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627B1 -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 - Google Patents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627B1
KR102163627B1 KR1020190045669A KR20190045669A KR102163627B1 KR 102163627 B1 KR102163627 B1 KR 102163627B1 KR 1020190045669 A KR1020190045669 A KR 1020190045669A KR 20190045669 A KR20190045669 A KR 20190045669A KR 102163627 B1 KR102163627 B1 KR 102163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tip
support
frame
tray
sand bl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권
Original Assignee
(주)엔디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디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엔디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190045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6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 B24C3/04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station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3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designed for abrasive blasting of particular work, e.g. the internal surfaces of cylinder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내측면에는 가로 및 세로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대가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연결대의 상부에서 인서트팁의 중앙에 형성된 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외면으로 돌출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인서트팁이 회전 또는 움직이지 못하도록 상기 인서트팁의 외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a insert tip fixing tray for sand blast}
본 발명은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샌드 블라스트 공정을 통해 인서트팁의 표면을 연마할 때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가진 인서트팁을 고정시킬 수 있는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교체가능한 절삭용 인서트팁(2)은 통상적으로 코너에 배치된 초경질 재료를 갖는 다각형이며, 인서트팁(2)은 통상적으로 초경질 재료를 포함하는 코너 또는 영역 중의 하나를 가공물의 표면에 나타내도록 고정된 위치에서 절삭 공구(5)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인서트팁(2)은 가공물의 재질 또는 가공시간에 따라 초경질 재료의 영역이 마모되어 가공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게 되므로 절삭 공구에서 인서트팁(2)만 주기적으로 교체하여 사용수 있게 된다.
인서트팁을 가공한 후에는 샌드 블라스트를 이용하여 인서트팁의 표면을 연마처리하게 되는데, 이때 인서스팁의 크기가 작고 다수 개의 인서트팁을 동시에 연마하기 위해 별도로 마련된 트레이를 이용하여 연마공정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트레이에 인서트팁이 장착된 상태에서 연마공정이 진행되면 인서트팁이 고정되지 못하고 회전되거나 트레이로부터 이탈되면서 표면이 균질하게 연마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6635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착되는 인서트팁이 회전되거나 트레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여 표면이 균질하게 연마될 수 있도록 하는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서트팁이 연마될 때 인서트팁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하부로 연마재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서트팁의 모양이나 크기에 관계없이 인서트팁을 안착시켜 고정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인서트팁을 동시에 연마될 수 있도록 하는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내측면에는 가로 및 세로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대가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연결대의 상부에서 인서트팁의 중앙에 형성된 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외면으로 돌출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인서트팁이 회전 또는 움직이지 못하도록 상기 인서트팁의 외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의 상기 지지대는 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인서트팁의 가장자리가 상기 지지대 외면으로 돌출시켜 상기 인서트팁을 고정시키는 안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의 상기 프레임의 하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는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트레이를 적층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의 상기 지지대는 상단과 하단은 가로로 형성되고 중단은 세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의 중단은 상단과 하단에 비해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인서트팁의 크기가 작은 경우 상기 지지대의 중단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크기가 큰 경우 상기 지지대의 중단 상부에 거치된 후 상기 지지대의 상단과 하단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의 상기 연결대는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부터 X자 형태로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보강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의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외면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돌출단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체결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가 서로 적층되면 상기 돌출단 및 상기 체결홈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에 의하면, 안착되는 인서트팁이 회전되거나 트레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여 표면이 균질하게 연마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에 의하면, 인서트팁이 연마될 때 인서트팁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하부로 연마재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에 의하면, 인서트팁의 모양이나 크기에 관계없이 인서트팁을 안착시켜 고정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인서트팁을 동시에 연마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인서트팁이 절삭공구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에 인서트팁이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의 구조를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의 A-A의 절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가 적층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의 지지대가 변형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샌드 블라스트 공정을 통해 인서트팁의 표면을 연마할 때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가진 인서트팁을 고정시킬 수 있는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에 인서트팁이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의 구조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10) 고정 트레이는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10) 고정 트레이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내측면에는 가로 및 세로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대(110)가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100)과, 연결대(110)의 상부에서 인서트팁(10)의 중앙에 형성된 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외면으로 돌출되는 지지축(120)과, 지지축(120)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며 인서트팁(10)이 회전 또는 움직이지 못하도록 인서트팁(10)의 외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대(1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100)의 하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프레임(10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받침대(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100)은 사각형 틀 내측면에 다수 개의 연결대(110)가 가로와 세로 방면으로 형성되어 프레임(100)의 마주보는 내측면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대(110)가 서로 교차되는 부위는 십자 형태로 중첩되어 있다.
