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138B1 - 선박용 러더 캐리어 - Google Patents

선박용 러더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138B1
KR102154138B1 KR1020200074124A KR20200074124A KR102154138B1 KR 102154138 B1 KR102154138 B1 KR 102154138B1 KR 1020200074124 A KR1020200074124 A KR 1020200074124A KR 20200074124 A KR20200074124 A KR 20200074124A KR 102154138 B1 KR102154138 B1 KR 102154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dder
rudder carrier
separable
stock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근
고창익
한영칠
Original Assignee
모베나코리아 유한책임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베나코리아 유한책임회사 filed Critical 모베나코리아 유한책임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4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1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38Rud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52Parts for 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0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 F16C33/1025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with liquid, e.g. oil, as lubricant
    • F16C33/106Details of distribution or circulation inside the bearings, e.g. details of the bearing surfaces to affect flow or pressure of the liquid
    • F16C33/107Grooves for generating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162Special parts or detail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f the sealing itsel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조타기실의 플로워 레벨에서 점검, 보수, 교체 등이 가능한 선박용 러더 캐리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러더 스톡 상단 부위의 링 체결홈에 체결되는 디스턴스 링; 러더 스톡의 외주면에 체결되어, 디스턴스 링의 저면에 밀착되는 러더 캐리어 커버; 조타기실의 플로워에 설치되어, 러더 캐리어 커버를 지지하는 러더 캐리어 하우징; 러더 캐리어 하우징의 하우징 플랜지 상면에 구비되어, 러더 캐리어 커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 러더 캐리어 하우징의 하우징 하부바디 내주면 상단 부위에 배치되어, 러더 스톡의 스톡 슬리브 외면에 접촉되는 씰링 조립체; 및 하우징 하부바디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스톡 슬리브의 외주면을 접촉 지지하는 분리형 라디얼 베어링;을 포함하는, 선박용 러더 캐리어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용 러더 캐리어{RUDDER CARRIER FOR SHIP}
본 발명은 러더를 선체에 장착시키는 러더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선체의 진행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러더(rudder)가 구비될 수 있다. 전형적인 선박에서 러더는 선미의 프로펠러 후류에 배치될 수 있고, 러더 스톡(rudder stock)을 축으로 회전각이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러더 스톡은 러더 캐리어(rudder carrier)에 의해 선미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일 예로 등록특허 제10-1964272호는 이러한 러더 캐리어 중 하나를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러더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러더 스톡(11)은 상하로 연장될 수 있고, 러더 스톡(11) 하단에는 러더(12)가 설치될 수 있다. 러더 스톡(11)은 러더 트렁크(13)를 통해 선미 내부로 연장될 수 있고, 러더 스톡(11)의 상단은 러더 캐리어(10)를 거쳐 조타 틸러(14)에 설치될 수 있다. 조타 틸러(14)가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 러더 스톡(11) 내지 러더(12)의 회전각이 적절히 조절되는 구조이다.
상기에서, 러더 캐리어(10)는 러더 스톡(1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일종의 베어링으로 기능할 수 있다. 러더(12) 및 러더 스톡(11)의 하중이나 작동력을 고려해 러더 캐리어(10)는 통상 마찰 베어링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러더 캐리어(10)는 필연적으로 정기적인 점검이나 교체가 요구될 수 있다. 러더 캐리어(10)의 점검이나 교체는 조타기실(15) 하부에 배치된 러더 트렁크(13)를 통해서만 이뤄질 수 있다. 즉, 작업자가 러더 트렁크(13)를 통해 러더 스톡(11) 및 러더 캐리어(10)로 직접 접근하고, 러더 캐리어(10)의 점검, 수리, 교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점검 등은 작업자가 러더 트렁크(13) 내부로 직접 접근해야 하고, 좁은 작업 공간 내에서 수행함에 따라, 작업상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러더 캐리어(10)의 경우 씰링 구조가 조타기실(15)의 플로워(16) 하부에 배치되고, 씰링의 교체를 위해 러더 캐리어(10)를 하부로부터 분해, 조립해야 하는 구조로 이뤄져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러더 트렁크(13) 내 좁은 작업공간에서 상당한 어려움을 겪으며 점검, 수리, 교체 등을 수행해왔다.
