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925B1 -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925B1
KR102164925B1 KR1020190034102A KR20190034102A KR102164925B1 KR 102164925 B1 KR102164925 B1 KR 102164925B1 KR 1020190034102 A KR1020190034102 A KR 1020190034102A KR 20190034102 A KR20190034102 A KR 20190034102A KR 102164925 B1 KR102164925 B1 KR 102164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upport
bracket
vertical fram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3623A (ko
Inventor
민효기
Original Assignee
(주)스피드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피드랙 filed Critical (주)스피드랙
Priority to KR1020190034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925B1/ko
Priority to US16/705,897 priority patent/US11039686B2/en
Publication of KR20200113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8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with four vertical uprigh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of metal only
    • A47B47/021Racks or shelf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0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 A47B57/1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the grooved or notched parts being the side walls or uprights thems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2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tongues, pins or similar projecting means coacting with openings
    • A47B57/2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tongues, pins or similar projecting means coacting with openings characterised by shape or orientation of opening, e.g. keyhole-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4Shelves characterised by support bracket location means, e.g. fixing means between support bracket and shel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8Very short brackets, quickly attachable or detachable to a vertical support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08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regularly perfo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63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02Adjustable furniture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03Adjustable furniture join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essential features of rigid construction
    • A47B55/0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essential features of rigid construction made of w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반의 조립이 편리하고 빠르며, 조립 후 선반이 견고하게 결합 유지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외벽 및 도어를 조립할 수 있어 고급화 하였으며, 조립키트를 통해 선반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복수개의 선반을 임의로 배열하여 설치 환경에 맞게 조립이 가능하고, 특히 끼움돌기와 끼움홈의 결합방식을 채택하여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받침판만 분리하여 재조립 할 수 있어 수납부의 높낮이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SHELF ASSEMBLY}
본 발명은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반의 조립이 편리하고 빠르며, 조립 후 선반이 견고하게 결합 유지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외벽 및 도어를 조립할 수 있어 고급화 하였으며, 조립키트를 통해 선반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복수개의 선반을 임의로 배열하여 설치 환경에 맞게 조립이 가능하고, 특히 끼움돌기와 끼움홈의 결합방식을 채택하여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받침판만 분리하여 재조립 할 수 있어 수납부의 높낮이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선반에 있어서, 물건의 크기에 따라 선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등록실용신안 제20-0228609호, 공개특허 제10-2009-0026588호, 공개특허 제10-2005-0078911호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들은, 선반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앵글의 결합 구조 내지 결합수단을 제시하고 있으나, 선반의 탈착을 위해 공구로 볼트를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선반을 고정하기 위한 결합돌기의 구조 상 많은 무게를 지탱하기에 어렵고 그 제작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특히 상기 종래기술들은, 선반 위에 물건을 놓아서 보관할 수 있는 구조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활용도가 떨어지고, 2개 이상의 선반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경우 조립된 선반 전체의 형태가 고정적이어서 설치장소에 많은 제약이 따르며 조립된 선반의 디자인이 획일화되어 다양한 디자인 연출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조립식 선반(등록번호 10-1845802호)을 제시하였으나, 상기 선반은 프레임의 결합홈이 그대로 노출되고, 사방이 개방된 형상을 이루고 있어 미관이 수려하지 못하고, 이를 개선하여 보다 고급화하는 조립식 선반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본체에 외벽유닛 및 도어유닛을 조립식으로 사용자의 임의대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조립식 선반에 비하여 보다 고급화할 수 있는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각종 브라켓을 포함하는 조립키트를 구비함에 따라 설치 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둘 이상의 본체를 임의로 배열하되,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수직프레임의 상하길이를 변경할 수 있고, 본체를 배열하는 경우 코너부분에도 직교시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는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끼움홈이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에 형성되는 수직프레임과,
