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790B1 -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790B1
KR102157790B1 KR1020190153888A KR20190153888A KR102157790B1 KR 102157790 B1 KR102157790 B1 KR 102157790B1 KR 1020190153888 A KR1020190153888 A KR 1020190153888A KR 20190153888 A KR20190153888 A KR 20190153888A KR 102157790 B1 KR102157790 B1 KR 102157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swer
answer input
quiz show
user
input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훈
Original Assignee
(주) 알에스기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알에스기획 filed Critical (주) 알에스기획
Priority to KR1020190153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7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8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providing answers, e.g. vo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실시예들은 마이크로폰을 통해, 방송장치로부터 실시간 방송되는 퀴즈쇼의 소리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소리정보로부터, 퀴즈쇼에서 제시된 문제에 대한 답변입력 개시사인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답변입력 개시사인이 식별되면, 상기 문제에 대하여 사용자가 답변을 입력할 수 있는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답변입력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사용자의 답변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방법에 관련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생방송 방송 상황에 맞게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에 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OPERATING LIVE QUIZ SHOW PLATFORM INCLUDING CHARACTERS }
실시예들은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의 운영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방송 퀴즈쇼 방송의 소리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답변을 입력할 수 있는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동적으로 생성하고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최근 실시간으로 문제가 방송되고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바로 답변을 입력하는 생방송 퀴즈쇼 서비스가 여러 인터넷 사업자들을 통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퀴즈쇼는, 사용자가 답변을 입력하기 위한 답변입력 인터페이스가 생방송 퀴즈쇼 시작과 함께 상시 표시되고 있거나, 답변이 가능한 시점에 한시적으로 표시되기도 한다.
답변입력 인터페이스가 한시적으로 표시되는 경우, 답변입력 인터페이스가 표시되기 시작하는 개시시간은 퀴즈쇼 서비스 사업자가 미리 정한 시각에 표시되고 있다. 예컨대 8시부터 9시까지 방송되는 생방송 퀴즈쇼에서 첫 번째 문제에 대한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는 8시10분10초에 개시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이러한 시간은 변경되지 않고, 생방송 퀴즈쇼 진행자는 이 정해진 시간에 맞춰서 퀴즈쇼를 진행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식은 다양한 현장 상황에 맞춰 내용이나 시간이 변경될 수 있는 생방송 퀴즈쇼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예컨대 생방송 퀴즈쇼 진행 중 제3자의 개입 또는 진행자의 예기치 못한 사정으로 퀴즈쇼가 원래 예상대로 진행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미리 정해진 시간에 답변입력 인터페이스가 제공되어 상황에 맞지 않는 타이밍에 답변입력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는 종래 생방송 퀴즈쇼 운영자가 생방송 방송을 보면서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점을 수동으로 지정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 운영자의 착오로 인한 답변입력 인터페이스가 발생시 퀴즈쇼 참여자의 집중도를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1-108638호 (2001.12.08)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실시간 방송 내용을 기초로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생방송 퀴즈쇼 진행 상황에 맞는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생방송 퀴즈쇼 운영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하기에서 설명하는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도출될 수 있는 다양한 사항들로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방법은, 컴퓨팅 장치에의해 실행되며, 상기 방법은, 마이크로폰을 통해, 방송장치로부터 실시간 방송되는 퀴즈쇼의 소리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소리정보로부터, 퀴즈쇼에서 제시된 문제에 대한 답변입력 개시사인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답변입력 개시사인이 식별되면, 상기 문제에 대하여 사용자가 답변을 입력할 수 있는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답변입력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사용자의 답변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답변입력 개시사인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소리정보에서, 상기 실시간 방송되는 퀴즈쇼를 진행하는 특정 진행자의 음성 또는 특수효과음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음성 또는 특수효과음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답변입력 개시 식별자와 비교하여 상기 답변입력 개시사인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리정보가 상기 특정 진행자의 음성인 경우, 상기 답변입력 개시사인을 식별하는 단계는, 추출된 음성으로부터 특정 단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식별된 특정 단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답변입력 개시식별자에 포함된 단어에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답변입력 개시사인이 식별되는 즉시 또는 현재 방송중인 퀴즈쇼에서 제시되는 문제의 설명시간을 기초로 결정된 시점에 상기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현재 방송중인 퀴즈쇼에서 제시되는 문제의 