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895B1 -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895B1
KR102160895B1 KR1020200047880A KR20200047880A KR102160895B1 KR 102160895 B1 KR102160895 B1 KR 102160895B1 KR 1020200047880 A KR1020200047880 A KR 1020200047880A KR 20200047880 A KR20200047880 A KR 20200047880A KR 102160895 B1 KR102160895 B1 KR 102160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ressure bag
stretcher
frame
negati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식
Original Assignee
이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식 filed Critical 이명식
Priority to KR1020200047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2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with artificial climate; with means to maintain a desired pressure, e.g. for germ-free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2Stretchers with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61G1/044Straps, band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1/00Containers or portable cabins for affording breathing protection with devices for reconditioning the breathing air or for ventilating, in particular those that are suitable for invalids or small childr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61G2203/78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for clamp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해물질에 오염된 환자를 격리시켜 이로 인한 2차 오염 확산을 차단하면서 최대한 안정적인 자세로 신속하게 환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이동형 음압백을 이송용바퀴가 저면에 부설된 스트레처 상면에 안착 후, 상기 이동형 음압백을 스트레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환자 이송시 이동형 음압백이 상기 스트레처로부터 흔들리거나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환자이송이 가능하도록 하고, 스트레처의 프레임 단면 형상에 관계없이 이동형 음압백을 스트레처에 고정시킬 수 있어서, 범용으로 사용가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Mobile sound pressure bag fixing device}
본 발명은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해물질에 오염된 환자를 격리시켜 이로 인한 2차 오염 확산을 차단하면서 최대한 안정적인 자세로 신속하게 환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이동형 음압백을 이송용바퀴가 저면에 부설된 스트레처(stretcher) 상면에 안착 후, 상기 이동형 음압백을 스트FP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환자 이송시 이동형 음압백이 스트레처로부터 흔들리거나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환자이송이 가능하도록 한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생물학적이거나 화학적인 오염에 기인한 건강에 대한 위협이 지난 몇년간 증대되었다.
자연적인 생물학적 손상을 입은 희생자를 운반하는 장치는 최근에는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희생자는 에볼라(Ebola) 또는 마부르그 바이러스(Marburg virus),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탄저병 등에 의해 감염된 사람을 포함한다.
이러한 시스템의 하나는 방벽으로부터 현수된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막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위해 방벽이 있는 외부 프레임을 구비한 자체 보유 장치를 포함하는 빅커 상자(Vickers box)라고 불린다.
상기한 프레임은 다리 받침대와 계단을 구비한다. 낮은 타원형의 적재 포트는 환자가 들것과 같은 구조체에 놓여지기 위해 운반되는 내부로의 입구를 제공한다.
방벽은 그 발의 단부로 들어가는 환기 튜브를 구비한다. 글로브 포트가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다. 관통 포트는 환자의 장딴지가 놓이는 곳의 근처의 방벽을 통해 연장된다.
이러한 유닛의 각 측면에는 글로브 포트 쌍이 존재한다. 정맥 주사용 가방 등이 유닛의 프레임으로부터 현수된다.
정맥 주사선은 유닛 측면의 포트를 통해 연장된다. 빅커 상자는 자체 중량이 무거워 이용이 자유롭지 못하며, 매우 고가이다.
