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595B1 - Door pop-up actuator unit of vehicle with door position detection - Google Patents

Door pop-up actuator unit of vehicle with door position det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595B1
KR102601595B1 KR1020210086798A KR20210086798A KR102601595B1 KR 102601595 B1 KR102601595 B1 KR 102601595B1 KR 1020210086798 A KR1020210086798 A KR 1020210086798A KR 20210086798 A KR20210086798 A KR 20210086798A KR 102601595 B1 KR102601595 B1 KR 102601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op
unit
protrus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7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06072A (en
Inventor
엄정민
김민수
Original Assignee
대동도어 주식회사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도어 주식회사,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도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6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595B1/en
Publication of KR20230006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0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5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meshing gear wheels, one of which being mounted at the wing pivot axis; operated by a motor acting directly on the wing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therefo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Abstract

도어 위치 감지 기능을 갖는 차량의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이 제공된다. 팝업레버부와 연결되어, 상기 팝업레버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부;와 차량의 도어의 내측에 배치되되, 필요에 따라 차체 방향으로 인출되어, 상기 도어를 소정 정도 팝업시킬 수 있는 팝업레버부; 및 상기 팝업레버부와 일측이 접촉되어, 상기 도어의 닫힘, 팝업 및 열림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A vehicle door pop-up actuator unit having a door position detection function is provided. A motor unit connected to the pop-up lever unit and transmitting power to the pop-up lever unit; and a pop-up lever unit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door of the vehicle and pulled out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s needed to pop up the door to a predetermined degree; And a switch uni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pop-up lever unit on one side and can detect the closed, pop-up, and open states of the door. A door pop-up actuator unit may be provided, including a.

Description

도어 위치 감지 기능을 갖는 차량의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DOOR POP-UP ACTUATOR UNIT OF VEHICLE WITH DOOR POSITION DETECTION}Door pop-up actuator unit of a vehicle having a door position detection function {DOOR POP-UP ACTUATOR UNIT OF VEHICLE WITH DOOR POSITION DETECTION}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 위치 감지 기능을 갖는 차량의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door pop-up actuator unit installed on the door of a vehicle and having a door position detection function.

차량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크기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차량에는 개폐할 수 있는 도어가 구비되어 있다. 차량의 도어는 운전자 및 탑승자가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향한 내측면에는 인사이드 도어 핸들이 장착되고, 외측면에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이 장착되어 있다. The vehicle has an internal space large enough for a driver and passengers to board, and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a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The vehicle's door is equipped with an inside door handle on the inner side facing the interior space and an outside door handle on the outer side so that the driver and passengers can easily open and close the door.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 핸들은 운전자 및 탑승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거나, 핸들 내측으로 인입된 공간이 구비된다. 운전자 및 탑승자는 도어 핸들을 잡아당겨 차량의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그런데, 차량의 도어는 보통의 성인은 쉽게 열 수 있으나, 노약자 및 장애인 등 상대적으로 몸이 약한 사람은 열기 버거운 것이 사실이다. 또한, 겨울철 차량의 결빙 및 도어의 틈새에 이물질 등이 끼이는 경우에는 보통의 성인 또한 도어를 열기 어려울 수 있다. Generally, the door handle of a vehicle is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so that the driver and passengers can easily grip it, or has a space recessed inside the handle. Drivers and passengers can open the vehicle door by pulling the door handle. However, it is true that the average adult can easily open the door of a vehicle, but it is difficult for relatively weak people, such as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to open it. Additionally, in winter, when a vehicle is frozen or foreign substances are caught in the gap between the doors, even an average adult may find it difficult to open the door.

최근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에 의해 차량의 외관미가 저하되고, 차량 주행 시 소음 유발 및 주행 저항으로 인한 주행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웃사이드 핸들이 도어의 내측에 인입되어 있다가 사용 시에 돌출되는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이 개발되고 있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problem that the exterior beauty of vehicles is deteriorated due to outside door handles installed protruding outward, and that driving performance is deteriorated due to noise and driving resistance when driving the vehicle. To solve this problem, a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is being developed in which the outside handle is retracted into the inside of the door and then protrudes when used.

그러나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이라도 도어 핸들을 잡아당겨 차량의 도어를 여는 방식에는 차이가 없으므로 노약자 및 장애인 등이 용이하게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즉, 차량의 도어를 더 작은 힘으로 개방하기 위해 도어 오픈 방식을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However, even with a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method of opening the vehicle door by pulling the door handle, so it is difficult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to easily open the vehicle door.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door opening method to open the vehicle door with less force.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의 열림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도어 위치 감지 기능을 갖는 차량의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vehicle door pop-up actuator unit that is installed on a vehicle door and has a door position detection function that can detect the open state of the doo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팝업레버부와 연결되어, 상기 팝업레버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부;와 차량의 도어의 내측에 배치되되, 필요에 따라 차체 방향으로 인출되어, 상기 도어를 소정 정도 팝업시킬 수 있는 팝업레버부; 및 상기 팝업레버부와 일측이 접촉되어, 상기 도어의 닫힘, 팝업 및 열림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tor unit is connected to the pop-up lever unit and transmits power to the pop-up lever unit; and is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door of the vehicle, but is pulled out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s needed, and opens the door to a predetermined degree. A pop-up lever unit that can pop up; And a switch uni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pop-up lever unit on one side and can detect the closed, pop-up, and open states of the door. A door pop-up actuator unit may be provided, including a.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은 적은 힘으로도 차량의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은 별도의 엔코더 또는 전류 모니터링 없이 스위치부를 통해 용이하게 도어의 닫힘, 팝업 및 열림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은 작은 크기로 큰 출력을 낼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좁은 내부 공간을 갖는 차량의 도어 내부에도 장착이 가능하다.The door pop-up actuator uni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the feature of being able to open the door of a vehicle with little force. Additionally, the door pop-up actuator unit of this embodiment can easily detect the closed, pop-up, and open states of the door through the switch unit without a separate encoder or current monitoring. Additionally, since the door pop-up actuator unit of this embodiment can produce large output in a small size, it can be installed even inside the door of a vehicle with a relatively narrow interior spa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이 장착된 차량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의 작동상태도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vehicle equipped with a door pop-up actuat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door pop-up actuator unit shown in Figure 1;
FIG.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door pop-up actuator unit shown in FIG. 1.
FIG. 4 is a bottom view of the door pop-up actuator unit shown in FIG. 1.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door pop-up actuator unit shown in FIG.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and detailed descriptions are provided for known configurations that are judg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Decided to omit 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이 장착된 차량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의 저면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vehicle equipped with a door pop-up actuat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door pop-up actuator unit shown in Figure 1; FIG.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door pop-up actuator unit shown in FIG. 1. FIG. 4 is a bottom view of the door pop-up actuator unit shown in FIG. 1.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100)은 차량의 도어(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차량의 차체(20) 방향으로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 유닛(100)은 도어(10)를 소정 정도 팝업되게 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가 용이하게 차량의 도어(10)를 오픈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액츄에이터 유닛(100)은 도어(10)의 닫힘, 팝업 및 개방 상태를 감지하여, 도어(10)가 개방된 후 도어(10)의 내측에 배치된 초기 상태로 원복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 유닛(100)은 도어(10)의 내측에서 차체(20)를 향해 인출되며 미는 힘으로 도어(10)가 소정 정도 팝업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4, the door pop-up actuator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side the door 10 of a vehicle and can be pulled out and retracted toward the body 20 of the vehicle. The actuator unit 100 causes the door 10 to pop up to a predetermined degree, so that the driver and passengers can easily open the door 10 of the vehicle. In addition, the actuator unit 100 of this embodiment detects the closed, pop-up, and open states of the door 10, and can be restored to the initial state disposed inside the door 10 after the door 10 is opened. . The actuator unit 100 is pulled out from the inside of the door 10 toward the vehicle body 20, and the door 10 can pop up to a certain degree with a pushing force.

