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210B1 - 적외선 관측 장치 및 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적외선 관측 장치 및 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210B1
KR102154210B1 KR1020200029534A KR20200029534A KR102154210B1 KR 102154210 B1 KR102154210 B1 KR 102154210B1 KR 1020200029534 A KR1020200029534 A KR 1020200029534A KR 20200029534 A KR20200029534 A KR 20200029534A KR 102154210 B1 KR102154210 B1 KR 102154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servation
body portion
infrared
fram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영
박상훈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9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2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8Optical arrangements
    • G01J5/0853Optical arrangements having infrared absorbers other than the usual absorber layers deposited on infrared detectors like bolometers, wherein the heat propagation between the absorber and the detecting element occurs with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4Ca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01S7/481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common to transmitter and receiver
    • G01S7/4813Hous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간 및 야간에 대상체를 관측할 수 있는 장치로서, 상기 대상체가 발산하는 적외선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를 관측할 수 있는 관측부; 및 내부에 상기 관측부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갖고, 전자기파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관측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에 도금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전자기파가 유출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적외선 관측 장치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적외선 관측 장치 및 이의 제작방법{Apparatus for observating infrared r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적외선 관측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외선 관측 장치의 내외부로 전자기파가 유출입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적외선 관측 장치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적외선 관측 장치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외선 관측 장치는 빛의 유무에 관계없이 물체가 발산하는 적외선 에너지를 감지하고 적외선 에너지를 분할하여 분할된 적외선 에너지를 통해 영상화 하는 장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적외선 관측 장치는 적외선 에너지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적외선 에너지의 크기에 따라 전기저항이 변화하는 볼로미터효과(Bolometer effect)를 이용해 대상체를 감지한다. 이후, 감지된 적외선 에너지를 구간 별로 분할하여 전기신호로 바꾸고, 전기신호를 영상으로 전환시켜 대상체를 관측할 수 있다. 이러한 적외선 관측 장치는 주간 및 야간에 군사용, 생태 관찰용 또는 경찰 업무용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민간 분야, 산업 분야, 군사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요구되고 있다.
한편, 적외선 에너지를 영상으로 변환시킴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기파가 내부로 유입되며 영상 생성을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또한, 적외선 관측 장치의 내부 장비들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가 외부로 유출되며 주변 장비의 작동을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종래에는 외부의 전자기파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 혹은 내부의 전자기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외선 관측 장치의 몸체를 모두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하여 내외부로 전자기파가 유출입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하지만, 적외선 관측 장치의 몸체를 모두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함에 따라, 적외선 관측 장치의 무게가 증가하게 되어 휴대성이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적외선 관측 장치의 내부 혹은 외부로 전자기파가 유입 혹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적외선 관측 장치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적외선 관측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KR 10-2010-0042913 A
본 발명은 전자기파의 유출입을 방지할 수 있는 적외선 관측 장치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무게를 경량화시킬 수 있는 적외선 관측 장치 및 이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관측 장치는, 주간 및 야간에 대상체를 관측할 수 있는 장치로서, 상기 대상체가 발산하는 적외선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를 관측할 수 있는 관측부; 및 내부에 상기 관측부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갖고, 전자기파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관측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에 도금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몸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관측 장치는, 주간 및 야간에 대상체를 관측할 수 있는 장치로서, 상기 대상체가 발산하는 적외선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를 관측할 수 있는 관측부; 및 내부에 상기 관측부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갖고, 전자기파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관측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에 아크릴로나이트릴(Acrylonitrile)과 뷰타다이엔(Butadiene) 및 스타이렌(Styrene)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물질을 함유하는 몸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관측 장치는, 주간 및 야간에 대상체를 관측할 수 있는 장치로서, 상기 대상체가 발산하는 적외선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를 관측할 수 있는 관측부; 및 내부에 상기 관측부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갖고, 전자기파를 차단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에 도금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며, 폭과 높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길이가 일방향을 따라 감소하는 몸체부;를 포함한다.
