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192B1 -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192B1
KR102159192B1 KR1020180150612A KR20180150612A KR102159192B1 KR 102159192 B1 KR102159192 B1 KR 102159192B1 KR 1020180150612 A KR1020180150612 A KR 1020180150612A KR 20180150612 A KR20180150612 A KR 20180150612A KR 102159192 B1 KR102159192 B1 KR 102159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tructure
assembled steel
moving
push arm
hydraulic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4463A (ko
Inventor
정은영
김진수
이승종
김영호
오현탁
함석민
김규운
장정하
오양교
조철형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0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192B1/ko
Publication of KR20200064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63Jack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up buil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46Combinations of several jacks with means for interrelating lifting or lowering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Position control; Position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8Adjusting tools; Templates
    • E04G21/1841Means for positioning building parts o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a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리프팅 하는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에 있어서, 이동수단(110)이 구비된 하부대차(100); 및 상기 하부대차(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이 거치되는 안착부(210)가 형성된 상부대차(20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대차(200)에는 상기 안착부(210)에 안착된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부(30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중량 구조물의 리프팅에 있어 리프팅 상태에서도 미세 위치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Hydraulic Lifting Machine for Steel Frame}
본 발명은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유압 리프팅 장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2mm 이하의 미세 위치 조절이 가능한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 랙 구조물 등의 고중량 실내 구조물의 시공에 있어서 공기의 단축 및 현장 시공 난이도 저감을 위해 선조립 구조물을 지지기둥에 설치하여 구조물을 완성시키는 방안이 이용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선조립 고중량 철골 구조물을 지지기둥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철골 구조물을 리프트 업 할 것이 요구되는데, 종래에는 실내에서 크레인을 조립하여 철골 구조물을 리프트 업하고, 실내 시공이 종료되면 크레인을 해체하여 실내 공간에서 배출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다만, 이러한 실내 조립 크레인은 장비 비용이 매우 고가이고 장비의 발주하여 반입시키는 데 장기간이 소요되므로 공사비용이 증대되고 공사일정을 관리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실내 조립 크레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운반장치(SPMT)를 이용해 고중량 선조립 철골 구조물을 연결부 하부까지 이동시키고 리프팅하여 연결하는 공법을 고려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10mm 이상의 오차가 발생되어 연결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고 2mm 이내의 정밀도를 요구하는 접합 작업 수행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고중량 리프팅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중량 구조물의 리프팅에 있어 미세 위치 조절이 가능한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접합 시공에 있어 시공의 편의성을 높이고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를 감소시키며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리프팅 하는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에 있어서, 이동수단(110)이 구비된 하부대차(100); 및 상기 하부대차(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이 거치되는 안착부(210)가 형성된 상부대차(20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대차(200)에는 상기 안착부(210)에 안착된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부(30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가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위치 조절부(300)는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위치 조절부(310); 및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위치 조절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위치 조절부(310)는 상기 안착부(210)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위치 조절부(310)는,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1 푸쉬암(311); 및 상기 제1 푸쉬암(311)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유압실린더(3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210)는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하면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안착부(210)의 심부에는 상기 제1 위치 조절부(310)가 장착되는 장착홀(2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푸쉬암(311)의 상면에는 볼베어링(313)이 노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위치 조절부(320)는,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2 푸쉬암(321); 및 상기 제2 푸쉬암(321)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유압실린더(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푸쉬암(321)은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측면 형상과 대응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위치 조절부(320)는,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이 상기 제1 위치 조절부(310)에 의해 리프팅된 상태에서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측면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위치 조절부(310)는 복수이며, 복수의 상기 제1 푸쉬암(311)이 동일한 높이로 이동되는 것을 제어하는 동조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를 이용하여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상단에는 상부고정부(10)와 연결되는 연결부(2)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210)에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하부를 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대차(100)를 이동시켜 상기 상부고정부(10) 하부에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위치시키는 제1 단계(S100); 상기 제2 위치 조절부(320)의 상기 제2 푸쉬암(321)으로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측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위치 조절부(310)를 이용하여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상향 이동시키는 제2 단계(S200); 상기 연결부(2)와 상기 상부고정부(10)가 근접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위치 조절부(320)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2)의 위치가 상기 상부고정부(10)의 위치에 일치되도록 하는 제3 단계(S300); 상기 제1 위치 조절부(310)를 이용하여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상향 이동시켜 상기 연결부(2)와 상기 상부고정부(10)를 접촉시키는 제4 단계(S400); 및 체결부재(50)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2)와 상기 상부고정부(10)를 결합시키는 제5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중량 구조물의 리프팅에 있어 리프팅 상태에서도 미세 위치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접합 시공의 편의성을 높이고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를 감소시키며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가 선조립 철골 구조물을 적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를 이용하여 선조립 철골 구조물을 상부 연결부에 연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조부에 의해 높이 보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에 따른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선조립 철골 구조물(1)과 같은 중량 구조물을 실내에서 리프팅 시키기 위한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은 실내에서 리프팅 되는 모든 중량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는 이동수단(110)이 구비된 하부대차(100) 및 하부대차(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이 거치되는 안착부(210)가 형성된 상부대차(200)를 포함한다(도 1).