구체적으로,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100)은 팝업레버부(130)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모터부(110), 모터부(110) 및 팝업레버부(130)와 연결되는 기어부(120), 차량의 차체(20)를 향해 인출될 수 있는 팝업레버부(130) 및 도어(10)의 열림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스위치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oor pop-up actuator unit 100 includes a motor unit 110 that is connected to the pop-up lever unit 130 and can transmit power, a gear unit 120 connected to the motor unit 110 and the pop-up lever unit 130. ), a pop-up lever unit 130 that can be pulled out toward the body 20 of the vehicle, and a switch unit 140 that can detect the open state of the door 10.

모터부(110)는 후술할 팝업레버부(130)와 연결되어, 팝업레버부(13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부(110)는 후술할 기어부(120)를 통해 팝업레버부(13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모터부(110)가 기어부(12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팝업레버부(130)가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다. The motor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pop-up lever unit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can transmit power to the pop-up lever unit 130. More specifically, the motor unit 110 may transmit power to the pop-up lever unit 130 through the gear unit 1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as the motor unit 110 rotates the gear unit 120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e pop-up lever unit 130 may be pulled out and retracted.

한편, 기어부(120)는 일측이 모터부(110)와 연결되고, 타측이 팝업레버부(130)와 연결되어, 모터부(110)의 동력이 팝업레버부(130)로 전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기어부(120)는 모터부(110)와 팝업레버부(130)의 연결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모터부(110)의 동력을 팝업레버부(130)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면 무방하다. 예컨대, 기어부(120)는 공간이 협소한 도어(10)의 내측에 모터부(110)와 팝업레버부(130)가 배치될 수 있도록, 모터부(110)와 팝업레버부(130)를 직교되게 연결할 수 있다. 또는, 내측의 공간이 넓은 도어(10)의 경우, 모터부(110)가 기어부(120)없이 팝업레버부(130)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어부(120)는 모터부(110)와 연결되는 모터기어(121) 및 일측이 모터기어(121)와 연결되고 타측이 팝업레버부(130)와 연결되는 레버기어(122)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one side of the gear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motor unit 11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pop-up lever unit 130, so that the power of the motor unit 110 can be transmitted to the pop-up lever unit 130. . Preferably, the gear unit 120 may be provided to change the connection direction of the motor unit 110 and the pop-up lever unit 130, and transmit the power of the motor unit 110 to the pop-up lever unit 130. It's okay as long as it's for the sake of it. For example, the gear unit 120 includes the motor unit 110 and the pop-up lever unit 130 so that the motor unit 110 and the pop-up lever unit 130 can be placed inside the door 10 where space is narrow. It can be connected orthogonally.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the door 10 having a large inner space, the motor unit 11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pop-up lever unit 130 without the gear unit 120. Specifically, the gear unit 120 includes a motor gear 121 connected to the motor unit 110 and a lever gear 122 whos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motor gear 121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pop-up lever unit 130. It can be included.

모터기어(121)는 일측이 모터부(110)와 연결되고, 타측이 레버기어(122)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모터기어(121)는 스크류 기어(screw gear) 또는 웜기어(worm gear)가 배치되어, 레버기어(122)와 직교되게 배치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motor gear 121 may be connected to the motor unit 110 and the other side may be connected to the lever gear 122. For example, the motor gear 121 may be a screw gear or a worm gear and may be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lever gear 122.

레버기어(122)는 일측이 모터기어(121)와 연결되고, 타측이 팝업레버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레버기어(122)는 후술할 팝업레버부(130)의 레버기어축(134)과 연결되어, 레버기어(122)의 회전에 따라 레버기어축(134)이 회전되어 팝업레버부(130)가 왕복운동될 수 있다. 예컨대, 레버기어(122)는 스크류 기어(screw gear) 또는 웜기어(worm gear)가 배치되어, 모터기어(121)와 직교되게 배치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lever gear 122 may be connected to the motor gear 121, and the other side may be connected to the pop-up lever unit 130. More specifically, the lever gear 122 is connected to the lever gear shaft 134 of the pop-up lever portion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lever gear shaft 134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ever gear 122 to operate the pop-up lever. Part 130 may be reciprocated. For example, the lever gear 122 may be a screw gear or a worm gear and may be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motor gear 121.

