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627B1 - 퇴적물 시료의 자동 체질기 - Google Patents

퇴적물 시료의 자동 체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627B1
KR101849627B1 KR1020170167012A KR20170167012A KR101849627B1 KR 101849627 B1 KR101849627 B1 KR 101849627B1 KR 1020170167012 A KR1020170167012 A KR 1020170167012A KR 20170167012 A KR20170167012 A KR 20170167012A KR 101849627 B1 KR101849627 B1 KR 101849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vibration unit
frame
plates
si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항수
노혜란
허인애
김미아
유순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70167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6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퇴적물 시료의 자동 체질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형상과 크기를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내부가 비어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 공간부에 수용된 상태로 내장되되, 수평으로 왕복운동하는 수평 진동부, 및 체(S)를 수용한 상태로 수직으로 왕복운동하는 상기 수평 진동부 상부에 위치하는 수직 진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시료의 자동 체질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퇴적물 시료의 자동 체질기 {Automatic Sieving Device for Sediment}
본 발명은 각종 퇴적물 시료의 입도별 분류시, 시료가 담겨 있는 체를 수평 그리고 수직으로 진동시킴으로써 퇴적물 시료의 입도별 분류를 용이하게 하고 나아가 분류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퇴적물 시료의 자동 체질기에 관한 것이다.
퇴적물 측정망의 퇴적물을 채취하고 분석용 시료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수면 아래의 퇴적물을 여러 점 채취하여 혼합하고 분석항목에 따라 체질, 건조, 분쇄한 후 보관 및 분석을 수행한다. 이때 분석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채취한 퇴적물에 플라스틱, 나무, 생물, 돌, 왕모래 등이 포함되지 않도록 체질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체질은 우선 체눈 크기가 2 mm의 체를 이용하여 체를 통과한 시료를 고르게 혼합한 후 일부를 곱게 분쇄한다. 그리고 나서 분석항목에 따라 체눈 크기 0.1 mm, 0.063 mm를 통과시킨다. 일부 취한 시료의 80 % 이상이 체를 빠져나오도록 분쇄와 체질을 반복한 다음, 체를 빠져나온 시료만 모아서 분석용 시료로 한다(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국립환경과학원 고시 제2017-18호).
일예로, 토양 측정망의 시료채취와 분석용 시료를 조제하기 위해서는, 각 채취지점에서 채취한 토양시료를 법랑제 또는 폴리에틸렌제 밧트(vat) 위에 균일한 두께로 펼친 후 직사광선이 닿지 않는 장소에서 풍건시킨 다음, 나무망치 등으로 파쇄한다.
수소이온농도 분석용 시료를 조제하기 위해서는 풍건 및 파쇄된 시료를 10 메쉬 표준체(눈금간격 2 mm)로 체거름하여 조제한다. 또 6가크롬을 제외한 금속류 함량 분석대상 물질 분석용 시료는 10 메쉬 표준체(눈금간격 2 mm)로 체거름한 시료를 100 메쉬 표준체(눈금간격 0.15 mm)로 체거름하여 조제하고, 불소 분석용 시료는 10 메쉬 표준체(눈금간격 2 mm)로 체거름한 시료를 200 메쉬 표준체(눈금간격 0.075 mm)로 체거름하여 조제한다. 이때 해당 분석용 시료는 체거름하기 전 사분법 등에 의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한 후 조제하도록 정하여져 있다(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 국립환경과학원 고시 제2017-22호).
