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331B1 - 탈부착 가능한 방진 필터 및 밸브의 어셈블리를 구비한 주전자 - Google Patents

탈부착 가능한 방진 필터 및 밸브의 어셈블리를 구비한 주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331B1
KR102163331B1 KR1020140070545A KR20140070545A KR102163331B1 KR 102163331 B1 KR102163331 B1 KR 102163331B1 KR 1020140070545 A KR1020140070545 A KR 1020140070545A KR 20140070545 A KR20140070545 A KR 20140070545A KR 102163331 B1 KR102163331 B1 KR 102163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kettle
valve
spou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5989A (ko
Inventor
웬 챵 린
자비에 생-위베르
쟝-삐에르 뤼보비키
삐에르-로익 쁘띠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40145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47J27/21183Water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부(8) 및 물을 따라 내기 위하여 본체의 외부를 향하여 개방부를 연장하는 스파우트(9)를 구비한 본체(2)를 포함하는 전기 주전자(1)에 관한 것이다. 상기 주전자는 또한 개방부의 층위에 배치된 필터 지지대(11) 및 탈부착 가능한 필터(14)를 포함한다. 그외에, 상기 주전자는 상기 필터 상에 배치된 밸브(24)를 포함하고, 연결 수단들은 스파우트의 개방 위치와 스파우트의 폐쇄 위치 사이에서, 그리고 역으로 스파우트의 폐쇄 위치와 스파우트의 개방 위치 사이에서 필터에 대한 밸브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밸브와 필터 사이에 배치된다. 그러한 설계에 의해, 사용자들은 주전자의 스파우트 내부에 밸브가 있는 필터 또는 밸브가 없는 필터를 설치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부착 가능한 방진 필터 및 밸브의 어셈블리를 구비한 주전자{KETTLE HAVING AN ASSEMBLY OF VALVE AND DUST-REMOVABLE FILTER}
본 발명은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정용 기기들, 특히 전기 주전자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전기 주전자는 일반적으로 물을 담을 수 있는 본체로 구성되고, 그 본체는 그 본체 외부로 물을 따라 내도록 구성된 개방부 및 그 물을 따라 내기 쉽도록 본체의 외부를 향하여 그 개방부를 연장하도록 형성된 스파우트(spout)를 구비한다. 본체는 또한 그 본체를 다루기 위한 손잡이 및 상기 본체에 물을 채우도록 그 본체의 상부에 배치된 주 개방부도 포함한다. 주전자는 또한 본체 상에서 그 주 개방부를 폐쇄하도록 형성된 뚜껑 및 상기 본체 내에 들어있는 물을 가열하는 전기적 수단들 또한 포함하고 본체가 그 상부에 꼽아지는 전기공급용 받침대를 포함한다.
개방부 전방에서 스파우트 내에 수용되는 필터를 구비한 전기 주전자는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필터는, 한편으로는 물을 따라 낼 때, 물에서 가열 주기 동안 형성되는 석회질을 여과하는 기능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 필터가 물이 끓는 동안 끓는 물의 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예시로서, 그러한 주전자는 특허출원 FR 2671447 및 특허 US 5672274 A 및 실용신안 CN 201683717 U에 개시되어 있다. 그 문헌들에서, 필터는 본체 상에 배치된 필터 지지대 상 개방부 전방에서 스파우트의 바닥부 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있다. 필터 지지대의 밖으로 필터를 빼냄으로써 필터의 세척이 가능하다.
문헌 CN 201683717 U에서, 주전자는 또한 온수를 따라낼 수 있도록 주전자를 따를 때 개방 위치에서 피봇팅하기 위하여 필터 지지대 상에 피봇 연결되어 장착되고, 본체가 다시 세워지고, 예를 들어 전기 공급용 받침대 상에 또는 평면상에 위치될 때는 폐쇄위치에 있는 밸브도 포함한다. 본체에서 물을 따라 낼 때 밸브가 개방되도록 구슬을 구비한 시스템이 밸브 상에 중력에 의해 작용한다. 그러한 밸브는 스파우트를 통하여 주전자 본체의 내부로 먼지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 밸브는 또한 가열주기 동안, 특히 물이 비등점에 근접했을 때 스파우트를 통하여 수증기가 새어나오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관례와 풍습에 따라, 어떤 사용자들은 뚜껑을 젖히고 주 개방부를 통하여 물을 투입함으로써 주전자에 물을 채운다. 그와 반대로, 다른 사용자들은 본체의 주 개방부는 그대로 두기 위하여 뚜껑을 개방하지 않고 스파우트를 통하여 직접 물을 투입함으로써 주전자에 물을 채운다. 밸브를 구비한 그러한 주전자는, 문헌 CN 201683717 U에 개시된 바와 같이, 특정 사용자들에게, 나아가 특정 시장 또는 나라에서, 예를 들어 소비자들이 문화적으로 위생 또는 방진에 대하여 민감한 곳에서 애호된다. 