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015B1 - 퇴적물 현장습식 체질장치 - Google Patents

퇴적물 현장습식 체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015B1
KR102069015B1 KR1020190098835A KR20190098835A KR102069015B1 KR 102069015 B1 KR102069015 B1 KR 102069015B1 KR 1020190098835 A KR1020190098835 A KR 1020190098835A KR 20190098835 A KR20190098835 A KR 20190098835A KR 102069015 B1 KR102069015 B1 KR 102069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diment
body portion
body part
sample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윤모
채민희
문현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098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Landscapes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퇴적물 체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부를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시키면서 몸체부를 지지하기 위한 다리부; 상기 몸체부 내부 공간부에 위치하여, 퇴적물을 소정 이하의 입경을 갖는 시료로 분리하기 위한 퇴적물 분리용기; 및 상기 퇴적물 분리용기와 몸체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체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퇴적물 현장습식 체질장치{Sieving Device for Sediment}
본 발명은 퇴적물 체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 호소, 및 해양 바닥 등 각종 수계의 퇴적층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 물질의 종류와 함유량을 분석하기 위한 시료를 분리하는 퇴적물 체질장치에 관한 것이다.
퇴적물 측정망의 퇴적물을 채취하고 분석용 시료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수면 아래 다수 지점의 퇴적물을 채취하여 혼합하고, 분석항목에 따라 체질, 건조, 분쇄한 후 분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퇴적물 시료는 하천의 경우 좌안에서 우안으로 도강하며 일정 간격으로 5개 지점 이상에서 채취하여야 하고, 호소의 경우에는 조사지점 주변에서 5개 지점 이상을 채취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편, 분석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채취한 퇴적물에 플라스틱, 나무, 생물, 돌 등의 협잡물이 포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채취한 시료는 크기가 큰 협잡물을 미리 제거한 후, 체 눈 크기가 2 mm의 체를 이용하여 체질을 수행하고, 체를 통과한 시료를 고르게 혼합한 후 분석항목에 따라 시험한다(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국립환경과학원 고시 제2018-65호).
따라서 각종 분석용 시료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퇴적물 시료를 1개 지점별 최소 5회 이상 채취하여야 하며, 여러 항목을 분석하기 위한 상당량(지점당 2kg 이상)의 시료가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요구된다.
특히, 퇴적물 시료에 포함되어 중금속류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체 눈 크기가 0.15mm이어야 하기 때문에, 시료를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체질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84962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계의 퇴적물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 분석용 시료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퇴적물 체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퇴적물 체질장치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부(100)를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시키면서 몸체부(100)를 지지하기 위한 다리부(200); 상기 몸체부(100) 내부 공간부에 위치하여, 퇴적물을 소정 이하의 입경을 갖는 시료로 분리하기 위한 퇴적물 분리용기(300); 및 상기 퇴적물 분리용기(300)와 몸체부(10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퇴적물 체질장치는, 상기 퇴적물 분리용기(300)로부터 분리된 소정 이하의 입경을 갖는 시료를 보관하는 시료용기(5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퇴적물 체질장치에서, 상기 몸체부(100)는, 소정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1개 이상의 제1 수위조절관(111)이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400) 일측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제1 체결공(113)이 내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제1 몸체부(110); 상기 제1 몸체부(110) 하측과 연결되는 상광하협 구조의 제2 몸체부(120); 및 상측은 상기 제2 몸체부(120) 하측과 연결되며, 하측 내면에는 상기 시료용기(500)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소정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1개 이상의 제2 수위조절관(131)이 측면에 연결되어 있는 원통형의 제3 몸체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퇴적물 분리용기(30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이며, 하부에는 소정 입경 크기를 갖는 그물망(310)이 구비되고, 측벽 외측에는 상기 연결부재(400) 타측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제2 