연결부와 받침부로 이루어져,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상기 연결부 양측에 구비되는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에 수평프레임을 결합하여 복수의 수납부를 형성하도록 조립되는 본체;
상기 수평프레임의 받침부에 지지되도록 조립되는 받침판;
상기 수납부 중 일부 또는 모두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수납부 측면 또는 후면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되는 외벽과, 상기 외벽의 후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는 외벽용 브라켓을 포함하는 외벽유닛;
상기 수납부 중 일부 또는 모두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수납부 전면에 구비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납부를 개폐하는 도어로 이루어진 도어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는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복수개의 수납부를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수납부의 측면 또는 후면 또는 이들 모두를 가릴 수 있도록 조립가능하게 구비되는 외벽유닛 및 수납부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조립 가능한 도어유닛을 구비함으로서, 사용자가 원하고자 하는 위치의 수납부에 외벽유닛과 도어유닛을 조립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리즈를 보다 완벽하게 충족시키고, 종래의 선반 어셈블리에 비하여 고급화를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해 구비되는 끼움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미관을 수려하게 하고,
각종 브라켓 및 연결구를 포함하는 조립키트를 통하여 본체의 상하 길이를 변경할 수 있고, 나아가 복수의 본체를 배열함에 있어 코너부분에도 배열이 가능하며 배열 후, 상기 조립키트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안정성 및 범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프레임의 상세도
도 3a 및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프레임의 상세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레일의 상세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레일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상세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외벽용 브라켓의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둥프레임을 고정하는 고정클립의 상세도
도 8a 및 8b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연결용 브라켓의 상세도
도9a 및 도9b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용 브라켓의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격자벽을 연결하는 격자벽용 브라켓의 상세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봉을 연결하는 고정봉용 브라켓의 상세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프레임을 연장하는 연장용 브라켓의 상세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A)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직프레임(12)과 복수의 수평프레임(13) 및 받침판(14)을 통하여 복수의 수납부(11)를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수납부(11)에 구비되는 외벽유닛(20) 및 도어유닛(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다양한 형상으로 조립 및 배열시킬 수 있도록 각종 브라켓을 포함하는 조립키트(K)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조립키트(K)의 사용은 사용자의 임의대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의 다양성을 높이고, 외벽유닛(20)과 도어유닛(30)을 통하여 제품을 고급화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브라켓은 그 사용 용도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각각의 브라켓을 나누어 도면과 비교하여 설명하도록 하나, 서로 다른 브라켓들 사이에 지칭하는 용어가 혼용될 수 있으나, 이는 도면을 참고하여 서로 다른 구성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1은 조립도를 도시한 것이나, 도2 내지 도12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사용상태를 부분화 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들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을 명시하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은 도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지지부(121)와 제2지지부(122)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끼움홈(16)이 상기 제1지지부(121)와 제2지지부(122)에 형성되는 수직프레임(12)과, 직각형상으로 연결된 연결부(131)와 받침부(133)로 이루어져, 상기 끼움홈(16)에 끼워지는 끼움돌기(15)가 상기 연결부(131) 양측에 구비되는 수평프레임(13)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2)에 수평프레임(13)을 결합하여 복수의 수납부(11)를 형성하도록 조립되는 본체(10)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프레임(12)의 제1지지부(121)는 외측에 형성되는 제1-1지지부(121a)와 상기 제1-1지지부(121a)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1지지부(121a) 내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2지지부(121b)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프레임(12)의 제2지지부(122)는 외측에 형성되는 제2-1지지부(122a)와 상기 제2-1지지부(122a)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2-1지지부(122a) 내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2지지부(122b)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홈(16)은 상기 제1-2지지부(121b)와 제2-2지지부(122b)에만 형성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프레임(12)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2)은 제1지지부(121)와 제2지지부(122)가 서로 직각으로 절곡된 형사이 일정한 길이로 이루어진 프레임으로서, 상기 제1지지부(121)는 외면에 노출되는 제1-1지지부(121a)와 상기 제1-1지지부(121a)로부터 180도 절곡되되, 상기 제1-1지지부(121a)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제1이격홈(124a)을 형성하는 제1-2지지부(121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부(122)는 상기 제1지지부(121)와 마찬가지로, 외면에 노출되는 제2-1지지부(122a)와, 상기 제2-1지지부(122a)로부터 180도 절곡되되, 상기 제2-1지지부(122a)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제2이격홈(124b)을 형성하는 제2-2지지부(122b)로 이루어지게 된다.