한편, 팝업레버부(130)는 기어부(120)를 통해 모터부(110)의 동력을 전달받아 필요에 따라 차체(20) 방향으로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다. 즉, 팝업레버부(130)의 동작 시, 팝업레버부(130)는 도어(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가, 차체(20) 방향으로 인출되며 차체(20)와 접촉되어 도어(10)를 소정 정도 팝업시킬 수 있다. 도어(10)가 팝업된 후, 사용자가 도어(10)를 개방하게 되면, 후술할 스위치부(140)에서 이를 감지하여 팝업레버부(130)는 다시 도어(10)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op-up lever unit 130 receives power from the motor unit 110 through the gear unit 120 and can be pulled out and retracted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20 as needed. That is, when the pop-up lever unit 130 is operated, the pop-up lever unit 130 is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door 10, is pulled out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20,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20 to open the door 10. can pop up to some extent. After the door 10 pops up, when the user opens the door 10, the switch unit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etects this, and the pop-up lever unit 130 can be retracted into the door 10.

구체적으로, 팝업레버부(130)는 차체(20)와 직접 접촉되는 아우터부재(131), 아우터부재(131)의 내측에 배치되는 스프링(132), 스프링(132)의 끝단과 연결되는 이너부재(133) 및 이너부재(133)의 내측에 나사식으로 연결되는 레버기어축(134)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op-up lever unit 130 includes an outer member 131 in direct 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20, a spring 132 disposed inside the outer member 131, and an inner member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pring 132. It may include (133) and a lever gear shaft 134 threaded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member 133.

아우터부재(131)는 도어(10)의 내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아우터부재(131)는 필요에 따라 차체(20) 방향으로 인출 및 인입되어 차체(20)와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우터부재(131)는 내측 단부에 형성되는 스프링 고정부(131a), 차체(20)와 접촉되는 차체 접촉부(131b), 하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1돌기(131c) 및 제2돌기(131d)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uter member 131 is disposed inside the door 10 and may have a space therein. The outer member 131 may be pulled out and retracted in the direction of the car body 20 as needed and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car body 20. Specifically, the outer member 131 includes a spring fixing part 131a formed at the inner end, a car body contact part 131b in contact with the car body 20, a first protrusion 131c protruding from the lower side, and a second protrusion ( 131d) may be included.

스프링 고정부(131a)는 아우터부재(131)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어, 후술할 스프링(132)이 고정될 수 있다. 스프링 고정부(131a)는 스프링(132)이 탄성적으로 신축되는 과정에서 정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132)을 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스프링 고정부(131a)는 스프링(132)이 끼워질 수 있도록 스프링(132)의 외주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내주면을 갖는 원형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원형 돌기 형상의 스프링 고정부(131a)에 스프링(132)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다. 또는 스프링 고정부(131a)는 스프링(132)을 고정할 수 있는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스프링(132)을 고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스프링 고정부(131a)는 스프링(132)이 정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면 무방하며, 그 형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The spring fixing portion 131a is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outer member 131, so that the spring 13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fixed. The spring fixing part 131a may fix the spring 132 to prevent the spring 132 from deviating from its original position during the process of elastically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spring 132. For example, the spring fixing portion 131a may be formed as a circular protrusion having an inner peripheral surface that is the same or similar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ring 132 so that the spring 132 can be inserted. That is, the spring 132 can be fixed by inserting it into the spring fixing part 131a having a circular protrusion shape. Alternatively, the spring fixing part 131a may fix the spring 132 using a fastening member capable of fixing the spring 132. Preferably, the spring fixing part 131a may be used to fix the spring 132 so that it does not deviate from its original position, and its shape is not limited.

차체 접촉부(131b)는 아우터부재(131)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아우터부재(131)가 인출됨에 따라 차체(20)와 접촉될 수 있다. 차체 접촉부(131b)가 차체(20)와 접촉된 상태에서 아우터부재(131)가 인출됨에 따라 차체(20)를 밀어 도어(10)가 팝업될 수 있다. 예컨대, 차체 접촉부(131b)는 차체(20)와 접촉되는 부분이므로 차체(20)가 손상되지 않도록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차체 접촉부(131b)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및 플라스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vehicle body contact portion 131b is formed at one end of the outer member 131 and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20 as the outer member 131 is pulled out. As the outer member 131 is pulled out while the vehicle body contact portion 131b is in 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20, the door 10 may pop up by pushing the vehicle body 20. For example, since the car body contact portion 131b is a part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ar body 20, it may be made of a soft material to prevent the car body 20 from being damaged. The vehicle body contact portion 131b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one or more of rubber, silicone, urethane, and plastic.

제1돌기(131c)는 아우터부재(131)의 일측 하단에 배치되어 후술할 제1스위치(141)가 접촉 및 이격되어 도어(10)의 닫힘 및 팝업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제1돌기(131c)는 차체 접촉부(131b)와 근접하게 배치되고, 제1돌기(131c)는 도어(10)가 팝업되는 길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돌기(131c)의 길이만큼 차량의 도어(10)가 팝업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돌기(131c)의 양 끝단은 빗면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제1스위치(141)가 아우터부재(131)의 표면에서 제1돌기(131c)의 표면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The first protrusion 131c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one side of the outer member 131 and can detect the closed and pop-up state of the door 10 by contacting and separating the first switch 14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protrusion 131c is disposed close to the vehicle body contact portion 131b, and the first protrusion 131c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equal to or similar to the length at which the door 10 pops up. That is, the door 10 of the vehicle can pop up by the length of the first protrusion 131c. For example, both ends of the first protrusion 131c are formed with inclined surfaces, so that the first switch 14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easily moved from the surface of the outer member 131 to the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131c.

제2돌기(131d)는 아우터부재(131)의 일측 하단에 배치되되, 제1돌기(131c)와 소정 정도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돌기(131d)는 후술할 제2스위치(142)가 접촉 및 이격되어 도어(10)의 열림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돌기(131d)는 차체 접촉부(131b)의 반대 방향으로 제1돌기(131c)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돌기(131d)는 제1돌기(131c)와 길이 방향으로만 이격되는 것이 아니라, 폭 방향으로도 소정 정도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돌기(131c)는 제1스위치(141)가 접촉되고, 제2돌기(131d)는 제2스위치(142)가 접촉될 수 있다.The second protrusion 131d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one side of the outer member 131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rotrusion 131c by a predetermined amount. The second protrusion 131d can detect the open state of the door 10 by contacting and separating the second switch 14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Preferably, the second protrusion 131d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rotrusion 131c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contact portion 131b. Additionally, the second protrusion 131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rotrusion 131c not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also in the width direction to a certain degree. That is, the first protrusion 131c may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switch 141, and the second protrusion 131d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switch 142.

