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4862A - 유체분배관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분배관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4862A
KR970014862A KR1019950032043A KR19950032043A KR970014862A KR 970014862 A KR970014862 A KR 970014862A KR 1019950032043 A KR1019950032043 A KR 1019950032043A KR 19950032043 A KR19950032043 A KR 19950032043A KR 970014862 A KR970014862 A KR 970014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pipe
pipe
screw rod
fluid distribution
ru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2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현
Original Assignee
정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현 filed Critical 정진현
Priority to KR1019950032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14862A/ko
Publication of KR970014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4862A/ko

Links

Landscapes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유체를 여러곳으로 분배하여 주는 유체분배관에 각 분기관을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 분배관의 내면에 삽입한 원추형 탭에 강제적인 힘을 가해 분배관 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통과시켜 그 압력으로 성형되는 돌출부를 완만하고 자연스러운 각도의 호형면으로 이루어지게 하므로써 유체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중앙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각 분기관을 통해 정확한 양과 압력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유체분배관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체분배관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제조장치의 전체를 보인 예시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조장치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분배관 구멍에 돌출부를 성형하기 직전의 예시단면도
제4도는 원추형 탭을 당겨올려 돌출부가 성형된 상태의 단면도

Claims (2)

  1. 일정직경의 파이프(10)를 구비하여 이 파이프(10)의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9)을 뚫어준 후, 일측에 사각돌조(7)가 돌설된 받침판(6)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눈금(5')이 새겨진 막대형태의 눈금자(5)를 구비하여, 원추형 탭(4)을 상기 받침판(6)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눈금자(5)를 상기 파이프(10) 내부로 삽입하여 원추형 탭(4)을구멍(9)의 위치에 정확하게 맞추어 상기 피스톤(2)을 하강시키고 나사봉(3)을 회전시켜 나사봉(3)이 상기 원추형 탭(4)에 나착되도록 한 후 피스톤(2)을 상승시켜 나사봉(3)과 결합된 원추형 탭(4)이 실린더(1)의 강제적인 힘에 의해 구멍(9)을 뚫고 외부로 빠져나오면서 그 압력으로 구멍(9)의 주변이 융기되어 성형되는 돌출부(8)가 자연스러운 각도의 호형면을 이루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분배관의 제조방법.
  2. 실린더(1)작동으로 승하강되는 피스톤(2)에 나사봉(3)을 연결하며, 상기 나사봉(3)에 나착될 수 있는 원추형 탭(4)을 구비하고, 측면에 눈금(5')이 새겨진 눈금자(5)를 구비하여 이 눈금자(5)의 일측에는 상기 원추형 탭(4)이 올려지는 받침판(6)을 형성하되, 상기 받침판(6)의 중앙에는 사각돌조(7)를 돌설하고, 원추형 탭(4)의 저면에는 상기 사각돌조(7)와 동일한 형태의 요입부(4')를 형성하며 상측면에는 나사봉(3)과 동일한 직경의 나사홈(4")을 형성하여 되는 유체분배관의 제조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32043A 1995-09-27 1995-09-27 유체분배관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9700148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2043A KR970014862A (ko) 1995-09-27 1995-09-27 유체분배관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2043A KR970014862A (ko) 1995-09-27 1995-09-27 유체분배관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862A true KR970014862A (ko) 1997-04-28

Family

ID=66616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2043A KR970014862A (ko) 1995-09-27 1995-09-27 유체분배관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14862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591B1 (ko) * 2005-12-27 2007-01-22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유체분배용 파이프의 분기접속구 제조방법
KR100787050B1 (ko) * 2006-11-30 2007-12-21 주식회사 지스타기업 난방용 온수분배기 제조방법
KR20200016056A (ko) 2018-08-06 2020-02-14 이재윤 관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배관 제조 방법
KR200491691Y1 (ko) * 2019-09-19 2020-05-20 최옥동 온수 분배기용 배관 제조장치
KR20200075306A (ko) * 2018-12-18 2020-06-26 김소연 금속파이프의 분기관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KR102151528B1 (ko) 2019-06-05 2020-09-03 김인환 파이프의 가지관 성형장치
KR20210099726A (ko) 2020-02-05 2021-08-13 화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금속 파이프의 티(t)형 가지관 자동 성형시스템
KR102401399B1 (ko) * 2021-03-15 2022-05-24 (주)윤테크 스프링 쿨러용 배관 제조 방법 및 제조 시스템
KR102415205B1 (ko) * 2021-03-15 2022-06-30 (주)남경방재 유압식 인발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591B1 (ko) * 2005-12-27 2007-01-22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유체분배용 파이프의 분기접속구 제조방법
KR100787050B1 (ko) * 2006-11-30 2007-12-21 주식회사 지스타기업 난방용 온수분배기 제조방법
KR20200016056A (ko) 2018-08-06 2020-02-14 이재윤 관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배관 제조 방법
KR20200075306A (ko) * 2018-12-18 2020-06-26 김소연 금속파이프의 분기관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KR102151528B1 (ko) 2019-06-05 2020-09-03 김인환 파이프의 가지관 성형장치
KR200491691Y1 (ko) * 2019-09-19 2020-05-20 최옥동 온수 분배기용 배관 제조장치
KR20210099726A (ko) 2020-02-05 2021-08-13 화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금속 파이프의 티(t)형 가지관 자동 성형시스템
KR102401399B1 (ko) * 2021-03-15 2022-05-24 (주)윤테크 스프링 쿨러용 배관 제조 방법 및 제조 시스템
KR102415205B1 (ko) * 2021-03-15 2022-06-30 (주)남경방재 유압식 인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4862A (ko) 유체분배관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ATE192308T1 (de) Verankerungselement
DE69202197D1 (de) Vorrichtung zum Zuführen einer Flüssigkeit unter konstantem Druck.
DE59602597D1 (de) Einrichtung zur Verbindung eines Koaxialsteckers mit einem Koaxialkabel
DK266089D0 (da) Fremgangsmaade og indretning til immunanalyse
ZA978407B (en) Drill for making a pole in the ground and method applying this drill.
KR940010126A (ko) 원자로압력용기커버를 관통하는 노즐의 교환방법
FR2925657B1 (fr) Dispositif et procede pour stabiliser la pression et le debit d'un melange gazeux alimentant un bruleur cylindrique a combustion de surface
DE59406678D1 (de) Demontierbarer Stehtisch
DE4000112A1 (de) Zylinderimplantat mit integriertem fixierungssystem
ES2019321B3 (es) Soportes de acero muy ajustables para encofrado de recubrimientos y similares
DE69822835D1 (de) Fluidaustragsvorrichtung mit einem Luftverteiler mit einer Gewindebohrung
DE59500990D1 (de) Vorrichtung zur Druckeinstellung eines mit einer aufschiebbaren Hülse ausgestatteten Druckzylinders
KR900006040A (ko) 가열용기와 그 제조장치
BR9602643A (pt) Válvula
CN206924377U (zh) 一种足球训练用组合式训练杆
ATE231095T1 (de) Sprühkopf für eine ventil- oder pumpevorrichtung
CN210978711U (zh) 一种新型埋地燃气阀开阀钥匙
JPS6326747Y2 (ko)
KR910002365Y1 (ko) 낚시 받침대
KR900013092A (ko) 용융금속내의 가스 주입방법 및 장치
ES1034061U (es) Fijador de varillas de actuacion valvular sobre flotadores esfericos huecos.
JPS62223538A (ja) 地下水による冷暖房法
KR920004758A (ko) 유체용 감압 조정변
KR200197695Y1 (ko) 공압식 링겔병 걸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