(이하 상기 제1이격홈(124a)과 제2이격홈(124b)을 통틀어 '이격홈(124)'이라 지칭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끼움홈(16)은 상기 제1-2지지부(121b)와 제2-2지지부(122b)에 형성되고, 제1-1지지부(121a)와 제2-1지지부(122a)에는 홈이 형성되지 않음에 따라, 선반 설치 후, 상기 끼움홈(16)이 외면에 노출되지 않음으로서 미관을 보다 수려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이격홈(124)은 상기 끼움홈(16)에 후술하는 끼움돌기(15)를 결합하는 경우, 상기 끼움홈(16)을 관통한 끼움돌기(15)의 일부가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구성되고, 상기 끼움홈(16)은 상기 수직프레임(12)에 수평프레임(13)을 조립함에 있어, 상기 수평프레임(13)의 조립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동일 간격으로 복수개로 구비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1개의 끼움홈(16)이 일렬 또는 2개 이상의 끼움홈(16)이 다열 배열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수직프레임(12)을 설치함에 있어, 최상단부 또는 최하단부를 마감하기 위한 프레임캡(126)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프레임캡(126)은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의 끼움부(126a)가 형성된 구조로, 상기 이격홈(124)에 입설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2)의 단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프레임캡(126)은 경질재질보다는 고무, 실리콘 등의 연질재질로 구성되어 수직프레임(12) 하부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미끄러짐을 함께 방지하고, 미관을 수려하게 하며 모서리에 의해 사용자가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은 본체(10)에 구비되는 수평프레임(13)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수평프레임(13)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연결부(131)와 상기 연결부(131) 상부에 직각을 이루어 구비되는 받침부(133)(상기 받침부(133)로부터 하향 절곡되는 레일형성부(311c)가 더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후술하는 상부레일(311)의 기능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필수구성은 아니며, 이는 하기 상부레일(311)을 설명함에 있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13)의 양측에는 끼움돌기(15)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끼움돌기(15)는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상기 끼움홈(16)들의 상하 이격간격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되어 복수개로 구비되거나, 단일로 구비도리 수 있으나,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조립 안정성을 보다 확보할 수 있으며, 만약 끼움홈(16)이 다열 배열되는 경우, 상기 끼움돌기(15)도 상기 끼움홈(16)에 맞춰 복수개가 다열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한 상기 수평프레임(13)의 중앙에는 상기 끼움홈(16)과 마찬가지 형상의 보조끼움홈(135)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끼움홈(135)은 상기 본체(10)를 코너에 연결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수직프레임(12)과 수평프레임(13)은 끼움돌기(15)와 끼움홈(16)의 결합방식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각 모서리에 연결된 수평프레임(13)의 받침부(133)를 통해 사용자가 받침판(14)을 올려 놓아 하나의 수납부(11)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도 2a 및 도3을 통하여 상기 끼움홈(16) 및 끼움돌기(15)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끼움돌기(15)는 상기 수평프레임(13)의 연결부(131)에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끼움돌기(15)에 의한 지지력을 견고하게 보장할 수 있도록,
상기 끼움돌기(15)는 연결부(131)로부터 돌출된 몸체부(153)와, 상기 몸체부(153)와 연결되어 돌출 형성된 날개부(1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날개부(155)가 몸체부(153)보다 더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필수구성요소는 아니다.
상기 날개부(155)가 상기 끼움홈(16)에 끼워지면서, 상기 날개부(155)가 끼움홈(16) 양측의 수직프레임(12) 내측면(이격홈(124) 내의 면)에 접촉되어 수평프레임(13)이 수직프레임(12)에 고정되고, 이 때 몸체부(153)는 수직프레임(12)의 수직방향 하중을 지지하게 되고, 날개부(155)는 수직프레임(12)의 내측 사선방향으로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끼움홈(16)은 상기 날개부(155)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상측 광폭부(161)와, 상기 몸체부(153)가 억지 끼움되도록 몸체부(153)의 폭보다 좁게(미세하게 작거나 동일) 형성된 하측 협폭부(163) 및 상기 광폭부(161)와 협폭부(163)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광폭부(161)보다 좁으면서 협폭부(163)보다 넓게 형성된 중간 너비부(165)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끼움홈(16)의 폭들 사이의 너비는 광폭부(161)>너비부(165)>협폭부(163)의 크기 관계를 갖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끼움돌기(15)를 광폭부(161)에 삽입하면, 수평프레임(13)의 하중에 의해 몸체부(153)가 너비부(165)에 걸리면서 1차 끼움되고, 이 상태에서 망치 등의 공구를 이용해 수평프레임(13)을 가격하면, 몸체부(153)가 협폭부(163)로 억지 끼움되면서 끼움돌기(15)가 끼움홈(16)에 견고하게 끼워져 결합된다.
이러한 끼움돌기(15)와 끼움홈(16)을 이용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수직프레임(12)에 상기 수평프레임(13)들을 사각 형상으로 끼워서 조립한 후, 상기 받침부(133)에 받침판(14)이 지지되도록 안착시키면, 받침판(14) 위에 물건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 경우, 받침판(14)은 수직프레임(12)의 내측, 즉 직각으로 연결된 제1지지부(121)와 제2지지부(122) 사이에 안착되므로 별도의고정이 필요 없으나, 받침부(133) 상에 볼트체결공(133a)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받침부(133)에 안착된 받침판(14)을 볼트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체(10)는 수평프레임(13)을 수직프레임(12)의 끼움홈(16)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여 받침판(14)의 높이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연장용 브라켓(90)을 이용하여 선반 전체의 높이를 변경하여 설치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선반의 조립에 볼트의 사용이 불필요하여 조립이 쉽고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4a 및 도4b 그리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에 도어(33)가 조립될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도어유닛(30)(도어(33)를 포함하는 구성을 지칭한다.)