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515B1 -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515B1
KR101715515B1 KR1020150142691A KR20150142691A KR101715515B1 KR 101715515 B1 KR101715515 B1 KR 101715515B1 KR 1020150142691 A KR1020150142691 A KR 1020150142691A KR 20150142691 A KR20150142691 A KR 20150142691A KR 101715515 B1 KR101715515 B1 KR 101715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teel
nickel
steel material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우
최태성
홍석우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2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00Preparing metal stock or similar ancillary operations prior, during or post forging, e.g. heating or cooling
    • B21J1/003Selec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00Preparing metal stock or similar ancillary operations prior, during or post forging, e.g. heating or cooling
    • B21J1/06Heating or cooling methods 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erforming forging or pressing ope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6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lead, selenium, tellurium, or antimony, or more than 0.04% by weight of sulfu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상기 강재 제조방법은 탄소(C): 0.35~0.45 중량%, 실리콘(Si): 0.55~0.75 중량%, 망간(Mn): 1.0~2.0 중량%, 인(P): 0.01~0.03 중량%, 황(S): 0.03~0.06 중량%, 구리(Cu): 0 초과 0.1 중량%, 니켈(Ni): 0 초과 0.1 중량%, 몰리브덴(Mo): 0 초과 0.05 중량%, 바나듐(V): 0.15~0.30 중량%, 크롬(Cr): 0.05~0.5 중량%, 티타늄(Ti): 0.01~0.05 중량%, 질소(N): 0.005~0.02 중량%, 잔량부의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중간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성형체를 1050℃~1200℃에서 단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STE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크랭크 샤프트용 비조질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 엔진의 크랭크샤프트는 동력을 발생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이다. 구체적으로, 크랭크샤프트는 엔진의 각 실린더에서 발생하는 피스톤의 직선운동을 커넥팅로드를 통하여 회전운동으로 바꾸거나, 반대로 피스톤에 운동을 가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60197호(2012.06.11) 공개, 발명의 명칭: 열간 단조용 고강도 및 고인성 베이나이트강 및 이의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공성 및 피로강도가 우수한 강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생산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강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강재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강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강재 제조방법은 탄소(C): 0.35~0.45 중량%, 실리콘(Si): 0.55~0.75 중량%, 망간(Mn): 1.0~2.0 중량%, 인(P): 0.01~0.03 중량%, 황(S): 0.03~0.06 중량%, 구리(Cu): 0 초과 0.1 중량%, 니켈(Ni): 0 초과 0.1 중량%, 몰리브덴(Mo): 0 초과 0.05 중량%, 바나듐(V): 0.15~0.30 중량%, 크롬(Cr): 0.05~0.5 중량%, 티타늄(Ti): 0.01~0.05 중량%, 질소(N): 0.005~0.02 중량%, 잔량부의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중간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성형체를 1,050℃~1,200℃에서 단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중간성형체는 하기 식 1로 정의되는 탄소 당량(Ceq)이 0.8~1.1 일 수 있다:
[식 1]
Figure 112015098695401-pat00001