더욱이, 근래에는 선박의 에너지 효율 등을 개선하기 위해 폐쇄형 러더 트렁크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도 1은 개방형 러더 트렁크 구조로, 러더 트렁크(13)가 플로워(16) 하부에 충분한 공간으로 구비되어 작업자가 직접 접근이 가능한 반면, 폐쇄형 러더 트렁크 구조는 러더 스톡(11)과 러더 트렁크(13) 간의 공간이 최소화되어 작업자의 직접적인 접근이 불가하다. 이에 따라 러더 캐리어(10)의 점검, 씰링, 베어링 등의 교체를 위해서는 종래보다 휠씬 더 번거로운 분해 조립 과정이 요구된다.
등록특허 제10-1964272호(2019.03.26. 등록)
본 발명은 작업자가 러더 트렁크로 직접 접근하지 않고도, 조타기실의 플로워 레벨에서 점검, 보수, 교체 등이 가능한 선박용 러더 캐리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러더 스톡 상단 부위의 링 체결홈에 체결되는 디스턴스 링; 상기 러더 스톡의 외주면에 체결되어, 상기 디스턴스 링의 저면에 밀착되는 러더 캐리어 커버; 조타기실의 플로워에 설치되어, 상기 러더 캐리어 커버를 지지하는 러더 캐리어 하우징; 상기 러더 캐리어 하우징의 하우징 플랜지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러더 캐리어 커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 상기 러더 캐리어 하우징의 하우징 하부바디 내주면 상단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러더 스톡의 스톡 슬리브 외면에 접촉되는 씰링 조립체; 및 상기 하우징 하부바디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스톡 슬리브의 외주면을 접촉 지지하는 분리형 라디얼 베어링;을 포함하는, 선박용 러더 캐리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선박용 러더 캐리어는 분리형 구조로 형성되어, 작업자 등이 러더 트렁크로 직접 접근하지 않고, 조타 틸러와 플로워 간의 간격을 플로워 레벨에서 분해 조립이 이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러더 캐리어의 점검, 보수, 교체 등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러더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러더 캐리어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박용 러더 캐리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러더 캐리어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씰링 조립체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분리형 라디얼 베어링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선박용 러더 캐리어의 분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 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러더 캐리어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편의상 본 실시예에서는 전형적인 선미 구조를 가진 선박을 예시하여 러더 캐리어의 설치구조 등을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러더 캐리어가 반드시 예시된 선미 구조에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아래 실시예에서는 폐쇄형 러더 트렁크를 가진 선미 구조를 예시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개방형 러더 트렁크를 가진 선미 구조(도 1 참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아래 실시예에서는 선미에 러더 및 러더 트렁크가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니며, 선박 또는 선체의 다른 위치에 배치된 러더 및 러더 트렁크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아래 실시예에서는 선박, 선체 등의 용어를 사용하나, 이는 반드시 전형적인 의미의 선박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며, 수상 환경에서 이동성을 가진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로 이해됨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선미의 프로펠러 후방에는 러더(12)가 구비될 수 있다. 러더(12)는 러더 스톡(11)에 설치될 수 있고, 러더 스톡(11)은 상하로 연장되어 조타 틸러(14)에 연결될 수 있다. 조타 틸러(14)는 통상 수십 센티미터의 간격(G)을 가지고 플로워(16)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러더 스톡(11)은 선미에 구비된 러더 트렁크(13)를 통해 설치될 수 있고, 플로워(16)에 설치된 러더 캐리어(1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러더 캐리어(100)는 조타기실(15) 내의 플로워(16)에 설치되어, 러더 스톡(1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러더 캐리어(100)는 플로워(16) 레벨에서 직접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설치, 유지관리 등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예시된 바와 같은 폐쇄형 러더 트렁크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박용 러더 캐리어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러더 캐리어(100)는 러더 스톡(11) 상단에 배치되어 조타기실(15) 내부의 플로워(16)에 설치될 수 있다. 러더 스톡(11)은 러더 트렁크(13)를 통해 상하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러더 스톡(11) 상단 부위에는 디스턴스 링(110)의 체결을 위한 링 체결홈(11a)이 구비될 수 있다. 플로워(16)에 인접한 러더 스톡(11)의 외면에는 스톡 슬리브(11b)가 구비될 수 있고, 스톡 슬리브(11b)가 분리형 라디얼 베어링(160) 등에 접촉 슬라이딩되면서, 러더 스톡(11)의 회전이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러더 캐리어(100)는 디스턴스 링(11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턴스 링(110)은 러더 스톡(11) 상단에 인접하게 체결되어, 하부의 구성부품들을 러더 스톡(11)이나 플로워(16)에 배치된 러더 캐리어 하우징(131)에 고정할 수 있다.
