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189B1 - 올 빠짐이 개선된 타월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올 빠짐이 개선된 타월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189B1
KR102157189B1 KR1020200084593A KR20200084593A KR102157189B1 KR 102157189 B1 KR102157189 B1 KR 102157189B1 KR 1020200084593 A KR1020200084593 A KR 1020200084593A KR 20200084593 A KR20200084593 A KR 20200084593A KR 102157189 B1 KR102157189 B1 KR 102157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l
refining
towel fabric
fabric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성
Original Assignee
송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4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1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8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2Towe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9/00Breaking or soften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5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hydrogen peroxide or peroxides of metals; with persulfuric, permanganic, pernitric, percarbonic acids or their sal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84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35Abrasion, pilling or fibrillation resistanc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10B2509/026Absorbent pads; Tampons; Laundry; Tow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올 빠짐이 개선된 타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월 원단을 습윤정련제, 침투제, 수산화나트륨 및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정련 용액으로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정련 처리된 타월 원단을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 숙성된 타월 원단을 수세하고 초산으로 중화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제성이 우수하면서도 타월의 올 빠짐을 크게 개선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연한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올 빠짐이 개선된 타월 및 그 제조방법{TOWEL WITH IMPROVED PILE LO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타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월 원단을 습윤정련제, 침투제, 수산화나트륨 및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정련 용액으로 전처리함으로써, 파일 루프의 올 빠짐을 크게 개선하는 올 빠짐이 개선된 타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타월은 주로 천연섬유(면사, 대나무사)를 소재로 하여 세안, 샤워, 수영 등 물과 접촉한 신체의 각 부분으로부터 수분을 신속히 흡수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타 직물과 달리, 경사와 위사, 그리고 파일사로 제직된다. 이 중 파일사인 테리 파일은 타월 특유의 부드러운 촉감을 만들어 내며, 단시간에 수분을 흡수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테리 파일을 가진 타월 직물은, 바탕이 되는 지경사와 위사 그리고 파일을 만드는 파일 경사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조직을 만드는 지경사용 빔(beam)은 강하게 당겨주고 파일경사용 빔은 느슨하게 한 후, 제직에서는 위사 두올을 위입(piling)하고, 가볍게 바디침(beating)을 시키며, 세번째 위사를 위입하고 강하게 바디침 시켜서 위사 3올이 모두 제직의 조직 속으로 들어가도록 한다. 이때. 지경사는 단단하게 잡아당기고 있기 때문에 늘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 위사 3올은 그대로 지경사 위를 미끄러져 조직이 되고, 파일경사는 느슨하게 늘어져 있기 때문에 위사 3올과 조합되어 제직되면서 테리 파일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직된 타월은 그 구조상 취급 시 쉽게 올이 빠지는 문제점이 존재하는바,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제직 운동시 3pick(파일 경사가 조합되는 위사의 수)이 아닌 5pick 또는 7pick에 파일 한 올을 형성 시 타월의 올이 빠지는 문제점을 일부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생산 효율(5pick로 파일 한 올이 형성되면 3pick 방법 대비하여 33.3%의 효율이 저하)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테리 파일의 형성 시 사용되는 위사 pick의 증대를 통한 테리 파일의 올 빠짐 감소는 득보다 실이 많은바, 위사 pick의 증대가 아닌, 타월의 올 빠짐 방지를 위한 다른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천연섬유인 면사는 표면이 왁스 등의 소수성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타월의 주요 기능인 수분 흡수성을 나타내게 하기 위해서는 정련 과정을 통해 이들 성분을 제거하여야만 한다. 즉, 상기 소수성 성분은 목화가 성장하는 동안 주위 환경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직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실과 실 사이의 평활성을 부여하나, 염색 과정에서는 수분 흡수 저해와 불균염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정련을 통해서 반드시 제거해야만 타월 고유의 흡수성을 보장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불순물을 제거하는 타월의 정련은 효소 정련과 알칼리 정련으로 구분하게 되며, 효소 정련의 경우는 펙티나아제 효소를 이용하여 정련하는 방법으로서 면섬유의 펙틴이 왁스와 셀룰로오스를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하며, 이 가교 역할을 하는 펙틴층을 제거하면 왁스층도 함께 제거되어 면의 흡수성과 유연성이 증대되는 원리를 이용한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펙티나아제(Pectinase) 효소가 선별적으로 펙틴층 만을 제거하기 때문에 면 타월의 섬유 손상과 중량 감소율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86837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80791호 등이 있다.
