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311B1 - 주방용 조립식 선반 - Google Patents

주방용 조립식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311B1
KR101191311B1 KR1020100025600A KR20100025600A KR101191311B1 KR 101191311 B1 KR101191311 B1 KR 101191311B1 KR 1020100025600 A KR1020100025600 A KR 1020100025600A KR 20100025600 A KR20100025600 A KR 20100025600A KR 101191311 B1 KR101191311 B1 KR 101191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support frame
frame
support
kitche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6529A (ko
Inventor
전재권
Original Assignee
명진실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진실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명진실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5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311B1/ko
Publication of KR20110106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31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20Grids, racks or other supports removably mounted in, on or over sin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이나 식당의 주방이나 매장에 설치하여 물품을 올려놓기 위해 사용되는 선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품을 올려놓는 선반부와, 이 선반부를 벽면에 설치하기 위한 지지베이스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며, 지지베이스의 전면부에 다양한 장식적 요소를 제공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주방용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걸이구 수용부(2)와 걸이구삽입공(3)이 형성된 고정브라켓(1)으로 구성되는 고정부(B); 장방형의 선반프레임(10)과, 이 선반프레임(10) 하부에 형성되는 선반받침 프레임(11)과, 이 선반받침 프레임(11)이 삽입되도록 저면에 요입 형성된 선반받침프레임 결합홈(13)을 구비하면서 이 선반받침 프레임(11) 상부에 안착되는 선반(12)과, 상기 선반프레임(10) 후방의 중앙부에 상측으로 연장되는 지지프레임(15)을 구비한 선반조립부(S); 후면부에 상기 지지프레임(15)이 수용되는 지지프레임수용부(22)를 형성한 수용공간부(21)와 나사체결공(23)을 구비한 선반지지대 본체(20)와, 상기 수용공간부(21)를 외부와 차단하도록 하고, 상기 고정브라켓(1)의 걸이구삽입공(3)에 결합되기 위한 상기 선반지지대 본체(20)의 상단부에 절곡부(33) 및 이 절곡부(33)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돌부(34)로 이루어진 선반걸이구(31)가 형성되며, 하단부의 외면에는 하부받침대(32)를 형성한 후면커버(30)와, 상기 선반지지대 본체(20)의 전면에 결합되어 장식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전면커버(40)를 구비한 지지대조립부(P);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립식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주방용 조립식 선반{Prefabricated kitchen shelves}
본 발명은 가정이나 식당의 주방이나 매장에 설치하여 물품을 올려놓기 위해 사용되는 선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품을 올려놓는 선반부와, 이 선반부를 벽면에 설치하기 위한 지지베이스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며, 지지베이스의 전면부에 다양한 장식적 요소를 제공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주방용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장이나 가정에서 사용하는 선반 특히 싱크대의 수납장 하부에 설치되는 간이선반은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거나, 금속을 이용한 조립체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간이선반을 효과적으로 벽면이나 싱크대 선반에 장착하기 위한 수단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는바, 대표적인 장착수단으로는 벽면에 못을 박고, 이 못에 걸어서 장착할 수 있는 구조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수단은 벽면에 못을 박아야 하므로 주방의 벽면이 손상될 염려가 있고, 일반인은 벽면의 손상 없이 못을 박기가 상당히 힘들게 되는 단점이 있는 수단이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벽면에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걸이봉을 한 쌍의 브라켓 사이에 장착하고, 이 걸이봉에 걸 수 있도록 선반체의 상단을 절곡하여 걸이부를 구성한 후, 이 걸이부를 걸이봉에 걸어 사용하도록 하는 수단이 실용신안등록 제20-0287486호와 실용신안등록 제20-0405626호로 제안되어 있다.
