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153B1 - 접철식 대피공간 제공장치 - Google Patents

접철식 대피공간 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153B1
KR101902153B1 KR1020180047061A KR20180047061A KR101902153B1 KR 101902153 B1 KR101902153 B1 KR 101902153B1 KR 1020180047061 A KR1020180047061 A KR 1020180047061A KR 20180047061 A KR20180047061 A KR 20180047061A KR 101902153 B1 KR101902153 B1 KR 101902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d
wall
link structure
spac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경
Original Assignee
임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경 filed Critical 임재경
Priority to KR1020180047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E04H1/1261Cubicles for fire-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57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4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with hinged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에 화재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하여 인명이 위태로울 때에 건물의 내부에 사람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대피공간을 제공하는 대피공간 제공장치로서, 건물의 실내의 내벽(1)에 설치되어 화재시 실내의 주거공간의 일 영역을 대피공간으로 전환하여 제공하기 위하여, 평상시에는 내벽(1)에 접힌 상태로 유지되고 비상시에 확장되는 인명보호공간을 형성하고 일면에 출입구(102)가 형성된 인명보호막(100), 및 상기 인명보호막(100)의 접힌 상태와 확장 상태의 전환을 강제하기 위한 링크 구조의 상태 전환장치(200)를 포함하고, 상기 인명보호막(100)은 화염의 차단을 위한 불연소재와 단열 보온 기능을 수행하는 차열소재의 결합에 의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주거공간의 희생없이도 강화된 건축법에 규정하는 대피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철식 대피공간 제공장치{Apparatus for Forming Emergency Shelter by Folding}
본 발명은 건물에 화재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하여 인명이 위태로울 때에 건물의 내부에 사람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대피공간을 제공하는 대피공간 제공장치로서, 특히 평상시에는 주거공간으로 활용하다가 비상시에만 사용자의 작동에 의하여 즉각 대피공간으로 전환하여 인명을 구할 수 있는 접철식 대피공간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많은 인명이 희생되는 건축물의 화재, 방화 등의 사고 발생에 따라 위난시에도 희생자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건축법이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하향식 피난구의 설치 또는 인접세대와의 경계벽을 설치한 경우에 대피공간을 제외하는 규정을 삭제하여 소방안전을 확보하도록 강화하고, 4층 이상의 층에만 대피공간을 설치하도록 하는 규정도 2,3층의 경우까지 설치하도록 규정이 강화되고 있다.
이에 따른 대피공간의 확대는 주거공간의 희생이 따를 수밖에 없게 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로서, 등록특허 제10-1165830호와 같이 베란다의 비사용 공간을 활용하여 대피공간을 상시로 제공하는 장치, 공개특허 제10-2018-0006341호에서와 같이 베란다 난간에 설치하는 전개형 화재 대피 장치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전자의 장치는 여전히 주거자가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이 희생되고 있고, 후자의 경우는 베란다에 설치되어 현재 위치에서 베란다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유독가스에 노출되어 희생되거나 경로상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문제 해결이 안되고, 또한 추락 위험이 존재하는 문제 또한 존재한다.
