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078B1 - 와이어웨이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웨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078B1
KR102158078B1 KR1020200002853A KR20200002853A KR102158078B1 KR 102158078 B1 KR102158078 B1 KR 102158078B1 KR 1020200002853 A KR1020200002853 A KR 1020200002853A KR 20200002853 A KR20200002853 A KR 20200002853A KR 102158078 B1 KR102158078 B1 KR 102158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ulley
coupled
vertical fram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홍
Priority to KR1020200002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6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directly on or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02G3/263Installation, e.g. suspension, of conduit channel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현수구조물을 지지하는 와이어의 장력이 균일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와이어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와이어웨이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와이어웨이 장치는 제1수직프레임, 제2수직프레임, 장력조절부, 풀리부 그리고 와이어를 포함한다. 제1수직프레임 및 제2수직프레임은 상단부는 천장에 결합되어 수직하게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장력조절부는 제1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제2수직프레임 방향으로 구비된다. 풀리부는 제2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수직방향의 축을 중심을 회전하는 풀리를 가진다. 와이어는 단일 개로 형성되며, 양단부는 장력조절부에 결합되고, 중앙부는 풀리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제1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당겨진 상태로 마련되어 현수구조물을 지지한다. 장력조절부는 와이어의 양단부를 동시에 당겨 와이어의 장력을 증가시킨다.

Description

와이어웨이 장치{WIREWAY APPARATUS}
본 발명은 와이어웨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수구조물을 지지하는 와이어의 장력이 균일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와이어의 장력을 증가시키고, 단일 와이어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는 제진기능을 갖는 와이어웨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스웨이(Raceway)는 전기배선을 위해 흔히 대형건물의 주차장이나 기계실 등의 노출 천장에 설치되는 일종의 배선용 덕트를 의미한다. 상기 레이스웨이는 바닥판이나 벽체 또는 천장 등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예를 들면, 실내 천장면에 행거를 박아 설치한 다음 상기 행거의 하단에 레이스웨이를 매다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행거가 상기 레이스웨이들의 하중을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레이스웨이의 설치구조에서는 지진과 같은 진동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이러한 진동을 흡수할 수 없기 때문에 행거가 천장면에서 분리되거나 심한 진동으로 인하여 레이스웨이가 행거에서 분리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776026호(2017. 09. 07.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현수구조물을 지지하는 와이어의 장력이 균일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와이어의 장력을 증가시키고, 단일 와이어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는 제진기능을 갖는 와이어웨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단부는 천장에 결합되어 수직하게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수직프레임 및 제2수직프레임;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상기 제2수직프레임 방향으로 구비되는 장력조절부;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수직방향의 축을 중심을 회전하는 풀리를 가지는 풀리부; 그리고 양단부는 상기 장력조절부에 결합되고, 중앙부는 상기 풀리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제1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당겨진 상태로 마련되어 현수구조물을 지지하는 단일의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를 동시에 당겨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웨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는 일단부는 상기 제1수직프레임에 결합되고, 내측에는 작동공간을 가지며 타단부에는 상기 제1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중앙관통공과, 상기 제1중앙관통공의 양측에 상기 제1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조절관통공을 가지는 제1본체와, 상기 작동공간에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조절관통공에 대응되는 제2조절관통공을 가지는 이동구와, 상기 제1중앙관통공을 통해 상기 작동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구를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절구와, 상기 제1조절관통공을 통해 상기 작동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구와 연결되고, 일단부에는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이동구와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와이어를 당기는 당김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의 외주면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제1본체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제1너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제2조절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구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당김구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당김구가 상기 풀리부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스토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당김구의 외주면에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나사산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조절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본체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1밀착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본체의 하면에 밀착되는 제2밀착플레이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풀리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2수직프레임에 결합되는 연결플랜지와, 일단부가 상기 연결플랜지의 타단부와 결합되고, 내측에 설치공간을 가지는 제2본체와, 상기 설치공간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구비되는 축과, 상기 설치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외주면에는 사이 와이어가 걸리는 풀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풀리는 외주면에 상기 와이어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풀리의 일부를 감싼 후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 각각에 결합되는 조임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풀리의 일부를 감싼 후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의 일부가 내측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방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어는 단일 개로 이루어지고, 일단부가 장력조절부에 결합되고, 풀리부를 향해 연장되어 풀리의 일부를 감싼 후 다시 장력조절부로 연장되어 타단부도 장력조절부에 결합될 수 있다. 