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474B1 - 액상 충전기의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액상 충전기의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474B1
KR102156474B1 KR1020180061611A KR20180061611A KR102156474B1 KR 102156474 B1 KR102156474 B1 KR 102156474B1 KR 1020180061611 A KR1020180061611 A KR 1020180061611A KR 20180061611 A KR20180061611 A KR 20180061611A KR 102156474 B1 KR102156474 B1 KR 102156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transfer line
bushing
hole
bush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6219A (ko
Inventor
정기철
Original Assignee
정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철 filed Critical 정기철
Priority to KR1020180061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474B1/ko
Publication of KR20190136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8Flow-control devices, e.g. u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4Devices for supporting or handling bottles

Landscapes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 충전기의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대와, 상기 기대의 표면에 입설된 복수의 메인브래킷과, 상기 메인브래킷에 고정된 밸브프레임으로부터 연결된 제 1 지지판 및 제 2 지지판과, 양 측벽에서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된 장공과 내부 양 측벽에 형성된 만곡돌부를 갖고 상기 제 1 지지판과 제 2 지지판 사이에 외곽에 설치된 지지부재와, 축에 의해 설치된 환봉을 갖고 상기 밸브프레임에 설치된 실린더의 피스톤에 의해 상기 장공을 따라 좌우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실리콘 재질의 연질 토막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지지판과 제 2 지지판의 표면을 관통하는 수직방향에서 연결 설치된 제 1 이송라인 및 제 2 이송라인으로 이루어져, 상기 피스톤에 의해 좌우 이동하는 환봉이 만곡돌부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반복하여 상기 제 1 이송라인과 제 2 이송라인을 가압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이송라인 및 제 2 이송라인 내부를 통과하는 액체를 차단 및 공급하는 액상 충전기의 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프레임으로부터 일측으로 연결된 제 1 지지판 및 제 2 지지판, 상기 밸브프레임의 평면 가로방향의 중앙으로부터 반으로 절개 형성한 절개면에 반원 형상의 요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절개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된 제 1 나사공을 포함하며; 후면에 반원 형상의 요홈이 각각 형성되고,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관통하는 각각의 제 2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나사공 및 제 2 나사공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상기 제 1 지지판 및 제 2 지지판의 절개면에 접촉 조립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요홈 사이에 삽입된 제 1 부싱과 제 2 부싱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관통공에 삽입된 길이가 긴 하나의 제 1, 2 이송라인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부싱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제 1 이송라인 및 제 2 이송라인을 이루는 실리콘 재질의 연질관의 삽입 및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제 1 부싱 및 제 2 부싱을 설치함에 있어서, 강제 가압 삽입방식을 배제하고 상호 대향하는 반원 형상의 요홈으로 제 1 부싱 및 제 2 부싱을 지지하는 방식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으로서, 제 1 부싱 및 제 2 부싱의 관통공 지름 크기 변화를 방지하는 이점으로 인해 제 1 부싱 및 제 2 부싱의 관통공에 삽입된 제 1 이송라인 및 제 2 이송라인이 환봉에 의해 가압 및 가압될 때 제 1 부싱 및 제 2 부싱 내부에서 상하 당김과 당김 해제에 따른 상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서 액체의 차단 및 공급이 적절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상 충전기의 밸브장치{LIQUID FILLING MACHINE FOR VALVE APPARATUS}
