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343B1 - 오일젤에 분산된 탄산캔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일젤에 분산된 탄산캔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343B1
KR102164343B1 KR1020130158079A KR20130158079A KR102164343B1 KR 102164343 B1 KR102164343 B1 KR 102164343B1 KR 1020130158079 A KR1020130158079 A KR 1020130158079A KR 20130158079 A KR20130158079 A KR 20130158079A KR 102164343 B1 KR102164343 B1 KR 102164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acid
cosmetic composition
water
carbonated can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8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1265A (ko
Inventor
박안나
김현정
김도훈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30158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343B1/ko
Publication of KR20150071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1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3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4Coated by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면에서 수용성 고분자로 표면이 코팅된 탄산캔디가 오일젤에 분산된 형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탄산의 효과적인 유지 및 보관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오일젤에 분산된 탄산캔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UND CONTAINING CANDY OF CARBONIC ACID DISPERSED IN OIL-GEL}
본 발명은 오일젤에 분산된 탄산캔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산화탄소가 발포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이산화탄소가 피부에 일정 시간 동안 접촉함으로서, 피부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피부에 산소를 공급하여 탄력있는 피부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정체되어 있던 노폐물 및 잉여수분이 제거되어 피부의 탄력성이 증가되며, 피부톤이 맑아지고 튼살 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피부 점막에 관한 질환, 피부 장애 및 피부의 거칠어짐 등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즉, 이산화탄소가 발포되는 조성물은 아토피성 피부염, 지루성 습진, 두드러기, 주부 습진, 모낭염, 건선, 태선, 창상, 열상, 균열, 짓무름, 악창 등 전반적인 피부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산화탄소는 공기 중의 수분 또는 제형 내의 수분과 잘 반응하여 탄산(H2CO3)이 되며, 피부에 유용성을 주는 성분이 소실되거나 그 함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보관에 어려움이 있으며, 점성을 가진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우 조성물의 점성으로 인해 발포 함량에 불균일이 발생할 수 있다.
한국 특허출원 제10-2010-0059497호
이에, 본 발명은 탄산을 포함하는 탄산캔디의 안정도를 향상시켜서 사용시 이산화탄소의 손실을 막고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효과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측면에서, 수용성 고분자로 표면이 코팅된 탄산캔디가 오일젤에 분산된 형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코팅된 탄산캔디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된 탄산캔디 내에서 수용성 고분자의 함량은 코팅된 탄산캔디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일측면에서, 오일들이 D상(Detergent phase) 형태로 분산된 오일젤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탄산캔디는 탄산염 및 유기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탄산캔디를 오일젤에 균일하게 분산시켜서 피부에 도포 시 단위면적당 더 많은 이산화탄소에 노출이 되며, 보다 효과적인 유지 및 보관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탄산캔디의 표면을 수용성 고분자로 코팅함으로써, 안정도를 향상시키고, 사용시 생성될 수 있는 이산화탄소의 손실을 막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가 균일하게 발포될 수 있어, 이산화탄소가 갖는 효과인 피부의 혈액 순환 개선, 피부 개선, 각질 턴오버, 노폐물 제거 등의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화장료 조성물은 탄산캔디가 오일젤에 분산된 형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탄산캔디는 탄산을 포함하거나 물에 용해시 탄산을 방출할 수 있는 알갱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오일젤은 물 함량 최대 3% 미만을 포함하는 제형으로 보관상태에서는 수분에 노출되는 정도가 매우 극미하다. 또한 이 오일젤은 D상 젤 타입으로 물에 닿게 되면 흰색 불투명 저점도의 O/W 나노에멀젼이 형성되면서 로션상으로 변한다.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탄산캔디를 포함하는 오일젤을 피부에 도포, 마사지 후 물에 닿으면, 탄산캔디가 녹으면서 탄산이 방출됨으로써 탄산캔디의 효능과 오일젤의 보습성분을 동시에 부여할 수 있다. 탄산캔디의 제조방법은 일측면에서 탄산염과 유기산을 혼합하여 제조하거나, 탄산 가스를 고압으로 혼입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탄산캔디는 설탕, 물엿 및 유당을 100℃ 이상에서 용해한 후, 감압 농축하여 얻은 혼합물에 탄산염, 향료, 색소 및 탄산가스를 2kg/cm2 이상의 압력에서 교반하면서 첨가하고, 이를 냉각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탄산캔디는 이를 제조한 후, 원하는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탄산캔디는 포도당, 설탕, 물엿 및 유당에 탄산염과 유기산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도 있으며, 혼합한 탄산염과 유기산이 물에 녹으면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킨다.
