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114B1 -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 - Google Patents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63114B1 KR102163114B1 KR1020200029032A KR20200029032A KR102163114B1 KR 102163114 B1 KR102163114 B1 KR 102163114B1 KR 1020200029032 A KR1020200029032 A KR 1020200029032A KR 20200029032 A KR20200029032 A KR 20200029032A KR 102163114 B1 KR102163114 B1 KR 1021631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nt
- high heat
- air pocket
- main support
- tent clot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E04H1/1261—Cubicles for fire-prot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met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made of fibres or fila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36—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 E04H15/38—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expansible, e.g. extensible in a fan type mann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32B2262/0269—Aromatic polyamide fib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24—Alumin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는 복수의 겹(layer)으로 형성되는 텐트천; 및 상기 텐트천이 열리거나 닫히도록 상기 텐트천을 접철 가능하게 지지하는 접철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텐트천은, 상기 텐트천의 안감을 이루되 단열 기능과 열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단열겸용 열차단층; 및 상기 텐트천의 겉감을 이루되 고내열 기능과 고난연 기능을 제공하는 고내열겸용 고난연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등의 특수상황에서 안전한 피난처를 제공할 수 있는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에 관한 것이다.
화재가 발생하면 화상을 입게 되는데, 이러한 화재 발생에 의한 화상은 직접 화상과 흡입 화상으로 나뉜다.
전자의 직접 화상은 열기에 의한 피부 화상이다. 인체가 불에 직접 노출되어 피부 등이 손상을 입거나 화상을 입는 경우를 말한다. 참고로, 통상 3도 화상으로 화상 면적이 인체의 30%를 초과하면 인체에 치명적 영향을 주어 생명까지 위험에 처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후자의 흡입 화상은 뜨거운 연기나 유해가스를 들이마신 결과 기도의 부드러운 점막에 화상이 생긴 것을 말한다. 특히, 밀폐된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유독 가스나 연기의 특성상 빠르게 건물 전체로 퍼지게 되는데, 이때 고온의 열기를 직접 흡입하거나 유해물질 연소 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또는 연소물질을 흡입할 때, 흡입 화상이 생길 수 있다.
이처럼 화재 시 발생하는 유해가스나 연기의 흡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흡입 화상은 건물의 밀폐된 내부나 환기가 되지 않는 밀폐된 공간에서의 화재 시에 발생하지만, 유해가스나 연기의 특성상 개방된 공간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그렇지 않을 경우, 손해를 입게 되고, 심한 경우에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참고로, 소방청의 통계를 참조하면 흡입 화상이 피부 화상에 따른 사망자보다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할 때, 흡입 화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가능하면 찬물에 적신 수건으로 입과 코를 가리면서 몸을 최대한 낮추고 빠져나오는 것이 최선인데, 일반적으로 유해가스와 연기로 시야가 확보되지 않을 뿐 아니라 위급상황에서는 이러한 행동을 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구조대가 올 때까지 텐트를 이용한 피신이 필요할 수 있다.
이에, 도 1과 같은 방염 및 방연 아라미드 텐트(10)가 필요할 수 있는데, 도 1과 같은 종래의 아라미드 텐트(10)는 그 구조가 너무 단순해서 기능성이 떨어지므로 실질적으로 화재 발생 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도 1의 텐트(10)에서 참조부호 11은 출입용 지퍼이다.