상기 관측부 및 상기 몸체부에 각각 결합되고, 전자기파를 흡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에 전기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도금용 플라스틱 소재가 상기 몸체부의 내벽면에 형성되거나 혹은 상기 몸체부의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는, PC/ABS 수지,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는, 아크릴로나이트릴(Acrylonitrile)과 뷰타다이엔(Butadiene) 및 스타이렌(Styrene) 중 적어도 두 개 이상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는, 팔라듐(Palladium)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전도성 재질이 상기 관측부와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되거나 혹은 상기 프레임의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몸체부의 폭과 높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길이가 상기 일방향을 따라 감소한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폭과 높이가 모두 상기 일방향을 따라 감소한다.
상기 몸체부는, 양측면이 상기 일방향을 따라 일정한 기울기를 갖고, 상측면 및 하측면이 상기 일방향을 따라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된 모서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일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곡면 형상 혹은 모따기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된 모서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탄성력을 갖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관측부는, 주간 및 야간에 상기 대상체의 적외선 에너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기; 감지된 적외선 에너지를 구간별로 분할할 수 있도록, 상기 감지기와 연결되는 분할기; 및 구간별로 분할된 적외선 에너지를 이용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분할기와 연결되는 영상 생성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관측 장치의 제작방법은, 주간 및 야간에 대상체를 관측할 수 있는 장치를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적외선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를 관측하는 관측부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관측부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몸체부를 마련하는 과정; 및 상기 몸체부가 상기 관측부의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상기 관측부를 상기 몸체부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를 마련하는 과정은, 상기 몸체부를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하여 제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를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하여 제조하는 과정은, 상기 몸체부의 폭과 상기 몸체부의 높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길이가 일방향을 따라 감소하도록 제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관측부를 상기 몸체부에 결합시키는 과정 전에, 상기 관측부가 설치되는 프레임을 마련하고, 상기 관측부를 상기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적외선 관측 장치의 내부 혹은 외부로 전자기파가 유입 혹은 유출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중으로 전자기파의 유출입을 차단하여 전자기파가 적외선 관측 장치의 내외부로 유출입되는 것을 억제 혹은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관측 장치의 무게를 상대적으로 경량화시킬 수 있다. 이에, 적외선 관측 장치의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관측 장치의 내구성을 강하게 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에 구비된 장비의 손상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관측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관측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관측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관측 장치의 상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관측 장치의 후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관측 장치의 후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든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관측 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관측 장치의 제작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관측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관측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되는 적외선 관측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적외선 관측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외선 관측 장치의 외부에서 발생된 전자기파가 적외선 관측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적외선 관측 장치의 내부에서 발생된 전자기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적외선 관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적외선 관측 장치는 작업자가 휴대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관측 장소를 변경하며 대상체를 관측할 수 있고, 주간 및 야간에 대상체의 적외선 에너지를 감지하여 대상체를 영상화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 관측 장치는 열상 관측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관측 장치를 설명한다. 적외선 관측 장치(100)는 주간 및 야간에 대상체를 관측할 수 있는 장치로서, 대상체가 발산하는 적외선 에너지를 이용하여 대상체를 관측할 수 있는 관측부(110), 내부에 관측부(110)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갖고 전자기파를 차단할 수 있도록 관측부(110)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에 도금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몸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관측 장치(100)는 관측부(110) 및 몸체부(130)에 각각 결합되고, 전자기파를 반사 혹은 흡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에 전기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는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관측부(110)는 주간 및 야간에 대상체의 적외선 에너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기(111), 감지된 적외선 에너지를 구간별로 분할할 수 있는 분할기(112), 구간별로 분할된 적외선 에너지를 이용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영상 생성기(113)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기(111)는 주간 혹은 야간에 표적과 배경이 방출하는 적외선 에너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기(111)는 프레임(120)에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가 프레임(120)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감지기(111)가 프레임(120)을 관통하여 적외선 관측 장치(100)의 외부를 관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기(111)는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분할기(112)는 감지기(111)와 연결되며, 프레임(120)에 설치될 수 있다. 분할기(112)는 감지기(111)에서 감지된 적외선 에너지를 구간별로 분할할 수 있다. 즉, 대상체의 고유한 적외선 에너지를 에너지 크기에 따라 일정 구간별로 분할할 수 있다.