장력조절부는 와이어의 양단부를 동시에 동일 길이만큼 당길 수 있기 때문에 와이어를 동일한 힘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당기게 되며, 따라서, 와이어의 장력은 동시에 증가될 수 있고 균일하게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 개의 와이어가 풀리를 감싸면서 수평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만약 인가되는 진동에 의해 풀리를 중심으로 일측 와이어에 진자운동이 먼저 발생되면 타측 와이어에는 진자운동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반력이 작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웨이 장치는 풀리를 중심으로 양측 와이어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반력에 의하여 현수구조물이 거치된 단일 와이어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는 제진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웨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장력조절부, 풀리부 및 와이어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장력조절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장력조절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장력조절부의 작동예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풀리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와이어웨이 장치에 현수구조물의 결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웨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인데, 도 2는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웨이 장치는 현수구조물을 지지하는 와이어의 장력이 균일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와이어의 장력을 증가시키고, 단일 와이어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는 제진형 와이어웨이 장치에 해당된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와이어웨이 장치는 제1수직프레임(100), 제2수직프레임(200), 장력조절부(300), 풀리부(400) 그리고 와이어(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수직프레임(100) 및 제2수직프레임(200)은 상단부가 천장에 결합되어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제1수직프레임(100) 및 제2수직프레임(200)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장력조절부(300)는 제1수직프레임(100)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장력조절부(300)는 제1힌지축(390)에 의해 제1수직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와이어(500)의 장력에 의해 제2수직프레임(200)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풀리부(400)는 제2수직프레임(200)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풀리부(400)는 제2힌지축(490)에 의해 제2수직프레임(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와이어(500)의 장력에 의해 제1수직프레임(100)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풀리부(400)는 축(43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풀리(450)를 가질 수 있다.
와이어(500)는 단일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어(500)는 일단부가 장력조절부(300)에 결합되고, 풀리부(400)를 향해 연장되어 풀리(450)의 일부를 감싼 후 다시 장력조절부(300)로 연장되어 타단부도 장력조절부(3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와이어(500)는 양단부가 장력조절부(300)에 결합되고, 중앙부는 풀리(450)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와이어(500)는 장력조절부(300) 및 풀리부(400)에 의해 제1방향(A1)을 따라 수평하게 당겨진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풀리부(400)를 기준으로 일측의 와이어(500a) 및 타측의 와이어(500b)는 서로 평행하게 될 수 있다.
장력조절부(300)는 와이어(500)의 양단부를 동시에 당길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와이어(500)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와이어(500)는 단일 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측의 와이어(500a) 및 타측의 와이어(500b)는 동일한 장력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장력조절부, 풀리부 및 와이어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장력조절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장력조절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장력조절부의 작동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력조절부(300)는 제1본체(310), 이동구(320), 조절구(330) 그리고 당김구(340a,340b)를 가질 수 있다.
제1본체(310)는 내측에 작동공간(311)을 가질 수 있으며 일단부에는 제1결합공(3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공(312)에는 제1힌지축(39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제1힌지축(390)은 제1수직프레임(100)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본체(310)는 제1힌지축(39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본체(310)의 타단부에는 제1중앙관통공(315)과, 제1중앙관통공(315)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조절관통공(316a,316b)을 가질 수 있다. 제1중앙관통공(315) 및 제1조절관통공(316a,316b)은 제1방향(A1)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310)에는 가이드슬릿(317a)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슬릿(317a)은 제1방향(A1)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슬릿(317a)은 본체(310)의 상면(317)에 형성될 수 있고, 본체(310)의 하면(318)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혹은 본체(310)의 상면(317) 및 하면(318)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구(320)는 작동공간(311)에 제1방향(A1)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동구(320)는 제1조절관통공(316a,316b)에 대응되는 제2조절관통공(325a,325b)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동구(320)는 지지플레이트(321), 제1밀착플레이트(322) 및 제2밀착플레이트(323)를 가질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321)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조절관통공(325a,325b)은 지지플레이트(321)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밀착플레이트(322)는 지지플레이트(321)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본체(310)의 상면(317)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밀착플레이트(322)에는 가이드슬릿(317a)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블럭(322a)이 구비될 수 있다.