설명시간을 기초로 결정된 시점에 상기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문제의 종류, 상기 문제에 대한 이전 퀴즈 참여자의 정답률, 이전 퀴즈 참여자의 답변제출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이용하여 답변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답변을 퀴즈쇼 운영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퀴즈쇼 운영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답변에 대한 정답여부 확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답변입력 개시사인이 식별되면, 퀴즈쇼 운영 서버로 해당 문제에 대한 정답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퀴즈쇼 운영 서버로부터 정답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정답정보는, 퀴즈쇼 참여자 전체의 답변이 완료된 이후 퀴즈쇼 운영 서버의 허락에 의해 공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답변이 정답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각, 청각, 촉각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가상키보드, 카메라 또는 마이크로폰을 동작시켜 사용자에게 문제에 대한 소감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문제에 대한 소감을 요청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답변 시간, 답변의 정확도, 답변의 의외성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소감을 요청할 사용자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며, 상술한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시스템은,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방송장치로부터 실시간 방송되는 퀴즈쇼의 소리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소리정보로부터, 퀴즈쇼에서 제시된 문제에 대한 답변입력 개시사인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답변입력 개시사인이 식별되면, 상기 문제에 대하여 사용자가 답변을 입력할 수 있는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답변입력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사용자의 답변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생방송 퀴즈쇼의 실제 진행상황에 맞는 답변 인터페이스를 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퀴즈쇼 진행자 마다 자신의 스타일에 맞게 퀴즈를 내는 타이밍을 정할 수 있어, 동일한 문제 풀이 있더라도, 진행자마다 서로 다른 느낌의 퀴즈쇼를 만들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생방송 퀴즈쇼의 방송장치와 별도의 답변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운용함으로써, 답변입력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영상 재생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위 기재된 사항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아래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다양한 내용들로 확장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2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방법이 실행되는 방송장치(120)와 사용자 단말(110)의 일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답변입력 개시식별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답변입력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답확인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이 정답정보(130)를 퀴즈쇼 운영 서버(130)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답변 입력에 따른 피드백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실시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 방송장치(120), 및 퀴즈쇼 운영 서버(130)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사용자 단말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10)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리모트 컨트롤러 등이 있다. 일례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단말(110)는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장치(120) 또는 서버(130)과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시스템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방송장치(120)와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각 구성요소간 연결이 동일한 네트워크 방식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5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선 및/또는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송장치(120)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를 가지며, 실시간 퀴즈쇼를 송출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방송장치(120)가 텔레비전인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나 이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퀴즈쇼 운영 서버(130)는 방송장치(120)에 생방송 퀴즈쇼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퀴즈쇼 운영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10)에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퀴즈쇼 운영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10)에 퀴즈쇼 방송을 제공하거나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퀴즈쇼 방송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퀴즈쇼 방송인 영상 컨텐츠 재생을 수행하지 않게 되어 장치의 절전효과 및 데이터 절약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비디오를 표시하지 않으므로, 방송장치(120)에 비하여 낮은 해상도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이는 장비의 생산 단가를 낮추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이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만을 제공하는 경우 영상 재생의 경우보다 낮은 수준의 해상도의 디스플레이로도 충분히 그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퀴즈쇼 