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937B1 - 무정형 신축이 가능한 감압센서 시트 - Google Patents

무정형 신축이 가능한 감압센서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937B1
KR102153937B1 KR1020200013238A KR20200013238A KR102153937B1 KR 102153937 B1 KR102153937 B1 KR 102153937B1 KR 1020200013238 A KR1020200013238 A KR 1020200013238A KR 20200013238 A KR20200013238 A KR 20200013238A KR 102153937 B1 KR102153937 B1 KR 102153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flexible substrate
sensitive
signal line
pressure re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천
김준태
조우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폴리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폴리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폴리웍스
Priority to KR1020200013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9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05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distributed sensing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r inductance of electrical elements, e.g. by measuring variations of frequency of electrical oscill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압센서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의 방향으로 3차원 무정형 신축이 가능한 감압센서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복수의 감압센서(190); 복수의 감압센서(190)의 일면에 접하는 상부유연기판(130a); 및 복수의 감압센서(190)의 타면에 접하는 하부유연기판(130b);으로 구성되고, 상부유연기판(130a)은, 감압센서(190)와 접하는 상부감압부(150a); 및 상부감압부(150a)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직선부(167)와 곡률부(165)로 구성된 제 1 신호선(160);을 포함하고, 하부유연기판(130b)은, 감압센서(190)와 접하는 하부감압부(150b); 및 하부감압부(150b)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직선부(167)와 곡률부(165)로 구성된 제 2 신호선(180);을 포함하여, 제 1 신호선(160)과 제 2 신호선(180)의 굽힘 유연성 및 신축 유연성으로 인해 무정형 신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형 신축이 가능한 감압센서 시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무정형 신축이 가능한 감압센서 시트{Amorphous stretchable strain sensor sheet}
본 발명은 감압센서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의 방향으로 3차원 무정형 신축이 가능한 감압센서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압센서(또는 압력센서)는 가해지는 압력이나 힘의 정도에 비례하여 전기적 신호(예 : 전압, 저항)를 출력한다. 이러한 감압센서를 행렬 형태로 복수개 배치하는 경우 가해지는 힘의 분포, 집중도 등을 검출할 수 있다.
도 14는 종래의 감압센서 시트의 사시 사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감압센서 시트는 유연한 시트 상에 감압센서를 행렬 형태로 배치하고, 각각을 패턴 배선함으로써 신호를 검출하였다.
이러한 감압센서 시트는 의료용 침대, 매트, 방석, 홈케어 제품 등에 설치되어 체중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 분포를 검출하였다. 또한 산업용으로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로봇, 자동차 분야 등에서 균일한 하중이 인가되는지 또는 응력 집중이 어디 어떻게 발생하는지 여부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그 밖의 산업분야에서도 3차원 형상을 가진 대상체에 대한 압력분포를 검출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도 14와 같은 종래의 감압센서 시트는 타공면이 없고, 1축 방향으로의 굽힘만이 용이했다. 따라서, 원통형상으로 구부려 사용할 수는 있었다. 만약 2축(예 : X-Y축) 이상으로 감압센서 시트를 구부리는 경우 구부리기 어려웠고 들뜸 현상이 발생하거나 주름이 발생하였고, 억지로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곡률 반경이 매우 커서 육안으로 굴곡을 확인하기 어려운 위치에 한정되었다.
또한, 감압센서 노드 자체의 측면 신축 현상으로 이어져서 검출되는 신호의 정확도가 저하되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패턴 배선이 쉽게 단선되거나 내구성이 낮아지는 사용상의 문제점도 있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20-0119540 호(감압저항 가변형 압력센서),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17-0060528 호(터치압력 감지 센서),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2060580 호(커스터 마이징이 가능한 자동차 시트용 체압감지 섬유기반 정전용량 압력센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트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임의의 3차원 방향으로 무정형 신축이 가능한 감압센서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유연기판과 하부유연기판을 동일한 형상으로 패턴 설계를 하여 상호 형상맞춤으로 접합할 수 있는 무정형 신축이 가능한 감압센서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복수의 감압센서(190); 복수의 감압센서(190)의 일면에 접하는 상부유연기판(130a); 및 복수의 감압센서(190)의 타면에 접하는 하부유연기판(130b);으로 구성되고, 상부유연기판(130a)은, 감압센서(190)와 접하는 상부감압부(150a); 및 상부감압부(150a)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직선부(167)와 곡률부(165)로 구성된 제 1 신호선(160);을 포함하고, 하부유연기판(130b)은, 감압센서(190)와 접하는 하부감압부(150b); 및 하부감압부(150b)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직선부(167)와 곡률부(165)로 구성된 제 2 신호선(180);을 포함하여, 제 1 신호선(160)과 제 2 신호선(180)의 굽힘 유연성 및 신축 유연성으로 인해 무정형 신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형 신축이 가능한 감압센서 시트가 제공된다.
