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655B1 -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655B1
KR102162655B1 KR1020140021770A KR20140021770A KR102162655B1 KR 102162655 B1 KR102162655 B1 KR 102162655B1 KR 1020140021770 A KR1020140021770 A KR 1020140021770A KR 20140021770 A KR20140021770 A KR 20140021770A KR 102162655 B1 KR102162655 B1 KR 102162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opening
reservoir
housing
mas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0229A (ko
Inventor
정대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40021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655B1/ko
Publication of KR20150100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22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characterised by being integral with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20Tandem, side-by-side, or other multiple master cylinder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224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with pressure-varying means, e.g. with two stage operation provided by use of different piston diameters including continuous variation from one diameter 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232Recuperation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는 내부에 보어가 형성된 실린더본체와, 보어 내부에서 진퇴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과, 피스톤에 의해 가압되는 액압실과, 리저버와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본체의 액압실로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포트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에 있어서, 오일포트에는 오일의 양방향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가 마련되고, 밸브는 상면과 하면이 리저버와 액압실을 향해 각각 개구되어 있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리저버측의 개구를 오일의 흐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볼과, 하우징의 측면에 마련되어 오일포트에 장착 시 리저버측으로 노출되는 사이드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Master cylinder for brake system}
본 발명은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마스터실린더는 운전자의 페달링에 따라 유압을 발생시키고, 각 차륜에 설치된 휠브레이크로 제동에 필요한 유압을 보내주는 장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텐덤형 마스터실린더를 나타낸 것이다. 마스터실린더는 실린더본체(1)의 보어(2) 내부에 직렬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제1피스톤(3) 및 제2피스톤(4)을 구비하며, 이 제1피스톤(3)과 제2피스톤(4)에 의해 보어(2) 내부는 각각 제1액압실(5)과 제2액압실(6)로 구획된다.
마스터실린더는 운전자의 페달링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제1피스톤(3)이 전진하면서 제1액압실(5)의 오일을 가압하고, 제1액압실(5)의 오일압력이 제2피스톤(4)을 가압하며, 제2피스톤(4)은 제2액압실(6)의 오일을 가압한다. 제1액압실(5)의 오일은 제1오일배출공(7)을 통하여 두 개 차륜의 제동을 위한 휠브레이크(미도시)로 공급되고, 제2액압실(6)의 오일은 제2오일배출공(8)을 통하여 다른 두 개 차륜의 제동을 위한 휠브레이크로 공급된다.
또한, 마스터실린더는 각 액압실(5, 6)로 오일을 공급하기 위해 실린더본체(1) 상부에 마련되는 오일이 저장된 리저버(R)와 연결되는 오일포트(9)를 구비한다. 오일포트(9)는 마스터실린더와 리저버 사이에서 단순히 오일 통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신속한 제동 시에 필요한 액압실의 압력에 따른 오일 흐름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지 못한다.
예컨대, 제동을 하기 위해서는 피스톤이 전진 이동하면서 오일포트(9)를 폐쇄하여 액압실(5,6)의 압력을 상승시켜야 하는데, 피스톤의 최초 대기 위치로부터 오일포트(9)를 폐쇄할 수 있는 위치까지의 이동 구간은 실질적으로 액압실의 오일이 리저버로 유입되어 액압실이 밀폐되지 않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는 제동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구간은 무효 행정(Lost Travel)이라고 불린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는 무효 행정을 축소하여 신속한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보어가 형성된 실린더본체와, 보어 내부에서 진퇴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과, 피스톤에 의해 가압되는 액압실과, 리저버와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본체의 액압실로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포트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에 있어서, 오일포트에는 오일의 양방향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가 마련되고, 밸브는 상면과 하면이 리저버와 액압실을 향해 각각 개구되어 있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리저버측의 개구를 오일의 흐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볼과, 하우징의 측면에 마련되어 오일포트에 장착 시 리저버측으로 노출되는 사이드홀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오일포트는 대직경부와 소직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는 소직경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리저버측에 마련되는 제1개구와, 액압식측에 마련되는 제2개구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개구는 제2개구의 직경 및 볼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되고, 상기 제2개구는 상기 볼보다 직경이 크게 마련되어, 하우징에 볼을 삽입한 후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부재의 결합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는 오일통로에 개폐 밸브를 마련함으로써 액압실이 초기 제동 시 신속하게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무효 행정을 축소시켜 제동 반응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에 마련되는 밸브는 구조가 단순하여 가공 및 조립이 용이하며 실린더본체에 설치하기 전에 완조립된 모듈 형태로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는 보어(11)가 형성된 실린더본체(10)와, 실린더본체(10)의 보어(11) 내부에 각각 진퇴가능 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피스톤(20,30)을 포함한다.
