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300B1 - 퇴적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 Google Patents

퇴적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300B1
KR102154300B1 KR1020200073750A KR20200073750A KR102154300B1 KR 102154300 B1 KR102154300 B1 KR 102154300B1 KR 1020200073750 A KR1020200073750 A KR 1020200073750A KR 20200073750 A KR20200073750 A KR 20200073750A KR 102154300 B1 KR102154300 B1 KR 102154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sediment
storage container
suppor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보미
성기선
노혜란
유순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073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2Velocity of flow; Quantity of flow, e.g. by varying fan speed, by modifying cross flow a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6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the products to be dried being disposed on one or more containers, which may have at least partly gas-previous walls, e.g. trays or shelves in a stac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22Concentrating samples by thermal techniques; Phase changes
    • G01N2001/4027Concentrating samples by thermal techniques; Phase changes evaporation leaving a concentrated samp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퇴적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이 개방된 채 메인 프레임(110)으로 둘러 싸여 있는 지지대(100), 상기 지지대(100)에 탈착 가능하게 수납되는 시료 보관통(200), 및 상기 지지대(100) 후방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흡입팬(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시료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퇴적물 시료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퇴적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Apparatus For Drying Sedimen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퇴적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퇴적물 시료를 동시에 건조할 수 있고 또 각 퇴적물 시료들이 서로 독립된 공간에서 건조됨으로써 시료의 오염가능성을 크게 낮출 수 있는 퇴적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천이나 호소 등 수계의 오염상태를 파악하고 또 이를 기초로 하여 정화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이들 하천이나 호소에 침적하여 쌓인 퇴적물을 채취하여 각종 오염 지표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일예로, 퇴적물에 포함된 구리, 카드뮴, 납, 아연, 망간, 6가 크롬 등과 같은 중금속 함유량을 측정할 시, 토양오염공정시험방법에 의하면 채취한 시료는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풍건 시킨 후, 분쇄하여 2mm 표준체를 통과한 시료를 분석용 시료로 사용할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849627호는 소정의 형상과 크기를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내부가 비어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 공간부에 수용된 상태로 내장되되, 수평으로 왕복 운동하는 수평 진동부, 및 체(S)를 수용한 상태로 수직으로 왕복 운동하는 상기 수평 진동부 상부에 위치하는 수직 진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시료의 자동 체질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 한국등록특허공보 제2069015호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부를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시키면서 몸체부를 지지하기 위한 다리부; 상기 몸체부 내부 공간부에 위치하여, 퇴적물을 소정 이하의 입경을 갖는 시료로 분리하기 위한 퇴적물 분리용기; 및 상기 퇴적물 분리용기와 몸체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체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들에는 채취한 퇴적물을 체질하는 장치만 개시하고 있을 뿐 건조하는 장치나 방법에 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특히, 건조할 시료의 개수가 많을 경우, 건조를 위한 장치와 긴 시간이 필요하고, 게다가 건조 시 각종 이물질에 노출된 상태로 건조하고 있어 시료 오염에 따른 분석 결과의 신뢰도가 낮아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849627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206901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건조시킬 시료의 개수가 많더라도 동시에 건조하는 것이 가능하여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퇴적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건조 과정에서 외부의 이물질이 함유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퇴적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건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미세 물질이 대기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퇴적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료 건조장치는, 전면이 개방된 채 메인 프레임(110)으로 둘러 싸여 있는 지지대(100); 상기 지지대(100)에 탈착 가능하게 수납되는 시료 보관통(200); 및 상기 지지대(100) 후방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흡입팬(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료 건조장치에서, 상기 지지대(100)는, 복수개의 구획된 수납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메인 