등록특허 제10-1165830호 공개특허 제10-2018-0006341호
본 발명의 목적은 평상시에는 주거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는 내벽에 인접한 공간을 화재 발생시에 대피공간으로 전환하여 즉시 그 안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접철식으로 구성된 대피공간 제공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접철식 대피공간 제공장치는, 건물의 실내의 내벽(1)에 설치되어 화재시 실내의 주거공간의 일 영역을 대피공간으로 전환하여 제공하기 위한 접철식 대피공간 제공장치로서, 평상시에는 내벽(1)에 접힌 상태로 유지되고 비상시에 확장되는 인명보호공간을 형성하고 일면에 출입구(102)가 형성된 인명보호막(100); 및 상기 인명보호막(100)의 접힌 상태와 확장 상태의 전환을 강제하기 위한 링크 구조의 상태 전환장치(200);를 포함하고, 상기 인명보호막(100)은 화염의 차단을 위한 불연소재와 단열 보온 기능을 수행하는 차열소재의 결합에 의하여 구성되며, 상기 인명보호막은 불연소재의 외부재(110), 차열소재의 중간재(120), 및 불연소재의 내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재(130)의 적어도 일면은 유독가스 차단용 코팅층(140)이 형성되고, 상기 상태 전환장치(200)는, 내벽(1)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일단이 내벽(1)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인명보호막(100)의 전면부에 고정된 접철식 링크 구조물(210); 및 상기 접철식 링크 구조물(210)이 내벽(1)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인명보호막(100)과 상기 접철식 링크 구조물(210)을 덮어 보호하기 위한 보호 덮개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인명보호막(100)의 네 측면에는, 상기 보호 덮개부(220)의 내부를 향해 접어지도록 안내하는 접힘안내선(104, 108)이 형성되고, 상기 접철식 링크 구조물(210)은, 상기 인명보호막(100)을 사이에 두고 좌우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상기 인명보호막(100)을 향해 접었다 펴지는 한 쌍의 접이식 링크(214, 216)를 구비하며, 상기 접철식 링크 구조물(210)이 접히면, 상기 한 쌍의 접이식 링크(214, 216)가 상하 적층되어 일자로 포개짐과 동시에, 상기 인명보호막(100) 및 상기 접철식 링크 구조물(210)이 상기 보호 덮개부(220)의 내측에 은닉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접철식 대피공간 제공장치에 의하면, 주거공간의 희생없이도 강화된 건축법에 규정하는 대피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화재 발생시 베란다나 다른 대피장소로 이동하는 경로가 차단되거나 이동 과정에서 유독가스에 노출될 위험이 있는 경우에도 현재 위치의 내벽에 설치된 본 장치를 동작하여 즉시 대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접철식 대피공간 제공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접철식 대피공간 제공장치의 접힌 상태와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인명보호막의 단면 구조; 및
도 4는 도 1의 상태 전환장치의 접철식 링크 구조물의 접힌 상태와 일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접철식 대피공간 제공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접철식 대피공간 제공장치의 접힌 상태와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인명보호막의 단면 구조이고, 도 4는 도 1의 상태 전환장치의 접철식 링크 구조물의 접힌 상태와 일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건물의 실내의 내벽(1)에 설치되어 화재시 실내의 주거공간의 일 영역을 대피공간으로 전환하여 제공하는 기술로서,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접철식 대피공간 제공장치는 인명보호막(100)과 상태 전환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명보호막(100)은 평상시에는 내벽(1)에 접힌 상태로 유지되고 비상시에 확장되는 인명보호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일면에 출입구(102)가 형성되어 건물 내의 피난자의 출입이 자유롭도록 구성된다. 인면보호막(100)은 출입구(102)를 통하여 피난자를 수용하고 외부와 완전히 차단되어지는 내부 피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은 6면체의 형상이나 이를 기본으로 하는 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평상시에 접힌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하면서 내구성이 보전되어야 하므로 연성 재질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인명보호막(100)의 네 측면에는, 보호 덮개부(220)의 내부를 향해 접어지도록 안내하는 접힘안내선(104, 108)이 형성된다.
