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366B1 - 보냉박스 - Google Patents

보냉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366B1
KR102166366B1 KR1020190027165A KR20190027165A KR102166366B1 KR 102166366 B1 KR102166366 B1 KR 102166366B1 KR 1020190027165 A KR1020190027165 A KR 1020190027165A KR 20190027165 A KR20190027165 A KR 20190027165A KR 102166366 B1 KR102166366 B1 KR 102166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box
shape
coolant
col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7668A (ko
Inventor
노현철
김미정
김경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울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울티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울티엘
Priority to KR1020190027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366B1/ko
Publication of KR20200107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 F25D3/08Movable container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4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subatmospheric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3/00Details of 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tails of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2303/08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 F25D2303/082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disposed in a cold storage element not forming part of a container for products to be cooled, e.g. ice pack or gel accumulator
    • F25D2303/0822Details of the element
    • F25D2303/08221Fasteners or fixing means for th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보냉박스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보냉박스는: 단열재질을 포함하며 개폐되는 입구부를 구비하는 박스 형상의 외측보냉부와, 외측보냉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입구부와 마주하는 일측이 개구된 박스 형상의 내측보냉부와, 냉매를 포함하며 내측보냉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져서 박스 형상으로 조립되는 코어부 및 내측보냉부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코어부에 접하며 코어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냉박스{BOX FOR COLD STORAGE}
본 발명은 보냉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매 구조물의 이동을 구속하여 균일한 냉장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보냉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이스박스는 얼음이나 드라이아이스 등의 냉각재를 통해 보관물을 냉장 또는 냉동상태로 운송하기 위한 박스 형상의 용기이다. 아이스박스의 용량은 4 내지 40ℓ 정도까지 다양하나, 보냉능력은 냉각재의 양에 비례하며, 그 종류에 따라서도 조금씩 차이가 있다.
아이스박스 내측에는 냉매 구조물이 설치되나, 냉매 구조물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구비되지 못하므로, 운반 중 냉매 구조물이 일측 방향으로 쏠릴 위험이 있다. 이 경우 보관물의 온도 제어가 실패할 가능성이 현격히 커진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40648호(2005.05.03 공개, 발명의 명칭: 축냉식 쿨패드를 이용한 휴대용 아이스박스)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냉매 구조물의 이동을 구속하여 균일한 냉장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보냉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냉박스는: 단열재질을 포함하며 개폐되는 입구부를 구비하는 박스 형상의 외측보냉부와, 외측보냉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입구부와 마주하는 일측이 개구된 박스 형상의 내측보냉부와, 냉매를 포함하며 내측보냉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져서 박스 형상으로 조립되는 코어부 및 내측보냉부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코어부에 접하며 코어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측보냉부는, 내측보냉부의 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외측몸체부와, 외측몸체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입구부를 개폐하는 제1커버부 및 외측몸체부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측보냉부의 외측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외측보냉부의 내측은 진공단열패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코어부는, 6개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박스 형상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코어부는, 내측에 냉매가 저장되는 공간을 구비하며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코어몸체부와, 코어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관로 및 돌출관로에 탈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코어몸체부는, 냉매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판 형상의 저장부와, 저장부의 테두리를 따라 경사면을 형성하는 경사부 및 저장부의 양 측면을 연결하며 저장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서로 마주하는 코어몸체부는 경사부가 서로 접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부는, 내측보냉부의 모서리에서 연장된 판 형상이며, 내측보냉부의 바닥에 위치하는 코어몸체부의 측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부는, 내측보냉부의 각 모서리에 세워지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내측보냉부의 측면에 설치되는 코어몸체부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측보냉부는, 외측보냉부 4개가 "ㅁ"자 형상으로 조립될 때 하나의 진공단열패널(15)의 수직한 일 단면과 다른 하나의 진공단열패널(15)의 수직한 타 단면이 서로 접촉하는 방식으로 단열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냉박스는, 내측보냉부의 내측으로 연장된 가이드부가 냉매 구조물인 코어부의 이동을 구속하므로 균일한 냉장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마주하는 코어부의 경사부가 서로 접한 상태로 설치되어 코어부의 이동을 구속하므로 균일한 냉장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냉박스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커버부가 회전되어 입구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냉박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보냉부와 코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부의 상측이 개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가 세워진 코어몸체부의 양측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가 내측보냉부의 바닥에 설치된 코어몸체부의 테두리에 접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가 내측보냉부의 측면에 접한 코어몸체부의 양측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몸체부의 경사부가 서로 접한 상태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냉박스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냉박스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커버부가 회전되어 입구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냉박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보냉부와 코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부의 상측이 개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가 세워진 코어몸체부의 양측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가 내측보냉부의 바닥에 설치된 코어몸체부의 테두리에 접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가 내측보냉부의 측면에 접한 코어몸체부의 양측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몸체부의 경사부가 서로 접한 상태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냉박스(1)는, 단열재질을 포함하며 개폐되는 입구부(13)를 구비하는 박스 형상의 외측보냉부(10)와, 외측보냉부(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입구부(13)와 마주하는 일측이 개구된 박스 형상의 내측보냉부(20)와, 냉매를 포함하며 내측보냉부(20)의 내측에 위치하고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져서 박스 형상으로 조립되는 코어부(30) 및 내측보냉부(2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코어부(30)에 접하며 코어부(30)의 이동을 구속하는 가이드부(40)를 포함한다.