상기한 걸이봉을 이용한 수단은 편리하게 걸어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제공하는 것이나, 걸이봉과 선반의 걸이부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전체적인 선반의 미관을 해치게 되는 디자인적인 심미감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새로운 장착수단이 제공되었고, 그 대표적인 선반의 장착수단으로 싱크대 선반의 저면부에 걸이부를 형성하도록 된 것이 실용신안등록 제20-296946호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선반이나 행거 등을 좌우로 자유롭게 이동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실용신안등록 제20-0257829호의 행거 취부구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한 행거 취부구는, 알루미늄 또는 강도가 우수한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상부에는 지지편이 형성되고 하방에는 후단 저부가 개방된 삽치공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상의 삽치홈을 형성하고, 삽치홈의 후방 외측면에는 지지돌기가 형성되게 압출 성형한 행거취부구와;
행거부재를 일체로 취부하고 상부에는 상기한 삽치홈에 안치되는 삽치부와 지지부를 각각 형성한 지지편을 구비한 행거 취부구를 제공하여 선반을 걸기 위한 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취부구에 적합하게 장착할 수 있는 선반을 제공하여, 주방이나 매장의 전체적인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취부구에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선반을 제공하여, 선반에 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견고성을 가진 선반을 제공하며, 선반 자체에 다양한 장식수단을 구비하도록 하여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극대화한 주방용 조립식 선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반조립체를 벽면이나 수납장의 저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고정부;
일정한 형상으로 구성되는 선반프레임과, 이 선반프레임에 안착하는 선반과, 상기 선반프레임 후방의 중앙부에 상측으로 연장되는 지지프레임을 구비한 선반조립부;
후면부에 상기 지지프레임이 수용되는 지지프레임수용부를 형성하여 구성한 선반지지대 본체와, 이 선반지지대 본체의 상부에 고정브라켓과 결합하기 위한 선반걸이구가 형성되는 후면커버와, 전면에 장착되는 전면커버로 구성된 지지대조립부; 로 구성되는 선반조립체를 제공하여, 제작이 간단하고,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장식효과가 뛰어난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선반조립체는, 뛰어난 미관을 제공하여 장식효과를 상승시키며, 선반조립체의 조립과 분해가 간단하게 이루어짐에 따른 생산, 조립비용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첨부 도면 도 1은 본 발명 선반 조립체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정면부 단면도이고, 도 4는 측면부 단면도이며, 도 5 a, b, c는 고정브라켓의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선반지지대 본체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7은 후면커버에 형성된 탄성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걸이구 수용부(2)와 걸이구삽입공(3)이 형성된 고정브라켓(1)으로 구성되는 고정부(B);
일정한 형상으로 구성되는 선반프레임(10)과, 이 선반프레임(10) 하부에 형성되는 선반받침 프레임(11), 이 선반받침 프레임(11) 상부에 안착 되는 선반(12)과, 상기 선반프레임(10) 후방의 중앙부에 상측으로 연장되는 지지프레임(15)을 구비한 선반조립부(S);
후면부에 상기 지지프레임(15)이 수용되는 지지프레임수용부(22)를 형성하여 수용공간부(21)와, 나사체결공(23)을 구비한 선반지지대 본체(20)와, 이 수용공간부(21)를 외부와 차단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의 걸이구삽입공(3)에 결합되기 위한 상기 선반지지대 본체(20)의 상단부에 절곡부(33) 및 이 절곡부(33)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돌부(34)로 이루어진 선반걸이구(31)가 형성되며, 하단부의 외면에는 하부받침대(32)를 형성한 후면커버(30)와, 상기 선반지지대 본체(20)의 전면에 결합되어 장식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전면커버(40)로 구성되는 지지대조립부(P)로 구성되어 있다.
삭제
상기한 고정부(B)를 구성하는 고정브라켓(1)은 합성수지나 금속을 이용하여 압출 성형하는 것으로, 상면부나 후면부를 벽면 또는 수납장의 저면에 장착하도록 나사고정공(미도시)이 다수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걸이구삽입공(3)이 형성되며, 이 걸이구삽입공(3) 내측으로 지지대조립부(P)를 구성하는 선반걸이구(31)가 삽입되는 걸이구수용부(2)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선반조립부(S)는, 장방형의 선반프레임(10)을 구성하고, 이 선반프레임(10)의 하부에 조립되는 선반(12)을 받치도록 선반받침 프레임(11)을 연결 형성하며, 이 선반받침 프레임(11)의 상부에는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12)을 장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선반(12)은 다양한 심미감을 제공하기 위한 디자인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일정한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선반(12)은, 저면에 선반받침 프레임(1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선반받침프레임 결합홈(13)이 요입 형성하여 안착 되도록 하며, 이 선반받침프레임 결합홈(13)은 선반프레임(10)에 형성되는 선반받침프레임(11)의 수와 동일한 수로 형성된다.
