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444B1 -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 - Google Patents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444B1
KR102163444B1 KR1020190012565A KR20190012565A KR102163444B1 KR 102163444 B1 KR102163444 B1 KR 102163444B1 KR 1020190012565 A KR1020190012565 A KR 1020190012565A KR 20190012565 A KR20190012565 A KR 20190012565A KR 102163444 B1 KR102163444 B1 KR 102163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particle guide
particles
brush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5020A (ko
Inventor
조지원
Original Assignee
조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지원 filed Critical 조지원
Priority to KR1020190012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444B1/ko
Publication of KR20200095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 B43K8/06Wick feed from within reservoir to writing-poi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03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2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3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72Eyeliner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자(1)가 함유된 잉크(10)가 저장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되며 중공(210)이 형성된 잉크공급조절기(200); 상기 잉크공급조절기(200)의 삽입단부(230)에 삽입되어 상기 입자(1)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입자 가이드부재(300); 상기 중공(210)에 이격 공간(S2)이 유지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입자 가이드부재(300)를 관통하여 상기 입자(1)가 함유된 잉크(10)를 브러시(510)에 공급하는 중계심(400); 상기 중계심(400)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입자(1)가 함유된 잉크(10)를 공급받는 상기 브러시(510)가 구비된 브러시부재(500); 및 상기 브러시(510)의 선단부가 노출되도록 삽입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0)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노즐(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입자 가이드부재(300)는 상기 삽입단부(230)에 삽입되었을 때 외부 공기의 유입이 가능한 내부 공간(S1)이 마련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A applicator equipped with a particle guide member}
본 발명은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포구 내부에 입자의 배출을 돕는 공간을 마련함과 함께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입자 가이드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도포구의 선단부로 펄이나 기타 미세 캡슐 등과 같은 입자의 배출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포구는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것에 이용하는 도구로서, 크게는 내부에 저장된 잉크를 배출시켜 사용하는 배출 방식과 외부의 잉크를 찍어 흡수하여 사용하는 흡수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도포구의 종류로는 볼펜, 붓팬, 만년필, 아이라이너, 아이브로우 등 다양한 도포구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잉크에 입자가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양한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배출 방식에서는 입자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기에, 흡수 방식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었다.
이는 배출 방식의 경우에는 입자의 크기가 큰 이유로 중계심에 침투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입자가 배출되는 경로가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용상의 편의성은 흡수 방식 보다는 배출 방식이 더 높을 것이므로, 배출 방식에서도 입자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26806호(등록일: 2013.01.21.) 한국등록특허 제10-1464934호(등록일: 2014.11.19.)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도포구 내부에 입자의 배출을 돕는 공간을 마련함과 함께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입자 가이드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도포구의 선단부로 펄이나 기타 미세 캡슐 등과 같은 입자의 배출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잉크공급조절기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가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중계심이 이격 공간을 유지하며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입자의 배출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의 외측면에 축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홈을 형성함으로써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을 도와 입자의 배출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입자가 함유된 잉크가 저장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며 중공이 형성된 잉크공급조절기; 상기 잉크공급조절기의 삽입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입자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입자 가이드부재; 상기 중공에 이격 공간이 유지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입자 가이드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입자가 함유된 잉크를 브러시에 공급하는 중계심; 상기 중계심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입자가 함유된 잉크를 공급받는 상기 브러시가 구비된 브러시부재; 및 상기 브러시의 선단부가 노출되도록 