외측보냉부(10)는 단열재질을 포함하며, 회전되어 개폐되는 입구부(13)를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보냉부(10)는, 외측몸체부(11)와 제1커버부(12)와 제2커버부(14)와 진공단열패널(15)을 포함한다.
이러한 외측보냉부(10)는 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6개가 동일하게 ABS 플라스틱과 진공단열패널(15)과 우레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보냉부(10)의 외측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외측보냉부(10)의 내측은 진공단열패널(15)로 이루어진다.
외측보냉부(10)의 외측을 형성하는 ABS 플라스틱은 여러 가지 형태로 가공하기 쉽고, 도금 또는 도색을 했을 때 발색력이 좋다. 또한 ABS 플라스틱은 일반 플라스틱보다 충격과 열에 강한 합성수지이다. 이러한 ABS 플라스틱의 내측은 구조체의 구조를 강화하며 재료비를 절감하고 외관을 보다 평평하게 하기 위한 리브구조가 형성된다.
ABS 플라스틱과 마주하는 외측보냉부(10)의 내측은 진공단열패널(15)(vacuum insulation panel)이 설치된다. 그리고 ABS 플라스틱과 진공단열패널(15)의 내측 공간에는 우레탄이 충진되어 외측보냉부(10)의 구조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보냉부(10)는, 내측보냉부(20)의 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외측몸체부(11)와, 외측몸체부(11)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입구부(13)를 개폐하는 제1커버부(12) 및 외측몸체부(11)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커버부(14)를 포함한다.
외측보냉부(10)는 6개의 패널이 조립되어 상자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측에 위치한 제1커버부(12)는 회전 되는 동작에 의해 입구부(13)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하측에 위치하는 제2커버부(14)도 회전되는 동작을 할 수 있으며, 제1커버부(12)와 제2커버부(14)는 외측몸체부(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외측몸체부(11)는 4개의 패널이 "ㅁ"자 형상으로 결합되며, 보냉박스(1)의 외측 프레임을 형성한다. 이러한 외측보냉부(10)의 내측에는 내측보냉부(20)와 코어부(30)가 설치되기 위한 내측공간이 구비되며, 상측의 입구부(13)는 제1커버부(12)에 의해 개폐된다.
제작공정에서 외측몸체부(11)와 진공단열패널(15)은 먼저 조립되어 하나의 외측보냉부(10) 패널을 구성하고, 이 외측보냉부(10) 패널 4개가 "ㅁ"자 형상으로 조립되어 내측보냉부(20)를 둘러싼다.
외측보냉부(10) 패널에 있어서, 외측몸체부(11)에 설치되는 진공단열패널(20)의 수직한 양 단면 중 일 단면은 외측몸체부(11)의 일측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수직한 양 단면 중 타 단면은 개방되는 구조다.
따라서 외측몸체부(11)는 4개의 패널이 "ㅁ"자 형상으로 조립될 때 하나의 진공단열패널(15)의 수직한 일 단면과 다른 하나의 진공단열패널(15)의 수직한 타 단면이 서로 접촉하는 방식으로 단열 구조를 형성한다. 즉, 전체적으로 4개의 진공단열패널(15)이 각각 서로의 일 단면과 타 단면이 접촉되어 밀폐 단열 구조를 형성한다. 하나의 외측몸체부(11)의 수직한 일단면에는 외측보냉부(10) 패널 4개를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핀이 형성되고 수직한 타단면에는 결합핀이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된다. 도 3에서는 실시예로 하나의 패널에 결합핀 및 결합공이 3개가 도시되었다.