빅커 프레임이 조립되면, 그것은 크고, 유닛은 생물학적 비상 사태 발생시에 이용하려는 많은 수의 수용량에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화학 또는 생물학적 테러가 발생한 경우의 희생자를 격리하는데 소요되는 저비용인 동시에 사용이 용이하고 이동가능하며 컴팩트한 생물학적 격리 시스템이 요망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로 근래 들어 조립식 개인용 격리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살펴보면, 상기한 조립식 개인용 격리장치는, 환자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영역을 형성하는 가요성 벽과, 상기 가요성 벽과 접촉하여 환자로부터의 격리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와, 내외부 사이로 에어를 이송시키고 내외부 사이의 생화학적 격리를 위한 환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조립식 개인용 격리장치는 투명한 커버에 플라스틱 튜브이거나 나일론 막대로 구성된 복수개의 내부 지지대 또는 스테이를 구비하고 있어서, 보관을 위해 접을 때, 쉽게 접힘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조립식 개인용 격리장치는 봉 형상의 들것에 의해 들어 옮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들것에 대한 보관 및 조립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조립시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출원번호 10-2017-0121696호에 가스프레임 지지구조를 구비한 이동형 음압백이 출원된 바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가스프레임 지지구조를 구비한 이동형 음압백은, 플라스틱으로 성형되어 홀이 각각 천공된 반원판 형상의 전,후면판부재와, 상기 전,후면판부재를 전,후면에 고정시켜 사용시 환자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영역이 형성되게 반구 형상으로 구비되되, 전,후단과 측면에는 오염물질에 노출된 환자를 신속하게 출입시킬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된 밀폐용지퍼가 갖추어지고, 후면에는 외부 공기흡입구가 형성되어 접힘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가요성 보호덮개와,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상면이 각각 고정되되, 일단과 타단은 외향으로 돌출되어 파지가능하도록 손잡이용 홀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손잡이부재와,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 표면에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가스발생부로부터 발생된 가스가 주입되므로 인해 가요성 보호덮개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가스프레임부와,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의 전면에 설치되어 내부공기를 필터링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배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가스발생부는, 가스유동홀이 형성된 종방향으로 형성된 종방향가스프레임 일측 하단에 접착제 또는 초음파 융착에 의해 상기 가스유동홀을 포함하여 고정되되, 상부는 개구되고 외측면에는 가스유출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가스발생용수용체와, 상기 가스발생용수용체에 수용되어 산 성분을 갖는 액체와 화학반응에 따른 기체가 발생가능하도록 소다가 충진된 소다용티백과, 상기 소다용티백측으로 산 성분을 갖는 액체를 공급가능하도록 구연산수가 저장되어 상기 가스발생용수용체로 하부가 수용되고 상부는 안착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연산수저장부와, 상기 구연산수저장부의 상면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바닥면측으로 위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구연산수저장부의 상면을 누름시키는 것에 의해 바닥면을 파손시켜 저장된 구연산수가 가스발생용수용체측으로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손용부재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가스프레임 지지구조를 구비한 이동형 음압백은 별도의 고정장치 없이 이송용바퀴가 저면에 부설된 스트레처 상면에 올려놓게 되므로 환자이송시 커브길 또는 턱이진 부분을 이동할 때, 이동형 음압백에 수용된 환자가 한 쪽으로 쏠리는 것에 의해 상기 이동형 음압백이 스트FP처로부터 낙하하여 이동형 음압백에 수용된 환자가 상해를 입게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특허출원번호 10-2017-0121696호, 출원일; 2017년09월21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해물질에 오염된 환자를 격리시켜 이로 인한 2차 오염 확산을 차단하면서 최대한 안정적인 자세로 신속하게 환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이동형 음압백을 이송용바퀴가 저면에 부설된 스트레처 상면에 안착 후, 상기 이동형 음압백을 스트레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환자 이송시 이동형 음압백이 상기 스트레처로부터 흔들리거나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환자이송이 가능하도록 한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트레처의 프레임 단면 형상에 관계없이 이동형 음압백을 스트레처에 고정시킬 수 있어서, 범용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한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는, 이송용바퀴가 저면에 부설되고, 상면 테두리에는 파지용프레임이 형성된 스트레처 상면에 설치되어 환자를 격리 수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되, 전면에는 설치프레임이 설치되고, 후면에는 외부 공기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프레임에는 내부공기를 필터링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기수단이 내설되어 구비되는 음압백의 설치프레임 저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결함요홈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설치프레임용 고정부와, 상기 설치프레임용 고정부의 타단을 상부 전면에 위치시켜 상부고정용 노브볼트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가압 고정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상부결합부와, 상기 상부결합부의 하부에 상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스트레처의 파지용프레임을 내측으로 수용가능하게 양측면과 하부가 개구되어 구비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설치되어 일단을 일방향으로 및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삽입부의 하부 내측으로 위치되는 상기 스트레처 파지용프레임의 단면 형상에 관계없이 표면을 가압 고정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하부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고정부 하부에는, 일단이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스트레처 파지용프레임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가 상기 스트레처 파지용프레임의 상부 또는 좌,우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이탈방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에 따르면, 환자를 격리 수용하는 음압백을 스트레처에 고정시킬수 있어서, 환자 이송시 이동형 음압백이 상기 스트레처로부터 흔들리거나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환자를 