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741B1 -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741B1
KR102159741B1 KR1020190072876A KR20190072876A KR102159741B1 KR 102159741 B1 KR102159741 B1 KR 102159741B1 KR 1020190072876 A KR1020190072876 A KR 1020190072876A KR 20190072876 A KR20190072876 A KR 20190072876A KR 102159741 B1 KR102159741 B1 KR 102159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ll prevention
ring
prevention band
band
double f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탑세이프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탑세이프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탑세이프티
Priority to KR1020190072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7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4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incorporating energy 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7Attachments for lifelines and lany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는 안전대에 연결된 안전로프 상에 연결되는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는, 제 1 고리 및 제 2 고리가 상기 안전로프 상에 연결되어 추락사고 시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중 추락방지밴드 및 상기 이중 추락방지밴드에 복수의 날개부가 각각 고정되고 작업자의 추락사고 시 상기 날개부에서 연장되어 봉합되어 있는 봉합부가 점진적으로 뜯기면서 분리되어 상기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 추락방지밴드는 양 끝단이 제 1 봉제부에 의하여 결합되어 폐루프 형상을 가지고, 제 1 위치에서 상기 이중 추락방지밴드의 마주보는 부분이 제 2 봉제부에 의하여 결합되고 제 2 위치에서 상기 이중 추락방지밴드의 마주보는 부분이 제 3 봉제부에 의하여 결합되어 상기 제 1 고리, 상기 제 2 고리, 제 3 고리 및 제 4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Shock absorption device comprising dual fall prevention band}
본 발명은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 추락방지밴드 중 하나의 봉제부가 뜯어지더라도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는 다양한 산업재해가 발생되고 있으며, 그 중 가장 빈번하게 발생되는 재해는 작업자의 추락사고로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안전수칙과 안전용품들이 개발 공급되고 있다. 특히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밴드로 구성된 안전대를 착용하고, 상기 안전대와 고정지지대에 고정된 안전로프를 상호 연결하되, 안전로프에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고 추락 시 작업자가 받을 수 있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충격흡수장치가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충격흡수장치는 작업자의 추락 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밴드와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밴드의 이중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충격흡수장치에는 충격흡수밴드와 추락방지밴드가 봉제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봉제 부분의 품질에 문제가 있거나 오랜 기간 사용으로 노후화되어 봉제부분이 약해지는 경우 봉제 부분이 뜯어짐으로써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충격흡수장치(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충격흡수장치(100)는 추락방지밴드(110)와 충격방지밴드(120)로 구분되어 지며, 추락방지밴드(110)의 양 끝단이 접혀져 봉제부(130, 140)에 의하여 결합 고정되고, 이 부분에 충격방지밴드(120)도 함께 결합되게 된다. 그러나 만약 봉제부(130, 140) 중 하나라도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작업자가 추락하면서 봉제부(130, 140)가 뜯어지게 되어 작업자가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즉, 종래의 충격흡수장치(100)와 같은 구조에서는 봉제부들(130, 140) 중 하나의 봉제부만 불량이 발생하여도 작업자의 추락을 막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충격흡수장치에 대하여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89358, 미국등록특허 제3,444,95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1-0044130 등과 같이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모두 작업자의 추락 시 받을 수 있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에 불과하며 봉제되는 구조는 모두 도 1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하나의 봉제부라도 불량이 발생하면 작업자가 추락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폐루프를 형성하는 이중 추락방지밴드와 충격흡수밴드와 결합시킴으로써 고리를 형성하는 봉제부가 불량이여서 뜯어지는 경우에도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는 안전대에 연결된 안전로프 상에 