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301B1 - retractable door handle - Google Patents
retractable door hand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7301B1 KR102157301B1 KR1020190081545A KR20190081545A KR102157301B1 KR 102157301 B1 KR102157301 B1 KR 102157301B1 KR 1020190081545 A KR1020190081545 A KR 1020190081545A KR 20190081545 A KR20190081545 A KR 20190081545A KR 102157301 B1 KR102157301 B1 KR 1021573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tch
- door
- extension
- grip
- grip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7—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3—Handles creating a completely closed wing surfac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6—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t one en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ractable door hand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tractable door handle with improved usability.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도어에 의해 실내공간이 개폐된다. 이러한 자동차의 도어는 외부에 도어손잡이가 설치되어 있어 탑승자가 도어손잡이를 파지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In general, the interior space of a vehicle is opened and closed by a plurality of doors. The door of such a vehicle has a door handle installed on the outside, so that the occupant can open and close the door by holding the door handle.
여기서, 자동차의 도어에 탑승자가 파지하도록 구비된 도어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므로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발생되어 소음이 증가되며 차량의 주행시 공기 저항에 의해 주행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ere, since the door handle provided on the door of the vehicle to be gripped by the occupant is installed in a protruding form, wind noise is generated by the wind, thereby increasing noise, and driving performance is degraded due to air resistance when the vehicle is running.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자동차의 도어 외측으로 돌출된 도어손잡이를 도어의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삽입시켜 주행중에 바람의 간섭이나 풍절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손잡이에 관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search and development on a door handle for automobiles that can minimize wind interference or noise while driving by selectively inserting a door handle protruding out of the door of a vehicle has been conducted. have.
상세히, 상기 도어손잡이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일면이 개구되며 형성된 함몰 공간에 선택적으로 팝업 및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손잡이가 상기 도어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도어손잡이 및 상기 도어의 외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되어 미려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door handle may be provided so as to be selectively popped up and inserted into a recessed space formed by opening one side on one side of the door. Here, when the door handle is inserted into the door, the door handle and the outer surface profile of the door are formed as a substantially continuous surface to form a beautiful appearance.
그리고, 상기 도어손잡이가 상기 도어의 함몰 공간으로부터 팝업되면 사용자가 도어손잡이를 당겨 도어 내부에 구비된 락킹장치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내부에 구비된 락킹장치의 래치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 도어손잡이는 힌지 회동되어 당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oor handle pops up from the recessed space of the door, the user can pull the door handle to release the locking device provided in the door. In this case, in order to release the latch of the locking device provided in the door, the door handle may be provided to be able to rotate and pull the hinge.
그러나, 종래의 도어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손잡이는 긴급상황 발생에 의해 고장이 발생한 경우 도어손잡이가 도어와 외면 프로파일이 연속면으로 배치되므로 락킹장치의 구동을 위해 도어손잡이를 당길 수 없어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a failure caused by an emergency situation, the door handle provided to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conventional door can pull the door handle to drive the locking device because the door and the outer profile are arranged in a continuous surface.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open the door of the vehicle because there was no.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a problem to provide a retractable door handle with improved usability.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에 배치되되 일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도어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시 상기 도어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틸팅 팝업되는 그립몸체와, 상기 그립몸체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몸체를 포함하는 그립부; 상기 그립몸체가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되도록 선택적으로 신축됨에 따라 상기 연장몸체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신장구동부;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되는 2차 회동시 상기 연장몸체의 동작에 의한 작동력을 전달하는 래치부; 및 상기 래치부에 연결되어 상기 연장몸체에 의한 작동력에 의해 상기 도어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도어 락킹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래치부는 일측이 1차 회동되어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의 2차 회동시 상기 연장몸체에 의해 걸림 가압되며 중앙부에 제1래치회동축이 힌지 회동되도록 구비되는 래치시소부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부에 배치되되 일측이 상기 래치시소부의 타측에 연결되며 제2래치회동축이 힌지 회동되도록 구비되고 타측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연결되는 래치케이블홀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or case portion which is disposed on the door, one surface is opened and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therein; When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the grip body is provided to form a substantially continuous exterior profile with the exterior surface of the door and selectively tilts and pops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and integrally extends from the grip body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door case part. A grip portion including an extended body; An extension driving unit for selectively pressing the extension body as the grip body is first rotated to selectively expand and contract so as to be tilted and popped up; A latch unit for transmitting an operating forc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extension body when the grip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rotation is tilted and popped up is pulled outwardly of the door case part; And a door locking device connected to the latch part and provid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door by an actuating force by the extension body, wherein one side of the latch part is first rotated and the second of the grip body is popped up. A latch seesaw part which is pressed and held by the extension body during rotation and provided so that the first latch rotation shaft is hingedly rotated at the center, and a latch seesaw part disposed outside the door case part, one sid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atch seesaw part, and a second latch It provides a retractable door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latch cable holder to which a rotation shaft is hingedly rotated and a wire providing a tensile force to the other side is connected.
삭제delete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 solution mean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접근감지센서에 의해 스마트키가 접근시 신장구동부가 연장몸체를 가압함에 따라 다단 회동식으로 구비된 그립몸체가 수용공간으로부터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되며, 1차 틸팅 팝업된 그립몸체가 사용자에 의해 당겨지면 2차 회동되어 도어 락킹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므로 사용편의성 및 작동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First, when the smart key approaches by the approach detection sensor, the grip body provided in a multi-stage rotation type first rotates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as the extension drive presses the extension body, and the tilt pops up, and the grip body with the primary tilt pop-up is the user When it is pulled by, the door locking device is unlocked by a secondary rotation, so that the convenience of use and operation precision can be improved.