체결공(32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재(400)는, 상기 제1 체결공(113)과 제2 체결공(320)에 탈부착 가능한 고리부(410)가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료용기(500) 외측면에는 상기 제3 몸체부(110)의 암나사산에 암수나사방식으로 탈부착될 수 있도록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퇴적물 체질장치에서, 상기 그물망(310)의 체눈 크기는 0.15mm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퇴적물 체질장치에서, 상기 제1 수위조절관(111)은 상기 퇴적물 분리용기(300)의 상부와 그물망(310) 사이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퇴적물 체질장치에서, 상기 제1 수위조절관(111)에는 제1 개폐밸브(112)가 구비되고, 제2 수위조절관(131)에는 제2 개폐밸브(13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퇴적물 체질장치에서, 상기 시료는 중금속물질 분석용 시료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1개 이상의 제1 수위조절관(111)과 제1 개폐밸브(112)가 측면에 연결되며, 연결부재(400) 일측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제1 체결공(113)이 내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제1 몸체부(110), 상기 제1 몸체부(110) 하측과 연결되는 상광하협 구조의 제2 몸체부(120), 및 상측은 상기 제2 몸체부(120) 하측과 연결되며, 하측 내면에는 시료용기(500)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소정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1개 이상의 제2 수위조절관(131)과 제2 개폐밸브(132)가 측면에 연결되어 있는 원통형의 제3 몸체부(130)를 포함하는 내부가 비어 있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부(100)를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시키면서 몸체부(100)를 지지하기 위한 다리부(200); 소정 입경 크기를 갖는 그물망(310)이 하부에는 구비되며, 연결부재(400) 타측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제2 체결공(320)이 측벽 외측에 구비되어, 퇴적물을 소정 이하의 입경을 갖는 시료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00) 내부 공간부에 위치하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갖는 퇴적물 분리용기(300); 상기 제1 체결공(113)과 제2 체결공(320)에 탈부착 가능한 고리부(410)가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퇴적물 분리용기(300)와 몸체부(100)를 연결하기 위한 탄성체로 이루어진 연결부재(400); 및 상기 제3 몸체부(110)의 암나사산에 암수나사방식으로 탈부착될 수 있도록 입구 외측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퇴적물 분리용기(300)로부터 분리된 소정 이하의 입경을 갖는 시료를 보관하는 시료용기(500)를 포함하는 퇴적물 체질장치를 사용하여 퇴적물을 체질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수계 바닥에 퇴적되어 있는 퇴적물을 수집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몸체부(110)의 제1 개폐밸브(112)를 개방하는 제2 단계; 수집한 퇴적물을 상기 퇴적물 분리용기(300)에 주입하는 제3 단계; 상기 퇴적물 분리용기(300)를 흔들어 그물망(310)의 체눈 보다 작은 입자를 침강시키는 제4 단계; 상기 제3 몸체부(130)의 제2 개폐밸브(132)를 개방하는 제5 단계; 및 침강된 입자가 수집된 시료용기(500)를 분리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퇴적물 체질장치에 의하면, 수집한 퇴적물로부터 중금속용 시료를 분리함에 있어 소정 량의 물이 차있는 상태에서 시료를 분리하는 구조이어서 시료의 분리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퇴적물 체질장치에 의하면, 탄성체인 연결부재를 통해 퇴적물 분리용기와 몸체부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퇴적물 분리용기가 유동하기 쉬운 구조이고, 따라서 퇴적물로부터 원하는 시료를 신속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퇴적물 체질장치에 의하면, 시료용기는 몸체부 하측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시료용기의 회수가 용이하고, 또 주위 환경으로부터 불순물이 혼입되지 않아 시료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체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체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체질장치의 일부 확대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체질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체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체질장치의 단면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체질장치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퇴적물 체질장치는 몸체부(100), 다리부(200), 퇴적물 분리용기(300), 연결부재(400) 및 시료용기(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몸체부(100)에 관하여 설명하면, 몸체부(100)는 제1 몸체부(110), 제2 몸체부(120) 및 제3 몸체부(130)로 이루어져 있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채 내부는 비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에서는 수평 단면이 사각형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제1 몸체부(110)는 원통형, 오각형, 육각형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연결부재(400)의 일측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2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의 제1 체결공(113)이 내측면에 구비되어 있다.
