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258B1 - 일체형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 - Google Patents

일체형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258B1
KR102161258B1 KR1020190050387A KR20190050387A KR102161258B1 KR 102161258 B1 KR102161258 B1 KR 102161258B1 KR 1020190050387 A KR1020190050387 A KR 1020190050387A KR 20190050387 A KR20190050387 A KR 20190050387A KR 102161258 B1 KR102161258 B1 KR 102161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plate
space
driving
case
outpu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수봉
김재승
송봉규
진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아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아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아이씨
Priority to KR1020190050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2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59/044Ratio selector apparatu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변속기의 매뉴얼축과 연결되어 상기 매뉴얼축을 회전시키는 출력축과,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출력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듈과,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차량의 운전자가 조작하는 입력모듈의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신호에 대응되게 상기 출력축이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모듈을 제어하는 제어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구동모듈이 수용되는 구동공간 및 상기 제어기판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은 제어부와 구동모듈 및 인히비터 스위치가 모두 하나의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컴팩트하여 장착이 용이하며 공간 활용도가 뛰어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Integrated electronic range switching system}
본 발명은 일체형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기판과 액추에이터 및 인히비터스위치가 일체로 형성되어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다양한 차종에 적용할 수 있도록 호환성을 높인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자동변속기는 P단, R단, N단, D단, S단과 같은 순서로 작동되는 변속모드를 가지며, 주행시 자동차 속도 등에 따라 변속단이 자동으로 변경되는 자동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의 경우 운전자가 자동변속기의 변속모드를 운전 상황에 따라 인위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게 하는 변속레버가 설치된다.
자동변속기 차량의 운전자는 변속레버를 조작하여 자동변속기의 변속모드를 운전 상황에 따라 주차(P단), 후진(R단), 중립(N단), 주행(D단) 등의 모드로 선택적으로 조종할 수 있다.
종래에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변속레버가 기계적인 메커니즘을 통해 자동변속기에 직결되어 변속레버에 가해진 조작력을 자동변속기에 직접적으로 전달하여 변속모드가 조정되는 팁트로닉 타입의 모드전환장치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와 같이 기계적 메커니즘을 통해 변속모드가 전환되는 종래 자동변속기용 모드전환장치는 모드 전환시 변속모드 조정에 필요한 힘을 변속레버를 통해 직접 가해야 했기 때문에 운전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변속레버가 운전석 옆측의 콘솔 중앙에 설치되기 때문에 자동차 실내공간의 활용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어 왔다.
이로 인해, 약간의 조작력만 가하면 사전 설정된 방향과 변위량으로 조작됨으로써 전자제어장치가 그 이동방향과 변위량 등을 감지한 다음 예컨대 액추에이터나 전동모터 등의 작동매체로써 자동변속기의 변속모드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자제어방식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들이 개발된 바 있다.
종래에 전자 변속기 시스템 또는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은 제어 신호를 입력받고 액추에이터를 구동하게 하는 제어부와 액추에이터 및 인히비터 스위치가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장착에 많은 공간이 필요하고,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34881호 : 전자식 변속 장치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제어부와 구동모듈 및 인히비터 스위치가 일체로 형성되어 공간활용도가 뛰어나며, 다양한 차량에 쉽게 호환하여 설치할 수 있는 일체형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변속기의 매뉴얼축과 연결되어 상기 매뉴얼축을 회전시키는 출력축과,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출력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듈과,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차량의 운전자가 조작하는 입력모듈의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신호에 대응되게 상기 출력축이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모듈을 제어하는 제어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구동모듈이 수용되는 구동공간 및 상기 제어기판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출력축의 회전위치를 감지하여 선택된 변속기 모드를 감지하는 인히비터 스위치를 더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는 일측에 상기 출력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내부공간이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내부공간을 상기 구동공간 및 수용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구획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어기판을 상기 구획 플레이트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구획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구획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수용공간 내측으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와, 상기 구획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된 상기 지지돌기의 단부에 상기 제어기판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구동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출력축에 연결된 로터축과, 상기 로터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공간에 마련된 축 구동부와, 상기 제어기판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공간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기판에서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로터축이 회전되도록 상기 축 구동부를 제어하는 모터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구획 플레이트에는 상기 로터축의 타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구동공간 내에 설치가능한 상기 로터축의 길이를 확장할 수 있도록 상기 구획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수용공간 내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구획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된 돌출길이가 상기 지지부의 상기 구획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수용공간 내측으로 인입된 인입깊이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획플레이트는 상기 구동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터미널이 관통되어 상기 구동모듈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기판은 상기 삽입구에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전원 터미널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구획 플레이트에 대향되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측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덮개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은 제어부와 구동모듈 및 인히비터 스위치가 모두 하나의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컴팩트하여 장착이 용이하며 공간 활용도가 뛰어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구동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일체형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일체형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의 구획 플레이트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일체형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의 제어기판에 대한 저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일체형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에 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일체형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의 인히비터 스위치에 대한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1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일체형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10)은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변속기의 매뉴얼축과 연결되어 상기 매뉴얼축을 회전시키는 출력축(400)과,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되어 상기 출력축(40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듈(300)과,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차량의 운전자가 조작하는 입력모듈의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신호에 대응되게 상기 출력축(400)이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모듈(300)을 제어하는 제어기판(600)과,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되어 상기 출력축(400)의 회전위치를 감지하여 선택된 변속기 모드를 감지하는 인히비터 스위치를 구비한다.