또한, 복수의 감압센서(190), 상부감압부(150a) 및 하부감압부(150b)는 상호 직각인 두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각각의 감압센서(190), 상부감압부(150a) 및 하부감압부(150b)는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제 1 신호선(160)의 직선부는 상부유연기판(130a)의 가장자리와 45°를 유지하고, 그리고 제 2 신호선(180)의 직선부는 하부유연기판(130b)의 가장자리와 45°를 유지한다.
또한, 직선부(167)와 곡률부(165)는 상호 교호적이면서 연속으로 배치된다.
또한, 신축 유연성은, 직선부(167)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패턴신축방향(164)과, 패턴신축방향(164)에 수직한 스프링신축방향(162) 사이에 있는 방향에 대한 신축 유연성이다.
또한, 제 1 신호선(160)과 제 2 신호선(180)은 상호 적합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제 2 실시예로써,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복수의 감압센서(190); 복수의 감압센서(190)의 일면에 접하는 상부유연기판(230a); 및 복수의 감압센서(190)의 타면에 접하는 하부유연기판(230b);으로 구성되고, 상부유연기판(230a)은, 감압센서(190)와 접하는 상부감압부(250a); 상부감압부(250a)의 양단로부터 각각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부(167)와 곡률부(165); 및 상부감압부(250a)의 양단로부터 각각 분지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부(167)와 곡률부(165);를 포함하고, 하부유연기판(230b)은, 감압센서(190)와 접하는 하부감압부(250b); 및 하부감압부(250b)의 양단로부터 각각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부(167)와 곡률부(165); 및 하부감압부(250b)의 양단로부터 각각 분지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부(167)와 곡률부(165);를 포함하고, 상부유연기판(230a)의 각각 연장된 직선부(167)와 곡률부(165)가 제 1 신호선(260)을 형성하고, 하부유연기판(230b)의 각각 분지 연장된 직선부(167)와 곡률부(165)가 제 2 신호선(280)을 형성하여, 상부유연기판(230a)과 상기 하부유연기판(230b)은 상호 접합시 형상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형 신축이 가능한 감압센서 시트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시트의 두께는 0.05 mm 내지 0.1 mm 범위이고, 감압센서(190)는 직경이 5 mm 내지 15 mm 범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임의의 3차원 형상을 갖는 대상체에 들뜸이나 주름없이 감압센서 시트를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감압센서 시트의 활용범위가 넓고 밀착을 통해 정확한 압력 분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패턴된 신호선의 신축을 이용함으로써 감압센서 노드에 가해지는 전단력이나 측면 인장력을 없앴고 이로 인해 정확한 신호 측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부유연기판과 하부유연기판을 동일한 형상으로 패턴 설계를 하여 상호 형상맞춤으로 접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작비가 절약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정형 신축이 가능한 감압센서 시트(100)의 평면도,
도 2는 도 1중 A-부분의 확대도,
도 3은 도 2중 상부유연기판(130a)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2중 하부유연기판(130b)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3중 상부감압부(150a)와 제 1 신호선(160)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중 제 1 신호선(160)을 도시한 부분 확대평면도,
도 7a는 도 2중 감압부(150) 주변을 도시한 부분 확대평면도,
도 7b는 도 7a중 A-A단면의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정형 신축이 가능한 감압센서 시트(200)의 평면도,
도 9는 도 8중 B-부분의 확대도,
도 10은 도 9중 상부유연기판(230a)을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도 9중 하부유연기판(230b)을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임의의 3차원 형상을 갖는 대상체의 사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대상체에 본 발명에 따른 감압센서 시트가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 14는 종래의 감압센서 시트의 사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제 1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정형 신축이 가능한 감압센서 시트(100)의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압센서 시트(100)는 430 mm×430mm의 크기에 두께는 0.05 mm ~ 0.1 mm범위이다. 0.05 mm 미만의 두께에서는 패턴에 단선이 일어나기 쉽고, 0.1 mm 초과의 두께에서는 신축성이 저하되기 쉽다. 정육면체의 감압센서 시트(100) 내부에는 16×16개의 감압센서(190)가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감압센서 시트(100)는 상부유연기판(130a)과 하부유연기판(130b)을 접합(Bonding)하여 제조된다. 상부단자(110)는 상부유연기판(130a)에서의 배선이 모아지는 입출력 단자이고, 하부단자(120)는 하부유연기판(130b)에서의 배선이 모아지는 입출력 단자이다.