이송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는 스트레처의 프레임 단면 형상에 관계없이 이동형 음압백을 스트레처에 고정시킬 수 있어서, 범용으로 사용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가 스트레처에 고정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 저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가 스트레처에 고정 설치된 상태를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가 스트레처에 고정 설치된 상태를 저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100)는 이송용바퀴(11)가 저면에 부설되고, 상면 테두리에는 파지용프레임(12)이 형성된 스트레처(10) 상면에 설치되어 환자를 격리 수용시킬 수 있도록 홀이 각각 천공된 반원판 형상의 전,후면판부재와, 상기 전,후면판부재를 전,후면에 고정시켜 사용시 환자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영역이 형성되게 반구 형상으로 구비되되, 전,후단과 측면에는 오염물질에 노출된 환자를 신속하게 출입시킬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된 밀폐용지퍼가 갖추어지고, 후면에는 외부 공기흡입구가 형성되어 접힘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가요성 보호덮개(22)의 전면에 고정 설치된 설치프레임(21)에 내설되어 내부공기를 필터링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배기수단으로 구성된 음압백(20)의 설치프레임(21) 저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결함요홈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설치프레임용 고정부(110)와, 상기 설치프레임용 고정부(110)의 타단을 상부 전면에 위치시켜 상부고정용 노브볼트(121)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가압 고정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상부결합부(120)와, 상기 상부결합부(120)의 하부에 상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스트레처(10)의 파지용프레임(12)을 내측으로 수용가능하게 양측면과 하부가 개구되어 구비되는 삽입부(130)와, 상기 삽입부(130)에 설치되어 일단을 일방향으로 및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삽입부(130)의 하부 내측으로 위치되는 상기 스트레처(10) 파지용프레임(12)의 단면 형상에 관계없이 표면을 가압 고정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하부고정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하부고정부(140) 하부에는 일단이 상기 삽입부(130)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스트레처(10) 파지용프레임(12)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10)가 상기 스트레처(10) 파지용프레임(12)의 상부 또는 좌,우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이탈방지부(150)가 더 구비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음압백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한 음압백(20)은, 플라스틱으로 성형되어 홀이 각각 천공된 반원판 형상의 전,후면판부재와, 상기 전,후면판부재를 전,후면 내측에 삽입 고정시켜 사용시 환자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영역이 형성되게 반구 형상으로 구비되되, 전,후단과 측면에는 오염물질에 노출된 환자를 신속하게 출입시킬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된 밀폐용지퍼가 갖추어지고, 후면에는 외부 공기흡입구가 형성되어 접힘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가요성 보호덮개(22)와,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22) 표면에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공기의 주입되므로 인해 가요성 보호덮개(22)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가스프레임부(23)와, 상기 가스프레임부(23)중 종방향으로 형성된 가스프레임부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의 주입을 위해 구비되어 헐키밸브(24)와,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22)의 전면에 설치되게 상기 전면판부재에 고정된 설치프레임(21)에 내설되어 내부공기를 필터링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배기수단과,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22) 측면 일측에는 환자 상태를 직접 손으로 만지면서 확인하기 위해 형성된 글로브포트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음압백(20)은, 이송용바퀴(11)가 저면에 부설된 스트레처(10)의 상면에 설치되어 환자를 격리시킨 후 운반시키게 된다.
상기한 스트레처(10)는 저면에 복수의 이송용바퀴(11)가 설치되고, 상면은 상기한 음압백(20)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안착판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판 측면으로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사용자가 파지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파지용프레임(12)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스트레처(10)의 안착판과 음압백(20)의 저면 사이에는 부직포(일명'찍찍이')를 매개로 상기 음압백과 탈부착되어 환자가 격리 수용된 상기 음압백을 스트레처의 안착판측으로 승,하강시 음압백(20)을 보호하도록 테두리에는 복수의 손잡이(31)가 구비된 보강부재(30)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는 상기한 음압백을 스트레처의 파지용프레임에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의 설치프레임용 고정부(110)는, 배기수단의 설치프레임(21) 저면에 일단이 고정되어 타단으로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100)가 고정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설치프레임용 고정부(110)는 배기수단의 설치프레임(21) 저면에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어 용접에 의해 각각 고정되는 고정편(111)과, 상기 고정편(111)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에 의해 수직으로 형성되되, 각 선단부에는 결함요홈(112a)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결합부(12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연결편(112)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상부결합부(120)는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100)를 상기 설치프레임용 고정부(110)에 고정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상부결합부(120)는 저면이 개구된 직사각 형상의 틀로 형성되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음압백(20)에 수용된 전면판부재를 수용하도록 수용요홈(122a)이 형성되고, 전면판에는 서로에 대하여 이격된 한 쌍의 고정홀(122b)이 형성된 결합편(122)과, 상기 결합편(122)의 전면판의 배면에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어 용접으로 고정된 것에 의해 중앙부는 상기 고정홀(122b)과 각각 연통되되, 내주면에는 상부고정용 노브볼트(121)를 나사방식으로 각각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부나사부(123a)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상부고정용 노브볼트 결합부재(123)로 구성된다.