반면에, 밸브를 갖는 그러한 주전자는 직접적으로 스파우트를 통하여 주전자에 물을 채우기를 선호하는 다른 사용자들에게는 불편할 수 있는데, 이는 일단 본체가 다시 세워졌을 때 밸브가 체계적으로 재폐쇄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주요 단점들을 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당업자에게 공지된 주전자들과 비교할 때 다수의 장점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공지된 방식으로, 적어도 본체의 밖으로 물을 따라 내도록 형성된 개방부 및 물을 따라 내기 쉽도록 본체의 외부를 향하여 개방부를 연장하도록 형성된 스파우트를 구비한 본체를 포함하는 전기 주전자에 관한 것이다. 주전자는 또한 개방부 층위에 배치된 필터 지지대를 포함하고 탈부착 가능한 필터는 개방부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주목할 만하도록, 본 발명에 따르면, 주전자는 필터 상에 배치된 밸브를 포함한다. 그 외에, 연결 수단들이 밸브와 필터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 연결 수단들은 스파우트의 개방 위치와 스파우트의 폐쇄위치 사이에서, 그리고 역으로, 스파우트의 폐쇄위치와 스파우트의 개방위치 사이에서 필터에 대하여 밸브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주전자의 설계는 상기 주전자가 밸브를 갖는 필터를 구비하거나 밸브 없이 필터만을 구비할 수 있게 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필터를 스파우트 내에 설치할 때 필터 지지대 상에 오게 된다. 이는 유리하도록 관례와 풍습에 따라 사용자가 적용할 주전자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이는 그외에, 시장 및 각국의 관례와 풍습에 따라, 필터 지지대를 통하여 본체 상에 필터가 고정되는 주전자 본체의 설계를 위하여 설계 및 산업 수단을 적용하는데 있어서의 상당한 제약을 피하게 한다.
그 설계는 그외에, 필터를 갖는 밸브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며, 따라서 필터와 동시에 밸브가 세척될 수 있다.
한편, 그 설계는, 그러한 밸브를 구비한 주전자를 플라스틱 또는 금속성의 모든 물질로, 제약 없이 고안할 수 있게 한다. 실제로, 종래기술에 따른 제조에 의하여 금속성 주전자 본체 내에 방진 밸브를 통합하는 것은 산업적으로 어려우며, 이는 밸브의 관절연결이 종래의 주전자 상에서 본체 상에 직접적으로 실시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라 실시되는 밸브와 탈부착 가능 필터 사이의 연결은 그러한 단점을 완화한다.
본 발명의 대상 주전자에 따르면, 탈부착 가능한 어셈블리 수단들은 필터 지지대와 필터 사이에 배치된다. 이로써 세척이 용이하도록 필터와 밸브가 지지대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대상 주전자의 바람직한 설계에서는, 피봇 연결부가 밸브와 필터 사이에 배치되고, 스파우트의 개방 위치에서, 그리고 역으로 스파우트의 폐쇄위치에서, 필터에 대해 밸브를 피봇팅 시키도록 형성된다. 그러한 설계에 의해, 물을 따라 내기 위하여 주전자의 본체를 기울일 때, 물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한 밸브의 개방과, 그와 반대로 주전자 본체를 평면상에 또는 전기 공급용 받침대 상에 놓기 위하여 바로 세울 때, 중력의 작용에 의한 밸브의 폐쇄가 용이해진다. 마찬가지로 스파우트의 개방과 폐쇄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을 밸브와 필터 사이의 다른 연결부들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대상 주전자의 제1 실시예에서, 필터 지지대는 본체에 통합되고 개방부의 층위에 설치된 천공된 벽을 포함한다. 이로써 본체와 필터 지지대가 플라스틱 물질의 단일 블록일 수 있는 설계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대상 주전자의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지지대와 필터 사이의 탈부착 가능한 어셈블리 수단들은 천공된 벽의 상부에 배치된 홈들과 필터 상에 배치된 고정용 레그(leg)들을 포함한다. 그 고정용 레그들은, 필터가 스파우트 내에 위치되고 상기 천공된 벽과 맞대어 밀착될 때 홈들 내로 맞물리게 되도록 형성되고, 그와 반대로, 필터가 스파우트로부터 추출되었을 때 홈들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형성된다. 그 설계는 스파우트 내부에서 필터를 직접 잡음으로써 용이한 필터의 장착과 탈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대상 주전자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스파우트는 개방부를 한정하는 내부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그외에, 어셈블리 시스템이 내부 가장자리와 필터 지지대 사이에 배치된다. 이는, 본체 상에 부착된 어셈블리 시스템 수단을 이용하여 금속성 본체 상에 필터 지지대를 배치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는 그러한 어셈블리 시스템을 플라스틱 물질로 된 본체와 구현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주전자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어셈블리 시스템은 스파우트의 내부 가장자리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고정된 유지용 로드(rod)를 포함한다. 그외에, 유지용 부품이 상기 내부 가장자리의 하부에 고정된다. 