반면에 전통적인 알칼리 정련은 크게 염색기에서 배치식으로 진행하는 배치식 알칼리 정련과 CPB(Cold Pad Batch) 알칼리 정련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염색기에서 배치식으로 진행되는 알칼리 정련은 알칼리 상태에서 고온으로 타월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25% 농도의 NaOH를 사용하여 정련한 후, 냉수세 하고, 타월 직물의 pH를 중성으로 맞추기 위해 수세 및 초산으로 중화 후, 과산화수소 분해를 촉진시키는 카탈라아제(Catalase) 효소를 사용하여 과산화수소 중화를 진행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다량의 폐수가 발생하고 고온으로 온도를 높이기 위해 많은 에너지가 요구되므로 에너지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 CPB(Cold Pad Batch) 알칼리 정련인데, CPB알칼리 정련은 고온으로 타월을 처리하지 않고, 상온에서 타월을 패딩한 후에 16시간의 숙성(에이징)과정을 거친 후 온수세하고 초산으로 중화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은 염색기에서 진행되는 배치식 알칼리 정련에 비해 폐수 발생이 적고, 고온으로 온도를 높이는 공정이 수세 공정 이외에는 없기 때문에 스팀 에너지 비용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치식 알칼리 정련에 비해 용수 사용량이 절감되게 되는데, 배치식 알칼리 정련의 용수 사용량이 24~30L/kg가 소요되는 반면에, CPB 알칼리 정련은 10~14L/kg의 용수가 사용되어 공업용수의 사용량을 절감하는 이점이 있다. 이는 CPB알칼리 정련 및 숙성(에이징)과정을 거친 후 연속수세기에서 수세할 때 연속 수세기의 카운터 플로우(counter flow) 방식의 수세에 기인한다. 이 방법은 타월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에서 깨끗한 용수가 공급되게 되어 타월 원단은 수세가 진행되면서 계속적으로 깨끗한 용수와 오염물질이 치환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위사 pick의 증대가 아닌, CPB 알칼리 정련 과정을 통해 타월의 올 빠짐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10-2002-0086837 A KR 10-0780791 B1 KR 10-2007-0106812 A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월 원단의 CPB 알칼리 정련 시 정력 용액 내 수산화나트륨의 사용량을 증대시키고, 섬유의 순간 흡수력을 증대시키는 습윤정련제와 침투제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타일 원단의 평활제 성분이 최대한 제거되어 파일사와 지경사간의 마찰력이 증대되고, 수산화나트륨에 의해 면섬유의 단면이 팽윤되어 경사, 위사, 파일사간의 치밀도가 높아지며, 원사의 표면이 거칠어져 세탁이나, 일상적인 사용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일 루프의 올 빠짐이 크게 개선되도록 하는 올 빠짐이 개선된 타월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연액의 처리시 침지식이 아닌 스프레이 방식으로 처리함으로써, 올 빠짐 개선 효과가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타월의 사용감은 개선되도록 하는 올 빠짐이 개선된 타월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올 빠짐이 개선된 타월의 제조방법은, 타월 원단을 습윤정련제, 침투제, 수산화나트륨 및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정련 용액으로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정련 처리된 타월 원단을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 숙성된 타월 원단을 수세하고 초산으로 중화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련 용액은, 상기 습윤정련제 2~5g/L, 침투제 2~3g/L, 수산화나트륨 170~200g/L 및 과산화수소 150~200g/L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련 용액으로 처리하는 단계 시, 상기 타월 원단의 조제 픽업률은 타월 원단 중량의 80~105%이고, 상기 정련 처리된 타월 원단을 숙성하는 단계 시, 상기 숙성 시간은 16~20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화 처리하는 단계 후, 상기 중화 처리된 타월 원단을 유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연화 단계는, 상기 중화 처리된 타월 원단에 유연액을 스프레이함으로써, 상기 타월 원단의 테리 파일 상층부와 경사 및 위사가 겹치는 부분까지만 유연액이 침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타월은, 습윤정련제, 침투제, 수산화나트륨 및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정련 용액으로 전처리된 타일 원단으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련 용액은, 상기 습윤정련제 2~3g/L, 침투제 2~3g/L, 수산화나트륨 170~200g/L 및 과산화수소 150~200g/L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올 빠짐이 개선된 타월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경제성이 우수하면서도 타월의 올 빠짐을 크게 개선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연한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시험예 