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835B1 - 자동차 맞춤형 정비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 맞춤형 정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835B1
KR102163835B1 KR1020190178898A KR20190178898A KR102163835B1 KR 102163835 B1 KR102163835 B1 KR 102163835B1 KR 1020190178898 A KR1020190178898 A KR 1020190178898A KR 20190178898 A KR20190178898 A KR 20190178898A KR 102163835 B1 KR102163835 B1 KR 102163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time
maintenanc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봉
Original Assignee
김정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봉 filed Critical 김정봉
Priority to KR1020190178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8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01W1/06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giving a combined indication of weather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맞춤형 정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운행내역과 수리, 사고이력, 기상상황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자동차의 운행 특성을 분석하여 특정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최적화된 수리 및 정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자동차 맞춤형 정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의 운행정보에 맞게 침수나 누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엔진계통, 전자장비, 전기공급장치 등의 고장과 이상상황을 미리 예측하고, 정확한 점검과 정비를 하도록 하여 사고의 위험성을 줄이면서 정비 서비스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맞춤형 정비시스템{CUSTOMIZED MAINTENANCE SYSTEM FOR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 맞춤형 정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운행내역과 수리, 사고이력, 기상상황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자동차의 운행 특성을 분석하여 특정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최적화된 수리 및 정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자동차 맞춤형 정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생활에 있어서 자동차는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이 되었다. 상기 자동차는 매우 고가의 물건으로 고장이 날 경우 많은 수리비가 소요되며 수리하는 동안 차량을 사용할 수 없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자동차를 미리 예방정비하여 교체가 필요한 소모품을 적절한 주기에 따라 교체하며 주요 부품의 상태도 적절한 주기에 따라 점검하여 필요시 교체하거나 수리하여 항상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여 차량수명을 연장시키며 주행성능과 연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차량 제조사에서는 일정한 주행거리마다 필요한 소모품교환주기표와 정기점검표를 제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조사의 소모품교환주기표와 정기점검표는 특정한 차량에 맞춘 것이 아니며 휘발유 차량 또는 디젤차량 등 대 분류에 따른 소모품의 교체주기나 부품의 점검주기만 제공되므로 불필요한 정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거나 정비시기를 넘겨 큰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각 차종의 사용자들이 자체적으로 의견을 교환하는 사이트들이 인터넷에 생성되어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인터넷 사이트들은 소수의 사용자들의 경험에 의존하고 있어 정확한 주기를 어렵고 전문적인 지식이 아닌 간접적인 지식만으로 안내를 하고 있어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수한 상황에 처해있거나 처할 가능성이 높은 자동차에 대해서는 이에 맞는 맞춤형 정비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지만, 자동차의 운행정보나 수리, 사고내역, 운전자가 주로 거주하거나 운행하는 지역의 기상정보나 사고정보 등을 확인하지 않으면 최적화된 정비서비스의 제공이 어렵게 되지만, 기존의 기술에서는 이를 고려하지 않고 획일적인 점검 및 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16-0072449 A KR 10-2010-0024313 A KR 10-2010-0078519 A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를 관리하는 행정기관이나 서비스업체 등으로부터 자동차의 점검, 수리, 사고이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자동차의 자체 감지센서로부터 운행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자동차에 발생 가능한 위험을 정확하게 예측하여 맞춤형 정비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동차 맞춤형 정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자동차(200)의 운행내역과 기상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자동차(200)의 운행 특성을 분석하여 운전자에게 수리 및 정비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비시스템으로서,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2)와; 상기 자동차(2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04)와; 인터넷(50)과 접속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을 구비하는 통신부(106)와; 상기 자동차(200)에 접속하여 상기 자동차(200)로부터 운행정보를 수집하는 자동차정보수집부(108)와; 상기 인터넷(50)을 통해 외부 정보 제공시스템에 접속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외부정보수집부(110)와; 상기 자동차(200)의 ECU, 계측기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자동차 상태정보로부터 고장이 발생한 부분을 확인하고, 상기 고장에 대한 확인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102)에 전달하는 고장점검부(112)와; 상기 자동차(200)의 운전자 또는 소유자에게 고장의 발생 사실을 안내하는 고객안내부(114);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차정보수집부(108)는 상기 자동차(200)의 블랙박스나 GPS장치로부터 상기 자동차(200)의 운행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메모리(104)에 저장하는 위치확인모듈(108a)과; 상기 자동차(200)의 엔진, 기어, 미션, 소음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된 마이크(108c)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자동차(200)의 음향을 감지하고, 생성된 음향정보를 상기 메모리(104)에 저장하는 음향감지모듈(108b)과; 상기 자동차(200)의 ECU에 저장된 상기 자동차(200)의 운행정보 중에서 시동을 걸고 자동차(200)를 동작시킨 시각과 운행시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메모리(104)에 저장하는 시동확인모듈(108d);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정보수집부(110)는 강수량정보를 제공하는 기상정보시스템(30)으로부터 특정 지역의 자연재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메모리(104)에 저장하는 강수량확인모듈(110a)과; 자동차검사소(10), 보험사(20), 정비업체(40)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자동차(200)의 고장, 사고, 구조변경 이력과 상세내용을 수집하여 상기 메모리(104)에 저장하는 점검이력확인모듈(110b);을 포함한다.
