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313B1 - 체중 관리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 Google Patents

체중 관리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313B1
KR102163313B1 KR1020147036826A KR20147036826A KR102163313B1 KR 102163313 B1 KR102163313 B1 KR 102163313B1 KR 1020147036826 A KR1020147036826 A KR 1020147036826A KR 20147036826 A KR20147036826 A KR 20147036826A KR 102163313 B1 KR102163313 B1 KR 102163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morus
weight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6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2931A (ko
Inventor
리디아 알파로 브라우넬
병일 최
브랜든 코네리우슨
메이-펑 홍
의진 현
치 지아
핑 쟈오
현진 김
미란 김
태우 김
보수 이
영철 이
정범 남
메스핀 이맘
지혜 황
미선 오
Original Assignee
유니젠, 인크.
주식회사 네이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젠, 인크., 주식회사 네이처텍 filed Critical 유니젠, 인크.
Priority to KR1020207028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488B1/ko
Publication of KR20150022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61K31/34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condensed with a carbocyclic ring, e.g. coumaran, bufuralol, befunolol, clobenfurol, amioda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0Bry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6Platycod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7Celastraceae (Staff-tree or Bittersweet family), e.g. tripterygium or spindle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8Clusiaceae, Hypericaceae or Guttiferae (Hypericum or Mangosteen family), e.g. common St. Johnsw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6Loganiaceae (Logania family), e.g. trumpetflower or pinkr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7Magnoliaceae (Magnolia family)
    • A61K36/575Magno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7Piperaceae (Pepper family), e.g. Jamaican pepper or kav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9Arecaceae, Palmae or Palmaceae (Palm family), e.g. date or coconut palm or palmett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본 명세서는 대마초제제 수용체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칼콘 및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Diels-Alder 부가물과 지방 흡수 및 저장을 조절할 수 있는 플라반-3-올의 올리고머를 제공한다. 이러한 칼콘 및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Diels-Alder 부가물 또는 플라반-3-올의 올리고머는 임의선택적으로 다른 체중 관리 물질, 이를 테면 식욕억제제, 리파제 억제제, 다른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 향정신성 물질, 인슐린 민감제, 흥분제, 또는 포만감 물질과 복합되어 이용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이를 테면 체중 증가 또는 비만, 체중 감소를 촉진시키고, 식욕 억제, 포만감을 변형시키고,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에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체중 관리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NAGING WEIGHT}
관련 출원의 교차 참고
본 출원은 35 U.S.C. § 119(e)에 의거하여 2012년 5월 29일자로 제출된 U.S. 가특허 출원 번호. 61/652,807과 2013년 3월 14일자로 제출된 U.S. 가특허 출원 번호 61/783,729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들 2가지 가특허 출원은 이의 전문이 본원 명세서에 참고자료로 편입된다.
기술 분야
본 명세서는 체중 관리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관계하며, 좀더 구제적으로 칼콘(chalcone)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Diels-Alder 부가물과, 플라반-3-올의 올리고머, 또는 이둘 모두와 임의선택적으로 다른 체중 관리 물질, 이를 테면 식욕억제제, 리파제 억제제, 대마초제제(cannabinoid) 수용체 조절제, 향정신성 물질, 인슐린 민감제, 흥분제, 또는 포만감 물질과 복합된 조성물과, 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하는 방법 이를 테면, 체중 증가 또는 비만을 치료 또는 예방하고, 체중 감소, 식욕 억제를 촉진시키고, 포만감을 변경시키거나,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에 관련된다.
관련 기술의 설명
비만은 음식 문제다. 선진국의 풍족함은 다양하고, 풍족한 음식 종류를 대중에게 제공한다. 음식은 관련 미각과 후각의 즐거움과 함께 기본적인 생존을 위한 것만이 아니라 즐기는 것이다. 그 결과, 비만 및 비만-관련된 건강 문제가 급속도로 증가되고 있으며, 체중 관리를 돕는 식이 보충제가 강력하게 요구된다. 체중을 감소시키는 음식 보충제의 시장 규모는 상당하지만, 효과적인 제품은 소수이다.
수년동안, 카나비스 사티바(Cannabis sativa) (마리화나)는 외생성 대마초제제인 이의 활성 성분, 델타-9-테트라히드로카나비놀(THC)의 작용을 통하여 음식 섭취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 효과는 이의 작용 기전에 대한 연구를 촉진시켰다. THC의 결합 부위가 결국 클론되었으며, CB1 및 CB2로 명명되었다. 이들 수용체는 7개 막통과 루프 도메인을 특징으로 하는 G-단백질 결합된 패밀리에 속한다. 이들 두 수용체는 모두 Gi/0 아강에 속하며, 사이클릭AMP 수준의 음성적 조절에 의해 신호를 보낸다. CB1은 칼륨 채널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또한 나타났다. CB2 수용체는 면역 세포에 존재하며, 음식물 소비의 조절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습식 행동(feeding behavior)에 관련된 대마초제제 수용체인 CB1은 뇌와 지방 조직, 골격근, 간, 그리고 위장관 (GI)이 포함된 말초 조직 모두에서 광범위하게 발현된다.
공개된 CB1 수용체 길항제들중 많은 것들은 이들이 비-선점된(non-occupied) CB1 수용체의 구성적 작용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에 "역작용제(inverse agonists)" 로 명명되는 것이 더 적합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 집단의 주요 임상적 조치는 비만과 물질 남용이다. 과거 5가지 CB1 화합물이 임상 연구에서 테스트되었다. Rimonabant (Sanofi-Aventis, 2006년에 론칭됨), MK-0364 (Merck, Phase III), Surinabant 및 AVE-1625 (Sanofi-Aventis, Phase II), 그리고 SLV-319 (Solvay, Phase II)을 포함한다. 리모나반트 (Acomplia®, RimoslimTM 또는 Zimulti®로 판매됨)은 1994년 발견된 최초의 선택적 CB1 길항제다. 37개 국가에서 승인되었지만, 그 이후 신경학적 부작용으로 인하여 비만 치료에서 제외되었다.
시판되는 또다른 제품은 테트라히드로립스태틴 (비만방지약, Alli® 또는 Xenical®로 시판됨). 비만방지약(orlistat)은 이 약물의 지방산 합성효소의 저해에 근거하여 화학적 라이브러리로부터 확인되었지만, 췌장의 트리글리세리드 리파제 억제제로 개발되었다. 그러나, 비만방지약은 간 독성으로 인하여 심각한 위험의 잠재적 신호를 가진 약물 목록에 올라왔으며, 이것 때문에 제품 라벨이 변경되었으며 그리고 FDA는 임의의 추가 관리 조치에 대한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이 문제를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있다(www.fda.gov/Drugs/GuidanceComplianceRegulatoryInformation/Surveillance/AdverseDrugEffects/ucm161063.htm 참고).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체중 관리를 위한 개선된 조성물 및 방법에 대한 필요성은 자명해진다.
[선행 기술문헌]
일본 특허출원 2010-020558
미국 공개특허 2006/0018975
미국 공개특허 2011/0300175
간략한 요약
간략하게 말하자면, 본 명세서는 입체이성체, 약학적으로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서(nutraceutically) 수용가능한 염, 호변체, 이 화합물들의 글리코시드와 프로드럭이 포함된 체중 관리 및 관련 방법에 유용한 화합물 및 조성물, 그리고 체중 관리 및 관련 방법에서 이러한 화합물과 조성물의 용도에 관련된다.
한 구체예에 있어서, 본 명세서는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 그리고 최소한 한 가지 다른 체중 관리 물질이 포함된 조성물을 제공하며, 이때 체중 관리 물질은 식욕억제 물질, 리파제 억제제,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 향정신성 물질, 인슐린 민감제, 흥분제, 또는 포만감 물질이며, 이때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는 식 I 또는 II의 구조를 가진 화합물:
Figure 112014127413805-pct00001
또는
Figure 112014127413805-pct00002
또는 약학적으로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서 수용가능한 염, 호변체, 이의 글리코시드 또는 입체이성체이며, 이때 치환체는 본 명에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Diels-Alder 부가물, 또는 최소한 한 가지 다른 체중 관리 물질과 함께 이용된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가 포함된 조성물을 이용한 체중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체중 증가 또는 비만 또는 과다 체중을 치료, 예방 또는 관리하는 방법, 체중 감소, 식욕 억제를 촉진 또는 관리하는 방법, 음식 탐닉을 감소시키는 방법, 간식 및 야식을 줄이는 방법, 포만감을 변경시키는 방법, 지방 섭취 또는 지방 흡수를 변경시키는 방법, 체중 감소를 촉진 또는 체중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대사를 증대시키는 방법, 체중을 유지하는 방법, 지방 연소를 촉진시키는 방법, 지방분해를 증가시키는 방법, 체지방 또는 지방 조직을 감소시키는 방법, 근육 또는 제지방체중(lean body mass)을 증가시키는 방법, 간-지방증을 감소시키는 방법, 지방 간을 개선시키는 방법,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 NASH 수치를 개선시키는 방법, 지방 대사를 강화시키는 방법, 전(pro)-염증성 아디포카인의 방출을 감소시키는 방법, 지방 조직으로부터 아디포넥틴을 증가시키는 방법, 건강한 지질 프로파일을 촉진시키는 방법 (이를 테면, LDL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총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트리글리세리드를 낮추거나, 또는 HDL을 증가시킴으로써), 포도당 대사를 촉진시키는 방법, 공복 포도당 수준을 낮추는 방법, 탄수화물 흡수를 차단시키는 방법, 건강한 포도당 수준을 유지시키는 방법, 칼로리 섭취를 감소시키는 방법, 칼로리 효율을 개선시키는 방법, 음식 섭취를 줄이는 방법, 내장 지방을 줄이는 방법, 손목 둘레를 줄이는 방법, 체질량 지수 (BMI)를 줄이는 방법,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측면들은 다음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고하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다음 중 하나를 이용하여 8주간 고지방 식이요법을 한 마우스의 평균 체중의 그래프다: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무탐바(Mutamba) 추출물,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또는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음성 대조군에는 처치(HFD)를 받지 않고 고지방 식이요법을 한 마우스, 그리고 정상 식이요법 관리 (NC)를 유지한 마우스가 포함되었으며, 한편 양성 대조군은 비만방지약으로 치료된 고지방 식이요법을 한 마우스다.
도 2는 다음의 추출물 조합중 하나를 이용하여 8주간 치료된 고지방 식이요법을 한 마우스의 평균 체중의 그래프다: (1)  실시예 63의 조성물 1A (3개 성분) - 매그놀리아(Magnolia)(100 mg/kg):모루스 알바(Morus alba) (200 mg/kg):예르바 마테(Yerba Mate) (500 mg/kg); (2) 조성물 2A (3개 성분) - 매그놀리아(Magnolia)(100 mg/kg):모루스 알바(Morus alba) (200 mg/kg):무탐바(Mutamba) (500 mg/kg); (3) 실시예 68의 조성물 10(3개 성분) - 매그놀리아(Magnolia)(100 mg/kg):예르바 마테(Yerba Mate) (500 mg/kg):무탐바(Mutamba) (500 mg/kg); (4) 조성물 12 (3개 성분) - 모루스 알바(Morus alba) (200 mg/kg):예르바 마테(Yerba Mate) (500 mg/kg):무탐바(Mutamba) (500 mg/kg); 그리고 (5) 실시예 73의 조성물 11 (4 성분) - 매그놀리아(Magnolia)(100 mg/kg):모루스 알바(Morus alba) (200 mg/kg):예르바 마테(Yerba Mate) (500 mg/kg):무탐바(Mutamba) (500 mg/kg). 음성 대조군에는 처치(HFD)를 받지 않고 고지방 식이요법을 한 마우스, 그리고 정상 식이요법 (ND)을 유지한 마우스가 포함되었으며, 한편 양성 대조군에는 비만방지약 (ORI)으로 치료된 고지방 식이요법을 한 마우스가 포함되었다.
도 3은 무탐바(Mutamba) 줄기 껍질 EtOH 추출물 84로부터 생성된 무탐바(Mutamba) 분획(fraction) 84/F6의 MALDI-TOF 양이온 방식의 질량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명세서는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Diels-Alder 부가물과 최소한 한 가지 다른 체중 관리 물질의 조성물을 제공한다.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Diels-Alder 부가물은 특정 식물 또는 특정 식물 일부분, 이를 테면 모루스 알바(Morus alba) 뿌리 껍질로부터 얻을 수 있거나 또는 농축시킬 수 있으며, 그리고 대마초제제 수용체 (이를 테면, CB1, CB2) 조절제로 이용될 수 있다. 대마초제제 수용체 활성의 조정이 체중 또는 당뇨병 관리에 유용할 수 있다.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Diels-Alder 부가물과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예시적인 체중 관리 물질은 식욕억제제, 리파제 억제제, 다른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 향정신성 물질, 인슐린 민감제, 흥분제, 포만감 물질,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더욱이, 본 명세서의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Diels-Alder 부가물 뿐만 아니라 이의 조성물들은 체중 연관된 장애를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방법에 이용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 본 명세서의 다양한 구체예들의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특정한 상세한 설명들이 제시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상세한 설명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임의의 농도 범위, 비율 범위, 또는 정수 범위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언급된 범위내 임의의 정수 값과 이들의 임의의 분수(이를 테면 한 정수의 1/10과 1/100 값도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임의의 물리적 특징과 관련되어 언급된 임의의 수 범위, 이를 테면 폴리머 소단위, 크기 또는 두께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언급된 범위내 임의의 정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약"과 "~로 필수적으로 구성된(consisting essentially of)"이란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명시된 범위, 값 또는 구조의 ± 20%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부정관사("a" 및 "an")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열거된 성분을 말한다. 대안 (이를 테면, "또는")의 사용은 대안물의 하나 또는 둘 다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내용에서 다른 요구사항이 없는 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를 통하여, 단어 "포함하다(comprise)" 및 이의 변형, 이를 테면, "포함하다(comprises)" 및 "포함하는(comprising)" 뿐만 아니라 동의의, 가령 "함유하다(include)"와 "보유하다(have)" 그리고 이의 변형은 개방형 포괄적 의미, 즉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으로 간주된다.
"한 구체예" 또는 "구체예"에 대하여 본원 명세서에서 언급은 이 구체예와 관련하여 특정 성질, 구조 또는 특징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한 가지 구체예에 포함된다는 의미다. 따라서, 명세서를 통하여 다양한 곳에서 "한 구체예에서" 또는 "구체예에서"라는 구절이 있다면 반드시 동일한 구체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체예에서 특정 성질, 구조 또는 특징들이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아미노"는 -NH2 라디칼을 말한다.
"시아노(cyano)"는 -CN 라디칼을 말한다.
"히드록시(hydorxy)" 또는 "히드록실(hydroxyl)"은 -OH 라디칼을 말한다.
"이미노(imino)"는 =NH 치환체를 말한다.
"니트로(Nitro)"는 -NO2 라디칼을 말한다.
"옥소(oxo)"는 =O 치환체를 말한다.
"티옥소(thioxo)"는 =S 치환체를 말한다.
"알킬"는 1개 내지 12개 탄소 원자 (C1-C12알킬), 또는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 (C1-C8 알킬) 또는 1 내지 6개 탄소 원자 (C1-C6 알킬)를 보유한 포화된 또는 불포화된 (가령,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이 함유된) 탄소와 수소 원자만으로 구성된 직쇄 또는 가지형 탄화수소 쇄 라디칼을 말하며, 이들은 단일 결합에 의해 분자의 나머지에 부착되는데, 이를 테면, 메틸, 에틸, n-프로필, 1-메틸에틸 (이소-프로필), n-부틸, n-펜틸, 1,1-디메틸에틸 (t-부틸), 3-메틸헥실, 2-메틸헥실, 에테닐, 프로피-1-에닐, 부트-1-에닐, 펜트-1-에닐, 펜타-1,4-디에닐, 에티닐, 프로피닐, 부티닐, 펜티닐, 헥시닐, 그리고 이와 유사한 것들이다. 명세서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알킬 기(group)는 임의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알킬렌" 또는 "알킬렌 쇄"는 1개 내지 12개 탄소 원자를 보유하고, 포화된 또는 불포화된 (가령,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이 함유됨), 오직 탄소와 수소 원자만으로 구성된, 라디칼 기에 분자의 나머지가 연계된 직쇄 또는 가지형 탄화수소 쇄를 지칭하고,이를 테면, 메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n-부틸렌, 에테닐렌, 프로페닐렌, n-부테닐렌, 프로피닐렌, n-부티닐렌, 그리고 이와 유사한 것들이 있다. 알킬렌 쇄는 단일 또는 이중 결합을 통하여 분자의 나머지, 그리고 단일 또는 이중 결합을 통하여 라디칼 기에 부착된다. 분자의 나머지와 라디칼 기에 알킬렌 쇄의 부착 지점은 쇄 안에 한 개 탄소 또는 임의의 2개 탄소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명세서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알킬렌 쇄는 임의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알콕시(alkoxy)"는 식 -ORa의 라디칼을 말하며, 여기에서 Ra는 1개 내지 12개 탄소 원자가 함유된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 라디칼이다. 명세서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알콕시 기는 임의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알킬아미노(alkylamino)"는 식 -NHRa 또는 -NRaRa 의 라디칼을 말하며, 여기에서 각 Ra는 독립적으로 1개 내지 12개 탄소 원자가 함유된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 라디칼이다. 명세서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알킬아미노 기는 임의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티오알킬(thioalkyl)"은 식 -SRa 의 라디칼을 말하며, 여기에서 Ra는 1개 내지 12개 탄소 원자가 함유된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 라디칼이다. 명세서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티오알킬 기는 임의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아릴(aryl)"은 수소, 6 내지 18개 탄소 원자와 최소한 한 가지 방향족 고리가 함유된 탄화수소 고리계 라디칼을 말한다. 본 명세서의 목적을 위하여, 아릴 라디칼은 단환, 이환, 삼환 또는 사환 고리 계일 수 있고, 이는 융합된 또는 연계된 고리 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아릴 라디칼은 아쎄안트릴렌, 아쎄나프틸렌, 아쎄페난트릴렌, 안트라쎈, 아줄렌, 벤젠, 크리쎈, 플루오란텐, 플루오렌, as-인다쎈, s-인다쎈, 인단, 인덴, 나프텔렌, 페날렌, 페난트렌, 플레아덴, 피렌, 그리고 트리페닐렌으로부터 유도된 아릴 라디칼이다. 명세서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용어 "아릴" 또는 접두어 "ar-" (이를 테면 "아릴알킬"에서)는 임의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릴 라디칼이 포함됨을 의미한다.
"아랄킬(aralkyl)"은 식 -Rb-Rc의 라디칼을 말하며, 여기에서 Rb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렌 쇄이며, Rc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릴 라디칼, 예를 들면, 벤질, 디페닐메틸 그리고 이와 유사한 것들이다. 명세서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아랄킬 기는 임의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시클로알킬" 또는 "카르보사이클 고리"는 오직 탄소와 수소 원자로 구성된 안정적인 비-방향족 단일환 또는 다중환 탄화수소 라디칼을 말하며, 3 내지 15개 탄소 원자, 또는 3개 내지 10개 탄소 원자를 보유한 융합된 또는 연계된 고리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포화된 또는 불포화된, 단일 결합에 의해 분자의 나머지에 부착된다. 단일환 라디칼은 예를 들면,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그리고 시클로옥틸을 포함한다. 다환 라디칼은 예를 들면, 아다만틸, 노르보르닐, 데칼리닐, 7,7-디메틸-바이시클로[2.2.1]헵타닐, 그리고 이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시클로알킬 기는 임의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시클로알킬알킬(cycloalkylalkyl)"은 식 -RbRd의 라디칼을 말하며, 여기에서 Rb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렌 쇄이며, Rd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시클로알킬 라디칼이다. 명세서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시클로알킬알킬 기는 임의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융합된(fused)"이란 본 명세서의 화합물에서 기존의 고리 구조에 융합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임의의 고리 구조를 지칭한다. 융합된 고리가 헤테로시클일 고리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인 경우, 융합된 헤테로시클일 고리 또는 융합된 헤테로아릴 고리의 일부분이 되는 기존 고리 구조상의 임의의 탄소 원자가 질소 원자로 대체될 수 있다.
"할로(halo)" 또는 "할로겐"은 브롬, 염소, 플로오르 또는 요오드를 지칭한다.
"할로알킬(haloalkyl)"은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할로 라디칼에 의해 치환된 알킬 라디칼을 말하며, 이를 테면, 트리플루오르메틸, 디플루오르메틸, 트리클로로메틸, 2,2,2-트리플루오르에틸, 1,2-디플루오르에틸, 3-브로모-2-플루오르프로필, 1,2-디브로모에틸, 그리고 이와 유사한 것들이다. 명세서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할로알킬 기는 임의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헤테로시클일(heterocyclyl)" 또는 "헤테로사이클 고리"는 2 내지 12개 탄소 원자와 질소, 산소 및 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 내지 6개의 이종원자로 구성된 안정적인 3-내지 18-원(membered)의 비-방향족 고리 라디칼을 말한다. 명세서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헤테로시클일 라디칼은 단환, 이환, 삼환 또는 사환고리 계일 수 있으며, 융합된 또는 연계된 고리 계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헤테로시클일 라디칼 안에 질소, 탄소 또는 황 원자는 임의선택적으로 산화될 수 있으며; 질소 원자는 임의선택적으로 사중화(quaternized)될 수 있고; 그리고 헤테로시클일 라디칼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포화될 수 있다. 이러한 헤테로시클일 라디칼의 예로는 디옥소라닐, 티에닐[1,3]디티아닐, 데카히드로이소퀴놀일, 이미다졸리닐, 이미다졸리디닐, 이소티아졸리디닐, 이소옥사졸리디닐, 몰포리닐, 옥타히드로인돌일, 옥타히드로이소인돌일, 2-옥소피페라지닐, 2-옥소피페리디닐, 2-옥소피롤리디닐, 옥사졸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4-피페리도닐, 피롤리디닐, 피라졸리디닐, 퀴누클리디닐, 티아졸리디닐, 테트라히드로퓨릴, 트리티아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티오몰포리닐, 티아몰포리닐, 1-옥소-티오몰포리닐, 그리고 1,1-디옥소-티오몰포리닐이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명세서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헤테로시클일 기는 임의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N-헤테로시클일(heterocyclyl)" 은 최소한 한 가지 질소가 포함된 상기에서 정의된 헤테로시클일 라디칼을 말하는데, 여기에서 헤테로시클일 라디칼이 분자의 나머지에 부착되는 지점은 헤테로시클일 라디칼 안에 질소 원자를 통한다. 명세서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N-헤테로시클일 기는 임의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헤테로시클일알킬(heterocyclylalkyl)"은 식 -RbRe 의 라디칼을 말하며, 여기에서 Rb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의 알킬렌 쇄이며, Re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헤테로시클일 라디칼이며, 그리고 헤테로시클일이 질소-함유 헤테로시클일인 경우, 헤테로시클일은 질소 원자에 알킬 라디칼이 부착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헤테로시클일알킬 기는 임의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헤테로아릴(heteroaryl)"은 수소 원자, 1 내지 13개의 탄소 원자, 질소, 산소 및 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 내지 6개의 헤테로원자, 그리고 최소한 한 개의 방향족 고리가 포함된 5- 내지 14-원(membered) 고리 계 라디칼을 말한다. 본 명세서의 목적을 위하여, 헤테로아릴 라디칼은 단환, 이환, 삼환 또는 사환 고리 계일 수 있으며, 융합된 또는 연계된 고리 계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헤테로시클일 라디칼 안에 질소, 탄소 또는 황 원자는 임의선택적으로 산화될 수 있으며; 질소 원자는 임의선택적으로 사중화(quaternized)될 수 있다. 예로는 아제피닐, 아크리디닐, 벤즈이미다졸일, 벤조티아졸일, 벤즈인돌일, 벤조디옥솔일, 벤조퓨라닐, 벤조옥사졸일, 벤조티아졸일, 벤조티아디아졸일, 벤조[b][1,4]디옥세피닐, 1,4-벤조디옥사닐, 벤조나프토퓨라닐, 벤조옥사졸일, 벤조디옥솔일, 벤조디옥시닐, 벤조피라닐, 벤조피라노닐, 벤조퓨라닐, 벤조퓨라노닐, 벤조티에닐 (벤조티오페닐), 벤조트리아졸일, 벤조[4,6]이미다조[1,2-a]피리디닐, 카르바졸일, 씨놀리닐, 디벤조퓨라닐, 디벤조티오페닐, 퓨라닐, 퓨라노닐, 이소티아졸일, 이미나졸일, 인다졸일, 인돌일, 인다졸일, 이소인돌일, 인돌리닐, 이소인돌리닐, 이소퀴놀일, 인돌리지닐, 이소옥사졸일, 나프티리디닐, 옥사디아졸일, 2-옥사제피닐, 옥사졸일,옥시라닐, 1-옥시도피리디닐, 1-옥시도피리미디닐, 1-옥시도피라지닐, 1-옥시도피리다지닐, 1-페닐-1H-피롤일, 페나지닐, 펜토티아지닐, 페녹사지닐, 프탈라지닐, 프테리디닐, 퓨리닐, 피롤일, 피라졸일, 피리디닐,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피리다지닐, 퀴나졸리닐, 퀸옥살리닐, 퀴놀리닐, 퀴누클리디닐, 이소퀴놀리닐, 테트라히드로퀴놀리닐, 티아졸일, 티아디아졸일, 트리아졸일, 테트라졸일, 트리아지닐, 그리고 티오페닐 (가령 티에닐)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헤테로아릴 기는 임의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N-헤테로아릴(heteroaryl)"은 최소한 한 개의 질소가 포함된 상기에서 정의된 바의 헤테로아릴 라디칼을 말하며, 여기에서 헤테로아릴 라디칼이 분자의 나머지에 부착되는 지점은 헤테로아릴 라디칼 안에 질소 원자를 통한다. 명세서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N-헤테로아릴 기는 임의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헤테로아릴알킬(heteroarylalkyl)"은 식 -RbRf 의 라디칼을 말하며 여기에서 Rb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의 알킬렌 쇄이며, Rf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의 헤테로아릴 라디칼이다. 명세서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헤테로아릴알킬 기는 임의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용어 "치환된"이란 상기 기들증 임의의 기(가령, 알킬, 알킬렌, 알콕시, 알킬아미노, 티오알킬, 아릴, 아랄킬,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알킬, 할로알킬, 헤테로시클일, N-헤테로시클일, 헤테로시클일알킬, 헤테로아릴, N-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알킬), 이때 최소한 한 개의 수소 원자는 비-수소 원자 이를 테면 할로겐 원자 이를 테면 F, Cl, Br, 및 I; 이를 테면 히드록실 기, 알콕시 기, 그리고 에스테르 기 안에 있는 산소 원자; 이를 테면 티올 기, 티오알킬 기, 술폰 기, 술포닐 기, 그리고 술폭시드 기 안에 있는 황 원자; 이를 테면 아민, 아미드, 알킬아민, 디알킬아민, 아릴아민, 알킬아릴아민, 디아릴아민, N-옥시드, 이미드, 그리고 에나민 안에 질소 원자; 이를 테면 트리알킬실일 기, 디알킬아릴실일 기, 알킬디아릴실일 기, 그리고 트리아릴실일 기 안에 실리콘 원자; 그리고 다양한 다른 기 안에 있는 다른 헤테로원자에 결합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치환된"이란 또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소 원자가 헤테로원자 이를 테면 옥소, 카르보닐, 카르복실, 그리고 에스테르 기 안에 있는 산소; 그리고 이를 테면 이민, 옥심(oximes), 히드라존, 그리고 니트릴 기 안에 있는 질소에 더 높은 차수 결합(이를 테면, 이중- 또는 삼중-결합)에 의해 대체된 상기 기들중 임의의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치환된"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소 원자가 -NRgRh, -NRgC(=O)Rh, -NRgC(=O)NRgRh, -NRgC(=O)ORh, -NRgSO2Rh, -OC(=O)NRgRh, -ORg, -SRg, -SORg, -SO2Rg, -OSO2Rg, -SO2ORg, =NSO2Rg, 그리고 -SO2NRgRh로 대체된 상기 기들중 임의의 것을 포함한다. "치환된이란 또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소 원자가 -C(=O)Rg, -C(=O)ORg, -C(=O)NRgRh, -CH2SO2Rg, -CH2SO2NRgRh로 대체된 상기 기들중 임의의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것에서, Rg 및 Rh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그리고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콕시, 알킬아미노, 티오알킬, 아릴, 아랄킬,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알킬, 할로알킬, 헤테로시클일, N-헤테로시클일, 헤테로시클일알킬, 헤테로아릴, N-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알킬이다. "치환된"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소 원자가 아미노, 시아노, 히드록실, 이미노, 니트로, 옥소, 티옥소, 할로, 알킬, 알콕시, 알킬아미노, 티오알킬, 아릴, 아랄킬,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알킬, 할로알킬, 헤테로시클일, N-헤테로시클일, 헤테로시클일알킬, 헤테로아릴, N-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알킬 기에 결합에 의해 대체되는 상기 기들중 임의의 것을 더 의미한다. 또한, 전술한 각 치환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치환체로 임의선택적으로 또한 치환될 수 있다.
"글리코시드(glycoside)"는 당(sugar) 기가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하여 다른 기에 아노머(anomeric) 탄소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는 분자를 말한다. 예시적인 당에는 포도당, 람노오스, 만노스, 갈락토오스, 아라비노오스, 글루쿠로나이드 및 기타가 포함된다. 글리코시드는 O- (O-글리코시드), N- (글리코실아민), S-(티오글리코시드), 또는 C- (C-글리코시드) 글리코시드 결합에 의해 연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화합물들은 임의의 적절한 지점에서 글리코시드를 형성할 수 있다.
"프레닐(prenyl)"은
Figure 112014127413805-pct00003
라디칼을 말한다. 프레닐은 이소프레닐를 포함하는데, 이는
Figure 112014127413805-pct00004
라디칼 (시스 또는 트란스)을 말한다. 프레닐 기는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안될 수 있다.
"프레닐페닐(prenylphenyl)"은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프레닐 모이어티에 연결된 페닐 모이어티를 말한다. 프레닐페닐은 분자내 최소한 한 개의 프레닐 기가 있다면 치환되 페닐 이를 테면 플라보노이드 그리고 다른 치환된 페닐과 헤테로아릴을 포함한다. 치환되 페닐과 헤테로아릴의 경우에서, 프레닐 모이어티는 페닐 고리에 직접적으로 부착될 필요는 없지만, 분자내 임의의 지점에서 부착될 수 있다.
"칼콘(chalcone)"은 다음의 핵심 구조가 포함된 화합물을 말한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05
칼콘은 상기 탄소 원자들중 임의의 위치에서 다양하게 치환될 수 있다.
"프로드럭(prodrug)"은 생리학적 조건에서 전환되는 또는 본 명세서의 생물학적으로 활성 화합물로 용매화분해에 의해 전환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따라서, 용어 "프로드럭"은 제약학적으로 그리고 기능성 식품으로서 수용가능한 본 명세서의 화합물의 대사 전구물질을 말한다. 프로드럭은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될 때 활성일 수 있지만, 생체내에서 본 명세서의 활성 화합물로 전환된다. 프로드럭은 생체내에서 예를 들면 혈액내 가수분해에 의해 전형적으로 신속하게 본 명세서의 모(parent) 화합물로 전환된다. 프로드럭 화합물은 대개 포유류 유기체내에서 용해도, 조직 적합성 또는 지연된 방출의 장점을 제공한다 (Bundgard, H., Design of Prodrugs (1985), pp. 7-9, 21-24 (Elsevier, Amsterdam) 참고). 프로드럭에 대한 논의는 Higuchi, T., et al., A.C.S. Symposium Series, Vol. 14, 그리고 Bioreversible Carriers in Drug Design, Ed. Edward B. Roche, American Pharmaceutical and Nutraceutical Association and Pergamon Press, 1987에서 제공된다.
용어 "프로드럭"은 이러한 프로드럭이 포유류 대상에게 투여될 때 생체내에서 본 명세서의 활성 화합물을 방출시키는 임의의 공유결합에 의해 결합된 운반체를 포함한다는 것을 또한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화합물의 프로드럭은 본 명세서의 화합물 내 존재하는 기능기를 변경시키고 이러한 변형은 통상적인 조작 또는 생체내에서 본 명세서의 모 화합물로 절단되는 방식으로 준비될 수 있다. 프로드럭은 본 명세서의 화합물을 포함하는데, 이때 히드록시, 아미노 또는 멀캅토기는 임의의 기에 결합되고, 본 명세서의 화합물의 프로드록이 포유류 대상에게 투여될 때, 자유 히드록시, 자유 아미노 또는 자유 멀캅토 기로 각각 절단된다. 프로드럭의 예로는 본 명세서의 아민 기능기의 알코올 또는 아미드 유도체의 아세테이트, 포르메이트 및 벤조에이트 유도체 및 이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는 구조 (I)의 모든 약학적으로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 수용가능한 화합물을 포괄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상이한 원자량 또는 질량 번호를 갖는 원자로 대체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원자를 보유함으로써 동위원소적으로-라벨된 것일 수 있다. 공개된 화합물내 편입될 수 있는 동위원소의 예로는 수소, 탄소, 질소, 산소, 인, 플로린, 염소, 및 요오드, 이를 테면 2H, 3H, 11C, 13C, 14C, 13N, 15N, 15O, 17O, 18O, 31P, 32P, 35S, 18F, 36Cl, 123I, 및 125I를 각각 포함한다. 이들 방사성 동위원소 라벨된 화합물은 예를 들면, 작용 부위 또는 방식, 또는 약제학적으로 중요한 작용 부위에 대한 결합 친화력을 특징화함으로써, 화합물들의 효과를 결정 또는 측정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구조 (I)의 특정 동위원소-라벨된 화합물, 예를 들면, 방사성활성 동위원소의 혼입은 약물 또는 기질 조직 분포 연구에 유용하다. 방사성활성 동위원소 삼중수소, 가령 3H, 및 탄소-14, 가령 14C는 혼입의 용이성 및 탐지의 용이적 수단 측면에서 본 목적에 특히 유용하다.
더 무거운 동위원소 이를 테면 중수소, 가령 2H로의 치환은 더 큰 대사 안전성 예를 들면, 생체내 반감기 증가 또는 투여요구량의 감소로 인하여 특정 치료 장점을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일부 환경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양전자방출 동위원소, 이를 테면 11C, 18F, 15O 및 13N로의 치환은 기질 수용체 점유를 검사하는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에 유용할 수 있다. 구조 (I)의 동위원소-라벨된 화합물들은 당업자에 공지된 통상적인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준비될 수 있거나, 또는 기존에 이용된 비-라벨된 시약을 대신하여 적절한 동위원소-라벨된 시약을 이용하여 하기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제조 및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과정에 의해 준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공개된 화합물의 생체내 대사 산물을 포괄하는 의도도 있다. 이러한 산물은 예를 들면, 투여된 화합물의 주로 효소 과정으로 인하여 산화, 환원, 가수분해, 아미드화, 에스테르화, 그리고 이와 유사한 것들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화합물의 대사 산물을 생성하는데 충분한 시간 동안 포유류에게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생성된 화합물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산물은 이를 테면 렛, 마우스, 기니아 피그, 원숭이 또는 인간과 같은 동물에게 본 명세서의 방사성 동위원소 라벨된 화합물의 탐지가능한 투여 분량을 투여하고, 대사가 일어나도록 충분한 시간을 허용하고, 그리고 소변, 혈액 또는 다른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이 화합물의 전환 산물을 단리함으로써 전형적으로 확인된다.
"안정적인 화합물"과 "안정적인 구조"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유용한 수준의 순도를 가지도록 단리될 수 있고, 효과적인 치료 물질로 제형화되는데 충분한 강도를 가진 화합물을 지칭한다.
"포유류"는 인간 및 가축, 이를 테면 실험실 동물 또는 가정용 애완동물 (이를 테면, 고양이, 개, 돼지, 소, 양, 염소, 말, 토끼), 그리고 비-가축, 이를 테면 야생동물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임의선택적" 또는 "임의선택적으로"란 후속적으로 기술된 요소, 성분, 사건 또는 환경이 일어날 수도 또는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설명은 요소, 성분, 사건 또는 환경이 포함안 된 사례가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임의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릴"은 아릴 라디칼이 치환될 수도 또는 치환안될 수도 있으며, 설명은 치환된 아릴 라디칼과 치환을 보유하지 않는 아릴 라디칼 모두를 포함한다는 의미가 된다.
"제약학적으로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서 수용가능한 운반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는 미국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에서 인간 및 가축에게 사용이 승인된 임의의 어쥬번트, 운반체, 부형제, 유동성개선제(glidant), 감미 물질, 희석제, 보존제, 염료/발색제, 풍미 보강제, 계면활성제, 가습 물질, 분산 물질, 현탁 물질, 안정화제, 등장 물질, 용매, 또는 유화제를 포함한다.
"제약학적으로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서 수용가능한 염"은 산첨가 및 염기 첨가염 모두를 포함한다.
"제약학적으로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서 수용가능한 산 첨가 염"은 생물학적 유효성과, 생물학적으로 또는 바람직하지 못한 자유 염기의 성질을 보유하는 염으로, 무기 산, 이를 테면, 염산, 브롬산, 황산, 질산, 인자 및 이와 유사한 것들 그리고 유기 산, 이를 테면 아세트산, 2,2-디클로로아세트산, 아디핀산, 알긴산, 아스코르브산, 아스파르트산, 벤젠술폰산, 벤조산, 4-아세트아미도벤조산, 캄포르산, 캄포르-10-술폰산, 카프르산,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르본산, 계피산, 구연산, 사이클람산, 도데실술폰산, 에탄-1,2-디술폰산, 에탄술폰산, 2-히드록시에탄술폰산, 포름산, 푸마르산, 갈락타릭산, 겐티신산, 글루코헵토닌산, 글루코닌산, 글루쿠로닌산, 글루타민산, 글루타린산, 2-옥소-글루타린산, 글리세로포스포린산, 글리콜산, 힙푸린산, 이소부티릭산, 젖산, 락토바이오닌산, 라우린산, 멜레산, 말산, 말론산, 만델산, 메탄술폰산, 점액산, 나프텔렌-1,5-디술폰산, 나프텔렌-2-술폰산, 1-히드록시-2-나프톤산, 니코틴산, 올레산, 오로틴산, 옥살산, 팔미토산, 파모익산, 프로피온산, 피로글루타민산, 피루브산, 살리실산, 4-아미노살리실산, 세바신산, 스테아르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티오시나닌산, p-톨루엔술폰산,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 운데실렌산, 그리고 이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제약학적으로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서 수용가능한 염기 첨가 염"은 생물학적 유효성과 생물학적으로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자유 산의 특징을 간직한 염을 말한다. 이들 염은 무기 염기 또는 유기 염기의 추가에 의해 자유 산으로 만들어진다. 무기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은 나트륨, 칼륨, 리튬, 암모늄, 칼슘, 마그네슘, 철, 아연, 구리, 망간, 알루미늄염 그리고 이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무기 염은 암모늄, 나트륨, 칼륨, 칼슘, 또는 마그네슘 염이다. 유기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은 1차, 2차, 3차 아민 염,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치환된 아민이 포함된 치환된 아민, 고리 아민, 염기성 이온 교환 수지, 이를 테면 암모니아, 이소프로필아민, 트리메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디에탄올아민, 에탄올아민, 데아놀, 2-디메틸아미노에탄올, 2-디에틸아미노에탄올, 디시클로헥실아민,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프로카인, 하이드라바민, 콜린, 베타인, 베네타민, 벤자틴, 에틸렌디아민, 글루코사민, 메틸글루카민, 테오브로민, 트리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퓨린, 피페라진, 피페리딘, N-에틸피페리딘, 폴리아민 수지 그리고 이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특별히 유용한 유기 염기는 이소로필아민, 디에틸아민, 에탄올아민, 트리메틸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콜린 그리고 카페인이다.
대개 결정화에 의해 본 명세서의 화합물의 용매화합물이 만들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용매화합물(solvate)"은 본 명세서의 화합물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분자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용매 분자가 포함된 집합체(aggregate)를 말한다. 용매는 물이 될 수 있고, 이 경우 용매화합물은 수화물이 될 수 있다. 대안으로, 용매는 유기 용매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단수화물, 이수화물, 반수화물, 세스퀴수화물(sesquihydrate), 삼수화물, 사수화물 그리고 이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하는 수화물 형태, 뿐만 아니라 상응하는 용매화합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화합물은 진정한 용매화합물일 수 있고, 다른 경우들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화합물은 단순히 우연적으로 물을 함유하거나, 또는 물과 일부 우연적인 용매 혼합물일 수도 있다.
"약학 조성물" 또는 "기능식품적(nutraceutical)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과 포유류, 이를 테면, 인간에게 생물학적으로 활성 화합물의 전달을 위하여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매체의 제제(formulation)를 지칭한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약학조성물은 단독 조성물(stand alone composition) 또는 처방약, 처방전없이 구입하는 계산대 약물(OTC), 천연의약품(botanical drug), 한약(herbal medicine), 동종요법 물질(homeopathic agent), 또는 정부에서 검토하고 승인한 건강관리를 위한 임의의 다른 형태에서 성분으로 제형화되거나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기능식품적 조성물은 단독 조성물로 제형화되거나 이용되거나, 음식, 기능 식품, 음료, 바(bar), 음식 향료, 의료 식품, 식이요법 보충제 또는 허브 제품에서 영양 또는 생활성 성분으로 제형화되거나 또는 이용될 수 있다.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매체는 약학적으로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서 수용가능한 운반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이 풍부한(enriched for)"이란 추출 또는 다른 제조 과정 전에 식물 재료 또는 다른 원료에서 발견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활성 화합물의 양과 비교하였을 때, 최소한 2배 내지 최대 약 1000-배 증가된 활성 화합물을 보유하는 식물 추출물 또는 다른 조제물(preparation)을 지칭한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추출 또는 다른 제조 과정 전 식물 재료 또는 다른 원료의 중량은 건중량, 습윤중량 또는 이의 조합이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주요 활성 요소(ingredient)" 또는 "주요 활성 성분(component)"은 식물 추출물 또는 다른 조제물에서 발현되는, 또는 최소한 한 가지 생물학적 활성을 가질 수 있는 식물 추출물 또는 다른 조제물에 풍부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활성 화합물을 말한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농축된(enriched) 추출물의 주요 활성 요소는 이 추출물에서 농축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활성 화합물이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요 활성 성분은 추출물의 다른 성분과 비교하였을 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측정가능한 생물학적 활성 또는 효과의 대부분(가령, 50% 이상)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여한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주요 활성 요소는 추출물의 중량 비율로는 소수 성분이 될 수 있지만(이를 테면, 추출물내에 포함된 성분중 50%, 25%, 또는 10% 미만) 그러나 원하는 생물학적 활성의 대부분을 제공한다. 주요 활성 요소가 포함된 본 명세서의 임의의 조성물은 농축된 조성물의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활성에 기여하거나 또는 기여하지 않은 소수의 활성 요소들을 또한 포함하는데, 주요 활성 성분, 그리고 소수 활성 성분의 수준에 미치지는 못하고, 주요 활성 요소가 없이는 단독으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할 수도 있다.