상기 선반프레임(10)의 후방부 중앙에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지지프레임(15)을 형성하며, 이 지지프레임(15)은 별도로 제작하여 용접수단으로 장착하거나, 선반프레임(10)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 조립부(P)는, 선반지지대 본체(20)와 전면커버(40) 및 후면커버(30)로 분리 구성되며, 상기 선반지지대 본체(20)는 후면부에 수용공간부(21)가 요입 형성되며, 이 수용공간부(21)의 하부에 상기 선반프레임(10)에 장착된 지지프레임(15)이 수용될 수 있는 지지프레임수용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부(21)의 상하 동일선상 균등 분할된 지점에 나사체결공(23)을 다수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수용공간부(21)의 내측에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수용부(22)는 세로돌기(24)와 가로돌기(25)에 의해 지지프레임(15)이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5)의 형태와 동일한 모양으로 요입 형성한 결합요입부(22')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부(21)의 중앙가로돌기(25)와 하부의 받침가로돌기(25')와 세로돌기(24)(24')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수용부(22)는 상하에 대칭되게 2중으로 형성하여 조립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선반지지대 본체(20)의 전면부에는 다양한 색상과 무늬를 구비한 전면커버(40)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여 구성하며, 착탈 수단으로는 전면커버(40)의 후면에 다수의 체결돌기(41)를 형성하고, 이 체결돌기(41)가 삽입되는 체결공(26)을 상기 선반지지대 본체(20)에 대응되도록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선반지지대 본체(20)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커버(30)는, 상단부에 고정브라켓(1)의 걸이구수용부(2)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절곡부(33)와, 이 절곡부(33)의 하부에 소폭의 걸림돌부(34)를 형성하여 선반걸이구(31)를 구성하며, 하단부에는 상기 절곡부(33)에 의해 형성되는 돌출높이(t)와 동일한 높이로 하부받침대(32)를 돌출 형성한다.
상기 후면커버(30)의 내측면에는 선반지지대 본체(20)의 수용공간부(21)를 횡으로 가로지르는 가로끼움돌기(35)와, 선반지지대 본체(20)의 수용공간부(21) 측벽에 밀착되는 세로끼움돌기(36)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선반지지대 본체(20)와 후면커버(30)를 결합하는 수단으로는, 상기 후면커버(3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끼움돌부(37)를 절곡 형성하고, 상하로 균등분할되는 지점에 상기 선반지지대 본체(20)에 형성된 나사체결공(23)과 대응되는 지점에 나사조립공(38)을 형성하여 나사 체결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선반지지대 본체(20)의 양 측면에는 각각 다수의 끼움홈(28)을 형성하고, 이 끼움홈(28)과 대응하는 끼움돌기(39)를 후면커버(30)에 돌출 형성하여, 선반프레임(10)이 상기 끼움홈(28)에 결합되고, 후면커버(30)의 끼움돌기(39)가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3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선반걸이구(31)의 구성은 도면상 전면을 향하도록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 선반걸이구(31)와 결합되는 고정브라켓(1)의 형상에 따라 돌출방향이 변경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고정브라켓(1)과 선반걸이구(31)의 형상은 동업종에 종사하는 자에 의해 설계변경을 통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 선반조립부(S)를 구성하는 지지프레임(15)은 도면상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도시하였으나, 하부로 이어지는 하부연장부(15')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연장부(15')의 구성은 지지프레임(15)이 지지프레임수용부(22)에 안정적으로 결합하는 특징을 제공한다.
상기 후면커버(3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받침대(32)의 전면에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소재의 탄성체(32a)를 장착하여 벽면과의 접촉시 충격이 가해지거나 소음이 발생치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선반(12)을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2와 도 3을 참고하여, 선반지지대 본체(20)의 내부 수용공간부(21)에 형성된 지지프레임수용부(22)에 선반프레임(10)에 부착된 지지프레임(15)을 끼워 결합하면, 선반프레임(10)은 지지프레임수용부(22)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에서 선반프레임(10)이 끼움홈(28)과 지지프레임수용부(22)에 끼워져 정확한 장착위치에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수용공간부(21)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중앙가로돌기(25)는 지지프레임(15)의 내측으로 결합 된 상태로 되고, 하부에 형성된 받침가로돌기(25')의 상면부에 선반프레임(10)이 올려진 상태로 결합되어 안정된 장착상태를 이루는 것이다.