둘째, 신장구동부에 의해 1차 회동되는 그립몸체의 틸팅 팝업 여부와 관계없이 사용자의 당김시에만 회동되는 래치부에 연결된 도어 락킹장치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므로 의도치 않은 락킹장치의 자동 해제가 미연에 방지되어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Second, the door locking device connected to the latch that rotates only when the user pulls,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tilting pop-up of the grip body that is first rotated by the extension drive unit is kept locked. It can be prevented and the safety of use can be remarkably improved.
셋째, 그립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신장로드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연장몸체가 그립몸체의 중앙부로부터 일측방향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어 액츄에이터의 가압력이 지렛대 원리에 의해 증폭되므로 에너지효율이 개선되며 회동 거리가 최소화되므로 제품이 소형화될 수 있다. Third, since the extension body formed integrally with the grip body and selectively pressed by the extension rod portion is formed at an eccentric position in one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grip body, the pressing force of the actuator is amplified by the lever principle, thus improving energy efficiency. Since the rotation distance is minimized, the product can be miniaturized.
넷째, 래치시소부의 제1래치회동축이 연장몸체측으로 편심 배치되어 사용자가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된 상태의 그립몸체를 최소한의 회동각도로 당기더라도 도어 락킹장치가 잠금 해제되기 위한 회동각도로 증폭됨에 따라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Fourth, the first latch rotation shaft of the latch seesaw part is eccentrically arranged toward the extension body, so that even if the user pulls the grip body in the tilted pop-up state to the minimum rotation angle, it is the rotation angle for unlocking the door locking device. As it is amplified, the door can be easily opened, so that the us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다섯째, 긴급상황에서 신장구동부 또는 그립부의 미작동시 도어케이스부의 내부에 긴급스위치부 및 키홀더로서 구비되는 긴급개방수단을 통해 그립부를 강제로 틸팅 팝업시킨 후 도어를 강제 개방 가능하므로 사용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Fifth, in an emergency situation, when the extension drive unit or the grip unit is not operated, the door can be forcibly opened after tilting the grip unit through the emergency opening means provided as an emergency switch unit and a key holder inside the door case unit. I ca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나타낸 상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나타낸 블록도.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top view showing a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 및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3,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top view showing. And, 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tractabl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500)은 도어케이스부(410), 그립부(420), 신장구동부(430), 래치부(460), 제어부(470), 그리고 도어 락킹장치(미도시)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1 to 8, the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도어케이스부(410)는 차량의 도어마다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어장치로 도시 및 설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도어케이스부(410)는 차량에 구비되는 도어장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리트렉터블 도어핸들(500)은 차량의 도어장치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도어장치에도 적용 가능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도어케이스부(410)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도어 자체의 외측 프레임에 본 발명의 각 구성이 배치되도록 수용공간이 함몰 형성되는 구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케이스부(410)가 차량 도어에 구비되어 장착되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된다.Furth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상기 도어케이스부(410)는 도어(1)에 배치되되,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그립부(420)가 수용되도록 개구부(413)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내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수용공간(41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여기서, 상기 도어케이스부(410)는 상기 수용공간(411)이 형성되도록 기설정된 두께 및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411)은 상기 그립부(420)의 전후방향 길이를 초과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개구부(413)측 테두리가 상기 그립부(420)의 측면과 미세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에 형성된 상기 수용공간(411)에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500)의 상기 그립부(420), 상기 신장구동부(430), 상기 래치부(460)가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그리고,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내부에는 후술되는 상기 래치부(460)의 래치연결축(463)이 통과되도록 원호 형태의 래치관통공(414)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래치관통공(414)은 후술되는 제1래치회동축(461b)을 회전 기준점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arc-shaped latch through
한편, 상기 그립부(420)는 그립몸체(421)와, 상기 그립몸체(421)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몸체(42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그립부(420)의 그립몸체(421) 및 연장몸체(422)의 배치 형상이 상부에서 바라보는 경우 편심된 "T"자 형태로 도시 및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그립부(420)가 편심된 "T"자 형태로 설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그리고, 상기 그립몸체(421)는 상기 수용공간(411)에 삽입시 상기 도어(1) 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그립몸체(421)는 차량의 주행시 및 차량 전원의 오프시에 상기 수용공간(411)에 완전 삽입되어 외면이 상기 도어(1)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배치됨이 가장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그립몸체(421)는 모서리가 라운드진 직육면체 등의 평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립몸체(421)의 외면 높이 및 폭방향 길이는 상기 수용공간(411)의 개구된 일면이 완전 커버되도록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개구부(413)측 테두리의 크기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이에 따라, 차량의 주행시 상기 그립부(420)의 그립몸체(421)가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수용공간(411)에 완전 삽입되면 상기 그립몸체(421)와 상기 도어(1)의 외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예방되어 차량 내부의 소음이 저감되며 공기 흐름 개선에 따른 차량의 주행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421)의 외면에 발열부(미도시)가 배치되도록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내측방향으로 함몰공간이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함몰공간을 커버하는 커버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some cases, a recessed space may be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그리고, 상기 그립부(420)는 상기 그립몸체(421)의 내측단 및 상기 연장몸체(422)의 외측단이 접하는 모서리를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회동되어 상기 그립몸체(421)가 상기 도어케이스부(410)로부터 틸팅 팝업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그립부(420)에는 그립회동축(420a)이 구비되되, 상기 그립회동축(420a)은 상기 그립몸체(421)의 내측단 및 상기 연장몸체(422)의 외측단이 접하는 영역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그립회동축(420a) 및 상기 연장몸체(422)는 상기 그립몸체(421)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그립몸체(421)의 일측방향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그립회동축(420a)은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에 힌지 고정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그립회동축(420a)에는 상기 그립부(420)에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내측으로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도록 토션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여기서, 상기 그립몸체(421)는 상기 그립회동축(420a)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공간(411)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외측방향으로 기설정된 길이만큼 상기 개구부(413)를 통해 회동되어 틸팅 팝업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틸팅 팝업이라 함은 상기 그립회동축(420a)을 기준으로 상기 그립몸체(421)의 일측이 상기 도어케이스부(410) 내부로 회동되어 삽입되되, 상기 그립몸체(421)의 타측이 상기 도어케이스부(410)로부터 회동되어 팝업되는 것을 의미한다. Here, the