(상기 식 1에서, 상기 [C], [Si], [Mn], [Cr], [Ni] 및 [Cu]는, 각각 상기 중간성형체에 포함되는 탄소(C), 실리콘(Si), 망간(Mn), 크롬(Cr), 니켈(Ni), 및 구리(Cu)의 함량(중량%)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중간성형체 전체중량에 대하여 칼슘(Ca): 0.001~0.010 중량%, 마그네슘(Mg): 0.001~0.010 중량%, 지르코늄(Zr): 0.001~0.010 중량%, 비스무트(Bi): 0.01~0.02 중량%, 및 보론(B): 0.001~0.010 중량% 중에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강재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강재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강재는 탄소(C): 0.35~0.45 중량%, 실리콘(Si): 0.55~0.75 중량%, 망간(Mn): 1.0~2.0 중량%, 인(P): 0.01~0.03 중량%, 황(S): 0.03~0.06 중량%, 구리(Cu): 0 초과 0.1 중량%, 니켈(Ni): 0 초과 0.1 중량%, 몰리브덴(Mo): 0 초과 0.05 중량%, 바나듐(V): 0.15~0.30 중량%, 크롬(Cr): 0.05~0.5 중량%, 티타늄(Ti): 0.01~0.05 중량%, 질소(N): 0.005~0.02 중량%, 잔량부의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강재는 하기 식 1로 정의되는 탄소 당량(Ceq)이 0.8~1.1일 수 있다:
[식 1]
Figure 112015098695401-pat00002
(상기 식 1에서, 상기 [C], [Si], [Mn], [Cr], [Ni] 및 [Cu]는, 각각 상기 강재에 포함되는 탄소(C), 실리콘(Si), 망간(Mn), 크롬(Cr), 니켈(Ni), 및 구리(Cu)의 함량(중량%)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강재는, 칼슘(Ca): 0.001~0.010 중량%, 마그네슘(Mg): 0.001~0.010 중량%, 지르코늄(Zr): 0.001~0.010 중량%, 비스무트(Bi): 0.01~0.02 중량%, 및 보론(B): 0.001~0.010 중량% 중에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강재는 인장강도(TS) 950 MPa 이상, 항복강도(YS): 650 MPa 이상, 및 피로강도가 45 kgf/mm2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강재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강재는 가공성, 강성 및 피로특성이 동시에 우수하여, 특히 차량 내연기관의 크랭크샤프트 용도로 사용하기 적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강재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제조된 강재 시편의 표면 미세조직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강재 시편의 회전굽힘피로도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3(b)는 본 발명에 대한 비교예 강재 시편의 회전굽힘피로도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강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강재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강재 제조방법은 (S10) 중간성형체 제조단계; 및 (S20) 단조단계;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강재 제조방법은 탄소(C): 0.35~0.45 중량%, 실리콘(Si): 0.55~0.75 중량%, 망간(Mn): 1.0~2.0 중량%, 인(P): 0.01~0.03 중량%, 황(S): 0.03~0.06 중량%, 구리(Cu): 0 초과 0.1 중량%, 니켈(Ni): 0 초과 0.1 중량%, 몰리브덴(Mo): 0 초과 0.05 중량%, 바나듐(V): 0.15~0.30 중량%, 크롬(Cr): 0.05~0.5 중량%, 티타늄(Ti): 0.01~0.05 중량%, 질소(N): 0.005~0.02 중량%, 잔량부의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중간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성형체를 1050℃~1200℃에서 단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S10) 중간성형체 제조단계
상기 단계는 탄소(C), 실리콘(Si), 망간(Mn), 인(P), 황(S), 구리(Cu), 니켈(Ni), 몰리브덴(Mo), 바나듐(V), 크롬(Cr), 티타늄(Ti), 질소(N), 잔량부의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중간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하, 상기 중간성형체에 포함되는 각 성분의 역할 및 그 함량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탄소(C)
상기 탄소(C)는 강재의 소입성을 높여 강도를 확보하며, 본 발명의 단조 공정 이전의 중간성형체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는 상기 중간성형체 전체중량에 대하여 0.35~0.45 중량% 포함된다. 상기 탄소를 0.35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본 발명의 강재의 소입성이 저하되어 단조 공정 이후, 원하는 강도를 확보하기 어렵다. 상기 탄소를 0.45 중량% 초과하여 포함시 인성 및 가공성이 저하되어, 단조 성형시 취성이 발생할 수 있다.