내측보냉부(20)는 외측보냉부(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입구부(13)와 마주하는 일측(도 5기준 상측)이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보냉부(20)는 플라스틱 사출성형물이며, 가이드부(4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보냉부(20)의 상측은 개구된 사각통 형상이며, 내측보냉부(20)의 각 모서리(21)에는 리브 형상의 가이드부(40)가 설치되어 냉매 기능을 하는 코어부(30)의 설치위치가 설정된 위치에 있도록 안내한다.
내측보냉부(20)의 내측에 위치하는 코어부(30)는 냉매를 포함하며,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져서 박스 형상으로 조립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부(30)는 6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각 부재는 PCM(Phase Change Material) 이라는 냉매 물질이 내측에 저장된다. PCM은 상변화 물질로, 상이 변화하면서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온도 조절 기능성 물질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부(30)는, 6개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박스 형상으로 조립되므로, 내측에 위치한 저장물에 균일한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코어부(30)는, 내측에 냉매가 저장되는 공간을 구비하며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코어몸체부(31)와, 코어몸체부(3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관로(35) 및 돌출관로(35)에 탈착되는 커버부재(36)를 포함한다.
코어몸체부(31)는 PCM이라는 냉매가 저장되는 패널 형상의 부재이며, 이러한 코어몸체부(31)의 일측으로 돌출된 관로인 돌출관로(35)를 통해 냉매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진다.
커버부재(36)는 개구된 돌출관로(35)의 단부를 막아서 냉매가 돌출관로(35)의 외측으로 배출됨을 차단한다. 이를 위해 커버부의 내부에는 특수마개가 구비되며, 돌출관로(35)의 외측에 스크류 타입으로 결합된다.
또한 코어몸체부(31)는, 냉매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판 형상의 저장부(32)와, 저장부(32)의 테두리를 따라 경사면을 형성하는 경사부(33) 및 저장부(32)의 양 측면을 연결하며 저장부(32)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부(34)를 포함한다.
저장부(32)는 일정한 두께를 갖으며, 내측에는 냉매를 저장하기 위한 중공이 구비된 판 형상이며, 이러한 저장부(32)의 테두리를 따라 경사면을 형성하는 경사부(33)가 구비된다.
경사부(33)는 이웃한 코어몸체부(31)의 경사부(33)와 면접촉을 하며 서로 이동을 구속하므로 코어부(30)의 구조강성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코어부(30)의 외측으로 냉기가 누설됨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로 마주하는 코어몸체부(31)는 경사부(33)가 서로 접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냉매가 저장된 저장부(32)가 얼거나 녹은 상태를 반복하면서 뒤틀리는 현상 등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부(34)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34)는 저장부(32)의 양측에 오목한 홈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홈부의 바닥은 저장부(32)의 내측에서 서로 연결되므로 저장부(32)에 기둥 형상의 구조물을 형성한다. 이러한 보강부(34)는 저장부(32)에 복수로 설치되므로 저장부(32)의 변형을 방지하며 보강부(34)의 형상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한다.
가이드부(40)는 내측보냉부(2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코어부(30)에 접하며, 설정된 위치에 설치된 코어부(30)의 이동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가이드부(40)는 냉매 기능을 하는 코어부(30)가 자리 잡는 동작을 안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40)는, 내측보냉부(20)의 모서리(21)에서 연장된 판 형상이며, 내측보냉부(20)의 바닥에 위치하는 코어몸체부(31)의 측면에 접한다.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내측보냉부(20)의 내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4개의 모서리(21)가 구비되며, 이러한 모서리(21)에서 연장된 가이드부(40)는 내측보냉부(20)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이러한 가이드부(40)는, 내측보냉부(20)의 각 모서리(21)에 세워지는 판 형상으로 설치되며, 내측보냉부(20)의 측면에 설치되는 코어몸체부(31)의 양 측면에 위치한다.
따라서 내측보냉부(20)의 내측에 위치하는 코어몸체부(31)의 외측은 내측보냉부(20)의 내측으로 연장된 가이드부(40)의 단부에 접하며 설정된 위치에 설치됨이 안내된다. 그리고 내측보냉부(20)의 측면에 설치되는 4개의 코어몸체부(31)는 가이드부(40)가 양측면에 위치하므로 코어몸체부(31)가 설정된 위치에 설치됨이 안내된다.