또한, 상기 그립몸체(421)는 다단 회동식, 즉, 상기 수용공간(4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마트키(미도시)가 접근시 자동으로 1차 회동된 후 사용자에 의해 당김되어 2차 회동되는 방식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그립몸체(421)는 상기 신장구동부(430)에 의해 상기 그립몸체(421)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연장몸체(422)가 가압시 1차 회동되어 상기 수용공간(411)으로부터 틸팅 팝업되며,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됨에 따라 2차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립몸체(421)가 상기 도어(1)의 외면을 기준으로 2차 회동시의 각도가 1차 회동시의 각도보다 큰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1차 회동시의 각도가 19.5deg인 경우 2차 회동시의 각도는 27.5deg로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연장몸체(422)는 상기 그립몸체(421)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몸체(422)는 상기 그립몸체(421)와 실질적인 수직으로 배치되며 직육면체 등의 평판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실질적으로 수직이라 함은 상기 연장몸체(422)가 상기 그립몸체(421)와 수직에 근접한 미세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와, 상기 그립몸체(421) 및 상기 연장몸체(422)의 경계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경우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상기 연장몸체(422)는 상기 신장로드부(430)의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그립부(420)가 편심된 "T"자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상기 연장몸체(422)는 상기 그립몸체(421)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그립몸체(421)의 일측방향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연장몸체(422)의 단부측 일면은 상기 신장구동부(430)의 신장로드부(432) 단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신장로드부(432)가 상기 신장구동부(430)의 액츄에이터(431)에 의해 수축되는 경우 상기 연장몸체(422) 및 상기 신장로드부(432)가 상호간 이격되며, 상기 신장로드부(432)가 상기 신장구동부(430)의 액츄에이터(431)에 의해 확장되는 경우 상기 신장로드부(432)가 상기 연장몸체(422)를 가압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연장몸체(422)의 외측단에서 상기 그립몸체(421)의 일단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연장몸체(422)의 외측단에서 상기 그립몸체(421)의 타단부까지의 거리 미만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신장구동부(430)가 상기 그립몸체(421)의 일측으로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그립몸체(421)의 틸팅 팝업시 상기 그립몸체(421)가 상기 수용공간(411)으로 회동되어 삽입되는 영역이 최소화되므로 제품이 소형화되어 공간활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And, the distance from the outer end of the
여기서, 상기 신장로드부(430)가 상기 연장몸체(422)를 가압시 상기 그립몸체(421)의 일측이 상기 그립회동축(420a)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공간(411)으로 회동되어 삽입되며, 상기 그립몸체(421)의 타측이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외측방향으로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됨이 바람직하다. Here, when the
또한, 상기 연장몸체(422)의 내측단에는 상기 신장구동부(430)의 배치방향 및 상기 래치부(460)의 배치 방향을 각각 향하도록 절곡지게 확장되는 접촉확장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contact expansion protrusion may be formed at an inner end of the
한편, 상기 신장구동부(430)는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일측 또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그립몸체(421)가 1차 회동되어 상기 수용공간(411)으로부터 틸팅 팝업되도록 선택적으로 신축됨에 따라 상기 연장몸체(422)를 선택적으로 가압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상기 신장구동부(430)는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일측 또는 상기 도어(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그립몸체(421)를 틸팅 팝업시키도록 구동되는 액츄에이터(431)와, 상기 액츄에이터(431)에 연결되어 상기 연장몸체(422)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선택적으로 신축되는 신장로드부(43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상세히, 상기 액츄에이터(431)는 중공형 원통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 일측이 개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431)는 개구된 일측이 상기 연장몸체(422)를 향하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In detail, the
그리고, 상기 신장로드부(432)는 상기 액츄에이터(431)의 형상과 대응되는 원통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신장로드부(432)의 외경이 상기 액츄에이터(431)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신장로드부(432)는 일단이 상기 액츄에이터(431)의 내측에 삽입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액츄에이터(431)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액츄에이터(431)에 의해 확장시 상기 연장몸체(422)를 선택적으로 가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신장로드부(422)는 상기 액츄에이터(431)의 구동에 대응되어 선택적으로 확장 및 수축되되,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예컨대,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전후방향 길이가 340mm인 경우 상기 신장로드부(432)의 왕복 이동 범위가 7.5mm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장로드부(432)가 상기 액츄에이터(431)로부터 7.5mm 확장되면 상기 신장로드부(432)가 상기 연장몸체(422)를 가압하며, 상기 연장몸체(422)는 상기 그립회동축(420a)를 기준으로 19.5deg만큼 1차 회동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length of the
이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43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신장로드부(432)가 상기 액츄에이터(431)로부터 정방향 및 역방향 중 어느 일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장로드부(432)가 상기 액츄에이터(431)에 의해 선택적으로 확장 및 수축되는 구성이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ly, by driving of the
이를 통해, 상기 액츄에이터(431)에 후술되는 상기 제어부(470) 및 접근감지센서(471)를 통해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액츄에이터(431)는 상기 신장로드부(432)가 확장 및 신축되도록 상기 신장로드부(432)를 자동 제어하므로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a control signal is received by the
또한, 상기 그립몸체(421)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연장몸체(422)가 상기 그립몸체(421)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그립몸체(421)의 일측방향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액츄에이터(431)의 가압력이 지렛대 원리에 의해 증폭되므로 에너지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연장몸체(422)의 회동 거리가 최소화되므로 제품이 소형화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500)은 별도로 구비된 차량의 스마트키(미도시)가 차량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시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감지센서(471)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여기서, 상기 접근감지센서(471)는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센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립부(420)에 내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근감지센서(471)는 차량에 설치되는 경우 사이드미러 및 차량 전후방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도어(1) 내부 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Here, the access detection sensor 471 may be provided as a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sensor,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the like, and may be provided to be embedded in the
이에 따라, 스마트키(미도시)를 소지한 사용자가 상기 접근감지센서(471)에 기설정된 반경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접근감지센서(4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a user holding a smart key (not shown) approaches the access detection sensor 471 within a preset radius distance, the access detection sensor 471 may detect the approach of the smart key (not shown). I can.