실린더본체(10)는 제1피스톤(20)과 제2피스톤(30) 사이에 형성되는 제1액압실(12)과, 제2피스톤(30) 및 보어(11)의 말단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2액압실(14)을 포함한다.
또한, 실린더본체(10)의 상부에는 리저버(R)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오일포트(16,18)가 마련된다. 이 제1 및 제2 오일포트(16,18)는 제1 및 제2액압실(12,14)과 각각 연통되며, 실링부재(17)와 패킹부재(19) 사이에 형성된다.
실링부재(17)와 패킹부재(19)는 실린더본체(10)의 내측과 제1 및 제2피스톤(20,30)의 외측을 실링하도록 마련되어 보어(11)의 내주면과 제1 및 제2피스톤(20,30)의 외주면 사이의 오일 누설을 방지하는 한편, 그 사이의 공간인 제1,2액압실(12,14)에 고압의 액압을 형성하도록 한다. 각 실링부재(17)와 패킹부재(19)는 제1 및 제2피스톤(20,30)이 진퇴하는 경우에도 움직이지 않도록 보어(11)의 내면에 형성된 수용홈에 설치된다.
실린더본체(10)의 내측에는 제1 및 제2피스톤(20,30)에 의해 제1 및 제2액압실(12,14)이 가압될 때 제1 및 2액압실(12,14)의 오일이 배출되도록 제1액압실(12) 측에는 제1오일배출구(13)가 형성되고, 제2액압실(14) 측에는 제2오일배출구(15)가 형성된다. 즉, 제1 및 제2액압실(12,14)의 오일은 제1 및 제2오일배출구(13,15)로 배출되어 바퀴 측의 휠브레이크(미도시)로 공급된다.
한편, 제1 및 제2피스톤(20,30)은 보어(11) 내부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액압실(12,14)에서 제동 유압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 예에서 제1피스톤(20)과 제2피스톤(30)은 직렬로 배치되지만,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한 변형 및 수정을 통해 다수개를 병렬로 배치되거나 또는 한 개의 피스톤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피스톤(20,30)은 실린더본체(10)의 보어(11) 내부에서 진퇴한다. 예컨대, 제동 시 제1 및 제2피스톤(20,30)은 실린더본체(10)의 보어(11) 내부에서 전진(도면의 좌측방향)하면서 제1 및 제2액압실(12,14)의 압력을 상승시켜 제동 유압을 형성하며, 제동 해제 시 실린더본체(10)의 보어(11) 내부에서 후퇴(도면의 우측방향)한다.
또한, 제1 및 제2피스톤(20,30)에는 제1 및 제2오일포트(16,18)를 통하여 리저버의 오일이 제1 및 제2액압실(12,14)로 유입될 수 있도록 내면과 외면이 연통하는 다수의 연통유로(22,32)가 형성된다. 이 연통유로(22,32)는 제1 및 제2피스톤(20,30)이 후퇴하면 개방되어 제1 및 제2액압실(12,14)로 오일이 보충되도록 하고, 제1 및 제2피스톤(20,30)이 전진하면 폐쇄되어 제1 및 제2액압실(12,14)이 제1 및 제2피스톤(21,22)에 의해 가압되도록 한다. 도 2는 제1 및 제2 피스톤(20,30)이 전진한 상태이다.
제1 및 제2피스톤(20,30)의 전방에는 제1액압실(12) 및 제2액압실(14) 내에서 제동 동작 종료 후 제1 및 제2피스톤(20,30)을 제자리로 복귀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복원스프링(23,33)이 마련된다. 마스터실린더의 전장을 축소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피스톤(20,30)은 제1 및 제2복원스프링(23,33)이 각각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스프링수용홈(24,34)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피스톤(20,30)의 스프링수용홈(23,34)에는 제1 및 제2 복원스프링(23,33)을 지지하는 제1리테이너 및 제2리테이너(25,35)를 설치할 수 있도록 봉 형태의 제1 및 제2지지부(26,36)가 마련된다. 제1 및 제2지지부(26,36)에는 제1 및 제2복원스프링(23,33)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리테이너(25,35)가 진퇴가능 하도록 끼워진다. 미설명 부호 27, 37는 리테이너(25,35)의 이탈방지를 위해 지지부(26,36)에 끼워지는 스탭링이다. 스탭링(27,37)에 의해 제1 및 제2복원스프링(23,33)은 일단이 스프링수용홈(24,34)의 내부에 지지되고 타단이 각 리테이너(26,36)의 플랜지형 단부에 지지된다.
한편, 도 2에서 미설명된 참조부호 28,38은 각 오일포트(16,18)에 의해 결합된 리저버(미도시)와 마스터실린더 사이로 오일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일(seal)이다.