운영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10)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퀴즈쇼 운영 서버(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110)로 각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퀴즈쇼 운영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목적하는 서비스(일례로, 정보 제공 등)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130)는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구동을 위한 파일을 사용자 단말(110)로 배포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2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러한 컴퓨팅 장치(200)는 도1을 참조하여 상술한 사용자 단말(110) 또는 퀴즈쇼 운영 서버(130)에 적용될 수 있으며, 각 장치와 서버들은 일부 구성요소를 더 하거나 제외하여 구성됨으로써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200)는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모듈(230), 카메라(240), 마이크로폰(250)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6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2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상술한 장치(단말)나 서버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사용자 단말(110) 등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특정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사용자 단말(110) 등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30)을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이 네트워크(1)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 모듈(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30)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와 서버(13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단말(110) 및/또는 서버(130) 각각이 다른 전자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240)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외부 화상을 디지털화하는 임의의 이미지 처리 장치일 수 있다. 카메라(240)는 CCD 카메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카메라(240)는 모노, 스테레오 카메라일 수 있으며, 장치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 장착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250)은 장치 외부 소리를 수신하고, 디지털화할 수 있는 임의의 소리정보 처리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60)는 외부 입력/출력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입력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카메라 등의 장치를, 그리고 외부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6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팅 장치(200)는 적용되는 장치의 성질에 따라서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200)가 사용자 단말(110)에 적용되는 경우 상술한 입출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 디바이스가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시스템 및 방법은 상술한 퀴즈쇼 운영 서버(130)에 의해 구현되거나,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서버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2 개 이상의 단말 또는 서버가 서로 연동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방법이 실행되는 방송장치(120)와 사용자 단말(110)의 일 양태를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특정 기능들이 사용자 단말(110)에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적어도 일부 특정 기능들은 서버(130)에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방송장치(120)는 퀴즈쇼 운영 서버(130)로부터 송출된 방송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방송장치(120)에서 재생되는 방송영상은 실시간 방송영상일 수 있다. 상기 방송영상은 생방송 퀴즈영상일 수 있으며, 이러한 퀴즈영상은 하나 이상의 캐릭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캐릭터는 상기 퀴즈영상에서, 퀴즈를 내는 역할을 하거나, 퀴즈에 참여한 사용자를 대표하는 아바타 역할을 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캐릭터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서 퀴즈쇼에 답변을 제출하거나, 답변결과에 따른 특정한 행위를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방송장치(120)와는 다른 독립된 전자장치로서, 방송장치(120)에서 방송되는 퀴즈쇼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퀴즈쇼에 참여하여 답변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3에서 방송장치(120)는 영어 단어 퀴즈를 방송하고 있고, 사용자 단말은 답변입력 인터페이스(31)를 통해서 답변을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보기 2번인 알파벳 c를 선택함으로써 퀴즈쇼의 문제에 대한 답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마이크로폰(250)을 통해서 방송장치(120)로부터 실시간 방송되는 퀴즈쇼의 소리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실시간 방송되는 영상의 소리정보를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받아 분석할 수 있다.
소리정보를 획득하면서, 사용자 단말(110)은 획득한 소리정보로부터, 퀴즈쇼에서 제시된 문제에 대한 답변입력 개시사인을 식별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10)은 퀴즈쇼의 방송영상의 소리 중 특정한 소리를 식별하고, 이를 기초로 답변입력 개시사인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답변입력 개시사인을 식별하기 위해서, 획득한 소리정보에서, 실시간 방송되는 퀴즈쇼를 진행하는 특정 진행자의 음성 또는 특수효과음을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진행자의 음성은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성이거나, 특정 단어를 말하는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명인X의 음성, 유명인X의 음성으로 말하는 특정 단어 "스타트!" 또는 음성의 주파수와 관련 없는 특정 단어 "스타트!" 등이 추출될 수 있다.