실리콘( Si )
상기 실리콘(Si)은 강 중의 산소를 제거하기 위한 탈산제 역할을 한다. 또한 중간성형체의 압연시, 페라이트 내에 고용되어 모재의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입실론 카바이드 석출물을 안정화시켜 최종제품의 피로특성 및 영구변형저항성을 향상시킨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실리콘은 상기 중간성형체 전체중량에 대하여 0.55~0.75 중량% 포함된다. 상기 범위에서, 단조 후 형성되는, 마르텐사이트-잔류 오스테나이트 혼합 조직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을 0.55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실리콘 첨가에 따른 강도 향상 효과가 불충분하고, 0.7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단조 후 마르텐사이트-잔류오스테나이트의 혼합조직 발생량이 증가할 수 있다.
망간(Mn)
상기 망간(Mn)은 강재의 강도 및 인성을 향상시키고, 단조 이후 담금질성을 향상시키는 원소로 작용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망간은 상기 중간성형체 전체중량에 대하여 1.0~2.0 중량% 포함된다. 상기 망간을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단조 이후의 소입성 향상 효과가 불충분하여, 단조 이후 공기 냉각한 대로의 미세조직의 확보가 어렵고, 2.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MnS계 개재물 생성량이 증가하여, 단조시 취성이 증가하고, 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인(P)
상기 인(P)은 강도 향상에 일부 기여한다. 그러나 인은 강판 제조 시 편석 가능성이 큰 원소로서, 중심 편석은 물론 미세 편석도 형성하여 재질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인은 상기 중간성형체 전체중량에 대하여 0.01~0.03 중량% 포함된다. 이를 통해, 미세 편석의 형성을 방지하여 본 발명의 강재의 가공 후 물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인을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그 효과가 미미하고, 0.03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인성 및 내피로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황(S)
상기 황(S)은 절삭성 혹은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황은 상기 중간성형체 전체중량에 대하여 0.03~0.06 중량% 포함된다.
상기 황을 0.03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상기 강재의 가공성이 저하되며, 0.06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상기 황의 이방성 특성으로 인하여, 중심 편석은 물론 미세 편석도 형성하여 재질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며, 또한 용접성을 악화시킨다.
구리(Cu)
상기 구리(Cu)는 강재의 강도 상승 및 인성 개선에 유효한 원소이다. 또한, 구리(Cu)는 실리콘(Si) 및 망간(Mn)과 함께 일정한 함량 조절을 통해 강재의 고용강화 효과에 기여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구리는 상기 중간성형체 전체중량에 대하여 0 초과 0.1 중량% 포함된다. 상기 구리를 0.1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단조 성형 시 표면에 균열을 유발시켜 표면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표면 농화를 유발할 수 있다.
니켈( Ni )
상기 니켈(Ni)은 담금질성을 확보하며, 결정립을 미세화하고 오스테나이트 및 페라이트에 고용되어 기지를 강화시킨다. 또한, 상기 니켈은 저온 충격인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원소이므로, 단조 시 가공성을 향상시키며, 전술한 구리(Cu)에 의해 발생하는 화합물의 녹는점을 높여 농화를 방지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니켈은 상기 중간성형체 전체중량에 대하여 0 초과 0.1 중량% 포함된다. 상기 니켈을 0.1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단조 성형 시 표면에 균열을 유발시켜 표면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최종제품에 취성이 발생할 수 있다.
몰리브덴( Mo )
상기 몰리브덴(Mo)은 강도 및 인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상기 몰리브덴은 상기 중간성형체 전체중량에 대하여 0 초과 0.05 중량% 포함된다. 상기 몰리브덴을 0.05 중량% 초과하여 포함시, 강재의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바나듐(V)
상기 바나듐(V)은 강력한 질화물 형성 원소로서, 석출강화 효과에 의하여 강의 피로강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바나듐은 결정립의 미세화 및 비금속 개재물의 형성 제어에 도움을 주는 원소로서, 강의 쾌삭화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바나듐은 상기 중간성형체 전체중량에 대하여 0.15~0.30 중량% 포함된다. 상기 바나듐을 0.15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강재 피로강도 향상 효과가 미미하며, 0.3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고가의 바나듐의 첨가량 증가에 비례하는 효과 상승이 없어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크롬( Cr )
상기 크롬(Cr)은 담금질성을 확보하며, 페라이트 조직을 안정화하여 강재의 연신율을 향상시키며, 강재의 경화능 및 강도 향상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또한, 상기 크롬(Cr)은 최종제품의 영구변형저항성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작용을 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크롬은 상기 중간성형체 전체중량에 대하여 0.05~0.5 중량% 포함된다. 상기 크롬을 0.05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단조 이후의 강도향상 효과가 불충분하며, 0.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강성 및 연성의 균형이 깨질 수 있다.