연결되는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는, 제 1 고리 및 제 2 고리가 상기 안전로프 상에 연결되어 추락사고 시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중 추락방지밴드 및 상기 이중 추락방지밴드에 복수의 날개부가 각각 고정되고 작업자의 추락사고 시 상기 날개부에서 연장되어 봉합되어 있는 봉합부가 점진적으로 뜯기면서 분리되어 상기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 추락방지밴드는 양 끝단이 제 1 봉제부에 의하여 결합되어 폐루프 형상을 가지고, 제 1 위치에서 상기 이중 추락방지밴드의 마주보는 부분이 제 2 봉제부에 의하여 결합되고 제 2 위치에서 상기 이중 추락방지밴드의 마주보는 부분이 제 3 봉제부에 의하여 결합되어 상기 제 1 고리, 상기 제 2 고리, 제 3 고리 및 제 4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중 추락방지밴드는, 상기 제 1 봉제부의 면적이 상기 제 2 봉제부 및 상기 제 3 봉제부 각각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이중 추락방지밴드는, 상기 제 1 고리와 상기 제 2 고리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고리와 상기 제 4 고리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중 추락방지밴드는, 상기 제 1 봉제부가 상기 제 3 고리 또는 상기 제 4 고리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봉제부는, 상기 이중 추락방지밴드의 일 끝단의 상부면과 상기 이중 추락방지밴드의 타 끝단의 하부면이 접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중 추락방지밴드는, 상기 제 3 고리의 길이와 상기 제 4 고리의 길이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이중 추락방지밴드는, 상기 제 1 봉제부가 상기 제 4 고리 상에 형성되고, 상기 4 고리의 길이가 상기 제 3 고리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밴드는, 상기 제 3 고리 또는 상기 제 4 고리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는 폐루프를 형성하는 이중 추락방지밴드와 충격흡수밴드를 결합시킴으로써 고리를 형성하는 봉제부 또는 폐루프를 형성하는 봉제부가 불량이여서 뜯어지는 경우에도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경우 제 1 봉제부, 제 2 봉제부 및 제 3 봉제부 중 어느 하나가 뜯어지더라도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 구조를 가짐으로써, 기존의 충격흡수장치에 비하여 봉제 불량으로 인한 작업자 추락 가능성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는 이중 추락방지밴드가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봉제하는 제 1 봉제부를 제 2 봉제부 또는 제 3 봉제부보다 넓은 면적에서 연결사(실)를 이용하여 봉제함으로써 충격흡수장치의 부피 증가를 최소화하면서도 작업자의 추락 시 봉제부가 뜯어질 가능성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고, 충격흡수밴드와 추락방지밴드를 분리함으로써 충격흡수밴드에서 봉합부가 뜯기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하고 추락방지밴드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기능만을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추락 시 보다 강한 힘으로 작업자를 잡아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충격흡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이다.
도 3은 도 2의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를 작업자가 착용한 상태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가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200)이고, 도 3은 도 2의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200)를 작업자가 착용한 상태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이하 '충격흡수장치'라 함)(200)는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는 안전대(310)에 연결된 안전로프(350) 또는 안전대(310)와 고정지지대(미도시) 사이에 연결된 안전로프(350) 상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다양한 로프 등에 결합될 수도 있다.
충격흡수장치(200)는 이중 추락방지밴드(210) 및 충격흡수밴드(2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중 추락방지밴드(210)는 제 1 고리(L1) 및 제 2 고리(L2)가 안전로프(350) 상에 연결되어 추락사고 시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중 추락방지밴드(210)는 양 끝단이 제 1 봉제부(230)에 의하여 결합되어 폐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이중 추락방지밴드(210)는 일자형 밴드의 양 끝단이 연결사(실)를 이용하여 봉제되어 폐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이중 추락방지밴드(210)가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봉제되는 부분을 제 1 봉제부(230)라고 한다. 제 1 봉제부(23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봉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봉제부(230)는 이중 추락방지밴드(210)의 일 끝단의 상부면과 이중 추락방지밴드(210)의 타 끝단의 하부면이 접하면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중 추락방지밴드(210)의 일 끝단의 상부면과 이중 추락방지밴드(210)의 타 끝단의 상부면이 접하면서 결합되거나 이중 추락방지밴드(210)의 일 끝단의 하부면과 이중 추락방지밴드(210)의 타 끝단의 하부면이 접하면서 결합될 수도 있다.