상기 위치확인모듈(108a)이 수집하는 운행정보에는 상기 자동차(200)의 과거 위치에 대한 정보가 시간정보와 함께 포함되며, 상기 위치확인모듈(108a)은 상기 운행정보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자동차(200)의 운행경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자동차(200)의 운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차(200)가 운행했던 지역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확인모듈(108a)은 상기 자동차(200)의 운행정보 및 운행경로정보를 사고, 침수, 자연재난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했던 지역과 시간을 결합하여 상기 자동차(200)가 상기 이벤트 발생 지역을 운행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수량확인모듈(110a)은 상기 기상정보시스템(30)으로부터 특정 지역의 강수량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수량정보에는 특정 지역의 강우량, 적설량, 홍수, 하천범람에 대한 정보가 모두 포함되며, 상기 특정 지역의 하천의 범람이나 해수면의 상승에 따라 발생하는 침수피해에 대한 정보도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강수량정보와 상기 자동차(200)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지역의 일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자동차(200)가 홍수나 침수피해가 발생한 시점에서 동일한 지역을 운행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의 운행정보에 맞게 침수나 누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엔진계통, 전자장비, 전기공급장치 등의 고장과 이상상황을 미리 예측하고, 정확한 점검과 정비를 하도록 하여 사고의 위험성을 줄이면서 정비 서비스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차의 소유주 또는 운전자가 고지하지 않은 자동차의 이상 상태를 미리 예측하여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고차 거래에 있어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비시스템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정비시스템의 내부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정비시스템이 수집하는 정보의 내용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자동차의 맞춤형 정비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운행재개 시점의 구분을 나타낸 그래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맞춤형 정비시스템"(이하, '정비시스템'이라 함)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비시스템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2는 정비시스템의 내부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정비시스템이 수집하는 정보의 내용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정비시스템(100)은 자동차의 고장이나 이상 상태 발생시에 적절한 방식으로 부품의 교체, 차체의 교정, 시스템 수정 등의 방법으로 자동차(200)가 정상적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정비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의 제어시스템을 의미한다. 정비시스템(100)은 자동차(200)의 정비와 수리 등을 위해 자동차(200) 자체 또는 외부로부터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차(200)의 현재 상태를 원격지에서 파악한다. 그리고 파악된 자동차(200)의 정보를 토대로 정비나 수리 등이 필요한지를 확인하고, 수리 필요성 등을 자동차(200)의 운전자 또는 소유자에게 알려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정비시스템(100)은 인터넷(50)에 접속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며, 인터넷(50)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시스템이나 서버에 접속하여 자동차(200)의 정비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한다.
정비시스템(100)이 외부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접속하는 시스템으로는 자동차검사소(10), 보험사(20), 기상정보시스템(30), 정비업체(40) 등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행정기관이나 자동차 판매회사 등을 추가로 연결할 수 있다.