케이스(100)는 내부에, 상기 구동모듈(300)이 수용되는 구동공간(121) 및 상기 제어기판(60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22)이 형성된 것으로서, 하우징(110), 구획 플레이트(120) 및 덮개부재(130)를 구비한다.
하우징(110)은 상측에 출력축(40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하우징(110)의 측면에는 운전자가 선택하는 선택모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모듈의 입력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입력커넥터가 연결되는 커넥터 연결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커넉터 연결부(111)를 통해 입력커넥터가 삽입되어 제어기판(600)으로 입력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커넥터 연결부(111)를 통해 연결되는 입력커넥터는 입력신호의 전달 뿐 아니라 구동모듈(30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하우징(110)은 수용공간(122)에 설치된 제어기판(600)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기 위해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획 플레이트(120)는 상기 내부공간을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구동공간(121) 및 수용공간(122)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구획 플레이트(12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의 단면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구획 플레이트(120)는 중앙부에, 후술되는 구동모듈(300)의 로터축(305)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124)는 로터축(305)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홀이 형성되는데, 상기 구동공간(121) 내에 설치가능한 상기 로터축(305)의 길이를 확장할 수 있도록 상기 구획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수용공간(122) 내측으로, 즉, 하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게 형성된다.
또한, 구획 플레이트(120)는 상기 구동모듈(3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터미널(354)이 관통되어 상기 구동모듈(300)에 연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삽입구(1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구(123)는 구획 플레이트(12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고, 구획 플레이트(120)의 가장자리 측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구획 플레이트(120)에 3개 삽입구(123)가 형성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삽입구(123)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구동모듈(300)의 구조에 따라 2개 이하 또는 4개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원 터미널(354)은 일단이 삽입구(123)를 통해 구획 플레이트(120)를 관통하여 구동모듈(300)에 연결되며, 타단은 제어기판(600)에 관통되어 커넥터 연결부(111)에 연결된 입력커넥터에 연결된다.
덮개부재(130)는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된 하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덮개부재(130)는 제어기판(600)이 설치되는 수용공간(122)을 보다 확장시킬 수 있도록 수용공간(122)에 노출되는 상면이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부재(130)는 다수의 볼트에 의해 하우징(110)의 하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력축(400)은 하우징(110)의 상부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출력축(400)은 상부가 하우징(110) 외부로 노출되되, 하단부는 하우징(110)의 구동공간(121)으로 인입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력축(400)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변속을 위한 차량의 변속기의 매뉴얼축과 연결되어 출력축(400)의 회전에 의해 매뉴얼축이 회전하면서 변속모드를 조절한다.
상기 구동모듈(300)의 구성은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구동모듈(300)은 하우징(110)의 구동공간(1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기어유닛에 의해 출력축(400)에 연결된 로터축(305)과, 로터축(305)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공간(121)에 마련된 축 구동부(350)와, 상기 구동공간(121) 내에 설치되며, 축 구동부(350)를 제어하는 모터기판(360)을 구비한다.
로터축(305)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타단은 구획 플레이트(120)의 지지부(124)에 삽입된다. 이때, 로터축(305)은 베어링에 의해 지지부(12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여기서, 로터축(305)은 상측에 편심 회전하는 편심부(321)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유닛은 로터축(305)에 연결되는 선기어(330)와, 상기 선기어(330)와 치합될 수 있는 고정된 링기어(340)를 포함한다.