제1 및 제2오일포트(16,18)에는 각각 오일의 양방향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40)가 설치된다. 각 오일포트(16,18)에 설치되는 밸브(40)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에서는 제1오일포트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오일포트(16)는 대직경부(16a)와 소직경부(16b)를 포함한다. 대직경부(16a)는 리저버측으로 마련되며 실링(28)이 개재되어 리저버(R)가 결합되고, 소직경부(16b)는 제1액압실(12)과 연통되도록 실린더본체(10)에 천공 가공된다.
소직경부(16b)에 마련되는 밸브(40)는 제동 초기 폐쇄되며, 제동 해제 후 제1피스톤(20)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 개방된다. 제동 초기 폐쇄되는 이유는 제동 초기에 신속하게 제1액압실(12)의 오일을 제오일배출공(13)으로 토출시킴으로써 휠브레이크(미도시)에 전달되는 오일의 유량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제동 초기 오일의 유량이 증가하면 제동 반응 속도 및 제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밸브(40)는 리저버측과 액압실측에 대향하고 있는 상면 및 하면에 제1개구(42a)와 제2개구(42b)가 각각 마련되어 있는 원통형의 하우징(42)과, 하우징(42) 내에 수용되며 리저버측의 제1개구(42a)를 오일의 흐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볼(44)을 포함한다.
하우징(42)의 제1개구(42a)는 제2개구(42b)의 직경 및 볼(44)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되며, 제2개구(42b)는 볼(44)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되고 이물질을 거르기 위해 마련되는 판 형상의 필터부재(46)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밸브(40)는 하우징(42)에 볼(44)을 넣고 필터부재(46)를 제2개구(42b)에 결합함으로써 완제품 형태의 모듈로 제공될 수 있으며, 나아가 콤팩트한 사이즈를 가지기 때문에 소직경부(16b)에 이 모듈을 압입함으로써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밸브(40)가 대직경부(16a)에 마련되면, 실린더본체(10)와 리저버(R) 조립 시 위치 고정을 위한 추가 부품 및 조립 공정이 필요하다.
또한, 하우징(42)의 일측면에는 제1개구(42a)에 인접하게 사이드홀(48)이 마련된다. 사이드홀(48)은 하우징(42)의 내외측을 연통시키기 위한 바이패스유로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며, 홈 또는 슬릿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42)은 소직경부(16b)에 압입 시 사이드홀(48)이 리저버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일부만 압입된다.
볼(44)은 구형으로 마련되며 오일보다 낮은 밀도를 가진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된다. 따라서, 오일포트(16)에 오일이 채워지면 부력에 의해 부양되면서 제1개구(42a)를 폐쇄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 및 밸브의 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일반적으로 제동은 브레이크 페달(미도시)에 답력을 가하였을 때부터 바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브레이크 페달이 어느 정도 전진한 이후에 제동이 시작된다. 즉,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부터 제동을 시작하는 구간 사이를 무효 행정(Lost Travel) 구간(이하, 'LT 구간'이라고 함)이라고 하며, 이 LT 구간이 짧으면 짧을수록 운전자는 제동감이 우수하다고 느낀다. 본 실시 예에서는 밸브(40)가 리저버측 제1개구(42a)를 닫아 오일의 초기 유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이 LT 구간을 줄여 제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초기 제동 동작에 의하여 제1피스톤(20)이 가압되면 전진하면서 제1액압실(12)을 가압하고, 제1액압실(12)이 가압되는 이 압력에 의해 제2피스톤(30)이 가압되어 전진하면서 제2액압실(14)이 가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피스톤(20)이 가압되면 이 압력에 의해 오일이 제1오일배출공(13)을 통하여 휠브레이크로 공급되며, 또한 제2피스톤(30)이 가압됨에 따라 이 압력에 의해 오일이 제2오일배출공(15)을 통하여 휠브레이크(미도시)로 공급된다.
이어서, 제1 및 제2피스톤(20,30)이 소정 거리 더 이동하여 연통유로(22,32)가 실링부재(17)를 지나면 마스터실린더는 원래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제1 및 제2피스톤(20,30)이 전진(좌측으로 이동)하여 제1 및 제2피스톤의 연통유로(22,32)가 실링부재(17)를 통과함에 따라 제1 및 제2액압실(12,14)이 밀폐되어 액압실의 내부 압력이 증가한다.
또한, 이때 각 피스톤(20,30)은 계속 전진하는 상태이므로 제1 및 제2액압실(12,14) 내의 오일은 제1 및 제2오일포트(16,18)를 통하여 리저버로 이동한다. 즉, 제1 및 제2액압실(12,14)의 오일은 사이드홀(48)을 통해 리저버 측의 압력을 해제하는 한편(도 3의 (a) 참조), 제1 및 제2오일배출공(13,15)을 통하여 각 차륜 측의 휠브레이크로 공급되면서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사이드홀(48)은 제동 시 잔류 압력이 발생할 경우 이를 해제하는 기능도 가진다.
