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487B1 - Smart traffic safety mirror - Google Patents

Smart traffic safety mirr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487B1
KR102153487B1 KR1020190147647A KR20190147647A KR102153487B1 KR 102153487 B1 KR102153487 B1 KR 102153487B1 KR 1020190147647 A KR1020190147647 A KR 1020190147647A KR 20190147647 A KR20190147647 A KR 20190147647A KR 102153487 B1 KR102153487 B1 KR 102153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pproaching
reflector
light emitting
road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6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유석
오주삼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47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48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4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smart road reflector. A foldable reflector includes a first reflector and a second reflector so as to identify vehicles coming in directions different from each other, respectively. A vehicle approach display part displays approaches of the vehicles by us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A control device can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s approach by using a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a sensing device sensing the approaching vehicles and control the vehicle approach display part so as to display the approaches of the vehicles when determined that the vehicles are approaching.

Description

스마트 도로 반사경{Smart traffic safety mirror}Smart traffic safety mirror

본 발명은 스마트 도로 반사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각지대의 장애물 접근을 능동적으로 인지 및 안내할 수 있는 스마트 도로 반사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road refl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road reflector capable of actively recognizing and guiding an obstacle approach in a blind spot.

일반적인 도로 반사경은 도로, 통로의 사각 지점에 볼록 거울을 설치하여 사각지대로 진입하는 차량이나 보행자를 반대편에서 주행 중인 운전자가 보행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반사거울을 의미한다.A general road reflector refers to a reflective mirror that installs a convex mirror at a blind spot of a road or a passage so that a driver who is driving from the opposite side of a vehicle or pedestrian entering the blind spot can identify the pedestrian.

기존의 도로 반사경은 사각지대로 진입하는 차량이나 보행자를 보여주므로, 운전자는 운전자의 시야에 의해서 장애물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며, 따라서, 도로 반사경이 별도로 차량 접근여부를 검지하는 기능은 제공하지 못 하고 있다.Since the existing road reflector shows vehicles or pedestrians entering the blind spot, the driver judges whether an obstacle is approaching based on the driver's field of view, and therefore, the road reflector does not provide a function to detect vehicle access separately. have.

따라서, 반사경을 이용하는 운전자의 시력이 나쁘거나 날씨와 같은 주변 환경에 의해 장애물 인지가 늦어질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Therefore, it is common for a driver who uses a reflector to have poor vision or delay recognition of obstacles due to surrounding environments such as weather.

또한, 큰 시야 각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설치한 볼록거울이 운전자의 장애물 위치 파악에 혼란을 초래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볼록거울 상의 물체가 자신의 차량인지 또는 사각지대로 접근 중인 차량인지 순간적으로 착각을 일으키는 경우가 발생한다.In addition, the convex mirror installed to secure a large viewing angle may cause confusion in the driver's grasp of the position of an obstacle. For example, there is a case of instantaneous misunderstanding whether an object on a convex mirror is your vehicle or a vehicle approaching a blind spot.

따라서, 도로 반사경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에 대한 인식을 운전자 또는 보행자가 주관적으로 판단할 뿐, 도로 반사경이 능동적으로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 하는 실정이다. Accordingly, the driver or pedestrian subjectively judges the perception of the image generated by the road reflector, and the road reflector cannot actively provide information on the obstacle.

국내 등록특허 10-1495709호(2015.02.16. 등록)Domestic Patent Registration No. 10-1495709 (registered on February 16, 2015)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수동적인 도로 반사경을 대신하여 시각지대의 장애물 접근을 능동적으로 인지하고,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능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도로 반사경을 제시하는 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rt road reflector capable of actively recognizing the approach of an obstacle in the visual zone and activel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obstacle in place of the existing passive road reflector. To present.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도로 반사경은, 각각 서로 다른 방향에서 오는 차량을 확인하도록 제1반사경과 제2반사경을 포함하는 접이식 반사경; 다수의 발광소자들을 이용하여 차량이 접근 중임을 표시하는 차량 접근 표시부; 및 상기 접근 중인 차량을 센싱하는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이 접근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이 접근 중임을 표시하도록 상기 차량 접근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road reflector includes: a folding reflector including a first reflector and a second reflector to identify vehicles coming from different directions; A vehicle access display unit for indicating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us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And a control for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approaching using a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a sensing device for sensing the approaching vehicle, and controlling the vehicle access display unit to indicate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Device; includes.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접근 중인 차량과의 거리, 대형차량 여부 및 차량의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접근 위험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접근 위험도에 따라 상기 차량 접근 표시부의 표시 상태를 조정한다.The control device calculates the access risk of the vehicle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a distance from the approaching vehicle, a large vehicle, and a moving speed of the vehicle, and a display state of the vehicle access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calculated access risk Adjust.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산출된 접근 위험도 별로 사전에 설정된 발광소자들의 점멸 속도와 발광 색상 조합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 접근 표시부의 표시 상태를 조정한다.The control device adjusts the display state of the vehicle approach display unit by using a combination of flashing speeds and light emission colors of light emitting devices set in advance for each of the calculated access risk levels.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들은 상기 접이식 반사경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차량이 접근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반사경과 제2반사경 중 상기 접근 중인 차량을 보여주는 반사경의 외곽에 구비된 발광소자들에 상기 차량이 접근 중임을 표시하도록 처리한다.The plurality of light-emitting elements are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oldable reflector, and the control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is loca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flector showing the approaching vehicle among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The light emitting devices are processed to indicate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들은 상기 제1반사경과 제2반사경의 표면에 부착되어 차량이 접근 중임을 문자 및 기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차량이 접근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반사경과 제2반사경 중 상기 접근 중인 차량을 보여주는 반사경의 표면에 부착된 발광소자들이 발광하도록 처리한다.The plurality of light-emitting elements are attached to th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to indicate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letters and symbols, and the control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Among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light-emitting element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reflecting mirror showing the approaching vehicle are processed to emit light.

상기 차량 접근 표시부는, 상기 접이식 반사경의 좌측과 우측에 날개 형태로 구비되어, 차량이 접근 중임을 발광소자들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표시패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차량이 접근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반사경과 제2반사경 중 상기 접근 중인 차량을 보여주는 반사경에 구비된 표시패널에 상기 차량이 접근 중임을 표시하도록 처리한다.The vehicle access display unit includes display panels provided in the form of wing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oldable reflector to indicate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using light emitting elements, and the control device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Then, processing is performed to display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on a display panel provided in a reflector showing the approaching vehicle among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상기 접이식 반사경의 뒷면에 구비되어 사각지대에 따라 상기 제1반사경과 제2반사경의 상하좌우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한다.It further includes an angle adjusting devic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olding reflector to adjust the vertical, left and right angles of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according to the blind spot.