1의 올 빠짐 유발중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사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 타월의 올 빠짐 개선을 위해서는 위사 pick을 증대시키는 방법이 있었으나, 이러한 방법은 그 경제성이 좋지 못해 상용화가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은 CPB 알칼리 정련 공정, 더욱 구체적으로는 정련 용액 조성을 제한하는 것을 통해 타월 원단의 올 빠짐을 개선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며, 경제성이 우수하여 상용화가 가능하고, 타월의 상품성 및 사용연한을 증가시킨다는 데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타월 제조방법은, 타월 원단을 제직하는 단계와, 상기 제직된 타월 원단을 습윤정련제, 침투제, 수산화나트륨 및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정련 용액으로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정련된 타월 원단을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 숙성된 타월 원단을 수세하고, 초산으로 중화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타월 원단을 제직하는 단계
먼저, 타월 원단을 제직한다. 이때, 상기 타월 원단의 제직은 종래 방법에 의하는 것이면 족한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상기 타월 원단은 면사 또는 대나무사를 사용하여 제직하는 것, 보다 구체적으로 지경사와 위사는 면사로, 파일사는 면사, 대나무사 또는 혼방사, 더욱 구체적으로 경사는 23s/2, 30s/2 또는 40s/2의 면사, 위사는 20s/1의 면사, 파일사는 30s/2, 또는 16s/1의 면사, 대나무사 또는 혼방사로 제직할 수 있다.
아울러, 타일 원단을 제직하지 않고, 제직된 상태의 타일 원단을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상기 제직된 타월 원단을 습윤정련제, 침투제, 수산화나트륨 및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정련 용액으로 처리하는 단계
다음으로, 제직된 타월 원단을 정련 용액으로 정련한다. 이러한 정련 처리는 타월 원단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유기질, 무기질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섬유에 잔존된 천연 색소를 표백하여 후염색 공정 시 선명한 색상 발현을 위한 과정이다. 본 발명에서는 정련 처리를 통해, 통상의 표백 효과를 얻는 것은 물론, 테리 파일의 올 빠짐 역시 개선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정련은 CPB(Cold Pad Batch) 알칼리 정련으로, 정련 용액을 콜드 패드 배치 처리조에 수용시키고, 상기 제직된 타월 원단이 상기 정련 용액이 수용된 콜드 패드 배치 감량기를 거쳐 정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정련 과정은 정련 용액에 특징이 있을 뿐, CPB 정련 방법은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정련 용액을 제외한 정련 처리는 공지된 기술에 따른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정련 용액은 습윤정련제, 침투제, 수산화나트륨 및 과산화수소를 포함한다. 아울러, 용제로는 물을 포함함은 당연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정련 용액은 습윤정련제를 포함하는바, 상기 습윤정련제는 타월 직물의 표면 장력을 저하시켜 조제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는 성분으로, 우수한 유화력과 세정력을 가진다. 이때, 상기 습윤정련제는 정련 용액 1L를 기준으로, 2~5g/L로 사용되는바, 그 사용량이 2g/L 미만이면 불순물 용출이 미흡하고, 섬유 내부로의 조제의 침투성이 미흡하며, 5g/L를 초과하면 기포가 발생되어 펌핑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습윤정련제로는 통상 섬유 분야에서 사용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등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가능하다. 예시적으로 Rucogen-WBL(루돌프코리아)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투제는 습윤정련제의 습윤력을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조제로, 탈기(Deaerating) 효과가 탁월하여 섬유에 혼입되어 있는 에어(Air)를 제거하여 알칼리 및 습윤정련제가 섬유 내부로 순간 침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CPB 알칼리 정련법은 타월 원단이 기존 배치식과 달리 섬유와 조제의 접촉되는 시간이 15초 이내로 짧기 때문에 순간적인 조제의 섬유 내부로의 침투가 매우 중요한 고려요소가 되며, 본 발명은 이러한 침투제를 통해 원단 내 평활성분이 완전히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침투제는 정련 용액 1L를 기준으로 2~3g/L로 사용되는바, 그 사용량이 2g/L 미만이면 알칼리 및 습윤정련제가 섬유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도울 수 없고, 3g/L를 초과하더라도 더 이상의 증진된 작용효과가 없으므로 경제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침투제로는 POE alkyl ether phosphate(CAS Number: 52019-36-0)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등이라면 사용 가능하다. 