또는 특수효과음으로서, 특정 악기의 소리이거나 전자음 등 주변 소리와 식별되는 고유의 소리가 추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이렇게 추출된 소리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답변입력 개시식별자와 비교하여 답변입력 개시사인을 식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답변입력 개시식별자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DB에는 다양한 종류의 답변입력 개시식별자들(51~55)이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답변입력 개시식별자(51)는 특수 효과음으로서, 특정 주파수대역의 음이다. 답변입력 개시식별자(51)는 북을 치는 소리, 드럼을 두드리는 소리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다른 예시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의미의 단어나 문장이 답변입력 개시식별자(52~55)로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추출된 음성 또는 특수효과음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답변입력 개시식별자와 비교하여 상기 답변입력 개시사인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10)은 획득한 소리정보에서 단어나, 문장, 구, 특정음역대의 소리 등을 추출하고, 추출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답변입력 개시식별자와 비교함으로써, 답변입력 개시사인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리정보가 특정 진행자의 음성인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답변입력 개시사인을 식별하기 위해서, 추출된 음성으로부터 특정 단어를 식별하고, 식별된 특정 단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답변입력 개시식별자에 포함된 단어에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방송장치(120)에서 "스타트"라는 음성이 출력되고, 이 소리정보가 사용자 단말(110)의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스타트"라는 단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답변입력 개시식별자에서 검색하고, 검색결과 "스타트"라는 답변입력 개시식별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경우, 방송장치에서 출력된 음성"스타트"를 답변입력 개시사인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답변입력 개시사인이 식별되면, 상기 문제에 대하여 사용자가 답변을 입력할 수 있는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서 답변입력 인터페이스(31)는 알파벳 a c e 에 대한 선택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상의 영역일 수 있다.
도 3의 답변입력 인터페이스(31)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답변입력 인터페이스(31)는 드로잉 가능한 입력 인터페이스, 영상입력 인터페이스, 소리입력 인터페이스 등일 수 있다. 영상입력 인터페이스인 경우 카메라가 온 될 수 있으며, 소리입력 인터페이스인 경우 마이크로폰이 온 될 수 있다. 카메라가 온 된 경우,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고, 입력된 영상정보는 퀴즈쇼 운영 서버(130)로 전달되어 사용자의 동작이 식별되어 문제에 대한 답과 대응되는지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폰이 온 되 경우,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이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에서 분석되어 제시된 문제의 답과 대응되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답변입력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생방송 퀴즈쇼 방송이 시작된 후 t초간 시간이 흐른 것을 나타내며, t1 시점은 문제에 대한 설명이 시작된 시점을 나타낸다. 또한 41로 표시되는 구간은 문제에 대한 설명이 진행된 총 시간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점을 다양한 기준을 기초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110)은 답변입력 개시사인이 식별되는 즉시 또는 현재 방송중인 퀴즈쇼에서 제시되는 문제의 설명시간을 기초로 결정된 시점에 상기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답변입력 개시사인이 식별되는 즉시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 단말이 획득한 소리정보로부터 답변입력 개시사인을 식별한 직후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방송중인 퀴즈쇼에서 제시되는 문제의 설명시간을 기초로 결정된 시점에 상기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은, 문제의 설명 종료시간(42b) 또는 종료시간으로부터 소정시간구간 이전(42a) 또는 이후(42c)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 단말(110)은 답변입력 개시사인을 식별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특정 단어나 주파수의 소리를 통해서 문제의 설명 시작시간(t1) 또는 설명 종료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문제의 설명 종료 이전에 답변입력 개시사인이 식별된 경우,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서 답변입력 인터페이스가 개시사인이 식별되자마자 사용자에게 제공되거나, 문제의 설명이 종료된 직후 또는 종료된 후 소정시간 후에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현재 방송중인 퀴즈쇼에서 제시되는 문제의 설명시간을 기초로 결정된 시점에 상기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문제의 종류, 상기 문제에 대한 이전 퀴즈 참여자의 정답률, 이전 퀴즈 참여자의 답변제출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이용하여 답변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버(13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예컨대, 문제의 종류는, 객관식, 주관식, 실시간 인터넷 검색 참여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전 퀴즈 참여자의 정답률과 답변제출시간은, 본 문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문제에 대한 다른 참여자의 정답률 또는 답변제출시간일 수 있다. 