은 복수개의 수납부(11)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수납부(11)의 전면에 구비되어 수납부(11)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도어유닛(30)은 우선 도어(33)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도4a에 도시된 상부레일(311)과 도4b에 도시된 하부레일(3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본 명세서에서의 레일(31)은 상부레일(311)과 하부레일(313)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도4a를 참조하여 상부레일(311)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상부레일(311)은 상기 수평프레임(13)과 유사한 형상으로 양측에 끼움돌기가 구비된 전면연결부(311a)와, 상기 전면연결부(311a) 상부에 절곡 형성된 상부받침부(311b) 그리고 앞서 잠깐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받침부(311b)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상기 전면연결부(311a)와 이격되어 상부레일홈(311d)을 형성하는 레일형성부(311c)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도어(33)가 결합되면, 상기 도어(33)의 상부가 상기 레일형성부(311c)에 인입되어 좌우방향으로 안전하게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게 되며, 상기 수평프레임(13) 모두를 상기 상부레일(311)로 대체하여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도어(33)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부레일(311)과 수평프레임(13)을 구분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도4b는 하부레일(313)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하부레일(313)은 상기 상부레일(311)과 다른 구조를 가지고 손쉽게 수납부(11) 전면에 끼움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우선, 하부레일(313)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받침부(133) 위에 놓여지는 받침판(14) 전면에 끼워지는 끼움판(313a)과, 상기 끼움판(313a)에 직각으로 구비되어 하부레일홈(313c)을 형성하는 바닥판(313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판(313b) 상부에는 복수의 레일돌기가 구비되어 하부레일홈(313c)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하부레일(313)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받침부(133) 상부에 받침판(14)을 올려놓은 후, 이 받침판(14) 전면에 끼움판(313a)을 끼워넣어 고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하부레일(313)의 양측은 결과적으로 상기 수직프레임(12)의 어느 한 지지부와 받침판(14)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받침판(14)과 수직프레임(12) 사이의 간극이 좁아 상기 하부레일(313)은 이 간극에 억지끼움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끼움판(313a)의 하부 돌출정도는 상기 받침판(14)의 두께와 같거나 작게 이루어져 상기 바닥판(313b)이 상기 받침판(14) 상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5는 상기 상부레일(311)과 하부레일(31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33)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어(33)는 판상형으로 이루어져 레일(31)(상기 상부레일(311)과 하부레일(313)을 통합하여 지칭한다.)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도어(33)에는 손잡이공(331)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공(331)에는 손잡이프레임(3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프레임(35)은 고급화 및 손잡이공(331)의 마감, 내구성을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1손잡이(351)와 제2손잡이(352)가 양측에서 상호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손잡이(351)는 원통형의 바디(351a)와, 상기 바디(351a) 일측에 직경이 넓게 형성되는 제1외플랜지부(351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손잡이(352)는 상기 원통형의 바디(351a) 일측에 결합되는 결합돌출부(352a)와, 상기 결합돌출부(352a) 일측에 구비되는 원형의 제2외플랜지부(352b)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351a)에는 상기 결합돌출부(352a)가 인입될 수 있는 결합홈부(351a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결합홈부(351aa)에는 체결돌기(351ab)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돌출부(352a)에는 상기 체결돌기(351ab)가 끼움결합되는 체결홈(352aa)이 형성되어, 상기 제1손잡이(351)와 제2손잡이(352)를 상기 손잡이공(331)의 양측에서 끼우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제1외플랜지부(351b)와 제2외플랜지부(352b)가 상기 손잡이공(331)의 주변에 밀착됨에 따라 손잡이프레임(35)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미관을 수려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도6a 및 도6b는 본체(10)에 구비되는 외벽유닛(20)을 구성하는 외벽용 브라켓(23)과 외벽(21)에 대한 것으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상기 외벽용 브라켓(23)은 상기 외벽(21)의 내측을 지지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외벽(21)을 조립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몸체(231)와, 상기 몸체(231)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끼움홈(16)에 결합되는 결합돌기(233)와, 상기 몸체(231)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부(11)에 구비되는 외벽(21) 내측을 지지하는 지탱부(235)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외벽용 브라켓(23)은 상기 수직프레임(12)의 끼움홈(16)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몸체(231) 일측에는 결합돌기(23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돌기(233)는 기둥부(233a)와, 상기 기둥부(233a)보다 직경이 큰 헤드부(233b)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둥부(233a)와 헤드부(233b)는 모두 원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기둥부(233a)는 상기 끼움홈(16)의 협폭부(163)에 억지끼움될 수 있는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부(233b)는 광폭부(161)는 관통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이격홈(124) 내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231)에는 