본 발명은 각종 약품, 화장품, 식품 등을 이루는 액체부터 고점도 크림 또는 세제류까지 다양한 액체를 용기에 충전할 수 있도록,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특허출원 제10-2012-0000034호 "액상 충전기의 밸브장치"에 있어서, 제 1 지지판 및 제 2 지지판에 설치되는 튜브와 제 1 이송라인 및 제 2 이송라인의 결합구조를 보다 진보적으로 개량한 액상 충전기의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된 특허출원 제10-2012-0000034호(공개일자:2012. 08. 24)(종래문헌 1)에 개시된 종래 액상 충전기의 밸브장치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개시하고 있는 종래 액상 충전기의 밸브장치는, 기대에 설치된 메인브래킷에 고정된 밸브프레임에는 일측에 실린더가 설치되어 있고, 타측의 상부에 마련된 제 1 지지판에는 제 1 이송라인의 일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의 하부에 마련된 제 2 지지판에는 제 1 이송라인의 타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지지판과 제 2 지지판 사이에서 제 1 이송라인의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는 연질의 제 1 튜브와, 제 1 지지판의 일측에서 제 2 이송라인의 일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 2 지지판에 제 2 이송라인의 타단이 설치되고, 제 1 지지판과 제 2 지지판 사이에서 제 2 이송라인의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는 연질의 제 2 튜브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양측의 가로방향에서 장공이 각각 형성되며 내면에 만곡돌부가 각각 형성된 지지부재를 갖고 메인브래킷에 고정된 밸브프레임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 1 튜브와 제 2 튜브의 사이에서 가로방향에서 마련된 환봉과, 환봉을 가로방향에서 관통하며 양단이 장공에 삽입된 축을 구비하고 있으며, 축의 양단을 고정한 채 일측 실린더의 피스톤과 연결된 이동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문헌 1에 따른 액상 충전기의 밸브장치는 제 1 이송라인 및 제 2 이송라인을 제 1 지지판과 제 2 지지판에 지지하기 위한 부싱을 사용치 않고, 제 1 튜브 및 제 2 튜브와 연결된 제 1 이송라인 및 제 2 이송라인의 단부를 일단(10a)(타단10b)이라는 결속캡을 사용하여 제 1 지지판 및 제 2 지지판과 제 1 튜브 및 제 2 튜브에 결속한 구성이다. 따라서 환봉의 전, 후진에 의해 가압되는 제 1 튜브 및 제 2 튜브의 상 하부는 장기간의 가압력에 의해 상하 당겨지는 것이 반복되면, 일단(10a)(타단10b)이라는 결속캡이 느슨해져 결과적으로 제 1 튜브 및 제 2 튜브의 기밀상태가 해제되어 액체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2는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된 특허출원 제10-2013-0159440호(공개일자:2015.06.29)(종래문헌 2) 액상 충전기의 밸브장치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는 액상 충전기의 밸브장치는, 본원 출원인이 종래문헌 1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출원이다.
종래문헌 2에서는 밸브케이스의 표면에 통공을 형성하고, 통공에는 관통공을 갖는 튜브지지부재(부싱)을 삽입하며, 관통공에는 액상을 공급하는 하나의 연질튜브(이송라인)를 축선방향에서 삽입 통과시킨 구성을 취함으로써, 상기 종래문헌 1에서의 문제점인 제 1 튜브 및 제 2 튜브의 기밀상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문헌 2에서의 튜브지지부재(부싱)은 밸브케이스의 표면에 통공을 형성한 후, 관통공을 갖는 튜브지지부재(부싱)를 한정된 지름을 갖는 상기 밸브케이스에 형성된 통공에 강제 삽입하는 방식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튜브지지부재(부싱)의 관통공이 통공에 의해 가압되어 지름 크기가 변형되고, 따라서 관통공에 삽입된 연질튜브(이송라인)도 변형된 지름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가압 돌기가 연질튜브(이송라인)를 가압하면 연질튜브가 당겨지지 않거나 또는 당겨져서 원위치 되지 않아 액체의 차단 및 공급에 차질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액상 충전기의 밸브장치에 설치되는 제 1 지지판과 제 2 지지판의 구성을 개선하여, 이에 제 1 이송라인 및 제 2 이송라인의 삽입 및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제 1 부싱 및 제 2 부싱을 보다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 1 부싱 및 제 2 부싱에 삽입된 실리콘 재질로서 하나의 연질관으로 이루어진 제 1 이송라인 및 제 2 이송라인이 환봉에 의해 가압 및 가압 해제될 때 제 1 부싱 및 제 2 부싱 내부에서 상하 당김과 당김 해제에 따른 상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액체의 흐름에 의한 차단 및 공급이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액상 충전기의 밸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기대와, 상기 기대의 표면에 입설된 복수의 메인브래킷과, 상기 메인브래킷에 고정된 밸브프레임으로부터 연결된 제 1 지지판 및 제 2 지지판과, 양 측벽에서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된 장공과 내부 양 측벽에 형성된 만곡돌부를 갖고 상기 제 1 지지판과 제 2 지지판 사이에 외곽에 설치된 지지부재와, 축에 의해 설치된 환봉을 갖고 상기 밸브프레임에 설치된 실린더의 피스톤에 의해 상기 장공을 따라 좌우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실리콘 재질의 연질 토막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지지판과 제 