상기 선기어(330)는 로터축(305)의 편심부(321)에 결합되어 로터축(305)의 회전에 의해 편심 회전한다. 상기 선기어(330)에는 보스부(3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출력축(400)이 상기 보스부(331)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한편, 기어유닛은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로터축(305)의 회전력을 출력축(400)에 전달할 수 있는 동력전달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축 구동부(350)는 로터축(305)의 외주면에 설치된 다수의 영구자석(351)과, 영구자석(351)들에 대향되는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코일(353)이 각각 권취된 다수의 티스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스테이터유닛(352)을 구비한다. 상기 구동모듈(300)은 모터기판(360)의 제어에 의해 로터축(305)을 회전시킨다. 전원 터미널(354)들은 스테이터유닛(352)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축 구동부(350)는 영구자석(351)과, 스테이터 유닛을 구비한 액추에이터가 적용되어 있으나, 축 구동부(35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모터기판(360)의 제어에 따라 로터축(305)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모터기판(360)은 구동공간(121)에 노출된 구획 플레이트(120)의 상면에 설치되어 축 구동부(350)를 제어한다. 이때, 모터기판(360)은 구획 플레이틀 관통하여 제어기판(600)에 연결된 다수의 핀에 의해 상기 제어기판(600)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기판(600)에서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로터축(305)이 회전되도록 상기 축 구동부(35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모듈(300)은 축 구동부(350)가 구동하면서 로터축(305)이 회전하면, 로터축(305)의 회전력이 편심부(321)에 결합되어 있는 선기어(330)로 전달되고, 고정되어 있는 링기어(340)에 대하여 선기어(330)가 요동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선기어(330)의 보스부(331)를 통해서 출력축(400)으로 회전력이 전달된다.
제어기판(600)은 하우징(110)의 수용공간(122) 내에 설치되는데, 지지유닛(610)에 의해 구획 플레이트(120)에 대해 멀어지는 하방으로 이격되게 지지된다.
상기 지지유닛(610)은 상기 구획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다수의 지지돌기(611)와, 구획 플레이트(120)로부터 이격된 지지돌기(611)의 단부에 제어기판(600)을 고정시키는 다수의 고정부재(612)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돌기(611)는 구획 플레이트(120)의 가장자리 측에 설치되며, 구획 플레이트(120)로부터 수용공간(122) 내측으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즉, 지지돌기(611)를 구획 플레이트(120)로에 대해 하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지지돌기(611)는 하면에, 고정부재(612)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홀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돌기(611)는 상기 구획 플레이트(120)로부터 돌출된 돌출길이가 상기 지지부(124)의 상기 구획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수용공간(122) 내측으로 인입된 인입깊이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612)는 제어기판(600)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돌기(611)의 나사홀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분과, 나사부분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제어기판(600)의 하면에 간섭되도록 형성된 헤드부분을 구비한다.
고정부재(612)에 의해 지지돌기(611)의 하면에 고정된 제어기판(600)은 지지돌기(611)에 의해 구획 플레이트(120)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다. 따라서, 구획 플레이트(120)와 제어기판(600) 사이에 지지부(124)가 인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며, 해당 공간에 의해 구동공간(121) 내에 설치가 가능한 로터축(305)의 길이가 확장될 수 있으며, 로터축(305)의 길이를 축소시키지 않더라도 케이스(100)의 부피를 줄일 수도 있다.
제어기판(600)은 상술된 바와 같이 핀에 의해 모터기판(360)에 연결되며, 차량의 운전자가 조작하는 입력모듈의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신호에 대응되게 상기 출력축(400)이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모듈(3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모터기판(360)에 전송한다.
상기 제어기판(600)은 구획 플레이트(120)의 삽입구(123)에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전원 터미널(354)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구(620)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620)는 제어기판(600)을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전원 터미널(354)을 통해 전달되는 전원이 제어기판(6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장자리를 따라 절연코팅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500)는 출력축(400)의 회전위치를 감지해 선택된 변속기 모드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인히비터 스위치(500)는 출력축(400)의 단부를 감쌀 수 있도록 케이스(100)에 설치되는 센서커버(510)와, 출력축(400)에 설치되는 마그네트블럭(520)과, 센서커버(510)에 마련되는 포지션센서(53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커버(510)는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케이스(100)에 결합된다.