또 제1 몸체부(110) 내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1 개폐밸브(112)가 장착되어 있는 1개 이상의 제1 수위조절관(111)이 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수위조절관(111)은 상기 퇴적물 분리용기(300)의 상부와 하부 사이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하천이나 호소 등 수계 바닥의 퇴적물 수집 시에는, 퇴적물 외에도 다량의 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따라서 원하는 입자크기를 갖는 시료를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1 수위조절관(111)의 위치가 퇴적물 분리용기(300) 하부보다도 아래에 위치하게 되면 퇴적물은 건조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입자들의 상호 분리가 불가능하고, 반대로 퇴적물 분리용기(300) 상부보다 위쪽에 제1 수위조절관(111)이 위치하게 되면 다량의 입자를 포함하고 있는 물이 퇴적물 분리용기(300)를 넘쳐흘러 원하는 입자들만을 선별하여 분리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제2 몸체부(120)는 제1 몸체부(110) 하측과 연결되어 있으며, 퇴적물 분리용기(300)에 의해 분리된 입자들이 잘 모일 수 있도록 상광하협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몸체부(120) 하측에 연결되어 있는 제3 몸체부(130)는 원통형이며, 하측 내면에는 상기 시료용기(500)와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3 몸체부(130)의 소정 위치, 보다 상세하게는 시료용기(500) 입구와 비슷한 높이에는 제2 개폐밸브(132)가 장착되어 있는 제2 수위조절관(131)이 1개 이상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제2 수위조절관(131)과 제2 개폐밸브(132)는 제3 몸체부(130)의 수위를 조절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즉, 충분한 양의 시료가 시료용기(500)에 모이면, 제3 몸체부(130)로부터 시료용기(500)를 분리해야 하지만, 제2 몸체부(120)와 제3 몸체부(130)를 포함하여 제1 수위조절관(111) 보다 낮은 곳에서는 물이 충만한 상태이기 때문에, 시료용기(500) 분리 시 다량의 물이 함께 배출되어 작업에 불편함이 따를 수 있다. 하지만 시료용기(500) 입구와 비슷한 높이에 제2 수위조절관(131)과 제2 개폐밸브(132)를 설치해 두면, 시료용기(500)를 분리하기 전에 물을 미리 배출시킬 수 있어 작업이 훨씬 용이하다.
한편, 제2 몸체부(120) 외부에는 수평계(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체질을 위한 장소는 편평하지 못한 곳이 많고, 따라서 자칫 체질장치가 넘어질 수 있기 때문에 수평계(140)를 통해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거나 또는 후술할 다리부(200)의 길이 조절을 통해 체질장치의 안정감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다리부(200)는 몸체부(100) 아래에 위치하여 몸체부(100)를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시키면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몸체부(100)를 안정감 있게 지지할 수 있다면 다리부(200)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시료용기(500)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시료용기(500)가 제3 몸체부(130)에 체결된 상태에서 시료용기(500)가 바닥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리부(200)는 몸체부(1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상부다리(210) 그리고 상부다리(22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다리(22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부다리(210)는 하부다리(220)의 상측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 일부가 비어 있으며, 측면에는 다수개의 통공(211)이 구비되어 있고, 하부다리(220) 외측면에는 상기 통공(211)에 안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돌기(2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부다리(210)와 하부다리(220)를 채용할 경우, 지면이 다소 경사져 있더라도 각 다리부(20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수평계(140)를 함께 이용할 경우 보다 정확하게 수평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다리(210)의 통공(211)과 하부다리(220)의 돌기(221)를 통해 다리부(200)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으나, 다리부(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다음은 몸체부(100) 내부 공간부에 위치하면서, 수집한 퇴적물을 소정 이하의 입경을 갖는 시료로 분리하기 위한 퇴적물 분리용기(30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퇴적물 분리용기(300)는, 수집한 퇴적물을 용기 안으로 주입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원통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즉 바닥에는 원하는 입경을 갖는 시료만이 통과할 수 있도록 그물망(310)이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그물망(310)의 체눈 크기는 분석하고자 하는 시료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며, 일예로 퇴적물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을 분석하기 위한 시료라면 0.15mm일 수 있다.