제동 동작이 해제되면, 제1복원스프링(23)과 제2복원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및 제2피스톤(20,30)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제1 및 제2피스톤(20,30)은 원상태로 복귀된다.
이때의 밸브(40) 동작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동 해제 시에는 제1 및 제2액압실(12,14) 내의 진공 형성으로 인해 밸브(40)의 볼(44)이 하강하면서 제1개구(42a)가 개방되어 제1 및 제2오일포트(16,18)를 통하여 리저버의 오일이 각 액압실(12,14)로 공급되며(도 3의 (b) 참조), 제동 해제 후에는 액압실(12,14)로 보충되었던 오일 중 잉여 오일은 사이드홀(48)을 통해 리저버로 유입된다. 액압실(12,14)의 오일 보충이 완료되면, 제1 및 제2피스톤(20,30)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밸브(40)의 제1개구(42a)는 볼(44)에 의해 폐쇄 상태가 된다.
10..실린더본체 11..보어
12,14..제1 및 제2액압실 16,18..제1 및 제2오일포트
20,30..제1 및 제2피스톤 22,32..연통유로
40..밸브 42..하우징
42a,42b..제1,2개구 44..볼
46..필터부재 48..사이드홀

Claims (3)

  1. 내부에 보어가 형성된 실린더본체와, 상기 보어 내부에서 진퇴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의해 가압되는 액압실과, 리저버와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본체의 액압실로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포트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에 있어서,
    상기 오일포트에는 오일의 양방향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가 마련되며,
    상기 밸브는 상면과 하면이 상기 리저버와 액압실을 향해 각각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오일포트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리저버측의 개구를 오일의 흐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볼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마련되어 오일포트에 장착 시 리저버측으로 노출되는 사이드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리저버측에 마련되는 제1개구와, 액압식측에 마련되는 제2개구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개구는 제2개구의 직경 및 볼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되고, 상기 제2개구는 상기 볼보다 직경이 크게 마련되어, 하우징에 볼을 삽입한 후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부재의 결합에 의해 폐쇄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포트는 대직경부와 소직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는 소직경부에 마련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
  3. 삭제
KR1020140021770A 2014-02-25 2014-02-25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 KR102162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770A KR102162655B1 (ko) 2014-02-25 2014-02-25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770A KR102162655B1 (ko) 2014-02-25 2014-02-25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229A KR20150100229A (ko) 2015-09-02
KR102162655B1 true KR102162655B1 (ko) 2020-10-07

Family

ID=54241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770A KR102162655B1 (ko) 2014-02-25 2014-02-25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6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004775A1 (de) * 2017-05-18 2018-11-22 Lucas Automotive Gmbh Brems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bremsanlag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8299A (en) * 1983-08-26 1985-02-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Valve assembly
US6014862A (en) * 1998-03-26 2000-01-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Emulator damping mechanism
FR2828463B1 (fr) * 2001-08-08 2004-02-27 Bosch Gmbh Robert Dispositif de commande de frein a clapet pour vehicule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229A (ko)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6400B1 (ko) 체크밸브
KR100979956B1 (ko) 마스터실린더용 실링부재 및 이를 갖춘 마스터실린더
JP5961710B2 (ja) マスタシリンダ
CN109803862B (zh) 具有快速填充功能的双主缸制动总成
KR101557434B1 (ko) 마스터 실린더용 피스톤
JP5730405B2 (ja) タンデムマスタシリンダのセカンダリピストンと、このようなセカンダリピストンを備えたマスタシリンダ
JP5777851B2 (ja) デッドストローク低減弁
KR101418329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
KR102162655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
KR101418326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
CN103225704B (zh) 单向阀和使用该单向阀的制动系统
KR102006833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
US9266510B2 (en) Master cylinder for brake system
KR101043897B1 (ko) 마스터 실린더용 실링부재 및 이를 갖춘 마스터 실린더
KR102657659B1 (ko) 밸브 장치
EP2582558B1 (en) Master cylinder with flow groove
KR20160067423A (ko) 피스톤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제동장치의 펌프
KR101561956B1 (ko) 차량용 마스터 실린더
JP2012197065A (ja) マスタシリンダ
KR100779497B1 (ko) 마스터실린더
KR101134900B1 (ko) 브레이크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
KR20170086819A (ko) 브레이크 시스템
KR20080086654A (ko) 브레이크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
CN111795091A (zh) 液压制动保护装置助力器
CN117120745A (zh) 用于车辆的松紧调节器组件和制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