삽입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입자 가이드부재는 상기 삽입단부에 삽입되었을 때 외부 공기의 유입이 가능한 내부 공간이 마련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입자는 상기 중계심의 외측에 형성된 상기 이격 공간을 따라 상기 브러시에 공급되고, 상기 잉크는 상기 중계심에 침투되어 상기 브러시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중공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중계심은 상기 리브에 의해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중계심과 상기 입자 가이드부재의 사이에는 사이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입자 가이드부재는 상기 삽입단부에 삽입되었을 때 외부 공기의 유입이 가능한 내부 공간이 마련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입자 가이드부재의 적어도 일측면은 플랫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입자 가이드부재의 적어도 일단부는 축 방향을 따라 외경이 감소되도록 돌출되어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내부 공간에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중계심의 외측면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노즐의 외측면에는 축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징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브러시를 보호하는 캡;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내장되어 자유롭게 이동하는 볼; 및 상기 하우징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입자가 함유된 잉크의 유출을 방지하는 탈착 가능한 마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을 감싸도록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를 연장하는 외부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에 의하면,
본 발명은 도포구 내부에 입자의 배출을 돕는 공간을 마련함과 함께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입자 가이드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도포구의 선단부로 펄이나 기타 미세 캡슐 등과 같은 입자의 배출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잉크공급조절기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가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중계심이 이격 공간을 유지하며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입자의 배출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의 외측면에 축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홈을 형성함으로써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을 도와 입자의 배출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의 잉크공급조절기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의 입자 가이드 부재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의 노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에서 입자와 잉크가 브러시에 공급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의 선단부로 유입된 공기가 흐르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또한,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그리고,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의 잉크공급조절기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의 입자 가이드 부재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의 노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는 기본적으로 하우징(100), 잉크공급조절기(200), 입자 가이드부재(300), 중계심(400), 브러시부재(500) 및 노즐(6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입자(1)가 함유된 잉크(10)가 저장되는 구성으로써, 내부에 입자(1)가 함유된 잉크(10)를 저장하는 저장부(11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0)의 선단부에는 브러시(510)를 보호하는 캡(700)이 장착될 수 있으며, 또, 하우징(100)의 후단부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입자(1)가 함유된 잉크(10)의 유출을 방지하는 탈착 가능한 마개(800)가 장착될 수 있다. 즉, 마개(800)에 의해 저장부(110)가 개폐되어 입자(1)가 함유된 잉크(10)의 충전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저장부(110) 내부에는 자유롭게 이동하는 볼(900)이 내장될 수도 있다. 볼(900)은 저장부(110)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입자(1)가 함유된 잉크(10)의 뭉침이나 마름에 의해 고형화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0)의 외측을 감싸도록 장착되며 하우징(100)의 길이를 연장하는 외부 하우징(100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외부 하우징(1000)이 더 포함되는 경우, 하우징(100)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에 대해 보다 강하게 버틸 수 있게 하면서도, 파지감이 향상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잉크공급조절기(2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되며 중공(210)이 관통 형성된 구성으로써,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환형슬릿(220)이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환형슬릿(220)의 외측면에는 단턱홈(225)이 일렬 형성되어 있고,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잉크공급조절기(200)의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환형슬릿(220)과 연통되는 관통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잉크공급조절기(200)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외부의 온도나 습도 환경에 관계없이 저장부(110)에 저장된 입자(1)가 함유된 잉크(10)를 다수개의 환형슬릿(220) 사이에 항상 머금을 수 있게 함으로써, 입자(1)가 함유된 잉크(10)가 잉크공급조절기(200)의 후단부에 형성된 개구부 또는 관통홈을 통해 잉크공급조절기(200)의 내부로 유입되어 잉크공급조절기(200)의 선단부에 장착된 브러시부재(500)로 일정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잉크공급조절기(200)의 