퇴적물 분리용기(300) 측벽 외부에는 2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의 제2 체결공(320)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 체결공(320)은 연결부재(400)의 타측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계속해서, 연결부재(40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400)는 양측에 고리부(410)가 구비되어 있고,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일측은 제1 몸체부(110)의 내측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체결공(113)에 연결되고, 타측은 퇴적물 분리용기(300)의 제2 체결공(320)에 연결됨으로써, 퇴적물 분리용기(300)가 제1 몸체부(110) 내부 공간에서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여기서, 연결부재(400)는 퇴적물 분리용기(300)가 수평방향 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으로도 소정 거리 유동할 수 있도록 탄성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일예로 코일형상의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결부재(400)를 채용함으로써 수집한 퇴적물로부터 원하는 시료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즉, 퇴적물 분리용기(300)에 수집한 퇴적물을 일정량 주입한 뒤, 퇴적물 분리용기(300)를 손으로 흔들어 주면 탄성체인 연결부재(400)에 의해 퇴적물 분리용기(300)가 자유롭게 유동하고, 따라서 그물망(310)의 체눈보다 작은 입자가 아래로 쉽게 침강하므로 시료 분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제3 몸체부(130) 아래에 위치하는 시료용기(500)는 퇴적물 분리용기(300)의 그물망(310) 체눈보다 작은 시료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용기이다. 그물망(310)의 체눈을 통과한 입자는 비중이 1보다 커서 아래로 침강하게 되며, 이들 침강한 시료들은 제2 몸체부(120)와 제3 몸체부(130)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뒤, 시료용기(500)로 모인다.
한편, 시료용기(500) 입구의 외측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제3 몸체부(110)의 암나사산과 암수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 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퇴적물 체질장치를 사용하여 퇴적물을 체질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체질방법은, 수계 바닥에 퇴적되어 있는 퇴적물을 수집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몸체부(110)의 제1 개폐밸브(112)를 개방하는 제2 단계, 수집한 퇴적물을 상기 퇴적물 분리용기(300)에 주입하는 제3 단계, 상기 퇴적물 분리용기(300)를 흔들어 그물망(310)의 체눈 보다 작은 입자를 침강시키는 제4 단계, 상기 제3 몸체부(130)의 제2 개폐밸브(132)를 개방하는 제5 단계, 및 침강된 입자가 수집된 시료용기(500)를 분리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단계에서는 중금속의 종류 그리고 어느 정도의 중금속이 수계 바닥에 존재하는지 퇴적물을 수집하는 단계이다.
제2 단계는 수집한 퇴적물로부터 원하는 크기의 입자를 분리하기 위한 전단계로서, 제1 몸체부(110)에 구비되어 있는 제1 개폐밸브(112)를 개방하여 두며, 제1 수위조절관(111)과 제1 개폐밸브(112)의 기능은 이미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물론 제1 단계를 수행하기 이전에 제2 단계를 수행해도 무방하다.
제3 단계는 수계 바닥으로부터 수집한 퇴적물을 퇴적물 분리용기(300)에 주입하는 단계로서, 1회 주입할 수 있지만 2회 이상 분할하여 주입할 수도 있다.
제4 단계는 퇴적물 분리용기(300)에 주입된 퇴적물로부터 원하는 입자 크기의 시료를 분리하는 단계로서, 제1 수위조절관(111) 아래에는 퇴적물과 함께 물이 차있는 상태이므로, 퇴적물 분리용기(300)를 흔들어 주면 그물망(310)의 체눈 보다 작은 입자는 체눈을 통과하여 아래로 쉽게 침강한다.
제5 단계는 제3 몸체부(130)로부터 시료용기(500)를 분리하기 위한 전단계로서, 시료용기(500)의 입구부 위에 충만해 있는 물을 배출시키는 단계이고, 제2 수위조절관(131)과 제2 개폐밸브(132)의 기능은 이미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제6 단계는 암수나사방식으로 체결되어 있던 시료용기(500)를 제3 몸체부(130)로부터 분리하여 중금속 분석용 시료를 확보하는 단계이다.