러더 스톡(11) 상단에는 디스턴스 링(110)이 체결되는 링 체결홈(11a)이 형성될 수 있다. 링 체결홈(11a)은 디스턴스 링(11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러더 스톡(11)의 외주를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부 구성부품들의 이탈을 적절히 제한할 수 있도록, 디스턴스 링(110)은 저면 일부가 러더 캐리어 커버(12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러더 스톡(11)은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거나, 적어도 일정한 단면적을 가지고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디스턴스 링(110)의 이탈시 러더 스톡(11)에 장착된 하부 구성부품들이 러더 스톡(11)으로부터 원활히 이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통상의 러더 스톡(11)에서 이는 특별히 문제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의 러더 캐리어(100)는 디스턴스 링(110) 하부에 배치되는 러더 캐리어 커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러더 캐리어 커버(120)는 러더 캐리어 하우징(130)과 함께 내부 구성부품들을 적절히 보호할 수 있다. 러더 캐리어 커버(120)는 링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내주면이 러더 스톡(11)에 긴밀하게 접촉 체결될 수 있다. 러더 캐리어 커버(120)의 상면은 디스턴스 링(110)의 저면에 접촉되어, 상측으로의 이탈이 제한될 수 있다.
러더 캐리어 커버(120)는 필요에 따라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러더 캐리어 커버(120)는 하나의 링 형태로 일체 형성되거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자를 예시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디스턴스 링(110) 및 러더 캐리어 커버(120)는 러더 스톡(11)의 상단에 체결되어, 러더 스톡(11)과 함께 회전 동작될 수 있다. 러더 스톡(11)의 회전은 후술할 분리형 라디얼 베어링(16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러더 캐리어 커버(120)의 회전은 후술할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 및 분리형 라디얼 베어링(160)은 대체로 마찰 베어링으로 의도되나, 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동이 가능한 것이면, 그 재질, 종류 등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의 러더 캐리어(100)는 러더 캐리어 하우징(130)을 포함할 수 있다.