프레임(110)을 세로 방향으로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수직 프레임(120); 및 메인 프레임(110)을 가로 방향으로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수평 프레임(130)을 포함하고, 소정 형상의 시료 용기(B)를 수용하는 상기 시료 보관통(200)은, 상기 지지대(100)의 구획된 수납부에 개별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수납되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되, 한 쌍의 마주보는 측면, 상면 및 하면으로 이루어진 측면부(210); 상기 측면부(210) 전면에 위치하는 개폐 도어(220); 및 상기 측면부(210) 후면에 위치하는 후면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 도어(220)에는 시료 보관통(200) 내부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시료 확인창(221), 시료 보관통(2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차단하기 위한 전면 필터(222), 및 개폐를 위한 손잡이(223)가 구비되고, 상기 후면부(230)에는 시료 보관통(200) 내부에서 생성된 냄새 물질 및 입자상 이물질을 차단하기 위한 후면 필터(23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료 건조장치에서, 상기 시료 보관통(200)이 상기 지지대(100)의 구획된 수납부에 수납되었을 시, 시료 보관통(200)의 측면부(210)와 지지대(100)는 밀착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료 건조장치에서, 상기 시료 보관통(200)의 측면부(210), 개폐 도어(220) 및 후면부(230)는 갈색 또는 검은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료 건조장치에서, 상기 시료 보관통(200)의 측면부(210), 시료 확인창(221)을 제외한 개폐 도어(220), 및 후면부(230)는 갈색 또는 검은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료 건조장치에서, 상기 시료 확인창(221)은 투명하고, 상기 시료 확인창(221) 외측에는 갈색 또는 검은색의 보조 도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료 건조장치에서, 상기 지지대(100), 및 수직 프레임(120)과 수평 프레임(130)의 구획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부는 육면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퇴적물 시료 건조장치를 이용한 퇴적물 시료 건조방법은, 복수개의 퇴적물 시료(S), 복수개의 시료 용기(B) 및 복수개의 시료 보관통(200)을 준비하는 제1 단계; 복수개의 시료 용기(B)에 복수개의 퇴적물 시료(S)를 각각 담는 제2 단계; 퇴적물 시료(S)가 담긴 시료 용기(B)를 각 시료 보관통(200)에 수납시키는 제3 단계; 시료 보관통(200)을 지지대(100)의 각 수납부에 안착시키는 제4 단계; 지지대(100) 후방의 흡입팬(300)을 가동시키는 제5 단계; 시료 보관통(200)의 시료 확인창(221)으로 시료 용기(B)의 퇴적물 시료(S)의 건조 상태를 확인하는 제6 단계; 및 시료 용기(B)의 퇴적물 시료(S)가 완전히 건조되면 흡입팬(300)을 중지시키는 제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에 의하면, 지지대에는 개별적으로 구획되어 있는 복수개의 수납부가 구비되어 있어 다량의 시료를 동시에 건조할 수 있어 건조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에 의하면, 복수개의 수납부에는 시료가 담겨 있는 시료 보관통이 각각 수납될 수 있어, 인근 시료에 의한 영향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에 의하면, 시료 보관통의 전면부와 후면부 각각에는 전면 필터와 후면 필터가 구비되어 있어, 이물질이 시료 보관통 안으로 유입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건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냄새 물질과 이물질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아, 시료의 오염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한편 주변의 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퇴적물 건조장치의 전면 사시도(a)와 후면 사시도(b)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퇴적물 건조장치에서 시료 보관통이 수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지지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퇴적물 건조장치에서 시료 보관통의 전면 사시도(a)와 후면 사시도(b)이다.
도 5는 퇴적물 시료가 담긴 시료 용기를 시료 보관통에 넣거나 빼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지지대 수납부에 시료 보관통을 수납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퇴적물 건조장치의 전면 사시도(a)와 후면 사시도(b), 도 2는 본 발명의 퇴적물 건조장치에서 시료 보관통이 수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지지대를 보여주는 사시도 그리고 도 3은 도 2에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건조장치는 소정의 폭과 깊이 그리고 높이를 갖는 대략 육면체 형상의 지지대(100), 지지대(100)에 서랍식으로 탈착가능하게 수납되는 시료 보관통(200) 그리고 지지대(100) 후방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흡입팬(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지지대(100)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대(100)는 복수개의 시료 보관통(200)을 지지하면서 독립적으로 수납이 가능하도록 바닥면, 측면, 상면 및 후면을 구성하는 메인 프레임(110), 메인 프레임(110)을 복수개의 세로 방향으로 구획하기 위한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20) 그리고 메인 프레임(110)을 복수개의 가로 방향으로 구획하기 위한 복수개의 수평 프레임(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메인 프레임(110) 내부에는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20)과 수평 프레임(130)이 격자 모양으로 배치됨으로써 독립적 공간을 갖는 복수개의 수납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종래의 퇴적물 건조는 도어와 창문이 있는 공간, 예를 들어 건조실과 같은 공간에서 이루어지며 이때 건조를 위해 도어나 창문을 개방한 채 수행하기 때문에 공기에 포함된 미세 입자로 인해 시료가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 물론 시료의 오염 방지 또는 건조된 시료가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도어와 창문을 닫고 건조시킬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통풍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건조에 장시간이 소요된다.
