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132B1 - 3d 곡면유리용 점착필름 및 이를 구비한 3d 곡면유리 - Google Patents

3d 곡면유리용 점착필름 및 이를 구비한 3d 곡면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132B1
KR102165132B1 KR1020180088397A KR20180088397A KR102165132B1 KR 102165132 B1 KR102165132 B1 KR 102165132B1 KR 1020180088397 A KR1020180088397 A KR 1020180088397A KR 20180088397 A KR20180088397 A KR 20180088397A KR 102165132 B1 KR102165132 B1 KR 102165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curved glass
curved
attached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3332A (ko
Inventor
남택원
신용균
Original Assignee
(주)제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론텍 filed Critical (주)제론텍
Priority to KR1020180088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132B1/ko
Publication of KR20200013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5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of the release lin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곡면유리용 점착필름 및 이를 구비한 3D 곡면유리에 관한 것으로서, 에지 부분이 곡면 형태로 형성된 에지형 스마트폰의 3D 액정화면에 3D 곡면유리를 완전하게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곡면유리용 점착필름은, 에지 부분이 곡면 형태로 형성된 에지형 스마트폰의 3D 액정화면(30)에 에지 부분이 곡면 형태로 형성된 3D 곡면유리(20)를 부착하기 위한 3D 곡면유리용 점착필름(10)에 있어서, 상기 3D 곡면유리(2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PET 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11)와; 상기 3D 곡면유리(20)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기재(11)의 일면에 도포되는 제1점착층(13)과; 상기 스마트폰의 3D 액정화면(30)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기재(11)의 타면에 도포되는 제2점착층(12)과; 상기 제1점착층(13)을 보호하도록 상기 제1점착층(13)에 부착되며 상기 제1점착층(13)로부터 쉽게 박리되는 제1라이너(15)와; 상기 제2점착층(12)을 보호하도록 상기 제2점착층(13)에 부착되며 상기 제2점착층(13)으로부터 쉽게 박리되는 제2라이너(14);의 다층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D 곡면유리용 점착필름 및 이를 구비한 3D 곡면유리{Adhesion Film for 3D Curved Glass and 3D Curved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3D 곡면유리용 점착필름 및 이를 구비한 3D 곡면유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지형 액정화면을 구비한 스마트폰의 액정화면을 보호하기 위한 3D 곡면유리를 액정화면에 접착할 때, 3D 곡면유리를 액정화면의 에지면까지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우수한 점착력을 구비한 3D 곡면유리용 점착필름 및 이를 구비한 3D 곡면유리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은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통상의 휴대전화와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휴대전화의 기능은 물론이고,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갖추고 있어, 이메일 송수신, 웹브라우징, 인터넷 쇼핑, 인터넷 뱅킹 등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TV와 라디오 시청취 등의 방송 서비스와, 카메라, 캠코더, MP3 기능, 무전기 기능까지 갖추고 있으며, 워드프로세서나 엑셀 등과 같은 문서작성도 가능하다.
그리고 Wi-Fi 기능을 활용할 경우에는, 음성패킷망(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를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한 전화통화도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은, 다양한 단말기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다기능 복합단말기"라고도 하며, 다양한 기능의 수용을 위하여 표준화된 운영 체제 또는 전용 운영 체제를 가지고 있다.
상기한 스마트폰의 가장 큰 특징은,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전화와는 달리,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고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고, 그리고 같은 운영체제를 가진 스마트폰 간에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도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스마트폰은 조작을 위한 액정화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충격을 받을 경우 액정화면이 쉽게 깨지고 표면이 쉽게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의 액정화면을 충격이나 긁힘 등의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파손방지부재를 액정화면에 부착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파손방지부재에는 파손방지필름과 파손방지유리가 있는데, 이중에서 긁힘 등의 손상에 대하여 강한 보호 효과를 갖는 파손방지유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스마트폰은 대부분 평면 형태의 액정화면을 구비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지(Edge) 부분도 터치 화면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곡면 형태의 3D 액정화면을 구비한 이른바 "에지형" 스마트폰(100)이 개발된 바 있다.
이에 따라 에지형 스마트폰(100)의 3D 액정화면을 보호하기 위해 에지 부분을 곡면으로 형성한 3D 곡면유리(200)도 개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경우에는 스마트폰의 3D 액정화면에 3D 곡면유리를 부착하기 위한 점착필름이 평면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3D 곡면유리를 3D 액정화면에 완전히 밀착시켜 부착할 수가 없다.
