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849B1 - 엘피지 또는 엘엔지 일산화탄소 겸용 가스누설경보 장치 - Google Patents

엘피지 또는 엘엔지 일산화탄소 겸용 가스누설경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849B1
KR102158849B1 KR1020190036775A KR20190036775A KR102158849B1 KR 102158849 B1 KR102158849 B1 KR 102158849B1 KR 1020190036775 A KR1020190036775 A KR 1020190036775A KR 20190036775 A KR20190036775 A KR 20190036775A KR 102158849 B1 KR102158849 B1 KR 102158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or
carbon monoxide
gas
zone
combustibl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하성
Original Assignee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36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6Combustible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8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부탄, 프로판, 메탄을 포함한 가연성 가스를 감지하는 가연성 가스 감지기; 보일러 연소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는 일산화탄소 감지기; 및 상기 가연성 가스 감지기를 통해 가연성 가스가 감지되거나, 일산화탄소 감지기를 통해 일산화탄소가 감지되는 경우, 가스 누설 경보를 발생시키는 가스누설 경보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피지 또는 엘엔지 일산화탄소 겸용 가스누설경보 장치{Apparatus for alerting gas leakage}
본 발명은 LPG 또는 LNG+CO 겸용 가스누설경보 장치로서, LPG 또는 LNG의 가스 누설과 일산화탄소(CO)의 가스누설을 겸용하여 경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누설 경보장치는 실외 또는 실내에 설치되어있는 가스밸브에 별도의 차단부를 설치하고, 실내에 설치되어있는 제어부를 이용하여 차단부를 구동시켜 원격으로 밸브를 열거나 닫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가스가 누설될 경우에 가스누설경보기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자동으로 가스밸브를 닫도록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가정 또는 상업적인 장소에서 난방 또는 취사용으로 사용되는 가스는 폭발성이 매우 높은 위험한 물질이다. 특히 밀폐된 공간에 장시간 누출된 가스의 위험성은 사람의 생명과 직결된 문제인 만큼 그 사용상의 깊은 주의를 요하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단지 사용자가 가스를 사용하는 제품을 끄거나 가스를 공급하는 경로에 설치된 차단밸브를 잠그는 것을 잊지 않는 방법외에 특별한 방법이 없게 된다.
특히, LPC가스, LNG가스뿐만 아니라 보일러 연소에 의해 외부로 일산화탄소가 누출될 경우, 목숨을 잃을 수도 있는 위험한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10-2004-0102517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LPG 또는 LNG의 가스 누설과 일산화탄소의 가스누설을 겸용하여 경보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부탄, 프로판, 메탄을 포함한 가연성 가스를 감지하는 가연성 가스 감지기; 보일러 연소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는 일산화탄소 감지기; 및 상기 가연성 가스 감지기를 통해 가연성 가스가 감지되거나, 일산화탄소 감지기를 통해 일산화탄소가 감지되는 경우, 가스 누설 경보를 발생시키는 가스누설 경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연성 가스 감지기는, LPG의 성분인 부탄과 프로판을 감지하는 LPG 가스 감지기; 및 LNG의 성분인 메탄을 감지하는 LNG 가스 감지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연성 가스 감지기와 일산화탄소 감지기는 제1구역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누설 경보기는 제1구역과 다른 제2구역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누설 경보기는, 가연성 가스 감지기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제1단자와, 일산화탄소 감지기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제2단자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일산화탄소 감지기는 상기 제1구역의 천장으로부터 30cm 이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스누설경보 장치는, 제1구역의 벽체에 수직 방향으로 마련된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가연성 가스 감지기와 상기 일산화탄소 감지기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어 위치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스누설경보 장치는, 제1구역의 실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기; 및 상기 가연성 가스 감지기와 상기 일산화탄소 감지기를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시키는 상하 구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 구동기는, 상기 제1구역의 천장으로부터 30cm 이내에 일산화탄소 감지기가 설치되도록 제어하며, 온도 측정기를 통해 측정되는 제1구역의 실내 온도가 높을수록 상기 일산화탄소 감지기의 설치 위치를 더 높게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불완전연소가스용 경보기를 겸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하나의 경보기만 설치하여 간편하도록 하고 기존의 가연성가스용 경보기와 불완전연소가스용 경보기를 혼동하여 하나만 설치하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PG 또는 LNG+CO 겸용 가스누설경보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연성 가스 감지시에 가연성 가스 누출을 경보하는 알람을 발생시키는 예시 그림.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일산화탄소 감지시에 일산화탄소 발생을 경보하는 알람을 발생시키는 예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레일이 설치된 예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온도에 따라 일산화탄소 감지기의 설치 위치가 가변되는 예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PG 또는 LNG+CO 겸용 가스누설경보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연성 가스 감지시에 가연성 가스 누출을 경보하는 알람을 발생시키는 예시 그림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일산화탄소 감지시에 일산화탄소 발생을 경보하는 알람을 발생시키는 예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레일이 설치된 예시 그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온도에 따라 일산화탄소 감지기의 설치 위치가 가변되는 예시 그림이다.