자동차검사소(10)는 한국교통안전공단의 소속기관으로서, 자동차(200)의 성능이나 정상 동작 상태, 구조 변경 여부 등을 정기적으로 검사하여 인증하는 기관의 관리시스템을 의미한다. 자동차검사소(10)로부터 주행거리나 연비, 매연발생량 등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자동차(200)의 점검 여부와 수리 대상부품을 파악할 수 있다.
보험사(20)는 자동차보험을 판매하고, 자동차(200)의 사고 발생시에 사고이력을 관리하면서 보험 계약자에게 자동차 수리에 필요한 비용을 보상해주는 금융기관의 관리시스템을 의미한다. 보험사(20)는 자동차(200)의 사고시에 보험을 처리하면서 사고의 내용과 수리내역, 사고 운전자 당사자정보 등을 관리하는데, 이러한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자동차(200)의 정비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다. 보험사(20)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절차에 있어서는 보험계약자의 사전동의가 필수적일 것이다.
기상정보시스템(30)은 기상청이나 사설 기상정보 제공업체의 관리시스템을 의미한다. 기상정보시스템(30)으로부터는 특정 지역의 강우량이나 적설량, 해안지역이나 하천 주변 지역의 범람이나 침수 피해 정보 등의 정보를 수집한다. 자동차(200)의 주요 운행지역과 침수피해지역이 동일한 경우에는 자동차(200)의 침수 피해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이에 맞게 맞춤형 알림 서비스 또는 정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정비업체(40)는 본 발명의 정비시스템(100)을 운영하는 자동차 정비공장 외의 다른 정비공장의 관리시스템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정비시스템(100)을 이용하기 전에 다른 곳에서 자동차의 고장이나 사고를 수리한 경우에는 이에 대한 이력을 운전자의 사전동의하에 수집하여 정확한 정비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정비시스템(100)은 이와 같은 외부 정보 제공시스템(자동차검사소, 보험사, 기상정보시스템, 정비업체 등)에 인터넷(50)을 통해 접속하고, 외부 정보 제공시스템으로부터 자동차(200)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한다. 그리고 각각의 정보를 분석하여 자동차(200)에 발생했거나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이상이나 고장을 파악하고, 선제적으로 정비 서비스를 제공하여 빠르고 저렴하게 자동차(200)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정비시스템(100)을 운영하는 정비공장에는 자동차(200)의 상태를 진단하고, 고장 여부와 성능 저하상태 등을 확인하는 계측장치가 구비된다.
또한, 정비하고자 하는 자동차(200)에는 복수개의 유니트가 설치되어 있는데, 예컨대, 엔진과 같은 자동차부품과, 그 자동차부품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의미로 유니트를 정의한다. 이때, 상기 자동차(200)에는 진단용 커넥터가 구비된다.
자동차(200)의 진단용 커넥터로부터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토대로 자동차(200)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진단장치가 구비되는데, 이 진단장치에는 전기적신호의 변환을 위한 펌웨어 프로그램인 블랙박스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USB통신을 위한 USB포트, 자동차(200)의 진단용 커넥터와 대응된 진단장치의 진단용커넥터가 구비된다. 이때, 진단장치는 자동차 진단시 컴퓨터와의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정비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웹서버가 구비되고, 자동차정비를 위한 컴퓨터는 서로 인터넷(50)으로 연결되고, 컴퓨터에는 인터넷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USB통신을 위한 USB포트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자동차(200)의 각 유니트에 대한 전압, 압력,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봉이 연결된 감지커넥터 및 USB통신을 위한 USB포트가 설치되어, 자동차(200)의 유니트에 대한 정보를 스코프파형으로 출력하는 계측장치가 구비된다.
따라서, 진단장치 및 계측장치는 컴퓨터의 USB포트를 통해 컴퓨터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진단장치 및 계측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로서 자동차(200)의 유니트 상태를 진단하고 계측하며, 자동차(200)의 유니트 상태에 따른 수리정보를 제공하는 자동차정비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정비시스템(100)이 수집하고 관리하는 자동차 정보는 복수 개의 항목을 포함하며, 항목으로는 제조국, 제조사, 차명, 차종, 형식, 연식, 배기량, 연료, 원동기 형식, 변속기 형식, 구동방식, 보증기간, 보증기간 내 수리가능한 내역, 고장 수리이력, 사고이력, 구조변경이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차 정보에 포함되는 항목의 종류와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정비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부(102)는 정비시스템(100)에 포함된 각종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고, 외부 정보 시스템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변환과 신호처리 등을 담당한다.