따라서 각종 분석용 시료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퇴적물 시료를 최소 1회 이상 체거름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한 상황이나, 퇴적물 시료를 효과적으로 체거름할 수 있는 전용 장치는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5-003705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퇴적물 시료로부터 각종 분석용 시료를 준비함에 있어 시간과 인력을 절약할 수 있는 퇴적물 시료의 자동 체질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퇴적물 시료의 자동 체질기는, 소정의 형상과 크기를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내부가 비어 있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 내부 공간부에 수용된 상태로 내장되되, 수평으로 왕복운동하는 수평 진동부(200); 및 체(S)를 수용한 상태로 수직으로 왕복운동하는 상기 수평 진동부(200) 상부에 위치하는 수직 진동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 진동부(200)는, 상기 수직 진동부(300)가 놓여지는 진동 프레임(210); 상기 진동 프레임(210)과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는 제1 회전모터(220); 일측은 상기 제1 회전모터(220)와 연결되고 타측은 풀리(240)에 결합된 벨트(230); 외주연에는 상기 풀리(240)가 마련되고 양측끝단에는 편심축이 형성된 제1 샤프트(250); 및 일측은 상기 제1 샤프트(250)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진동 프레임(210)과 결합되는 제1 링크(2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진동부(300)는, 소정 위치에는 가이드홈(311)이 구비되고,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진동 프레임(210) 상면에 고정된 상태로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의 지지판(310); 상기 한 쌍의 지지판(310) 내측에 위치하되, 상기 지지판(310)과는 소정간격 이격되고, 외측면에는 상기 지지판(310)의 가이드홈(311)을 관통하여 지지판(310) 외측으로 돌출하는 고정핀(380)이 구비된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의 이동판(320); 및 상기 한 쌍의 이동판(320) 내측에 위치하되, 상측은 상기 이동판(320)과 결합되고, 하측은 체(S)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절곡된 제1 절곡부(331)가 구비된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의 이격 조절판(3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프레임(210)의 수평 왕복 운동시, 본체부(100)와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1 개 이상의 제1 탄성체(280)가 상기 진동 프레임(210) 저면에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동 프레임(210) 상면에는 체(S)로부터 분리된 시료를 수용하기 위한 트레이(400)가 더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레이(400)는, 체(S)로부터 분리된 시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통공(430), 일측이 상기 통공(430)과 연결되어 있는 배출관(440), 및 유도홈(46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관(440)의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탈착 가능한 마개(4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이격 조절판(330)은, 소정의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되, 아래로 갈수록 가상의 내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위치하고, 상기 이동판(320)과 이격 조절판(330) 사이에는 1개 이상의 제2 탄성체(340)가 구비되어, 외경이 상이한 체(S)의 고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료의 자동 체질기에 의하면, 시료가 담긴 체를 상하좌우로 흔들어 진동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퇴적물 시료의 입도별 분리가 편리하면서도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 체질기에 의하면, 한 쌍의 이격 조절판을 구비하고 있어 체의 직경이 상이하더라도 하나의 체질기로 시료의 분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 체질기에 의하면, 바닥이 경사지고 통공과 배출관이 부착되어 있는 트레이를 구비함으로써, 시료를 분석용기에 쉽게 담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퇴적물 시료의 자동 체질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자동 체질기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자동 체질기에서 수평 진동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자동 체질기에서 수직 진동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자동 체질기에서 수직 진동부를 확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자동 체질기에서 수직 진동부를 위에서 바라본 단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자동 체질기에서 트레이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료의 자동 체질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퇴적물 시료의 자동 체질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자동 체질기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퇴적물 시료의 자동 체질기는 본체부(100), 수평 진동부(200), 수직 진동부(300) 그리고 트레이(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부(100)는 소정의 형상과 크기를 가지며 바닥은 편평하고 상부는 개방된 상태로 내부가 비어 형상이다. 그리고 전면부에는 후술할 제1 회전모터(220)와 제2 회전모터(35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0)가 구비되고, 또 제1, 2 회전모터(220, 350)의 회전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표시창(120)이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자동 체질기를 작동시킴에 있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유선 및/또는 무선일 수 있고, 실시간으로 전원공급이 어려운 경우라면 별도의 충전 배터리를 내장할 수도 있다.
수평 진동부(200)는 퇴적물 시료가 수용된 체(S)를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본체부(100) 내부 공간부에 수용된 상태로 내장된다.
수평 진동부를 확대한 사시도인 도 3을 참조하면서 수평 진동부(2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수평 진동부(200)는, 진동 프레임(210), 제1 회전모터(220), 벨트(230), 풀리(240), 제1 샤프트(250), 제1 링크(260), 고정바(270) 그리고 제1 탄성체(2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진동 프레임(210) 상면에는 상기 수직 진동부(300)가 놓여지며, 진동 프레임(210)과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는 제1 회전모터(220)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1 회전모터(220)가 회전하면 일측은 제1 회전모터(220)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풀리(240)에 결합된 벨트(230)가 회전한다.