한편, 스프링(132)은 일측 단부가 아우터부재(131) 내측 끝단의 스프링 고정부(131a)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후술할 이너부재(133) 끝단의 스프링 고정부(133a)와 연결될 수 있다. 스프링(132)은 도어(10)의 열림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차체(20)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축될 수 있다. Meanwhile, one end of the spring 132 is connected to the spring fixing part 131a at the inner end of the outer member 13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pring fixing part 133a at the end of the inner member 13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spring 132 may elastically expand and contract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20 to detect the open state of the door 10.

더욱 자세하게는,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는 스프링(132)이 이완된 상태로 배치되고, 도어(10)가 소정 정도 팝업되면, 아우터부재(131)가 차체(20)와 접촉되고 도어(10)가 가압하는 힘에 의해 아우터부재(131)의 내측에 배치된 스프링(132)이 압축될 수 있다. 이후, 탑승자가 도어(10)를 잡아당겨 개방하게 되면, 차체(20)와 아우터부재(131)의 접촉이 해제되며 아우터부재(131)를 가압하는 힘이 해제되므로, 스프링(132)이 이완되며 아우터부재(131)가 소정 정도 더 인출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스프링(132)이 압축 상태에서 이완되며 늘어나는 길이만큼 아우터부재(131)가 인출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door 10 is closed, the spring 132 is disposed in a relaxed state, and when the door 10 pops up to a predetermined degree, the outer member 13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20 and the door 10 ) The spring 132 disposed inside the outer member 131 may be compressed by the pressing force. Thereafter, when the passenger pulls and opens the door 10, the contact between the vehicle body 20 and the outer member 131 is released and the force pressing the outer member 131 is released, so the spring 132 is relaxed. The outer member 131 may be pulled out a predetermined amount further. In detail, the spring 132 is relaxed from its compressed state, and the outer member 131 can be pulled out by an increased length.

한편, 이너부재(133)는 아우터부재(131)의 내부에 배치되되, 아우터부재(131)의 내측에 인입된 스프링(132)의 타측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너부재(133)는 기어부(120)의 레버기어(122)와 연결되어 차체(20) 방향 및 도어(1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너부재(133)가 인입된 아우터부재(131)는 이너부재(133)의 이동에 따라 차체(20) 방향으로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너부재(133)는 스프링(132)의 일측 단부가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부(133a) 및 내부에 공간을 갖는 부재인 이너케이스(133b)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inner member 133 may be disposed inside the outer member 131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pring 132 inserted into the outer member 131. The inner member 133 is connected to the lever gear 122 of the gear unit 120 and can b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20 and the inner direction of the door 10. The outer member 131 into which the inner member 133 is retracted may be withdrawn and retracted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2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inner member 133. Specifically, the inner member 133 may include a spring fixing portion 133a to which one end of the spring 132 is fixed, and an inner case 133b that is a member having a space therein.

스프링 고정부(133a)는 이너부재(133)의 일측 끝단에 배치되어, 스프링(132)의 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이너부재(133)의 스프링 고정부(133a)는 아우터부재(131)의 스프링 고정부(131a)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어, 스프링(132)의 양측 단부를 각각 고정할 수 있다.The spring fixing part 133a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inner member 133, so that the end of the spring 132 can be fixed. The spring fixing part 133a of the inner member 133 is formed the same or similar to the spring fixing part 131a of the outer member 131, and can respectively fix both ends of the spring 132.

더욱 상세하게는, 이너부재(133)의 스프링 고정부(133a)는 스프링(132)이 압축된 상태의 길이만큼의 공간을 갖는 원통형 부재로 형성되어, 스프링(132)이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스프링(132)이 압축된 상태에서는 스프링 고정부(133a)의 내측에 배치되고, 스프링 고정부(133a)가 아우터부재(131)의 내측 끝단에 접촉될 수 있다. 이후, 스프링(132)이 이완되면, 스프링 고정부(133a)가 아우터부재(131)의 내측 끝단과 이격되며 아우터부재(131)가 차체(20) 방향으로 스프링(132)이 이완된 만큼 이동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spring fixing portion 133a of the inner member 133 is formed as a cylindrical member with a space equal to the length of the spring 132 in a compressed state, so that the spring 132 can be disposed on the inside. . That is, when the spring 132 is compressed, it is disposed inside the spring fixing part 133a, and the spring fixing part 133a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end of the outer member 131. Afterwards, when the spring 132 is relaxed, the spring fixing part 133a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end of the outer member 131, and the outer member 131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20 as much as the spring 132 is relaxed. You can.

이너케이스(133b)는 스프링 고정부(133a)의 타단에 배치되고, 아우터부재(13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케이스(133b)는 내부에 공간을 가질 수 있고, 이너케이스(133b) 내부의 공간에는 레버기어축(134)이 인입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이너케이스(133b)의 내부에는 나사결합홈(133b-1)이 구비될 수 있다. 나사결합홈(133b-1)은 후술할 레버기어축(134)의 나사산(134a)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나사결합홈(133b-1)에 나사산(134a)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레버기어축(134)이 회전되면 나사결합홈(133b-1)이 회전되며 이너부재(133)가 인출될 수 있다. The inner case 133b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spring fixing portion 133a and may be disposed inside the outer member 131. The inner case 133b may have a space inside, and the lever gear shaft 134 may be inserted into the space inside the inner case 133b. In detail, a screw coupling groove 133b-1 may be provided inside the inner case 133b. The screw coupling groove 133b-1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crew thread 134a of the lever gear shaft 13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screw thread 134a can be coupled to the screw coupling groove 133b-1. At this time, when the lever gear shaft 134 rotates, the screw coupling groove 133b-1 rotates and the inner member 133 can be pulled out.

