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071B1 - 낚시게임앱을 통해 실제로 포획물이 제공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낚시게임앱을 통해 실제로 포획물이 제공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071B1
KR102162071B1 KR1020190055356A KR20190055356A KR102162071B1 KR 102162071 B1 KR102162071 B1 KR 102162071B1 KR 1020190055356 A KR1020190055356 A KR 1020190055356A KR 20190055356 A KR20190055356 A KR 20190055356A KR 102162071 B1 KR102162071 B1 KR 102162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ishing
virtual
fish
centr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재현
Original Assignee
강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재현 filed Critical 강재현
Priority to KR1020190055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0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8F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8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responding to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for affecting ambient conditions, e.g. for vibrating players' seats, activating scent dispensers or affecting temperature or light
    • A63F13/285Generating tactile feedback signals via the game input device, e.g. forc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5Details of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37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for converting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into a haptic signal, e.g. using forc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35Virtual fi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낚시게임앱을 통해 실제로 포획물이 제공되는 시스템이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낚시게임앱이 설치된 스마트폰(100); 상기 스마트폰(100)과 연동되는 중앙서버(200); 상기 중앙서버(200)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낚시게임을 통한 포획물을 상기 중앙서버(200)의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포획물에 대응되는 실제 어종을 배송하는 가맹점(300);을 포함하되, 상기 중앙서버(200)는 상기 낚시게임앱 실행시 사용자의 상기 낚시게임앱을 통한 게임 이용 시간, 게임을 통한 사용자의 포획물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레벨에 따라 상기 낚시게임앱 상에서 포획물을 보관할 수 있는 가상의 어항이 결정되며, 상기 가상의 어항은 상기 낚시게임앱 상에서 사용자의 레벨에 따라 그 크기와 재질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시게임앱을 통해 실제로 포획물이 제공되는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caught fish with fishing game application}
본 발명은 낚시게임앱을 통해 실제로 포획물이 제공되는 시스템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게임을 통해 포획한 어종을 실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게임기는 유희용 오락도구의 일종으로 과거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상태와 종류를 선보였다. 이러한 게임기는 상당히 포괄적인 종류의 게임 기구를 포함하는 의미로서, 과거의 말판, 보드게임, 스포츠 용구 등의 도구로부터 전자 기술의 발달로 전자오락용 게임기까지 발전이 되었으며, 특히 현대 사회에서는 일본 소니사의 PSP, 일본 닌텐도사의 DS와 같은 휴대용 전자 게임기와 같이 휴대의 편의성과 소프트웨어의 교체로 다양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게임기가 크게 인기를 끌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 게임기는 주로 직육면체 또는 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게임 전문 구동용 OS 및 메모리가 설치되어 게임 전용 용도에 충실함과 동시에, 중앙 부위에 LCD 패널을 구비하고 이 주변에 복수 개의 조작버튼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 게임기는 OS를 탑재하여 단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상태뿐 아니라, 사이즈가 큰 비휴대용 전자 게임기에 유무선 방식으로 연결이 되어 조작 신호만을 전자 게임기에 전달하는 게임 패드 형태(예를 들어,일본 소니사의 플레이 스테이션 내지 미국 MS 사의 XBOX에 연결되는 게임 패드)로도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게임기는 대부분 디스플레이 화면을 갖추고 있어 거기에 나오는 그래픽 화면을 보고 각종 단추(버튼)나 조이스틱 등을 사용해서 게임을 운용하게 되어있다.