러더 캐리어 하우징(130)은 러더 캐리어(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고, 각 구성부품들에 대한 지지 및 조립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러더 캐리어 하우징(130)은 하우징 플랜지(131) 및 하우징 하부바디(132)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 플랜지(131)는 플로워(16)에 배치되어, 저면이 플로워(16)에 지지될 수 있다. 하우징 하부바디(132)는 하우징 플랜지(131)의 내주 부위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대체로 플로워(16) 하측의 러더 트렁크(13) 내 배치가 의도된다. 하우징 하부바디(132)의 중앙으로는 러더 스톡(11)이 관통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러더 캐리어(100)는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은 링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하우징 플랜지(131) 상면에 체결될 수 있다.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은 러더 캐리어 커버(120)와 러더 캐리어 하우징(130) 사이에 개재되어, 러더 캐리어 커버(120)를 러더 캐리어 하우징(1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즉,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은 저면이 하우징 플랜지(131) 상면에 접촉 지지되고, 상면이 러더 캐리어 커버(120) 저면에 접촉 지지되어, 러더 스톡(11)의 회전에 따라 러더 캐리어 커버(120)의 저면에 접촉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러더 스톡(11) 및 러더 캐리어 커버(120)는 러더 캐리어 하우징(13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은 하우징 플랜지(131)에 마련된 소정의 결합 형상이나 구조를 통해 하우징 플랜지(131) 상면에 안착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 플랜지(131) 상면에는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형의 홈이 연장 형성되고,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이 이와 같은 홈에 안착되어, 하우징 플랜지(131)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러더 캐리어(100)는 씰링 조립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씰링 조립체(150)는 러더 스톡(11)의 외면, 구체적으로는 스톡 슬리브(11b)의 외면에 접촉되어 하측으로부터의 수분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씰링 조립체(150)는 대체로 하우징 하부바디(132) 상단에 장착될 수 있고,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이루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씰링 조립체(150)는 러더 스톡(11)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고,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러더 캐리어(100)는 분리형 라디얼 베어링(160)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형 라디얼 베어링(160)은 씰링 조립체(150)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분리형 라디얼 베어링(160)은 하우징 하부바디(132)의 내주면에 장착 지지될 수 있으며, 대체로 원형 슬리브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분리형 라디얼 베어링(160)은 러더 스톡(11)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상하로 소정 높이를 갖고 충분히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러더 캐리어(100)는 러더 스톡(11)이 상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러더 캐리어 커버(120)가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에 접촉 슬라이딩되면서 회전 안내되고, 스톡 슬리브(11b)가 분리형 라디얼 베어링(160)에 접촉 슬라이딩되면서 회전 안내되는 형태로 동작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러더 캐리어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턴스 링(110)은 복수개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예시된 바에 따르면, 디스턴스 링(110)은 2개의 파트로 분할 형성되어 있고, 편의상 이를 제1디스턴스 링(111) 및 제2디스턴스 링(112)으로 구분하여 지칭한다. 다만, 필요에 따라 디스턴스 링(110)은 3개 이상의 파트로 분할 형성될 수도 있고,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2디스턴스 링(111, 112)은 각각 반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디스턴스 링(111)의 원주 방향 일측 단부에는 제1결합편(113)이 마련될 수 있고, 반대측 단부에는 제1결합홀(114)이 마련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디스턴스 링(112)에도 제2결합편(115) 및 제2결합홀(116)이 마련될 수 있고, 대응되는 각 결합편(113, 115)이 각 결합홀(114, 116)에 소정의 결합수단을 통해 체결됨으로써, 제1, 2디스턴스 링(111, 112)이 하나의 링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결합편(113, 115)과 각 결합홀(114, 116) 간의 체결방향은 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각 결합홀(114, 116)은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결합수단이 횡 방향으로 삽입 체결됨에 따라, 각 결합편(113, 115)이 각 결합홀(114, 116)에 체결될 수 있다. 이는 조타 틸러(14)와 플로워(16) 사이의 제한된 공간에서 작업자가 소정의 공구 등을 통해 쉽게 결합수단의 체결이나 분리가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은 복수개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예시된 바에 따르면,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은 2개의 파트로 분할 형성되어 있고, 편의상 이를 제1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1) 및 제1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2)으로 구분하여 지칭한다. 다만, 전술한 디스턴스 링(110)과 마찬가지로,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은 3개 이상의 파트로 분할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반드시 디스턴스 링(110)과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의 분할 파트가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각각 상이한 개수의 파트로 분할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예시된 바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제1, 2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1, 142)은 각각 반형 형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원주 방향의 대응되는 각 단부가 마주보게 배치되어 하나의 링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디스턴스 링(110)과 달리,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은 반드시 소정의 결합수단을 통해 체결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디스턴스 링(110)의 경우 하부의 구성부품들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이탈을 제한하기 위한 것인데 반해,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은 러더 캐리어 커버(120)에 대해 적절한 베어링 기능을 제공하면 무방하기 때문이다.