최근 고령화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독거노인의 수도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인데, 이러한 독거노인 주거지에서 화재가 일어날 경우, 즉각적인 대응이 이루어지지 않아 사망률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두루 고려해보면, 도 1과 같은 개념적인 텐트가 아닌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텐트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실제, 앞서 기술한 직접 화상(피부 화상)도 상당히 위험하지만, 흡입 화상에 따른 손상을 입으면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게 되어 사망률이 더욱 높아진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화재 등의 특수상황에서 피난처를 제공함으로써 피해를 줄일 수 있게끔 하는 신개념의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등의 특수상황에서 안전한 피난처를 제공함으로써 구조 시간을 벌 수 있게끔 유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해를 줄여 생존율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높일 수 있는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복수의 겹(layer)으로 형성되는 텐트천; 및 상기 텐트천이 열리거나 닫히도록 상기 텐트천을 접철 가능하게 지지하는 접철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텐트천은, 상기 텐트천의 안감을 이루되 단열 기능과 열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단열겸용 열차단층; 및 상기 텐트천의 겉감을 이루되 고내열 기능과 고난연 기능을 제공하는 고내열겸용 고난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텐트천은, 상기 단열겸용 열차단층과 상기 고내열겸용 고난연층 사이에 형성하되 일산화탄소를 포함하는 유해가스를 차단하는 유해가스 차단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겸용 열차단층은 알루미늄 소재의 열차단 펠트로 형성되며, 상기 고내열겸용 고난연층은 메타 아라미드(meta aramid) 섬유로 형성되며, 상기 유해가스 차단층은 루테늄(ruthenium) 촉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철 지지부는, 메인 지지대; 상기 메인 지지대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메인 지지대의 양측에 상호간 이격 배치되되 상기 메인 지지대에 대하여 접절되는 복수의 접철바; 및 상기 메인 지지대에 마련되되 상기 복수의 접철 지지부가 접철 가능하게 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텐트천은 상기 접철바들 사이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철 지지부의 메인 지지대에 결합하며, 상기 텐트천의 내부 혹은 외부에 분포된 유해가스의 양 또는 정도를 감지하는 유해가스 감지기; 상기 메인 지지대에 결합하는 통신 모듈; 알림 모듈; 및 상기 유해가스 감지기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모듈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한편 현재 상황이 소방서 또는 경찰서의 응급상황실로 실시간 무선 통신되게 상기 통신 모듈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등의 특수상황에서 안전한 피난처를 제공함으로써 구조 시간을 벌 수 있게끔 유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해를 줄여 생존율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불에 타지 않을뿐더러 일산화탄소와 같은 유해가스를 차단할 수 있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아라미드 텐트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일부 개방상태 동작도이다.
도 5는 도 1의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의 텐트천에 대한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의 개방상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의 개방상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일부 개방상태 동작도이다.
도 5는 도 1의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의 텐트천에 대한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의 개방상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의 개방상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의 측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일부 개방상태 동작도, 그리고, 도 5는 도 1의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의 텐트천에 대한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100)를 사용할 경우, 화재 등의 특수상황에서 안전한 피난처를 제공함으로써 구조 시간을 벌 수 있게끔 유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해를 줄여 생존율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100)의 경우, 종래와 달리 불에 타지 않을뿐더러 일산화탄소와 같은 유해가스를 차단할 수 있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100)는 텐트천(110)과, 텐트천(110)이 열리거나 닫히도록 텐트천(110)을 접철 가능하게 지지하는 접철 지지부(130)를 포함한다.
텐트천(1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100)의 외벽체를 이룬다. 도 2 및 도 3처럼 닫았을 때, 외부와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 본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100) 내에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
이때, 텐트천(110)이 단순한 천 재질이거나 종래의 도 1처럼 단순 구조를 가질 경우, 열에 매우 취약할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대피의 의미가 소실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와 달리, 텐트천(110)을 복수의 겹(layer, 121~123)으로 제조함으로써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텐트천(110)은 단열겸용 열차단층(121), 내열겸용 고난연층(122) 및 유해가스 차단층(123)을 포함할 수 있다.
단열겸용 열차단층(121)은 텐트천(110)의 안감을 이루되 단열 기능과 열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열겸용 열차단층(121)은 알루미늄 소재의 열차단 펠트로 형성된다. 따라서, 그 어떤 재질보다 가벼우면서도 단열 기능과 열차단 기능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내열겸용 고난연층(122)은 텐트천(110)의 겉감을 이루되 고내열 기능과 고난연 기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내열겸용 고난연층(122)은 메타 아라미드(meta aramid) 섬유로 형성된다. 메타 아라미드 섬유는 아라미드 섬유의 한 종류로서 내열성이 큰 섬유이다. 노멕스가 대표적이다. 비행기의 타이어 코드, 내열, 내화 작업복 따위에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메타 아라미드 섬유로 텐트천(110)의 겉감을 제조하고 있는 것이다.
유해가스 차단층(123)은 단열겸용 열차단층(121)과 고내열겸용 고난연층(122) 사이에 형성하되 일산화탄소를 포함하는 유해가스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루테늄(ruthenium) 촉매층으로 형성된다. 루테늄 촉매층의 특성상 외부에서 텐트(100) 내로 유입될 수 있는 유해가스, 즉 일산화탄소 등의 유해가스가 루테늄 촉매층에 흡수될 수 있다.