이어서 후면커버(30)를 수용공간부(21)에 결합하여 조립나사로 조립하게 되는데, 지지프레임(15)이 지지프레임수용부(22)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후면커버(30)를 수용공간부(21)에 끼우면, 가로끼움돌기(35)가 지지프레임(15)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밀착되고, 세로끼움돌기(36)가 수용공간부(21)의 내벽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결합된다.
선반지지대 본체(20)의 전면에서 나사체결공(23)에 조립나사를 결합하여 후면커버(20)의 나사조립공(38)과 나사 조립하여 고정한다.
이어서 선반지지체(20)의 전면에 전면커버(40)를 장착하게 되는데, 양 측면부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41)를 체결공(26)에 끼워 장착하는 것이다.
상기 체결돌기(41)의 끝 부분은 삼각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는 통상적인 체결수단이다.
상기 전면커버(40)는 조립을 이한 조립나사를 외부와 차단하여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다양한 색상과 무늬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장식적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선반지지대 본체(20)에 선반프레임(10)을 결합하고, 전면커버(40)화 후면커버(30)를 선반지지대 본체(20)에 각각 결합한 다음, 선반(12)을 상기 선반프레임(10)에 고정된 선반받침프레임(11)에 안착한다.
상기 선반(12)의 저면에는 선반받침프레임(11)이 수용되는 받침프레임결합홈(13)이 형성되어 있어,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선반(12)의 후면에는 선반지지대 본체(20)가 결합되는 지지대수용부(14)가 형성되어, 이 지지대수용부(14)에 선반지지대 본체(20)가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립된 선반조립체를 고정부(B)을 이용하여 벽면이나 수납장의 저면부에 장착 고정하게 되는데, 수납장의 저면에 장착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B)를 구성하는 고정브라켓(1)을 수납장 저면에 나사를 이용하여 조립한 후, 걸이구삽입공(3)에 후면커버(30)의 상단에 구비된 선발걸이구(31)를 삽입하여 장착하는 것이다.
상기 선반걸이구(31)가 걸이구삽입공(3)에 삽입되면, 절곡부(33)는 걸이구수용부(2)로 지입하게 되고, 걸림돌부(34)는 외측 저면에 밀착됨으로써 고정브라켓(1)에 선반조립체가 고정되는 것이다.
도 5a, b, c에는 본 발명의 선반을 고정브라켓(1)의 걸이구수용부(2)에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수단으로 고정브라켓(1)에 선반걸이구(31)가 끼워져 고정되면 벽면과 선반지지대 본체(20) 사이에 선반걸이구(31)의 돌출된 돌출높이(t)만큼 벌어지게 되어 비스듬하게 경사진 상태로 장착되게 되는데, 후면커버(30)의 하단에 돌출 형성된 하부받침대(32)가 상기한 돌출높이(t)를 보정하여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받침대(32)에는 탄성체(32a)를 장착하여, 물건을 선반(12)에 올려놓을 때의 충격을 흡수하는 작용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체(32a)의 장착수단으로는 접착제를 이용한 수단과, 결합공과 결합돌기를 이용한 끼워 맞춤식 결합수단, 커버 식으로 탄성체를 제작하여 덮어씌우는 고정수단, 체결나사를 이용한 고정수단 등 다양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고정수단은 동업종에 종사하는 전문가에 의해 설계변경을 통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선반지지대 본체(20)의 내부 수용공간부(21)에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수용부(22)는 중앙부를 기점으로 상하 대칭형으로 구성하여 지지프레임(15)의 결합작업시 융통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며, 선반지지대 본체(20)에 결합되는 후면커버(30)에 형성된 선반걸이구(31)의 방향이 상측을 향하도록 조립함으로써 완성된 결합상태를 얻게 되는 것이다.