2 지지판의 표면을 관통하는 수직방향에서 연결 설치된 제 1 이송라인 및 제 2 이송라인으로 이루어져, 상기 피스톤에 의해 좌우 이동하는 환봉이 만곡돌부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반복하여 상기 제 1 이송라인과 제 2 이송라인을 가압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이송라인 및 제 2 이송라인 내부를 통과하는 액체를 차단 및 공급하는 액상 충전기의 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프레임으로부터 일측으로 연결된 제 1 지지판 및 제 2 지지판, 상기 밸브프레임의 평면 가로방향의 중앙으로부터 반으로 절개 형성된 절개면에 반원 형상의 요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절개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된 제 1 나사공을 포함하며; 후면에 반원 형상의 요홈이 각각 형성되고,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관통하는 각각의 제 2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나사공 및 제 2 나사공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상기 제 1 지지판 및 제 2 지지판의 절개면에 접촉 조립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요홈 사이에 삽입된 제 1 부싱과 제 2 부싱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관통공에 삽입된 길이가 긴 하나의 제 1, 2 이송라인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부싱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충전기의 밸브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제 1 이송라인 및 제 2 이송라인을 이루는 실리콘 재질의 연질관의 삽입 및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제 1 부싱 및 제 2 부싱을 설치함에 있어서, 강제 가압 삽입방식을 배제하고 상호 대향하는 반원 형상의 요홈으로 제 1 부싱 및 제 2 부싱을 지지하는 방식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으로서, 제 1 부싱 및 제 2 부싱의 관통공 지름 크기 변화를 방지하는 이점으로 인해 제 1 부싱 및 제 2 부싱의 관통공에 삽입된 제 1 이송라인 및 제 2 이송라인이 환봉에 의해 가압 및 가압될 때 제 1 부싱 및 제 2 부싱 내부에서 상하 당김과 당김 해제에 따른 상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서 액체의 차단 및 공급이 적절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문헌 1에 따른 액상 충전기의 밸브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문헌 2에 따른 액상 충전기의 밸브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충전기의 밸브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지지판의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제 1 지지판으로부터 부싱지지판을 분리시킨 상태의 평면도,
도 7은 도 5에 따른 제 1 지지판의 B-B선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환봉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충전기의 밸브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지지판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제 1 지지판으로부터 부싱지지판을 분리시킨 상태의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충전기의 밸브장치는, 기대(100)의 표면에 복수의 메인브래킷(101)이 입설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메인브래킷(101)에 고정된 밸브프레임(200)은 제 1 지지판(201)과 제 2 지지판(202)을 포함하고, 제 1 지지판(201)과 제 2 지지판(202) 사이에 설치된 지지부재(203)를 포함하며, 지지부재(203)의 내부 양 측벽에는 만곡돌부(204)(205)가 형성되어 있고, 지지부재(203)의 양 측벽에는 상호 대향하는 장공(206)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203)의 장공(206)에는 이동부재(208)를 축설하고 있는 축(207)이 장공(206)을 따라 좌우 이동할 수 있고, 축(207)에는 환봉(209)이 설치되며, 이동부재(208)는 실린더(210)의 피스톤(211)에 의해 좌우 이동하도록 피스톤(211)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 1 지지판(201) 및 제 2 지지판(202)은 평면 가로방향의 중앙으로부터 반으로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1 지지판(201) 및 제 2 지지판(202)의 절개면(212)에는 반원형상의 요홈(213)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절개면(212)에서 요홈(213)을 제외한 면에는 제 1 나사공(21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개면(212)에 접촉되어 조립되는 부싱지지판(215)(215a)의 후면에는 반원형상의 요홈(216)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부싱지지판(215)(215a)에는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관통하는 제 2 