게다가 동일한 공간에서 다수의 시료를 건조할 경우, 건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료에서 생성된 기화물들이 인근 시료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고, 이는 건조가 완료된 퇴적물 시료를 대상으로 하는 각종 분석 결과의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의 퇴적물 건조장치는 개별적으로 구획되어 있는 복수개의 수납부를 지지대(100)에 마련하고, 이들 수납부에 시료 보관통(200)을 수납시키기 때문에 한 번에 다량의 시료를 건조하는 것이 가능하여 건조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다량의 시료를 건조하더라도 인근 시료에 의한 영향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흡입팬(300)은 메인 프레임(110) 후면에 배치되며, 비록 도면에서는 5개의 흡입팬(300)이 장착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예시에 불과하며 얼마든지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한편 수직 프레임(120)과 수평 프레임(130)의 깊이는 메인 프레임(110)의 바닥면, 측면 및 상면보다 짧아야 한다. 즉, 도 3을 참조하면서 수평 프레임(130)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수평 프레임(130)의 내측 끝단부는 메인 프레임(110) 후면에 닿지 않을 정도로 연장되어 있으며, 이는 흡입팬(300)이 가동하여 공기를 흡입할 시 흡입팬(300) 정면뿐만 아니라 인근에 위치하는 수납부까지 흡입력이 미칠 수 있도록 공기 통로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수평 프레임(130)의 내측 끝단부에는 지지턱(131)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 통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수직 프레임(120)과 수평 프레임(130) 모두 메인 프레임(110) 후면과는 밀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지지대(100)의 수납부에 시료 보관통(200)을 수납시킬 시, 작업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해 시료 보관통(200)의 일측 단면이 지지대(100) 후면과 닿게 되면 충분한 공기 통로를 확보하지 못해 각 시료 보관통(200) 별 건조속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수평 프레임(130)의 내측 끝단부에는 상하로 연장된 지지턱(131)이 구비되면, 시료 보관통(200)은 지지턱(131)에 걸려 더 이상 안으로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전술한 문제점들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에 필요한 작업 시간도 절약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퇴적물 건조장치에서 시료 보관통의 전면 사시도(a)와 후면 사시도(b)이고, 도 5는 퇴적물 시료가 담긴 시료 용기를 시료 보관통에 넣거나 빼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소정 형상의 시료 용기(B)를 수용하기 위한 시료 보관통(200)은, 측면부(210), 개폐 도어(220) 및 후면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대(100)의 구획된 각 수납부에 개별적으로 수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마련되며, 측면부(210)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수직 측면, 한 쌍의 수직 측면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면, 그리고 한 쌍의 수직 측면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면으로 구성된다.
측면부(210)의 전면에는 개폐 도어(220)가 위치하며, 개폐 도어(220)에는 시료 보관통(200)의 내부 상황을 눈으로 확인하기 위한 투명한 시료 확인창(221), 전면 필터(222), 그리고 개폐 도어(220)를 손으로 열거나 닫기 위한 손잡이(223)가 구비된다.
여기서, 전면 필터(222)는 시료 보관통(2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이들 이물질에 의해 건조해야 할 시료가 오염될 수 있으므로 시료 보관통(20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시료의 오염을 차단할 수 있을 정도의 기공 분포를 갖는다면 전면 필터(222)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후면부(230)에는 흡입팬(300)의 흡입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개폐 도어(220)의 전면 필터(222)와 시료 보관통(200) 내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공기 이동 경로를 제공하고, 또 시료 보관통(200) 내부에서 발생한 냄새 물질과 입자상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하기 위한 후면 필터(231)가 추가적으로 구비된다.
퇴적물 시료 건조시에는 악취나 미세 분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들 물질들은 작업자 등 주변 환경에 직간접적으로 악영향을 줄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시료 보관통(200)에는 전술한 물질들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후면 필터(231)가 장착되어 있어, 주변 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시료 보관통(200)을 구성하는 측면부(210), 개폐 도어(220) 및 후면부(230)는 갈색 또는 검은색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시료의 광분해성 물질이 빛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물론 시료 보관통(200)의 시료 확인창(221)은 투명하므로, 내부 시료 확인 후에는 빛이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별도의 보조 도어(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예로 갈색이나 검은색의 보조 도어가 공지의 슬라이딩 구조로 장착되거나 또는 경첩에 의해 보조 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시료 보관통(200)이 지지대(100)의 구획된 수납부에 수납되었을 시, 흡입팬(300)의 흡입력에 의해 외부 공기가 전면 필터(222)를 관통하여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가급적 시료 보관통(200)의 측면부(210)와 지지대(100)는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100)의 수납부에 시료 보관통(200)이 밀착될 수 있다면 이들의 외형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부와 시료 보관통(200) 모두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다음은 전술한 구성을 갖는 퇴적물 시료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퇴적물 시료를 건조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방법은, 퇴적물 시료(S), 시료 용기(B) 및 시료 보관통(200)을 준비하는 제1 단계, 퇴적물 시료(S)를 시료 용기(B)에 담는 제2 단계, 퇴적물 시료(S)가 담긴 시료 용기(B)를 시료 보관통(200)에 수납시키는 제3 단계, 시료 보관통(200)을 지지대(100)의 수납부에 안착시키는 제4 단계, 지지대(100) 후방의 흡입팬(300)을 가동시키는 제5 단계, 시료 보관통(200)의 시료 확인창(221)으로 시료 용기(B)의 퇴적물 시료(S)를 확인하는 제6 단계, 및 시료 용기(B)의 퇴적물 시료(S)가 완전히 건조되면 흡입팬(300)을 중지시키는 제7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단계에서는 채취한 퇴적물 시료(S)들의 개수에 맞게 시료 용기(B)와 시료 보관통(200)을 각각 준비하는 단계이다.