상기 제1반사경과 제2반경은, 상기 접이식 반사경의 가운데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심선을 중심으로 물리적으로 분할되고, 상기 각도 조절 장치에 의해 상하좌우 각도가 각각 조절된다.The first reflector and the second radius are physically divided around a center lin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foldable reflector, and vertical, left, and right angles are respectively adjusted by the angle adjusting devic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도로 반사경은, 각각 서로 다른 방향에서 오는 차량을 확인하도록 제1반사경과 제2반사경을 포함하는 접이식 반사경; 상기 제1반사경과 제2반사경에 구비되는 다수의 발광소자들을 이용하여 차량이 접근 중임을 표시하는 차량 접근 표시부; 및 상기 접이식 반사경의 뒷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반사경과 제2반사경의 상하좌우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road reflector includes: a folding reflector including a first reflector and a second reflector to identify vehicles coming from different directions; A vehicle access display unit displaying that a vehicle is approaching us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And an angle adjusting devic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olding reflector to adjust the vertical, left and right angles of the first reflector and the second reflector.

상기 제1반사경과 제2반경은, 상기 접이식 반사경의 가운데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심선을 중심으로 물리적으로 분할되고, 상기 각도 조절 장치에 의해 상하좌우 각도가 각각 조절된다. The first reflector and the second radius are physically divided around a center lin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foldable reflector, and vertical, left and right angles are respectively adjusted by the angle adjusting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 반사경을 이분할하여 각 반사경 별로 차량과 같은 장애물이 발생할 수 있는 도로를 비추도록 할당하고, 다른 방향에서 접근 중인 장애물의 위험도에 따라 이분할된 반사경의 발광 상태를 조정함으로써 운전자 또는 보행자가 장애물의 접근 여부를 인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위험도를 직관적으로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ad reflector is divided into two, and each reflector is allocated to illuminate the road where obstacles such as vehicles may occur, and the light emission state of the divided reflector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risk of obstacles approaching from different directions.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allow pedestrians to intuitively recognize the degree of danger as well as whether or not an obstacle is approach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각 지대가 있는 교차로의 모퉁이, 보도와 차도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은 이면 도로, 골목길, 급커브길 등 다양한 도로에 스마트 도로 반사경을 적용함으로써 도로 교통 안전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ect of road traffic safety by applying a smart road reflector to various roads such as corners of intersections with blind spots, roads on the back side where sidewalks and roadways are not clearly separated, alleyways, and sharp curves. .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상상황 파악 절차를 지능형 CCTV영상 분석과 보조 센서(소음, 비상벨 등) 등으로 이중화시킴으로써 장애물 접근의 오판정, 오정보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problems such as erroneous judgment and erroneous information of approaching obstacles by dualizing the emergency situation identification procedure with intelligent CCTV image analysis and auxiliary sensors (noise, emergency bell, etc.).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스마트 도로 반사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스마트 도로 반사경이 교차로에 설치된 경우의 예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스마트 도로 반사경을 도시한 블록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도로 반사경의 정면과 후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제1 및 제2좌우 각도조절장치들의 예시도,
도 7a, 도 7b, 도 7c는 발광소자들이 접이식 반사경의 외곽에 구비된 경우, 스마트 도로 반사경의 정면도, 배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제3 및 제4발광소자들이 접이식 반사경의 표면에 더 구비된 경우, 스마트 도로 반사경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10a, 도 10b, 도 10c 및 도 11은 제5 및 제6발광소자들이 접이식 반사경의 측면에 구비된 경우, 스마트 도로 반사경의 정면도, 배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2는 발광소자들의 색상 구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smart road ref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view when the first smart road reflector shown in FIG. 1 is installed at an intersec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smart road reflector shown in FIG. 1;
4 and 5 are views show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a folding road ref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of first and second left and right angle adjustment devices,
7A, 7B, and 7C are views showing a front view, a rear view, and a plan view of a smart road reflector when light emitting elements ar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folding reflector.
8 and 9 are diagrams showing a front view of a smart road reflector when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devices are further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foldable reflector;
10A, 10B, 10C, and 11 are views showing a front view, a rear view, and a plan view of the smart road reflector when the fifth and sixth light emitting devices ar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oldable reflector, and,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lor configuration of light emitting devices.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The above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rela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이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 명시적인 언급이 없더라도, 그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은 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 또는 동작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예를 들면, 메모리, CPU 등)나 다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운영체제나 하드웨어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드라이버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component, device, or system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 program or a component made of software, the element, component, device, or system is the program or software, even if there is no explicit m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as including hardware (e.g., memory, CPU, etc.) or other programs or software (e.g., a driver required to drive an operating system or hardware) required to execute or operate.

또한,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or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hardware, or any form of software and hardware,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implementation of any element (or component).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pecific technical content to be implem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some cases, it is mentioned in advance that parts that are commonly known in describing the invention and are not largely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avoid confus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without any reason.

도 3에 도시된 스마트 도로 반사경(100)의 각각의 구성은 기능 및/또는 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반드시 각각의 구성이 별도의 물리적 장치로 구분되거나 별도의 코드로 작성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Each configuration of the smart road reflector 100 shown in FIG. 3 indicates that it may be functionally and/or logically separated, meaning that each configuration is separated into a separate physical device or written in a separate code. It may be easily inferred by the average expert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도로 반사경(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도로 반사경(100)이 교차로에 설치된 경우의 예시도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mart road reflec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emplary view when the smart road reflector 100 shown in FIG. 1 is installed at an intersec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도로 반사경(100)은 지주(10)에 구비되며, 도로의 교차로, 이면 도로, 급커브길 등 사각지대가 발생하여 다른 방향에서 접근 중인 차량을 사용자가 쉽게 인지하기 어려운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1 and 2, the smart road reflec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post 10, and blind spots such as road intersections, rear roads, and sharp curves occur in different directions. It may be installed in a place wher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easily recognize the vehicle being approached.

스마트 도로 반사경(100)은 다른 방향에서 접근 중인 차량을 센싱하는 센싱 장치(500)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사각지대에 존재하는 장애물의 접근을 인지하고, 장애물에 의해 발생하는 위험도를 다른 방향에 위치하는 사용자(또는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The smart road reflector 100 recognizes the approach of an obstacle existing in the blind spot based on a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ing device 500 that senses a vehicle approaching from a different direction, and determines the risk caused by the obstacle in another direction. It can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or driver) located at can recognize it.