상기 상태 전환장치(200)는 상기 인명보호막(100)의 접힌 상태와 확장 상태의 전환을 강제하기 위한 경성 구조물로서, 기본적으로 접이식의 링크 구조를 갖는다. 상태 전환장치(200)가 접힌 상태에서는 내벽과의 사이에 인명보호막을 접힌 상태로 수납되도록 하고, 확장된 상태에서는 인명보호막(100)이 펼쳐지면서 대피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인명보호막(100)은 화염의 차단을 위한 불연소재와 단열 보온 기능을 수행하는 차열소재의 결합에 의하여 구성된다. 화염에 직접 접하는 외부에는 화염에 의한 연소가 일어나지 않도록 불연소재로 구성하고, 내측에는 차열소재를 결합하여 화염에 의한 열이 내부 대피공간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불연소재와 차열소재의 조합에 의하여 외부의 화염의 영향이 내부 대피공간으로 미치지 않아 구조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 동안 인명이 보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인명보호막(100)은 불연소재의 외부재(110), 차열소재의 중간재(120), 및 불연소재의 내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재(130)의 적어도 일면은 유독가스 차단용 코팅층(14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재(110)는 불연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유리섬유를 직조하여 구성된 원단이나, 실리카 원단, 기타 세라믹 원단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중간재(120)는 페이퍼나 울의 형태로 제조된 연성을 갖는 세라믹 소재의 단열 보온재를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단열 기능이 있는 경성 보드의 형태도 복수의 파트의 조합으로 내부재(130)와 외부재(110)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성하여 접힘이 가능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내부재(130)는 외부재(110)에 의한 불연 성능을 더욱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사한 소재의 불연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내부재(130)의 경우에는 적어도 일면에 내열성을 갖는 실리콘이나 테프론(teflon), 기타 그라파이트 등에 의하여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유독가스가 미세한 틈으로 침투해 들어오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상태 전환장치는(200) 내벽(1)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일단이 내벽(1)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인명보호막(100)의 전면부에 고정된 접철식 링크 구조물(210), 및 상기 접철식 링크 구조물(210)이 내벽(1)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인명보호막(100)과 상기 접철식 링크 구조물(210)을 덮어 보호위한 보호 덮개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철식 링크 구조물(210)은 도 4(a)에 보이는 바와 같이 좌우에 서로 대칭되도록 접이식 링크(214, 216)가 형성되고, 하나의 링크(214)는 내벽 측에 힌지 고정하고, 다른 링크(216)는 보호 덮개부(220)와 체결되는 고정부(218)에 힌지 연결되도록 한다. 고정부(218)는 본 발명의 동작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요소는 아니고 직접 보호 덮개부(220)에 연결될 수도 있다. 각 링크 사이의 연결은 힌지축(221, 223, 225)에 대한 힌지 연결 구조로 이루어져 접이식 구조가 달성될 수 있다. 내벽(1) 측의 링크(214)는 내벽(1)에 고정되는 벽고정구(212)에 힌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접철식 링크 구조물(210) 사이에 인명보호막(100)이 위치하게 된다.
도 4(a)를 보면, 각 링크가 접힌 상태에서 모두 상하로 일자로 적층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도 2(a)를 참조하면, 상태 전환장치(200)가 도 4(a)에서와 같이 내벽(1)으로 접힌 상태에서는 보호 덮개부(220)와 사방으로 형성된 측면부(222)에 의하여 인명보호막(100)과 접철식 링크 구조물(210)이 모두 내측에 은닉된 상태로 유지되어 거주자가 주거생활을 하는데 심미감을 저해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발명은 구성상 접철식 링크 구조물(210)이 접힌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는 잠금 장치가 필요할 것이다. 하나의 예로서, 잠금 장치는 보호덮개부(220)와 내벽(1) 사이에 체결되는 볼팅 구조, 또는 회전 방식으로 잠금/해제 가능한 힌지 구조물일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접철식 링크 구조물(210)의 힌지축에 회전 모터를 설치하여 버튼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폐가 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인명보호막(100)의 내부 공간이 외부의 안전한 외기와 통할 수 있도록 연결관을 형성함으로써 밀폐된 대피공간에서 구조되기 전에 최대한 오랜 시간 생명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장치의 설치 위치는 주택의 거실의 일단에 설치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만, 2 이상의 내벽에 중복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건물의 내부의 모든 구획된 공간(예로서 방, 창고 등)에 필요한 만큼 설치하여 위난 발생시 언제든지 현재 위치에서 즉시 대피공간을 형성하여 구조될 때까지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사항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다양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3)

  1. 건물의 실내의 내벽(1)에 설치되어 화재시 실내의 주거공간의 일 영역을 대피공간으로 전환하여 제공하기 위한 접철식 대피공간 제공장치로서,