이중 추락방지밴드(210)는 제 1 위치(P1)에서 이중 추락방지밴드(210)의 마주보는 부분이 제 2 봉제부(240)에 의하여 결합되고, 제 2 위치(P2)에서 이중 추락방지밴드(210)의 마주보는 부분이 제 3 봉제부(250)에 의하여 결합되어 제 1 고리(L1), 제 2 고리(L2), 제 3 고리(L3) 및 제 4 고리(L4)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봉제부(230)와 마찬가지로 제 2 봉제부(240) 및 제 3 봉제부(250)도 연결사(실)를 이용하여 봉제될 수 있고,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봉제될 수 있다. 제 1 고리(L1)와 제 2 고리(L2)는 안전로프(350) 상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고리(L1) 및 제 2 고리(L2)가 마주보는 방향과 다른 방향에서 제 3 고리(L3) 및 제 4 고리(L4)가 마주보는 위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제 1 봉제부(230)가 제 4 고리(L4) 상에 형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봉제부(230)는 제 1 고리(L1), 제 2 고리(L2), 제 3 고리(L3) 및 제 4 고리(L4) 중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봉제부(230)의 면적은 제 2 봉제부(240) 및 제 3 봉제부(250) 각각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3 고리(L3)의 길이와 제 4 고리(L4)의 길이가 동일할 수도 있고, 제 3 고리(L3) 및 제 4 고리(L4) 중 제 1 봉제부(230)가 형성된 고리의 길이가 다른 고리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추락사고 시 작업자의 추락가능성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는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충격흡수밴드(220)는 이중 추락방지밴드(210)에 복수의 날개부(221, 222)가 각각 고정되고 작업자의 추락사고 시 날개부(221, 222)에서 연장되어 봉합되어 있는 봉합부(223)가 점진적으로 뜯기면서 분리되어 상기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격흡수밴드(220)는 제 3 고리(L3) 또는 제 4 고리(L4)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충격흡수밴드(220)는 기존의 충격흡수장치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의 충격흡수밴드이며, 본 발명의 충격흡수밴드(220)는 다양한 방식의 기존의 충격흡수밴드가 사용되거나 복수의 충격흡수밴드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충격흡수장치(20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안전로프(350) 상에 결합될 수 있으며, 실제로 사용됨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중 추락방지밴드(210)의 제 3 고리(L3) 및 제 4 고리(L4)와 충격흡수밴드(220)를 접어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안전로프(350) 상에 결합되어 있다가 추락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추락방지밴드(210)가 펴지고 충격흡수밴드(220)의 봉합부(223)가 뜯어지면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하 추락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200)가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추락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충격흡수장치(200)는 도 3의 상태에서 도 4의 상태로 변하면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추락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충격흡수밴드(220)의 봉합부(223)가 점진적으로 뜯기면서 분리되어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이중 추락방지밴드(210) 중 제 3 고리(L3) 및 제 4 고리(L4)가 펼쳐지면서 작업자를 지지하여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과 같은 형상의 종래의 충격흡수장치(100)를 사용하는 경우, 봉제부들(130, 140) 중 하나의 봉제부라도 불량이 발생하여 뜯어지는 경우 작업자는 추락할 수 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경우 제 1 봉제부(230), 제 2 봉제부(240) 및 제 3 봉제부(250) 중 하나의 봉제부에서 불량이 발생하여 뜯어지더라도 이중 추락방지밴드(210)는 폐루프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작업자가 추락하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봉제부(230)의 면적을 제 2 봉제부(240) 및 제 3 봉제부(250) 각각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는 데, 이 경우 제 1 봉제부(230)가 제 2 봉제부(240) 및 제 3 봉제부(250)보다 강한 힘으로 이중 추락방지밴드(210)를 결합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추락을 보다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락사고 시 제 2 봉제부(240)에서 불량이 발생하여 제 2 봉제부(240)가 뜯어지더라도 제 1 봉제부(230)는 제 2 봉제부(240) 보다 넓은 면적에서 봉제되어 있으므로 보다 강한 힘으로 이중 추락방지밴드(210)가 분리되는 경우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3 고리(L3)의 길이 및 제 4 고리(L4)의 길이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추락사고 발생 시 이중 추락방지밴드(210)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킬 수도 있고, 제 3 고리(L3) 및 제 4 고리(L4) 중 제 1 봉제부(230)가 형성된 고리의 길이를 다른 고리의 길이보다 짧게 함으로써 추락사고 발생 시 제 2 봉제부(240) 및 제 3 봉제부(250)보다 제 1 봉제부(230)에 더 많은 힘이 가해지도록 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봉제부(230)가 제 4 고리(L4) 상에 형성되고 제 4 고리(L4)의 길이를 제 3 고리(L3)의 길이보다 짧게 함으로써, 추락사고 발생 시 이중 추락방지밴드(210)에 가해지는 힘을 제 2 봉제부(240) 및 제 3 봉제부(250)보다 제 1 봉제부(230)에 보다 많이 가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200)는 이중 추락방지밴드(210)를 폐루프 형상을 가지도록 함과 동시에 제 1 고리(L1) 내지 제 4 고리(L4)를 형성하기 위하여 3가지 위치에서 봉제부를 형성하는 이중 구조를 가짐으로써, 어느 하나의 봉제부가 뜯어져도 작업자가 추락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추락방지밴드에 비하여 작업자의 추락 가능성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는 안전대에 연결된 안전로프 상에 연결되는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제 1 고리 및 제 2 고리가 상기 안전로프 상에 연결되어 추락사고 시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중 추락방지밴드; 및