이로 인해 3D 곡면유리의 에지부가 3D 액정화면의 에지부로부터 이격되어, 3D 액정화면의 "에지부"를 안전하게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3D 곡면유리의 평면부를 3D 액정화면에 부착하기 위한 평면 형태의 점착필름과는 별도로, 3D 곡면유리의 에지부를 3D 액정화면의 에지부에 부착하기 위한 곡면 형태의 점착필름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이중 작업으로 인해 작업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충분한 점착력이 확보되지 않아 들뜸 현상을 피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아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다.
특허문헌 1은, 스마트폰의 전면을 덮는 보호케이스를 제작하되, 카바글라스와 맞닿는 부분에는 마이크로 사이즈의 다수 개의 돌출부를 제작을 하며, 돌출부의 배치룰 랜덤하게 함으로서 돌출부에 의한 무아레 현상등이 나타나지 않게 하고, 전면을 보호하기 위해 테두리 부분을 부풀에 사출 성형을 하며, 낙하 충격이 발생하면 쿠션을 가지게 하기 위해 테두리 부분에 에어쿠션층을 제작한, 필름일체형 스마트폰 상면 보호케이스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스마트폰 커버를 이루는 케이스와 가죽을 얼라인(align)하여 압착시키는 가접압착 단계; 상기 케이스의 보이는 부분을 핫멜트(hot melt)를 이용하여 열압착시키는 1차 열압착 단계; 상기 케이스 배면에 덧대어지는 상기 가죽을 테두리 부분에서 안쪽으로 감아지는 치수만큼 커팅하는 사이드커팅 단계; 상기 케이스의 배면측에서 상기 가죽이 깜싸지도록 접착시키는 둘레압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품의 파지감도를 증대시키도록 스마트폰의 둘레 즉, 측면 및 모서리까지 가죽이 감싸지도록 제조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떨어뜨리지 않도록 파지감도를 획기적으로 증대시키고, 겨울철이나 추운 날씨에도 스마트폰을 쥔 손이 차갑지 않도록 해주는 장점을 제공해주고, 제품의 성능과 더불어서 제품의 품격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키도록 한 효과를 제공해주도록 한, 스마트폰 커버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KR 10-2016-0089987 A KR 10-2016-0127897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지 부분이 곡면 형태로 형성된 에지형 스마트폰의 3D 액정화면에 3D 곡면유리를 완전하게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 3D 곡면유리용 점착필름 및 이를 구비한 3D 곡면유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3D 곡면유리용 점착필름은, 에지 부분이 곡면 형태로 형성된 에지형 스마트폰의 3D 액정화면에 에지 부분이 곡면 형태로 형성된 3D 곡면유리를 부착하기 위한 3D 곡면유리용 점착필름에 있어서, 상기 3D 곡면유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PET 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와; 상기 3D 곡면유리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기재의 일면에 도포되는 제1점착층과; 상기 스마트폰의 3D 액정화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기재의 타면에 도포되는 제2점착층과; 상기 제1점착층을 보호하도록 상기 제1점착층에 부착되며 상기 제1점착층로부터 쉽게 박리되는 제1라이너와; 상기 제2점착층을 보호하도록 상기 제2점착층에 부착되며 상기 제2점착층으로부터 쉽게 박리되는 제2라이너;의 다층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3D 곡면유리용 점착필름은, 상기 제1점착층은 감압형 점착제인 아크릴 PSA(Pressure Sensitive Adhisives)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라이너는 실리콘 이형필름(Silicone Release Film)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3D 곡면유리용 점착필름은, 상기 제2점착층은 내열성 점착제인 실리콘 PSA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라이너는 불소 이형필름(Fluorine Release Film)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3D 곡면유리는, 에지 부분이 곡면 형태로 형성된 에지형 스마트폰의 3D 액정화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에지 부분이 곡면 형태로 형성된 3D 곡면유리에 있어서, 상기 3D 액정화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곡면유리 본체와; 상기 에지형 스마트폰의 3D 액정화면에 곡면유리 본체를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곡면유리 본체의 내측에 부착되는 점착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착필름은 곡면유리 본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PET 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와, 상기 기재의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곡면유리 본체에 부착되는 제1점착층과, 상기 스마트폰의 3D 액정화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기재의 타면에 도포되는 제2점착층과, 상기 스마트폰의 액정화면에 곡면유리 본체를 부착할 때 상기 제2점착층로부터 박리되며 상기 제2점착층을 보호하도록 상기 제2점착층에 부착되는 라이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3D 곡면유리는, 상기 제1점착층은 감압형 점착제인 아크릴 PSA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점착층은 내열성 점착제인 실리콘 PSA로 이루어지며, 상기 라이너는 불소 이형필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3D 곡면유리용 점착필름에 의하면, 3D 곡면유리에 대응하는 형상의 기재 양측에 각각 점착제가 도포되어 3D 곡면유리와 3D 액정화면에 각각 부착되므로, 3D 곡면유리를 3D 액정화면에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3D 곡면유리에 점착되는 