한편, 접철 지지부(130)는 도 4처럼 텐트천(110)이 열리거나 도 2 및 도 3처럼 텐트천(110)이 닫히도록 텐트천(110)을 접철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접철 지지부(130)는 메인 지지대(131)와, 메인 지지대(131)를 기준으로 해서 메인 지지대(131)의 양측에 상호간 이격 배치되되 메인 지지대(131)에 대하여 접절되는 복수의 접철바(132)와, 메인 지지대(131)에 마련되되 복수의 접철 지지부가 접철 가능하게 하는 힌지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텐트천(110)은 접철바(132)들 사이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평상시에는 접철 지지부(130)를 접어 부피를 줄여 보관하고 있다가 화재가 발생하여 대피가 어려운 상황이 도래하면 도 2 및 도 3처럼 텐트(100)를 펼치고 그 내부로 들어가 피신하면 된다.
실제, 피신이 오랜 기간 이루어지기는 실질적으로 어렵지만 적어도 소방대원이 도착할 때까지는 충분히 시간을 벌 수 있는데, 텐트천(110)의 특성상 뜨거운 연기나 열, 그리고 유해가스가 차단될 수 있으므로, 뜨거운 연기나 열, 그리고 유해가스를 들이마신 결과 기도의 부드러운 점막에 화상이 생기는 이른바 흡입 화상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텐트(400)가 에어포켓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피신에 적합하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100)는 독거노인 또는 화재 취약 연령층에 적합해서 화재 시 대피할 수 없는 최악의 상황에서 에어포켓 역할을 하여 생존율을 높이고 신속한 구조를 할 수 있게끔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불에 타지 않는 특성상 극한 화재상황에서도 안전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100)는 평상시 보온 용도로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등의 특수상황에서 안전한 피난처를 제공함으로써 구조 시간을 벌 수 있게끔 유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해를 줄여 생존율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불에 타지 않을뿐더러 일산화탄소와 같은 유해가스를 차단할 수 있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의 개방상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200) 역시, 텐트천(110)과, 텐트천(110)이 열리거나 닫히도록 텐트천(110)을 접철 가능하게 지지하는 접철 지지부(130)를 포함한다.
한편, 이들 구성 외에도 본 실시예의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200)에는 유해가스 감지기(260), 통신 모듈(271), 알림 모듈(272) 및 컨트롤러(280)가 더 탑재될 수 있다.
유해가스 감지기(260)는 접철 지지부(130)의 메인 지지대(131)에 결합할 수 있다. 물론, 접철 지지부(130) 외의 다른 곳에 유해가스 감지기(260)가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유해가스 감지기(260)는 메인 지지대(131)의 내외측 모두에 마련될 수 있을 것인데, 이러한 유해가스 감지기(260)는 텐트천(110) 내부 혹은 외부에 분포된 유해가스의 양 또는 정도를 감지한다.
다시 말해, 텐트천(110) 내부의 유해가스 양을 감지하기도 하고, 혹은 텐트천(110) 외부에 유해가스가 분포되어 있는지의 정도를 감지한다.
특히, 텐트(200) 주위 반경에서 유해가스가 감지된다면 그 즉시 경보가 울려 사용자에게 유해가스가 감지되었다는 신호를 전달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텐트(200)를 펼쳐 내부로 피신하도록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유해가스 감지기(260)는 텐트천(110) 내부 혹은 외부에 분포된 유해가스의 양 또는 정도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럴 경우,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유해가스 감지기(260)에서 감지된 정보는 실시간으로 컨트롤러(280)로 전송된다.
통신 모듈(271)은 메인 지지대(131)에 결합하는 무선 통신 장치이고, 알림 모듈(272)은 부저 등의 장치이다. 알림 모듈(272)은 도면처럼 메인 지지대(131)에 결합할 수도 있고, 아니면 창문 등에 미리 부착될 수도 있다. 알림 모듈(272)이 창문 등에 부착된 경우, 무선 통신으로 통해 알림 모듈(272)이 원격 컨트롤된다.
컨트롤러(280)는 유해가스 감지기(260)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알림 모듈(272)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한편 현재 상황이 소방서 또는 경찰서의 응급상황실로 실시간 무선 통신되게 통신 모듈(271)을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280)는 중앙처리장치(281, CPU), 메모리(2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2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281)는 본 실시예에서 유해가스 감지기(260)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알림 모듈(272)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한편 현재 상황이 소방서 또는 경찰서의 응급상황실로 실시간 무선 통신되게 통신 모듈(271)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2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281)와 연결된다. 메모리(2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2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281)와 결합하여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2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280)는 유해가스 감지기(260)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알림 모듈(272)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한편 현재 상황이 소방서 또는 경찰서의 응급상황실로 실시간 무선 통신되게 통신 모듈(271)을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2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2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불에 타지 않을뿐더러 일산화탄소와 같은 유해가스를 차단할 수 있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화재 등의 특수상황에서 안전한 피난처를 제공함으로써 구조 시간을 벌 수 있게끔 유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해를 줄여 생존율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의 정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300) 역시, 텐트천(110)과, 텐트천(110)이 열리거나 닫히도록 텐트천(110)을 접철 가능하게 지지하는 접철 지지부(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접철 지지부(330)는 메인 지지대(131), 접철바(132) 및 힌지부(133)를 포함한다.