    상기 이중 추락방지밴드에 복수의 날개부가 각각 고정되고 작업자의 추락사고 시 상기 날개부에서 연장되어 봉합되어 있는 봉합부가 점진적으로 뜯기면서 분리되어 상기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밴드를 구비하고,
    상기 이중 추락방지밴드는,
    제 1 봉제부에 의하여 상기 이중 추락방지밴드의 양 끝단이 결합되어 폐루프 형상을 가지고, 제 1 위치에서 상기 이중 추락방지밴드의 마주보는 부분이 제 2 봉제부에 의하여 결합되고 제 2 위치에서 상기 이중 추락방지밴드의 마주보는 부분이 제 3 봉제부에 의하여 결합되어 상기 제 1 고리, 상기 제 2 고리, 제 3 고리 및 제 4 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추락방지밴드는,
    상기 제 1 봉제부의 면적이 상기 제 2 봉제부 및 상기 제 3 봉제부 각각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추락방지밴드는,
    상기 제 1 고리와 상기 제 2 고리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고리와 상기 제 4 고리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추락방지밴드는,
    상기 제 1 봉제부가 상기 제 3 고리 또는 상기 제 4 고리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봉제부는,
    상기 이중 추락방지밴드의 일 끝단의 상부면과 상기 이중 추락방지밴드의 타 끝단의 하부면이 접하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추락방지밴드는,
    상기 제 3 고리의 길이와 상기 제 4 고리의 길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추락방지밴드는,
    상기 제 1 봉제부가 상기 제 4 고리 상에 형성되고, 상기 4 고리의 길이가 상기 제 3 고리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밴드는,
    상기 제 3 고리 또는 상기 제 4 고리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
KR1020190072876A 2019-06-19 2019-06-19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 KR102159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876A KR102159741B1 (ko) 2019-06-19 2019-06-19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876A KR102159741B1 (ko) 2019-06-19 2019-06-19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741B1 true KR102159741B1 (ko) 2020-09-24

Family

ID=72706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876A KR102159741B1 (ko) 2019-06-19 2019-06-19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7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826Y1 (ko) * 2006-03-14 2006-06-14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
US20120067666A1 (en) * 2010-09-21 2012-03-22 Brad Smith Shock absorbing lanyar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826Y1 (ko) * 2006-03-14 2006-06-14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
US20120067666A1 (en) * 2010-09-21 2012-03-22 Brad Smith Shock absorbing lanyard
US8701826B2 (en) * 2010-09-21 2014-04-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hock absorbing lany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302091T2 (de) Airbagmodul mit teilweiser äusserer Haube oder Bewegungsbegrenzungseinrichtung
US11511141B2 (en) Shock absorption device including dual fall prevention band
KR102159741B1 (ko)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
DE10236859A1 (de) Gassack für ein Airbagmodul
CN104955349A (zh) 用于护目镜和面罩的支撑物
US20060244248A1 (en) Airbag cushion folding method
US20160046252A1 (en) Airbag apparatus
KR20170089358A (ko) 안전밴드의 쇼크업소버
US11702027B2 (en) Tear inducing apparatus for PAB do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4715635A (en) Flexible container for transporting and storing bulk goods
DE9102740U1 (de) Airbag
US2356493A (en) Parachute
DE102015111873B4 (de) Gassack mit Anbringung für einen Gasgenerator
GB2572019A (en) Coiled energy absorber device
KR200418826Y1 (ko)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
KR101899480B1 (ko) 고소 작업용 충격흡수장치
KR101882742B1 (ko) 안전대 죔줄
KR102438921B1 (ko)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
KR200438945Y1 (ko) 산업안전그네용 일체형 충격흡수죔줄
JP2011126462A (ja) エアバッグ装置
TWM610445U (zh) 安全帶扣環
KR101534394B1 (ko) 충격흡수용 밴드
WO2016064336A1 (en) Airbag device
KR200350058Y1 (ko)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
KR20150003686U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420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1224

Effective date: 20200831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