"유효량(Effective amount)" 또는 "치료요법적으로 유효량"은 포유류, 이를 테면 인간에게 투여될 때 다음중 임의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데 충분한 본 명세서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양을 말한다: (1) 포유류에서 체중 증가를 치료 또는 예방하고; (2) 체중 감소를 촉진시키고; (3) 포유류에서 식욕을 억제시키고; (4) 포유류에서 포만감을 변형시키고; (5) 포유류에서 비만을 치료 또는 예방하고; (6) 포유류에서 지방 섭취를 변형시키고; 그리고 (7) 포유류에서 체증감소를 촉진 또는 체중 증가를 억제하기 위하여 대사를 증가시킨다. "치료요법적으로 유효량"으로 구성된 본 명세서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양은 화합물, 치료될 상태, 이의 중증도, 투여 방식, 치료 기간 또는 치료될 대상의 연령에 따라 달라질 것이지만, 당업자의 고유한 지식 및 본 명세서에 관련된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식이요법 보충제(dietary supplements)"는 자연 상태 또는 생물학적 과정과 연합된 특정 상태를 개선, 촉진, 증가, 관리, 조절, 유지, 최적화, 변형, 감소, 저지 또는 예방하는 제품 (가령, 질환을 진단, 치료, 완화, 치유 또는 예방하는데 이용되는 것은 아님)이다. 예를 들면, 체중-관련된 상태에 있어서, 식이 보충제는 체중 감소를 촉진, 체중 증가를 관리, 체중의 유지, 포만감을 변형, 칼로리 섭취를 감소, 근육량을 증가시키는데,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에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식이 보충제는 총 식이 섭취, 또는 농축물, 대사물질, 구성분, 추출물,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의 증가에 의해 식이 요법을 보충하는데 이용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식이 요소 이를 테면 비타민, 미네랄, 허브 또는 다른 식물, 아미노산, 또는 임의의 다른 물질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식이 보충제는 특정 범주의 음식이며, 약물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처리하는(treating)" 또는 "처리(treatment)"는 관심 질환 또는 상태를 가진 포유류, 이를 테면 인간에게서 관심 대상의 질환 또는 상태의 처치를 말하는데,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i) 포유류에서 이 질환 또는 상태의 발생을 방지, 특히 이러한 포유류는 이 상태에 걸리기 쉽지만, 아직 걸린 것으로 진단을 받지는 않았으며; (ii) 이 질환 또는 상태를 저지, 가령, 발생을 억제; (iii) 이 질환 또는 상태를 완화시키는, 가령, 이 질환 또는 상태의 퇴행을 야기하는; 또는 (iv) 이 질환 또는 상태의 근원은 해결하지 않고, 이 질환 또는 상태로 인한 증상을 완화시킨다 (이를 테면, 통증을 완화, 염증을 감소, 체중 감소를 야기).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질환" 및 "상태"는 호환될 수 있거나, 또는 특정 심각한 문제 또는 상태가 공지의 원인 물질을 가지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병인은 아직 알아내지 못함) 그리고 따라서 질환으로 인지되지 않았지만, 단지 바람직하지 못한 상태 또는 증상이 있는 것에서 상이할 수 있으며, 이때 다소 특정한 일련의 증상들은 임상의에 의해 확인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통계학적 유의성(statistical significance)"은 Students t-검정을 이용하여 산출될 때 0.050 또는 그 미만의 p 값을 지칭하며, 특정 사건 또는 결과는 우연에 의해 일어날 가능성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서 수용가능한 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대칭 중심을 보유할 수 있으며, 따라서 거울상체(enantiomers), 부분입체이성질체(diastereomers), 그리고 다른 입체이성질체 형태가 발생될 수 있는데, 순수 입체화학에서 (R)- 또는 (S)- 또는, (D)- 또는 (L)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조 I 또는 II의 화합물은 하기 구조에서 *로 표시된 위치에서 적어도 키랄 중심을 가질 수 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06
또는
Figure 112014127413805-pct00007
따라서,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로 표시된 위치 (그리고 화합물 I과 II 안에 다양한 다른 위치)는 각각 독립적으로 R 또는 S 이성질체로 존재할 수 있고, 그리고 본 발명은 이러한 모든 가능한 이성질체 뿐만 아니라 이들의 라셈체 및 광학적으로 순수한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 광학적으로 활성 (+)과 (-), (R)-과 (S)-, 또는 (D)-와 (L)- 이성질체는 키랄 신톤(synthons) 또는 키랄 반응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고, 또는 통상적인 기술, 예를 들면, 크로마토그래피와 분별 결정을 이용하여 해리될 수 있다. 개별 거울상체의 조제/단리를 위한 통상적인 기술로서 적합한 광학적으로 순수한 전구물질로부터 키랄 합성 또는 예를 들면, 키랄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라셈체 (또는 염 또는 유도체의 라셈체)의 해리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화합물이 올레핀 이중 결합 또는 다른 기하학적 비대칭을 함유할 경우,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이 화합물은 E와 Z 기하학적 이성질체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사하게, 모든 호변체 형태도 또한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입체다른성질체, 입체이성체 입체다른성질체, 입체이성체 "입체이성질체(stereoisomer)"는 동일한 결합에 의해 동일한 원자로 구성되지만, 상이한 3차 구조를 보유하여 서로 교환불가능한 화합물을 말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입체이성질체와 이의 혼합물들을 고려하고, 2개의 분자가 서로 포개질 수 없는 거울상인 "거울상체"를 포함한다.
"호변체(tautomer)"는 분자의 한 원자가 동일한 분자의 다른 원자로 양성자 이동된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임의의 화합물들의 호변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화학물 명명(naming) 프로토콜 및 구조 다이아그램은 ACD/이름 Version 9.07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ChemDraw Ultra 버젼 11.0 소프트웨어 명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ambridgeSoft) I.U.P.A.C. 명명 시스템으로부터 변형된 것이며, 이때 본 명세서의 화합물은 중앙 코어 구조의 유도체 이를 테면, 이미다조피린 구조의 유도체로 불린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복합 화학물 이름의 경우, 치환기는 이것이 부착된 기 앞에 이름이 붙는다. 예를 들면, 시클로프로필에틸은 시클로프로필 치환체와 함께 에틸 기본골격을 포함한다. 하기에서 기술된 것을 제외하고, 모든 결합은 본 명세서의 화학 구조 다이아그램에서 확인되는데, 단 일부 탄소 원자의 경우, 이들의 원자가를 완성하기 위하여 충분한 수소 원자에 결합된 것으로 추정된다.
본 명세서에서 명시된 바와 같이, 특정 구체예에 있어서, 본 명세서는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 그리고 최소한 한 가지 다른 체중 관리 물질이 포함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이때 상기 체중 관리 물질은 식욕억제 물질, 리파제 억제제,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 향정신성 물질, 인슐린 민감제, 흥분제, 또는 포만감 물질이며, 이때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는 식 I 또는 II의 구조를 보유한 화합물:
Figure 112014127413805-pct00008
또는
Figure 112014127413805-pct00009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서 수용가능한 염, 호변체, 글리코시드, 프로드럭 또는 입체이성질체이며, 이때:
R1a과 R1b는 각각 독립적으로 C1-12 알킬이고;
R2a과 R2b는 각각 독립적으로 H이거나 또는 R2a 또는 R2b는 에테르 결합을 형성하기 위하여 각각 R4a, R5a, R6a, R7a, R12a, R13a, R14a 또는 R15a 또는 R4b, R5b, R6b, R7b, R12b, R13b, R14b 또는 R15b중 하나와 연결된다;
R3a와 R3b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또는 옥소이고;
R4a, R5a, R6a 그리고 R7a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할로겐, 설프히드릴, 아미노, 알데히드, C1-12 알킬, C1-12 알콕시, C1-12 알크티오, C1-12 알키아미노, 아릴, 헤테로아릴, 아랄킬, 알킬 카르보닐, 아랄킬카르보닐이거나, 또는 R4a, R5a, R6a 또는 R7a중 하나는 R4a, R5a, R6a 또는 R7a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어 헤테로사이클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4a, R5a, R6a 또는 R7a중 하나는 X1와 연결되어 직접(direct) 결합을 형성하며;
R4b, R5b, R6b 그리고 R7b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할로겐, 설프히드릴, 아미노, 알데히드, C1-12 알킬, C1-12 알콕시, C1-12 알크티오, C1-12 알키아미노, 아릴, 헤테로아릴, 아랄킬, 알킬 카르보닐, 아랄킬카르보닐이거나, 또는 R4b, R5b, R6b, R7b중 하나는 R4b, R5b, R6b, R7b중 또다른 하나와 연결되어 헤테로사이클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4b, R5b, R6b 또는 R7b중 하나는 X2와 연결되어 직접 결합을 형성하고;
R8a, R8b, R9a, R9b, R10a, R10b, R11a 그리고 R11b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할로겐, 설프히드릴, 아미노, 알데히드, C1-12 알킬, C1-12 알콕시, C1-12 알크티오, C1-12 알키아미노, 아릴, 헤테로아릴, 아랄킬, 알킬 카르보닐, 아랄킬카르보닐이며, 또는 R8a, R9a, R10a 또는 R11a중 하나 또는 R8b, R9b, R10b 또는 R11b중 하나는 R8a, R9a, R10a 또는 R11a중 또다른 하나와 또는 R8b, R9b, R10b 또는 R11b중 또다른 하나와 연결되어 각각 헤테로사이클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형성하고;
R12a, R13a, R14a 그리고 R15a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할로겐, 설프히드릴, 아미노, 알데히드, C1-12 알킬, C1-12 알콕시, C1-12 알크티오, C1-12 알키아미노, 아릴, 헤테로아릴, 아랄킬, 알킬 카르보닐, 아랄킬카르보닐이며, 또는 R12a, R13a, R14a, R15a중 하나는 R12a, R13a, R14a 또는 R15a중 또다른 하나와 연결되어 헤테로사이클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12a, R13a, R14a 또는 R15a중 하나는 Y1과 연결되어 에테르 결합을 형성하고;
R12b, R13b, R14b 그리고 R15b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할로겐, 설프히드릴, 아미노, 알데히드, C1-12 알킬, C1-12 알콕시, C1-12 알크티오, C1-12 알키아미노, 아릴, 헤테로아릴, 아랄킬, 알킬 카르보닐, 아랄킬카르보닐이며, 또는 R12b, R13b, R14b, R15b중 하나는 R12b, R13b, R14b 또는 R15b중 또다른 하나와 연결되어 헤테로사이클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형성하고;
X1은 R4a, R5a, R6a 또는 R7a중 하나와 연결되어 직접 결합을 형성하거나, 또는 X1은 Y1과 연결되어 옥소 모이어티를 형성하고;
X2는 R4b, R5b, R6b 또는 R6b중 하나와 연결되어 직접 결합을 형성하거나 또는 X2는 Y2와 연결되어 옥소 모이어티를 형성하고;
Y1은 H이거나 또는 Y1은 R12a, R13a, R14a 또는 R15a중 하나와 연결되어 에테르 결합을 형성하고 또는 Y1은 지방족 탄소와 연결되어 옥시란 고리를 형성하고;
Y2은 H이거나, 또는 Y2 지방족 탄소와 연결되어 옥시란 고리를 형성하고; 그리고
대쉬(-) 결합은 임의선택적 이중 결합을 나타내고, 모든 원자가는 충족된다.
전술한 추가 구체예에 있어서, R1a와 R1b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Figure 112014127413805-pct00010
또는
Figure 112014127413805-pct00011
이다.
일부 구체예에 있어서, R2a와 R2b는 H이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R3a와 R3b는 H이다.
여전히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화합물은 다음 구조 (Ia) 또는 (IIa)를 갖는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12
또는
Figure 112014127413805-pct00013
여전히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이 화합물은 다음의 구조 (Ib) 또는 (IIb)를 갖는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14
또는
Figure 112014127413805-pct00015
.
전술한 조성물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R4a, R4b, R5a, R5b, R6a, R6b, R7a, R7b, R8a, R8b, R9a, R9b, R10a, R10b, R11a, R11b, R12a, R12b, R13a, R13b, R14a, R14b, R15a 그리고 R15b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할로겐, C1-12 알콕시, C1-12 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이가나, 또는 R4a, R4b, R5a, R5b, R6a, R6b, R7a, R7b, R8a, R8b, R9a, R9b, R10a, R10b, R11a, R11b, R12a, R12b, R13a, R13b, R14a, R14b, R15a 또는 R15b중 하나는 동일한 고리상에 R4a, R4b, R5a, R5b, R6a, R6b, R7a, R7b, R8a, R8b, R9a, R9b, R10a, R10b, R11a, R11b, R12a, R12b, R13a, R13b, R14a, R14b, R15a 및 R15b중 또다른 하나와 연결되어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형성한다.
일부 구체예에 있어서, R4a, R4b, R5a, R5b, R6a, R6b, R7a, R7b, R8a, R8b, R9a, R9b, R10a, R10b, R11a, R11b, R12a, R12b, R13a, R13b, R14a, R14b, R15a 또는 R15b중 하나는 동일한 고리 상에서 R4a, R4b, R5a, R5b, R6a, R6b, R7a, R7b, R8a, R8b, R9a, R9b, R10a, R10b, R11a, R11b, R12a, R12b, R13a, R13b, R14a, R14b, R15a 및 R15b중 또다른 하나와 연결되어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일부 구체예에 있어서 전술한 R 기는 디옥시메틸렌 기를 형성하기 위하여 연결될 수 있고, 따라서 형성된 헤테로방향족 고리는 임의선택적으로 치환되 벤조디아옥사졸이다.
여전히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이 화합물은 다음의 구조 (Ic), (Id), (Ie), (If), (Ig), (IIc), (IId), (IIe), (IIf) 또는 (IIg)중 하나를 보유한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16
Figure 112014127413805-pct00017
이때 R은 각 경우에서,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또는 C1-12 알킬이다.
전술한 것들의 추가 구체예에 있어서, 이 화합물은 다음의 구조 (Ih), (Ii), (Ij), (Ik), (Il), (IIh), (IIi), (IIj), (IIk) 또는 (IIl)중 하나를 보유한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18
Figure 112014127413805-pct00019
여전히 다른 구체예, 최소한 한 개의 R은 히드록실이며,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최소한 한 개의 R은
Figure 112014127413805-pct00020
이다.
다른 관련된 구체예에 있어서, R4a, R4b, R5a, R5b, R6a, R6b, R7a, R7b, R8a, R8b, R9a, R9b, R10a, R10b, R11a, R11b, R12a, R12b, R13a, R13b, R14a, R14b, R15a 그리고 R15b중 최소한 2개는 히드록실이다.
일부 예시적인 조성물에 있어서, 이 화합물은 다음의 구조 (Im), (In), (IIm) 또는 (IIn)중 하나를 보유한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21
또는
Figure 112014127413805-pct00022
Figure 112014127413805-pct00023
또는
Figure 112014127413805-pct00024
일부 구체예에 있어서, R4a, R4b, R5a, R5b, R6a, R6b, R7a, R7b, R8a, R8b, R9a, R9b, R10a, R10b, R11a, R11b, R12a, R12b, R13a, R13b, R14a, R14b, R15a 또는 R15b중 최소한 한 개는
Figure 112014127413805-pct00025
이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R4a, R4b, R5a, R5b, R6a, R6b, R7a, R7b, R8a, R8b, R9a, R9b, R10a, R10b, R11a, R11b, R12a, R12b, R13a, R13b, R14a, R14b, R15a 또는 R15b중 최소한 한 개는 헤테로아릴이다. 예를 들면, 일부 구체예에 있어서, 헤테로아릴은 다음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26
그리고
Figure 112014127413805-pct00027
이때 R은 각 경우에서,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또는 C1-12 알킬이다. 예를 들면, 일부 구체예에 있어서 최소한 한 개의 R은 히드록실이며, 다른 구체예에서 최소한 한 개의 R은
Figure 112014127413805-pct00028
이다.
여전히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X1은 R4a, R5a, R6a 또는 R7a중 하나와 연결되어 직접 결합을 형성하거나, 또는 X2는 R12b, R13b, R14b 또는 R15b중 하나와 연결되어 직접 결합을 형성하고, 이 화합물은 다음의 구조 (Io) 또는 (IIo)중 하나를 보유한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29
또는
Figure 112014127413805-pct00030
예를 들면, 일부 추가 구체예에서, 이 화합물은 다음의 구조 (Ip) 또는 (IIp)중 하나를 보유한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31
또는
Figure 112014127413805-pct00032
여전히 여전히 다른 추가 구체예에서, Y1은 R12a, R13a, R14a 또는 R15a중 하나와 연결되어 에테르 결합을 형성하고, 이 화합물은 다음의 구조 (Iq) 또는 (Ir)중 하나를 보유한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33
또는
Figure 112014127413805-pct00034
일부 더 특이적 구체예에 있어서, 이 화합물은 표 A에서 제공된 임의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35
Figure 112014127413805-pct00036
Figure 112014127413805-pct00037
Figure 112014127413805-pct00038
Figure 112014127413805-pct00039
Figure 112014127413805-pct00040
Figure 112014127413805-pct00041
Figure 112014127413805-pct00042
Figure 112014127413805-pct00043
Figure 112014127413805-pct00044
Figure 112014127413805-pct00045
Figure 112014127413805-pct00046
Figure 112014127413805-pct00047
Figure 112014127413805-pct00048
Figure 112014127413805-pct00049
Figure 112014127413805-pct00050
Figure 112014127413805-pct00051
Figure 112014127413805-pct00052
Figure 112014127413805-pct00053
Figure 112014127413805-pct00054
Figure 112014127413805-pct00055
Figure 112014127413805-pct00056
Figure 112014127413805-pct00057
Figure 112014127413805-pct00058
Figure 112014127413805-pct00059
Figure 112014127413805-pct00060
Figure 112014127413805-pct00061
표 A의 화합물은 표시된 식물 종들 또는 식물의 특정 부분 (이를 테면, 껍질, 나무 몸통, 나무 몸통 껍질, 줄기 껍질, 뿌리, 뿌리 껍질, 껍질 표면, 잎, 과일, 꽃, 다른 식물 일부분,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추출되거나, 단리되거나 또는 정제될 수 있거나, 또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것과 같이 합성에 의해 또는 반-합성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표 A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화합물은 표시된 식물 종에 풍부하거나 또는 식물 종의 추출물 내 주요 활성 요소이며, 이때 농축된 추출물은 온전한(whole) 식물 또는 특정 식물 일부분, 이를 테면 잎, 껍질, 나무 몸통, 나무 몸통 껍질, 줄기, 줄기 껍질, 잔가지, 덩이줄기, 뿌리, 뿌리 껍질, 껍질표면, 어린 낭순, 근경, 씨, 열매, 수술군, 암술군, 꽃받침, 수꽃술, 꽃잎, 꽃받침(sepal), 심피 (암술), 꽃,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수득된다.
상기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구조 (I) 또는 (II)의 화합물의 임의의 구체예 그리고 상기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구조 (I) 또는 (II)의 화합물에 대해 임의의 특정 치환체들은 구조 (I) 또는 (II)의 화합물의 다른 구체예 또는 치환체와 독립적으로 복합되어, 상기에서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은 본 명세서의 구체예를 형성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또한, 치환체의 목록은 특정 구체예 또는 청구범위에서 임의의 특정 R 기에 대하여 열거되어 있는 경우, 각 개별 치환체는 특정 구체예 또는 청구범위에서 삭제될 수 있고, 치환체의 나머지 목록은 본 명세서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투여 목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가공안된(raw) 화학물질로 투여되거나,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조성물은 구조 (I) 또는 (II)의 화합물과 약학적으로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서 수용가능한 운반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한다. 구조 (I) 또는 (II)의 화합물은 관심 대상의 특정 질환 또는 상태를 치료하는데 유효한 양-즉,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다른 연관된 임의의 징조를 촉진시키는데 충분한 양으로 그리고 환자에게 수용가능한 독성을 가진 양으로 조성물 안에 존재한다. 구조 (I) 또는 (II)의 화합물의 체중 감소 및 다른 활성은 예를 들면, 하기 실시예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적절한 농도 및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순수한 형태 또는 적절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조성물에 포함된 본 명세서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서 수용가능한 염의 투여는 유사한 용도의 물질을 투여하기 위한 수용된 임의의 방식을 통하여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조성물은 본 명세서의 화합물에 적절한 약학적으로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서 수용가능한 운반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복합시켜 제조될 수 있고, 그리고 고형, 반-고형, 액체 또는 기체 형태, 이를 테면 테블릿, 캡슐, 분말, 과립, 연고, 용액, 좌약, 주사, 흡입제, 겔, 미소구, 그리고 에어로졸의 조제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러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조성물의 투여를 위한 일반적인 경로에는 구강, 국소, 경피, 흡입, 장관외, 설하, 볼, 직장, 질 또는 비강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장관외란 피하 주사, 정맥내, 근육내, 흉골내 주사 또는 주입 기술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의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조성물은 환자에게 이 조성물이 투여될 때 이 안에 포함된 활성 요소들이 생물이용가능하도록 제형화된다. 대상 또는 환자에게 투여될 조성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투여량 단위 형태를 취하는데, 여기에서 예를 들면, 테블릿은 단일 투여량 단위일 수 있고, 에어로졸 형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용기는 다중 투여량 단위를 보유할 수 있다. 투여량 형태를 조제하는 실제 방법은 공지되어 있거나, 또는 당업자에게 자명하고, 예를 들면,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0th Edition (Philadelphia College of Pharmacy and Science, 2000) 참고한다. 투여되는 조성물은 임의의 경우에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관심 질환 또는 상태를 치료하기 위하여 치료요법적으로 유효량의 본 명세서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서 수용가능한 염을 함유한다.
본 명세서의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조성물은 고형 또는 액체 형태일 수 있다. 한 측면에서, 운반체(들)은 미립자이고, 조성물은 예를 들면, 테블릿 또는 분말 형태로 있다. 운반체(들)은 액체이며, 조성물은 예를 들면, 경구 시럽, 주사가능한 액체 또는 에어로졸일 수 있고, 에어로졸은 예를 들면, 흡입 투여에 유용하다.
경구 투여를 의도할 경우,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조성물은 고형 또는 액체 형태일 수 있고, 여기에서 반-고형, 반-액체, 현탁액 그리고 겔 형태는 고형 또는 액체로써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는 형태 안에 포함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조성물로써,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조성물은 분말, 과립, 압착된 테블릿, 알약, 캡슐, 츄잉 검, 웨이퍼, 바(bar), 또는 유사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러한 고형 조성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활성 희석제 또는 식용 운반체를 일반적으로 함유할 것이다. 또한, 다음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존재할 수 있다: 결합제 이를 테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시클로덱스트린, 미정질의 셀룰로오스, 검 트라가탄 또는 젤라틴; 부형제 이를 테면 전분, 락토오스 또는 덱스트린, 붕해 물질 이를 테면 알긴산, 알긴산 나트륨, Primogel, 옥수수 전분 그리고 이와 유사한 것들; 윤활제 이를 테면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또는 Sterotex; 유동성개선제 이를 테면 콜로이드성 이산화 실리콘; 감미 물질 이를 테면 슈크로즈 또는 사카린; 풍미제 이를 테면 페퍼민트, 메틸 살리실산염 또는 오렌지 풍미; 그리고 발색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조성물이 캡슐, 예를 들면, 젤라틴 캡슐 형태로 있는 경우, 상기 유형의 물질에 추가하여, 액체 운반체 이를 테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조성물은 액체 형태, 예를 들면, 엘릭시르, 시럽, 용액, 에멀션 또는 현탁액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액체는 두 가지 예로써 경구 투여 또는 주사에 의한 전달을 위한 것일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의도한 경우, 유용한 조성물은 본 화합물에 추가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감미 물질, 보존제, 염료/발색제 그리고 풍미 보강제를 포함한다. 주사에 의해 투여되도록 의도된 조성물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계면활성제, 보존제, 가습 물질, 분산 물질, 현탁 물질, 완충액, 안정화제 그리고 등장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액체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또는 다른 유사한 형태이건 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음 어쥬번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멸균 희석제 이를 테면 주사용 물, 염수 용액, 이를 테면 생리학적 염수, Ringer 용액, 등장 염화나트륨,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 작용될 수 있는 고정된 오일 이를 테면 합성 모노 또는 디글리세리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다른 용매; 항균 물질 이를 테면 벤질 알코올 또는 메틸 파라벤; 항산화제, 이를 테면 아스코르브산 또는 중아황산 나트륨염; 킬레이팅 물질 이를 테면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완충액 이를 테면 아세테이트, 구연산염 또는 인산염 그리고 강장성 조정 물질, 이를 테면 염화나트륨 또는 덱스트로즈. 장관외 조제물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앰플, 1회용 주사기, 다중 분량 바이알에 동봉될 수 있다. 생리학적 염수는 일반적으로 유용한 어쥬번트이다. 주사가능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조성물은 살균된 것이다.
장관외 또는 경구 투여용으로 의도된 액체 형태의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조성물은 적합한 투여량을 얻도록 본 명세서의 화합물 양을 포함해야 한다.
본 명세서의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조성물은 국소 투여용이 될 수 있고, 이 경우 운반체는 용액, 에멀션, 크림, 로션, 연고, 또는 겔 베이스를 적절하게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는 다음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한다: 바셀린, 라놀린, 폴리에틸렌 글리콜, 벌 밀랍, 무기질유, 희석제 이를 테면 물과 알코올, 그리고 유화제와 안정화제. 농후제는 국소 투여용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경피 투여를 위해 의도된 경우, 조성물은 경피 패취 또는 이온이동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조성물이 직장 투여용 예를 들면 좌약 형태로 의도된 경우, 직장에서 용해되어 약물을 방출할 것이다. 직장 투여용 조성물은 적합한 비자극 부형제로써 유지성(oleaginous)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는 라놀린, 코코아 기름 그리고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조성물은 고형 또는 액체 투여량 단위의 물리적 형태를 변형시키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성물은 활성 요소들 주변에 피복 층을 형성하는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피복 층을 형성하는 물질들은 전형적으로 비활성이며, 예를 들면, 설탕, 셀락, 그리고 다른 자용피 물질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대안으로, 활성 요소들은 젤라틴 캡슐 안에 포함될 수 있다.
고형 또는 액체 형태의 본 명세서의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조성물은 본 명세서의 화합물에 결합되고, 이로 인하여 이 화합물의 전달을 지원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능력에 작용할 수 있는 적합한 물질은 단일클론성 또는 다중클론성 항체, 단백질 또는 리포좀을 포함한다.
고형 또는 액체 형태의 본 명세서의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조성물은 예를 들면, 생물이용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입자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부형제와 함께 또는 부형제 없이 조성물내 분말, 과립, 입자, 미세구,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의 크기는 크기 및 벌크 밀도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마크로 (이를 테면, 눈에 보이는 크기 또는 크기가 최소한 100 μm), 마이크로 (이를 테면, 크기가 약 100 μm 내지 약 100 nm 범위), 나노 (이를 테면, 크기가 겨우 100 nm일 수 있음), 그리고 이들 사이의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 범위내 임의의 크기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조성물은 에어로졸로 투여될 수 있는 투여량 단위로 구성될 수 있다. 용어 에어로졸은 콜로이드성 성질에서 부터 가압된 패키지로 구성된 시스템까지 다양한 시스템을 보여주는데 이용된다. 액화 또는 압축 가스에 의해 또는 활성 요소들을 분배하는 적합한 펌프시스템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화합물의 에어로졸은 활성 요소(들)을 전달하기 위하여 단일 상, 이중상, 또는 삼중상 시스템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에어로졸의 전달은 필수 용기, 활성제, 벨브, 하위용기, 그리고 이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하고, 이들이 함께 키트를 이룰 수 있다. 당업자는 과도한 실험없이 가장 적절한 에어로졸(들)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조성물은 약학 또는 기능식품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사에 의해 투여되도록 의도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조성물은 용액을 만들기 위하여 멸균 증류수에 본 명세서의 화합물을 복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가 균질 용액 또는 현탁액을 형성하는데 용이하도록 추가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수성 운반계에서 화합물의 분산 또는 균질 현탁액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화합물과 비-공유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화합물이다.
본 명세서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서 수용가능한 염은 치료요법적으로 유효량으로 투여되는데, 이 유효량은 이용되는 특정 화합물의 활성; 이 화합물의 대사 안전성 및 작용 기간; 환자의 연령, 체중, 전반적인 건강, 성별 그리고 식이요법; 투여 방식 및 시간; 배출 속도; 약물 조합; 특정 장애 또는 상태의 중증도; 그리고 대상이 받고 있는 요법이 포함된 다양한 인자들에 의해 변화될 것이다.
본 명세서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서 수용가능한 유도체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치료 물질과 동시에, 이들보다 먼저 또는 나중에 투여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복합 요법은 본 명세서의 화합물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가 활성 물질이 포함된 단일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투여량 제형의 투여,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의 화합물과 고유의 별개의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투여량 제형 안에 각 활성 물질의 투여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화합물과 또다른 활성 물질은 함께 단일 경구 투여량 조성물로, 이를 테면 테블릿 또는 캡슐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거나, 또는 각 물질이 별개의 경구 투여량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별개의 투여량 제형이 이용되는 경우, 본 명세서의 화합물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가 활성 물질은 기본적으로 같은 시간, 가령, 동시에 투여될 수 있거나, 또는 별도로 시차를 두고, 가령, 연속적으로 투여될 수 있고; 복합 요법은 이들 모든 섭생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서 나타낸 식의 치환체 또는 변수들의 조합은 이러한 조합에 의해 안정적인 화합물을 결과하는 경우에만 허용가능하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공정에서 중간생성 화합물의 기능기는 적합한 보호기에 의해 보호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들이 또한 인지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기는 히드록시, 아미노, 멀캅토 및 카르복실산을 포함한다. 히드록시의 적합한 보호기는 트리알킬실일 또는 디아릴알킬실일 (예를 들면, t-부틸디메틸실일, t-부틸디페닐실일 또는 트리메틸실일), 테트라히드로피라닐, 벤질, 그리고 이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아미노, 아미디노 그리고 구아니디노의 적합한 보호기는 t-부톡시카르보닐, 벤질옥시카르보닐, 그리고 이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멀캅토의 적합한 보호기는 -C(O)-R" (여기에서 R"는 알킬, 아릴 또는 아릴알킬임), p-메톡시벤질, 트리틸 그리고 이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카르복실산의 적합한 보호기는 알킬, 아릴 또는 아릴알킬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보호기는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표준 기술에 따라 추가 또는 제거될 수 있다. 보호기의 용도는 Green, T.W. and P.G.M. Wutz,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1999), 3rd Ed., Wiley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당업자가 인지하는 바와 같이, 보호기는 또한 폴리머 수지 이를 테면 Wang 수지, Rink 수지 또는 2-클로로트리틸-클로라이드 수지가 될 수도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이러한 보호된 유도체들은 비록 그 자체로 약리학적 활성을 보유하지 못하지만, 포유류에게 투여되고, 그 이후 신체내에서 대사되어 약제학적으로 활성인 본 명세서의 화합물이 형성될 수 있음을 또한 인지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도체들은 "프로드럭(prodrugs)"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모든 프로드럭은 본 명세서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더욱이, 자유 염기 또는 산 형태로 존재하는 본 명세서의 모든 화합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통하여 적절한 무기 또는 유기 염기 또는 산으로 처리하여 이들의 약학적으로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서 수용가능한 염으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화합물의 염은 표준 기술에 의해 이들의 자유 염기 또는 산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화합물은 표 A에 포함된 식물들과 본 명세서의 곳곳에 포함된 식물들로부터 단리될 수 있다. 이 화합물의 단리에 적합한 식물 일부분은 잎, 껍질, 나무 몸통, 나무 몸통 껍질, 줄기, 줄기 껍질, 잔가지, 덩이줄기, 뿌리, 뿌리 껍질, 껍질표면, 어린 낭순, 근경, 씨, 열매, 수술군, 암술군, 꽃받침, 수꽃술, 꽃잎, 꽃받침, 심피 (암술), 꽃,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관련된 구체예에 있어서, 이 화합물은 식물 원료로부터 단리되고, 언급된 임의의 치환체가 포함되도록 합성에 의해 변형된다. 이점에 있어서, 식물로부터 단리된 화합물의 합성 변형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수의 기술을 이용하여 이룰 수 있으며, 당업자의 지식 범위 내에 속한다.
상기에서 명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Diels-Alder 부가물이다. 이론에 결부되는 것을 원하지는 않지만, Diels-Alder 반응은 다양한 식물에서 생합성 경로의 일부로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따라서 본 명세서의 특정 구체예는 식물로부터 이 화합물의 단리와 이 자체를 이용하거나 또는 다양한 합성 변형의 실행을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이 화합물은 합성에 의해 조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의 반응 과정은 합성 기술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 가령, 구조 (I) 또는 (II)의 화합물을 만드는 방법을 설명한다:
반응 과정 1
Figure 112014127413805-pct00062
구조 (I) 또는 (II)(이를 테면, (Ib) 또는 (IIb))의 대표적인 화합물은 반응 계획 1에서 설명된 전반 과정에 따라 합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칼콘 A와 이소프레닐페닐 B는 시판되는 원료로부터 구입할 수 있거나, 식물 원료로부터 단리시키거나,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절차에 따라 준비될 수 있다. 적절한 Diels-Alder 조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음) 하에서 칼콘 A와 이소프레닐페닐 B의 반응으로 구조 (I) 또는 (II)의 화합물이 만들어진다. 구조 (I)와 (II)의 화합물은 칼콘 A의 비대칭 결과로 인하여 구조이성질체(regioisomer)이다. 다양한 치환체 (가령, "R" 기)는 반응 계획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Diels-Alder 고리화에 앞서 또는 고리화 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의 변형 및 다양한 R 기들을 추가하는 방법들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당업계의 통상적인 기술 범위내에 있다.
당업자는 당업계 공지된 유사한 방법들 또는 다른 방법들과 복합하여 이들 화합물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당업자는 적절한 출발 성분을 이용하고, 필요에 따라 합성 매개변수들을 변형시켜,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구조 (I) 또는 (II)의 화합물을 하기에서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또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발 성분은 원료, 이를 테면 Sigma Aldrich, Lancaster Synthesis, Inc., Maybridge, Matrix Scientific, TCI, 그리고 Fluorochem USA, 등등으로부터 얻거나 또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원료에 따라 합성될 수 있거나 (예를 들면, Advanced Organic Chemistry: Reactions, Mechanisms, and Structure, 5th edition (Wiley, December 2000)) 또는 본 발명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조제될 수 있다.
추가 구체예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최소한 한 가지 Diels-Alder 부가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체중 관리 물질과 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체중 관리 물질"은 대상이 이들의 체중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생물학적으로 활성 화합물, 분자, 또는 조성물로써, 특정 체중 수준을 유지하거나, 체중 증가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체중을 감소시키는 것에 관련될 수 있다. 체중 관리 물질의 생물학적 활성은 식욕을 감소 또는 억제, 대사 수준을 변경, 지질 대사를 변경, 칼로리 섭취를 감소,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체중 관리 물질은 식욕억제제, 리파제 억제제,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 향정신성 물질, 인슐린 민감제, 흥분제, 포만감 물질,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Diels-Alder 부가물은 최소한 한 가지 다른 체중 관리 물질, 이를 테면 식욕억제 물질, 리파제 억제제,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 향정신성 물질, 인슐린 민감제, 흥분제, 또는 포만감 물질과 함께 이용된다. 체중 관리 물질과 본 명세서의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Diels-Alder 부가물은 함께 또는 별도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Diels-Alder 부가물은 최소한 한 가지 다른 체중 관리 물질의 투여와 동시에 또는 이보다 앞서, 또는 이보다 뒤에 대상에게 투여되거나 대상이 복용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식욕억제 물질은 시부트라민, 디에틸프로피온, 벤즈페타민, 펜디메트라진, 또는 카테콜아민이다. 추가 구체예에서, 리파제 억제제는 무탐바(Mutamba) 추출물,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카르노신산, 카르노솔, 리포스태틴, 테트라히드로리포스태틴, 푸니카 그라나튬(Punica granatum) 과피 추출물, 마르찬티아 폴리모르파(Marchantia polymorpha) 전체 식물 추출물, 파낙스 하포니카스(Panax japonicas) 추출물 또는 플라시코디 라딕스(Platycodi radix) 추출물이다.
여전히 추가 구체예에서,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는 대마초제제 수용체 항진제, 길항제, 또는 역 항진제다. 여전히 추가 구체예에서,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는 대마초제제 수용체 1 (CB1), 대마초제제 수용체 2 (CB2), 또는 CB1와 CB2에 특이적인데, 이를 테면 CB1 길항제 또는 역 항진제다. 예시적인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는 리모나반트, N-(피페리딘-1-일)-5-(4-요오드페닐)-1-(2,4-디클로로페닐)-4-메틸-1H-피라졸-3-카르복사미드 (AM 251), 1-(2,4-디클로로페닐)-5-(4-요오드페닐)-4-메틸-N-4-몰포리닐-1H-피라졸-3-카르복사미드 (AM281), 4-[6-메톡시-2-(4-메톡시페닐)1-벤조퓨란-3-카르보닐]벤조니트릴 (LY 320135),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마그놀롤, 호노키올, 마그놀롤 및 호노키올, 퓨리놀, 또는 피페르 롱검(Piper Longum) 씨 추출물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Diels-Alder 부가물은 제 2, 제 3, 제 4, 또는 제 5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체중 관리 물질은 2, 3, 4, 5, 6, 7, 8, 9, 또는 10개의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Diels-Alder 부가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특정 구체예의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Diels-Alder 부가물은 식욕억제 물질과 리파제 억제제, 또는 식욕억제 물질와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 또는 식욕억제 물질과 향정신성 물질, 식욕억제 물질과 인슐린 민감제, 또는 식욕억제 물질과 흥분제, 또는 식욕억제 물질과 포만감 물질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여전히 추가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의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Diels-Alder 부가물은 리파제 억제제와 흥분제, 또는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와 흥분제, 또는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와 리파제 억제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조성물중 임의의 것은 포만감 물질 또는 향정신성 물질 또는 인슐린 민감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단독으로 이용된, 또는 또다른 체중 관리 물질과 복합되어 또는 함께 이용된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Diels-Alder 부가물은 프레닐화된 페놀, 이소프레닐화된 플라보노이드, 프레닐화된 플라보노이드, 프레닐화된 플라보노이드 이합체, 또는 이의 조합인 프레닐페닐 모이어티를 보유한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Diels-Alder 부가물은 이소프레닐화된 플라보노이드 이를 테면 이소프레닐화된 플라본, 플라보놀, 플라바논, 칼콘, 이소플라본, 이소플라바논, 오론, 또는 스틸벤인 프레닐페닐 모이어티를 보유한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Diels-Alder 부가물은 프레닐화된 플라본, 플라보놀, 플라바논, 칼콘, 이소플라본, 이소플라바논, 오론, 또는 스틸벤인 프레닐화된 플라보노이드를 보유한다. 추가 구체예에서,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Diels-Alder 부가물은 단독으로 이용된, 또는 모루스(Morus) 추출물 또는 밀리시아 엑셀사(Milicia excelsa) 추출물로부터 정제된, 단리된, 또는 농축된 또는 이들에 포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체중 관리 물질과 복합되어 또는 함께 이용되는데, 이를 테면 알바닌 G, 쿠와논 G, 쿠와논 M, 캐타야논 A, 모루신, 모루시놀, 상게논 C, 상게논 D, 상게논 O,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이다.
추가 구체예에서,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Diels-Alder 부가물과 함께 이용되는 체중 관리 물질은 향정신성 물질 이를 테면 기분 안정화제, 항울제, 또는 항경련제다. 여전히 추가 구체예에서,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Diels-Alder 부가물과 함께 이용되는 체중 관리 물질은 흥분제 이를 테면 카페인, 디카페오일퀴닌산 또는 덱스트로암페타민, 또는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녹차 추출물, 그린 커피콩 추출물, 콜라 나무 열매 추출물, 시투르스 오란티움(Citrus aurantium) 열매 추출물, 가시니아(Gacinia) 추출물, 아레카 카테츄(Areca catechu) 열매/씨 추출물 또는 덱스트로암페타민로부터 정제된, 이로부터 단리된, 이에 농축된 또는 이들 안에 포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흥분제이다. 한층 더 구체예에서,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Diels-Alder 부가물과 함께 이용되는 체중 관리 물질은 인슐린 민감제 이를 테면 티아졸리딘디온 (이를 테면, 로시글리타존, 피오글리타존), 옥사졸리딘디온, 이소옥사졸리딘디온, 비구아니드 (이를 테면, 메트포르민), 선택적 mTOT (티아졸리딘디온의 미토콘그리아 표적)(mitochondrial Target of Thiazolidinediones) 조절제, 시나몬 추출물, 바나바 추출물, 크롬, 물고리 기름, 아세트산, D-키로-이노시톨, 또는 α-리포산이다. 여전히 추가 구체예에서,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Diels-Alder 부가물과 함께 이용되는 체중 관리 물질은 포만감 물질 이를 테면 도데카논산, 글리세릴 도데카노에이트, 글리세릴 1,3-디도데카노에이트, 글리세릴 트리도데카노에이트, 그리고 이의 유도체들 또는 혼합물들, 또는 후디아(hoodia) 추출물, 잣 추출물에서 정제된, 단리된 또는 농축된 또는 이들에 포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포만감 물질, 또는 섬유 보충제이다.
본 명세서에서 명시된 바와 같이,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의 화합물은 화학적 합성에 의해 얻거나, 또는 식물 추출물, 이를 테면 모루스(Morus) 또는 밀리시아(Milicia) 추출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루스(Morus)는 많은 나라에서 야생 또는 재배되는 30 종 이상 (뽕나무로 알려진)을 포함하는 뽕나무과의 화목류(flowering tree) 속이다. 예시적인 모루스 종(Morus species)은 모루스 알바(Morus alba) L., 모루스 아스트랄리스(Morus australis) Poir, 모루스 쎌티디포리아(Morus celtidifolia) Kunth, 모루스 인시그니스(Morus insignis)), 모루스 메소지기아(Morus mesozygia) Stapf, 모루스 마이크로피라(Morus microphylla), 모루스 니그라(Morus nigra) L., 모루스 루브라(Morus rubra) L., 모루스 아프로푸레아(Morus atropurea), 모루스 봄비시스(Morus bombycis), 모루스 캐타야나(Morus cathayana), 모루스 인디카(Morus indica), 모루스 아이호우(Morus lhou), 모루스 하포니카(Morus japonica), 모루스 카가야메(Morus kagayamae), 모루스 레비가타(Morus laevigata), 모루스 라티포리아(Morus latifolia), 모루스 리보엔시스(Morus liboensis), 모루스 마크로우라(Morus macroura), 모루스 몬골리카(Morus mongolica), 모루스 멀티카울리스(Morus multicaulis), 모루스 노타빌리스(Morus notabilis), 모루스 로툰디로바(Morus rotundiloba), 모루스 세라테(Morus serrate), 모루스 헤테로필루스(Morus heterophyllus), 모루스 티라에포리아(Morus tillaefolia), 모루스 트리로바타(Morus trilobata), 모루스 유나넨시스(Morus yunnanensis), 그리고 모루스 위티오룸(Morus wittiorum)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모루스(Morus) 추출물은 모루스 알바(Morus alba)로부터 추출된 것이거나, 또는 모루스(Morus) 추출물은 1, 2, 3, 4, 또는 5가지 상이한 모루스(Morus) 종의 추출물의 혼합물이다. 추출물 혼합물은 표 A에 열거된 2가지 또는 그 이상의 모루스(Morus) 종의 추출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매그놀리아(Magnolia)는 목련과(Magnoliaceae)의 아과(subfamily) 매그놀리오이데(Magnolioideae)의 약 210개 화목류 식물을 포함한다. Hou Pu로 알려진 매그놀리아는 많은 나라에서 야생으로 또는 재배될 수 있다. 예시적인 매그놀리아(Magnolia)종은 매그놀리아 오보바타(Magnolia obovata) Thunb., 매그놀리아 오파시날리스(Magnolia officinalis) Rehd. & Wilson, 매그놀리아 로스트라타(Magnolia rostrata) W.W.Smith, 매그놀리아 트리페탈라(Magnolia tripetala), 매그놀리아 글로보사(Magnolia globosa) Hook.f. & Thoms, 매그놀리아 글시에볼디(Magnolia sieboldii) K.Koch, 매그놀리아 윌소니(Magnolia wilsonii) (Finet. & Gagnep. Rehd., 매그놀리아 프라세리(Magnolia fraseri) Walt. 매그놀리아 마크로필라(Magnolia macrophylla) Michx, 매그놀리아 데시두아(Magnolia decidua) (Q.Y.Zheng) V.S.Kumar, 매그놀리아 도리쵸기나(Magnolia dolichogyna)(Dandy ex Noot.) Figlar & Noot., 매그놀리아 두클로우시(Magnolia duclouxii) Finet & Gagnep., 매그놀리아 피글라리(Magnolia figlarii) V.S.Kumar, 매그놀리아 포르디아나(Magnolia fordiana), 매그놀리아 에마르기나타(Magnolia emarginata) Urb. & Ekman, 매그놀리아 아모리(Magnolia hamorii) Howard, 매그놀리아 팔레센스(Magnolia pallescens) Urb. & Ekman, 매그놀리아 마헤체(Magnolia mahechae) (Lozano) Govaerts. 매그놀리아 타리테푸아나(Magnolia ptaritepuiana) Steyermark, 매그놀리아 스트리아티포리아(Magnolia striatifolia) Little, 매그놀리아 멕시카나(Magnolia mexicana) DC., 매그놀리아 미노르(Magnolia minor) (Urb.) Govaerts ,매그놀리아 모리(Magnolia morii) (Lozano) Govaerts, 매그놀리아 나리네시스(Magnolia narinensis) (Lozano) Govaerts, 매그놀리아 넬리(Magnolia neillii) (Lozano) Govaerts , 매그놀리아 오바타(Magnolia ovata) (A.St.-Hil.) Spreng, 매그놀리아 폴리힙소피라(Magnolia polyhypsophilla) (Lozano) Govaerts, 매그놀리아 퀘트잘(Magnolia quetzal), 매그놀리아 리마치(Magnolia rimachii)(Lozano) Govaerts, 매그놀리아 삼부엔시스(Magnolia sambuensis), 매그놀리아 델라바이(Magnolia delavayi) Franchet, 매그놀리아 피스투로사(Magnolia fistulosa) (Finet & Gagnep.) Dandy, 매그놀리아 헨리(Magnolia henryi) Dunn, 매그놀리아 나나(Magnolia nana) Dandy, 매그놀리아 오도르시시마(Magnolia odoratissima), 매그놀리아 그란디플로라(Magnolia grandiflora) L, 그리고 매그놀리아 구아테말렌시스(Magnolia guatemalensis)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은 매그놀리아 오파시날리스(Magnolia officinalis)로부터 추출된 것이거나, 또는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은 1, 2, 3, 4, 또는 5가지 상이한 매그놀리아(Magnolia) 종의 추출물의 혼합물이다.
흔히 로즈마리로 알려져 있는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는 지중해가 원산지인 목질의 향긋한 다년생 향초로써 늘푸른 바늘과 같은 잎과, 흰색, 분홍색, 자색 또는 푸른색 꽃이다. 로즈마리는 많은 다른 허브를 포함하는 꿀풀과(Lamiaceae) 목의 민트 구성원이다. 다른 예시적인 로즈마리(Rosemary)종은 로즈마리누스 토멘토수스(Rosmarinus tomentosus), 로즈마리누스 에리오칼릭스(Rosmarinus eriocalyx), 그리고 로즈마리누스 파루이(Rosmarinus palaui)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은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로부터 추출되거나, 또는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은 1, 2, 또는 3가지 종류의 로즈마리(Rosemary)종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혼합물이다.