메모리(104)는 정비시스템(100)이 관리하는 자동차(2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자동차(200)의 정비, 수리, 사고이력 등을 이벤트 발생시마다 수정하여 갱신한다. 그리고 외부 또는 자동차(200)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저장하며, 저장된 정보를 제어부(102)에 전달하여 해당 자동차(200)의 정비 서비스 제공시에 활용하도록 한다.
통신부(106)는 인터넷(50)과 접속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을 구비하며, 자동차(200)와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자동차(200)와는 근거리 무선통신, 즉 불루투스나 NFC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종래 방식에 따른 케이블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200)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수단과, 외부 정보 제공시스템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수단이 동시에 구비된다. 전자는 자동차정보수집부(108)라고 정의하며, 후자는 외부정보수집부(110)라고 정의한다.
자동차정보수집부(108)는 위치확인모듈(108a), 음향감지모듈(108b), 시동확인모듈(108d)로 구성되며, 음향감지모듈(108b)에는 마이크(108c)가 연결된다.
위치확인모듈(108a)은 자동차(200)에 설치된 블랙박스(도면 미도시)나 GPS장치(도면 미도시)로부터 자동차(200)의 운행정보를 수집하여 메모리(104)에 저장한다. 자동차(200)의 운행정보에는 자동차(200)의 과거 위치에 대한 정보가 시간정보와 함께 포함되며, 위치확인모듈(108a)은 이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자동차(200)의 운행경로정보를 생성한다. 자동차(200)의 운행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차(200)가 운행했던 지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사고나 침수, 자연재난 등의 이벤트가 발생했던 지역과 시간을 결합하여 자동차(200)가 해당 지역을 운행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음향감지모듈(108b)은 마이크(108c)를 통해 입력되는 자동차(200)의 음향을 감지하고, 생성된 음향정보를 메모리(104)에 저장한다. 마이크(108c)는 자동차(200)의 엔진이나 기어, 미션, 소음기 등 소음이 발생하는 부분에 설치되며, 자동차(200)의 각 구성부품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음향감지모듈(108b)에 전달한다. 음향감지모듈(108b)은 정상적인 부품에서 발생되는 음향과 이를 비교하여 구성부품에 이상이 발생했는지를 예측할 수 있다. 자동차(200)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이용하여 구성부품의 고장이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기술은 종래에 개시된 일반적인 기술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시동확인모듈(108d)은 자동차(200)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저장된 자동차(200)의 운행정보 중에서 시동을 걸고 자동차(200)를 동작시킨 시각과 운행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메모리(104)에 저장한다. 시동을 켠 시각과 운행시간에 대한 정보는 자동차(200)가 통상적인 경우와 달리 비정상적으로 오랫동안 서있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위치확인모듈(108a)과 음향감지모듈(108b), 시동확인모듈(108d)이 감지하여 생성한 정보는 제어부(102)에 전달되며, 정비서비스의 계획을 세우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외부정보수집부(110)는 강수량확인모듈(110a)과 점검이력확인모듈(110b)로 구성된다.
강수량확인모듈(110a)은 기상정보시스템(30)으로부터 특정 지역의 자연재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메모리(104)에 저장하는데, 핵심적으로는 특정 지역의 강수량정보(강우량, 적설량, 홍수, 하천범람 등)를 주로 수집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는 비나 눈에 의해 정해지는 양과 함께, 하천의 범람이나 해수면의 상승에 따라 발생하는 침수피해에 대한 정보도 강수량정보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정비시스템(100)은 침수피해가 발생한 지역에 주차되어 있거나 주로 운행되는 자동차(200)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침수피해의 발생 가능성을 계산하고, 이에 맞는 맞춤형 정비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강수량정보를 활용한다.