전술한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 플랜지(131)의 상면에는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의 형상에 대응되는 베어링 안착홈(133)이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 안착홈(133)은 하우징 플랜지(131) 상면에 원형 고리 형태로 연장될 수 있고, 이에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이 안착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은 윤활제 수용홈(143) 및 윤활제 공급홀(144)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은 러더 캐리어 커버(120)의 저면에 접촉되는 상면(145)을 구비할 수 있고, 상면(145)에는 하나 이상의 윤활제 수용홈(143)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윤활제 수용홈(143)은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의 상면(145)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가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총 10개의 윤활제 수용홈(143)이 구비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윤활제 수용홈(143)에는 윤활제가 수용될 수 있고, 수용된 윤활제는 러더 캐리어 커버(120)의 회전에 따라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의 상면(145)에 도포될 수 있다. 윤활제는 오일, 그리스 등을 포함하며, 특별히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다.
윤활제 수용홈(143)의 바닥면에는 윤활제 공급홀(144)이 마련될 수 있다. 윤활제 공급홀(144)은 윤활제 수용홈(143)으로 윤활제를 공급하는 유로를 제공할 수 있고, 윤활제 수용홈(143)의 바닥면으로부터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에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윤활제 공급홀(144) 하부의 윤활제가 윤활제 수용홈(143)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전술한 도 3을 참조하면,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이 배치되는 베어링 안착홈(133)의 바닥면에는 윤활제 공급홈(134)이 형성될 수 있다. 윤활제 공급홈(134)은 윤활제의 공급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의 저면을 따라 원형 고리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씰링 조립체의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씰링 조립체(150)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씰링 조립체(150)는 제1씰링 조립체(151) 및 제2씰링 조립체(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씰링 조립체(151)는 제1씰링(153) 및 제1씰링 브라켓(15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씰링 브라켓(154)은 러더 스톡(11), 구체적으로는 스톡 슬리브(11b)의 외주를 따라 링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제1씰링(153)은 제1씰링 브라켓(154)의 내주 측에 체결되어, 스톡 슬리브(11b)의 외주면에 밀착 접촉될 수 있다.
제2씰링 조립체(152)는 제1씰링 조립체(151) 하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제2씰링(155) 및 제2씰링 브라켓(15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씰링(155) 및 제2씰링 브라켓(156)은 제1씰링(153) 및 제1씰링 브라켓(154)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1, 2씰링 조립체(151, 152) 사이에는 각 씰링(153, 155) 간의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 링(157)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1, 2씰링(153, 155)이 상하로 적절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면 무방하고, 반드시 별도의 스페이서 링(157)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스페이서 링(157)은 일부 또는 전부가 각 씰링브라켓(154, 156)에 포함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제1씰링 조립체(151) 및 제2씰링 조립체(152)는 독립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씰링 조립체(151) 및 제2씰링 조립체(152)는 각각 독립된 부품 형태로 구현되어, 일부 씰링 조립체(151, 152)를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씰링 브라켓(154, 156)은 복수개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디스턴스 링(110),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 등과 유사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각 씰링 브라켓(154, 156)은 크게 2개 파트로 분할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도 7 참조).
한편, 러더 캐리어 하우징(130)에는 누수포집공간(135) 및 누수유로(136)가 구비될 수 있다.
누수포집공간(135) 및 누수유로(136)는 씰링 조립체(150)에도 불구하고 부품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포집 및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누수포집공간(135)은 씰링 조립체(150)의 반경 반향 외측 둘레면과 러더 캐리어 하우징(130)의 내주면 사이에 마련된 소정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누수포집공간(135)은 대응되는 위치에서 러더 캐리어 하우징(130)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씰링 조립체(150) 내부로 유입된 수분 등은 일차적으로 누수포집공간(135)에 수용될 수 있다.
누수유로(136)는 누수포집공간(135)으로부터 연장되어, 누수포집공간(135)에 포집된 수분의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누수유로(136)는 하우징 플랜지(131) 내부에 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가 누수포집공간(135)과 연통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누수유로(136)에는 센서수단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센서수단은 누수유로(136)의 수분을 감지하여 누수 발생여부를 판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부로 적절한 알림이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센서수단을 통해 외부에서도 누수 발생여부나, 씰링 조립체(150)의 마모 등을 적절히 감시할 수 있다.