최근 광통신 망을 근간으로 하는 초고속 통신망에 대한 기술과, 이동성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통신망 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하고 있으며, 무선 통신망 가입자들이 이동 중에도 인터넷의 사용을 원하는 등 무선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제공 요청이 많아짐에 따라, Wi-Fi(Wireless Fidelity), WLAN(Wireless LAN),초고속 휴대 인터넷(WiBro: Wireless Broadband 또는 HPi: High-speed Portable internet), LTE(Long TermEvolution) 등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이를 통해 최근에는 스마트폰(100)에 설치된 게임앱을 통해 다양한 게임을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즐기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낚시 관련 앱을 통해 낚시를 하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데, 게임상에서 낚시만을 할 수 있으나, 이를 현장과 연결하여 즉 실제 게임상에서 잡은 어종을 사용자가 실제로 받는 게임은 제공되지 않는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은 실제 게임상에서 잡은 어종에 대응되는 어종을 실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KR 10-2017-0119492 (2017.10.27 공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실제로 낚시터에 가지 않아도 포획한 어종을 받을 수 있어 게임의 흥미를 유도할 수 있고, 시간이 안나는 사용자에게도 실제 낚시와 같은 현장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해당 게임을 운영하는 운영자에게 수익을 보장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낚시게임앱을 통해 실제로 포획물이 제공되는 시스템이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낚시게임앱이 설치된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중앙서버; 상기 중앙서버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낚시게임을 통한 포획물을 상기 중앙서버의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포획물에 대응되는 실제 어종을 배송하는 가맹점;을 포함하되,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낚시게임앱 실행시 사용자의 상기 낚시게임앱을 통한 게임 이용 시간, 게임을 통한 사용자의 포획물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레벨에 따라 상기 낚시게임앱 상에서 포획물을 보관할 수 있는 가상의 어항이 결정되며, 상기 가상의 어항은 상기 낚시게임앱 상에서 사용자의 레벨에 따라 그 크기와 재질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다면, 온라인게임상으로 낚시를 한 뒤에 현실적으로 해당 포획물을 받게 하여 게임상의 흥미를 유도할 수 있으며, 시간이 부족한 현대인에게 가상의 게임 공간을 제공하여 실제 낚시와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a)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가상의 어종 종류를 나타낸 것이며, 도 2(b)는 가상의 어종 재질이 비닐인 경우 어종 종류(A,B,C)에 따른 유실 확률의 일 예,
도 3은 초급레벨과 중급레벨에서 사용자가 게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의 어항의 부피와 재질 및 게임상에서 잡을 수 있는 어종과 사용할 수 있는 아낚시장비의 일 실시예,
도 4는 해당 게임앱을 실행하는 도중 사용자에게 유실이벤트가 발생되는 개략적인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도 5는 게임상에서 포획한 어종에 대한 실제 배송을 설명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상의 일 실시예,
도 6은 게임상에서 낚시하는 장소에 따른 어종의 포획 확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인 낚시게임앱을 통해 실제로 포획물이 제공되는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실제로 낚시터나 바닷가 혹은 강가를 가지 않더라도 낚시게임을 통해 포획한 어종을 실제로 배송받을 수 있어 낚시게임의 재미를 도모할 뿐만 아니라 낚시게임을 운영하는 운영업체 역시 수익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낚시게임앱이 설치된 스마트폰(100), 스마트폰(100)과 연동되는 중앙서버(200), 중앙서버(200)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낚시게임을 통한 포획물을 상기 중앙서버(200)의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포획물에 대응되는 실제 어종을 배송하는 가맹점(300)을 포함한다.
즉, 낚시게임을 통해 실제로 사용자가 게임상에서 획득한 포획물에 대응되는 실제 어종을 배송받을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낚시게임 상에는 당연히 뱅어, 부시리, 돔 등 다양한 어종을 잡을 수 있으면, 이 잡은 어종과 동일한 어종을 사용자에게 배송하거나, 잡은 어종에 대응되는 상품권 혹은 기프트카드 등을 사용자에게 배송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가 게임상에상 잡은 어종의 길이가 정해질 수 있으나, 중앙서버(200)는 잡은 어종의 길이의 오차범위 내의 5%의 실제 어종을 사용자에게 배송한다.
구글플레이어 등으로 낚시게임앱을 사용자가 다운받아 스마트폰(100)에서 실행하게 되면, 해당 정보 등은 별도의 장소에 설치된 중앙서버(200)로 전송된다.
물론, 사용자 개인정보, 비밀번호 등 일반적인 절차를 통해 해당 앱을 저장하고 실행하는데,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이용 정보가 중앙서버(200)로 전송된다.