물론, 시료용기(500)에 모여진 시료는 pH조절 등 별도의 전처리과정을 거친 후 중금속의 종류와 함유량을 측정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몸체부
110 : 제1 몸체부
111 : 제1 수위조절관 112 : 제1 개폐밸브
113 : 제1 체결공
120 : 제2 몸체부
130 : 제3 몸체부
131 : 제2 수위조절관 132 : 제2 개폐밸브
140 : 수평계
200 : 다리부
210 : 상부다리
211 : 통공
220 : 하부다리
221 : 돌기
300 : 퇴적물 분리용기
310 : 그물망
320 : 제2 체결공
400 : 연결부재
410 : 고리부
500 : 시료용기

Claims (8)

  1.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부(100)를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시키면서 몸체부(100)를 지지하기 위한 다리부(200);
    상기 몸체부(100) 내부 공간부에 위치하여, 퇴적물을 소정 이하의 입경을 갖는 시료로 분리하기 위한 퇴적물 분리용기(300); 및
    상기 퇴적물 분리용기(300)와 몸체부(10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400)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100)는, 소정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1개 이상의 제1 수위조절관(111)이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400) 일측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제1 체결공(113)이 내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제1 몸체부(110); 상기 제1 몸체부(110) 하측과 연결되는 상광하협 구조의 제2 몸체부(120); 및 상측은 상기 제2 몸체부(120) 하측과 연결되며, 하측 내면에는 시료용기(500)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소정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1개 이상의 제2 수위조절관(131)이 측면에 연결되어 있는 원통형의 제3 몸체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퇴적물 분리용기(30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이며, 하부에는 소정 입경 크기를 갖는 그물망(310)이 구비되고, 측벽 외측에는 상기 연결부재(400) 타측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제2 체결공(32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재(400)는, 상기 제1 체결공(113)과 제2 체결공(320)에 탈부착 가능한 고리부(410)가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체질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310)의 체눈 크기는 0.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체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위조절관(111)은 상기 퇴적물 분리용기(300)의 상부와 그물망(310) 사이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체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위조절관(111)에는 제1 개폐밸브(112)가 구비되고, 제2 수위조절관(131)에는 제2 개폐밸브(132)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체질장치.
  7. 제1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중금속물질 분석용 시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체질장치.
  8. 소정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1개 이상의 제1 수위조절관(111)과 제1 개폐밸브(112)가 측면에 연결되며, 연결부재(400) 일측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제1 체결공(113)이 내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제1 몸체부(110), 상기 제1 몸체부(110) 하측과 연결되는 상광하협 구조의 제2 몸체부(120), 및 상측은 상기 제2 몸체부(120) 하측과 연결되며, 하측 내면에는 시료용기(500)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소정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1개 이상의 제2 수위조절관(131)과 제2 개폐밸브(132)가 측면에 연결되어 있는 원통형의 제3 몸체부(130)를 포함하는 내부가 비어 있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부(100)를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시키면서 몸체부(100)를 지지하기 위한 다리부(200); 소정 입경 크기를 갖는 그물망(310)이 하부에는 구비되며, 연결부재(400) 타측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제2 체결공(320)이 측벽 외측에 구비되어, 퇴적물을 소정 이하의 입경을 갖는 시료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00) 내부 공간부에 위치하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갖는 퇴적물 분리용기(300); 상기 제1 체결공(113)과 제2 체결공(320)에 탈부착 가능한 고리부(410)가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퇴적물 분리용기(300)와 몸체부(100)를 연결하기 위한 탄성체로 이루어진 연결부재(400); 및 상기 제3 몸체부(130)의 암나사산에 암수나사방식으로 탈부착될 수 있도록 입구 외측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퇴적물 분리용기(300)로부터 분리된 소정 이하의 입경을 갖는 시료를 보관하는 시료용기(500)를 포함하는 퇴적물 체질장치를 사용하여 퇴적물을 체질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수계 바닥에 퇴적되어 있는 퇴적물을 수집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몸체부(110)의 제1 개폐밸브(112)를 개방하는 제2 단계;
    수집한 퇴적물을 상기 퇴적물 분리용기(300)에 주입하는 제3 단계;
    상기 퇴적물 분리용기(300)를 흔들어 그물망(310)의 체눈 보다 작은 입자를 침강시키는 제4 단계;
    상기 제3 몸체부(130)의 제2 개폐밸브(132)를 개방하는 제5 단계; 및
    침강된 입자가 수집된 시료용기(500)를 분리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체질방법.