도 2는 도 1중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기판(130)의 둘레에는 복수의 배선(140)이 패터닝된다. 원형의 감압부(150) 내부에는 감압센서(190)가 구비된다.
한쌍의 제 1 신호선(160)이 감압부(150)의 위아래 방향에 각각 패터닝되고, 한쌍의 제 2 신호선(180)이 감압부(150)의 좌우 방향에 각각 패터닝된다. 제 1 신호선(160)은 상부유연기판(130a)에 패터닝되고, 제 2 신호선(180)은 하부유연기판(130b)게 패터닝된다. 이러한 제 1 신호선(160)과 제 2 신호선(180)은 서로 적층되어 있으나 접합되어 있지 않고 떨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도 3은 도 2중 상부유연기판(130a)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배선(140a)은 상부유연기판(130a)의 둘레에 패터닝된다. 복수의 상부감압부(150a)는 열방향(도 3의 세로방향)을 따라 직렬로 연결되고, 행방향(도 3의 가로방향)을 따라 병렬로 연결된다. 상부감압부(150a)는 감압센서(190)가 위치하는 영역이고, 감압센서(190)가 접합되거나 하부감압부(150b)와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제 1 신호선(160)은 이러한 상부감압부(150a)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패터닝, 인쇄, 및 커팅된다. 상부유연기판(103a)에서 둘레, 상부감압부(150a) 및 제 1 신호선(160)을 제외한 영역이 커팅되어 관통공을 형성한다.
도 4는 도 2중 하부유연기판(130b)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배선(140b)은 하부유연기판(130b)의 둘레에 패터닝된다. 복수의 하부감압부(150b)는 열방향(도 4의 세로방향)을 따라 병렬로 연결되고, 행방향(도 4의 가로방향)을 따라 직렬로 연결된다. 제 2 신호선(180)은 이러한 하부감압부(150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패터닝, 인쇄, 및 커팅된다. 하부유연기판(103b)에서 둘레, 하부감압부(150b) 및 제 2 신호선(180)을 제외한 영역이 커팅되어 관통공을 형성한다.
도 5는 도 3중 상부감압부(150a)와 제 1 신호선(160)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에 6은 도 5중 제 1 신호선(160)을 도시한 부분 확대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감압부(150a)의 일측면에서 연장된 제 1 신호선(160)은 곡률부(165)와 직선부(167)가 반복되면서 구불구불한 배선을 형성한다. 직선부(167)의 폭은 약 2 mm이고, 직선부(167)의 길이는 8 mm ~ 10 mm이다. 그리고, 직선부(167)와 직선부(167) 사이의 간격은 1 mm ~ 1.5 mm 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6회의 곡률부(165)와 7회의 직선부(167)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이를 통해 동일면적 대비 최대의 신축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부감압부(150a)의 타측면에서 연장된 제 1 신호선(160)은 곡률부(165)와 직선부(167)가 반복되면서 동일한 형태의 구불구불한 배선을 형성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감압부(150a)의 상하에는 동일하게 구부러진 형상의 제 1 신호선(160)이 패터닝되어 있다. 상부감압부(150a)의 상하에 각각 위치한 제 1 신호선(160)은 스프링신축방향(162)(도 5의 가로방향)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고, 패턴신축방향(164)(도 5의 세로방향)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아울러, 스프링신축방향(162)과 패턴신축방향(164) 사이의 임의의 축선방향을 따라 신축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신호선(160)은 스프링신축방향(162)을 중심축선으로 하여 구부러질 수 있으며, 패턴신축방향(164)을 중심축선으로 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아울러, 스프링신축방향(162)과 패턴신축방향(164) 사이의 임의의 축선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구부러질 수도 있다.
