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561B1 - 항균성이 강화된 아노다이징 봉공처리제 및 봉공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항균성이 강화된 아노다이징 봉공처리제 및 봉공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561B1
KR102157561B1 KR1020180171250A KR20180171250A KR102157561B1 KR 102157561 B1 KR102157561 B1 KR 102157561B1 KR 1020180171250 A KR1020180171250 A KR 1020180171250A KR 20180171250 A KR20180171250 A KR 20180171250A KR 102157561 B1 KR102157561 B1 KR 102157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treatment
aluminum
anodizing
sealing
tr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1108A (ko
Inventor
장세도
오종수
Original Assignee
한가람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가람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가람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1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561B1/ko
Publication of KR20200081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25D11/04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25D11/18After-treatment, e.g. pore-sealing
    • C25D11/24Chemical after-treatment
    • C25D11/246Chemical after-treatment for sealing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25D11/04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25D11/16Pretreatment, e.g. desmut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25D11/04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25D11/18After-treatment, e.g. pore-sealing
    • C25D11/24Chemical after-treatment
    • C25D11/243Chemical after-treatment using organic dyestuff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eventing Corrosion Or Incrustation Of Metal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효과가 개선된 아노다이징된 제품을 얻을 수 있는 봉공처리제 및 봉공처리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폴리페놀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이 강화된 아노다이징 봉공처리제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봉공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알루미늄 피처리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알루미늄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탈지 단계; 상기 알루미늄 표면의 산화 피막을 제거하기 위한 에칭 단계; 상기 알루미늄을 용액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통전시켜 표면에 산화피막층을 형성하기 위한 아노다이징 단계; 상기 아노다이징으로 형성된 산화피막에 염료를 착색하기 위한 염색 단계; 상기 염색 단계에서 염료가 착색된 알루미늄 피처리물을 폴리페놀 화합물을 포함하는 1차 봉공처리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에서 1차 봉공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봉공처리된 피처리물을 폴리페놀 화합물을 포함하는 2차 봉공처리제가 함유된 수용액에서 2차 봉공처리하는 단계.

Description

항균성이 강화된 아노다이징 봉공처리제 및 봉공처리 방법{ANTI-BACTERIAL SEALING AGENT FOR ANODIZING PROCESS AND SEAL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알루미늄 아노다이징 후의 봉공처리에 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항균성이 강화된 아노다이징 봉공처리제 및 이를 이용하는 봉공처리 방법에 대한 것이다.
알루미늄은 부식 방지 및 내마모성 향상을 위하여 아노다이징(anodizing, 양극산화) 처리를 통해 생활가전 및 주방용품, 통신기기 등 실생활에서 많이 사용된다.
알루미늄 아노다이징은 인위적인 산화 피막을 알루미늄 표면에 형성하여 외부 부식 환경에서 알루미늄 소재를 보호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아노다이징 피막은 다공질이며 흡착성이 있어서 피막이 더러워지기 쉽고 손에 들러붙는 성질이 있다. 또한 구멍 내부에 황산 등의 잔류물이 있어 부식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노다이징 후 기공을 메우는 공정이 필요하며, 이를 봉공처리(sealing)라 한다.
현재 봉공처리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많이 쓰이는 방법은 주로 니켈, 코발트염을 사용하는 금속염 봉공처리 방법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피부접촉이 많은 통신기기부품에서는 피부 알레르기 영향으로 엄격히 중금속 사용을 금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가전제품 등 다양한 제품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중금속이 들어간 봉공처리제 대신 중금속 프리 제품을 사용하거나, 증기 봉공이나 수화물 봉공 등을 적용하여 해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산화알루미늄(Al2O3)을 보헤마이트(Al2O3·H2O)로 수화시키는 방법이 있다. 보헤마이트 셀부피는 산화알루미늄보다 크기 때문에, 미세기공 벽에서 형성되는 보헤마이트가 팽창되어 기공을 막아 봉공처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는 80℃이상의 고온이 필요하므로, 고온의 수용액 또는 스팀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설비 비용이 많이 들고, 공정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또한 아노다이징에 이어 염색공정 후 봉공처리 시 염료가 탈색이 되어서 원하는 색상 구현이나 일률적인 색상 구현이 힘들어 불량요인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내식성 또한 니켈염 등 중금속을 사용한 공정보다 효과가 낮다.