가장 흔히 이용되는 예르바 마테(Yerba Mate)의 식물 기원은 아이렉스 파라구아리엔시스(Ilex paraguariensis)로써, 이는 마테라고 불리는 음료로 잘 알려진 호랑가시나무 (감탕나무과(Aquifoliaceae))의 종이다. 예르바 마테(Yerba Mate)는 북동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남브라질, 우루과이 및 파라과이에 있는 남아메리카 아열대지역이 원산지다. 이 종은 세계의 상이한 기후에 분포된다. 예시적인 아이렉스(Ilex) 종은 American Holly(아이렉스 오파카(Ilex opaca)), Carolina Holly(아이렉스 암비구아(Ilex ambigua)), Chinese Holly(아이렉스 코르누타(Ilex cornuta)), Common Winterberry(아이렉스 베르티칠라타(Ilex verticillata)), Dahoon (아이렉스 카신(Ilex cassine)), Deciduous Holly (아이렉스 데시두아(Ilex decidua)), English Holly (아이렉스 아퀴폴리움(Ilex aquifolium)), Australia Holly (아이렉스 아른헤멘시스(Ilex arnhemensis)), Inkberry (아이렉스 글라브라(Ilex glabra)), Japanese Holly (아이렉스 크레나타(Ilex crenata)), Large Gallberry (아이렉스 코리아세(Ilex coriacea)), Smooth Winterberry (아이렉스 레비가타(Ilex laevigata)), Yaupon (아이렉스 보미토리아(Ilex vomitoria)), Africa 종 (아이렉스 미티스(Ilex mitis)), 그리고 아이렉스 카나리엔시스(Ilex canariensis) Macaronesia, 아이렉스 아퀴폴리움(Ilex aquifolium))를 포함한다. 예전에 네모탄투스(Nemopanthus) 유형의 종이었던 아이렉스 무크로나타(Ilex mucronata)는 북아메리카 동부가 원산지다. 네모탄투스(Nemopanthus)는 감탕나무과(Aquifoliaceae)의 8종과 함께 단형 종으로 취급되었지만, 현재 분자 데이타에 근거하여 아이렉스(Ilex)로 이전되었다(아이렉스 아메란치에르(Ilex amelanchier))에 더 가깝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은 아이렉스 파라구아리엔시스(Ilex paraguariensis)로부터 추출되거나, 또는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은 1, 2, 3, 4, 또는 5가지 아이렉스(Ilex) 종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의 혼합물이다.
아욱과(Malvaceae)에서 꽃나무 종인 구아주마(Guazuma)는 카라비언, 남미, 중미 및 멕시코에 널리 발견된다. 무탐바(Mutamba)는 전통적인 한약에서 다양한 의학적 가치를 가진 구아주마 (Guazuma) 식물의 통상명칭이다.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응축된 탄닌은 구아주마 코메르소니옵시스(Guazuma commersoniopsis), 구아주마 유가주마(Guazuma euguazuma), 구아주마 지노포리코라(Guazuma gynophoricola), 구아주마 블루메(Guazuma blumei), 구아주마 부브로마(Guazuma bubroma), 구아주마 부르브로마(Guazuma burbroma), 구아주마 코리아세(Guazuma coriacea), 구아주마 크리니타(Guazuma crinita), 구아주마 그란디플로라(구아주마 그란디플로라(Guazuma grandiflora)), 구아주마 구아주마(Guazuma guazuma), 구아주마 인비라(Guazuma invira), 구아주마 아유비라(Guazuma iuvira), 구아주마 롱기페디셀라타(Guazuma longipedicellata), 구아주마 파르비포리아(Guazuma parvifolia), 구아주마 폴리보트라(Guazuma polybotra), 구아주마 폴리보트라야(Guazuma polybotrya), 구아주마 로세아(Guazuma rosea), 구아주마 토멘토사(Guazuma tomentosa), 구아주마 울미포리아(Guazuma ulmifolia), 그리고 구아주마 유틸리스(Guazuma utilis)를 포함하는 구아주마의 상이한 종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무탐바(Mutamba) 추출물은 구아주마 울미포리아(Guazuma ulmifolia)로부터 추출되거나, 또는 무탐바(Mutamba) 추출물은 1, 2, 3, 4, 또는 5가지 구아주마(Guazuma) 종의 추출물의 혼합물이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가 포함된 조성물은 최소한 한 가지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가 함유된 또는 농축된 모루스(Morus) 추출물,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그리고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을 포함하며, 이 추출물들은 각각 2:1:5 중량비 내지 2:1:10 중량비로 혼합되거나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추가 구체예들에 있어서,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와 체중 관리 물질이 포함된 조성물은 최소한 한 가지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가 함유된 또는 농축된 모루스(Morus) 추출물,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그리고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을 포함하며, 이 추출물들은 각각 2:1:5 중량비 내지 2:1:10 중량비로 혼합되거나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임의의 구체예에서, 모루스(Morus) 추출물은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또는 쿠와논 G, 알바닌 G, 모루신,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이 농축된 추출물이며;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은 매그놀리아 오파시날리스(Magnolia officinalis) 추출물 또는 마그놀롤, 호노키올이 농축된 추출물이거나, 이 둘 모두이거나, 또는 이 둘 모두의 고 순도 혼합물이며; 그리고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은 아이렉스 파라구아엔시스(Ilex paraguayensis) 추출물 또는 카페인, 디카페오일퀴닌산에 대해 농축된 추출물, 또는 이 둘 모두이다. 관련된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식욕억제 물질, 리파제 억제제,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 향정신성 물질, 인슐린 민감제, 흥분제, 포만감 물질,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식욕억제 물질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리파제 억제제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향정신성 물질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인슐린 민감제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흥분제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포만감 물질이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가 포함된 조성물은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 퓨리놀 (매그놀리아(Magnolia)식물 추출물로부터 단리된 고순도, 이를 테면 최소한 90% 순도, 또는 최소한 91%, 92%, 93%. 94%, 또는 95% 순도, 마그놀롤과 호노키올 혼합물), 그리고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을 포함하고, 이때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는 알바닌 G, 쿠와논 G, 쿠와논 M, 캐타야논 A, 모루신, 모루시놀, 상게논 C, 상게논 D, 상게논 O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이다. 추가 구체예에서,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와 체중조절 물질이 포함된 조성물은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 퓨리놀 (매그놀리아(Magnolia)식물 추출물로부터 단리된 고순도, 이를 테면 최소한 90% 순도, 또는 최소한 91%, 92%, 93%. 94%, 또는 95% 순도, 마그놀롤과 호노키올 혼합물), 그리고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을 포함하고, 이때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는 알바닌 G, 쿠와논 G, 쿠와논 M, 캐타야논 A, 모루신, 모루시놀, 상게논 C, 상게논 D, 상게논 O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이며,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은 카페인, 디카페오일퀴닌산, 또는 이 둘 모두에 대해 농축된 아이렉스 파라구아엔시스(Ilex paraguayensis) 추출물이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가 포함된 조성물은 최소한 한 가지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가 함유된 또는 농축된 모루스(Morus) 추출물,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그리고 무탐바(Mutamba) 추출물을 포함하며, 이 추출물들은 각각 2:1:5 중량비 내지 2:1:10 중량비로 혼합되거나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추가 구체예에서,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와 체중 관리 물질 이 포함된 조성물은 최소한 한 가지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이 포함된 또는 이에 대해 농축된 모루스(Morus) 추출물,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그리고 무탐바(Mutamba) 추출물을 포함하고, 이 추출물들은 각각 2:1:5 중량비 내지 2:1:10 중량비로 혼합되거나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임의의 구체예에서, 모루스(Morus) 추출물은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또는 쿠와논 G, 알바닌 G, 모루신,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에 대해 농축된 추출물이며, 그리고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은 매그놀리아 오파시날리스(Magnolia officinalis) 추출물이거나 또는 마그놀롤, 호노키올, 이 둘 모두에 대해 농축된 추출물이거나, 또는 이 둘 모두의 고순도 혼합물이다. 관련된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식욕억제 물질, 리파제 억제제,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 향정신성 물질, 인슐린 민감제, 흥분제, 포만감 물질,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식욕억제 물질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리파제 억제제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향정신성 물질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인슐린 민감제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흥분제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포만감 물질이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가 포함된 조성물은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 퓨리놀, 그리고 무탐바(Mutamba) 추출물을 포함하는데, 이때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는 알바닌 G, 쿠와논 G, 쿠와논 M, 캐타야논 A, 모루신, 모루시놀, 상게논 C, 상게논 D, 상게논 O,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이다. 추가 구체예에서,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와 체중 관리 물질이 포함된 조성물은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 퓨리놀, 그리고 무탐바(Mutamba) 추출물을 포함하는데, 이때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는 알바닌 G, 쿠와논 G, 쿠와논 M, 캐타야논 A, 모루신, 모루시놀, 상게논 C, 상게논 D, 상게논 O,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이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가 포함된 조성물은 최소한 한 가지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가 포함된 또는 이에 대해 농축된 모루스(Morus) 추출물,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그리고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을 포함하고, 이 추출물들은 각각 2:5:5 중량비 내지 2:5:10 중량비로 혼합되거나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추가 구체예에서,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와 체중 관리 물질이 포함된 조성물은 최소한 한 가지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가 포함된 또는 이에 대해 농축된 모루스(Morus) 추출물,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그리고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을 포함하고, 이 추출물들은 각각 2:5:5 중량비 내지 2:5:10 중량비로 혼합되거나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임의의 구체예에서, 모루스(Morus) 추출물은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이거나 또는 쿠와논 G, 알바닌 G, 모루신,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에 대해 농축된 추출물이다. 관련된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식욕억제 물질, 리파제 억제제,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 향정신성 물질, 인슐린 민감제, 흥분제, 포만감 물질,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식욕억제 물질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리파제 억제제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향정신성 물질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인슐린 민감제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흥분제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포만감 물질이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가 포함된 조성물은 (1)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 카르노솔, 그리고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을 포함하거나, 또는 (2)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 카르노신산, 그리고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을 포함하고; 이때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는 알바닌 G, 쿠와논 G, 쿠와논 M, 캐타야논 A, 모루신, 모루시놀, 상게논 C, 상게논 D, 상게논 O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이며, 그리고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은 아이렉스 파라구아엔시스(Ilex paraguayensis) 추출물 또는 카페인, 디카페오일퀴닌산에 대해 농축된 추출물, 또는 이 둘 모두이다. 추가 구체예에서,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와 체중 관리 물질이 포함된 조성물은 (1)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 카르노솔, 그리고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을 포함하거나, 또는 (2)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 카르노신산, 그리고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을 포함하고; 이때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는 알바닌 G, 쿠와논 G, 쿠와논 M, 캐타야논 A, 모루신, 모루시놀, 상게논 C, 상게논 D, 상게논 O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이며, 그리고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은 아이렉스 파라구아엔시스(Ilex paraguayensis) 추출물이거나 또는 카페인, 디카페오일퀴닌산에 대해 농축된 추출물, 또는 이 둘 모두이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가 포함된 조성물은 최소한 한 가지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가 포함된 또는 이에 대해 농축된 모루스(Morus) 추출물,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그리고 무탐바 추출물을 포함하며, 이 추출물들은 각각 2:5:5 중량비 내지 2:5:10 중량비로 혼합되거나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추가 구체예에서,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와 체중 관리 물질이 포함된 조성물은 최소한 한 가지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가 포함된 또는 이에 대해 농축된 모루스(Morus) 추출물,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그리고 무탐바 추출물을 포함하고, 이 추출물들은 각각 2:5:5 중량비 내지 2:5:10 중량비로 혼합되거나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임의의 구체예에서, 모루스(Morus) 추출물은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이거나 또는 쿠와논 G, 알바닌 G, 모루신,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에 대해 농축된 추출물이다. 관련된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식욕억제 물질, 리파제 억제제,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 향정신성 물질, 인슐린 민감제, 흥분제, 포만감 물질,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식욕억제 물질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리파제 억제제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향정신성 물질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인슐린 민감제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흥분제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포만감 물질이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가 포함된 조성물은 (1)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 카르노솔, 그리고 무탐바 추출물을 포함하거나 또는 (2)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 카르노신산, 그리고 무탐바 추출물을 포함하고; 이때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는 알바닌 G, 쿠와논 G, 쿠와논 M, 캐타야논 A, 모루신, 모루시놀, 상게논 C, 상게논 D, 상게논 O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이다. 추가 구체예에서,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와 체중 관리 물질이 포함된 조성물은 (1)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 카르노솔, 그리고 무탐바 추출물을 포함하거나 또는 (2)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 카르노신산, 그리고 무탐바 추출물을 포함하고; 이때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는 알바닌 G, 쿠와논 G, 쿠와논 M, 캐타야논 A, 모루신, 모루시놀, 상게논 C, 상게논 D, 상게논 O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이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가 포함된 조성물은 최소한 한 가지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가 포함된 또는 이에 대해 농축된 모루스(Morus) 추출물,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그리고 아레카(Areca) 추출물을 포함하며, 이 추출물들은 각각 2:5:5 중량비 내지 2:5:10 중량비로 혼합되거나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추가 구체예에서,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와 체중 관리 물질이 포함된 조성물은 최소한 한 가지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가 포함된 또는 이에 대해 농축된 모루스(Morus) 추출물,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그리고 아레카(Areca) 추출물을 포함하고, 이 추출물들은 각각 2:5:5 중량비 내지 2:5:10 중량비로 혼합되거나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임의의 구체예에서, 모루스(Morus) 추출물은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이거나 또는 쿠와논 G, 알바닌 G, 모루신,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에 대해 농축된 추출물이다. 관련된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식욕억제 물질, 리파제 억제제,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 향정신성 물질, 인슐린 민감제, 흥분제, 포만감 물질,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식욕억제 물질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리파제 억제제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향정신성 물질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인슐린 민감제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흥분제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포만감 물질이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가 포함된 조성물은 (1)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 카르노솔, 그리고 아레카(Areca) 추출물을 포함하거나 또는 (2)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 카르노신산, 그리고 아레카(Areca) 추출물을 포함하며; 이때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는 알바닌 G, 쿠와논 G, 쿠와논 M, 캐타야논 A, 모루신, 모루시놀, 상게논 C, 상게논 D, 상게논 O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이다. 추가 구체예에서,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와 체중 관리 물질이 포함된 조성물은 (1)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 카르노솔, 그리고 아레카(Areca) 추출물을 포함하거나 또는 (2)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 카르노신산, 그리고 아레카(Areca) 추출물을 포함하고; 이때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는 알바닌 G, 쿠와논 G, 쿠와논 M, 캐타야논 A, 모루신, 모루시놀, 상게논 C, 상게논 D, 상게논 O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이다.
앞서 언급된 임의의 구체예에서, 추출물 혼합물 (임의선택적으로 체중 관리 물질이 포함된)이 포함된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서 수용가능한 운반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와 함께 제형화될 수 있다. 추가 구체예에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제제는 추출물 혼합물 안에 주요 활성 성분이 약 0.5 중량비 (wt%) 내지 약 90 wt%, 약 0.5 wt% 내지 약 80 wt%, 약 0.5 wt% 내지 약 75 wt%, 약 0.5 wt% 내지 약 70 wt%, 약 0.5 wt% 내지 약 50 wt%, 약 1.0 wt% 내지 약 40 wt%, 약 1.0 wt% 내지 약 20 wt%, 약 1.0 wt% 내지 약 10 wt%, 약 3.0 wt% 내지 약 9.0 wt%, 약 5.0 wt% 내지 약 10 wt%, 약 3.0 wt% 내지 약 6.5 wt%, 또는 이와 유사하게 포함된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조성물은 테블릿, 캡슐, 분말, 또는 과립으로 제형화된다. 관련된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식욕억제 물질, 리파제 억제제,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 향정신성 물질, 인슐린 민감제, 흥분제, 포만감 물질,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식욕억제 물질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리파제 억제제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향정신성 물질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인슐린 민감제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흥분제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포만감 물질이다.
앞서 언급된 임의의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추출물 혼합물 (임의선택적으로 체중 관리 물질이 포함된)을 포함하며 이때 추출물중 하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요 활성 요소, 이를 테면 쿠와논 G, 알바닌 G, 모루신,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에 대해 농축된 모루스(Morus) 추출물이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모루스(Morus) 추출물은 쿠와논 G, 알바닌 G, 모루신,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에 대해 농축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이다. 추가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추출물 혼합물이 포함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제제는 모루스(Morus) 추출물, 이를 테면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에서 또는 쿠와논 G, 알바닌 G, 모루신,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에 대해 농축된 추출물에서 약 0.5 중량비 (wt%) 내지 약 5.0 wt%의 주요 활성 요소, 이를 테면 쿠와논 G, 알바닌 G, 모루신,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앞서 언급된 임의의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추출물 혼합물 (임의선택적으로 체중 관리 물질이 포함된)을 포함하고 이때 추출물중 하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요 활성 요소에 대해 농축된 구아주마 울미포리아(Guazuma ulmifolia) (무탐바(Mutamba)) 추출물이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구아주마 울미포리아(Guazuma ulmifolia) (무탐바(Mutamba)) 추출물은 프로시아니딘, 프로시아니딘 B2, 프로시아니딘 B5, 프로시아니딘 C1, 프로시아니딘 이합체들, 프로시아니딘 삼합체들, 프로시아니딘 사합체들, 프로시아니딘 오합체들, 프로시아니딘 육합체들, 응축된 탄닌, 카테친 또는 에피카테친의 올리고머, 에피카테친,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에 대해 농축된다. 추가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추출물 혼합물이 포함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제제는 구아주마 울미포리아(Guazuma ulmifolia) (무탐바(Mutamba)) 추출물내에 약 0.5 중량비 (wt%) 내지 약 50 wt%의 주요 활성 요소, 이를 테면 프로시아니딘, 프로시아니딘 B2, 프로시아니딘 B5, 프로시아니딘 C1, 프로시아니딘 이합체들, 프로시아니딘 삼합체들, 프로시아니딘 사합체들, 프로시아니딘 오합체들, 프로시아니딘 육합체들, 응축된 탄닌, 카테친 또는 에피카테친의 올리고머, 에피카테친,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앞서 언급된 임의의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추출물 혼합물을 포함하고 (임의선택적으로 체중 관리 물질이 포함된) 이때 추출물중 하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요 활성 요소, 이를 테면 마그놀롤, 호노키올, 또는 이 둘 모두, 또는 고순도 마그놀롤, 호노키올, 또는 이의 혼합물에 대해 농축된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이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은 최소한 약 90%, 91%, 92%, 93%. 94%, 또는 95% 순도의 순도를 갖는 매그놀리아(Magnolia) 식물 추출물로부터 단리된 이의 혼합물에 대하여 농축된 매그놀리아 오파시날리스(Magnolia officinalis) 추출물이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추출물 혼합물이 포함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제제는 매그놀리아 오파시날리스(Magnolia officinalis)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안에 약 5.0 중량비 (wt%) 내지 약 10 wt%의 주요 활성 요소, 이를 테면 마그놀롤, 호노키올, 이 둘 모두, 또는 이 둘 모두의 고순도 혼합물을 포함한다.
앞서 언급된 임의의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추출물 혼합물을 포함하고 (임의선택적으로 체중 관리 물질이 포함된) 이때 추출물중 하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요 활성 요소에 대해 농축된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이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은 카페인, 디카페오일퀴닌산, 또는 이둘 모두에 대해 농축된 아이렉스 파라구아엔시스(Ilex paraguayensis) 추출물이다. 추가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추출물 혼합물이 포함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제제는 아이렉스 파라구아엔시스(Ilex paraguayensis)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내에 약 0.5 중량비 (wt%) 내지 약 5.0 wt%의 주요 활성 요소 이를 테면 카페인, 디카페오일퀴닌산, 또는 이 둘 모두를 포함한다.
앞서 언급된 임의의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추출물 혼합물을 포함하고 (임의선택적으로 체중 관리 물질이 포함된) 이때 추출물중 하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요 활성 요소에 대해 농축된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이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은 카르노솔, 카르노신산, 우르솔릭산,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에 대해 농축된다. 추가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추출물 혼합물이 포함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제제는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안에 약 1.0 중량비 (wt%) 내지 약 10 wt%의 주요 활성 요소 이를 테면 카르노솔, 카르노신산, 우르솔릭산,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앞서 언급된 임의의 구체예에서, 모루스(Morus) 추출물,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그리고 아이렉스 파라구아엔시스(Ilex paraguayensis)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의 추출물 혼합물이 포함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제제(임의선택적으로 체중 관리 물질이 포함된)는 모루스(Morus) 추출물 내에 약 0.5 중량비 (wt%) 내지 약 5.0 wt%의 주요 활성 요소,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내에 약 5.0 중량비 (wt%) 내지 약 10 wt%의 주요 활성 요소, 그리고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내에 약 0.5 wt% 내지 약 5.0 wt%의 주요 활성 요소를 포함할 것이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제제는 모루스(Morus) 추출물 내에 약 1%의 주요 활성 요소 (이를 테면 쿠와논 G, 알바닌 G, 모루신,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내에 약 7%의 주요 활성 요소 (이를 테면 마그놀롤, 호노키올, 이 둘 모두, 또는 이 둘 모두의 고순도 혼합물), 그리고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내에 약 1%의 주요 활성 요소 (이를 테면 카페인, 디카페오일퀴닌산, 또는 이 둘 모두)를 포함한다. 앞서 언급된 임의의 구체예에서, 모루스(Morus) 추출물은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또는 쿠와논 G, 알바닌 G, 모루신,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에 대해 농축된 추출물이며, 그리고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은 매그놀리아 오파시날리스(Magnolia officinalis) 추출물이거나 또는 마그놀롤, 호노키올, 이 둘 모두에 대해 농축된 추출물이거나, 또는 이 둘 모두의 고순도 혼합물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조성물은 테블릿, 캡슐, 분말, 또는 과립으로 제형화된다.
앞서 언급된 임의의 구체예에서, 모루스(Morus) 추출물,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그리고 구아주마 울미포리아(Guazuma ulmifolia) (무탐바(Mutamba)) 추출물의 혼합물이 포함된(임의선택적으로 체중 관리 물질이 포함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제제는 모루스(Morus) 추출물 안에 약 0.5 중량비 (wt%) 내지 약 5.0 wt%의 주요 활성 요소,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안에 약 5.0 wt% 내지 약 10 wt%의 주요 활성 요소, 그리고 무탐바(Mutamba) 추출물 안에 약 0.5 wt% 내지 약 50 wt% 의 주요 활성 요소를 포함할 것이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제제는 모루스(Morus) 추출물내에 약 1% 의 주요 활성 요소 (이를 테면 쿠와논 G, 알바닌 G, 모루신,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내에 약 7% 의 주요 활성 요소 (이를 테면 마그놀롤, 호노키올, 이 둘 모두, 또는 이 둘 모두의 고순도 혼합물), 그리고 무탐바(Mutamba) 추출물 내에 약 1% 의 주요 활성 요소 (이를 테면 프로시아니딘, 프로시아니딘 B2, 프로시아니딘 B5, 프로시아니딘 C1, 프로시아니딘 이합체들, 프로시아니딘 삼합체들, 프로시아니딘 사합체들, 프로시아니딘 오합체들, 프로시아니딘 육합체들, 응축된탄닌, 카테친 또는 에피카테친의 올리고머, 에피카테친,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를 포함한다. 앞서 언급된 임의의 구체예에서, 모루스(Morus) 추출물은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또는 쿠와논 G, 알바닌 G, 모루신,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에 대해 농축된 추출물이며, 그리고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은 매그놀리아 오파시날리스(Magnolia officinalis) 추출물이거나 또는 마그놀롤, 호노키올, 이 둘 모두에 대해 농축된 추출물이거나, 또는 이 둘 모두의 고순도 혼합물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조성물은 테블릿, 캡슐, 분말, 또는 과립으로 제형화된다. 관련된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식욕억제 물질, 리파제 억제제,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 향정신성 물질, 인슐린 민감제, 흥분제, 포만감 물질,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식욕억제 물질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리파제 억제제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향정신성 물질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인슐린 민감제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흥분제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포만감 물질이다.
앞서 언급된 임의의 구체예에서, 모루스(Morus) 추출물,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그리고 아이렉스 파라구아엔시스(Ilex paraguayensis)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의 추출물 혼합물 (임의선택적으로 체중 관리 물질이 포함된)이 포함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제제는 모루스(Morus) 추출물 내에 약 0.5 중량비 (wt%) 내지 약 5.0 wt% 의 주요 활성 요소,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내에 약 1.0 wt% 내지 약 10 wt% 의 주요 활성 요소, 그리고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내에 약 0.5 wt% 내지 약 5.0 wt% 의 주요 활성 요소를 포함할 것이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제제는 모루스(Morus) 추출물내에 약 1% 의 주요 활성 요소 (이를 테면 쿠와논 G, 알바닌 G, 모루신,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내에 약 4.5% 의 주요 활성 요소 (이를 테면 카르노솔, 카르노신산, 우르솔릭산,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 그리고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내에 약 1% 의 주요 활성 요소 (이를 테면 카페인, 디카페오일퀴닌산, 또는 이 둘 모두)를 포함한다. 앞서 언급된 임의의 구체예에서, 모루스(Morus) 추출물은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또는 농축된 추출물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조성물은 테블릿, 캡슐, 분말, 또는 과립으로 제형화된다. 관련된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식욕억제 물질, 리파제 억제제,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 향정신성 물질, 인슐린 민감제, 흥분제, 포만감 물질,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식욕억제 물질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리파제 억제제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향정신성 물질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인슐린 민감제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흥분제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포만감 물질이다.
추가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바와 같이,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가 포함된 조성물(임의선택적으로 체중 관리 물질이 포함된)은 체중 증가를 치료 또는 예방하고 또는 비만, 체중 감소를 촉진시키고, 식욕 억제를 촉진시키고, 포만감을 변형시키고, 지방 흡수를 변형시키고, 체중 감소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대사를 증가시키고 또는 체중 증가를 막고, 체중을 유지시키고, 체지방 또는 지방 조직을 감소시키고, 근육 또는 제지방체중을 증가시키고, 간지방증을 감소시키고, 지방간을 개선시키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 NASH 수치를 개선시키고, 간에서 지방산 대사를 강화시키고, 건강한 지질 프로파일을 촉진시키고 (이를 테면, LDL 콜레스테롤를 낮추고, 총 콜레스테롤를 낮추고, 트리글리세리드를 낮추고, 또는 HDL을 증가시킴으로써), 포도당 대사를 촉진시키고, 공복 포도당 수준을 감소시키고, 건강한 포도당 수준을 유지시키고, 칼로리 섭취를 감소시키고, 칼로리 효율을 개선시키고, 음식 섭취를 감소시키고, 내장지방을 감소시키고, 손목 둘레를 감소시키고, 체질량 지수 (BMI)를 감소시키고, 에너지를 증가시키고, 정력을 증가시키고, 식이요법을 하면서 에너지 수준을 유지시키고, 열발생을 촉진시키고, 과다한 유체를 감소시키고, 정상적인 수화작용은 유지되면서 물 함유는 감소시키고, 근육량은 증가시키고, 지방-대-근육량 비율을 개선시키고, 신체 조성을 최적화 또는 개선시키고, 식욕 조절을 위하여 호르몬 균형을 최적화 또는 개선시키고, 정상 인슐린, 렙틴, 그렐린, PYY, GIP 또는 엔테로스태틴 수준 또는 기능을 유지시키고, 포만감 조절을 위하여 호르몬 균형을 최적화, 관리 또는 개선시키고, 건강한 CCK 펩티드, GLP-1, 봄베신, 또는 소마토스태틴 수준 또는 기능을 유지 또는 관리하고, 내장 기관의 건강한 세균총(flora)을 유지시키고, 소화를 최적화, 개선 또는 관리하고, 지방분해를 유도하고, 세포내 트리글리세리드 축적을 감소시키고, 지방 조직 또는 지방세포 안에서 지방 축적을 감소시키고, 건강한 아디포넥틴 수준을 유지시키고, 푸락토즈, 포도당 또는 이 둘 모두의 대사와 연관된 지질생성 또는 체중 증가를 관리 또는 감소시키고,과체중 또는 비만 포유류에 연관된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 또는 관리하고 (이를 테면, 반응성 산소종 또는 산화성 자유 라디칼을 감소시킴으로써; ORAC (Oxygen Radical Absorption Capacity) 값을 개선시킴으로써; 글루타티온, 수퍼옥시드 디스무타제, 카탈라아제, 페록시다아제 또는 내생성 항산화제의 건강한 수준을 유지시키고; 건강한 산화성 항성성을 유지시킴으로써), 과체중 또는 비만 포유류와 연합된 전신 염증을 조절 또는 관리하고 (이를 테면, 아라키돈산의 정상 대사를 촉진시킴으로써, 전-염증성 사이토킨의 정상 수준을 유지시킴으로써), 과체중 또는 비만 포유류와 연관된 기분 스트레스 또는 다른 정신적 장애를 관리하고,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위한 방법에 이용될 수 있다.
관련된 구체예에서, 다양한 체중-관련된 상태를 치료 또는 개선시키기 위한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는 체중 관리 물질은 식욕억제 물질, 리파제 억제제,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 향정신성 물질, 인슐린 민감제, 흥분제, 포만감 물질,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식욕억제 물질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리파제 억제제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향정신성 물질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인슐린 민감제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흥분제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포만감 물질이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부형제와 올리고머가 포함된 단리된 올리고머 또는 조성물 (이를 테면, 체중 관리 또는 체중 감소를 위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 입체이성질체 또는 호변체를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데, 이때 올리고머는 2개 내지 30개의 소단위를 포함하며, 이때 소단위는 각 경우에서 독립적으로 다음의 구조 (III)를 보유하고:
Figure 112014127413805-pct00063
이때 R1a 와 R1b는 각 경우에서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할로, 갈산 에스테르, 글리코시드, 설프히드릴, 아미노, 알데히드, C1-12 알킬, C1-12 알콕시, C1-12 알크티오, C1-12 알키아미노, 아릴, 헤테로아릴, 아랄킬, 알킬 카르보닐, 아랄킬카르보닐, 또는 인접 소단위에 직접 결합이며; R2는 각 경우에서 독립적으로 H 또는 인접 소단위에 에테르 결합이며; R3은 각 경우에서, 독립적으로 H 또는 인접 소단위에 직접 결합; R4는 각 경우에서, OH 또는 인접 소단위에 에테르 결합이며; 그리고 R5a, R5b, R5c, R5d 및 R5e는 각 경우에서,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할로, 갈산 에스테르, 글리코시드, 설프히드릴, 아미노, 알데히드, C1-12 알킬, C1-12 알콕시, C1-12 알크티오, C1-12 알키아미노, 아릴, 헤테로아릴, 아랄킬, 알킬 카르보닐 또는 아랄킬카르보닐이며, 이때 R1a, R1b, R2, R3 또는 R4중 최소한 한 개는 인접 소단위에 직접 결합 또는 에테르 결합이 된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구조 (III)에서 제시된 소단위를 가지고, 이때 R1a, R1b, R2, R3 또는 R4중 최소한 한 개는 인접한 소단위에 직접결합 또는 에테르 결합인 플라반-3-올의 올리고머는 이합체들, 삼합체들, 사합체들, 오합체들, 육합체들, 칠합체들, 팔합체들, 구합체들, 십합체들, 또는 최대 30개의 플라반-3-올 소단위이다(이러한 30-mer는 103 Da의 총 분자량을 보유할 것이다).
추가 구체예에서, 2개의 인접 소단위는 다음의 구조 (IIIa), (IIIb) 또는 (IIIc)중 하나를 보유할 수 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64
또는
Figure 112014127413805-pct00065
.
앞서 언급된 임의의 구체예에서, 각 R1a 및 R1b는 각 경우에서, H 또는 인접 소단위에 직접 결합이다. 추가 구체예에서, R5a는 각 경우에서 H이고, R5b는 각 경우에서 히드록실이며; 또는 R5a는 각 경우에서 히드록실이고, 그리고 R5b는 각 경우에서 H이다. 여전히 추가 구체예에서, 각 R5c, R5d 및 R5e는 각 경우에서, H이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구조 (IIIa),(IIIb) 또는 (IIIc)에서 제시한 바와 같은 소단위를 가진 플라반-3-올의 올리고머는 이합체들, 삼합체들, 사합체들, 오합체들, 육합체들, 칠합체들, 팔합체들, 구합체들, 십합체들, 또는 최대 30개의 플라반-3-올 소단위 (이러한 30-mer는 103 Da의 총 분자량을 보유할 것이다)이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부형제와 올리고머가 포함된 단리된 올리고머 또는 조성물 (이를 테면, 체중 관리 또는 체중 감소를 위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 입체이성질체 또는 호변체를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데, 이때 올리고머는 2개 내지 30개의 소단위를 포함하며, 이때 소단위는 각 경우에서 독립적으로 다음의 구조 (IIId)를 보유하고:
Figure 112014127413805-pct00066
(IIId)
이때 R1a 및 R1b는 각 경우에서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할로, 갈산 에스테르, 글리코시드, 설프히드릴, 아미노, 알데히드, C1-12 알킬, C1-12 알콕시, C1-12 알크티오, C1-12 알키아미노, 아릴, 헤테로아릴, 아랄킬, 알킬 카르보닐, 아랄킬카르보닐, 또는 인접 소단위에 직접 결합이며; 그리고 R5a, R5b, R5c, R5d 및 R5e는 각 경우에서,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할로, 갈산 에스테르, 글리코시드, 설프히드릴, 아미노, 알데히드, C1-12 알킬, C1-12 알콕시, C1-12 알크티오, C1-12 알키아미노, 아릴, 헤테로아릴, 아랄킬, 알킬 카르보닐 또는 아랄킬카르보닐이며, 이때 R1a, R1b, 위치 2, 또는 위치 4중 최소한 하나는 인접 소단위에 직접 결합 또는 에테르 결합이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구조 (IIId)에서 제시된 소단위를 가지고, 이때 R1a, R1b, 위치 2, 또는 위치 4중 최소한 하나는 인접 소단위에 직접 결합 또는 에테르 결합인 플라반-3-올의 올리고머는 이합체들, 삼합체들, 사합체들, 오합체들, 육합체들, 칠합체들, 팔합체들, 구합체들, 십합체들, 또는 최대 30개의 플라반-3-올 소단위이다 (이러한 30-mer는 103 Da의 총 분자량을 보유할 것이다).
추가 구체예에서, 2개의 인접 소단위는 다음의 구조 (IIIe), (IIIf) 또는 (IIIg)중 하나를 보유할 수 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67
또는
Figure 112014127413805-pct00068
.
구조 (IIIe)와 (IIIf)는 예시적인 B-유형 연쇄(linkages)이며, 구조 (IIIg)는 A-유형 연쇄의 실례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구조 (IIIe)는 4→8 연쇄이며, 이때 R1a, R3 또는 이 둘 모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접 소단위 최대 총 30개의 소단위에 직접 결합 또는 에테르 결합으로 이용가능하며, 그리고 구조 (IIIe)는 4→6 연쇄이며, 이때 R3, R4 또는 이 둘 모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접 소단위 최대 총 30개의 소단위에 직접 결합 또는 에테르 결합으로 이용가능하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 명세서는 앞서 언급된 플라반-3-올의 올리고머 그리고 최소한 한 가지 다른 체중 관리 물질, 이를 테면 식욕억제 물질, 리파제 억제제,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 향정신성 물질, 인슐린 민감제, 흥분제, 또는 포만감 물질중 임의의 것이 포함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 구체예에서, 식욕억제 물질은 시부트라민, 디에틸프로피온, 벤즈페타민, 펜디메트라진, 또는 카테콜아민이다. 여전히 추가 구체예에서, 리파제 억제제는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카르노신산, 카르노솔, 리포스태틴, 테트라히드로리포스태틴, 푸니카 그라나튬(Punica granatum) 과피 추출물, 마르찬티아 폴리모르파(Marchantia polymorpha) 전체 식물 추출물, 파낙스 하포니카스(Panax japonicas) 추출물 또는 플라시코디 라딕스(Platycodi radix) 추출물이다. 여전히 추가 구체예에서,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는 대마초제제 수용체 항진제, 길항제, 또는 역 항진제이며, 이들은 대마초제제 수용체 1 (CB1), 대마초제제 수용체 2 (CB2), 또는 CB1와 CB2 둘 모두 다 특이적일 수 있다 (이를 테면, 대마초제제 수용체 1 (CB1) 길항제 또는 역 항진제). 추가 구체예에서,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는 리모나반트, N-(피페리딘-1-일)-5-(4-요오드페닐)-1-(2,4-디클로로페닐)-4-메틸-1H-피라졸-3-카르복사미드 (AM 251), 1-(2,4-디클로로페닐)-5-(4-요오드페닐)-4-메틸-N-4-몰포리닐-1H-피라졸-3-카르복사미드 (AM281), 4-[6-메톡시-2-(4-메톡시페닐)1-벤조퓨란-3-카르보닐]벤조니트릴 (LY 320135), 모루스(Morus) 추출물, 식물(이를 테면,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밀리시아 엑셀사(Milicia excelsa) 추출물로부터 단리된 또는 이에 함유된, 또는 알바닌 G, 쿠와논 G, 쿠와논 M, 캐타야논 A, 모루신, 모루시놀, 상게논 C, 상게논 D, 상게논 O 또는 이의 조합이다)로부터 칼콘과 프레닐페닐의 Diels-Alder 부가물 모이어티,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마그놀롤, 호노키올, 마그놀롤 그리고 호노키올, 퓨리놀, 또는 피페르 롱검(Piper Longum) 씨 추출물이다. 여전히 추가 구체예에서, 향정신성 물질은 기분 안정화제, 항울제, 또는 항경련제다. 한층 더 구체예에서, 인슐린 민감제는 티아졸리딘디온 (이를 테면, 로시글리타존, 피오글리타존), 비구아니드 (이를 테면, 메트포르민), 또는 선택적 mTOT 조절제이다. 여전히 추가 구체예에서, 흥분제는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카페인, 녹차 추출물, 그린 커피콩 추출물, 콜라 나무 열매 추출물, 시투르스 오란티움(Citrus aurantium) 열매 추출물, 가시니아(Gacinia) 추출물, 아레카 카테츄(Areca catechu) 열매/씨 추출물 또는 덱스트로암페타민이다. 추가 구체예에서, 포만감 물질은 도데카논산, 글리세릴 도데카노에이트, 글리세릴 1,3-디도데카노에이트, 글리세릴 트리도데카노에이트 그리고 이의 유도체들과 혼합물들, 또는 후디아(hoodia) 추출물, 잣 추출물, 또는 섬유 보충제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조성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플라반-3-올의 올리고머가 포함된 또는 농축된 무탐바(Mutamba) 추출물,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최소한 한 가지 Diels-Alder 부가물이 포함된 또는 농축된 모루스(Morus) 추출물, 그리고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을 포함하는데, 이 추출물들은 각각 5:2:1 중량비 내지 10:2:1 중량비로 혼합되거나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임의의 구체예에서, 모루스(Morus) 추출물은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또는 쿠와논 G, 알바닌 G, 모루신,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에 대해 농축된 추출물이며, 그리고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은 매그놀리아 오파시날리스(Magnolia officinalis) 추출물이거나 또는 마그놀롤, 호노키올, 이 둘 모두에 대해 농축된 추출물이거나, 또는 이 둘 모두의 고순도 혼합물이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조성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플라반-3-올의 올리고머가 함유된 또는 농축된 무탐바(Mutamba) 추출물,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그리고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을 포함하며, 이 추출물들은 각각 2:1:2 중량비 내지 1:1:1 중량비로 혼합되거나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여전히 추가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플라반-3-올의 올리고머 또는 이러한 플라반-3-올의 올리고머 화합물의 조성물 (임의선택적으로 체중 관리 물질이 포함된)은 체중 증가를 치료 또는 예방하고 또는 비만, 체중 감소를 촉진시키고, 식욕 억제, 포만감을 변형시키고, 지방 흡수를 변형시키고, 체중 감소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대사를 증가시키고 또는 체중 증가를 막고, 체중을 유지시키고, 체지방 또는 지방 조직을 감소시키고, 근육 또는 제지방체중을 증가시키고, 간지방증을 감소시키고, 지방간을 개선시키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 NASH 수치를 개선시키고, 간에서 지방산 대사를 강화시키고, 건강한 지질 프로파일을 촉진시키고 (이를 테면, LDL 콜레스테롤를 낮추고, 총 콜레스테롤를 낮추고, 트리글리세리드를 낮추고, 또는 HDL을 증가시킴으로써), 포도당 대사를 촉진시키고, 공복 포도당 수준을 감소시키고, 건강한 포도당 수준을 유지시키고, 칼로리 섭취를 감소시키고, 칼로리 효율을 개선시키고, 음식 섭취를 감소시키고, 내장지방을 감소시키고, 손목 둘레를 감소시키고, 체질량 지수 (BMI)를 감소시키고, 에너지를 증가시키고, 정력을 증가시키고, 식이요법하면서 에너지 수준을 유지시키고, 열발생을 촉진시키고 과다한 유체를 감소시키고, 정상적인 수화작용은 유지되면서 물 함유는 감소시키고, 근육량은 증가시키고, 지방-대-근육량 비율을 개선시키고, 신체 조성을 최적화 또는 개선시키고, 식욕 조절을 위하여 호르몬 균형을 최적화 또는 개선시키고, 정상 인슐린, 렙틴, 그렐린, PYY, GIP 또는 엔테로스태틴 수준 또는 기능을 유지시키고, 포만감 조절을 위하여 호르몬 균형을 최적화, 관리 또는 개선시키고, 건강한 CCK 펩티드, GLP-1, 봄베신, 또는 소마토스태틴 수준 또는 기능을 유지 또는 관리하고, 내장 기관의 건강한 세균총을 유지시키고, 소화를 최적화, 개선 또는 관리하고, 지방분해를 유도하고, 세포내 트리글리세리드 축적을 감소시키고, 지방 조직 또는 지방세포 안에서 지방 축적을 감소시키고, 건강한 아디포넥틴 수준을 유지시키고, 푸락토즈, 포도당 또는 이 둘 모두의 대사와 연관된 지질생성 또는 체중 증가를 관리 또는 감소시키고,과체중 또는 비만인 포유류에 연관된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 또는 관리하고 (이를 테면, 반응성 산소종 또는 산화성 자유 라디칼을 감소시킴으로써; ORAC (Oxygen Radical Absorption Capacity) 값을 개선시키고, 글루타티온, 수퍼옥시드 디스무타제, 카탈라아제, 페록시다아제 또는 내생성 항산화제의 건강한 수준을 유지시키고; 건강한 산화성 항성성을 유지시킴으로써), 과체중 또는 비만 포유류와 연합된 전신 염증을 조절 또는 관리하고 (이를 테면, 아라키돈산의 정상 대사를 촉진시킴으로써, 전-염증성 사이토킨의 정상 수준을 유지시킴으로써), 과체중 또는 비만 포유류와 연관된 기분 스트레스 또는 다른 정신적 장애를 관리하고,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위한 방법에 이용될 수 있다.
관련된 구체예에서, 다양한 체중-관련된 상태를 치료 또는 개선시키기 위한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는 체중 관리 물질은 식욕억제 물질, 리파제 억제제,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 향정신성 물질, 인슐린 민감제, 흥분제, 포만감 물질,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식욕억제 물질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리파제 억제제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대마초제제 수용체 조절제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향정신성 물질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인슐린 민감제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흥분제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체중 관리 물질은 포만감 물질이다.
용도 구체예의 앞서 언급된 방법중 임의의 것에서, 추출물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임의선택적으로 체중 관리 물질이 포함된)은 약학적으로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서 수용가능한 운반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와 함께 제형화될 수 있다. 추가 구체예에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제제는 추출물 혼합물 안에 주요 활성 성분이 약 0.5 중량비 (wt%) 내지 약 90 wt%, 약 0.5 wt% 내지 약 80 wt%, 약 0.5 wt% 내지 약 75 wt%, 약 0.5 wt% 내지 약 70 wt%, 약 0.5 wt% 내지 약 50 wt%, 약 1.0 wt% 내지 약 40 wt%, 약 1.0 wt% 내지 약 20 wt%, 약 1.0 wt% 내지 약 10 wt%, 약 3.0 wt% 내지 약 9.0 wt%, 약 5.0 wt% 내지 약 10 wt%, 약 3.0 wt% 내지 약 6.5 wt%, 또는 이와 유사하게 포함된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조성물은 테블릿, 캡슐, 분말, 또는 과립으로 제형화된다.
용도 구체예의 앞서 언급된 방법중 임의의 것에서, 조성물은 추출물 혼합물을 포함하고 (임의선택적으로 체중 관리 물질이 포함되고) 이때 추출물중 하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요 활성 요소가 농축된 모루스(Morus) 추출물이다. 추가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추출물 혼합물이 포함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제제는 모루스(Morus) 추출물 안에 약 0.5 중량비 (wt%) 내지 약 5.0 wt%의 주요 활성 요소, 예를 들면, 쿠와논 G, 알바닌 G, 모루신,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이들 특정 구체예에서, 모루스(Morus) 추출물은 쿠와논 G, 알바닌 G, 모루신,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에 대해 농축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이다.
용도 구체예의 앞서 언급된 방법중 임의의 것에서, 조성물은 추출물 혼합물을 포함하고(임의선택적으로 체중 관리 물질이 포함된), 이때 추출물중 하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요 활성 요소가 농축된 구아주마 울미포리아(Guazuma ulmifolia) (무탐바(Mutamba)) 추출물이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구아주마 울미포리아(Guazuma ulmifolia) (무탐바(Mutamba)) 추출물은 프로시아니딘 프로시아니딘 B2, 프로시아니딘 B5, 프로시아니딘 C1, 프로시아니딘 이합체들, 프로시아니딘 삼합체들, 프로시아니딘 사합체들, 프로시아니딘 오합체들, 프로시아니딘 육합체들, 응축된탄닌, 카테친 또는 에피카테친의 올리고머, 에피카테친,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에 대해 농축된다. 추가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추출물 혼합물이 포함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제제는 구아주마 울미포리아(Guazuma ulmifolia) (Mutamba) 추출물 내에 약 0.5 중량비 (wt%) 내지 약 50 wt% 의 주요 활성 요소, 이를 테면 프로시아니딘 프로시아니딘 B2, 프로시아니딘 B5, 프로시아니딘 C1, 프로시아니딘 이합체들, 프로시아니딘 삼합체들, 프로시아니딘 사합체들, 프로시아니딘 오합체들, 프로시아니딘 육합체들, 응축된탄닌, 카테친 또는 에피카테친의 올리고머, 에피카테친,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용도 구체예의 앞서 언급된 방법중 임의의 것에서, 조성물은 추출물 혼합물을 포함하고 (임의선택적으로 체중 관리 물질이 포함된) 이때 추출물중 하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요 활성 요소에 대해 농축된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이다. 추가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추출물 혼합물이 포함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제제는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내에 약 5.0 중량비 (wt%) 내지 약 10 wt% 의 주요 활성 요소를 포함하는데, 이를 테면 마그놀롤, 호노키올, 이 둘 모두, 또는 이 둘 모두의 고순도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들 특정 구체예에서,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은 최소한 90%, 91%, 92%, 93%. 94%, 또는 95% 순도를 보유하는 매그놀리아 오파시날리스(Magnolia officinalis) 식물 추출물로부터 단리된 마그놀롤, 호노키올, 또는 이 둘 모두, 또는 고순도 마그놀롤, 호노키올, 또는 이의 혼합물에 대해 농축된 매그놀리아 오파시날리스(Magnolia officinalis) 추출물이다.