돌출 형성된 지탱부(235)가 구비되며, 상기 지탱부(235)는 몸체(231)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 외벽안치부(235a)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지탱부(235)의 반대방향에는 코너에 인접하는 두 개의 외벽용 브라켓(23)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대각선으로 깎인 사선커팅부(231a)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외벽(21)은 도어(33)와 마찬가지로 판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조립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외벽(21)을 수납부(11)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위치시키면, 상기 외벽(21)의 상하부는 상기 수평프레임(13)의 연결부(131)에 지지되고, 이 때 상기 외벽용 브라켓(23)을 고정하면, 상기 외벽(21)의 좌우 양측 내측은 상기 외벽용 브라켓(23)의 지탱부(235), 보다 정확하게는 외벽안치부(235a)에 위치하여 지탱부(235)가 지지함으로서 외벽(21)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본체(10)를 배열하고, 수직프레임(12)을 복수개 연장할 수 있으며, 측면에 외벽(21)이 아닌 격자벽 또는 고정봉을 설치할 수 있도록 각종 브라켓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립키트(K)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각각의 브라켓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7은 본체(10)를 서로 평행하게 배열할 때 사용하는 연결용 브라켓, 즉 고정클립(40)에 관한 것으로서,
인접하는 수직프레임(12)을 서로 고정하여 본체(1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클립(40)은 'U'자 형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수용부(411)를 형성하는 클립본체(41)와, 상기 클립본체(41) 양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43)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클립본체(41)에는 상기 수용부(411) 방향으로 돌출된 탄성지지편(413)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우선 상기 탄성지지편(413)은 상기 클립본체(41)에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으로서, 상하 커팅부(413a)를 갖으며 상기 수용부(411)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클립(40)은 수직프레임(12)을 인접할 때, 서로 밀착되는 한 쌍의 지지부(제1지지부(121) 또는 제2지지부(122))를 감싸도록 끼워 상호간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서로 밀착된 지지부를 상기 수용부(411)에 인입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이 때 상기 탄성지지편(413)이 상기 밀착되는 지지부에 형성되는 끼움홈(16)에 끼워져 상기 고정클립(40)이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43)가 상기 수직프레임(12) 내측에 밀착될 수 있어 지지력을 더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복수개의 본체(10)를 나란하게 배열하여도, 상기 고정클립(40)에 의해 인접하는 서로 다른 본체(10)의 수직프레임(12)들이 서로 고정되어 내구성을 보다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도8a 및 도8b는 또 다른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수직프레임(12) 양측에 수평프레임(13)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내외측브라켓(50)에 관한 것이다.
이는 본체(10) 두 개를 연결함을 예시로 들었을 때, 인접하는 본체(10)에 있어서 가장자리의 수직프레임(12)이 두 개가 배열되게 되는데,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이 수직프레임(12) 중 어느 하나를 제거하고, 하나의 수직프레임(12) 양쪽에 수평프레임(13)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는 본 발명의 수직프레임(12)의 끼움홈(16)이 내측에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한 브라켓으로서,
어느 한 수직프레임(12)을 기준으로 수직프레임(12)의 내측에 결합되는 내측브라켓(51)과, 이 내측브라켓(51)에 결합되어 수직프레임(12)의 외측(선반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는 외측브라켓(53)으로 구성된다.
우선, 상기 내측브라켓(51)과 외측브라켓(53)은 상기 수평프레임(13)과 마찬가지로 연결부(511)(531)와 상기 연결부 상부에 구비되는 받침부(512)(533)가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여 이에 대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8a는 내측브라켓(51)을 도시한 것으로서, 일반 수평프레임의 차이는 상기 연결부(511) 양측에 내측으로 단턱진 내단턱부(513)가 형성되고, 이 내단턱부(513)에 끼움돌기(513a)가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511)에는 서로 이격된 끼움홈(511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단턱부(513)의 끼움돌기(513a)를 수직프레임(12)에 결합시키면, 내단턱부(513)와 연결부(511)의 단차에 의해, 상기 연결부(511)가 수직프레임(12)의 외면과 나란하도록 위치하게 되고, 이 때 상기 외측브라켓(53)을 상기 내측브라켓(51)에 결합하게 된다.
상기 외측브라켓(53)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연결부(531)에는 상기 내측브라켓(51)에 구비되는 끼움홈(511a)에 결합될 수 있는 끼움돌기(531a)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531) 양측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측벽부(535)가 형성되고, 이 측벽부(535)에 끼움홈(535a)이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내측브라켓(51)과 외측브라켓(53)을 상호 연결시키면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되고, 이 때 상기 측벽부(535)에 형성된 끼움홈(535a)에 또 다른 수평프레임의 끼움돌기(15)를 끼워넣음에 따라 하나의 수직프레임(12) 양측에 수평프레임(13)을 모두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가 된다.
도9a 및 도9b는 코너용 브라켓(60)을 도시한 것으로서, 인접하는 두 개의 본체(10)를 서로 직교하여 배열(도9b참조)할 때 사용하는 브라켓이다.
상기 코너용 브라켓(60)은 내부에 공간부(611)가 형성된 바디(61)와, 상기 바디(61) 일측에 연장형성되며, 상기 바디(61)와 유사한 'ㄱ'자 형상을 이루도록 직교된 판부(63)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바디(61)의 일면(상기 판부(63)가 형성된 방향)에는 끼움홈(613)이 형성되고, 상기 판부(63)에도 끼움홈(631)이 형성되며, 상기 바디(61)의 타면(상기 끼움홈(613)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는 끼움돌기(6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상기 코너용 브라켓(60)은 상기 본체(10)를 코너에 배열하는 경우, 선반의 전면에 수직으로 인접한 선반의 측면이 밀착되게 되고, 이 때 이 두 개의 본체(10)를 상호 고정하여 안정성을 확보하고, 수직프레임(12) 하나를 제외시켜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구비된 브라켓이다.