이러한 임의방향의 신축과 임의 방향 중심의 구부러짐을 통해 무정형 구조(예 : 일정한 규칙이 없는 3차원 곡면 형상)에 밀착될 수 있다.
도 7a는 도 2중 감압부(150) 주변을 도시한 부분 확대평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중 A-A단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신호선(160)의 직선부는 사각형인 상부유연기판(130a)의 가장자리와 45°를 유지하고, 그리고 제 2 신호선(180)의 직선부도 사각형인 하부유연기판(130b)의 가장자리와 45°를 유지한다. 이로 인해 전극의 분기가 용이하며 연식 구조와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감압센서(190)는 상부감압부(150a)와 하부감압부(150b) 사이에 삽입되며, 위치 고정을 위해 접합되거나 상부감압부(150a)와 하부감압부(150b) 둘레를 접합할 수 있다. 감압센서(190)는 직경이 5 mm 내지 15 mm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10 mm이다.
도 12는 임의의 3차원 형상을 갖는 대상체의 사시 사진이다. 도 12는 의료분야에서 재활 환자의 체중분포와 중심을 측정하기 위한 좌식 쿠션이다. 그리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대상체에 본 발명에 따른 감압센서 시트가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응용 사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상에서 심하게 굴곡진 좌식 쿠션이더라도 감압센서 시트가 형상을 따라 잘 올려질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13과 같이 감암센서 시트를 올린 후 형상맞춤되는 보호커버를 씌워 감압센서 시트의 위치를 고정한다.
이때, 제 1 신호선(160)과 제 2 신호선(180)이 독립적으로 신축하거나 굽혀진다. 반면, 감압센서(190)에는 측면 인장이나 전단력 없이 수직한 방향의 압력만이 인가된다. 이를 통해 정확한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환자가 쿠션 시트 위에 앉게 되면 16×16개의 감압센서(190)로부터 신호가 나오게 된다. 이러한 신호를 개별적으로 처리하면 쿠션중 어느 위치에 높은 압력이 걸리는지, 그 압력은 어느 정도인지, 무게중심은 어디인지, 그리고 압력의 분포 곡선 등을 그래픽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정형 신축이 가능한 감압센서 시트(200)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중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제 1, 2 신호선(260, 280)의 형상과 패턴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제 1 실시예에 동일하다.
도 10은 도 9중 상부유연기판(230a)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불구불한 패턴은 상부감압부(250a)를 중심으로 그 양단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부감압부(250a)의 상하방향에 위치한다. 그리고, 동일한 형상인 또 다른 구불구불한 패턴이 상부감압부(250a)를 중심으로 그 양단로부터 각각 분지 연장되어 상부감압부(250a)의 좌우방향에 위치한다. 각각의 구불구불한 패턴은 4개의 곡률부(165)와 5개의 직선부(167)로 이루어져 있다.
도 11은 도 9중 하부유연기판(230b)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불구불한 패턴은 하부감압부(250b)를 중심으로 그 양단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하부감압부(250b)의 상하방향에 위치한다. 그리고, 동일한 형상인 또 다른 구불구불한 패턴이 하부감압부(250b)를 중심으로 그 양단로부터 각각 분지 연장되어 하부감압부(250b)의 좌우방향에 위치한다. 각각의 구불구불한 패턴은 4개의 곡률부(165)와 5개의 직선부(167)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유연기판(230a)과 하부유연기판(230b)은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되며, 상호 형상맞춤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로 다른 배선이 인쇄된 상부유연기판(230a)과 하부유연기판(230b)을 제작한다. 그 다음, 상부유연기판(230a)과 하부유연기판(230b)을 본딩하여 접합한 뒤, 패턴을 따라 커팅한다. 이는 커팅전 접합이므로 접합 공정도 불량없이 용이하고, 하나의 커팅 금형만이 필요하므로 경제성과 신속성이 있다.
단, 상부유연기판(230a)의 각각 연장된 직선부(167)와 곡률부(165)가 제 1 신호선(260)을 형성하고, 하부유연기판(230b)의 각각 분지 연장된 직선부(167)와 곡률부(165)가 제 2 신호선(280)을 형성하는 배선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즉, 배선을 인쇄하는 공정에서 회로에 따른 설계의 차이가 있다.