한편 운반제품과 코어부(30)를 직접 닿게 포장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코어부(30)의 내측에 별도의 내박스를 추가 설치하여 운반제품이 냉기에 의해 손상됨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냉박스(1)의 조립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내측보냉부(20)의 내측으로 연장된 가이드부(40)는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이러한 가이드부(40)의 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코어몸체부(31)는 내측보냉부(20)의 바닥에 접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내측보냉부(20)의 내측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4개의 코어몸체부(31)는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4개의 가이드부(40) 사이에 위치하므로 코어몸체부(31)가 설정된 위치에서 이동됨을 방지한다.
그리고 운반제품을 코어부(30)의 내측에 위치시킨 후 코어부(30)의 상측을 덮는다. 이때 6개의 코어몸체부(31)는 경사부(33)가 서로 접한 상태로 설치되므로 코어부(30) 내측의 냉기가 코어부(30)의 외측으로 누설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조립된 코어부(30)와 내측보냉부(20)는 외측보냉부(10)의 내측에 설치된 후 제1커버부(12)를 닫으므로 보냉박스(1)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보냉부(20)의 내측으로 연장된 가이드부(40)가 냉매 구조물인 코어부(30)의 이동을 구속하므로 균일한 냉장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마주하는 코어부(30)의 경사부(33)가 서로 접한 상태로 설치되어 코어부(30)의 이동을 구속하므로 균일한 냉장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1커버부(12)가 입구부(13)를 폐쇄할 때 외측몸체부(11)의 "ㅁ" 형태의 상단면과 접촉하여 거치되고, 잠금수단(16)을 이용하여 제1커버부(12)를 외측몸체부(11)에 잠금 고정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잠금수단(16)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잠금수단(16)을 잡아당겨 늘려서 외측몸체부(11)에 걸림되도록 하여 제1커버부(12)를 외측몸체부(11)에 잠금 고정시킬 수 있다.
잠금수단(16)을 실링부재를 통하여 실링할 수 있도록, 잠금수단(16)의 일측부 또는 주변부에 실링부재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안착부에 실링부재를 충진하여 실링함으로써 권한 없는 자가 본 보냉박스를 오픈하는 것을 체킹할 수 있다. 즉 권한 없는 자가 잠금수단(16)을 잡아 당겨 제1커버부(12)를 오픈하게 되면 충진된 실링부재가 손상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냉박스(1)의 일측에는 RFID, NFC 등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부가 설치될 수 있다. 작업자는 단말기를 통하여 보냉박스(1)에 근거리 무선통신부에 접촉하여 무선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보냉박스(1)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 보냉박스(1)의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위치정보생성장치(예컨대 GPS 방식 등), 열림감지센서 등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센서 및 정보생성장치를 통하여 생성된 온도정보, 위치정보, 제1커버부(12)의 열림 여부에 관한 정보 등을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작업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관리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보냉박스(1)와 관련한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보냉박스 10: 외측보냉부
11: 외측몸체부 12: 제1커버부
13: 입구부 14: 제2커버부
15: 진공단열패널 20: 내측보냉부
21: 모서리 30: 코어부
31: 코어몸체부 32: 저장부
33: 경사부 34: 보강부
35: 돌출관로 36: 커버부재
40: 가이드부

Claims (10)

  1. 단열재질을 포함하며 개폐되는 입구부를 구비하는 박스 형상의 외측보냉부;
    상기 외측보냉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입구부와 마주하는 일측이 개구된 박스 형상의 내측보냉부;
    냉매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보냉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져서 박스 형상으로 조립되는 코어부; 및
    상기 내측보냉부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코어부에 접하며, 상기 코어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부는,
    내측에 냉매가 저장되는 공간을 구비하며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코어몸체부;
    상기 코어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관로; 및
    상기 돌출관로에 탈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몸체부는,
    냉매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판 형상의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테두리를 따라 경사면을 형성하는 경사부; 및
    상기 저장부의 양 측면을 연결하며 상기 저장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서로 마주하는 상기 코어몸체부는 상기 경사부가 서로 접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내측보냉부의 내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4개의 모서리가 구비되며, 상기 모서리에서 연장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내측보냉부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내측보냉부의 상기 4개의 모서리에서 연장된 판 형상이며, 상기 내측보냉부의 바닥에 위치하는 상기 코어몸체부의 측면에 접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내측보냉부의 상기 4개의 모서리에 세워지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내측보냉부의 측면에 설치되는 상기 코어몸체부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보냉부는,
    상기 내측보냉부의 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외측몸체부;
    상기 외측몸체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입구부를 개폐하는 제1커버부; 및
    상기 외측몸체부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박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보냉부의 외측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보냉부의 내측은 진공단열패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박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6개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박스 형상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박스.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보냉부는,
    상기 외측보냉부 4개가 "ㅁ"자 형상으로 조립될 때 하나의 진공단열패널의 수직한 일 단면과 다른 하나의 진공단열패널의 수직한 타 단면이 서로 접촉하는 방식으로 단열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박스.