한편, 레버기어축(134)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레버기어(122)에서 이너케이스(133b)까지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레버기어축(134)의 일측은 레버기어(122)와 고정되어, 레버기어(122)의 회전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레버기어축(134)의 타측은 이너부재(133)의 이너케이스(133b)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레버기어축(134)은 나사산(134a)을 포함할 수 있다. 나사산(134a)은 이너케이스(133b)의 나사결합홈(133b-1)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이너케이스(133b)에 삽입될 수 있다. Meanwhile, the lever gear shaft 134 is formed in a bar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an be arranged from the lever gear 122 to the inner case 133b. In detail, one side of the lever gear shaft 134 is fixed to the lever gear 122 and can be rotated by rotation of the lever gear 122. The other side of the lever gear shaft 134 may be inserted into the inner case 133b of the inner member 133. Additionally, the lever gear shaft 134 may include a screw thread (134a). The screw thread 134a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crew coupling groove 133b-1 of the inner case 133b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case 133b.

즉, 레버기어축(134)의 나사산(134a)은 이너케이스(133b)의 나사결합홈(133b-1)을 따라 삽입되어, 모터부(110)의 작동에 따라 레버기어축(134)이 회전되어 이너케이스(133b)의 나사결합홈(133b-1)을 따라 이너케이스(133b)의 내부를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도어(10)의 팝업 시는 레버기어축(134)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이너케이스(133b)의 내부에서 인출되며, 이너부재(133)가 차체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반대로, 도어(10)가 완전히 열리며 팝업레버부(130)가 도어(10)의 내측으로 다시 인입 시, 레버기어축(134)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이너케이스(133b)의 내부로 인입되며, 이너부재(133)가 도어(10)의 내측 방향으로 인입될 수 있다. That is, the screw thread 134a of the lever gear shaft 134 is inserted along the screw coupling groove 133b-1 of the inner case 133b, and the lever gear shaft 134 rotat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tor unit 110. It is possible to move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133b) along the screw coupling groove (133b-1) of the inner case (133b). For example, when the door 10 is popped up, the lever gear shaft 134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nd is pulled out from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133b, and the inner member 133 can be pulled out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Conversely, when the door 10 is completely opened and the pop-up lever unit 130 is retracted into the inside of the door 10, the lever gear shaft 134 is rotated clockwise and retracted into the inner case 133b. , the inner member 133 may be retra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door 10.

한편, 스위치부(140)는 팝업레버부(130)의 아우터부재(131)의 하측에 배치되어, 도어(10)의 닫힘, 팝업 및 열림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스위치부(140)는 액츄에이터 유닛(100)이 배치되는 하우징(미도시)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되, 아우터부재(131)의 하측면과 소정 정도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스위치부(140)는 아우터부재(131) 하부 면과는 소정 정도 이격 배치되되, 아우터부재(131)의 이동 시는 제1돌기(131c) 및 제2돌기(131d)와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치부(140)는 제1돌기(131c)와 접촉되는 제1스위치(141) 및 제2돌기(131d)와 접촉되는 제2스위치(142)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witch unit 140 is disposed below the outer member 131 of the pop-up lever unit 130 and can detect the closed, pop-up, and open states of the door 10. The switch unit 140 is provided at the inner lower part of the housing (not shown) where the actuator unit 100 is disposed, and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outer member 131 by a predetermined amount. That is, the switch unit 140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member 131, but may contact the first protrusion 131c and the second protrusion 131d when the outer member 131 moves. It can be provided at location. Specifically, the switch unit 140 may include a first switch 141 in contact with the first protrusion 131c and a second switch 142 in contact with the second protrusion 131d.

제1스위치(141)는 제1돌기(131c)와 접촉되어 도어(10)의 닫힘 및 팝업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제1스위치(141)는 아우터부재(131)의 하부면에 소정 정도 이격되게 배치되되, 아우터부재(131)의 이동에 따라 제1돌기(131c)와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10)의 닫힘 및 팝업 상태에서는 제1스위치(141)가 제1돌기(131c)와 접촉되고, 도어(10)의 열림 상태에서는 제1스위치(141)가 제1돌기(131c)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switch 141 can detect the closed and pop-up state of the door 10 by contacting the first protrusion 131c. The first switch 141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member 131, and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it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protrusion 131c as the outer member 131 moves. More specifically, in the closed and pop-up state of the door 10, the first switch 141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protrusion 131c, and in the open state of the door 10, the first switch 141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protrusion. It can be placed without contact with (131c).

제1스위치(141)는 제1접촉부(14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접촉부(141a)는 제1스위치(141)의 상단에 배치되어, 제1돌기(131c)와 접촉될 수 있다. 제1접촉부(141a)는 탄성적으로 눌러질 수 있는 버튼 형식으로 형성되어, 제1돌기(131c)에 의해 눌려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제1접촉부(141a) 및 제1돌기(131c)는 전도체로 형성되어, 제1접촉부(141a)가 제1돌기(131c)에 접촉되며 전기가 통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제1접촉부(141a)는 제1돌기(131c)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며, 그 감지 방법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first switch 141 may include a first contact portion 141a. The first contact portion 141a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first switch 141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protrusion 131c. The first contact portion 141a is formed in the form of a button that can be pushed elastically, and can sense being pressed by the first protrusion 131c. Alternatively, the first contact part 141a and the first protrusion 131c are formed of a conductor, so that electricity can be detected when the first contact part 141a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protrusion 131c. The first contact portion 141a may be any device that can detect contact with the first protrusion 131c, and the detection method is not limited.

제2스위치(142)는 제2돌기(131d)와 접촉되어, 도어(10)의 닫힘 및 열림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제2스위치(142)는 아우터부재(131)의 하부면에 소정 정도 이격되게 배치되되, 아우터부재(131)의 이동에 다라 제2돌기(131d)와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제2스위치(142)는 제1스위치(141)와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아우터부재(131)의 이동 시 제1돌기(131c)와는 접촉되지 않고, 제2돌기(131d)와 접촉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10)의 닫힘 및 팝업 상태에서는 제2스위치(142)가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배치되고, 도어(10)의 열림 상태에서는 제2스위치(142)가 제2돌기(131d)와 접촉될 수 있다. The second switch 142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protrusion 131d and can detect the closed and open states of the door 10. The second switch 142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member 131, and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it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protrusion 131d depending on the movement of the outer member 131. The second switch 142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witch 141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when the outer member 131 moves, it does not contact the first protrusion (131c) and may contact the second protrusion (131d). You can. More specifically, in the closed and pop-up state of the door 10, the second switch 142 is disposed in a non-contact state, and in the open state of the door 10, the second switch 142 is positioned with the second protrusion 131d. ) may come into contact with.