나사공(21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부싱지지판(215)(215a)은 볼트(223)로서 절개면(212)에 접촉 조립되는 것으로서, 요홈(213)과 요홈(216)이 상호 대향하는 사이에는 관통공(218)(219)을 갖는 부싱(220)(220a)이 각각 삽입 위치되어 고정 지지되며, 제 1 부싱 및 제 2 부싱(220)(220a)의 관통공(218)(219)에는 하나의 실리콘 재질의 연질관으로 이루어진 제 1 이송라인(221) 및 제 2 이송라인(222)이 축선 방향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부싱 및 제 2 부싱(220)(220a)의 관통공(218)(219)은 상기 제 1 이송라인(221) 및 제 2 이송라인(222)의 원형의 단부 지름보다 비교적 큰 지름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충전기의 밸브장치는, 제 1 지지판(201)과 제 2 지지판(202)을 구성함에 있어서, 절개면(212)에 제 1 부싱 및 제 2 부싱(220)(220a)을 설치하기 위한 요홈(216)을 각각 형성하고, 절개면(212)에 접촉되어 볼트(223)로 착탈 조립되는 부싱지지판(215)(215a)의 후면에 각각의 요홈(216)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요홈(213)과 요홈(216) 사이에 제 1 부싱 및 제 2 부싱(220)(220a)을 강제삽입 방식이 아닌 자중에 의해 삽입시켜 체결 고정하는 방식으로서 지지시킬 수 있어 기존 강제삽입 방식과 달리 제 1 부싱 및 제 2 부싱(220)(220a)의 설치가 쉽고 간편한 이점과 아울러 통상의 한정된 지름을 갖는 부싱삽입공의 강압에 의한 내측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 관통공(218, 219) 지름의 크기가 변형되지 않는 이점이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제 1 부싱 및 제 2 부싱(220)(220a)의 관통공(218)(219)에 삽입되는 제 1 이송라인 및 제 2 이송라인(221)(222)을 종래문헌 1과 달리 단락되어 연결캡으로 연결되는 구조가 아닌, 길이가 긴 하나의 관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함으로써 액체의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제 1 부싱 및 제 2 부싱(220)(220a)의 설치방식에 있어, 강제 삽입방식이 배제된 자중에 의해 삽입된 제 1 부싱 및 제 2 부싱(220)(220a)의 관통공(218)(219)은 종래 강제삽입 방식에 의한 지름 변형과 달리, 그 지름의 크기가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관통공(218)(219)에 삽입된 실리콘 재질의 연질관으로 이루어진 제 1 이송라인(221) 및 제 2 이송라인(222)이 환봉(209)에 의해 지지부재(203)의 내부 양 측벽에 형성된 만곡돌부(204)(205)측으로 연속 반복적으로 이동될 때, 제 1 부싱 및 제 2 부싱(220)(220a)의 관통공(218)(219)에서 축선 방향에서 상하 자유롭게 이동되므로 종래와 달리 액체의 차단 및 공급이 원활하고 적절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환봉의 확대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환봉(209)의 외주면 둘레방향에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연질관(209a)을 씌움으로써, 환봉(209)이 장기간에 걸쳐 실리콘 재질의 연질관으로 형성된 제 1 이송라인(221)과 제 2 이송라인(222)을 연속 반복적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제 1 이송라인(221)과 제 2 이송라인(222)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1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기대
101 : 메인브래킷
200 : 밸브프레임
201 : 제 1 지지판
202 : 제 2 지지판
203 : 지지부재
204, 205 : 만곡돌부
206 : 장공
207 : 축
208 : 이동부재
209 : 환봉
209 : 연질관
210 : 실린더
211 : 피스톤
212 : 절개면
213, 216 : 요홈
214 : 제 1 나사공
215, 215a : 부싱지지판
217 : 제 2 나사공
218, 219 : 관통공
220, 220a : 제 1 부싱, 제 2 부싱
221 : 제 1 이송라인
222 : 제 2 이송라인
223 : 볼트

Claims (2)

  1. 기대(100)와, 상기 기대의 표면에 입설된 복수의 메인브래킷(101)과, 상기 메인브래킷에 고정된 밸브프레임(200)으로부터 연결된 제 1 지지판(201) 및 제 2 지지판(202)과, 양 측벽에서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된 장공(206)과 내부 양 측벽에 형성된 만곡돌부(204)(205)를 갖고 상기 제 1 지지판(201)과 제 2 지지판(202) 사이에 외곽에 설치된 지지부재(203)와, 축(207)에 의해 설치된 환봉(209)을 갖고 상기 밸브프레임(200)에 설치된 실린더(210)의 피스톤(211)에 의해 상기 장공(206)을 따라 좌우 이동하는 이동부재(208)와, 실리콘 재질의 연질 토막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지지판(201)과 제 2 지지판(202)의 표면을 관통하는 수직방향에서 연결 설치된 제 1 이송라인(221) 및 제 2 이송라인(222)으로 이루어져, 상기 피스톤(211)에 의해 좌우 이동하는 환봉(209)이 만곡돌부(204)(205)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반복하여 상기 제 1 이송라인(221)과 제 2 이송라인(222)을 가압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이송라인(221) 및 제 2 이송라인(222) 내부를 통과하는 액체를 차단 및 공급하는 액상 충전기의 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프레임(200)으로부터 일측으로 연결된 제 1 지지판(201) 및 제 2 지지판(202)은, 상기 밸브프레임(200)의 평면 가로방향의 중앙으로부터 반으로 절개 형성한 절개면(212)에 반원 형상의 요홈(21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절개면(212)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된 제 1 나사공(214)을 포함하며;