점검이력확인모듈(110b)은 자동차검사소(10)나 보험사(20), 정비업체(40)로부터 자동차(200)의 고장이나 사고, 구조변경 등의 이력과 상세내용을 수집하여 메모리(104)에 저장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해당 자동차(200)와 관련하여 정비시스템(100)의 메모리(104)에 저장되어 있던 기존 정비이력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앞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강수량확인모듈(110a)과 점검이력확인모듈(110b)이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집한 정보는 제어부(102)에 전달되어 정비서비스의 실행에 이용된다.
고장점검부(112)는 자동차(200)의 ECU, 계측기기, 센서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자동차 상태정보로부터 고장이 발생한 부분을 확인하고, 확인된 정보를 제어부(102)에 전달한다.
고객안내부(114)는 자동차(200)에 발생했거나 발생할 염려가 있는 고장이나 이상 상태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 소유자, 기타 고객에게 전송하여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고객안내부(114)는 운전자 등에 대한 연락처정보(전화번호, 메일주소, 우편주소 등)를 보유하거나 메모리(104)로부터 호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비시스템(100)은 자동차검사소(10) 등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집한다.
자동차검사소(10)로부터는 점검 대상이 되는 자동차(200)의 성능 검사정보와 구조변경정보 등을 수집한다. 또한 보험사(20)로부터는 자동차(200)의 사고 내용과 보험금을 지급한 보상 이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기상정보시스템(30)으로부터는 특정 지역의 강수량과 홍수, 침수로 인해 발생한 피해 정보를 수집하며, 정비업체(40)로부터는 자동차(200)에 발생한 사고와 고장, 이에 따른 수리이력 정보를 수집한다.
이와 같은 구성과 정보를 토대로 운전자에게 맞춤형 정비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자동차의 맞춤형 정비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맞춤형 정비서비스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수리 또는 점검 대상이 되는 자동차(200)의 위치정보를 확인한다.(S102) 자동차(200)의 위치정보 확인을 위해 위치확인모듈(108a)은 자동차(200)의 ECU에 접속하여 GPS장치를 포함하는 위치확인장치로부터 얻어진 위치정보를 수집한다. 제어부(102)는 수집된 위치정보로부터 자동차(200)의 운행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각각의 운행 경로와 시간정보를 결합하여 자동차(200)의 시간별 위치를 확인한다.
그리고 강수량확인모듈(110a)은 기상정보시스템(30)으로부터 각 지역별 강수량정보를 수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강수량정보에는 각 지역별 홍수나 침수 피해정보도 포함되며, 침수 피해가 발생한 시간에 대한 정보도 함께 포함된다.(S104)
제어부(102)는 강수량정보와 자동차(200)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지역의 일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자동차(200)가 홍수나 침수피해가 발생한 시점에서 동일한 지역을 운행했는지를 분석한다.(S106)
분석 결과, 해당 자동차(200)가 홍수나 침수피해가 발생한 지역에 있었다는 점이 확인되면, 자동차(200)의 상태 및 운행정보를 상세하게 추출한다.(S108) 추가로 추출되는 상세 정보에는 자동차(200)가 해당 지역에 얼마나 머물렀으며, 어떤 운행 태양을 보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된다. 즉, 자동차(200)의 시동 여부와 속도 변화, 방향 전환 내용, 급정거 또는 급출발 내역 등이 포함된다.
자동차(200)가 홍수나 침수피해가 발생한 지역을 운행했고, 이 과정에서 비정상적인 운행행태를 보였다면 침수로 인해 자동차(200)의 운행이 중단되면서 침수피해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자동차(200)의 침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예상하고, 피해 발생 가능성이 큰 부분에 더욱 집중적인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감지모듈(108b)은 마이크(108c)를 자동차(200)의 여러 부분에 투입하여 음향을 감지하고, 생성된 음향신호로부터 자동차(200)의 이상 상태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110) 고장점검부(112)는 추출된 음향신호를 정상 상태의 음향신호와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통상적으로는 미리 정해진 부품의 음향신호와 실시간으로 생성된 음향신호를 비교하고, 주파수와 음량, 잡음 여부 등을 비교함으로써 정상 상태인지를 비교적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장점검부(112)는 자동차(200)의 ECU와 연결하여 전기신호의 이상 유무, 연비와 속도 등 구동부의 이상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고장상태 등을 분석한다. 고장점검부(112)는 분석된 결과를 제어부(102)에 전달한다.