또한 연결대(110)는 프레임(100)의 하부면에 형성된 후 프레임(100)의 하부면과 상부면 사이의 높이까지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연결대(110) 위에 안착되는 인서트팁(10)이 프레임(100)의 상부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대(110)가 서로 교차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연결대(110)는 격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연결대(110)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샌드 블라스트에서 분사되는 연마재가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될 수 있게 된다.
지지축(120)은 연결대(110)가 서로 교차되는 부위에서 상부 방면으로 돌출되어 인서트팁(10)에 형성된 홀 내부로 지지축(120)이 삽입되어 인서트팁(10)의 위치를 1차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지지축(120)은 상단에서부터 하단으로 지름이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형성시켜 인서트팁(10)에 형성된 홀의 지름이 다양하더라도 지지축(120)이 인서트팁(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130)는 지지축(120)의 주변에서 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축(120)에 의해 중심점이 고정된 인서트팁(10)의 가장자리를 지지하여 인서트팁(10)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지지대(130)는 연결대(110)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인서트팁(10)의 다양한 형상에 맞춰 적용될 수 있도록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대(130)는 상단과 하단은 가로로 형성되고 중단은 세로로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대(130)의 중단은 상단과 하단에 비해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있어 인서트팁(10)의 크기가 작은 경우 지지대(130)의 중단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크기가 큰 경우 지지대(130)의 중단 상부에 거치된 후 지지대(130)의 상단과 하단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대(130)는 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지지대(130)는 인서트팁(10)의 가장자리가 지지대(130) 외면으로 돌출시켜 인서트팁(10)을 고정시키는 안착홈(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대(130)는 상단과 하단은 가로로 형성되고 중단은 상단과 하단 사이를 연결하는 영어의 대문자 아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 개로 형성된 지지축(120)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대(130)의 배치는 지지축(120)을 중심으로 양측에 두 개의 지지대(130)가 형성됨으로써 사각형 형태의 틀을 형성하게 되고, 인서트팁(10)은 두 개의 지지대(130)로 인해 형성된 사각형 틀 내측면에 가장자리가 밀착되면서 회전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지지대(130)의 중단은 높이가 상단과 하단보다 낮게 돌출되어 있어 안착되는 인서트팁(10)의 크기가 큰 경우 중단의 상부에 거치시킬 수 있게 되며, 이 경우 인서트팁(10)은 지지대(130)의 상단과 하단 내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대(130)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지지대(130) 사이에는 공간이 비어져 있는 안착홈(140)이 형성되게 되고, 안착홈(140)을 통해 두 개의 지지대(130)로 형성된 사각형 형태의 틀보다 큰 인서트팁(10)이 안착되는 경우 돌출되는 모서리 또는 단부를 안착홈(140)에 삽입시켜 인서트팁(1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도 3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 인서트팁(10)을 수용할 수 있게 되며, 삼각형 형태의 인서트팁(10)은 상부는 안착홈(140)이 안착되고 하부면은 지지대(130)의 하단 내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되게 되며, 인서트팁(10)의 폭이 지지대(130)의 폭보다 크기 때문에 지지대(130)의 중단 상부에 거치되게 된다.