영상 생성기(113)는 분할기(112)와 연결되며, 프레임(120)에 설치될 수 있다. 영상 생성기(113)는 분할기에서 구간별로 분할된 적외선 에너지를 영상화할 수 있다. 즉, 구간별로 분할된 적외선 에너지를 구간에 따라 명암의 차이로 재현할 수 있다. 이에, 대상체 및 대상체 주변의 배경을 영상화할 수 있고, 대상체를 관측할 수 있다. 하지만, 감지기(111), 분할기(112) 및 영상 생성기(113)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프레임(120)은 몸체부(130)에 결합되며, 관측부(110)가 설치되는 몸체 역할을 할 수 있다. 프레임(120)에는 감지기(111), 분할기(112) 및 영상 생성기(113)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감지기(111), 분할기(112) 및 영상 생성기(113)는 프레임(12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120)을 통해 감지기(111), 분할기(112) 및 영상 생성기(113)를 몸체부(130)의 내부로 한번에 삽입시켜 몸체부(130)의 내부에서 위치가 고정되게 배치시킬 수 있다. 감지기(111), 분할기(112) 및 영상 생성기(113)를 개별적으로 몸체부(130)에 결합시키지 않고, 프레임(120)을 통해 한번에 몸체부(130)에 결합시키므로, 감지기(111), 분할기(112) 및 영상 생성기(113)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프레임(120)은 몸체부(130)에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20)은 몸체부(13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하기에서는 프레임(120)의 구조 중 일방향을 따라 연장된 부분을 제1 프레임(121)이라 하고, 제1 프레임(121)의 단부에서 일방향과 교차하는 교차방향을 따라 양쪽으로 연장된 부분을 제2 프레임(122)이라 한다. 여기서, 일방향은 몸체부(130)가 연장되는 방향 혹은 프레임(120))이 몸체부(130)에 삽입되는 방향일 수 있고, 교차방향은 일방향에 수평하게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프레임(121)에는 분할기(112) 및 영상 생성기(113)가 결합될 수 있다. 즉, 교차방향을 기준으로 제1 프레임(121)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분할기(112) 및 영상 생성기(113)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121)은 몸체부(130)의 내부로 삽입되며 몸체부(1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22)은 감지기(111)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22)은 몸체부(130)의 외부에 배치되며, 몸체부(13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프레임(122)은 몸체부(130)의 개방된 일면을 차폐하며 몸체부(130)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일면은 몸체부(130)의 측면들 중 일방향에 위치한 측면 중 하나일 수 있다.
한편, 프레임(120)은 전기 전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20) 중 제1 프레임(121)만 전기 전도성 재질로 마련되거나, 혹은 제1 프레임(121) 및 제2 프레임(122)이 모두 전기 전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제1 프레임(121) 및 제2 프레임(122)이 모두 전기 전도성 재질로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하기에서 전기 전도성 재질은 예컨데,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은 전기 전도성을 갖으며 임피던스 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재질일 수 있다. 이에, 알루미늄은 전자기파를 일부 반사하거나 혹은 일부 흡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기파가 알루미늄에 접촉할 경우, 알루미늄은 전자기파의 일부를 반사시킬 수 있고, 전자기파의 일부를 흡인하여 알루미늄의 표면을 흐르게 할 수 있다. 알루미늄에 흐르는 전자기파는 알루미늄의 내부 저항에 의해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소멸될 수 있다. 따라서, 알루미늄을 통해 전자기파를 반사하여 전자기파를 차단할 수 있고, 또는 전자기파를 흡인하여 전자기파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프레임(121) 및 제2 프레임(122)을 전기 전도성 재질인 알루미늄 재질로 마련하여 몸체부(130)의 외부에서 발생되어 몸체부(130)의 내부로 유입되는 전자기파를 반사하여 차단하거나 혹은 흡인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몸체부(130)의 외부에서 발생된 전자기파가 관측부(110)로 유입되어, 관측부(110)가 오작동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3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흡인하여 제거하므로, 몸체부(130)의 외부로 전자기파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몸체부(130)는 내부에 관측부(110)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갖고, 관측부(110)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130)는 프레임(1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될 수 있고, 개방된 부분에 제2 프레임(122)이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몸체부(13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일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고, 교차방향으로 폭을 갖으며,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갖는 구조체일 수 있다. 여기서, 상하방향은 일방향과 교차방향에 수직하게 직교하는 방향일 있다. 또한, 몸체부(130)의 폭은 몸체부(130)의 길이보다 길 수 있고, 몸체부(130)의 길이는 몸체부(130)의 높이보다 길 수 있다.