한편 최근에는 제품의 고급화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친환경적인 요소들이 도입되고 있는데, 그 중 하나로서 항균 효과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알루미늄 제품에 항균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종래에 TiO2나 Ag를 이용하고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양극산화와 별도의 공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아노다이징 봉공처리 분야에서 탈색 방지, 인체 유해성 문제 해결 뿐만 아니라 항균 효과 부여까지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으나,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은 아직 구현되지 않은 상황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아노다이징 봉공처리제 및 봉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아노다이징 후 염색을 할 경우 염료가 탈색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봉공처리제 및 봉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알레르기 등 인체 유해성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아노다이징 봉공처리제 및 봉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봉공처리제를 제공한다.
아노다이징의 봉공처리에 사용되는 봉공처리제로서, 폴리페놀 화합물, 타닌산, 티오우레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이 강화된 아노다이징 봉공처리제.
본 발명에서는 봉공처리제에 유기물질 폴리페놀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폴리페놀은 하이드록시기를 2개 이상 갖고 있는 물질로, 녹차에 들어 있는 카테킨류가 대표적이며, 항산화 기능이 잘 알려져 있어 식품이나 의료 등에 응용되고 있다. 벤젠고리(C6H6)의 수소 중 하나가 하이드록시기(-OH)로 치환된 물질을 페놀이라고 하는데, 하이드록시기를 2개 이상 갖고 있는 물질을 폴리페놀, 즉 '다가(多價)페놀'이라고 통틀어 부른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자연계에 많이 존재한다. 녹차에 들어 있는 카테킨류(catechins), 커피에 포함되어 있는 클로로겐산, 딸기나 가지, 포도, 검은콩, 팥 따위 붉은색이나 자색의 안토시아닌계 색소 등은 모두 폴리페놀 화합물이다. 이 밖에도 폴리페놀 화합물은 야채나 과일, 카카오, 적포도주 등 여러 가지에 포함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폴리페놀 화합물이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타닌산, 카테콜(catechol), 레조르신(resorcin),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플로로글루시놀(phloroglucinol)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타닌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타닌산은 떫은맛을 내는 폴리페놀의 일종인 방향족 화합물로서, 단백질 또는 다른 거대 분자와 착화합물을 강하게 형성하기에 충분한 수의 하이드록시기를 갖고 있다. 타닌산은 균체에 침투해 단백질과 결합하여 응고시킴으로써 병원균을 죽게 하는 항균 작용을 한다. 따라서 타닌산을 봉공처리제에 함유시킴으로써, 피처리물인 알루미늄 제품의 항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타닌산은 염색 공정 후 봉공처리 공정에서 염료의 탈색을 방지해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타닌산의 함량은 0.1~50g/l가 바람직하다.
0.1g/l 미만으로 첨가하면 항균 또는 탈색 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
또 50g/l를 넘으면 봉공 처리 후 표면에 끈적이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것은 봉공 처리가 잘 되지 않은 것을 의미하며, 내식성 저하 및 외관 품질 저하로 인해 제품화가 어렵다.
타닌산의 보다 바람직한 첨가량은 0.1g~30g/l이다, 30g/l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용액이 혼탁해지고, 용액 하부에 침적이 생기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래서 타닌산의 함량은 0.1~30g/l가 특히 바람직하다.
티오우레아는 봉공처리 공정에 사용 시 발수성 효과를 주어 내식 성능 향상에 도움을 준다.
계면활성제는 표면장력을 감소시켜 알루미늄 표면의 활성도를 높이는 계면활성제로서 작용함으로써 봉공처리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티오우레아와 계면활성제는 각각 0.1~10g/l 범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g/l 미만으로 첨가되면 첨가 효과가 두드러지지 않으며, 10g/l를 넘으면 효과 개선 효과가 더 없다.
또한 타닌산, 티오우레아, 계면활성제의 첨가 비율은 1:1:1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지는 봉공 방법을 제공한다.
알루미늄 피처리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알루미늄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탈지 단계;
상기 알루미늄 표면의 산화 피막을 제거하기 위한 에칭 단계;
상기 알루미늄을 용액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통전시켜 표면에 산화피막층을 형성하기 위한 아노다이징 단계;
상기 아노다이징으로 형성된 산화피막에 염료를 착색하기 위한 염색 단계; 및
상기 염색 단계에서 염료가 착색된 알루미늄 피처리물을 폴리페놀 화합물을 포함하는 1차 봉공처리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에서 1차 봉공처리하는 단계;
상기 1차 봉공처리된 피처리물을 폴리페놀 화합물을 포함하는 2차 봉공처리제가 함유된 수용액에서 2차 봉공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이 강화된 봉공처리 방법.