티타늄( Ti )
상기 티타늄(Ti)은 티타늄계 질화물(TiN) 등의 석출물 형성원소로서 강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고, 결정립을 미세화할 수 있다. 또한, 티타늄(Ti)은 황(S)과 결합하여 구형의 개재물을 형성함으로써 긴 띠 형태의 MnS 개재물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티타늄은 상기 중간성형체 전체중량에 대하여 0.01~0.05 중량% 포함된다. 상기 티타늄을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그 효과가 미미하며, 0.0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제조되는 최종제품의 표면 결함을 유발하거나, 조대한 입자 및 과다한 석출물을 생성하여 강재의 페라이트 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질소(N)
상기 질소(N)는 질화물을 형성하여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를 세립화하고, 강재의 강도 및 저온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강재의 열간성형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단조 이후의 강도를 큰 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질소는 상기 중간성형체 전체중량에 대하여 0.005~0.02 중량% 포함된다. 상기 질소를 0.005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그 첨가 효과가 미미하며, 0.02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석출물이 조대화되어 피로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중간성형체는 칼슘(Ca), 마그네슘(Mg), 지르코늄(Zr), 비스무트(Bi), 및 보론(B) 중에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칼슘(Ca)
상기 칼슘(Ca)은 칼슘(Ca)은 황(S)과의 높은 친화도를 가지므로, 구형의 CaS를 형성시켜 강재의 황 함량을 낮추고, 또한, MnS 개재물의 과도한 생성을 방해하여 가공성 향상에 기여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칼슘은 상기 중간성형체 전체중량에 대하여 0.001~0.0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상기 강재의 가공성 향상 효과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마그네슘(Mg)
상기 마그네슘(Mg)은 상기 강재의 인성 및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마그네슘은 상기 중간성형체 전체중량에 대하여 0.001~0.0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상기 강재의 인성 및 가공성 향상효과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지르코늄( Zr )
상기 지르코늄(Zr)은 상기 중간성형체의 MnS 형성시 핵생성 위치로 작용하며, 설파이드 개재물의 구상화를 통하여 가공성 확보에 기여한다. 또한, 강도 증가의 효과가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지르코늄은 상기 중간성형체 전체중량에 대하여 0.01~0.02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상기 강재의 강도 및 가공성 향상효과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비스무트( Bi )
상기 비스무트(Bi)는 강재의 압연방향으로 연신된 MnS 개재물 주위에 석출하여, 구형의 MnS+Bi 개재물을 형성하고 압연 직각 방향의 충격 특성을 향상시키며, 가공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비스무트는 상기 중간성형체 전체중량에 대하여 0.01~0.02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상기 강재의 충격 특성 및 가공성 향상효과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보론(B)
상기 보론(B)은 강재의 산소를 제거하기 위한 탈산제 역할을 한다. 또한, 보론은 강재 상태에서의 인장강도는 상승시키지 않으면서도 소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강재의 열간 성형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단조 이후의 강도를 큰 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단조 후 붕소질화물의 생성 및 크기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보론은 상기 중간성형체 전체중량에 대하여 0.001~0.0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상기 강재의 피로 강도가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중간성형체는 하기 식 1로 정의되는 탄소 당량(Ceq)이 0.8~1.1일 수 있다:
[식 1]
Figure 112015098695401-pat00003
(상기 식 1에서, 상기 [C], [Si], [Mn], [Cr], [Ni] 및 [Cu]는, 각각 상기 중간성형체에 포함되는 탄소(C), 실리콘(Si), 망간(Mn), 크롬(Cr), 니켈(Ni), 및 구리(Cu)의 함량(중량%)이다).