제2스위치(142)는 제2접촉부(14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접촉부(142a)는 제2스위치(142)의 상단에 배치되어, 제2돌기(131d)와 접촉될 수 있다. 제2접촉부(142a)는 전술한 제1접촉부(141a)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second switch 142 may include a second contact portion 142a. The second contact portion 142a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second switch 142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protrusion 131d. Since the second contact portion 142a may be formed the same or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first contact portion 141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의 작동상태도이다.FIG. 4 is a bottom view of the door pop-up actuator unit shown in FIG. 1.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door pop-up actuator unit shown in FIG. 1.

도 4 내지 5를 참조하여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process of the door pop-up actuator unit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as follows.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아우터부재(131)의 하부에는 제1돌기(131c) 및 제2돌기(131d)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편의상, 아우터부재(131)의 하부면을 A, B, C로 나누어 보면, 차체 접촉부(131b)와 제1돌기(131c) 사이의 면을 A, 제2돌기(131d)의 측면이자 제1돌기(131c)의 전면부는 B, 제1돌기(131c)와 제2돌기(131d) 사이의 면을 C라고 하기로 한다. First, referring to FIG. 4 , first protrusions 131c and second protrusions 131d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member 131 to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and width directions. For convenience, if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member 131 is divided into A, B, and C, the surface between the vehicle body contact portion 131b and the first protrusion 131c is A, and the side of the second protrusion 131d is also the first protrusion. The front portion of (131c) will be referred to as B, and the surface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131c) and the second protrusion (131d) will be referred to as C.

도 5의 (a)는 도어(10)의 닫힘 상태의 액츄에이터 유닛(100)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도어(10)의 닫힘 상태에서는 액츄에이터 유닛(100)이 도어(10)의 내측에 전부 인입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Figure 5 (a)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ctuator unit 100 when the door 10 is closed. Referring to (a) of FIG. 5 , when the door 10 is closed, the actuator unit 100 may be placed completely inside the door 10.

이때, 제1스위치(141)는 A 부분에 배치되어 비접촉 상태로 배치되고, 제2스위치(142)는 B 부분에 배치되어 비접촉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스위치(141) 및 제2스위치(142)의 접촉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는 도어(10)의 닫힘 상태로 인식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witch 141 may be placed in part A in a non-contact state, and the second switch 142 may be placed in part B in a non-contact state. That is, when contact between the first switch 141 and the second switch 142 is not detected, the door 10 may be recognized as closed.

도 5의 (b)는 도어(10)가 팝업된 상태의 액츄에이터 유닛(100)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도어(10)의 팝업 상태에서는 액츄에이터 유닛(100)이 도어(10)의 내측에서 차체(20) 방향으로 소정 정도 인출될 수 있다. Figure 5 (b)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ctuator unit 100 with the door 10 popped up. Referring to (b) of FIG. 5, when the door 10 is in a pop-up state, the actuator unit 100 may be pulled out from the inside of the door 10 toward the vehicle body 20 to a certain degree.

모터부(110)가 작동하여, 레버기어축(13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이너부재(133)를 차체(20) 방향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이너부재(133)가 내부에 배치된 아우터부재(131)의 차체 접촉부(131b)가 차체(20)를 미는 힘의 반발력으로 인해 도어(10)가 팝업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132)은 압축된 상태로 배치된다.As the motor unit 110 operates, the lever gear shaft 134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inner member 133 can be pulled out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20. The door 10 may pop up due to the repulsive force of the vehicle body contact portion 131b of the outer member 131 in which the inner member 133 is disposed, pushing the vehicle body 20. At this time, the spring 132 is placed in a compressed state.

이때, 도어(10)가 차체(20)에서 팝업된 거리(d1)는 사람의 손이 들어갈 정도로 소정 정도 이격될 수 있다. 예컨대, 팝업된 거리(d1)는 약 30mm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제1스위치(141)는 제1돌기(131c)에 접촉된 상태로 배치되고, 제2스위치(142)는 B 부분에 배치되어 비접촉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스위치(141)의 접촉이 감지되고, 제2스위치(142)의 접촉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는 도어(10)의 팝업 상태로 인식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tance d1 at which the door 10 pops up from the vehicle body 20 may b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amount to allow a person's hand to enter. For example, the popped up distance d1 may be approximately 30 mm. At this time, the first switch 141 may be placed in contact with the first protrusion 131c, and the second switch 142 may be placed at part B in a non-contact state. That is, when the contact of the first switch 141 is detected but the contact of the second switch 142 is not detected, the door 10 may be recognized as being in a pop-up state.

도 5의 (c)는 도어(10)의 열림 상태에서의 액츄에이터 유닛(100)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도어(10)의 열림 상태에서는 액츄에이터 유닛(100)이 팝업 상태에서보다 더 인출될 수 있다. 이때, 도어(10)가 차체(20)에서 열린 거리(d2)는 약 35mm 이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제1스위치(141)는 C 부분에 배치되어 비접촉 상태로 배치되고, 제2스위치(142)는 제2돌기(131d)에 접촉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스위치(141)의 접촉이 감지되지 않고, 제2스위치(142)의 접촉이 감지되는 않는 경우는 도어(10)의 열림 상태로 인식될 수 있다.Figure 5 (c)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ctuator unit 100 when the door 10 is opened. Referring to (c) of FIG. 5, when the door 10 is open, the actuator unit 100 may be pulled out further than when the door 10 is in the pop-up state. At this time, the open distance d2 of the door 10 from the vehicle body 20 may be approximately 35 mm or more. At this time, the first switch 141 may be placed in part C in a non-contact state, and the second switch 142 may be plac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protrusion 131d. That is, when the contact of the first switch 141 is not detected and the contact of the second switch 142 is not detected, the door 10 may be recognized as open.