그리고 외주연에는 상기 풀리(240)가 마련되어 있고, 양측끝단에는 편심축이 형성된 제1 샤프트(250)가 진동 프레임(210)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길게 구비된다. 제1 링크(260)는 일측은 상기 제1 샤프트(250)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진동 프레임(210)과 결합되어 있어, 편심축을 갖는 제1 샤프트(250)가 회전하면 진동 프레임(210)은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편심축은 중심축으로부터 소정 거리 편심되어 있고, 이는 진동 프레임(210)의 길이 또는 폭방향 왕복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샤프트(250)는 진동 프레임(210)에 연결되어 있는 1개 이상의 고정바(270)에 1개 이상의 브라켓(251)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진동 프레임(210) 저면에는 1개 이상의 제1 탄성체(28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진동 프레임(210)이 수평으로 왕복 운동하더라도 진동 프레임(210)과 본체부(100) 사이에 제1 탄성체(280)가 구비되면, 이들 진동 프레임(210)과 본체부(100)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되고, 게다가 진동 프레임(210)의 수평 왕복 운동에 필요한 모터의 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제1 탄성체(280)는 진동 프레임(210)과 본체부(100)를 소정거리 이격시키면서 변형 가능한 탄성체이고, 일예로 코일형태의 스프링일 수 있다.
수직 진동부(300)는 퇴적물 시료가 수용된 체(S)를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수평 진동부(200) 상부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한다.
수직 진동부를 확대한 사시도, 분해 사시도 그리고 수직 진동부를 위에서 바라본 단면인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서 수직 진동부(3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수직 진동부(300)는, 한 쌍의 지지판(310), 한 쌍의 이동판(320), 한 쌍의 이격 조절판(330), 제2 탄성체(340), 제2 회전모터(350), 제2 샤프트(360), 제2 링크(370) 그리고 고정핀(3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상기 한 쌍의 지지판(310)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진동 프레임(210) 상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부 소정 위치에는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가이드홈(311)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이동판(320)은 상기 한 쌍의 지지판(310)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지지판(310) 내측에 위치하며, 지지판(310)과 인접한 측면은 평면이고 타측면은 활꼴이다. 또 외측면에는 상기 지지판(310)의 가이드홈(311)을 관통하여 지지판(310)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핀(380)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이동판(320) 상부에는 소정의 폭과 깊이로 이루어진 턱부(321)가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 턱부(321)의 기능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 쌍의 이격 조절판(33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단면이 대략 활꼴이면서 아래로 갈수록 가상의 내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위치하고 있고, 또 상기 한 쌍의 이동판(320)과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이동판(320) 내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하측은 체(S)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절곡된 제1 절곡부(331)가 구비되는 한편, 상측은 상기 이동판(320)의 턱부(321)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제2 절곡부(332)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퇴적물 시료를 분류하기 위한 체(S)는 외경이 상이한 다수의 종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자동 체질기는 외경이 상이한 다종의 체(S)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이격 조절판(330)이 소정의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이동판(320)과 이격 조절판(330) 사이에 1개 이상의 제2 탄성체(340)가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수직 진동부를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이 작은 체(S)는 경사지면서 탄성을 갖는 한 쌍의 이격 조절판(330) 그리고 이격 조절판(330)과 이동판(320) 사이의 제2 탄성체(340)의 탄성작용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체(S)라 하더라도 역시 이격 조절판(330)과 제2 탄성체(340)에 의해 안착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이격 조절판(330)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금속재질일 수 있고, 제2 탄성체(340)는 제1 탄성체(280)와 동일한 코일형태의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제2 링크(370)의 일측은 상기 제2 샤프트(360)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핀(370)과 결합되어 있어, 제2 회전모터(350)에 의해 회전하면 편심축을 갖는 제2 샤프트(360)가 회전하고 결과적으로 제2 샤프트(360)와 연결되어 있는 제2 링크(370)는 가이드홈(311)을 따라 수직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자동 체질기에서 트레이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트레이(400)는 진동 프레임(210) 위에 위치하여, 체(S)에 의해 분리되어 낙하하는 퇴적물 시료를 수용한다. 트레이(400)에 수용된 시료는 분석을 위하여 별도의 분석용기(미도시)에 담아야 하고, 따라서 시료의 손실 없이 신속하게 분석용기로 담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트레이(400)는, 바닥면(410)과 바닥면(410)을 둘러싸고 상부로 직립한 둘레면(420)을 포함하고 있는 상부가 개방되고 한편, 내부는 시료를 수용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부를 갖는 형상이다.