해당 게임을 통해 포획물 즉, 어종을 포획하게 되면 해당 정보 역시 실시간으로 중앙서버(200)에 전송된다.
가맹점(300)은 해당 중앙서버(200)를 운영하는 운영사가 전국 지점에 설치할 수 있으며, 각각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100)에는 일반적으로 GPS 기능이 있는바 해당 위치정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직접 해당 포획물에 대응하는 어종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게임상에서 사용자가 배송지 주소를 입력하게 되면 해당 주소지로 실제 어종을 배송하게 한다.
이때, 사용자의 스마트폰(100) 위치 혹은 배송지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가맹점(300)으로 중앙서버(200)에서 배송하라는 신호가 전송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게임상에서 획득한 어종을 가맹점(300)을 통해 사용자는 실제 어종을 받게 된다.
이를 통해, 실제로 낚시터나 바닷가, 강가를 가지 않더라도 실제 낚시를 하는 것처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재미가 부가됨은 물론이고 해당 게임을 운영하는 운영사 역시 해당 게임을 통해 여러 광고 스폰서 등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가상의 어종 종류를 나타낸 것이며, 도 2(b)는 가상의 어종 재질이 비닐인 경우 어종 종류(A,B,C)에 따른 유실 확률의 일 예이다.
중앙서버(200)는 낚시게임앱 실행시 사용자의 낚시게임앱을 통한 게임 이용 시간, 게임을 통한 사용자의 포획물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레벨을 결정한다.
즉, 해당 게임을 처음하는 사용자는 초급자로 분류되나, 초급자 이더라도 해당 게임 이용 시간을 기초로 더 높은 상위 레벨로 올라갈 수 있도록 시스템화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설정된 시간(한달(30일), 혹은 일주일(7일)) 동안 해당 게임 이용 시간이 250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초급레벨에서 중급레벨로 올라갈 수 있도록 중앙서버(200)에서 제어하게 된다.
또한, 설정된 시간동안 해당 게임 이용 시간이 미달되더라도, 설정된 시간 동안 초급자가 포획한 포획물의 양 및 어종의 종류에 따라서도 중급레벨로 올라갈 수 있도록 중앙서버(200)에서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면, 초급레벨에서 설정된 시간동안 잡고기(잡고기 역시 해당 중앙서버(200)에서 해당 어종을 미리 정한다. 꺽지, 빠가사리, 텅거리, 메기 등)를 100마리 이상 잡은 경우에는 이 역시 초급레벨에서 중급레벨로 올라갈 수 있도록 중앙서버(200)에서 제어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의 레벨에 따라 낚시게임앱 상에서 포획물을 보관할 수 있는 가상의 어항이 결정된다.
이 가상의 어항은 게임상에서 사용자가 잡은 어종을 담을 수 있는 일종의 게임 아이템으로 사용자의 레벨에 따라 그 크기 및 재질이 달라질 수 있다.
초급자인 경우 어항의 크기가 중급자,고급자레벨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으며, 이를 이루는 재질 역시 게임상에서 단순히 비닐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임 상에서 재질 역시 초급레벨인 경우 비닐, 중급레벨인 경우 아크릴, 고급레벨인 경우 강화유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재질이 게임상에서 중요한 이유는 비닐인 경우 아크릴, 강화유리에 비해 잡은 어종이 도망칠 확률이 높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중앙서버(200)에는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각각의 어항을 이루는 재질에 따라 각각의 어종이 도망갈 확률이 이미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초급레벨이 현재 비닐 재질의 가상 어항을 획득하고 있는데, 이 사용자가 메기를 게임상에서 획득하여 상기 가상 어항에 보관하고 있는데, 중앙서버(200)에는 이 메기가 비닐 재질의 가상 어항에서 도망갈 확률을 30%로 설정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도망갈 확률 30%에서 실질적이고 점차적으로 메기가 가상 어항에서 도망갈 확률이 높아지는 경우 설정된 값(90%에 육박한 경우) 이상인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초급레벨을 넘어 중급레벨 혹은 고급레벨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의 어항 재질 변경 문의가 사용자의 스마트폰(1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레벨의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자는 카드결제 혹은 현금 지불을 통해 가상 어항의 재질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게임을 운영하는 운영사 역시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은 초급레벨과 중급레벨에서 사용자가 게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의 어항의 부피와 재질 및 게임상에서 잡을 수 있는 어종과 사용할 수 있는 아낚시장비의 일 실시예이다.