한편, 고정용 레그들은 필터 지지대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고 유지용 로드 및 유지용 부품상에 각각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그 설계는 필터 지지대를 주전자 본체 상에 장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대상 주전자의 실시에 있어서, 특히 필터 지지대가 주전자의 본체 상에 덧붙여지는 제2 실시예를 위하여, 탈부착 가능한 어셈블리 수단들은 필터 지지대 상에 배치된 홈들과 필터 상에 배치된 고정용 레그들을 포함한다. 고정용 레그들은, 필터가 스파우트 내에 위치되고 상기 필터 지지대에 맞대어 밀착될 때 홈들 내에 맞물려 지도록 형성되고, 그와 반대로, 필터가 스파우트로부터 추출될 때 홈들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형성된다. 이는 또한 직접 필터를 잡음으로써 스파우트에서의 필터의 장착 및 탈착을 위한 필터의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대상 주전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밸브와 필터 사이의 피봇팅 연결부는 필터 상에 배치된 2개의 레그와 밸브 상에 배치된 2개의 만곡된 아암(arm)을 포함한다. 레그들은 각각 오리피스를 포함하고 만곡된 아암의 단부들은 각각 그들 각각의 오리피스 내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접점을 포함한다. 변형예들, 특히 아암들과 레그들 상에 접점들과 오리피스들이 반대로 있는 예를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상 주전자에 따르면, 그 주전자는 밸브와 필터 사이에 배치된 제1 제동 수단들을 포함한다. 그 제1 제동 수단들은 스파우트에 대한 밸브의 폐쇄 위치를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스파우트 상의 밸브의 폐쇄 위치를 정확히 정의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스파우트를 통한 수증기의 방출을 최적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상 주전자에 따르면, 그 주전자는 밸브와 필터 사이에 배치된 제2 제동 수단들을 포함한다. 그 제2 제동 수단들은 밸브와 스파우트 사이의 개방 각도를 제한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피봇 연결부는 60°내지 85°사이에 포함되는 값으로 제한되는 밸브와 스파우트 사이의 개방 각도를 허용한다. 이는, 그외에, 사용자가 밸브를 들어올려 스파우트를 통하여 직접 주전자에 물을 채우는 가능성을 유지하면서도 먼지에 대비하기 위하여 주전자가 밸브를 구비할 것을 원하는 경우, 스파우트를 통하여 주전자에 물을 채우기 위하여 밸브를 충분히 들어올릴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대상 주전자의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그 주전자는 밸브와 필터 사이에 배치된 블로킹 수단들을 포함한다. 그 블로킹 수단들은 본체에서 물을 따라 낸 후 밸브를 최대 개방 위치로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그 변형실시예에 따르면, 블로킹 수단들은, 한편으로는 밸브의 만곡된 아암 상에 배치된 리브들을, 다른 한 편으로는 필터의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리브들은 밸브 개방의 말기에 필터 가장자리 상에서 그 리브들의 간섭 또는 접촉에 기인한 "하드 포인트(hard point)"를 통과하도록 형성되고, 그 후 상기 필터의 가장자리 상에서 블로킹되도록 형성된다. 밸브의 블로킹 해제는 그 후 수동으로 밸브 상에 폐쇄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실시된다. 따라서 밸브는 개방 위치로 유지되고 사용자가 되돌리는 경우에만 재폐쇄된다. 그 설계는 특히 사용자 또는 소비자가 방진 밸브를 구비하기를 원하고 동시에 스파우트를 통하여 주전자를 채우기도 원하는 경우 유리하다.
본 발명의 대상 주전자의 변형 실시예에서, 그 주전자는 필터와 필터 지지대 사이에 배치된 제거 수단들을 포함한다. 그 제거 수단들은 스파우트 밖으로 필터를 추출하기에 용이한 방식으로 필터 지지대 상의 위치에 필터를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터를 스파우트에서 제거하기 위하여 지지대로부터 필터를 잡아서 탈착할 수 있다.
주전자의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그 주전자는 그 본체의 상부에 배치된 주 개방부의 개방용/폐쇄용 뚜껑을 포함한다. 그외에, 제거 수단들은 뚜껑이 폐쇄되어 있을 때 접근가능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물을 가열하는 동안 또는 주전자를 사용하는 동안 필터의 모든 탈착이 방지된다. 실제로, 사용자는 필터와 밸브를 탈착하기 위하여 제거 수단들을 통해 상기 필터를 잡고 주전자의 뚜껑을 미리 개방해야 하며; 그 경우 그 뚜껑의 개방으로써 사용자가 본체로부터 온수의 수증기가 빠져나오는지를 감지할 수 있고, 이로써 사용자가 화상의 위험이 있는 수증기가 있을 때 상기 필터를 제거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대상 주전자의 다른 변형 실시예에서, 밸브와 필터 사이의 연결 수단들은 상기 밸브를 상기 필터 상에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하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피봇 연결부가 밸브 상의 만곡된 아암들과 필터 상의 레그들 사이에 구현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밸브 상의 상기 만곡된 아암들은 오리피스들의 밖으로 접점들을 추출할 수 있도록 충분히 유연하게 형성된다.