상기한 삽입부(130)는 상기 상부결합부(120)의 하부에 상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 연결되는 것에 의해 하부는 상기 스트레처(10)의 프레임(12)을 내측으로 수용가능하게 양측면과 하부가 개구된 "n"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구비된다.
즉, 상기한 삽입부(130)는, 상기 상부결합부(120)의 하부에 용접에 의해 고정 연결가능하도록 형성된 수평판(131)과, 상기 수평판(131)의 전단부와 후단부로부터 각각 하향 절곡 연장되어 형성된 것에 의해 상기 스트레처(10)의 프레임(12)을 내측으로 수용가능도록 형성된 수직전면판 및 수직후면판(132,133)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하부고정부(140)는 상기 삽입부(130)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부(130)의 하부 내측으로 상기 스트레처(10)의 프레임(12)이 삽입됨에 따른 하부고정용 노브볼트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스트레처(10)의 프레임(12)의 단면 형상 예를 들어 사각형, 타원형, 원형의 단면 형상에 관계없이 표면을 가압 고정시켜 상기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100)의 하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하부고정부(140)는 상기 삽입부(130)의 수직전면판(132) 상부에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상부고정용 홀(141)과, 상기 삽입부(130)의 수직전면판(132)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중앙부는 상기 상부고정용홀(141)과 각각 연통되게 구비되되, 내주면에는 하부나사홀(142a)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하부고정용 노브볼트 결합부재(142)와, 상기 하부고정용 노브볼트 결합부재(142)에 일단이 관통된 후,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일단은 축경부(143a)가 형성되고, 상기 축경부(143a) 일측으로는 외주면에 가압나사부가 형성된 가압바(143b)와, 상기 가압바(143b)의 타단에 고정되어 파지하여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상기 가압바(143b)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노브(143c)가 형성된 한 쌍의 하부고정용 노브볼트(143)와, 상기 하부고정용 노브볼트(143)의 축경부(143a)를 각각 관통시켜 "C"링을 매개로 이탈방지되게 연결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삽입부(130)의 하부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하부고정용 노브볼트(14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일면이 스트레처(10) 프레임(12)의 외측면을 가압가능하도록 일면에는 타면까지 관통된 한 쌍의 관통홀이 형성된 바 형상의 하부가압용 고정바(14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하부가압용 고정바(144)의 타면은 상기 스트레처 프레임의 외측면을 가압가능하도록 오목한 곡면부(144a)가 형성되고, 상기 곡면부(144a)에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돌출된 축경부(143a)가 상기 스트레처(10) 프레임(12)의 외측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길이방향으로 요홈부(144b)가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이탈방지부(150)는 일단이 상기 삽입부(130)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스트레처(10) 프레임(12)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100)가 상기 스트레처(10) 프레임(12) 상부 및 좌,우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이탈방지부(150)는 삽입부(130)의 수직전면판(132) 및 수직후면판(133) 하부에 형성된 이탈방지용 전,후면판 관통홀(151,152)과, 상기 수직후면판(133) 외측면에 일면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후면판 고정홀(152)과 연통되도록 중앙부에는 이탈방지나사홀(153a)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이탈방지 결합부(153)와, 상기 전,후면판 관통홀(151,152)을 일단이 관통하여 상기 이탈방지 결합부(153)와 나사방식으로 결합가능하도록 외주면에는 이탈방지나사부가 형성된 이탈방지바(154a)와, 상기 이탈방지바(154a)의 타단에 형성된 이탈방지노브(154b)로 이루어진 이탈방지용 노브볼트(15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를 스트레처에 설치하여 음압백을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결합부(120)의 상부고정용 노브볼트(121)를 설치프레임(21) 저면에 고정편(111)이 용접에 의해 고정된 설치프레임용 고정부(110)의 고정연결편(112)에 형성된 결함요홈(112a)에 삽입시키면서, 삽입부(130)의 수직전면판 및 수직후면판(132,133) 사이로 스트레처(10)의 파지용프레임(12)을 수용시켜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상부고정용 노브볼트(121)상에 결함요홈(112a)을 통하여 고정부(110)의 고정연결편(112)가 위치되고 상기 삽입부(130)가 스트레처(10)의 파지용프레임(12)을 수용하여 설치되면, 먼저 한 쌍의 상부고정용 노브볼트(121)를 각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부결합부(120)를 설치프레임용 고정부(110)에 고정시킨다.