용도 구체예의 앞서 언급된 방법중 임의의 것에서, 조성물은 추출물 혼합물을 포함하고 (임의선택적으로 체중 관리 물질이 포함된) 이때 추출물중 하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요 활성 요소에 대해 농축된 아이렉스 파라구아엔시스(Ilex paraguayensis)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이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아이렉스 파라구아엔시스(Ilex paraguayensis)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은 카페인, 디카페오일퀴닌산, 또는 이 둘 모두에 대해 농축된다. 추가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추출물 혼합물이 포함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제제는 아이렉스 파라구아엔시스(Ilex paraguayensis)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내에 약 0.5 중량비 (wt%) 내지 약 5.0 wt%의 주요 활성 요소 이를 테면 카페인, 디카페오일퀴닌산, 또는 이 둘 모두를 포함한다.
용도 구체예의 앞서 언급된 방법중 임의의 것에서, 조성물은 추출물 혼합물을 포함하고 (임의선택적으로 체중 관리 물질이 포함된) 이때 추출물중 하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요 활성 요소에 대해 농축된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이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은 카르노솔, 카르노신산, 우르솔릭산,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에 대해 농축된다. 추가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추출물 혼합물이 포함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제제는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내에 약 1.0 중량비 (wt%) 내지 약 10 wt%의 주요 활성 요소 , 이를 테면 카르노솔, 카르노신산, 우르솔릭산,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용도 구체예의 앞서 언급된 방법중 임의의 것에서, 모루스(Morus) 추출물,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그리고 아이렉스 파라구아엔시스(Ilex paraguayensis)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의 추출물 혼합물이 포함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제제 (임의선택적으로 체중 관리 물질이 포함된)는 모루스(Morus) 추출물 안에 약 0.5 중량비 (wt%) 내지 약 5.0 wt% 의 주요 활성 요소,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안에 약 5.0 wt% 내지 약 10 wt% 의 주요 활성 요소 그리고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안에 약 0.5 wt% 내지 약 5.0 wt% 의 주요 활성 요소를 포함할 것이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제제는 모루스(Morus) 추출물 내에 약 1%의 주요 활성 요소 (이를 테면 쿠와논 G, 알바닌 G, 모루신,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내에 약 7%의 주요 활성 요소 (이를 테면 마그놀롤, 호노키올, 이 둘 모두, 또는 이 둘 모두의 고순도 혼합물), 그리고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내에 약 1%의 주요 활성 요소 (이를 테면 카페인, 디카페오일퀴닌산, 또는 이 둘 모두)를 포함한다. 앞서 언급된 임의의 구체예에서, 모루스(Morus) 추출물은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또는 쿠와논 G, 알바닌 G, 모루신,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에 대해 농축된 추출물이며, 그리고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은 매그놀리아 오파시날리스(Magnolia officinalis) 추출물이거나 또는 마그놀롤, 호노키올, 이 둘 모두에 대해 농축된 추출물이거나, 또는 이 둘 모두의 고순도 혼합물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조성물은 테블릿, 캡슐, 분말, 또는 과립으로 제형화된다.
용도 구체예의 앞서 언급된 방법중 임의의 것에서, 모루스(Morus) 추출물,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그리고 구아주마 울미포리아(Guazuma ulmifolia)(무탐바(Mutamba)) 추출물의 추출물 혼합물이 포함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제제(임의선택적으로 체중 관리 물질이 포함된)는 모루스(Morus) 추출물 안에 약 0.5 중량비 (wt%) 내지 약 5.0 wt% 의 주요 활성 요소 ,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안에 약 5.0 wt% 내지 약 10 wt% 의 주요 활성 요소 그리고 무탐바(Mutamba) 추출물 안에 약 0.5 wt% 내지 약 50 wt% 의 주요 활성 요소를 포함할 것이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제제는 모루스(Morus) 추출물 안에 약 1% 의 주요 활성 요소 (이를 테면 쿠와논 G, 알바닌 G, 모루신,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안에 약 7% 의 주요 활성 요소 (이를 테면 마그놀롤, 호노키올, 이 둘 모두, 또는 이 둘 모두의 고순도 혼합물), 그리고 무탐바(Mutamba) 추출물 안에 약 1% 의 주요 활성 요소 (이를 테면 프로시아니딘 프로시아니딘 B2, 프로시아니딘 B5, 프로시아니딘 C1, 프로시아니딘 이합체들, 프로시아니딘 삼합체들, 프로시아니딘 사합체들, 프로시아니딘 오합체들, 프로시아니딘 육합체들, 응축된 탄닌, 카테친 또는 에피카테친의 올리고머, 에피카테친,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를 포함한다. 앞서 언급된 임의의 구체예에서, 모루스(Morus) 추출물은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또는 쿠와논 G, 알바닌 G, 모루신,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에 대해 농축된 추출물이며, 그리고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은 매그놀리아 오파시날리스(Magnolia officinalis) 추출물이거나 또는 마그놀롤, 호노키올, 이 둘 모두에 대해 농축된 추출물이거나, 또는 이 둘 모두의 고순도 혼합물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조성물은 테블릿, 캡슐, 분말, 또는 과립으로 제형화된다.
용도 관련 구체예의 앞서 언급된 방법중 임의의 것에서, 모루스(Morus) 추출물,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그리고 아이렉스 파라구아엔시스(Ilex paraguayensis)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의 추출물 혼합물 (임의선택적으로 체중 관리 물질이 포함된)이 포함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제제는 모루스(Morus) 추출물 안에 약 0.5 중량비 (wt%) 내지 약 5.0 wt% 의 주요 활성 요소,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안에 약 1.0 wt% 내지 약 10 wt% 의 주요 활성 요소 그리고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안에 약 0.5 wt% 내지 약 5.0 wt% 의 주요 활성 요소를 포함할 것이다. 특정 구체예들에 있어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제제는 모루스(Morus) 추출물내에 약 1% 의 주요 활성 요소 (이를 테면 쿠와논 G, 알바닌 G, 모루신,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내에 약 4.5% 의 주요 활성 요소 (이를 테면 카르노솔, 카르노신산, 우르솔릭산,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 그리고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내에 약 1% 의 주요 활성 요소 (이를 테면 카페인, 디카페오일퀴닌산, 또는 이 둘 모두)를 포함한다. 앞서 언급된 임의의 구체예에서, 모루스(Morus) 추출물은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또는 쿠와논 G, 알바닌 G, 모루신,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에 대해 농축된 추출물이며, 그리고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은 매그놀리아 오파시날리스(Magnolia officinalis) 추출물이거나 또는 마그놀롤, 호노키올, 이 둘 모두에 대해 농축된 추출물이거나, 또는 이 둘 모두의 고순도 혼합물이다. 임의의 이들 구체예에서, 약학 또는 기능식품적 조성물은 테블릿, 캡슐, 분말, 또는 과립으로 제형화된다.
실시예
실시예 1
모루스 알바(MORUS ALBA)로부터 유기 및 수성 추출물의 준비
모루스 알바(Morus alba) L. 뿌리 껍질로부터 식물 재료는 2 밀리미터 (mm)보다 길지 않는 입자 크기로 빻았다. 그 다음 건조된 빻은 식물 재료 (60 grams (g))는 Erlenmeyer 플라스크로 옮겨지고, 메탄올:디클로로메탄 (1:1 용적 비율) (600 밀리리터 (mL))이 추가되었다. 혼합물은 한 시간 동안 교반되었고, 여과되었고, 그리고 생물집단(biomass)은 메탄올:디클로로메탄 (1:1 용적 비율) (600 mL)을 이용하여 다시 추출되었다. 이들 유기 추출물은 복합되었고, 진공하에서 증발되어 3.55 g의 유기 추출물 (OE)이 제공되었다. 유기 추출후, 생물집단은 대기 건조되었고, 초고순도의 물 (600 mL)을 이용하여 다시 추출되었다. 수성 용액은 여과되었고, 동결-건조되어 4.44 g의 수성 추출물 (AE)이 제공되었다.
동일한 과정을 이용하여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유기 용매를 메탄올 또는 에탄올로 대체하면 각각 메탄올 추출물 (ME) 또는 에탄올 추출물 (EE)을 얻는다. 다른 종과 식물의 일부분 및 해양 시료도 동일한 이 과정을 이용하여 추출되었다.
실시예 2
식물 추출물에 의한 CB1 결합 활성
카나비노이드 검색, 선별검사 수용체 결합 분석은 CB1 길항제 화합물들을 확인하기 위하여 1차 스크리닝 방법으로 이용되었다. 이 분석은 Reggio et al., J. Med. Chem. 41:5177, 1998 (CB1 수용체 분석) 그리고 Munro et al., Nature 365:61, 1993 (CB2 수용체 분석)에 의해 개조된 방법들을 이용하여 실행되었다.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Chem-1 막에 결합된 인간 대마초제제 수용체 단백질은 변형된 HEPES (pH 7.4) 완충액에서 이용되었다. 10 마이크로그램(μg) 분량의 Chem-1 막, 방사능 라벨된 [3H] CB1-리간드 SR141716A (2 나노몰 (nM)) (CB1 수용체 길항제) 그리고 테스트 추출물들 또는 양성 대조 R(+)-WIN-55,212-2 (10 μM) (CB1 수용체 항진제)는 항온처리 완충액 (50 mM HEPES (pH 7.4), 5 mM MgCl2, 1 mM CaCl2, 0.2% BSA)에서 37℃에서 90분동안 항온처리되었다. 항온처리 후, 막들은 여과되었고, 4차례 세척되었으며, 그 다음 CB1-막에 특이적으로 결합된 [3H] WIN-55,212-2의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필터는 카운트되었다.
표 1은 모루스 알바(Morus alba) 식물의 상이한 부분들: 뿌리 껍질, 열매, 잎, 줄기 껍질 그리고 줄기로부터 획득된 OE 및 AEs로부터 CB1 결합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CB1-리간드 결합 활성의 최대 저해는 뿌리 껍질로부터 얻은 OE에서 볼 수 있었는데, 100 μg/mL의 테스트 농도에서는 91% 저해 그리고 10 μg/mL의 테스트 농도에서는 82% 저해가 있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69
이들 데이터는 모루스 알바(Morus alba) 뿌리 껍질의 유기 추출물은 인간 CB1 수용체 단백질에 라벨된 CB1-리간드의 결합을 차단하는 성분이 적당하게(moderately) 높은 수준으로 포함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대조적으로, 이 실험에서 테스트된 다른 모루스 알바(Morus alba) 식물 조직 (열매, 잎, 줄기 껍질, 그리고 줄기)에서 모두 CB1 수용체에 대한 CB1-리간드 결합 저해 수준은 감지불가능하였다.
CB1 결합 분석에서 표 2에서 열거된 다른 식물 종으로부터 저해가 또한 탐지되었다. 이들 뽕나무과(Moraceae)와 다콩과(Fabaceae)) 식물 안에 공통적인 화학 성분은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Diels-Alder 부가물이다.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Diels-Alder 부가물의 존재는 상이한 식물 조직, 이를 테면 뿌리, 줄기, 근경 또는 전체 식물에서 탐지가능하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70
실시예 3
활성 식물 추출물의 대량 정제(HTP)
실시예 1에서 획득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뿌리 껍질추출물로부터 유기 추출 재료 (400 mg)는 사전 충전된 (2 cm ID x 8.2 cm, 10 g 실리카 겔) 컬럼 상에 적하되었다. 그 다음 Hitachi® High Throughput Purification (HTP) 시스템에서 분당 5 mL의 유속에서 30분간 (A) EtOAc:헥산의 50:50 용적 비율과 (B) 100% A 내지 100% B의 메탄올의 그라디언트 이동상을 이용하여 컬럼이 용리되었다. 광대역 파장 UV 탐지기를 이용하여 분리는 감시되었으며, 그리고 Gilson 분획 수집기를 이용하여 웰당 1.9 mL으로 96-딥-웰에 분획물이 수집되었다. 시료 플레이트는 낮은 진공하에서 건조되고, 원심분리되고, 그 다음 시료는 웰당 1.5 mL 디메틸 술폭시드 (DMSO)에 용해되었다. 일부분 (100 μL)을 취하여, CB1 저해 분석을 위하여 복합하였다(UV 추적에 근거하여). 유의적인 CB1 결합 활성을 보유하는 컬럼 분획들은 추가 테스트를 위하여 유지되었다.
실시예 4
모루스 알바(MORUS ALBA)로부터 복합된 HTP 분획에 의한 CB1 활성의 저해
실시예 3의 모루스 알바(Morus alba) 뿌리 껍질의 유기 추출물은 라벨된 CB1-리간드에 의한 CB1 결합 활성 저해에 대하여 복합된 HTP 분획물을 검사함으로써 더 조사되었다. 복합된 HTP 분획물의 활성 프로파일은 분획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유기 추출물내 한 가지 이상의 성분이 CB1-리간드 결합 활성의 저해에 기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표 3은 모루스 알바(Morus alba) 뿌리 껍질추출물의 복합된 HTP 분획물로부터 CB1 결합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71
실시예 5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로부터 CB1-결합 저해제들의 단리, 정제 및 확인
실시예 1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획득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의 뿌리 껍질로부터 추출된 유기 추출물 (11 g)은 나뉘어져 별개의 2개 사전-충전된 섬광 컬럼 (120 g 실리카, 입자 크기 32-60 μm, 4 cm x 19 cm) 상에 적하되었고, 그 다음 분당 20 mL의 유속에서 헥산, EtOAc 그리고 메탄올 (이동상으로써)로 용리되었다. 그라디언트는 5분간 95% 헥산/EtOAC로 시작되고, 그 다음 25 분간 동안 5%에서 100%로 EtOAC의 양을 증가시켰고, 그 다음 추가 5분 동안 100% EtOAc에서 유지되었고, 그 다음 15 분 동안 0%에서 50% MeOH/EtOAC로 MeOH를 증가시키고, 끝으로 용리 용액은 100% MeOH로 교환되고, 또다른 16분 동안 컬럼이 용리되었다. 총 운용 시간은 66 분이었으며, 그리고 88 개의 분획물이 각 컬럼에서 생성되었다. 실리카 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에 의해 분획물이 분석되었고, 그리고 8개 컬럼 용리액 모둠을 만들기 위하여 함께 모았다. 8개 용리액 모둠 각각은 실시예 2에서 기술된 CB1 결합 분석을 이용하여 테스트되었다. 얻어진 CB1 결합 분석 데이터는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72
이들 데이터는 CB1-리간드 결합 저해의 최대 수준은 20 μg/mL의 농도에서 CB1 결합 분석에서 테스트될 때 모둠 4 (1.4 g의 재료를 포함)와 모둠 5 (1.7 g의 재료)에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과적인 최대 활성 모둠 (300 mg의 재료가 포함된)은 22개 분획 모둠(pool)을 획득하기 위하여 20 mL의 유속에서 60분에 걸쳐 물(A)과 메탄올(B)의 그라디언트 이동상으로 예비 C18 컬럼 (30 cm x 250 cm) 상에서 분획되었다. 질량 분석 (MS) 분석에서 재료들의 모아진 분획은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3가지 관련 화합물을 포함하며, 이들 모두는 실시예 2에서 설명된 CB1-결합 분석에서 저해 활성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합물 1 (28.2 mg)은 고해상 전자 분사 이온화 질량 분광학(High Resolution Electron Spray Ionization Mass Spectroscopy)(HRESIMS)에 의해 쿠와논 G으로 불리는, 또한 모라세닌 B 또는 알바닌 F로 불리는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Diels-Alder 부가물로 확인되었다 (m/z) [M+H]- = 693.2329; UV λmax (MeOH): 265, 320 nm; 1H NMR (600 MHz, DMSO-d 6, 100℃) δ ppm 1.44 (s, 3 H) 1.52 (br. s., 3 H) 1.58 (s, 3 H) 1.92 (m, 2 H) 3.08 (d, 3 H) 3.56 (m, 2 H) 4.29 (d, J=10.02 Hz, 1 H) 4.48 (m, 1 H) 5.07 (m, 1 H) 5.14 (br. s, 1 H) 5.93 (s, 2 H) 5.96 (dd, J=8.35, 2.23 Hz, 1 H) 6.02 (br s, 1 H) 6.11 (d, J=2.23 Hz, 1 H) 6.41 (dd, J=8.35, 2.23 Hz, 1 H) 6.51 (s, 1 H) 6.60 (m, 1 H) 7.13 (d, J=8.35 Hz, 1 H) 7.28 (br s, 1 H); 13C NMR (126 MHz, 메탄올-d 4) δ ppm 16.35 (1 C) 21.78 (1 C) 23.35 (1 C) 24.53 (1 C) 37.72 (1 C) 97.14 (1 C) 101.57 (1 C) 102.22 (1 C) 102.33 (1 C) 104.28 (1 C) 106.55 (2 C) 107.00 (1 C) 107.21 (1 C) 112.37 (1 C) 114.47 (1 C) 120.27 (1 C) 121.62 (2 C) 123.27 (1 C) 131.05 (1 C) 131.35 (2 C) 132.62 (1 C) 132.99 (1 C) 155.16 (1 C) 155.56 (1 C) 156.38 (1 C) 159.66 (1 C) 160.39 (2 C) 161.13 (1 C) 161.88 (1 C) 164.51 (1 C) 164.63 (1 C) 182.46 (1 C) 208.68 (1 C).
Figure 112014127413805-pct00073
쿠와논 G
화합물 2 (10.5 mg)는 HRESIMS에 의해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또다른 Diels-Alder 부가물인 쿠와논 H 또는 모라세닌 A로 또한 알려진 알바닌 G로 확인되었다 (m/z) [M-H]- = 759; UV λmax (MeOH): 265, 320 nm; 13C NMR (126 MHz, 메탄올-d 4) ppm 16.35 (1 C) 16.47 (1 C) 20.96 (1 C) 21.79 (1 C) 23.32 (1 C) 24.51 (1 C) 24.53 (1 C) 33.74 (1 C) 35.61 (1 C) 36.81 (1 C) 37.77 (1 C) 97.19 (1 C) 102.27 (1 C) 102.33 (1 C) 104.24 (1 C) 106.07 (1 C) 106.53 (2 C) 107.34 (1 C) 112.37 (1 C) 113.94 (1 C) 114.35 (1 C) 120.17 (1 C) 121.60 (2 C) 122.31 (2 C) 123.25 (1 C) 130.21 (2C) 131.33 (2 C) 132.96 (1 C) 156.37 (3 C) 157.07 (1 C) 159.59 (1 C) 160.37 (1 C) 161.23 (1 C) 161.77 (1 C) 161.96 (1 C) 162.21 (1 C) 182.45 (1 C) 208.82 (1 C).
Figure 112014127413805-pct00074
알바닌 G
실시예 6
모루스 알바(MORUS ALBA)로부터 정제된 쿠와논 G 와 알바닌 G에 의한 CB1, CB2 그리고 α-글루코시다아제의 저해
실시예 2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CB1 결합 분석은 실시예 5에서 단리되고 확인된 쿠와논 G 그리고 알바닌 G 를 테스트하는데 이용되었다. 각 화합물에 대한 약량-반응 곡선을 획득하기 위하여 쿠와논 G 알바닌 G 화합물은 0.04 μg/mL 내지 20 μg/mL 범위의 농도에서 테스트되었다. 시료 농도는 저해 비율에 대해 플롯되고, 결합 활성의 50% 저해가 획득되는 IC50(대조와 비교하여 결합 활성의 50%가 획득되는 농도)가 결정되었다. 각 화합물에 대한 CD1 분석 데이터는 표 5에 나타낸다.
순수분리된 쿠와논 G 및 알바닌 G 화합물의 CB2 수용체-리간드 결합 활성의 저해는 CB1 수용체에 대하여 실시예 2에서 기술된 것에 약간의 변형이 더해진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또한 검사되었다.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CHO-K1 세포에서 발현된 인간 대마초제제 CB2 수용체 단백질은 변형된 HEPES 완충액 (pH 7.0)에서 이용되었다. 30 μg 분량의 CB2-막은 삼중수소 라벨된 비특이적 CB1 항진제 [3H] WIN-55,212-2 (2.4 nM)와 혼합되고, 그리고 쿠와논 G 및 알바닌 G 화합물의 테스트 시료, 또는 단지 비-특이적 리간드 R (+)-WIN-55,212-2 (10 μM) (양성 대조)는 37℃에서 90분간 항온처리 완충액 (20 mM HEPES (pH 7.0), 0.5 mg/ml BSA)에서 항온처리되었다. 항온처리 후, 막은 여과되고, 세척되었고, 그 다음 CB2-막에 특이적으로 결합된 방사능라벨된 [3H] WIN-55,212-2의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필터는 카운트되었다. 각 화합물에 대한 CB2 분석 데이터는 표 5에 나타낸다.
각 순수분리된 쿠와논 G 및 알바닌 G 화합물에 의한 쌀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 저해는 다음과 같이 측정되었다. 쌀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 분석: 테스트 화합물 또는 비이클은 25℃에서 15분간 MES 완충액 pH 6.3에서 77 mU/ml 효소 쌀 α-글루코시다아제와 사전-항온처리되었다. 2 mM p-니트로페닐 a-D-글루코피아노시드의 추가로 반응이 개시되었고, 70℃에서 90분간 항온처리되었고, 그 다음 1 M 탄산나트륨염의 추가에 의해 종료되었다. 최종-산물 p-니트로페놀은 분광광도계에 의해 측정되었다. 각 모루스 알바(Morus alba) 화합물에 대한 쌀 α-글루코시다아제 분석 데이터는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75
이들 데이터는 두 가지 주요 활성 화합물 - 쿠와논 G 및 알바닌 G-가 CB1 선택적 저해제이며, 그리고 추출물은 임의의 유의적인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로부터 자유롭다는 것을 설명한다.
실시예 7
밀리시아 엑셀사(MILICIA EXCELSA) (AFRICAN TEAK)로부터 정제된 화합물에 의한 CB1 및 CB2 결합 저해
밀리시아 엑셀사(Milicia excelsa)의 줄기 껍질로부터 실시예 1에서 기술된 방법을 이용하여 획득된 유기 추출물 (8 g)은 나뉘어져 별개의 2개 사전-충전된 섬광 컬럼 (120 g 실리카, 입자 크기 32-60 μm, 4 cm x 19 cm) 상에 적하되었고, 그 다음 이 컬럼은 실시예 5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그라디언트로 용리되었다.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Diels-Alder 부가물은 활성 분획물중 하나로부터 단리되었고, 그리고 상게논 C/D/O로 확인되었다. 구조 및 분광학 데이터는 다음과 같았다: ESIMS (m/z) [M-2H]- 706; UV λmax (MeOH): 265, 320 nm; 1H NMR (500 MHz, 메탄올-d 4) ppm 1.55 (s, CH3, 3 H) 1.58 (s, CH3, 3 H) 1.82 (m, CH3, 3 H) 2.28 (dd, J=18.65, 5.09 Hz, 1 H) 2.39 (dd, J=17.80, 5.09 Hz, 1 H) 2.69 (m, 1 H) 2.94 (m, 1 H) 3.87 (d, J=6.78 Hz, CH, 1 H) 4.16 (br. s., CH, 1 H) 4.49 (br. s., CH, 1 H) 5.19 (br. s., 1 H) 5.45 (br. s., 1 H) 5.64 (s, 1 H) 6.11 (d, J=2.26 Hz, 1 H) 6.17 (dd, J=8.48, 2.26 Hz, 1 H) 6.23 - 6.34 (m, 3 H) 6.42 (dd, J=8.20, 1.70 Hz, 1 H) 6.86 (d, J=8.19 Hz, 1 H) 7.21 (d, J=8.48 Hz, 1 H) 8.08 (d, J=8.76 Hz, 1 H).
Figure 112014127413805-pct00076
상게논
상게논은 실시예 2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CB1 결합 저해 활성 분석에서 테스트되었다. 활성 데이터는 표 6에 제시된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77
이들 데이터에서 상게논은 CB2 수용체 단백질보다 CB1 선택성을 가진 CB1 리간드 결합의 강력한 저해제임을 보여준다.
실시예 8
다양한 밀리시아 엑셀사(MILICIA EXCELSA) 추출물의 준비
밀리시아(Milicia) EtOAc 추출물 8은 다음과 같이 만들어졌다: 5 kg의 건조된 밀리시아 엑셀사(Milicia excelsa) 줄기 껍질은 절단되고, 으스러뜨리고, 물에서 대략적으로 4-배 용적 (20 L)(v/v)의 에틸 알코올 (식용 등급, Korea Ethanol Supplies Company, Korea)로 추출되었다. 추출 용매는 4시간 동안 80℃에서 처리되었고, 생성된 추출은 상청액을 획득하기 위하여 여과되었으며, 상청액은 40℃에서 증발기로 농축되었다. 상기 기술된 추출 과정은 2회 반복되었다. 생성된 추출 용액은 함께 복합되었고, 용적이 원래 용적의 1/25가 될 때까지 농축되었다. 그 다음 농축된 용액은 진공 동결-건조되어 200 g의 비가공(crude) 밀리시아 엑셀사(Milicia excelsa) EtOH 추출물 분말이 획득되었다.
상기 과정에 따라 준비된 196 g의 비가공 밀리시아 엑셀사(Milicia excelsa) EtOH 추출물 분말은 2 L의 증류된 물에 현탁되었고, 현탁액은 2 L의 n-헥산과 활발하게 혼합되어 n-헥산 가용성 분획과 물-가용성 분획이 획득되었다. n-헥산 가용성 분획이 수집되었고, 잔류 용액은 2차 n-헥산 추출을 받았다. 상기 기술된 과정은 4회 반복되었고, 생성된 n-헥산 가용성 분획물이 복합되고, 진공하에서 증발되어 밀리시아 엑셀사(Milicia excelsa) 줄기 껍질의 n-헥산 가용성 추출물 8-1 74.8 g이 획득되었다.
상기 과정에서 준비된 밀리시아 엑셀사(Milicia excelsa) 줄기 껍질의 물 가용성 분획은 동등한 용적의 에틸 아세테이트와 활발하게 혼합되어 에틸 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과 물-가용성 분획이 획득되었다. 에틸 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이 수집되었고, 잔류 용액은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을 다시 받았다. 이 과정은 4회 반복되었다. 에틸 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물과 물-가용성 분획물은 각각 진공하에서 증발되어 밀리시아 엑셀사(Milicia excelsa) 줄기 껍질로부터 63.9 g의 에틸 아세테이트 가용성 추출물 8 그리고 35.34 g의 물-가용성 추출물 8-2이 획득되었다.
실시예 9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에서 α-글루코시다아제와 CB1 활성 테스트
물/EtOAc 분할로부터 생성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70% EtOH 추출물과 이의 농축된 EtOAc 분획은 실시예 6에서 기술된 분석에서 α-글루코시다아제에 대항하는 활성에 대해 평가되었다. 이들 데이터는 표 7에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78
이들 데이터는 모루스 알바(Morus alba) 에탄올 추출물의 EtOAc 농축 후, 에탄올 추출물의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이 제거되었고, 한편 CB1 수용체 결합 분석에서 추출물 (가령, 프레닐화된 플라보노이드)의 결합 저해 활성은 유지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10
모루스 알바(MORUS ALBA) 및 다른 식물들로부타 단리된 화합물의 CB1 기능 활성의 시험관내 연구
루스 알바(Morus alba) 밀리시아 엑셀사(Milicia excelsa)로부터 단리된 화합물의 CB1 결합 특이성 및 시험관내 효과는 인간 CB1 수용체 결합 분석에서 테스트되었고, 그리고 이 화합물의 항진제 또는 길항제 기능은 cAMP 또는 항진제-유도된 cAMP 조정상의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된다. 분석은 Breivogel et al., J. Biol. Chem. 273:16865, 1998 및 Gonsiorek et al., Mol. Pharmacol. 57:1045, 2000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기본적으로 식물 추출물 시료 상에서 Ricerca Biosciences LLC, (Concord, OH)에 의해 실행되었다.
CB1 항진제 효과 GPCR 기능 분석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CHO-K1 세포는 HEPES 20 mM (pH 7.4)이 보충된 HBSS 완충액에 현탁되었고 그 다음 다음중 하나의 존재하에 웰당 104 세포의 밀도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상에 분포되었다: HBSS (기초 대조), 기준 항진제 100 nM (자극된 대조), 기준 항진제 (EC50 결정) 또는 식물 추출물 테스트 화합물. 그 다음, 아데닐일 사이클라제 활성물질 NKH 477은 최종 농도 3 μM로 추가된다. 37℃에서 10분 항온처리 후, 세포들은 용해되고 그리고 형광수용체(D2-라벨된 cAMP) 및 형광 제공자( 유로품 크립테이트로 라벨된 항-cAMP 항체)가 추가되었다. 실온에서 60 분 후, 형광 전달은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 (Rubystar, BMG)를 이용하여 λex=337 nm 및 λem=620 nm 및 665 nm에서 측정되었다. cAMP 농도는 665 nm에서 측정된 신호를 620 nm (비율)에서 측정된 신호로 나누어 측정된다. 결과는 100 nM CP 55940 (온전한 CB1 항진제)에 대한 대조 반응 비율로 나타낸다. 표준 기준 항진제는 CP 55940이며, 각 실험에서 이의 EC50 값이 계산되는 농도-반응 곡선을 만들기 위하여 몇 가지 농도에서 테스트된다.
CB1 길항제 효과 GPCR 기능 분석
CHO-K1 세포는 HEPES 20 mM (pH 7.4)이 보충된 HBSS 완충액에 현탁되고, 그 다음 웰당 104 세포의 밀도로 마이크로플레이트 상에 분포시키고, 다음중 하나의 존재 하에 실온에서 5분간 사전-항온처리된다: 3 μM에서 기준 길항제, AM 281, (기초 대조), IC50 측정용 HBSS (자극된 대조), 기준 길항제, 또는 테스트 식물 추출물 화합물. 기준 항진제 CP 55940 또한 10 nM의 최종 농도로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기초 대조용으로 반응 혼합물로부터 생략된다. 그 이후, 아데닐일사이클라제 활성물질 NKH 477은 3 μM의 최종 농도에서 추가된다. 37℃에서 10분 항온처리 후, 세포들은 용해되고 그리고 형광수용체(D2-라벨된 cAMP) 및 형광 제공자(유로품 크립테이트로 라벨된 항-cAMP 항체)가 추가되었다. 실온에서 60 분 후, 형광 전달은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 (Rubystar, BMG)를 이용하여 λex=337 nm 및 λem=620 nm 및 665 nm에서 측정되었다. cAMP 농도는 665 nm에서 측정된 신호를 620 nm (비율)에서 측정된 신호로 나누어 측정된다. 결과는 10 nM CP 55940에 대한 대조 반응 비율로 나타낸다. 표준 기준 항진제는 AM 281이며, 각 실험에서 이의 EC50 값이 계산되는 농도-반응 곡선을 만들기 위하여 몇 가지 농도에서 테스트된다. 화합물은 투여분량 곡선을 만들기 위하여 6가지 상이한 농도(0.3, 1, 3, 10, 30, 및 150 μM)에서 테스트되었다. 결과는 하기 표 8에서 제시된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79
표 7에 나타낸 데이터는 쿠와논 G와 상게논 화합물이 길항제를 대신하여 항진제-유사한 거동으로 CB1 수용체 활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암시한다. 대조적으로, 알바닌 G는 CB1 수용체에 보통의 길항제-유사 활성을 보유한 것으로 보인다.
실시예 11
모루스 알바(MORUS ALBA)로부터 활성 추출물의 HPLC 정량화
비가공 재료에 대한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만들어졌다: 규조토와 혼합된 20 g의 식물 분말을 100mL 추출 쎌 안에 넣었다. ASE 350을 이용하여 용매 (100% EtOH 또는 MeOH/CH2Cl2, 1:1)로 추출되었다 (추출 조건: 열 = 5분, 정지(Static) = 5분, 플러쉬 = 80 용적, 퍼지(Purge)= 900 초, 주기 = 3, 압력 = 1500 psi, 온도 = 80℃, 용매 C = 100% 에탄올). 추출 후, 용액은 여과되었고, 수거되었고, 그 다음 50℃에서 증발기로 농축되어 고형 추출물이 생성되었다.
Agilient HPLC/PDA 시스템이 모루스(Morus) 추출물 안에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Diels-Alder 부가물 쿠와논 G 그리고 알바닌의 탐지 및 정량화에 이용되었다. C18 역-상 컬럼 (Phenomenex, USA)은 Luna 5um, 50mm 길이와4.6mm 직경으로 이용되었다. 중복 정제된 물 (이동상 A)과 아세토니트릴 (이동상 B) 그라디언트가 용리를 위하여 이용되었다. 유속은 컬럼 온도 40℃에서 분당 1 ml 속도로 Luna C18 컬럼을 통과하도록 설정되었다. UV 탐지기는 270 nm에서 흡수도를 판독할 수 있도록 설정되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80
순수 쿠와논 G, 순수한 알바닌 G, 그리고 기준 표준 재료 (RSM, Morus EtOAc 분획 17)는 정량화 표준으로 이용되었다. 모든 추출물 시료는 대략적으로 15 분 동안 초음파분쇄 한 후 3 mg/ml 내지 1mg/ml 농도 범위로 준비되었다. 시료 용액은 플라스크 안에서 실온으로 냉각되었고, 0.45 um 나일론 주사기 필터를 통하여 여과되었고, 그리고 10 μl의 시료가 HPLC로 주입되었다.
모루스(Morus) 식물은 중국과 대한민국 두 나라에서 상이한 지리학적 위치로부터 수집되었다. 상이한 위치, 상이한 수령의 상이한 종, 식물의 상이한 부분 안에 쿠와논 G와 알바닌 G의 HPLC 정량화는 표 10에서 부터 표 14까지 열거된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81
Figure 112014127413805-pct00082
Figure 112014127413805-pct00083
Figure 112014127413805-pct00084
Figure 112014127413805-pct00085
실시예 12
모루스 알바(MORUS ALBA) 70% ETOH 추출물 12의 준비
건조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뿌리와 뿌리 껍질 (93.3 kg)을 자르고, 빻고, 그 다음 물에서 대략적으로 7-배 용적 (700 L) (v/v)의 70% 에틸 알코올로 추출되고, 100℃에서 4 시간 동안 추출이 실시되었다. 에탄올 용액이 여과되어 상청액이 수득되고, 그 다음 40℃에서 진공하에서 증발기로 농축되었다. 이 추출 및 농축 과정은 2회 반복되었다. 추출 용액은 함께 복합되었고, 용적이 원래 용적의 1/25가 될 때까지 농축되었다 그 다음 농축된 용액은 진공 동결-건조되어 18.3 kg의 모루스 알바(Morus alba) 70% EtOH 추출물 분말 12가 획득되었다. 추출 수율은 약 19.6% (w/w)이었다. 주요 활성 성분 함량은 실시예 20의 표 16에 나열된다.
실시예 13
모루스 알바(MORUS ALBA) ETOAC 분획 13의 준비
실시예 12의 모루스 알바(Morus alba) EtOH 추출물 12 (15 kg)은 대략적으로 2-배 용적 (300 L)의 에틸 아세테이트 (EP 등급, Ducksan Chemical, Korea)로 추출되었다. 균질화기 (IKA T25D, Germany)를 이용하여 5분 동안 15,000rpm에서 추출 용액을 균질화시킴으로써 추출이 실행되었다. 균질화가 잘 된 추출 용액은 원심분리기 (Beckman J-20XP, Germany)에서 3,000 rpm (rotor# JLA 8.1000)로 5분간 분리되었다. 상층 (EtOAc 가용성 층)은 필터 페이퍼 (Hyundai Micro, No. 20, Korea)로 여과되었으며 EtOAc 용액이 수집되었다. 원심분리로부터 수거된 잔유뮬(침전 물질)은 2-배 용적 (300 L)의 에틸 아세테이트 (EP grade, Ducksan Chemical, Korea)로 재추출되었다. 재-추출된 용액은 150 rpm에서 2 시간 동안 교반되었다. 생성된 혼합물은 그 다음 여과되어(Hyundai Micro, No. 20, Korea) 추가 EtOAc 추출물 용액이 획득되었다. 상기-기술된 과정은 2회 반복되었다. 생성된 3가지 EtOAc 추출물 용액이 그 다음 복합되고, 증발기에 의해 40℃에서 농축되어 최종 EtOAc 추출물 13이 수득되었다. 15 kg의 70% EtOH 추출물로부터 수율은 3.04 kg이었다. 주요 활성 성분 함량은 실시예 20의 표 16에 열거되어 있다.
실시예 14
모루스 알바(MORUS ALBA) ETOAC 분획 14의 준비
모루스 알바(Morus alba) EtOAc 분획 14는 실시예 12에서 기술된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EtOH 추출로부터 생성되었다. 4.5 kg의 건조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뿌리 그리고 뿌리 껍질로부터 715 g의 비가공 모루스 알바(Morus alba) EtOH 추출물 분말이 수득되었다. 상응하는 n-헥산 가용성 및 물 가용성 추출물은 용매 분할 후 691.4 g의 비가공 모루스 알바(Morus alba) EtOH 분말로부터 준비되었다. 이로써 모루스 알바(Morus alba)의 95.9 g의 n-헥산 가용성 추출물과 263.8 g 의 물-가용성 추출물이 생성되었다. 물 가용성 추출물은 등가량의 에틸 아세테이트 (EtOAc)로 추가 분할되어 EtOAc 추출물이 생성되었다. 이 과정에서 획득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EtOAc 분획 14 의 최종량은 331.8 g이었다. 주요 활성 성분 함량은 실시예 20의 표 16에 열거되어 있다.
실시예 15
모루스 알바(MORUS ALBA) ETOAC 분획 15의 준비
모루스(Morus) EtOAc 분획 15는 실시예 12 및 14에 기술된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생성되었다. 건조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뿌리 및 뿌리 껍질 (2.0 kg)에서 283.5 g의 비가공 모루스 알바(Morus alba) EtOH 추출물 분말이 생성되었다. 상응하는 n-헥산 가용성 및 물 가용성 추출물은 실시예 14의 방법에 따라 100 g의 비가공 모루스 알바(Morus alba) EtOH 분말로부터 준비되었다. 이로써 모루스 알바(Morus alba)의 13.7 g의 n-헥산 가용성 추출물과 38 g의 물-가용성 추출물이 생성되었다. EtOAc로 용해 분할 후, 이 과정에서 획득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EtOAc 분획 15 의 최종량은 47.6 g이었다. 주요 활성 성분 함량은 실시예 20의 표 16에 열거되어 있다.
실시예 16
모루스 알바(MORUS ALBA) ETOAC 분획 16의 준비
모루스(Morus) EtOAc 분획 16은 실시예 12에서 기술된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생성되었고, 14.3 kg의 건조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뿌리와 뿌리 껍질에서 428 g의비가공 모루스 알바(Morus alba) EtOH 추출물 분말이 생성되었다. 상응하는 n-헥산 가용성 및 물 가용성 추출물은 실시예 14의 방법에 따라 300 g의 비가공 모루스 알바(Morus alba) EtOH 분말로부터 준비되었다. 이로써 모루스 알바(Morus alba)의 40.8 g의 n-헥산 가용성 추출물과 92.7 g의 물-가용성 추출물이 생성되었다. EtOAc로 용해 분할 후, 이 과정에서 획득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EtOAc 분획 16 의 최종량은 150.1 g이었다. 주요 활성 성분 함량은 실시예 20의 표 16에 열거되어 있다.
실시예 17
모루스 알바(MORUS ALBA) ETOAC 분획 17의 준비
모루스(Morus) EtOAc 분획 17은 실시예 12와 14에서 기술된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생성되었고, 14.4 kg의 건조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뿌리와 뿌리 껍질로부터 570 g의 비가공 모루스 알바(Morus alba) EtOH 추출물 분말이 생성되었다. 상응하는 n-헥산 가용성 및 물 가용성 추출물은 상응하는 n-헥산 가용성 및 물 가용성 추출물은 실시예 14의 방법에 따라 570 g의 비가공 모루스 알바(Morus alba) EtOH 분말로부터 준비되었다. 이로써 모루스 알바(Morus alba)의 80.5 g의 n-헥산 가용성 추출물과 156 g의 물-가용성 추출물이 생성되었다. EtOAc로 용해 분할 후, 이 과정에서 획득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EtOAc 분획 17 의 최종량은 327 g이었다. 주요 활성 성분 함량은 실시예 20의 표 16에 열거되어 있다.
실시예 18
모루스 알바(MORUS ALBA) 70% ETOH 침전 추출물 18의 준비
모루스 알바(Morus alba) EtOH 침전 추출물 18은 다음과 같이 생성되었다; 634 킬로그램 (KG)의 건조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뿌리와 뿌리 껍질은 절단되고, 빻고, 대략적으로 물에서 7 배 용적 (3600 리터 (L) 의 70% 에틸 알코올 (v/v)로 추출되었고; 추출 용매는 4시간 동안 80℃에서 처리되었고; 잔유물은 여과되어 상청액이 획득되고, 그 다음 40℃에서 증발기로 농축되었다. 상기-기술된 과정은 3회 반복되었다. 그 다음 추출 용액은 용적이 원래 용적의 1/30이 될 때까지 농축되었다 그 다음 농축된 용액은 복합되어 원래 추출 용액의 1/90 용적이 될 때까지 농축된 용액의 용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증발되었다. 농축된 용액은 실온에서 24 시간 (hr) 동안 방치되어 2개 층 (상청액과 침전-층)으로 분리되도록 하였다. 침전물은 여과되었고, 진공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되어 엠. 알바(M. alba) 70% EtOH 침전 분말이 획득되었다. 634 kg의 비가공 식물 재료로부터 총 24 kg의 생성물이 수득되었다. 추출 수율은 약 3.79% (w/w)이었다. 주요 활성 성분 함량은 실시예 20의 표 16에 열거되어 있다.
실시예 19
모루스 알바(MORUS ALBA) 70% ETOH 침전 (19-1), ETOH 복합 (19-2), 그리고 ETOH 상청액(19-3) 추출물의 준비
모루스 알바(Morus alba) EtOH 침전 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만들어졌다: 465 kg의 건조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뿌리와 뿌리 껍질은 절단되고, 빻고, 대략적으로 물에서 10 배 용적 (4500 L) 의 70% 에틸 알코올 (v/v)로 추출되었고; 추출 용매는 4시간 동안 80℃에서 처리되었고; 잔유물은 여과되어 상청액이 획득되고, 40℃에서 증발기로 농축되었다. 상기-기술된 과정은 3회 반복되었다. 그 다음 추출 용액은 용적이 원래 용적의 1/30이 될 때까지 농축되었다 그 다음 농축된 용액은 복합되어 원래 추출 용액의 1/90 용적이 될 때까지 농축된 용액의 용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증발되었다. 농축된 용액은 실온에서 24 hr 동안 방치되어 상청액과 침전층으로 분리되도록 하였다. 그 다음 침전 층은 진공에 의해 건조되어 12 kg의 모루스 알바(Morus alba) 70% EtOH 침전 추출물 분말이 획득되었다. 추출 수율은 약 2.6 % (w/w)이었다. 상청액 층은 진공 건조에 의해 건조되어 24 kg의 모루스 알바(Morus alba) 70% EtOH 상청액 추출물 분말이 획득되었다. 상청액 추출물의 추출 수율은 약 5.2 %이었다.
모루스 알바(Morus alba) 70% EtOH 복합 추출물 19-2은 2 kg의 침전 추출물 19-1 그리고 4 kg의 상청액 추출물 19-3을 혼합함으로써 획득되었다. 이 둘 모두 모루스 알바(Morus alba) EtOH 침전 19-1 그리고 복합 추출물 19-2 안에 있는 주요 활성 성분 함량은 실시예 20의 표 16에 열거되어 있다.
실시예 20
상이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에서 활성 함량의 HPLC 정량화
쿠와논 G와 알바닌 G의 상시한 HPLC 정량화 방법은 실시예 11에 설명되어 있다. 비가공 추출물의 복합성을 가지고, 상이한 용리 용매, 이를 테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이원성의 순수분리된 물 (이동상 A)과 아세토니트릴 (이동상 B)에서 0.1 % 인산 그라디언트가 용리에 이용되었다 (표 15).