도어(10)가 열림 상태로 인식되면, 모터부(110)가 팝업 시와 반대로 작동되어, 레버기어축(134)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이너부재(133)를 도어(10)의 내측 방향으로 인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10)를 개방하여 도어(10)와 차체(20) 사이의 거리가 d2가 됨과 동시에 모터부(110)가 작동되어, 팝업레버부(130)가 다시 도어(10)의 내부로 인입되게 되므로, 사용자는 팝업레버부(130)가 노출된 상태를 볼 수 없게 된다.When the door 10 is recognized as open, the motor unit 110 oper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op-up state and rotates the lever gear shaft 134 clockwise to move the inner member 133 toward the inside of the door 10. It can be brought in. Therefore, when the user opens the door 1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door 10 and the vehicle body 20 becomes d2, the motor unit 110 is operated, and the pop-up lever unit 130 moves back to the door 10. Since it is brought inside, the user cannot see the pop-up lever unit 130 in an exposed state.

예컨대, 본 실시예의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100)은 도어(10)에 배치된 버튼(미도시)과 연동되어 모터부(110)를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도어(10)를 개방할 수 있다. 즉, 도어(10)에 배치된 버튼을 누르면 도어(10)가 소정 정도 팝업되므로, 사용자는 도어(10)의 사이에 손을 집어넣어 도어(10)를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을 삭제하여 깔끔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종래의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과 동시에 배치되어, 두 가지 방법을 동시에 이용하여 도어(10)를 개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사용자의 상태 및 이용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유동적으로 도어(10)의 개방 방식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상당히 증대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oor pop-up actuator unit 100 of this embodiment can open the door 10 by operating the motor unit 110 in conjunction with a button (not shown) disposed on the door 10. That is, when the button placed on the door 10 is pressed, the door 10 pops up to a predetermined degree, so the user can open the door 10 by inserting his hand between the doors 1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have a neat appearance by eliminating the conventional outside door handle. Alternatively, it is disposed simultaneously with a conventional outside door handle, so that the door 10 can be opened using two methods simultaneously. In this case, the user can flexibly select an opening method of the door 10 according to the user's status and usage situation, so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은 적은 힘으로도 차량의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종래의 돌출된 형태의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을 잡아당겨 도어를 개방함과 달리, 본 실시예의 액츄에이터 유닛은 모터부를 동작시킴에 따라 차량의 도어를 소정 정도 팝업시키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도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oor pop-up actuator uni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the feature of being able to open the door of the vehicle with a small amount of force. Unlike opening the door by pulling the conventional protruding outside door handle, the actuator unit of this embodiment pops up the vehicle door to a certain degree by operating the motor unit, allowing the door to be opened with little force. there is.

또한, 본 실시예의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은 별도의 엔코더 또는 전류 모니터링 없이 스위치부를 통해 용이하게 도어의 닫힘, 팝업 및 열림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아우터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는 스위치부가 제1돌기 및 제2돌기에 접촉되는 것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도어의 오픈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차체 또는 도어에 별도의 장치를 장착하는 것이 아니라 액츄에이터 유닛의 내부에 도어의 열림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스위치부를 배치하여, 구조가 단순하고 공간을 광범위하게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도어의 열림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door pop-up actuator unit of this embodiment can easily detect the closed, pop-up, and open states of the door through the switch unit without a separate encoder or current monitoring. The open state of the door can be easily detected by using the switch unit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outer member to contact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Rather than installing a separate device on the car body or door, a switch that can detect the open state of the door is placed inside the actuator unit, making it possible to detect the open state of the door without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taking up a lot of space. You can.

또한, 본 실시예의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은 작은 크기로 큰 출력을 낼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좁은 내부 공간을 갖는 차량의 도어 내부에도 장착이 가능하다. 차량의 도어에 연결된 힌지를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바 형상의 팝업레버부가 차체를 향해 인출되어 반발력에 의해 도어가 열리게 하는 방식으로 작은 크기의 모터부만으로도 용이하게 차량의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Additionally, since the door pop-up actuator unit of this embodiment can produce large output in a small size, it can be installed even inside the door of a vehicle with a relatively narrow interior space. Instead of rotating the hinge connected to the door of the vehicle, the bar-shaped pop-up lever part is pulled out toward the car body and opens the door by repulsive force,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open the car door with only a small motor part.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patent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and thi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차량의)도어 20: (차량의)차체
100: 액츄에이터 유닛
110: 모터부 120: 기어부
121: 모터기어 122: 레버기어
130: 팝업레버부 131: 아우터부재
131a: 스프링 고정부 131b: 차체 접촉부
131c: 제1돌기 131d: 제2돌기
132: 스프링 133: 이너부재
133a: 스프링 고정부 133b: 이너케이스
134: 레버기어축 134a: 나사산
140: 스위치부 141: 제1스위치
141a: 제1접촉부 142: 제2스위치
142a: 제2접촉부
10: Door (of vehicle) 20: Body (of vehicle)
100: Actuator unit
110: motor part 120: gear part
121: motor gear 122: lever gear
130: Pop-up lever part 131: Outer member
131a: Spring fixing part 131b: Car body contact part
131c: first protrusion 131d: second protrusion
132: Spring 133: Inner member
133a: Spring fixing part 133b: Inner case
134: lever gear shaft 134a: thread
140: switch unit 141: first switch
141a: first contact part 142: second switch
142a: second contact part

Claims (5)