한편 바닥면(410)에는 낙하한 시료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통공(430)이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통공(430)과 연결되며 바닥면(410)과 소정 각도로 경사진 배출관(44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출관(440)의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탈착 가능한 마개(450)가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트레이(400) 바닥면(410)에 통공(430), 배출관(440) 그리고 마개(450)가 구비됨으로써, 트레이(400)에 수용된 시료를 분석용기에 쉽게 담을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트레이(400) 바닥면(410)이 통공(430)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구배를 줌과 동시에, 1개 이상의 유도홈(460)을 형성하면, 낙하한 시료가 통공(430)으로 더욱 쉽게 모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본체부
110 : 제어부 120 : 표시창
200 : 수평 진동부
210 : 진동 프레임 220 : 제1 회전모터
230 : 벨트 240 : 풀리
250 : 제1 샤프트 251 : 브래킷
260 : 제1 링크 261 : 고정볼트
270 : 고정바 280 : 제1 탄성체
300 : 수직 진동부
310 : 지지판 311 : 가이드홈
320 : 이동판 321 : 턱부
330 : 이격 조절판
331 : 제1 절곡부 332 : 제2 절곡부
340 : 제2 탄성체 350 : 제2 회전모터
360 : 제2 샤프트 370 : 제2 링크
380 : 고정핀
400 : 트레이
410 : 바닥면 420 : 둘레면
430 : 통공 440 : 배출관
450 : 마개 460 : 유도홈
S : 시험용 체

Claims (8)

  1. 소정의 형상과 크기를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내부가 비어 있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 내부 공간부에 수용된 상태로 내장되되, 수평으로 왕복운동하는 수평 진동부(200); 및
    체(S)를 수용한 상태로 수직으로 왕복운동하는 상기 수평 진동부(200) 상부에 위치하는 수직 진동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 진동부(200)는, 상기 수직 진동부(300)가 놓여지는 진동 프레임(210); 상기 진동 프레임(210)과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는 제1 회전모터(220); 일측은 상기 제1 회전모터(220)와 연결되고 타측은 풀리(240)에 결합된 벨트(230); 외주연에는 상기 풀리(240)가 마련되고 양측끝단에는 편심축이 형성된 제1 샤프트(250); 및 일측은 상기 제1 샤프트(250)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진동 프레임(210)과 결합되는 제1 링크(260)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진동부(300)는, 소정 위치에는 가이드홈(311)이 구비되고,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진동 프레임(210) 상면에 고정된 상태로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의 지지판(310); 상기 한 쌍의 지지판(310) 내측에 위치하되, 상기 지지판(310)과는 소정간격 이격되고, 외측면에는 상기 지지판(310)의 가이드홈(311)을 관통하여 지지판(310) 외측으로 돌출하는 고정핀(380)이 구비된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의 이동판(320); 및 상기 한 쌍의 이동판(320) 내측에 위치하되, 상측은 상기 이동판(320)과 결합되고, 하측은 체(S)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절곡된 제1 절곡부(331)가 구비된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의 이격 조절판(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시료의 자동 체질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프레임(210)의 수평 왕복 운동시, 본체부(100)와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1 개 이상의 제1 탄성체(280)가 상기 진동 프레임(210) 저면에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시료의 자동 체질기.
  5. 제1항에 있어서,
    진동 프레임(210) 상면에는 체(S)로부터 분리된 시료를 수용하기 위한 트레이(400)가 더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시료의 자동 체질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400)는, 체(S)로부터 분리된 시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통공(430), 일측이 상기 통공(430)과 연결되어 있는 배출관(440) 및 유도홈(46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시료의 자동 체질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440)의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탈착 가능한 마개(4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시료의 자동 체질기.