제2 단계에서는 채취한 퇴적물 시료(S)들을 준비한 시료 용기(B)에 각각 담는 단계이고, 제3 단계에서는 각 시료 보관통(200)의 개폐 도어(220)를 열고 퇴적물 시료(S)가 담긴 시료 용기(B)를 수납시킨 후 개폐 도어(220)를 닫는 단계이다.
제4 단계 및 제5 단계에서는 지지대(100)의 각 수납부에 시료 보관통(200)을 안착시킨 흡입팬(300)을 가동시켜, 퇴적물 시료(S)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키는 단계이다.
즉, 흡입팬(300)을 가동시키면, 시료 보관통(200)의 개폐 도어(220)에 장착된 전면 필터(222)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외부 공기가 시료 보관통(200) 내부로 유입되는 한편, 후면부(230)의 후면 필터(231)를 통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퇴적물 시료(S)의 수분이 증발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퇴적물 시료(S)의 건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냄새 성분과 미세 입자상 물질들은 후면 필터(231)에서 제거되므로, 외부로의 배출이 차단될 수 있다.
제6 단계에서는 시료 보관통(200)의 시료 확인창(221)으로 시료 용기(B)의 퇴적물 시료(S)의 건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인데, 이때 간헐적으로 시료 보관통(200)의 시료를 뒤집는 과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시료 용기(B)에 담겨 있는 시료 중에서 상층부에 위치하는 시료는 비교적 빨리 건조되는 반면, 하층에 위치하는 시료는 빨리 건조되지 않으므로 건조 시간을 단축하고 또 완벽하게 건조시키기 위함이다.
마지막 제7 단계는 흡입팬(300)의 작동을 중지시켜 건조 과정을 끝내는 단계이고, 이후 각 시료 보관통(200)으로부터 건조된 퇴적물 시료(S)를 채취한 후 필요한 분석을 실시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지지대
110 : 메인 프레임
120 : 수직 프레임
130 : 수평 프레임
131 : 지지턱
200 : 시료 보관통
210 : 측면부
220 : 개폐 도어
221 : 시료 확인창 222 : 전면 필터
223 : 손잡이
230 : 후면부
231 : 후면 필터
300 : 흡입팬
B : 시료 용기
S : 퇴적물 시료

Claims (8)

  1. 전면이 개방된 채 메인 프레임(110)으로 둘러 싸여 있는 지지대(100);
    상기 지지대(100)에 탈착 가능하게 수납되는 시료 보관통(200); 및
    상기 지지대(100) 후방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흡입팬(300);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100)는, 복수개의 구획된 수납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메인 프레임(110)을 세로 방향으로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수직 프레임(120); 및 메인 프레임(110)을 가로 방향으로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수평 프레임(130)을 포함하고,
    소정 형상의 시료 용기(B)를 수용하는 상기 시료 보관통(200)은, 상기 지지대(100)의 구획된 수납부에 개별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수납되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되, 한 쌍의 마주보는 측면, 상면 및 하면으로 이루어진 측면부(210); 상기 측면부(210) 전면에 위치하는 개폐 도어(220); 및 상기 측면부(210) 후면에 위치하는 후면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 도어(220)에는 시료 보관통(200) 내부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시료 확인창(221), 시료 보관통(2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차단하기 위한 전면 필터(222), 및 개폐를 위한 손잡이(223)가 구비되고,
    상기 후면부(230)에는 시료 보관통(200) 내부에서 생성된 냄새 물질 및 입자상 이물질을 차단하기 위한 후면 필터(23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시료 건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보관통(200)이 상기 지지대(100)의 구획된 수납부에 수납되었을 시, 시료 보관통(200)의 측면부(210)와 지지대(100)는 밀착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시료 건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보관통(200)의 측면부(210), 개폐 도어(220) 및 후면부(230)는 갈색 또는 검은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시료 건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보관통(200)의 측면부(210), 시료 확인창(221)을 제외한 개폐 도어(220), 및 후면부(230)는 갈색 또는 검은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시료 건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확인창(221)은 투명하고, 상기 시료 확인창(221) 외측에는 갈색 또는 검은색의 보조 도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시료 건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0), 및 수직 프레임(120)과 수평 프레임(130)의 구획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부는 육면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시료 건조장치.