선단부에는 입자 가이드부재(300)가 삽입되는 삽입단부(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잉크공급조절기(200)의 중공(210)의 내측면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215)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입자 가이드부재(300)는 잉크공급조절기(200)의 선단부에 형성된 삽입단부(230)에 삽입되어 입자(1)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써, 특히, 입자 가이드부재(300)는 삽입단부(230)에 삽입되었을 때 외부 공기의 유입이 가능한 내부 공간(S1)이 마련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대한 일 실시 예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기둥 형상에서 그 내부에는 중계심(400)이 삽입 관통되도록 중계심 관통홀(3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입자 가이드부재(300)의 적어도 일측면은 플랫면(320)으로 형성되어, 삽입단부(230)에 삽입되었을 때, 내부 공간(S1)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입자 가이드부재(300)의 적어도 일단부는 축 방향을 따라 외경이 감소되도록 돌출되어 경사면(33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경사면(330)은 삽입단부(230)에 삽입되었을 때 내부 공간(S1)을 마련할 수도 있음은 물론, 유입된 외부 공기가 자연스럽게 중계심 관통홀(310)에 삽입된 중계심(400)의 외측면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입자(1)의 배출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내부 공간(S1)에 유입된 외부 공기는 중계심(400)의 외측면으로 공급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중계심(400)은 잉크공급조절기(200)의 중공(210)에 이격 공간(S2)이 유지되도록 삽입되고, 입자 가이드부재(300)를 관통하여 입자(1)가 함유된 잉크(10)를 브러시(510)에 공급하는 구성으로써, 선단부는 직경이 감소되도록 턱이 진 단턱부(410)가 형성된 상태에서, 그 말단부는 브러시(510)에 삽입되는 것과 입자(1)가 함유된 잉크(10)를 공급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브러시(510) 측으로 뾰족하게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중계심(400)은 잉크공급조절기(200)에 형성된 중공(210)에 삽입되게 되는데, 여기에서, 중공(210)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215)가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리브(215)에 의해 끼움 결합되어 이격 공간(S2)을 유지하며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중계심(400)은 입자 가이드부재(300)의 중계심 관통홀(310)에 삽입되게 되는데, 이때, 중계심(400)과 입자 가이드부재(300)의 사이에는 사이 공간(S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사이 공간(S3)을 형성하기 위해 중계심(400)의 외경이 중계심 관통홀(310)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입자(1)는 고체만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잉크(10)가 조금은 묻어 있는 상태일 것이므로, 입자(1)는 중계심(400)의 외측에 형성된 이격 공간(S2)과 사이 공간(S3)을 따라 표면 장력에 의한 모세관 현상에 의해 브러시(510)에 공급되게 되고, 잉크(10)는 중계심(400)에 침투되어 브러시(510)에 공급되게 되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브러시부재(500)는 중계심(400)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입자(1)가 함유된 잉크(10)를 공급받는 브러시(510)가 구비된 구성으로서, 링 형상의 브러시 결합부재(520)에 다수의 브러시(510)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노즐(600)은 브러시(510)의 선단부가 노출되도록 삽입된 상태로 하우징(100)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에는 축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홈(61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요홈(610)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써,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에서 입자와 잉크가 브러시에 공급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의 선단부로 유입된 공기가 흐르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저장부(110)에 저장된 입자(1)가 함유된 잉크(10)는 잉크공급조절기(200)의 중공(210)으로 흘러 들어가게 되고, 중공(210)에 삽입된 중계심(400)을 통해 최종적으로 브러시(510)에 공급되게 된다. 여기에서, 입자(1)는 중계심(400)의 외측면(즉, 이격 공간(S2) 및 사이 공간(S3))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잉크(10)는 중계심(400)에 흡수되어 이동하게 된다. 입자(1)는 크기가 큰 이유로 중계심(400)에 흡수되기 어렵기 때문에 이격 공간(S2) 및 사이 공간(S3)을 형성하여 입자(1)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였다.
한편, 내부에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경우, 입자(1)가 브러시(510)에 공급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고, 또한, 입자(1)가 제대로 배출되지 않아 이격 공간(S2) 또는 사이 공간(S3)을 막는 막힘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는 외부의 공기가 입자(1)와 함께 순환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노즐(600)과 하우징(100)의 선단부 사이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즉, 입자(1)는 브러시(510)의 사용에 의해 배출됨에 따라 브러시(510) 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외부의 공기는 노즐(600)의 요홈(610)을 통해 입자 가이드부재(300)에 의해 마련된 내부 공간(S1)으로 유입된 후 사이 공간(S3)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입자(1)가 브러시(510)로 공급되는 것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입자 10: 잉크
100: 하우징 110: 저장부
200: 잉크공급조절기 210: 중공
215: 리브 220: 환형슬릿
225: 단턱홈 230: 삽입단부
300: 입자 가이드부재 S1: 내부 공간
310: 중계심 관통홀 320: 플랫면
330: 경사면 400: 중계심
S2: 이격 공간 410: 단턱부
S3: 사이 공간 500: 브러시부재
510: 브러시 520: 브러시 결합부재
600: 노즐 610: 요홈
700: 캡 800: 마개
900: 볼 1000: 외부 하우징

Claims (12)

