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알루미늄은 상기 강재 전체중량에 대하여 0.02~0.07 중량% 포함된다. 상기 알루미늄을 0.02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그 첨가 효과가 미미하며, 0.07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본 발명의 강재의 인성이 저하되거나 주조시 노즐막힘을 유발할 수 있다.
티타늄( Ti )
상기 티타늄(Ti)은 본 발명의 보론(B) 성분을 기지상에 고용시키는 목적으로 포함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티타늄은 상기 강재 전체중량에 대하여 0.03~0.06 중량% 포함된다. 상기 티타늄을 0.03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그 첨가 효과가 미미하며, 0.06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탄화계 석출물이 조대해져 결정립 성장 억제효과가 저하되거나, 연성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몰리브덴( Mo )
상기 몰리브덴(Mo)은 소입성을 증가시키고, 미세 석출물을 형성시켜 강도를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포함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몰리브덴은 상기 강재 전체중량에 대하여 0.02~0.03 중량% 포함된다. 상기 몰리브덴을 0.02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그 첨가 효과가 미미하며, 0.03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보론(B)
상기 보론(B)은 기지상의 계면에 편석되어 계면에너지를 낮추고, 이에 따라 소입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포함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보론은 상기 강재 전체중량에 대하여 8~50ppm (또는 0.0008~0.005 중량%) 포함된다. 상기 보론을 8 ppm 미만으로 포함시 그 첨가 효과가 미미하며, 50ppm을 초과하여 포함시 입계 편성을 유발하여 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질소(N)
상기 질소(N)는 미세 석출물을 형성시켜 결정립 미세화 및 강도를 향상시키나, 주조시 노즐 막힘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상한을 제한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질소는 상기 강재 전체중량에 대하여 60~150ppm 포함된다. 상기 질소를 60ppm 미만으로 포함시 그 첨가 효과가 미미하며, 150ppm을 초과하여 포함시 석출물이 지나치게 조대화 되거나, 주조시 노즐막힘을 유발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강재는 미세조직이 마르텐사이트 및 페라이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미세조직이 마르텐사이트 60~75 부피% 및 페라이트 25~40 부피%를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강재는 표면 경도(HB): 180~240, 인장강도(TP): 640MPa 이상, 항복강도(YP): 370MPa 이상 및 신율(El): 15%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강재는 표면 경도(HB): 180~240, 인장강도(TP): 640~800MPa, 항복강도(YP): 370~450MPa 및 신율(El): 15~25% 일 수 있다.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 제조방법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 제조방법은 (S10) 중간성형체 제조단계; (S20) 고주파 열처리단계; 및 (S30) 냉각단계;를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 제조방법은 (S10) 탄소(C): 0.36~0.39 중량%, 실리콘(Si): 0.1~0.4 중량%, 망간(Mn): 0.7~1.1 중량%, 인(P): 0 초과 0.035 중량% 이하, 황(S): 0.01~0.03 중량%, 구리(Cu): 0 초과 0.25 중량% 이하, 알루미늄(Al): 0.02~0.07 중량%, 티타늄(Ti): 0.03~0.06 중량%, 몰리브덴(Mo): 0.02~0.03 중량%, 보론(B): 8~50ppm, 질소(N): 60~150ppm 및 잔량의 철(Fe)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반제품을 열간 단조하여, 중간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 (S20) 상기 중간성형체의 표면을 950~1000℃까지 고주파 열처리하는 단계; 및 (S30) 상기 고주파 가열된 중간성형체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브 샤프트 강재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S10) 중간성형체 제조단계
상기 단계는 탄소(C): 0.36~0.39 중량%, 실리콘(Si): 0.1~0.4 중량%, 망간(Mn): 0.7~1.1 중량%, 인(P): 0 초과 0.035 중량% 이하, 황(S): 0.01~0.03 중량%, 구리(Cu): 0 초과 0.25 중량% 이하, 알루미늄(Al): 0.02~0.07 중량%, 티타늄(Ti): 0.03~0.06 중량%, 몰리브덴(Mo): 0.02~0.03 중량%, 보론(B): 8~50ppm, 질소(N): 60~150ppm 및 잔량의 철(Fe)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반제품을 열간 단조하여, 중간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반제품을 구성하는 성분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열간 단조는, 950~110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중간성형체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봉형의 반제품을 상기 온도 범위로 열간 단조하여, 중공형태의 중간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S20) 고주파 열처리단계
상기 단계는 상기 중간성형체의 표면을 950~1000℃까지 고주파 열처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열처리 온도를 950℃ 미만으로 적용시, 목표로 하는 표면 경도와 미세조직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1000℃를 초과하여 적용시 본 발명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S30) 중간성형체 냉각단계
상기 단계는 상기 고주파 가열된 중간성형체를 냉각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상기 고주파 가열된 중간성형체를 열처리유가 희석된 냉각수에 침지하여 급랭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유는 폴리알킬렌 글리콜계 열처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냉각시 냉각속도는 1~100℃/s 일 수 있다. 상기 냉각속도 범위에서,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경도, 미세조직과 기계적 강도를 달성할 수 있다.
종래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의 경우 구경이 증가할수록, 열처리 시 경화되는 표면부의 비율이 감소하여 강도를 확보하기 어려우며, 이러한 인성 등의 저하는, 드라이브 샤프트 제품의 수명 저하의 원인으로 작용되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는 기지상의 소입성을 증가시키고, 미세 석출물을 형성시켜 강도 및 인성이 우수하며, 대구경 제품 제조시 인성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과, 잔량의 철(Fe)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환봉 형태의 반제품을 제조하고, 상기 반제품을 950~1100℃에서 열간 단조하여, 중공형의 중간성형체(드라이브 샤프트 형태)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중간성형체의 표면을 950~1000℃까지 고주파 열처리하고, 상기 고주파 가열된 중간성형체를, 6%의 폴리알킬렌 글리콜계 열처리유(유콘)가 희석된 냉각수를 이용하여 1~100℃/s의 냉각속도로 냉각하여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8117638874-pat00001
Figure 112018117638874-pat00002
상기 표 2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강재는 미세조직이 마르텐사이트 65 부피% 및 페라이트 35 부피%를 가지며, 경도와 기계적 강도가, 본 발명의 몰리브덴 함량을 벗어난 비교예 1 강재보다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5)