센싱 장치(500)는 지주(10)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카메라들(510, 520), 도로 노면에 매설되는 루프(Loop) 센서들(미도시), 마그네틱 센서들(미도시), 차량의 바퀴 접촉을 통하여 차량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피에조 센서들(미도시),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들(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차량의 존재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도 1에는 센싱 장치(500)의 일 예로서 제1 및 제2카메라들(510, 520)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ensing device 500 includes first and second cameras 510 and 520 provided in the post 10, loop sensors (not shown) buried in the road surface, magnetic sensors (not shown), The presence of a vehicle may be sensed using at least one of piezo sensors (not shown) and microwave sensors (not shown) that check whether the vehicle exists through contact with the vehicle's wheels. 1 illustrates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510 and 520 as an example of the sensing device 5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2의 경우, P와 Q는 도로, A와 B는 각각 도로 P와 Q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주행 중인 차량, 장애물(T)은 차량 A와 차량 B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는 객체로서, 숲, 간판, 건물 등 다양하며, 점선으로 표시된 R과 S는 사전에 관리자에 의해 지정되는 제1 및 제2정지선으로서, 각 도로 P와 R이 교차되는 끝지점에 지정되어 있다. 제1 및 제2정지선들(R, S)의 위치는 센싱 장치(500)가 구비되는 위치에 따라 변경가능하며, 후술할 이격 거리 산출 시 기준이 된다. In the case of FIG. 2, P and Q are roads, A and B are vehicles runnin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s on roads P and Q, respectively, and obstacles T are objects that block the view of the drivers of vehicles A and B. Forest, signboard, Buildings, etc., and R and S indicated by dotted lines are the first and second stop lines designated by the manager in advance, and are designated at the end points where each road P and R intersect.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top lines R and 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sensing device 500 is provided, and become a reference when calculating the separation distance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도 2와 같은 교차로에서 스마트 도로 반사경(100)은 예를 들어, 장애물(T)과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차량 A의 운전자 입장에서 차량 B는 스마트 도로 반사경(100)의 우측(즉, 제1반사경(210))에 b 이미지로 보여지며, 차량 B의 운전자 입장에서 차량 A는 스마트 도로 반사경(100)의 좌측(즉, 제2반사경(220))에 a 이미지로 보여질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intersection as shown in FIG. 2, the smart road reflector 100 is installed at a position diagonally opposite to the obstacle T, and the vehicle B is the smart road reflector 100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river of the vehicle A. The image b is shown on the right side of (that is, the first reflector 210), an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river of the vehicle B, the vehicle A is on the left side of the smart road reflector 100 (that is, the second reflector 220). Can be seen.

센싱 장치로서 제1 및 제2카메라들(510, 520)이 적용된 경우, 제1카메라(510)는 도로 P에 설정된 제1기준선(R)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도록 설치되고, 제2카메라(520)는 도로 Q에 설정된 제2기준선(S)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카메라(510)와 제2카메라(520)는 도로 P와 도로 Q를 각각 촬영하여 동영상을 스마트 도로 반사경(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510 and 520 are applied as a sensing device, the first camera 510 is installed to photograph an area including the first reference line R set on the road P, and the second camera ( The 520 may be installed to photograph an area including the second reference line S set on the road Q. The first camera 510 and the second camera 520 may respectively photograph roads P and Q and transmit a video to the smart road reflector 100.

또한, 센싱 장치로서 루프 센서들이 적용된 경우, 루프 센서들(미도시)은 도로에서 차량 접촉이 센싱될 때마다 센싱 신호를 스마트 도로 반사경(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loop sensors are applied as a sensing device, the loop sensors (not shown) may transmit a sensing signal to the smart road reflector 100 whenever vehicle contact is sensed on the road.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도로 반사경(100)을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smart road reflector 100 shown in FIG. 1.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도로 반사경(100)은 접이식 도로 반사경(200), 차량 접근 표시부(300) 및 제어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smart road reflector 100 may include a folding road reflector 200, a vehicle access display unit 300, and a control device 400.

접이식 도로 반사경(200)은 각각 서로 다른 방향에서 오는 차량을 확인하도록 제1반사경(210)과 제2반사경(220)을 포함한다. '다른 방향'은 운전자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이 주행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주행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경우, 차량 A를 기준으로, 도로 R을 주행 중인 차량 B가 차량 A와는 다른 방향에서 접근 중이라고 할 수 있다.The folding road reflector 200 includes a first reflector 210 and a second reflector 220 to identify vehicles coming from different directions, respectively. The'other direction' may include other driving directions other than this driving direction based o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driver. In the case of FIG. 2, based on the vehicle A, it may be said that the vehicle B driving on the road R is approaching from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vehicle A.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도로 반사경(200)의 정면과 후면을 자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4 and 5 are views showing in detail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oldable road reflect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접이식 도로 반사경(200)은 제1반사경(210), 제2반사경(220), 중심선(230), 제1후면 패널(240), 제2후면 패널(245), 경첩(250), 제1좌우 각도조절장치(260), 제2좌우 각도조절장치(265), 상하 각도조절장치(270), 중심축(280), 제1덮개(290) 및 제2덮개(295)를 포함할 수 있다.4 and 5, the folding road reflector 200 includes a first reflector 210, a second reflector 220, a center line 230, a first rear panel 240, and a second rear panel 245. , Hinge 250, a first left and right angle adjusting device 260, a second left and right angle adjusting device 265, an up and down angle adjusting device 270, a central shaft 280, a first cover 290 and a second cover (295) may be included.

제1반사경(210)과 제2반사경(220)은 접이식 도로 반사경(200)의 가운데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심선(230)을 중심으로 물리적으로 분할되며, 볼록 거울이 사용될 수 있다.The first reflector 210 and the second reflector 220 are physically divided around a center line 230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folding road reflector 200, and a convex mirror may be used.

제1후면 패널(240)과 제2후면 패널(245)도 중심선(230)을 중심으로 물리적으로 분할된다. 제1반사경(210)과 제1후면 패널(240)은 하나의 짝을 이루어 함께 움직이고, 제2반사경(220)과 제2후면 패널(245)은 짝을 이루어 함께 움직이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반사경(210)과 제2반사경(220)이 움직이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The first rear panel 240 and the second rear panel 245 are also physically divided around the center line 230. The first reflector 210 and the first rear panel 240 form a pair and move together, and the second reflector 220 and the second rear panel 245 form a pair and move together. For this, it may be described that the first reflector 210 and the second reflector 220 move.

제1반사경(210)과 제2반사경(220)은 각도 조절 장치들(260, 265, 270)에 의해 상하좌우 각도가 각각 조절될 수 있다. 이로써, 스마트 도로 반사경(100)이 설치되는 주변 환경, 도로 환경(예를 들어, 커브율, 급커브 유무 등), 장애물(나무, 건물 등)의 크기 등에 따라서 제1반사경(210)이 비추어야 할 도로(예를 들어, 도로 P)를 비추면서 이와 동시에 도로(Q)의 운전자가 제1반사경(210)에 비춰진 도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제2반사경(220)에 대해서도 동일하다.The first reflector 210 and the second reflector 220 may have vertical, left and right angles adjusted by angle adjusting devices 260, 265, and 270,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first reflector 210 must be illuminat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which the smart road reflector 100 is installed, the road environment (eg, curve rate, presence of sharp curves, etc.), and the size of obstacles (trees, buildings, etc.). The angle may be adjusted so that the driver of the road Q can visually check the road illuminated by the first reflector 210 while illuminating the road to be performed (eg, road P). This is the same for the second reflector 220.

경첩(250)은 제1후면 패널(240)과 제2후면 패널(245)을 연결한다.The hinge 250 connects the first rear panel 240 and the second rear panel 245.