제1점착층이 아크릴 PSA로 구성되어 외부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고 외부 압력에 의해서 점착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리콘 이형필름이 제1점착층에 부착됨에 따라 3D 곡면유리에 점착될 때 실리콘 이형필름이 쉽게 박리되어, 점착필름이 구비된 3D 곡면유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3D 액정화면에 점착되는 제2점착층이 실리콘 PSA로 구성되어 3D 액정화면에서 열이 발생하더라도 점착성능이 저하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불소 이형필름에 제2점착층이 형성됨에 따라, 3D 액정화면에 3D 곡면유리를 접착할 때 제2점착층로부터 불소 이형필름이 쉽게 박리되어 부착 작업이 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3D 곡면유리는, 내측에 곡면유리 본체와 동일한 형상의 점착필름이 구비됨에 따라, 에지형 스마트폰의 3D 액정유리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3D 곡면유리는, 곡면유리 본체에 아크릴 PSA가 점착됨에 따라 외부 충격이나 압력에 의해서도 점착력이 저하되지 않고, 실리콘 PSA에 불소 이형필름이 부착되어 3D 액정화면에 부착할 때 불소 이형필름을 쉽게 박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리콘 PSA가 3D 액정화면에 점착됨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에 의해 3D 액정화면에서 열이 발생하더라도 점착성능이 저하되지 않으므로, 3D 곡면유리가 스마트폰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에지형 스마트폰과 이에 적용되는 3D 곡면유리가 도시된 참고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D 곡면유리용 점착필름이 도시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D 곡면유리가 도시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3D 곡면유리가 부착된 에지형 스마트폰이 도시된 사시도 및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3D 곡면유리용 점착필름 및 이를 구비한 3D 곡면유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3D 곡면유리용 점착필름(10)은, 에지 부분이 곡면 형태로 형성된 에지형 스마트폰의 3D 액정화면에 에지 부분이 곡면 형태로 형성된 3D 곡면유리(20)를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D 곡면유리(2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PET 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11)와; 상기 3D 곡면유리(20)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기재(11)의 일면에 도포되는 제1점착층(13)과; 상기 스마트폰의 3D 액정화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기재(11)의 타면에 도포되는 제2점착층(12)과; 상기 제1점착층(13)을 보호하도록 상기 제1점착층(13)에 부착되며 상기 제1점착층(13)으로부터 쉽게 박리되는 제1라이너(15)와; 상기 제2점착층(12)을 보호하도록 상기 제2점착층(13)에 부착되며 상기 제2점착층(13)으로부터 쉽게 박리되는 제2라이너(14);의 다층 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점착층(13)은 감압형 점착제인 아크릴 PSA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라이너(15)는 실리콘 이형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기 제2점착층(12)은 내열성 점착제인 실리콘 PSA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라이너(14)는 불소 이형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 PSA는, 아크릴 모노머를 중합하여 형성한 아크릴 폴리머로 형성되며, 폴리머 자체에 점착성이 있고 자유롭게 변성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아크릴 PSA는, 투명도와 내후성, 내열성 및 내용매성이 뛰어나, LCD 패널, 휴대폰 및 자동차 분야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아크릴 PSA는, 감압형 점착제로서 외부 충격이나 압력에 의해서 점착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점착층(13)은 3D 곡면유리에 작용하는 외부 충격을 완화시키고, 3D 곡면유리에 작용하는 외부 압력에 의해서도 점착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여, 3D 곡면유리가 점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실리콘 PSA는, 실리콘 고무와 실리콘 수지를 합성하여 형성하며, 실리콘 고무가 더위와 추위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하므로 광범위한 온도에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실리콘 고무의 자체 점착력은 낮기 때문에, 실리콘 수지가 접착 부여제로 사용되고, 실리콘 고무와 실리콘 수지의 비율을 조정하여 필요한 점착특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내열성의 향상을 위하여 과산화벤조일과 같은 가교제를 더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실리콘 PSA로 이루어진 제2점착층(12)은, 약 -60 ~ 200℃의 온도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온도 범위가 -5 ~ 60℃에 불과한 아크릴 PSA에 비해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실리콘 PSA는 아크릴 PSA에 비해 가격이 매우 비싸므로 제한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형필름은, 원단에 이형성을 부여함으로써 제품을 보호하고 제품으로부터 쉽게 박리되도록 하는 필름으로, 실리콘계 이형제를 사용하는 실리콘 이형필름과 불소계 이형제를 사용하는 불소 이형필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불소 이형필름은 내후성과 내열안정성이 실리콘 이형필름보다 우수하고 낮은 표면장력 특성을 가지고 있어 실리콘 점착제 면에 대하여 우수한 박리력을 발휘한다.