도9b를 참조하여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좌측의 선반을 제1선반(A1)이라하고, 우측의 선반을 제2선반(A2)이라 하며, 결합관계를 보이기 위하여 제2선반(A2)의 받침판(14)은 생략하였다.
우선, 단순하게 두 개의 본체(10)를 도면과 같이 배열하면, 도9b의 일점쇄선부분에 수직프레임(12)이 하나 구비되어야 하며, 수직프레임(12)이 구비되면, 제1선반(A1) 구석에 있는 물건을 꺼내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미관을 해치고 수납공간에 제약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코너용 브라켓(60)은 이를 해결함과 동시에 두 개의 본체(10)를 서로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선, 상기 바디(61)에 형성된 끼움돌기(615)를 상기 제1선반(A1)의 수평프레임(13)에 구비되는 보조끼움홈(135)에 체결하게 되고, 상기 바디(61)에 형성된 끼움홈(613)이 제2선반(A2)의 좌측 수평프레임(13)의 끼움돌기(15)를 체결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판부(63)의 끼움홈(631)에는 제2선반(A2)의 전면 수평프레임(13)의 끼움돌기(15)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제1선반(A1)과 제2선반(A2)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바디(61)에 공간부(611)가 형성되는 것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선반과 제2선반 수단에 밀착되는 수직프레임(12)의 지지부의 폭을 고려하기 위함과, 상기 바디(61)에 형성된 끼움홈(613)에 끼움돌기가 결합되는 경우, 관통된 끼움돌기가 내제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이렇게 공간부(611)가 노출되면 미관이 수려하지 않고,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도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마감부재(65)를 더 구비하여 공간부(611) 상부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0은 외벽(21)이 형성되지 않는 선반의 측부에 격자벽을 설치하여 옷걸이 등을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격자벽용 브라켓(70)으로서,
상기 격자벽용브라켓(70)은 바디(71)와, 상기 바디(71) 일측에 구비되어 끼움홈(16)에 끼워질 수 있는 결합돌기(73)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71)에는 사선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고정홈(7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홈(711)의 단부, 즉 가장 깊은 곳에는 격자벽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713)이 더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결합돌기(73)는 앞서 외벽용 브라켓(23)에 구비되는 결합돌기(233)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상기 격자벽용 브라켓(70)을 상기 수직프레임(12)의 끼움홈(16)에 결합시킨 후, 사용자가 격자벽을 상기 고정홈(711)에 위에서 사선방향 아래로 끼우면 간편하게 조립되어 사용 및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상기 걸림턱(713)에 의해 쉽게 분리가 되지 않으며, 상기 고정홈(711)이 복수개로 구비됨에 따라 상황에 따라 설치 높이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효과 또한 가지고 있다.
도11은 상기 도10과 유사한 것으로서, 고정봉을 설치하기 위한 고정봉용 브라켓(80)에 관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81)와 결합돌기(8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81)에는 상기 격자벽용 브라켓(70)과 유사하게 고정홈(811)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봉을 한 쌍의 고정봉용 브라켓(80) 사이에 조립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는 앞서 격자벽용 브라켓(70)과 그 쓰임새 및 장착 방식이 유사하여 쉽게 유추 가능한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12는 선반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수직프레임(12)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고안된 연장용 브라켓(90)에 관한 것으로, 도1과 도12를 참조하여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상기 연장용 브라켓(90)은 전체 형상이 상기 수직프레임(12)의 형상과 동일한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하부끼임부(92)와 상부끼임부(91)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하부끼임부(92)와 상부끼임부(91) 사이에는 스토핑돌기(93)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용 브라켓(90)은 상기 스토핑돌기(93)를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두 개의 수직프레임(12)을 상하로 배열할 때 하부의 수직프레임(12)에 상기 하부끼임부(92)가 인입되고 상부의 수직프레임(12)에 상기 상부끼임부(91)가 인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보다 정확하게는 수직프레임(12)의 이격부에 상기 상부끼임부(91)와 하부끼임부(92)가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토핑돌기(93)는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데, 두 개의 수직프레임(12) 내에 동일한 면적이 인입되어 힘을 균등하게 배분하는 기능과, 상기 연장용 브라켓(90)을 아래쪽 수직프레임(12)에 끼우는 경우, 연장용 브라켓(90)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스토핑돌기(93)가 두 수직프레임(12) 단부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보다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부끼임부(91)와 하부끼임부(92) 내측에는 마찰력 상승 및 수직프레임(12)의 끼움홈(16)에 인입될 수 있는 복수의 마찰돌기(94)를 구비하여 일정한 힘을 가하지 않고는 쉽게 분리가 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며, 각 꼭지점에는 사선방향의 진입안내부(96)를 더 구비하여 보다 손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의 편의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코너부분에는 보강살(95)을 복수개로 구비하여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 10 : 본체