자동차(200)에 이상 상태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고객안내부(114)는 제어부(102)의 제어에 따라 이상 상태의 존재와 향후 수리계획을 운전자에게 안내한다.(S112)
그리고 시동확인모듈(108d)과 점검이력확인모듈(110b)은 자동차(200) 또는 외부로부터 자동차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추가적인 상태 확인을 한다. 그리고 정비기사는 통상적인 자동차(200) 점검 매뉴얼에 따라 점검을 실시한다.(S114)
그리고 최종 확인된 자동차(200)의 상태 정보에 따라 수리를 실시한다.(S116)
도 5는 운행재개 시점의 구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200)는 운전자가 출퇴근이나 용무를 위해 사용하기 때문에 각 운전자의 생활패턴에 따라 일정한 사용형태를 보인다. 장시간에 걸쳐서 자동차(200)의 운행 이력을 확인하면, 하루 중에 자동차(200)의 시동을 켜면서 운행을 시작하여 일정한 경로를 이동하고, 시동을 끔으로써 운행을 종료하는 등의 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통상적인 휴식시간(운행종료 시점부터 운행재개 시점까지의 시간)을 통계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그런데, 특정 지역에 홍수 피해가 발생하였고, 같은 시간에 동일한 지역에 자동차(200)가 위치하고 있었다면, 홍수로 인해 자동차(200)에 침수 피해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 강수량확인모듈(110a)의 위치정보 분석 결과, 자동차(200)가 홍수 피해 지역에 있었다면, 시동확인모듈(108d)은 홍수 피해가 발생한 시점에서 자동차(200)의 운행정보를 ECU로부터 추출하여 분석한다.
시동확인모듈(108d)은 홍수 피해가 발생한 시점에서 자동차(200)가 통계적으로 계산되는 통상적인 휴식시간 보다 더 긴 시간동안 운행을 하지 않았는지를 확인한다.
도 5에서는 시동확인모듈(108d)이 자동차(200)의 ECU로부터 확인한 실제 휴식시간을 "T1"이라고 표시하였다. 그리고 통계적으로 계산된 통상 휴식시간 보다 실제 휴식시간이 "T2"만큼 길다고 가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T2"를 '초과 휴식시간'이라고 정의한다.
초과 휴식시간이 비정상적으로 길다면, 본 자동차(200)는 홍수로 인해 침수피해가 발생한 차량일 가능성이 크며, 이를 감안하여 침수피해를 수리하기 위한 정비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제안할 필요가 있다. 물론, 홍수나 침수로 인해 해당 지역에서 자동차(200)의 운행이 불가능해졌고, 이로 인해 초과 휴식시간이 더 길어졌을 수 있다. 따라서 실제 휴식시간이 기존의 통상적인 휴식시간에 비해 과다하게 길어진 경우에만 침수피해가 발생했던 것으로 가정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초과 휴식시간(T2)이 실제 휴식시간(T1)의 50% 정도인 경우에 침수피해의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본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인 경우에 침수피해로 인해 운행을 못한 것으로 간주함으로써 데이터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제 휴식시간과 초과 휴식시간의 크기를 제어부(102)가 비교함으로써 홍수나 침수피해가 발생한 자동차(200)를 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침수피해의 가능성이 큰 자동차(200)에 대해서는 제어부(102)가 자동차검사소(10) 또는 보험사(20)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침수피해를 입은 자동차(200)가 정보를 숨긴 채 중고자동차로 판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자동차검사소 20 : 보험사
30 : 기상정보시스템 40 : 정비업체
50 : 인터넷 100 : 정비시스템
102 : 제어부 104 : 메모리
106 : 통신부 108 : 자동차정보수집부
108a : 위치확인모듈 108b : 음향감지모듈
108c : 마이크 108d : 시동확인모듈
110 : 외부정보수집부 110a : 강수량확인모듈
110b : 점검이력확인모듈 112 : 고장점검부
114 : 고객안내부 200 : 자동차

Claims (8)

  1. 자동차(200)의 운행내역과 기상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자동차(200)의 운행 특성을 분석하여 운전자에게 수리 및 정비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비시스템으로서,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2)와;
    상기 자동차(2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04)와;