Figure 112014127413805-pct00086
컬럼 온도 35℃에서 Luna C18 컬럼을 통과하는 유속은 분당 0.8ml이다. UV 탐지기는 275 nm에서 설정되었다. 기준 표준 재료 (RSM, Morus EtOAc 분획 17)는 DMSO로 추출되었고, 산출용으로 이용되었다. 표 16은 실시예 12-19에서 기술된 파일럿 및 생산 등급 모루스 알바(Morus alba) 뿌리 껍질추출물 및 분획물에서 쿠와논 G와 알바닌 G의 주요 활성 성분을 나열한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87
실시예 21
로즈마리(ROSEMARY) 증기 증류된 ETOH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로즈마리(Rosemary)잎 (2.6 kg)은 100℃에서 5 hrs 동안 대략적으로 6 배 용적 (15 L)의 물로 증류되어 필수 오일 및 휘발성 성분이 제거되었다. 증기 증류후, 유지된 잔류물은 여과되어 잔류물로부터 물 증류된 용액이 제거되며, 그 다음 잔류물은 80℃ 에서 5 hrs 동안 6-배 용적 (15 L)의 에틸 알코올 (95%)로 재-추출되었다. 생성된 추출물은 여과되어 상청액이 획득되며, 이 상청액은 40℃에서 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되었다. 상기 기술된 추출 과정은 2회 반복되었다. 생성된 상청액은 함께 복합되고, 그 다음 40℃에서 증발기로 농축되었다. 생성된 농축된 용액은 그 다음 진공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되어 357.1 g의 로즈마리(Rosemary)증기 증류된 EtOH 추출물 분말 21이 획득되었다. 추출 수율은 약 13.7 % (w/w)이었다. 화학 분석에서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21은 다음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중량비): 카르노솔: 2.97%; 카르노신산: 2.00% 그리고 우르솔릭산: 18.49%; 이들 3가지 화합물의 총 활성 물질 23.80%.
실시예 22
로즈마리(ROSEMARY) ETOH 추출물 22 그리고 22-1의 제조
로즈마리(Rosemary) EtOH 추출물 22는 기본적으로 실시예 21에서 기술된 방법을 이용하여 만들어졌다. 29 kg의 건조된 로즈마리(Rosemary) 잎은 100℃에서 2 hr 동안 대략적으로 10-배 용적 (300L) 의 물로 증류되어 필수 오일과 휘발성 성분이 제거되었다. 그 다음 잔류물은 여과되어 잔류물로부터 물 증류된 용액이 제거되며, 그 다음 잔류물은 실온 (20℃)에서 2 hrs 동안 10 배 용적 (300 L)의 95% 에틸 알코올로 재-추출되었다. 생성된 잔류물은 여과되어 상청액이 획득되고, 이 상청액은 40℃에서 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되었다. 생성된 잔류물은 실온 (20℃)에서 2 hrs 동안 10-배 용적 (300 L)의 70% 에틸 알코올 (v/v)로 다시 추출되었다. 생성된 추출물 잔류물은 여과되었고, 상청액은 유지되고, 복합되었다. 생성된 상청액은 그 다음 40℃에서 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되었다. 생성된 농축된 용액은 최종적으로 진공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되어 2.5 kg의 로즈마리(Rosemary) 물 증류된 EtOH 추출물 분말 22가 획득되었다. 추출 수율은 약 8.6% (w/w)이었다. 이 추출물의 카르노솔, 카르노신산 그리고 우르솔릭산의 HPLC 활성 프로파일은 실시예 25, 표 18에서 제시된다.
로즈마리(Rosemary) EtOH 추출물 22-1은 다음과 같이 생성되었다: 58.68 kg의 건조된 로즈마리(Rosemary)잎은 100℃에서 2 hrs 동안 대략적으로 10 배 용적 (600 L)의 물로 증류되어 필수 오일과 휘발성 성분이 제거되었고, 물 증류된 용액으로부터 여과에 의해 잔류물이 제거되었고, 그 다음 잔류물은 실온 (20℃)에서 2 hrs동안 10 배 용적 (600 L)의 95% 에틸 알코올에 의해 재-추출되었다. 잔류물은 여과되어 상청액이 수득되었다. 잔류물은 실온 (20℃)에서 2 hrs 동안 10 배 용적 (600 L)의 70% 에틸 알코올 (v/v)로 다시 추출되었다. 이중으로 추출된 잔류물이 여과되어 상청액이 획득되었다. 두 상청액이 복합되고 40℃에서 증발기에 의해 농축되었다. 농축된 상청액은 진공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되어 로즈마리(Rosemary) 물 증류된 EtOH 추출물 분말 22-1이 획득되었다. 수율은 58.68 kg의 비가공 재료로부터 5.0 kg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분말이 획득되었다. 추출 수율은 약 8.5% (w/w)이었다.
실시예 23
로즈마리(ROSEMARY) 물 증류된 ETOH 추출물 23의 제조
로즈마리(Rosemary) EtOH 추출물은 기본적으로 실시예 22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생성되었다. 62 kg의 건조된 로즈마리(Rosemary) 잎으로부터 5.9 kg 물 증류된 추출물 분말이 수득되었다. 추출 수율은 약 9.5% (w/w)이었다. 추출물 23에서 카르노솔, 카르노신산 그리고 우르솔릭산의 HPLC 활성 프로파일은 실시예 25, 표 10에서 제시된다.
실시예 24
로즈마리(ROSEMARY) 증기 증류된 EtOH 추출물 24의 제조
로즈마리(Rosemary) 증기 증류된 EtOH 추출물은 기본적으로 실시예 21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생성되었다 2 kg의 건조된 로즈마리(Rosemary) 잎으로부터 lot# RN348-3201로 명시된 물 증류된 추출물 분말 317.7 g이 수득되었다. 추출 수율은 약 15.8 % (w/w)이었다. 이 추출물에서 카르노솔, 카르노신산 그리고 우르솔릭산의 HPLC 활성은 실시예 22, 표 10에서 제시된다.
실시예 25
로즈마리(ROSEMARY) 잎 추출물에 대한 분석 결과
다음의 분석 방법은 로즈마리(Rosemary) 증기 증류된 에탄올 추출물 24 그리고 물 증류된 에탄올 추출물 22 및 23에서 카르노솔, 카르노신산 그리고 우르솔릭산의 양을 결정하는데 이용되었다. 카르노솔, 카르노신산 그리고 우르솔릭산의 탐지 및 정량화를 위하여 Agilient HPLC/PDA 시스템이 C18 역-상 컬럼 (Phenomenex, USA, Luna 5 um, 250 mm x 4.6 mm)과 함께 이용되었다. 표 9에서 제시된 것과 같은 용리를 위하여 순수분리된 물 (이동상 A)과 아세토니트릴 (이동상 B)에서 이원성의 0.1 % 인산 그라디언트가 이용되었다. 컬럼 유속은 컬럼 온도 40℃에서 분당 1 ml 속도로 Luna C18 컬럼을 통과하도록 설정되었다 UV 탐지기는 210 nm에서 흡수도가 판독되도록 설정되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88
카르노솔, 카르노신산 그리고 우르솔릭산 표준은 Sigma로부터 구입하여 DMSO에 용해되었다. 카르노솔과 카르노신산의 최대 수준의 대조군 농도는 0.1mg/ml으로 하였다. 우르솔릭산의 최대 수준의 대조군 농도는 0.3mg/ml으로 하였고, 그리고 메탄올을 이용하여 희석하였다 (0.065mg/ml 또는 0.02mg/ml). 테스트 시료 농도는 용량 측정용 플라스크 안 메탄올에서 약 1mg/ml로 조정되었고, 시료가 용해될 때까지 (대략적으로 20 분) 초음파처리되었다. 그 다음 시료 플라스크는 실온으로 냉각된 후, 잘 혼합되고, 0.45um 나일론 주사기 필터를 통하여 여과되었고, 그 다음 10 ul의 시료가 HPLC로 주입되었다. HPLC 결과는 표 10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89
실시예 26
예르바 마테(YERBA MATE) 에틸 알코올 추출물 26의 제조
예르바 마테(Yerba Mate) (아이렉스 파라구아리엔시스(Ilex paraguariensis)) EtOH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생성되었다: 1 kg의 건조된 아이렉스 파라구아리엔시스(Ilex paraguariensis) 잎은 절단되고, 빻고, 85℃에서 4 hrs 동안 20-배 용적 (20 L)의 95% 에틸 알코올로 추출되었다. 생성된 잔류물은 여과되어 상청액이 획득되고, 40℃에서 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되었다. 생성된 잔류물은 20-배 용적 (20 L)의 95% 에틸 알코올 (v/v)을 이용하여 85℃에서 4 hrs 동안 2차례 추출되었고, 여과되어 제 2 상청액이 획득되었으며, 40℃에서 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되었다. 생성된 농축된 케이크는 진공하에서 건조되어 260 g의예르바 마테(Yerba Mate) EtOH 추출물 분말이 획득되었다. 추출 수율은 약 26% (w/w)이었다.
실시예 27
예르바 마테(YERBA MATE) 에틸 알코올 추출물 27의 제조
예르바 마테(Yerba Mate) EtOH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생성되었다: 150 kg의 건조된 예르바 마테(Yerba Mate) (아이렉스 파라구아엔시스(Ilex paraguayensis)) 잎은 자르고, 빻고 그 다음 물에서 대략적으로 7-배 용적 (1050 L)의 70% 에틸 알코올로 추출되고, 추출 용매는 100℃에서 4 hrs 동안 유지되었다. 잔류물은 여과되어 상청액이 획득되며, 40℃에서 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되었다. 상기 기술된 추출 과정은 2회 반복되었다. 추출 용액은 함께 복합되었고, 용적이 원래 용적의 1/25가 될 때까지 농축되었다 농축된 용액은 진공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되어 26.7 kg의 마테(Mate) 70% EtOH 추출물 분말이 획득되었다. 추출 수율은 약 17.8% (w/w)이었다. 실시예 29에 기술된 바와 같이 HPLC 분석에서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27 안에 카페인의 양이 중량 기준으로 2.44%이었다.
실시예 28
예르바 마테(YERBA MATE) 잎 추출물 안에 카페인의 정량화
예르바 마테(Yerba Mate) 잎 추출물 안에 카페인의 양을 측정하는데 다음의 분석 방법이 이용되었다. 실시예 25에서 기술된 C18 역-상 컬럼 (Phenomenex, USA)이 포함된 동일한 Agilient HPLC/PDA 시스템을 이용하여 카페인과 소량의 성분들이 탐지되었다. 표 11에서 기술된 마테 시료 성분을 용리하는데 순수분리된 물 (이동상 A)과 메탄올(이동상 B) 그라디언트에서 이원성 0.1 % 인산이 이용되었다 컬럼 온도 35℃에서 분당 1 ml 속도로 Luna C18 컬럼을 통과하도록 유속이 설정되었다. UV 탐지기는 275 nm에서 흡수도가 판독되도록 설정되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90
정량화 표준 - 카페인은 Sigma에서 구입하였다. 디카페오일퀴닌산 (DCYA) 표준은 Chengdu Biopurify Phytohemicals Ltd.에서 구입하였고, DMSO에 용해되었다. 카페인과 4,5-DCYA의 최고 농도 수준은 0.05mg/ml이었고, 메탄올을 이용하여 L1 (0.0031mg/ml)으로부터 L5로 희석되었다. 3,4-DCYA의 최고 농도 수준은 0.02mg/ml이었고, 메탄올을 이용하여 L1 (0.00125mg/ml)으로부터 L5로 희석되었다. 3,5-DCYA의 최고 농도 수준은 0.025mg/ml 이었고, 메탄올을 이용하여 L1 (0.0016mg/ml)으로부터 L5로 희석되었다. 예르바 마테(Yerba Mate) 잎 추출물 시료의 농도는 용량 측정용 플라스크에서 메탄올 내 약 1 mg/ml로 조정되었고, 용해될 때까지 (대략적으로 20 분) 초음파처리되었고, 그 다음 실온으로 냉각되었으며, 잘 혼합된 후 0.45um 나일론 주사기 필터를 통하여 여과되었다. 10 μl의 시료는 HPLC에 의해 검사되었다.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27 그리고 체중 감소 조성물 1과 3 (실시예 38과 39에서 차례로 구체화된)의 HPLC 활성물질 정량화 결과는 표 20에서 제시된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91
실시예 29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29와 29A의 제조
매그놀리아(Magnolia)(매그놀리아 오파시날리스(Magnolia officinalis)) 추출물 29은 다음과 같이 만들어졌다. 매그놀리아 오파시날리스(Magnolia officinalis)의 70 kg의 건조된 줄기 껍질은 절단되고, 빻고, 그리고 70 % 에틸 알코올로 추출되고 그리고 추출 용매는 80℃에서 4 hrs 동안 처리되었다. 생성된 잔류물은 상청액을 획득하기 위하여 여과되었으며 40℃에서 증발기로 농축되었다. 상기 기술된 과정은 2회 반복되었다. 추출 용액은 함께 복합되었고 용적이 원래 용적의 1/25가 될 때까지 농축되었다 수산화나트륨 (NaOH)이 농축된 용액 안에 첨가되어 1% NaOH의 최종 농도는 1%가 되었다 30분간 80℃에서 사포닌화된 후, 용액은 2-배 용적의 헥산으로 1 시간 동안 교반기에서 추출되었다. 그 다음 생성된 헥산 가용성 분획들이 수거되었고, 상기 기술된 과정은 3차례 반복되었다. n-헥산 가용성 분획물은 복합되고, 진공 원래 용적의 1/6이 될 때까지 진공하에서 증발되었다. 재-결정 진공 건조 후 고순도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이 획득되었다. 매그놀리아 오파시날리스(Magnolia officinalis)의 70 kg 건조된 줄기 껍질로부터 652g의 고순도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이 수득되었다. 추출 수율은 0.93%이었다.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29A)의 두번째 배취(batch) 또한 동일한 과정에 따라 생산되었다. 이 둘 모두의 추출물 안에 활성 성분 함량의 정량화는 다음 실시예에서 제시된다.
실시예 30
매그놀리아(MAGNOLIA)줄기 나무 껍질 추출물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 방법
다음의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매그놀리아(Magnolia) 줄기 껍질추출물 안에서 매그놀올(Magnolol)과 호노키올(Honokiol)의 양을 결정하였다. 실시예 25에서 기술된 C18 역-상 컬럼 (Phenomenex, USA)이 포함된 동일한 Agilient HPLC/PDA 시스템을 이용하여 매그놀올과 호노키올이 탐지되었다. 표 13에서 기술된 매그놀올과 호노키올 탐지를 위하여 중복 정제된 물 (이동상 A)과 아세토니트릴 (이동상 B) 그라디언트가 이용되었다. 컬럼 온도 35℃에서 분당 1 ml 속도로 Luna C18 컬럼을 통과하도록 유속이 설정되었고, 흡수도는 290 nm에서 판독되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92
매그놀올(Magnolol)과 호노키올(Honokiol) 표준은 Guangzhou Honsea Sunshine Bio Science and Technology co., Ltd에서 구입하였으며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되었다. 호노키올과 매그놀올의 최고 표준 농도는 0.2mg/ml이었고, 메탄올을 이용하여 L1 (0.05mg/ml)으로부터 L3으로 희석되었다. 매그놀리아(Magnolia)줄기 껍질추출물 시료 농도는 약 0.2 mg/ml으로 조정되었고, 복합 시료 농도는 메탄올 안에서 2 mg/ml이었다. 용량 측정용 플라스크가 시료 조제에 이용되었으며 용해될 때까지 (대략적으로 10 분) 초음파처리되었고, 플라스크는 실온으로 냉각되었으며 추출 방법으로 QS되었고, 잘 혼합된 후 0.45 um 나일론 주사기 필터를 통하여 여과되었고, 20 μl 시료가 HPLC에 의해 분석되었다. HPLC 정량화 결과는 표 22에서 제시된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93
실시예 31
아레카 카테츄(ARECA CATECHU) 70% ETOH 추출물 31의 제조
잘게 갈린 아레카 카테츄(Areca catechu) 씨 (7 kg)는 3 kg와 4 kg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 2개의 추출 단위에 두고, 물에서 약 8-배 용적 (약 240 L 및 320 L)의 70% 에틸 알코올 (v/v)로 추출된 후 추출 용매는 90℃에서 4 hrs 동안 유지되었다. 추출물을 여과시킨 후 용액, 여과액은 단지 물 용액만 남아있을 때까지 50℃에서 증발기로 농축시켰고, 그 다음 수거하고, -70℃에서 냉동시켰다. 남아있는 빻은 씨 재료는 앞의 과정과 같이 다시 추출되었다. 1차와 2차 냉동된 추출 용액은 동결 건조 장비에서 건조되었다. 건조된 추출물은 복합되고, 미세 분말로 갈아 930 g이 수득되었다. 최종 추출 수율은 약 13.2% (w/w)이었다.
실시예 32
무탐바(MUTAMBA) (구아주마 울미포이라(GUAZUMA ULMIFOILA)) 줄기 나무껍질 EtOH 추출물 32의 제조
무탐바(Mutamba) EtOH 추출물 32는 다음과 같이 만들어졌다: 500 g의 건조된 무탐바(Mutamba) (구아주마 울미포리아(Guazuma ulmifolia)) 줄기 껍질은 절단되고, 빻고 그리고 85℃에서 4 hrs 동안 20-배 용적 (10 L)의 95% 에틸 알코올로 추출되었다. 잔류물은 여과되어 상청액이 획득되었다. 잔류물은 앞선 과정과 같이 두번째로 추출되었고, 두 EtOH 상청액은 함께 복합되고, 40℃에서 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출되었다. 농축된 케이크는 진공 건조에 의해 건조되어 70 g의무탐바(Mutamba) 줄기 껍질 EtOH 추출물 분말이 획득되었다. 추출 수율은 약 14% (w/w)이었다. HPLC 분석에서 이 추출물에는 1.31 % 프로시아니딘(Procyanidin) B2 그리고 0.86% 에피카테친(Epicatechin)이 포함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33
무탐바(MUTAMBA) 추출물 33, 33-1, 그리고 33-2의 제조
무탐바(Mutamba) EtOH 추출물 33은 다음과 같이 만들어졌다: 2가지 상이한 배취의 2.3 kg의 건조된 무탐바(Mutamba) 줄기 껍질은 절단되고, 빻고, 그 다음 각 배취는 85℃에서 4 hrs 동안 15-배 용적 (30 L)의 95% 에틸 알코올을 이용하여 추출되었다. 잔류물은 여과되어 2가지 배취 상청액이 획득되었다. 2가지 상청액은 복합되었고, 40℃에서 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되었다. 생성된 농축된 케이크는 그 다음 진공에 의해 건조되어 370 g의 무탐바(Mutamba) EtOH 추출물 분말 33이 획득되었다. 추출 수율은 약 8.04% (w/w)이었다.
상기-추출로부터 2가지 잔류물은 그 다음 85℃에서 4 hrs 동안 약 15-배 용적 (30 L)의 95% 에틸 알코올 (v/v)로 다시 추출되었다. 잔류물은 여과되어 상청액이 획득되었고, 이 상청액은 40℃에서 증발기로 농축되었다. 생성된 농축된 케이크는 그 다음 진공 건조에 의해 건조되어 290 g의 무탐바(Mutamba) EtOH 추출물 분말 33-1이 획득되었고, 그리고 추출 수율은 약 6.3% (w/w)이었다.
무탐바(Mutamba) EtOH 추출물 33-2는 다음과 같이 만들어졌다: 무탐바(Mutamba) EtOH 분말 추출물 33 그리고 33-1은 함께 복합되고, 분쇄되어 660 g의무탐바(Mutamba) EtOH 추출물 33-2이 생성되었다. 최종 추출 수율은 약 14.34% (w/w)이었다. HPLC 분석에서 이 추출물에는 0.96 % 프로시아니딘(Procyanidin) B2 그리고 0.62% 에피카테친(Epicatechin)이 포함되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34
무탐바(MUTAMBA) ETOH 추출물 분획 34, 34-1, 그리고 34-2의 제조.
무탐바(Mutamba) EtOH 추출물 유도된 분획물 34, 34-1, 그리고 34-2는 다음과 같이 만들어졌다: 실시예 33의 500 g의 무탐바(Mutamba) 줄기 껍질 EtOH 추출물 33-2는 5 L 의 증류된 물에 현탁되었고, 이 현탁액은 5 L의 에틸아세테이트와 활발하게 혼합되어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과 물-가용성 분획으로 나뉘었다.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이 수거되었고 잔류 용액은 제 2 에틸아세테이트 추출을 받게되었다. 상기-기술된 과정은 3회 반복되었다. 수집된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물은 모아서(pool) 진공에서 증발시켜, 무탐바(Mutamba) 줄기 껍질 34의 117 g의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추출물이 수득되었다. HPLC 분석에서 이 추출물에는 2.57 % 프로시아니딘(Procyanidin) B2와 2.24% 에피카테친(Epicatechin)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3에서 준비된 무탐바(Mutamba) 줄기 껍질 EtOH 추출물 33-2의 물-가용성 분획 은 동용적의 부틸 알코올 및 물과 활발하게 혼합되었고, 부틸 알코올 가용성 분획과 물-가용성 분획으로 분리되도록 하였다. 부틸 알코올 가용성 분획은 수거되었고 잔류 용액은 부틸 알코올 추출을 다시 받게되었다. 이 과정은 3회 반복되었다. 각 분획물을 모아서 진공에서 증발시켜 무탐바(Mutamba) 줄기 껍질의 260 g의 부틸 알코올 가용성 추출물 34-1 및 130 g의 물-가용성 추출물 34-2가 획득되었다. HPLC 분석에서 무탐바(Mutamba) 추출물 분획 34-1에는 1.31 % 프로시아니딘(Procyanidin) B2 그리고 0.86% 에피카테친(Epicatechin)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탐바(Mutamba) 추출물 분획 34-2에서는 HPLC 분석이 실시되지 않았다.
실시예 35
무탐바(MUTAMBA) ETOH 추출물 35의 제조
무탐바(Mutamba) EtOH 추출물 35는 다음과 같이 만들어졌다: 920g의 건조된 무탐바(Mutamba) 줄기 껍질은 절단되고, 빻고, 그리고 85℃에서 4 hrs 동안 20-배 용적 (20 L)의 95% 에틸 알코올을 이용하여 추출되었다. 잔류물은 여과되어 상청액이 획득되었고, 남아있는 잔류물은 20 L의 95% 에틸 알코올 (v/v)을 이용하여 다시 추출되었고, 앞선 과정과 같이 여과되었다. 생성된 상청액은 함께 복합되었고, 40℃에서 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되었다. 생성된 농축된 케이크는 진공에서 건조되어 132 g의 무탐바(Mutamba) EtOH 추출물 분말 35가 획득되었다. 추출 수율은 약 14.34% (w/w)이었다. HPLC 분석에서 추출물 35에는 1.03% 프로시아니딘(Procyanidin) B2 및 0.60% 에피카테친(Epicatechin)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6
무탐바(MUTAMBA) ETOH 추출물 36의 제조
무탐바(Mutamba) EtOH 추출물 36은 다음과 같이 만들어졌다: 85.7 kg의 건조된 무탐바(Mutamba) 줄기 껍질은 절단되고, 빻고, 그리고 100 C에서 4 hrs 동안 추출 용매에서 항온처리된 후 물에서 대략적으로 8-배 용적 (720 L)의 70% 에틸 알코올(v/v)을 이용하여 추출되었다. 잔류물은 여과되어 보유된 상청액이 획득되었고, 잔류물은 동일한 과정을 이용하여 2회 더 재-추출되었다. 유지된 상청액은 함께 복합되고, 용적이 원래 용적의 1/25가 될 때까지 농축되었다. 농축된 용액은 진공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되어 13.9 Kg의 무탐바(Mutamba) 줄기 껍질 70% EtOH 추출물 분말 36이 획득되었다. 추출 수율은 약 16.2% (w/w)이었다. 추출 수율은 약 14.34% (w/w)이었다. HPLC 분석에서 추출물 36에는 1.03% 프로시아니딘(Procyanidin) B2 그리고 0.60% 에피카테친(Epicatechin)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7
다양한 무탐바(MUTAMBA) 추출물의 HPLC 정량화
상이한 지역에서 성장한 상이한 나무의 부분, 상이한 성별의 나무 그리고 상이한 수령의 나무로부터 획득된 무탐바(Mutamba) 식물 추출물 안에 프로시아니딘 B2 및 에피카테친 화합물의 탐지 및 정량화에 Agilient HPLC/PDA 시스템이 이용되었다. C18 역-상 컬럼 (Agilient, USA)이 이용되었다(Zorbax eclipse XDB-C18, 3.5um, 150mm X 4.6mm. 컬럼으로부터 재료를 용리하는데 이원성 컬럼 그라디언트가 이용되었다. 이동상 A: 순수분리된 물에서 0.01%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 그리고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그라디언트가 용리에 이용되었다 (표 23). 컬럼 온도 35℃에서 분당 0.8ml 속도로 Luna C18 컬럼을 통과하도록 유속이 설정되었다. UV 탐지기는 275 nm에서 흡수도가 판독되도록 설정되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94
순수 에피카테친 기준 시료는 Sigma로부터 구입하였다. 순수 프로시아니딘 B2는 Chengdu Biopurify Phytohemicals, Ltd.로부터 구입하였다. 두 가지 기준 시료는 모두 DMSO에 용해되었다. 에피카테친의 최고 수준 농도 범위는 0.05 mg/ml이었고, 물에서 50% 메탄올을 이용하여 L1 (0.003 mg/ml)으로부터 L5로 희석되었다. 프로시아니딘 B2의 최고 수준 농도는 0.05 mg/ml 이었고, 물에서 50% 메탄올을 이용하여 L1 (0.003 mg/ml)으로부터 L5로 희석되었다. 무탐바(Mutamba) 추출물 시료의 농도는 용량 측정용 플라스크에서 물 안에 50% 메탄올에서 2 mg/ml로 조정되었고, 그리고 용해될 때까지 (대략적으로 20분) 초음파처리되었고, 그 다음 실온으로 냉각되었으며, 잘 혼합된 후 0.45 um 나일론 주사기 필터를 통하여 여과되었다. 10 μl 시료를 HPLC에 주입함으로써 HPLC 분석이 실행되었다.
1. 벨리즈(Belize)
모든 식물 재료는 절단되고, 빻고, 70% EtOH에 의해 추출되어, 상기에서 기술된 HPLC에 의해 프로시아니딘 B2 및 에피카테친 함량이 분석되었다. HPLC 결과는 표 24에서 제시된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95
2. 인도
나무의 상이한 부분으로부터 얻은 5가지 상이한 무탐바(Mutamba) 시료는 인도의 판매상으로부터 구입하였다. 식물 재료를 절단하고, 빻고, 그리고 MeOH/CH2Cl2 (1:1 용적 비율)로 추출한 후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HPLC에 의해 프로시아니딘 B2 및 에피카테친 함량이 분석되었다. HPLC 결과는 표 25에서 제시된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96
상이한 6개 국가
판매상으로부터 상이한 6개 국가의 무탐바(Mutamba) 줄기 껍질 시료를 구입하였다. 식물 재료는 절단되고, 빻고 그리고 100% EtOH (E) 또는 70% EtOH (70E) 또는 MeOH/CH2Cl2 (1:1 용적 비율)(OE)을 이용하여 추출되었고, 상기에서 기술된 HPLC에 의해 프로시아니딘 B2 및 에피카테친 함량이 분석되었다. HPLC 결과는 표 26에서 제시된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97
실시예 38
매그놀리아(MAGNOLIA):모루스(MORUS):예르바 마테(YERBA MATE) 조성물 1의 제조
3가지 성분 (매그놀리아(Magnolia):모루스(Morus):예르바 마테(Yerba Mate)) 조성물 1은 다음의 3가지 식물 추출물 성분으로부터 만들어졌다: 1.02 kg의 건조된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분말 29, 2.01 kg의 모루스 알바(Morus alba) 뿌리 껍질 추출물 분말 18, 그리고 10.08 kg의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분말 27은 v-유형 믹서기 (Seo-kang Engineering, Korea)를 이용하여 30 rpm에서 1 시간 동안 혼합되었다. 매그놀리아(Magnolia):모루스(Morus):예르바 마테(Yerba Mate)의 최종 혼합 중량비는 1:2:10이었고, 12.65 kg의 체중 감소 복합 조성물 1 이 만들어졌다. 조성물 1 에서 주요 활성 화합물 프로파일은 실시예 11, 20, 25, 28 및 30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HPLC 분석에 의해 결정되었다. 정량화 결과는 표 27에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98
실시예 39
모루스(MORUS):로즈마리(ROSEMARY):예르바 마테(YERBA MATE) 조성물 3의 제조
3가지 성분 (모루스(Morus):로즈마리(Rosemary):예르바 마테(Yerba Mate)) 조성물 3은 다음과 같이 만들어졌다: 2.4 kg의 건조된 모루스(Morus) 뿌리 껍질추출물 분말 18, 6.0 kg의 건조된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분말 23, 그리고 12.04 kg의 건조된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분말 27은 v-유형 믹서기 (Seo-kang Engineering, Korea)를 이용하여 30 rpm에서 1 시간 동안 혼합되었다. 모루스(Morus):로즈마리(Rosemary):예르바 마테(Yerba Mate)의 최종 혼합 중량비는 2:5:10이었고, 20.4 kg의조성물 3이 생성되었다. 조성물에서 주요 활성 화합물 프로파일은 실시예 11, 20, 25, 28 및 30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HPLC 분석에 의해 결정되었다. 정량화 결과는 표 28에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099
실시예 40
모루스(MORUS):아쎄레리스(ACCELERIS):로에신(LOESYN):바쿠트롤(BAKUTROL) 조성물 6의 제조
4가지 성분 (모루스(Morus):아쎄레리스(Acceleris):로에신(Loesyn):바쿠트롤(Bakutrol)) 조성물 6은 다음과 같이 만들어졌다: 968.6 g의 모루스 알바(Morus alba) 뿌리 껍질추출물 20, 484.3 g의 파낙스(Panax) 인삼 추출물 (아쎄레리스(Acceleris)), 그리고 알로에 베라(Aloe vera) 잎 겔 분말 (로에신(Loesyn))에서 387.4 g의 표준화된 알로에 크로몬이 뚜껑이 있는 1-겔론 통에서 복합되고, 그 다음 흔들었고, 다시 통에 넣어 균질한 분말 (분말 1)이 생성되었다. 96.9 g의 서래일리아(Psoralea) 씨 추출물 (바쿠트롤(Bakutrol))은 2-리터 비이커에 두고, 분말 1의 절반이 바쿠트롤(Bakutrol) 액체에 과립-형 혼합물이 획득될 때까지 점진적으로 첨가되었다. 그 다음 이 혼합물은 분말 1의 나머지 절반에 첨가되었고, 완전하게 혼합되었다. 끝으로, 완전한 혼합물은 분쇄를 위하여 믹서기에 넣었다. 최종 복합 조성물 6에서 모루스(Morus):아쎄레리스(Acceleris):로에신(Loesyn):바쿠트롤(Bakutrol)의 혼합 중량비는 10:5:4:1이었다. 조성물 6의 활성 성분 함량은 표 29에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00
실시예 41
모루스(MORUS):로즈마리(ROSEMARY):아레까(ARECA) 조성물 9의 제조
3가지 성분 (모루스(Morus): 로즈마리(Rosemary):아레까(Areca)) 조성물 9는 다음과같이 만들어졌다: 153.2 g의건조 모루스 알바(Morus alba) 뿌리 껍질추출물  18, 382.2 g의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분말 22-1, 및 아레카 카테츄(Areca catechu) 765.8 g의 아레카 카테츄(Areca catechu) 열매 추출물 분말 31은 30 rpm에서 1 시간 동안 리본 믹서기 (Hankook P.M. EMG, Korea)에서 혼합되어 1.301 kg의 UP609가 획득되었다. 모루스:로즈마리:아레까의 혼합 비율은 2:5:10 (중량비)이었다. 조성물 9의 활성 성분 함량은 표 30에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01
실시예 42
매그놀리아(MAGNOLIA):모루스(MORUS):무탐바(MUTAMBA) 조성물 2의 제조
3가지 성분 (매그놀리아(Magnolia):모루스(Morus):무탐바(Mutamba)) 조성물 2은 다음과 같이 만들어졌다: 1.02 Kg의 건조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분말 29, 2.04 Kg의 건조 모루스 알바(Morus alba) 뿌리 껍질추출물 분말 18, 그리고 10.05 Kg의 건조 무탐바(Mutamba) 줄기 껍질 추출물 분말 36은 v-유형 믹서기 (Seo-kang Engineering, Korea)를 이용하여 30 rpm에서 1 시간 동안 함께 혼합되어 13.05 Kg의 조성물 2가 획득되었다. 매그놀리아:모루스:무탐바의 혼합 비율은 1:2:10 (중량비)이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02
실시예 43
무탐바(MUTAMBA):로즈마리(ROSEMARY):마테(MATE) 조성물 4의 제조
3가지 성분 (무탐바(Mutamba):로즈마리(Rosemary):마테(Mate)) 조성물 4는 다음과 같이 만들어졌다: 352.3 g의 무탐바(Mutamba) 줄기 껍질 추출물 분말 36, 352.1 g의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분말 22, 그리고 352.1 g의 마테 추출물 분말 27은 리본-유형 믹서기 (Seo-kang Engineering, Korea)를 이용하여 30 rpm에서 1 시간 동안 혼합되어 1.04 Kg의 복합 조성물 4가 획득되었다. 무탐바:로즈마리:마테의 혼합 비율은 1:1:1 (중량비)이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03
실시예 44
무탐바(MUTAMBA):로즈마리(ROSEMARY):마테(MATE) 조성물 8의 제조
3가지 성분 (무탐바(Mutamba):로즈마리(Rosemary):마테(Mate)) 조성물 8은 다음과 같이 만들어졌다: 640.2 g의 무탐바(Mutamba) 줄기 껍질 추출물 분말 36, 320.1 g의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분말 22, 그리고 640.2 g의 마테 추출물 분말 27은 리본-유형 믹서기 (Seo-kang Engineering, Korea)를 이용하여 30 rpm에서 1 시간 동안 혼합되어 1.52 Kg의복합 조성물 8이 획득되었다. 무탐바:로즈마리:마테의 혼합 비율은 2:1:2 (중량비)이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04
실시예 45
식욕 억제의 척도로써 SPRAGUE-DAWLEY 렛에서 격심한 음식물 섭취
본 실시예에서는 공복 기간 이후 렛의 음식 섭취 양 및 속도에 있어서 식이요법 및 테스트 화합물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격심한 음식 섭취 렛 모델이 설명된다.
방법: 실험 시작 시점에 8주령의 Sprague-Dawley (SD) 수컷 렛 (Koatech, Korea)이 본 연구에 이용되었다. 순화기간 동안 동물은 정규적인 렛 음식 식이요법 (2018S, Harlan, USA)을 유지시켰다. 렛은 12 hr/12 hr 역전 명/암 주기에서 유지된 기후-조절된 방에 가두어 두었다. 암상태-공급 주기 시적 30분 전 렛에게 비이클로써 0.5% CMC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수성 용액 또는 테스트 조성물과 복합하여 투여하였다. 실험적 테스트는 12 hr 암주기 개시에 시작되었다. 테스트 주기 개시에 앞서, 렛은 이들의 굶주림을 더욱 강력하게 하기 위하여 하룻밤 (약 16 시간 미만) 동안 굶겼다. 그외에, 동물은 45% 고지방 식이요법 (Harlan, USA)과 수돗 물에는 무제한적으로 접근가능하였다. 연구에서 각 동물의 급격한 음식 섭취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험 시작부터 0, 1, 2, 4, 6, 8, 10 그리고 24 시간 시점에 음식 섭취가 측정되었고, 2, 8, 그리고 24 시간 시점에는 체중이 또한 측정되었다.
실시예 46
SPRAGUE-DAWLEY (SD) 렛에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의 급격한 음식 섭취 연구
본 실시예는 실시예 45에 따라 렛에서 음식 섭취에 있어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식물 추출물 15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행된 24-시간 음식 섭취 테스트를 제공한다. 암상-공급 주기 시작 30분 전에 SD 렛에게 0.5% CMC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의 용액 안에 실시예 15에 따라 생성된 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15가 투여되었다.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은 한 집단에 7마리에게 동물 체중 kg 당 250, 500 그리고 1000 mg의 투여분량이 투여되었다.
표 34는 대조 동물과 비교하여 3가지 상이한 양으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15 의 단일 투여분량으로 처리된 렛에게서 음식 섭취 테스트 결과를 보여준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05
표 34에 제공된 데이타는 모루스 알바(Morus alba) 치료된 집단은 누적 음식 섭취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음을 나타낸다. 더욱이, 음식 섭취에서 투여분량 의존적 감소는 본 연구가 종료될 때까지 음식 섭취 측정의 한 시간내에 관찰되었다. 이들 결과는 렛에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이 음식 섭취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효과가 있음을 설명하고, 이는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이 음식 섭취 저해를 통하여 체중 관리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의 단일 경구 투여분량으로 감소된 음식 섭취는 10 시간 이상 지속되었다. 따라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의 1일 1회 또는 2회 경구 투여를 통하여 식욕 감소, 포만감 강화, 또는 음식 또는 칼로리 섭취의 감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 47
SD 렛에게서 밀리시아 엑셀사(MILICIA EXCELSA) 추출물 8의 격심한 음식 섭취 연구
24-시간 음식 섭취 연구는 실시예 45에 따라 실행되었다. 암 상태-공급 주기 시작 30분 전에 SD 렛에게 0.5% CMC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의 용액 안에 실시예 8에 따라 생성된 밀리시아 엑셀사(Milicia excelsa) 추출물 8을 동물 체중 kg 당 1000 mg의 투여량으로 투여되었다.
표 35 및 표 3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체중 및 체중 증가는 8 hr 및 24 시간 연구 시점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체중 증가는 연구의 각 연속 시료 시점간에 각 연구 집단에 대한 체중 차이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되었다. 밀리시아 엑셀사(Milicia excelsa) 추출물 치료 집단은 또한 1 hr, 4 hr, 6 hr 그리고 8 hr 시점에서 음식 섭취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표 37). 밀리시아 엑셀사(Milicia excelsa) 추출물을 제공받은 SD 처리 렛들은 24 시간 동안 누적 음식 섭취도 또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표 38).
Figure 112014127413805-pct00106
Figure 112014127413805-pct00107
Figure 112014127413805-pct00108
Figure 112014127413805-pct00109
이들 데이터는 밀리시아 엑셀사(Milicia excelsa) 추출물이 체중 및 체중 증가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부여주었다. 또한, 공복 후 정상적인 먹이를 공급받은 SD 렛은 음식 섭취가 감소되었다. 따라서, 본 결과는 밀리시아 엑셀사(Milicia excelsa) 추출물이 음식 섭취의 저해를 통한 체중 조절제로 이용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실시예 48
고지방 식이에 의해 유도된 비만 (DIO) 마우스 모델
4-6주령의 C57CL/6J 마우스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 Biotechnology, Ohchang, Korea)는 24℃의 실온에서 12 hr:12 hr 명암주기를 가지고 실내 폴리카보네이트 우리(우리당 5마리)에 가두었다. 모든 마우스는 동물 설비에 도착된 후 1주일 동안 시판되는 먹이를 공급받았다. 그 다음 마우스를 정상 집단과 비만 집단으로 나눈 뒤 각각 차례로 정상 식이요법 (ND)과 고지방 식이요법 (HFD)이 제공되었다. HFD 집단은 다중 치료 집단: 고지방 식이요법 비이클 집단 (HFD), 비만방지약 (OTC 약물 Alli®에서 구입) 양성 대조 처리 집단 (ORI, 40mg/동물 체중 kg, 일일 2 회) 그리고 임의선택적으로 시부트라민 양성 대조 처리 집단(10 mg/kg, 일일 1 회)으로 나뉘었다. HFD는 340 g의 지방/kg HFD (310 g 돼지 기름+ 30 g 대두유; Harlan Laboratories, USA)를 포함하고 있다. HFD는 탄수화물 에너지를 돼지 기름과 대두유로 대체시킴으로써 식이요법에 의해 발생되는 전체 에너지의 60%가 지방으로부터 제공되도록 조제되었고, 한편 정상 식이요법 (ND) 집단은 지방으로부터 총 식이요법중 단지 18%만 제공되도록 공급되었다(Harlan Laboratories, USA).
체중은 일주일에 한번씩 측정되었고, 음식 섭취량은 주당 2회 측정되었다. 실험 기간 종료시, 12 hr 공복 기간 후, 동물은 에테르로 마취되어, 복부 정맥으로부터 채혈하였다. 각 동물로부터 간, 신장 및 지방 조직(정소상체, 복막뒤, 신장주위 지방 조직)을 떼어내고, 생리학적 염수로 헹궈낸 후, 무게를 달았다. 포도당, 총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그리고 LDL-콜레스테롤의 혈청 농도는 자동 분석기(INTEGRA 400, Roche,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테스트 결과의 통계학적 유의성은 Student's t-검정을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실시예 49
고지방 식이에 의해 유도된 비만 (DIO) 렛 모델
4-6주령의 Spraue-Dawley 수컷 렛 (OrientBio, Inc.; Seongnam, Korea)은 24℃의 실온에서 12 hr:12 hr 명암주기를 가지고 실내 폴리카보네이트 우리에 개별적으로 가두었다. 모든 렛은 동물 설비에 도착된 후 1주일 동안 시판되는 먹이를 공급받았다 그 다음 렛을 정상 집단과 비만 집단으로 나눈 뒤 각각 차례로 정상 식이요법 (ND)과 고지방 식이요법 (HFD)이 제공되었다. HFD 집단은 다중 치료 집단: 고지방 식이요법 비이클 집단 (HFD), 비만방지약 (OTC 약물 Alli®) 양성 대조 처리 집단 (ORI, 80mg/동물 체중 kg, 일일 2 회) 그리고 임의선택적으로 시부트라민 양성 대조 처리 집단(10 mg/kg, 일일 1 회)으로 나뉘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부트라민(SIB, 렛 연구용으로 3mg/kg 그리고 마우스 연구용으로 10 mg/ml)은 양성 대조로 이용되었다.
체중은 일주일에 한 번 또는 두 번 씩 측정되었고, 음식 섭취량은 주당 2회 측정되었다. 체중 증가는 연구의 각 연속 주간 사이에서 각 연구 집단에 대한 체중 차이를 측정하여 각 연구 집단에 대해 결정되었다. 실험 기간 종료시, 12-h. 공복 기간 후, 동물은 에테르로 마취되어, 복부 정맥으로부터 채혈하였다. 각 동물로부터 간, 신장 및 지방 조직(정소상체, 복막뒤, 신장주위 지방 조직)을 떼어내고, 생리학적 염수로 헹궈낸 후, 무게를 달았다. 포도당, 총 콜레스테롤, 그리고 LDL-콜레스테롤의 혈청 농도는 자동 분석기(INTEGRA 400, Roche,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테스트 결과의 통계학적 유의성은 Student's t-검정을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실시예 50
DIO 마우스에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에탄올 추출물 19-2의 효과
실시예 19에따라 만들어진 모루스 알바(Morus alba) 70% 에탄올 추출물 19-2는 실시예 48에서 기술된 DIO 마우스에게 경구로 투여되었다.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은 2가지 투여분량 수준으로 투여되었는데: G1 집단은 동물 체중 kg당 500 mg으로, 그리고 G2 집단은 동물 체중 kg 당 1000 mg으로 투여되었다. 동물들은 일일 2회 위관영양법에 의해 경구 투여분량을 제공받았다. 동물의 체중 측정의 연구 결과는 표 39에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10
표 39의 데이터는 G1 집단 (낮은 투여량의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19-2)은 HFD 집단과 비교하여 체중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대조적으로, G2 집단 (높은 투여량의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19-2)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3, 4, 5, 6 및 7 주에 체중이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양성 대조군 (ORI, 40 mg/체중 kg에서 비만방지약으로 치료됨)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2, 3, 4 및 7 주에 체중이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표 40은 각 집단에서 체중 증가에 있어서 효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11
표 40의 데이터는 높은 투여량 집단(G2) 그리고 양성 대조 집단 (ORI) 이 둘 모두의 경우 체중 증가 변화가 2주차와 3주차 사이에 체중 증가가 최대 변화되었음을 보여주고, HFD 집단과 비교하여 체중 감소 속도는 4주차에서부터 7주차까지 떨어졌다는 것을 보여준다.
표 41은 체중 증가, 음식 섭취, 그리고 식이 효율 (FER)(연구 기간 동안 하루 평균 음식 섭취량으로 나눈 일일 평균 체중 증가를 나타냄)에 있어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의 효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12
표 41에 제시된 데이터는 높은 투여분량의 모루스 알바(Morus alba) 처리 집단 (G2)과 양성 대조 집단 (ORI) 이 둘 모두가 HFD 집단과 비교하여 연구 일일 체중 증가가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G2 및 ORI 집단은 모두다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FER에서 또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흥미로운 것은 ORI 및 G2 집단은 또한 연구 일일당 음식 섭취량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변화를 보여왔는데, ORI는 HFD 집단과 비교하여 음식 섭취량의 증가를 나타내는 한편, G2 집단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연구 일일당 평균 음식 섭취량의 감소를 나타내어, 이는 이들 두 조성물 사이에 작용 기전이 상이함을 암시한다.
이와 함께, 본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데이터는 모루스 알바(Morus alba) 70% 에탄올 추출물 19-2을 체중 kg 당 1000mg/kg의 투여분량으로 일일 2회 복용하였을 때, 고지방 식이요법을 하는 대상의 음식 섭취 및 체중 조절을 도울 수 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51
DIO 마우스에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침전 19-1의 효과
실시예 189의 농축된 70%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생산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침전 19-1은 실시예 48에 기술된 방법을 이용하여 DIO 마우스에게 경구로 투여되었다.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침전물은 2가지 투여분량 수준으로 투여되었는데: G1 집단은 동물 체중 kg당 250 mg으로, 그리고 G2 집단은 동물 체중 kg 당 500 mg으로 투여되었다. 동물들은 일일 2회 위관영양법에 의해 경구 투여분량을 제공받았다. 표 42에는 동물 체중 측정 연구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13
표 4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모루스 알바(Morus alba) 처리 집단에서 투여 분량에 의존적인 방식으로 체중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특히, G1 집단 (낮은 투여량의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침전 19-1)은 2주차와 3주차 동안 HFD 집단과 비교하여 체중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체중 증가 경향에서 4, 5, 6 및 7 주차등의 다수에서 통계학적 유의성을 얻지는 못하였지만,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체중 증가 속도는 낮아졌다. 반면 G2 집단 (높은 투여량의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침전 19-1)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2주차에서 7주차에 체중의 통계학적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양성 대조 집단, ORI (비만방지약으로 치료됨)는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2, 3, 4, 및 7 주차에서 체중의 통계학적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표 43는 각 연구 집단의 체중 증가에 있어서 효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14
표 43의 데이터는 모루스 알바(Morus alba) 처리 집단과 양성 대조 ORI 집단은 모두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치료 첫 주 이후 매주 체중 증가가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상기 데이터는 모루스 알바(Morus alba) 처리 집단의 체중 감소 효과는 투여분량 의존적임을 또한 보여준다.