상기 탄산염은 탄산암모늄, 중탄산암모늄, 탄산칼륨, 중탄산칼륨, 포타슘세스퀴카보네이트(potassium sesquicarbonate), 탄산나트륨, 중탄산나트륨, 소듐세스퀴카보네이트(sodium sesquicarbonate), 탄산리튬, 중탄산리튬, 리튬세스퀴카보네이트(lithium sesquicarbonate), 탄산세슘, 중탄산세슘, 세슘세스퀴카보네이트(cesium sesquicarbonate), 탄산마그네슘, 중탄산마그네슘, 중탄산칼슘, 탄산칼슘, 수산화탄산마그네슘, 탄산바륨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모든 탄산염이 가능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유기산으로는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등의 직쇄 지방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핀산, 피멜산, 푸마르산, 말레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글루탐산, 아스파라긴산 등의 산성 아미노산, 글리콜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젖산, 히드록시아크릴산, α-옥시부티르산, 글리세르산, 타르트론산, 살리실산, 갈산, 트로프산, 아스코르브산, 글루콘산 등의 옥시산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탄산캔디의 크기는 일측면에서 0.1mm 내지 20mm일 수 있으며, 다른 일측면에서 1mm 내지 10mm일 수 있다.
일측면에서, 상기 탄산캔디는 표면이 수용성 고분자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천연 수용성 고분자, 반합성 수용성 고분자, 합성 수용성 고분자, 무기 수용성 고분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수용성 고분자는 히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Hydroxymethyl cellulos)이다. 천연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어, 아라비아검, 트래거캔스검, 카라기난, 구아검, 캐롭검, 카라야검, 펙틴, 퀸스시드(마르멜로), 해조류 콜로이드(갈조류 엑기스), 전분(쌀, 옥수수, 감자, 밀) 등의 식물계 고분자, 덱스트란, 숙시노글루칸, 플루란 등의 미생물계 고분자, 및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젤라틴 등의 동물계 고분자를 들 수 있다.
반합성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 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 전분 등의 전분계 고분자, 메틸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황산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결정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분말 등의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및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의 알긴산계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폴리머(카르보폴) 등의 비닐계 고분자, 폴리에틸렌글리콜 20,000, 40,000, 60,000 등의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공중합계 고분자,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에틸렌이민, 및 양이온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어, 벤트나이트, 규산AlMg(비검), 라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및 무수규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코팅된 탄산캔디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일측면에서0.1 내지 30 중량%일 수 있으며, 다른 일측면에서 0.1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가 코팅된 탄산캔디 내에서, 수용성 고분자는 코팅된 탄산캔디 총 중량을 기준으로, 일측면에서 0.1 내지 20 중량%일 수 있으며, 다른 일측면에서 0.1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의 함량이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탄산이 나오는 속도가 상대적으로 늦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호호바유, 해바라기씨 유, 올리브유, 아보가도유, 피마자유, 야자유, 우지, 경화유, 액상 라놀린 등의 천연유지 및 그 유도체, 카르나우바납, 밀랍, 라놀린 등의 납류, 유동 파라핀, 마이크로 크리스탈링 왁스, 스쿠알린, 바셀린 등의 탄 화 수소류, 스테아린산, 하이드로지네이티드 폴리디센 등의 고급 지방산류, 