    후면에 반원 형상의 요홈(216)이 각각 형성되고,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관통하는 각각의 제 2 나사공(217)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나사공(214) 및 제 2 나사공(217)에 체결되는 볼트(223)에 의해 상기 제 1 지지판(201) 및 제 2 지지판(202)의 절개면(212)에 접촉 조립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요홈(213, 216) 사이에 삽입된 제 1 부싱(220)과 제 2 부싱(220a)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관통공(219)에 삽입된 길이가 긴 하나의 제 1, 2 이송라인(221, 222)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부싱지지판(215)(215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충전기의 밸브장치.
  2. 삭제
KR1020180061611A 2018-05-30 2018-05-30 액상 충전기의 밸브장치 KR102156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611A KR102156474B1 (ko) 2018-05-30 2018-05-30 액상 충전기의 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611A KR102156474B1 (ko) 2018-05-30 2018-05-30 액상 충전기의 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219A KR20190136219A (ko) 2019-12-10
KR102156474B1 true KR102156474B1 (ko) 2020-09-15

Family

ID=69002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611A KR102156474B1 (ko) 2018-05-30 2018-05-30 액상 충전기의 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47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66580A (ja) * 2016-03-16 2017-09-21 旭有機材株式会社 流体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4417A (ko) * 2012-01-02 2012-08-24 정기철 액상 충전기의 밸브장치
KR20150072127A (ko) * 2013-12-19 2015-06-29 정기철 액상 충전기의 밸브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66580A (ja) * 2016-03-16 2017-09-21 旭有機材株式会社 流体制御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Y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219A (ko)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85392B (zh) 带有引导式可拉出的出水口的配件
CN102792015A (zh) 带有可机械地调整的刚度的弹性体弹簧
KR102156474B1 (ko) 액상 충전기의 밸브장치
JPWO2012015007A1 (ja) 分岐管の製造方法及び分岐管製造装置
PT2248648E (pt) Método e dispositivo para a produção de uma conduta termicamente isolada
KR20100040471A (ko) 파이프 벤딩 성형용 프레스 금형장치
US349718A (en) hollerith
KR20180118930A (ko) 파이프 밴딩 장치
FI69744C (fi) Funktionell enhet foer utveckling glaettning och bromsning av ett veckat slanghoelje samt anvaendning av denna funktionella enhet
RU2018138759A (ru) Экструзионная головк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труб
KR101836873B1 (ko) 금형 교체가 필요없는 내진용 각관 성형방법
CN108290337B (zh) 用于校准薄膜软管的校准装置和方法
CN108248001B (zh) 一种热缩管扩张牵引装置
DE2734251C3 (de) Vorrichtung zum Einfüllen einer dosierten Fließmittelmenge in eine Verpackung
FR3070416B1 (fr) Procede et installation de betonnage d’un site souterrain
CN204368374U (zh) 自行车用主动式高低可调座管
KR970014862A (ko) 유체분배관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WO2015122823A1 (en) Tube bending tool
CN105563813A (zh) 筒体包覆部件的制造方法与筒体包覆部件的制造装置
CN109501373B (zh) 一种多通道浮球排气装置
CN112792792A (zh) 一种用于柱状易变形建材加工的固定设备
KR20170078249A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어스 앵커 브라켓
CN206527193U (zh) 一种管材胀形器
CN208305731U (zh) 一种橡胶筒成型装置
CN102003494B (zh) 拖链辅助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