KR1020190027165A 2019-03-08 2019-03-08 보냉박스 KR102166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165A KR102166366B1 (ko) 2019-03-08 2019-03-08 보냉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165A KR102166366B1 (ko) 2019-03-08 2019-03-08 보냉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668A KR20200107668A (ko) 2020-09-16
KR102166366B1 true KR102166366B1 (ko) 2020-10-15

Family

ID=72670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165A KR102166366B1 (ko) 2019-03-08 2019-03-08 보냉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3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9986A (ko) 2021-02-22 2022-08-30 이성우 운반용 보온백
KR20230126880A (ko)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카르노플릿 조립식 콜드체인박스
KR102649154B1 (ko) * 2023-05-19 2024-03-19 주식회사 바이오플레이 보냉을 지원하는 보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072B1 (ko) 2021-05-03 2021-06-29 (주)다솔닷아이엔씨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백신 캐리어 및 그 제어방법
KR102309521B1 (ko) 2021-05-17 2021-11-04 (주)다솔닷아이엔씨 온라인 백신캐리어 이력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4427A (ja) * 2005-07-19 2007-02-01 Adeka Chemical Supply Kk 蓄冷剤用容器
JP2018203355A (ja) * 2017-06-07 2018-12-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真空断熱材が使用され、組立および分解が可能な断熱容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4152B2 (ja) * 1997-06-17 2000-08-07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保冷体
KR20080096089A (ko) * 2007-04-26 2008-10-30 주식회사 탭스인터내셔널 보냉 시스템
KR20110005788U (ko) * 2009-12-04 2011-06-10 이혜원 부피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
KR101176077B1 (ko) * 2010-01-22 2012-08-23 이성찬 보냉패널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박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4427A (ja) * 2005-07-19 2007-02-01 Adeka Chemical Supply Kk 蓄冷剤用容器
JP2018203355A (ja) * 2017-06-07 2018-12-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真空断熱材が使用され、組立および分解が可能な断熱容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9986A (ko) 2021-02-22 2022-08-30 이성우 운반용 보온백
KR20230126880A (ko)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카르노플릿 조립식 콜드체인박스
KR102649154B1 (ko) * 2023-05-19 2024-03-19 주식회사 바이오플레이 보냉을 지원하는 보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668A (ko) 202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6366B1 (ko) 보냉박스
EP2730869B1 (en) Refrigerator
US7296432B2 (en) Refrigerator housing
US20140132142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nner door thereof
US6860115B2 (en) Air-cargo container, a refrigerator unit for an air-cargo contain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an air-cargo container
US9791197B2 (en) Refrigerator with rear panel for accommodating water hose
JP6502421B2 (ja) 輸送容器
KR200471021Y1 (ko) 온도 조절이 가능한 박스형 패키징
EP3984899A1 (en) Foldable box
US8272703B2 (en) Home-bar door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CN112810966A (zh) 保温容器
US11912464B2 (en) Container, folding container
JP2019138559A (ja) 冷蔵庫
CN111108046B (zh) 容器
AU2014227300A1 (en) Cooling box
KR20230126880A (ko) 조립식 콜드체인박스
CN211309546U (zh) 一种医疗保温箱
CN111721060A (zh) 用于制冷设备的箱胆装配结构、箱体和制冷设备
CN219841684U (zh) 冷柜
JP3354397B2 (ja) 冷却貯蔵庫
CN219160709U (zh) 冰箱
KR200458786Y1 (ko) 신선식품 보관용 상자
KR100441577B1 (ko) 냉장고
CN219693639U (zh) 冰箱
JP7296606B2 (ja) 定温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