이후, 삽입부(130)의 수직전면판(132)에 구비된 하부고정부(140)의 하부고정용 노브볼트(14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하부고정용 노브볼트(143)의 회전으로 하부가압용 고정바(144)가 스트레처(10)의 파지용프레임(12)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하부고정부(140)가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가압용 고정바(144)에 의해 하부고정부(140)가 스트레처(10)의 파지용프레임(12)에 고정되면, 상기 삽입부(130)의 하부 즉, 상기한 하부가압용 고정바(144) 하부에 구비된 이탈방지부(150)의 이탈방지용 노브볼트(15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이탈방지용 노브볼트(154)의 회전으로 이탈방지바(154a)가 이탈방지 결합부(153)와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로 인해, 환자 이송시 이동형 음압백이 상기 스트레처로부터 흔들리거나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환자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스트레처 20 ; 음압백
100 ;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 110 ; 설치프레임용 고정부
120 ; 상부결합부 130 ; 삽입부
140 ; 하부고정부 150 ; 이탈방지부

Claims (6)

  1.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는,
    이송용바퀴(11)가 저면에 부설되고, 상면 테두리에는 파지용프레임(12)이 형성된 스트레처(10) 상면에 설치되어 환자를 격리 수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되, 전면에는 설치프레임(21)이 설치되고, 후면에는 외부 공기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프레임에는 내부공기를 필터링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기수단이 내설되어 구비되는 음압백(20)의 설치프레임(21) 저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결함요홈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설치프레임용 고정부(110)와;
    상기 설치프레임용 고정부(110)의 타단을 상부 전면에 위치시켜 상부고정용 노브볼트(121)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가압 고정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상부결합부(120)와;
    상기 상부결합부(120)의 하부에 상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스트레처(10)의 파지용프레임(12)을 내측으로 수용가능하게 양측면과 하부가 개구되어 구비되는 삽입부(130)와;
    상기 삽입부(130)에 설치되어 일단을 일방향으로 및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삽입부(130)의 하부 내측으로 위치되는 상기 스트레처(10) 파지용프레임(12)의 단면 형상에 관계없이 표면을 가압 고정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하부고정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부(140) 하부에는, 일단이 상기 삽입부(130)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스트레처(10) 파지용프레임(12)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10)가 상기 스트레처(10) 파지용프레임(12)의 상부 또는 좌,우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이탈방지부(1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결합부(120)는, 저면이 개구된 직사각 형상의 틀로 형성되되, 상면 일측에는 음압백(20)에 수용된 전면판부재를 수용하도록 수용요홈(122a)이 형성되고, 전면판에는 서로에 대하여 이격된 한 쌍의 고정홀(122b)이 형성된 결합편(122)과, 상기 결합편(122)의 전면판의 배면에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어 용접으로 고정된 것에 의해 중앙부는 상기 고정홀(122b)과 각각 연통되되, 내주면에는 상부고정용 노브볼트(121)를 나사방식으로 각각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부나사부(123a)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상부고정용 노브볼트 결합부재(1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부(140)는, 삽입부(130)의 수직전면판(132) 상부에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상부고정용 홀(141)과, 상기 삽입부(130)의 수직전면판(132)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중앙부는 상기 상부고정용홀(141)과 각각 연통되게 구비되되, 내주면에는 하부나사홀(142a)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하부고정용 노브볼트 결합부재(142)와, 상기 하부고정용 노브볼트 결합부재(142)에 일단이 관통된 후,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일단은 축경부(143a)가 형성되고, 상기 축경부(143a) 일측으로는 외주면에 가압나사부가 형성된 가압바(143b)와, 상기 가압바(143b)의 타단에 고정되어 파지하여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상기 가압바(143b)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노브(143c)가 형성된 한 쌍의 하부고정용 노브볼트(143)와, 상기 하부고정용 노브볼트(143)의 축경부(143a)를 각각 관통시켜 "C"링을 매개로 이탈방지되게 연결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삽입부(130)의 하부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하부고정용 노브볼트(14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일면이 스트레처(10) 프레임(12)의 외측면을 가압가능하도록 일면에는 타면까지 관통된 한 쌍의 관통홀이 형성된 바 형상의 하부가압용 고정바(14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150)는, 삽입부(130)의 수직전면판(132) 및 수직후면판(133) 하부에 형성된 이탈방지용 전,후면판 관통홀(151,152)과, 상기 수직후면판(133) 외측면에 일면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후면판 