    인터넷(50)과 접속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을 구비하는 통신부(106)와;
    상기 자동차(200)에 접속하여 상기 자동차(200)로부터 운행정보를 수집하는 자동차정보수집부(108)와;
    상기 인터넷(50)을 통해 외부 정보 제공시스템에 접속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외부정보수집부(110)와;
    상기 자동차(200)의 ECU, 계측기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자동차 상태정보로부터 고장이 발생한 부분을 확인하고, 상기 고장에 대한 확인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102)에 전달하는 고장점검부(112)와;
    상기 자동차(200)의 운전자 또는 소유자에게 고장의 발생 사실을 안내하는 고객안내부(114);를 포함하며,
    상기 자동차정보수집부(108)는
    상기 자동차(200)의 블랙박스나 GPS장치로부터 상기 자동차(200)의 과거 위치에 대한 정보가 시간정보와 함께 포함된 상기 자동차(200)의 운행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메모리(104)에 저장하며, 상기 운행정보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자동차(200)의 운행경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자동차(200)의 운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차(200)가 운행했던 지역을 확인하는 위치확인모듈(108a)과;
    상기 자동차(200)의 엔진, 기어, 미션, 소음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된 마이크(108c)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자동차(200)의 음향을 감지하고, 생성된 음향정보를 상기 메모리(104)에 저장하는 음향감지모듈(108b)과;
    상기 자동차(200)의 ECU에 저장된 상기 자동차(200)의 운행정보 중에서 시동을 걸고 자동차(200)를 동작시킨 시각과 운행시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메모리(104)에 저장하는 시동확인모듈(108d);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정보수집부(110)는
    강수량정보를 제공하는 기상정보시스템(30)으로부터 특정 지역의 홍수와 침수와 같은 자연재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메모리(104)에 저장하는 강수량확인모듈(110a)과;
    자동차검사소(10), 보험사(20), 정비업체(40)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자동차(200)의 고장, 사고, 구조변경 이력과 상세내용을 수집하여 상기 메모리(104)에 저장하는 점검이력확인모듈(110b);을 포함하며,
    상기 강수량확인모듈(110a)은 상기 기상정보시스템(30)으로부터 특정 지역의 강우량, 적설량, 홍수, 하천범람에 대한 정보와, 상기 특정 지역의 하천의 범람이나 해수면의 상승에 따라 발생하는 침수피해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강수량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며,
    상기 위치확인모듈(108a)은 상기 자동차(200)의 운행정보 및 운행경로정보를 침수 및 자연재난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했던 지역과 시간을 결합하여 상기 자동차(200)가 상기 이벤트 발생 지역을 운행했는지를 확인하는데, 상기 자동차(200)가 상기 이벤트 발생 지역에 머무른 시간, 시동 여부, 속도 변화, 급정거 또는 급출발 내역에 대한 상세 정보를 추출하여 분석하며,
    상기 시동확인모듈(108d)은 홍수 피해가 발생한 시점에서 상기 자동차(200)가 통상적인 휴식시간 보다 더 긴 시간동안 운행을 하지 않았는지를 확인하며,
    상기 시동확인모듈(108d)이 상기 자동차(200)의 ECU로부터 확인한 실제 휴식시간(T1)과 초과 휴식시간(T2)을 계산하고,
    상기 초과 휴식시간이 상기 실제 휴식시간의 50%를 넘는 경우, 상기 고장점검부(112)는 상기 자동차(200)가 침수피해를 입은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맞춤형 정비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강수량정보와 상기 자동차(200)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지역의 일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자동차(200)가 홍수나 침수피해가 발생한 시점에서 동일한 지역을 운행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맞춤형 정비시스템.