또한,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500)은 상기 접근감지센서(4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상기 그립몸체(421)가 상기 수용공간(411)으로부터 틸팅 팝업되도록 상기 신장구동부(430)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47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470)는 상기 접근감지센서(4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상기 그립몸체(421)가 상기 수용공간(411)으로부터 틸팅 팝업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431)에 제어신호를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431)는 선택적으로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 제어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액츄에이터(431)가 구동 제어됨에 따라 이에 연동된 상기 신장로드부(432)가 상기 신장로드부(432)의 길이방향 축을 기준으로 하여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될 수 있다. 이때, 정방향이라 함은 상기 신장로드부(431)가 상기 액츄에이터(431)로부터 확장되는 경우를 의미하며, 역방향이라 함은 상기 신장로드부(431)가 상기 액츄에이터(431)로 수축되는 경우를 의미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된 정방향 및 역방향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예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술된 신장구동부(430)의 정방향 및 역방향이 상호간 전환되는 구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세히,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70)는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이동시, 즉 차량의 주행시 및 차량의 전원 오프시 상기 그립부(420)가 상기 수용공간(411)에 완전 삽입되도록 상기 신장구동부(430)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역방향 구동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신장구동부(430)가 역방향 구동되면 상기 액츄에이터(431)에 연동된 상기 신장로드부(432)가 수축되어 상기 연장몸체(422)의 가압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421)가 상기 수용공간(411)에 완전 삽입될 수 있다. In detail, referring to FIG. 3, the
이때, 상기 그립몸체(421)가 상기 수용공간(411)측으로 완전 삽입되도록 탄성 복원시키기 위한 상기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차량 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이동, 그리고 차량의 전원 오프를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470)에 차량 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이동, 그리고 차량의 전원 오프에 대한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신장구동부(430)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역방향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astic member (not shown) may be provided for elastically restoring the
이에 따라,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이동시, 즉 차량의 주행시 그리고 차량의 전원 오프시에 상기 그립몸체(421)가 상기 수용공간(411)에 완전 삽입됨에 따라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예방되어 차량 내부의 소음이 저감되며 공기 흐름 개선에 따른 차량의 주행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70)는 상기 접근감지센서(4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및 상기 도어(1)의 개폐 또는 차량의 정지시 상기 그립몸체(421)가 상기 수용공간(411)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되도록 상기 신장구동부(430)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정방향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신장구동부(430)가 정방향 구동되면 상기 액츄에이터(431)에 연동된 상기 신장로드부(432)가 정방향 회전되어 상기 연장몸체(422)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421)가 상기 수용공간(411)으로부터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4, the
여기서, 상기 접근감지센서(4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하면 상기 접근감지센서(471)로부터 상기 제어부(470)로 감지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미도시)가 상기 접근감지센서(471)의 기설정된 반경 범위 내로 접근됨에 따라 상기 신장구동부(430)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정방향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Here, when the access detection sensor 471 detects the smart key (not shown), a detec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from the access detection sensor 471 to the
따라서, 상기 신장구동부(430), 상기 제어부(470), 상기 접근감지센서(471)의 상호간 구성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411)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421)가 틸팅 팝업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수용공간(411)으로부터 상기 개구부(413)를 통해 선택적으로 팝업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Therefore, the
이에 따라, 상기 접근감지센서(471)에 의해 상기 스마트키(미도시)가 접근시 상기 액츄에이터(431)가 전기적으로 제어됨에 따라 다단 회동식으로 구비되는 상기 그립몸체(421)가 상기 수용공간(411)으로부터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되며, 1차 회동되어 팝업된 상기 그립몸체(421)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외측방향으로 당겨지면 2차 회동되어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이 해제되는 구성으로 사용편의성 및 작동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Accordingly, as the
여기서, 상기 그립몸체(421)가 상기 수용공간(411)으로부터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시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에 구비된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며 틸팅 팝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그립몸체(421)가 상기 신장구동부(430)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411)으로부터 1차 회동되어 팝업시, 상기 연장몸체(422)의 내측단이 상기 래치부(460)의 래치시소부(461)를 가압하지 않는 상태가 유지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Here, when the
이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421)가 상기 수용공간(411)으로부터 팝업 및 삽입됨과 관계없이 상기 연장몸체(422)의 하부가 상기 래치부(460)의 래치시소부(461)를 가압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방되지 않는다. 즉, 상기 신장구동부(430)에 의한 상기 그립몸체(421)의 틸팅 팝업 및 삽입에 관계없이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개폐를 위한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용공간 내측면에 접촉센서가 구비되어, 접촉센서가 손잡이 내측에 구비된 접촉부와 접촉되면 도어가 잠금되되, 손잡이가 팝업되어 접촉센서와 이격되면 도어가 잠금해제되는 구성과 차이점이 존재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lower portion of the
이를 통해, 상기 그립몸체(421)가 상기 수용공간(411)으로부터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시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며 틸팅 팝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의 노후화, 외력 작용, 또는 오작동 등에 의해 그립몸체(421)가 의도치 않게 상기 수용공간(411)으로부터 틸팅 팝업되더라도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자동 해제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따라서, 상기 신장구동부(430)에 의해 선택적으로 틸팅 팝업 및 삽입되는 상기 그립몸체(421)의 틸팅 팝업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므로 의도치 않은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자동 해제가 미연에 방지되어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is kept in a locked state regardless of whether the tilting pop-up and the tilting pop-up of the