상기 범위를 만족시, 후열처리의 생략이 가능하면서도, 가공성이 우수하고, 최종 기계부품에 고강도 및 우수한 피로강도를 부여할 수 있는 강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식 1에 따른 중간성형체의 탄소당량(Ceq)이 0.8 미만이 경우, 본 발명의 강도 확보가 어려우며, 상기 중간성형체의 탄소당량이 1.1을 초과하는 경우, 본 발명의 가공성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중간성형체는, 제강 공정을 통해 전술한 바와 동일한 조성을 갖는 용강을 제조하고, 이를 연속주조하여 반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반제품은 블룸(bloom) 또는 빌렛(billet)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반제품을 재가열 및 압연하여 중간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압연은 상기 반제품을 마무리 압연 온도(Final Delivery Temperature, FDT): 1,100~1,200℃의 온도에서 압연하여 중간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압연시 상기 강재의 미세조직이 균일하게 형성되며, 가공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압연시 라운드 바(round bar) 형태의 중간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S20) 단조단계
상기 단계는 상기 중간성형체를 단조하는 단계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단조는 1,050℃~1,200℃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단조 온도가 1,050℃ 미만시 상기 몰리브덴 및 바나듐을, 강재 중에 충분히 용체화시킬 수 없고, 냉각 과정에서의 석출 강화량이 작아, 피로 강도 특성이 저하된다. 상기 단조 온도가 1,200℃를 초과시, 오스테나이트립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그 후의 냉각 과정에서 변태된 조직이 조대해져 오히려 내구비가 저하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강재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강재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강재는 탄소(C): 0.35~0.45 중량%, 실리콘(Si): 0.55~0.75 중량%, 망간(Mn): 1.0~2.0 중량%, 인(P): 0.01~0.03 중량%, 황(S): 0.03~0.06 중량%, 구리(Cu): 0 초과 0.1 중량%, 니켈(Ni): 0 초과 0.1 중량%, 몰리브덴(Mo): 0 초과 0.05 중량%, 바나듐(V): 0.15~0.30 중량%, 크롬(Cr): 0.05~0.5 중량%, 티타늄(Ti): 0.01~0.05 중량%, 질소(N): 0.005~0.02 중량%, 잔량부의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강재는 하기 식 1로 정의되는 탄소 당량(Ceq)이 0.8~1.1일 수 있다:
[식 1]
Figure 112015098695401-pat00004
(상기 식 1에서, 상기 [C], [Si], [Mn], [Cr], [Ni] 및 [Cu]는, 각각 상기 강재에 포함되는 탄소(C), 실리콘(Si), 망간(Mn), 크롬(Cr), 니켈(Ni), 및 구리(Cu)의 함량(중량%)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강재는, 칼슘(Ca): 0.001~0.010 중량%, 마그네슘(Mg): 0.001~0.010 중량%, 지르코늄(Zr): 0.001~0.010 중량%, 비스무트(Bi): 0.01~0.02 중량%, 및 보론(B): 0.001~0.010 중량% 중에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강재는 페라이트, 및 펄라이트를 포함하는 미세조직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강재의 미세조직은 베이나이트, 페라이트 및 펄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라이트 및 펄라이트의 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강재의 미세조직 표면적은 페라이트 0~20%, 펄라이트 80~100%, 및 베이나이트 10%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미세조직의 표면적은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에 따라 미세조직 단면을 촬영한 뒤, 얻어진 이미지로부터 각 조직의 표면적(%)을 측정한 것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강재는 인장강도(TS): 950 MPa 이상, 항복강도(YS): 650 MPa 이상, 및 피로강도가 45 kgf/mm2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장강도(TS): 950~1,100 MPa, 항복강도(YS): 650~800 MPa, 연신율(El): 6~12%, 경도: 300~350 Hv, 및 피로강도 45~50 kgf/mm2 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실시예 비교예
하기 표 1의 함량을 갖는 합금 원소와, 나머지 철과 기타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용강을, 연속주조공정을 이용하여 반제품(블룸)을 주조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반제품을 1,100℃~1,200℃에서 열간 압연하여 라운드 바 형태의 중간성형체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중간성형체를 1,050℃~1,200℃에서 단조하여 강재(크랭크 샤프트) 시편을 제조하였다. 이때, 실시예 및 비교예 중간성형체에 대하여, 하기 식 1로 정의되는 탄소당량(Ceq)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식 1]
Figure 112015098695401-pat00005
(상기 식 1에서, 상기 [C], [Si], [Mn], [Cr], [Ni] 및 [Cu]는, 각각 상기 중간성형체에 포함되는 탄소(C), 실리콘(Si), 망간(Mn), 크롬(Cr), 니켈(Ni), 및 구리(Cu)의 함량(중량%)이다).