제 2 실시예의 동작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변형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서는 정사각형의 시트를 개시하였으나 삼각형,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기타 다각형이나 스트립 등 다양한 형상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16×16개의 감압센서는 그 갯수와 간격 및 크기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0, 200 : 감압센서 시트,
110, 210 : 상부단자,
120, 220 : 하부단자,
130, 230 : 유연기판,
130a, 230a : 상부유연기판,
130b, 230b : 하부유연기판,
140, 240 : 배선,
140a, 240a : 상부배선,
140b, 240b : 하부배선,
150, 250 : 감압부,
150a, 250a : 상부감압부,
150b, 250b : 하부감압부,
160, 260 : 제 1 신호선,
162 : 스프링신축방향,
164 : 패턴신축방향,
165 : 곡률부,
167 : 직선부,
180, 280 : 제 2 신호선,
190 : 감압센서.

Claims (10)

  1.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복수의 감압센서(190);
    상기 복수의 감압센서(190)의 일면에 접하는 상부유연기판(130a); 및
    상기 복수의 감압센서(190)의 타면에 접하는 하부유연기판(130b);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유연기판(130a)은,
    상기 감압센서(190)와 접하는 상부감압부(150a); 및
    상기 상부감압부(150a)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직선부(167)와 곡률부(165)로 구성된 제 1 신호선(160);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유연기판(130b)은,
    상기 감압센서(190)와 접하는 하부감압부(150b); 및
    상기 하부감압부(150b)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직선부(167)와 곡률부(165)로 구성된 제 2 신호선(180);을 포함하여,
    상기 제 1 신호선(160)과 상기 제 2 신호선(180)의 굽힘 유연성 및 신축 유연성으로 인해 무정형 신축이 가능하며,
    상기 제 1 신호선(160)의 직선부는 상기 상부유연기판(130a)의 가장자리와 45°를 유지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신호선(180)의 직선부는 상기 하부유연기판(130b)의 가장자리와 45°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형 신축이 가능한 감압센서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압센서(190), 상기 상부감압부(150a) 및 상기 하부감압부(150b)는 상호 직각인 2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형 신축이 가능한 감압센서 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감압센서(190), 상기 상부감압부(150a) 및 상기 하부감압부(150b)는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형 신축이 가능한 감압센서 시트.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167)와 상기 곡률부(165)는 상호 교호적이면서 연속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형 신축이 가능한 감압센서 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유연성은,
    상기 직선부(167)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패턴신축방향(164)과 ,
    상기 패턴신축방향(164)에 수직한 스프링신축방향(162) 사이에 있는 방향에 대한 신축 유연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형 신축이 가능한 감압센서 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선(160)과 상기 제 2 신호선(180)은 상호 적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형 신축이 가능한 감압센서 시트.
  8.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복수의 감압센서(190);
    상기 복수의 감압센서(190)의 일면에 접하는 상부유연기판(230a); 및
    상기 복수의 감압센서(190)의 타면에 접하는 하부유연기판(230b);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유연기판(230a)은,
    상기 감압센서(190)와 접하는 상부감압부(250a);
    상기 상부감압부(250a)의 양단로부터 각각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부(167)와 곡률부(165); 및
    상기 상부감압부(250a)의 양단로부터 각각 분지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부(167)와 곡률부(165);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유연기판(230b)은,
    상기 감압센서(190)와 접하는 하부감압부(250b);
    상기 하부감압부(250b)의 양단로부터 각각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부(167)와 곡률부(165); 및
    상기 하부감압부(250b)의 양단로부터 각각 분지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부(167)와 곡률부(165);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유연기판(230a)의 각각 연장된 직선부(167)와 곡률부(165)가 제 1 신호선(260)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유연기판(230b)의 각각 분지 연장된 직선부(167)와 곡률부(165)가 제 2 신호선(280)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유연기판(230a)과 상기 하부유연기판(230b)은 상호 접합시 형상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형 신축이 가능한 감압센서 시트.
  9.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두께는 0.05 mm 내지 0.1 m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형 신축이 가능한 감압센서 시트.
  10.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센서(190)는 직경이 5 mm 내지 15 m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형 신축이 가능한 감압센서 시트.