한편,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래치부(460)는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421)가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되는 2차 회동시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폐되기 위해 상기 연장몸체(422) 단부의 동작에 의한 작동력의 전달을 매개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3 to 6, the
그리고, 상기 래치부(460)는 일측(461a)이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421)의 2차 회동시 상기 연장몸체(422)에 의해 걸림 가압되며 중앙부에 제1래치회동축(461b)이 힌지 회동되도록 구비되는 래치시소부(46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래치시소부(462)는 바 형태로 구비되어 일측이 상기 연장몸체(422)의 단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타측이 상기 래치관통공(414)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래치시소부(462)의 중앙부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에 힌지 고정되는 상기 제1래치회동축(461b)이 구비되되, 상기 제1래치회동축(461b)은 상기 래치시소부(461)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래치시소부(461)의 일측방향으로 편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irst
여기서, 상기 제1래치회동축(461b)에서 상기 래치시소부(461)의 일측(461a) 사이의 거리(d1)는 상기 제1래치회동축(461b)에서 상기 래치시소부(461)의 타측(461c) 사이의 거리(d2) 미만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distance d1 between the first
그리고, 상기 래치시소부(461)의 일측(461a)은 상기 연장몸체(422)의 단부와 선택적으로 실질적인 접촉 가능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래치시소부(461)의 일측(461a)은 상기 그립몸체(421)가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시 일체로 회동된 상기 연장몸체(422)에 가압되지 않되 상호 접촉되거나 인접하게 배치되는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421)가 사용자에 의해 당김되어 2차 회동시 상기 그립몸체(421)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연장몸체(422)가 연동 회동되어 상기 래치시소부(461)의 일측(461a)을 가압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one
예컨대, 상기 그립몸체(421)가 사용자에 의해 1차 회동된 위치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10)의 외측방향으로 8deg만큼 2차 회동시 상기 연장몸체(422)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래치시소부(461)가 상기 제1래치회동축(461b)를 기준으로 19deg만큼 회동되어 상기 래치시소부(461)의 타측(461c)이 상기 래치관통홀(414)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즉,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421)의 2차 회동시 회동각도와 상기 래치시소부(461)의 회동각도 간의 비율은 1:2.0~2.5로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atch seesaw part pressed by the
따라서, 상기 래치시소부(461)의 제1래치회동축(461b)이 상기 래치시소부(461)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연장몸체(422)가 배치된 일측방향으로 편심 배치되어 사용자가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421)를 당김시 외력이 지렛대 원리에 의해 증폭되므로 에너지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몸체(422)의 회동 거리가 최소화되므로 제품이 소형화될 수 있다. Therefore, the first
이때, 경우에 따라 상기 연장몸체(422)에는 상기 래치시소부(461)의 일측(461a)과의 접촉면에 제1구름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래치시소부(461)의 일측(461a)에는 상기 제1구름접촉부와 마찰력이 최소화되도록 구름 접촉되는 제2구름접촉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구름접촉부 및 상기 제2구름접촉부는 톱니 기어로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t this time, in some cases, the
이를 통해,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421)가 사용자에 의해 당김됨에 따라 2차 회동되어 상기 연장몸체(422)가 상기 래치시소부(461)의 일측(461a)을 가압시 상호간의 마찰력이 최소화되어 마모가 실질적으로 방지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또한, 상기 래치시소부(461)의 타측(461c)은 상기 래치관통공(414)에 통과되어 배치되는 상기 래치연결축(463)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래치부(460)는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외부, 즉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되 일측(462a)이 상기 래치시소부(461)의 타측(461c)에 상기 래치연결축(463)을 통해 연결되며 제2래치회동축(462b)이 힌지 회동되도록 구비되고 타측(462c)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w)가 연결되는 래치케이블홀더(46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6, the
더불어, 상기 래치부(460)는 일단부가 상기 래치시소부(461)의 타측(461c)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래치케이블홀더(462)의 일측(462a)에 연결되는 상기 래치연결축(463)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래치케이블홀더(462)의 일측(462a) 및 상기 래치시소부(461)의 타측(461c)은 상기 래치연결축(463)을 통해 상호간 연결되어 상기 래치관통공(414)을 따라 회동되도록 상기 래치관통공(414)에 각각 정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여기서,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421)가 사용자에 의해 당김됨에 따라 2차 회동되어 상기 연장몸체(422)가 상기 래치시소부(461)의 일측(461a)을 가압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래치연결축(463), 상기 래치시소부(461)의 타측(461c), 및 상기 래치케이블홀더(462)의 일측(462a)이 상기 래치관통공(414)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회동됨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래치케이블홀더(462)의 일측(462a)이 상기 제2래치회동축(462b)를 기준으로 회동되면 상기 래치케이블홀더(462)의 타측(462c)이 연동 회동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w)가 당김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w)가 당김됨에 따라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도어(1)가 개방될 수 있다.Here, as the
예컨대, 상기 연장몸체(422)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래치시소부(461)가 상기 제1래치회동축(461b)를 기준으로 19deg만큼 회동되어 상기 래치시소부(461)의 타측(461c)이 상기 래치관통홀(414)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상기 래치케이블홀더(462)의 일측(462a)이 상기 제2래치회동축(462b)를 기준으로 56deg만큼 회동되며 상기 와이어(w)가 당김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그립몸체(421)를 8deg만큼 당겨 회동시킴을 통해 최종적으로 상기 와이어(w)를 견인하는 상기 래치케이블홀더(462)가 56deg, 즉 7배 만큼 회동각도가 증폭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그립몸체(421)를 최소한의 회동각도로 당기더라도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잠금 해제되기 위한 회동각도로 증폭됨에 따라 상기 도어(1)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Accordingly, even if the user pulls the
따라서,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421)를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외측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잠금 해제되므로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잠금 해제된 이후에 상기 래치부(460)가 탄성 복원되어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래치부(460)는 별도의 탄성복원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herefore, when the