본 발명은 LPG의 주성분인 부탄과 프로판, LNG의 주성분인 메탄 등 가연성가스용 경보기의 기능과 보일러 연소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즉, 불완전연소가스용 경보기를 겸용하여 1)사용자로부터 하나의 경보기만 설치하여 간편하도록 하고 2)기존의 가연성가스용 경보기와 불완전연소가스용 경보기를 혼동하여 하나만 설치하는 실수를 없애고자 한다.
추가로 LPG+일산화탄소 경보기의 경우 가스탐지부 외부단자를 별도를 두어서 LPG는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바닥으로부터 30cm이내에 설치하도록 하고, 일산화탄소는 공기보다 가볍기 때문에 천장으로부터 30cm이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LNG+일산화탄소 경보기는 이들 모두 공기보다 가벼우므로 가스탐지부의 외부단자를 별도로 둘 필요가 없지만 필요에 따라 이것 또한 가스탐지부 외부단자를 두어 경보기는 거실 등 실내에 설치하고 가스탐지부는 보일러실 근처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LPG 또는 LNG+CO 겸용 가스누설경보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탄, 프로판, 메탄을 포함한 가연성 가스를 감지하는 가연성 가스 감지기(120)와, 보일러 연소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는 일산화탄소 감지기(110)와, 가연성 가스 감지기를 통해 가연성 가스가 감지되거나, 일산화탄소 감지기(110)를 통해 일산화탄소가 감지되는 경우, 가스 누설 경보를 발생시키는 가스누설 경보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하기로 한다.
가연성 가스 감지기(120)는, 부탄, 프로판, 메탄을 포함한 가연성 가스를 감지하는 감지기이다. 가연성 가스 감지기(120)는, LPG의 주성분인 부탄과 프로판을 감지하는 LPG 가스 감지기와, LNG의 주성분인 메탄을 감지하는 LNG 가스 감지기로서 구현될 수 있다. 가연성 가스 감지기(120)는 보일러실과 같은 제1구역에 설치되도록 한다.
일산화탄소 감지기(110)는, 보일러 연소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CO)를 감지하는 감지기이다. 보일러 연소시에 일산화탄소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일산화탄소 감지기(110)는 보일러실과 같은 제1구역에 설치되도록 한다.
가연성 가스 감지기(120)는, 제1구역의 바닥으로부터 30cm 이내에 설치되도록 하며, 일산화탄소 감지기(110)는, 제1구역의 천장으로부터 30cm 이내에 설치되도록 한다. 이는, LPG는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바닥으로부터 30cm이내에 설치하도록 하고, 일산화탄소는 공기보다 가볍기 때문에 천장으로부터 30cm이내에 설치하는 것이다. 참고로, 가연성 가스 감지기(120)는, 제1구역의 바닥으로부터 30cm 이내에 설치되기도 하지만, 제1구역의 중간 높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가스누설 경보기(200)는, 가연성 가스 감지기를 통해 가연성 가스가 감지되거나, 일산화탄소 감지기(110)를 통해 일산화탄소가 감지되는 경우, 가스 누설 경보를 발생시킨다. 가스누설 경보기(200)는 제1구역과 다른 제2구역에 설치되도록 하는데, 예컨대, 거실 실내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누설 경보기(200)는, 가연성 가스 감지기(120)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제1단자와, 일산화탄소 감지기(110)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제2단자를 구비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감지신호는 이더넷(Ethernet),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직렬통신(serial communication) 및 병렬 통신(parallel communication)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을 통해 제1단자와 제2단자를 통해 가스누설 경보기(200)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감지신호는 적외선 통신(Infrared Radiation), 블루투스(Bluetooth), 홈 RF(Radio Frequency) 및 무선 랜(Wireless LAN)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가스누설 경보기(200)로 제공될 수 있다.
결국, 제1단자에 연결되어 보일러실과 같은 제1구역에 설치된 가연성 가스 감지기(120)를 통해 LPG나 LNG 등의 가연성 가스가 감지되는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구역인 거실에 설치된 가스누설 경보기(200)는 가연성 가스가 감지됨을 알람 경보하게 된다.