연결 수단들의 그러한 설계는 밸브를 수용할 수 있거나 아닌 단일 필터를 갖도록 허용하고, 이로써, 사용자가 주전자에 그러한 방진 밸브를 구비할 것인지 아닌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밸브 없는 단일 필터와, 밸브를 구비한 필터를 동시에 갖출 필요가 없게 한다. 그러한 설계는 상부가 도색 된 뚜껑을 갖는 금속 주전자 버젼에 대하여 특히 유리하고 유용하다. 실제로, 스파우트와 뚜껑 사이에 배치된 그 연결 수단들은 뚜껑의 도료가 식용이 아닌 경우 물을 따를 때 물과 뚜껑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성들 중 어느 한 특성을 갖는 본 발명의 대상 주전자로 구성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그 어셈블리는, 밸브를 구비한 필터 이외에, 필터 지지대 상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조립될 수 있도록 형성된 밸브 없는 제2 필터도 포함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밸브가 있는 필터 및 밸브가 없는 필터의 2가지 유형의 필터를 제공받을 수 있고, 각자의 방식대로, 관례와 풍습에 따라, 방진 밸브의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대상 주전자의 특성 및 장점들을 입증한다. 본 상세한 설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도 1 및 도 2는 주전자의 제1 실시예를 2개의 3차원 각도로 도시.
도 3은 상기 주전자에 통합된 스파우트 및 필터 지지대가 강조된, 도 1 및 도 2의 주전자의 3차원 부분도.
도 4는 필터와 밸브가 함께 조립된 어셈블리의 제1 관측각도에 따른 3차원 도면.
도 5는 필터와 밸브의 제2 관측각도에 따른 3차원 분해도.
도 6은 상기 밸브의 만곡된 아암 상의 리브들이 강조된 밸브의 3차원 도면.
도 7 및 도 8은 필터 지지대가 본체 상에 덧붙여진 주전자의 제2 실시예의 2개의 각도로 도시된 3차원 부분도.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이 각각의 변형예에서 동일한 특성들을 정의하기 위하여 사용될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전자(1)는 본체(2) 및 전기공급용 받침대(3)를 포함하고, 본체(2)는 본체(2)의 하부(2a)를 구성하는 케이싱(4)의 내부에 배치된 가열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전기공급이 가능하도록 받침대(3) 상에 꼽아지도록 형성된다. 본체(2)는 상기 본체(2)로부터 온수를 따라 내기 위하여 또는 상기 본체(2)에 물을 채우기 위하여 본체(2)를 잡고 들어올릴 수 있게 하는 작동 손잡이(5)를 포함한다. 본체(2)의 상부(2b)는 본체(2)에 물을 채울 수 있게 하는 주 개방부(6)를 포함한다. 주 개방부(6)는 본체(2)의 상부(2b) 상에 피봇식 관절 연결된 뚜껑(7)에 의해 폐쇄된다. 본체(2)는 상부 윤곽면 상에 배치된 제2 개방부(8)를 포함하며, 제2 개방부(8)는 스파우트(9)에 의하여 연장되어 본체(2)를 기울였을 때 온수를 따라 낼 수 있게 한다. 스파우트(9)는 따라서 도 1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그 개방부(8)를 한정하는 내부 가장자리(10)를 포함한다. 상술한 그 특성들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바, 예를 들어 본체(2)로부터 완전히 탈착 또는 제거될 수 있는 뚜껑(7) 등의 다수의 변형예들이 그외에 고려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상 주전자(1)는 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주전자(1)의 본체(2)에 직접 통합되는 필터 지지대(11)를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본체(2)는 플라스틱 물질로 구현되며, 개방부(8)의 평면 내에 배치되는 벽(12)을 포함한다. 상기 벽(12)을 관통하여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벽(12)은 창문들(13) 또는 구멍들에 의하여 천공되어있다. 그 벽(12)은 필터 지지대(11)의 전면을 형성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전자(1)는, 스파우트(9) 내로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벽(12)과 조립되기 위하여 형성된 필터(14)를 포함한다. 그 필터는 물을 따라 내는 동안 물은 통과시키고 석회질은 막을 수 있게 하는 다공질 막(16)을 구비한 창문(15)을 포함한다. 다공질 막(16)은 그외에 물이 끓는 동안 본체(2) 밖으로 온수가 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창문(15)은 필터(14)가 상기 벽(12) 상에 조립되어 있을 때, 벽(12)의 창문들(13)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벽(12)은 벽의 상부(12a)과 측면 상에 2개의 홈(17a, 17b)을 포함한다. 그외에, 필터(14)의 창문(15)은 창문의 내면(15a) 상에, 벽면(12) 상의 홈들(17a, 17b)에 대응하고 상기 벽면(12)과 맞닿도록 필터(14)가 설치될 때 그 홈들 내로 맞물리도록 형성된 2개의 돌출부(18a, 18b)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지지대(11)는 벽면(12)을 그것의 상부(12a)에서 연장하는 상부면(19)을 포함한다. 상부면(19)은, 또한, 본체의 물질인 플라스틱 물질로 직접 구현되고, 중앙부에 인덴테이션(20, identation)을 갖는다. 한편,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4)는 중앙부에 배치된 탈착부(22)를 구비한 제1 부분(21a)을 포함하는 상부면(21)을 포함한다. 필터(14)가 필터 지지대(11) 상에 맞물릴 때, 탈착부(2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덴테이션(20)에 대응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스파우트(9)를 통하여 탈착부(22) 및 인덴테이션(20) 내에 하나의 손가락을 넣어서 필터(14)를 잡을 수 있고, 그 후 필터 지지대(11)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스파우트(9)로부터 추출하기 위하여 필터(14) 상에서 당길 수 있게 한다.