Figure 112015098695401-pat00006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인장강도(MPa), 항복강도(MPa), 신율(%), 경도(Hv) 및 피로강도(kgf/㎟)를 각각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5098695401-pat00007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 표 3에 따른 조건으로 회전굽힘피로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15098695401-pat00008
도 2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제조된 강재 시편의 표면 미세조직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강재 시편의 회전굽힘피로도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3(b)는 본 발명에 대한 비교예 강재 시편의 회전굽힘피로도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도 2, 도 3, 표 2 및 표 3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시편은, 페라이트 및 펄라이트를 포함하는 표면 미세조직을 가지며, 비교예 시편에 비하여 인장강도, 항복강도, 신율 및 피로강도 특성이 모두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시편에 형성된 개재물을 ISO 4967에 의거하여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5098695401-pat00009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7)

  1. 탄소(C): 0.35~0.45 중량%, 실리콘(Si): 0.55~0.75 중량%, 망간(Mn): 1.0~2.0 중량%, 인(P): 0.01~0.03 중량%, 황(S): 0.03~0.06 중량%, 구리(Cu): 0 초과 0.1 중량%, 니켈(Ni): 0 초과 0.1 중량%, 몰리브덴(Mo): 0 초과 0.05 중량%, 바나듐(V): 0.15~0.30 중량%, 크롬(Cr): 0.05~0.5 중량%, 티타늄(Ti): 0.01~0.05 중량%, 질소(N): 0.005~0.02 중량%, 잔량부의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중간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성형체를 1,050℃~1,200℃에서 단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성형체는 하기 식 1로 정의되는 탄소 당량(Ceq)이 0.8~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제조방법:
    [식 1]
    Figure 112015098695401-pat00010

    (상기 식 1에서, 상기 [C], [Si], [Mn], [Cr], [Ni] 및 [Cu]는, 각각 상기 중간성형체에 포함되는 탄소(C), 실리콘(Si), 망간(Mn), 크롬(Cr), 니켈(Ni), 및 구리(Cu)의 함량(중량%)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성형체 전체중량에 대하여 칼슘(Ca): 0.001~0.010 중량%, 마그네슘(Mg): 0.001~0.010 중량%, 지르코늄(Zr): 0.001~0.010 중량%, 비스무트(Bi): 0.01~0.02 중량%, 및 보론(B): 0.001~0.010 중량% 중에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제조방법.