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등의 고급 알콜류, 글리세린모노스테아린산 에스테르, 트리옥탄산 글리세릴, 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사과산 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칸산 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실산 트리메티롤프로판, 트리옥탄산 트리메티롤프로판, 세바신산 디2-에틸헥실,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 등의 에스테르류, 박하유, 장미유, 시트로네랄 등의 정유류, 디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등의 실리콘유류, 식물성스쿠알란(PHYTOSQUALANE)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오일은 해바라기씨 유, 하이드로지네이티드 폴리디센 및 식물성스쿠알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천연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폴리실록산 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팔미트산 나트륨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염화스테아릴 트리메틸암모늄 등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베타인, 아미드베타인, 술포베타인, 이미다졸리늄 등의 양성 계면활성화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천연 계면활성제로는 레시틴, 시테아릭 애시드, 데실글루코사이드, 바바수아미도프로필베타인, 소듐코코일애플아미노산, 디소듐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소듐피이지 7 올리브오일카복실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계면활성제에 의해 안정화된 오일들이 오일젤에 D상 형태로 분산된 유형을 가지며, 이로 인해 많은 양의 탄산캔디를 효과적으로 고르게 조성물 내에 분산시킬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서 D상 유화법(Detergent phase Emulsification Method)을 사용할 수 있다. D상 유화법이란 과량의 계면활성제와 폴리올, 소량의 물 성분에 오일을 첨가하여 D상을 만드는 방법이다. 오일을 첨가하면 투명 또는 반투명의 오일젤의 형태가 되고 이것을 물로 희석하면 나노입자를 가진 O/W에멀젼이 생성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폴리올과 계면활성제, 물 성분이 혼입되어 있는 복합원료를 사용하고, D상을 만든 후에 물로 희석해주지 않고 젤 상에서 탄산캔디를 혼입하며, 이후 조성물을 사용할 때 인위적으로 물에 노출시켜 유화를 시키면서 탄산캔디를 물에 노출 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일측면에서 1 내지30 중량부, 다른 일측면에서 2 내지 28 중량부, 또 다른 일측면에서 3 내지 2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존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보존제로는 메칠파라벤, 에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페녹시에탄올, 벤질 파라벤 등의 화학 보존제와 식물성 알코올, 감귤류씨, 아스코르브산염, 비타민A, C, E 등의 식물성 보존제를 들 수 있다. 상기 보존제는 조성물의 부식과 세균, 진균의 번식을 저지하는 것이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존제는 화장료 조성물 전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일측면에서 0.01 내지 3 중량부, 다른 일측면에서 0.01 내지 1 중량부, 또 다른 일측면에서 0.01 내지 0.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착향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착향제로는 리모넨, β-카리오필렌 등의 탄화 수소류, 산탈올, 시스-3-헥세놀, 리날올, 게라니올, 시트로넬라, 테르펜올, 박단올, 파르네솔, β-페닐에틸 알코올, 브라마놀, 멘솔 등의 알코올류, 2,6-노나디에날, 시트랄, α-헥실신나믹알데히드, 리랄, 릴리알 등의 알데히드류, 아세틸세드렌, β-이오논, 이소 이. 슈퍼 (iso E. Super), 이론, 1-카르본, 시클로펜타데카논, 다마스콘, 메틸이오논, 무스콘 등의 케톤류, 벤질아세테이트, 메틸디히드로자스모네이트, 메틸자스모네이트, 리나릴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류, β-운데카락톤, 자스민락톤, 시클로펜타데카노리드, 에틸렌브라실레이트 등의 락톤류, 암브록산, 갈락소리드, 로즈옥사이드 등의 옥사이드류, 인돌등의 질소 함유 화합물, 페닐아세트알데히드디메틸아세탈 등의 아세탈류, 오란티올 등의 쉬프염기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지 않는다.