    평상시에는 내벽(1)에 접힌 상태로 유지되고 비상시에 확장되는 인명보호공간을 형성하고 일면에 출입구(102)가 형성된 인명보호막(100); 및
    상기 인명보호막(100)의 접힌 상태와 확장 상태의 전환을 강제하기 위한 링크 구조의 상태 전환장치(200);를 포함하고,
    상기 인명보호막(100)은 화염의 차단을 위한 불연소재와 단열 보온 기능을 수행하는 차열소재의 결합에 의하여 구성되며,
    상기 인명보호막은 불연소재의 외부재(110), 차열소재의 중간재(120), 및 불연소재의 내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재(130)의 적어도 일면은 유독가스 차단용 코팅층(140)이 형성되고,
    상기 상태 전환장치(200)는, 내벽(1)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일단이 내벽(1)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인명보호막(100)의 전면부에 고정된 접철식 링크 구조물(210); 및 상기 접철식 링크 구조물(210)이 내벽(1)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인명보호막(100)과 상기 접철식 링크 구조물(210)을 덮어 보호하기 위한 보호 덮개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인명보호막(100)의 네 측면에는, 상기 보호 덮개부(220)의 내부를 향해 접어지도록 안내하는 접힘안내선(104, 108)이 형성되고,
    상기 접철식 링크 구조물(210)은, 상기 인명보호막(100)을 사이에 두고 좌우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상기 인명보호막(100)을 향해 접었다 펴지는 한 쌍의 접이식 링크(214, 216)를 구비하며,
    상기 접철식 링크 구조물(210)이 접히면, 상기 한 쌍의 접이식 링크(214, 216)가 상하 적층되어 일자로 포개짐과 동시에, 상기 인명보호막(100) 및 상기 접철식 링크 구조물(210)이 상기 보호 덮개부(220)의 내측에 은닉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대피공간 제공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80047061A 2018-04-24 2018-04-24 접철식 대피공간 제공장치 KR101902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061A KR101902153B1 (ko) 2018-04-24 2018-04-24 접철식 대피공간 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061A KR101902153B1 (ko) 2018-04-24 2018-04-24 접철식 대피공간 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2153B1 true KR101902153B1 (ko) 2018-09-27

Family

ID=63719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061A KR101902153B1 (ko) 2018-04-24 2018-04-24 접철식 대피공간 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1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544A (ko) 2018-12-05 2020-06-15 임재경 하향전개식 대피공간 제공장치
KR102163114B1 (ko) * 2020-03-09 2020-10-07 정상호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
KR20210153585A (ko) 2017-09-21 2021-12-17 임재경 하향전개식 대피공간 제공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563B1 (ko) * 2009-12-22 2010-07-05 김광수 피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563B1 (ko) * 2009-12-22 2010-07-05 김광수 피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585A (ko) 2017-09-21 2021-12-17 임재경 하향전개식 대피공간 제공장치
KR20200068544A (ko) 2018-12-05 2020-06-15 임재경 하향전개식 대피공간 제공장치
KR102163114B1 (ko) * 2020-03-09 2020-10-07 정상호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2153B1 (ko) 접철식 대피공간 제공장치
US8793946B2 (en) Means for firestopping a curtain wall construction
KR100744719B1 (ko)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방화판
KR101576614B1 (ko)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
KR100778359B1 (ko) 친환경소재를 이용한 방화용 단열패드
KR101082185B1 (ko) 고층건물의 화재시 대피장치
CN207829740U (zh) 一种钢质防火门
KR102263178B1 (ko) 노유자 거주공간의 화재대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대피 방법
KR101793332B1 (ko) 재난용 비상탈출 장치
KR102061008B1 (ko) 화재 대피실용 방화문
KR20190138962A (ko) 건축구조물의 재난대피시스템
KR100597058B1 (ko) 슬라이드식 화염확산 방지 방화판
WO2020256384A2 (ko) 화재 대피실
JP4789347B2 (ja) 避難安全区画システム
CN211081587U (zh) 一种能够防止火势快速蔓延的防火门
KR200486513Y1 (ko) 화재 대피용 시설물
KR101549219B1 (ko) 측면 가이드가 구비된 방연용 에어커튼 장치
KR102089940B1 (ko)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방화 구조
KR100695685B1 (ko) 건축물 외벽에 설치되는 방화판
KR100791806B1 (ko) 화염확산 방지 방화판
KR20100088440A (ko)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KR101597890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JP2002315841A (ja) 可動遮蔽壁による臨時退避エリア創設方法による火災避難設備
KR20190088290A (ko) 화재 대피실용 방화문
KR20220001850U (ko) 비연속 내화충전재 일체형 방화덕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