시판 상품으로 Actiron AT-65((주)프로텍스코리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산화나트륨은 처리액의 산도를 11.5이상 유지하여 불순물을 용출하는 작용을 하는 알칼리 약품이다. 통상 수산화나트륨은 정련 용액 1L를 기준으로, 90~170g/L로 사용되나, 본 발명에서는 수산화나트륨을 정련 용액 1L를 기준으로170~200g/L로 사용한다. 이는 본 발명에서는 수산화나트륨을 통해 불순물만을 용출시키는 것이 아닌, 면섬유, 왁스 등의 평활 성분을 최대한 제거하여 원사의 표면을 거칠게 하고, 수산화나트륨에 의한 면섬유의 팽윤 작용을 극대화시켜 면사의 지름을 더 굵어지게 만들어 지경사와 위사 그리고 파일사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이다. 다만, 상기 수산화나트륨을 200g/L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섬유의 취하가 우려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200g/L를 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과산화수소는 산화표백제로서, 통산 정련 용액 1L를 기준으로, 70g/L 이상 사용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표백뿐 아니라, 타월의 수분 흡수율을 극대화하여 타월을 만졌을 때 뽀드득한 느낌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므로, 150g/L 이상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다만, 그 사용량이 200g/L를 초과하면 섬유의 취하가 우려되므로, 150~200g/L로 사용한다.
상기 정련 용액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타월 원단의 조제 픽업률은 상기 타월 원단의 중량에 대하여 80~105%로 함이 바람직한바, 상기 픽업률이 80% 이하가 되면 타월 원단의 섬유 내부에 잔존하는 조제의 절대량이 작아 소수성 물질인 왁스가 잔존하여 수분 흡수율이 낮아지며, 백도 역시 낮아져 제품의 품질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정련된 타월 원단을 숙성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정련된 타월 원단을 숙성한다. 상기 숙성은 16~20시간 행하는 것으로, 상기 16시간 이상이 불순물의 용출이 가장 적절하고, 과산화수소 분해를 충분히 시켜줄수 있으며, 20시간을 초과하면 비경제적이기 때문이다.
이때, 숙성 온도는 제한하지 않으며, 상온에서 숙성할 수 있다.
상기 숙성된 타월 원단을 수세하고 초산으로 중화 처리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타월 원단을 연속수세기에서 수세하고, 초산(CH3COOH)을 1~2g/L의 농도로 투입하여 산중화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 수세는 고온수, 중온수 및 냉온수의 순서로 수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온수는 70~95℃, 중온수는 50~70℃, 냉온수는 25~50℃ 정도일 수 있으나,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에서 산중화에 사용되는 초산의 사용량이 1g/L 미만이면 섬유에 수산화나트륨의 잔량이 남게 되어 염색의 불균염을 초래하게 되고, 사용량이 2g/L를 초과하게 되면 섬유에서 식초 냄새가 나며 섬유의 취하가 우려된다.
그리고 중화 처리 후 타월 원단을 다시 수세함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방법에 의하면, 타일 원단의 평활제 성분이 최대한 제거되어 파일사와 지경사간의 마찰력이 증대되고, 면섬유의 단면이 팽윤되어 경사, 위사, 파일사 간의 치밀도가 높아지며, 원사의 표면이 거칠어져 세탁이나, 일상적인 사용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일 루프의 올 빠짐이 크게 개선되는 것이다.
한편, 타월이 제조시 상기와 같은 공정이 완료되면, 다음과 같은 염색, 수세, 중화 및 소핑하는 단계를 더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는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이미 공지된 것으로, 기공지된 기술에 의하면 족하다.
이를 일례로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중화된 타월 원단에 적정량의 염료, 무수황산나트륨 15~60g/L, 탄산나트륨 6~25g/L를 투입하여 50~70℃에서 45~90분간 처리한 후 배수하고, 이후 5~20℃의 냉수로 7~10분간 유지하여 섬유에 잔류된 미고착 염료와 무수황산나트륨 및 탄산타트륨을 제거한다.
이때, 상기 염료로는 직접 염료, 황화 염료, 배트 염료 및 반응성 염료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염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반응성 염료를 사용하는 것이 견뢰도가 우수하고 다양한 색상으로 염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반응성 염료의 경우 미염착 염료가 많으며, 폐수유입률이 전체 염료 중 10~50%에 달하므로, 섬유와의 고착률을 고려하여 우수한 염료를 선택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수황산나트륨은 염료입자를 섬유의 공동부분으로 이동시키는 촉염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용량은 색상의 농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나 15g/L 미만이면 섬유로의 염료 이행 속도가 저하되며, 60g/L를 초과하게 되면 경제성이 저하되게 된다.