제1좌우 각도조절장치(260), 제2좌우 각도조절장치(265) 및 상하 각도조절장치(270)는 접이식 도로 반사경(200)의 뒷면에 구비되어 스마트 도로 반사경(100)이 구비되는 도로의 커브의 회전 반경 정도에 따라서 또는 사각지대의 환경에 따라서 제1반사경(210)과 제2반사경(220)의 상하좌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first left and right angle adjusting device 260, the second left and right angle adjusting device 265, and the vertical angle adjusting device 270 ar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folding road reflector 200, and the smart road reflector 100 is provided. The angles of the first reflector 210 and the second reflector 220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curve or the environment of the blind spot.

자세히 설명하면, 제1좌우 각도조절장치(260)는 제1후면 패널(240)과 중심축(280)에 연결되어, 중심축(280)을 기준으로 제1반사경(210)의 각도(또는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1반사경(210)의 각도에 따라서 제1반사경(210)에 비춰지는 영상은 변경된다.In detail, the first left and right angle adjustment device 260 is connected to the first rear panel 240 and the central axis 280, the angle (or inclination) of the first reflector 210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280 ) Can be adjusted. The image projected by the first reflector 21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first reflector 210.

제2좌우 각도조절장치(265)는 제2후면 패널(245)과 중심축(280)에 연결되어, 중심축(280)을 기준으로 제2반사경(220)의 각도(또는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2반사경(220)의 각도에 따라서 제2반사경(220)에 비춰지는 영상은 변경된다.The second left and right angle adjusting device 265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ar panel 245 and the central axis 280, and can adjust the angle (or inclination) of the second reflector 220 based on the central axis 280. have. The image projected by the second reflector 22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second reflector 220.

상하 각도조절장치(270)는 중심축(280)과 지주(10)에 연결되어 제1반사경(210)과 제2반사경(220)의 상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하 각도의 조절에 따라 제1반사경(210)과 제2반사경(220)이 땅을 향하거나 하늘을 향하거나 또는 정면을 향하는 등의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The vertical angle adjustment device 270 is connected to the central axis 280 and the post 10 to adjust the vertical angles of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210 and 220. Directions such as the first reflector 210 and the second reflector 220 facing the ground, the sky, or the front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vertical angle.

도 5에서는 하나의 상하 각도조절장치(270)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후면 패널(240)과 제2후면 패널(245)에 각각의 상하 각도조절장치들(미도시)이 구비되고, 상하 각도조절장치들(미도시)의 일단은 지주(10)에 연결되어 제1반사경(210)과 제2반사경(220)의 상하 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In FIG. 5, one vertical angle adjusting device 270 is show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each of the vertical angle adjusting devices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first rear panel 240 and the second rear panel 245. It is provided, and one end of the vertical angle adjustment devices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post 10 to individually adjust the vertical angles of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210 and 220.

도 6은 제1 및 제2좌우 각도조절장치들(260, 265)의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view of the first and second left and right angle adjustment devices 260 and 265.

도 6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좌우 각도조절장치들(260, 265)은 갈고리 형태 또는 압착판 등의 형태로 제1 및 제2후면 패널들(240, 245)에 고정되고, 스프링 또는 길이조절장치에 의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first and second left and right angle adjusting devices 260 and 265 are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rear panels 240 and 245 in the form of hooks or pressing plates, and The angle can be adjusted by the length adjustment device.

중심축(280)은 중심선(230)을 기준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central axis 280 may be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230.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접근 표시부(300)는 제1 및 제2발광소자들(310, 320)을 이용하여 다른 방향에서 차량이 접근 중임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및 제2발광소자들(310, 320)은 LED(Light-Emitting Diode) 소자를 예로 들 수 있다. 차량 접근 표시부(300)는 발광소자뿐만 아니라 발광소자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모듈일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3, the vehicle access display unit 300 may display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from a different direction using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devices 310 and 320.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devices 310 and 320 may be a light-emitting diode (LED) device. The vehicle access display unit 300 may be a module including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as well as the light emitting device.

도 7a, 도 7b, 도 7c, 도 8 및 도 9는 차량 접근 표시부(300)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A, 7B, 7C, 8, and 9 are diagrams for describ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vehicle access display unit 300.

도 7a, 도 7b, 도 7c는 제1 및 제2발광소자들(310, 320)이 접이식 도로 반사경(200)의 외곽에 구비된 경우, 스마트 도로 반사경(100)의 정면도, 배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7A, 7B, and 7C show a front view, a rear view, and a plan view of the smart road reflector 100 when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devices 310 and 320 are provided outside the foldable road reflector 200 It is a diagram showing.

도 7a, 도 7b, 도 7c를 참조하면, 차량 접근 표시부(300)의 제1 및 제2발광소자들(310, 320)은 접이식 도로 반사경(200)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반사경(210)의 외곽에 구비된 제1발광소자들(310)과 제2반사경(220)의 외곽에 구비된 제2발광소자들(320)은 제1반사경(210)과 제2반사경(220)이 각각 비추는 도로의 상황(즉, 주행 중인 차량의 접근 위험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발광될 수 있으며, 발광의 점멸 속도와 발광색이 변경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A, 7B, and 7C,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devices 310 and 320 of the vehicle access display unit 300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olding road reflector 200. The first light-emitting elements 310 provided outside the first reflector 210 and the second light-emitting elements 320 provided outside the second reflector 220 include a first reflector 210 and a second reflector. The light may be selectively emitted according to the road conditions (ie, the access risk of the vehicle being driven) respectively illuminated by the 220, and the flashing speed and color of the light emission may be changed.

도 8 및 도 9는 제3 및 제4발광소자들(330, 340)이 접이식 도로 반사경(200)의 표면에 더 구비된 경우, 스마트 도로 반사경(100)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8 and 9 are views illustrating a front view of the smart road reflector 100 when the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devices 330 and 340 are further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foldable road reflector 200.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차량 접근 표시부(300)는 제1반사경(210)과 제2반사경(220)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제3 및 제4발광소자들(330, 340)을 더 이용하여 차량이 접근 중임을 문자 및 기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문자 또는 기호의 형태로 표시되는 제3 및 제4발광소자들(330, 340)은 주행 중인 차량의 접근 위험도에 따라 점멸 속도 또는 발광색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방향 모두에서 접근 중인 차량이 없는 경우, 안전한 상태이므로 제3 및 제4발광소자들(330, 340)은 모두 꺼지거나 녹색으로 발광할 수 있다. 8 and 9, the vehicle access display unit 300 further includes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elements 330 and 340 attached to th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210 and 220. Using at least one of a letter and a symbol indicating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may be displayed. The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devices 330 and 340 displayed in the form of letters or symbols may change their flashing speed or light emission color according to an approach risk of a driving vehicle. For example, when there is no vehicle approaching in both directions, since it is in a safe state, all of the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devices 330 and 340 may be turned off or emit green.