하부대차(100)와 상부대차(200)는 별도의 분리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단위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부대차(200)에는 안착부(210)에 안착된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부(300)가 형성될 수 있다(도 1).
위치 조절부(300)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위치 조절부(310) 및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위치 조절부(320)를 포함한다(도 3, 도 4).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은 고중량체이므로 위치 조절부(300)가 누락된 리프팅 장비의 경우 리프팅 이후에 오차가 발생되는 경우 오차를 보정하여 재 리프팅 해야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재 리프팅을 하는 경우에도 다시 오차가 발생될 수 있어 시공상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2mm 이내의 미세한 위치까지 조절이 가능한 위치 조절부(300)가 포함된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를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위치 조절부(310)는 안착부(210)의 하부에 형성되되, 제1 위치 조절부(310)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1 푸쉬암(311) 및 제1 푸쉬암(311)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유압실린더(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안착부(210)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하면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안착부(210)의 심부에는 제1 위치 조절부(310)가 장착되는 장착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도 8).
또한 제1 푸쉬암(311)의 선단이 안착부(210)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유압실린더(312)에 의해 제1 푸쉬암(311)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1 푸쉬암(311)에 의해 지지되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1) 역시 상하방향으로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제1 푸쉬암(311)에 의해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이 상부 방향으로 리프팅된 상태에서 후술되는 제2 위치 조절부(320)에 의해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이 좌우방향으로 리프팅될 수 있도록, 제1 푸쉬암(311)의 상면에는 볼베어링(313)이 노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도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위치 조절부(320)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2 푸쉬암(321) 및 제2 푸쉬암(321)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유압실린더(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푸쉬암(321)은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측면 형상과 대응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측면 지지의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제2 위치 조절부(320)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이 제1 위치 조절부(310)에 의해 리프팅된 상태에서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측면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에는 복수의 제1 위치 조절부(310)가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제1 위치 조절부(310)의 제1 푸쉬암(311)이 동일한 높이로 이동되는 것을 제어하는 동조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위치 조절부(310)를 이용하여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리프팅 하는 경우 각 제1 푸쉬암(311)의 이동 높이가 같아야 하므로 각 제1 푸쉬암(311)의 이동높이를 보정할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는 제1 푸쉬암(311)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센서(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조부(400)는 복수의 제1 푸쉬암(311)이 지지부 이동높이 정보(b1)까지 이동된 이후 높이센서(410)를 통해 센싱된 높이까지 각 제1 위치 조절부(310)의 제1 푸쉬암(311)의 선단 높이를 보정할 수 있다.
다만, 각 제1 푸쉬암(311)의 보정 전에 각 제1 푸쉬암(311)의 높이 차이가 과도하게 발생되는 경우 이를 보정하기 위해 제1 유압실린더(312)에 과부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1 푸쉬암(311)에 대한 보정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이하와 같은 해결책을 제시한다.
즉, 제1 푸쉬암(311)을 자동 동조화하기 위해 지지부 이동높이 정보(b1)는 최종 도달 높이 정보(b11), 단위 시간(T1)당 도달 높이 정보(b12), 단위 시간(T1) 당 멈춤 시간 정보(b13) 및 단위 시간(T1) 당 이동 시간 정보(b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 푸쉬암(311)의 높이 보정 매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다.
최종 도달 높이 정보(b11)는 제1 푸쉬암(311)이 최종적으로 도달해야 하는 높이에 관한 정보이다.