제2밀착플레이트(323)는 지지플레이트(321)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본체(310)의 하면(318)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밀착플레이트(323)에는 가이드슬릿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블럭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구(320)가 작동공간(311)에서 제1방향(A1)으로 이동 시에 이동구(320)는 흔들거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조절구(330)는 제1중앙관통공(315)을 통해 작동공간(311)으로 연장되어 일단부가 이동구(320)에 밀착될 수 있다. 조절구(330)가 작동공간(311)으로 삽입되는 길이가 증가하게 되면, 조절구(330)의 일단부가 이동구(320)를 밀고 이동구(320)는 제1방향(A1)을 따라 제1수직프레임(10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조절구(330)의 외주면에는 제1나사산(33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장력조절부(300)는 제1너트(350)를 가질 수 있으며, 제1너트(350)는 제1본체(310)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제1나사산(331)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조절구(330)가 회전하여 작동공간(311)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이동구(320)는 조절구(330)에 밀려 이동될 수 있다. 제1너트(350)는 제1본체(310)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당김구(340a,340b)는 제1조절관통공(316a,316b)을 통해 작동공간(311)으로 연장되어 이동구(320)에 결합될 수 있다. 당김구(340a,340b)의 일단부에는 걸림홈(341a,341b)이 구비될 수 있으며, 걸림홈(341a,341b)에는 와이어(500)의 양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조절구(330)에 밀려 이동구(320)가 이동하게 되면, 당김구(340a,340b)도 함께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당김구(340a,340b)는 와이어(500a,500b)를 잡아당기게 되고, 와이어(500a,500b)의 장력은 증가될 수 있다. 이때, 당김구(340a,340b)는 동시에 동일 길이만큼 이동하기 때문에 와이어(500a,500b)를 동일한 힘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당기게 되며, 따라서, 와이어(500a,500b)의 장력은 동시에 증가될 수 있고 균일하게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장력조절부(300)는 스토퍼(360a,360b)를 가질 수 있다. 스토퍼(360a,360b)는 이동구(320)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제2조절관통공(325a,325b)을 관통하여 이동구(32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당김구(340a,340b)의 타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스토퍼(360a,360b)는 당김구(340a,340b)가 풀리부(400)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와이어(500)의 조절된 장력은 유지될 수 있다.
당김구(340a,340b)의 외주면에는 제2나사산(342a,342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스토퍼(360a,360b)는 제2나사산(342a,342b)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즉, 스토퍼(360a,360b)는 너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웨이 장치는 조임구(510) 및 탄성부재(600)를 더 가질 수 있다.
일측의 와이어(500a)는 일단부가 걸림홈(341a)을 통과해 와이어(500a)와 포개지고, 조임구(510)에 의해 조여질 수 있다.
그리고, 타측의 와이어(500b)는 일단부가 탄성부재(600)에 의해 당김구(340b)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탄성부재(600)는 당김구(340b) 및 타측의 와이어(500b)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600)는 당김구(340b) 및 와이어(500b)에 의해 당겨져 탄성 변형되면서 탄성복원력을 발생하여 와이어(500b)를 당겨 전체적으로 와이어(500)에 장력이 더욱 효과적으로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탄성부재(600)의 외측에는 탄성부재(600)를 내측에 수용하도록 하우징(61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웨이 장치는 제1조임구(510a) 및 제2조임구(510b)를 더 가질 수 있다.