인서트팁(10)이 마름모 형태인 경우 돌출되는 양단이 지지대(130) 사이에 형성된 안착홈(140)에 각각 삽입되어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안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서트팁(10)이 사각 또는 다각형인 경우 크기에 따라 지지대(130)의 상단, 중단, 하단 내측면에 각각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크기가 큰 경우 지지대(130)의 중단 상부면에 거치된 후 지지대(130)의 상단과 하단 내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지지대(130)가 인서트팁(1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지대(130)의 상단과 하단은 연결대(110)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단의 경우 연결대(110)의 상부면에서 연결대(11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인서트팁(1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 또는 하중을 지지대(130)의 상단과 하단 그리고 연결대(110)로 전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레임(100)의 상부면에서 외면으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돌출단(300)이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단(300)은 트레이가 서로 적층될 때 상부면에 위치한 트레이와 결합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돌출단(30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10) 고정 트레이의 A-A의 절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10) 고정 트레이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10) 고정 트레이가 적층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10) 고정 트레이는 프레임(100)의 하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프레임(10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받침대(200)를 더 포함하며, 받침대(200)는 프레임(100)의 외측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단차부(210)가 형성되어 있어 트레이를 적층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10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외면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돌출단(300)과, 프레임(100)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돌출단(3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체결홈(220)을 더 포함하며, 트레이가 서로 적층되면 돌출단(300) 및 체결홈(22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받침대(200)는 프레임(10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프레임(100)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하게 하부면으로 돌출된 후 외측 방향으로 꺾인 후 다시 하부 방면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받침대(200)는 프레임(100)의 외측면을 향해 다단으로 꺾이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프레임(100)과 받침대(200) 사이에는 단차부(210)가 형성되게 되며, 다수의 트레이를 적층시키면 하부에 위치된 트레이의 프레임(100) 상부가 상부에 위치된 트레이의 단차부(210)에 접촉되면서 두 트레이의 프레임(100)이 서로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수 개의 트레이가 서로 적층될 때 받침대(200)가 프레임(1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기 때문에 받침대(200)에 의해 1차적으로 각각의 프레임(100)의 위치가 서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프레임(100)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고정하기 위해 프레임(100)의 상부면에는 상부 방면으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돌출단(300)이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임(100)의 하부면에는 내측면으로 파여져 돌출단(3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체결홈(220)이 형성되어 있다.
즉, 두 개의 트레이를 적층시켰을 때 하부에 위치된 트레이의 돌출단(300)이 상부에 위치된 트레이의 체결홈(220)에 삽입되면서 두 개의 트레이가 서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마장치에 로딩 또는 언로딩 시키기 위해 트레이의 일면과 타면에는 설정된 간격으로 제1인입홈(230)이 형성되고, 트레이의 전면과 후면에는 설정된 간격으로 제2인입홈(24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인입홈(230)은 받침대(200)가 프레임(100)의 일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받침대(200)의 하부면만 일부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2인입홈(240)은 프레임(100)의 하부면까지 관통되도록 하여 받침대(200)가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형상처럼 나타나게 된다.
제1인입홈(230)과 제2인입홈(24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자동화 장비를 통해 트레이를 집어 자동으로 로딩 또는 언로딩 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10) 고정 트레이의 지지대(130)가 변형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10) 고정 트레이의 지지대(130)는 지지축(120)으로부터 이격되어 연결대(110)를 따라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면에는 개구되어 있어 인서트팁(10)의 돌출된 단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결대(110)는 지지축(12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지지축(120)을 중심으로부터 X자 형태로 지지대(130)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보강대(1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대(130)는 지지축(120)을 중심으로 연결대(110) 상부에서 사각형 형태로 돌출되어 있으며, 지지축(120)에 인서트팁(10)이 장착되면 인서트팁(10)의 가장자리가 지지대(130)의 내측면에 접촉되면서 인서트팁(10)이 회전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대(130)의 일면은 설정된 간격으로 개구된 안착홈(1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안착홈(140)은 삼각형 형태로 된 인서트팁(10)의 단부가 안착홈(140)을 통해 지지대(130) 외부로 돌출되게 하여 인서트팁(10)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안착홈(140)은 지지대(130)의 타면에도 형성되어 마름모 형태 또는 다각형 형태의 인서트팁(10)이 지지대(130)의 양면으로 돌출되어 안착홈(140)에 양 단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대(130) 내측면에는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사선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보강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보강대(111)는 지지축(120)을 중심으로 가로와 세로로 배치되는 연결대(110) 사이를 X자 형태로 연결시켜 하중을 분산시키게 된다.