이와 비교하여 단위 시간(T1) 당 도달 높이 정보(b12)는 제1 푸쉬암(311)이 최종적으로 도달해야 하는 높이를 이동함에 있어 단위 시간(T1) 당 이동해야 하는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단위 시간(T1) 당 멈춤 시간 정보(b13)는 단위 시간(T1) 내에 제1 푸쉬암(311)에 대한 높이 보정이 이루어지는 시간이며, 단위 시간(T1) 당 이동 시간 정보(b14)는 제1 푸쉬암(311)에 대한 보정이 이루어진 후 다시 제1 푸쉬암(311)이 단위 시간(T1) 당 도달 높이 정보(b12)까지 이동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최종 도달 높이 정보(b11)가 1(m) 이고, 단위 시간(T1)이 1/10(s)이며, 단위 시간(T1) 당 도달 높이 정보(b12)가 1/10(m), 단위 시간(T1) 당 멈춤 시간 정보(b13)가 70%, 단위 시간(T1) 당 이동 시간 정보(b14)가 30% 인 경우, 동조부(400)는 제1 유압실린더(312)를 제어하여 제1 푸쉬암(311)이 1/10(s) 당 1/10(m)를 이동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변위가 1(m)가 되도록 한다.
이 경우 1/10(s) 당 1/10(m)를 이동하되, 1/10(s)의 70% 시간에는 복수의 제1 푸쉬암(311)의 높이를 보정하는 시간으로 할애하고, 30%의 시간에는 복수의 지지부(100)가 다시 1/10(m)를 이동하는 시간으로 설정된다.
각 수치는 중량체의 무게 및 시공 환경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복수의 제1 푸쉬암(311)에 대한 보정의 폭이 크게 발생하지 않아 각 제1 푸쉬암(311)에 재하되는 하중이 상이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선조립 철골 구조물을 리프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를 이용하여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상단에는 상부고정부(10)와 연결되는 연결부(2)가 형성된 것을 전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은 안착부(210)에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하부를 거치시킨 상태에서 하부대차(100)를 이동시켜 상부고정부(10) 하부에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위치시키는 제1 단계(S100), 제2 위치 조절부(320)의 제2 푸쉬암(321)으로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측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제1 위치 조절부(310)를 이용하여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상향 이동시키는 제2 단계(S200), 연결부(2)와 상부고정부(10)가 근접된 상태에서, 제2 위치 조절부(320)를 이용하여 연결부(2)의 위치가 상부고정부(10)의 위치에 일치되도록 하는 제3 단계(S300), 제1 위치 조절부(310)를 이용하여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상향 이동시켜 연결부(2)와 상부고정부(10)를 접촉시키는 제4 단계(S400) 및 체결부재(50)를 이용하여 연결부(2)와 상부고정부(10)를 결합시키는 제5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도 2 내지 도 7).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상부고정부
100 : 하부대차
200 : 상부대차
300 : 위치 조절부
400 : 동조부

Claims (10)

  1.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리프팅 하는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에 있어서,
    소정의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의 이동을 위한 이동수단(110)이 구비된 하부대차(100); 및
    상기 하부대차(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이 거치되는 안착부(210)가 형성된 상부대차(20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대차(200)에는 상기 안착부(210)에 안착된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부(300)가 형성되며,
    상기 위치 조절부(300)는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위치 조절부(310); 및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위치 조절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 조절부(310)는 상기 안착부(210)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위치 조절부(310)는,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1 푸쉬암(311); 및
    상기 제1 푸쉬암(311)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유압실린더(312);를 포함하되,
    상기 안착부(210)는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하면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안착부(210)의 심부에는 상기 제1 위치 조절부(310)가 장착되는 장착홀(211)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푸쉬암(311)의 상면에는 볼베어링(313)이 노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유압실린더(312)가 하향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볼베어링(313)이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에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조절부(320)는,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2 푸쉬암(321); 및
    상기 제2 푸쉬암(321)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유압실린더(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푸쉬암(321)은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측면 형상과 대응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조절부(320)는,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이 상기 제1 위치 조절부(310)에 의해 리프팅된 상태에서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측면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조절부(310)는 복수이며,
    복수의 상기 제1 푸쉬암(311)이 동일한 높이로 이동되는 것을 제어하는 동조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10. 제9항의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를 이용하여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상단에는 상부고정부(10)와 연결되는 연결부(2)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210)에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하부를 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대차(100)를 이동시켜 상기 상부고정부(10) 하부에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위치시키는 제1 단계(S100);