본 문제와 이전 문제와의 유사도는 다양한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정답률이 매우 낮은 문제의 경우 또는 답변입력 시간이 긴 문제의 경우, 이전보다 이른 시간에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전 참여자의 정답률이 낮거나, 답변입력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주관식을 객관식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답확인 절차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입력된 사용자의 답변을 퀴즈쇼 운영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S61). 사용자의 답변을 수신한 퀴즈쇼 운영 서버(130)는 사용자의 답변이 정답인지 여부를 판별하고(S62), 정답여부에대한 정답여부 확인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한다(S63). 정답여부 확인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110)은 정답여부 확인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입력사항만을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정답여부에 대한 확인을 받게되므로, 사용자 단말을 악의적으로 조작하여 정답정보를 탈취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이 정답정보(130)를 퀴즈쇼 운영 서버(130)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답변입력 개시사인이 식별되면, 퀴즈쇼 운영 서버(130)로 해당 문제에 대한 정답정보를 요청하고(S71), 상기 퀴즈쇼 운영 서버(130)는 요청에 응답하여, 정답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S72). 사용자 단말은 정답정보를 보관하고 있다가,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사용자 답변이 입력되면, 보관된 정답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답변이 정답인지 여부를 판별(S73)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로부터 정답이 입력되기 전에 미리 정답정보를 사용자단말에 저장해 놓음으로써, 빠른 정답확인 및 피드백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7의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 단말이 정답정보를 보관하게 되나, 사용자의 답변이 입력되기 수 초 이전이기 때문에 악의적인 조작에의한 정답정보 탈취에 대한 문제는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낮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에 수신된 정답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합 답변입력시가 아니라, 해당 퀴즈쇼에 참여한 모든 참여자의 전체 답변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 된 이후 퀴즈쇼 운영 서버(130)의 허락에 의해 공개될 수도 있다. 즉, 모든 참여자의 답변입력이 완료된 이후 정답여부에 대한 결과가 피드백 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방송장치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가 각자의 단말을 가지고 생방송 퀴즈쇼에 참여한 경우, 제1 사용자의 정답확인 이후 제2, 제3 사용자가 확인된 정답을 입력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위와 같이 모든 참여자의 답변입력이 완료된 이후 정답이 공개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답변 입력에 따른 피드백 예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답변입력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사용자의 답변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답변이 정답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각, 청각, 촉각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정답을 맞춘 경우, 축하하거나 기쁜 분위기의 음악이나 화면이 노출될 수 있고, 오답인 경우 슬프거나 우스꽝스러운 분위기의 음악이나 화면이 노출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체 참여자 중에서 몇 번째로 답변을 제출하였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에대한 피드백은, 사용자가 적극적으로 행동을 하도록 유도하는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가상키보드, 카메라 또는 마이크로폰을 동작시켜 사용자로부터 문제에 대한 소감을 요청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사랑이)에게 문제에 대한 소감을 문자입력, 또는 카메라를 통한 영상 전송 또는 음성 입력 등의 방식으로 요청할 수 있다. 입력된 사용자의 소감은 다른 참여자들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로부터 문제에 대한 소감을 요청하는 것은 사용자의 답변 시간, 답변의 정확도, 답변의 의외성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소감을 요청할 사용자를 선정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빨리 정답을 입력한 사용자에게 소감요청이 전달되거나, 답변 내용이 정답에 가장 근사한(정확한) 사용자에게 소감이 요청될 수 있다. 정해진 정답이 아니나, 다양한 답변들 중에서 가장 정답에 가까운 답변을 제출한 사용자에게 소감을 요청할 수 있다. 예컨대 유명인Y의 태어난 해를 맞추는 문제에서 가장 가까운 연도를 제출한 사용자에게 소감 요청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답변의 의외성은, 기 정해진 정답과 입력된 답변내용 사이의 연관성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연관성은 문제내용, 정답, 다른 참여자들의 답변내용들을 기초로 유사도(벡터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유사도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프랑스의 수도는?" 이라는 문제에대하여, "파리", "서울", "이집트"라는 답변이 제출된 경우, 도시명이 아닌 "이집트"라는 답변이 의외성이 높은 답변으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동작 방법은 상술한 컴퓨팅 장치(200)에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방법은, 마이크로폰을 통해, 방송장치로부터 실시간 방송되는 퀴즈쇼의 소리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0), 획득한 소리정보로부터, 퀴즈쇼에서 제시된 문제에 대한 답변입력 개시사인을 식별하는 단계(S200), 상기 답변입력 개시사인이 식별되면, 상기 문제에 대하여 사용자가 답변을 입력할 수 있는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S300) 및 생성된 답변입력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사용자의 답변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생방송운영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포함하도록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방법은,