또한 제2단자에 연결되어 보일러실과 같은 제1구역에 설치된 일산화탄소 감지기(110)를 통해 일산화탄소가 감지되는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구역인 거실에 설치된 가스누설 경보기(200)는 일산화탄소가 감지됨을 알람 경보하게 된다.
참고로, 가스누설 경보기(200)는 별도의 저장체를 구비하여 가스 감지 이력을 저장체에 저장하여, 추후 가스 누출 이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스 누출 이력이 저장되는 저장체는,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한편, 가연성 가스 감지기(120)는, 제1구역의 바닥으로부터 30cm 이내에 설치되되도록 하며, 일산화탄소 감지기(110)는, 제1구역의 천장으로부터 30cm 이내에 설치되도록 하는데, 이러한 설치 위치는 제1구역의 상황에 따라서 가변적으로 가변시켜 위치시키도록 구현하는 수단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연성 가스 감지기(120)는, 제1구역의 바닥으로부터 25cm 지점에 설치하며, 일산화탄소 감지기(110)는, 제1구역의 천장으로부터 20cm 지점에 설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가스누설경보 장치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구역의 벽체에 수직 방향으로 마련된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다.
따라서 가연성 가스 감지기(120)와 일산화탄소 감지기(110)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연성 가스 감지기(120)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시켜 제1구역의 바닥으로부터 30cm 지점에 설치할 수 있으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시켜 제1구역의 바닥으로부터 25cm 지점에 설치할 수 있으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시켜 제1구역의 바닥으로부터 20cm 지점에 설치할 수 있으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시켜 제1구역의 바닥으로부터 15cm 지점에 설치할 수 있으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시켜 제1구역의 바닥으로부터 10cm 지점에 설치할 수 있으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시켜 제1구역의 바닥으로부터 5cm 지점에 설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산화탄소 감지기(110)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제1구역의 천장으로부터 30cm 지점에 설치할 수 있으며, 가이드레일을 따라 제1구역의 천장으로부터 25cm 지점에 설치할 수 있으며, 가이드레일을 따라 제1구역의 천장으로부터 20cm 지점에 설치할 수 있으며, 가이드레일을 따라 제1구역의 천장으로부터 15cm 지점에 설치할 수 있으며, 가이드레일을 따라 제1구역의 천장으로부터 10cm 지점에 설치할 수 있으며, 가이드레일을 따라 제1구역의 천장으로부터 5cm 지점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구역의 실내 상황(예컨대, 벽체에 붙은 장애물 여부)에 따라서 다양한 높이 위치에 가연성 가스 감지기(120)와 일산화탄소 감지기(110)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가연성 가스 감지기(120)와 상기 일산화탄소 감지기(110)를 상하로 이동시켜 가변시킬 수 있는 구동 수단을 별도로 구비한다. 사용자의 버튼 조작만으로도 가연성 가스 감지기(120)와 상기 일산화탄소 감지기(110)의 설치 위치가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가스누설경보 장치는, 가연성 가스 감지기(120)와 일산화탄소 감지기(110)를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시키는 상하 구동기를 구비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보일러실 등의 제1구역의 실내 온도에 따라서 가연성 가스 감지기(120)와 일산화탄소 감지기(110)를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 지점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온도가 높을수록 가벼운 일산화탄소는 더 높은 상층부에 모이게 되므로 이를 더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가스누설경보 장치는, 제1구역의 실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기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하 구동기는, 제1구역의 천장으로부터 30cm 이내에 일산화탄소 감지기(110)가 설치되도록 제어하며, 온도 측정기를 통해 측정되는 제1구역의 실내 온도가 높을수록 일산화탄소 감지기(110)의 설치 위치를 더 높게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가 높을수록 더 높은 위치에 일산화탄소 감지기(110)가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10:일산화탄소 감지기
120:가연성가스 감지기
200:가스누설 경보기

Claims (6)

  1. 부탄, 프로판, 메탄을 포함한 가연성 가스를 감지하는 가연성 가스 감지기;
    보일러 연소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는 일산화탄소 감지기; 및
    상기 가연성 가스 감지기를 통해 가연성 가스가 감지되거나, 일산화탄소 감지기를 통해 일산화탄소가 감지되는 경우, 가스 누설 경보를 발생시키는 가스누설 경보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연성 가스 감지기와 일산화탄소 감지기는 제1구역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누설 경보기는 제1구역과 다른 제2구역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누설 경보기는, 가연성 가스 감지기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제1단자와, 일산화탄소 감지기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제2단자를 구비하고,
    제1구역의 벽체에 수직 방향으로 마련된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가연성 가스 감지기와 상기 일산화탄소 감지기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어 위치하고,