표 44는 체중 증가, 음식 섭취, 그리고 식이 효율 (FER)(연구 기간 동안 일일 평균 체중 증가를 하루 평균 음식 섭취량으로 나눈 것임)에 있어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침전 19-1의 효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15
표 44에 나타낸 데이터는 모루스 알바(Morus alba) 처리 집단 (G1 및 G2)과 양성 대조군 (ORI) 모두다 연구 일수당 체중 증가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ORI 및 G2 치료군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일일 음식 섭취 평균량에서 또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G2 및 ORI 처리 집단은 모두다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FER에서 또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표 45에서는 고지방 식이를 하는 대상에서 지방 함량이 증가된 것으로 알려진 몇몇 특정 조직에 있어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침전 19-1의 효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16
표 45의 데이터는 ND 대조 집단 (지방의 보통 칼로리를 가진 정상적인 영양적 식사가 공급됨)과 HFD 집단 간에 간 체중, 정소상체 지방, 복막뒤 지방, 신장주위 지방과 전체 지방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나타낸다. 흥미롭게도 높은 투여량의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침전 집단 (G2)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지방 측정의 모든 카테로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반면 ORI 처리 집단은 측정된 임의의 값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표 46은 연구 종료시점에서 채혈에서 측정된 공복 포도당 (F-Glu), 총 콜레스테롤 (T-chol) 및 LDL-콜레스테롤 (LDL-C)에 있어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침전 19-1의 효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17
표 46의 데이터에서 낮은 투여량의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침전 집단 (G1)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LDL-콜레스테롤의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있음을 나타낸다. 높은 투여량의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침전 집단 (G2)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총 포도당, 콜레스테롤, 그리고 LDL-콜레스테롤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있음을 나타낸다.
이와 함께, 본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데이터는 모루스 알바(Morus alba) 침전 추출물 19-1을 대상 체중 kg 당 500mg/kg의 투여분량으로 일일 2회 복용하였을 때, 고지방 식이요법을 하는 대상의 음식 섭취 및 체중 조절을 도울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500 mg/kg 투여분량의 모루스 알바(Morus alba) 침전 추출물 19-1을 복용한 대상은 또한 HFD 집단에서 대조군 대상과 비교하였을 때, 혈액 화학 및 조직 지방 수준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개선을 또한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에서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Diels-Alder 부가물내에 농축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쿠와논 G, 및 알바닌 G는 체중을 조절하고, 음식 섭취를 낮추고, 조직 지방 함량을 낮추고, 혈당 수준을 낮추고, 총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그리고 LDL-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설명된다.
실시예 52
DIO 렛에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 16의 효과
실시예 16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만들어진 모루스 알바(Morus alba)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 16은 실시예 40에서 기술된 방법을 이용하여 DIO 렛에게 경구로 투여되었다. 연구 기간은 42 일이었다.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은 동물 체중 kg당 500 mg의 투여분량을 이용하여 G1 집단에게 투여되었다. 연구 동물에게 일일 2회 위관영양법에 의해 경구 투여분량이 제공되었다. 표 47은 모든 연구 집단의 총 동물 체중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표 48은 연구의 각 시점 종료시에 측정된 체중과 비교하였을 때, 연구 시작 0일 시점에서 측정된 대상 동물의 체중 간에 차이로 산출된 체중 증가에서의 효과를 나타낸다.
표 47에 나타낸 데이터는 동물 체중 kg 당 500 mg의 투여분량으로 제공될 때 모루스 알바(Morus alba)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 16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2일차에서부터 14일차, 21일차, 그리고 28일차 시점까지 체중의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있음을 보여준다. 양성 대조 SIB (3 mg/kg으로 투여된 시부트라민) 집단은 연구 2일차에서 연구 나머지 기간 (42일차)에 체중의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18
Figure 112014127413805-pct00119
표 48의 데이터는 G1 모루스 알바(Morus alba)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 16 처리 집단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연구 2일차에서 21일차 까지 그리고 28일차에 체중 증가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낸 것을 보여준다. 양성 대조 SIB (3 mg/kg에서 투여된 시부트라민)는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2일차에서부터 42일 연구 종료시까지 체중 증가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여주었다.
표 49에서 DIO 렛에서 다음 목적들에 대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 16의 효과를 보여준다: 연구 각 일자별 평균 체중 증가, 연구 각 일자별 평균 음식 섭취, 그리고 연구 기간에 걸쳐 각 일자별 평균 체중 증가량을 각 일자별 평균 음식 섭취량으로 나누어 산출되는 식이 효율 (FER).
Figure 112014127413805-pct00120
표 49의 데이터는 집단 G1에 투여된 루스 알바(Morus alba)의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이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으로 낮은 식이효율을 가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SIB 양성 대조 처리 집단은 일일 체중 증가, 일일 음식 섭취량, 그리고 식이 효율에서 HFD 집단보다 통계학적으로 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21
표 50의 데이터는 지방의 고유한 보통 칼로리를 갖는 정상 식이요법을 공급받은 ND 대조군과 HFD 집단 간에 정소상체 지방, 복막뒤 지방, 신장주위 지방 그리고 전체 지방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로 처리된 집단 (G1)과 양성 대조 처리 집단(SIB)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지방 측정의 모든 범주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여주었고, 이로써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16은 DIO 렛에 존재하는 지방의 양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이 설명된다.
표 51은 연구 종료시에 획득된 혈액 시료에서 측정된 공복 포도당 (F-Glu), 총 콜레스테롤 (T-chol) 및 LDL-콜레스테롤 (LDL-C)에 대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16의 효과를 보여준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22
표 51의 데이터는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16 처리 집단에서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총-콜레스테롤과 공복 혈당의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SIB 처리 집단은 측정된 임의의 목표에 대하여 HDF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이들 데이터는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16이 500 mg/체중 kg의 투여분량으로 일일 1회 투여될 때, 고지방 식이요법을 제공받은 렛의 체중 증가 속도를 낮추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또한, 500 mg/kg 투여분량의 추출물 16은 복용한 대상은 HFD 집단의 대조군 대상과 비교하였을 때, 혈액 화학 목표(표 51) 및 조직 지방 수준(표 50)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개선을 또한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에서 쿠와논 G와 알바닌 G이 농축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은 체중 증가를 조절하고, 조직 지방 함량을 낮추고, 공복 혈당 수준을 낮추고, 그리고 총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설명된다.
실시예 53
DIO 마우스에서 무탐바(MUTAMBA) 에탄올 추출물 32의 효과
실시예 32에 따라 생성된 무탐바(Mutamba) 에탄올 추출물 32는 실시예 48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DIO 마우스 모델에게 경구로 투여되었다. 무탐바(Mutamba) 추출물은 일일 동물 체중 kg 당 1000 mg으로 처리 집단 G1에게 투여되었다. G1 처리 집단 동물은 일일 500 mg/kg의 경구 투여분량을 위관영양법에 의해 2회 제공받았다. 동물의 체중 측정의 연구 결과는 표 5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23
표 52의 데이터는 무탐바(Mutamba) 에탄올 추출물 32, 1000 mg/kg/일일 처리 집단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3주차에서 7주차까지 체중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있음을 보여준다. 양성 대조 SIB (10 mg/kg로 투여된 시부트라민)는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연구 1, 2, 3 및 7주차 부터 전체 체중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있음을 보여준다.
동물의 체중 증가의 연구 결과는 표 5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24
표 53의 데이터는 무탐바(Mutamba) 에탄올 추출물 32, 1000 mg/kg/일일 처리 집단과 양성 대조 처리 집단 SIB 그리고 ORI 모두 다 연구 기간의 모든 주간에 걸쳐 체중 증가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는 것을 나타낸다.
체중 증가, 음식 섭취, 그리고 식이 효율 (FER)에 대한 처리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를 표 54에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25
표 54에서 제시되는 데이터는 일일 평균 체중 증가와 식이 효율 (FER) 목표는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무탐바(Mutamba) 및 SIB 처리 집단에서 유의적으로 낮아졌음을 보여준다 ORI 처리는 일일 평균 체중 증가, 일일 평균 음식 섭취량 및 식이 효율 (FER)을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표 55에는 혈액 생화학 매개변수에 대한 처리 효과의 연구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26
표 55의 데이터에서는 무탐바(Mutamba), ORI 및 SIB 처리 집단은 모두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LDL-콜레스테롤의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낸 것을 보여준다.
표 56은 DIO 마우스에서 지방 간의 몇 가지 조직 병리학적 측정에 있어서 무탐바(Mutamba) 에탄올 추출물 32의 처리 효과와 간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NASH) 수치로 산출된 결과를 보여준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27
표 56의 데이터는 지방의 고유한 보통 칼로리를 가진 정상 식이요법이 공급된 ND 대조 집단과 HFD 집단 사이에 지방증, 소엽성 염증, 간세포 벌룬 현상 그리고 NASH 수치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처리 집단 G1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지방증, 간세포 벌룬 현상 및 NASH 수치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다. SIB 처리 집단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지방증, 소엽성 염증, 간세포 벌룬 현상 그리고 NASH 수치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ORI 처리 집단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임의의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들 데이터는 무탐바(Mutamba) 추출물 32가 고지방 식이요법을 공급받은 마우스에 존재하는 간 손상 정도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전반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는 무탐바(Mutamba) 에탄올 추출물 32가 고지방 식이요법을 공급받은 마우스에서 체중 및 LDL 혈중 콜레스테롤 그리고 지방 간을 낮추는데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54
DIO 마우스에서 무탐바(MUTAMBA) 에탄올 추출물 33-2의 효과
실시예 33에 따라 만들어진 무탐바(Mutamba) 에탄올 추출물 33-2는 실시예 48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DIO 마우스에게 경구로 투여되었다. 무탐바(Mutamba) 추출물은 일일 동물 체중 kg 당 1000 mg으로 처리 집단 G1에게 투여되었다. G1 처리 집단 동물은 무탐바(Mutamba) 33-2의 경구 투여분량 1000 mg/kg을 위관영양법을 통하여 일일 2회 제공받았다. G2 처리 집단 동물은 무탐바(Mutamba) 에탄올 추출물 33-2 의 경구 투여분량 500 mg/kg을 위관영양법을 통하여 일일 2회 제공받았다. 동물의 체중 증가 측정의 연구 결과는 표 57에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28
표 57의 데이터에서 무탐바(Mutamba) 에탄올 추출물 33-2, 1000 mg/kg/일일 처리 집단은 연구 5, 6 및 8주차 시점에 체중 증가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여주었다. G2, 500 mg/kg/일일 처리 집단은 연구 1 및 2주차 시점에 체중 증가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여주었다.
체중 증가, 음식 섭취, 그리고 식이 효율 (FER)에 있어서 처리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를 표 58에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29
표 58에서 제시되는 데이터는 일일 평균 체중 증가와 식이 효율 (FER) 목표는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무탐바(Mutamba) 에탄올 추출물 33-2, 1000 mg/kg/일일 처리 집단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으로 낮아졌음을 보여준다.
표 59에는 혈액 생화학 매개변수에 대한 처리 효과의 연구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30
표 59의 데이터는 무탐바(Mutamba) 추출물 33-2, 1000 mg/kg/일일 처리 집단에서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방식으로 LDL-콜레스테롤이 감소되었음을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서 제시된 데이터는 대상 체중 kg당 1000mg의 무탐바(Mutamba) 추출물 33-2가 투여되었을 때, 체중 증가, 식이 효율 및 LDL-콜레스테롤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결과는 무탐바(Mutamba) 추출물 33-2이 체중 및 혈중 콜레스테롤 조절물질로 이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55
DIO 마우스 모델에서 무탐바(MUTAMBA) 분획물 34, 34-1, 및 34-2의 효과 연구
실시예 34에 따라 만들어진 무탐바(Mutamba) 분획물 34, 34-1, 및 34-2는 실시예 48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DIO 마우스에게 경구로 투여되었다. 3가지 무탐바(Mutamba) 분획 처리 집단은 다음과 같다: G1, 250mg/kg의 EtOA 분획 34; G2, 250mg/kg의 BuOH 분획 34-1; 그리고 G3, 250 mg/kg의 물분획 34-2. 처리 물품은 일일 2회 위관 영양법을 통하여 경구로 제공되었다.
무탐바(Mutamba) 처리 집단 (G1)의 EtOA 분획은 체중에 임의의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BuOH 분획 처리 집단 (G2)은 4, 6, 7, 및 8주차 시점에 체중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물 분획 처리 집단 (G3)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2 주차 시점에 체중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음을 보여주었다 (표 60).
Figure 112014127413805-pct00131
BuOH 분획 34-1 처리 집단 (G2) 체중 증가는 6, 7, 및 8 주차에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이와는 다르게, EtOA 분획 34 처리 집단 (G1)은 HFD 집단과 비교과 비교하였을 때, 1 주차에 유의적으로 감소된 체중을 보여주었고, 물 분획 34-2 처리 집단 (G3)은 2주차에 보여주었다 (표 61).
Figure 112014127413805-pct00132
마우스를 EtOA 분획 34 및 물 분획 34-1으로 처리되었을 때 FER에서 유의적인 변화는 없었지만, BuOH 분획 34-1 처리 집단은 경계선상 변화가 있었다 (표 62).
Figure 112014127413805-pct00133
무탐바(Mutamba)의 BuOH 분획 34-1 처리 집단 (G2)에서, ALT, HDL-C 및 TG는 유의적인 변화를 보였다 (표 63).
Figure 112014127413805-pct00134
고지방 식이요법와 비교하였을 때, BuOH 분획 34-1 (G2) 및 물 분획 34-2 (G3) 처리 집단은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된 NASH 수치를 보여주었다 (표 64).
Figure 112014127413805-pct00135
결과에서 명백하게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250mg/kg BuOH 분획 34-1 처리 집단은 유의적으로 감소된 체중 증가, FER, TG 및 NASH 수치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무탐바(Mutamba) BuOH 추출물 34-1은 체중 및 혈중 콜레스테롤 그리고 지방 간 조절물질로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 56
DIO 렛에서 무탐바(MUTAMBA) ETOH 추출물 32( 의 효과 연구
실시예 32에 따라 생성된 무탐바(Mutamba) 에탄올 추출물 32는 DIO 모델의 렛에게 일일 2회 500 mg/kg의 투여량으로 위관영양법에 의해 경구 투여되었다(실시예 49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무탐바(Mutamba) 처리 집단 (G3)에서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87, 91, 94 및 98일차에 체중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표 65).
Figure 112014127413805-pct00136
Figure 112014127413805-pct00137
무탐바(Mutamba) 처리 집단에서,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체중 증가가 감소되었다 (표 66).
Figure 112014127413805-pct00138
Figure 112014127413805-pct00139

무탐바(Mutmaba) 처리 집단은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체중 증가 (g/일일) 및 식이 효율 (FER)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표 67).
Figure 112014127413805-pct00140
무탐바(Mutamba) 처리 집단에서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온전한 장기 무게, 신장주위, 복막뒤 및 전체 지방 패드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표 68).
Figure 112014127413805-pct00141
이들 결과는 무탐바(Mutamba) 처리 집단에서 체중 및 체중 증가가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음을 보여준다. 처리 집단에서, FER (식이 효율) 및 내장지방 체중 또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따라서, 본 결과는 무탐바(Mutamba) 추출물이 체중 조절물질로 이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실시예 57
DIO 마우스에서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29와 복합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 15의 효과
실시예 15에 기술된 바에 따라 만들어진 모루스 알바(Morus alba)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 15와 실시예 29에 따라 만들어진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29은 복합되어 2:1 중량비로 혼합되었다. 복합 조성물은 동물 체중 kg당 300 mg(모루스는 200 mg/kg 그리고 매그놀리아는 100 mg/kg)의 투여량으로 실시예 48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DIO 마우스에게 경구 투여되었다. 연구 기간은 7주였다. 표 69는 체중 증가에 있어서 복합 조성물의 효과, 즉, 연구 시작 시점에서 측정된 체중과 비교하여 연구 각 시점에서 측정된 체중의 변화가 있다는 것을보여준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42
표 69의 데이터는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29와 복합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15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처리된 동물 (처리 집단 G1)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연구 2주차에서부터 7주차 시점까지 체중 증가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냄을 보여준다. 양성 대조 ORI (오르리스타트:비만방지약)는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연구 1주차에서부터 7주차 시점까지 체중 증가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냄을 보여준다.
표 70은 다음의 목표에 대하여 DIO 마우스에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15 및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29의 복합 조성물의 효과를 보여준다: 연구 각 일자별 평균 체중 증가, 연구 각 일자별 평균 음식 섭취, 그리고 연구 기간에 걸쳐 각 일자별 평균 체중 증가량을 각 일자별 평균 음식 섭취량으로 나누어 산출되는 식이 효율 (FER).
Figure 112014127413805-pct00143
표 70의 데이터는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29과 복합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15를 포함하는 조성물 (처리 집단 G1)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체중 증가를 줄이고, 음식 섭취량을 낮추고, 그리고 식이 효율을 낮추는데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냈음을 보여준다. ORI 양성 대조 처리 집단은 일일 체중 증가 및 식이 효율에서 HFD 집단보다 통계학적으로 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표 71은 전체 간 장기 무게, 3가지 지방 침착물의 무게: 정소상체 지방, 복막뒤 지방, 신장주위 지방, 그리고 전체 지방 (앞서 3가지 지방 조직의 합계)에 있어서 DIO 마우스에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15 및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29 복합 조성물의 효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44
표 71의 데이터는 지방의 고유한 보통 칼로리를 가진 정상 식이요법이 공급된 ND 집단과 HFD 집단 사이에 간, 정소상체 지방, 복막뒤 지방, 신장주위 지방 및 전체 지방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29과 복합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15의 조성물을 제공받은 처리 집단과 양성 대조 처리 집단 (ORI)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2가지 지방 침착 (정소상체 지방과 복막뒤 지방) 그리고 전체 지방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이들 데이터는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과 복합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의 조성물이 DIO 마우스에 존재하는 지방의 양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설명한다.
표 72는 연구 종료시에 획득된 DIO 마우스의 혈액 시료에서 측정된 공복 포도당 (F-Glu), 총 콜레스테롤 (T-chol) 그리고 LDL-콜레스테롤 (LDL-C)의 측정에서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29과 복합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15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효과를 보여준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45
표 46의 데이터는 복합 조성물 처리 집단 G1과 양성 대조 처리 집단 (ORI)에서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그리고 공복 포도당의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인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들 데이터는 DIO 마우스에게 300 mg/체중 kg으로 투여될 때 모루스 알바(Morus alba) 및 매그놀리아(Magnolia) 복합 조성물은 콜레스테롤과 공복 포도당 수준을 감소시키는데 있어서 효과적임을 설명한다.
실시예 58
DIO 마우스에서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26과 복합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 15의 효과
실시예 15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만들어진 모루스 알바(Morus alba)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 15과 실시예 26에 따라 만들어진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26은 1:5 중량비율로 복합 및 혼합되었다. 실시예 48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1200 mg/동물 체중 kg의 투여량으로 DIO 마우스에게 경구 투여되었다 (모루스의 경우 200 mg/Kg 그리고 예르바 마테의 경우 1000 mg/Kg 예르바 마테). 연구 기간은 7주였다. 표 73은 총 체중에 있어서 복합 조성물의 효과를 나타내고, 표 74는 체중 증가에 있어서 복합 조성물의 효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46
Figure 112014127413805-pct00147
표 73의 데이터는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15 그리고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26의 복합 조성물 처리 집단 (G1)내 동물들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연구 3주차에서부터 7주차까지 전체 체중의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양성 대조 ORI (40 mg/kg으로 투여된 비만방지약)는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연구 2주차에서부터 7주차까지 전체 체중의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표 74의 데이타는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15와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26의 복합 조성물의 처리 집단 (G1)내 동물과 양성 대조 ORI 집단의 동물은 도무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연구 1주차에서부터 7주차까지 체중 증가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표 75는 다음 목표에 대하여 DIO 마우스에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15와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26의 복합 조성물의 효과를 나타낸다: 연구 각 일자별 평균 체중 증가, 연구 각 일자별 평균 음식 섭취, 그리고 연구 기간에 걸쳐 각 일자별 평균 체중 증가량을 각 일자별 평균 음식 섭취량으로 나누어 산출되는 식이 효율 (FER).
Figure 112014127413805-pct00148
표 75의 데이터는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15와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26의 복합 조성물 처리 집단 G1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체중 증가를 낮추고, 음식 섭취량을 낮추고 그리고 식이 효율을 낮추는데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음을 보여준다. ORI 양성 대조 처리 집단은 일일 체중 증가 및 식이 효율에서 HFD 집단보다 통계학적으로 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표 76은 DIO 마우스의 복막뒤 지방의 무게에 대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15와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26의 복합 조성물의 효과를 보여준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49
표 76의 데이터는 지방의 고유한 보통 칼로리를 가진 정상 식이요법이 공급된 ND 집단과 HFD 집단 사이에 복막뒤 지방 중량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15와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26의 복합 조성물 처리 집단 G1 그리고 양성 대조 처리 집단 (ORI)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복막뒤 지방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이들 데이터는 모루스 알바(Morus alba) 및 예르바 마테(Yerba Mate) 복합 조성물은 DIO 마우스에 존재하는 복막뒤 지방의 양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설명한다.
표 77은 DIO 마우스에서 연구 종료시에 획득된 혈액 시료에서 측정된 공복 포도당 (F-Glu), 총 콜레스테롤 (T-chol), 트리글리세리드 그리고 LDL-콜레스테롤 (LDL-C)에 대한 모루스 알바(Morus alba) 15 그리고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26 복합 조성물의 효과를 보여준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50
표 77의 데이터는 복합 조성물 처리 집단 G1과 양성 대조 처리 집단 (ORI)에서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그리고 공복 포도당의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전반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시된 데이터는 모루스 알바(Morus alba)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 15 (200 mg/Kg) 및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26 (1000 mg/Kg)을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이 고지방 식이요법이 제공된 마우스에서 전체 체중과 체중 증가 속도를 낮추는데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59
DIO 마우스에서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21과 복합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 14의 효과
실시예 14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만들어진 모루스 알바(Morus alba)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 14와 실시예 21에 따라 만들어진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21은 2:5 중량비로 복합 및 혼합되었다. 실시예 48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700 mg/동물 체중 kg의 투여량으로 DIO 마우스에게 경구 투여되었다 (모루스의 경우 200 mg/Kg 그리고 로즈마리의 경우 500 mg/Kg). 연구 기간은 7주였다. 표 78은 총 체중에 있어서 복합 조성물의 효과를 나타내고, 표 79는 체중 증가에 있어서 복합 조성물의 효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51
Figure 112014127413805-pct00152
표 78의 데이터는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21과 복합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14로 처리된 동물 (처리 집단 G1)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연구 1주차에서 부터 7주차 시점까지 총 체중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냄을 보여준다. 양성 대조 ORI (40 mg/kg으로 투여된 오르리스타트:비만방지약)는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연구 1주차에서 부터 7주차 시점이 아닌 연구 2주차에서부터 6주차까지 전체 체중의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표 79의 데이타는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21과 복합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14를 제공받은 처리 집단(G1)의 동물과 양성 대조 ORI 집단은 모두다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연구 1주차에서 부터 7주차 시점까지 체중 증가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냄을 보여준다.
표 80은 다음의 목표에 대하여 DIO 마우스에서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21에 복합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14의 복합 조성물의 효과를 보여준다: 연구 각 일자별 평균 체중 증가, 연구 각 일자별 평균 음식 섭취, 그리고 연구 기간에 걸쳐 각 일자별 평균 체중 증가량을 각 일자별 평균 음식 섭취량으로 나누어 산출되는 식이 효율 (FER).
Figure 112014127413805-pct00153
표 80의 데이터에서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21에 복합된 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14의 복합 조성물 처리 집단 G1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일일 평균 체중 증가와 식이 효율을 낮추는데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음을 보여준다 ORI 양성 대조 처리 집단은 일일 평균 체중 증가, 일일 평균 음식물 섭취량 그리고 식이 효율에 대하여 HFD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더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표 81은 신장주위 지방의 무게에 있어서 DIO 마우스에서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21과 복합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14의 복합 조성물의 효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54
표 81의 데이터는 지방의 고유한 보통 칼로리를 가진 정상 식이요법이 공급된 ND 집단과 HFD 집단 사이에 신장주위 지방 중량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21과 복합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14 조성물 처리 집단 G1 그리고 양성 대조 처리 집단 (ORI)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신장주위 지방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이들 데이터는 모루스 알바(Morus alba) 및 로즈마리(Rosemary) 복합 조성물은 DIO 마우스에 존재하는 신장주위 지방의 양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설명한다.
전반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시된 데이터는 모루스 알바(Morus alba)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 14 (200 mg/Kg) 그리고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21 (500 mg/Kg)이 포함된 복합 조성물은 고지방 식이요법이 제공된 마우스에서 전체 체중과 체중 증가 속도를 낮추는데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60
DIO 마우스에서 모루스 알바(MORUS ALBA) ETOAC 분획의 에탄올 추출물 15와 복합된 무탐바(MUTAMBA) 에탄올 추출물 35의 효과 연구
실시예 35에 따라 만들어진 무탐바(Mutamba) 에탄올 추출물 35와 실시예 15에 따라 만들어진 모루스 알바(Morus alba) EtOAc 분획의 에탄올 추출물 15는 5:1의 비율로 혼합되었다. 복합된 조성물은 실시예 48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1200mg/kg (G1)의 투여량으로 일일 2회 위관영양법에 의해 DIO 마우스에게 경구 투여되었다(G1).
처리 집단 (G1)은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4, 5, 6 및 7주차에 체중 증가의 유의적으로 감소를 보였다 (표 82).
Figure 112014127413805-pct00155
처리 집단 (G1)에서 체중 증가는 실험 2주 후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표 83) 이러한 효과는 처리 종료때 까지 지속되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56
처리 집단 (G1)의 FER은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표 84)
Figure 112014127413805-pct00157
처리 집단 (G1)의 포도당, 총 콜레스테롤 그리고 LDL-C는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표 85).
Figure 112014127413805-pct00158
처리 집단(G1)의 정소상체 지방 패드, 복막뒤 지방, 신장주위 지방 그리고 전체 지방 패드의 순수 무게는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표 86).
Figure 112014127413805-pct00159
전반적으로, 데이터는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15와 복합된 무탐바(Mutamba) 추출물 35로 처리된 DIO 마우스에서 체중 및 체중 증가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음을 보여준다. FER (식이 효율) 및 지방 무게 또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더욱이, 공복 포도당, 총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수준도 시료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과 무탐바(Mutamba) 추출물의 복합물이 체중, 포도당 수준, 그리고 콜레스테롤 수준 조절물질로 이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61
DIO 마우스에서 예르바 마테(YERBA MARTE) 추출물 26과 복합된 무탐바(MUTAMBA) 에탄올 추출물 35의 효과
실시예 35에 따라 만들어진 무탐바(Mutamba) 에탄올 추출물 35와 실시예 26에 따라 만들어진 마테(Mate) 추출물 26은 1:1 비율로 혼합되었다. 이중 복합 조성물은 실시예 48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DIO 마우스에게 2000mg/kg의 투여량으로 일일 2회 경구 투여되었다(G1).
처리 집단 (G1)에서 체중 증가는 실험 3주 후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표 87) 이러한 효과는 처리 종료때 까지 지속되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60
처리 집단 (G1)에서 FER은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표 87).
Figure 112014127413805-pct00161

이들 데이터는 처리 집단 (G1)에서 체중 증가 및 FER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무탐바(Mutamba) 추출물과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의 복합물은 체중 조절물질로 이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62
DIO 마우스에서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29와 복합된 무탐바(MUTAMBA) 에탄올 추출물 35의 효과 연구
실시예 35에 따라 만들어진 무탐바(Mutamba) 에탄올 추출물 35와 실시예 29에 따라 만들어진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29는 10:1의 비율로 혼합되었다. 이중 복합 조성물은 실시예 48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DIO 마우스에게 1100mg/kg의 투여량으로 일일 2회 경구 투여되었다(G1).
처리 집단 (G1)에서 체중 증가는 실험 3주 후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표 88) 이러한 효과는 처리 종료때 까지 지속되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62
처리 집단 (G1)에서 FER은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변화되었다(표 89).
Figure 112014127413805-pct00163
처리 집단 (G1)에서 TG는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표 90).
Figure 112014127413805-pct00164
처리 집단 (G1)에서 NASH 수치는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표 91).
Figure 112014127413805-pct00165
이들 데이터는 처리 집단 (G1)에서 체중 증가 및 FER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음을 보여준다. 더욱이, TG 및 NASH 수치 또한 처리 집단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과 복합된 무탐바(Mutamba) 추출물이 체중, 콜레스테롤 수준, 그리고 지방 간 조절물질로 이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63
DIO 마우스에서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29 그리고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26과 복합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 17의 효과 연구
실시예 17에 따라 만들어진 모루스 알바(Morus alba)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 17, 실시예 29에 따라 만들어진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29, 실시예 26에 따라 만들어진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26, 그리고 실시예 21에 따라 만들어진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21은 실시예 48에서 기술된 DIO 마우스 모델에서 개별적으로 테스트되거나 또는 복합되었다. 모루스, 매그놀리아, 그리고 예르바 마테 추출물의 복합은 2:1:5 중량비의 비율로 혼합되어 복합 조성물 1A가 만들어졌다.
DIO 마우스는 8개의 처리 집단으로 나뉘었다; HFD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 ORI (비만방지약, 40 mg/kg/일일, 일일 2회), 복합 조성물 처리 집단 G1 (모루스, 매그놀리아, 그리고 마테 조성물 1A, 800 mg/kg/일일), 처리 집단 G2 (매그놀리아 추출물 29, 100 mg/kg/일일), 처리 집단 G3 (예르바 마테 추출물 26, 500 mg/kg/일일), 처리 집단 G4 (모루스 추출물, 200 mg/kg/일일) 그리고 2개의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21 처리 집단 (G5, 500mg/kg/일일 그리고 G6, 1000 mg/kg/일일). 모든 테스트 시료는 실시예 48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DIO 마우스에게 경구 투여되었다. 각 처리 집단의 일일 투여량은 절단으로 분할되어, 일일 2회 투여되었다. 연구 기간은 8주였다. DIO 마우스에서 이들 처리 효과는 총 체중에 대하여 표 92 그리고 체중 증가에 대하여 표 9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66
Figure 112014127413805-pct00167
Figure 112014127413805-pct00168

표 92는 모루스-매그놀리아-마테 조성물 1A로 처리된 마우스 (처리 집단 G1) 그리고 양성 대조 ORI는 모두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2주차에서 8주차까지 총 체중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매그놀리아(Magnolia)처리 집단 (G2)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3주차에서 8주차까지 체중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모루스(Morus) 처리 집단 (G4)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4주차에서 5주차까지 체중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높은 투여분량의 로즈마리(Rosemary)(1000 mg/Kg/일일) 처리 집단 (G6)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4주차에서 8주차까지 체중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예르바 마테(Yerba Mate) 처리 집단 (G3)과 낮은 투여분량의 로즈마리(Rosemary)(500 mg/Kg/일일) 처리 집단 (G5)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연구 기간 동안 체중에서 어떠한 통계학적 유의적인 감소가 없었음을 보여준다.
표 93는 모루스-매그놀리아-마테 복합 조성물 1A (처리 집단 G1), 매그놀리아 처리 집단 (G2), 로즈마리(Rosemary)(1000 mg/Kg/일일) 처리 집단 G6, 그리고 양성 대조 ORI 집단의 동물은 도무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1주차에서 8주차까지 체중 증가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모루스 처리 집단 (G4)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1주차에서 6주차까지 체중 증가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낮은 투여분량의 로즈마리(Rosemary)(500 mg/Kg/일일) 처리 집단 (G5)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2주차에서 7주차까지 체중 증가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예르바 마테 처리 집단 (G3)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연구 기간 동안 체중 증가에 있어서 어떠한 통계학적 유의적인 감소가 없었다.
표 94에서 개별 추출물 뿐만 아니라 복합 동물은 치료 시작시 음식 섭취량의 더 많은 감소를 유도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69
Figure 112014127413805-pct00170

표 95에서 모루스-매그놀리아-마테 복합 조성물 1A (처리 집단 G1), 매그놀리아 처리 집단 (G2), 높은 투여분량 로즈마리(1000 mg/Kg/일일) 처리 집단 G6, 그리고 양성 대조 ORI 집단의 동물은 도무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평균 체중 증가 및 FER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다. 예르바 마테 처리 집단 (G3) 및 낮은 투여분량의 로즈마리(500 mg/Kg/일일) 처리 집단 (G5)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음식 섭취량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모루스 처리 집단 (G4)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일일 평균 체중 증가, FER, 또는 음식 섭취량에서 임의의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지 않았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71
표 96에서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모루스 처리 집단 (G4)과 매그놀리아 처리 집단 (G2)에서 정소상체 지방 패드, 복막뒤 지방, 그리고 신장주위 지방의 순수 무게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음을 볼 수 있다.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모루스-매그놀리아-마테 조성물 1A 처리 집단 (G1)과 낮은 투여분량의 로즈마리(500 mg/Kg/일일) 처리 집단 (G5)에서 신장주위 지방의 순수 무게가 또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모루스-매그놀리아-마테 조성물 1A 처리 집단 (G1), 매그놀리아 처리 집단 (G2), 그리고 양성 대조 ORI 집단에서 순수 간 무게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72
표 97은 상대적인 장기 무게는 순수 장기 무게에 대하여 나타낸 결과(표 96에 나타냄)와 유사함을 보여준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73
실시예 64
DIO 마우스에서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29A 그리고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27 과 복합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 18 의 효과
실시예 18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만들어진 에탄올 추출물 18로부터 모루스 알바(Morus alba) 침전물, 실시예 29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만들어진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29A, 그리고 실시예 27에 따라 만들어진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27은 복합되어, 2:1:10 중량비로 혼합됨으로써 실시예 38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복합 조성물 1이 만들어졌다. 조성물 1은 상이한 2가지 투약량으로 실시예 48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DIO 마우스에 일일 2회 경구로 투여되었다. 처리 집단 G1에게는 동물 체중 kg 당 650 mg(100 mg/Kg 모루스, 50 mg/Kg 매그놀리아, 그리고 마테 500 mg/Kg)가 투여되었으며, 처리 집단 G2에게는 동물 체중 kg 당 1300 mg (200 mg/Kg 모루스, 100 mg/Kg 매그놀리아, 그리고 1000 mg/Kg 마테)가 투여되었다. 연구 기간은 7주였다. 표 98은 체중 증가에 있어서 조성물 1의 효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74
표 98의 데이터는 조성물 1 (모루스, 매그놀리아, 및 마테) 처리 집단 (G1)과 양성 대조 ORI 집단에서 동물은 도무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1주차 내지 7주차 까지 체중 증가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음을 보여준다. 처리 집단 (G2)는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2주차 내지 7주차 까지 체중 증가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음을 보여준다.
표 99는 다음의 목표에 대하여 DIO 마우스에서 조성물 1 (모루스, 매그놀리아, 및 마테)의 효과를 보여준다: 연구 각 일자별 평균 체중 증가, 연구 각 일자별 평균 음식 섭취, 그리고 연구 기간에 걸쳐 각 일자별 평균 체중 증가량을 각 일자별 평균 음식 섭취량으로 나누어 산출되는 식이 효율 (FER).
Figure 112014127413805-pct00175
표 99의 데이터는 조성물 1 (모루스, 매그놀리아 및 마테) 처리 집단 G1이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일일 평균 체중 증가와 식이 효율을 낮추는데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음을 보여준다 처리 집단 G2는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일일 평균 체중 증가와 음식물 섭취량을 낮추는데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식이 효율에서 효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이지 않았다. ORI 양성 대조 처리 집단은 일일 평균 체중 증가, 일일 평균 음식물 섭취량 그리고 식이 효율에 대하여 HFD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더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표 100은 DIO 마우스에서 연구 종료시 획득된 채혈 시료에서 측정될 때 알라닌 아민전이효소 (ALT), 아스타르트산염 아민전이효소 (AST), 트리글리세리드 (TG), 총 콜레스테롤 (T-chol), 그리고 LDL-콜레스테롤 (LDL-C)의 측정에 대하여 조성물 1 (모루스, 매그놀리아 및 마테)의 효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76
표 100의 데이터는 조성물 1 (모루스, 매그놀리아 및 마테) 처리 집단 G1이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ALT, AST, 트리글리세리드, 그리고 LDL-콜레스테롤의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처리 집단 G2는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ALT, AST, 트리글리세리드의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한편 ORI 처리 집단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ALT 및 LDL-콜레스테롤의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표 101은 DIO 마우스에서 지방 간의 몇 가지 조직 병리학적 측정에 있어서 조성물 1 (모루스, 매그놀리아 및 마테)의 처리 효과와 간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NASH) 수치로 산출된 결과를 보여준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77
표 101의 데이터는 지방의 고유한 보통 칼로리를 가진 정상 식이요법이 공급된 ND 대조 집단과 HFD 집단 사이에 지방증, 간세포 벌룬 현상 그리고 NASH 수치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처리 집단 G1 및 ORI 처리 집단은 모두다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지방증, 간세포 벌룬 현상 및 NASH 수치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다. 처리 집단 G2는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간세포 벌룬 현상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다. 이들 데이터는 조성물 1 (모루스, 매그놀리아 및 마테)이 고지방 식이요법을 공급받은 마우스에 존재하는 간 손상 정도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전반적으로, 실시예 48에서 제시된 데이터는 모루스-매그놀리아-마테 복합 조성물이 고지방 식이요법이 제공된 마우스에서 체중과 체중 증가 속도를 낮추는데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65
DIO 렛에서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29A 그리고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27와 복합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 18 의 효과
실시예 18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만들어진 에탄올 추출물 18로부터 모루스 알바(Morus alba) 침전물, 실시예 29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만들어진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29A, 그리고 실시예 27에 따라 만들어진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27은 복합되어, 2:1:10 중량비로 혼합됨으로써 실시예 38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복합 조성물 1이 만들어졌다. 조성물 1은 상이한 2가지 투약량으로 실시예 49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DIO 마우스에 일일 2회 경구로 투여되었다. 처리 집단 G1에게는 동물 체중 kg 당 650 mg(100 mg/Kg 모루스, 50 mg/Kg 매그놀리아, 그리고 마테 500 mg/Kg)가 투여되었으며, 처리 집단 G2에게는 동물 체중 kg 당 1300 mg (200 mg/Kg 모루스, 100 mg/Kg 매그놀리아, 그리고 1000 mg/Kg 마테)가 투여되었다. 연구 기간은 55 일이었다. 표 102는 체중 증가에 있어서 모루스, 매그놀리아 및 마테 조성물 1의 효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78
표 102의 데이터는 조성물 1 (모루스, 매그놀리아 및 마테) 처리 집단 (G1)의 동물이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14일 부터 55일 까지 체중 증가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음을 보여준다 처리 집단 (G2)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3일, 10일, 14일 그리고 21일 부터 55일 까지 체중 증가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음을 보여준다 처리 집단 (ORI)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7일 부터 55일 까지 체중 증가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음을 보여준다
표 103은 다음의 목표에 대하여 DIO 마우스에서 조성물 1 (모루스, 매그놀리아 및 마테)의 효과를 나타낸다: 연구 각 일자별 평균 체중 증가, 연구 각 일자별 평균 음식 섭취, 그리고 식이 효율 (FER).
Figure 112014127413805-pct00179
표 103의 데이터는 조성물 1 (모루스, 매그놀리아 및 마테) 처리 집단 G1 및 G2는 모두다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일일 평균 체중 증가와 식이 효율을 낮추는데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음을 보여준다 ORI 양성 대조 처리 집단은 일일 평균 체중 증가, 일일 평균 음식물 섭취량 그리고 식이 효율에 대하여 HFD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더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표 104에서는 고지방 식이를 하는 렛에서 지방 함량이 증가된 것으로 알려진 몇몇 특정 조직에 있어서 조성물 1 (모루스, 매그놀리아 및 마테)의 효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80
표 104의 데이터는 지방의 고유한 보통 칼로리를 갖는 정상 영양 식이요법을 공급받은 ND 대조군과 HFD 집단 간에 정소상체 지방, 복막뒤 지방, 신장주위 지방 그리고 전체 지방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조성물 1 (모루스, 매그놀리아 및 마테)이 고지방 식이요법을 공급받은 렛에게서 지방 축적을 낮추는데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효과를 가졌음을 보여줌으로써, 처리 집단 ORI, G1 및 G2는 모두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모든 지방 측정 범주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표 105는 DOI 마우스에서 지방 간의 몇 가지 조직 병리학적 측정에 있어서 조성물 1 (모루스, 매그놀리아 및 마테)의 처리 효과와 간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NASH) 수치로 산출된 결과를 보여준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81
표 105의 데이터는 조성물 1 (모루스, 매그놀리아 및 마테) 처리 집단 G1 및 G2, 뿐만 아니라 양성 대조 처리 집단 (ORI) 모두다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지방증, 소엽성 염증, 간세포 벌룬 현상 그리고 NASH 수치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들 데이터는 조성물 1 (모루스, 매그놀리아 및 마테)이 고지방 식이요법을 공급받은 마우스에 존재하는 간 손상 정도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표 106에서는 DIO 마우스에서 연구 종료시 획득된 채혈 시료에서 측정될 때 알라닌 아민전이효소 (ALT), 아스타르트산염 아민전이효소 (AST), 트리글리세리드 (TG) 측정에 대하여 조성물 1 (모루스, 매그놀리아 및 마테)의 효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82
표 106의 데이터는 조성물 1 (모루스, 매그놀리아 및 마테) 처리 집단 G1 및 G2에서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AST 및 총 포도당의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한편 ORI 처리 집단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임의의 측정된 혈액 성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없었다.
전반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시된 데이터는 조성물 1 (모루스, 매그놀리아 및 마테)이 고지방 식이요법이 제공된 렛에서 체중과 체중 증가 속도를 낮추는데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주고, 렛의 생리에 있어서 고지방 식이요법의 영향을 나타내는 다수의 측도를 낮추는데 효과적이었다.
실시예 66
DIO 마우스에서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24 그리고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27에 복합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 침전 18의 효과
실시예 18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만들어진 에탄올 추출물 18 로부터 모루스 알바(Morus alba), 실시예 24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만들어진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24, 그리고 실시예 27에 따라 만들어진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27은 복합되어, 2:5:10 중량비로 혼합됨으로써 실시예 39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복합 조성물 3이 만들어졌다 모루스-로즈마리-마테 복합 조성물 3은 실시예 48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DIO 마우스에 일일 2회 경구로 투여되었다. 처리 집단 G1에게 하루에 동물 체중 kg당 복합 조성물 1700 mg (200 mg/Kg 모루스, 500 mg/Kg 로즈마리, 그리고 마테 1000 mg/Kg)을 2개의 투여분량으로 나누어 투여하였다. 연구 기간은 7주였다. 표 107은 체중 증가에 있어서 조성물 3의 효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83
표 107의 데이터는 조성물 3 처리 집단 (G1) 및 양성 대조 처리 집단 (ORI) 동물은 도무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1주차에서 7주차까지 체중 증가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표 108은 다음 목표에 대하여 DIO 마우스에서 조성물 3의 효과를 나타낸다: 연구 각 일자별 평균 체중 증가, 연구 각 일자별 평균 음식 섭취, 그리고 연구 기간에 걸쳐 각 일자별 평균 체중 증가량을 각 일자별 평균 음식 섭취량으로 나누어 산출되는 식이 효율 (FER).