센서수단은 수분의 적절한 감지가 가능한 것이면 무방하고, 그 종류나 감지방식 등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 센서수단은 사용자가 직접 개입하여 누수 발생여부를 판별하는 방식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분리형 라디얼 베어링의 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분리형 라디얼 베어링(160)은 복수개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디스턴스 링(110),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 등과 유사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분리형 라디얼 베어링(160)은 2개 파트로 분할 형성되어 있고, 편의상 이를 제1분리형 라디얼 베어링(161) 및 제2분리형 라디얼 베어링(162)으로 구분하여 지칭한다. 다만, 필요에 따라 분리형 라디얼 베어링(160)은 3개 이상의 파트로 분할 형성될 수도 있고,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2분리형 라디얼 베어링(161, 162)은 각각 반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상하로 소정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1, 2분리형 라디얼 베어링(161, 162)은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원통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러더 스톡(11)의 외주면, 구체적으로는 스톡 슬리브(11b)의 외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2분리형 라디얼 베어링(161, 162)은 러더 스톡(11)을 측방에서 접촉 지지하는 것으로, 상하로 충분한 높이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분리형 라디얼 베어링(160)은 윤활제 수용홈(163) 및 윤활제 공급홀(164)을 구비할 수 있다.
윤활제 수용홈(163)은 분리형 라디얼 베어링(160)의 내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윤활제 수용홈(163)은 복수개가 분리형 라디얼 베어링(160) 내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각 윤활제 수용홈(163)은 분리형 라디얼 베어링(160)의 내주면에서 상하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리형 라디얼 베어링(160)의 내주면은 둘레 방향을 따라 윤활제 수용홈(163) 및 접촉면(165)이 반본적으로 배치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윤활제 공급홀(164)은 각 윤활제 수용홈(163)에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각 윤활제 수용홈(163)에 1개씩의 윤활제 공급홀(164)이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윤활제 공급홀(164)은 각 윤활제 수용홈(163)의 상단 부위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선박용 러더 캐리어의 분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러더 캐리어(100)는 러더 캐리어 하우징(130), 씰링(153, 155), 러더 캐리어 커버(120)를 제외한 각 구성부품이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어, 제한된 작업공간 내에서도 분해 조립이 가능하다.
부연하면, 전술한 도 2와 같이, 조타 틸러(14)와 플로워(16)의 간격(G)은 통상 수십 센티미터 수준이고, 폐쇄형 러더 트렁크 구조를 채용하는 경우 러더 트렁크(13)를 통한 접근이 용이하지 않아, 기존 구조의 러더 캐리어는 조타 틸러(14)를 유지한 채 분해 조립이 불가하게 된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의 러더 캐리어(100)는 분할 구조를 통해, 최소한의 작업공간(높이)만이 확보되면 조타 틸러(14)와 플로워(16)의 간격(G)을 통해 분해 조립이 이뤄질 수 있다. 이는 특히, 작업자 등이 러더 트렁크(13)로 직접 접근하지 않더라도, 플로워(16) 레벨에서 분해 조립이 이뤄질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한 작업상의 편의를 가져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1: 러더 스톡 12: 러더
13: 러더 트렁크 14: 조타 틸러
15: 조타기실 16: 플로워
100: 러더 캐리어 110: 디스턴스 링
120: 러더 캐리어 커버 140: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
150: 씰링 조립체 160: 분리형 라디얼 베어링

Claims (7)

  1. 러더 스톡(11) 상단 부위의 링 체결홈(11a)에 체결되는 디스턴스 링(110);
    상기 러더 스톡(11)의 외주면에 체결되어, 상기 디스턴스 링(110)의 저면에 밀착되는 러더 캐리어 커버(120);