필터(14)의 상부면(21)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분(21b)을 포함한다. 본체(2) 상의 주 개방부(6)를 폐쇄하기 위하여 뚜껑(7)을 장착할 때 상기 뚜껑(7)은 필터(14)의 상부면(21)의 제1 부분(21a)을 완전히 덮고, 이로 인하여 탈착부(22)가 접근가능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필터(14)의 탈착이 방지된다. 제2 부분(21b)은, 반대로, 뚜껑(7)이 본체(2)의 주 개방부(6)를 폐쇄할 때 보이도록 남아 있으므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하게, 예를 들어 상표 또는 제품 번호를 필터 상에 표기(23)할 수 있다.
도 1,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전자(1)는 필터(14) 상에 직접 피봇 연결로 장착된 밸브(24)를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밸브(24)는 평면(25)을 포함하고, 그 평면의 하면(25a)의 하부에는, 그 평면(25)으로부터의 근접부(27a, 27b) 및 상기 근접부에 대하여 구부러진 말단부(28a, 28b)를 각각 포함하는 2개의 만곡된 아암(26a, 26b)이 연장된다. 말단부(28a, 28b)의 단부들은 각각 단자(29a, 29b)를 포함한다. 단자들(29a, 29b)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축 상에 배치되고 서로에 대하여 반대편으로 연장된다. 필터(14)의 창문(15)은 외면(15b)을 포함하고, 그 외면(15b)은 그 상부에서 밸브(24) 상의 2개의 만곡된 아암들(26a, 26b)사이의 간격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서로 떨어져 있는 2개의 레그들(30a, 30b)을 포함한다. 그 레그들(30a, 30b)은 각각 오리피스(31a, 31b)를 포함한다. 2개의 오리피스들(31a, 31b)은 동일한 축을 따라 정렬되고 단자들(29a, 29b)의 지름에 해당하는 지름을 갖는다. 만곡된 아암들(26a, 26b)은, 필터(14) 상에 밸브(24)를 피봇 연결에 의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단자들(29a, 29b)을 레그들(30a, 30b) 상의 오리피스들(31a, 31b) 내로 각각 삽입할 수 있기에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다. 그 유연성은, 반대로, 필터(14)로부터 밸브(24)를 탈착할 수 있게 한다. 그러한 피봇 연결은 변형예에 따라 실시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만곡된 아암들(26a, 26b) 상에서 2개의 단자들(29a, 29b)이 마주하도록 배치하거나 레그들(30a, 30b) 상에 단자들(29a, 29b)을 배치하고, 역으로 만곡된 아암들(26a, 26b)의 말단부들(28a, 28b)의 단부들 상에 오리피스들(31a, 31b)을 배치할 수 있다.
도 1,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24)의 평면(25)은 밸브(24)가 상기 스파우트(9)를 폐쇄할 때 스파우트(9)의 상부 가장자리(32)의 형태와 적절하게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밸브(24)에 의한 스파우트(9)의 그러한 폐쇄위치는, 필터(14)에 대하여 밸브(24)가 상기 폐쇄위치에서 피봇팅할 때, 필터(14)의 창문(15)의 외면(15b)의 상부에 맞닿게 되는 만곡된 아암들(26a, 26b)의 말단부들(28a, 28b)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제동장치에 의해 규정된다. 따라서 밸브(24)는 적절하게 스파우트(9)를 막고, 이에 따라 물이 끓는 동안 수증기의 방출이 최대한 감소된다. 역으로, 평면(25)의 하면(25a) 상에 가해지는 물의 힘의 작용으로 밸브(24)가 개방될 때, 만곡된 아암들(26a, 26b)의 근접부들(27a, 27b)과 말단부들(28a, 28b) 사이에서 정의된 굽은 부분들(33a, 33b)이 필터(14) 상의 제2 부분(21b)의 가장자리(34)와 맞닿게 된다. 이로써 물을 따라 내는 동안 스파우트(9)에 대한 밸브(24)의 개방 각도가 제한된다. 바람직하게는, 개방 각도가 50°내지 75°사이에 포함되는 값으로 제한되도록 만곡된 아암들(26a, 26b)과 가장자리(34)와 레그들(30a, 30b)의 형상이 선택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주전자(1)의 변형예에서, 만곡된 아암들(26a, 26b) 상의 근접부들(27a, 27b)의 내면(35a, 35b) 상에, 굴곡부(33a, 33b) 상부에 배치된 2개의 볼록형 리브들(36a, 36b)을 구비할 수 있다. 밸브(24)의 개방시에, 그 리브들(36a, 36b)은 필터(14)의 가장자리(34) 상에서 간섭하고 "하드 포인트"를 형성한다. 물을 따라 내는 동안 물에 의해 가해지는 힘으로 그 "하드 포인트"를 통과할 수 있고, 따라서 리브들(36a, 36b)을 가장자리(34)의 상부에 배치할 수 있다. 그 리브들(36a, 36b)은 그와 같이 가장자리(34) 상부에 고정되고, 이로써, 사용자가 물을 따라낸 후 주전자(1)의 본체(2)를 다시 세울 때, 밸브(24)의 평면(25)을 스파우트(9)에 대하여 개방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개방되어 있는 스파우트(9)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물을 투입함으로써 주전자(1)를 새로 채울 수 있게 한다. 그 경우 사용자는 스파우트(9)의 폐쇄를 위하여 수동으로 밸브(24)를 다시 내려야 한다.