  4. 탄소(C): 0.35~0.45 중량%, 실리콘(Si): 0.55~0.75 중량%, 망간(Mn): 1.0~2.0 중량%, 인(P): 0.01~0.03 중량%, 황(S): 0.03~0.06 중량%, 구리(Cu): 0 초과 0.1 중량%, 니켈(Ni): 0 초과 0.1 중량%, 몰리브덴(Mo): 0 초과 0.05 중량%, 바나듐(V): 0.15~0.30 중량%, 크롬(Cr): 0.05~0.5 중량%, 티타늄(Ti): 0.01~0.05 중량%, 질소(N): 0.005~0.02 중량%, 잔량부의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는 하기 식 1로 정의되는 탄소 당량(Ceq)이 0.8~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식 1]
    Figure 112015098695401-pat00011

    (상기 식 1에서, 상기 [C], [Si], [Mn], [Cr], [Ni] 및 [Cu]는, 각각 상기 강재에 포함되는 탄소(C), 실리콘(Si), 망간(Mn), 크롬(Cr), 니켈(Ni), 및 구리(Cu)의 함량(중량%)이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는, 칼슘(Ca): 0.001~0.010 중량%, 마그네슘(Mg): 0.001~0.010 중량%, 지르코늄(Zr): 0.001~0.010 중량%, 비스무트(Bi): 0.01~0.02 중량%, 및 보론(B): 0.001~0.010 중량% 중에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는 인장강도(TS): 950 MPa 이상, 항복강도(YS): 650 MPa 이상, 및 피로강도가 45 kgf/m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KR1020150142691A 2015-10-13 2015-10-13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15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691A KR101715515B1 (ko) 2015-10-13 2015-10-13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691A KR101715515B1 (ko) 2015-10-13 2015-10-13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5515B1 true KR101715515B1 (ko) 2017-03-13

Family

ID=58411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691A KR101715515B1 (ko) 2015-10-13 2015-10-13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5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22519A (zh) * 2020-09-30 2020-12-25 江苏永茂普隆汽车配件制造有限公司 一种超高强度模锻件的锻造和热处理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320B1 (ko) * 2013-02-27 2014-08-29 현대제철 주식회사 강재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320B1 (ko) * 2013-02-27 2014-08-29 현대제철 주식회사 강재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22519A (zh) * 2020-09-30 2020-12-25 江苏永茂普隆汽车配件制造有限公司 一种超高强度模锻件的锻造和热处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5997B2 (ja) 靭性に優れた高強度熱間鍛造非調質鋼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43170B1 (ko) 고강도 고인성 강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476628B1 (ko) 베이나이트강의 단조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02957A (ko) 강 부품 및 해당 강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JP6729686B2 (ja) 高周波焼入れ用非調質鋼
KR101639166B1 (ko) 비조질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15515B1 (ko)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018416A (ko) 자동차 차체부품용 twip형 초고강도 강판 및 그제조방법
JP4752800B2 (ja) 非調質鋼材
JP5679440B2 (ja) 冷間鍛造性に優れ、高周波焼入れ後におけるねじり強度に優れた高周波焼入れ用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390685B2 (ja) 非調質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14998A (ko)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5880795B2 (ja) 時効硬化性鋼
JP5974380B2 (ja) 析出硬化型ステンレス鋼及びステンレス鋼部品、並びに析出硬化型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
KR101306241B1 (ko) 강도 및 충격 인성이 우수한 직접 담금질 저탄소 비조질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7862B1 (ko) 비조질 강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비조질 강재
KR20230048109A (ko) 강의 단조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717996B1 (ko) 열간단조 엔진피스톤용 고강도 비조질강 및 그 제조방법
KR101412243B1 (ko) 비조질강 및 그 제조 방법
JP2018162514A (ja) 鍛鋼品用鋼、組立型クランク軸用鍛鋼クランクスローおよび鍛鋼ジャーナル
KR101185302B1 (ko) 단조분할 커넥팅로드용 고강도 비조질강 및 그 제조 방법
KR101185280B1 (ko) 고강도 및 고성형성을 갖는 하이드로포밍용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7205066B2 (ja) 高周波焼入れ用非調質鋼
KR101727824B1 (ko) 랙바용 강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85824B1 (ko) 냉간단조용 선재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