그리고,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는 상기 래치부(460)에 연결되어 상기 연장몸체(422)에 의한 작동력에 의해 상기 도어(1)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oor locking device (not shown)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한편, 도 3 내지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500)은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1)의 개방을 매개하는 긴급개방수단(480)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긴급개방수단(480)은 긴급상황, 즉, 사고, 차량 배터리 방전, 회로 단선 등의 원인으로 인한 상기 신장구동부(430)의 미작동시 또는 사고, 결빙 등의 원인으로 인한 상기 그립부(430)의 미작동시 수동으로 구동되는 장치를 의미한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S. 3 to 5 and 7, the
여기서, 상기 긴급개방수단(480)은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내부에 배치되되 접촉면이 상기 그립몸체(421)의 내측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되도록 구비되는 긴급스위치부(481)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emergency opening means 480 includes an
상세히, 상기 긴급스위치부(481)는 외측단이 상기 그림몸체(421)의 내측단과 미세한 이격 거리로 이격 배치되는 스위칭로드와, 상기 스위칭로드의 내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스위칭로드의 가압시 상기 제어부(470)에 접촉신호를 전송하는 접촉센서와, 상기 스위칭로드의 외면을 감싸며 구비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the
여기서, 상기 긴급스위치부(481)는 상기 그립몸체(421)의 타측에 대응되는 상기 도어케이스부(410) 내부 수용공간(411)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환경 또는 장치고장 등의 원인으로 인해 상기 그립몸체(421)가 틸팅 팝업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그립몸체(421)의 타측을 터치 가압하면, 상기 그립몸체(421)가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내측으로 미세하게 회동되어 삽입됨에 따라 상기 긴급스위치부(481)가 가압될 수 있다.Here, the
그리고, 상기 긴급스위치부(481)가 가압되면 상기 제어부(470)에 접촉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470)가 상기 신장구동부(430)의 액츄에이터(431)를 정방향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상기 그립몸체(421)의 타측을 터치 가압하면 상기 긴급스위치(481)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액츄에이터(431)가 정방향 제어됨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421)가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또한, 상기 긴급개방수단(480)은 상기 도어케이스부(41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1) 개방을 위한 열쇠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키홀더(48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키홀더(482)는 상기 그립몸체(421)의 타측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도어케이스부(410) 내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키홀더(482)에 열쇠가 삽입되는 열쇠삽입부가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외측방향으로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mergency opening means 480 includes a
예컨대, 상기 신장구동부(430)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상기 그립몸체(421)가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신장구동부(430)가 배치된 방향의 상기 그립몸체(421)의 일면을 사용자가 가압하면 상기 그립몸체(421)가 외력에 의해 강제로 회동되어 틸팅 팝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몸체(421)의 타측이 틸팅 팝업됨에 따라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개구부(413)가 개방되면 상기 키홀더(482)의 열쇠삽입부에 사용자가 열쇠를 꽂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도어(1)가 개방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따라서, 긴급상황에서 상기 신장구동부(430) 또는 상기 그립부(420)의 미작동시 상기 도어케이스부(410)의 내부에 상기 긴급스위치부(481) 및 상기 키홀더(482)로서 구비되는 긴급개방수단(480)을 통해 상기 그립부(420)를 강제로 틸팅 팝업시킨 후 상기 도어(1)를 강제 개방 가능하므로 사용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Therefore, emergency opening means provided as the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can be present unless otherwise stated, excluding other component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general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are not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possible to be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claim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500: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410: 도어케이스부
411: 수용공간 413: 개구부
420: 그립부 420a: 그립회동축
421: 그립몸체 422: 연장몸체
430: 신장구동부 431: 액츄에이터
432: 신장로드부 460: 래치부
461: 래치시소부 462: 래치케이블홀더
470: 제어부 471: 접근감지센서
480: 긴급개방수단 500: retractable door handle 410: door case portion
411: accommodation space 413: opening
420:
421: grip body 422: extended body
430: kidney drive unit 431: actuator
432: extension rod portion 460: latch portion
461: latch seesaw part 462: latch cable holder
470: control unit 471: approach detection sensor
480: emergency opening means
Claims (13)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시 상기 도어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틸팅 팝업되는 그립몸체와, 상기 그립몸체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몸체를 포함하는 그립부;
상기 그립몸체가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되도록 선택적으로 신축됨에 따라 상기 연장몸체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신장구동부;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되는 2차 회동시 상기 연장몸체의 동작에 의한 작동력을 전달하는 래치부; 및
상기 래치부에 연결되어 상기 연장몸체에 의한 작동력에 의해 상기 도어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도어 락킹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래치부는
일측이 1차 회동되어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의 2차 회동시 상기 연장몸체에 의해 걸림 가압되며 중앙부에 제1래치회동축이 힌지 회동되도록 구비되는 래치시소부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부에 배치되되 일측이 상기 래치시소부의 타측에 연결되며 제2래치회동축이 힌지 회동되도록 구비되고 타측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연결되는 래치케이블홀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A door case portion disposed on the door and having an open surface and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When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the grip body is provided to form a substantially continuous exterior profile with the exterior surface of the door and selectively tilts and pops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and integrally extends from the grip body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door case part. A grip portion including an extended body;