Figure 112014127413805-pct00184
표 108의 데이터는 처리 집단 G1 및 ORI 처리 집단은 모두에서 조성물 3이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일일 평균 체중 증가, 일일 음식물 섭취량을 낮추고, 낮은 식이 효율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음을 보여준다
표 109는 DIO 마우스에서 연구 종료시 획득된 채혈 시료에서 측정될 때 알라닌 아민전이효소 (ALT), 아스타르트산염 아민전이효소 (AST), 그리고 트리글리세리드 (TG)에 대하여 조성물 3의 효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85
표 109의 데이터는 복합 조성물 처리 집단 G1이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ALT, AST, 그리고 총 포도당의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대조적으로, ORI 처리 집단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ALT의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표 110은 DIO 마우스에서 지방 간의 몇 가지 조직 병리학적 측정에 있어서 조성물 3의 처리 효과와 간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NASH) 수치로 산출된 결과를 보여준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86
표 110의 데이터는 지방의 고유한 보통 칼로리를 가진 정상 식이요법이 공급된 ND 대조 집단과 HFD 집단 사이에 지방증의 무게, 간세포 벌룬 현상 및 NASH 수치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처리 집단 G1 및 ORI 처리 집단은 모두다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지방증, 간세포 벌룬 현상 및 NASH 수치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다. 이들 데이터는 조성물 3이 고지방 식이요법을 공급받은 마우스에 존재하는 간 손상 정도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전반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시된 데이터는 모루스-로즈마리-마테 복합 조성물 3이 고지방 식이요법이 제공된 마우스에서 체중과 체중 증가 속도를 낮추는데 효과적이고, 마우스의 생리에 있어서 고지방 식이요법의 영향을 나타내는 다수의 척도를 낮추는데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67
DIO 렛에서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24 그리고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27과 복합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 18의 효과
실시예 18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만들어진 에탄올 추출물 18 모루스 알바(Morus alba) 침전물, 실시예 24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만들어진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24, 그리고 실시예 27에 따라 만들어진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27은 복합되어, 2:1:10 중량비로 혼합됨으로써 실시예 39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복합 조성물 3이 만들어졌다. 조성물 3은 실시예 40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DIO 마우스에 일일 2회 경구로 투여되었다. 처리 집단 G1에게 하루에 동물 체중 kg당 복합 조성물 850 mg (100 mg/Kg 모루스, 250 mg/Kg 로즈마리, 그리고 마테 500 mg/Kg)을 2개의 투여분량으로 나누어 투여하였다. 처리 집단 G2에게 하루에 조성물 3을 동물 체중 kg당 1700 mg (200 mg/Kg 모루스, 500 mg/Kg 로즈마리, 그리고 마테 1000 mg/Kg)을 2개의 투여분량으로 나누어 투여하였다. 연구 기간은 55 일이었다. 표 111은 DIO 렛의 체중 증가에 있어서 조성물 3의 효과를 보여준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87
표 111의 데이터는 조성물 3 처리 집단 (G1) 및 (G2)의 동물은 도무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3일 부터 55일 까지 체중 증가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음을 보여준다. 대조 처리 집단 (ORI)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7일 부터 55일 까지 체중 증가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음을 보여준다
표 112는 다음 목표에 대하여 DOI 렛에서 조성물 3의 효과를 나타낸다: 연구 각 일자별 평균 체중 증가, 연구 각 일자별 평균 음식 섭취, 그리고 연구 기간에 걸쳐 각 일자별 평균 체중 증가량을 각 일자별 평균 음식 섭취량으로 나누어 산출되는 식이 효율 (FER).
Figure 112014127413805-pct00188
표 112의 데이터는 조성물 3 처리 집단 G1 및 G2는 모두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일일 평균 체중 증가와 더 낮은 식이 효율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음을 보여준다. ORI 양성 대조 처리 집단은 일일 평균 체중 증가, 일일 평균 음식물 섭취량 그리고 식이 효율에 대하여 HFD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더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표 113은 고지방 식이를 하는 렛에서 지방 함량이 증가된 것으로 알려진 몇몇 특정 조직에 있어서 모루스-로즈마리-마테 복합 조성물 (Lot# IRM-1101)의 효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89
표 113의 데이터는 지방의 고유한 보통 칼로리를 갖는 정상 영양 식이요법을 공급받은 ND 대조군과 HFD 집단 간에 정소상체 지방, 복막뒤 지방, 신장주위 지방 그리고 전체 지방의 무게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조성물 3 처리 집단 G1 및 G2, 뿐만 아니라 양성 대조 처리 집단 (ORI)은 모두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정소상체 지방, 복막뒤 지방, 신장주위 지방 및 전체 지방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이들 데이터는 조성물 3이 DIO 렛에 존재하는 지방의 양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표 114는 DIO 렛에서 지방 간의 몇 가지 조직 병리학적 측정에 있어서 조성물 3의 처리 효과와 간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NASH) 수치로 산출된 결과를 보여준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90
표 114의 데이터는 지방의 고유한 보통 칼로리를 가진 정상 식이요법이 공급된 ND 대조 집단과 HFD 집단 사이에 지방증, 간세포 벌룬 현상 그리고 NASH 수치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조성물 3 처리 집단 G1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소엽성 염증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다. 조성물 3 처리 집단 G2 및 ORI 양성 대조 처리 집단은 모두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지방증, 간세포 벌룬 현상 및 NASH 수치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다. 이들 데이터는 조성물 3이 고지방 식이요법을 공급받은 렛에 존재하는 간 손상 정도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표 115는 DIO 마우스에서 연구 종료시 획득된 채혈 시료에서 측정될 때 알라닌 아민전이효소 (ALT), 아스타르트산염 아민전이효소 (AST), 알칼리 포스파타아제(ALP), 총 콜레스테롤 (T-chol), 트리글리세리드 (T-Glu), 및 LDL-콜레스테롤 (LDL-C) 측정에 대하여 조성물 3의 처리 효과를 보여준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191
표 115의 데이터는 복합 조성물 처리 집단 G1과 HFD 집단을 비교하였을 때, AST, ALP, 총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처리 집단 G2는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AST, ALT, AST, ASP, 총-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및 LDL-콜레스테롤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한편 ORI 처리 집단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임의의 측정된 혈액 성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없었다.
전반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시된 데이터는 모루스-로즈마리-마테 복합 조성물 3이 체중과 체중 증가 속도를 낮추는데 효과적이고, 마우스의 생리에 있어서 고지방 식이요법의 영향을 나타내는 다수의 상이한 척도를 낮추는데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68
DIO 마우스에서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29 그리고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26 에 복합된 무탐바(MUTAMBA) 에탄올 추출물 35의 효과 연구
실시예 35에 따라 만들어진 무탐바(Mutamba) 에탄올 추출물 35 그리고 실시예 29에 따라 만들어진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29 그리고 실시예 26에 따라 만들어진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26은 3가지 성분 비율을 5:1:5로 혼합 복합되어 조성물 10이 만들어졌다. 복합된 3가지 요소 조성물은 실시예 48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1,100mg/kg의 투여량으로 일일 2회 DIO 마우스에게 경구 투여되었다(G1).
마우스의 총 체중은 무탐바:매그놀리아:예르바 마테 조성물 10으로 처치된 집단 (처리 집단 G1)에서 3주 후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표 116).
Figure 112014127413805-pct00192
무탐바:매그놀리아:예르바 마테 조성물 10 처리 집단 (G1)에서 체중 증가는 처리 1주후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표 117).
Figure 112014127413805-pct00193
식이 효율 (FER)은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처리 집단(G1)에서 유의적으로 더 낮았다 (표 118).
Figure 112014127413805-pct00194
혈장 포도당 및 TG는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무탐바:매그놀리아:예르바 마테 조성물 10 처리 집단 (G1)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표 119).
Figure 112014127413805-pct00195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처리 집단(G1)에서 간과 신장주위 지방 패드의 순수 무게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표 120).
Figure 112014127413805-pct00196
처리 집단 (G1)에서 NASH 수치는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표 121).
Figure 112014127413805-pct00197
이들 데이터는 체중, 체중 증가, FER (식이 효율), 내장지방 무게 및 간에서 NASH 수치가 무탐바:매그놀리아:예르바 마테(Yerba Mate) 조성물 10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들 삼중 복합물을 이용한 처리에 의해 TG도 감소되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조성물 10에서 제공된 무탐바:매그놀리아:예르바 마테 복합물 조성물이 체중 감소물질, 뿐만 아니라 이상지질혈증 및 지방 간 감소물질로 유용함을 보여준다.
실시예 69
DIO 마우스에서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29 그리고 모루스 알바(MORUS ALBA)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 15과 복합된 무탐바(MUTAMBA) ETOH 추출물 35의 효과 연구
실시예 35에 따라 만들어진 무탐바(Mutamba) 에탄올 추출물 35, 실시예 29에 따라 만들어진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29그리고 실시예 15에 따라 만들어진 모루스 알바(Morus alba)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 15은 3가지 성분 비율을 5:1:2로 혼합 복합되어 조성물 2가 만들어졌다. 복합된 3가지 요소 조성물 2는 실시예 48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800mg/kg의 투여량으로 일일 2회 DIO 마우스에게 경구 투여되었다(G1).
무탐바:매그놀리아:모루스 조성물 2의 처리 집단 (G1)에서 처리 2주후 체중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표 122).
Figure 112014127413805-pct00198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여무탐바:매그놀리아:모루스 조성물 2의 처리 집단 G1 에서 처리 1주후 체중 증가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표 123).
Figure 112014127413805-pct00199
식이 효율 (FER)은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무탐바:매그놀리아:모루스 조성물 2의 처리 집단 (G1)에서 유의적으로 더 낮았다(표 124).
Figure 112014127413805-pct00200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여 무탐바:매그놀리아:모루스 조성물 2의 처리 집단 (G1)에서 ALP 및 총 콜레스테롤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표 125).
Figure 112014127413805-pct00201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처리 집단(G1)에서 간과 신장주위 지방 패드의 순수 무게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표 126).
Figure 112014127413805-pct00202
고지방 식이요법과 비교하여 무탐바:매그놀리아:모루스 조성물 2의 처리 집단 (G1)에서 NASH 수치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표 127).
Figure 112014127413805-pct00203
전체적으로 이들 결과는 무탐바:매그놀리아:모루스 조성물 2를 이용한 처리에 의해 총 체중, 체중 증가, FER (식이 효율), 내장지방 무게 및 간에서 NASH 수치가 유의적으로 감소됨을 보여준다. 또한, 이 복합물에 의한 처리에 의해 ALP 및 총 콜레스테롤이 감소되었다. 따라서, 무탐바:매그놀리아:모루스 조성물 2는 체중 감소물질, 이상지질혈증 및 지방 간 감소물질로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 70
DIO 마우스에서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26 및 모루스 알바(MORUS ALBA)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 15과 복합된 무탐바(MUTAMBA) ETOH 추출물 35의 효과 연구
실시예 35에 따라 만들어진 무탐바(Mutamba) 에탄올 추출물 35 그리고 실시예 26에 따라 만들어진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26, 그리고 실시예 15에 따라 만들어진 모루스 알바(Morus alba)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 15는 3가지 성분 비율이 5:5:2로 혼합되어 복합되었다. 3가지 요소 무탐바:예르바 마테:모루스 조성물 2는 실시예 48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1,200mg/kg의 투여량으로 일일 2회 DIO 마우스에게 경구 투여되었다(G1).
무탐바:예르바 마테:모루스 조성물 2의 처리 집단 (G1)에서 실험 처리 2주후 체중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표 128).
Figure 112014127413805-pct00204
무탐바:예르바 마테:모루스 조성물 2의 처리 집단 (G1)의 마우스에서 체중 증가는 처리 1주후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표 129).
Figure 112014127413805-pct00205
식이 효율 (FER)은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무탐바:예르바 마테:모루스 조성물 2의 처리 집단 (G1)에서 유의적으로 더 낮았다(표 130).
Figure 112014127413805-pct00206
TG는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무탐바:예르바 마테:모루스 조성물 2의 처리 집단 (G1)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표 131).
Figure 112014127413805-pct00207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무탐바:예르바 마테:모루스 조성물 2의 처리 집단 (G1)에서 간과 신장주위 지방 패드의 순수 무게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표 132).
Figure 112014127413805-pct00208
처리 집단 (G1)의 NASH 수치는 고지방 식이요법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표 133).
Figure 112014127413805-pct00209
전체적으로 이들 결과는 무탐바:예르바 마테:모루스 조성물 2를 이용한 처리에 의해 총 체중, 체중 증가, FER (식이 효율), 내장지방 무게 및 간에서 NASH 수치가 유의적으로 감소됨을 보여준다. 또한 이들 삼중 복합물을 이용한 처리에 의해 TG도 감소되었다. 따라서, 본 결과는 무탐바:예르바 마테:모루스 복합, 이를 테면 조성물 2가 체중 감소물질, 뿐만 아니라 이상지질혈증 및 지방 간 감소물질로 이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71
DIO 마우스에서 무탐바(MUTAMBA), 모루스 알바(MORUS ALBA) 그리고 매그놀리아(MAGNOLIA) 복합 조성물 2의 효과
실시예 36에 따라 만들어진 무탐바(Mutamba) 에탄올 추출물 36실시예 18에 따라 만들어진 에탄올 추출물 18로부터 모루스 알바(Morus alba) 침전물, 그리고 실시예 29에 따라 만들어진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29A의 복합물은 3가지 성분이 차례로 10:1:2로 혼합되어 만들어진다. 복합된 3가지 요소 조성물 2은 실시예 48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650mg/kg (G1 처리 집단) 및 1300mg/kg (G2 처리 집단)의 2가지 상이한 투약량으로 일일 2회 DIO 마우스에게 경구로 투여되었다.
낮은 투여분량의 처리 집단 (G1)은 총 체중에서 임의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지만, 높은 투여분량의 처리 집단 (G2)은 처리 3주 후 총 체중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표 134).
Figure 112014127413805-pct00210
낮은 투여분량의 처리 집단(G1)과 높은 투여분량의 처리 집단(G2) 투여분량의 처리 집단의 체중 증가는 투여 기간 동안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표 135).
Figure 112014127413805-pct00211
FER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오직 높은 투여분량의 처리 집단(G2)에서만 유의적으로 더 낮았다 (표 136). 낮은 투여분량의 처리 집단 (G1)은 음식 섭취량 (g/일일)에서만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212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여 높은 투여분량의 처리 집단 (G1)에서 ALP 및 TG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높은 투여분량의 처리 집단 (G2)의 경우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ALT, AST, 포도당, TG 및 LDL-콜레스테롤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표 137).
Figure 112014127413805-pct00213
높은 투여분량처리 집단 (G2)의 내장지방 패드 무게는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표 138).
Figure 112014127413805-pct00214
낮은 투여분량의 처리 집단 (G1)에서 NASH 수치에 임의의 변화는 없었지만, 높은 투여분량처리 집단 (G2)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표 139)
Figure 112014127413805-pct00215
전반적으로 이들 데이터는 무탐바(Mutamba): 모루스 알바(Morus alba):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복합, 이를 테면 조성물 2로 처리된 마우스에서 체중, 체중 증가, FER (식이 효율), 내장지방 무게 및 간에서 NASH 수치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무탐바(Mutamba): 모루스 알바(Morus alba): 매그놀리아(Magnolia) 조성물 2의 처리에 의해 ALT, AST, 포도당, TG 및 LDL-콜레스테롤가 감소되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무탐바(Mutamba): 모루스 알바(Morus alba): 매그놀리아(Magnolia) 복합이 체중, 이상지질혈증 및 지방 간 감소물질로 이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72
DIO 렛에서 무탐바(MUTAMBA), 모루스 알바(MORUS ALBA) 그리고 매그놀리아(MAGNOLIA) 복합된 조성물 2의 효과 연구
실시예 36에 따라 만들어진 무탐바(Mutamba) 에탄올 추출물 36실시예 18에 따라 만들어진 에탄올 추출물 18로부터 모루스 알바(Morus alba) 침전물, 그리고 실시예 29에 따라 만들어진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29A의 복합물은 3가지 성분이 차례로 10:1:2로 혼합되어 만들어진다. 복합된 3가지 요소 조성물 2은 실시예 49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650mg/kg (S3) 및 1,300mg/kg (S4)의 2가지 상이한 투약량으로 일일 2회 DIO 렛에게 경구로 투여되었다.
두 처리 집단은 모두 처리 기간 동안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체중 증가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음을 보여주었다 (표 140).
Figure 112014127413805-pct00216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낮은 투여분량의 S3과 높은 투여분량의 S4 처리 집단은 모두에서 체중 증가 (g/일일) 및 식이 효율 (FER)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표 141).
Figure 112014127413805-pct00217
낮은 투여분량 조성물 2 (S3)로 처리된 집단의 렛은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순수 장기 무게 뿐만 아니라 정소상체, 복막뒤, 신장주위 그리고 전체 지방 패드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높은 투여분량의 조성물 2 (S4)로 처리된 집단의 마우스는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순수 장기 무게 뿐만 아니라 정소상체, 복막뒤, 신장주위 그리고 전체 지방 패드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표 142).
Figure 112014127413805-pct00218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낮은 투여분량 S3과 높은 투여분량S4 처리 집단은 모두에서 지방증, 소엽성 염증, 간세포 벌룬 현상 그리고 NASH 수치가 감소되었다 (표 143).
Figure 112014127413805-pct00219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낮은 투여분량의 S3과 높은 투여분량의 S4 처리 집단은 모두에서 T-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TG) 및 LDL-콜레스테롤이 감소되었다 (표 144).
Figure 112014127413805-pct00220
전반적으로 이들 데이터는 무탐바(Mutamba), 모루스 알바(Morus alba) 및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의 혼합물로 처리된 마우스에서 FER (식이 효율), 내장지방 체중, 그리고 간에서 NASH 수치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무탐바(Mutamba), 모루스 알바(Morus alba) 및 매그놀리아(Magnolia)의 삼중 복합물에 의한 처리로 총-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TG) 및 LDL-콜레스테롤이 감소되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복합물 이를 테면 조성물 2는 체중 감소물질, 뿐만 아니라 이상지질혈증 그리고 지방 간 감소물질로 이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73
DIO 마우스에서 무탐바(MUTAMBA) 에탄올 추출물 35,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29,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26 그리고 모루스(MORUS) ETOAC 분획 15 혼합된 조성물 11의 효과
실시예 35에 따라 만들어진 무탐바(Mutamba) 에탄올 추출물 35, 실시예 29에 따라 만들어진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29, 실시예 26에 따라 만들어진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 26 그리고 실시예 15에 따라 만들어진 모루스 알바(Morus alba)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 15는 4가지 성분이 차례로 5:1:5:2의 비율로 혼합됨으로써 복합되었다. 복합된 4가지 요소 조성물 11은 실시예 48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1,300mg/kg의 총 투여량이 일일 2회 DIO 마우스에게 경구 투여되었다(G1).
무탐바:매그놀리아:예르바 마테:모루스 조성물 11이 제공된 처리 집단(G1)의 마우스에서 실험 동안 처리 2주 후 총 체중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표 145).
Figure 112014127413805-pct00221
무탐바:매그놀리아:예르바 마테:모루스 조성물 11의 처리 집단(G1)에서 실험 동안 처리 1주 후 체중 증가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표 146).
Figure 112014127413805-pct00222
식이 효율 (FER)은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처리 집단 (G1)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표 147).
Figure 112014127413805-pct00223
혈장 포도당, 총 콜레스테롤 및 TG는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처리 집단 G1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표 148).
Figure 112014127413805-pct00224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무탐바:매그놀리아:예르바 마테:모루스 조성물 11의 처리 집단 G1에서 간과 전체 지방 패드의 순수 무게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표 149).
Figure 112014127413805-pct00225
고지방 식이요법과 비교하여 무탐바:매그놀리아:예르바 마테:모루스 조성물 11의 처리 집단 (G1)에서 NASH 수치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표 150).
Figure 112014127413805-pct00226
전반적으로 이들 데이터는 무탐바(Mutamba), 매그놀리아(Magnolia), 예르바 마테(Yerba Mate) 그리고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의 혼합물로 처리된 마우스에서 총 체중, 체중 증가, FER (식이 효율), 내장지방 무게 및 간에서 NASH 수치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혈장 포도당, 총 콜레스테롤 및 TG도 이 복합물로 처리된 마우스에서 감소되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복합물 이를 테면 조성물 11이 체중 감소물질, 뿐만 아니라 이상지질혈증 및 지방 간 조절물질로 이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74
삼중 추출물 복합물은 체중 증가의 감소에 있어서 공조 효과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4가지 상이한 삼중 복합 조성물과 한 가지 사중 복합 조성물은 총 체중 및 체중 증가에 있어서 이들 조성물의 효과를 검사하기 위하여 실시예 48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식이요법에 의해 유도된 비만 (DIO) 마우스에서 테스트되었다. 테스트된 5가지 조성물은 다음과 같다:
(1) 실시예 63의 조성물 1A (3개 성분) - 매그놀리아(Magnolia)(100 mg/kg):모루스 알바(Morus alba) (200 mg/kg):예르바 마테(Yerba Mate) (500 mg/kg);
(2) 조성물 2A (3개 성분) - 매그놀리아(Magnolia)(100 mg/kg):모루스 알바(Morus alba) (200 mg/kg):무탐바(Mutamba) (500 mg/kg);
(3) 실시예 68의 조성물 10(3개 성분) - 매그놀리아(Magnolia)(100 mg/kg):예르바 마테(Yerba Mate) (500 mg/kg):무탐바(Mutamba) (500 mg/kg);
(4) 조성물 12 (3개 성분) - 모루스 알바(Morus alba) (200 mg/kg):예르바 마테(Yerba Mate) (500 mg/kg):무탐바(Mutamba) (500 mg/kg); 그리고
(5) 실시예 73의 조성물 11 (4 성분) - 매그놀리아(Magnolia)(100 mg/kg):모루스 알바(Morus alba) (200 mg/kg):예르바 마테(Yerba Mate) (500 mg/kg):무탐바(Mutamba) (500 mg/kg).
체중 감량에 있어서 개별적으로 테스트된 각 추출물의 효과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고지방 식이요법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의 경우 2-8주내,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의 경우 3-5주내 총 체중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볼 수 있었다. 다른 처리 집단의 경우 총 체중 차이는 HFD 집단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이지 않았다. 그러나, 체중 증가의 감소를 검사할 때, 매그놀리아(Magnolia), 모루스 알바(Morus alba) 그리고 로즈마리(Rosemary) 처리 집단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더 많은 시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예르바 마테(Yerba Mate) 및 무탐바(Mutamba) 처리 집단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체중 증가에서 명백한 감소는 없었지만, 8주 처리 과정에 걸쳐 이 둘 모두에서 체중의 증가가 점진적으로 덜해지는 경향이 관찰되었다(비록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것은 아니다).
평균 체중에서 다중성분 조성물의 효과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5가지 복합물중 4가지는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경구 치료 1주일 이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체중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첫주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체중 감소를 보이지 않은 유일한 집단은 조성물 10으로 처리된 집단이었으며 (이 집단은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았음), 그러나 이 집단과 나머지 처리 집단은 2주차에서 실험 종료시까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다소 덜한 체중이 관찰되었다(도 2). 또한, 처리 후 첫주에 모든 복합물 집단에서 체중 증가가 감소되었으며, 이러한 효과는 실험 종료까지 지속되었다 (도 2 및 표 151 참고). 각 복합 조성물에 의해 야기되는 이러한 신속한 개시와 오랜 지속되는 체중 감소 및 체중 증가의 감소는 예상치못한 것이었다.
개별 성분으로 처리된 DIO 마우스에서 얻은 데이터에 근거하여, 부가적 체중 증가의 이론적 계산이 이루어졌으며, 이들 산출된 값들은 표 151에 제공된다. 각 조성물은 각 개별 성분의 부가 효과로부터 예상되는 것 이상의 더 큰 체중 감소를 초래하였기 때문에 5가지 조성물은 모두 기대이상의 공조효과를 보였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227
더욱이, 처리 종료시(8 주차), 조성물 1A, 2A, 및 11로 처리된 마우스는 양성 대조 비만방지약보다 더 적은 평균 체중을 나타내었지만, 조성물 10 과 12로 처리된 마우스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체중이었으며, 비만방지약 처리된 집단보다 약간 더 많은 체중이었다(도 2). 처리 8주 종료시, 조성물 1A, 2A, 및 11로 처리된 마우스는 약 0.73 g 내지 약 3.6 g 범위의 체중 감소를 보였으며, 이는 비만방지약 집단에서 볼 수 있었던 약간의 체중 감소 (0.23 gram)보다 더 우수하다. 조성물 10 및 12로 처리된 마우스는 차례로 1.73 g 및 1.78 g의 근소한 체중 증가를 보였으며, 이는 8주 처리 종료시 개별적 성분으로 처리된 마우스에서 관찰되는 3.5g 내지 7.3g의 체중 증가보다 훨씬 적다(도 1 및 2 참고).
전반적으로, 이들 데이터는 칼콘 및 프레닐페놀의 Diels-Alder 부가물이 포함된 3가지 또는 4가지 성분의 복합물이 고지방 식이요법가 공급된 마우스와 비교하였을 때, 체중 및 체중 증가 모두에서 기대이상의 신속하고 오래 지속되는 감소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다른 기대이상의 장점은 식이 효율의 감소, 트리글리세리드 및 총 콜레스테롤 수준의 감소, NASH 수치의 개선, 그리고 간에서 지방 침착 감소 (데이터 나타내지 않음)를 포함한다.
실시예 75
SPRAGUE-DAWLEY 렛에서 급격한 음식물 섭취량에 있어서 단리된 모루스(MORUS) 추출물 활성 성분들의 효과
본 실시예는 EtOAc 모루스 알바(Morus alba) 뿌리 껍질 추출물로부터 단리된 활성 요소 (쿠와논 G 및 알바닌 G)가 투여된 렛에서 음식 섭취량의 효과를 결정하기 위하여 실시예 45에 따라 실행된 24-시간 음식 섭취 테스트를 제공한다. S-D 렛에게 실시예 5에서 기술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0.5% CMC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의 용액에서 만들어진 약 94.9% 순도를 가진 복합된 칼콘 및 프레닐페놀의 Diels-Alder 부가물과 48.3%의 쿠와논 G 및 46.6%의 알바닌 G가 함유된 모루스 알바(Morus alba) 단리 조성물 A가 암-단계 공급 주기(dark-phase feeding cycle) 시작 30분전에 투여되었다. 모루스 알바(Morus alba) 단리 조성물 A는 한 집단당 10마리 동물에게 92.5 및 185 mg/kg의 투여분량으로 투여되었다(이 투여분량은 실시예 15에서 기술된 500 및 1000 mg/kg의 모루스 알바(Morus alba) EtOAc 추출물 15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활성 성분 함량이다).
표 152는 2가지 상이한 양으로 단일 투여분량의 모루스 알바(Morus alba) 단리 조성물 A로 처리된 렛에서 대조 동물과 비교하여 체중 증가 결과를 보여준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228
표 152의 데이터는 모루스 알바(Morus alba) 단리 조성물 A (쿠와논 G 및 알바닌 G가 총 94.9% 포함)가 처리후 최소한 8시간 동안 체중 증가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유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표 153은 2가지 상이한 양의 모루스 알바(Morus alba) 단리 조성물 A의 단일 투여 분량으로 처리된 렛에서 대조 종물과 비교하여 음식 섭취량 테스트 결과를 보여준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229
이들 데이터는 함께 모루스 알바(Morus alba) 처리 집단은 모두다 누적 음식 섭취량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음을 보여준다. 더욱이, 음식 섭취에서 투여분량 의존적 감소는 본 연구가 종료될 때까지 음식 섭취 측정의 두 시간내에 관찰되었다. 이들 결과는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로부터 단리된 활성 성분 쿠와논 G 및 알바닌 G가 렛에서 음식 섭취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효과를 가지며, 이는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의 쿠와논 G 및 알바닌 G가 음식 섭취를 저해시키는 체중 조절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모루스 알바(Morus alba)로 부터 단리된 활성 요소의 단일 경구 투여 분향으로 인한 음식 섭취의 감소는 10 시간 이상 지속되었다. 따라서, 모루스 알바(Morus alba) 뿌리 껍질 추출물로부터 칼콘 및 프레닐페놀의 Diels-Alder 부가물 단리된 쿠와논 G 및 알바닌 G가 포함된 조성물을 일일 1회 또는 2회 경구 투여함으로써 식욕 감소, 포만감 강화, 또는 음식 또는 칼로리 섭취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76
DIO 마우스에서 체중 증가, 음식 섭취 그리고 렙틴, 그렐린 및 CCK 펩티드 수준에 있어서 모루스(MORUS) 추출물을 보유하는 다양한 조성물의 효과
이러한 조성물의 항-비만 및 식욕 효과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비만 마우스는 다양한 3가지 성분 조성물로 처리되었다. 실시예 38에 따라 만들어진 3가지 성분 조성물 1 (매그놀리아:모루스:예르바 마테) 실시예 42에 따라 만들어진3가지 성분 조성물 2 (매그놀리아:모루스:무탐바) 실시예 39에 따라 만들어진 3가지 성분 조성물 3 (모루스:로즈마리:예르바 마테)그리고 실시예 41에 따라 만들어진 3가지 성분 조성물 9 (모루스:로즈마리:아레까)은 실시예 48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DIO 마우스에 각각 별도 경구 투여되었다. 고지방 식이요법 (HFD) 마우스는 한 집단에 총 10마리 동물씩 다중 처리 집단으로 나뉘었다. 마우스는 다음중 하나로 처리되었다: 조성물 1 (1300 mg/kg/일일), 조성물 2 (1300 mg/kg/일일), 조성물 3 (1700 mg/kg/일일), 또는 조성물 9 (1700 mg/kg/일일). 대조군은 비이클 만을 제공받은 정상 식이요법 집단 (ND, 음성 대조), 비이클만을 제공받은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 (HFD, 음성 대조), 비만방지약 집단 (ORI, 40mg/kg, 2 회/일일, 양성 대조), 그리고 시부트라민 집단 (10 mg/kg, 1 회/일일, 양성 대조). 처리 후 2주간 체중 및 음식물 섭취를 매일 측정하였으며, 그 다음 연구 7주 종료때까지 주당 2회 측정되었다. 처리 2주차 및 7주차 시점에서, 마우스는 16 시간 동안 굶겼으며, 그 다음 렙틴 및 그렐린의 혈장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5마리 동물이 검사되었다. 렙틴 및 그렐린 수준은 제조업자의 지시에 따라 렙틴 또는 그렐린 전용 시판되는 ELISA 키트 (Millipore Co., Billerica, MA)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 (VictorTM X3, PerkinElmer Inc., USA)를 이용하여 측정되었으며, PerkinElmer 2030 워크스테이션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처리 2주차 이후, 모든 처리 집단은 체중 증가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조성물 1, 2 및 9로 처리된 마우스는 연구 종료시 체중 증가의 유의적 감소를 보였다 (표 154). 유사하게, 비만방지약 양성 대조군은 7주차에 체중 증가의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지만, 시부트라민으로 처리된 집단은 감소가 없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230
처리 7주 후, 비만방지약 집단을 제외한 모든 처리 집단의 음식물 섭취는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음식 섭취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시부트라민, 조성물 1, 및 조성물 9로 처리된 집단은 처리 7주 후 평균 음식 섭취량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표 155).
Figure 112014127413805-pct00231
더욱이, 전체 투여 기간 동안 모든 조성물 처리 집단에서 식이 효율 (FER)이 감소되었다. 조성물 2로 처리된 집단은 처리 2주 및 7주 후 모두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지만, 조성물 1로 처리된 집단은 처리 2주 후 유의적인 변화를 보였고, 그리고 조성물 9로 처리된 집단은 처리 7주 이후에만 유의적이었다. 양성 대조 비만방지약은 FER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지만, 시부트라민 및 조성물 3의 처리 집단에서 관찰된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이지 않았다 (표 156).
Figure 112014127413805-pct00232
DIO 마우스를 조성물 1, 2, 3 및 9로 처리한 후 2주 및 7주에 마우스내 혈장 렙틴 및 활성 그렐린 수준은 표 157에 나타낸다. HFD 동물은 2주차와 7주차에 정상 식이요법 관리 (ND) 동물과 비교하였을 때, 렙틴 수준이 급격히 증가되었다. HFD 동물에서 활성 그렐린 수준은 ND 마우스와 비교하였을 때, 급격히 감소되었고,처리 2주 후 감소와 비교하였을 때, 처리 7주후에 더욱 급격한 감소가 탐지가능하다. 비만방지약 양성 대조는 HFD 음성 대조 집단와 비교하였을 때, 처리 2주 후 렙틴 수준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지만, 7주 시점에는 유사한 수준을 보여주었다. 비만방지약은 HFD 음성 대조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2주 및 7주 시점에서 활성 그렐린 수준에는 효과가 없었다. 렙틴 수준에 있어서 눈에 띄는 변화는 비만방지약으로 처리된 후에도 관찰된 동일한 시간대(처리 2주 후)는 체중 증가의 최대 감소가 관찰되는 것과 동일한 시간대였지만, 처리 기간 동안 평균 섭취량의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다. 시부트라민 양성 대조 집단은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처리 2주 후 렙틴 수준의 어느 정도 감소를 보였지만, 7주 시점에서 렙틴 수준 변화는 없었다. 비만방지약과 유사하게, 시부트라민은 HFD 음성 대조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2주 또는 7주 시점에서 활성 그렐린 수준에는 효과가 없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233
조성물 2는 비만방지약에서 관찰된 것과 유사한 렙틴 감소를 보였고, 조성물 1, 3, 및 9 처리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7주 시점에서 렙틴 수준이 가장 감소되었다. 더욱이, 7주 종료시점에서, 조성물 2의 처리된 집단은 조성물 1, 3, 그리고 9 처리 집단과 비교하여 체중 증가에서 최대 감소(또는 최소한의 양)를 보였다. 4가지 조성물 처리 집단은 모두 렙틴 수준 감소는 체중 증가, 음식 섭취, 그리고 FERs에서 관찰된 감소와 나란하였으며, 조성물 2가 가장 효과가 좋았으며, 이어서 조성물 9, 1, 및 3의 차례로 효과가 좋았다.
콜레시스토키닌 (CCK)은 가스트린/CCK-B 수용체의 생리학적 리간드인 펩티드 호르몬이며, CCK-A 수용체는 오로지 황산염화된 CCK 펩티드에만 결합한다. 소장 엔도크린 I-세포에서 주로 생산되는 CCK 펩티드는 췌장의 효소 분비 및 성장, 담낭 수축, 내장 운동성, 포만감을 조절하고, 위산 분비를 저해한다. CCK 펩티드는 지방 및 단백질의 소화를 또한 촉진시킨다. 십이지장 및 내장 점막에 의한 CCK 분비는 십이지장으로 유입되는 지방- 또는 단백질-풍부한 유미즙(chyme)에 의해 자극된다. 그 다음 CCK는 위 배출, 위산 분비를 저해시키고, 십이지장에서 소화를 중재한다. CCK는 췌장의 선포세포를 자극하여 물과 이온 방출하도록 하고, 지방, 단백질, 및 탄수화물의 소화를 촉진시키는 췌장의 소화 효소 분비를 자극한다.
따라서, 실시예 42에 따라 만들어진 조성물 2 (매그놀리아:모루스:무탐바), 또는 실시예 39에 따라 만들어진 조성물 3 (모루스:로즈마리:예르바 마테)으로 처리된 마우스에서 CCK 펩티드 수준에 있어서의 효과가 테스트되어 이 펩티드 호르몬 경로를 통하여 체중 증가 식욕이 어느 정도 영향을 받는지가 측정되었다.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CCK 펩티드 수준은 실시예 48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고지방 식이요법을 받은 마우스에 조성물 1과 3을 투여한 후 7주 시점에서 측정되었다. 음성 대조군은 정상 식이요법 (NC)을 받은 마우스와 고지방 식이요법 (HFD)을 받은 마우스를 포함하며, 각각 비이클만 투여되었다. 양성 대조군은 비만방지약과 시부트라민이었다. CCK 수준은 제조업자의 지침에 따라 (Abnova, Taipei City, Tiawan) CCK ELISA 분석 키트를 이용하여 탐지되었다. 측정은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 VictorTM X3 (PerkinElmer Inc., Waltham, MA)와 PerkinElmer 2030 워크스테이션에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실행되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234
표 15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처리된 집단의 CCK 수준은 음성 대조(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증가되었고, 이는 조성물 2 및 조성물 3의 성분중 최소한 한 가지는 마우스에서 CCK 조정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77
지질 축적에 있어서 모루스(MORUS)-함유 조성물 및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의 효과
세포 주기 및 지방세포의 분화를 조정하는 능력은 비만의 발생 및 생리에 중요하다. 지방세포는 전-지방세포에 할당되는 다능성 간엽성 전구물질 세포로부터 생성되는데, 이들은 휴지상태로 남아있거나 또는 지방세포로 분화될 수 있다. 최종 분화 동안, 섬유아세포-유사 전지방세포는 일련의 형태학적 그리고 생화학적 변화를 겪게 되고 종국에는 지질 방울로 축적된다. 이러한 시험관내 분화된 지방세포는 생체내 지방세포와 유사한 형태를 공유한다. 마우스 배 섬유아세포 세포 계통, 3T3-L1은 인슐린-유도된 포도당 섭취 및 비만 발생 (이를 테면, 지질 축적)를 검사하는데 이용되는 잘-특징화된 세포 계통이다.
실시예 39에 따라 만들어진 3가지 성분 조성물 3 (모루스:로즈마리:예르바 마테), 실시예 42에 따라 만들어진 3가지 성분 조성물 2 (매그놀리아:모루스:무탐바) 그리고 실시예 22에 따라 만들어진 로즈마리(Rosemary) EtOH 추출물 22은 3T3-L1 지방세포에서 지질 축적에 대한 이들 효과에 대해 검사되었다.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3T3 L1 세포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는 합류될 때까지 10% 소의 송아지 혈청이 포함된 Dulbecco의 변형된 Eagle 배지 (DMEM) (GIBCO)에서 배양되었다. 합류 (D0) 후 2일 시점에 세포는 10% 태아 송아지 혈청 (FBS), 5 ㎍/ml 인슐린, 0.5 mM 3-이소부틸-1-메틸산틴 (IBMX) 및 1 μM 덱사메타손이 포함된 DMEM으로 2일간 (D2) 분화되도록 자극되었다. 분화된 세포는 그 다음 5 ㎍/ml 인슐린과 10% FBS/DMEM에서 추가 2일간(D4) 유지되었고, 이어서 10% FBS/DMEM 배지에서 4일 (D8)간 유지되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235
지질 축적을 검사하기 위하여, 4가지 상이한 농도의 조성물 3 (40, 80, 120 및 160 ug/ml)은 지질생성 0일 시점에서 8일차까지 배지에서 테스트되었다. 배양 배지는 2일마다 교체되었고, 세포는 8일차에 Oil-Red O로 착색되었다. 지질 착색에서 분화 기간 동안 조성물 3으로 8 일 배양으로 투여분량-의존적 방식으로 3T3-L1 지질생성이 유의적으로 저해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표 159).
Figure 112014127413805-pct00236
10, 80, 120 및 160 ㎍/ml으로 이용된 조성물 2 또한 지질 축적을 저해하는데 높은 수준의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약 120 ㎍/ml 또는 그 이상의 농도에서 더 높았다 (표 160).
Figure 112014127413805-pct00237
유사하게, 20, 40, 80 및 160 ㎍/ml 농도의 로즈마리(Rosemary)EtOH 추출물 22 로 처리된 세포는 지질 축적을 저해하는데 있어서 투여분량-의존적인 높은 효과를 또한 나타내었다 (표 161).
실시예 78
트리글리세리드 축적에 있어서 모루스:로즈마리:예르바 마테(MORUS:ROSEMARY:YERBA MATE) 조성물의 효과
실시예 77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동일한 지방세포 분화 모델을 이용하여, 제조업자의 지침 (Cayman Chemical Co., Ann Arbor, MI)에 따라 효소 ELISA 분석을 이용하여 트리글리세리드 수준이 분석되었다.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3T3-L1 세포는 실시예 39에 따라 만들어진 3가지 성분 조성물 3 (모루스:로즈마리:예르바 마테)으로 6개 웰 플레이트에서 80, 120 및 160 ㎍/ml의 농도로 8일간 지방 세포 분화동안 처리되었다. 이들 세포는 PBS로 세척되었고, 균질화 용액으로 긁어내었으며, 잔류 세포 용해물은 5분동안 3,000 g에서 원심분리되어 지방층을 제거하였으며, 상청액은 트리글리세리드 수준에 대해 분석되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238
지방세포가 분화될 때, 이들의 세포내 트리글리세리드 수준은 지속적으로 증가된다. 본 연구는 3T3-L1 전지방세포의 분화에 있어서 조성물 3이 트리글리세리드 축적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였으며, 약 120 ㎍/ml 또는 그 이상의 농도에서 트리글리세리드 축적이 더욱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음을 보여준다 (표 162).
실시예 79
지방분해에 있어서 모루스(MORUS)-함유 조성물의 효과
모루스-함유 조성물에 의해 유도된 지방분해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완전하게 분화된 3T3-L1 지방세포 (성숙 지방세포)는 실시예 38에 따라 만들어진 3가지 성분 조성물 1 (매그놀리아:모루스:예르바 마테) 또는 실시에 39에 따라 만들어진 3가지 성분 조성물 3 (모루스:로즈마리:예르바 마테)에 의해 혈청 없는 DMEM에서 24 hr 및 48 hr 동안 처리되었다. 이소프로테레놀 (10 μM)이 양성 대조로 이용되었다. 조건화 배지가 회수되었고, 방출된 자유 글리세롤은 제조업자의 지침에 따라 지방분해 분석 키트 (Sigma-Aldrich Inc., USA)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239
조성물 1은 투여분량 의존적 방식으로 지방분해를 유도하였으며, 초기 단계 지방분해를 또한 유도할 수 있으며, 한편 조성물 3은 투여분량 및 시간 의존적 방식으로 지방분해를 유도하였다 (표 163).
실시예 80
다양한 상이한 추출물 및 다양한 모루스(MORUS)-함유 조성물의 항-산화 효과
비만 대상에서 증가되는 것으로 예측되는 산소 라디칼은 많은 질환의 병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유 라디칼 형성이 상당히 증가될 때 또는 보호성 항산화 기전이 절충될 때 산화성 스트레스가 발생된다. 세포는 산화성 대사 동안 생성되는 반응 산소 종(ROS)에 대항하여 효소적 항-산화 경로를 발생시켰다: 우선, 슈퍼옥시드 음이온(O2 -)이 수퍼옥시드 디스무타제 (SOD)에 의해 과산화 수소(H2O2)로 불변화(dismutation); 그리고 그 다음 글루타티온 페록시다아제 (GPx) 또는 카탈라아제 (CAT)에 의해 H2O2가 H2O로 전환(Dalle-Donne et al., Clin. Chem. 52:601, 2006). 제1 및 제2 단계 항산화 효소의 활성은 다양한 병리학적 진행에 기여할 수 있는 세포내 산화성 손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DPPH (2,2-디페닐-1-피크릴히드라질) 테스트는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는데 신속하고 간단한 테스트다. DPPH 라디칼은 용액내에서 자색을 띄지만, 자유 라디칼과 반응 후 DPPH-H (2,2-디페닐-1-피크릴히드라진)으로 환원될 때 밝은 황색 또는 무색으로 변화된다. 조성물의 항-산화 능력을 결정하기 위하여 517nm에서 분광학적으로 색 변화가 이어질 수 있다.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DMSO내 0.2 mM의 DPPH 용액은 20, 40, 80 및 160 ㎍/ml의 농도로 각 테스트 시료와 혼합되었다. 아스코르브산이 양성 대조로 이용되었다. 암 상태에서 30분간 항온처리 후, 분광광도계에서 517 nm에서 색 변화(가령, 흡수도의 감소)가 측정되었다. DPPH 저해성 활성은 저해 백분율로 나타낸다 (표 164).
다음 시료들이 테스트되었다: (1) 실시예 22에 따라 만들어진 로즈마리(Rosemary) EtOH 추출물 22 (2) 실시예 29에 따라 만들어진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29, (3) 실시예 35에 따라 만들어진 무탐바(Mutamba) 추출물 35, (4) 실시예 26에 따라 만들어진 예르바 마테(Yerba Mate) EtOH 추출물, (5) 실시예 35에 따라 만들어진 모루스(Morus) EtOH 침전 추출물 18, (6) 실시예 38에 따라 만들어진 3가지 성분 조성물 1 (매그놀리아:모루스:예르바 마테), (7) 실시예 42에 따라 만들어진 3가지 성분 조성물 2 (매그놀리아:모루스:무탐바), 그리고 (8) 실시예 39에 따라 만들어진 3가지 성분 조성물 3 (모루스:로즈마리:예르바 마테).
Figure 112014127413805-pct00240
모든 테스트 시료는 DPPH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표 164). 테스트 시료의 DPPH 소거 활성 (내림차순)은 다음과 같았다: 모루스 추출물 >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 조성물 2, 3 및 1, 그리고 마테, 무탐바 및 매그놀리아의 다른 모든 추출물.
실시예 81
인간의 체중 감량을 위한 복합 조성물의 임상적 안전성 및 효과의 투여분량의 단계적 확대 평가
연구 부문당 6명의 대상에게서 조성물 1A (실시예 63), 조성물 2A (실시예 74), 및 조성물 3 (실시예 39)의 안전성 및 효과의 투여분량 확대 연구는 3가지 투여 분량 수준에서 테스트되었다. 각 조성물은 캡슐 형태로 제형화되었으며, 이때 각 캡슐은 250 mg의 조성물 1A, 2A, 또는 3을 함유한다. 조성물 1A는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그리고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이 차례로 1:2:5의 비율로 복합된 복합물이다. 조성물 2A는 매그놀리아(Magnolia) 추출물,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그리고 무탐바(Mutamba) 추출물이 차례로 1:2:5의 비율로 복합된 복합물이다. 조성물 3은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로즈마리(Rosemary) 추출물, 그리고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이 차례로 2:5:10의 비율로 복합된 복합물이다. 연구용으로 제형화된 플라시보 캡슐은 CMC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함유하고, 조성물 1A, 2A, 및 3의 캡슐과 외양은 동일하다.
테스트 조성물 (조성물 1A, 조성물 2A, 또는 조성물 3)은 일일 3회 식사와 함께 제공받는다. 연구 참석자들은 테스트 물품의 투약 및 보관 조건에 대한 지침을 제공받았다. 연구 집단은 18세 내지 50세 연령대와 체질량(BMI) 지수가 약 30 내지 약 40 범위로써 의학적 병력으로 판단될 때 전반적으로 양호한 건강 상태의 총 54명(남녀)이다. 테스트 조성물은 일일 750 mg, 1,500 mg 및 2,250 mg에서 평가되었다. 이 연구에는 하기에서 추가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안정화 경우를 제외한 플라시보 대조가 포함되지 않았다. 연구는 처음 2주간 안전성에 대한 플라시보와 그 다음 낮은 투여분량 활성 부문에 대한 교차에 대하여 6주간 이중 맹검 연구이다. 3명의 개인이 연구 부분을 끝마친 후, 모든 안전성 매개변수들이 평가되었고, 그 투여분량 수준에 대한 등록을 지속할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졌다. 더 낮은 투여분량 수준이 안전하다면, 대상에게 그 다음 조금 더 높은 투여분량을 받도록 하였다 조성물 1A, 조성물 2A, 및 조성물 3으로 처리 기간은 각 참여자에 대하여 6주간이다(2주간의 플라시보 안전성 기간 포함). 각 환자에 대한 총 연구 기간은 선별, 무작위화 및 활성 처리기간이 포함된 약 8-10 주가 된다.