제1조임구(510a) 및 제2조임구(510b)는 풀리(450)의 일부를 감싼 후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와이어(500a,500b)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조임구(510a)는 풀리(450)를 기준으로, 일측의 와이어(500a)에서 풀리(450)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제2조임구(510b)는 풀리(450)를 기준으로, 타측의 와이어(500b)에서 풀리(450)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만일, 일측의 와이어(500a)가 절단되는 경우, 일측의 와이어(500a)가 풀리(450)로 당겨져 풀리(450)를 벗어나게 되면 와이어(500)의 장력이 모두 사라지기 때문에 현수구조물을 지지할 수 없게 된다. 제1조임구(510a)는 일측의 와이어(500a)가 풀리(450)로 당겨질 때 풀리(450)에 걸려 와이어(500a)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타측의 와이어(500b)에서는 장력이 계속해서 발생될 수 있고, 현수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조임구(510b)는 타측의 와이어(500b)가 절단되어 풀리(450)로 당겨질 때 풀리(450)에 걸려 와이어(500b)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일측의 와이어(500a)에서는 장력이 계속해서 발생될 수 있고, 현수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웨이 장치는 방진부재(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진부재(550)는 풀리(450)의 일부를 감싼 후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와이어(500a,500b)의 일부가 내측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방진부재(550)는 예를 들면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와이어(500a,500b)의 일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와이어(500a,500b)의 진동을 흡수하여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진동 시간을 줄일 수도 있다. 방진부재(500)는 한 쌍이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 장력조절부(300) 및 풀리부(400)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풀리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풀리부(400)는 연결플랜지(410), 제2본체(420), 축(430) 및 풀리(45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플랜지(410)는 일단부가 제2수직프레임(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플랜지(410)의 일단부에는 제2결합공(411)이 형성될 수 있고, 제2결합공(411)에는 제2힌지축(49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제2힌지축(490)은 제2수직프레임(200)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플랜지(410)는 제2힌지축(49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연결플랜지(410)에는 제3결합공(41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2본체(420)는 일단부가 연결플랜지(410)의 타단부와 결합될 수 있으며, 내측에 설치공간(421)을 가질 수 있다. 제2본체(420)에는 제4결합공(422)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440)가 제4결합공(422)을 통해 제3결합공(412)에 결합되고, 이후 체결부재(440)에 제2너트(441)가 결합됨으로써 제2본체(420) 및 연결플랜지(41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본체(420)에는 제5결합공(42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5결합공(423)에는 나사산이 구비될 수 있다.
축(430)은 제5결합공(423)에 결합되어 설치공간(421)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축(430)의 하단부는 제5결합공(423)에 나사 결합되면서 고정 결합될 수 있고, 제5결합공(423)을 통과한 축(430)의 하단부에 별도의 너트가 결합되면서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축(430)에는 스프링(431) 및 슬리브(432)가 결합될 수 있다.
풀리(450)는 설치공간(421)에 구비될 수 있으며, 축(43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풀리(450)의 외주면에는 와이어(500)가 걸릴 수 있으며, 풀리(450)는 외주면에 와이어(500)가 안착되는 안착홈(451)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일의 와이어(500)가 풀리(450)를 감싸면서 수평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만약 인가되는 진동에 의해 풀리(450)를 중심으로 일측 와이어(500a)에 진자운동이 먼저 발생되면, 타측 와이어(500b)에는 진자운동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반력이 작용될 수 있다. 즉, 와이어 웨이장치는 풀리(450)를 중심으로 양측 와이어(500a,500b)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호 작용하는 당김력이 작용하므로 현수구조물이 거치된 단일 와이어(500)의 변위를 저감 및 감쇄시키는 제진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와이어웨이 장치에 현수구조물의 결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와이어웨이 장치에는 수평프레임(700), 결합프레임(800) 및 현수구조물(900)이 결합될 수 있다.
수평프레임(700)은 일단부는 제1수직프레임(10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2수직프레임(20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프레임(800)은 와이어(500)에 걸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현수구조물(900)은 결합프레임(800)과 결합될 수 있다. 현수구조물(900)은 조명을 위한 등기구, 감시카메라(cctv) 등일 수 있다.