    마이크로폰을 통해, 방송장치로부터 실시간 방송되는 퀴즈쇼의 소리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소리정보로부터, 퀴즈쇼에서 제시된 문제에 대한 답변입력 개시사인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답변입력 개시사인이 식별되면, 상기 문제에 대하여 사용자가 답변을 입력할 수 있는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답변입력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사용자의 답변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답변입력 개시사인이 식별되는 즉시 또는 현재 방송중인 퀴즈쇼에서 제시되는 문제의 설명시간을 기초로 결정된 시점에 상기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현재 방송중인 퀴즈쇼에서 제시되는 문제의 설명시간을 기초로 결정된 시점에 상기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문제의 종류, 상기 문제에 대한 이전 퀴즈 참여자의 정답률, 및 이전 퀴즈 참여자의 답변제출시간을 더 이용하여 답변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는 이전 참여자의 정답률이 기준치보다 낮거나, 답변입력 시간이 기준치보다 오래 걸리는 경우,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주관식에서 객관식으로 변경하는,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답변입력 개시사인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소리정보에서, 상기 실시간 방송되는 퀴즈쇼를 진행하는 특정 진행자의 음성 또는 특수효과음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음성 또는 특수효과음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답변입력 개시 식별자와 비교하여 상기 답변입력 개시사인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정보가 상기 특정 진행자의 음성인 경우,
    상기 답변입력 개시사인을 식별하는 단계는,
    추출된 음성으로부터 특정 단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식별된 특정 단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답변입력 개시식별자에 포함된 단어에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답변을 퀴즈쇼 운영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퀴즈쇼 운영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답변에 대한 정답여부 확인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답변입력 개시사인이 식별되면, 퀴즈쇼 운영 서버로 해당 문제에 대한 정답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퀴즈쇼 운영 서버로부터 정답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정답정보는, 퀴즈쇼 참여자 전체의 답변이 완료된 이후 퀴즈쇼 운영 서버의 허락에 의해 공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답변이 정답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각, 청각, 촉각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가상키보드, 카메라 또는 마이크로폰을 동작시켜 사용자에게 문제에 대한 소감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문제에 대한 소감을 요청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답변 시간, 답변의 정확도, 답변의 의외성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소감을 요청할 사용자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방법.
  12.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3항,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3.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시스템으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방송장치로부터 실시간 방송되는 퀴즈쇼의 소리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소리정보로부터, 퀴즈쇼에서 제시된 문제에 대한 답변입력 개시사인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답변입력 개시사인이 식별되면, 상기 문제에 대하여 사용자가 답변을 입력할 수 있는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답변입력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사용자의 답변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답변입력 개시사인이 식별되는 즉시 또는 현재 방송중인 퀴즈쇼에서 제시되는 문제의 설명시간을 기초로 결정된 시점에 상기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현재 방송중인 퀴즈쇼에서 제시되는 문제의 설명시간을 기초로 결정된 시점에 상기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문제의 종류, 상기 문제에 대한 이전 퀴즈 참여자의 정답률, 및 이전 퀴즈 참여자의 답변제출시간을 더 이용하여 답변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는 이전 참여자의 정답률이 기준치보다 낮거나, 답변입력 시간이 기준치보다 오래 걸리는 경우, 답변입력 인터페이스를 주관식에서 객관식으로 변경하는,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시스템.