    조타기실(15)의 플로워(16)에 설치되어, 상기 러더 캐리어 커버(120)를 지지하는 러더 캐리어 하우징(130);
    상기 러더 캐리어 하우징(130)의 하우징 플랜지(131)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러더 캐리어 커버(1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
    상기 러더 캐리어 하우징(130)의 하우징 하부바디(132) 내주면 상단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러더 스톡(11)의 스톡 슬리브(11b) 외면에 접촉되는 씰링 조립체(150); 및
    상기 하우징 하부바디(132)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스톡 슬리브(11b)의 외주면을 접촉 지지하는 분리형 라디얼 베어링(160);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턴스 링(110), 상기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 상기 분리형 라디얼 베어링(16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플로워(16)와 조타 틸러(14) 사이의 간격(G) 내에서 분해 또는 조립 가능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는, 선박용 러더 캐리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턴스 링(110)은,
    원주 방향으로 분할된 제1디스턴스 링(111); 및
    상기 제1디스턴스 링(111)과 대응되는 제2디스턴스 링(11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2디스턴스 링(111, 112)는,
    일단의 결합편(113, 115); 및
    상기 결합편(113, 115)과 대응되는 반대측 단부의 결합홀(114);을 포함하는, 선박용 러더 캐리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러더 캐리어 하우징(130)은,
    상기 하우징 플랜지(131)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이 안착 배치되는 베어링 안착홈(133);
    상기 베어링 안착홈(133)의 저면에 형성되어, 윤활제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윤활제 공급홈(134);
    상기 하우징 하부바디(132)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씰링 조립체(150)의 반경방향 외측 둘레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누수포집공간(135); 및
    상기 하우징플랜지(131) 내부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누수포집공간(135)과 연결되어, 상기 누수포집공간(135) 내 누수를 외부로 안내 가능한 누수유로(136);를 포함하는, 선박용 러더 캐리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0)은,
    원주 방향으로 분할된 제1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1);
    상기 제1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1)과 대응되는 제2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2);
    상기 제1, 2분리형 디스크 베어링(141, 142)의 상면(145)에 형성된 복수의 윤활제 수용홈(143); 및
    상기 각 윤활제 수용홈(143)의 바닥면에 관통 형성되는 윤활제 공급홀(144);을 포함하는, 선박용 러더 캐리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씰링 조립체(150)는,
    상기 스톡 슬리브(11b)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씰링 조립체(151); 및
    상기 제1씰링 조립체(151)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스톡 슬리브(11b)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씰링 조립체(151)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 또는 조립 가능한 제2씰링 조립체(152);를 포함하는, 선박용 러더 캐리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라디얼 베어링(160)은,
    원주 방향으로 분할된 제1분리형 라디얼 베어링(161);
    상기 제1분리형 라디얼 베어링(161)과 대응되는 제2분리형 라디얼 베어링(162);
    상기 제1, 2분리형 라디얼 베어링(161, 162)의 내주면에 상하로 연장 형성되고, 복수개가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윤활제 수용홈(163); 및
    상기 각 윤활제 수용홈(163)의 상부 영역에 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윤활제 공급홀(164);을 포함하는, 선박용 러더 캐리어.