An extension driving unit for selectively pressing the extension body as the grip body is first rotated to selectively expand and contract so as to be tilted and popped up;
A latch unit for transmitting an operating forc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extension body when the grip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rotation is tilted and popped up is pulled outwardly of the door case part; And
A door locking device connected to the latch unit and provid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door by an actuating force by the extension body,
The latch part
A latch seesaw part provided so that the first latch rotation shaft is hingedly rotat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grip body during the second rotation of the grip body in a state in which one side is first rotated and popped up and pressed by the extension bod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atch cable holder disposed outside the door case par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atch seesaw part, the second latch pivot shaft is provided to rotate the hinge, and the wire providing tension to the other side is connected. Retractable door handle.
상기 신장구동부는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그립몸체를 틸팅 팝업시키도록 구동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연결되어 상기 연장몸체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선택적으로 신축되는 신장로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The method of claim 1,
The kidney driver
An actuat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oor case and driven to tilt and pop the grip body,
Retractable door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xtension rod that is connected to the actuator and selectively expands and contracts to selectively press the extension body.
상기 연장몸체는 상기 신장로드부의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그립몸체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돌설되며, 상기 연장몸체의 외측단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상하방향으로 그립회동축이 구비되고,
상기 신장로드부가 상기 연장몸체를 가압시 상기 그립몸체의 일측이 상기 그립회동축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공간으로 회동되며, 타측이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The method of claim 2,
The extension body is integrally protruded from the grip bod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extension rod portion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door case portion, and a grip rotation shaft is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case portion at an outer end of the extension body. Become,
When the extension rod part presses the extension body, one side of the grip body is rotat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with respect to the grip rotation axis, and the other side is rotated firstly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door case part to be tilted and popped up. Travel door handle.
상기 제1래치회동축은 상기 래치시소부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래치시소부의 일측방향으로 편심 배치되되,
상기 제1래치회동축에서 상기 래치시소부의 일측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래치회동축에서 상기 래치시소부의 타측 사이의 거리 미만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latch rotation shaft is eccentrically disposed from the center of the latch seesaw to one side of the latch seesaw,
A retractable door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latch rotation shaft and one side of the latch seesaw part is set to be less than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latch rotation shaft and the other side of the latch seesaw part.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부에는 래치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래치케이블홀더의 일측 및 상기 래치시소부의 타측은 상호간 연결되어 상기 래치관통공을 따라 회동되도록 상기 래치관통공에 각각 정렬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The method of claim 1,
A latch through hole is formed through the inside of the door case part,
A retractable door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of the latch cable holder and the other side of the latch seesaw pa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ranged in alignment with the latch through holes so as to rotate along the latch through hole.
상기 연장몸체에는 상기 래치시소부와의 접촉면에 제1구름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래치시소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1구름접촉부와 구름 접촉되는 제2구름접촉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The method of claim 1,
The extended body has a first cloud contact portion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latch seesaw portion,
A retractable door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at one side of the latch seesaw part, a second cloud contact part in cloud contact with the first cloud contact part is formed.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을 매개하는 긴급개방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The method of claim 1,
Retractable door handle, further comprising an emergency opening means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door case to mediate opening of the door.
상기 긴급개방수단은
상기 도어케이스부 내부에 배치되되 접촉면이 상기 그립몸체의 내측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되도록 구비되는 긴급스위치부와,
상기 도어케이스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 개방을 위한 열쇠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키홀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The method of claim 8,
The emergency opening means
An emergency switch unit disposed inside the door case unit and provided such that a contact surface is selectively pressed by the inside of the grip body,
A retractable door handle comprising a key holder disposed inside the door case and selectively inserting a key for opening the door.