본 발명에서 1차 봉공처리는 탈색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주목적이다. 즉 1차 봉공처리가 없이 2차 봉공처리만 할 경우에는 봉공 효과는 얻어질 수 있으나 탈색 현상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1차 봉공처리를 통해 탈색을 방지하고, 2차 봉공처리에서는 완전한 봉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1차 봉공처리에서 타닌산을 사용함에 따라 용액을 저온으로 유지하여, 착색된 염료가 폴리페놀 화합물과 안정적으로 결합이 되게 할 수 있다. 즉 1차 봉공처리의 온도를 높게 유지할 필요가 없어, 공정 비용이 절감된다.
타닌산은 금속과 용이하게 결합하는 특성이 있다. 염료 내에 포함된 금속 성분이 타닌산과 결합해서 킬레이트를 형성하여 염료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작용을 수행함으로써 탈색을 방지한다.
1차 봉공처리 및 2차 봉공처리는 각각 다른 함량의 봉공처리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균 효과가 개선된 아노다이징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알레르기 등 인체 유해성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아노다이징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아노다이징 제품에서 염료가 탈색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색상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식성이 향상된 아노다이징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알루미늄 제품의 탈색 전후를 비교하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알루미늄 제품의 내식성 시험 결과를 비교하는 사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알루미늄 제품의 다양한 세균에 대한 항균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피처리물로서 알루미늄 모재를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전처리 공정으로서 수세, 탈지, 에칭 및 수세를 차례로 수행하였다. 탈지는 산성 탈지 공정으로 이루어졌는데 피처리물을 60℃ 온도의 수용액에서 1분간 처리하였다. 이를 통해 유지분을 제거하였다.
에칭은 알칼리 에칭을 하였으며, 이를 통해 알루미늄 표면의 산화 피막을 제거하였다.
다음으로, 화학연마 공정을 수행하였다. 화학연마는 한가람화학의 ALB-400을 사용하여 90℃에서 피처리물을 20초간 유지하였다. 이를 통해, 피처리물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광택을 부여하였다.
다음으로 아노다이징 공정을 수행하였다.
아노다이징은 15~20% 황산 용액에서 이루어졌다. 이때 전압은 13~15V로 하였으며, 도금조의 온도는 20℃로 유지하였고, 처리 시간은 30~40분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아노다이징을 완료하고 이어서 염료 착색 공정을 수행하였다.
염색 공정은 아노다이징을 통해 형성된 산화피막층에 원하는 색상을 선택하여 염료를 착색하는 공정이다.
착색 가능한 염료의 색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보라색 계열, 구리색 계열, 황동색 계열 등의 아조 염료(azo dye)로서, 일본 Okuno사의 제품(AC BLACK GRLH(420), TAC BLACH SLH(415), TAC ORANGE LH(301), TAC RED BLH(102), TAC BLUE RCD(501))을 사용하였다. 착색 공정은 염료가 포함된 50℃ 용액에 피처리물을 염료색상에 따라 1~5분 동안 침지시킴으로써 이루어졌다.
염색 공정이 완료된 뒤에는 봉공처리를 1차와 2차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1차 봉공처리는 1차 봉공처리제가 포함된 용액에 피처리물을 담가 둠으로써 실시하였다. 1차 봉공처리는 타닌산 0.1g~10g/l, 티오우레아 0.1~10g/l, 계면활성제 0.1~10g/l를 포함하는 조성의 봉공처리제를 사용하였다.
pH는 4~6 범위로 하였고, 용액의 온도는 30~60℃로 유지하였다. 이러한 조건에서 피처리물을 1~10분 유지함으로써 1차 봉공처리를 완료하였다.
봉공처리제에 함유된 성분 중 타닌산은 염색 공정 후 봉공처리 공정에서 염료의 탈색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티오우레아는 봉공처리 공정에 사용 시 발수성 효과를 주어 내식 성능 향상에 도움을 준다.