20 : 외벽유닛 30 : 도어유닛
K : 조립키트

Claims (4)

  1. 제1지지부(121)와 제2지지부(122)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끼움홈(16)이 상기 제1지지부(121)와 제2지지부(122)에 형성되는 수직프레임(12)과,
    연결부(131)와 받침부(133)로 이루어져, 상기 끼움홈(16)에 끼워지는 끼움돌기(15)가 상기 연결부(131) 양측에 구비되는 수평프레임(13)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2)에 수평프레임(13)을 결합하여 복수의 수납부(11)를 형성하도록 조립되는 본체(10);
    상기 수평프레임(13)의 받침부(133)에 지지되도록 조립되는 받침판(14);
    상기 수납부(11) 중 일부 또는 모두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수납부(11) 측면 또는 후면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되는 외벽(21)과, 상기 외벽(21)의 후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12)에 결합되는 외벽용 브라켓(23)을 포함하는 외벽유닛(20);
    상기 수납부(11) 중 일부 또는 모두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수납부(11) 전면에 구비되는 레일(31)과, 상기 레일(3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납부(11)를 개폐하는 도어(33)로 이루어진 도어유닛(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외벽유닛(20)의 외벽용 브라켓(21)은
    몸체(231)와, 상기 몸체(231)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끼움홈(16)에 결합되는 결합돌기(233)와, 상기 몸체(231)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부(11)에 구비되는 외벽(21)의 내측을 지지하는 지탱부(235)로 이루어져,
    상기 외벽(21)의 상하부 외측은 상기 수평프레임(13)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외벽(21)의 좌우 내측은 상기 외벽용 브라켓(23)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수납부(1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유닛(30)의 레일(31)은
    도어(33)의 상부와 하부가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레일(311) 및 하부레일(313)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레일(311)은
    양단에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2)에 결합되는 전면연결부(311a)와, 상기 전면연결부(311a) 상부에 절곡 형성되는 상부받침부(311b)와 상기 상부받침부(311b) 후단에 하향 절곡 형성되는 레일형성부(311c) 및 상기 전면연결부(311a)와 레일형성부(311c) 사이에 형성되는 상부레일홈(311d)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본체(10)를 서로 평행하게 배열할 때 사용되는 연결용 브라켓인 고정클립(40),
    복수개의 본체(10)를 코너에 배열할 때 사용되는 코너용 브라켓(60),
    상기 수직프레임(12) 상부에 또 하나의 수직프레임(12)을 연장할 때 사용되는 연장용 브라켓(90),
    측면에 격자벽을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격자벽용 브라켓(70),
    측면에 고정봉을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봉용 브라켓(8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립키트(K);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
  4. 삭제
KR1020190034102A 2019-03-26 2019-03-26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 KR102164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102A KR102164925B1 (ko) 2019-03-26 2019-03-26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
US16/705,897 US11039686B2 (en) 2019-03-26 2019-12-06 Prefabricated shelf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102A KR102164925B1 (ko) 2019-03-26 2019-03-26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623A KR20200113623A (ko) 2020-10-07
KR102164925B1 true KR102164925B1 (ko) 2020-10-13

Family

ID=72604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102A KR102164925B1 (ko) 2019-03-26 2019-03-26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039686B2 (ko)
KR (1) KR1021649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3935A1 (zh) * 2018-03-12 2019-09-19 杭州联和工具制造有限公司 货架
WO2022060888A1 (en) * 2020-09-16 2022-03-24 Perfect Site LLC Utility rack
US11202502B1 (en) * 2020-09-22 2021-12-21 Christopher H Berry Middle shelf installation tool
USD1013492S1 (en) * 2021-04-02 2024-02-06 Speedrack Co., Ltd. Hanging hook
KR20220147007A (ko) * 2021-04-26 2022-11-02 (주)스피드랙 조립식 앵글
KR102587453B1 (ko) * 2021-07-05 2023-10-11 (주)스피드랙 수평프레임 연장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하는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
KR102486596B1 (ko) * 2021-07-05 2023-01-09 (주)스피드랙 도어 가드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하는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
