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442B1 - 벨트컨베이어용 파쇄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컨베이어용 파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442B1
KR102155442B1 KR1020190033544A KR20190033544A KR102155442B1 KR 102155442 B1 KR102155442 B1 KR 102155442B1 KR 1020190033544 A KR1020190033544 A KR 1020190033544A KR 20190033544 A KR20190033544 A KR 20190033544A KR 102155442 B1 KR102155442 B1 KR 102155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veyor
moving
crushing
uni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3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02C18/2241Feed means of conveyor bel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벨트컨베이어용 파쇄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용 파쇄장치는: 벨트컨베이어의 프레임부에 고정되며 벨트부재의 폭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벨트부재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물 덩어리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부와, 이동부의 이동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감지부 및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의해 동작되며 이송물 덩어리를 파쇄시키는 파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벨트컨베이어용 파쇄장치{CRUSHING DEVICE FOR 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용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벨트부재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물 덩어리를 자동으로 파쇄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용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컨베이어는, 복수개의 롤러에 의해 지지되는 벨트에 의해 다량의 이송물을 이송시키는 장치로 이송장치나 자동화 라인에 사용되며, 이송물을 이송하는 벨트부재의 양측에는 풀리부재가 구비되고, 풀리부재의 사이에는 복수의 롤러부재가 설치되어 벨트부재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118014호(2010.11.04 공개, 발명의 명칭: 벨트 컨베이어)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벨트부재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물 덩어리를 자동으로 파쇄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용 파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파쇄장치는: 벨트컨베이어의 프레임부에 고정되며 벨트부재의 폭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벨트부재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물 덩어리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부와, 이동부의 이동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감지부 및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의해 동작되며 이송물 덩어리를 파쇄시키는 파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부는, 벨트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몸체와, 이동몸체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와, 이동몸체의 타측 단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 및 제2연결부재에 고정되는 판 형상이며 벨트부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이동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몸체는,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몸체 및 제1몸체에서 하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굽어지며 제1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부에 고정되며 제1몸체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파쇄부는, 지지부의 측면에 고정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에 축 연결되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및 회전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날 형상의 파쇄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파쇄장치는, 파쇄날개의 회전에 의해 이송물 덩어리가 자동으로 파쇄되어 이송물 덩어리에 의한 벨트컨베이어의 파손을 방지하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이송물 덩어리에 밀려서 이동부가 회전되는 동작 이후에 파쇄부가 동작되므로 파쇄부를 동작시키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설정 높이 이상의 이송물 덩어리가 제1연결부재에 걸려서 슈트부를 향한 일측으로 이송됨을 차단하므로 이송물 덩어리에 의한 벨트컨베이어의 파손을 방지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파쇄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쇄부가 지지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파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파쇄장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파쇄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파쇄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파쇄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쇄부가 지지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파쇄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파쇄장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파쇄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파쇄장치(1)는, 벨트컨베이어(10)의 프레임부(18)에 고정되며 벨트부재(12)의 폭방향(W)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부(20)와, 지지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벨트부재(12)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물 덩어리(82)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부(30)와, 이동부(30)의 이동을 감지하여 제어부(50)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감지부(40)와, 감지부(40)의 감지신호에 의해 동작되며 이송물 덩어리(82)를 파쇄시키는 파쇄부(60) 및 이동부(3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70)를 포함한다.
제철소에서 사용하는 연료나 원료와 같은 이송물(80)은 벨트컨베이어(10)를 따라 수평 이동된 후 하측으로 낙하된다. 벨트컨베이어(10)는 풀리부재(14)에 걸쳐져서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는 벨트부재(12)를 구비한다.
벨트부재(12)는 복수의 지지롤러(16)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 이동이 안내되며, 이러한 지지롤러(16)는 벨트컨베이어(10)의 프레임부(1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벨트부재(12)로 공급된 이송물(80)은 벨트부재(12)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된 후, 벨트컨베이어(10)의 일측(도 1기준 좌측)으로 낙하한다. 벨트컨베이어(1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상태를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부(20)는 벨트컨베이어(10)의 프레임부(18)에 고정되며, 벨트부재(12)의 폭방향(W) 양측에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0)는 벨트부재(12)의 폭방향(W) 양측에 세워지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지지부(20)의 하측은 프레임부(18)에 고정된다.
지지부(20)의 상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돌기(22)에 이동부(30)의 이동몸체(3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이동부(30)는 외측돌기(22)를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동부(30)는 지지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벨트부재(12)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물 덩어리(82)에 의해 이동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30)는, 이동몸체(31)와 제1연결부재(36)와 제2연결부재(37)와 이동패널(38)을 포함한다.