계면활성제로서는 BASF 계열의 SpecialChem사에서 판매하는 타몰(Tarmol)을 사용하였다. 타몰은 술폰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분산제 형태이며, 표면장력을 감소시켜 알루미늄 표면의 활성도를 높이는 계면활성제로서 작용함으로써 봉공처리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이어서 2차 봉공처리를 수행하였다. 2차 봉공처리는 2차 봉공처리제가 포함된 용액을 피처리물을 담가 실시하였다. 2차 봉공처리에는 타닌산 0.1g~10g/l, 티오우레아 0.1~10g/l, 계면활성제 0.1~10g/l를 포함하는 조성의 봉공처리제를 사용하였다.
pH는 3~6 범위로 하였고, 용액의 온도는 80~90℃로 유지하였다. 이러한 조건에서 피처리물을 1~10분 유지하여 2차 봉공처리를 완료하였다.
2차 봉공처리가 종료된 뒤에는 건조 공정을 거쳐 염색이 완료된 아노다이징 알루미늄 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 건조는 100~110℃에서 4~10분 동안 수행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봉공처리제를 사용할 경우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1차 봉공처리 및 2차 봉공처리의 봉공처리제 조성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봉공처리를 수행하였고 그에 대해 탈색과 부식 상황을 테스트하였다.
탈색 여부는 육안으로 검사하였고, 내식성 시험은 1N 농도의 NaOH를 표면에 적하시키는 가속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표면에 부식 현상이 일어났는지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 1차 봉공처리 2차 봉공처리 탈색 상황 1N NaOH 테스트 종합
1 타닌산 5g/L 314실러(한가람화학) +
아세트산마그네슘 5~200g/L
변화없음 NG NG
(No Good)
2 타닌산 5g/L 314실러(한가람화학) +
탄산마그네슘 5~200g/L
변화없음 NG NG
3 타닌산 5g/L 314실러(한가람화학) +
구연산 5~50g/L
변화없음 NG NG
4 타닌산 5g/L 아세트산나트륨 5g/L
아세트산마그네슘 5g/L
Tarmol 50g/L
트리에탄올아민 10g/L
변화없음 NG NG
5 타닌산 5g/L 314실러(한가람화학) +
음이온 계면활성제
탈색 및 표면에 파우더링 현상 NG
6 314실러(한가람화학) +
탄산마그네슘 5~200g/L
탈색 및 표면에 파우더링 현상 NG
7 타닌산 5g/L 314실러(한가람화학) +
타닌산(1~100g/L) + 멜라민+글리신
탈색 없음,1N NaOH 테스트 통과, 침전물 생성(현장사용 불가) NG
8 타닌산 5g/L 타닌산 0.5g/L +
티오우레아0.5g/L+
Tarmol 0.5g/L
변화없음 OK PASS
9 타닌산 5g/L 불화지르코늄 칼륨 5g/L 변화없음 NG NG
10 H-298(OKUNO) 20ml/L 314실러(한가람화학) +
트리에탄올아민(50g/L)
표면에 파우더링 현상 NG
11 타닌산 5g/L 아세트산 망간 2g/L_ 불균일한 탈색 현상 NG
12 타닌산 0.3g+ Tarmol 0.3g + 티오우레아 0.3g/L 타닌산 1.5g+ Tarmol 1.5g + 티오우레아 1.5g/L 변화없음 OK PASS
13 타닌산 1.5g+ Tarmol 1.5g + 티오우레아 1.5g/L 타닌산 1.5g+ Tarmol 1.5g + 티오우레아 1.5g/L 변화없음 OK PASS
14 타닌산 1.5g+ Tarmol 1.5g + 티오우레아 1.5g/L 아세트산리튬 9g + 라우릴황산나트륨 1g + 황산암모늄 2g 변화없음 NG NG
15 타닌산 1.5g+ Tarmol 1.5g + 티오우레아 1.5g/L 타닌산 5g+ Tarmol 5g + 티오우레아 5g/L 변화없음 OK PASS
16 타닌산 0.3g+ Tarmol 0.3g + 티오우레아 0.3g/L 314실러(한가람화학) + 염화제일주석 1g 변화없음 NG NG
17 타닌산 10g 타닌산 10g+ Tarmol 5g + 티오우레아 5g/L 변화없음 OK PASS
상기 표로부터 실험 1~7, 9~11, 14, 16은 2차 봉공처리제에 종래에 사용되는 물질들을 함유시켜 처리한 경우의 비교예로서, 1차 봉공처리제에는 타닌산을 포함시켰으나 2차 봉공처리제에는 종래 사용되던 물질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비교예들의 경우, 탈색이 일어나거나 내식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8, 12, 13, 15, 17은 본 발명에 따라 1차 봉공처리제에 타닌산을 함유시키고, 2차 봉공처리제에는 타닌산, 그리고 티오우레아, 계면활성제로서 타몰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시킨 경우의 실시예이다.