TWI777873B (zh) * 2021-12-15 2022-09-11 曾如玉 商品陳列架
KR102415981B1 (ko) * 2021-12-23 2022-07-05 (주)스피드랙 조립식 가구의 측판 조립용 지지대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 가구
CN217261344U (zh) * 2022-02-22 2022-08-23 青岛福友工具有限公司 一种可拆装式货架
KR102622973B1 (ko) * 2022-05-12 2024-01-10 (주)스피드랙 조립식 가구
USD1036244S1 (en) * 2022-08-12 2024-07-23 Ll&Tinternational, Llc Shelving uni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912B1 (ko) * 2006-07-11 2007-02-06 원욱성 진열장의 프레임 구조
KR101845802B1 (ko) * 2016-10-21 2018-04-05 (주)영진산업 조립식 선반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34161A (en) * 1929-11-05 Stobage structure
US1897568A (en) * 1929-07-15 1933-02-14 Lyon Metal Products Inc Merchandising table
FR1340300A (fr) * 1962-09-05 1963-10-18 Perfectionnement aux ouvrages de menuiserie
FR1357057A (fr) * 1963-02-20 1964-04-03 Perfectionnements aux meubles constitués d'éléments juxtaposables et superposables
US3276831A (en) * 1963-08-16 1966-10-04 Brunswick Corp Furniture assembly
US3637087A (en) * 1967-10-30 1972-01-25 Midland Machine Corp Joint structure
US3736035A (en) * 1971-06-01 1973-05-29 Dca Educational Products Inc Modular display assembly
FR2216760A5 (ko) * 1973-02-02 1974-08-30 Inova Creations
US3847458A (en) * 1973-12-26 1974-11-12 Tucker Mfg Corp Storage unit
DE69303165T2 (de) * 1992-04-01 1997-02-13 Spacemaker Ltd Rahmentragwerk für regaleinheit
US5601038A (en) * 1994-09-09 1997-02-11 Metro Industries, Inc. Supplemental shelving system for removably mounting shelves in a shelving structure
KR200228609Y1 (ko) 2001-01-11 2001-06-15 황광석 조립식 앵글선반 결합구조
US6681705B2 (en) * 2001-05-18 2004-01-27 Hirsh Industries Inc.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US20050127802A1 (en) * 2003-12-15 2005-06-16 Henry Chen Sectional cabinet
KR100622344B1 (ko) 2004-02-03 2006-09-14 최천순 조립식 선반장치용 선반받침
KR100919671B1 (ko) 2007-09-10 2009-10-06 최천순 무볼팅 조립식 선반장치
US9237803B2 (en) * 2011-11-30 2016-01-19 Paragon Furniture LP Modular shelving systems and methods
US8672150B2 (en) * 2012-08-02 2014-03-18 E-Make Co., Ltd. Modular shelving
US20150313357A1 (en) * 2014-01-17 2015-11-05 Silverack, Llc Shelving Units And Accessories
US20160270529A1 (en) * 2015-03-20 2016-09-22 Carla Hollins Furniture legs cinching device and method
US9788650B2 (en) * 2016-01-24 2017-10-17 Frank Tsai Foldable post for shelving apparatus
KR20180027058A (ko) * 2016-09-06 2018-03-14 배봉근 조립가구
KR101991463B1 (ko) * 2018-03-29 2019-06-20 (주)영진산업 비(非) 노출형 끼움홈을 구비한 조립식 선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912B1 (ko) * 2006-07-11 2007-02-06 원욱성 진열장의 프레임 구조
KR101845802B1 (ko) * 2016-10-21 2018-04-05 (주)영진산업 조립식 선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디자인공보 제30-0964322호(2018.07.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623A (ko) 2020-10-07
US11039686B2 (en) 2021-06-22
US20200305596A1 (en)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4925B1 (ko)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
KR101845802B1 (ko) 조립식 선반
KR101991463B1 (ko) 비(非) 노출형 끼움홈을 구비한 조립식 선반
US11241089B2 (en) Configurable bottle storage rack
KR101029151B1 (ko) 칸막이 패널의 고정 프레임
RU2763642C2 (ru) Ящик для настенной системы хранения
KR200445448Y1 (ko) 테이블의 다리구조
KR200465511Y1 (ko) 천장 판넬의 설치 구조
KR102257481B1 (ko) 육각형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KR101034904B1 (ko) 합성 목재를 이용한 기둥
KR200487788Y1 (ko) 행거용 지주받침대
KR102246527B1 (ko)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KR101145902B1 (ko) 조립식 가구
KR101191311B1 (ko) 주방용 조립식 선반
KR101539328B1 (ko) 다인용 공용 책상의 구획 설비
KR101711557B1 (ko) 브라인드 판넬 설치용 고정 프레임
KR20120003820U (ko) 조립식화장실의 칸막이용 걸레받이
KR200315602Y1 (ko) 조립식 책장의 선반구조
KR100594372B1 (ko) 조립식 걸이
CN217851883U (zh) 网片、网片固定件及网片置物架
CN211673263U (zh) 连接杆及其组成的家具
KR200438686Y1 (ko) 책상용 조립식 칸막이
CN212202742U (zh) 连接件及其组成的家具结构
KR200456443Y1 (ko) 수평체결방식의 선반구조물
KR20130002959U (ko) 건축용 천장판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