따라서 피착제가 실리콘인 경우에는 불소 이형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불소 이형필름은 실리콘 이형필름에 비해 매우 고가이므로, 제한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아크릴 PSA로 이루어진 제1점착층(13)에 부착되는 제1라이너(15)는 실리콘 이형필름으로 형성하고, 실리콘 PSA로 이루어진 제2점착층(12)에 부착되는 제2라이너(14)는 불소 이형필름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3D 곡면유리는, 에지 부분이 곡면 형태로 형성된 에지형 스마트폰의 3D 액정화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에지 부분이 곡면 형태로 형성된 3D 곡면유리로서, 상기한 점착필름(10)에서 제1라이너(15)를 제거한 후 곡면유리 본체(20)의 내측에 부착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3D 곡면유리(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지형 스마트폰의 3D 액정화면(3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곡면유리 본체와; 상기 에지형 스마트폰의 3D 액정화면(30)에 곡면유리를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곡면유리 본체의 내측에 부착되는 점착필름(1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점착필름(10)은, 3D 곡면유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PET 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11)와, 상기 기재(11)의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곡면유리 본체(20)에 부착되는 제1점착층(13)과, 상기 스마트폰의 3D 액정화면(30)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기재(11)의 타면에 도포되는 제2점착층(12)과, 상기 스마트폰의 액정화면(30)에 곡면유리를 부착할 때 상기 제2점착층(12)으로부터 박리되며 상기 제2점착층(12)을 보호하도록 상기 제2점착층(12)에 부착되는 라이너(1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한 본 발명의 3D 곡면유리용 점착필름에서 제1라이너(15)를 분리하한 후, 제1점착층(13)을 곡면유리 본체(20)의 내측면에 점착시킴으로써 3D 곡면유리에 점착필름(10)이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점착층(13)은 감압형 점착제인 아크릴 PSA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점착층(12)은 내열성 점착제인 실리콘 PSA로 이루어지며, 상기 라이너(14)는 불소 이형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3D 곡면유리는, 스마트폰의 3D 액정화면에 부착되어 3D 액정화면을 보호하게 된다.
즉, 상기 곡면유리 본체(20)에 부착된 점착필름의 라이너(14)를 분리한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점착층(12)을 3D 액정화면(30)에 점착시킴으로써, PET 재질의 기재(11)에 의해 점착필름(10)의 형상이 유지된 상태에서 곡면유리 본체가 스마트폰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에지형 스마트폰에 3D 방탄필름이 견고하게 부착되어 3D 액정화면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점착필름 11: 기재
12: 제2점착층 13: 제1점착층
14: 제2라이너 15: 제1라이너
20: 3D 곡면유리 30: 액정화면

Claims (5)

  1. 에지 부분이 곡면 형태로 형성된 에지형 스마트폰의 3D 액정화면(30)에, 에지 부분이 곡면 형태로 형성된 3D 곡면유리(20)를 부착하기 위한 3D 곡면유리용 점착필름(10)에 있어서,
    상기 3D 곡면유리(20)에 대응하도록 에지 부분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PET 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11)와;
    상기 3D 곡면유리(20)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기재(11)의 일면에 도포되는 제1점착층(13)과;
    상기 스마트폰의 3D 액정화면(30)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기재(11)의 타면에 도포되는 제2점착층(12)과;
    상기 제1점착층(13)을 보호하도록 상기 제1점착층(13)에 부착되며 상기 제1점착층(13)로부터 쉽게 박리되는 제1라이너(15)와;
    상기 제2점착층(12)을 보호하도록 상기 제2점착층(12)에 부착되며 상기 제2점착층(12)으로부터 쉽게 박리되는 제2라이너(14);의 다층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점착층(13)은, 아크릴 모노머를 중합하여 형성한 아크릴 폴리머로 형성되는 감압형 점착제인 아크릴 PSA(Pressure Sensitive Adhisives)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크릴 PSA로 이루어진 제1점착층(13)에 부착되는 제1라이너(15)는 실리콘 이형필름(Silicone Release Film)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점착층(12)은, 실리콘 고무와 실리콘 수지를 합성하여 형성되는 내열성 점착제인 실리콘 PSA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리콘 PSA는 내열성의 향상을 위해 가교제로서 과산화벤조일을 포함하며,
    상기 실리콘 PSA로 이루어진 제2점착층(12)에 부착되는 제2라이너(14)는 불소 이형필름(Fluorine Release Film)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곡면유리용 점착필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88397A 2018-07-30 2018-07-30 3d 곡면유리용 점착필름 및 이를 구비한 3d 곡면유리 KR102165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397A KR102165132B1 (ko) 2018-07-30 2018-07-30 3d 곡면유리용 점착필름 및 이를 구비한 3d 곡면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397A KR102165132B1 (ko) 2018-07-30 2018-07-30 3d 곡면유리용 점착필름 및 이를 구비한 3d 곡면유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332A KR20200013332A (ko) 2020-02-07