사용자의 레벨은 초급자, 중급자, 고급자로 분류되고, 각각의 레벨에 따라 사용자가 낚시게임앱 상에서 포획할 수 있는 어종이 결정되어 있되, 사용자의 레벨에 따라 사용자가 구입할 수 있는 낚시장비의 업그레이드와 사용자가 낚시게임앱 상에서 포획할 수 있는 어종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사용자의 레벨에 따라 상기 중앙서버(200)는 이미 설정된 레벨에 따라 결정된 크기의 가상의 어항을 제공하며, 가상의 어항을 이루는 재질은 상기 중앙서버(200)에서 결정된 기본적인 재질이 제공된다.
예를 들면, 중급레벨인 경우 아크릴 재질의 부피 20L인 가상의 어항을 게이상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게임상에서 포획할 수 있는 어종(D,E,F) 역시 잡어를 넘어 벵어돔, 자리돔, 먹갈치 등 변경될 수 있으며, 초급레벨에 비해 잡을 수 있는 어종의 크기 역시 변경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가상의 어항 크기 선택에 따른 구입 의사와 사용자의 재질 선택에 다른 구입 의사에 따라 가상의 어항 크기와 재질이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가상의 어항 재질에 따라 포획한 어종별로 유실될 확률이 중앙서버(200)에 기 저장되어 있어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포획한 어종별로 현재 유실될 확률이 스마트폰(100)의 디스플레이부에 전송되며, 유실될 확률이 소정 값 이상인 경우 사용자에게 현재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어항의 재질 변경 문의를 송신을 통해 가상의 어항 재질을 변경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와 같은 경우 이외에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게임 시간 및 게임상에서 포획한 어종의 양에 따라서도 상위의 레벨로 변경가능하다.
도 4는, 해당 게임앱을 실행하는 도중 사용자에게 유실이벤트가 발생되는 개략적인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다.
낚시게임앱을 통해 가상의 어항에 해당 포획물이 저장된 시점 이후에 사용자의 낚시게임앱 이용 지속적인 시간이 중앙서버(200)에 저장된 설정된 기준 시간 이하이거나, 낚시게임앱을 종료한 시점 이후에 다시 낚시게임앱을 사용한 시점 동안의 시간이 중앙서버(200)에 저장된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경우, 가상의 어항에 포획된 어종이 가상의 어항 재질에 따라 유실되는 실종이벤트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초급레벨인 사용자가 30cm 길이인 꺽지를 잡고, 비닐 재질인 가상의 어항에 포획한 시점 이후에 사용자의 낚시게임 이용 지속시간이 9분인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중앙서버(200)에는 포획한 시점 이후에 설정된 기준 시간이 10분으로 저장되어 있고, 이에 비닐 재질인 가상의 어항에서 꺽지가 유실될 확률이 실행되고, 그에 따라 꺽지가 유실되는 유실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포획한 시점 이후에 게임 이용 시간이 10분 이상 지속된 경우에는 소정의 시간 동안은 상기 포획물이 상기 가상의 어항에 포획될 수 있다.
또한, 포획한 시점 이후에 상기 게임을 종료하고, 이틀(48시간) 후에 다시 게임을 시작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중앙서버(200)에는 게임 종료후 다시 게임을 위한 로그인 시간이 저장되는데 그 설정된 기준 시간이 47시간인 경우 이 역시 상기 가상의 어항에 저장된 포획물인 꺽지가 유실될 확률이 실행되고, 그에 따라 꺽지가 유실되는 유실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실종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중앙서버(200)는 사용자의 스마트폰(100)으로 어항 재질의 변경 문의에 대한 알람이 송신되고, 그 송신에 따라 재질 변경시 유실된 어종이 다시 가상의 어항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재질 변경시 사용자의 카드결제 혹은 현금이체를 통해 재질 변경이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해당 게임을 운영하는 운영사 역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구현된다.