한편, 복수 개의 접철바(132) 중에서 최하단에 배치되는 최하단 접철바(132a)에는 웨이트(335)가 결합한다.
일정 중량을 갖는 웨이트(335)로 인해 최하단 접철바(132a)가 임의로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화재 발생 시 텐트천(110)이 임의로 열려서 낭패를 보는 일을 없앨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불에 타지 않을뿐더러 일산화탄소와 같은 유해가스를 차단할 수 있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화재 등의 특수상황에서 안전한 피난처를 제공함으로써 구조 시간을 벌 수 있게끔 유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해를 줄여 생존율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의 개방상태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400) 역시, 텐트천(110)과, 텐트천(110)이 열리거나 닫히도록 텐트천(110)을 접철 가능하게 지지하는 접철 지지부(130)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텐트(400)에는 접철 지지부(130)의 메인 지지대(131)에 휴대용 산소호흡기(450)가 갖춰진다. 휴대용 산소호흡기(450)의 개수는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화재 발생 시 본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400)가 자체적으로 에어포켓 기능을 제공하지만 이에 더해서 피신한 사용자가 휴대용 산소호흡기(450)를 사용할 수 있어서 더욱 장시간 대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불에 타지 않을뿐더러 일산화탄소와 같은 유해가스를 차단할 수 있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화재 등의 특수상황에서 안전한 피난처를 제공함으로써 구조 시간을 벌 수 있게끔 유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해를 줄여 생존율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500) 역시, 텐트천(110)과, 텐트천(110)이 열리거나 닫히도록 텐트천(110)을 접철 가능하게 지지하는 접철 지지부(130)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텐트(500)에는 접철 지지부(130)의 메인 지지대(131)에 야광 패턴부(550)가 형성된다.
야광 패턴부(550)는 야광물질을 메인 지지대(131)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고, 아니면 테이프 타입일 수도 있다.
어떠한 형태일지라도 야광 패턴부(550)가 마련되면, 화재 발생 시 전등이 차단되어 소방관의 랜턴(후라시)에 의한 시야 확보밖에 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소방관의 랜턴(후라시) 빛에 야광 패턴부(550)이 발현되면서 어둠 속에서도 텐트(500)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불에 타지 않을뿐더러 일산화탄소와 같은 유해가스를 차단할 수 있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화재 등의 특수상황에서 안전한 피난처를 제공함으로써 구조 시간을 벌 수 있게끔 유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해를 줄여 생존율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 110 : 텐트천
121 : 단열겸용 열차단층 122 : 고내열겸용 고난연층
123 : 유해가스 차단층 130 : 접철 지지부
131 : 메인 지지대 132 : 접철바
133 : 힌지부
121 : 단열겸용 열차단층 122 : 고내열겸용 고난연층
123 : 유해가스 차단층 130 : 접철 지지부
131 : 메인 지지대 132 : 접철바
133 : 힌지부
Claims (5)
- 복수의 겹(layer)으로 형성되는 텐트천; 및
상기 텐트천이 열리거나 닫히도록 상기 텐트천을 접철 가능하게 지지하는 접철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텐트천은,
상기 텐트천의 안감을 이루되 단열 기능과 열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단열겸용 열차단층;
상기 텐트천의 겉감을 이루되 고내열 기능과 고난연 기능을 제공하는 고내열겸용 고난연층; 및
상기 단열겸용 열차단층과 상기 고내열겸용 고난연층 사이에 형성하되 일산화탄소를 포함하는 유해가스를 차단하는 유해가스 차단층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겸용 열차단층은 알루미늄 소재의 열차단 펠트로 형성되며,
상기 고내열겸용 고난연층은 메타 아라미드(meta aramid) 섬유로 형성되며,
상기 유해가스 차단층은 루테늄(ruthenium) 촉매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 지지부는,
메인 지지대;
상기 메인 지지대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메인 지지대의 양측에 상호간 이격 배치되되 상기 메인 지지대에 대하여 접절되는 복수의 접철바; 및
상기 메인 지지대에 마련되되 상기 복수의 접철 지지부가 접철 가능하게 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텐트천은 상기 접철바들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 지지부의 메인 지지대에 결합하며, 상기 텐트천의 내부 혹은 외부에 분포된 유해가스의 양 또는 정도를 감지하는 유해가스 감지기;
상기 메인 지지대에 결합하는 통신 모듈;