상기 탄산나트륨은 섬유에 흡착된 염료입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착제로서, 색상의 농도에 따라 사용량이 변경되며, 사용량이 6g/L 미만이면 염료의 섬유 고착률을 저하시키고, 20g/L를 초과하게 되면 염제거에 필요한 용수 사용량이 많아지고 중화에 필요한 초산의 사용량이 증가하게 되어 경제성이 낮아지게 된다.
이때, 염색 온도가 50℃ 미만이 되면 염료 고착량이 떨어지고, 70℃가 초과되면 염료의 가수분해가 일어나 색도가 나쁘게 되며, 염색시간이 45분 미만이면 염료의 고착이 적어지고, 90분 이상이 되면 염색 정도에 미치는 영향이 미비해 생산성이 저하되고 에너지의 소모가 많아지게 되므로, 50~70℃에서 45~90분간 처리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원단을 5~20℃의 냉수로 6~10분간 1회 수세하고 배수한다. 그리고 중화를 위하여 약 1~2g/L의 초산으로 10~15분간 산수세하고 배수한다.
그리고 상기 산수세 후, 소핑한다. 상기 소핑은 열탕수세 과정에서 이탈된 미고착 염료에 유화분산력 및 재부착 방지성을 부여하여 섬유에 재부착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행되며, 수세가 용이하도록 저기포성 소핑제를 선택한다.
이러한 소핑 단계에서 사용되는 소핑제는 적게 사용하면 재부착 방지성이 부족하고,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면 기포의 발생으로 수세가 어려워지므로 1~2g/L를 투입 후 80~90℃의 온도로 10~15분간 처리한 후 배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소핑 단계를 거치게 되면 섬유와 공유결합을 이루지 못한 미고착 염료분자들을 제거하여 각종 견뢰도가가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중화 처리된 타월 원단 또는 상기 중화 처리 후 염색하여 소핑 처리된 타월 원단은 그대로 사용할 경우, 반발탄성, 벌키성, 촉감 등이 좋지 못하므로, 유연화 단계를 더 포함하여야 한다.
상기 유연화 단계는 제조되는 타월 원단의 반발탄성, 평활성, 벌키(bulky)성 및 부드러운 촉감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유연액은 유연제와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유연제는 타월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흡습성 실리콘계열의 유연제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이뤄지고 있는 통상적인 유연화 공정인 배치식(염색기 내부) 처리나 패딩망글을 통한 유연 처리는 타월 원단에 평활성을 부여하는 것이므로, 앞선 전처리를 통해 파일 원단의 평활제 성분을 최대한 제거하여 지경사간의 마찰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올 빠짐을 개선한 본 발명의 효과가 반감되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배치식 처리나 패딩망글을 활용한 유연 처리는 원단을 물에 침지 시킨 후 다시 빼내는 방식으로서, 유연제의 평활성분이 테리 파일과 조직을 이루는 경사와 위사에 골고루 분산되어 테리 파일의 올 빠짐을 감소시키는데 바람직하지 않으며, 유연제를 처리하지 않을 시에는 타월 원단 특유의 부드러운 촉감이 반감되어 사용감이 나빠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유연화 단계 시 유연액을 상기 소핑된 원단에 스프레이 처리함으로써, 상기 타월 원단의 테리 파일 상층부와 조직을 이루는 경사와 위사가 겹치는 부분까지만 유연제가 침투되도록 하여 실과 실의 마찰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유연제의 사용량은 10~50g/ℓ정도면 족하며, 상기 타월 원단에 대한 유연제의 처리량 역시 제한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유연화 처리 전, 즉 상기 중화 처리 또는 상기 소핑 처리가 종료된 후, 30~70℃의 온수로 6~10분간 2회 수세 후, 유연화 단계를 진행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유연화 과정을 마친 타월 원단은 건조 및 봉제의 과정을 통해 타월로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습윤정련제, 침투제, 수산화나트륨 및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정련 용액, 보다 구체적으로 습윤정련제 2~3g/L, 침투제 2~3g/L, 수산화나트륨 170~200g/L 및 과산화수소 150~200g/L을 포함하는 정련 용액으로 정련된 타월 원단은 마찰력 증대를 통해 테리 파일의 올 빠짐이 크게 개선됨으로써, 타월의 내구연한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유연 처리시 유연액은 스프레이 처리함으로써, 타월 원단의 올 빠짐 효과가 반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그 사용감은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경사(30s/2 면사, 33올/inch), 위사(20s/1 면사, 52올/inch) 및 파일사(30s/2 면사, 루프길이 12.2mm)로 타월 원단을 제직하였다.