도 5는 게임상에서 포획한 어종에 대한 실제 배송을 설명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상의 일 실시예이다.
중앙서버(200)는, 설정된 레벨 이후에는, 가상의 어항에 포획된 어종에 대해 사용자에게 실제 배송에 대한 문의 알람이 전송된다.
예를 들면, 중급레벨 이후부터 사용자에게 게임상에서 포획한 어종을 실제로 배송할 수 있게 구현된다.
이를 위해 낚시게임앱 상에서 문의 알람에 대해 사용자가 수락 버튼 클릭시 중앙서버(200)는 가맹점(300)으로 사용자의 주소지 또는 스마트폰(100)이 위치하는 곳으로 해당 어종의 배송 지시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가상의 어항에 포획된 어종 및 마리수에 따라 다른 어종으로 변경할 수 있는 변경 알람 문의가 사용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즉, 메기 50마리를 잡은 경우 더 비싼 돔어 등으로 변경할 수 있게끔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실제 어종이 아닌 상품권 등으로도 변경할 수 있다.
변경 알람 문의에 대해 낚시게임앱 상에서 사용자가 수락 버튼 클릭시 중앙서버(200)는 가맹점(300)으로 사용자의 주소지 또는 스마트폰(100)이 위치하는 곳으로 변경된 어종의 배송 지시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게임상에서 낚시하는 장소에 따른 어종의 포획 확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중앙서버(200)는, 사용자의 레벨에 상관없이 특별 어종을 사용자가 낚시게임앱 상에서 포획할 수 있는 특별이벤트알람이 설정된 주기마다 사용자의 스마트폰(100)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특별이벤트알람에 따른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는 해당 특별 어종을 포획할 수 기회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초급레벨인 사용자라도 특별이벤트 기간 동안에는 감성돔을 잡을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며, 이를 위해 중앙서버(200)는 해당 어종을 잡을 수 있는 날짜와 시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사용자는 해당 앱 실행시 해당 어종을 잡을 수 있은 기회가 제공된다.
또한, 중앙서버(200)에는, 사용자가 상기 낚시게임앱을 이용하는 가상의 낚시터가 복수개 설정되어 있으며, 각각의 가상의 낚시터는 상기 낚시게임앱을 실행하는 시간에 따라 어종을 포획할 수 있는 확률이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주도의 '네모바지선' 혹은 '차귀도바다낚시' 등으 선택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100)의 디스플레이부에는 해당 지역과 유사한 이미지를 전송하여 해당 이미지 상에서 낚시를 할 수 있게끔 유도하는데, 이 경우 해당 게임을 실행하는 시간에 따라 어종의 확률도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귀도바다'에서 만약 오전 6시부터 오후 12시까지 해당 앱을 통해 게임을 하는 경우 감성돔을 잡을 확률이 20%로 설정할 수 있으며, 오전 0시부터 오전 6시 사에는 감성돔을 잡을 확률을 30%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각각의 가상의 낚시터와 실행하는 시간에 따라 가상의 어항에 포획된 어종이 가상의 어항 재질에 따라 유실되는 확률도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 경우에도 해당 게임을 실행하는 시간대에 따라 잡은 어종이 유실될 확률이 변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낚시게임앱 상에서 포획되는 어종에 따라 스마트폰(100)에 설치된 진동센서에 의한 진동 크기가 좌우됨과 동시에 스마트폰(100)에 설치된 음향센서에 의한 음악 및 소리크기도 중앙서버(200)에 의해 좌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른바 '손맛'을 사용자가 느낄 수 있도록 스마트폰(100)에 설치된 진동기능을 접목한 것으로, 포획한 어종에 따라 진동의 크기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무음'으로 해당 게임을 실행하지 않는 경우 잡은 어종에 따라 서로 다른 음악이나 소리크기도 설정될 수 있다.