KR1020200013238A 2020-02-04 2020-02-04 무정형 신축이 가능한 감압센서 시트 KR102153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238A KR102153937B1 (ko) 2020-02-04 2020-02-04 무정형 신축이 가능한 감압센서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238A KR102153937B1 (ko) 2020-02-04 2020-02-04 무정형 신축이 가능한 감압센서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937B1 true KR102153937B1 (ko) 2020-09-10

Family

ID=72450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238A KR102153937B1 (ko) 2020-02-04 2020-02-04 무정형 신축이 가능한 감압센서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93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9540Y1 (ko) 1994-06-13 1998-07-01 이상영 감압저항 가변형 압력센서
US6743982B2 (en) * 2000-11-29 2004-06-01 Xerox Corporation Stretchable interconnects using stress gradient films
JP2007517216A (ja) * 2003-12-30 2007-06-28 テクスカ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センサ
KR100812318B1 (ko) * 2007-03-19 2008-03-1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곡면 부착형 촉각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JP2015114308A (ja) * 2013-12-16 2015-06-22 株式会社トライフォース・マネジメント 触覚センサ
KR101738256B1 (ko) * 2015-09-09 2017-05-2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촉각 센서
KR20170060528A (ko) 2015-11-24 2017-06-01 주식회사 아모센스 터치압력 감지 센서
US10334724B2 (en) * 2013-05-14 2019-06-25 Mc10, Inc. Conformal electronics including nested serpentine interconnects
KR102060580B1 (ko) 2018-08-23 2019-12-30 한국패션산업연구원 커스터 마이징이 가능한 자동차 시트용 체압감지 섬유기반 정전용량 압력센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9540Y1 (ko) 1994-06-13 1998-07-01 이상영 감압저항 가변형 압력센서
US6743982B2 (en) * 2000-11-29 2004-06-01 Xerox Corporation Stretchable interconnects using stress gradient films
JP2007517216A (ja) * 2003-12-30 2007-06-28 テクスカ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センサ
KR100812318B1 (ko) * 2007-03-19 2008-03-1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곡면 부착형 촉각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US10334724B2 (en) * 2013-05-14 2019-06-25 Mc10, Inc. Conformal electronics including nested serpentine interconnects
JP2015114308A (ja) * 2013-12-16 2015-06-22 株式会社トライフォース・マネジメント 触覚センサ
KR101738256B1 (ko) * 2015-09-09 2017-05-2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촉각 센서
KR20170060528A (ko) 2015-11-24 2017-06-01 주식회사 아모센스 터치압력 감지 센서
KR102060580B1 (ko) 2018-08-23 2019-12-30 한국패션산업연구원 커스터 마이징이 가능한 자동차 시트용 체압감지 섬유기반 정전용량 압력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966B1 (ko) 플렉서블 촉각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40326B1 (ko) 센서시트
JP5867688B2 (ja) 触覚センサ及び多軸触覚センサ
JP5519068B1 (ja) 触覚センサ
JP5646642B2 (ja) 座席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着座センサの配置方法
JP6979806B2 (ja) 伸縮性力センサ
KR101121943B1 (ko) 전자 결합을 사용하는 압력 검출 장치
KR102086417B1 (ko) 픽셀형 압력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
CN101622518A (zh) 可穿戴织物中的剪切力和压力测量
WO2014058806A1 (en) Improved pliable pressure-sensing fabric
CN106249969B (zh) 感测装置
KR101542971B1 (ko) 압저항 센서
WO2007083453A1 (ja) 電磁結合を利用する圧力分布検出装置
CN114705330B (zh) 一种用于人体压力分布测量的压力敏感结构
KR102153937B1 (ko) 무정형 신축이 가능한 감압센서 시트
JP6939885B2 (ja) ひずみセンサとその製造方法
CN102538831A (zh) 接触检测传感器、驱动装置及看护用床
JP2022111489A (ja) 3軸力センサ
KR101990196B1 (ko) 스트레인 및 압력 동시측정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8013339A (ja) ひずみセンサ、クラック検出用センサ及びクラック検出装置
JP4595267B2 (ja) 感圧スイッチ
CN110202595B (zh) 双层稀疏阵列结构的人工皮肤传感器
JP4846375B2 (ja) センサシート
JP7467828B2 (ja) 歪センサユニット及び伸長量測定部材
JPS5935788Y2 (ja) 圧力分布の検知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