센서커버(510)는 상기 출력축(400)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매뉴얼축과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출력축(400)의 단부를 노출시킬 수 있는 관통홀(5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지션센서(530)가 설치되는 일측에는 삽입부(51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512)는 포지션센서(530)에서 감지된 정보를 차량의 메인제어부(200)로 전달하기 위한 접속커넥터가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그네트블럭(520)은 상기 출력축(400)에 끼워져 출력축(400)과 함께 회전하는 것으로서, 상기 출력축(400)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포지션센서(530)에서 출력축(400)의 회전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자성체(521)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마그네트블럭(520)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소정길이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522)가 마련되어 있는데, 상기 체결돌기(522)는 후술하는 출력축(400)의 제1 표시홈(410)으로 삽입되어 마그네트블럭(520)이 출력축(400)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포지션센서(530)는 상술한 것처럼 센서커버(510)에 설치되는데, 상기 마그네트블럭(520)의 자성체(521) 위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부(512)를 통해 체결되는 접속커넥터와 연결될 수 있는 터미널(5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센서커버(510)의 내부에는 상기 마그네트블럭(520)이 감지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주차(P) 포지션 및 주행(D) 포지션에 대응하는 위치의 가장자리에 상기 마그네트블럭(520)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한 회전스토퍼(미도시)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기 회전스토퍼에 의해 마그네트블럭(520)은 감지영역 내에서만 위치할 수 있으며, 감지영역을 벗어날 수 없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출력축(400)의 회전에 의해 자성체(521)가 일측 가장자리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매뉴얼축이 출력축(400)에 의해 회전하여 주차(P) 포지션에 위치하도록 변속기를 제어하며, 포지션센서(530)는 해당위치정보를 감지하여 변속기의 모드가 주차(P) 포지션에 있음을 감지한다.
구동모듈(300)에 의해 출력축(400)이 도면상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출력축(400)의 회전에 따라 매뉴얼축은 변속기의 변속모드를 중립(N) 및 주행(D) 모드가 되도록 조절한다.
이 때, 상기 출력축(400)과 함께 회전하는 마그네트블럭(520)의 자성체(521) 위치는 각각 중립(N) 포지션과 주행(D) 포지션에 위치하게 되고, 이를 포지션센서(530)가 감지한다.
아울러 출력축(400)의 중립위치 설정을 위해 출력축(400)과 센서커버(510)에는 각각 제1 표시홈(410)과 제2 표시홈(5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그네트블럭(520)이 중립(N) 포지션에 위치할 때 상기 출력축(400)의 제1 표시홈(410)이 센서커버(510)의 제2 표시홈(514)과 대응하는 위치에 오도록 세팅한 다음 신호조정을 통해 중립(N) 포지션의 위치를 설정한다.
이렇게 출력축(400)과 센서커버(510)에 형성된 제1 표시홈(410)과 제2 표시홈(514)에 의해 마그네트블럭(520)의 중립(N) 포지션 초기 설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인히비터 스위치(500)가 출력축(40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변속 레인지의 전환을 감지하도록 되어 있으나, 인히비터 스위치(500)의 설치위치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출력축(400)의 회전을 통해 변속 레인지의 전환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인히비터 스위치가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상기 출력축(400)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변속 레인지를 검출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출력축(400)이 모드선택 액추에이터(300)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케이스(100)의 후단부에 인히비터 스위치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10)은 제어기판(600)과, 구동모듈(300) 및 인히비터 스위치(500)가 하나의 몸체 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활용도가 뛰어나며, 기존의 연결방식보다 설치 및 연결이 간소화되어 설치 편의성이 뛰어나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케이스
110: 하우징
111: 커넥터 연결부
120: 구획 플레이트
121: 구동공간
122: 수용공간
130: 덮개부재
300: 구동모듈
305: 로터축
321: 편심부
322: 기어유닛
330: 선기어
340: 링기어
350: 축 구동부
351: 영구자석
352: 스테이터유닛
353: 코일
354: 전원 터미널
360: 모터기판
400: 출력축
500: 인히비터 스위치
600: 제어기판

Claims (9)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변속기의 매뉴얼축과 연결되어 상기 매뉴얼축을 회전시키는 출력축;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출력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듈;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차량의 운전자가 조작하는 입력모듈의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신호에 대응되게 상기 출력축이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모듈을 제어하는 제어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구동모듈이 수용되는 구동공간 및 상기 제어기판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는
    일측에 상기 출력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내부공간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을 상기 구동공간 및 수용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구획 플레이트; 및
    상기 제어기판을 상기 구획 플레이트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구획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구획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수용공간 내측으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 및
    상기 구획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된 상기 지지돌기의 단부에 상기 제어기판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구동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출력축에 연결된 로터축; 및