이동몸체(31)는 벨트부재(12)의 상측에 위치하며 지지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이동몸체(31)는 한 쌍을 이루며 벨트부재(12)의 폭방향(W) 양측에 위치하며,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몸체(31)는, 지지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몸체(32) 및 제1몸체(32)에서 하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굽어지며 제1연결부재(36)와 연결되는 제2몸체(35)를 포함한다.
제1몸체(32)의 내측에는 장공홀부(33)가 구비되며, 지지부(20)의 외측돌기(22)가 장공홀부(33)를 관통하며 설치된다. 제1몸체(32)는 직선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이며, 제1몸체(32)의 일측(도 2기준 좌측)에 제2몸체(35)가 연결된다. 제2몸체(35)는 하측을 향하여 굽어지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제1연결부재(36)는 이동몸체(31)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며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제2몸체(35)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36)는 제2몸체(35)와 함께 상하로 이동되며, 이송물 덩어리(82)가 제1연결부재(36)에 걸려서 후방으로 이동됨이 차단된다.
제2연결부재(37)는 이동몸체(31)의 타측 단부를 연결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부재(37)는, 가이드부(70)의 안내홀부(72)를 관통한 후 제1몸체(32)의 단부를 연결하며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막대 형상이다.
이동패널(38)은 제2연결부재(37)에 고정되는 판 형상이며, 벨트부재(12)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패널(38)은 제2연결부재(37)의 측면에 고정되며, 이송물(80)의 이동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벨트부재(12)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물(80)의 높이가 낮을 경우에는 이동패널(38)이 이동하지 않으나, 이송물(80) 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는 이송물 덩어리(82)가 지나갈 경우에는 이동패널(38)이 이송물 덩어리(82)에 밀려서 상측으로 이동된다.
감지부(40)는 이동부(30)의 이동을 감지하여 제어부(50)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40)는 가이드부(70)의 측면에 고정되며, 제2연결부재(37) 또는 제1몸체(32)의 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감지부(40)는 비접촉식 방법에 의해 이동부(30)의 이동을 감지하여 제어부(50)로 측정값을 보낸다. 감지부(40)가 접촉식 방법에 의해 이동부(3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파쇄부(60)는 감지부(40)의 감지신호에 의해 동작되며, 이송물 덩어리(82)를 파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쇄부(60)는, 지지부(20)의 측면에 고정되는 구동모터(62)와, 구동모터(62)에 축 연결되며 지지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64) 및 회전축(64)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날 형상의 파쇄날개(66)를 포함한다.
지지부(20)의 측면에 구동모터(62)가 고정되며, 구동모터(62)의 동작으로 회전되는 회전축(64)은 벨트부재(12)의 폭방향(W)으로 설치된다. 파쇄날개(66)는 회전축(64)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나선형으로 설치되며, 벨트부재(12)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물 덩어리(82)를 파쇄한다.
가이드부(70)는 프레임부(18)에 고정되며, 제1몸체(32)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70)는 벨트부재(12)의 폭방향(W) 양측에 세워진 형상으로 설치되며, 가이드부(70)의 내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안내홀부(72)가 구비된다.
이동부(30)의 제2연결부재(37)는 안내홀부(72)를 관통하며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므로, 이동부(30)의 상하 이동이 안정적으로 안내된다.
한편 벨트부재(12)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물(80)에는 결빙이나 압착 등에 의해 큰 부피를 가지는 이송물 덩어리(82)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송물 덩어리(82)는 파쇄부(60)에 의해 파쇄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파쇄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패널(38)의 자중에 의해 이동패널(38)과 연결된 제1몸체(32)는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제2몸체(35)의 단부가 벨트부재(12)와 이루는 거리는 제1몸체(32)의 단부가 벨트부재(12)와 이루는 거리보다 길다.
벨트부재(12)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물(80)은 이동패널(38)과 벨트부재(1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이동된다. 이때 감지부(40)는 제2연결부재(37)나 제1몸체(32)가 상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50)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제어부(50)는 구동모터(62)를 동작시키는 제어신호를 보내지 않으므로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으며, 파쇄부(60)의 부품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물(80) 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는 이송물 덩어리(82)가 이동패널(38)을 상측으로 밀어내면, 이동패널(38)과 함께 이동몸체(31)가 회전한다.
이때 감지부(40)는 제2연결부재(37)나 제1몸체(32)가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50)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제어부(50)는 구동모터(62)를 동작시키는 제어신호를 보내므로 회전축(64)과 함께 파쇄날개(66)가 회전되며 이송물 덩어리(82)를 파쇄한다.