도 10a, 도 10b, 도 10c 및 도 11은 제5 및 제6발광소자들(350, 360)이 접이식 도로 반사경(200)의 측면에 구비된 경우, 스마트 도로 반사경(100)의 정면도, 배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10A, 10B, 10C, and 11 are front and rear views of the smart road reflector 100 when the fifth and sixth light emitting devices 350 and 360 ar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olding road reflector 200 It is a diagram showing a diagram and a plan view.

도 10a, 도 10b, 도 10c 및 도 11을 참조하면, 차량 접근 표시부(300)는 차량이 접근 중임을 제5 및 제6발광소자들(350, 360)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제1 및 제2표시패널들(370, 38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표시패널들(370, 380)은 접이식 도로 반사경(200)의 좌측과 우측에 날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5 및 제6발광소자들(350, 360)은 문자 또는 기호를 이용하여 주행 중인 차량의 접근 위험도를 표시할 수 있다.10A, 10B, 10C, and 11, the vehicle approach display unit 300 displays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devices 350 and 360 indicating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Display panels 370 and 380 may be included.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anels 370 and 38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wing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oldable road reflector 200, and the fifth and sixth light emitting devices 350 and 360 are letters or symbols. You can display the access risk of the vehicle being driven by using.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400)는 스마트 도로 반사경(100)이 구비된 도로로 접근 중인 차량 또는 사각지대로부터 접근 중인 차량을 센싱하는 센싱 장치(500)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이 접근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이 접근 중임을 표시하도록 차량 접근 표시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400)는 예를 들어, 제1반사경(210)과 제1후면 패널(240) 사이에 구비되거나, 또는 스마트 도로 반사경(100)이 구비된 도로 인근에 구비될 수도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3, the control device 400 uses a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a sensing device 500 that senses a vehicle approaching a road with a smart road reflector 100 or a vehicle approaching from a blind spot. W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approaching,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the vehicle access display unit 300 may be controlled to indicate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The control device 400 may be provided between, for example, the first reflector 210 and the first rear panel 240, or may be provided near a road where the smart road reflector 100 is provided.

이를 위하여, 제어 장치(4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410), 저장부(420) 및 제어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trol device 4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410, a storage unit 420 and a control unit 430.

통신 인터페이스부(410)는 센싱 장치(500)와 단방향 또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센싱 장치(500)로부터 센싱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430)로 전달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410 may perform one-way or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sensing device 500 and may receive a sensing signal from the sensing device 500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ler 430.

저장부(420)는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 장치(400)가 제공하는 동작, 기능 등을 구현 및/또는 제공하기 위하여, 구성요소들(410~430)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및/또는 소프트웨어 등이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420 may include a volatile memory and/or a nonvolatile memory, and in order to implement and/or provide an operation, function, etc. provided by the control device 400, the components 410 to 430 Related instructions or data, one or more programs and/or software, and the like may be stored.

저장부(42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사각지대로부터 접근 중인 차량의 접근 위험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접근 위험도에 따라 차량 접근 표시부(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 접근 판단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420 may include a vehicle access determination program for calculating an access risk of a vehicle approaching from a blind spot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access display unit 300 according to the calculated access risk. .

또한, 저장부(420)에는 후술할 차량의 접근 위험도에 따라 차량 접근 표시부(300)의 표시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매핑 테이블이 [표 1]과 같이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orage unit 420, a mapping table for controlling the display state of the vehicle access display unit 300 according to the access risk of the vehicle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stored as shown in [Table 1].

차량의 접근 위험도(f)Vehicle approach risk (f) 위험 정도 구분Classification of risk LED 색상LED color 점멸 속도Flashing speed 0.7<f≤10.7<f≤1 고위험High risk 모두 적색All red 고속(3회/초)High speed (3 times/sec) 0.2<f≤0.70.2<f≤0.7 중간위험Medium risk 적색(2/3)+노랑(1/3) 혼합Red (2/3) + yellow (1/3) mixed 중속(2회/초)Medium speed (2 times/sec) 0<f≤0.20<f≤0.2 저위험Low risk 적색(1/3)+노랑(2/3) 혼합Red (1/3) + yellow (2/3) mixed 저속(1회/초)Low speed (1 time/second) 00 안전safety 모두 녹색All green 정지stop

[표 1]에서 예를 들어, 중간위험 상태의 경우, 제1 및 제2발광소자들(310, 320)은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적색, 적색, 노랑색, 적색, 적색, 노랑색의 배열순서대로 발광하며, 1초당 2회의 속도로 점멸할 수 있다. '안전'은 사각지대에서 접근 중인 차량이 없는 상태이다.In [Table 1],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intermediate danger state,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devices 310 and 320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red, red, yellow, red, red, and yellow colors as shown in FIG. It emits light and can flicker at a rate of 2 times per second. 'Safety' means that no vehicles are approaching from the blind spot.

제어부(430)는 저장부(4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제어 장치(400)와 차량 접근 표시부(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30)는 저장된 차량 접근 판단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접근 위험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접근 위험도에 따라 차량 접근 표시부(300)에 표시되는 발광소자들(310~36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43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device 400 and the vehicle access display unit 300 by executing one or more programs stored in the storage unit 42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430 calculates the access risk by executing the stored vehicle access determination program, and controls the driving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s 310 to 360 displayed on the vehicle access display unit 300 according to the calculated access risk. can do.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430)는 사각지대에서 접근 중인 차량과의 거리, 대형차량 여부 및 차량의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차량의 접근 위험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접근 위험도에 따라 차량 접근 표시부(300)의 표시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수학식 1]은 차량의 접근 위험도를 산출하기 위한 식이다.In detail, the control unit 430 calculates the access risk of the vehicle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from the vehicle approaching in the blind spot, the presence of a large vehicle, and the moving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access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calculated access risk The display state of 300 can be adjusted. [Equation 1] is an equation for calculating the approach risk of a vehicle.

Figure 112019118036845-pat00001
Figure 112019118036845-pat00001

Figure 112019118036845-pat00002
Figure 112019118036845-pat00002

[수학식 1]에서, 이격 거리는 사전에 도로에 정해진 정지선과 스마트 도로 반사경(100)으로 접근 중인 차량 간의 거리, 주행 속도는 차량의 속도, 대형차는 사전에 표준규격에 따라 분류된 대형차를 의미한다. In [Equation 1], the separation distance refers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top line determined in advance on the road and the vehicle approaching with the smart road reflector 100, the driving speed refers to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large vehicle refers to a large vehicl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andard in advance. .

대형차 여부 가중치는 접근 중인 차량이 클수록 위험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0부터 1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도로에서 주행가능한 차량들 중 가장 크면서 무거운 차량이 1, 가장 작으면서 가벼운 차량이 0, 가운데의 차량은 0보다 크면서 1보다 작은 값을 갖는다.The weight of whether the vehicle is a large vehicle indicates that the larger the approaching vehicle is, the more dangerous it is, and may have a value between 0 and 1. That is, among vehicles that can be driven on the road, the largest and heaviest vehicle is 1, the smallest and lightest vehicle is 0, and the middle vehicle has a value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1.