    상기 로터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공간에 마련된 축 구동부; 및
    상기 제어기판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공간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기판에서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로터축이 회전되도록 상기 축 구동부를 제어하는 모터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구획 플레이트에는 상기 로터축의 타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구동공간 내에 설치가능한 상기 로터축의 길이를 확장할 수 있도록 상기 구획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수용공간 내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게 형성된,
    일체형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출력축의 회전위치를 감지하여 선택된 변속기 모드를 감지하는 인히비터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일체형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구획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된 돌출길이가 상기 지지부의 상기 구획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수용공간 내측으로 인입된 인입깊이보다 크도록 형성된,
    일체형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플레이트는 상기 구동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터미널이 관통되어 상기 구동모듈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기판은 상기 삽입구에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전원 터미널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구가 형성된,
    일체형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구획 플레이트에 대향되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측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덮개부재;를 더 구비하는,
    일체형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
KR1020190050387A 2019-04-30 2019-04-30 일체형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 KR102161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387A KR102161258B1 (ko) 2019-04-30 2019-04-30 일체형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387A KR102161258B1 (ko) 2019-04-30 2019-04-30 일체형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1258B1 true KR102161258B1 (ko) 2020-09-29

Family

ID=72661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387A KR102161258B1 (ko) 2019-04-30 2019-04-30 일체형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2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8430A (ko) * 2021-07-07 2023-01-16 주식회사 디아이씨 전자식 변속제어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9156A (ko) * 2011-11-03 2013-05-13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캐리어 플레이트에 트랜스미션 제어 모듈용 제어 장치의 고정
KR20150134881A (ko) 2014-05-23 2015-12-02 에스엘 주식회사 전자식 변속 장치
KR20180009200A (ko) * 2016-07-18 2018-01-26 현대다이모스(주)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기어 액추에이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9156A (ko) * 2011-11-03 2013-05-13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캐리어 플레이트에 트랜스미션 제어 모듈용 제어 장치의 고정
KR20150134881A (ko) 2014-05-23 2015-12-02 에스엘 주식회사 전자식 변속 장치
KR20180009200A (ko) * 2016-07-18 2018-01-26 현대다이모스(주)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기어 액추에이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8430A (ko) * 2021-07-07 2023-01-16 주식회사 디아이씨 전자식 변속제어시스템
KR102609750B1 (ko) * 2021-07-07 2023-12-05 주식회사 디아이씨 전자식 변속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0351B1 (en) Transmission range selector system
KR100458846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샤프트용 액츄에이터
US7377192B2 (en) Controller for vehicle-mounted component
KR102360997B1 (ko) 전자식 변속 시스템
KR102161258B1 (ko) 일체형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
KR20190081794A (ko)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JP2020176655A (ja) 回転式アクチュエータ
CN109268481A (zh) 用于变速器换档器的致动器总成
KR101990386B1 (ko)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
CN109268483A (zh) 用于变速器换档器的致动器总成
KR100584476B1 (ko) 자동차의조정가능한부품을위한구동장치
EP0911550B1 (en) Inhibitor switch for automatic transmission range selector valve
KR101575371B1 (ko) 차량의 쉬프트 바이 와이어 변속 조작장치
JP4556368B2 (ja) 変速機のシフト制御装置
CN215257784U (zh) 换挡装置
KR102435195B1 (ko) 차량용 변속기 제어 장치
US8788158B2 (en) Shifting device for vehicle and shift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180068415A (ko) 파워 모듈 및 변속기
KR102609750B1 (ko) 전자식 변속제어시스템
KR20070044648A (ko) 자동변속기
KR100285912B1 (ko) 스로틀 밸브 콘트롤 엑츄에이터
KR20190050741A (ko)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
KR20220053345A (ko) 전자식 변속기용 액츄에이터
KR20220031426A (ko) 회전식 액추에이터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N111006007B (zh) 汽车、旋钮换挡机构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