착향제는 화장료 조성물 전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일측면에서 0.01 내지 5 중량부, 다른 일측면에서 0.1 내지 4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증점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점제는 조성물의 점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아라미아 고무, 트라간트 검, 갈락탄, 카로브 검, 구아 검, 카라기난, 펙틴, 한천, 전분(옥수수, 밀, 고구마, 쌀) 등의 식물계 고분자, 덱스트란, 플루란 등의 미생물계 고분자, 카르복시메틸 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 전분 등의 전분계 고분자, 콜라겐, 카제인, 젤라틴 등의 동물계 고분자, 메틸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황산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결정 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알긴산 나트륨, 알긴산 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의 알긴산계 고분자, 폴리비닐메틸에테르,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의 비닐계 고분자, POE계 고분자, POE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계 고분자,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폴리아크릴산 아미드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 폴리머, 벤토나이트, 규산 알루미늄 마그네슘, 라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무수 규산 등의 무기계 수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탄산캔디는 설탕, 물엿 및 유당을 100℃ 이상에서 용해한 후, 감압 농축하여 얻은 혼합물에 탄산염, 향료, 색소 및 탄산가스를 2kg/cm2 이상의 압력에서 교반하면서 첨가하고, 이를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탄산캔디의 표면을 히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 5중량%(코팅된 탄산캔디 총 중량 기준)로 코팅하였다. 오일젤은 D상 젤 타입으로 하기 표의 구성으로 제조하였다. 오일젤에 상기 코팅된 탄산캔디를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0 중량%로 첨가하여 오일젤에 분산시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오일성분



Cetyl Octanoate (Cetyl Ethylhexanoate) 8.800
Helianthus Annuus (Sunflower) Seed OilJCIC : SUNFLOWER SEED OIL(2) 20.000
Olea Europaea (Olive) Fruit Oil 5.000
Hydrogenated C6-14 Olefin Polymers(ICID) (HYDROGENATED POLYDECENE) 35.000
SqualaneKSCI : PHYTOSQUALANE, JCIC : Vegetable Squalane 10.000
보존제 Phenoxyethanol 0.200
계면활성제 Caprylic/Capric Triglyceride*Glycerin*Water*Sucrose Laurate 20.000
착향제 Perfume 1.000
 합계   100.000
[실시예 2 내지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탄산표면을 히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 10 중량%(실시예 2) 또는 15 중량%(실시예 3)로 코팅하여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코팅된 탄산캔디의 수용성 고분자의 함량에 따른 안정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코팅되지 않은 탄산캔디(히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의 함량 0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인 비교예 1과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을 상온, 37, 45, 60℃ 항온조에서 8주간 방치하여 탄산캔디가 녹아 들러붙는 현상의 발생 정도(1~5점), 탄산캔디 입자의 표면 모양(입자의 날카로운 파쇄면) (1~5점), 피부에 도포하여 물에 노출시켰을 때의 탄산이 터지는 정도(1~5점)를 관찰하였다. 또한, 탄산캔디를 포함하는 오일젤을 일정량 채취하였을 때 포함되는 탄산캔디의 개수(비율)의 변동 범위를 관찰하여(10회 실시) 10% 미만인 경우(5점), 10% 이상~15% 미만인 경우(4점), 15% 이상~20% 미만인 경우(3점), 20% 이상~25% 미만인 경우(2점), 25% 이상인 경우(1점)로 점수화하였다. 각각의 항목별로 매우 우수한 것을 5점으로, 매우 우수하지 못한 것을 1점으로 점수화하여, 총합이 15~20점인 것을 “양호”하다고 표시하였다. “양호하지 않음”은 총점이 15점 미만인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Hydroxymethyl Cellulose 함량(중량%) 비교예 1(0 중량%) 실시예 1(5중량%) 실시예 2(10 중량%) 실시예 3(15 중량%)
상온(25℃) 2주간 양호 4주간 양호 8주 이상 양호 8주 이상 양호
37도(℃) 양호하지 않음 2주간 양호 4주간 양호 4주 이상 양호
45도(℃) 양호하지 않음 2주간 양호 3주간 양호 4주간 양호
60도(℃) 양호하지 않음 양호하지 않음 2주간 양호 2주간 양호
상기 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히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의 함량이 5~15 중량%로 코팅된 탄산캔디를 가진 실시예 1 내지 3은 모두 온도 변화에 안정하였다.