  8.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퇴적물 시료 건조장치를 이용한 퇴적물 시료 건조방법으로서,
    복수개의 퇴적물 시료(S), 복수개의 시료 용기(B) 및 복수개의 시료 보관통(200)을 준비하는 제1 단계;
    복수개의 시료 용기(B)에 복수개의 퇴적물 시료(S)를 각각 담는 제2 단계;
    퇴적물 시료(S)가 담긴 시료 용기(B)를 각 시료 보관통(200)에 수납시키는 제3 단계;
    시료 보관통(200)을 지지대(100)의 각 수납부에 안착시키는 제4 단계;
    지지대(100) 후방의 흡입팬(300)을 가동시키는 제5 단계;
    시료 보관통(200)의 시료 확인창(221)으로 시료 용기(B)의 퇴적물 시료(S)의 건조 상태를 확인하는 제6 단계; 및
    시료 용기(B)의 퇴적물 시료(S)가 완전히 건조되면 흡입팬(300)을 중지시키는 제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시료 건조방법.
KR1020200073750A 2020-06-17 2020-06-17 퇴적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KR102154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750A KR102154300B1 (ko) 2020-06-17 2020-06-17 퇴적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750A KR102154300B1 (ko) 2020-06-17 2020-06-17 퇴적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4300B1 true KR102154300B1 (ko) 2020-09-09

Family

ID=72434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750A KR102154300B1 (ko) 2020-06-17 2020-06-17 퇴적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3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2160A (ja) * 2002-04-12 2003-10-24 Airtech Japan Ltd クリーン乾燥保管庫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244880B1 (ko) * 2012-08-27 2013-03-1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시추코어 보관용 선반 및 이의 보관 장치
KR101849627B1 (ko) 2017-12-06 2018-04-20 대한민국 퇴적물 시료의 자동 체질기
KR102069015B1 (ko) 2019-08-13 2020-02-11 대한민국 퇴적물 현장습식 체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2160A (ja) * 2002-04-12 2003-10-24 Airtech Japan Ltd クリーン乾燥保管庫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244880B1 (ko) * 2012-08-27 2013-03-1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시추코어 보관용 선반 및 이의 보관 장치
KR101849627B1 (ko) 2017-12-06 2018-04-20 대한민국 퇴적물 시료의 자동 체질기
KR102069015B1 (ko) 2019-08-13 2020-02-11 대한민국 퇴적물 현장습식 체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319835A (en) Fluorescent x-ray analyser having an evacuable chamber with selectable large and small cover cases
CN206638558U (zh) Pm2.5检测仪
KR102154300B1 (ko) 퇴적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CN210376288U (zh) 一种环境检测气体探测装置
US7650985B2 (en) Closure system for a trough
JP5361698B2 (ja) 灰中の重金属濃度の自動計測装置
KR101205162B1 (ko) 집진 장치
CN207649980U (zh) 一种用于土壤检测的土样风干装置
KR102136672B1 (ko) 복수시료 채취장치
KR20130124557A (ko) 재 속의 중금속농도의 자동계측장치
KR20090051631A (ko) 분체광물의 수분 및 입도 분석장치
DE202005016659U1 (de) Schrank, insbesondere Gefahrstoffschrank
CN113834919A (zh) 一种便于分类存储样本的工业污水成分检测装置
Spolnik et al.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irborne particles in St. martinus cathedral in Weert, The Netherlands
CN209182221U (zh) 一种适用于单晶硅抛光片目检的暗室
CN209570570U (zh) 一种生物型大气重金属污染检测判别装置
CN112665936A (zh) 矿石中有色金属成分和含量的检测装置
CN205719606U (zh) 食品检验采样盒
CN212433110U (zh) 一种大气成分检测装置
KR100531079B1 (ko) 공기청정기
CN207456997U (zh) 一种空气质量检测设备
CN113341067B (zh) 一种快速测定化肥中特定组分的移动式组合装置
KR101631861B1 (ko) 흡연용 재떨이 시스템
CN108507916A (zh) 粉尘检测装置
CN201177570Y (zh) 振动筛快速检查检测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