몸체부(130)는 전자기파를 차단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에 도금용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금용 플라스틱은 플라스틱에 물리적, 화학적, 전기적 처리를 한 것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금용 플라스틱은 플라스틱의 표면에 에칭, 화학 도금, 전기 도금 처리한 것일 수 있다. 도금용 플라스틱은 전자기파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도금용 플라스틱은 일반 플라스틱과 비교하여 물질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을 통해, 몸체부(130)의 적어도 일부에 도금용 플라스틱을 포함시켜 물체의 강도를 높이면서, 전자기파가 몸체부(130)를 통과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30)는 PC/ABS 수지,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몸체부(130)가 PC/ABS 수지로만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몸체부(130)가 PC/ABS 수지로 마련됨에 따라, 몸체부(130)는 아크릴로나이트릴(Acrylonitrile)과 뷰타다이엔(Butadiene) 및 스타이렌(Styrene) 중 적어도 두 개 이상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PC/ABS에서 ABS는 아크릴로나이트릴, 뷰타다이엔, 스타이렌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의 성분을 중합해서 얻어지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즉, 몸체부(130)는 PC(Polycarbonate)의 표면에 아크릴로나이트릴, 뷰타다이엔, 스타이렌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의 성분을 중합한 ABS로 표면 처리한 PC/ABS 수지를 함유할 수 있다. 이에, 몸체부(130)는 물체의 강도를 상대적으로 강하게 하면서, 전자기파가 몸체부(130)를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몸체부(130)는 팔라듐(Palladiu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팔라듐은 전이금속으로서 비금속과 이온 결합될 수 있으며, 비금속과 이온 결합되며 전기 전도성을 갖을 수 있다. 이에, 팔라듐은 몸체부(130)의 도금용 플라스틱과 결합되며 몸체부(130)의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30)의 전기 전도성이 향상됨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기파의 일부를 반사하여 전자기파를 차단할 수 있고, 또는 전자기파의 일부를 흡인하여 전자기파를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30)는 도금용 플라스틱 소재가 몸체부(130)의 내벽면에만 형성되거나 혹은 몸체부(130)의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금용 플라스틱 소재가 몸체부(130)의 전체에 걸쳐 형성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즉, 몸체부(130)가 모두 도금용 플라스틱 소재로 마련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몸체부(130)는 제2 프레임(122)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상측면, 하측면 및 양측면에 일방향을 따라 결합홈(13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130)의 개방된 일면에서 일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홈(131)이 상측면, 하측면 및 양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몸체부(130)와 제2 프레임(122)이 나사 결합되며 관측부(110)를 몸체부(130) 내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몸체부(130)의 상측면에는 환기부재(132)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기부재(132)는 상측면에서 일방향을 기준으로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환기부재(132)에는 상하로 관통된 슬릿이 형성되며 몸체부(130)의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몸체부(130)의 내부에 배치되는 관측부(110)는 작동하며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관측부(110)에서 발생된 열은 몸체부(130)의 내부 공간의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내부 온도가 상승됨에 따라 관측부(110)에 작동 이상 혹은 관측부(110)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환기부재(132)를 통해 몸체부(130)의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고, 내부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환기부재(1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금용 플라스틱을 함유할 수 있다. 하지만, 환기부재(13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관측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관측 장치의 상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관측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몸체부(130)의 구조를 설명한다. 몸체부(130)는 일방향을 따라 몸체부(130)의 폭과 몸체부(130)의 높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크기가 감소할 수 있다. 즉, 일방향을 따라 몸체부(130)의 폭만 감소하거나, 일방향을 따라 몸체부(130)의 높이만 감소하거나, 혹은 일방향을 따라 몸체부(130)의 폭 및 높이가 모두 감소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일방향을 따라 몸체부(130)의 폭과 몸체부(130)의 높이가 모두 감소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교차방향에 위치한 몸체부(130)의 양측면이 일방향을 따라 일정한 기울기를 갖고, 상하방향에 위치한 몸체부(130)의 상측면 및 몸체부(130)의 하측면이 일방향을 따라 일정한 기울기를 갖을 수 있다. 몸체부(130)의 양측면, 상측면 및 하측면이 기울기를 갖으므로, 몸체부(130)에 수직 하중이 가해졌을 때 수직 하중이 가해진 부분의 응력이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힘은 방향성을 갖고 있으며, 힘 즉 하중이 작용하는 지점에서의 응력은 수학식 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1]