    제1구역의 실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기; 및 상기 가연성 가스 감지기와 상기 일산화탄소 감지기를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시키는 상하 구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 구동기는, 상기 제1구역의 천장으로부터 30cm 이내에 일산화탄소 감지기가 설치되도록 제어하며, 온도 측정기를 통해 측정되는 제1구역의 실내 온도가 높을수록 상기 일산화탄소 감지기의 설치 위치를 더 높게 위치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LPG 또는 LNG+CO 겸용 가스누설경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가스 감지기는,
    LPG의 성분인 부탄과 프로판을 감지하는 LPG 가스 감지기; 및
    LNG의 성분인 메탄을 감지하는 LNG 가스 감지기;
    를 포함하는 LPG 또는 LNG+CO 겸용 가스누설경보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산화탄소 감지기는, 상기 제1구역의 천장으로부터 30cm 이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LPG 또는 LNG+CO 겸용 가스누설경보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90036775A 2019-03-29 2019-03-29 엘피지 또는 엘엔지 일산화탄소 겸용 가스누설경보 장치 KR102158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775A KR102158849B1 (ko) 2019-03-29 2019-03-29 엘피지 또는 엘엔지 일산화탄소 겸용 가스누설경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775A KR102158849B1 (ko) 2019-03-29 2019-03-29 엘피지 또는 엘엔지 일산화탄소 겸용 가스누설경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849B1 true KR102158849B1 (ko) 2020-09-22

Family

ID=72706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775A KR102158849B1 (ko) 2019-03-29 2019-03-29 엘피지 또는 엘엔지 일산화탄소 겸용 가스누설경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8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780U (ko) * 1998-11-11 2000-06-05 최진민 가스누출감지장치
KR20040102517A (ko) 2003-05-28 2004-12-08 이기원 가스누설 경보장치
KR101469071B1 (ko) * 2013-04-26 2014-12-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적외선 분광기를 이용한 독성 가스 검출 및 경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독성 가스 검출 및 경보 방법
KR20150139180A (ko) * 2014-06-03 2015-12-1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가스누설 경보기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780U (ko) * 1998-11-11 2000-06-05 최진민 가스누출감지장치
KR20040102517A (ko) 2003-05-28 2004-12-08 이기원 가스누설 경보장치
KR101469071B1 (ko) * 2013-04-26 2014-12-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적외선 분광기를 이용한 독성 가스 검출 및 경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독성 가스 검출 및 경보 방법
KR20150139180A (ko) * 2014-06-03 2015-12-1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가스누설 경보기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8874B2 (en) Laser indicator for remote measuring devices and methods therefor
JP4741008B2 (ja) 風向表示器を備えたガス警報システム
US9811994B1 (en) Carbon monoxide detection assembly
US10612790B2 (en) Alert sensing stove assembly
KR101904031B1 (ko)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화재감시 및 대피경로 제공 소화 시스템 및 방법
JP2013041604A (ja) 消火装置
US9299239B1 (en) Device and methods for monitoring environmental conditions
KR20170075333A (ko) 냉난방 공기조화기용 스마트 제어 장치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CN110880230A (zh) 一种智能可燃气体探测器及报警方法
KR102158849B1 (ko) 엘피지 또는 엘엔지 일산화탄소 겸용 가스누설경보 장치
US20080220384A1 (en) Air quality sensor/interruptor
KR20180095179A (ko) 주거용 주방 자동소화장치 및 제어방법
KR20190098811A (ko) 화재 조기감지와 화재 유형파악이 가능한 종합 화재감지시스템 및 화재감지방법
Singh et al. Detection of Liquefied petroleum gas using sensor through arduino uno microcontroller
JP6890054B2 (ja) 消火器誘導システム、火災報知器用アダプタおよび消火器用アダプタ
CN105276767A (zh) 空调控制方法、空调遥控器及空调系统
KR102204896B1 (ko)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
KR102311141B1 (ko) 지능형 가스 및 화염 감지시스템
CN210836518U (zh) 感温型火灾探测器的检测器
JP2006349609A (ja) センサノード位置情報取得装置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センサノード位置情報取得システム
JP2008202815A (ja) ガス保安装置
CN104240426A (zh) 用火提示设备
CN207179199U (zh) 一种燃气泄漏远程监控装置
US20060234175A1 (en) Air quality sensor/interruptor
JP2020085414A (ja) 漏洩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