스파우트(9)에 대한 밸브(24)의 폐쇄 및/또는 개방을 제한하는 제동 수단들을 구현하기 위하여 그리고 스파우트(9)의 개방 위치에서 밸브(24)를 고정하는 수단들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수의 변형예가 가능하다. 예시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밸브(24)의 평면(25)의 후방 가장자리(37)가, 스파우트의 폐쇄 위치에서 밸브(24)가 피봇팅할 때 필터(14)의 상부면(21)의 가장자리(34)에 맞닿게 되고, 그 결과, 상기 피봇팅을 제한하고 상기 폐쇄 위치를 명확히 규정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주전자(1) 설계의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주전자(1)의 변형예는 바람직하게는, 주전자(1)의 본체(2)와 독립되고 상기 본체(2) 상에 조립된 필터 지지대(11)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6의 관점에서 상술한 모든 특성들을 다시 취한다. 그 설계는 주전자를(1) 다양한 물질들로 구현할 수 있다는, 특히 금속성 본체(2)를 고안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명시한 바와 같이, 도 7에서 주전자(1) 본체(2) 상의 개방부(8)를 한정하는 스파우트(9)의 내부 가장자리(10)가 다시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용 로드(38)가 스파우트(9)의 내부 가장자리(10)의 상부(10a)로 정의되는 2개의 측부(2c, 2d)의 층위에서, 본체(2) 상에 횡방향으로 고정된다. 유지용 로드(38)는, 예를 들어 금속으로 구현되고 금속성 본체(2) 내부에 그것의 단부(38a, 38b)의 층위에 용접된다. 도 8에는, 본체(2)의 중심부(2e) 내에 스파우트(9) 상의 내부 가장자리(10)의 하부(10b) 층위에 배치된 유지용 부품(39)이 도시되어 있다. 그 유지용 부품(39)은 또한 금속으로 될 수 있고 본체(2)의 내부에 용접될 수 있고, 나아가 플라스틱으로 될 수 있고 본체(2)의 내부에 접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지지대(11)는, 자신의 상부(11a)에 본체(2) 상에서 스파우트(9) 내에 필터 지지대(11)를 설치할 때 유지용 로드(38) 상에 놓이는 횡단 보강대(40)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필터 지지대(11)는 그 하부(11b)에서 스파우트의 내부 가장자리(10) 형태와 결합하고 유지용 부품(39)을 지지하는 환형 보강대(41)를 포함한다. 횡단 보강대(40)는 그것의 2개의 측부 상에 유지용 로드(38)의 두께 상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고정용 레그들(42a, 42b)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환형 보강대(41)는 자신의 중심부에 유지용 부품(39)의 두께 내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고정용 레그(43)를 포함한다. 그 설계는 필터 지지대(11)를 탈부착 가능하게 본체(2) 상에 조립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7 및 도 8에서, 도 1 내지 도 6에 대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천공된 벽(12)과 홈(20)의 존재가 주목된다. 도 1 내지 도 6에 대하여 이미 상술 된 다른 모든 특성들, 나아가 변형예들 또한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설계 실시 모드에 고려될 수 있다.

Claims (18)

  1. a) 적어도 본체 밖으로 물을 따라 내도록 형성된 개방부(8) 및 상기 본체의 외부를 향하여 상기 개방부를 연장하고 물을 따라 내기에 용이하도록 형성된 스파우트(9)를 구비한 본체(2); 및
    b) 상기 개방부에 배치된 필터 지지대(11) 및 상기 개방부의 전방에 설치되는 탈부착 가능한 필터(14)를 포함하는 주전자(1)에 있어서,
    상기 주전자는 상기 필터 상에 배치된 밸브(24)를 포함하고, 연결 수단들(29a, 29b, 31a, 31b)은 상기 밸브와 상기 필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수단들은, 상기 스파우트의 개방위치와 상기 스파우트의 폐쇄위치 사이에서, 그리고 역으로, 상기 스파우트의 폐쇄위치와 상기 스파우트의 개방위치 사이에서, 상기 필터에 대한 상기 밸브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 수단들은, 상기 스파우트(9)의 개방위치에서 그리고 역으로 상기 스파우트의 폐쇄위치에서 상기 필터에 대하여 상기 밸브를 피봇팅 시키도록 형성되는 피봇 연결부이고, 상기 밸브(24)와 상기 필터(1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2)에서 물을 따라 낸 후 최대 개방 위치에서 상기 밸브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블로킹 수단들(34, 36a, 36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1).