  1. 탄소(C): 0.36~0.39 중량%, 실리콘(Si): 0.1~0.4 중량%, 망간(Mn): 0.7~1.1 중량%, 인(P): 0 초과 0.035 중량% 이하, 황(S): 0.01~0.03 중량%, 구리(Cu): 0 초과 0.25 중량% 이하, 알루미늄(Al): 0.02~0.07 중량%, 티타늄(Ti): 0.03~0.06 중량%, 몰리브덴(Mo): 0.02~0.03 중량%, 보론(B): 8~60ppm, 질소(N): 60~150ppm 및 잔량의 철(Fe)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미세조직이 마르텐사이트 60~75 부피% 및 페라이트 25~40 부피%를 포함하며,
    표면 경도(HB): 180~240, 인장강도(TP): 640~800 MPa, 항복강도(YP): 370~450MPa 및 신율(El): 15~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
  2. 삭제
  3. 삭제
  4. 탄소(C): 0.36~0.39 중량%, 실리콘(Si): 0.1~0.4 중량%, 망간(Mn): 0.7~1.1 중량%, 인(P): 0 초과 0.035 중량% 이하, 황(S): 0.01~0.03 중량%, 구리(Cu): 0 초과 0.25 중량% 이하, 알루미늄(Al): 0.02~0.07 중량%, 티타늄(Ti): 0.03~0.06 중량%, 몰리브덴(Mo): 0.02~0.03 중량%, 보론(B): 8~50ppm, 질소(N): 60~150ppm 및 잔량의 철(Fe)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반제품을 열간 단조하여, 중간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중간성형체의 표면을 950~1000℃까지 고주파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고주파 가열된 중간성형체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 제조방법이며,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는,
    미세조직이 마르텐사이트 60~75 부피% 및 페라이트 25~40 부피%를 포함하며,
    표면 경도(HB): 180~240, 인장강도(TP): 640~800 MPa, 항복강도(YP): 370~450MPa 및 신율(El): 15~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간 단조는, 950~1100℃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 제조방법.
KR1020180147186A 2018-11-26 2018-11-26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6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186A KR102166595B1 (ko) 2018-11-26 2018-11-26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186A KR102166595B1 (ko) 2018-11-26 2018-11-26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429A KR20200062429A (ko) 2020-06-04
KR102166595B1 true KR102166595B1 (ko) 2020-10-19

Family

ID=71080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186A KR102166595B1 (ko) 2018-11-26 2018-11-26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59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332A1 (ja) * 2016-09-20 2018-03-29 新日鐵住金株式会社 シャフト部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65646A1 (ja) * 2003-01-17 2004-08-05 Jfe Steel Corporation 高周波焼入れ用鋼材、それを用いた高周波焼入れ部材、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EP1669469B1 (en) * 2003-09-29 2008-12-17 JFE Steel Corporation Steel parts for machine structure, material therefor,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KR20140046491A (ko) * 2009-10-22 2014-04-18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고주파 켄칭용 강 및 고주파 켄칭 강 부품 및 그들의 제조 방법
JP6245271B2 (ja) * 2013-11-19 2017-12-13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棒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332A1 (ja) * 2016-09-20 2018-03-29 新日鐵住金株式会社 シャフト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429A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37210A1 (ja) 高強度高靭性鋳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6616501B2 (ja) ベイナイト組織を有する工業用鋼材,該鋼材から製造される鍛造部品,並びに,鍛造部品の製造方法
WO2016158470A1 (ja) 時効硬化性鋼及び時効硬化性鋼を用いた部品の製造方法
KR101639166B1 (ko) 비조질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58049A (ko) 플라스틱 사출용 금형강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플라스틱 사출용 금형강
KR102166595B1 (ko) 드라이브 샤프트용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5148B1 (ko) 초고강도 오스테나이트계 경량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537158B1 (ko) 금형강 및 그 제조 방법
JP6390685B2 (ja) 非調質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14998A (ko)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6844943B2 (ja) 高周波焼入れ用非調質鋼
KR101546139B1 (ko)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1205B1 (ko) 비조질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581557B1 (ko) 발전설비용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56765A (ko) 형강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70739A (ko) 금형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12243B1 (ko) 비조질강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2100B1 (ko) 강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5050151A1 (ja) 時効硬化性鋼
KR101837862B1 (ko) 비조질 강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비조질 강재
KR102166600B1 (ko) 저탄소 구상화 합금강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저탄소 구상화 합금강
KR101715515B1 (ko)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05292B1 (ko)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355747B1 (ko) 강 가공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529180B1 (ko) 강재 및 이를 이용한 강 제품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