  8. 삭제
KR1020170167012A 2017-12-06 2017-12-06 퇴적물 시료의 자동 체질기 KR101849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012A KR101849627B1 (ko) 2017-12-06 2017-12-06 퇴적물 시료의 자동 체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012A KR101849627B1 (ko) 2017-12-06 2017-12-06 퇴적물 시료의 자동 체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627B1 true KR101849627B1 (ko) 2018-04-20

Family

ID=62088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012A KR101849627B1 (ko) 2017-12-06 2017-12-06 퇴적물 시료의 자동 체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62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015B1 (ko) 2019-08-13 2020-02-11 대한민국 퇴적물 현장습식 체질장치
KR20200046821A (ko) 2018-10-25 2020-05-0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시료 유실 방지 구조를 갖는 퇴적물 입자 분리 장치
KR20200058337A (ko) 2020-05-08 2020-05-2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시료 유실 방지 구조를 갖는 퇴적물 입자 분리 장치
KR102154300B1 (ko) 2020-06-17 2020-09-09 대한민국 퇴적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KR20210089494A (ko) * 2020-01-08 2021-07-16 주식회사 광산기공 골재 선별기용 진동 스프링유닛의 밀림방지장치
CN115283258A (zh) * 2022-07-13 2022-11-04 安徽农业大学 用于瓜蒌籽的杂质一体化筛分机器及其筛分方法
CN116618295A (zh) * 2023-06-01 2023-08-22 金路(唐山)智能装备有限公司 具有细砂回收的带式输送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669U (ja) * 1992-09-21 1994-04-19 清本鐵工株式会社 多目的用振動装置
JPH0681673U (ja) * 1993-04-27 1994-11-2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固体試料の粒度測定装置
KR20070020787A (ko) * 2005-08-17 2007-02-22 한국전력공사 대형 자동 골재 체가름 시험기
KR20150089147A (ko) * 2014-01-27 2015-08-05 장상국 수평 및 상하 진동을 하는 체질용 곡물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669U (ja) * 1992-09-21 1994-04-19 清本鐵工株式会社 多目的用振動装置
JPH0681673U (ja) * 1993-04-27 1994-11-2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固体試料の粒度測定装置
KR20070020787A (ko) * 2005-08-17 2007-02-22 한국전력공사 대형 자동 골재 체가름 시험기
KR20150089147A (ko) * 2014-01-27 2015-08-05 장상국 수평 및 상하 진동을 하는 체질용 곡물 선별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821A (ko) 2018-10-25 2020-05-0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시료 유실 방지 구조를 갖는 퇴적물 입자 분리 장치
KR102069015B1 (ko) 2019-08-13 2020-02-11 대한민국 퇴적물 현장습식 체질장치
KR20210089494A (ko) * 2020-01-08 2021-07-16 주식회사 광산기공 골재 선별기용 진동 스프링유닛의 밀림방지장치
KR102313320B1 (ko) * 2020-01-08 2021-10-18 주식회사 광산기공 골재 선별기용 진동 스프링유닛의 밀림방지장치
KR20200058337A (ko) 2020-05-08 2020-05-2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시료 유실 방지 구조를 갖는 퇴적물 입자 분리 장치
KR102154300B1 (ko) 2020-06-17 2020-09-09 대한민국 퇴적물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CN115283258A (zh) * 2022-07-13 2022-11-04 安徽农业大学 用于瓜蒌籽的杂质一体化筛分机器及其筛分方法
CN116618295A (zh) * 2023-06-01 2023-08-22 金路(唐山)智能装备有限公司 具有细砂回收的带式输送装置
CN116618295B (zh) * 2023-06-01 2023-10-27 金路(唐山)智能装备有限公司 具有细砂回收的带式输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9627B1 (ko) 퇴적물 시료의 자동 체질기
KR101790225B1 (ko) 샘플을 수용한 테스트 튜브를 진동시키기 위한 장치
CN102047123B (zh) 化学分析仪,基于样本的分析方法,操作样本池的装置和装载方法
CN203949871U (zh) 一种便携式拉曼光谱仪
CN115575654A (zh) 一种化妆品中致敏原的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208155683U (zh) 土壤混匀缩分器
CN210923216U (zh) 一种带有振动装置的环境土壤样品处理装置
KR20130104328A (ko) 백 믹서
ES2173465T3 (es) Nuevo dispositivo de analisis para exploraciones masivas.
EP1444499B1 (en) Laboratory apparatus for grinding loose materials
CN215811803U (zh) 一种工程监理用物料抽检装置
RU2347205C1 (ru) Сократитель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ий дисковый и способ сокращения и отбора проб с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CN213041619U (zh) 一种土壤检测用筒式快速土壤筛分器
JP2008196871A (ja) 粉塊混合物からの試料採取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227917B1 (ko) 힌지형 폐쇄부재를 포함하는 토양 시료 채취기
CN215894168U (zh) 土壤样品中的杂草去除装置
CN110849662A (zh) 一种土壤修复用取样装置
CN219590052U (zh) 一种土壤检测预处理设备
CN212882715U (zh) 一种快速过筛的筛分装置
CN204556073U (zh) 一种定量称取装置
CN212030977U (zh) 一种土壤检测采样装置
CN211785392U (zh) 一种高分子化学材料成分的检测试验分析装置
CN215065605U (zh) 一种土壤检测用筛分装置
CN220215162U (zh) 一种用于土壤检测的快速干燥筛选装置
KR102482584B1 (ko) 콘크리트에 혼입된 성분을 분석하기 위한 시료 채취 장치 및 시료 채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