가상의 어항 재질에 따라 포획한 어종별로 유실될 확률이 중앙서버(200)에 기 저장되어 있어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포획한 어종별로 현재 유실될 확률이 스마트폰(100)의 디스플레이부에 전송된다.
즉,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잡은 어종에 따라 실시간으로 유실 확률을 사용자에게 송신하고, 유실될 확률이 소정값 이상인 경우 사용자에게 현재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어항의 재질 변경 문의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포획한 어종이 유실되기 전에 먼저 사용자에게 가상의 어항 재질의 변경에 대한 문의를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재질 변경시 어종이 유실된 후에 재질 변경 보다는 조금 디스카운트하여 사용자에게 안내될 수 있다.
100 : 스마트폰 200 : 중앙서버
300 : 가맹점

Claims (6)

  1. 낚시게임앱이 설치된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중앙서버;
    상기 중앙서버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낚시게임을 통한 포획물을 상기 중앙서버의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포획물에 대응되는 실제 어종을 배송하는 가맹점;을 포함하되,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낚시게임앱 실행시 사용자의 상기 낚시게임앱을 통한 게임 이용 시간, 게임을 통한 사용자의 포획물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레벨에 따라 상기 낚시게임앱 상에서 포획물을 보관할 수 있는 가상의 어항이 결정되며,
    상기 가상의 어항은 상기 낚시게임앱 상에서 사용자의 레벨에 따라 그 크기와 재질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사용자의 레벨은 초급자, 중급자, 고급자로 분류되고, 각각의 레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낚시게임앱 상에서 포획할 수 있는 어종이 결정되어 있되, 사용자의 레벨에 따라 사용자가 구입할 수 있는 낚시장비의 업그레이드와 사용자가 상기 낚시게임앱 상에서 포획할 수 있는 어종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사용자의 레벨에 따라 상기 중앙서버는 이미 설정된 레벨에 따라 결정된 크기의 상기 가상의 어항을 제공하며,
    상기 가상의 어항을 이루는 재질은 상기 중앙서버에서 결정된 기본적인 재질이 제공되되,
    사용자의 가상의 어항 크기 선택에 따른 구입 의사와 사용자의 재질 선택에 다른 구입 의사에 따라 상기 가상의 어항 크기와 재질이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낚시게임앱을 통해 상기 가상의 어항에 해당 포획물이 저장된 시점 이후에 사용자의 상기 낚시게임앱 이용 지속적인 시간이 상기 중앙서버에 저장된 설정된 기준 시간 이하이거나, 상기 낚시게임앱을 종료한 시점 이후에 다시 상기 낚시게임앱을 사용한 시점 동안의 시간이 상기 중앙서버에 저장된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가상의 어항에 포획된 어종이 상기 가상의 어항 재질에 따라 유실되는 실종이벤트가 발생하고,
    상기 실종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중앙서버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어항 재질의 변경 문의에 대한 알람이 송신되고, 그 송신에 따라 재질 변경시 유실된 어종이 다시 가상의 어항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게임앱을 통해 실제로 포획물이 제공되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설정된 레벨 이후에는, 상기 가상의 어항에 포획된 어종에 대해 사용자에게 실제 배송에 대한 문의 알람이 전송되고,
    상기 낚시게임앱 상에서 상기 문의 알람에 대해 사용자가 수락 버튼 클릭시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가맹점으로 사용자의 주소지 또는 스마트폰이 위치하는 곳으로 해당 어종의 배송 지시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가상의 어항에 포획된 어종 및 마리수에 따라 다른 어종으로 변경할 수 있는 변경 알람 문의가 사용자에게 전송되고,
    변경 알람 문의에 대해 상기 낚시게임앱 상에서 사용자가 수락 버튼 클릭시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가맹점으로 사용자의 주소지 또는 스마트폰이 위치하는 곳으로 변경된 어종의 배송 지시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게임앱을 통해 실제로 포획물이 제공되는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사용자의 레벨에 상관없이 특별 어종을 사용자가 상기 낚시게임앱 상에서 포획할 수 있는 특별이벤트알람이 설정된 주기마다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특별이벤트알람에 따른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는 해당 특별 어종을 포획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중앙서버에는,
    사용자가 상기 낚시게임앱을 이용하는 가상의 낚시터가 복수개 설정되어 있으며, 각각의 가상의 낚시터는 상기 낚시게임앱을 실행하는 시간에 따라 어종을 포획할 수 있는 확률이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각각의 가상의 낚시터와 실행하는 시간에 따라 상기 가상의 어항에 포획된 어종이 상기 가상의 어항 재질에 따라 유실되는 확률도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게임앱을 통해 실제로 포획물이 제공되는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낚시게임앱 상에서 포획되는 어종에 따라 스마트폰에 설치된 진동센서에 의한 진동 크기가 좌우됨과 동시에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음향센서에 의한 음악 및 소리크기도 상기 중앙서버에 의해 좌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상의 어항 재질에 따라 포획한 어종별로 유실될 확률이 상기 중앙서버에 기 저장되어 있어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포획한 어종별로 현재 유실될 확률이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전송되며,