실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 실시예의 경우 탈색이 발생되지 않았고, 내식성 시험에서도 문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2차 봉공처리에서 타닌산과 티오우레아와 타몰을 1:1:1 또는 2:1:1의 비율로 함유시켰을 때 탈색과 내식성 모두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시험 결과는 도면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보라색 계열 염료를 착색한 제품으로서, 왼쪽은 본 발명에 따른 봉공처리제를 사용한 경우이고, 오른쪽은 종래 봉공처리제를 사용한 경우이다. 또 도 2는 브론즈 계열 염료를 착색한 제품으로서, 왼쪽은 본 발명에 따른 봉공처리제를 사용한 경우이고, 오른쪽 두 제품은 종래 봉공처리제를 사용한 경우이다.
도 1 및 도 2 모두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제품에서는 제품 부위별로 색상이 일부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의 경우 탈색이 발생되지 않고 제품 전체에 대해 균일한 색상을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알루미늄 제품의 내식성 시험 결과를 비교하는 사진이다. 도 3에서 왼쪽은 종래 봉공처리제를 사용한 제품의 내식성 시험 결과 사진이고 오른쪽은 본 발명의 봉공처리제를 사용한 제품에 대한 내식성 시험 결과 사진이다.
사진에서 종래 기술 제품의 경우 NaOH 적하에 의해 부식이 일어난 부분이 명확히 구별됨을 알 수 있다. 반면, 본 발명 제품의 경우, 적하된 부분과 다른 부분의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본 실험은 가속 실험이기 때문에 실제 사용 환경에서는 오랜 기간 동안 내식 성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항균 시험을 수행하였다. 항균 시험은 한국원적외선협회(KIFA) 산하 한국원적외선응용평가연구원에 의뢰하여 주요 세균에 대해 이루어졌다.
구체적인 시험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에서 "Blank"는 시료, 즉 본 발명에 따른 아노다이징 제품이 없는 상태에서 측정한 것이며, "알루미늄 아노다이징"은 본 발명에 따른 아노다이징 제품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Figure 112018131276913-pat00001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초기 농도가 106CFU/ml 이상이었던 대장균, 녹농균, 포도상구균, 폐렴균, 살모넬라균의 농도가 24시간 후에는 모두 1.0x103CFU/ml 미만으로 99.9% 이상 감소되었다.
이는 도 4a 내지 도 4e의 사진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24시간 경과 후 대장균, 녹농균, 포도상구균, 폐렴균, 살모넬라균이 거의 없음을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봉공처리제를 이용할 경우 항균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알루미늄 피처리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알루미늄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탈지 단계;
    상기 알루미늄 표면의 산화 피막을 제거하기 위한 알칼리 에칭 단계;
    상기 피처리물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광택을 부여하기 위하여 90℃에서 20초간 화학 연마하는 단계;
    상기 알루미늄을 15~20% 황산 용액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13~15V의 전압, 20℃의 도금조 온도 및 30~40분의 처리 시간 조건에서 통전시켜 표면에 산화피막층을 형성하는 아노다이징 단계;
    상기 아노다이징으로 형성된 산화피막에, 아조 염료가 포함된 50℃의 용액에 1~5분 동안 피처리물을 침지시킴으로써 염료를 착색하는 염색 단계;
    상기 염색 단계에서 염료가 착색된 알루미늄 피처리물을, 타닌산 0.3g~10g/l, 티오우레아 0.3~1.5g/l, 계면활성제 0.3~1.5g/l를 포함하는 조성의 1차 봉공처리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에서, pH 4~6 범위, 온도 30~60℃에서 1~10분 유지함으로써 1차 봉공처리하는 단계;
    상기 1차 봉공처리된 피처리물을 타닌산 0.5g~10g/l, 티오우레아 0.5~5g/l, 계면활성제 0.5~5g/l를 포함하는 조성의 2차 봉공처리제가 함유된 수용액에서 pH 3~6 범위, 온도는 80~90℃에서 1~10분 유지함으로써 2차 봉공처리하는 단계; 및
    2차 봉공처리가 완료된 상기 피처리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이 강화된 봉공처리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171250A 2018-12-27 2018-12-27 항균성이 강화된 아노다이징 봉공처리제 및 봉공처리 방법 KR102157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250A KR102157561B1 (ko) 2018-12-27 2018-12-27 항균성이 강화된 아노다이징 봉공처리제 및 봉공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250A KR102157561B1 (ko) 2018-12-27 2018-12-27 항균성이 강화된 아노다이징 봉공처리제 및 봉공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108A KR20200081108A (ko) 2020-07-07