예를 들어, 12종으로 차종을 분류하는 일반 국도의 경우, 1종 차량인 경우, 대형차 여부 가중치에는 0이 입력되고, 2종과 3종은 0.1, 4종 차량의 경우 0.2, ??, 12종 차량인 경우 대형차 여부 가중치에 1이 입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저장부(420)에는 12종의 차종 별로 대형차 여부 가중치에 대한 값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general national highway that classifies vehicle types into 12 types, 0 is input for the weight of whether a vehicle is a type 1 vehicle or a large vehicle, 0.1 for type 2 and type 3, and 0.2, ??, 12 for type 4 vehicles. In the case of a vertical vehicle, 1 may be input to the weight of whether the vehicle is a large vehicle. To this end, the storage unit 420 may store a value for a weight of whether a large vehicle is used for each of 12 vehicle types.

또는, 1톤 미만의 차량인 경우, 대형차 여부 가중치에 0, 1~4톤 차량의 경우 0.25, 5~10톤 차량의 경우 0.5, 11~40톤 차량의 경우 0.75, 41톤 이상 차량의 경우 대형차 여부 가중치로서 1이 입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저장부(420)에는 차량의 무게 별로 대형차 여부 가중치에 대한 값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Or, if the vehicle is less than 1 ton, the weight of whether it is a large vehicle is 0, for a 1 to 4 ton vehicle, 0.25 for a 5 to 10 ton vehicle, 0.5 for 5 to 10 ton vehicle, 0.75 for 11 to 40 ton vehicle, and large vehicle for 41 ton or more vehicles. 1 may be input as whether or not the weight. To this end, the storage unit 420 may store a value for a weight of whether a large vehicle is based on the weight of the vehicle.

또는, 제어부(430)는 [수학식 2]를 이용하여 대형차 여부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430 may calculate the weight of whether a large vehicle is based using [Equation 2].

Figure 112019118036845-pat00003
Figure 112019118036845-pat00003

여기서, Y는 대형차 여부 가중치, X는 차량 무게(톤)로서 최대 42톤이다.Here, Y is the weight of whether or not a large vehicle is large, and X is the vehicle weight (ton), which is a maximum of 42 tons.

또한,

Figure 112019118036845-pat00004
는 스마트 도로 반사경(100)이 구비되는 현장의 여건을 고려하여 변경가능하다. 예를 들어, 현장에 대형차가 주행하는 빈도가 사전에 정해진 기준보다 높은 경우,
Figure 112019118036845-pat00005
의 비율을 높이고,
Figure 112019118036845-pat00006
Figure 112019118036845-pat00007
를 낮추며, 현장에서 고속으로 다니는 차량이 기준보다 많을수록
Figure 112019118036845-pat00008
의 비율을 높이고,
Figure 112019118036845-pat00009
Figure 112019118036845-pat00010
의 비율을 낮출 수 있다.Also,
Figure 112019118036845-pat00004
Can be ch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ditions of the site where the smart road reflector 100 is provided. For example, if the frequency of large vehicles driving on the sit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standard,
Figure 112019118036845-pat00005
Increase the ratio of,
Figure 112019118036845-pat00006
Wow
Figure 112019118036845-pat00007
And the more vehicles traveling at high speed in the field, the more
Figure 112019118036845-pat00008
Increase the ratio of,
Figure 112019118036845-pat00009
Wow
Figure 112019118036845-pat00010
You can lower the rate of

센싱 장치(500)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카메라(510)와 제2카메라(520)를 포함하는 경우, 제1카메라(510) 또는 제2카메라(520)는 도로를 촬영한 동영상을 센싱신호로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카메라(510)가 도로 P를 촬영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When the sensing device 500 includes the first camera 510 and the second camera 52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the first camera 510 or the second camera 520 captures a video of the road. It can be transmitted as a sensing signal. Hereinafter, a case where the first camera 510 photographs the road P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제어부(430)는 제1카메라(510)로부터 수신되는 동영상 신호 중 예를 들어, 1/32 프레임의 정지영상을 분석하여 정지선(예를 들어, 도 2의 R)으로 접근 중인 차량과 정지선(R)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30)는 정지선(R) 부근의 실제 주변 구조물과 정지영상에 존재하는 주변 구조물을 비교하여 이격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30 analyzes, for example, a 1/32 frame still image among the moving picture signals received from the first camera 510, and the vehicle and the stop line R approaching the stop line (for example, R in FIG. 2) ) Can be calculated. For example, the controller 430 may calculate a separation distance by comparing an actual surrounding structure near the stop line R with a surrounding structure existing in the still image.

또한, 제어부(430)는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프레임들(즉, 정지영상들)에 위치하는 차량의 위치변화량을 산출하여 차량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430 may calculate a vehicle speed by calculating a position change amount of a vehicle positioned in continuously received frames (ie, still images).

또한, 제어부(430)는 1/32 프레임의 정지영상에서 차량으로 판단된 객체가 차지하는 픽셀 점유량을 이용하여 대형 차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430 may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a large vehicle by using the pixel occupancy amount occupied by the object determined as the vehicle in the still image of 1/32 frame.

한편, 센싱 장치(500)가 도로에 매립되는 루프 센서인 경우, 제어부(430)는 고정된 루프 센서의 매립위치를 기준으로 차량 속도와 시간 변화에 따른 차량의 진행 위치를 추정하여 이격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nsing device 500 is a roof sensor embedded in a road, the controller 430 calculates the separation distance by estimating the vehicle's mov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and time change based on the buried position of the fixed roof sensor. can do.

또한, 제어부(430)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매립된 2개의 동일 크기의 루프 센서의 반응시간을 이용하여 차량 주행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30 may calculate the vehicle driving speed by using the reaction time of two roof sensors of the same size that are buried at a certain distance apart.

또한, 제어부(430)는 차량이 루프 센서를 점유하는 시간, 주행 속도 자료를 활용하여 대형 차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430 may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a large vehicle by using data of a time during which the vehicle occupies the roof sensor and driving speed data.

제어부(430)는 센싱 장치(500)의 센싱신호로부터 이격 거리, 주행 속도, 대형 차량 여부를 산출/판단하는 알고리즘은 주지된 다양한 기술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control unit 430 may selectively use various well-known technologies for the algorithm for calculating/determining whether or not a distance, a driving speed, and whether a large vehicle is a large vehicle from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device 500,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산출 또는 판단된 이격 거리, 주행 속도, 대형차량 등을 [수학식 1]에 적용하여 차량의 접근 위험도가 산출되면, 제어부(430)는 산출된 접근 위험도 별로 사전에 [표 1]과 같이 설정된 발광소자들의 점멸 속도와 발광 색상 조합을 이용하여 차량 접근 표시부(300)의 표시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When the approach risk of the vehicle is calculated by applying the calculated or determined separation distance, driving speed, and large vehicle to [Equation 1], the controller 430 performs the calculated access risk in advance as shown in [Table 1]. The display state of the vehicle access display unit 300 may be adjusted by using a combination of the set flashing speed and emission color of the light emitting devices.