KR1020190178898A 2019-12-31 2019-12-31 자동차 맞춤형 정비시스템 KR102163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898A KR102163835B1 (ko) 2019-12-31 2019-12-31 자동차 맞춤형 정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898A KR102163835B1 (ko) 2019-12-31 2019-12-31 자동차 맞춤형 정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3835B1 true KR102163835B1 (ko) 2020-10-12

Family

ID=72886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898A KR102163835B1 (ko) 2019-12-31 2019-12-31 자동차 맞춤형 정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8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6365A (ko) * 2022-02-23 2023-08-30 주식회사 씨엘엠앤에스 자동차 정비이력을 활용한 중고차 성능점검 확인 방법 및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4313A (ko) 2008-08-25 2010-03-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정비지원방법
KR20100078519A (ko) 2008-12-30 2010-07-08 한형우 자동차 맞춤형 예방정비 안내시스템
JP2010157054A (ja) * 2008-12-26 2010-07-15 Hitachi Ltd 保険料査定方法、保険料査定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端末
KR20150065417A (ko) * 2013-12-05 2015-06-15 주식회사 경신 차량의 침수 경고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72449A (ko) 2014-12-15 2016-06-23 한형우 자동차 분류별 맞춤형 예방정비 안내 시스템
KR101936895B1 (ko) * 2017-09-18 2019-04-0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소음을 이용한 딥러닝 기반 자동차 고장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22298A (ko) * 2018-04-20 2019-10-30 주식회사 카이즈 차량 진단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4313A (ko) 2008-08-25 2010-03-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정비지원방법
JP2010157054A (ja) * 2008-12-26 2010-07-15 Hitachi Ltd 保険料査定方法、保険料査定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端末
KR20100078519A (ko) 2008-12-30 2010-07-08 한형우 자동차 맞춤형 예방정비 안내시스템
KR20150065417A (ko) * 2013-12-05 2015-06-15 주식회사 경신 차량의 침수 경고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72449A (ko) 2014-12-15 2016-06-23 한형우 자동차 분류별 맞춤형 예방정비 안내 시스템
KR101936895B1 (ko) * 2017-09-18 2019-04-0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소음을 이용한 딥러닝 기반 자동차 고장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22298A (ko) * 2018-04-20 2019-10-30 주식회사 카이즈 차량 진단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6365A (ko) * 2022-02-23 2023-08-30 주식회사 씨엘엠앤에스 자동차 정비이력을 활용한 중고차 성능점검 확인 방법 및 장치
KR102575909B1 (ko) 2022-02-23 2023-09-08 (주)씨엘엠앤에스 자동차 정비이력을 활용한 중고차 성능점검 확인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40405B1 (en) Vehicle failure warning system and corresponding vehicle failure warning method
CA2874338C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vehicle repair information
KR101683242B1 (ko) 차량 상태 진단 및 운전자 정보 제공 시스템
US6609051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dition monitoring of vehicles
US5400018A (en) Method of relaying information relating to the status of a vehicle
US8831825B2 (en) Monitoring for equipment efficiency and maintenance
CN102069781B (zh) 允许远程信息处理的聚合的车辆诊断和预报
US2016007869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fleet of remote assets and/or ascertaining a repair for an asset
US20110046842A1 (en) Satellite enabled vehicle prognostic and diagnostic system
US200300556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fleet of remote assets
US88755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agnosing an engine
CN106406273A (zh) 车辆中故障原因的确定
CN105511448A (zh) 一种集成式车用诊断仪及其诊断方法
US20110172874A1 (en) Fault prediction framework using temporal data mining
KR20020029600A (ko) 차량 탑재 고장경보 통보 시스템
CN105008875B (zh) 基于所感测的振动确定用于机动车辆的矫正动作
KR20010103907A (ko)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자동차 자가진단 시스템
JP3179387B2 (ja) 車両管理用データ伝送システム
CA3124486A1 (en) Vehicle valuation engine to determine valuation based on usage and fault history
KR102163835B1 (ko) 자동차 맞춤형 정비시스템
CN108810850A (zh) 车载故障播报系统、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02203433B (zh) 用于流体动力系统的诊断和响应系统及方法
WO2005057519A1 (ja) 車両情報収集管理方法、車両情報収集管理システム、その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情報管理基地局装置および車両
JP4769382B2 (ja) 移動体の管理装置
CN115019415A (zh) 用于确定车辆组件的运行状态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