N = F |cosθ|
(여기서. N은 응력이고, F는 수직 하중이이고, θ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수직 하중이 작용하는 지점의 각도를 의미한다.)
이러한, 수학식 1에서 F 값이 일정할 때, 변수값인 θ에 따라서, 수직 하중이 작용하는 지점에서의 응력값 N이 달라질 수 있다. 즉, θ가 0°이상 내지 90° 이하의 범위에서 θ값이 커질수록 수직 하중이 작용하는 지점에서의 응력값 N이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몸체부(130)의 양측면, 상측면 및 하측면이 기울기를 갖으므로, 몸체부(130)에 수직 하중이 가해져도 수직 하중이 가해지는 지점에서의 응력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3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몸체부(130)에서 상측면의 기울기(θ1a)와 하측면의 기울기(θ1b)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거나 혹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상측면의 기울기(θ1a)와 하측면의 기울기(θ1b)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측면의 기울기(θ1a)와 하측면의 기울기(θ1b)가 0°이상 내지 10°이하의 크기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몸체부(130)에서 양측면의 기울기(θ2a2b)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거나 혹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몸체부(130)의 양측면의 기울기(θ2a2b)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양측면의 기울기(θ2a2b)가 각각 0°이상 내지 10°이하의 크기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몸체부(130)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모서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일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모따기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은 일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는 방향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몸체부(130)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된 모서리들 모두가 모따기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물체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점보다는 선이, 선보다는 면이 충격을 더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몸체부(130)의 모서리 부분을 모따기 면으로 형성하여 몸체부(130)에 충격, 즉 수직 하중이 가해졌을 때 충격이 가해진 부분에서의 응력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30)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모따기면의 기울기(θ3a , θ3b)는 각각 다르게 형성되거나 혹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모따기면의 기울기(θ3a , θ3b)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모따기면의 기울기(θ3a , θ3b)가 30°이상 내지 45°이하의 크기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이처럼, 프레임(120) 및 몸체부(130)를 통해 적외선 관측 장치(100)의 외부에서 발생된 전자기파가 관측부(110)로 전달되는 것을 이중으로 차단할 수 있다. 즉, 적외선 관측 장치(100)의 외부에서 발생된 전자기파가 일차로 몸체부(130)에 의해 차단되고, 몸체부(130)를 통과한 일부의 전자기파를 프레임(120)에서 반사하여 차단하거나 혹은 흡인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에, 이중으로 전자기파를 차단하므로, 전자기파가 관측부(110)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측부(110)에서 발생된 전자기파가 일차로 프레임(120)에 의해 차단되고, 이차로 몸체부(130)에 의해 차단되므로 관측부(110)에서 발생된 전자기파가 적외선 관측 장치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30)에 도금용 플라스틱을 함유하므로, 전자기파를 차단하면서 동시에 몸체부(13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몸체부(130)를 경량화시킬 수 있다. 또한, 몸체부(130)가 일방향을 따라 폭 및 너비가 감소하므로, 몸체부(130)에 가해지는 수직 하중에 대한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적외선 관측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관측 장치의 후면도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관측 장치의 구조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관측 장치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관측 장치(100)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모서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일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은 일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는 방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모서리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될 