    상기 제2 위치 조절부(320)의 상기 제2 푸쉬암(321)으로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측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위치 조절부(310)를 이용하여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상향 이동시키는 제2 단계(S200);
    상기 연결부(2)와 상기 상부고정부(10)가 근접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위치 조절부(320)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2)의 위치가 상기 상부고정부(10)의 위치에 일치되도록 하는 제3 단계(S300);
    상기 제1 위치 조절부(310)를 이용하여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상향 이동시켜 상기 연결부(2)와 상기 상부고정부(10)를 접촉시키는 제4 단계(S400); 및
    체결부재(50)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2)와 상기 상부고정부(10)를 결합시키는 제5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KR1020180150612A 2018-11-29 2018-11-29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KR102159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612A KR102159192B1 (ko) 2018-11-29 2018-11-29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612A KR102159192B1 (ko) 2018-11-29 2018-11-29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463A KR20200064463A (ko) 2020-06-08
KR102159192B1 true KR102159192B1 (ko) 2020-09-23

Family

ID=71090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612A KR102159192B1 (ko) 2018-11-29 2018-11-29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1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878B1 (ko) * 2022-12-07 2023-10-06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미세위치 조정장치, 이를 포함하는 물품 및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미세위치 조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65715B (zh) * 2023-07-17 2024-01-23 山东双源钢结构工程有限公司 一种钢结构工程建设用焊接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6414A (ja) * 2006-08-31 2008-03-13 Maitec:Kk 位置調整台装置
KR101630267B1 (ko) * 2015-10-14 2016-06-14 삼종건설 주식회사 유압 동조 장치를 이용한 중량물 인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2254A (ja) * 1997-08-18 1999-03-05 Kumagai Gumi Co Ltd 梁の位置決め装置
KR20110033639A (ko) * 2009-09-25 2011-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블록 지지용 타워지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6414A (ja) * 2006-08-31 2008-03-13 Maitec:Kk 位置調整台装置
KR101630267B1 (ko) * 2015-10-14 2016-06-14 삼종건설 주식회사 유압 동조 장치를 이용한 중량물 인상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878B1 (ko) * 2022-12-07 2023-10-06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미세위치 조정장치, 이를 포함하는 물품 및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미세위치 조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463A (ko) 202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5208B1 (ko)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KR102159192B1 (ko)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KR102268885B1 (ko) 미세 위치 조절 유압 리프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US20150126801A1 (en) Systems and methods of adjusting a rotating gantry system
CN104625452B (zh) 一种挖泥船方形泥门的安装工艺
JP2016016323A (ja) 手術台の高さ調整のためのデバイス
CN110576271B (zh) 烧结机密封滑道底板安装方法
CN104259720A (zh) 用于拉臂车的支腿架的拼焊工装
JP6271902B2 (ja) 支持治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航空機の組立方法
US10451398B2 (en) Coordinate measuring machine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large workpiece masses
CN107354874A (zh) T梁梁底钢板调坡装置
CN106320186B (zh) 一种拱座预埋锚杆定位系统及施工方法
KR102077167B1 (ko) 파이프 랙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선조립 철골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하여 파이프 랙 모듈러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US10358330B2 (en) Scissor arm assembly for a scissor lifting mechanism of an aerial work platform
CN209698514U (zh) 一种定位柱式治具定位底盘
CN211260755U (zh) 炉壁支承结构以及具备该炉壁支承结构的锅炉
JP2000355972A (ja) モジュール構造物およびその建設方法
CN219704826U (zh) 盾构机用真空吸盘的加工辅助设备
KR100588721B1 (ko) 팔레타이징 로봇의 자세링크 세팅방법
JP6207844B2 (ja) 支承用の仮固定具
CA3065646C (en) Lift gate and mounting correction system
CN110080110B (zh) 一种超长杆件多点空间定位方法
US10710489B2 (en) Lift gate and mounting correction system
KR20140056236A (ko) 보링 가공 장치
CN117824985A (zh) 天平自动校准系统加载吊杆的定向导正组件及应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