  2. 제1항에 있어서, 탈부착 가능한 어셈블리 수단들(17a, 17b, 18a, 18b)은 상기 필터 지지대(11)와 상기 필터(14)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1).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지지대(11)는, 상기 본체(2)에 통합되고 상기 개방부(8)의 층위에 마련된 천공된 벽(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1).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지지대(11)는, 상기 본체(2)에 통합되고 상기 개방부(8)의 층위에 마련된 천공된 벽(12)을 포함하고, 상기 탈부착 가능한 어셈블리 수단들은 상기 천공된 벽(12)의 상부(12a)에 배치된 홈들(17a, 17b) 및, 상기 필터(14) 상에 배치된 고정용 레그들(18a, 18b)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용 레그들은, 상기 필터가 상기 스파우트(9) 내에 설치되고 상기 천공된 벽에 맞대어 밀착될 때 상기 홈들 내에서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역으로, 상기 필터가 스파우트로부터 추출될 때 홈들로부터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1).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9)는 상기 개방부(8)를 한정하는 내부 가장자리(10)를 포함하고, 어셈블리 시스템(38, 39, 42a, 42b, 43)은 상기 내부 가장자리와 상기 필터 지지대(1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 시스템은 상기 내부 가장자리(10)의 상부(10a)에 횡방향으로 고정된 유지용 로드(38), 및 상기 내부 가장자리의 하부(10b)에 고정된 유지용 부품(39)을 포함하고, 고정용 레그들(42a, 42b, 43)이 상기 필터 지지대(11)의 상부(11a) 및 하부(11b)에 배치되고 상기 유지용 로드 및 상기 유지용 부품상에 각각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1).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9)는 상기 개방부(8)를 한정하는 내부 가장자리(10)를 포함하고, 어셈블리 시스템(38, 39, 42a, 42b, 43)은 상기 내부 가장자리와 상기 필터 지지대(1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탈부착 가능한 어셈블리 수단들은 상기 필터 지지대(11) 상에 배치된 홈들(17a, 17b) 및 상기 필터(14) 상에 배치된 고정용 레그들(18a, 18b)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용 레그들은, 상기 필터가 상기 스파우트(9) 내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 지지대에 맞대어 밀착될 때 상기 홈들 내로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역으로, 상기 필터가 상기 스파우트로부터 추출될 때 홈들로부터 제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1).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연결부는 상기 필터(14) 상에 배치된 2개의 레그들(30a, 30b) 및 상기 밸브(24) 상에 배치된 2개의 만곡된 아암들(26a, 26b)을 포함하고, 상기 레그들은 각각 오리피스(31a, 31b)를 포함하고, 상기 만곡된 아암들의 단부들은 각각의 상기 오리피스 내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단자(29a, 29b)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1).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24)와 상기 필터(1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파우트(9)에 대한 상기 밸브의 폐쇄 위치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제1 제동 수단들(15b, 28a, 28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1).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24)와 상기 필터(1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밸브와 상기 스파우트(9) 사이의 개방 각도를 제한하도록 형성된 제2 제동 수단들(33a, 33b, 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1).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연결부는 60°내지 85°사이에 포함되는 값으로 제한되는, 상기 밸브(24)와 상기 스파우트(9) 사이의 개방 각도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1).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 수단들은, 한편으로는 상기 밸브(24)의 만곡된 아암들(26a, 26b) 상에 배치된 리브들(36a, 36b)을 포함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필터(14)의 가장자리(34)를 포함하며, 상기 리브들은 상기 밸브의 개방 말기에 상기 가장자리 상에서 상기 리브들의 접촉으로 인한 "하드 포인트"를 통과하도록 형성되고, 그 후, 상기 가장자리 상에 블로킹되도록 형성되고, 블로킹 해제는 폐쇄 방향으로 상기 밸브 상에 힘을 가함으로써 수동으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1).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거 수단들(20, 22)은, 상기 필터(14)와 상기 필터 지지대(1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를 상기 스파우트(9) 밖으로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 지지대 상의 위치에서 필터를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1).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전자(1)는 상기 본체(2)의 상부(2a)에 배치된 주 개방부(6)의 개방용 및/또는 폐쇄용 뚜껑(7)을 포함하고, 상기 제거 수단들(20, 22)은 상기 뚜껑이 폐쇄되었을 때는 접근가능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1).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들(29a, 29b, 31a, 31b)은 상기 필터(14) 상에 상기 밸브(24)를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1).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주전자(1)를 구성하는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필터 지지대(11) 상에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형성된 밸브(24) 없는 필터(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KR1020140070545A 2013-06-14 2014-06-11 탈부착 가능한 방진 필터 및 밸브의 어셈블리를 구비한 주전자 KR1021633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55575 2013-06-14