경우, 모서리 부분이 직각으로 형성될 경우보다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질 수 있고,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짐에 따라 몸체부(130)에 가해지는 충격이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몸체부(130)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단위 면적당 응력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관측 장치의 사시도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관측 장치의 구조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관측 장치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관측 장치(100)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모서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탄성력을 갖는 완충부재(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부재(133)는 몸체부(130)에서 모따기면으로 형성되는 부분 전체에 구비되거나 혹은, 모따기면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완충부재(133)가 모따기면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적외선 관측 장치(100)는 휴대가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즉, 적외선 관측 장치(100)는 고정되어 있는 장치가 아니므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낙하할 수 있다. 이에, 완충부재(133)가 몸체부(130)의 모서리 부분에 구비되어, 적외선 관측 장치(100)가 낙하할 때 몸체부(130)로 전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탄성력을 갖춘 완충부재(133)가 충격을 흡수하여 몸체부(130)로 전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몸체부(13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관측 장치의 제작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관측 장치의 제작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적외선 관측 장치의 제작방법은 주간 및 야간에 대상체를 관측할 수 있는 장치를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적외선 에너지를 이용하여 대상체를 관측하는 관측부를 마련하는 과정(S110), 관측부(110)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몸체부(130)를 마련하는 과정(S120) 및 몸체부(130)가 관측부(110)의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관측부(110)를 몸체부(130)에 결합시키는 과정(S13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관측부(110)를 몸체부(130)에 결합시키기 전에, 관측부(110)가 설치되는 프레임(120)을 마련하고, 프레임(120)에 관측부(11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관측부(110)를 마련할 수 있다. 즉, 대상체의 적외선 에너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기(111)와, 감지된 적외선 에너지를 구간별로 분할할 수 있는 분할기(112) 및 구간별로 분할된 적외선 에너지 이용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영상 생성기(113)를 마련할 수 있다.
이후, 프레임(120) 혹은 몸체부(130)를 마련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프레임(120)을 몸체부(130)보다 먼저 마련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몸체부(130)를 먼저 마련하고 프레임(120)을 마련할 수도 있다.
이때, 프레임(120)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 전도성 재질로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 전도성 재질은 예컨데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프레임(120) 전체가 알루미늄 재질로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이후, 프레임(120)에 감지기(111), 분할기(112) 및 영상 생성기(113)를 프레임(1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기(111), 분할기(112) 및 영상 생성기(113)를 프레임(1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감지기(111), 분할기(112) 및 영상 생성기(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가 알루미늄 재질의 프레임(120)에 의해 반사되어 차단되거나, 알루미늄 재질의 프레임에 흡수되어 제거될 수 있다.
이후, 몸체부(130)를 마련할 수 있다. 몸체부(130)를 마련함에 있어서, 몸체부(130)를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즉, 몸체부(130)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금형에 용융된 재료를 사출하여 몸체부(130)를 일체형으로 성형할 수 있다. 여기서, 용융된 재료는 도금용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금용 플라스틱은 PC/ABS 수지,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기에서는 몸체부(130)가 PC/ABS 재질로만 마련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금용 플라스틱의 특징에 의해, 도금용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된 몸체부(130)가 전자기파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30)가 도금용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되므로, 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고, 무게를 상대적으로 가볍게 할 수 있다.