고정홀(152)과 연통되도록 중앙부에는 이탈방지나사홀(153a)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이탈방지 결합부(153)와, 상기 전,후면판 관통홀(151,152)을 일단이 관통하여 상기 이탈방지 결합부(153)와 나사방식으로 결합가능하도록 외주면에는 이탈방지나사부가 형성된 이탈방지바(154a)와, 상기 이탈방지바(154a)의 타단에 형성된 이탈방지노브(154b)로 이루어진 이탈방지용 노브볼트(15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가압용 고정바(144)의 타면은 상기 스트레처(10) 프레임(12)의 외측면을 가압가능하도록 오목한 곡면부(144a)가 형성되고, 상기 곡면부(144a)에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돌출된 축경부(143a)가 상기 스트레처(10) 프레임(12)의 외측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길이방향으로 요홈부(144b)가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
KR1020200047880A 2020-04-21 2020-04-21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 KR102160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880A KR102160895B1 (ko) 2020-04-21 2020-04-21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880A KR102160895B1 (ko) 2020-04-21 2020-04-21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895B1 true KR102160895B1 (ko) 2020-09-28

Family

ID=72800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880A KR102160895B1 (ko) 2020-04-21 2020-04-21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89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7784A (ja) * 2000-07-04 2002-01-22 Aisotekku Kk 患者搬送装置
US6461290B1 (en) * 1998-12-21 2002-10-08 Iit Research Institute Collapsible isolation apparatus
US8302231B2 (en) * 2008-10-06 2012-11-06 Gold Cross Services, Inc. Medical unit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KR20170121696A (ko) 2016-04-25 2017-11-02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구성 유닛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가황 공구 및 구성 유닛
US20180303691A1 (en) * 2015-11-13 2018-10-25 Oslo Universitetssykehus Hf Patient isola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1290B1 (en) * 1998-12-21 2002-10-08 Iit Research Institute Collapsible isolation apparatus
JP2002017784A (ja) * 2000-07-04 2002-01-22 Aisotekku Kk 患者搬送装置
US8302231B2 (en) * 2008-10-06 2012-11-06 Gold Cross Services, Inc. Medical unit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US20180303691A1 (en) * 2015-11-13 2018-10-25 Oslo Universitetssykehus Hf Patient isolator
KR20170121696A (ko) 2016-04-25 2017-11-02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구성 유닛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가황 공구 및 구성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0896B1 (ko) 환자 이송용 음압백
KR101893936B1 (ko) 가스프레임 지지구조를 구비한 이동형 음압백
US8007351B1 (en) Mobile personnel bio isolation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the interior of an ambulance from contamination
TW408024B (en) Collapsible personnel isolation apparatus
US20100044372A1 (en) Portable and collapsible chem./bio. isolators
EP1202696B1 (en) Isolation apparatus
US7757689B2 (en) Inflatable isolating cabin
US20090093671A1 (en) Contamination detainment unit
CA2024296C (en) Protective device, individual, portable, with total insulation and controlled atmosphere
KR101902488B1 (ko) 환자 격리 장치
KR102180927B1 (ko) 검체 채취 장치
US20220040020A1 (en) High-Access Patient Transport Shield
US20130227791A1 (en) Portable conveying device for patients
KR102331450B1 (ko) 컴퓨터 단층 촬영이 가능한 환자 이송용 음압백
KR102160895B1 (ko) 이동형 음압백 고정장치
ES2331795T3 (es) Sistema de descontaminacion movil para la descontaminacion de personas y de objetos.
JP2021016799A (ja) 患者移送用自動膨張式エアマットレス
US6132356A (en) Portable system for vapor, aerosol or airborne hazard suppression of hazardous environmental spills
US20100048974A1 (en) Method and device for safe handling and removal of bodily remains
DE19636154B4 (de) Transportliege mit Kontaminationsschutz
US6966900B1 (en) Decontamination tub
JP2005027841A (ja) 感染症患者搬送バッグ
KR102420034B1 (ko) 외부에서 심폐소생술이 가능한 이동형 음압백
CN213722405U (zh) 特殊感染手术器械转运装置
KR102531706B1 (ko) 심폐소생이 가능한 음압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