  1. 입자(1)가 함유된 잉크(10)가 저장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되며 중공(210)이 형성된 잉크공급조절기(200);
    상기 잉크공급조절기(200)의 삽입단부(230)에 삽입되어 상기 입자(1)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입자 가이드부재(300);
    상기 중공(210)에 이격 공간(S2)이 유지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입자 가이드부재(300)를 관통하여 상기 입자(1)가 함유된 잉크(10)를 브러시(510)에 공급하는 중계심(400);
    상기 중계심(400)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입자(1)가 함유된 잉크(10)를 공급받는 상기 브러시(510)가 구비된 브러시부재(500); 및
    상기 브러시(510)의 선단부가 노출되도록 삽입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0)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노즐(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입자 가이드부재(300)는 상기 삽입단부(230)에 삽입되었을 때 외부 공기의 유입이 가능한 내부 공간(S1)이 마련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1)는 상기 중계심(400)의 외측에 형성된 상기 이격 공간(S2)을 따라 상기 브러시(510)에 공급되고, 상기 잉크(10)는 상기 중계심(400)에 침투되어 상기 브러시(510)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210)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215)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심(400)은 상기 리브(215)에 의해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심(400)과 상기 입자 가이드부재(300)의 사이에는 사이 공간(S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 가이드부재(300)의 적어도 일측면은 플랫면(320)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S1)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 가이드부재(300)의 적어도 일단부는 축 방향을 따라 외경이 감소되도록 돌출되어 경사면(330)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330)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S1)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S1)에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중계심(400)의 외측면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600)의 외측면에는 축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홈(61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브러시(510)를 보호하는 캡(7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내장되어 자유롭게 이동하는 볼(900); 및
    상기 하우징(100)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입자(1)가 함유된 잉크(10)의 유출을 방지하는 탈착 가능한 마개(80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을 감싸도록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를 연장하는 외부 하우징(10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
KR1020190012565A 2019-01-31 2019-01-31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 KR102163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565A KR102163444B1 (ko) 2019-01-31 2019-01-31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565A KR102163444B1 (ko) 2019-01-31 2019-01-31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020A KR20200095020A (ko) 2020-08-10
KR102163444B1 true KR102163444B1 (ko) 2020-10-08

Family

ID=72049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565A KR102163444B1 (ko) 2019-01-31 2019-01-31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44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934B1 (ko) * 2014-04-18 2014-12-04 주식회사 버디전자 아이라이너
JP2015136808A (ja) * 2014-01-20 2015-07-30 株式会社呉竹 筆記具用リフィル及び筆記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806B1 (ko) 2012-10-05 2013-01-25 양하석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
JP6630473B2 (ja) * 2014-10-16 2020-01-15 株式会社呉竹 ペン及びペン用リフィ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36808A (ja) * 2014-01-20 2015-07-30 株式会社呉竹 筆記具用リフィル及び筆記具
KR101464934B1 (ko) * 2014-04-18 2014-12-04 주식회사 버디전자 아이라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020A (ko) 202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10826B (zh) 筆具及墨水匣
KR100946428B1 (ko) 직액식 필기구
EP1634724B1 (en) Ink occluding element in a writing implement
KR200475064Y1 (ko) 아이라이너
JPS6116637B2 (ko)
KR101274866B1 (ko) 화장용 아이라이너 용기
WO2019073703A1 (ja) 塗布具
KR20090027340A (ko)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EP2581234B1 (en) Writing instrument
JP4848068B2 (ja) 直液式筆記具
JP2013102910A (ja) 液体供給装置
EP2853412A1 (en) Writing instrument
KR102175091B1 (ko) 펄입자가 이동되는 홈이 형성된 펄가이드부재 삽입형 도포구
KR102163444B1 (ko)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
US9566818B2 (en) Writing instrument
JPH08275819A (ja) 化粧用塗布具
JP2021142761A (ja) 筆記具
KR102332597B1 (ko) 화장 도구
JP2010269133A (ja) 液体供給体及び該液体供給体を用いた筆先構造
KR102187398B1 (ko) 중계심 일체형 도포체를 구비한 아이라이너
JP3152082U (ja) 直液式筆記具
KR102175072B1 (ko) 펄입자가 이동되는 홈이 형성된 이중 구획 잉크조절기를 구비한 도포구
JP6464231B2 (ja) 筆記具
KR101838387B1 (ko) 공기 순환로가 형성된 리필형 마카펜
TWI761861B (zh) 自動鉛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