알림 모듈; 및
상기 유해가스 감지기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모듈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한편 현재 상황이 소방서 또는 경찰서의 응급상황실로 실시간 무선 통신되게 상기 통신 모듈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9032A KR102163114B1 (ko) | 2020-03-09 | 2020-03-09 |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9032A KR102163114B1 (ko) | 2020-03-09 | 2020-03-09 |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63114B1 true KR102163114B1 (ko) | 2020-10-07 |
Family
ID=72883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9032A KR102163114B1 (ko) | 2020-03-09 | 2020-03-09 |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63114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53580A (ko) | 2007-11-23 | 2009-05-27 | 엔에이치엔(주) | 개인화된 뉴스 컨텐츠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KR100967563B1 (ko) * | 2009-12-22 | 2010-07-05 | 김광수 | 피난장치 |
KR101072529B1 (ko) * | 2011-04-01 | 2011-10-11 | 주식회사 산청 |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및 이를 위한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 |
KR20180100002A (ko) * | 2017-02-28 | 2018-09-06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아웃도어용 스마트 팬 |
KR101902153B1 (ko) * | 2018-04-24 | 2018-09-27 | 임재경 | 접철식 대피공간 제공장치 |
KR20190089469A (ko) * | 2018-01-22 | 2019-07-31 | 김성모 | 침대용 에어 포켓 |
-
2020
- 2020-03-09 KR KR1020200029032A patent/KR10216311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53580A (ko) | 2007-11-23 | 2009-05-27 | 엔에이치엔(주) | 개인화된 뉴스 컨텐츠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KR100967563B1 (ko) * | 2009-12-22 | 2010-07-05 | 김광수 | 피난장치 |
KR101072529B1 (ko) * | 2011-04-01 | 2011-10-11 | 주식회사 산청 |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및 이를 위한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 |
KR20180100002A (ko) * | 2017-02-28 | 2018-09-06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아웃도어용 스마트 팬 |
KR20190089469A (ko) * | 2018-01-22 | 2019-07-31 | 김성모 | 침대용 에어 포켓 |
KR101902153B1 (ko) * | 2018-04-24 | 2018-09-27 | 임재경 | 접철식 대피공간 제공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8080B1 (ko) | 화재 대피실 | |
KR100884890B1 (ko) | 화재시 배연의 기능성을 발휘하는 실내 환기시스템 | |
KR20100128779A (ko) | 방화용 대피실 | |
KR20200098317A (ko) | 실내용 화재감지 시스템 | |
JP2016144629A (ja) | ビル火災救命システムおよびビル火災救命システムの使用方法 | |
KR100757575B1 (ko) | 창호용 화재 확산방지장치 | |
KR102163114B1 (ko) |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 | |
KR101902153B1 (ko) | 접철식 대피공간 제공장치 | |
JPH09271526A (ja) | トンネル状空間の火災時区画装置 | |
KR20010013900A (ko) | 연소방지시트, 연소방지커버, 소화시트겸방재용피복 | |
JP2000317005A (ja) | 防火シート | |
KR20200145982A (ko) | 화재 대피실 | |
KR102061008B1 (ko) | 화재 대피실용 방화문 | |
JP2003102858A (ja) | 閉鎖空間の防火システム | |
CN107243118A (zh) | 一种可折叠高楼防火救生舱 | |
CN208160866U (zh) | 一种用于建筑的火灾消防安全柜 | |
CN108245801A (zh) | 一种火灾救生舱 | |
KR200454319Y1 (ko) | 원터치식 방염 및 방연 아라미드 텐트 | |
CN212914257U (zh) | 森林消防员自救避火罩 | |
CN202000718U (zh) | 用于躲避火灾的避难空间 | |
JP2002315841A (ja) | 可動遮蔽壁による臨時退避エリア創設方法による火災避難設備 | |
CN213838394U (zh) | 一种具有隔烟功能的防火门 | |
JP2514816B2 (ja) | 避難用室を備える建造物 | |
KR100587898B1 (ko) | 화재감지기를 구비하는 방화문 | |
CN105816968A (zh) | 一种螺旋式救生滑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