차량의 도어(10)의 내측에 배치되되, 필요에 따라 차체(20) 방향으로 인출되어, 상기 도어(10)를 소정 정도 팝업시킬 수 있는 팝업레버부(130);
상기 팝업레버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팝업레버부(130)로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부(110); 및
상기 팝업레버부(130)와 일측이 접촉되어, 상기 도어(10)의 닫힘, 팝업 및 열림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스위치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팝업레버부(130)는,
아우터부재(131)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차체(20)와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도어(10)가 팝업되는 길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길이로 형성되는 제1돌기(131c); 및
상기 제1돌기(131c)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되, 상기 모터부(110)와 근접하게 돌출 형성되는, 제2돌기(131d);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140)는,
상기 도어(10)가 팝업되는 동안 상기 제1돌기(131c)와 지속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제1돌기(131c)와 접촉되는 동안 상기 모터부(110)를 지속적으로 작동시키고, 상기 도어(10)가 완전히 팝업되어 상기 제1돌기(131c)와 미접촉시 상기 모터부(110)를 정지시키는, 제1스위치(141); 및
팝업된 상기 도어(10)의 추가 개방 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도어(10)가 팝업 길이를 초과하여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제2돌기(131d)와 접촉되어, 상기 팝업레버부(130)가 원복되도록 상기 모터부(110)를 반대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제2스위치(142);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140)가 상기 제1돌기(131c) 및 상기 제2돌기(131d)에 모두 비접촉 시에는 상기 도어(10)를 닫힘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모터부(110)를 정지시키는,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
A pop-up lever unit 130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door 10 of the vehicle, which can be pulled out toward the vehicle body 20 as needed to pop up the door 10 to a predetermined degree;
A motor unit 110 connected to the pop-up lever unit 130 and transmitting power to the pop-up lever unit 130; and
It includes a switch unit 14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pop-up lever unit 130 on one side and can detect the closed, pop-up, and open states of the door 10,
The pop-up lever unit 130,
A first protrusion 131c protru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outer member 131, is disposed close to the vehicle body 20, and has a length equal to or similar to the length at which the door 10 pops up; and
A second protrusion (131d)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rotrusion (131c) in the longitudinal and width directions, but protrudes close to the motor unit (110),
The switch unit 140,
While the door 10 is popped up, it is continuously in contact with the first protrusion 131c, and the motor unit 110 is continuously operated while it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protrusion 131c, and the door 10 A first switch 141 that completely pops up and stops the motor unit 110 when it is not in contact with the first protrusion 131c; and
In order to detect whether the pop-up door 10 is further opened, when the door 10 is opened beyond the pop-up length, it contacts the second protrusion 131d so that the pop-up lever portion 130 is restored. It includes a second switch 142 that operates the motor unit 110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n the switch unit 140 is not in contact with both the first protrusion 131c and the second protrusion 131d, the door 10 is determined to be closed and the motor unit 110 is stopped. Pop-up actuator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팝업레버부(13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상기 도어(10)의 내측에 배치되되, 필요에 따라 상기 차체(20) 방향으로 인출 및 인입되어, 상기 차체(20)와 접촉될 수 있는 아우터부재(131);
상기 아우터부재(131)의 내부에 배치되되, 타측 단부는 이너부재(133)와 연결되고, 상기 이너부재(133)에 의해 탄성적으로 신축될 수 있는 스프링(132);
상기 아우터부재(131)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132)의 타측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110)의 작동에 의해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는 이너부재(133); 및
상기 이너부재(133)의 내부와 연결되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이너부재(133)를 상기 차체(20) 방향으로 인출 및 인입시킬 수 있는 레버기어축(134);을 포함하는,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
In claim 1,
The pop-up lever unit 130,
An outer member 131 that has a space inside, is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door 10, and can be pulled out and retracted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20 as needed to contact the vehicle body 20;
A spring 132 disposed inside the outer member 131,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inner member 133, and which can be elastically expanded and contracted by the inner member 133;
an inner member 133 disposed inside the outer member 131,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pring 132, and capable of being pulled out and retrac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unit 110; and
A lever gear shaft 134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member 133 and capable of withdrawing and retracting the inner member 133 toward the vehicle body 20 as it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cluding, a door pop-up actuator unit.
삭제delet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부재(131)는,
상기 아우터부재(131)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부재(131)가 인출됨에 따라 상기 차체(20)와 접촉될 수 있는 차체 접촉부(131b);를 포함하는,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
In claim 2,
The outer member 131 is,
A door pop-up actuator unit comprising: a vehicle body contact portion (131b) formed at one end of the outer member (131) and capable of contacting the vehicle body (20) as the outer member (131) is pulled out.
삭제delete
KR1020210086798A 2021-07-02 2021-07-02 Door pop-up actuator unit of vehicle with door position detection KR1026015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798A KR102601595B1 (en) 2021-07-02 2021-07-02 Door pop-up actuator unit of vehicle with door position det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798A KR102601595B1 (en) 2021-07-02 2021-07-02 Door pop-up actuator unit of vehicle with door position det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072A KR20230006072A (en) 2023-01-10
KR102601595B1 true KR102601595B1 (en) 2023-11-13

Family

ID=84893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798A KR102601595B1 (en) 2021-07-02 2021-07-02 Door pop-up actuator unit of vehicle with door position det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59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9610A (en) * 2002-02-22 2003-11-07 Ntn Corp Door open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668B1 (en) * 2009-10-13 2016-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Opening method of refrigerator door
KR102139545B1 (en) * 2016-03-15 2020-07-31 멀티매틱 인코퍼레이티드 Door Entry Guid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Door Entry Guide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9610A (en) * 2002-02-22 2003-11-07 Ntn Corp Door ope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072A (en)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4052B2 (en) Handle for a vehicle door
US6116660A (en) Apparatus for sealing latching devices
KR20070105281A (en) Pushing-up device
US20080314096A1 (en) Door Lock
KR102601595B1 (en) Door pop-up actuator unit of vehicle with door position detection
KR102157301B1 (en) retractable door handle
JP2008019567A (en) Vehicular door locking device
CN105239856A (en) Door lock device and storage box with same
US20100219055A1 (en) Switch device
JP2019108698A (en) Vehicle lid lock device
KR101401360B1 (en) Locking device of glove box
KR20180086571A (en) Push and pull type sliding door lock
KR101306297B1 (en) Hand operated open device of electrically powered glove box for vehicle
KR101585661B1 (en) Locking device of glove box
KR100470784B1 (en) lock device of globe box for a car
KR101212440B1 (en) A tray cover locking apparatus for a vehicle
CN218644081U (en) Glove box lock assembly
JP6895281B2 (en) Switchgear of the switchgear
JP5129551B2 (en) Door handle device
JP4531634B2 (en) Storage device
CN114096731B (en) Electronic lock latch for vehicle door
CN219493236U (en) Emergency valve for passenger car
KR102094176B1 (en) Auto flush door handle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235919B1 (en) apparatus for locking a glove box
KR20010015649A (en) Apparatus for sealing latching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