연구의 주요 목적은 최대 용인되는 투여분량 (MTD), 투여분량 제한 독성, 및/또는 연구 제품의 최대 허용되는 투여분량을 확립하는 것이다. 다음의 매개변수들이 평가되었다: Manual Differential, EKG, Blood Pressure, Vitals, CMP (신장 및 간 기능 테스트 포함) 및 Adverse Event Analysis와 함께 CBC.
2차 목적은 지질 프로파일 (TG, Chol, HDL, LDL), 뿐만 아니라 공복 포도당 및 인슐린 수준에 있어서 다양한 투여분량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3차 목적은 포만감 및 식이 섭취에 있어서 다중 투여분량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4차 목적은 인체치수 측정, 이를 테면 체중의 변화, BMI의 변화, 손목/허리 비율의 변화, 팔 둘레, 그리고 허벅지 둘레에 있어서 기준과 비교하여 연구 산물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프로토콜은 임의의 연구 관련된 절차의 개시에 앞서 IRB에 승인을 받았으며, 모든 대상은 IRB가 검토한 피험자 동의서에 서명하였다.
통계학적 분석
본 연구는 3가지 투여분량 수준 (Dose 1, Dose 2 및 Dose 3)을 포함하고, 각 부분에 대한 시간(테스트되는 집단내에서)의 차이, 각 시점에 대하여, 3가지 투여분량 수준중에서 두 수준간의 차이(테스트되는 집단 간에), 그리고 각 시점에 있어서 3가지 투여분량 수준에서의 차이(테스트되는 집단중에서)가 각 종점에서 분석되었다.
모든 변수 유형에서 모든 종점에 대하여 비-모수(non-parametric) 통계학적 방법이 테스트되었다. 투여분량 수준중에서 차이는 Kruskal-Wallis를 이용한 명목 유의 수준에 대하여 테스트되었다. 투여분량 수준 간의 차이 (가령, Dose 1 vs Dose 2, Dose 1 vs Dose 3, 그리고 Dose 2 vs Dose 3)는 Wilcoxon Mann-Whitney 테스트를 이용한 명목 유의 수준에 대하여 테스트되었다. 각 투여분량 수준에 대하여 기간내 차이는 Wilcoxon Signed Ranks 테스트 또는 Sign 테스트를 이용한 명목 유의 수준에 대하여 테스트되었다. 범주별 종점의 경우, 투여분량 수준 간에 분포에서 차이는 비-모수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테스트되었다.
Modified per Protocol (Mod PP) 분석이 실행되었고, 연구의 효과 변수를 평가하는데 이용되었다. Mod PP 집단은 연구 제품을 복용하지 않은 대상을 제외하고, 처리중 한 가지 처리를 무작위로 배당받은 모든 대상의 분석과 관련된다. 투여후 최소한 한번의 방문을 한 대상들이 이 분석이 포함되었다.
모든 안전성 종점은 비-모수 통계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수작업에 의한 차이, EKG, 혈압, 바이탈, CMP (신장 및 간 기능 테스트 포함)와 함께 CBC는 투약분량 수준간의 비교를 위한 Kruskal-Wallis, 그리고 투약분량 수준간의 비교를 위한 Wilcoxon Mann Whitney 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각 투여분량 수준에 대한 기간내 비교는 Wilcoxon Signed Ranks 테스트 또는 Sign 테스트를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부작용(AEs)에 대한 비교가능한 문서를 획득함에 있어서, 연주자들은 대상에게 매회 방문시 다음의 개방된, 표준화된 질문을 하였다. AE의 빈도 및 강도, 심각한 AE는 매번 방문 동안 대상과의 면담에서 상세하게 기록되었다. 기록된 AE는 사안의 일반적인 유형(신체 시스템)에 의해 사안별로 묶었다. 제품 간의 AE 패턴의 차이는 Cochran-Q 테스트를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더욱이, McNemar 변화 테스트를 이용하여 제품별 AE 패턴의 사이를 평가하였다.
모든 효과 종점은 비-모수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지질 패널, 공복 포도당 및 인슐린의 변화, 체중, BMI, 손목/엉덩이 비율, 팔 및 허벅지 둘레의 변화, 안전성 및 식이 섭취는 투여분량 수준간의 비교용 Kruskal-Wallis, 투여분량 수준 사이의 비교용 Wilcoxon Mann Whitney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각 투여분량 수준에 대한 기간내 비교는 Wilcoxon Signed Ranks 테스트 또는 Sign 테스트를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임상 결과
모든 대상의 처리가 완료된 후, CBC, 포괄적 대사 검사 (CMP), EKG, 최고 혈압 및 최저 혈압, 체온, 심박, 및 호흡율 측정 모두에서 3가지 조성물 모두에 대한 3가지 투여분량 모두에서 처리가 종료될 때까지 기선으로부터 유의적인 변화는 없었다. 연구 동안 심각한 부작용(SAEs)은 보고되지 않았다.
다른 임상 연구에서 과체중 및 비만인 대상에서 보통 수준의 체중 감소가 심혈관 위험에서 임상적으로 유의적인 개선을 만드는데 충분하다는 것이 나타났다. 다중 체중 감소 연구에서 주목할만한 LDL 콜레스테롤의 예외와 함께 혈압, 혈당 조절 및 지질에서 개선이 관찰되었다. 조성물 1A, 2A 및 3의 3가지 투여분량 수준 모두에서 본 임상 파일롯 테스트에서 이와 동일한 긍정적인 경향이 관찰되었는데, 특히 고밀도 지단백질의 증가, 트리글리세리드, LDL 및 콜레스테롤의 감소의 지질 프로파일 개선이 관찰되었다. 3가지 상이한 조성물로부터 공복 포도당 및 인슐린 수준의 감소는 개선된 포도당 대사를 설명한다. 3 가지 조성물 모두에서 관찰된 지질 및 포도당 대사에서 긍정적인 변화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동물 효과 연구에서 관찰된 것과 일치한다.
평가 매개변수에서 주요 변화가 있는 조성물은 조성물 2A - 높은 투여분량(표 C), 조성물 1A - 낮은 투여분량 (표 B), 그리고 조성물 3 - 높은 투여분량(표 D)에 대한 것에 관찰되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241

조성물 1A로 처리 4주 후 (플라시보를 이용한 2주간의 안정화 기간 포함 총 6 주), 3가지 투여분량 집단은 모두에서 대상은 고밀도 지단백질은 증가; 트리글리세리드 그리고 포도당은 감소되었다. 일일 1,500 mg 및 일일 2,250 mg으로 처리된 대상은 저밀도 지단백질의 감소를 또한 경험하였다. 낮은 투여분량 집단 대상들은 체중 감소 및 총 콜레스테롤의 감소를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242

조성물 2A로 처리 4주 후 (플라시보를 이용한 2주간의 안정화 기간 포함 총 6 주), 일일 2,250 mg으로 처리된 대상은 가장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는데 고밀도 지단백질의 증가; 총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질, 트리글리세리드, 인슐린의 감소; 그리고 체중의 감소 경향을 보였다. 일일 1,500 mg의 조성물 2A로 처리된 대상은 고밀도 지단백질의 증가; 트리글리세리드, 포도당의 감소; 그리고 체중의 감소 경향을 보였다. 일일 750 mg의 조성물 2A로 처리된 대상은 고밀도 지단백질의 증가; 포도당의 감소; 그리고 체중의 감소 경향을 보였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243

조성물 3으로 처리 4주 후, 일일 2,250 mg으로 처리된 대상은 고밀도 지단백질의 증가; 저밀도 지단백질, 트리글리세리드, 포도당 및 인슐린이 감소되었다. 일일 1,500 mg의 조성물 3으로 처리된 대상은 고밀도 지단백질의 증가; 총 콜레스테롤 및 포도당의 감소; 그리고 체중의 감소 경향을 보였다. 일일 750 mg의 조성물 3으로 처리된 대상은 고밀도 지단백질의 증가; 포도당 및 인슐린의 감소; 그리고 체중의 감소 경향을 보였다.
실시예 82
다양한 식물 부분 및 다양한 원료로부터 무탐바(MUTAMBA) ETOH 추출물
무탐바(Mutamba) (구아주마 울미포리아(Guazuma ulmifolia)) 의 식물 재료는 2mm 크기의 입자로 갈고, 1 리터의 밑둥근 플라스크에 옮겼다 (150 g). 물에 대략 5-배 용적(v/v)의 95% 에틸 알코올 또는 70% 에틸 알코올이 플라스크에 추가되었다. 한 시간 동안 재환류와 함께 추출이 실시되었고, 여과에 의해 생물집단이 제거되었고, 그 다음 2회 이상 더 재환류되었다. 여과액이 복합되었고, 진공하에서 50℃에서 회전 증발기에 의해 농축되어 에탄올이 제거되고, 그 다음 진공 냉동-건조되어 추출물이 획득되었다. 표 165는 다양한 여러 나라와 무탐바의 다양한 식물 부분의 추출 결과를 열거한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244
페루의 식물은 이용된 식물 부분과 무관하게 활성 성분의 최고 수율을 제시하는 것 같았다 (이를 테면, 최고 수율은 페루 저지대의 껍질로부터 얻은 20%수율이었다). 벨리즈(Belize)의 무탐바 경우 줄기와 비교하였을 때, 껍질에서 더 많은 수율을 얻었다. 70% 에탄올의 이용은 무탐바로부터 활성 요소를 추출하는데 95% 에탄올과 마찬가지로 효과적이었다.
실시예 83
무탐바(MUTAMBA) ETOH 추출물 활성 성분들의 HPLC 분석
광전-다이오드-어래이에 연결된 고능성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PDA)는 C18 역-상 컬럼 (Agilent, USA, Eclipse 3.5 um, 150 mm x 4.6 mm)과 함께 이용되어 무탐바(Mutamba) EtOH 추출물, 이를 테면 프로시아니딘(Procyanidin) B2, 에피카테친(Epicatechin), 프로시아니딘(Procyanidin) C1, 그리고 다른 소수 성분 (사량체 아레까탄닌(Arecatannin) A2 포함)의 탐지 및 정량화하였다. 순수분리된 물에서 0.05%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 (이동상 A) 그리고 아세토니트릴 (이동상 B)의 이중그라디언트는 표 166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무탐바(Mutamba) 추출 성분을 용리하는데 이용되었다. 유속은 컬럼 온도 35℃에서 분당 0.8 ml 속도로 Eclipse C18 컬럼을 통과하도록 설정되었다. UV 탐지기는 275 nm에서 흡수도를 판독할 수 있도록 설정되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245
정량화 표준은 순수한 기준 시료 에피카테친, 프로시아니딘 B2, 그리고 프로시아니딘 C1 (차례로 Sigma-Aldrich Co., USA; Chendu Biopurify Phytochemicals, Ltd., China; 그리고 ChromaDex Inc., USA)을 포함하였다. 에피카테친의 최고 농도 수준은 0.05 mg/ml이었고, 물에서 50% 메탄올을 이용하여 L1으로부터 L5로 희석되었다 (0.003 mg/ml). 프로시아니딘 B2 및 프로시아니딘 C1의 최고 농도 범위는 0.05 mg/ml이었고, 물에서 50% 메탄올을 이용하여 L1으로부터 L5로 희석되었다(0.003 mg/ml). 무탐바(Mutamba) 추출물 시료의 농도는 물에서 50% 메탄올에 약 2 mg/ml로 조정되었고, 용해될 때까지 (대략적으로 20 분) 초음파처리되었고, 실온으로 냉각되었으며, 잘 혼합된 후, 0.45 um 나일론 주사기 필터를 통하여 여과되었다. 10 μl 용적의 각 시료는 HPLC에 의해 검사되었다. 무탐바(Mutamba) 추출물에 대한 프로시아니딘 B2, 에피카테친 및 프로시아니딘 C1 함량의 HPLC 결과는 표 167과 168에서 제공된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246
표 16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이한 수령, 성별, 및 식물 부분의 무탐바(Mutamba))로부터 추출물 함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총 9개 시료가 분석되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247
최고의 미가공 원료를 찾기 위하여 상이한 나라/지역의 식물에서 수집된 그리고 상이한 식물 부분으로부터 추출된 무탐바(Mutamba) 추출물의 정량화 분석이 표 168에서 제공된다.
실시예 84
무탐바(MUTAMBA) 줄기 나무 껍질 ETOH 추출물 및 추출물 분획의 준비
무탐바(Mutamba) (구아주마 울미포리아(Guazuma ulmifolia)) EtOH 추출물 84는 다음과 같이 만들어졌다: 97.4 kg의 건조된 무탐바(Mutamba) 줄기 껍질은 절단되고, 빻고 그리고 대략적으로 물에서 8-배 용적 (800 L)의 70% 에틸 알코올 (v/v)로 추출되었고; 추출은 100℃에서 4 시간 동안 실시되었다. 잔류물이 여과되어 추출 용액을 얻었다 상기-기술된 과정은 2회 반복되었다. 추출 용액이 복합되었고, 진공하에서 40℃에서 회전 증발기에 의해 용적이 1/25 용적이 될 때까지 농축되었고, 그 다음 농축된 용액은 진공 건조 과정에 의해 건조되어 무탐바(Mutamba) 줄기 껍질로부터 70% EtOH 추출물 분말이 획득되었다. 97.4 kg의 원재료로부터 총 13.1 kg의 무탐바(Mutamba) EtOH 추출물 84를 얻었고, 추출 수율은 대략적으로 13.47% (w/w)이었다.
비가공 무탐바(Mutamba) 줄기 껍질 EtOH 추출물 84 (200 g)는 0.6 리터의 20% 수성 에틸 알코올에 현탁되었으며, 그 다음 20% 수성 에틸 알코올 용액으로 사전-조건화된 HP-20 겔 컬럼 (10 x 150 cm 컬럼, 7 L의 HP-20 수지, DiaionTM, Mitsubishi Chemical, Japan)에 로딩되었다. 컬럼은 단계적인 그라디언트 용매 혼합물로 용리되었고, 다음과 같이 총 20개 분획물이 수거되었다: 10 L의 20% EtOH 용리로 2개 분획물 (F1-2)을 수집하였고, 10 L의 40% EtOH 용리로 5개 분획물 (F3-7)을 수집하였고, 10 L의 60% EtOH 용리로 5개의 분획물 (F8-12)을 수집하였고, 10 L의 80% EtOH 용리로 3개의 분획물 (F13-15)을 수집하였고, 10 L의 100% EtOH 용리로 2개의 분획물 (F16-17)을 수집하였고, 10 L의 아세톤-MeOH (1:1) 세척으로 3개 분획물 (F18-20)을 수집하였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248
표 169에 나타낸 것과 같이, 분획물은 HPLC 화학 프로파일링에 기초하여 복합되었고, 중량의 대부분은 질량 균형에서 약 95%의 우수한 회수율과 함께 초기 용리 부분에 분포되었다. 분획 7, 8 그리고 9-12는 생체내 분석을 위하여 더 복합되었다. 3가지 무탐바(Mutamba) 줄기 껍질 EtOH 추출물 84 분획물 84/F1-5, 84/F6 그리고 84/F7-12는 식이요법 유도된 비만 (DIO) 마우스 모델에서 생체내 효과에 대해 검사되었다.
실시예 85
추가적인 무탐바(MUTAMBA) ETOH 추출물 분획의 HPLC 분석
무탐바(Mutamba) (구아주마 울미포리아(Guazuma ulmifolia)) 70% EtOH 추출물 (2 g)는 4 ml 20%EtOH/물에 용해되었고, 13.5 g의 HP-20 수지 (Sigma)와 혼합되었고, 그리고 사전-충전된 SNAP HP-20 컬럼 (Biotage, 38 x 157 mm)의 상부 공간에 로딩되었다. 시료 로딩에 앞서, HP-20 컬럼은 Hitachi High Throughput Purification (HTP) 시스템에 의해 분당 20ml 유속으로 30분간 20% EtOH/물로 조건화되었다. 컬럼은 50분간 20% EtOH/물에서 100% EtOH 범위의 선형 그라디언트로 용리되었고, 컬럼으로부터 모든 성분을 씻어내기 위하여 추가 16분간 100% EtOH로 유지되었다. 총 97개의 분획물이 수집되었다. 화학 프로파일 및 색에서 유사한 분획물이 복합되어 등가의 프레(pre)-F6, F6 및 포스트(post)-F6 최상 푸울이 제공되었다. 컬럼 회수율은 88 내지 100%이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249
실시예 86
무탐바(MUTAMBA) ETOH 추출물 분획의 NMR 분석
Varian VNMRS-500 MHz 분광계에서 각 분획에 어떤 활성 성분이 존재하는 지를 더 알기 위하여 HP-20 분획물 F1-F20에 대한 NMR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1H-NMR 스펙트럼은 1H-19F/15N-31P 5 mm PFG AutoX DB 프로브를 이용한 VNMR-J 2.2 c에 의해 획득되었으며, ACD/Labs 10.0 소프트웨어에 의해 처리되었다. NMR 데이터 분석에 근거하여, 분획물 1-5는 대략 3-5 ppm 영역 주변에 큰 중첩 피크를 가진 주로 올리고사카라이드와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였다. 분획물 6, 7, 및 8의 양성자 NMR 스펙트럼은 유사한 페턴을 보였으며, 이들은 프로시아니딘-유형 화합물 (이를 테면, 응축된 탄닌)과 일치되었다. 분획물 9, 10 및 11의 양성자 데이터 분석은 응축된 탄닌과 가수분해 가능한 탄닌의 혼합물이 존재함을 나타내고, 양성자 신호는 3.5-4.5 ppm 영역에서 증가되며, 대략 6.0 ppm 주변에서 감소되었다. 분획물 12, 13, 및 14의 양성자 NMR 스펙트럼에서 이들 분획물의 주요 성분이 가수분해가능한 탄닌임을 보여주었다. 분획 17 및 18은 주로 지방 분자를 포함하였다.
NMR 데이터에 기초하여, 분획물 6, 7, 및 8은 전체 비율이 39.3% 포함된 응축된 탄닌이 포함된 3가지 주요 분획물이며, 이때 이들 성분은 무탐바(Mutamba) 추출물의 주요 활성 성분이다.
실시예 87
무탐바(MUTAMBA) 분획 84/F6의 MALDI-TOF 질량 분석
MALDI-TOF 질량 분석 (MS) 스펙트럼은 Bruker Autoflex II MALDI에 기록되었다. 시료는 MeOH에 용해되었으며, CsCl은 H2O (약 1.5 mg/mL)에 용해되었다. 시료 용액 (20 μL)은 CsCl 용액 (5 uL)과 혼합되었고, 그 다음 0.5 μl의 용액 혼합물은 MALDI 플레이트 상에 점찍었고, 이어서 아세토니트릴에서 DHB의 포화용액 2 μL을 점찍었다 건조 후, 이 플레이트는 MALDI에 넣었다. 선형 양성 방식으로 획득되었다. 실시예 84에서 만들어진 무탐바(Mutamba) 분획 84/F6의 MALDI-TOF 질량 스펙트럼은 무탐바(Mutamba) 분획 84/F6은 양성 방식에서 모두 [M+Cs]+ 및 [M+H]+으로 기록되었으며, 하나의 카테친/에피카테친 단위의 추가에 대응하는 288 Da 간격에서 집합된 일련의 피크를 보여주었다 (도 3).
Figure 112014127413805-pct00250
결과에서 무탐바(Mutamba) 껍질의 활성 성분은 이합체들, 삼합체들, 사합체들, 오합체들, 육합체들, 칠합체들, 팔합체들, 및 구합체들 (최대 십합체들 또는 더 높은 분자량 폴리머들)로 구성된 주로 프로시아니딘을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88
무탐바(MUTAMBA) 추출물 활성 분획의 티올리시스 및 크로마토그래피
티올리시스는 Torres 및 Selga (Chromatographia 57:441, 2003)의 방법에 변형을 가하여 실시되었다. 시스테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는 탈중합 반응을 위한 대체 티올 반응물질로 선택되었다. 실시예 84에서 만들어진 무탐바(Mutamba) 분획 84/F6 또는 실시예 85에서 만들어진 무탐바(Mutamba) 분획 82D4/F6은 개별적으로 메탄올에 용해되어 10 mg/mL 용액을 만들었다. 한 방울 (50 μL)을 50 μL 히드로클로라이드/메탄올 (3.3%, v/v)이 든 바이알에 넣고, 그 다음 시스테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메탄올(50 mg/mL, 100 μL)이 추가되었다. 혼합물은 65℃에서 20 분간 가열되었으며, 반응은 0.1% (v/v) 수성 TFA 0.3 mL로 중단되었으며, 그 다음 실온으로 냉각되었다. 0.45 ㎛ 막 필터를 통하여 여과된 후, 용액은 HPLC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석되었다.
분석 HPLC 크로마토그래피는 ODS 컬럼 (Phenomex, Luna C18, 4.6 X 250 mm, 10 ㎛)에서 이동상 A (0.1% FA/물)와 B (아세토니트릴)와 함께 LC-MS (Hitachi M-8000) 및 PDA (Hitachi L-4500A) 시스템에서 실시되었다. 그라디언트 용리는 5분 동안 3%, 10분에 걸쳐 3 내지 9%, 30분에 걸쳐 9 내지 16%, 1분간 16-100%이었으며, 그리고 UV 파장 280 nm에서 분당 1mL의 유속에서 7분 동안 100% B로 세척되었다. 카테친, 에피카테친, 카테친-시스테아민 및 에피카테친-시스테아민 유도체 피크가 확인되었다. 프로시아니딘 분획물의 mDP는 피크 면적에 근거하여 산출되었다. 산출된 mDP (평균 중합도) 값은 무탐바(Mutamba) 분획 84/F6의 경우 4.12였으며, 무탐바(Mutamba) 분획 82D4/F6의 경우 6.27이었다.
이 결과에서 카테친과 에피카테친은 무탐바(Mutamba) 프로시아니딘의 말단 및 연장 단위로 작용되며, 에피카테친은 무탐바(Mutamba) 껍질에서 폴리머 프로시아니딘에 주요 성분임을 나타낸다. 무탐바(Mutamba) 껍질에서의 활성 성분은 평균 수가 4개인 에피카테친/카테친 단위의 프로시아니딘을 포함하지만, 이합체들, 삼합체들, 사합체들, 오합체들, 육합체들, 칠합체들, 팔합체들, 구합체들 그리고 최대 십합체들, 또는 더 큰 분자량 폴리머 또한 포함된다.
실시예 89
무탐바(MUTAMBA) 추출물 분획 84/F6의 분획화 및 티올리시스
무탐바(Mutamba) 추출물 84로부터 얻은 활성 분획 6-84/F6이라고 불림-은 크기 압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추가 분획되었다. 분획 84/F6 (100.5 mg)은 물에 의해 사전-조건화된 5 g LH-20 Sephadex 겔 비드가 있는 LH-20 겔 컬럼 상에 로딩되었다. 컬럼은 125 mL 물, 125 mL 20% MeOH/물, 200 mL 50% MeOH으로 용리되었으며, 끝으로 200 mL 70% 아세톤/물로 씻어내었다. 5가지 준분획물 (84/F6-01 - 84/F6-05)이 수집되었다. 평균 중합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실시예 88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각 분획은 시스테아민-HCl로 탈중합화되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251
준분획 84/F6-01 (6.17%) 및 84/F6-02 (12.04%)는 차례로 mDP 값이 8.33 및 6.87인 중합체 프로시아니딘을 포함하였다. 준분획 84/F6-03 (16.6 %)은 50% MeOH으로 용리되었으며 그리고 주로 에피카테친, 프로시아니딘 B2, 프로시아니딘 C1, 그리고 mDP 값이 1.71인 올리고머 프로시아니딘이 소량 포함하였다. 주요 분획 84/F6-06 (64.48%)은 70% Me2CO-H2O에 의해 용리되었으며, mDP 값이 6.23인 프로시아니딘을 포함하였다.
실시예 90
무탐바(MUTAMBA) 추출물 분획 82D4/F6의 분획화 및 티올리시스
무탐바(Mutamba) 추출물 82D4 (실시예 82 참고)에서 획득된 활성 분획 6 등가물- 82D4/F6이라고 부름-은 크기 압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추가 분획되었다. 분획 82D4/F6 (620.8 mg)은 물에 의해 사전-조건화된 5 g LH-20 Sephadex 겔 비드가 있는 LH-20 겔 컬럼 상에 로딩되었다. 컬럼은 150 mL 물, 250 mL 20% MeOH/물, 100 mL 40% MeOH 그리고 끝으로 300 mL 100% MeOH으로 용리되었다 (회수율은 77.6%이었다). 5가지 준분획물 (82D4/F6-01 - 82D4/F6-05)이 수집되었다. 분획 물질의 약 22%는 LH-20 컬럼에 남아있었다. 평균 중합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실시예 88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각 분획은 시스테아민-HCl으로 탈중합화되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252
준분획 82D4/F6-01은 13.43의 mDP 값을 가진 10.9% 중합체 프로시아니딘을 포함하였다.
실시예 91
무탐바(MUTAMBA) 추출물에서 응축된 탄닌 함량 분석
부탄올-HCl 분석은 응축된 탄닌, 특히 시료 안에 프로시아니딘의 양을 측정하는데 흔히 이용되는 비색법중 하나다. Porter et al. (Phytochemistry 25:223, 1986)에 의해 설명된 방법은 무탐바(Mutamba) 추출물에서 응축된 탄닌 함량을 측정하는 표준 방법을 따른다. 부탄올-HCl 시약은 950 mL의 n-부탄올과 50 mL 농축된 HCl을 혼합하여 준비되었다. 철 반응물은 0.5 g FeNH4(SO4)를 25 mL의 2N HCl에 용해시켜 준비하였다. 튜브 안에 이중으로 중복하여, 70% 아세톤에 0.2 mg/mL 농도의 무탐바(Mutamba) 추출물 1 ml은 6 mL 산 부탄올 시약에 추가되었고, 그 다음 0.2 mL 철 시약이 추가되었으며, 550 nm에서 흡수도가 측정되었다. 튜브에 뚜껑을 닫고, 흔들고, 그 다음 50분간 끓는 물 수조에 넣었다. 튜브를 냉각한 후, 550 nm에서 흡수도가 측정되었다. 가열 전 각 시료의 흡수도는 블랭크로써 가열된 혼합물의 흡수도로 부터 차감되었다. 준분획 84/F6-04 (탄닌 분획)은 정량화 표준으로 이용되었다. 탄닌 표준 등가물과 비교하였을 때, 응축된 탄닌 (건조 물질 안에 %)은 550 nm에서 흡수도에 기초하여 산출되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253
무탐바(Mutamba) EtOH 추출물내 응축된 탄닌 함량은 식물 부분, 식물의 수령, 수집 장소 및 계절에 따라 20%에서부터 최대 73% 범위로 상당히 다변적이었다 (표 174 참고). 성숙한 껍질및 줄기 껍질은 최대 수준의 응축된 탄닌을 보유하는 경향이 있다. 무탐바(Mutamba) 추출물내 측정된 응축된 탄닌 함량 및 추출 수율에 대해 보정된 것에 기초하면, 비가공 식물 재료 안에 함량은 약 2% 내지 약 14% 범위로 계산되었다.
실시예 42에 따라 생성된 조성물 2 (매그놀리아:모루스:무탐바)의 2개 배취에서 이 방법을 이용하면, 두 배취내 응축된 탄닌 함량은 각각 35.26% 및 31.63%이었다.
실시예 92
무탐바(MUTAMBA) 추출물 분획에서 응축된 탄닌 함량의 분석
무탐바(Mutamba) 70% EtOH 추출물 84의 무탐바(Mutamba) 분획물은 실시예 91에서 기술된 부탄올-HCl 분석에 사용하기 위하여 70% 아세톤내 0.1 mg/mL의 농도로 준비되었다. 응축된 탄닌 함량은 실시예 91에서 기술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량화되었으며, 데이터는 표 175에 나타낸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254
가장 큰 활성 분획, 84/F6은 다른 분획물과 비교하였을 때, 더 높은 함량의 응축된 탄닌을 보유한다.
실시예 93
무탐바(MUTAMBA) ETOH 추출물 분획의 단기 생체내 효과
고-지방-식이요법 (HFD)이 공급된 C57Bl/6J 마우스의 체중 증가에 있어서 무탐바(Mutamba) EtOH 추출물 분획 84/F6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14-일 연구가 이용되었다. 6주령의 수컷 C57BL/6J 마우스는 Charles River Laboratories (Wilmington, MA)에서 구입하였으며, 1주일의 적응시간을 거쳤다. 0일차 시점 (처리 시작일), 모든 마우스의 체중을 측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4가지 처리 집단에 무작위로 배당되었다: (1) 한 집단에 8 마리 마우스는 양성 대조= Alli를 제공받았다; (2) 한 집단에 15 마리 마우스는 무탐바(Mutamba) 분획 84/F6을 제공받았다; (3) 한 집단에 8 마리 마우스는 HFD 대조군에게 제공된 비이클 (0.5%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만을 제공받았고, 그리고 (4) 한 집단에 8 마리 마우스는 처리안된 정상 식이요법 대조군에게 제공된 비이클 만을 제공받았다. 마우스는 14일 동안 Alli 30mg/kg 및 무탐바(Mutamba) 84/F6을 1g/kg를 일일 경구 투여 분량으로 제공받았다. 마우스가 일단 이들의 첫 투여분량을 제공받았다면, 이들에게 정상 식이요법 집단을 제외하고, 임의로(ad libitum) 60% kcal 고지방-식이요법이 제공되었다. 주말을 제외하고 연구 기간 동안 매일 체중이 측정되었다. 연구 종료시 (15일차 시점), 마우스는 5 시간 동안 금식시키고, 혈당, 트리글리세리드 그리고 총 콜레스테롤 수준이 측정되었다. 혈당 수준은 Contour 혈당 감시 키트 (Bayer Health Care)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총 트리글리세리드 및 콜레스테롤 수준은 PTS 패널 테스트 스트립과 함께 CardioChek Analyzer (Polymer Technology System, Inc, Indianapolis, IN)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255
표 176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무탐바(Mutamba) 84/F6을 제공받은 마우스는 비이클 처리된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처리 후 9일차부터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으로 체중이 덜 증가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양성 대조, Alli 처리된 마우스는 비이클 처리된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처리 14일차에만 오직 체중 증가가 감소되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256
유사하게, 경구 처리 14일 후, 비이클 처리된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무탐바(Mutamba) 84/F6 처리된 마우스에서 공복 혈중 총 콜레스테롤 및 포도당 수준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가 관찰되었다 (표 177). 이들 낮은 수준의 공복 혈당 및 총 콜레스테롤은 정상 식이요법이 공급된 마우스에서 관찰되는 수준에 필적되었다. 무탐바(Mutamba) 처리된 집단과 비이클 처리된 HFD 집단 간에 트리글리세리드 수준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대조적으로, Alli 및 비이클 처리된 정규 식이요법이 공급된 마우스는 HFD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더 높은 수준의 공복 트리글리세리드를 나타낸다.
실시예 94
무탐바(MUTAMBA) 줄기 나무 껍질 EtOH 추출물 및 분획의 생체내 효과
실시예 84에 따라 만들어진 무탐바(Mutamba) 70% EtOH 추출물 84 및 무탐바(Mutamba)의 3가지 컬럼 분획물 84/F1-5, 84/F6, 및 84/F7-12는 실시예 48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DIO 마우스 모델에서 테스트되었다. 무탐바(Mutamba) 70% EtOH 추출물 처리 집단 (G1), 무탐바(Mutamba) 분획 84/F1-5 (G2), 무탐바(Mutamba) 분획 84/F6 (G3) 및 무탐바(Mutamba) 분획 84/F7-12 (G4)는 일일 2회 위관 영양법에 의해 1000 mg/kg의 투여분량으로 경구 투여되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257
표 178은 처리 5, 6 및 7주 후 1000mg/kg 처리 집단 G3은 체중의 유의적인 감소를 보여주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258
처리 2주 후 1000 mg/kg 무탐바(Mutamba) 분획 84/F6 집단 (G3)의 체중 증가는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이러한 효과는 처리 기간 종료될 때까지 지속되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259
비이클만으로 처리된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무탐바(Mutamba) 분획 84/F6 (G3) 1000mg/kg으로 처리된 DIO 마우스의 경구 처리에 의해 음식 섭취량 및 식이 효율 (FER)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260
무탐바(Mutamba) 분획 84/F6 처리된 집단 (G3)에서 간, 신장주변 지방 그리고 전체 지방 패드의 순수 무게는 고지방 식이요법 관리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Figure 112014127413805-pct00261
고지방 식이요법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무탐바(Mutamba) 분획 84/F6 처리(G3)는 총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요약하면, 1000 mg/kg 무탐바(Mutamba) 분획 84/F6 처리 집단 (G3)은 체중, 체중 증가, 식이 효율 (FER),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그리고 신장 주변 지방과 전체 지방 패드의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들 데이터들은 함께 무탐바(Mutamba) 분획 84/F6은 무탐바(Mutamba) 줄기 껍질에서 주요 항-비만 활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은 체중, 혈중 콜레스테롤, 체지방,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무탐바(Mutamba) 추출물로 이용되거나 또는 표준화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된 다양한 구체예들이 복합되어 추가 구체예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또는 출원 데이터 목록에서 열거된 모든 U.S. 특허, U.S. 특허 출원 공개, U.S. 특허 출원, 외국특허, 외국특허 출원 그리고 비-특허 공개는 이들 전문이 참고자료에 편입된다. 구체예의 측면들은 다양한 특허, 출원 및 공개의 개념을 이용할 필요가 있을 경우 변형되어 추가 구체예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 및 다른 변화가 상기 설명된 설명을 감안하여 구체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이용된 용어들은 청구범위를 본 명세서에서 공개된 특정 구체예 및 청구범위로 국한시켜서는 안되며, 이러한 청구범위에 등가인 범위와 함께 모든 가능한 구체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는 명세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36)

  1. 하나 이상의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Diels-Alder 부가물을 포함하는 모루스 알바(Morus alba) 추출물, 매그놀리아 오피시날리스(Magnolia officinalis) 추출물 및 예르바 마테(Yerba Mate)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중 증가를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칼콘과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Diels-Alder 부가물은 하기 식 Ib 또는 IIb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인, 체중 증가를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Figure 112020044758767-pct00285

    여기서, R4a, R4b, R5a, R5b, R6a, R6b, R7a, R7b, R8a, R8b, R9a, R9b, R10a, R10b, R11a, R11b, R12a, R12b, R13a, R13b, R14a, R14b, R15a 및 R15b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실, 할로겐, C1-12 알콕시, C1-12 알킬 또는 헤테로아릴 또는 R4a, R4b, R5a, R5b, R6a, R6b, R7a, R7b, R8a, R8b, R9a, R9b, R10a, R10b, R11a, R11b, R12a, R12b, R13a, R13b, R14a, R14b, R15a 또는 R15b 중의 하나는 같은 환 위의 R4a, R4b, R5a, R5b, R6a, R6b, R7a, R7b, R8a, R8b, R9a, R9b, R10a, R10b, R11a, R11b, R12a, R12b, R13a, R13b, R14a, R14b, R15a 및 R15b 중의 다른 하나와 조인하여 헤테로방향족 환을 형성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또는 기능식품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 혼합물의 활성 성분을 0.5 중량% 내지 90 중량% 포함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또는 기능식품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은 추출물 혼합물의 활성 성분을 0.5 중량 % 내지 90 중량% 포함하는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형제가 희석제인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캡슐제, 파우더 또는 과립제로서 제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하여 포유 동물에서 체중 증가를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제를 제조하는 방법.
  7. 제1항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하여 이를 필요로 하는 포유 동물의 비만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제를 제조하는 방법.
  8. 제1항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하여 포유 동물에서 체중을 유지하기 위한 약제를 제조하는 방법.
  9. 제1항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하여 포유 동물에서 LDL 콜레스테롤을 낮추거나, 총 콜레스테롤을 낮추거나, 트리글리세리드를 낮추거나, 또는 HDL을 증가시켜 건강한 지질 프로파일을 촉진하기 위한 약제를 제조하는 방법.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유 동물은 인간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칼콘 및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하나 이상의 Diels-Alder 부가물이 화학식 Ib 또는 IIb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인 조성물:
    Figure 112020010238640-pct00286

    여기서, R4a, R4b, R5a, R5b, R6a, R6b, R7a, R7b, R8a, R8b, R9a, R9b, R10a, R10b, R11a, R11b, R12a, R12b, R13a, R13b, R14a, R14b, R15a 또는 R15b 중 하나는 같은 환 위의 R4a, R4b, R5a, R5b, R6a, R6b, R7a, R7b, R8a, R8b, R9a, R9b, R10a, R10b, R11a, R11b, R12a, R12b, R13a, R13b, R14a, R14b, R15a 및 R15b 중 다른 하나와 조인하여 헤테로방향족 환을 형성한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칼콘 및 프레닐페닐 모이어티의 하나 이상의 Diels-Alder 부가물은 알바푸란 C, 알바닌 F, 쿠와논 G, 모라세닌 D; 12,13-디하이드로, 13-하이드록시, 알바닌 G, 쿠와논 H, 모라세닌 A, 칼코모라신, 광산곤 L, 쿠와놀 E, 쿠와논 J; 16''-데옥시, 쿠와논 J; 2-데옥시, 쿠와논 J; 2,16''-다이데옥시, 쿠와논 J; 1''-에피머, 쿠와논 L, 쿠와논 L; 2,3-다이디하이드로, 3-(3-메틸-2-부테닐), 쿠와논 X; 3''-에피머, 쿠와논 Z, 모라세닌 C, 멀베로푸란 E, 멀베로푸란 O, 멀베로푸란 P, 멀베로푸란 Q, 멀베로푸란 S, 멀베로푸란 T, 상제놀 G, 상제놀 J, 상제놀 M, 상제논 B; 7-O-(2,4-다이하이드록시벤조일), 상제논 S, 상제논 E, 상제논 G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KR1020147036826A 2012-05-29 2013-05-29 체중 관리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2163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7028142A KR102309488B1 (ko) 2012-05-29 2013-05-29 체중 관리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52807P 2012-05-29 2012-05-29
US61/652,807 2012-05-29
US201361783729P 2013-03-14 2013-03-14
US61/783,729 2013-03-14
PCT/US2013/043188 WO2013181296A2 (en) 2012-05-29 2013-05-29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naging weigh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142A Division KR102309488B1 (ko) 2012-05-29 2013-05-29 체중 관리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931A KR20150022931A (ko) 2015-03-04
KR102163313B1 true KR102163313B1 (ko) 2020-10-08

Family

ID=49674047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142A KR102309488B1 (ko) 2012-05-29 2013-05-29 체중 관리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20217031317A KR102478533B1 (ko) 2012-05-29 2013-05-29 체중 관리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20227043709A KR20230004911A (ko) 2012-05-29 2013-05-29 체중 관리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20147036826A KR102163313B1 (ko) 2012-05-29 2013-05-29 체중 관리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142A KR102309488B1 (ko) 2012-05-29 2013-05-29 체중 관리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20217031317A KR102478533B1 (ko) 2012-05-29 2013-05-29 체중 관리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20227043709A KR20230004911A (ko) 2012-05-29 2013-05-29 체중 관리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9844576B2 (ko)
KR (4) KR102309488B1 (ko)
CN (4) CN113476499A (ko)
HK (2) HK1211833A1 (ko)
WO (1) WO201318129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815A1 (ko) * 2022-02-09 2023-08-17 (주)보인바이오컨버젼스 상백피 및 후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 분해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0119A1 (en) 2003-04-04 2004-11-04 Unigen Pharmaceuticals, Inc. Formulation of dual cycloxygenase (COX) and lipoxygenase (LOX) inhibitors for mammal skin care
US20160214918A1 (en) * 2015-01-22 2016-07-28 Kaohsiung Medical University Composition for treating metabolic syndrome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832897B1 (ko) * 2015-05-26 2018-02-27 (주)뉴트리 모루신, 구와논 지 또는 상백피를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876805B1 (ko) * 2016-10-18 2018-07-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지 주정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US10638786B2 (en) 2017-08-16 2020-05-05 Zolighter, LLC Methods of reducing visceral fat and related compositions
WO2019050522A1 (en) * 2017-09-07 2019-03-14 Development Center For Biotechnology MAGNOLIA EXTRACT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USE THEREOF
CN111683671A (zh) 2017-10-06 2020-09-18 嘉吉公司 制备马黛茶提取物组合物的方法
FR3072025B1 (fr) 2017-10-06 2019-11-01 Plant Advanced Technologies Pat Extraits racinaires de plantes du genre morus et leurs utilisations
CN108244643B (zh) * 2017-12-13 2021-06-04 北京康比特体育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管控体重和提升运动能力的组合物
CN108703966A (zh) * 2018-07-26 2018-10-26 大连天星本草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桑根酮d在制备治疗高血脂和/或肥胖的药物或药物组合物中的应用
US11045514B2 (en) * 2018-09-04 2021-06-29 Vidya Herbs, Inc. Method of using a rosemary extract composition for weight management
KR102066966B1 (ko) * 2018-09-20 2020-01-16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상백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110568B1 (ko) * 2018-12-31 2020-05-13 정동희 수용성 탄닌산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0210118A1 (en) 2019-04-06 2020-10-15 Cargill, Incorporated Sensory modifiers
WO2020210161A1 (en) 2019-04-06 2020-10-15 Cargill, Incorporated Methods for making botanical extract composition
CN110179788A (zh) * 2019-07-03 2019-08-30 深圳市老年医学研究所 桑辛素在制备治疗脂肪肝药物中的应用
US11400043B2 (en) 2019-12-10 2022-08-02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
CN111205253B (zh) * 2020-02-11 2021-09-24 广西壮族自治区中国科学院广西植物研究所 一种地枫皮醇c、其制备方法及应用
US11344556B2 (en) * 2020-03-03 2022-05-31 Red Mountain Holdings, Llc Appetite suppressant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CN111298043A (zh) * 2020-04-26 2020-06-19 艾金长 一种治疗2型糖尿病的中药组合物
JP7017174B2 (ja) * 2020-10-12 2022-02-08 花王株式会社 食事に対する内臓脂肪のつきにくさの評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2735B2 (en) * 2000-12-15 2003-06-24 Npi,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for extracts of magnoliaceae plants
KR100645385B1 (ko) * 2005-10-05 2006-11-23 주식회사 안지오랩 비만 억제용 조성물
US7867525B2 (en) * 2002-08-14 2011-01-11 Bionutrigen Co., Ltd. Powder or extracts of plant leaves with anti-obesity effects and anti-obesity food comprising them
US7326706B2 (en) * 2003-08-15 2008-02-0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Pyrazine modulators of cannabinoid receptors
US20060018975A1 (en) * 2004-07-20 2006-01-26 Talbott Shawn M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weight management and mood enhancement
CN1631246A (zh) * 2004-12-30 2005-06-29 广东省农业科学院蚕业与农产品加工研究所 桑枝提取物在制备具有减肥降脂作用的食品中的用途
CN1942097A (zh) * 2005-01-21 2007-04-04 西斯汀财产有限公司 富含根皮苷的植物提取物及使用该提取物调整血糖含量和抗衰老的方法
CN101015597A (zh) * 2007-01-23 2007-08-15 吉林大学 厚朴制剂在制备治疗糖尿病和肥胖症药物中的应用
JP2012504600A (ja) * 2008-10-03 2012-02-23 シグマ・アリメントス・ソシエダ・アノニマ・デ・カピタル・バリアブレ 総コレステロールおよびldlコレステロールの制御ならびに/または体重減少ならびに/または熱産生を促進するための組成物
WO2010067355A1 (en) * 2008-12-08 2010-06-17 Hadasit Medical Research Services & Development Ltd. Method of treatment of diseases using hoodia extracts
JP2010202558A (ja) * 2009-03-02 2010-09-16 Nihon Univ 抗肥満剤及び糖尿病改善剤
US9011936B2 (en) * 2009-10-16 2015-04-21 Naturex, S.A. Extract of Rosmarinus officinalis L. leaves for pharmaceutical application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16, 978-986, 2011.
Planta Med. 72, 52-59, 2006.
최종 보고서, '비만억제 및 신경재생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콩발효식품 개발에 관한 연구', 부산대, 200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815A1 (ko) * 2022-02-09 2023-08-17 (주)보인바이오컨버젼스 상백피 및 후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 분해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36147B (zh) 2018-05-18
CN104736147A (zh) 2015-06-24
KR102309488B1 (ko) 2021-10-06
CN107281490A (zh) 2017-10-24
US20180099019A1 (en) 2018-04-12
CN113476499A (zh) 2021-10-08
HK1211833A1 (en) 2016-06-03
KR20150022931A (ko) 2015-03-04
WO2013181296A3 (en) 2014-01-30
CN108434197B (zh) 2021-11-12
KR20210124511A (ko) 2021-10-14
CN107281490B (zh) 2021-08-20
KR20230004911A (ko) 2023-01-06
KR102478533B1 (ko) 2022-12-16
WO2013181296A2 (en) 2013-12-05
KR20200121895A (ko) 2020-10-26
HK1245654A1 (zh) 2018-08-31
CN108434197A (zh) 2018-08-24
US9844576B2 (en) 2017-12-19
US20240024403A1 (en) 2024-01-25
US20140004215A1 (en) 201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313B1 (ko) 체중 관리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AU2021200432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joint health
AU2020201457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naging or improving bone disorders, cartilage disorders, or both
HUE027924T2 (en) Extract and therapeutic use of Fraxinus excelsior seeds
JP2008013440A (ja) 経口投与型美白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