FR1355575A FR3006875B1 (fr) 2013-06-14 2013-06-14 Bouilloire munie d'un ensemble filtre et clapet anti-poussiere amovi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989A KR20140145989A (ko) 2014-12-24
KR102163331B1 true KR102163331B1 (ko) 2020-10-08

Family

ID=49054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545A KR102163331B1 (ko) 2013-06-14 2014-06-11 탈부착 가능한 방진 필터 및 밸브의 어셈블리를 구비한 주전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818084B1 (ko)
JP (1) JP2015000348A (ko)
KR (1) KR102163331B1 (ko)
CN (1) CN104223941B (ko)
FR (1) FR3006875B1 (ko)
RU (1) RU2644114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17419B2 (en) 2015-08-17 2019-12-31 Whirlpool Corporation Tea making appliance with filter assembly
NO20160868A1 (en) * 2016-05-23 2017-03-20 Os Tableware As Filter device and pot with filter device
USD825245S1 (en) 2016-08-24 2018-08-14 Whirlpool Corporation Brewer
FR3070586B1 (fr) * 2017-09-07 2019-08-30 Seb S.A. Bouilloire munie d'au moins deux debits de versage
GB2567628A (en) * 2017-10-13 2019-04-24 Strix Ltd Liquid heating appliances with a particulate trap
FR3078527B1 (fr) * 2018-03-02 2021-10-22 Seb Sa Recipient muni d'un couvercle avec obturateur de versage a commande bistable
WO2022093898A1 (en) * 2020-10-27 2022-05-05 Titan Direct, Llc Spouted liquid container and associated metho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710166U (zh) * 2010-03-31 2011-01-19 美的集团有限公司 一种壶嘴防尘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54185A (en) * 1927-01-21 1927-12-27 Mrczek Gustav Coffeepot attachment
GB443353A (en) * 1935-09-24 1936-02-26 Albert Richard Ashby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eapots and the like
GB9100138D0 (en) 1991-01-04 1991-02-20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An electrical kettle
GB9312743D0 (en) * 1993-06-21 1993-08-04 Kenwood Marks Ltd Vessel for containing liquid
US5672274A (en) 1996-08-02 1997-09-30 Black & Decker Inc. Electric kettle with removable filter
GB2392370B (en) * 1999-12-23 2004-05-26 Strix Ltd Electric water heating appliances
AU2204801A (en) * 1999-12-23 2001-07-09 Strix Limited Electric water heating appliances
CN201379425Y (zh) * 2009-03-14 2010-01-13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电热水壶壶嘴的防尘结构
CN201510137U (zh) * 2009-10-26 2010-06-23 上虞市银燕锻压业有限公司 电热水壶
CN201564130U (zh) * 2009-11-04 2010-09-01 广州市拓璞电器发展有限公司 一种壶嘴结构
CN201683717U (zh) 2010-01-29 2010-12-29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清洁电水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710166U (zh) * 2010-03-31 2011-01-19 美的集团有限公司 一种壶嘴防尘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06875B1 (fr) 2015-06-05
EP2818084A1 (fr) 2014-12-31
KR20140145989A (ko) 2014-12-24
FR3006875A1 (fr) 2014-12-19
EP2818084B1 (fr) 2015-12-30
JP2015000348A (ja) 2015-01-05
RU2014123139A (ru) 2015-12-20
RU2644114C2 (ru) 2018-02-07
CN104223941B (zh) 2017-09-22
CN104223941A (zh)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331B1 (ko) 탈부착 가능한 방진 필터 및 밸브의 어셈블리를 구비한 주전자
JP5373977B2 (ja) 閉鎖可能な注ぎ開口部を備えたティー・メーカー
TWI548377B (zh) 具移除咖啡渣功能之法式咖啡濾壓壺
KR101322408B1 (ko) 기름유출방지 양면 프라이팬
CN106087369B (zh) 包括配备有排出孔的蒸汽发生器的熨烫家电设备
KR200470022Y1 (ko) 멸치 거르개기
CN105982549B (zh) 煮茶杯
CN105662191B (zh) 可拆卸的多磨擦器组件
JP5690419B2 (ja) 飲料容器の蓋体
JP5750232B2 (ja) 水栓
JP3892765B2 (ja) 炊飯器
CN206381088U (zh) 一种方便拿放食物的电烤箱
CN220089195U (zh) 一种多功能电饭煲
CN204654683U (zh) 一种电炸锅及其炸桶篮组件
JP3175357U (ja) 急須
CN208909622U (zh) 一种具有过滤装置和滑动杯盖的杯子
CN209032169U (zh) 一种拖地洁具
CN104545471A (zh) 一种茶漏
CN206284855U (zh) 烹饪器具
JP3173288U (ja) ペール缶用蓋
CN202981354U (zh) 咖啡杯
CN2302738Y (zh) 自动泡茶机储茶壶出水结构
JP2012005813A5 (ko)
JP2012005813A (ja) 電気ケトル
IT202100010910A1 (it) Pentola per la cottura di alimenti e manico per pentol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