KR102157561B1 true KR102157561B1 (ko) 2020-09-18

Family

ID=71602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250A KR102157561B1 (ko) 2018-12-27 2018-12-27 항균성이 강화된 아노다이징 봉공처리제 및 봉공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5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294B1 (ko) 2020-08-19 2020-12-29 김근호 항균 알루미늄 아노다이징 착색 처리방법
CN113308720A (zh) * 2021-05-18 2021-08-27 无锡威卡威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铝型材氧化着色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436B1 (ko) * 2017-11-13 2018-07-03 인천화학 주식회사 알루미늄계 소재의 내산내알칼리 강화 표면처리방법 및 알루미늄계 소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3597A (ja) * 1998-05-08 1999-11-26 Matsushita Seiko Co Ltd 抗ウイルス抗菌防カビ加工アルミニウム陽極酸化皮膜
KR101621371B1 (ko) * 2014-10-06 2016-05-16 한가람화학 주식회사 니켈염을 함유하지 않은 탈색방지 아노다이징 공정 및 이에 따른 탈색방지 아노다이징용 봉공 처리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436B1 (ko) * 2017-11-13 2018-07-03 인천화학 주식회사 알루미늄계 소재의 내산내알칼리 강화 표면처리방법 및 알루미늄계 소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108A (ko)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7561B1 (ko) 항균성이 강화된 아노다이징 봉공처리제 및 봉공처리 방법
Ali et al. Eco-friendly and protective natural dye from red prickly pear (Opuntia Lasiacantha Pfeiffer) plant
Ashrafi et al. Dyeing properties and color fabrics using natural dye and mordant
Ali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wool fabric dyed with natural dyes
CN103203787A (zh) 一种以蔗糖为染色剂的竹木餐具染色方法
US2030476A (en) Method of producing mirrors
KR20110089686A (ko) 나노은 함유 키토산 및 면 혼방 편직물의 천연 염색 방법 및 천연 염색 편직물
TWI395793B (zh) 紅色甕染料之混合物、彼之製法及彼於染色含羥基的材料上之用途
CN106472952A (zh) 一种肠衣生物保鲜剂及其应用
KR102114222B1 (ko) 냉동 후 해동된 복숭아의 식감 변화 억제 방법
JP2004091758A (ja) 着色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ilisnur et al. Colorimetric properties of batik fabrics colored using gambier liquid waste
Gümrükçü Effect of tannic acid and metal salts on dyeing of woolen fabrics with red onion (Alliumcepa L.)
US11371157B2 (en) Process for incorporating zinc into a dyed anodized layer for protecting dye colorants from light exposure
EP2116138B1 (en) Method of preparing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f. purpurea syrup
WO2013167350A2 (en) A method of colouring keratinous fibers
CN102251413B (zh) 提高叶绿素铜钠盐染棉织物耐日晒牢度的方法
CN108086017B (zh) 一种三颗针植物染料上染腈纶织物的方法
KR20100104585A (ko) 높은 염색견뢰도를 갖는 천연염색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염색된 천연직물
KR101821371B1 (ko) 함초를 이용한 직물의 염색방법
JP4526846B2 (ja) アントシアニン色素を含む染料溶液及びそれを用いた染色方法
KR20100107682A (ko) 높은 염색견뢰도를 갖는 소목 염색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염색된 천연직물
CN108770840B (zh) 一种烟草病害叶片标本浸渍保存液及标本制作方法
KR102673463B1 (ko) 과채류 갈변 방지제 조성물
KR101214228B1 (ko) 대청을 이용한 항균 헝겊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