[실험예 2] 오일 종류에 따른 안정도 측정
하기 표의 구성을 갖는 오일젤 조성물을 제조한 후, 조성물 A~E를 45℃ 온도에서 4주간 방치하여 오일의 종류에 따른 조성물의 안정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구성(단위: 중량%) A B C D E
오일



Cetyl Octanoate (Cetyl Ethylhexanoate) 78.8 0 0 0 0
Helianthus Annuus (Sunflower) Seed Oil 0 78.8 0 0 0
Olea Europaea (Olive) Fruit Oil 0 0 78.8 0 0
Hydrogenated C6-14 Olefin Polymers(ICID) (HYDROGENATED POLYDECENE) 0 0 0 78.8 0
PHYTOSQUALANE 0 0 0 0 78.8
보존제 Phenoxyethanol 0.2 0.2 0.2 0.2 0.2
계면활성제 Caprylic/Capric Triglyceride*Glycerin*Water*Sucrose Laurate 20 20 20 20 20
착향제(Perfume) 1 1 1 1 1
합계 100 100 100 100 100
  A B C D E
유화 안정도 매우 나쁨 양호 보통 양호 양호
상기 결과에서 보듯이, A를 제외하고 해바라기씨 유, 올리브유, 하이드로지네이티드 폴리디센, 식물성스쿠알란은 모두 안정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하이드로카본 계열인 하이드로지네이티드폴리디센과 식물성 천연유래 오일인 해바라기씨 유와 올리브 유는 극성이 낮은 오일로 많은 양의 오일이 장시간 고온에서도 안정하게 젤 형태로 유지되는 반면에, 세틸옥타노에이트는 에스테르 계열로서 극성이 높아 상대적으로 안정도가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세틸옥타노에이트는 함량 비율이 높을수록 오일젤의 투명도가 올라가며, 눅진한 사용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10)

  1.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수용성 고분자로 표면이 코팅된 탄산캔디가 오일젤에 분산된 형태;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된 탄산캔디 내에서 수용성 고분자의 함량은 코팅된 탄산캔디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15 중량%이고,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히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이며,
    상기 오일은 해바라기씨 유 및 하이드로지네이티드 폴리디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오일젤은 오일들이 D상(Detergent phase) 형태로 분산되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시테아릭 애시드, 데실글루코사이드, 바바수아미도프로필베타인, 소듐코코일애플아미노산, 디소듐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소듐피이지7 올리브오일카복실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된 탄산캔디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인,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캔디의 크기는 1mm 내지 10mm인,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캔디는 탄산염 및 유기산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보존제, 착향제 및 증점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30158079A 2013-12-18 2013-12-18 오일젤에 분산된 탄산캔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4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079A KR102164343B1 (ko) 2013-12-18 2013-12-18 오일젤에 분산된 탄산캔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079A KR102164343B1 (ko) 2013-12-18 2013-12-18 오일젤에 분산된 탄산캔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265A KR20150071265A (ko) 2015-06-26
KR102164343B1 true KR102164343B1 (ko) 2020-10-13

Family

ID=53517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8079A KR102164343B1 (ko) 2013-12-18 2013-12-18 오일젤에 분산된 탄산캔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3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7008A (ja) 1999-04-12 2000-10-24 Pola Chem Ind Inc 発泡性化粧料
KR100769581B1 (ko) * 2006-06-02 2007-10-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탄산 캔디 함유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6712B2 (ja) * 1994-01-07 2003-05-12 花王株式会社 口腔用発泡性固形組成物
KR100988608B1 (ko) 2008-11-26 2010-10-18 (주)비에프시스템 이중연료 차량의 가스연료 공급장치
KR20120031879A (ko) * 2010-09-27 2012-04-04 가부시키가이샤환케루 유화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7008A (ja) 1999-04-12 2000-10-24 Pola Chem Ind Inc 発泡性化粧料
KR100769581B1 (ko) * 2006-06-02 2007-10-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탄산 캔디 함유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265A (ko) 2015-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619B1 (ko) 입자 형태의 유상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TWI586373B (zh) 含有生物纖維膜碎片之化妝品組成物及其製造方法
KR100631000B1 (ko) 이산화탄소 함유 점성 제약 조성물
JP6860297B2 (ja) 水中油型乳化外用剤組成物
JP2022000465A (ja) 発泡性皮膚外用剤
JP5827079B2 (ja) 粉体含有皮膚外用剤
JP5692618B1 (ja) 皮膚外用剤用キット
KR101460777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6424356B2 (ja) 発泡性皮膚外用剤
KR102164343B1 (ko) 오일젤에 분산된 탄산캔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77280B1 (ko) 쇠비름을 포함하는 풋크림 화장품 조성물
JP2005281133A (ja) 皮膚外用剤
JP6108363B2 (ja) 皮膚外用剤用キット
JP2015034153A (ja) 皮膚外用剤用キット
JP2009242356A (ja) 洗浄料
JP5199612B2 (ja) 2剤式化粧料
KR101507210B1 (ko) 미세기포를 함유한 크림 화장료 조성물
JP2022095943A (ja) 発泡性皮膚外用剤用キット
JP2022020844A (ja) 発泡性皮膚外用剤
KR102135047B1 (ko) 분사용 젤타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668504B1 (ko) 메이크업 제거 및 각질 제거용 고마쥬 타입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7775A (ko) 냉동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1932A (ko)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5888566B2 (ja) 皮膚外用剤用キット
JP2009184959A (ja) 洗浄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