그리고 습윤정련제(Rucogen-WBL 루돌프코리아) 2.5g/L, 침투제(Actiron AT-65 프로텍스코리아) 3g/L, 수산화나트륨(25% 대신화학) 170g/L, 과산화수소(32% 동양씨엔티) 150g/L를 포함하는 정련 용액을 제조하고, 이를 콜드 패드 배치 처리조에 수용시킨 후, 상기 제직된 타월 원단이 상기 정련 용액이 수용된 콜드 패드 배치 감량기를 거쳐 정련시켰다. 이때, 정련 용액의 온도는 40℃이며, 조제 접촉시간은 12s이고, 조제 픽업률은 타월 원단 중량의 100%였다.
다음으로, 이를 상온에서 16시간 숙성(에이징)한 후, 연속수세기를 이용하여 고온수(85℃)->중온수(55℃)->냉온수(35℃)의 과정으로 수세하였다. 그리고 초산(50% 신양산업)을 1g/L의 농도로 투입하여 40℃에서 중화 처리한 다음 15℃의 냉수로 1회 수세하였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전처리된 타월 원단을 통상의 방법으로 반응성 염료를 사용하여 염색, 수세, 중화, 소핑 및 세척을 진행하여 미고착 염료의 재부착을 방지하였다.
다음으로, 상기한 타월 원단을 인출한 후 패딩망글에서 1차로 섬유의 수분을 탈수하였으며, 스프레이기로 흡습성 실리콘 유연제 30g/L를 포함하는 유연액을 타월 원단의 표면에 50ml/㎡의 양으로 분사한 후, 통상의 방법으로 건조하고 봉제하여 타월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타월의 중량은 190g 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수산화나트륨의 사용량을 200g/L로 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수산화나트륨의 사용량을 180g/L로 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수산화나트륨의 사용량을 100g/L로, 과산화수소의 사용량은 70g/L로 하였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올 빠짐 유발중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올 빠짐 유발중량은 타월의 올 빠짐을 유발하는 외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수치의 높음은 세탁이나 목욕, 운동 등의 활동에서 일상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타월 루프의 빠짐 현상이 개선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올 빠짐 유발중량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테스트 하였다. 먼저, 무게추의 고리를 타월의 파일사에 걸 수 있도록 타월의 파일사를 2~3cm 당겼다.(제품의 특성사 파일사를 2~cm 당기게 되면 파일사가 완전히 뽑히지 않고 걸리는 시점이 발생한다. 즉, 걸리는 시점까지 파일사를 당긴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와 같이 테스트 타월이 수평을 이루도록 양단을 고정(당겨 놓은 파일사가 하부를 향하도록 고정)한 후, 상기 당겨 놓은 파일사에 무게추의 고리를 걸어 파일사가 완전히 빠지는 시점에서의 무게추를 확인하고, 합산하였다. 그 결과값은 동일한 샘플에 10회의 테스트를 실시한 후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올 빠짐 유발중량 330g 320g 330g 110g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은 올 빠짐 유발중량이 320g 이상으로, 올 빠짐 유발중량이 110g인 비교예 1에 비해 타월의 올 빠짐이 현저히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 당연한 것임을 명시한다.

Claims (6)

  1. 타월 원단을 습윤정련제, 침투제, 수산화나트륨 및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정련 용액으로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정련 처리된 타월 원단을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 숙성된 타월 원단을 수세하고 초산으로 중화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화 처리하는 단계 후,
    상기 중화 처리된 타월 원단을 유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연화 단계는, 상기 중화 처리된 타월 원단에 유연액을 스프레이함으로써, 상기 타월 원단의 테리 파일 상층부와 경사 및 위사가 겹치는 부분까지만 유연제가 침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 빠짐이 개선된 타월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련 용액은,
    정련 용액 1L를 기준으로,
    상기 습윤정련제 2~5g/L, 침투제 2~3g/L, 수산화나트륨 170~200g/L 및 과산화수소 150~200g/L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 빠짐이 개선된 타월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련 용액으로 처리하는 단계 시,
    상기 타월 원단의 조제 픽업률은 타월 원단 중량의 80~105%이고,
    상기 정련 처리된 타월 원단을 숙성하는 단계 시,
    상기 숙성 시간은 16~20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 빠짐이 개선된 타월의 제조방법.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타월.