한편, 몸체부(130)를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함에 있어서, 금형은 일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기울어진 형상일 수 있다. 즉, 금형의 폭과 높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길이가 일방향을 따라 감소하는 형상일 수 있다. 이에, 금형을 통해 성형되는 몸체부(130)도 폭과 높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일방향을 따라 감소하는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방향을 따라 몸체부(130)의 상측면, 하측면 및 양측면에 기울기가 생길 수 있다. 상측면, 하측면 및 양측면의 기울기에 의해 몸체부(130)에 수직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몸체부(130)가 받는 응력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후, 몸체부(130)에 프레임(120)을 삽입시킬 수 있다. 이때, 몸체부(130)와 프레임(120)을 결합시킬 수 있다. 프레임(120)이 몸체부(130)에 결합됨에 따라, 관측부(110)도 몸체부(130) 내의 공간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관측부(110)를 몸체부(1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몸체부(130)의 외부에서 발생된 전자기파가 몸체부(130)에 의해 일차로 차단되고, 이차로 프레임(120)에 의해 차단되어 관측부(110)로 전자기파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측부(110)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가 프레임(120)에 의해 일차로 차단되고, 몸체부(130)에 의해 이차로 차단되어 몸체부(130)의 외부로 전자기파가 유출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30)를 도금용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하여, 강도를 강하게 하고 무게를 상대적으로 가볍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30)의 구조를 통해 외부에서 수직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몸체부(130)에서의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적외선 관측 장치 110: 관측부
120: 프레임 130: 몸체부

Claims (19)

  1. 주간 및 야간에 대상체를 관측할 수 있는 장치로서,
    상기 대상체가 발산하는 적외선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를 관측할 수 있는 관측부; 및
    내부에 상기 관측부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갖고, 전자기파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관측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에 도금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관측부 및 상기 몸체부에 각각 결합되고, 전자기파를 흡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에 전기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전기 전도성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관측부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에 삽입되는 제1 프레임과, 전기 전도성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관측부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일면을 차폐하며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적외선 관측장치.
  2. 주간 및 야간에 대상체를 관측할 수 있는 장치로서,
    상기 대상체가 발산하는 적외선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를 관측할 수 있는 관측부;
    내부에 상기 관측부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갖고, 전자기파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관측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에 아크릴로나이트릴(Acrylonitrile)과 뷰타다이엔(Butadiene) 및 스타이렌(Styrene)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물질을 함유하는 몸체부; 및
    상기 관측부 및 상기 몸체부에 각각 결합되고, 전자기파를 흡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에 전기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전기 전도성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관측부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에 삽입되는 제1 프레임과, 전기 전도성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관측부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일면을 차폐하며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적외선 관측장치.
  3. 주간 및 야간에 대상체를 관측할 수 있는 장치로서,
    상기 대상체가 발산하는 적외선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를 관측할 수 있는 관측부;
    내부에 상기 관측부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갖고, 전자기파를 차단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에 도금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며, 폭과 높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길이가 일방향을 따라 감소하는 몸체부; 및
    상기 관측부 및 상기 몸체부에 각각 결합되고, 전자기파를 흡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에 전기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전기 전도성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관측부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에 삽입되는 제1 프레임과, 전기 전도성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관측부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일면을 차폐하며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적외선 관측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도금용 플라스틱 소재가 상기 몸체부의 내벽면에 형성되거나 혹은 상기 몸체부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적외선 관측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PC/ABS 수지,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적외선 관측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아크릴로나이트릴(Acrylonitrile)과 뷰타다이엔(Butadiene) 및 스타이렌(Styrene) 중 적어도 두 개 이상 물질을 포함하는 적외선 관측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팔라듐(Palladium)를 더 포함하는 적외선 관측 장치.
  9. 삭제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및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몸체부의 폭과 높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길이가 상기 일방향을 따라 감소하는 적외선 관측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폭과 높이가 모두 상기 일방향을 따라 감소하는 적외선 관측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양측면이 상기 일방향을 따라 일정한 기울기를 갖고, 상측면 및 하측면이 상기 일방향을 따라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적외선 관측 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된 모서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일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곡면 형상 혹은 모따기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적외선 관측 장치.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된 모서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탄성력을 갖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적외선 관측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측부는,
    주간 및 야간에 상기 대상체의 적외선 에너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기;
    감지된 적외선 에너지를 구간별로 분할할 수 있도록, 상기 감지기와 연결되는 분할기; 및
    구간별로 분할된 적외선 에너지를 이용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분할기와 연결되는 영상 생성기;를 포함하는 적외선 관측 장치.