이를 통해 인서트팁(10)이 연마되는 도중 연마재가 인서트팁(10)의 표면을 타격하면서 발생되는 하중을 연결대(110) 및 프레임(100)으로 전달시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에 의하면, 안착되는 인서트팁이 회전되거나 트레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여 표면이 균질하게 연마될 수 있으며, 인서트팁이 연마될 때 인서트팁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하부로 연마재가 배출될 수 있고, 인서트팁의 모양이나 크기에 관계없이 인서트팁을 안착시켜 고정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인서트팁을 동시에 연마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인서트
100 : 프레임
110 : 연결대
111 : 보강대
120 : 지지축
130 : 지지대
140 : 안착홈
200 : 받침대
210 : 단차부
220 : 체결홈
230 : 제1인입홈
240 : 제2인입홈
300 : 돌출단

Claims (6)

  1.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내측면에는 가로 및 세로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대가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연결대의 상부에서 인서트팁의 중앙에 형성된 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외면으로 돌출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인서트팁이 회전 또는 움직이지 못하도록 상기 인서트팁의 외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대는 상단과 하단은 가로로 형성되고 중단은 세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의 중단은 상단과 하단에 비해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인서트팁의 크기가 작은 경우 상기 지지대의 중단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크기가 큰 경우 상기 지지대의 중단 상부에 거치된 후 상기 지지대의 상단과 하단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인서트팁의 가장자리가 상기 지지대 외면으로 돌출시켜 상기 인서트팁을 고정시키는 안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는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트레이를 적층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부터 X자 형태로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보강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외면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돌출단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체결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가 서로 적층되면 상기 돌출단 및 상기 체결홈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
KR1020190045669A 2019-04-18 2019-04-18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 KR102163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669A KR102163627B1 (ko) 2019-04-18 2019-04-18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669A KR102163627B1 (ko) 2019-04-18 2019-04-18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3627B1 true KR102163627B1 (ko) 2020-10-08

Family

ID=72897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669A KR102163627B1 (ko) 2019-04-18 2019-04-18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6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78719A (zh) * 2021-12-28 2022-04-22 株洲钻石切削刀具股份有限公司 一种通用刃口处理夹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4241A (ja) * 2000-06-09 2001-12-25 Tensho Electric Industries Co Ltd 収納用トレイ
KR20090113268A (ko) * 2007-01-23 2009-10-29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집적 회로 칩들을 위한 지지대 포킷 트레이 격납용기 시스템
KR101166357B1 (ko) 2003-05-14 2012-07-27 다이아몬드 이노베이션즈, 인크. 절삭 공구 인서트와 제조 방법
JP5957466B2 (ja) * 2011-01-12 2016-07-27 サンドビ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ー アクティエボラーグ 少なくとも1つの加工部品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4241A (ja) * 2000-06-09 2001-12-25 Tensho Electric Industries Co Ltd 収納用トレイ
KR101166357B1 (ko) 2003-05-14 2012-07-27 다이아몬드 이노베이션즈, 인크. 절삭 공구 인서트와 제조 방법
KR20090113268A (ko) * 2007-01-23 2009-10-29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집적 회로 칩들을 위한 지지대 포킷 트레이 격납용기 시스템
JP5957466B2 (ja) * 2011-01-12 2016-07-27 サンドビ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ー アクティエボラーグ 少なくとも1つの加工部品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78719A (zh) * 2021-12-28 2022-04-22 株洲钻石切削刀具股份有限公司 一种通用刃口处理夹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8339B2 (en) Thin wafer carrier
KR102163627B1 (ko) 샌드 블라스트용 인서트팁 고정 트레이
US6375011B1 (en) Vibrating conveyor and method for conveying silicon fragments
US3245175A (en) Holder for supporting flowers and the like
US9061423B2 (en) Wafer handling apparatus
JPH01115505A (ja) 切削加工チップ
DE102013004184A1 (de) Spülkorb für Spülmaschinen, insbesondere gewerbliche Spülmaschinen
WO2005098847A2 (en) Packaging tray for disk drive head suspension assemblies
US5482899A (en) Leveling block for semiconductor demounter
US10045629B2 (en) Stackable leg
US20080295662A1 (en) Wafer catching device
US8196753B2 (en) Screening panel
CN210110727U (zh) 硅片清洗花篮
JPS5815670A (ja) 線材を連続的に研掃する方法および研掃装置
ES2906574T3 (es) Limpiador de tamices, unidad de tamizado y procedimiento
US7802449B1 (en) Cluster mounting mechanism
JP2014200785A (ja) 物品分類装置、物品分類方法、及び光学素子製造装置
CN219884375U (zh) 一种便于收纳fod的塑料盘
KR100945604B1 (ko) 웨이퍼의 가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TWM510539U (zh) 使用於膜架傳送裝置的修改彈簧墊
JP2006222234A (ja) 基板搬送用コンテナ
JP7425538B2 (ja) 物品丸め組立体および物品丸め装置
JP2017121470A (ja) カトラリースタンド
CN205621709U (zh) 一种led晶片周转架
CN210760697U (zh) 轮胎清石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