KR1020190153888A 2019-11-27 2019-11-27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57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888A KR102157790B1 (ko) 2019-11-27 2019-11-27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888A KR102157790B1 (ko) 2019-11-27 2019-11-27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790B1 true KR102157790B1 (ko) 2020-09-18

Family

ID=72670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888A KR102157790B1 (ko) 2019-11-27 2019-11-27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7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474B1 (ko) 2020-12-31 2021-10-05 김요셉 퀴즈 플랫폼에서 퀴즈 출제자에게 보상을 부여하는 방법 및 장치
CN114035690A (zh) * 2021-11-26 2022-02-11 郑州捷安高科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触电体感系统的电力实训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8638A (ko) 2000-05-30 2001-12-08 이방섭 퀴즈쇼를 이용한 인터넷방송 서비스방법
KR20140073753A (ko) * 2012-12-07 2014-06-17 김영렬 사용자 생성 퀴즈셋을 이용한 실시간 퀴즈게임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01914A (ko) * 2018-02-23 2019-09-02 스타십벤딩머신 주식회사 스트리밍 장치 및 스트리밍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8638A (ko) 2000-05-30 2001-12-08 이방섭 퀴즈쇼를 이용한 인터넷방송 서비스방법
KR20140073753A (ko) * 2012-12-07 2014-06-17 김영렬 사용자 생성 퀴즈셋을 이용한 실시간 퀴즈게임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01914A (ko) * 2018-02-23 2019-09-02 스타십벤딩머신 주식회사 스트리밍 장치 및 스트리밍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474B1 (ko) 2020-12-31 2021-10-05 김요셉 퀴즈 플랫폼에서 퀴즈 출제자에게 보상을 부여하는 방법 및 장치
CN114035690A (zh) * 2021-11-26 2022-02-11 郑州捷安高科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触电体感系统的电力实训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932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US11240050B2 (en) Online document shar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2264613B1 (ko) 메시지 파라미터에 의한 메시지들의 라우팅
US11470127B2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for displaying reaction during VoIP-based call
JP6961334B2 (ja) サーバ、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3539820A (ja) インタラクティブ情報処理方法、装置、機器、及び媒体
US20220391060A1 (en) Methods for displaying and providing multimedia resources
US11785178B2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for providing communication using video call bot
KR102157790B1 (ko) 캐릭터가 포함된 생방송 퀴즈쇼 플랫폼 운영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7101212B2 (ja) 会議補助用翻訳ツール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210068333A (ko) 응용 프로그램의 조작 안내 방법, 장치, 기기 및 판독 가능 저장 매체
US2020032789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80288110A1 (en) Conference support system, conference support method, program for conference support device, and program for terminal
US11615814B2 (en) Video automatic edit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machine learning
US20180286388A1 (en) Conference support system, conference support method, program for conference support device, and program for terminal
CN108304434B (zh) 信息反馈方法和终端设备
CN110215704B (zh) 游戏开启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7462375B2 (ja) サーバ、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
JP6154528B1 (ja) ユーザ投稿情報配信システム、端末装置、ユーザ投稿情報配信サーバ、ユーザ投稿情報配信システムの動作方法、ユーザ投稿情報端末装置の動作方法、ユーザ投稿情報配信サーバの動作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20327293A1 (en) Methods, system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 media to provide translation result of conversation message
CN117908736A (zh) 交互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8092731A (zh) 提供媒体内容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2021005368A (ja) フォントを提供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非一時な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16866402A (zh) 交互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7407912A (zh) 访问对话时的隐私保护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