KR1020200074124A 2020-06-18 2020-06-18 선박용 러더 캐리어 KR102154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124A KR102154138B1 (ko) 2020-06-18 2020-06-18 선박용 러더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124A KR102154138B1 (ko) 2020-06-18 2020-06-18 선박용 러더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4138B1 true KR102154138B1 (ko) 2020-09-09

Family

ID=72434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124A KR102154138B1 (ko) 2020-06-18 2020-06-18 선박용 러더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13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98517A (zh) * 2020-11-09 2021-02-02 无锡鸿海龙船机有限公司 一种新型液压舵柄
CN114207328A (zh) * 2021-11-15 2022-03-18 无锡市东舟船舶设备股份有限公司 舵密封结构及船舵
CN114313197A (zh) * 2022-02-18 2022-04-12 东台市海鹏船舶配件有限公司 一种移动锁定式舵承
CN115817754A (zh) * 2022-12-15 2023-03-21 招商局金陵鼎衡船舶(扬州)有限公司 一种下舵承换新方法
CN115817754B (zh) * 2022-12-15 2024-05-31 招商局金陵鼎衡船舶(扬州)有限公司 一种下舵承换新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364A (ko) * 2010-06-15 2011-12-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러더 캐리어 조립체
KR20120067347A (ko) * 2009-09-02 2012-06-25 베커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상부 러더 캐리어 베어링
KR20140064365A (ko) * 2012-11-20 2014-05-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일체형 러더 디스크 & 부시 베어링
KR101964272B1 (ko) 2017-12-28 2019-04-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러더 캐리어
KR20190081407A (ko) * 2017-12-29 2019-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 및 그의 메시지 라우팅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7347A (ko) * 2009-09-02 2012-06-25 베커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상부 러더 캐리어 베어링
KR20110136364A (ko) * 2010-06-15 2011-12-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러더 캐리어 조립체
KR20140064365A (ko) * 2012-11-20 2014-05-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일체형 러더 디스크 & 부시 베어링
KR101964272B1 (ko) 2017-12-28 2019-04-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러더 캐리어
KR20190081407A (ko) * 2017-12-29 2019-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 및 그의 메시지 라우팅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98517A (zh) * 2020-11-09 2021-02-02 无锡鸿海龙船机有限公司 一种新型液压舵柄
CN112298517B (zh) * 2020-11-09 2023-12-29 无锡鸿海龙船机有限公司 一种液压舵柄
CN114207328A (zh) * 2021-11-15 2022-03-18 无锡市东舟船舶设备股份有限公司 舵密封结构及船舵
CN114313197A (zh) * 2022-02-18 2022-04-12 东台市海鹏船舶配件有限公司 一种移动锁定式舵承
CN114313197B (zh) * 2022-02-18 2024-01-12 东台市海鹏船舶配件有限公司 一种移动锁定式舵承
CN115817754A (zh) * 2022-12-15 2023-03-21 招商局金陵鼎衡船舶(扬州)有限公司 一种下舵承换新方法
CN115817754B (zh) * 2022-12-15 2024-05-31 招商局金陵鼎衡船舶(扬州)有限公司 一种下舵承换新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4138B1 (ko) 선박용 러더 캐리어
CA2695267C (en) Pressure balanced shaft seal assembly
KR100485414B1 (ko) 베어링 마모 지시기가 있는 로터리 펌프
CN109312777B (zh) 包括分段活动部分的海洋运载工具的驱动单元轴承的环
EP3060468B1 (en) Guide for retractable thruster
JPH026384B2 (ko)
US4413830A (en) Seal assembly for rotating shafts
KR101743584B1 (ko) 러더 캐리어 조립체
US8979093B2 (en) Pressure balanced shaft seal assembly
JP4302349B2 (ja) スイベル装置
JP2016052884A (ja) 船舶内のシール装置
CN105083514A (zh) 用于推进单元的冷却装置
KR102004202B1 (ko) 러더 디스크와 부시 베어링의 일체형 구조
US20150183501A1 (en) Boat drive
RU2648484C1 (ru) Конструкция поворотного уплотнения для двигательного блока
US3443747A (en) Fluid coupling for continuous flow centrifuge
CA2884141A1 (en) Rolling bearing, and rotary device with rolling bearing
US20080236408A1 (en) Churn for processing food products
US20070164624A1 (en) Positioning ring structure for motor
CN210738638U (zh) 润滑油引导装置及发动机
JP2018179080A (ja) 軸封装置、回転機械、および軸封装置のメンテナンス方法
AU2018368622A1 (en) Submarine vehicle comprising a propulsion chain, and associated method
KR101673922B1 (ko) 정밀 베어링 클리어런스용 스페이서부를 구비한 에어베어링 스핀들
US11085458B1 (en) Low profile overhead bearing assembly for pump bearing assembly
US11585379B2 (en) Bearing with removable sealing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