상기 긴급스위치부는 상기 그립몸체와의 접촉시 제어부에 접촉신호를 전송하는 접촉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센서가 상기 접촉신호를 전송시 상기 신장구동부의 액츄에이터를 정방향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The method of claim 9,
The emergency switch unit includes a contact sensor that transmits a contact signal to the control unit upon contact with the grip body,
The control unit is a retractable door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contact sensor transmits the contact signal, the actuator is forwardly controlled to the actuator of the extension driving unit.
별도로 구비된 스마트키가 상기 도어케이스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시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근감지센서가 상기 스마트키를 감지시 상기 그립몸체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틸팅 팝업되도록 상기 신장구동부의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pproach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approach when the separately provided smart key approaches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oor case unit,
The retractable door handle,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ctuator of the extension driving unit so that the grip body tilts and pops u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when the access detection sensor detects the smart key.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감지센서가 상기 스마트키를 감지시 및 도어의 개폐시 상기 액츄에이터에 연동된 신장로드부가 상기 연장몸체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정방향 제어하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이동시 및 전원 오프시 상기 그립몸체가 상기 수용공간에 완전 삽입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역방향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access detection sensor detects the smart key and when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the grip body is first rotat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ilted and popped up as an extension rod part interlocked with the actuator presses the extension body. Controlling the actuator in the forward direction,
A retractable door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ctuator is reversely controlled so that the grip body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when the door case unit is moved and when power is turned off.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1545A KR102157301B1 (en) | 2019-07-05 | 2019-07-05 | retractable door hand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1545A KR102157301B1 (en) | 2019-07-05 | 2019-07-05 | retractable door hand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57301B1 true KR102157301B1 (en) | 2020-09-17 |
Family
ID=72707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1545A KR102157301B1 (en) | 2019-07-05 | 2019-07-05 | retractable door hand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7301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28327A (en) * | 2020-04-16 | 2021-10-26 | 주식회사 우보테크 | Flush Handle For Vehicle Door |
US20220205289A1 (en) * | 2020-12-24 | 2022-06-30 | Hyundai Motor Company |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
FR3135740A1 (en) * | 2022-05-23 | 2023-11-24 | Akwel Vigo Spain Sl | Simplified opening control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40913A (en) * | 1999-08-04 | 2001-02-13 | Mitsubishi Motors Corp | Door handle device |
WO2015074020A1 (en) * | 2013-11-18 | 2015-05-21 | Illinois Tool Works Inc. | System composed of a door handle and of an actuation device for the door handle |
KR101637820B1 (en) | 2015-03-24 | 2016-07-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Retractable handle system for vehicle |
US20170292297A1 (en) * | 2014-09-18 | 2017-10-12 |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 Flush comfort handle |
-
2019
- 2019-07-05 KR KR1020190081545A patent/KR10215730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40913A (en) * | 1999-08-04 | 2001-02-13 | Mitsubishi Motors Corp | Door handle device |
WO2015074020A1 (en) * | 2013-11-18 | 2015-05-21 | Illinois Tool Works Inc. | System composed of a door handle and of an actuation device for the door handle |
US20170292297A1 (en) * | 2014-09-18 | 2017-10-12 |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 Flush comfort handle |
KR101637820B1 (en) | 2015-03-24 | 2016-07-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Retractable handle system for vehicle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28327A (en) * | 2020-04-16 | 2021-10-26 | 주식회사 우보테크 | Flush Handle For Vehicle Door |
KR102319327B1 (en) * | 2020-04-16 | 2021-11-01 | 주식회사 우보테크 | Flush Handle For Vehicle Door |
US20220205289A1 (en) * | 2020-12-24 | 2022-06-30 | Hyundai Motor Company |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
US11746576B2 (en) * | 2020-12-24 | 2023-09-05 | Hyundai Motor Company |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
FR3135740A1 (en) * | 2022-05-23 | 2023-11-24 | Akwel Vigo Spain Sl | Simplified opening control device. |
EP4283079A1 (en) * | 2022-05-23 | 2023-11-29 | Akwel Vigo Spain SL | Simplified opening control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57301B1 (en) | retractable door handle | |
US9458649B2 (en) | Vehicle door open/close operation apparatus | |
CN107407112B (en) | Telescopic handle device | |
US7155946B2 (en) | Mortise lock having double locking function | |
KR101637820B1 (en) | Retractable handle system for vehicle | |
JP6078647B2 (en) | Retractable handle structure | |
EP1205617B1 (en) | System for opening and closing sliding door | |
US7908709B2 (en) | Check link assembly | |
JP2002147089A (en) | Lock controller of slide door | |
WO2011115198A1 (en) | Slide assist device | |
US20210363793A1 (en) |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door | |
KR102176317B1 (en) | Up and down open and closed type charging door device for electric vehicle | |
KR102314798B1 (en) | retractable door handle | |
KR102143041B1 (en) | retractable door handle | |
KR102143038B1 (en) | retractable door handle | |
KR101382281B1 (en) | Fuel door apparatus of vehicle | |
CN211549234U (en) | Vehicle door opening/closing operation device | |
KR102157294B1 (en) | apparatus for retractable door handle | |
KR102157297B1 (en) | apparatus for retractable door handle | |
CN216197303U (en) | Electronic lock | |
US20180347243A1 (en) | Double door latch and lock assembly | |
KR20210012631A (en) | Motor-driven door latch for vehicle | |
CN205078048U (en) | Door lock device and storage box with same | |
JP7083625B2 (en) | Vehicle door open / close operation device | |
KR102601595B1 (en) | Door pop-up actuator unit of vehicle with door position dete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