  16. 주간 및 야간에 대상체를 관측할 수 있는 장치를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적외선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를 관측하는 관측부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관측부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갖고, 전자기파를 차단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에 도금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몸체부를 마련하는 과정; 및
    상기 몸체부가 상기 관측부의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상기 관측부를 상기 몸체부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관측부를 상기 몸체부에 결합시키는 과정 전에, 전기 전도성 재질롤 마련되고 상기 관측부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는 상기 몸체부에 삽입되는 제1 프레임과 전기 전도성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관측부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일면을 차폐하며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마련하고, 상기 관측부를 상기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적외선 관측 장치의 제작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를 마련하는 과정은,
    상기 몸체부를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하여 제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적외선 관측 장치의 제작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를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하여 제조하는 과정은,
    상기 몸체부의 폭과 상기 몸체부의 높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길이가 일방향을 따라 감소하도록 제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적외선 관측 장치의 제작방법.
  19. 삭제
KR1020200029534A 2020-03-10 2020-03-10 적외선 관측 장치 및 이의 제작방법 KR102154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534A KR102154210B1 (ko) 2020-03-10 2020-03-10 적외선 관측 장치 및 이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534A KR102154210B1 (ko) 2020-03-10 2020-03-10 적외선 관측 장치 및 이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4210B1 true KR102154210B1 (ko) 2020-09-09

Family

ID=72434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534A KR102154210B1 (ko) 2020-03-10 2020-03-10 적외선 관측 장치 및 이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2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5217A (ko) * 2004-10-22 2007-08-27 제노닉스 인코퍼레이션 내구성 디지털 저조도 관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30939A (ko) * 2007-09-21 2009-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실드 캔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실드 캔
KR20100042913A (ko) 2008-10-17 2010-04-27 (주)이오시스템 열상 장치용 대물렌즈계
KR20180107661A (ko) * 2017-03-22 2018-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 차폐를 위한 하우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5217A (ko) * 2004-10-22 2007-08-27 제노닉스 인코퍼레이션 내구성 디지털 저조도 관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30939A (ko) * 2007-09-21 2009-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실드 캔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실드 캔
KR20100042913A (ko) 2008-10-17 2010-04-27 (주)이오시스템 열상 장치용 대물렌즈계
KR20180107661A (ko) * 2017-03-22 2018-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 차폐를 위한 하우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765376U (zh) 便携式电子设备
CN110999266B (zh) 用于电子设备中的多部件视觉系统的托架组件
US10591765B2 (en) Display device
US20190158643A1 (en) Display screen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KR102154210B1 (ko) 적외선 관측 장치 및 이의 제작방법
CN106772833A (zh) 一种光模块
WO2020052289A1 (zh) 深度获取模组及电子装置
US20180172943A1 (en) Filter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JP2018186360A (ja) アンテナ装置
CN206079401U (zh) 一种电子设备保护套
CN111052033A (zh) 显示器及电子装置
JP6537948B2 (ja) 近接センサおよび電子機器
US11280670B2 (en) Optical sensor assembly
US11363732B2 (en) Electronic device and waterproof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RU2660662C2 (ru) Средняя рамка корпуса мобильного терминала и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US10845851B2 (en) Electronic apparatus
JP6537947B2 (ja) 近接センサおよび電子機器
KR102302905B1 (ko) 화재감지 조립체
CN216668566U (zh) 锁具垂直变形度检测装置
CN210664597U (zh) 一种集成光学传感器组件和显示设备
JP2004151069A (ja) 赤外線測距装置
CN211908936U (zh) 一种智能型视觉识别安全装置
CN210958533U (zh) 保护装置和具有其的电子设备
WO2023124628A1 (zh) 水平传感器及衣物处理设备
US20170053148A1 (en) Enclosure for an optic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