1; 고정브라켓, 2; 걸이구수용부, 3; 걸이구삽입공, 10; 선반프레임, 11; 선반받침프레임, 12; 선반, 13; 받침프레임결합홈, 14; 지지대수용부, 20; 선반지지대 본체, 21; 수용공간부, 22; 지지프레임수용부, 23; 나사체결공, 24; 세로돌기, 25; 가로돌기, 26; 체결공, 28; 끼움홈, 30; 후면커버, 31; 선반걸이구, 32; 하부받침대, 33; 절곡부, 34; 걸림돌부, 37, 37'; 끼움돌부, 40; 전면커버, 41; 체결돌기, B; 고정부, P; 지지대조립부, S; 선반조립부

Claims (4)

  1. 걸이구 수용부(2)와 걸이구삽입공(3)이 형성된 고정브라켓(1)으로 구성되는 고정부(B);
    장방형의 선반프레임(10)과, 이 선반프레임(10) 하부에 형성되는 선반받침 프레임(11)과, 이 선반받침 프레임(11)이 삽입되도록 저면에 요입 형성된 선반받침프레임 결합홈(13)을 구비하면서 이 선반받침 프레임(11) 상부에 안착되는 선반(12)과, 상기 선반프레임(10) 후방의 중앙부에 상측으로 연장되는 지지프레임(15)을 구비한 선반조립부(S);
    후면부에 상기 지지프레임(15)이 수용되는 지지프레임수용부(22)를 형성한 수용공간부(21)와 나사체결공(23)을 구비한 선반지지대 본체(20)와, 상기 수용공간부(21)를 외부와 차단하도록 하고, 상기 고정브라켓(1)의 걸이구삽입공(3)에 결합되기 위한 상기 선반지지대 본체(20)의 상단부에 절곡부(33) 및 이 절곡부(33)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돌부(34)로 이루어진 선반걸이구(31)가 형성되며, 하단부의 외면에는 하부받침대(32)를 형성한 후면커버(30)와, 상기 선반지지대 본체(20)의 전면에 결합되어 장식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전면커버(40)를 구비한 지지대조립부(P);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립식 선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받침프레임 결합홈(13)은 선반프레임(10)에 형성되는 선반받침프레임(11)의 수와 동일한 수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립식 선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부(21)의 내측에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수용부(22)는, 지지프레임(15)의 형태와 동일한 모양의 결합요입부(22')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립식 선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30)의 후면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받침대(32)에는 탄성체(32a)를 장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립식 선반.
KR1020100025600A 2010-03-23 2010-03-23 주방용 조립식 선반 Active KR101191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600A KR101191311B1 (ko) 2010-03-23 2010-03-23 주방용 조립식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600A KR101191311B1 (ko) 2010-03-23 2010-03-23 주방용 조립식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529A KR20110106529A (ko) 2011-09-29
KR101191311B1 true KR101191311B1 (ko) 2012-10-16

Family

ID=44956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600A Active KR101191311B1 (ko) 2010-03-23 2010-03-23 주방용 조립식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3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593B1 (ko) * 2017-09-26 2019-11-21 이영숙 주방 선반 설치용 조립기구
KR102694543B1 (ko) * 2022-05-12 2024-08-13 (주)코시스엘케이 식기 건조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870Y1 (ko) 2003-11-17 2004-02-14 김창용 현가식 식기건조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870Y1 (ko) 2003-11-17 2004-02-14 김창용 현가식 식기건조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529A (ko) 201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5276A (en) Angle iron for supporting plates, panels or other objects and cabinet formed using angle irons of this type
KR20070019494A (ko) 조립식 선반
JP2013518621A (ja) 引出し収納部
KR101191311B1 (ko) 주방용 조립식 선반
KR200448088Y1 (ko) 붙박이장용 프레임의 커버부재 결합구조
WO2007023463A2 (en) A cooling device
KR200449302Y1 (ko) 선반받침대
KR200487788Y1 (ko) 행거용 지주받침대
KR101124410B1 (ko) 프런트 케이스의 체결구조
KR200448355Y1 (ko) 파티션의 상단프레임 체결구조 및 그 체결구
KR20100001317U (ko) 선반 고정장치
KR200397511Y1 (ko) 행거 조립체
KR20100004764A (ko) 선반 높이 조절 구조
KR101433897B1 (ko) 행거 지지대
KR200440903Y1 (ko) 책상다리의 기둥 구조
KR101307416B1 (ko) 미니선반
KR200332227Y1 (ko) 씽크 선반
KR101296439B1 (ko) 냉장고용 도어
KR102669523B1 (ko) 싱크대 선반
CN212325882U (zh) 一种家具的支撑脚
KR200474323Y1 (ko) 욕실 액세서리용 브래킷 조립체
KR200443182Y1 (ko) 주방용 선반
CN211021721U (zh) 高柜挂篮
KR200196805Y1 (ko) 선반설치용 구조물
KR200451430Y1 (ko) 욕실 벽면용 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0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0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