[표 1]에 의하면, 제어부(430)는 산출된 접근 위험도가 높을수록 발광소자들(310~360)의 점멸 속도를 증가시키고, 다수의 발광소자들(310~360)이 모두 적색으로 발광하도록 하고, 산출된 접근 위험도가 낮을수록 발광소자들의 점멸 속도를 감소시키고, 다수의 발광소자들(310~360) 중 적색으로 발광하는 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430)는 산출된 접근 위험도가 0인 경우, 발광소자들(310~360)의 점멸을 정지시키고, 다수의 발광소자들(310~360)이 모두 녹색으로 발광하도록 차량 접근 표시부(300)의 표시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able 1], the controller 430 increases the flashing speed of the light emitting devices 310 to 360 as the calculated access risk increases, and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310 to 360 all emit red light. And, as the calculated access risk is lower, the flashing speed of the light-emitting devices may be reduced, and the ratio of emitting red light among the plurality of light-emitting devices 310 to 360 may be reduced. In addition, when the calculated access risk is 0, the control unit 430 stops the flashing of the light-emitting elements 310 to 360, and the vehicle access display unit ( 300) can be adjusted.

예를 들어, 차량 접근 표시부(300)가 도 8과 같이 구비된 경우, 제어부(430)는 제1반사경(210)이 비추는 도로에서 접근 중인 차량에 대해 산출된 접근 위험도에 따라 제1 내지 제4발광소자들(310~340)의 점멸속도와 발광색을 조정할 수 있다. 이 때, 양방향 모두에서 차량이 접근 중이며, 즉, 제1반사경(210)이 비추는 도로와 제2반사경(220)이 비추는 도로에서 차량이 접근 중이며, 각각 산출된 차량의 접근 위험도가 고위험도와 안전이면, 제어부(430)는 제1발광소자들(310)과 제3발광소자들(330)은 적색으로 발광하고, 제2발광소자들(320)과 제4발광소자들(340)은 녹색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access display unit 300 is provided as shown in FIG. 8, the control unit 430 may display the first to fourth levels according to the calculated access risk for the vehicle approaching on the road illuminated by the first reflector 210. The blinking speed and light emission color of the light emitting devices 310 to 340 can be adjusted. At this time, if the vehicle is approaching from both directions, that is, the vehicle is approaching on the road illuminated by the first reflector 210 and the road illuminated by the second reflector 220, and the calculated access risk of the vehicle is high and safety, , The controller 430 emits light in the first light-emitting device 310 and the third light-emitting device 330 in red, and the second light-emitting device 320 and the fourth light-emitting device 340 in green Can be controlled to do.

한편,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connection with a preferred embodiment for exemplify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and deviates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 number of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all such appropriate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ttached registration claims.

100: 스마트 도로 반사경 200: 접이식 도로 반사경
210, 220: 제1 및 제2반사경 230: 중심선
240, 245: 제1 및 제2후면 패널 250: 경첩
260, 265: 제1 및 제2좌우 각도조절장치
270: 상하 각도조절장치 280: 중심축
290, 295: 제1 및 제2덮개 300: 차량 접근 표시부
310~360: 제1 및 제6발광소자들 370, 380: 제1 및 제2표시패널들
400: 제어 장치 410: 통신 인터페이스부
420: 저장부 430: 제어부
500: 센싱 장치
100: smart road reflector 200: foldable road reflector
210, 220: first and second reflectors 230: center line
240, 245: first and second rear panels 250: hinge
260, 265: first and second left and right angle adjustment devices
270: vertical angle adjustment device 280: central axis
290, 295: first and second covers 300: vehicle access indicator
310~360: first and sixth light emitting devices 370, 380: first and second display panels
400: control device 410: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420: storage unit 430: control unit
500: sensing device

Claims (10)

각각 서로 다른 방향에서 오는 차량을 확인하도록 제1반사경과 제2반사경, 상기 제1반사경과 제2반사경의 후면에 구비되는 제1후면 패널과 제2후면 패널을 포함하는 접이식 도로 반사경;
다수의 발광소자들을 이용하여 차량이 접근 중임을 표시하는 차량 접근 표시부; 및
상기 접근 중인 차량을 센싱하는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이 접근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이 접근 중임을 표시하도록 상기 차량 접근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접근 중인 차량과의 거리, 대형차량 여부 및 차량의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접근 위험도를 산출한 후, 산출된 접근 위험도에 따라 상기 차량 접근 표시부의 표시 상태를 조정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반사경과 제2반경은,
상기 접이식 도로 반사경의 가운데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심선을 중심으로 물리적으로 분할되고,
상기 접이식 도로 반사경은,
상기 접이식 도로 반사경의 뒷면에 제1후면 패널과 중심축에 연결되어,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1반사경의 좌우 각도를 조절하는 제1좌우 각도조절장치;
상기 접이식 도로 반사경의 뒷면에 제2후면 패널과 상기 중심축에 연결되어,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2반사경의 좌우 각도를 조절하는 제2좌우 각도조절장치; 및
상기 중심축과 지주에 연결되어 상기 제1반사경과 제2반사경의 상하 각도를 조절하는 상하 각도조절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심선, 중심축, 상하 각도조절장치 및 지주는 상기 접이식 도로 반사경을 바라보는 방향에서 일직선상이 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산출된 접근 위험도 별로 사전에 설정된 발광소자들의 점멸 속도와 발광 색상 조합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 접근 표시부의 표시 상태를 조정하고,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들은 상기 접이식 도로 반사경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차량이 접근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반사경과 제2반사경 중 상기 접근 중인 차량을 보여주는 반사경의 외곽에 구비된 발광소자들에 상기 차량이 접근 중임을 표시하도록 처리하고,
상기 차량 접근 표시부가, 상기 접이식 도로 반사경의 좌측과 우측에 날개 형태로 구비되어, 차량이 접근 중임을 발광소자들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표시패널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차량이 접근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반사경과 제2반사경 중 상기 접근 중인 차량을 보여주는 반사경에 구비된 표시패널에 상기 차량이 접근 중임을 표시하도록 처리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다음 수학식을 사용하여 차량의 접근 위험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로 반사경:
Figure 112020078097018-pat00027