KR102165132B1 true KR102165132B1 (ko) 2020-10-13

Family

ID=69569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397A KR102165132B1 (ko) 2018-07-30 2018-07-30 3d 곡면유리용 점착필름 및 이를 구비한 3d 곡면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1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919B1 (ko) * 2022-04-01 2022-08-24 주식회사 노바텍 보호 케이스용 커버 부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호 케이스용 커버 부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134B1 (ko) * 2006-02-28 2014-03-28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도막 보호 시트
KR101422827B1 (ko) * 2012-09-11 2014-07-24 정종환 굴곡진 화면용 강화유리보호글라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484452B1 (ko) 2014-08-25 2015-02-13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터치스크린 보호용 강화유리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866784B1 (ko) 2016-07-18 2018-06-12 문정호 3d 포밍 고경도 다층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0487027Y1 (ko) * 2017-12-26 2018-07-27 주식회사 네오팩토리 휴대폰 화면 보호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987A (ko) 2015-01-21 2016-07-29 박철 필름일체형 스마트폰 상면 보호 케이스
KR101732476B1 (ko) 2015-04-27 2017-05-25 영광정공(주) 스마트폰 커버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134B1 (ko) * 2006-02-28 2014-03-28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도막 보호 시트
KR101422827B1 (ko) * 2012-09-11 2014-07-24 정종환 굴곡진 화면용 강화유리보호글라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484452B1 (ko) 2014-08-25 2015-02-13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터치스크린 보호용 강화유리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866784B1 (ko) 2016-07-18 2018-06-12 문정호 3d 포밍 고경도 다층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0487027Y1 (ko) * 2017-12-26 2018-07-27 주식회사 네오팩토리 휴대폰 화면 보호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332A (ko) 202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1479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using having insert molding around antenna
KR101542411B1 (ko) 이동단말기
EP3276445B1 (en) Waterproof electronic device
KR20170129195A (ko) 카메라 모듈 및 단말기
KR102165132B1 (ko) 3d 곡면유리용 점착필름 및 이를 구비한 3d 곡면유리
KR20200041042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US20210100122A1 (en) Electronic device with a liquid-activated seal
CN211087782U (zh) 柔性显示屏及电子设备
US20170085286A1 (en) Enhanced sidewalls of an accessory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CN107633769A (zh) 终端、显示屏组件以及用于保护终端显示屏的组件
KR102442159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66790A (ko) 커버 테이프
US20200334510A1 (en) Rfid chip protect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993273B1 (ko)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점착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40295157A1 (en) Window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window
CN108924281B (zh) 中框、移动终端及中框的制作方法
CN107749245A (zh) 电子设备的oled显示屏及电子设备
CN111273732B (zh) 一种电子设备
KR101806355B1 (ko) 방수, 내충격 및 차광을 위한 테이프
JP5752922B2 (ja) フィルム状部材及びその貼り付け方法
WO2021240428A1 (en) Double-sided adhesive tape
KR102669521B1 (ko) 방열기능이 부가된 폴더블형 휴대폰 케이스
CN110556062A (zh) 一种屏幕组件及可穿戴设备
KR20140124034A (ko) 단면테이프를 합지하여 제조하는 안테나 및 단면테이프를 합지하여 안테나를 제조하는 방법
KR102211086B1 (ko) 전면 디스플레이용 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