    유실될 확률이 소정값 이상인 경우 사용자에게 현재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어항의 재질 변경 문의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게임앱을 통해 실제로 포획물이 제공되는 시스템.






KR1020190055356A 2019-05-12 2019-05-12 낚시게임앱을 통해 실제로 포획물이 제공되는 시스템 KR102162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356A KR102162071B1 (ko) 2019-05-12 2019-05-12 낚시게임앱을 통해 실제로 포획물이 제공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356A KR102162071B1 (ko) 2019-05-12 2019-05-12 낚시게임앱을 통해 실제로 포획물이 제공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071B1 true KR102162071B1 (ko) 2020-10-06

Family

ID=72826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356A KR102162071B1 (ko) 2019-05-12 2019-05-12 낚시게임앱을 통해 실제로 포획물이 제공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07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6144A (ja) * 2000-08-29 2002-03-05 Casio Comput Co Ltd ゲーム運営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70119492A (ko) 2016-04-19 2017-10-27 주식회사 디아소프트 가상현실 낚시 게임 시스템, 게임 제공 서버 및 낚시 게임 시스템의 가상현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6144A (ja) * 2000-08-29 2002-03-05 Casio Comput Co Ltd ゲーム運営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70119492A (ko) 2016-04-19 2017-10-27 주식회사 디아소프트 가상현실 낚시 게임 시스템, 게임 제공 서버 및 낚시 게임 시스템의 가상현실 제공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신작카톡게임] 낚시게임 이제 카톡게임으로 즐기자 피쉬프렌즈", 인터넷 IT tong 사이트 게시글(2013.03.16.)* *
"게임] 대어부시대 취미", 인터넷 이글루스 사이트 게시글(2015.08.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94670A1 (en) Computer system, game system, and game device
US11216836B2 (en) Computer system, game system, and game device
US11013992B2 (en) Computer system and game system
JP6271883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6937455B2 (ja) サー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AU2006225293A1 (en) Gaming machine and gaming server
JP6505915B1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装置
KR101487077B1 (ko) 게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08012068A (ja) ゲームシステム
JP2016185282A (ja) サーバシステム、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7140992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ゲームシステム
JP2020058452A (ja)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JP2024009289A (ja) ゲームサーバ、ゲーム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
JP2022082269A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ゲームシステム
JP2008136631A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web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KR101188125B1 (ko) 온라인 게임의 아이템 추첨 방법 및 장치
KR102162071B1 (ko) 낚시게임앱을 통해 실제로 포획물이 제공되는 시스템
JP7182870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ー装置
JP4758125B2 (ja) ゲーム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JP2022153640A (ja) 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6951836B2 (ja) サー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7036451B2 (ja) ゲーム機、ゲームシステム、それに用い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JP6694670B2 (ja) サーバシステム、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183731B1 (ko) 아이템 사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JP2020157168A (ja) 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