수평프레임(700)의 내측에는 현수구조물(900)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배선이 수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제1수직프레임 200: 제2수직프레임
300: 장력조절부 310: 제1본체
320: 이동구 330: 조절구
340a,340b: 당김구 400: 풀리부
410: 연결플랜지 420: 제2본체
450: 풀리 500, 500a,500b: 와이어
510a: 제1조임구 510b: 제2조임구
550: 방진부재 600: 탄성부재
700: 수평프레임 800: 결합프레임
900: 현수구조물

Claims (10)

  1. 상단부는 천장에 결합되어 수직하게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수직프레임 및 제2수직프레임;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상기 제2수직프레임 방향으로 구비되는 장력조절부;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수직방향의 축을 중심을 회전하는 풀리를 가지는 풀리부; 그리고
    양단부는 상기 장력조절부에 결합되고, 중앙부는 상기 풀리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제1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당겨진 상태로 마련되어 현수구조물을 지지하는 단일의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조절부는 일단부가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를 당기는 한 쌍의 당김구와, 상기 한 쌍의 당김구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당김구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구를 가지며,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를 동시에 당겨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웨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는
    일단부는 상기 제1수직프레임에 결합되고, 내측에는 작동공간을 가지며 타단부에는 상기 제1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중앙관통공과, 상기 제1중앙관통공의 양측에 상기 제1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조절관통공을 가지는 제1본체와,
    상기 제1중앙관통공을 통해 상기 작동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구를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절구를 더 가지며,
    상기 이동구는 상기 작동공간에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조절관통공에 대응되는 제2조절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당김구는 상기 제1조절관통공을 통해 상기 작동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웨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의 외주면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제1본체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제1너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웨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제2조절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구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당김구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당김구가 상기 풀리부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스토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웨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구의 외주면에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웨이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조절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본체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1밀착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본체의 하면에 밀착되는 제2밀착플레이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웨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2수직프레임에 결합되는 연결플랜지와,
    일단부가 상기 연결플랜지의 타단부와 결합되고, 내측에 설치공간을 가지는 제2본체와,
    상기 설치공간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구비되는 축과,
    상기 설치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외주면에는 사이 와이어가 걸리는 풀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웨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는 외주면에 상기 와이어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웨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의 일부를 감싼 후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 각각에 결합되는 조임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웨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의 일부를 감싼 후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의 일부가 내측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방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웨이 장치.
KR1020200002853A 2020-01-09 2020-01-09 와이어웨이 장치 KR102158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853A KR102158078B1 (ko) 2020-01-09 2020-01-09 와이어웨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853A KR102158078B1 (ko) 2020-01-09 2020-01-09 와이어웨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078B1 true KR102158078B1 (ko) 2020-09-21

Family

ID=72707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853A KR102158078B1 (ko) 2020-01-09 2020-01-09 와이어웨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0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412U (ko) * 1997-12-17 1999-07-05 이형도 권선기의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
KR101733211B1 (ko) * 2016-03-07 2017-05-08 주식회사 세홍 내진형 와이어 웨이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76026B1 (ko) 2017-01-24 2017-09-07 주식회사 세홍 내진형 조명설비 어셈블리와 이것이 결합되는 현수선 구조설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412U (ko) * 1997-12-17 1999-07-05 이형도 권선기의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
KR101733211B1 (ko) * 2016-03-07 2017-05-08 주식회사 세홍 내진형 와이어 웨이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76026B1 (ko) 2017-01-24 2017-09-07 주식회사 세홍 내진형 조명설비 어셈블리와 이것이 결합되는 현수선 구조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8079B1 (ko) 와이어웨이 장치
KR102158078B1 (ko) 와이어웨이 장치
KR20170142249A (ko) 방진체결부재 및 이를 갖춘 차량 엑츄에이터 체결장치
KR102252231B1 (ko) 볼트 일체형 내진행거 및 그의 조립방법
KR101781433B1 (ko) 천정 설비용 면진 연결구
JP2013040494A (ja) 天井部の吊下装置
KR20140035496A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지지 장치
KR102489162B1 (ko) 와이어웨이 장치
KR101713634B1 (ko) 내진설계 무대장치
KR101843778B1 (ko) 내진형 와이어웨이 시스템
KR20230000941U (ko) 방진유닛을 갖는 와이어웨이 장치
KR100797905B1 (ko) 바닥판재 지주 각도조절장치
KR101733211B1 (ko) 내진형 와이어 웨이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92628Y1 (ko) 배선용 덕트와 이를 이용한 조명설비 어셈블리 및 조명설비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현수선 구조설비
KR20230018196A (ko) 천장마감구조물 지지용 행거유닛
KR102158084B1 (ko) 와이어웨이 장치
KR102201042B1 (ko)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
KR20210087732A (ko) 내진용 레이스웨이 행거장치
KR101220838B1 (ko) 음향기기 지그 어셈블리
JP2013040493A (ja) 天井部の吊下装置
KR102534106B1 (ko) 내진 현수 장치
JPH0441385A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の耐震装置
KR20210103842A (ko) 내진 현수 장치
KR102422314B1 (ko) 건축 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
KR102062859B1 (ko)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