  6. 삭제
KR1020200084593A 2020-07-09 2020-07-09 올 빠짐이 개선된 타월 및 그 제조방법 KR102157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593A KR102157189B1 (ko) 2020-07-09 2020-07-09 올 빠짐이 개선된 타월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593A KR102157189B1 (ko) 2020-07-09 2020-07-09 올 빠짐이 개선된 타월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189B1 true KR102157189B1 (ko) 2020-09-18

Family

ID=72670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593A KR102157189B1 (ko) 2020-07-09 2020-07-09 올 빠짐이 개선된 타월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1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0639A (ko) * 2021-11-15 2023-05-23 오세영 타올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837A (ko) 2002-09-16 2002-11-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효소에 의한 일욕 호발정련법
KR20070106812A (ko) 2006-05-01 2007-11-06 이종석 타월의 제조 방법
KR100780791B1 (ko) 2006-12-28 2007-11-30 이재화 타올직물의 정련방법
KR20080043127A (ko) * 2006-11-13 2008-05-16 이기철 벨루어 섬유의 제조방법
KR20120032031A (ko) * 2009-11-09 2012-04-04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에어백용 직물 및 에어백
KR20140028886A (ko) * 2012-08-31 2014-03-10 박병일 전자파 차폐시트용 직물의 정련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837A (ko) 2002-09-16 2002-11-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효소에 의한 일욕 호발정련법
KR20070106812A (ko) 2006-05-01 2007-11-06 이종석 타월의 제조 방법
KR20080043127A (ko) * 2006-11-13 2008-05-16 이기철 벨루어 섬유의 제조방법
KR100780791B1 (ko) 2006-12-28 2007-11-30 이재화 타올직물의 정련방법
KR20120032031A (ko) * 2009-11-09 2012-04-04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에어백용 직물 및 에어백
KR20140028886A (ko) * 2012-08-31 2014-03-10 박병일 전자파 차폐시트용 직물의 정련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0639A (ko) * 2021-11-15 2023-05-23 오세영 타올 제조방법
KR102577840B1 (ko) * 2021-11-15 2023-09-12 오세영 타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80695B (zh) 一种改善全棉光泽和手感的染整加工方法
CN101298740B (zh) 亚麻与Lyocell纤维混纺织物的染整工艺
US9869058B2 (en) Pineapple leaf fiber fine treatment method
CN101481880B (zh) 一种怀旧生态棉、麻及其混纺面料的生产方法
CN108130646B (zh) 一种面料布的制备方法
US11987926B2 (en) Launderable activated cotton
US20220389650A1 (en) Launderable activated cotton
WO2008098420A1 (en) Process for preparing multifunctional moisture management textiles
KR102157189B1 (ko) 올 빠짐이 개선된 타월 및 그 제조방법
Choudhury Pre-treatment and preparation of textile materials prior to dyeing
CN109629268B (zh) 一种二醋酸纤维与玉米纤维高弹性面料的印染工艺
CN106521846B (zh) 一种棉织布的加工工艺
CN111254724A (zh) 一种编织毛的染色工艺、编织毛及其应用及毛纺织品
CN107974838A (zh) 一种麻织物的生物酶前处理方法
JP7229802B2 (ja) セルロース系編地及びその製造方法
CN113668127A (zh) 一种吸湿速干抗菌面料
KR930008699B1 (ko) 면·마 니트 원단등의 유연 및 실크터치 가공방법
JPH02216282A (ja) セルロース系繊維構造物の減量加工方法
CN100359067C (zh) 竹纤维毛圈织物的生产新工艺
US11608588B2 (en) Damage processing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extile product
CA2350605A1 (en) Improved cellulase treatments for fabric
CN117488538A (zh) 一种透气性好的锦纶6dty原料预处理方法
JPH055286A (ja) セルロース系繊維構造物の洗いざらし調染色方法
JPH02175975A (ja) パイナップル繊維含有繊維構造物の防縮毛羽防止加工方法
CN115287923A (zh) 一种新型纺织品印染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