여기서, α는 0.65, β는 0.25, γ는 0.10이고, 상기 이격 거리는 사전에 도로에 정해진 정지선과 상기 접이식 도로 반사경으로 접근 중인 차량 간의 거리, 상기 주행 속도는 상기 접근 중인 차량의 속도, 상기 대형차 여부 가중치는 상기 접근 중인 차량이 대형차일수록 큰 값을 가짐.
A folding road reflector including a first reflector and a second reflector, and a first rear panel and a second rear panel provided on rea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to identify vehicles coming from different directions, respectively;
A vehicle access display unit for indicating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us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And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approaching using a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a sensing device that senses the approaching vehicl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the vehicle access display unit is controlled to indicate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and the A control device for calculating an access risk of the vehicle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a distance to an approaching vehicle, a large vehicle, and a moving speed of the vehicle, and then adjusting a display state of the vehicle access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calculated access risk;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radiuses,
It is physically divided around a center lin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folding road reflector,
The folding road reflector,
A first left and right angle adjusting device connected to a first rear panel and a central axis on the rear surface of the folding road reflector to adjust a left and right angle of the first reflector based on the central axis;
A second left and right angle adjusting device connected to the second rear panel and the central axis on the rear surface of the folding road reflector to adjust a left and right angle of the second reflector based on a central axis; And
A vertical angle adjustment device connected to the central axis and the support to adjust the vertical angle of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further comprising,
The center line, the central axis, the vertical angle adjustment device and the support are provided to be in a straight line in a direction facing the folding road reflector,
The control device adjusts the display state of the vehicle access display unit using a combination of flashing speeds and light emission colors of light emitting devices set in advance for each of the calculated access risk,
When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are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olding road reflector, the control devic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processing to display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to light-emitting element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reflecting mirror showing the approaching vehicle among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When the vehicle access display unit includes display panels provided in the form of wing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oldable road reflector to indicate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using light emitting elements, the control devic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processing to display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on a display panel provided on a reflector showing the approaching vehicle among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The control device is a smart road reflector, characterized in that calculating the access risk of the vehicle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20078097018-pat00027

Here, α is 0.65, β is 0.25, γ is 0.10, the separation distance is the distance between the stop line determined in advance and the vehicle approaching with the folding road reflector, the driving speed is the speed of the approaching vehicle, whether the large vehicle is The weight has a larger value as the approaching vehicle is a large vehic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들은 상기 제1반사경과 제2반사경의 표면에 부착되어 차량이 접근 중임을 문자 및 기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차량이 접근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반사경과 제2반사경 중 상기 접근 중인 차량을 보여주는 반사경의 표면에 부착된 발광소자들이 발광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로 반사경.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are attached to th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to indicate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in at least one of a letter and a symbol,
The control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reflecting mirror showing the approaching vehicle among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are processed to emit ligh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147647A 2019-11-18 2019-11-18 Smart traffic safety mirror KR1021534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647A KR102153487B1 (en) 2019-11-18 2019-11-18 Smart traffic safety mirr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647A KR102153487B1 (en) 2019-11-18 2019-11-18 Smart traffic safety mirr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487B1 true KR102153487B1 (en) 2020-09-08

Family

ID=72451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647A KR102153487B1 (en) 2019-11-18 2019-11-18 Smart traffic safety mirr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487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190B1 (en) 2021-12-14 2022-04-08 주식회사 서경산업 Smart reflectors installed in alleyways
KR20230052444A (en) * 2021-10-13 2023-04-20 주식회사 스칼라웍스 Smart safety mirror device
KR20230086546A (en) * 2021-12-08 2023-06-15 (주)이상기술 Smart assistant reflection mirror
KR102544639B1 (en) 2022-06-15 2023-06-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section state information on attaching a road reflector
KR20230105213A (en) * 2022-01-03 2023-07-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road reflector device and guidance system using the same
KR102624677B1 (en) * 2023-06-02 2024-01-12 주식회사 문창 Smart road reflection mirror
KR102654096B1 (en) * 2023-01-19 2024-04-03 주식회사 해건 Intelligent delineator with front vehicle accident signal information transmission func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9034A (en) * 1994-03-18 1995-10-09 Masamiki Takayanagi Reflection mirror for road
KR20130044975A (en) * 2011-10-25 2013-05-03 (유)우리창호산업 Road reflecting mirror for preventing dew condensation
KR101495709B1 (en) 2014-06-16 2015-02-26 (주)파이브텍 Road reflector using the LED and CCTV for blind spot
KR20170084666A (en) * 2016-01-12 2017-07-20 박고훈 Apparatus and method of alarming for entering vehicle to the crossroad
JP2017145651A (en) * 2016-02-19 2017-08-24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Safety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9034A (en) * 1994-03-18 1995-10-09 Masamiki Takayanagi Reflection mirror for road
KR20130044975A (en) * 2011-10-25 2013-05-03 (유)우리창호산업 Road reflecting mirror for preventing dew condensation
KR101495709B1 (en) 2014-06-16 2015-02-26 (주)파이브텍 Road reflector using the LED and CCTV for blind spot
KR20170084666A (en) * 2016-01-12 2017-07-20 박고훈 Apparatus and method of alarming for entering vehicle to the crossroad
JP2017145651A (en) * 2016-02-19 2017-08-24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Safety system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2444A (en) * 2021-10-13 2023-04-20 주식회사 스칼라웍스 Smart safety mirror device
KR102526969B1 (en) * 2021-10-13 2023-05-02 주식회사 스칼라웍스 Smart safety mirror device
KR20230086546A (en) * 2021-12-08 2023-06-15 (주)이상기술 Smart assistant reflection mirror
KR102384190B1 (en) 2021-12-14 2022-04-08 주식회사 서경산업 Smart reflectors installed in alleyways
KR20230105213A (en) * 2022-01-03 2023-07-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road reflector device and guidance system using the same
KR102603107B1 (en) * 2022-01-03 2023-11-1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road reflector device and guidance system using the same
KR102544639B1 (en) 2022-06-15 2023-06-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section state information on attaching a road reflector
KR102654096B1 (en) * 2023-01-19 2024-04-03 주식회사 해건 Intelligent delineator with front vehicle accident signal information transmission function
KR102624677B1 (en) * 2023-06-02 2024-01-12 주식회사 문창 Smart road reflection mirr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487B1 (en) Smart traffic safety mirror
US20210370855A1 (en) Vehicular control system
JP5341402B2 (en) In-vehicle display system
US20190315275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906399B2 (en) Method and system for alerting a truck driver
KR101768500B1 (en) Drive assistanc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274727B2 (en) Device controlling range of vision
US20170025005A1 (en) Method and device for assisting a driver when driving a vehicle
GB2520127A (en) System for imaging
KR102372566B1 (en)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CN106114500A (en) Vehicle travel control method and controlling device for vehicle running
US20220281381A1 (en) System for interaction between an autonomous vehicle and a vulnerable user
EP3109844B1 (en) Object detecting arrangement
KR102484296B1 (en) Convex mirror with vehicle detection and alarm at intersections
KR20010103326A (en) control system of traffic signal lamp for protecting
US20210268961A1 (en) Display method,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US10948922B2 (en) Autonomous vehicle navigation
JP2019001226A (en) Electronic mirror device
US11735034B2 (en) System for interaction between an autonomous vehicle and a colour-blind pedestrian or cyclist
KR20220095525A (en) System guiding with the acknowledged information of the speciality vehicles to the parking booth
JP6354805B2 (en) Visibility control device
KR10254463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section state information on attaching a road reflector
WO2006087524A1 (en) A driver assistance system
KR102630046B1 (en) System for alarming traffic situation using bollards in three-way intersection
KR20210140799A (en) Roa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rad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