이때 제2몸체(35)의 단부가 벨트부재(12)와 이루는 거리는 제1몸체(32)의 단부가 벨트부재(12)와 이루는 거리보다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몸체(35)의 단부와 벨트부재(12)의 사이로 이송물 덩어리(82)가 이동되려 할 경우 제2몸체(35)의 단부에 걸려서 이동이 구속된다.
제2몸체(35)의 단부에 걸린 이송물 덩어리(82)는 파쇄부(60)의 회전에 의해 파쇄된 후 제2몸체(35)의 단부와 벨트부재(12)의 사이로 이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파쇄날개(66)의 회전에 의해 이송물 덩어리(82)가 자동으로 파쇄되어 이송물 덩어리(82)에 의한 벨트컨베이어(10)의 파손을 방지하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이송물 덩어리(82)에 밀려서 이동부(30)가 회전되는 동작 이후에 파쇄부(60)가 동작되므로 파쇄부(60)를 동작시키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설정 높이 이상의 이송물 덩어리(82)가 제1연결부재(36)에 걸려서 슈트부를 향한 일측으로 이송됨을 차단하므로 이송물 덩어리(82)에 의한 벨트컨베이어(10)의 파손을 방지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벨트컨베이어용 파쇄장치
10: 벨트컨베이어 12: 벨트부재
14: 풀리부재 16: 지지롤러
18: 프레임부 20: 지지부
22: 외측돌기 30: 이동부
31: 이동몸체 32: 제1몸체
33: 장공홀부 35: 제2몸체
36: 제1연결부재 37: 제2연결부재
38: 이동패널 40: 감지부
50: 제어부 60: 파쇄부
62: 구동모터 64: 회전축
66: 파쇄날개 70: 가이드부
72: 안내홀부 80: 이송물
82: 이송물 덩어리 W: 폭방향

Claims (5)

  1. 벨트컨베이어의 프레임부에 고정되며, 벨트부재의 폭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벨트부재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물 덩어리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이송물 덩어리를 파쇄시키는 파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벨트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몸체;
    상기 이동몸체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이동몸체의 타측 단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 및
    상기 제2연결부재에 고정되는 판 형상이며, 상기 벨트부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이동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파쇄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몸체는,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몸체; 및
    상기 제1몸체에서 하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굽어지며, 상기 제1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파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1몸체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파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는,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고정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축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날 형상의 파쇄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파쇄장치.
KR1020190033544A 2019-03-25 2019-03-25 벨트컨베이어용 파쇄장치 KR102155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544A KR102155442B1 (ko) 2019-03-25 2019-03-25 벨트컨베이어용 파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544A KR102155442B1 (ko) 2019-03-25 2019-03-25 벨트컨베이어용 파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442B1 true KR102155442B1 (ko) 2020-09-11

Family

ID=72472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544A KR102155442B1 (ko) 2019-03-25 2019-03-25 벨트컨베이어용 파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4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307B1 (ko) * 2001-11-05 2007-11-08 주식회사 포스코 리크레이머 장비의 동결광 처리장치
KR20130013613A (ko) * 2011-07-28 2013-02-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원료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307B1 (ko) * 2001-11-05 2007-11-08 주식회사 포스코 리크레이머 장비의 동결광 처리장치
KR20130013613A (ko) * 2011-07-28 2013-02-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원료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7162B1 (ko)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
KR101999003B1 (ko) 벨트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KR102155442B1 (ko) 벨트컨베이어용 파쇄장치
KR102237626B1 (ko) 철편 제거장치
KR10208914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CN204974087U (zh) 防进料堵塞破碎机
CN101171191A (zh) 用于运行带式输送机的传送带的装置
KR101950587B1 (ko)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
KR102133100B1 (ko) 철편 검출기 테스트 장치
KR101399880B1 (ko) 벨트 컨베이어 손상 감지장치
KR102213969B1 (ko) 벨트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2166593B1 (ko) 벨트컨베이어용 파손 감지장치
KR10238380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철편 제거장치
KR20130059890A (ko) 연속식 하역기의 로터리피더용 이송장치
KR101294916B1 (ko) 운송물 처리장치
KR100775307B1 (ko) 리크레이머 장비의 동결광 처리장치
KR101344311B1 (ko) 연속식 하역기의 로터리피더용 이송장치
TWM580566U (zh) Conveyor device that automatically corrects conveyor belt offset
KR102144217B1 (ko) 누적광 제거용 슈트
KR101357537B1 (ko) 컨베이어 벨트 손상 감지장치
KR102177869B1 (ko) 벨트컨베이어
CN112907824B (zh) 一种自动售货机用货斗对接装置
CN218319214U (zh) 一种料片翻转装置
JP7295550B2 (ja) 樹木粉砕機
CN212944153U (zh) 一种废料不锈钢分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