KR1020190098835A 2019-08-13 2019-08-13 퇴적물 현장습식 체질장치 KR102069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835A KR102069015B1 (ko) 2019-08-13 2019-08-13 퇴적물 현장습식 체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835A KR102069015B1 (ko) 2019-08-13 2019-08-13 퇴적물 현장습식 체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015B1 true KR102069015B1 (ko) 2020-02-11

Family

ID=69568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835A KR102069015B1 (ko) 2019-08-13 2019-08-13 퇴적물 현장습식 체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0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300B1 (ko) 2020-06-17 2020-09-09 대한민국 퇴적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KR20240020528A (ko) 2022-08-08 2024-02-15 주식회사 코코파 통합 의복 디자인 교육 및 유통 플랫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2654A (en) * 1984-03-30 1985-11-12 Mansker William L Sample concentrating cable jig
JP2009244200A (ja) * 2008-03-31 2009-10-2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微小物質サンプリング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517614B1 (ko) * 2014-10-31 2015-05-0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입도선별장치
KR101849627B1 (ko) 2017-12-06 2018-04-20 대한민국 퇴적물 시료의 자동 체질기
JP2018192472A (ja) * 2018-08-08 2018-12-06 あおみ建設株式会社 湿式分級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2654A (en) * 1984-03-30 1985-11-12 Mansker William L Sample concentrating cable jig
JP2009244200A (ja) * 2008-03-31 2009-10-2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微小物質サンプリング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517614B1 (ko) * 2014-10-31 2015-05-0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입도선별장치
KR101849627B1 (ko) 2017-12-06 2018-04-20 대한민국 퇴적물 시료의 자동 체질기
JP2018192472A (ja) * 2018-08-08 2018-12-06 あおみ建設株式会社 湿式分級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300B1 (ko) 2020-06-17 2020-09-09 대한민국 퇴적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KR20240020528A (ko) 2022-08-08 2024-02-15 주식회사 코코파 통합 의복 디자인 교육 및 유통 플랫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015B1 (ko) 퇴적물 현장습식 체질장치
US88073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aggregate
US10386273B2 (en) 3D time series vector sediment trap
KR100624085B1 (ko) 교량의 교각에 설치되는 하천 부유물 수거장치
DE10232623A1 (de) Bodenwasser-Probennehmer
US10010910B1 (en) Portable prospecting and classifying self-contained apparatus
CN104155150A (zh) 一种水生生物采集装置及方法
SA516371517B1 (ar) نظام لمعالجة تيار تغذية يتضمن هيدروكربونات وسائلا أساسه مائي
CN206604812U (zh) 一种天然砂含泥量清洗机
US8833562B2 (en) Float-sink method and apparatus to determine beneficiation prospects of minerals
Lauff et al. A METHOD FOR SORTING BOTTOM FAUNA SAMPLES BY ELUTRIATION 1
JP2007268509A (ja) 油を含有した汚水から油を中心とする異物を分離する異物分離方法および異物分離装置
KR20170095634A (ko) 수중의 부유물질 채집장치
CN214634683U (zh) 一种稀土加工用的固液分离装置
KR102276880B1 (ko) 하천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AT500498B1 (de) Wassersammelvorrichtung
US11035110B1 (en) Drain catch
US2125469A (en) Mineral trap
KR20160091479A (ko) 침전물 채집 장치
CN205333339U (zh) 一种微藻野外样品采集装置
CN208643284U (zh) 一种防筛板掉落的原煤脱泥筛
CN209363027U (zh) 环保建筑垃圾无尘筛分装置
DE19938903B4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bscheiden von Feststoffen aus einem gasförmigen Medium
DE19508314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ortieren von Festkörpern mit Hilfe eines Luftstroms
Munson et al. Transport of chlorinated hydrocarbons in the upper Chesapeake B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